KR101802793B1 - video communication device - Google Patents
video communication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02793B1 KR101802793B1 KR1020160138304A KR20160138304A KR101802793B1 KR 101802793 B1 KR101802793 B1 KR 101802793B1 KR 1020160138304 A KR1020160138304 A KR 1020160138304A KR 20160138304 A KR20160138304 A KR 20160138304A KR 101802793 B1 KR101802793 B1 KR 10180279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nitor
- camera
- beam splitter
- user
- ima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통화를 할 때, 상대편과 시선을 맞출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화상통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통화장치는 사용자가 화상통화를 하기 위하여 상기 조작스위치(20)를 누르면, 상기 제1 및 제2 회동아암(14,15)이 하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반사거울(D)과 빔스플리터(E)가 전단부가 상측으로 45°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모니터(A)에 디스플레이된 영상은 상기 반사거울(D)에 의해 상측으로 반사된 후 상기 빔스플리터(E)에 의해 전방으로 반사된다.
따라서, 모니터(A)의 전방에 있는 사용자가 모니터(A)를 바라볼 때 상기 빔스플리터(E)의 전방을 바라보게 됨으로, 사용자의 시선방향이 상기 카메라(B)를 향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카메라(B)에 사용자가 정면을 바라보는 영상이 촬영됨으로, 상호 영상통화를 하는 사용자와 상대편이 상호 직접 얼굴을 바라보고 대화하는 것도 같은 느낌을 얻게 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of a new structure capable of matching a line of sight to a partner when making a video call.
When the user presses the operation switch 20 to make a video call, the first and second pivoting arms 14 and 15 are rotated downward,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beam splitter E is arranged to be inclined at an angle of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upper side and the image displayed on the monitor A is reflected upward by the reflecting mirror D, .
Therefore, when a user in front of the monitor A looks at the front of the beam splitter E when looking at the monitor A, the user's sight direction is directed to the camera B, Since the image of the user looking at the front is photographed on the camera B, it is also possible for the user who makes the mutual video call and the other person to directly look at the face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영상통화를 할 때, 상대편과 시선을 맞출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화상통화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of a new structure capable of matching a line of sight to a partner when making a video call.
최근 들어, 화상통화장치를 이용하여 화상통화를 하는 사람들이 늘어가고 있다.Recently, a growing number of people are making video calls using video communication devices.
상기 화상통화장치는 모니터와, 상기 모니터의 상단에 장착된 카메라가 구비되어, 화상통화를 하는 사용자의 얼굴을 상기 카메라가 촬영을 하고, 촬영된 영상을 상대편의 화상통화장치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양자가 상대편의 얼굴을 보면서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The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includes a monitor and a camera mounted on an upper end of the monitor so that the camera captures a face of a user making a video call and displays the photographed video on a monitor of the other party's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Both parties will be able to talk while viewing the other's face.
이때, 상기 모니터는 일반적인 PC에 연결된 모니터를 이용하며, 상기 카메라는 상기 모니터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PC에 연결된다.At this time, the monitor uses a monitor connected to a general PC, and the camera is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monitor and connected to the PC.
그런데, 화상통화장치를 이용하여 통화를 할 때 사용자는 카메라가 아닌 하측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는 상대편의 얼굴을 바라면서 대화를 하게 된다.However, when making a call using the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the user makes a conversation while hoping for the face of the opponent displayed on the lower monitor rather than the camera.
따라서, 상기 카메라에는 하측에 있는 모니터를 바라보는 사용자의 모습이 촬영됨으로, 이러한 화상통화장치를 이용하여 화상통화를 할 때는 통화를 하는 사용자의 시선이 서로 일치되지 않고 서로 아래쪽을 바라보면서 대화를 하는 것과 같은 위화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when the user watches the monitor on the lower side of the camera is photographed, when the video call is made using the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the eyes of the users making the call do not coincide with each other, There is a problem that such a sense of incongruity occurs.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new method to solve such a problem.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영상통화를 할 때, 상대편과 시선을 맞출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화상통화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a new structure that can match a line of sight to a partner when making a video call.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모니터와, 상기 모니터의 상측에 구비된 카메라와, 상기 모니터에 결합된 위치가변 지지대와, 상기 모니터의 전방에 위치되며 전단부가 상측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위치가변 지지대에 결합되어 상기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된 영상을 상측으로 반사하는 반사거울과, 상기 반사거울의 상측에 상기 카메라의 전방위치되도록 상기 위치가변 지지대에 결합되어 상기 반사거울에서 상측으로 반사된 영상은 전방의 사용자쪽으로 반사하고 사용자의 영상은 상기 카메라에 촬영되도록 하는 빔스플리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화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monitor, a camera provided on the monitor, a position variable support coupled to the monitor, A reflection mirror coupled to the support and adapted to reflect the image displayed on the monitor to the image side; and an image coupled to the position variable support so as to be positioned in front of the reflection mirror, And a beam splitter for reflecting the user's image toward the user and allowing the user's image to be photographed by the camera.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위치가변 지지대는 상기 모니터에 결합된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의 양측에 구비된 제1 지지브라켓과, 상기 제1 지지브라켓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고정대의 양측에 구비된 제2 지지브라켓과, 일단이 상기 제1 지지브라켓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반사거울이 고정된 제1 회동아암과, 일단이 상기 제2 지지브라켓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빔스플리터가 상하방향으로 각도조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회동아암과, 상기 제1 회동아암에 연결되어 제1 회동아암을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제1 회동구동수단과, 상기 제2 회동아암에 연결되어 제2 회동아암을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제2 회동구동수단과, 상기 빔스플리터에 연결되어 상기 빔스플리터의 상하방향 각도를 조절하는 제1 각도조절수단과, 상기 위치가변 지지대 일측에 구비된 조작스위치와, 상기 제1 각도조절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사용자가 상기 조작스위치를 조작하면, 상기 제1 및 제2 회동구동수단과 상기 제1 각도조절수단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제1 및 제2 회동아암과 빔스플리터가 정해진 위치로 하강되어 사용상태로 정렬되거나, 상측으로 회동되어 비사용상태로 정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화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variable support includes a fixed base coupled to the monitor, a first support bracket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xed base, and a second support bracket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xed base to be positioned above the first support bracket. A first support arm having one end hingedly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bracket so as to be vertically rotatable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first support bracket; A first rotating arm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ng arm to rotate the first rotating arm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second rotating arm connected to the second rotating arm, A second rotation driving means connected to the second rotation arm to rotate the second rotation arm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second rotation driving means connected to the beam splitter,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angle adjusting uni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switch, The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driving means and the first angle adjusting means is controlled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pivotal arms and the beam splitter are lower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are aligned in the use state, So as to be aligned in a non-use stat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위치가변 지지대는 상기 고정대의 상부에 상부브라켓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의 상하방향 각도를 조절하는 제2 각도조절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카메라에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는 영상분석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카메라에 사용자의 얼굴이 촬영되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고, 사용자의 얼굴위치에 따라 상기 제2 각도조절수단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를 상하방향 각도를 조절하여 카메라에 촬영된 영상의 중앙부에 사용자의 얼굴이 위치되도록 조절함과 동시에, 상기 제1 각도조절수단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빔스플리터가 상기 카메라가 상하방향으로 회동된 각도의 1/2만큼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화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variable support further includes a second angle adjusting means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xing table via an upper bracket to adjust an angle of the camera in a vertical direction, An image analyzing program for analyzing an image captured by a camera is installed. When a user's face is photographed by the camera, the captured image is analyzed and the operation of the second angle adjusting means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face position of the user, The angle adjusting unit adjusts the vertical angle so that the user's face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angle adjusting unit so that the beam splitter adjusts the angle of the camera 1/2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위치가변 지지대는 상기 상부브라켓에 연결되어 상부브라켓을 측방향으로 회동시켜 방향을 조절하는 방향조절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된 상대편 얼굴의 영상에서 상대편의 시선방향을 분석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된 상대편의 시선방향에 따라 상기 방향조절수단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가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된 상대편의 시선방향에 따라 측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화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variable support further includes direction adjusting means connected to the upper bracket to adjust the direction by rotating the upper bracket in a lateral direction,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irection adjusting means in accordance with the viewing direction of the opponent displayed on the monitor so that the camera moves in the lateral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viewing direction of the opponent displayed on the monitor So that the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can be rotated.
본 발명에 따른 화상통화장치는 사용자가 화상통화를 하기 위하여 상기 조작스위치를 누르면, 상기 제1 및 제2 회동아암이 하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반사거울과 빔스플리터가 전단부가 상측으로 45°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된 영상은 상기 반사거울에 의해 상측으로 반사된 후 상기 빔스플리터에 의해 전방으로 반사된다.When the user presses the operation switch to make a video call, the first and second pivoting arms are rotated downward, and the front end of the reflection mirror and the beam splitter are rotated at an angle of 45 degrees upward And the image displayed on the monitor is reflected upward by the beam splitter after being reflected upward by the reflecting mirror.
따라서, 모니터의 전방에 있는 사용자가 모니터를 바라볼 때 상기 빔스플리터의 전방을 바라보게 됨으로, 사용자의 시선방향이 상기 카메라를 향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카메라에 사용자가 정면을 바라보는 영상이 촬영됨으로, 상호 영상통화를 하는 사용자와 상대편이 상호 직접 얼굴을 바라보고 대화하는 것도 같은 느낌을 얻게 된다.Therefore, when a user in front of the monitor looks at the monitor, the user looks at the front of the beam splitter,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user's gaze is directed toward the camera. Accordingly, As a result, the user who interacts with the other party and the other party face each other face to face and feel the same feel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통화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통화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통화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통화장치의 비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통화장치의 비사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본 발명에 따른 화상통화장치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통화장치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통화장치의 회로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통화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통화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통화장치의 제2 실시예의 회로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통화장치의 제2 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통화장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통화장치의 제3 실시예의 모니터를 도시한 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통화장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통화장치의 제3 실시예의 회로구성도이다.1 is a side view showing a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showing a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a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ide view showing the non-use state of the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ront view showing the non-use state of the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view showing an exploded state of the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view showing an exploded state of the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ircuit diagram of a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id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ircuit configuration diagram of a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ide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side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front view showing the monitor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plan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circuit configuration diagram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통화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모니터(A)와, 상기 모니터(A)의 상측에 구비된 카메라(B)로 구성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1 to 9 illustrate a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onitor A and a camera B provided above the monitor A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prior art.
이때, 상기 모니터(A)와 카메라(B)는 일반적인 PC에 연결되며, 상기 PC에 연결된 인터넷라인을 통해 상대편이 사용하는 PC와 연결되어, 상대편과 화상통화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monitor A and the camera B are connected to a general PC, and are connected to a PC used by the counter party through an Internet line connected to the PC, and are able to make a video call with the counter party.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모니터(A)에 결합된 위치가변 지지대(C)와, 상기 모니터(A)의 전방에 위치되며 전단부가 상측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위치가변 지지대(C)에 결합되어 상기 모니터A)에 디스플레이된 영상을 상측으로 반사하는 반사거울(D)과, 상기 반사거울(D)의 상측에 상기 카메라(B)의 전방위치되도록 상기 위치가변 지지대(C)에 결합되어 상기 반사거울(D)에서 상측으로 반사된 영상은 전방의 사용자쪽으로 반사하고 사용자의 영상은 상기 카메라(B)에 촬영되도록 하는 빔스플리터(E)가 더 구비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game machine comprising: a position variable support C coupled to the monitor A; and a position variable support C positioned in front of the monitor A and coupled to the position variable support C so that a front end portion thereof is inclined upward, A reflection mirror D for reflecting the image displayed on the monitor A to the upper side and a reflection mirror D for being coupled to the position variable support C so as to be positioned in front of the camera B on the reflection mirror D, And a beam splitter E for reflecting the image reflected upward from the user D toward the forward user and allowing the user B to capture the image of the user.
이를 자세히 설명하며, 상기 위치가변 지지대(C)는 상기 모니터(A)에 결합된 고정대(11)와, 상기 고정대(11)의 양측에 구비된 제1 지지브라켓(12)과, 상기 제1 지지브라켓(12)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고정대(11)의 양측에 구비된 제2 지지브라켓(13)과, 일단이 상기 제1 지지브라켓(12)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타단에 상기 반사거울(D)이 고정된 제1 회동아암(14)과, 일단이 상기 제2 지지브라켓(13)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 상기 빔스플리터(E)가 상하방향으로 각도조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회동아암(15)과, 상기 제1 회동아암(14)에 연결되어 제1 회동아암(14)을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제1 회동구동수단(16)과, 상기 제2 회동아암(15)에 연결되어 제2 회동아암(15)을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제2 회동구동수단(17)과, 상기 빔스플리터(E)에 연결되어 상기 빔스플리터(E)의 상하방향 각도를 조절하는 제1 각도조절수단(18)과, 상기 고정대(11)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카메라(B)가 결합되는 상부브라켓(19)과, 상기 위치가변 지지대(C)의 일측에 구비된 조작스위치(20)와, 상기 조작스위치(2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1 및 제2 회동구동수단(16,17)과, 상기 제1 각도조절수단(18)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21)으로 구성된다.The position variable support C includes a
상기 고정대(11)는 상기 모니터(A)의 상단에 끼움결합되는 고정부(11a)와, 상기 고정부(11a)전면 양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연장부(11b)로 구성된다.The fixing table 11 includes a
이때, 상기 고정부(11a)는 측방향으로 충분히 길에 연장되고, 상기 연장부(11b)는 상기 고정부(11a)의 양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연장부(11b)에 의해 상기 모니터(A) 전면의 화면이 가려지지 않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상기 제1 지지브라켓(12)은 상기 연장부(11b)의 전면 하측에 측방향으로 넓게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 지지브라켓(13)은 상기 연장부(11b)의 전면 상측에 상기 제1 지지브라켓(12)에 비해 측방향 간격이 좁게 형성된다.The
상기 제1 및 제2 회동아암(14,15)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제1 회동아암(14)이 상기 제2 회동아암(15)에 비해 길게 구성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회동아암(14,15)을 상측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반사거울(D)이 상기 빔스플리터(E)에 비해 상측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The first and second
상기 제1 및 제2 회동구동수단(16,17)은 상기 제1 및 제2 회동아암(14,15)의 기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제1 회동아암(14)을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구동모터를 이용한다.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driving means 16 and 17 are connected to the base ends of the first and
상기 제1 각도조절수단(18)은 상기 제2 회동아암(15)의 선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빔스플리터(E)에 연결되어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빔스플리터(E)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구동모터를 이용한다.The first angle adjusting means 18 is fixed to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second rotating
상기 조작스위치(20)는 상기 위치가변 지지대(C)의 고정부(11a) 상면 일측에 구비된 푸쉬스위치를 이용한다.The
상기 제어수단(21)은 사용자가 상기 조작스위치(20)를 조작하면, 상기 제1 및 제2 회동구동수단(16,17)과 상기 제1 각도조절수단(18)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제1 및 제2 회동아암(14,15)과 빔스플리터(E)가 정해진 위치로 하강되어 사용상태로 정렬되거나, 상측으로 회동되어 비사용상태로 정렬되도록 한다.The control means 21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tilting drive means 16 and 17 and the first angle adjusting means 18 when the user operates the
즉, 상기 화상통화를 하지 않을 때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회동아암(14,15)이 상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반사거울(D)과 빔스플리터(E)가 상기 모니터(A)의 상측에 수평을 이루도록 배치된다.4 and 5, the first and second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조작스위치(20)를 누르면, 상기 제어수단(21)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회동구동수단(16,17)과, 상기 제1 각도조절수단(18)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반사거울(D)과 빔스플리터(E)가 하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모니터(A)와 카메라(B)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한다.1 to 3, when the user presses the
이때, 상기 제어수단(21)은 상기 반사거울(D)과 빔스플리터(E)가 전단부가 상측으로 45°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회동구동수단(16,17)과 상기 제1 각도조절수단(18)의 작동을 제어한다.At this time, the control means 21 controls the first and second tilting drive means 16, 17 and the beam splitter E such that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reflection mirror D and the beam splitter E are arranged to be inclined at an angle of 45 degrees upward, 1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ngle adjusting means 18.
그리고, 사용자가 다시 조작스위치(20)를 누르면, 상기 제어수단(21)은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회동구동수단(16,17)과 상기 제1 각도조절수단(18)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제1 및 제2 회동아암(14,15)을 상측으로 회동시켜, 상기 반사거울(D)과 빔스플리터(E)가 상기 모니터(A)의 상측에 수평을 이루도록 배치되도록 한다.4 and 5, when the user presses the operation switch 20 again, the control means 21 controls the first and second tilting drive means 16 and 17 and the first angle The reflecting mirror D and the beam splitter E are arranged on the upper side of the monitor A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djusting means 18 so as to turn the first and second pivoting
상기 반사거울(D)은 일반적인 평면거울을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제1 회동아암(14)의 선단부에 고정되어, 제1 회동아암(14)과 함께 상하방향으로 회동된다.The reflecting mirror D is fixed to the distal end of the first rotating
상기 빔스플리터(E)는 하측에서 조사되는 빛은 전방으로 반사하고, 전방에서 조사되는 빛은 후방으로 투과되도록 하는 것으로, 카메라(B)나 망원경 등과 같은 광학장비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beam splitter E is used for optical equipment such as a camera B and a telescope for reflecting the light radiated from the lower side forward and allowing the light radiated from the front to be transmitted to the rear sid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와 같이 구성된 화상통화장치는 사용자가 화상통화를 하기 위하여 상기 조작스위치(20)를 누르면, 상기 제1 및 제2 회동아암(14,15)이 하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반사거울(D)과 빔스플리터(E)가 전단부가 상측으로 45°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며, 이때, 도 9에 실선의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모니터(A)에 디스플레이된 영상은 상기 반사거울(D)에 의해 상측으로 반사된 후 상기 빔스플리터(E)에 의해 전방으로 반사된다.When the user presses the
따라서, 모니터(A)의 전방에 있는 사용자가 모니터(A)를 바라볼 때 상기 빔스플리터(E)의 전방을 바라보게 됨으로, 사용자의 시선방향이 도 9에 점선의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B)를 향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카메라(B)에 사용자가 정면을 바라보는 영상이 촬영됨으로, 상호 영상통화를 하는 사용자와 상대편이 상호 직접 얼굴을 바라보고 대화하는 것도 같은 느낌을 얻게 된다.Therefore, when the user at the front of the monitor A looks at the front of the beam splitter E when looking at the monitor A, The user faces the camera B so that the user can see the face of the user and the face of the user interacts with the face of the user. .
그리고, 화상통화가 완료된 후, 사용자가 상기 조작스위치(20)를 조작하면, 상기 제어수단(21)이 상기 제1 및 제2 회동구동수단(16,17)과 제1 각도조절수단(18)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반사거울(D)과 빔스플리터(E)가 모니터(A)의 상측에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되도록 한다.When the user operates the
따라서, 화상통화를 하지 않을 때, 상기 반사거울(D)과 빔스플리터(E)가 모니터(A)의 전방에 위치되어 거치적거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when the video call is not made, the reflection mirror D and the beam splitter 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placed in front of the monitor A and become stationary.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카메라(B)는 상기 상부브라켓(19)에 상하방향으로 각도조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카메라(B)에 연결되어 카메라(B)의 상하방향 각도를 조절하는 제2 각도조절수단(22)이 더 구비된다.10 to 12 illustrate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mera B is connected to the
상기 제2 각도조절수단(22)은 상기 상부브라켓(19)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카메라(B)에 연결되어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카메라(B)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구동모터를 이용한다.The second angle adjusting means 22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21)에는 상기 카메라(B)에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는 영상분석프로그램(24)이 탑재되어, 카메라(B)에 사용자의 얼굴이 촬영되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각도조절수단(18,22)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B)와 빔스플리터(E)가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한다.The control means 21 is provided with an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영상분석프로그램(24)은 사용자가 영상통화를 하기 위해 카메라(B)를 on시키면, 카메라(B)에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사용자 얼굴의 위치를 감지한다.More specifically, the
즉, 촬영된 영상중에서 사용자의 얼굴이 정중앙부에 위치되지 않고 영상의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될 경우, 상기 제어수단(21)은 상기 제2 각도조절수단(22)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B)를 상하방향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카메라(B)에 촬영된 영상의 중앙부에 사용자의 얼굴이 위치되도록 조절한다.That is, when the user's face is not positioned at the central part of the captured image and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r the lower side of the image, the
그리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제어수단(21)은 상기 제1 각도조절수단(18)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빔스플리터(E)가 상기 카메라(B)가 상하방향으로 회동된 각도의 1/2만큼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제어한다.At the same time, the control means 21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angle-adjusting means 18 so that the beam splitter E is moved by 1/2 of the angle that the camera B is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as to rot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얼굴이 카메라(B)에 비해 상측에 위치될 경우, 상기 카메라(B)가 수평방향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면, 상기 카메라(B)에 촬영된 영상에는 사용자의 얼굴이 상측에 위치되게 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2, when the face of the user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mera B, when the face of the user is photographed while the camera B is disposed so as to fa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The face of the user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B).
이러한 경우, 상기 영상분석프로그램(24)이 카메라(B)에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얼굴위치가 상측에 위치된 것을 확인하면, 상기 제어수단(21)은 사용자의 얼굴이 영상의 중앙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2 각도조절수단(22)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B)를 상측으로 회동시킨다.In this case, when the
도면의 경우, 상기 카메라(B)가 상측으로 10°회동되면 사용자의 얼굴이 상기 카메라(B)에 촬영된 영상의 중앙에 위치된다.In the drawing, when the camera B is rotated by 10 degrees upward, the user's face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B.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21)은 상기 카메라(B)를 상측으로 회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1 각도조절수단(18)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빔스플리터(E)가 상측으로 5°회동되도록 한다.The control means 21 rotates the camera B upward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angle adjusting means 18 so that the beam splitter E is rotated 5 degrees upward .
이와 같이 상기 빔스플리터(E)가 상측으로 5°회동되면 상기 빔스플리터(E)에 반사된 모니터(A)의 화면은 상측으로 10°경사지게 조사되어 모니터(A)의 화면이 조사되는 방향과 상기 카메라(B)의 방향이 일치하게 된다.When the beam splitter E is rotated by 5 degrees upward, the screen of the monitor A reflected by the beam splitter E is irradiated upward at an inclination of 10 degrees, so that the direction in which the screen of the monitor A is irradiated, So that the directions of the camera B coincide with each other.
반대로, 사용자의 얼굴이 카메라(B)의 하측에 위치될 경우, 상기 제어수단(21)은 카메라(B)와 빔스플리터(E)가 하측으로 회동되도록 한다.Conversely, when the face of the user is positioned below the camera B, the control means 21 causes the camera B and the beam splitter E to rotate downward.
이와 같이 구성된 화상통화장치는 사용자의 얼굴위치에 따라 카메라(B)와 빔스플리터(E)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켜 사용자의 얼굴이 항상 화면의 중앙에 위치되도록 촬영함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모니터(A)의 화면이 정확히 보이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thus configured rotates the camera B and the beam splitter E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face position of the user so that the face of the user is alway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screen, ) Can be displayed accurately.
즉. 이러한 화상통화장치를 이용하여 화상통화를 하는 사용자의 경우, 키나 앉는 자세가 서로 달라서, 사용자의 얼굴위치가 상하방향으로 달라지게 된다.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a user who makes a video call using the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the user's face position changes in the vertical direction because the user's key or sitting posture is different.
이러한 경우, 상기 카메라(B)에 사용자의 얼굴이 정확히 촬영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카메라(B)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켜 사용자의 얼굴이 정확히 촬영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것이 매우 번거로울 뿐 아니라, 사용자의 키나 앉는 자세에 따라 사용자가 모니터(A)를 상측이나 하측에서 경사지게 바라보게 되어 모니터(A)에 디스플레이된 상대편의 모습이 정확히 보이지 않게 되는 경우가 발생된다.In this case, in order to accurately photograph the face of the user on the camera B, the face of the user must be accurately photographed by rotating the camera B in the up-down direction. This is not only cumbersome, The user may observe the monitor A from the upper side or the lower side and observe the state of the opposite side displayed on the monitor A in a precise manner.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제어수단(21)이 카메라(B)에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얼굴위치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각도조절수단(18,22)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B)와 빔스플리터(E)의 각도를 조절한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means 21 analyzes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B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angle adjusting means 18 and 22 according to the face position of the user Thereby adjusting the angles of the camera B and the beam splitter E.
따라서, 사용자가 카메라(B)의 각도를 조절할 필요가 없을 뿐 아니라, 사용자에게 모니터(A)의 화면이 정확히 보이도록 조절할 수 게 된다.Accordingly, not only does the user need to adjust the angle of the camera B, but also allows the user to adjust the display of the monitor A to be accurately viewed.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상부브라켓(19)은 상기 고정대(11)의 상면에 측방향으로 방향조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상부브라켓(19)에는 상부브라켓(19)을 측방향으로 회동시켜 방향을 조절하는 방향조절수단(23)이 연결된다.13 to 16 illustrate a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상기 방향조절수단(23)은 상기 상부브라켓(19)에 연결되며 정역회전되어 상기 상부브라켓(19)을 측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구동모터를 이용한다.The direction adjusting means 23 is connected to the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21)은 상기 모니터(A)에 디스플레이된 상대편 얼굴의 영상에서 상대편의 시선방향을 분석하고, 분석된 상대편의 시선방향에 따라 상기 방향조절수단(23)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대편의 시선방향으로 상기 상부브라켓(19)을 회전시킴으로서 상부브라켓(19)에 구비된 카메라(B)의 방향을 측방향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된다.The
이를 위해, 상기 제어수단(21)에 탑재된 영상분석프로그램(24)은 상기 모니터(A)에 디스플레이된 상대편의 얼굴영상에서 상대편의 시선이 향하는 방향을 분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For this purpose, the
이와 같이, 영상분석프로그램(24)을 이용하여 영상에 나타난 얼굴의 시선방향을 분석하는 방법은 공개특허 10-2013-0099521호를 비롯한 다수개의 선행문건에 자세히 나타나있음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s described above, a method of analyzing the line-of-sight direction of a face displayed on an image using the
이러한 화성통화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operation of such a communication device is described as follows.
우선, A와 B라는 사용자가 동일하게 구성된 화상통화장치를 이용하여 화상통화를 하는 중에, A가 시선을 좌측으로 향할 경우,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선을 좌측으로 향한 A의 얼굴영상이 B의 모니터(A)에 디스플레이된다.First, when a user A and a user B make a video call using a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configured identically, when A looks to the left, the face image of A with the eye pointing to the left B's monitor (A).
이때, B의 화상통화장치에 구비된 제어수단(21)이 B의 모니터(A)에 디스플레이된 영상을 분석하여, 영상에 디스플레이된 얼굴의 시선이 어느쪽을 향하는지를 확인하고, 이에 따라, B의 화상통화장치에 구비된 방향조절수단(23)의 작동을 제어하여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B의 화상통화장치에 구비된 카메라(B)가 좌측으로 회전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control means (21) provided in the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of B analyzes the video displayed on the monitor (A) of B and confirms which direction the face of the face displayed on the video is facing,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irection adjusting means 23 provided in the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of FIG. 15 so that the camera B provided in the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of B is rotated to the left as shown in FIG.
따라서, A가 시선을 좌측으로 향하면, B의 화상통화장치에 구비된 카메라(B)가 좌측으로 회전되어 B의 좌측의 영상을 촬영하게 되며, 이에 따라, A의 모니터(A)에는 B의 좌측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Accordingly, when A line of sight is directed to the left, the camera B provided in the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of B is rotated to the left to photograph the left side image of B, Is displayed.
반대로, A가 시선을 우측으로 향하면 A의 모니터(A)에는 B의 우측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Conversely, if A looks to the right, the image on the right side of B is displayed on the monitor A of A.
그리고, B가 시선을 좌측이나 우측을 향하면, A의 화상통화장치에 구비된 카메라(B)가 좌측이나 우측으로 회전되고 이에 따라 B의 모니터(B)에 A의 좌측 또는 우측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When the line B is directed to the left or the right side, the camera B provided in the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of A is rotated to the left or right, and thus the left or right image of A is displayed on the monitor B of B .
이와 같이 구성된 화상통화장치는 상호 화상통화를 하는 사용자와 상대편이 시선을 측방향으로 향하는 것만으로 반대쪽 사람의 측방향의 영상이 자신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In the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user of the mutual video communication and the opponent can view the side image of the opposite person on his / her monitor only by gazing the sight line in the lateral direction.
따라서, 화상통화를 하는 동안 단순히 카메라(B)가 전방을 향하도록 고정되어 고정된 앵글만이 모니터(A)에 디스플레이되는 종래의 화상통화장치와 달리, 사용자나 상대편이 측방향으로 시선을 향하면 카메라(B)가 좌우방향으로 회동되어 사용자나 상대편의 측방향 영상을 촬영하여 반대쪽의 모니터(A)에 디스플레이함으로, 사용자 서로 직접 마주보며 이야기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unlike the conventional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in which only the fixed angle is displayed on the monitor A while the camera B is facing forward during the video communication, when the user or the counterpart side gazes in the lateral direction, (B) is rotat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to photograph the lateral direction image of the user or the opponent and display it on the monitor (A) on the opposite side, so that it is possible to give the impression that the user is talking directly to each other.
A. 모니터 B. 카메라
C. 위치가변 지지대 D. 반사거울A. Monitor B. Camera
C. Position adjustable support D. Reflective mirror
Claims (4)
상기 모니터(A)의 상측에 구비된 카메라(B)와,
상기 모니터(A)에 결합된 위치가변 지지대(C)와,
상기 모니터(A)의 전방에 위치되며 전단부가 상측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위치가변 지지대(C)에 결합되어 상기 모니터(A)에 디스플레이된 영상을 상측으로 반사하는 반사거울(D)과,
상기 반사거울(D)의 상측에 상기 카메라(B)의 전방위치되도록 상기 위치가변 지지대(C)에 결합되어 상기 반사거울(D)에서 상측으로 반사된 영상은 전방의 사용자쪽으로 반사하고 사용자의 영상은 상기 카메라(B)에 촬영되도록 하는 빔스플리터(E)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가변 지지대(C)는 상기 모니터(A)에 제1,2 지지브라켓(12,13)을 매개로 고정된 고정대(11)와, 일단이 상기 제1 지지브라켓(12)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타단에 상기 반사거울(D)이 고정된 제1 회동아암(14)과, 일단이 상기 제2 지지브라켓(13)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 상기 빔스플리터(E)가 상하방향으로 각도조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회동아암(15)과, 상기 제1,2 회동아암(14,15)에 각각 연결되어 제1,2 회동아암(14)을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제1,2 회동구동수단(16,17)과, 상기 빔스플리터(E)에 연결되어 상기 빔스플리터(E)의 상하방향 각도를 조절하는 제1 각도조절수단(18)과, 상기 고정대(11)의 상부에 상부브라켓(19)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B)의 상하방향 각도를 조절하는 제2 각도조절수단(22) 및, 상기 상부브라켓(19)에 연결되어 상부브라켓(19)을 측방향으로 회동시켜 방향을 조절하는 방향조절수단(23)을 포함하며,
상기 위치가변 지지대(C)는 제어수단(21)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 회동구동수단(16,17)과 상기 제1 각도조절수단(18)의 작동을 각각 제어하여 상기 제1 및 제2 회동아암(14,15)과 빔스플리터(E)가 정해진 위치로 하강되어 사용상태로 정렬되거나, 상측으로 회동되어 비사용상태로 정렬되고,
상기 제어수단(21)은 상기 카메라(B)에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는 영상분석프로그램(24)이 탑재되어, 카메라(B)에 사용자의 얼굴이 촬영되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고, 사용자의 얼굴위치에 따라 상기 제2 각도조절수단(22)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B)를 상하방향 각도를 조절하여 카메라(B)에 촬영된 영상의 중앙부에 사용자의 얼굴이 위치되도록 조절함과 동시에, 상기 제1 각도조절수단(18)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빔스플리터(E)가 상기 카메라(B)가 상하방향으로 회동된 각도의 1/2만큼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화장치.
A monitor A,
A camera B provided above the monitor A,
A position variable support C coupled to the monitor A,
A reflection mirror D which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monitor A and is coupled to the position variable support C so that the front end portion thereof is inclined upward and reflects the image displayed on the monitor A upward;
The image reflect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flecting mirror D is reflected on the user 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reflecting mirror D, Comprises a beam splitter (E) to be photographed by the camera (B)
The position variable support C includes a fixing base 11 fixed to the monitor A via first and second support brackets 12 and 13 and a fixing bracket 11 having one end fixed to the first support bracket 12 in the up- A first rotating arm (14) hinged to be rotatable and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reflecting mirror (D), a second supporting arm (14) having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ing bracket (13) A second rotary arm 15 connected to the first rotary arm 14 and the second rotary arm 15 so as to be angularly adjust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 first angle adjusting means (18) connected to the beam splitter (E) to adjust the angle of the beam splitter (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second angle adjusting means A second angle adjusting means 22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xing table 11 via an upper bracket 19 to adjust the vertical angle of the camera B, Is connected to the bracket 19 by pivoting the upper bracket 19 in the lateral direction include a direction control means 23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The position variable support C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tilting drive means 16 and 17 and the first angle adjusting means 18 through the control means 21, The two rotating arms 14 and 15 and the beam splitter E are lower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are aligned in the use state,
The control means 21 is equipped with an image analysis program 24 for analyzing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B and analyzes the photographed image when the face of the user is photographed on the camera B,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econd angle adjusting means 22 according to the position to adjust the angle of the camera B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face of the user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B ,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angle adjusting means (18) so that the beam splitter (E) rotates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1/2 of the angle that the camera (B) is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Call device.
상기 모니터(A)의 상측에 구비된 카메라(B)와,
상기 모니터(A)에 결합된 위치가변 지지대(C)와,
상기 모니터(A)의 전방에 위치되며 전단부가 상측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위치가변 지지대(C)에 결합되어 상기 모니터(A)에 디스플레이된 영상을 상측으로 반사하는 반사거울(D) 및,
상기 반사거울(D)의 상측에 상기 카메라(B)의 전방위치되도록 상기 위치가변 지지대(C)에 결합되어 상기 반사거울(D)에서 상측으로 반사된 영상은 전방의 사용자쪽으로 반사하고 사용자의 영상은 상기 카메라(B)에 촬영되도록 하는 빔스플리터(E)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가변 지지대(C)는 상기 모니터(A)에 제1,2 지지브라켓(12,13)을 매개로 고정된 고정대(11)와, 일단이 상기 제1 지지브라켓(12)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타단에 상기 반사거울(D)이 고정된 제1 회동아암(14)과, 일단이 상기 제2 지지브라켓(13)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 상기 빔스플리터(E)가 상하방향으로 각도조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회동아암(15)과, 상기 제1,2 회동아암(14,15)에 각각 연결되어 제1,2 회동아암(14)을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제1,2 회동구동수단(16,17)과, 상기 빔스플리터(E)에 연결되어 상기 빔스플리터(E)의 상하방향 각도를 조절하는 제1 각도조절수단(18)과, 상기 고정대(11)의 상부에 상부브라켓(19)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B)의 상하방향 각도를 조절하는 제2 각도조절수단(22) 및, 상기 상부브라켓(19)에 연결되어 상부브라켓(19)을 측방향으로 회동시켜 방향을 조절하는 방향조절수단(23)을 포함하며,
상기 위치가변 지지대(C)는 제어수단(21)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 회동구동수단(16,17)과 상기 제1 각도조절수단(18)의 작동을 각각 제어하여 상기 제1 및 제2 회동아암(14,15)과 빔스플리터(E)가 정해진 위치로 하강되어 사용상태로 정렬되거나, 상측으로 회동되어 비사용상태로 정렬되고,
상기 제어수단(21)은 상기 모니터(A)에 디스플레이된 상대편 얼굴의 영상에서 상대편의 시선방향을 분석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모니터(A)에 디스플레이된 상대편의 시선방향에 따라 상기 방향조절수단(23)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B)가 모니터(A)에 디스플레이된 상대편의 시선방향에 따라 측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화장치.A monitor A,
A camera B provided above the monitor A,
A position variable support C coupled to the monitor A,
A reflection mirror D which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monitor A and is coupled to the position variable support C so that the front end portion thereof is inclined upward to reflect the image displayed on the monitor A upward,
The image reflect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flecting mirror D is reflected on the user 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reflecting mirror D, Comprises a beam splitter (E) to be photographed by the camera (B)
The position variable support C includes a fixing base 11 fixed to the monitor A via first and second support brackets 12 and 13 and a fixing bracket 11 having one end fixed to the first support bracket 12 in the up- A first rotating arm (14) hinged to be rotatable and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reflecting mirror (D), a second supporting arm (14) having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ing bracket (13) A second rotary arm 15 connected to the first rotary arm 14 and the second rotary arm 15 so as to be angularly adjust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 first angle adjusting means (18) connected to the beam splitter (E) to adjust the angle of the beam splitter (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second angle adjusting means A second angle adjusting means 22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xing table 11 via an upper bracket 19 to adjust the vertical angle of the camera B, Is connected to the bracket 19 by pivoting the upper bracket 19 in the lateral direction include a direction control means 23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The position variable support C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tilting drive means 16 and 17 and the first angle adjusting means 18 through the control means 21, The two rotating arms 14 and 15 and the beam splitter E are lower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are aligned in the use state,
The control means 21 is configured to be able to analyze the gaze direction of the opponent in the image of the face of the opposite party displayed on the monitor A and to adjust the direction of the opponent in accordance with the gaze direction of the opponent displayed on the monitor A 23) so that the camera (B) is rotated in the lateral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viewing direction of the counterpart displayed on the monitor (A).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38304A KR101802793B1 (en) | 2016-10-24 | 2016-10-24 | video communication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38304A KR101802793B1 (en) | 2016-10-24 | 2016-10-24 | video communication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02793B1 true KR101802793B1 (en) | 2017-11-29 |
Family
ID=60811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38304A Active KR101802793B1 (en) | 2016-10-24 | 2016-10-24 | video communication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02793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995565A (en) * | 2019-12-17 | 2021-06-18 | 佛山市云米电器科技有限公司 | Camera adjusting method of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and storage medium |
-
2016
- 2016-10-24 KR KR1020160138304A patent/KR101802793B1/en active Active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995565A (en) * | 2019-12-17 | 2021-06-18 | 佛山市云米电器科技有限公司 | Camera adjusting method of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and storage medium |
CN112995565B (en) * | 2019-12-17 | 2024-03-08 | 佛山市云米电器科技有限公司 | Camera adjustment method of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and storage mediu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40137461A1 (en) | Eye contact enabling device for video conferencing | |
US7862175B2 (en) | Optometer | |
KR100778926B1 (en) | Rotating Support Device of Mobile Terminal | |
US20170140224A1 (en) | Gaze detection device | |
CN104238128B (en) | 3D imaging device for mobile device | |
JP3900578B2 (en) | Follow-up virtual image display system | |
JP2020504644A (en) | Vision training device and vision training method for improving fusion function | |
JP2009253521A (en) | Viewfinder and image pickup apparatus | |
JP2010239583A (en) |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COMMUNICATION CONTROL PROGRAM | |
WO2017056420A1 (en) | Mirror device | |
KR101802793B1 (en) | video communication device | |
JP4615920B2 (en) | Ophthalmic equipment | |
JPH10262165A (en) | Video display device and personal computer | |
JP2000214517A (en) | Image pickup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 |
JP4587741B2 (en) | Ophthalmic equipment | |
KR20190134639A (en) | Improved Methods and Systems for Virtual Reality Interaction | |
CN108833792B (en) | WYSIWYG mirror image shooting method, device and terminal | |
KR101753039B1 (en) | head mount device providing movie | |
KR102378673B1 (en) | Eye contact display apparatus with stretch display panel as light source | |
JP2007081834A (en) | Electronic apparatus | |
KR102378047B1 (en) | Image reflector apparatus for face and pupil capture | |
JP7168374B2 (en) | ophthalmic equipment | |
JP2013228573A (en) | Electronic device with rsd function, control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with rsd function, and computer program | |
JP2004032465A (en) | Data showing device | |
JP2020044198A (en) | Optometry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708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5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8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60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7111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7092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8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60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1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11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