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97299B1 - 강판 계수장치 - Google Patents

강판 계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7299B1
KR101797299B1 KR1020150149056A KR20150149056A KR101797299B1 KR 101797299 B1 KR101797299 B1 KR 101797299B1 KR 1020150149056 A KR1020150149056 A KR 1020150149056A KR 20150149056 A KR20150149056 A KR 20150149056A KR 101797299 B1 KR101797299 B1 KR 101797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late
steel
variable
fixed
plate suppor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9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8679A (ko
Inventor
김은선
길호현
박민규
송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50149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7299B1/ko
Publication of KR20170048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8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7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729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7/00Counting of objects carried by a conveyor
    • G06M7/02Counting of objects carried by a conveyor wherein objects ahead of the sensing element are separated to produce a distinct gap between successive objects
    • G06M7/06Counting of flat articles, e.g. of sheets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1/00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 G06M1/08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for actuating the drive
    • G06M1/083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for actuating the drive by mechanical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1/00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 G06M1/22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for visual indication of the result of count on counting mechanisms, e.g. by window with magnifying le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매가 적층되어 있는 상태의 블랭크 등과 같은 강판을 용이하게 그리고 정확하게 계수하기 위한 강판 계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하로 가변가능하게 고정되는 작동부; 상기 작동부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강판이 부착되는 강판부착부;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전후로 가변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강판부착부에 의해 인상되는 강판을 지지하기 위한 강판지지부; 및 상기 강판지지부의 가변 시에 상기 강판지지부와 접촉하여 상기 강판지지부의 가변 횟수를 측정하기 위한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강판지지부가 상기 강판이 인상될 때 상기 강판에 접촉하여 상기 강판지지부를 후진시키는 만곡부를 포함하는 강판 계수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강판 계수장치{Steel plate counting device}
본 발명은 강판 계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매가 적층되어 있는 상태의 블랭크 등과 같은 강판을 용이하게 그리고 정확하게 계수하기 위한 강판 계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강판, 예를 들면 판금 가공에 있어서 가공 전의 절단된 소재를 의미하는 블랭크(blank)와 같은 강판은 여러 제품들의 제조에서 기초소재가 되며, 따라서 대량 생산되고, 수백 매가 적층된 '팩(pack)' 단위로 저장, 운송, 판매 및 가공된다.
블랭크를 생산하는 블랭킹 라인은 코일을 사용하여 프레스에 안착된 나이프에 의해 절단되어 블랭크를 생산하고, 파일러에 적치한다. 나이프는 금형, 크롭절단기(crop shear), 진동절단기(oscillating shear) 등 다양한 형태가 있으며, 금형을 이용하면 블랭크는 사각재 이외에도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블랭크는 여러 가지 용도, 예를 들면, 콜드 스탬핑(cold-stamping), 핫 스탬핑(hot stamping), 맞춤식 재단 용접(TWB: tailer welded blank), 레이저 삭마(laser ablation), 보호판 등의 용도로 사용된다.
블랭크는 낱장으로 관리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통상 200 내지 300매 단위로 파일러에서 적치하여 팩단위로 제품화한다.
블랭크를 사용하기 전에 입고수량에 대한 검사(입고검사)를 실시하는 데, 팩으로 적치되어 있는 블랭크는 전단면(burr)으로 인해 육안으로 매수를 계수(counting)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두께 편차로 인하여 팩 단위로 적층된 전체 높이를 측정하고, 이를 블랭크 낱장의 평균 두께로 나누어서 팩 내에 적층된 블랭크의 수를 환산하는 것 또한 정확하지 않다. 또한, 입고검사 이외에도 사용 중, 특히 지게차 운송과 같은 취급과정에서 발생하는 표면결함(scratch), 샘플링 검사, 생산 과정에서의 불량품 파기(reject)에 의한 수량 변경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사전 제어 정보와 다른 블랭크 수량 변화 등이 있으며, 따라서, 팩으로 적층된 블랭크를 정확하게 계수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실1995-000712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368247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복수매가 적층되어 있는 상태의 블랭크 등과 같은 강판을 용이하게 그리고 정확하게 계수하기 위한 강판 계수장치를 제공하여 강판의 입고검사 및 공정 내 실수율 관리를 향상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하로 가변가능하게 고정되는 작동부; 상기 작동부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강판이 부착되는 강판부착부;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전후로 가변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강판부착부에 의해 인상되는 강판을 지지하기 위한 강판지지부; 및 상기 강판지지부의 가변 시에 상기 강판지지부와 접촉하여 상기 강판지지부의 가변 횟수를 측정하기 위한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강판지지부가 상기 강판이 인상될 때 상기 강판에 접촉하여 상기 강판지지부를 후진시키는 만곡부를 포함하는 강판 계수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작동부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복수의 상기 강판지지부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강판지지부는 스프링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전후로 가변가능하게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강판부착부는 상기 작동부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강판부착부는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강판부착부는 진공흡착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마이크로스위치일 수 있다.
상기 강판 계수장치는 상기 감지부에 의해 계수된 강판의 수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강판 계수장치에 의하면, 복수매가 적층되어 있는 상태의 블랭크 등과 같은 강판을 용이하게 그리고 정확하게 계수하기 위한 강판 계수장치를 제공하여 강판의 입고검사 및 공정 내 실수율 관리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강판 계수장치의 핵심부분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강판 계수장치에서 강판부착부에 의해 강판이 인상되되, 강판지지부와 접촉하기 이전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강판 계수장치에서 강판부착부에 의해 강판이 인상되어 강판지지부의 만곡부와 접촉하여 강판지지부가 후진하기 시작하는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강판 계수장치에서 강판부착부에 의해 강판이 완전히 인상되어 강판지지부 상에 올려지고, 인상된 강판의 계수가 완료된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강판 계수장치에서 강판지지부 상에 하나의 강판이 완전히 올려진 후, 후속하는 계수를 위하여 강판부착부가 다시 하강하는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강판 계수장치는, 하우징(11); 상기 하우징(11)에 대하여 상하로 가변가능하게 고정되는 작동부(12); 상기 작동부(12)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강판(S)이 부착되는 강판부착부(13); 상기 하우징(11)에 대하여 전후로 가변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강판부착부(13)에 의해 인상되는 강판(S)을 지지하기 위한 강판지지부(14); 및 상기 강판지지부(14)의 가변 시에 상기 강판지지부(14)와 접촉하여 상기 강판지지부(14)의 가변 횟수를 측정하기 위한 감지부(15);를 포함하며, 상기 강판지지부(14)가 상기 강판(S)이 인상될 때 상기 강판(S)에 접촉하여 상기 강판지지부(14)를 후진시키는 만곡부(14a)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상기 용어 "강판"은 판상으로 성형된 다른 강종의 강판을 포함하여 자력으로 자성체에 부착될 수 있는 모든 다른 금속판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하우징(11)은 상기 작동부(12)와 상기 강판지지부(14)가 가변가능하게 고정되되, 특히 상기 작동부(12)가 상기 하우징(11)을 기준으로 상하로, 그리고 상기 강판지지부(14)가 상기 하우징(11)을 기준으로 전후로 각각 가변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는 기능을 하며, 그 형상이나 규격에는 제한이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을 정도의 형상과 규격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용어 "상하" 및 "전후"는, 도 1에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강판 계수장치가 사용되는 강판(S)이 적층되는 지면을 기준으로 상기 강판 계수장치의 사용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지면을 기준으로 위아래를 "상하"로 그리고 상기 적층된 강판(S)이 위치되는 방향 및 상기 강판(S)이 위치되는 방향의 반대되는 방향을 "전후"로 표현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작동부(12)는 상기 하우징(11)에 대하여 상하로 가변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작동부(12)의 상하로의 가변에 의해 후술되는 강판부착부(13) 역시 상기 작동부(12)의 상하작동에 의해 상기 작동부(12)와 함께 상기 하우징(11)에 대하여 상하로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작동부(12)는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하우징(11)에 대하여 상하로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강판 계수장치를 휴대용으로 소형화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작동부(12)에 손잡이(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상기 작동부(12)를 상하로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달리, 전동모터(도시하지 않음) 및/또는 별도의 구동수단(예를 들면, 공압 및/또는 유압을 수용하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에 가변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공압 및/또는 유압에 의해 상기 실린더를 출입하는 피스톤의 조합)에 의해 자동적으로 상기 작동부(12)를 상하로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작동부(12)의 하단부에는 강판부착부(13)가 고정되며, 이 강판부착부(13)는 상기 작동부(12)의 상하로의 가변에 종동하여 상기 하우징(11)에 대하여 상하로 작동될 수 있다. 상기 강판부착부(13)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계수의 대상이 되는 강판(S)을 부착시켜서 한 장씩 인상시키는 기능을 하며, 강판(S)이 한 장씩 인상될 때마다 이를 계수하여 결과적으로 강판(S)들을 계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강판부착부(13)가 역시 상기 하우징(11)에 대하여 상하로 가변되면서 상기 강판부착부(13)의 하방에 위치하는 강판(S)을 부착시켜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강판부착부(13)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동부(12)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그에 의하여, 인상되어야 할 강판(S)의 두께 및/또는 중량 등에 따라 해당 강판(S)을 인상하기에 충분한 정도이 자력을 갖는 것으로 교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강판(S)의 계수를 보다 정확하게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인상시켜서 계수하여야 할 강판(S)이 두껍고 무거울수록 보다 강한 자력을 갖는 강판부착부(13)를 선택적으로 사용하고, 반대로 인상시켜서 계수하여야 할 강판(S)이 얇고 가벼울수록 보다 약한 자력을 갖는 강판부착부(13)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강판(S)을 보다 정확하게 계수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작동부(12)에의 상기 강판부착부(13)의 착탈가능한 고정 방식에는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면, 가장 간단하게는 서로에 대해 나사결합이 가능한 암나사와 수나사의 조합을 상기 작동부(12)와 상기 강판부착부(13)에, 예를 들면, 상기 작동부(12)의 하단부에 수나사를 형성시키고, 상기 강판부착부(13)에 암나사를 형성시켜 이들 수나사와 암나사를 나사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동부(12)와 상기 강판부착부(13) 사이에는 완충수단, 예를 들면, 스프링이 더 구비되어 상기 작동부(12)의 하강 시, 상기 강판부착부(13)가 강판(S)에 접촉할 때 가해질 수 있는 충격을 완화시켜 강판(S)의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강판부착부(13)가 강판(S)에 확실하게 접촉되도록 하여 강판(S)이 정확하게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달리, 상기 강판부착부(13)는 자력을 조절할 수 있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자석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강판부착부(13)를 이용하여 상기한 바와 동일 및/또는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전자석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강판부착부(13)의 자력의 조절하되, 인상시켜서 계수하여야 할 강판(S)이 두껍고 무거울수록 보다 강한 자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전자석을 제어하고, 반대로 인상시켜서 계수하여야 할 강판(S)이 얇고 가벼울수록 보다 약한 자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전자석을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강판(S)을 보다 정확하게 계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판부착부(13)는 진공을 이용하여 강판(S)을 흡착고정시킬 수 있는 진공흡착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진공흡착부(도시하지 않음)는, 예를 들면, 진공펌프에 연결되는 흡착패드와, 상기 흡착패드 내에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밴트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작동부(12)의 끝단에 구비되어 상기 강판(S)을 감지하는 근접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근접센서에 의해 강판(S)의 존재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에어밴트밸브를 개방시켜 상기 흡착패드가 상기 진공펌프와 유체적으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진공펌프에 의한 배기에 의해 흡착패드 내의 공기를 배출시켜 감압상태를 유지하고, 그에 의해 대기압과의 압력차에 의해 상기 강판(S)이 상기 흡착패드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다시 상기 흡착패드 내로 공기가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흡착패드에 부착된 강판(S)이 분리되도록 제어될 수 있으며, 그에 의하여, 상기 강판부착부(14)가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와 동일 및/또는 유사하게 작동될 수 있다.
상기 강판부착부(13)는 힌지축(12a)에 의해 상기 작동부(12)에 힌지가능하게 고정되되, 상부쪽으로는 회전이 가능하나, 하부쪽으로는 걸림턱(12b)에 의하여 회전이 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강판지지부(14)는 상기 강판부착부(13)에 부착되어 인상되는 강판(S)을 더 이상 하강하지 않도록 지지하면서 동시에 개개 강판(S)의 인상 시 마다, 상기 하우징(11)에 대하여 전후로 가변되면서 상기 강판지지부(14)의 후방에 위치되는 후술되는 감지부(15)를 작동시켜 상기 강판부착부(13)에 의해 인상되는 강판(S)의 수를 계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강판지지부(14)는 상기 하우징(11)에 대하여 전후로 가변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강판부착부(13)에 의해 인상되는 강판(S)을 지지하도록 기능한다. 이때, 상기 강판지지부(14)는 상기 작동부(12)의 상하방향 가변을 간섭하지 않도록 설치되어야 하며, 따라서 상기 강판지지부(14)와 상기 작동부(13)는 지면에 대하여 수평한 방향으로 서로에 대하여 병렬로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강판지지부(14)에 병렬로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강판지지부(14)에 대하여 수평방향(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좌측 또는 우측의 어느 일측 또는 양측에 상기 작동부(13)가 상하로 가변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작동부(13)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복수의 상기 강판지지부(14)가 고정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작동부(13)는 상기 복수의 강판지지부(14) 사이에서 상하로 가변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강판(S)이 인상될 때, 상기 강판(S)이 상기 강판지지부(14)를 지나 상기 강판지지부(14) 상에 얹혀질 때 상기 강판(S)에 의해 전후로 가변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강판(S)에 접촉하여 상기 강판지지부(14)를 후진시키는 만곡부(14a)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강판부착부(13)에 부착되어 상기 작동부(12)의 상하작동에 의해 인상되는 상기 강판(S)이 상기 만곡부(14a)와 접촉하면서 인상됨에 따라 상기 만곡부(14a)의 곡면의 만곡의 정도에 비례하여 상기 강판지지부(14) 전체가 후방으로 밀려나면서 후진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강판 계수장치는 감지부(15)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15)는 상기 강판지지부(14)의 가변 시,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강판(S)의 인상 시, 상기 강판지지부(14)가 후진할 때, 상기 강판지지부(14)와 접촉하여 상기 강판지지부(14)의 가변 횟수를 측정하고, 그에 따라 인상되는 강판(S)의 수를 계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15)는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스위치일 수 있다.
상기 강판지지부(14)의 후진 시, 상기 강판지지부(14)가 상기 감지부(15)에 보다 확실하게 접촉하여 상기 감지부(15)를 작동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강판지지부(14)에는 접촉부(14b)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강판지지부(14)는 바람직하게는 스프링(14c)에 의해 상기 하우징(11)에 대하여 전후로 가변가능하게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으며, 그에 의하여, 상기 강판(S)이 완전히 인상되어 상기 강판지지부(14)의 만곡부(14a)를 지나 상기 강판지지부(14) 상에 완전히 얹혀지는 경우에는 상기 만곡부(14a)와의 접촉을 통해 더 이상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며, 따라서 상기 스프링(14c)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강판지지부(14)가 전진하면서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그에 의하여 다시 다음 강판(S)의 계수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계수된 강판(S)의 매수는 표시부를 통하여 표시되어 사용자가 계수된 강판(S)의 매수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강판 계수장치는 상기 감지부(15)에 의해 계수된 강판의 수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표시부는 상기 작동부(12)에 고정될 수 있다.
비록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표시부는 통상의 디스플레이 수단이 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숫자들을 표시할 수 있는 액정표시 패널(LCD panel: Liquid Crystal Display panel)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로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이 아님은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의 일 태양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강판 계수장치를 사용하여 강판을 계수하는 작동을 도 2 내지 도 4에 예시적으로 나타내었다.
즉,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강판 계수장치를 적층된 상태의 복수매의 강판(S)의 어느 한쪽 모서리에 접근시키되, 최상단의 강판(S)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접근시킨 상태에서 작동부(12)를 하강시켜 상기 작동부(12)의 하단부에 고정된 강판부착부(13)가 강판(S)에 접촉되거나 및/또는 근접되도록 하면, 상기 강판(S)이 상기 강판부착부(13)에 부착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강판부착부(13)가 영구자석인 경우에는 영구자석의 자력에 의해 바로 부착될 수 있으나, 상기 강판부착부(13)가 전자석인 경우에는 전류를 인가하여 전자석이 자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강판(S)이 전자석으로 이루어진 상기 강판부착부(13)에 부착될 수 있게 된다.
이후,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작동부(12)를 상방으로 인상시키는 경우, 상기 작동부(12)의 하단부에 고정된 상기 강판부착부(13)에 부착된 강판(S)이 함께 인상되면서 인상되는 강판(S)의 모서리가 상기 강판지지부(14)의 만곡부(14a)와 접촉하게 되고, 강판(S)이 계속 인상됨에 따라 결과적으로 상기 강판(S)에 의해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강판지지부(14)의 만곡부(14a)의 곡면에 만곡의 정도에 비례하여 상기 강판지지부(14)가 후퇴하게 된다. 상기 강판지지부(14)가후퇴하면서 상기 강판지지부(14)의 후방에 위치되는 감지부(15)가 상기 강판지지부(14)의 접촉부(14b)와 접촉하여 작동되면서 강판(S)이 인상됨을 계수할 수 있게 된다.
이후,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강판부착부(13)에 의해 강판(S)이 완전히 인상되어 상기 강판지지부(14) 상에 얹혀진 후에는 더 이상 상기 강판지지부(14)를 측방에서 가압하는 외력이 존재하지 않게 되고, 따라서 상기 강판지지부(14)는 상기 스프링(14c)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전진되고, 전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강판지지부(14) 상에 하나의 강판(S)이 완전히 올려진 후, 후속하는 계수를 위하여 강판부착부(13)가 다시 하강하게 되며, 이때, 상기 강판부착부(13)는 힌지축(12a)에 의해 상기 작동부(12)에 힌지가능하게 고정되되, 상부쪽으로는 회전이 가능하나, 하부쪽으로는 걸림턱(12b)에 의하여 회전이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작동부(12)의 하강 시, 이에 고정된 상기 강판부착부(13)가 하강하되, 상기 강판지지부(14) 상에 얹혀진 철판(S)의 모서리에 닿아도, 상기 작동부(12)에 힌지가능하게 고정된 상기 강판부착부(13)가 상방으로 접히게 되고, 그에 의하여 상기 강판부착부(13)가 상기 강판(S)을 지나 계속 하강이 가능하게 되고, 따라서 다시 그 아래에 적층된 다른 강판(S)을 부착시키고, 이를 인상시켜, 다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작동부(12)를 하강시키는 것에 의해 후속의 강판(S)의 인상 및 계수를 반복하여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 및 동작에 의해, 복수매가 적층되어 있는 상태의 블랭크 등과 같은 강판을 용이하게 그리고 정확하게 계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그리고 그에 의하여 강판의 입고검사 및 공정 내 실수율 관리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11: 하우징 12: 작동부
12a: 힌지축 12b: 걸림턱
13: 강판부착부 14: 강판지지부
14a: 만곡부 14b: 접촉부
14c: 스프링 15: 감지부
S: 강판

Claims (9)

  1. 하우징;
    상하로 가변가능하게 고정되는 작동부;
    상기 작동부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강판이 부착되는 강판부착부;
    상기 하우징에 전후로 가변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강판부착부에 의해 인상되는 강판을 지지하기 위한 강판지지부; 및
    상기 강판지지부의 가변 시에 상기 강판지지부와 접촉하여 상기 강판지지부의 가변 횟수를 측정하기 위한 감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강판지지부는 상기 강판이 인상될 때 상기 강판에 접촉하여 상기 강판지지부를 후진시키는 만곡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계수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복수의 상기 강판지지부가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계수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지지부가 스프링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전후로 가변가능하게 탄성적으로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계수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부착부가 상기 작동부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계수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부착부가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계수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부착부가 진공흡착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계수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가 마이크로스위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계수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에 의해 계수된 강판의 수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계수장치.
KR1020150149056A 2015-10-27 2015-10-27 강판 계수장치 Active KR101797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9056A KR101797299B1 (ko) 2015-10-27 2015-10-27 강판 계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9056A KR101797299B1 (ko) 2015-10-27 2015-10-27 강판 계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679A KR20170048679A (ko) 2017-05-10
KR101797299B1 true KR101797299B1 (ko) 2017-11-13

Family

ID=58743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9056A Active KR101797299B1 (ko) 2015-10-27 2015-10-27 강판 계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72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7373B1 (ko) * 2018-01-30 2018-08-10 주식회사 케이피씨 트레이 단수 카운팅 장치
CN111814943B (zh) * 2020-07-22 2024-11-19 重庆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下穿辊道行车下跺自动计数装置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3430A (ja) * 1998-06-16 2000-01-07 Keiji Kuratani 包装飲料等の計数装置および在庫管理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3430A (ja) * 1998-06-16 2000-01-07 Keiji Kuratani 包装飲料等の計数装置および在庫管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679A (ko) 2017-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7299B1 (ko) 강판 계수장치
US9446442B2 (en) Moving workpiece parts on machine tools
TW201242914A (en) Breaking device and breaking method
JP2014516799A5 (ko)
CN103817191A (zh) 一种全自动冲床送料机
JP6775067B1 (ja) バキュームグリッパ及びワークの吸着保持方法
JP2014097533A (ja) ワークを切削加工および/または成形加工により加工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工作機械
JP3485041B2 (ja) プレス加工機
CN110125995A (zh) 凝胶状部件处理装置
CN203804005U (zh) 一种全自动冲床送料机
JP2018043260A (ja) アルミニウム樹脂複合積層板からなる三次元成形品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KR102102928B1 (ko) 목재 판넬 가공 장치
CN203156131U (zh) 一种具有压平功能的剪板机
JP4878069B1 (ja) 寿司玉成形装置
CN204135191U (zh) 一种支撑件多工位级进模具
JPH0952131A (ja) 板材の一枚取り方法及びその装置
JP5736012B2 (ja) 曲げ加工装置及び曲げ加工方法
JP2007313602A (ja) 打抜機
JP5266838B2 (ja) プレス成形品の分離装置
CN107351313B (zh) 一种刀叉勺的堆叠中转装置
JP7327825B2 (ja) ワークの板厚測定装置
JP4478955B2 (ja) ワーク搬送方法及びワーク搬送装置
JP3172995B2 (ja) 打ち抜き方法
CN219363506U (zh) 一种玻璃开片后的压片装置
JP2016000415A (ja) バックゲージに対するワーク当接方法及びプレスブレー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4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1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11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