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1232B1 -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01232B1 KR101801232B1 KR1020170073090A KR20170073090A KR101801232B1 KR 101801232 B1 KR101801232 B1 KR 101801232B1 KR 1020170073090 A KR1020170073090 A KR 1020170073090A KR 20170073090 A KR20170073090 A KR 20170073090A KR 101801232 B1 KR101801232 B1 KR 10180123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ir
- electrode assembly
- predetermined
- forming portions
- form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9—Processes for forming or storing electrodes in the battery container
-
- H01M2/0267—
-
- H01M2/26—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 Y02E60/122—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 1의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전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사시도
110 : 전극 조립체
120 : 전극 탭
125 : 웰딩부
130 : 외장재
140 : 실링부
150 : 파우치 필름
160 : 포밍부
Claims (12)
- 기결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되고, 각각이 소정의 깊이를 가지는 한 쌍의 포밍부가 형성되는 파우치 필름과, 상기 파우치 필름의 외곽에 형성되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외장재; 및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적층된 형태로 상기 외장재에 의해 패키징되어 상기 한 쌍의 포밍부에 수납되는 다수의 전극체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외장재는, 상기 한 쌍의 포밍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접혀 상기 전극 조립체가 수납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내부 공간의 높이는, 상기 기결정된 간격에 의하여 상기 한 쌍의 포밍부 각각의 소정의 깊이의 합보다 큰 이차전지.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극 조립체의 두께가 상기 한 쌍의 포밍부 각각의 소정의 깊이의 합보다 큰 이차전지.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극 조립체의 두께는 상기 기결정된 간격 및 상기 소정의 깊이와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지는 이차 전지.
t≤T+2f
(t는 상기 전극 조립체의 두께, T는 상기 한 쌍의 포밍부 간의 상기 기결정된 간격, f는 상기 한 쌍의 포밍부 각각의 상기 소정의 깊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결정된 간격은 0 mm 초과 20 mm 이하인 이차 전지.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포밍부와 상기 파우치 필름의 최외곽 사이의 가로 방향 간격은 상기 기결정된 간격의 1/2 이상인 이차 전지.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극 조립체의 양 측에는 각각 웰딩부를 통해 연결되는 전극 탭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포밍부와 상기 파우치 필름의 최외곽 사이의 세로 방향 간격은 상기 기결정된 간격의 1/2 및 상기 웰딩부의 너비의 합 이상인 이차 전지.
- 파우치 필름 및 상기 파우치 필름의 외곽에 형성되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외장재의 상기 파우치 필름 내에 기결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되고, 각각이 소정의 깊이를 가지는 한 쌍의 포밍부가 형성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포밍부 내에,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적층된 형태로 상기 외장재에 의해 패키징되는 다수의 전극체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가 수납되는 단계; 및
상기 외장재는, 상기 한 쌍의 포밍부가 마주보도록 접혀 상기 전극 조립체가 수납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내부 공간의 높이는, 상기 기결정된 간격에 의하여 상기 한 쌍의 포밍부 각각의 소정의 깊이의 합보다 큰 이차전지의 제조 방법.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전극 조립체의 두께가 상기 한 쌍의 포밍부 각각의 소정의 깊이의 합보다 큰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전극 조립체의 두께는 상기 기결정된 간격 및 상기 소정의 깊이와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지는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t≤T+2f
(t는 상기 전극 조립체의 두께, T는 상기 한 쌍의 포밍부 간의 상기 기결정된 간격, f는 상기 한 쌍의 포밍부 각각의 상기 소정의 깊이)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기결정된 간격은 0 mm 초과 20 mm 이하인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포밍부와 상기 파우치 필름의 최외곽 사이의 가로 방향 간격은 상기 기결정된 간격의 1/2 이상인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전극 조립체의 양 측에는 각각 웰딩부를 통해 연결되는 전극 탭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포밍부와 상기 파우치 필름의 최외곽 사이의 세로 방향 간격은 상기 기결정된 간격의 1/2 및 상기 웰딩부의 너비의 합 이상인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73090A KR101801232B1 (ko) | 2017-06-12 | 2017-06-12 |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73090A KR101801232B1 (ko) | 2017-06-12 | 2017-06-12 |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91847A Division KR20170002013A (ko) | 2015-06-29 | 2015-06-29 |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69980A KR20170069980A (ko) | 2017-06-21 |
KR101801232B1 true KR101801232B1 (ko) | 2017-11-24 |
Family
ID=59281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73090A Active KR101801232B1 (ko) | 2017-06-12 | 2017-06-12 |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0123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2266805B2 (en) | 2020-07-14 | 2025-04-01 | Sk On Co., Ltd. | Pouch case for secondary battery, secondary battery having same, secondary battery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68727B1 (ko) | 2018-01-24 | 2022-02-28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이차전지용 파우치 및 그 이차전지용 파우치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 다이 |
KR102475343B1 (ko) * | 2018-03-02 | 2022-12-08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이차 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 |
KR102419678B1 (ko) | 2018-03-09 | 2022-07-12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이차전지 제조 방법 및 이차전지용 파우치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096418A (ja) | 2009-10-28 | 2011-05-12 | Nec Energy Devices Ltd | 組電池 |
-
2017
- 2017-06-12 KR KR1020170073090A patent/KR101801232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096418A (ja) | 2009-10-28 | 2011-05-12 | Nec Energy Devices Ltd | 組電池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2266805B2 (en) | 2020-07-14 | 2025-04-01 | Sk On Co., Ltd. | Pouch case for secondary battery, secondary battery having same, secondary battery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69980A (ko) | 2017-06-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2100797B2 (en) |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2064460B1 (ko) | 이차전지용 파우치 외장재, 이를 이용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그 제조 방법 | |
JP6407297B2 (ja) | シーリングラインが形成されている外周面シーリング部を含む電池セル、及びそれを生産するための電池セルシーリング装置 | |
KR101192619B1 (ko) | 전지케이스 | |
JP6445028B2 (ja) | シーリング部に溝を含んでいるパウチ型二次電池 | |
KR102201167B1 (ko) | 수납부들 간의 연결부위에 만입부가 형성된 구조의 전지셀 | |
KR20170049014A (ko) | 테이핑을 이용하는 벤팅 구조의 전지셀 | |
KR102123078B1 (ko) |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 |
KR20110105737A (ko) | 파우치형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 |
US11424501B2 (en) | Deep format pouch for battery cell | |
KR20200053463A (ko) | 전기화학적 셀을 위한 적층된 각기둥형 아키텍처 | |
KR101801232B1 (ko) |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 |
JP6840139B2 (ja) | 電極スタック拘束具 | |
KR102403485B1 (ko) |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 |
JP7325887B2 (ja) | 電池セルおよび電池モジュール | |
KR102060679B1 (ko) | 시트 구조의 전지케이스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셀 | |
KR101883527B1 (ko) | 하이브리드 고주파 실링을 이용한 이차전지의 제조 방법 | |
KR101786908B1 (ko) | 주름 방지용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전지 케이스 | |
KR102593704B1 (ko) |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102403473B1 (ko) |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 |
CN210576035U (zh) | 二次电池、电池模块以及使用二次电池作为电源的装置 | |
WO2019054620A1 (ko) | 전지셀 및 전극 리드 제조방법 | |
KR20230092612A (ko) |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 |
US20200321588A1 (en) | Stacked secondary battery and bag-like separator | |
WO2015016032A1 (ja) | ラミネート型二次電池の製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612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50629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5009184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6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1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1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11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9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