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96623B1 - Ear covers equiped with bone-conduction - Google Patents

Ear covers equiped with bone-condu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6623B1
KR101796623B1 KR1020170085979A KR20170085979A KR101796623B1 KR 101796623 B1 KR101796623 B1 KR 101796623B1 KR 1020170085979 A KR1020170085979 A KR 1020170085979A KR 20170085979 A KR20170085979 A KR 20170085979A KR 101796623 B1 KR101796623 B1 KR 101796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conduction
unit
moving
warming
moving magn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59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재철
Original Assignee
(주)대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건 filed Critical (주)대건
Priority to KR1020170085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662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6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6623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91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R1/1008 - H04R1/1083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6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08Earpieces of the supra-aural or circum-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25Accumulators or arrangements for char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3Hearing devices using bone conduction transdu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sych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전도 귀마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파에 의한 고막의 진동이 아닌 두개골의 진동에 의한 고막의 진동으로 소리를 듣도록 하는 골전도유닛을 양측 방한부의 내측에 구비하여, 귀에 대한 방한 기능과 함께 고품질의 음향을 편리하게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골전도 귀마개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골전도 귀마개는, 착용자의 귀를 덮는 양측 방한부와, 상기 양측 방한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진 본체; 상기 방한부의 내측에 노출되도록 구비되어, 착용자의 귀 주변의 두개골을 진동시키는 골전도유닛; 상기 본체에 내장되고, 음원데이터를 무선 수신하여 상기 골전도유닛으로 전송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ne conduction earplug, and more particularly, to a bone conduction earplug which includes a bone conduction unit inside a bilateral crotch part for listening to sound by vibration of an eardrum caused by vibration of a skul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ne conduction earplug capable of conveniently listening to high-quality sounds together with a cold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one conduction earplug comprising: a main body including a pair of side walls for covering an ear of a wearer and a connection portion for connecting between the side walls; A bone conduction unit provided to be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warming portion and vibrating the skull around the wearer's ear; And a drive unit built in the body and wirelessly receiving sound source data and transmitting the sound source data to the bone conduction unit.

Description

골전도 귀마개{EAR COVERS EQUIPED WITH BONE-CONDUCTION}EAR COVERS EQUIPED WITH BONE-CONDUCTION

본 발명은 골전도 귀마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파에 의한 고막의 진동이 아닌 두개골의 진동에 의한 고막의 진동으로 소리를 듣도록 하는 골전도유닛을 양측 방한부의 내측에 구비하여, 귀에 대한 방한 기능과 함께 고품질의 음향을 편리하게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골전도 귀마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ne conduction earplug, and more particularly, to a bone conduction earplug which includes a bone conduction unit inside a bilateral crotch part for listening to sound by vibration of an eardrum caused by vibration of a skul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ne conduction earplug capable of conveniently listening to high-quality sounds together with a cold function.

귀마개는 양측 귀를 덮어 추위로부터 체온을 보호 및 유지하는 것으로, 최근 동절기에 한파가 심해지고, 동절기에 스키와 같은 레저 생활을 즐기는 사람들이 늘어남에 따라, 야외 활동 중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귀마개를 착용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The earplugs cover both ears and protect and maintain the body temperature from the cold. As the cold weather has increased during the winter season and people enjoying leisure activities such as skiing in the winter season have increased, More people are wearing earplugs.

한편 일상생활 중 스마트폰을 비롯한 각종 휴대기기를 이용해 음악이나 라디오 등의 청취 내지 동영상을 시청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주변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지 않으면서 주변의 소음을 차단하여 음향을 보다 정확하게 청취할 수 있도록 이어폰이나 헤드폰을 휴대기기에 연결하여 많이 사용한다.On the other hand, in everyday life, there are many cases of listening to music or radio or watching videos using various mobile devices such as a smart phone.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listen to the sound more accurately To connect earphones or headphones to your mobile device, you should use them.

이중 헤드폰의 경우 귀마개의 역할을 일부 대신할 수 있으나, 헤드폰 자체가 방한 및 보온을 위한 것이 아니므로 추위를 완전하게 막을 수 없고, 헤드폰과 귀마개의 착용 형태가 서로 겹치므로 이들을 함께 사용할 수 없음은 주지의 사실이다.In the case of dual headphones, it is possible to replace some of the earplugs, but since the headphones themselves are not for cold or warming, they can not completely prevent the cold, and the wear patterns of the headphones and earplugs overlap each other. It is true.

또한 이어폰을 착용한 상태에서 귀마개를 착용하게 되면, 귀마개의 압력으로 인해 이어폰을 낀 귀가 아파 장시간 사용이 불가능함은 물론, 이어폰을 착용한 상태에서는 귀마개가 귀에 밀착되지 못해 방한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earplug is worn while wearing the earphone, the ear can not be used for a long time due to the pressure of the earplug due to the pressure of the earplug. In addition, when the earphone is worn, have.

특히 최근에는 야외 레저 활동을 즐길 때뿐만 아니라 거리를 걷는 등의 일상생활 중에도 휴대기기를 이용해 음악 등을 청취하는 사용자가 많아지고 있는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절기에는 헤드폰 내지 이어폰의 사용이 불가 또는 불편하므로, 이어폰이나 헤드폰과 같은 음향 청취용 보조기기와, 귀마개 중 어느 하나만을 선택하여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Especially, recently, not only when enjoying outdoor leisure activity but also by users who listen to music by using a mobile device during everyday life such as walking on the street, as described above, the use of headphones or earphones is impossible or inconvenient in the winter season , An auxiliary equipment for acoustical listening such as earphones or headphones, and ear plugs.

이에 귀마개를 착용한 상태에서 고품질의 음향을 편리하게 청취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a technique for conveniently listening to high quality sound in a state in which an earplug is worn.

참고로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등록실용 제20-0387564호, 공개특허 제10-2009-0097243호, 공개특허 제10-2017-0059796호,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4749호 등이 있다.For reference, in the related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have been proposed a method of registering a program in a recording medium such as a recording medium, such as a recording medium, such as a recording medium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0387564,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s. 10-2009-0097243, 10-2017-0059796, 20-2009-0004749 .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귀마개 본래의 방한 및 보온 기능을 제공함은 물론, 이어폰이나 헤드폰을 착용하지 않더라고 음향 청취가 가능하며, 특히 스피커를 이용한 음파 전달 방식에서 탈피하여 두개골의 진동 전달을 통해 각종 소리를 고품질로 청취할 수 있는, 골전도 귀마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o providing ear protection and warmth function of earplugs, it is possible to listen to sound even if earphones or headphones are not worn. Especially, it is possible to listen to various sounds with high quality by transmitting vibration of skull by breaking away from sound wave transmission method using speakers. With a bone conduction ear plug.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골전도 귀마개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bone conduction earplu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착용자의 귀를 덮는 양측 방한부와, 상기 양측 방한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진 본체;A body made of two side warm-up portions covering the wearer's ears 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two side-wall warm-up portions;

상기 방한부의 내측에 노출되도록 구비되어, 착용자의 귀 주변의 두개골을 진동시키는 골전도유닛;A bone conduction unit provided to be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warming portion and vibrating the skull around the wearer's ear;

상기 본체에 내장되고, 음원데이터를 무선 수신하여 상기 골전도유닛으로 전송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drive unit built in the body and wirelessly receiving sound source data and transmitting the sound source data to the bone conduction unit.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골전도 귀마개에서,In the bone conduction earplu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골전도유닛은,The bone conduction unit includes:

상기 방한부 내측에 결합되는 하우징과,A housing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tay,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어 음향신호를 전달받는 진동코일과,A vibration coil built in the housing to receive an acoustic signal,

상기 진동코일에 전달되는 음향신호에 의해 발생되는 전자기장에 반응하는 자성체와,A magnetic body responsive to an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ed by an acoustic signal transmitted to the vibration coil;

상기 자성체에 결합되어 두개골에 접촉하는 진동판과,A diaphragm coupled to the magnetic body and contacting the skull,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자성체에 반응하여 상기 진동판을 진동시키는 다이어프램과,A diaphragm provided in the housing and vibrating the diaphragm in response to the magnetic body;

상기 하우징을 탄성 지지하여 상기 다이어프램에 의해 하우징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억제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spring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housing and suppressing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housing by the diaphragm.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골전도 귀마개에서,Further, in the bone conduction earplu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방한부들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구동유닛의 전원 온/오프, 음량의 크기 조절 및 음원데이터의 선곡을 제어하는 컨트롤러가 외측면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power on / off of the drive unit, the magnitude of the volume, and the selection of the sound source data is exposed to the outer side of any one of the warming units.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골전도 귀마개에서,Further, in the bone conduction earplu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방한부들 중 일측 방한부에는 상기 구동유닛의 무선모듈과 음향처리부가 내장되고,A wireless module of the driving unit and a sound processing unit are installed in one of the warming units,

상기 방한부들 중 타측 방한부에는 상기 구동유닛의 배터리가 내장되어,And a battery of the driving unit is built in the other of the warming units,

상기 구동유닛의 작동에 따른 발열이 양측 방한부에 발생하여 보온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heat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is generated in the both sides of the cold side so that the warming is performed.

본 발명에 따른 골전도 귀마개는, 방한부의 내측에 구비된 골전도유닛을 통해 두개골을 진동시켜 이어폰이나 헤드폰 등을 착용하지 않더라도 고품질의 음향을 편안하게 청취할 수 있고, The bone conduction earplu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vibrate the skull through a bone conduction unit provided inside the warming part to comfortably listen to high quality sound without wearing earphones or headphones,

소형화된 골전도유닛으로 진동 시 탄성을 향상시켜 음역대의 폭을 넓힘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양질의 음향 전달이 가능하며,The miniaturized bone conduction unit improves the elasticity during vibration, thus widening the width of the resonance zone, enabling accurate and high quality sound transmission,

골전도유닛의 경박단소화에 따른 착용 상의 편안함을 제공함과 아울러, 컨트롤러를 이용한 사용이 편리하고,It is possible to provide a wearing comfort according to the thinning and shortening of the bone conduction unit,

구동유닛의 좌우 균형 있는 배치를 통해 무게 중심을 잡아주면서 구동유닛의 발열을 이용해 보온이 가능하여 귀마개 본래의 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t is possible to keep the center of gravity through the balanced arrangement of the drive unit and keep the warmth using the heat of the drive unit,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original function of the ear pie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골전도 귀마개의 배면도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골전도 귀마개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골전도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유닛의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하드케이스의 커버 탈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및 요부 단면도들.
1 is a rear view of a bone conduction earplu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a bone conduction earplu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one conduc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of a driv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and a main part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ver detachment structure of a battery hard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mbodiments, it is obvious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in particular, the digits of the tens and the digits of the digits, the digits of the digits, the digits of the digits and the alphabets are the same, Members referred to by reference numerals can be identified as members corresponding to these standards.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the drawings, the components are expressed by exaggeratingly larger (or thicker) or smaller (or thinner) in size or thickness in consideration of the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etc. However, It should not b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 comprising " or " consisting of ", or the like, refers to the presence of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irst to second aspec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merely referred to in order to distinguish between different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to the order in which they are manufactured, It may not match.

본 발명에 따른 골전도 귀마개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In describing the bone conduction earplu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specified that the direction of gravity is a downward direction as viewed from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direction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description and claims of the invention relating to the different drawings, directions are specified in accordance with this standard.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골전도 귀마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bone conduction earplu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골전도 귀마개는, 크게 머리에 착용하는 본체(10)와, 착용자에게 음원데이터를 들리도록 하는 골전도유닛(20) 및 구동유닛(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1 to 5, a bone conduction earplu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to be largely worn on the head, a bone conduction unit 20 for allowing the wearer to hear sound source data, and a drive unit 30 ).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는, 착용자의 귀를 덮는 양측 방한부(11)(12)와, 상기 양측 방한부(11)(12) 사이를 연결부(13)로 이루어진다.1 and 2, the main body 10 includes two side widening portions 11 and 12 covering the wearer's ears and a connecting portion 13 between the two side widening portions 11 and 12, .

이러한 본체(10)는 일반적인 귀마개와 동일한 것으로 그 모양이나 사용되는 소재에 제한이 없으며, 다만 연결부(13)에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지지대가 내장되어 양측 방한부(11)(12)를 내측으로 탄성 지지하여 귀에 착용 가능하게 한다.The body 10 is the same as a general earplug, and its shape and material are not limited. However, the supporting part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is incorporated in the connecting part 13 so that the both side parts 11, So that it can be worn on the ear.

이때 연결부(13)는 사용자의 뒷머리(또는 뒷목)에 걸쳐지거나, 사용자의 윗머리에 걸쳐져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At this time, the connection portion 13 may be worn on the back of the user (or on the back of the user) or on the user's upper edge.

또한 도 1의 [B]에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연결부(13)를 기준으로 양측 방한부(11)(12)가 '一'자 형으로 펼쳐진 형태가 도시되어 있으나, 연결부(13)를 꽈배기 형으로 접어 양측 방한부(11)(12)를 겹쳐서 보관 가능한 구조 등 공지된 모든 종류의 귀마개 구조를 차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1 (B), the two side widening parts 11 and 12 are unfolded on the basis of the connecting part 13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However, the connecting part 13 may be formed as a double- It is needless to say that it is possible to borrow all kinds of known earplug type structures such as a structure in which the side windings 11 and 12 can be folded and folded and stored.

상기 골전도유닛(20)은, 상기 방한부(11)(12)의 내측에 노출되도록 구비되어, 착용자의 귀 주변의 두개골을 진동시키는 것으로,The bone conduction unit 20 is provided so as to be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warming portions 11 and 12 to vibrate the skull around the wearer's ear,

도면에서는 골전도유닛(20)이 방한부(11)(12) 내측으로 돌출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방한부(11)(12)가 귀를 덮는 면적 내지 모양 등에 따라 비돌출형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Although the figure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bone conduction unit 20 protrudes inside the hair resting portions 11 and 12, the hair rising portions 11 and 12 are provided in a non-protruding shape according to the area, It is also possible.

이러한 골전도유닛(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The bone conduction unit 20, as shown in Fig. 3,

상기 방한부(11)(12) 내측(보다 엄밀하게는 제1, 제2 하드 케이스(14)(15))에 결합되는 하우징(21)과,A housing 21 coupled to the inside (more precisely, the first and second hard cases 14 and 15) of the warming portions 11 and 12,

상기 하우징(21)에 내장되어 음향신호를 전달받는 진동코일(22)과,A vibration coil 22 built in the housing 21 to receive an acoustic signal,

상기 진동코일(22)에 전달되는 음향신호에 의해 발생되는 전자기장에 반응하는 자성체(23)와,A magnetic body 23 responsive to an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ed by an acoustic signal transmitted to the vibration coil 22,

상기 자성체(23)에 결합되어 두개골에 접촉하는 진동판(24)과,A diaphragm 24 coupled to the magnetic body 23 to contact the skull,

상기 하우징(21)에 구비되어 상기 자성체(23)에 반응하여 상기 진동판(24)을 진동시키는 다이어프램(25)과,A diaphragm 25 provided in the housing 21 for vibrating the diaphragm 24 in response to the magnetic body 23,

상기 하우징(21)을 탄성 지지하여 상기 다이어프램(25)에 의해 하우징(21)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억제하는 스프링(26)을 포함한다.And a spring 26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housing 21 and suppressing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housing 21 by the diaphragm 25.

특히 본 발명의 골전도유닛(20)은, 진동코일(22)과 자성체(23) 및 하우징(21) 사이의 공차를 100분의 1까지 정확히 맞추어, 유격 틈새로 인한 자력 손실을 최대한으로 방지한다.Particularly, the bone conduction unit 20 of the present invention precisely aligns the tolerance between the vibration coil 22, the magnetic body 23, and the housing 21 to one hundredth of an inch, thereby preventing the magnetic loss due to the clearance gap to the utmost .

이때 진동판(24)은 인청동(phosphor bronze) 재질로 제작하여, 종래 골전도 음향기기의 진동판 소재로 사용된 스테인리스(SUS) 재질보다 진동 시 발생하는 탄성을 향상시켜 음대역의 폭을 넓혀준다.In this case, the diaphragm 24 is made of a phosphor bronze material, thereby improving the elasticity generated during vibration than the stainless steel (SUS) material used as a diaphragm material of a conventional bone conduction acoustic device, thereby widening the width of the sound band.

특히 스테인리스 재질을 사용할 경우, 전원 공급에 다라 스테인리스가 경직되어 진동 발생이 원활하지 않아 소리가 깨지는 현상이 발생하나, 본 발명은 인청동의 사용으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한다.Particularly, when a stainless steel material is used, the stainless steel is stiff due to the power supply, so that the vibration is not smoothly generated and the sound is broke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above problem by using the phosphor bronze.

상기 하우징(21)은, 방한부(11)(12)에 내장된 하드 케이스(14)(15)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되며, 내측에 구비된 스프링(26)에 의해 외측(방한부(11)(12)의 내측)을 향해 탄성 지지된다.The housing 21 is screwed and fixed to the hard case 14 and 15 built in the warming portions 11 and 12 and is fixed to the outside of the warming portion 11 by a spring 26 provided inside, (I.e., the inner side of the base 12).

따라서 진동코일(22)과 자성체(23)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다이어프램(25)이 진동할 때 하우징(21)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스프링(26)의 강한 탄성력으로 억제시켜 다이어프램(25)의 진동이 진동판(24)으로만 집중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고품질의 음향 전달이 가능해진다.The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housing 21 when the diaphragm 25 vibrates due to the interaction between the vibration coil 22 and the magnetic body 23 is suppressed by the strong elastic force of the spring 26, Is concentrated only on the diaphragm (24), sound can be transmitted with higher quality.

즉, 하우징(21)이 하드 케이스(14)(15)에 결합되어 고정되더라도, 다이어프램(25)이 진동하면서 그 진동이 하우징(21)으로 전달되는데, That is, even if the housing 21 is fixedly coupled to the hard cases 14 and 15, the vibration is transmitted to the housing 21 as the diaphragm 25 vibrates,

종래의 골전도 음향기기는 다이어프램(25)과 하우징(21)의 진동이 동시에 발생하면서 상호간의 진동 중첩 내지 진동 상쇄 작용으로 인해 진동판(24)의 진동이 두개골로 충분하게 전달되지 못하여 청취에 적당한 음대역을 확보하지 못했으나, In the conventional bone conduction acoustic apparatus, vibrations of the diaphragm 25 and the housing 21 are generated at the same time, and vibrations of the diaphragm 24 are not sufficiently transmitted to the skull due to mutual vibration overlapping or vibration canceling action. However,

본 발명은 스프링(26)을 이용한 하우징(21)의 진동 억제를 통해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above-mentioned problem by suppressing the vibration of the housing (21) using the spring (26)

기존 골전도 음향기기의 경우 최소 직경 25파이에 높이 18mm의 크기로 제작되어야만 8옴의 임피던스를 갖게 되어 청취에 적당한 소리를 구현 가능하였으나, 본 발명의 골전도유닛(20)은 최소 직경 14파이에 높이 8mm의 크기로 제작되더라도 기존과 동일한 8옴의 임피던스를 갖게 되어 골전도유닛(20)의 소형화 및 고품질의 소리 전달이 가능해진다.The bone conduction unit 2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inimum diameter of 14 pie and a minimum diameter of 14 pie. However, in the conventional bone conduction acoustic equipment, The impedance of the same 8 ohm as the conventional antenna can be obtained even if the antenna is manufactured to have a height of 8 mm, so that the bone conduction unit 20 can be miniaturized and high quality sound can be delivered.

이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유닛(30)은 무선모듈(31), 음향처리부(32), 제어부(33), 배터리(34), 컨트롤러(35)를 포함한다.4, the driving unit 30 includes a wireless module 31, an acoustic processing unit 32, a control unit 33, a battery 34, and a controller 35.

상기 무선모듈(31)은 스마트폰, MP3 등의 휴대기기로부터 무선으로 음향신호와 구동유닛(30)을 제어하는 조작신호를 수신한다. 이러한 무선모듈(31)은 블루투스, 지그비, NFC 등의 방식을 이용해 무선 통신할 수 있다.The wireless module 31 wirelessly receives an acoustic signal and an operation signal for controlling the drive unit 30 from a portab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or MP3. The wireless module 31 can wirelessly communicate using Bluetooth, ZigBee, NFC, or the like.

상기 무선모듈(31)에서 수신한 음향신호는 상기 음향처리부(32)로 전송되고, 조작신호는 제어부(33)로 전송된다.The sound signal received by the wireless module 31 is transmitted to the sound processing unit 32, and the opera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33.

상기 음향처리부(32)는 상기 무선모듈(31)을 통해 전송되는 음향신호를 복조시키고 증폭시켜 상기 골전도유닛(20)으로 출력한다.The sound processing unit 32 demodulates and amplifies an acoustic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wireless module 31, and outputs the amplified sound signal to the bone conduction unit 20.

상기 배터리(34)는 상기 무선모듈(31), 음향처리부(32), 제어부(33), 골전도유닛(20) 등에 음향 전달을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battery 34 supplies power for transmitting sound to the radio module 31, the sound processing unit 32, the control unit 33, the bone conduction unit 20, and the like.

상기 컨트롤러(35)는 착용자가 귀마개를 통해 조작하는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33)로 전송한다.The controller 35 receives an operation signal operated by a wearer through an earplug and transmits the opera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33.

특히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한부(11)(12)들 중 일측(도면 상 좌측) 방한부(11)에는 상기 구동유닛(30)의 무선모듈(31)과 음향처리부(32)와 제어부(33)가 내장되고,1 and 2, a wireless module 31 of the driving unit 30 and a sound processing unit 30 of the driving unit 30 are provided on one side (left side in the drawing) of the warming units 11 and 12, (32) and a control unit (33)

상기 방한부(11)(12)들 중 타측(도면 상 우측) 방한부(12)에는 상기 구동유닛(30)의 배터리(34)가 내장되며,A battery 34 of the driving unit 30 is embedded in the other side (right side in the drawing) of the warming unit 12 of the warming units 11 and 12,

각 방한부(11)(12)에는 상기 구동유닛(30)의 각 구성(들)이 내장된, 하드 케이스(14)(15)가 각각 구비된다.Each of the warm-up portions 11 and 12 is provided with a hard case 14 and 15, in which each component (s) of the drive unit 30 is embedded.

즉, 일측 제1 방한부(11)에 구비된 제1 하드 케이스(14)에 무선모듈(31)과 음향처리부(32)와 제어부(33)가 내장되고, 타측 제2 방한부(12)에 구비된 제2 하드 케이스(15)에 배터리(34)가 내장되어, 귀마개의 좌우 무게를 맞추어 착용 시 귀마개가 좌우 어느 한 방향으로 쏠리지 않도록 한다.That is, the wireless module 31, the sound processing unit 32, and the control unit 33 are built in the first hard case 14 provided at the first side warming unit 11 and the second side warming unit 12 The battery 34 is embedded in the second hard case 15 so that the weight of the ear canal is adjusted so that the ear canal does not move in either one direction when worn.

특히,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동유닛(30)의 전자부품들을 이원화하여 각 방한부(11)(12)의 하드 케이스(14)(15)에 각각 내장함으로써, 구동유닛(30)이 작동할 때 발생하는 발열이 양측 방한부(11)(12)로 전달되어 보온이 이루어져, 귀마개로써의 방한 및 보온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Particularly,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electronic components of the drive unit 30 are binarized and housed in the hard cases 14 and 15 of the respective warm-up portions 11 and 12, The heat generated during operation is transmitted to the two side widening parts 11 and 12 to maintain the warming function and the warming function as the ear plug.

이 경우 각 하드 케이스(14)(15)는, 내측면에 방열판(16)이 구비되어 구동유닛 작동 중에 발생한 발열이 내측의 방열판(16)으로 전달되어 방한부(11)(12)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으며, 도 6의 [B]에서는 제2 하드 케이스(15)에 구비된 방열판(16)이 대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In this case, each of the hard cases 14 and 15 is provided with a heat radiating plate 16 on its inner side so that the heat generated during operation of the drive unit is transmitted to the heat sink 16 on the inner side to adjust the temperature of the warming portions 11 and 12 And the heat sink 16 provided in the second hard case 15 is exemplarily shown in [B] of FIG.

아울러 상기 컨트롤러(35)는, 상기 구동유닛(30)의 전원 온/오프, 음량의 크기 조절 및 음원데이터의 선곡을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방한부(11)(12)들 중 어느 하나의 외측면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된다.The controller 35 controls the power on / off of the drive unit 30, the magnitude of the volume, and the selection of the sound source data. The controller 35 controls one of the outer side surfaces 11, As shown in FIG.

이러한 컨트롤러(35)는 하드 케이스(14)(15)들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전원버튼(35a), 음량 조절 버튼, 선곡 버튼 등으로 구성되는데, 도 1의 [B]에서는 음량 조절 버튼 및 선곡 버튼이 하나의 버튼(35b, 35c)으로 통합되어, 해당 버튼(35b, 35c)을 짧게 누르면 음량 조절이 이루어지고 해당 버튼(35b, 35c)을 길게 누르면 선곡이 변경되는 실시예(버튼(35b, 35c)의 누름 시간에 따라 반대로 작동하는 것도 가능함.)가 도시되어 있다.The controller 35 includes a power button 35a, a volume control button, a music selection button, and the like, which are provided in any one of the hard cases 14 and 15. In [B] of FIG. 1, When the selection button is integrated into one button 35b and 35c and the volume is adjusted by pressing the buttons 35b and 35c for a short time and the selection is changed by pressing the buttons 35b and 35c for a long time, , And 35c) is shown in FIG.

한편 제2 하드 케이스(15)에 구비된 배터리(34)는 내장형 충전지로 구성되어 일반 충전기로 배터리(34)를 충전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나, 귀마개 구조 상 충전 단자를 별도로 구비하는 것이 적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충전 역시 불편하므로, On the other hand, the battery 34 provided in the second hard case 15 is composed of a built-in rechargeable battery and can be used by charging the battery 34 with a general recharger, but it is not suitable to have a recharging terminal separately In addition, charging is also inconvenient,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하드 케이스(15)는 내부에 배터리(34)(일회용 건전지나 충전지 모두 가능.)가 탈착되는 배터리 장착부(15A)를 갖고, 상기 배터리 장착부(15A)를 개폐하는 커버(17)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필요 시(일회용 건전지의 교체 또는 충전지의 충전) 커버(17)를 개방 후 배터리(34)를 탈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5B, the second hard case 15 has a battery mounting portion 15A in which a battery 34 (which can be a disposable battery or a rechargeable battery) is detachably mounted, and the battery mounting portion 15A 15A).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cover (17) is opened and the battery (34) is detached and used when necessary (replacement of the disposable battery or charging of the rechargeable battery).

도 5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17)의 탈착을 위해, 제2 하드 케이스(15)는 배터리 장착부(15A)의 개구부 내측면를 따라 원형으로 돌출된 걸림부(15B)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17)는 상기 걸림부(15B)에 걸리는 형태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후크부(17b)가 구비되며, 걸림부(15B)의 일부에 후크부(17b)가 통과되는 통과부(15b)를 형성하여, 커버(17)의 회전 후 탈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5A and 5B, for the detachment of the cover 17, the second hard case 15 has a circular protruding portion 15A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opening of the battery mounting portion 15A, The cover 17 is provided with a hook portion 17b slidingly engaged with the engaging portion 15B and the hook portion 17b is inserted into a part of the engaging portion 15B So that the cover 17 can be detached after the cover 17 is rotated.

미설명 도면부호 17a는 커버(17)의 회전을 위해 손가락을 걸 수 있는 걸림홈이다.Reference numeral 17a denotes a catching groove through which a finger can be hooked for rotation of the cover 17. [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커버(17)의 안정된 잠금 유지 및 회전 개폐를 용이하게 하는 탈착수단(40)을 더 포함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detachment means (40) for facilitating stable locking and rotat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ver (17).

상기 탈착수단(40)은, The detachment means (40)

상기 제2 하드 케이스(15)에 구비된 슬라이딩홈(15a)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며, 외측으로 돌출되어 노출된 이동레버(41a)를 구비한 이동블록(41),A moving block 41 sliding along the sliding groove 15a provided in the second hard case 15 and having a moving lever 41a projected outwardly,

상기 이동블록(41)에 구비되어 함께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1 이동자석(42),A first moving magnet 42 provided in the moving block 41 and sliding together with the moving block 41,

상기 이동블록(41) 및 상기 제1 이동자석(42)을 일측으로 탄성 지지하여, 이동블록(41)의 타측 이동 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체(43),An elastic body 43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moving block 41 and the first moving magnet 42 to one side and returning the moving block 41 to the original position after the other side is moved,

상기 제1 이동자석(42)에 대응하여 상기 커버(17)의 후크부(17b)에 구비된 제2 이동자석(44),A second moving magnet 44 provided on the hook portion 17b of the cover 17 corresponding to the first moving magnet 42,

상기 제2 이동자석(44)에 대응하여 상기 제2 하드 케이스(15)의 걸림부(15B) 내측에 구비되되, 걸림부(15B)의 통과부(15b)가 형성된 위치에 고정 결합된 고정자석(45)을 포함하되,The fixed magnet 15 is provided inside the engaging part 15B of the second hard case 15 in correspondence with the second moving magnet 44 and is fixed to the position where the passing part 15b of the engaging part 15B is formed. (45)

상기 제1 이동자석(42)은 N극과 S극이 좌우방향으로 분리되고, The first moving magnet 42 is divided into N and S pol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상기 제2 이동자석(44)은 N극과 S극이 좌우방향으로 상기 제1 이동자석(42)과 반대로 배치되어 분리되고,The second moving magnet 44 is separated from the first moving magnet 42 by reversing the N and S pol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상기 고정자석(45)은 N극과 S극이 좌우방향으로 상기 제2 이동자석(44)과 동일방향으로 배치되어 분리되어 있다(고정자석(45)의 N극과 S극은 제2 이동자석(44)의 극성 배치 방향과 동일한 것으로 도면에 생략되었음.).The N-pole and the S-pole of the stationary magnet 45 are arrang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econd moving magnet 44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e N-pole and the S- (Which is the same as the polarity direction of the polarizer 44).

따라서 도 5의 [A] 우측 상부 단면도와 같이, 스프링(26)에 의해 상기 이동블록(41)이 일측(도면 상 우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후크부(17b)가 제1 이동자석(41)과 접하도록 커버(17)가 타측(도면 상 좌측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있으면, 제1, 제2 이동자석(42)(44)은 서로 다른 극성이 마주보게 되면서 상호간의 인력이 작용하여, 커버(17)의 잠금이 유지되고,Therefore, as shown in the upper right section of [A] in Fig. 5, in a state in which the moving block 41 is moved to one side (right side in the figure) by the spring 26, the hook portion 17b is moved to the first moving magnet 41 The first and second moving magnets 42 and 44 face each other with a different polarity, so that the attractive forces of the first and second moving magnets 42 and 44 are opposite to each other , The lock of the cover 17 is maintained,

이 상태에서 도 5의 [A] 우측 하부 단면도와 같이, 사용자가 한 손으로 이동레버(41a)를 이용해 상기 이동블록(41)을 타측(도면 상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제1 이동자석(42)이 함께 이동함에 따라, 제1 이동자석(42)과 제2 이동자석(44)의 동일 극성(도면 상 N극)이 서로 마주보게 되면서 상호간의 척력이 작용해 커버(17)의 잠금이 해제되어, 사용자가 다른 손으로 걸림홈(17a)을 이용해 커버(17)를 일측 개방 방향(도면 상 우측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In this state, when the user moves the moving block 41 to the other side (left side in the drawing) by using the moving lever 41a with one hand as shown in the lower right section view of [A] in FIG. 5, (N-poles in the figure) of the first moving magnet 42 and the second moving magnet 44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a repulsive force acts between the first moving magnet 42 and the second moving magnet 44 to unlock the cover 17 So that the user can rotate the cover 17 in one opening direction (right clockwise direction in the figure) by using the other hooking groove 17a.

아울러 커버(17)를 개방 위치로 회전시키면, 도 5의 [B] 우측 단면도와 같이, 후크부(17b)에 구비된 제2 이동자석(44)이 걸림부(15B)의 통과부(15b) 위치로 회전 이동하여, 제2 이동자석(44)과 고정자석(45)의 동일 극성이 서로 마주보게 되면서 상호간의 척력이 작용하게 되어, 커버(17)가 제2 하드 케이스(15)의 외측으로 밀려 분리된다.When the cover 17 is rotated to the open position, the second moving magnet 44 provided on the hook portion 17b is engaged with the passing portion 15b of the engaging portion 15B, as shown in the right section of [B] And the same polarity of the second moving magnet 44 and the stationary magnet 45 are opposed to each other so that the repulsive force acts between the second moving magnet 44 and the stationary magnet 45 so that the cover 17 is mov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hard case 15 It is pushed apart.

이러한 탈착수단(40)은, 귀마개의 특성 상, 커버(17)의 개폐를 위해 걸림 구조로 상호 결합된 별도의 잠금수단이 방한부(11)(12) 외부로 노출될 경우 사용 중 의도치 않게 커버(17)가 분리되어 배터리(34)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특히 커버(17)의 외측면을 하드 케이스(15)와 동일 높이로 단차가 형성되지 않도록 매끄럽게 연결시켜 귀마개의 외관을 보다 미려한 디자인으로 구현하면서도 커버(17)의 탈착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도록 한다.The detachment means 40 is designed such that when a separate locking means, which is interlocked with a locking structur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ver 17,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ide portions 11 and 12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earplugs, The cover 17 is separated to prevent the battery 34 from being lost. In particular,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17 is flush with the hard case 15 so as not to form a step, So that the cover 17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골전도 귀마개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And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본체 11, 12 : 방한부
13 : 연결부 14, 15 : 하드 케이스
15A : 배터리 장착부 15B : 걸림부
15a: 슬라이딩홈 15b : 통과부
16 : 방열판 17 : 커버
17a : 걸림홈 17b : 후크부
20 : 골전도유닛 21 : 하우징
22: 진동코일 23 : 자성체
24 : 진동판 25 : 다이어프램
26 : 스프링
30 : 구동유닛 31 : 무선모듈
32 : 음향처리부 33 : 제어부
34 : 배터리 35 : 컨트롤러
35a, 35b, 35c : 버튼
40 : 탈착수단 41 : 이동블록
41a : 이동레버 42 : 제1 이동자석
43 : 탄성체 44 : 제2 이동자석
45 : 고정자석
10: main body 11, 12:
13: connecting part 14, 15: hard case
15A: Battery mounting portion 15B:
15a: sliding groove 15b:
16: heat sink 17: cover
17a: Retaining groove 17b:
20: bone conduction unit 21: housing
22: Vibration coil 23: Magnetic body
24: diaphragm 25: diaphragm
26: Spring
30: drive unit 31: wireless module
32: Acoustic processor 33:
34: Battery 35: Controller
35a, 35b and 35c:
40: Desorption means 41: Moving block
41a: Moving lever 42: First moving magnet
43: elastic body 44: second moving magnet
45: stationary magnet

Claims (4)

착용자의 귀를 덮는 양측 방한부(11)(12)와, 상기 양측 방한부(11)(12)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13)로 이루어진 본체(10);
상기 방한부(11)(12)의 내측에 노출되도록 구비되어, 착용자의 귀 주변의 두개골을 진동시키는 골전도유닛(20);
상기 본체(10)에 내장되고, 음원데이터를 무선 수신하여 상기 골전도유닛(20)으로 전송하는 구동유닛(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양측 방한부(11)(12) 중 타측 방한부(12)에 구비된 제2 하드 케이스(15)에 상기 구동유닛(30)의 배터리(34)가 내장되며,
제2 하드 케이스(15)는 내부에 배터리(34)가 탈착되는 배터리 장착부(15A)를 갖고, 상기 배터리 장착부(15A)를 개폐하는 커버(17)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17)의 탈착을 위해, 제2 하드 케이스(15)는 배터리 장착부(15A)의 개구부 내측면를 따라 원형으로 돌출된 걸림부(15B)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17)는 상기 걸림부(15B)에 걸리는 형태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후크부(17b)가 구비되며, 걸림부(15B)의 일부에 후크부(17b)가 통과되는 통과부(15b)를 형성하여, 커버(17)의 회전 후 탈착이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17)의 잠금 유지 및 회전 개폐를 위한 탈착수단(40)은,
상기 제2 하드 케이스(15)에 구비된 슬라이딩홈(15a)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며, 외측으로 돌출되어 노출된 이동레버(41a)를 구비한 이동블록(41),
상기 이동블록(41)에 구비되어 함께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1 이동자석(42),
상기 이동블록(41) 및 상기 제1 이동자석(42)을 일측으로 탄성 지지하여, 이동블록(41)의 타측 이동 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체(43),
상기 제1 이동자석(42)에 대응하여 상기 커버(17)의 후크부(17b)에 구비된 제2 이동자석(44),
상기 제2 이동자석(44)에 대응하여 상기 제2 하드 케이스(15)의 걸림부(15B) 내측에 구비되되, 걸림부(15B)의 통과부(15b)가 형성된 위치에 고정 결합된 고정자석(45)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이동자석(42)은 N극과 S극이 좌우방향으로 분리되고,
상기 제2 이동자석(44)은 N극과 S극이 좌우방향으로 상기 제1 이동자석(42)과 반대로 배치되어 분리되고,
상기 고정자석(45)은 N극과 S극이 좌우방향으로 상기 제2 이동자석(44)과 동일방향으로 배치되어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귀마개.
(10) comprising a pair of side wing portions (11) (12) covering the wearer's ears and a connecting portion (13) connecting between the side wing portions (11) and (12);
A bone conduction unit 20 which is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warming part 11 (12) and vibrates the skull around the wearer's ear;
And a drive unit (30) built in the body (10) for wirelessly receiving sound source data and transmitting the sound source data to the bone conduction unit (20)

A battery 34 of the driving unit 30 is embedded in a second hard case 15 provided in the other side warming portion 12 of the two side warming portions 11 and 12,
The second hard case 15 further includes a battery mounting portion 15A in which the battery 34 is detached and a cover 17 for opening and closing the battery mounting portion 15A,

The second hard case 15 is provided with a locking portion 15B protruding in a circular shape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opening of the battery loading portion 15A, And a hook portion 17b which is slidably engaged with the hook portion 15B so as to be hooked on the hook portion 15B and a passing portion 15b through which the hook portion 17b is passed is formed in a part of the hook portion 15B, After desorption,

The detachment means (40) for locking and rotating opening and closing the cover (17)
A moving block 41 sliding along the sliding groove 15a provided in the second hard case 15 and having a moving lever 41a projected outwardly,
A first moving magnet 42 provided in the moving block 41 and sliding together with the moving block 41,
An elastic body 43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moving block 41 and the first moving magnet 42 to one side and returning the moving block 41 to the original position after the other side is moved,
A second moving magnet 44 provided on the hook portion 17b of the cover 17 corresponding to the first moving magnet 42,
The fixed magnet 15 is provided inside the engaging part 15B of the second hard case 15 in correspondence with the second moving magnet 44 and is fixed to the position where the passing part 15b of the engaging part 15B is formed. (45)
The first moving magnet 42 is divided into N and S pol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second moving magnet 44 is separated from the first moving magnet 42 by reversing the N and S pol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herein the fixed magnet (45)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moving magnet (44) in the same direction so that the north pole and the south pole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lateral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골전도유닛(20)은,
상기 방한부(11)(12) 내측에 결합되는 하우징(21)과,
상기 하우징(21)에 내장되어 음향신호를 전달받는 진동코일(22)과,
상기 진동코일(22)에 전달되는 음향신호에 의해 발생되는 전자기장에 반응하는 자성체(23)와,
상기 자성체(23)에 결합되어 두개골에 접촉하는 진동판(24)과,
상기 하우징(21)에 구비되어 상기 자성체(23)에 반응하여 상기 진동판(24)을 진동시키는 다이어프램(25)과,
상기 하우징(21)을 탄성 지지하여 상기 다이어프램(25)에 의해 하우징(21)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억제하는 스프링(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귀마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ne conduction unit (20)
A housing 21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tay 11, 12,
A vibration coil 22 built in the housing 21 to receive an acoustic signal,
A magnetic body 23 responsive to an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ed by an acoustic signal transmitted to the vibration coil 22,
A diaphragm 24 coupled to the magnetic body 23 to contact the skull,
A diaphragm 25 provided in the housing 21 for vibrating the diaphragm 24 in response to the magnetic body 23,
And a spring (26)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housing (21) and suppressing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housing (21) by the diaphragm (2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방한부(11)(12)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구동유닛(30)의 전원 온/오프, 음량의 크기 조절 및 음원데이터의 선곡을 제어하는 컨트롤러(35)가 외측면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귀마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ontroller 35 for controlling the power on / off of the drive unit 30, the magnitude of the sound volume, and the selection of the sound source data is exposed on one of the two side walls 11 and 12 Wherein the bone conduction ear plug is provided with a bone conduction ear plug.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방한부(11)(12) 중 일측 방한부(11)에는 상기 구동유닛(30)의 무선모듈(31)과 음향 처리부(32)와 제어부(33)가 내장되어,
상기 구동유닛(30)의 작동에 따른 발열이 양측 방한부(11)(12)에 발생하여 보온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귀마개.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wireless module 31 of the driving unit 30, the sound processing unit 32 and the control unit 33 are incorporated in the one side warming unit 11 of the two side warming units 11 and 12,
Wherein heat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drive unit (30) is generated in both side warm-up parts (11) (12) to maintain the warming.
KR1020170085979A 2017-07-06 2017-07-06 Ear covers equiped with bone-conduction Expired - Fee Related KR1017966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979A KR101796623B1 (en) 2017-07-06 2017-07-06 Ear covers equiped with bone-condu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979A KR101796623B1 (en) 2017-07-06 2017-07-06 Ear covers equiped with bone-condu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6623B1 true KR101796623B1 (en) 2017-11-10

Family

ID=60386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5979A Expired - Fee Related KR101796623B1 (en) 2017-07-06 2017-07-06 Ear covers equiped with bone-condu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662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9838A (en) * 2020-08-31 2022-03-1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Somatic tinnitus treatment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308B1 (en) * 2014-01-17 2015-03-17 주식회사 예일전자 Bone conduction output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308B1 (en) * 2014-01-17 2015-03-17 주식회사 예일전자 Bone conduction output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9838A (en) * 2020-08-31 2022-03-1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Somatic tinnitus treatment device
KR102400957B1 (en) 2020-08-31 2022-05-2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Somatic tinnitus treatment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60147B2 (en) Loudspeaker
JP5792182B2 (en) Personal audio equipment
EP3142218B1 (en) Wireless charging station for an electronic device
US7564988B2 (en) Audio apparatus
US10321218B2 (en) Ear device for fixing earphone
KR100937159B1 (en) Bone conductive headphone
WO2010126550A1 (en) Eyewear retention device
EP2894875B1 (en) Headphone
CN105122836A (en) Headphone assembly
CN205176414U (en) Sports type sunglasses with osteoacusis earphone
TW200935960A (en) Headset
WO2019126402A1 (en) Ear-worn device
WO2019000781A1 (en) Smart glasses
CN105425425A (en) Intelligent glasses with bone conduction function
KR101796623B1 (en) Ear covers equiped with bone-conduction
KR100730737B1 (en) Bone conduction headset
CN210534471U (en) Open bone conduction glasses
JP3220463U (en) Glasses with earphones
KR102345345B1 (en) Electronic Device
CN220421989U (en) Ear support type bone conduction earphone
US20250039615A1 (en) A sound receiver watch for non-surgical hearing aid
KR102841041B1 (en) wearable devices
RU2809946C1 (en) Wearable devices
CN220421988U (en) Ear-hanging bone conduction earphone
KR101802366B1 (en) Sunglass equipped with bone-cond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0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0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8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1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11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