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8930B1 - Apparatus for supplying hat wind in tenter machin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supplying hat wind in tenter machi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98930B1 KR101798930B1 KR1020160066550A KR20160066550A KR101798930B1 KR 101798930 B1 KR101798930 B1 KR 101798930B1 KR 1020160066550 A KR1020160066550 A KR 1020160066550A KR 20160066550 A KR20160066550 A KR 20160066550A KR 101798930 B1 KR101798930 B1 KR 10179893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t air
- ducts
- blowing
- hole
- air blow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5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6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753 texti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0
- 238000009998 heat set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043 dye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03 reh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59 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3/00—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 D06C3/02—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by endless chain or like apparatu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0—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9/00—Treatment of textil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D06B1/00 - D06B17/00
- D06B19/0005—Fixing of chemicals, e.g. dyestuffs, on textile materials
- D06B19/0011—Fixing of chemicals, e.g. dyestuffs, on textile materials by heated ai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3/00—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26B21/002—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heating the drying air indirectly, i.e. using a heat exchang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열풍분사덕트의 측면부에서 챔버 내부를 통과하는 섬유 원단을 향해 열풍을 송풍하여 원단의 처짐을 예방하여 원단 하측면의 긁힘 현상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원단 좌,우측 중량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t air supplying device for a fiber drying set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t air supplying device for a fiber drying setter, in which a hot air is blown toward a fiber fabric passing through a chamber,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hot air supply device for a fiber drying setting device, which is improved in structur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weight deviation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abric.
일반적으로, 직물(織物) 또는 편직물(編織物)등의 직물원단의 가공처리과정에는 염색 전 처리공정으로서 행하는 히트세팅(heat setting)공정, 염색후 처리공정으로서 행하는 건조(drying)공정 및 열처리에 의한 수축공정 등이 있으며, 이러한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로서 주로 텐터기(tenter machine)가 사용된다.Generally, the processing of fabric fabrics such as woven fabrics or knitted fabrics includes a heat setting process performed as a pre-dyeing process, a drying process performed as a post-dyeing process, And a tenter machine is mainly used as a device for carrying out such a process.
종래 텐터기는 상측 공간에 직물원단이 수평으로 통과하며 직물원단의 이송방향 상류측과 하류측 단부에 각각 직물원단 진입구와 직물원단 인출구가 구비된 챔버와; 상기 챔버의 하측 공간에 배치되는 열풍생성덕트와; 상기 열풍생성덕트의 일측에 결합되는 가열기와; 상기 열풍생성덕트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측에 상기 열풍생성덕트의 일측을 향하여 개구되는 복수개의 열풍출구를 가지는 열풍공급덕트와; 상기 열풍공급덕트의 열풍출구에 유입단이 장착되며 타단이 폐쇄되는 채널형 노즐본체와, 상기 노즐본체의 직물원단에 대향하는 면에 결합되며 복수개의 노즐공이 형성된 상ㆍ하측 열풍분사노즐과; 상기 열풍공급덕트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챔버 내의 공기를 상기 가열기와 열풍생성덕트를 통해 흡입하여 열풍공급덕트를 통해 상기 열풍분사노즐의 내부로 송풍하여 열풍이 열풍분사노즐의 노즐공을 통해 직물원단의 상ㆍ하면에 분사되도록 하는 송풍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 conventional tenter device includes a chamber having a fabric fabric horizontally passing through the upper space and having fabric fabric inlet and fabric fabric outlet at the upstream side and the downstream end of the fabric in the conveying direction; A hot air generating duct disposed in a lower space of the chamber; A heater coupled to one side of the hot air generating duct; A hot air supply duct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hot air generating duct and extending upward and having a plurality of hot air outlets opened on the upper side toward the one side of the hot air generating duct; An upper and a lower hot air spray nozzle coupled to a surface of the nozzle body facing the fabric end, and having a plurality of nozzle holes; The air in the chamber is sucked through the heater and the hot air generating duct to blow air into the hot air blowing nozzle through the hot air supply duct to blow hot air through the nozzle hole of the hot air blowing nozzle, And an air blower for blowing air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lower.
상기 챔버는 직물원단의 처리에 이송속도와 처리조건에 대응하여 그 전체 길이가 결정된다. 상기 챔버는 그 전체 길이를 등분한 길이를 가지는 복수개의 단위챔버를 연결하여 구성된다. 상기 직물원단 진입구와 직물원단 인출구는 각각 상기 단위챔버 중 상ㆍ하류단에 설치되는 상ㆍ하류단 단위챔버에 구비된다.The entire length of the chamber is determined in accordance with the feed rate and processing conditions in the processing of the fabric raw material. The chamber is construct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unit chambers having a length equal to the entire length. The cloth fabric inlet and the fabric fabric outlet are respectively provided in upper and lower end unit chambers provided at upper and lower ends of the unit chambers.
종래의 텐터기에 의하여 히트세팅공정, 건조공정 및 수축공정을 수행함에 있어서는 직물원단을 이송시키면서 상기 송풍기와 가열기를 가동시키면 송풍기에 의하여 챔버 내부의 공기가 가열기를 통해 열풍생성덕트로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가 가열기와 접촉하면서 열교환에 의하여 가열되어 180℃ 내지 220℃ 정도의 열풍이 생성되며, 생성된 열풍은 송풍기에 의하여 열풍공급덕트를 통해 열풍분사노즐의 내부로 공급된다.When performing the heat setting process, the drying process and the shrinking process by the conventional tenter device, when the blower and the heater are operated while the fabric is transferred, air in the chamber is sucked into the hot air generating duct through the heater by the blower, The heated air is heated by heat exchange with the heater to generate hot air of about 180 to 220 ° C. The generated hot air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hot air spray nozzle through the hot air supply duct by the blower.
열풍분사노즐의 내부로 공급된 열풍은 열풍분사노즐의 노즐판에 형성된 복수개의 노즐공을 통해 직물원단의 상,하면에 분사되어 히트세팅공정, 건조공정 또는 수축공정을 수행하게 된다.The hot air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hot air jetting nozzle is spray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abric through a plurality of nozzle holes formed in the nozzle plate of the hot air jetting nozzle to perform a heat setting process, a drying process or a shrinking process.
기존 텐터기의 열풍 공급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613898호 "텐터기의 열풍공급 분배구조"(등록일자 : 2006.08.10)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이송되는 섬유원단의 상부 및 하부에서 동시에 열풍을 분사하는 상,하 열풍분사덕트와, 상기 열풍분사덕트측으로 열풍을 안내하기 위해 일측에 연통 설치되어진 공기안내덕트와, 상기 공기안내덕트측으로 열풍을 강제 순환 공급시키는 순환팬과, 챔버내에서 회수된 공기를 상기 순환팬측으로 안내하는 덕트부재와, 상기 덕트부재를 통해 안내되어지는 공기를 재가열시키기 위한 가열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텐터기에 있어서, 상기 공기안내덕트는 순환팬에 의해 강제 이송되어진 열풍을 각각 분기시켜 상,하 열풍분사덕트로 안내하기 위한 상부 분기덕트와 하부 분기덕트로 구비되어지되, 각각의 분기덕트는 중간 구획벽에 의해 상호 동일한 형상 및 길이의 안내유로를 이루도록 된 것이다.Prior art related to the hot air supply of existing tenter machines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613898 entitled " Hot Air Supply and Distribution Structure of Tenter Machine "(Registered Date: August 10, 2006) A circulation fan for forcedly circulating and supplying hot air to the air guide duct side, a circulation fan for circulating and supplying the hot air to the air guide duct side, a circulation fan for circulating the hot air to the air guide duct side, A duct member for guiding the air recovered in the chamber to the circulating fan side and a heating member for reheating air to be guided through the duct member, wherein the air guide duct comprises a circulation fan An upper branch duct and a lower branch duct for branching hot air forcedly transferred and guided to the upper and lower hot air blowing ducts, respectively, Ducts is to achieve a guidance channel of the same shape and length interconnected by the intermediate partition wall.
기존 텐터기와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97960호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공급장치"(등록일자 : 2015.02.25)에 개시된 바와 같이, 챔버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가온기와, 상기 챔버의 내부에 배치되어 가온기로부터 발생된 열풍을 유도하는 덕트부재와, 상기 덕트부재와 연결되고 중간 구획벽에 의해 구획되어 제1,2안내유로를 가지며 덕트부재로부터 전달되는 열풍을 분기시켜 전달하기 위한 상,하부 분기덕트와, 상기 상,하부 분기덕트에 각각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상,하부 분기덕트로부터 각각 분기된 열풍을 공급받아 챔버 내로 이송되는 섬유원단의 상부 및 하부에서 동시에 열풍을 분사하는 상,하부 열풍분사덕트와, 상기 상,하부 분기덕트의 내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회전시 덕트부재로부터 유도된 열풍을 상기 상,하부 열풍분사덕트측으로 송풍하여 강제 순환시키는 제1,2순환팬과, 외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구동되고 제어부에 의해 회전 속도가 제어되어 상기 제1,2순환팬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2구동모터를 구비한다.Other prior art related to conventional tentering machines are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1497960 entitled " Hot Air Supply Device for Fiber Drying Setting Device "(Registered on Feb. 25, 2015) A duct member connected to the duct member and partitioned by an intermediate partition wall to have a first and a second guide passage and being communicated with a hot wind transmitted from the duct member, The upper and lower branch ducts are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branch ducts, respectively. The upper and lower branch ducts are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branch ducts. An upper and a lower hot air blowing duct for blowing hot air, and a hot air blower for blowing hot air, which is rotatably disposed inside the upper and lower branch ducts, A first and a second circulating fans for blowing air to the upper and lower hot air blowing ducts and forcibly circulating the air to the upper and lower hot air blowing ducts; And first and second drive motors.
그런데, 기존 섬유 건조 셋팅기는 상,하부 열풍분사덕트의 서로 마주보는 대향면에 형성된 다수의 노즐공에서 분사된 열풍이 섬유원단의 상,하측면에 전달되어 섬유원단의 이송시 처짐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으나, 노즐공이 형성되지 않은 부위에서는 챔버 내부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섬유 원단의 부위별 처짐이 발생할 우려가 있게 되므로, 섬유 원단의 처짐 발생시 섬유 원단의 좌우측 중량 편차가 발생하게 되어 오동작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진 원단의 하측면이 챔버 내부의 상,하부 열풍분사덕트의 모서리 등의 부위에 접촉되면서 긁힘이 발생되어 줄무늬가 발생하는 등의 원단 손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fiber drying setting apparatus, hot air blown from a plurality of nozzle holes formed on opposite facing surfaces of the upper and lower hot air blowing ducts is transmitt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iber fabric to prevent deflection of the fiber fabric during transportation However, in the region where the nozzle hole is not formed, there is a fear that the fiber fabric is deflected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from the left side to the right side of the chamber. Therefore, when the deflection of the fiber fabric occurs, As shown in FIG. 1, when the underside of the drooping fabric comes into contact with a portion of the upper and lower hot air-blowing ducts inside the chamber, such as the edge, scratches are generated and a fabric damage such as a stripe is generated There was concern.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상,하부 열풍 분사 덕트의 측면부에 원단 부양을 위한 송풍홀을 형성시켜 섬유 원단의 챔버 내 이송 중에 처짐을 방지함으로써, 섬유 원단의 손상을 예방하고 섬유 원단의 이송중 중량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lower for blowing fabrics on side portions of upper and lower hot air blowing ducts, There is provided a hot air supply device for a fiber drying setting device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for preventing damages of a fiber fabric and preventing a weight deviation during transfer of the fiber fabric.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섬유원단의 상부 및 하부에 열풍을 분사하도록 복수열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서로 마주보는 대향면에 열풍을 분사하는 다수의 노즐공이 형성된 상,하부 열풍분사덕트와; 상기 상,하부 열풍분사덕트들 중 가장 외측에 배치된 상,하부 열풍분사덕트의 외측 측면부에 측방향으로 개구된 장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섬유원단을 건조하고 처짐을 방지하며 진입구와 인출구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상,하부 열풍분사덕트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열풍을 배출하는 제1송풍홀과; 상기 하부 열풍분사덕트들의 중간에 배치된 폭 조절커버를 서로 마주보는 좌,우 양측의 하부 열풍분사덕트 측면부에 측방향으로 개구된 장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섬유원단을 건조하고 폭 조절커버의 상측을 통과하는 섬유원단의 하측을 부양시켜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열풍을 배출하는 제2송풍홀; 및 상기 제1,2송풍홀이 형성된 상기 상,하부 열풍분사덕트의 측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2송풍홀로부터 배출되는 열풍을 섬유원단측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송풍홀의 열풍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측면부에 고정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의 단부로부터 상향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되어 제2송풍홀로부터 배출된 열풍을 상향 경사진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경사면의 타단부에 상기 경사면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열풍이 리턴되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편으로 구성된 제1브라켓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blowing a hot air, comprising: an upper and a lower hot air blowing duct having a plurality of nozzl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lurality of rows of nozzles for spraying hot air, Wow; The upper and lower hot air blowing ducts are formed at the outer side portions of the upper and lower hot air blowing ducts at the outermost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hot air blowing ducts to open laterally so as to dry the fiber fabric and prevent sagging, A first blowing hole for blowing out hot air for blocking inflow of external air into the upper and lower hot air blast ducts; A width adjusting cover disposed in the middle of the lower hot air blowing ducts is formed in a shape of a long hole opened laterally on a side surface of a lower hot air blowing duct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facing each other to dry the fiber cloth, A second air blowing hole for blowing hot air to float the lower side of the fiber cloth passing through the fiber cloth to prevent sagging; And a guide member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upper and lower hot air blowing ducts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blowing holes are formed and guiding the hot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and second blowing holes toward the fiber fabric end side. The guide member for guiding the hot air of the second blow hole has a fixing part having one end fixed to the side part and a guide part extending upward from the end of the fixing part to guide the hot air discharged from the second blowing hole upward And a bent portion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inclined surface and bent in a direction to return hot air to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inclined surface.
상기 상,하부 열풍분사덕트의 측면부 단부에는 분사된 열풍이 리턴되는 리턴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플랜지부가 더 구비된 것이다.The upper and lower hot air discharge ducts are further provided with flange portions for forming a return flow path for returning hot air blown to the side end portions of the upper and lower hot air blast ducts.
상기 플랜지부(130,230)의 단부는 열풍이 리턴되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것이다.The end portions of the
상기 제1송풍홀의 열풍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는 일단부에 상기 측면부에 결합되는 결합편과, 상기 결합편의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송풍홀로부터 근접된 상,하부 열풍분사덕트의 측면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송풍홀로부터 배출되는 열풍을 수직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수직편으로 구성된 제2브라켓인 것이다.A guide member for guiding the hot wind of the first blow hole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iece coupled to the side portion at one end thereof and a coupling piece extending from the side portion of the upper and lower hot air blast ducts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coupling piece, And a vertical piece for guiding the hot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ventilation hole in a vertical direction.
상기 폭 조절커버의 좌,우 양측 하부 열풍분사덕트의 상측에 배치된 좌,우측 상부 열풍분사덕트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부에는 상기 제2송풍홀과 대응되게 열풍을 배출하는 제3송풍홀이 더 구비된 것이다.And third blowing holes for discharging hot air in correspondence with the second blowing holes are further provided on opposite side surfaces of the left and right upper hot air blowing ducts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upper and lower side of the left and right lower hot air blowing ducts of the width adjusting cover .
상기 가이드부재는 일단부에 상기 송풍홀이 형성된 하부 열풍분사덕트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지지편과, 타단부에 상기 지지편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하부 열풍분사덕트의 내측으로 향해 경사진 각도로 연장된 연장편이 구비된 제3브라켓인 것이다.The guide member includes a support piece fixed to an inner surface of a lower hot air blowing duct having the blow hole at one end thereof and a support piece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support piece at an opposite end to an inner side of the lower hot air blow duct, And a third bracket provided with an extension piece.
본 발명은 텐터기 등과 같은 섬유건조 셋팅기의 챔버(10) 내에서 섬유원단(C)이 이송되는 중에 상,하부 열풍분사덕트(100,200)의 노즐공(105)으로부터 열풍이 분사되지 않은 부위에서 섬유원단(C)이 처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이로 인해 섬유원단(C)의 좌,우측 중량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섬유원단(C)의 하측면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fabricating fibers at a portion where no hot air is blown from the
또한, 본 발명은 제1송풍홀(300A)에 제2브라켓(500B)이 배치된 경우, 제1송풍홀(300A)로부터 배출된 열풍이 수직으로 가이드되어 진입구(12)와 인출구(14)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상,하부 열풍분사덕트(100,200)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에어커튼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도 1은 종래 섬유건조 셋팅기의 섬유원단의 이송 중 처짐이 발생된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공급장치가 적용된 섬유건조 셋팅기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송풍홀과 가이드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공급장치의 정면도.
도 5a,5b,5c는 본 발명 가이드부재의 여러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deflection of a fiber fabric during conveyance of a conventional fiber drying setter;
FIG. 2 is a schematic view of a fiber drying setting device to which a hot air supply device for a fiber drying se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ir blowing hole and the guide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of the hot air supply device for the fiber set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5A, 5B and 5C are views showing various forms of the guide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use state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공급장치는,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섬유원단(C)의 상부 및 하부에서 동시에 열풍을 분사하도록 서로 마주보는 대향면에 다수의 노즐공(105)이 형성된 상,하부 열풍분사덕트(100,200)가 복수열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되, 상기 각각의 상,하부 열풍분사덕트(100,200)들은 일측 또는 타측의 측면부에 천공 형성된 송풍홀(300)과, 상,하부 열풍분사덕트의 내부로부터 공급된 후에 송풍홀(300)을 통해 배출되는 열풍을 섬유원단(C)측으로 열풍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재(500)가 구비된다.2 to 6, a hot air supply device for a fiber drying set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nozzle holes (not shown) The upper and lower hot
본 발명의 열풍공급장치가 적용되는 섬유건조 셋팅기는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섬유원단(C)의 이송방향 선단측과 후단측에 진입구(12)와 인출구(14)가 구비된 챔버(10)와, 상기 챔버(10)의 하측 공간에 배치되는 열풍생성덕트(20)와, 상기 열풍생성덕트(20)의 일측에 결합되는 가열기(미도시)와, 상기 열풍생성덕트(20)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측에 상기 열풍생성덕트(20)의 일측을 향하여 개구되는 복수개의 열풍출구를 가지는 열풍공급덕트(30)와, 상기 열풍공급덕트(30)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챔버(10) 내의 공기를 상기 열풍생성덕트(20)를 통해 흡입하여 열풍공급덕트(30)를 통해 상기 상,하부 열풍분사덕트(100,200)의 내부로 송풍하기 위한 송풍모터(45) 및 송풍팬(42)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2 and 4, the fiber drying setting device to which the hot air supply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provided with an
상기 하부 열풍분사덕트(200)는 도면에 도시된 상면에 노즐공(105)이 형성되고, 상부 열풍분사덕트(100)는 도면에 도시된 하면에 노즐공(105)이 형성된 구조로서, 상,하부 열풍분사덕트(100,200)의 서로 마주보는 대향면에 형성된 다수의 노즐공에서 분사된 열풍이 섬유원단(C)의 상,하측면에 전달되어 섬유원단(C)의 이송시 처짐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The lower hot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상,하부 열풍분사덕트(100,200)의 측면부에 형성된 송풍홀(300)은 측방향으로 개구되도록 장공 형태로 천공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Referring to FIG. 3, the blowing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송풍홀(300)은 복수의 상,하부 열풍분사덕트(100,200)들 중 가장 외측에 배치된 상,하부 열풍분사덕트(100,200)의 외측 측면부에 형성된 제1송풍홀(300A)과, 상기 상,하부 열풍분사덕트(100,200)들의 중간에 배치된 폭 조절커버(50)의 상측을 향해 서로 마주보는 좌,우 양측의 하부 열풍분사덕트(200)의 측면부에 형성된 제2송풍홀(300B)로 구분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송풍홀(300)은 제1,2송풍홀(300A,300B) 중 하나가 구비되거나, 제1,2송풍홀(300A,300B)이 같이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blowing
상기 가이드부재(50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에 상기 측면부에 고정되는 고정편(512)과, 상기 고정편(512)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경사면(514)과, 타단부에 상기 경사면(514)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열풍이 리턴되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편(516)이 구비된 제1브라켓(500A)이거나,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에 상기 측면부에 결합되는 결합편(522)과, 상기 결합편(522)의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송풍홀(300A)로부터 근접된 상,하부 열풍분사덕트(100,200)의 측면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배치(형성)되어 상기 송풍홀(300)로부터 배출되는 열풍을 수직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수직편(525)이 구비된 제2브라켓(500B)이거나,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에 상기 송풍홀이 형성된 하부 열풍분사덕트(200)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지지편(532)과, 타단부에 상기 지지편(532)의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하부 열풍분사덕트(200)의 내측으로 향해 경사진 각도의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편(535)이 구비된 제3브라켓(500C)인 것이다.5A, the
상기 제1,3브라켓(500A,500C)은 노즐공(105) 사이의 간격이 넓은 부위인 폭 조절커버(50)의 상측으로 열풍을 송풍하기 위한 제2송풍홀(300B)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브라켓(500B)은 제1송풍홀(300A)과 근접된 부위에 배치되어 제1송풍홀(300A)을 통해 배출되는 열풍을 챔버(10)의 진입구(12)와 인출구(14)를 통과하는 섬유원단(C) 측으로 가이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and
상기 제1,3브라켓(500A,500C)에 의해 가이드되는 열풍은 경사진 각도의 방향으로 가이드되고, 상기 제2브라켓(500B)에 의해 가이드되는 열풍은 수직방향으로 가이드되어 섬유원단(C)의 상,하측으로 전달된다.The hot air guided by the first and
한편, 본 발명은 복수열로 배치된 상,하부 열풍분사덕트(100,200) 중 좌,우측단에 배치된 것과 폭 조절커버(50)의 좌,우측면부에 배치된 상,하부 열풍분사덕트(100,200)의 측면부에 송풍홀(300)이 형성된 것을 예시로 하고 있으나, 그외의 상,하부 열풍분사덕트(100,200)의 측면부에 송풍홀(300)이 형성될 수도 있다.The upper and lower hot
상기 상,하부 열풍분사덕트(100,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덕트(110,210)와 하부덕트(120,220)가 중공을 갖도록 겹쳐진 상태로 결합되고, 상기 상부덕트(110,210)와 하부덕트(120,220)의 측면부의 단부에 다른 상,하부 열풍분사덕트(100,200)와 이격되어 상기 노즐공(105)을 통해 분사된 열풍이 리턴되는 리턴유로를 형성하도록 플랜지부(130,230)가 외측으로 연장된 구조를 갖는다.6, the upper and
또한, 각 플랜지부(130,230)는 열풍이 리턴되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Each of the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챔버(10)의 진입구(12)와 인출구(14)를 통해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챔버(10) 내부를 통과하는 섬유원단(C)의 이송시 가열기를 거쳐 가열된 열풍이 열풍생성덕트(20)를 통해 흡입된 후에 열풍공급덕트(30)를 통해 상기 상,하부 열풍분사덕트(100,200)의 내부로 송풍되고, 상,하부 열풍분사덕트(100,200) 내의 열풍이 노즐공(105)과 송풍홀(300)을 통해 섬유원단(C)의 상ㆍ하면에 분사된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ber cloth C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이때, 본 발명의 상,하부 열풍분사덕트(100,200)들은 서로 대향되는 대향면에 다수의 노즐공(105)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챔버(10) 내부를 통과하는 섬유원단(C)의 상,하측으로 열풍을 분사하여 섬유원단(C)을 건조시킴과 아울러, 측면부에 송풍홀(300)이 형성된 경우 노즐공(105)이 위치하지 않은 구간의 섬유원단(C)을 부양시켜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upper and lower hot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챔버(10)의 진입구(12)와 인출구(14)측의 최외측에 배치된 상,하부 열풍분사덕트(100,200)의 외측 측면부에 형성된 제1송풍홀(300A)에 제2브라켓(500B)인 가이드부재(500)가 근접되게 배치됨에 따라, 상기 제1송풍홀(300A)의 측면으로 배출되는 열풍이 제2브라켓(500B)의 수직편(525)에 부딪히면서 수직으로 가이드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first blowing
이로 인해, 제1송풍홀(300A)에서 배출된 열풍은 진입구(12)와 인출구(14)를 통과하는 섬유원단(C)의 상,하측에 전달되어 섬유원단(C)의 건조 및 섬유원단(C)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됨과 아울러, 외부 공기가 챔버(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에어커튼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The hot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blowing
또한, 폭 조절커버(50)의 좌,우 양측에 배치된 하부 열풍분사덕트(200)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부에 제2송풍홀(300B)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송풍홀(300B)을 통해 배출된 열풍은 제1브라켓(500A) 또는 제3브라켓(500C)에 의해 경사진 상향으로 가이드됨에 따라 폭 조절커버(50)의 상측으로 송풍되어 폭 조절커버(50)의 상측을 통과하는 섬유원단(C)의 하측을 부양시켜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second blowing
이때, 상기 제3브라켓(500C)은 하부 열풍분사덕트(200)의 측면부 내측면에 내측으로 돌출되고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되며, 이로 인해 상,하부 열풍분사덕트(100,20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어 설치 공간 상의 제약이 없어지게 되는 이점을 갖는다.At this time, the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앞서 설명한 제2송풍홀(300B)이 형성된 폭 조절커버의 좌,우 양측 하부 열풍분사덕트(200)의 상측에 배치된 좌,우측 상부 열풍분사덕트(100)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부에는 제2송풍홀(300B)과 열풍의 배출방향이 대응되게 형성된 제3송풍홀(300C)을 더 구비한 것이다.7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left and right
상기 제3송풍홀(300C)은 제2송풍홀(300B)과 같이 연계되어 섬유원단(C)의 상,하측에서 열풍을 분사함으로써, 원단의 건조 성능을 향상시키고 원단의 터치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The third blowing
이를 위해 제3송풍홀(300C)에는 노즐공(105) 사이의 간격이 넓은 부위인 폭 조절커버(50)의 상측방향으로 열풍을 송풍하도록 경사진 각도의 방향으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해 하부 열풍분사덕트(200)에 설치된 제1브라켓(500A) 또는 제3브라켓(500C)과 열풍의 가이드방향이 대응되게 형성된 제1,3브라켓(500A,500C) 중 하나가 배치된다.To this end, in order to supply hot air in an inclined angle direction so as to blow hot air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따라서, 본 발명은 텐터기 등과 같은 섬유건조 셋팅기의 챔버(10) 내에서 섬유원단(C)이 이송되는 중에 상,하부 열풍분사덕트(100,200)의 노즐공(105)으로부터 열풍이 분사되지 않은 부위에서 섬유원단(C)이 처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이로 인해 섬유원단(C)의 좌,우측 중량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섬유원단(C)의 하측면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case where the hot air is not blown from the
또한, 본 발명은 제1송풍홀(300A)에 제2브라켓(500B)이 배치된 경우, 제1송풍홀(300A)로부터 배출된 열풍이 수직방향으로 가이드되어 진입구(12)와 인출구(14)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상,하부 열풍분사덕트(100,200)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에어커튼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When the
10 : 챔버 20 : 열풍생성덕트
30 : 열풍공급덕트 42 : 송풍팬
45 : 송풍모터 50 : 폭 조절커버
100,200 : 상,하부 열풍분사덕트 105 : 노즐공
300 : 송풍홀 300A,300B : 제1,2송풍홀
500 : 가이드부재 500A : 제1브라켓
500B : 제2브라켓 500C : 제3브라켓
512 : 고정편 514 : 경사면
516 : 절곡편 522 : 결합편
525 : 수직편 532 : 지지편
535 : 연장편 C : 섬유원단10: chamber 20: hot air generating duct
30: hot air supply duct 42: blowing fan
45: Blower motor 50: Width adjustment cover
100, 200: upper and lower hot air blowing duct 105: nozzle hole
300:
500: guide
500B:
512: fixed piece 514: inclined surface
516: Bending piece 522:
525: vertical piece 532:
535: Extension piece C: Textile fabric
Claims (6)
상기 상,하부 열풍분사덕트(100,200)들 중 가장 외측에 배치된 상,하부 열풍분사덕트(100,200)의 외측 측면부에 측방향으로 개구된 장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섬유원단(C)을 건조하고 처짐을 방지하며 진입구(12)와 인출구(14)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상,하부 열풍분사덕트(100,200)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열풍을 배출하는 제1송풍홀(300A)과;
상기 하부 열풍분사덕트(200)들의 중간에 배치된 폭 조절커버(50)를 서로 마주보는 좌,우 양측의 하부 열풍분사덕트(200) 측면부에 측방향으로 개구된 장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섬유원단(C)을 건조하고 폭 조절커버(50)의 상측을 통과하는 섬유원단(C)의 하측을 부양시켜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열풍을 배출하는 제2송풍홀(300B); 및
상기 제1,2송풍홀(300A,300B)이 형성된 상기 상,하부 열풍분사덕트(100,200)의 측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2송풍홀(300A,300B)로부터 배출되는 열풍을 섬유원단(C)측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500);를 포함하고,
상기 제2송풍홀(300B)의 열풍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500)는 일단부가 상기 측면부에 고정되는 고정편(512)과, 상기 고정편(512)의 단부로부터 상향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되어 제2송풍홀(300B)로부터 배출된 열풍을 상향 경사진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경사면(514)의 타단부에 상기 경사면(514)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열풍이 리턴되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편(516)으로 구성된 제1브라켓(500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공급장치.The upper and lower hot air blowing ducts 100 and 200 having a plurality of nozzle holes 105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lurality of rows to spray hot air on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textile fabric C, Wow;
The upper and lower hot air blowing ducts 100 and 200 disposed at the outermost side of the upper and lower hot air blowing ducts 100 and 200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long hole opened laterally on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upper and lower hot air blowing ducts 100 and 200, A first blowing hole (300A) for discharging hot air to prevent the outside air flowing through the inlet (12) and the outlet (14) from flowing into the upper and lower hot air blowing ducts (100, 200) side;
A width adjusting cover 50 disposed in the middle of the lower hot air blowing ducts 20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lit opening laterally at side portions of the lower hot air blowing duct 200 on the left and right sides facing each other, A second blowing hole (300B) for drying the fabric (C) and discharging hot air for lifting the lower side of the fabric (C) passing through the upper side of the width adjusting cover (50) to prevent sagging; And
The first and second ventilation holes 300A and 300B are formed at the side portions of the upper and lower hot air blowing ducts 100 and 200 to generate hot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and second ventilation holes 300A and 300B, And a guide member (500)
The guide member 500 for guiding the hot wind of the second air blowing hole 300B includes a fixing part 512 having one end fixed to the side part and a second fixing part 512 extending upward from the end of the fixing part 512, And a bent piece 516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inclined surface 514 and bent in a direction to return hot air to the other end of the inclined surface 514 guiding the hot air discharged from the ventilation hole 300B in an upward inclined direction Wherein the first bracket (500A) is a first bracket (500A).
상기 상,하부 열풍분사덕트(100,200)의 측면부 단부에는 분사된 열풍이 리턴되는 리턴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플랜지부(130,23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공급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lange part (130,230) formed on a side end of the upper and lower hot air blowing ducts (100,200) to form a return flow path for returning hot air blown.
상기 플랜지부(130,230)의 단부는 열풍이 리턴되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공급장치.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end portions of the flange portions (130, 230) are bent in a direction of returning hot air.
상기 제1송풍홀(300A)의 열풍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500)는 일단부에 상기 측면부에 결합되는 결합편(522)과, 상기 결합편(522)의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송풍홀(300A)로부터 근접된 상,하부 열풍분사덕트(100,200)의 측면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송풍홀(300A)로부터 배출되는 열풍을 수직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수직편(525)으로 구성된 제2브라켓(500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uide member 500 for guiding the hot wind of the first blowing hole 300A includes a coupling part 522 coupled to the side part at one end and a coupling part 522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coupling part 522, And a vertical piece 525 arranged vertically from the side portions of the upper and lower hot air blast ducts 100 and 200 from the upper and lower air blow holes 300A to guide the hot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air blow hole 300A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rein the bracket is a bracket (500B).
상기 폭 조절커버(50)의 좌,우 양측 하부 열풍분사덕트(200)의 상측에 배치된 좌,우측 상부 열풍분사덕트(100)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부에는 상기 제2송풍홀(300B)과 대응되게 열풍을 배출하는 제3송풍홀(300C)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eft and right upper hot air blowing ducts 100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left and right lower side hot air blowing ducts 200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idth adjusting cover 50 are provided on opposite side surfaces of the left and right upper hot air blowing ducts 100, Further comprising a third blowing hole (300C) for discharging the hot air.
상기 제3송풍홀(300C)이 구비된 좌,우측 상부 열풍분사덕트(100)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부는 상기 제3송풍홀(300C)에서 배출되는 열풍을 상기 제2송풍홀(300B)에서 배출되어 가이드되는 열풍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제1브라켓(500A)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opposite side surfaces of the left and right upper hot air blowing ducts 100 provided with the third blowing hole 300C are arranged in such a manner that the hot air discharged from the third blowing hole 300C is discharged from the second blowing hole 300B Further comprising a first bracket (500A) for guiding the hot air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hot air to be guid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66550A KR101798930B1 (en) | 2016-05-30 | 2016-05-30 | Apparatus for supplying hat wind in tenter machi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66550A KR101798930B1 (en) | 2016-05-30 | 2016-05-30 | Apparatus for supplying hat wind in tenter machin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98930B1 true KR101798930B1 (en) | 2017-12-12 |
Family
ID=60943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66550A Active KR101798930B1 (en) | 2016-05-30 | 2016-05-30 | Apparatus for supplying hat wind in tenter machin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98930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22551B1 (en) * | 2018-10-12 | 2019-09-18 | 주식회사 아이에스더블유 | Continuous tumbler apparatus with buffer-zone |
CN110757844A (en) * | 2019-11-26 | 2020-02-07 | 无锡盛烨特邦新材料科技有限公司 | Glue-free fiber bar heat setting machine |
KR102301193B1 (en) * | 2020-07-10 | 2021-09-10 | 주식회사 제우스 | Fabrication of fabric sheet with citrus flavor |
CN114438691A (en) * | 2020-11-06 | 2022-05-06 | 日星机械工业株式会社 | Lower nozzle lifting structure for tenter |
CN117469803A (en) * | 2023-02-13 | 2024-01-30 | 人科机械有限公司 | Kanga effect air heater and secondary battery electrode drying device with sam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24650Y1 (en) * | 2000-10-23 | 2001-05-15 | 이화기계공업주식회사 | hot air injection device |
KR101161176B1 (en) * | 2012-02-23 | 2012-07-02 | 박해덕 | Textile product dryer |
KR101229347B1 (en) | 2012-09-05 | 2013-02-05 |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 Hot air spray nozzle for tenter machine and hot air sprayer for tenter machine |
KR101519367B1 (en) | 2013-11-15 | 2015-05-13 | (재)한국섬유기계연구원 | Injecting angle controller of air injecton duct for tenter machine |
-
2016
- 2016-05-30 KR KR1020160066550A patent/KR10179893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24650Y1 (en) * | 2000-10-23 | 2001-05-15 | 이화기계공업주식회사 | hot air injection device |
KR101161176B1 (en) * | 2012-02-23 | 2012-07-02 | 박해덕 | Textile product dryer |
KR101229347B1 (en) | 2012-09-05 | 2013-02-05 |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 Hot air spray nozzle for tenter machine and hot air sprayer for tenter machine |
KR101519367B1 (en) | 2013-11-15 | 2015-05-13 | (재)한국섬유기계연구원 | Injecting angle controller of air injecton duct for tenter machine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22551B1 (en) * | 2018-10-12 | 2019-09-18 | 주식회사 아이에스더블유 | Continuous tumbler apparatus with buffer-zone |
CN111041743A (en) * | 2018-10-12 | 2020-04-21 | Isw 株式会社 | Continuous drum device equipped with buffer zone |
EP3636821A3 (en) * | 2018-10-12 | 2020-05-13 | ISW Co., Ltd. | Continuous tumbler apparatus with buffer zone |
CN110757844A (en) * | 2019-11-26 | 2020-02-07 | 无锡盛烨特邦新材料科技有限公司 | Glue-free fiber bar heat setting machine |
KR102301193B1 (en) * | 2020-07-10 | 2021-09-10 | 주식회사 제우스 | Fabrication of fabric sheet with citrus flavor |
CN114438691A (en) * | 2020-11-06 | 2022-05-06 | 日星机械工业株式会社 | Lower nozzle lifting structure for tenter |
CN114438691B (en) * | 2020-11-06 | 2024-03-22 | 日星机械工业株式会社 | Lower nozzle lifting structure for tenter |
CN117469803A (en) * | 2023-02-13 | 2024-01-30 | 人科机械有限公司 | Kanga effect air heater and secondary battery electrode drying device with same |
CN117469803B (en) * | 2023-02-13 | 2024-05-03 | 人科机械有限公司 | Kanga effect air heater and secondary battery electrode drying device with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98930B1 (en) | Apparatus for supplying hat wind in tenter machine | |
KR101229347B1 (en) | Hot air spray nozzle for tenter machine and hot air sprayer for tenter machine | |
KR100613898B1 (en) | Hot air supply distribution structure of tenter machine | |
KR101631246B1 (en) | A hot wind guide structure for tenter machine | |
DK1889969T3 (en) | Process for smoothing garments and tunnel finishing apparatus | |
JP6920465B2 (en) | Film manufacturing equipment | |
KR102111724B1 (en) | Tenter for film sheet | |
CN104032529A (en) | Hot air supply system of tentering setting machine | |
KR101075353B1 (en) | A hot air supplier for tenter | |
KR101742311B1 (en) | Nozzle structure for tenter machine | |
KR102307301B1 (en) | Damper device for hot air distribution of tenter machine | |
JP2013516590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heat-treating continuously conveyed sheet material | |
KR101362385B1 (en) | Textile machinery dryer for controllable temperature of drying room | |
KR101548652B1 (en) | A hot wind supply structure for tenter machine | |
US7845197B2 (en) | Triple pass tunnel finisher with an articulated spraying function | |
KR102102274B1 (en) | Tenter for sharply sheet | |
KR102505257B1 (en) | Damper device for hot air distribution of tenter machine | |
JP2528669Y2 (en) | Plenum duct for tenter oven | |
KR102017543B1 (en) | Fluid treatment unit for fabric, cellulosic and other fibrous material as well as fluid treatment method | |
CN114438691B (en) | Lower nozzle lifting structure for tenter | |
US20110030426A1 (en) | Garment tunnel finisher with atomized spray and hot air mix | |
CN211142511U (en) | Air outlet mechanism and compound shaping device | |
KR102037770B1 (en) | Drying apparatus for a flat glass | |
CN211142510U (en) | Double-deck tentering setting device and system | |
KR101362386B1 (en) | Textile machinery dryer with separated drying room by air curtai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4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1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11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0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0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