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02203B1 - 부유식 해양 구조물 및 오일 배출 기능을 구비한 시일 포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부유식 해양 구조물 및 오일 배출 기능을 구비한 시일 포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2203B1
KR101802203B1 KR1020150144569A KR20150144569A KR101802203B1 KR 101802203 B1 KR101802203 B1 KR 101802203B1 KR 1020150144569 A KR1020150144569 A KR 1020150144569A KR 20150144569 A KR20150144569 A KR 20150144569A KR 101802203 B1 KR101802203 B1 KR 101802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water
port body
port
flui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4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4895A (ko
Inventor
조동인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4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2203B1/ko
Publication of KR20170044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4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2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220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1/00Pipe-line systems
    • F17D1/08Pipe-line systems for liquids or viscous pro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3/00Arrangements for supervising or controlling working operations
    • F17D3/01Arrangements for supervising or controlling working operations for controlling, signalling, or supervising the conveyance of a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8Floating hydrocarbon production vessels, e.g.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vessels [FPS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ipeline Systems (AREA)

Abstract

부유식 해양 구조물 및 오일 배출 기능을 구비한 시일 포트 시스템이 개시된다. 시일 포트 시스템은, 탑사이드 모듈로부터 유체 유입관을 통해 기름물를 유입받고 밀도차에 의해 물과 오일로 분리시키는 포트 바디; 상기 포트 바디 내에 존재하는 오일의 수위를 검출하는 오일 디텍터; 물 탱크에 저장된 물을 상기 포트 바디의 내측 공간에 유입시키기 위해 일 단부가 상기 유체 유입관의 측벽에 관통 연결되는 물 유입관; 상기 물 유입관에 설치되고, 상기 포트 바디 내의 오일 존재 여부를 검출한 상기 오일 디텍터의 제어에 의해 개폐 조작되는 밸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부유식 해양 구조물 및 오일 배출 기능을 구비한 시일 포트 시스템{Floating marine structure and seal pot system having function of oil emission}
본 발명은 부유식 해양 구조물 및 오일 배출 기능을 구비한 시일 포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나 LNG FSRU(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와 같은 해상 구조물 뿐만 아니라, LNG 수송선 LNG RV(LNG Regasification Vessel)와 같은 선박인 부유식 해상 구조물은 예를 들어 LNG와 같이 극저온 상태로 적재되는 액체 화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를 구비하여 유동이 발생하는 해상에서 부유된 채 사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식 해상 구조물(100)에는 모듈 형태로 이루어지는 각종 설비들이 장착되며, 이러한 설비들은 복잡한 구조로 탑사이드 모듈(110)에 마련된다.
탑사이드 모듈(110)은 오일과 가스가 저장되거나 처리되는 위험 영역(hazardous area)와, 발전 및 수처리 시설 등이 마련되는 비위험 영역(Non-hazardous area)로 구분된다.
탑사이드 모듈(110)의 위험 영역인 프로세스 데크(process deck)에는 휘발성이 강한 탄화수소(hydrocarbon) 가스가 드레인 박스(drain box)로 역류하여 폭발을 일으킬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시일 포트(seal pot)(200)가 예를 들어 탑사이드 모듈(100)의 오픈 드레인(open drain)이 모이는 서브 헤더 라인(sub header line)에 설치된다.
시일 포트(200)는 포트 바디(210), 위험 영역의 탑사이드 모듈(110)로부터 가스(예를 들어 유독가스, 탄화수소 가스)가 포함된 기름물(oily water)(220)를 포트 바디(210) 내측 공간으로 유입시키는 유체 유입관(230), 포트 바디(210)의 내측 공간으로 유입되어 소정의 수위 이상으로 저장된 기름물(220)을 저장 탱크(250)로 배출시키는 유체 배출관(240), 포트 바디(210) 내측 공간에 존재하는 유독 가스를 비위험 영역으로 배출시키는 가스 배출관(260), 포트 바디(210)의 내측 공간에 저장된 기름물(220)을 드레인시키기 위한 드레인관(270)을 포함한다.
유체 유입관(230)의 단부는 탄화수소 가스와 기름물(220)의 낙차를 최소로 하고 유입되는 탄화수소 가스 및 기름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트 바디(210)의 내측부에 배치되되 그 단부가 포트 바디(210)의 하측 영역에 위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시일 포트(200)는 포트 바디(210)의 내측 공간에 유입된 유독 가스가 저장된 기름물(220)에 의해 위험 영역으로 역류됨을 방지할 수는 있으나, 포트 바디(210) 내측에 위험한 액체인 오일이 계속 머물러 있는 구조로서 안전 측면에서 불리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126297호(스탠드 타입 시일 포트를 구비한 부유식 해상구조물 및 시일 포트)
본 발명은 시일 포트의 내측 공간에 유입된 기름물에서 위험한 액체인 오일만을 선택적으로 배출시킴으로써 시일 포트가 구비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 및 오일 배출 기능을 구비한 시일 포트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미리 설정된 위험 영역의 탑사이드 모듈로부터 유입된 탄화수소 가스가 상기 위험 영역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시일 포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탑사이드 모듈로부터 유체 유입관을 통해 기름물(oily water)를 유입받고 밀도차에 의해 물과 오일로 분리시키는 포트 바디; 상기 포트 바디 내에 존재하는 오일의 수위를 검출하는 오일 디텍터; 물 탱크에 저장된 물을 상기 포트 바디의 내측 공간에 유입시키기 위해 일 단부가 상기 유체 유입관의 측벽에 관통 연결되는 물 유입관; 상기 물 유입관에 설치되고, 상기 포트 바디 내의 오일 존재 여부를 검출한 상기 오일 디텍터의 제어에 의해 개폐 조작되는 밸브를 포함하는 시일 포트 시스템이 제공된다.
시일 포트 시스템은, 상기 포트 바디 내의 오일을 저장 탱크로 배출시키는 유체 배출관을 더 포함하되, 상기 오일 디텍터의 제어에 의해 밸브가 상기 물 유입관을 개방시키면, 상기 물 탱크로부터 물이 상기 물 유입관 및 상기 유체 유입관을 통해 상기 포트 바디에 유입되고, 상기 포트 바디 내의 물의 수위 상승에 의해 상승된 오일이 상기 유체 배출관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오일 디텍터는 상기 포트 바디 내에 존재하는 오일이 모두 배출될 때까지만 상기 밸브의 개방 동작을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시일 포트 시스템은, 상기 포트 바디의 하부에 설치되는 드레인 관을 더 포함하되, 상기 드레인 관을 통해 상기 포트 바디의 내측 공간에 미리 지정된 수위 이상으로 저장된 물이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탑사이드 모듈; 및 미리 설정된 위험 영역의 탑사이드 모듈로부터 유입된 탄화수소 가스가 상기 위험 영역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되, 상기 위험 영역의 탑사이드 모듈로부터 기름물(oily water)을 유입받아 밀도차에 의해 물과 오일로 분리시키고, 물 탱크로부터 물을 더 유입받아 물의 수위를 상승시켜 상대적으로 상층에 위치된 오일을 저장 탱크로 배출시키는 시일 포트 시스템을 포함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이 제공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시일 포트의 내측 공간에 유입된 기름물에서 위험한 액체인 오일만을 선택적으로 배출시킴으로써 시일 포트가 구비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일 예인 FPSO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시일 포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일 포트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일 포트 시스템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일 포트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일 포트 시스템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시일 포트 시스템은 시일 포트(200), 포트 바디(210)에 저장된 오일의 존재 및 오일의 수위를 검출하기 위해 포트 바디(210)를 관통하여 설치된 오일 디텍터(oil detector)(310), 물 탱크(320)에 저장된 물(예를 들어, 해수, 청수 등)을 포트 바디(21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시키는 물 유입관(330), 물 유입관(330)에 개재(介在)되어 물 유입관의 개폐하는 밸브(340), 물 유입관(330)을 통해 물이 소정의 압력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펌프(350)가 포함될 수 있다. 오일 디텍터(310)는 예를 들어 자왜(磁歪) 현상을 응용한 변위 센서일 수 있으나, 이외에도 오일의 존재, 수위 등을 검출하도록 구현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시일 포트(200)는 포트 바디(210), 가스(예를 들어 탄화수소 가스, 유독 가스 등)와 기름물(220)을 포트 바디(210) 내측 공간으로 유입시키는 유체 유입관(230), 포트 바디(210)의 내측 공간으로 유입된 기름물(220)에서 분리된 오일을 저장 탱크(250)로 배출시키는 유체 배출관(240), 포트 바디(210) 내측 공간에 채워지는 가스를 비위험 영역으로 배출시키는 가스 배출관(260), 유입된 기름물(220)에서 분리되거나 물 탱크로부터 유입되어 포트 바디(210)의 내측 공간에 소정 수위 이상으로 저장된 물을 드레인시키기 위한 드레인 관(270)을 포함할 수 있다.
물 탱크(320)로부터 물을 포트 바디(210)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물 유입관(330)은 포트 바디(210)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물 유입관(330)을 통해 이송되는 물이 유체 유입관(230)을 통해 공급되도록 물 유입관(330)의 단부는 유체 유입관(230)의 측벽에 관통 연결된다.
이는, 기름물(220)의 유입 경로와 물 탱크(320)로부터의 물 유입 경로를 단일화함으로써 유체 유입관(230)의 하부에 존재하는 오일을 유체 유입관 외부인 포트 바디(210)의 내측 공간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포트 바디(2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기름물(220)이 물 유입관(330)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물 유입관(330)은 경사를 가지도록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오일 디텍터(310)는 포트 바디(210)의 내측 공간에서 오일의 존재가 검출되면, 밸브(340)와 펌프(350)의 동작이 개시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물 탱크(320)로부터 물이 물 유입관(330)을 통해 포트 바디(210)의 내측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오일 디텍터(310)는 실시간 구동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으나, 포트 바디(210) 내측 공간에 유입된 기름물(220)이 밀도차에 의해 효과적으로 물과 기름으로 분리될 수 있는 시간 경과 주기마다 구동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시일 포트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간략히 설명한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유입관(230)을 통해 기름물(220)이 포트 바디(21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면 밀도차에 의해 오일(410)과 물(420)로 분리된다.
오일의 존재와 수위가 오일 디텍터(310)에 의해 감지되면, 오일 디텍터(310)는 밸브(340)가 물 유입관(330)을 개방시키고 또한 펌프(350)가 동작을 개시하도록 제어한다.
밸브(340)가 물 유입관(330)을 개방시키고, 펌프(350)가 동작을 개시하면,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탱크(320)에 저장된 물이 소정의 수압으로 물 유입관(330)을 통해 포트 바디(210)의 내측으로 유입된다.
물 유입관(330)의 단부는 유체 유입관(230)의 측벽에 관통 연결됨으로써 유체 유입관(230)이 형성하는 경로를 따라 포트 바디(210)의 내측 공간으로 물 탱크(320)의 물이 유입되며, 이 과정에서 유체 유입관(230)의 하부에 존재하는 오일(410)이 포트 바디(210)의 내측 공간으로 배출된다.
물 탱크(320)로부터 유입되는 물에 의해 포트 바디(210) 내측에 저장된 물(420)의 수위가 높아지게 되고, 이에 의해 오일(410)이 축적된 층도 상승하게 되어 오일(410)이 유체 배출관(240)을 통해 저장 탱크(250)로 배출된다. 즉, 물 탱크(320)로부터 유입되는 물에 의해 오일(410)이 밀어올려져 유체 배출관(240)을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
포트 바디(210)의 내측 공간에 존재하는 오일(410)이 모두 유체 배출관(240)을 통해 저장 탱크(250)로 배출되었음을 오일 디텍터(310)가 감지하면, 오일 디텍터(310)는 펌프(350)가 동작을 종료하고, 또한 밸브(340)가 물 유입관(330)을 폐쇄하도록 제어한다(도 4의 (c) 참조).
전술한 과정에 의해 포트 바디(210)에서 오일(410)이 제거(배출)됨으로써 시일 포트가 구비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안전이 확보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부유식 해양 구조물 110 : 탑사이드 모듈
200 : 시일 포트 210 : 포트 바디
220 : 기름물 230 : 유체 유입관
240 : 유체 배출관 250 : 저장 탱크
260 : 가스 배출관 310 : 오일 디텍터
320 : 물 탱크 330 : 물 유입관
340 : 밸브 350 : 펌프

Claims (5)

  1. 유체 유입관을 통해 탑사이드 모듈로부터 유입된 기름물을 밀도차에 의해 물과 오일로 계층 분리시키는 포트 바디;
    상기 포트 바디 내에 계층 분리된 오일이 수위 상승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되도록, 일 단부가 상기 유체 유입관의 측벽에 관통 연결되어 상기 포트 바디로 물을 공급하는 물 유입관;
    일 단부가 상기 포트 바디의 측벽에 관통 연결되어, 물의 공급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된 오일을 저장 탱크로 배출시키는 유체 배출관;
    상기 물 유입관에 설치되는 밸브; 및
    상기 포트 바디 내에 계층 분리된 오일의 존재를 감지하면, 상기 물 유입관이 개방되도록 상기 밸브를 조작하는 오일 디텍터를 포함하는 시일 포트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포트 바디 내에 계층 분리되어 존재하는 오일이 모두 배출될 때까지만 개방되도록 조작되는, 시일 포트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 바디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포트 바디의 내측 공간에 미리 지정된 수위 이상으로 저장된 물이 배출시키는 드레인 관을 더 포함하는, 시일 포트 시스템.
  5.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시일 포트 시스템; 및
    상기 시일 포트 시스템에 유체를 공급하는 탑사이드 모듈을 포함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KR1020150144569A 2015-10-16 2015-10-16 부유식 해양 구조물 및 오일 배출 기능을 구비한 시일 포트 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101802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4569A KR101802203B1 (ko) 2015-10-16 2015-10-16 부유식 해양 구조물 및 오일 배출 기능을 구비한 시일 포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4569A KR101802203B1 (ko) 2015-10-16 2015-10-16 부유식 해양 구조물 및 오일 배출 기능을 구비한 시일 포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4895A KR20170044895A (ko) 2017-04-26
KR101802203B1 true KR101802203B1 (ko) 2017-11-29

Family

ID=58704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4569A Expired - Fee Related KR101802203B1 (ko) 2015-10-16 2015-10-16 부유식 해양 구조물 및 오일 배출 기능을 구비한 시일 포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22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2902B1 (ko) 2017-12-18 2019-11-08 한국 한의학 연구원 3차원 안면 진단 장치의 동작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7337B1 (ko) * 2000-08-31 2004-02-05 이귀주 자연순환식 유수분리 장치
JP2006097564A (ja) * 2004-09-29 2006-04-13 Honda Motor Co Ltd 小型滑走艇用内燃機関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7337B1 (ko) * 2000-08-31 2004-02-05 이귀주 자연순환식 유수분리 장치
JP2006097564A (ja) * 2004-09-29 2006-04-13 Honda Motor Co Ltd 小型滑走艇用内燃機関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4895A (ko) 2017-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81485B1 (en) Large volume subsea chemical storage and metering system
KR101177831B1 (ko) 선박 평형수 동결 방지 장치 및 방법
CN103119221A (zh) 水下的油和气体的收集系统
KR20180034998A (ko) 밸러스트수 조절 장치
KR100838745B1 (ko) 가스보일러의 팽창/수축/에어제거 밸브
KR101802203B1 (ko) 부유식 해양 구조물 및 오일 배출 기능을 구비한 시일 포트 시스템
US20120171051A1 (en) Bilge pump and method
JPH03208792A (ja) 損傷したタンカからの石油漏れを制御する装置及び方法
JP5177459B2 (ja) ベーパ回収装置
KR20110094366A (ko) 해상 구조물의 밸러스트 장치
KR20140011067A (ko) 밸러스트수 교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밸러스트수 교환 방법
KR101784810B1 (ko) 선박의 소화수 공급장치
JP4153913B2 (ja) 沈没船のタンクの少なくとも一つの横長の区分から内部に収容された汚染流体を回収するための施設
KR101954808B1 (ko) 상분리 장치
KR20090085233A (ko) 기름회수 및 선체인양이 용이한 유조선 및 상기 유조선의기름회수 및 인양방법
KR101903154B1 (ko) 오수 처리 장치
KR101954810B1 (ko) 누출 기름 처리장치
KR101559412B1 (ko)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 배치구조를 갖는 flng 밸러스트 워터 배출 장치
KR101571501B1 (ko) 버퍼 탱크
JPS5911916Y2 (ja) イナ−トガス防爆システムにおけるガス主管シ−ルユニット装置
KR101707519B1 (ko) 해양플랜트의 소방수 공급 시스템 및 소방수 공급 운용 방법
KR20160116490A (ko) 컨테이너 베이 추가 확보를 위한 선미 펀넬장치 및 이를 가지는 선박
KR101955556B1 (ko) 탱커 파공 부위의 유체 유출입 저감 방법 및 장치
KR101358306B1 (ko) 연료유 회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581647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배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3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1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11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