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96614B1 - FOB key for vehicle - Google Patents

FOB key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6614B1
KR101796614B1 KR1020160104274A KR20160104274A KR101796614B1 KR 101796614 B1 KR101796614 B1 KR 101796614B1 KR 1020160104274 A KR1020160104274 A KR 1020160104274A KR 20160104274 A KR20160104274 A KR 20160104274A KR 101796614 B1 KR101796614 B1 KR 101796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case
elastic ring
shape
mounting por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42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경심
김대호
박예진
Original Assignee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4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661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6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6614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9/00Keys; Accessories therefor
    • E05B19/0082Keys or shanks being removably stored in a larger object, e.g. a remote control or a key fob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10Illuminating devices on or for locks or keys; Transparent or translucent lock parts; Indicator l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9/00Keys; Accessories therefor
    • E05B19/26Use of special materials for key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1Mechanica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ands-free locking or unloc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5Opening, closing of the circuit
    • E05B2047/0054Opening, closing of the circuit using microprocessor, printed circui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83Devices of electrically driving keys, e.g. to facilitate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84Key or electric means; Emergency relea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34Form stability
    • E05Y2800/342Deformable
    • E05Y2800/344Deformable elastically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버튼이 케이스 측면에 배치된 차량용 포브 키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포브 키는, 케이스, 케이스 제1 측벽의 버튼 장착부에 결합되며 제1 면이 케이스 외부로 노출되는 평판상의 버튼 패널과 버튼 패널 제2 면에 일체로 구비되는 막대형 누름부로 구성된 둘 이상의 버튼, 케이스에 내장(Insert)되고 접점부가 상기 제1 측벽을 향하도록 각각의 버튼에 대응하여 측부 가장자리에 둘 이상의 스위치를 실장한 인쇄회로기판, 케이스 내에서 인쇄회로기판을 둘러싸며 상기 누름부 일부가 삽입되고 누름부를 통해 전달되는 버튼 조작력에 의해 상기 스위치를 향하여 탄성 변형되는 작동요홈을 구비한 방수용 패커, 버튼 장착부에 상기 누름부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개재되어 버튼조작 시 조작감과 버튼 조작에 대한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링 및 버튼 장착부에 설치되며 탄성링보다 낮은 높이로 탄성링 주위를 둘러싸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내부의 구조를 기구적으로 변경하지 않고도 버튼 조작감(누름 하중이나 작동 거리 등)을 원하는 대로 튜닝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A vehicle paw key is disclosed in which a button is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a case. The vehicle pod key includes a case, a button panel coupled to the button mounting portion of the first side wall of the case and having a first surfac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and a rod-shaped pressing portion integrally provided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button panel. or more buttons, and the internal (Insert) to the case contact part said the first print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buttons mounted more than one switch to a side edge toward the first side wall circuit board and surrounding the printed circuit board in the case the pressing part A waterproof packer having an operation groove that is partially deformed and elastically deformed toward the switch by a button operation force which is inserted through a pressing portion, a waterproof packing provided on the button mounting portion to surround a part of the pressing portion, An elastic ring for generating an elastic ring, and a button mounting portion for attaching the elastic ring to the elastic ring at a lower height than the elastic ring Is configured to include a wrapping stopper, it is a feature that can be tuned as desired button without having to change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mechanical operational feeling (click load or the working distance, etc.).

Description

차량용 포브 키{FOB key for vehicle}FOB key for vehicle < RTI ID = 0.0 >

본 발명은 차량용 포브 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격 조작을 위한 버튼이 케이스 측부에 배치된 구조의 측면 버튼형 차량용 포브 키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w key for a vehicle, and particularly to a side button type vehicle Paw key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button for remote operation is disposed on a case side.

차량용 보안 편의 장치는 자동차 산업의 초창기 차량 도난을 방지하기 위해 차량 도어에 도어락(Door Lock)을 설치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되었으며, 이후 스티어링락(Steering Lock)을 시동 스위치와 연동시킨 턴 키 방식의 도난 방지 장치로까지 발전하게 되었다.In order to prevent vehicle theft in the early days of the automobile industry, the security device for vehicles started with door locks installed on the vehicle doors. Then, a turn key type anti-theft device in which the steering lock was interlocked with the ignition switch Device.

더욱이 최근 통신기술 발달과 함께 보안 편의를 더욱 강화시킨 전자인증방식의 스마트키 시스템이 도입되어 실차에 적용되는 추세에 있다. 스마트키 시스템은 포브 키(FOB key)와 차량 측 통신장치가 무선으로 암호화된 정보를 주고받아 원하는 동작을 무선으로 제어하는 메커니즘을 갖는다. In addition,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smart key system of electronic authentication method which further enhances security convenience has been introduced and is being applied to actual vehicles. The smart key system has a mechanism for exchanging wirelessly encrypted information between the FOB key and the vehicle-side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lessly controlling the desired operation.

이를 위해 스마트키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원격제어를 위한 상기 포브 키를 포함한다. 스마트키는 휴대 가능한 크기로 구성되는데, 고객의 요구(Needs)에 따라 최근에는 지갑이나 주머니 등에 넣어 휴대할 수 있는 크기와 두께로 더욱 소형화하고 박형화하는 추세이다.To this end, the smart key system basically includes the Pawkey for remote control. The smart key has a portable size.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customer, the smart key has recently become smaller and thinner in size and thickness that can be carried in a wallet or a pocket.

포브 키는 구조나 입력방식에 따라 크게, 기구타입과 터치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다. 기구타입은 외부로부터의 물리적인 힘에 스위칭 작동되는 기구식 스위치를 구비하며, 터치타입은 사용자의 간단한 터치만으로 원하는 동작명령을 인식할 수 있는 터치 센서를 구비한다.Depending on the structure and the input method, the Pobu key can be divided into a mechanism type and a touch type. The mechanism type includes a mechanical switch that is switched to a physical force from the outside. The touch type includes a touch sensor capable of recognizing a desired operation command by a simple touch of a user.

터치타입의 경우 조작에 큰 힘을 필요로 하지 않고 기구식 스위치와 같이 물리적인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부품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기구타입에 비해 소형화 및 박형화에 유리하다. 그러나 제작단가가 비싸고 회로구성이 복잡하며, 의도치 않은 조작까지도 정상터치로 인식해 동작명령을 출력하는 단점이 있다. In the touch type, since it does not require a large force for operation and does not use a component that occupies a large physical space such as a mechanical switch, it is advantageous in downsizing and thinning as compared with a mechanism type. However, the manufacturing cost is high, the circuit configuration is complicated, and even unintentional operation is recognized as a normal touch and a motion command is output.

이러한 이유에서 현장에서는 아직까지도 기구타입을 선호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기구타입의 경우 그 크기와 두께가 소형화되고 박형화될수록 그만큼 내부의 물리적인 공간이 줄어들기 때문에 스위치 및 전기 소자 등의 실장이 어려워 기능성을 확장함에 있어 제약이 있을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For this reason, it is still in the field that machine types are preferred. However, in the case of the apparatus type, since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apparatus are reduced in size and thickness, the internal physical space is reduced, which makes it difficult to mount the switch and the electric element, and there is a limitation in expanding the functionality.

더욱이, 종래 대부분의 포브 키는 기능 조작 버튼을 케이스 전면에 배치하고 있다. 때문에 케이스 내에서 스위치가 동작할 수 있는 최소한의 물리적인 공간이 케이스의 두께방향으로 확보되어야 하며, 따라서 그 두께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Moreover, most of the conventional Paw keys have function operation buttons disposed on the front face of the case. Therefore, the minimum physical space in which the switch can operate within the case must be secur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case, and therefore, there is a limit to reduce the thickness thereof.

또한, 사양에 따라 다른 버튼 조작감(누름 하중이나 작동 거리 등)을 갖는 여러 양태의 제품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사양 별 케이스의 내부 구조 변경을 통해서나 가능했다. 때문에 생산라인의 공유가 어려워 원가 및 양산성 측면에서 경쟁력이 떨어지고, 완제품 상태에서는 조작감 튜닝이 곤란하다.In addition, in order to provide products in various modes with different button operation feeling (pressing load, operating distance, etc.)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it was possible to change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ase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share the production line, so the competitiveness is low in terms of cost and mass production, and it is difficult to tune the operation feeling in the state of the finished product.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549677호(등록일 2015. 08. 27)Korean Patent No. 10-1549677 (Registered on May 27, 2015)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스위치를 사용하는 기구식 구성이면서도 버튼의 케이스 측면 배치타입으로 소형화 및 박형화에 유리한 차량용 포브 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ular door key that is advantageous for downsizing and thinness because of a mechanical arrangement using a switch and a case side arrangement type of a butto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개선된 스위치 조작감을 제공할 수 있고, 구조 변경 없이도 조작감(누름 하중이나 작동 거리 등)을 용이하게 튜닝할 수 있는 구성의 차량용 포브 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awkey for a vehicle which is capable of providing an improved switch operation feeling and capable of easily tuning the operation feeling (pushing load, working distance, etc.) without structural change .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solution to the problem,

케이스;case;

케이스 제1 측벽의 버튼 장착부에 결합되며, 제1 면이 케이스 외부로 노출되는 평판상의 버튼 패널과, 버튼 패널 제2 면에 일체로 구비되는 막대형 누름부로 구성된 둘 이상의 버튼;At least two buttons coupled to the button mounting portion of the first side wall of the case and having a flat button panel on which the first surface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and a bar-shaped pressing portion integrally provided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button panel;

케이스에 내장(Insert)되고, 접점부가 상기 제1 측벽을 향하도록 각각의 버튼에 대응하여 측부 가장자리에 둘 이상의 스위치를 실장한 인쇄회로기판;Built (Insert) it is, the contact portion and at least two switches in a printed circuit board mounted on the side edges corresponding to each button so as to face the first side wall in the casing;

케이스 내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둘러싸며, 상기 누름부 일부가 삽입되고 누름부를 통해 전달되는 버튼 조작력에 의해 상기 스위치를 향하여 탄성 변형되는 작동요홈을 구비한 방수용 패커;A waterproof packing which surrounds the printed circuit board in the case and has an operation groove that is elastically deformed toward the switch by a button operation force which is inserted through a part of the pressing part and is transmitted through the pressing part;

버튼 장착부에 상기 누름부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개재되어 버튼조작 시 조작감과 버튼 조작에 대한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링; 및An elastic ring interposed to surround a part of the pushing portion in the button mounting portion to generate a restoring force for the operation feeling and the button operation when the button is operated; And

버튼 장착부에 설치되며, 탄성링보다 낮은 높이로 상기 탄성링 주위를 둘러싸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포브 키를 제공한다.And a stopper installed at the button mounting portion and surrounding the elastic ring at a lower height than the elastic ring.

여기서, 상기 케이스는 인쇄회로기판의 한 쪽만을 EMC(Epoxy Molding Compound)로 성형하여 내장시킨 일면이 개구된 열경화성 수지재질의 하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상기 개구를 덮도록 결합되는 상부 커버로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case may be formed of a lower case of a thermosetting resin material having one side opened by molding an only on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s with an epoxy molding compound (EMC), and an upper cover coupled to cover the opening of the lower case .

또한, 케이스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 패널의 제1 면에 버튼 기능을 시각 또는 사용자 촉감을 통해 인식 가능하도록, 특정 이미지가 인쇄된 필름이 부착되거나 버튼 마다 다른 패턴으로 음각 또는 양각 성형된 기능식별부가 성형될 수 있다.In addition, a function identification portion mold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button panel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in which a film printed with a specific image is attached or an embossed or embossed pattern is formed in a different pattern for each button, .

바람직하게는, 상기 버튼 장착부의 함몰 깊이(D1)가 버튼 패널의 제1 면에서 버튼 장착부의 바닥면과 접하는 탄성링의 저면부까지의 거리(D2)보다 작고, 버튼 패널과 스토퍼 사이의 갭(G)이 접점부와 방수용 패커 사이 거리(D3)의 1.3 내지 1.5배가 될 수 있는 두께로 탄성링과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Preferably, the recessed depth D1 of the button mounting portion is smaller than the distance D2 from the first surface of the button panel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elastic ring contac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button mounting portion, and the gap D2 between the button panel and the stopper G) can be 1.3 to 1.5 times the distance D3 between the contact portion and the waterproof pack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버튼 패널의 제2 면에 등간격으로 배열되고 제1 형상으로 형성되는 접촉돌기들 및 상기 버튼 패널의 제2 면과 마주하는 스토퍼의 제1 면에 등간격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1 형상과 맞물리는 제2 형상으로 형성되는 접촉요홈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ct protrusions arranged at equal intervals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button panel and formed in a first shape, and contact protrusions form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stopper facing the second surface of the button panel And a second shape that is spaced apart and engages the first shape.

이때 제1 형상은 볼록하게 만곡진 반구형 돌기형상일 수 있으며, 제2 형상은 오목하게 함몰된 반구형 요홈형상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shape may be a convexly curved hemispherical projection shape, and the second shape may be a concavely recessed hemispherical groove shape.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 상기 스위치 인접 측부의 인쇄회로기판 가장자리에 케이스의 제1 측벽을 향하도록 실장되는 광원 및 상기 광원 위치에 대응되는 케이스에 인서트 사출을 통해 내장되어 상기 버튼 장착부 둘레에 광 경로를 형성하는 광 투과성 수지재질의 도광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light source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on the side of the switch adjacent to the first side wall of the case, and a case corresponding to the light source position through insert injection, And a light guide body made of a transparent resin material.

이 경우 방수용 패커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광원의 빛이 방수용 패커를 투과하여 도광체에 입광됨으로써 도광체를 통해 외부에 균일한 휘도로 버튼 장착부 주변을 밝히면서 외부에 표출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waterproof packing is made of a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silicone material, so that the light of the light source passes through the waterproof packing and is incident on the light guide, thereby illuminating the outside of the button mounting portion with a uniform luminance through the light guide, desirabl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포브 키(FOB KEY)에 의하면, 제작단가 및 구성의 단순화 측면에서 유리한 기구식 구성이면서도, 버튼을 케이스 측면 배치한 측면 작동 구조로서 버튼을 케이스 전면에 배치한 종래의 전면 작동 구조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형화 및 박형화에 유리하다. 즉 원가 절감과 소형화 및 박형화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FOB KEY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tton structure is advantageous from the viewpoint of manufacturing cost and simplification of the structure, It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relatively small in size and thin in comparison with the front operating structure. In other words, cost reduction, miniaturization and thinning can be satisfied at the same time.

또한, 적정하중 이상의 조작력이 버튼에 입력되더라도 버튼의 움직임 또는 작동거리가 스토퍼에 의해 정해진 범위로 제한되는 구성임에 따라, 무리한 버튼 조작으로 버튼 또는 버튼에 대응되는 내부 스위치의 손상을 확실하게 막을 수 있으며, 버튼의 누름부와 스토퍼, 탄성링 및 방수용 패커의 조합으로 보다 개선된 물리적인 조작감을 갖는 포브 키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when an operation force equal to or higher than a proper load is inputted to the button, the movement or the operation distance of the button is limited to the range determined by the stopper, so that the damage of the internal switch corresponding to the button or button can be reliably prevented The combination of the pushing portion of the button, the stopper, the elastic ring, and the waterproof packer can provide a Pawkey having a more improved physical operation feeling.

또한, 버튼과 케이스의 버튼 장착부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링의 탄성계수를 달리하거나 탄성링과 스토퍼의 두께 비를 조절하는 간단한 튜닝만으로 별도의 설계 변경 없이도 버튼 조작감(누름 하중이나 작동 거리 등)을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으며, 구조적으로는 탄성링과 스토퍼가 버튼을 잡아주는 구조이기 때문에 버튼의 유격이 방지되어 조작 정확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It is also possible to change the elastic modulus of the elastic ring interposed between the button and the case mounting portion of the case or to adjust the thickness ratio of the elastic ring and the stopper to a simple tuning operation so that the button operation feeling The elastic ring and the stopper are structurally structured to hold the button, so that the clearance of the button is prevented and the operation accuracy is excellent.

또한, 인쇄회로기판에 광원을 실장하고 케이스 측면에 도광체를 인서트시킨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경우에는, 인쇄회로기판 상의 상기 광원에서 조사된 광이 상기 도광체를 경유하여 균일한 휘도로 버튼 주변을 밝히면서 외부에 표출됨으로써, 심미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 기능 버튼의 식별성과 시인성이 일층 향상된 포크 키를 제공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light source is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and a light guide is inserted on a side surface of the cas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passes through the light guide,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aesthetic sense and to provide a fork key in which the identification and visibility of the function button are further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에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포브 키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포브 키의 절단면도.
도 3은 도 2의 'A'부를 확대 도시한 요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포브 키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요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포브 키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요부 확대도.
1 is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of a vehicle pavement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ectional view of the vehicle pavu key shown in Fig. 1. Fig.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the "A" portion of FIG. 2 in an enlarged view.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a main part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vehicle paw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a main part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vehicle pavement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in the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Also,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더하여,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s " part, "" unit," " module, "and the like, which ar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refer to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도면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하며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nd a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도 1은 본 발명에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포브 키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포브 키의 절단면도이다. 그리고 3은 도 2의 'A'부를 확대 도시한 요부 확대도이다. 1 is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of a vehicle pavement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ectional view of the vehicle pavement key shown in Fig. And 3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the "A" portion of FIG. 2 in an enlarged view.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포브 키는, 인서트 사출 성형을 통해 인쇄회로기판(12)을 내장한 케이스(10)를 포함한다. 인쇄회로기판(12)에는 사용자의 물리적인 조작에 따라 스위칭되는 스위치(14) 및 해당 스위칭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명령을 출력을 위해 각종 연산을 수행하는 마이콤(Micom)을 비롯해 각종 전기 소자(도시 생략)가 실장된다. Referring to Figs. 1 to 3, a vehicle pavement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10 in which a printed circuit board 12 is embedded through insert injection molding. The printed circuit board 12 is provided with a switch 14 that is switched according to a physical operation of a user and a microcomputer that performs various calculations for outputting an operation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switching signal, Is mounted.

케이스(10)는 스위치(14) 및 각종 전기 소자를 실장한 인쇄회로기판(12)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일면이 개구된 열경화성 수지재질의 하부 케이스(10a)와, 하부 케이스(10a)의 상기 개구를 덮도록 결합되는 열경화성 또는 무른 재질의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상부 커버(10b)를 포함하는 도면과 같은 슬림하고 컴팩트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The case 10 includes a lower case 10a made of a thermosetting resin material having one side opened to accommodate the switch 14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12 on which the various electric elements are mounted, And a top cover 10b made of a thermosetting or soft thermoplastic resin that is coupled to cover the opening, and can be manufactured in a slim and compact shape as shown in the drawing.

케이스(10),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부 케이스(10a)의 제1 측벽(100)에는 둘 이상의 버튼 장착부(102)가 케이스(10) 내측으로 음각 성형된다. 그리고 각각의 버튼 장착부(102)에는 기능이 서로 다른 버튼(11)이 하나씩 장착된다. 이때 버튼 장착부(102) 및 버튼(11)의 개수 및 형상, 배열 등은 포브 키의 사양에 따른 기능 확장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예시된 형태로 국한되지 않는다.At least two button mounting portions 102 are intaglio formed inside the case 10 in the case 10, more specifically, the first side wall 100 of the lower case 10a. Each button mounting portion 102 is provided with one button 11 having a different function. At this time, the number, shape, arrangement, and the like of the button mounting portion 102 and the buttons 11 may vary depending on whether the function is extende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of the pawke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form.

버튼(11)은 제1 면(110a)이 케이스(10) 외부로 노출되는 평판상의 버튼 패널(11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면(110a) 반대편의 상기 버튼 패널(110) 제2 면(110b)에 일체로 구비되는 막대형 누름부(112)를 구비한다. 케이스(10)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 패널(110)의 제1 면(110a)에는 각각의 버튼(11)에 대한 기능 정보를 시각을 통해 직관적으로 인식하거나 사용자 촉감을 통해 인식 가능하도록 기능식별부(도시 생략)가 형성될 수 있다. The button 11 includes a flat button panel 110 on which the first surface 110a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10. And a bar-shaped pressing part 112 integrally provided on a second surface 110b of the button panel 110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110a. The first face 110a of the button panel 11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10 is provided with a function identification unit (not shown) for recognizing function information for each button 11 intuitively through time, (Not shown) may be formed.

기능식별부는 특정 이미지(버튼 기능을 형상화한 심벌 이미지)가 인쇄된 필름을 상기 제1 면(110a)에 부착시켜 형성되거나, 손가락을 접속시켰을 때 느껴지는 촉감으로 버튼(11) 별 기능을 인지할 수 있도록, 버튼(11) 마다 다른 패턴으로 돌기나 홈을 양각 또는 음각 성형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능 관련 심볼을 입체적으로 성형한 돌기 또는 홈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The function identification unit may be formed by attaching a film printed with a specific image (symbol image of a button function) on the first surface 110a or by recognizing the function of each button 11 by touching the finger The protrusions or grooves may be formed by embossing or engraving the buttons 11 in different patterns. For example, the function-related symbols may be provided in the shape of a protrusion or a groove formed in three dimensions.

인쇄회로기판(12)은 하부 케이스(10a)에 내장(Insert)된다. 케이스(10)의 제1 측벽(100)과 인접한 인쇄회로기판(12)의 가장자리를 따라 전술한 각각의 버튼(11)에 대응되도록 둘 이상의 스위치(14)가 실장되며, 이때 스위치(14)의 접점부(140)가 상기 제1 측벽(100)을 향하도록 각각의 버튼(11)에 대응하여 스위치(14)가 실장된다.The printed circuit board 12 is embedded (Insert) to the lower case (10a). Two or more switches 14 are mounted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buttons 11 described above along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2 adjacent to the first side wall 100 of the case 10, The switch 14 is mounted corresponding to each button 11 so that the contact portion 140 faces the first sidewall 100.

버튼 장착부(102)에는 탄성링(17)이 개재된다. 탄성링(17)은 상기 누름부(112)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버튼 장착부(102)에 개재되어 버튼(11)조작 시 조작감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버튼(11) 조작 후 버튼(11)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올 수 있도록 복원력을 발생시킨다. 탄성링(17)은 외력이 제거된 때 원래 상태로 되돌아올 수 있는 탄성재질, 바람직하게는 고무(Rubber)나 실리콘(Silicone) 재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n elastic ring (17) is interposed in the button mounting portion (102). The elastic ring 17 is interposed in the button mounting portion 102 so as to surround a part of the pressing portion 112 so as to generate an operation feeling when the button 11 is operated and at the same time, So that a restoring force can be generated. The elastic ring 17 may be an elastic material, preferably a rubber or a silicone material, which can be returned to the original state when an external force is remov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버튼 장착부(102)에는 또한 탄성링(17)보다 낮은 높이로 탄성링(17) 주위를 둘러싸도록 경질의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질의 스토퍼(18)가 설치된다. 스토퍼(18)는 적정하중 이상의 조작력이 버튼(11)에 입력되더라도 버튼(11)의 움직임 또는 작동거리를 정해진 범위로 제한하며, 이에 따라 버튼(11)에 의도치 않게 무리한 힘이 가해지더라도 버튼(11) 또는 버튼(11)에 대응되는 내부 스위치(14)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The button mounting portion 102 is also provided with a hard synthetic resin or metal stopper 18 so as to surround the elastic ring 17 at a lower height than the elastic ring 17. [ The stopper 18 restricts the movement or the working distance of the button 11 to a predetermined range even if an operation forc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oper load is inputted to the button 11 so that even if the button 11 is unintentionally exerted an excessive force, 11 or the internal switch 14 corresponding to the button 11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스토퍼(18)는 상기 탄성링(17)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수용부를 형성한 원형 또는 각형의 링(Ring)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버튼 장착부(102)의 함몰 깊이 에 따른 버튼 패널(110)과 스토퍼(18) 사이의 갭(G), 스위치(14)의 접점부(140) 작동 거리에 따라 그 높이는 유동적일 수 있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상기 스토퍼(18)보다는 적어도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야 한다. The stopper 18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circular or square ring having a receiving portion formed therein so as to receive the elastic ring 17 therein. The gap G between the button panel 110 and the stopper 18 and the operating distance of the contact portion 140 of the switch 14 may be variable. However, it should basically be formed at least at a lower height than the stopper 18.

도면부호 16은 케이스(10)에 내장된 인쇄회로기판(12)을 외부에서 침투된 액체, 예컨대, 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상기 인쇄회로기판(12)과 함께 케이스(10)에 내장되는 방수용 패커를 가리킨다. 방수용 패커(16)는 케이스(10) 내에서 인쇄회로기판(12)을 덮어 보호할 수 있는 크기로 제공될 수 있으며, 버튼(11)의 막대형 누름부(112)와 대응되는 위치의 측면부에 상기 막대형 누름부(112)에 대응하는 작동요홈(160)을 구비한다.Reference numeral 16 denotes a waterproof packing member embedded in the case 10 together with the printed circuit board 12 to protect the printed circuit board 12 built in the case 10 from liquids, Point. The waterproof packer 16 may be provided in a size to cover and protect the printed circuit board 12 in the case 10 and may be provided on a side portion of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ar- And an operation groove 160 corresponding to the bar-shaped depressing portion 112.

도 3의 도시와 같이, 작동요홈(160)은 상기 막대형 누름부(112)의 선단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와 깊이로 성형되어 누름부(112)의 선단 일부가 삽입되도록 조립되며, 버튼(11) 조작 시 막대형 누름부(112)를 통해 전달되는 버튼(11) 조작력에 의해 스위치(14)를 향하여 탄성 변형되어 스위치(14)의 접점부(140)를 가압하거나 외력 제거 시 원래의 형태로 복원됨으로써 스위치(14)를 턴온(Turn on) 및 턴오프(Turn off) 시킨다. 3, the operation groove 160 is formed to have a size and a depth capable of accommodating a tip portion of the rod-shaped pressing portion 112 and is assembled so as to insert a tip portion of the pressing portion 112, The switch 14 is elastically deformed toward the switch 14 by the operation force of the button 11 transmitted through the rod-shaped pressing part 112 during operation to press the contact part 140 of the switch 14, And the switch 14 is turned on and turned off.

버튼(11) 조작 시 상기 접점부(140)와 접하는 작동요홈(160)의 외부 접촉면이 버튼(11) 조작 전 상기 접점부(140)와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접촉면에 스위치(14)의 상기 접점부(140)에 대응되는 크기와 소정의 높이로 접속돌기(도시 생략)를 볼록하게 형성하면 버튼(11) 조작 시 스위치(14)에 대한 조작 정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The outer contact surface of the operation groove 160 which contacts the contact portion 140 when the button 11 is operated can be formed to mainta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ontact portion 140 before the operation of the button 11, The connection protrusion (not shown) may be convexly formed on the contact surface with a size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portion 140 of the switch 14 and a predetermined height so that the operation accuracy of the switch 14 when the button 11 is operated Can be further improved.

탄성링(17)과 스토퍼(18)의 두께 설정에 있어서는, 제1 측벽(100)에 형성된 버튼 장착부(102)의 함몰 깊이(D1)가 버튼 패널(110)의 제1 면(110a)에서 버튼 장착부(102)의 바닥면과 접하는 상기 탄성링(17)의 저면부까지의 거리(D2)보다 작고, 버튼 패널(110)과 스토퍼(18) 사이의 갭(G)이 접점부(140)와 방수용 패커(16) 사이 거리(D3)의 1.3 내지 1.5배가 될 수 있는 두께로 탄성링(17)과 스토퍼(18)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epression depth D1 of the button mounting portion 102 formed on the first side wall 100 is set to be larger than the depth D1 of the button mounting portion 102 on the first surface 110a of the button panel 110, And the gap G between the button panel 110 and the stopper 18 is smaller than the distance D2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elastic ring 17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102,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elastic ring 17 and the stopper 18 to a thickness that can be 1.3 to 1.5 times the distance D3 between the waterproof packers 16. [

버튼 패널(110)의 일부가 제1 측벽(100) 외측으로 돌출됨으로써 버튼(11)의 위치를 직접 확인하지 않고도 손가락 접촉만으로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버튼(11)에 작용하는 물리적인 힘에 의해 버튼(11)이 스위치(14)를 턴온시킬 수 있을 만큼 이동되면 더 이상의 이동을 제한(버튼이 눌리지 않게)하여 스위치(14)에 적정 하중 이상의 무리한 힘이 전가되는 것을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A part of the button panel 110 protrudes outside the first sidewall 100 so that it can be grasped quickly only by finger contact without directly checking the position of the button 11, When the button 11 is moved so as to turn on the switch 14, it is possible to inhibit further movement (to prevent the button from being depressed) and to prevent excessive force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switch 14 beyond the proper load .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포브 키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요부 확대도이다.4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vehicle pavilion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요 포브 키는, 전술한 구성에 더하여, 버튼 패널(110)의 제2 면(110b)에 등간격으로 배열되고 제1 형상으로 형성되는 접촉돌기(114)들 및 상기 버튼 패널(110)의 제2 면(110b)과 마주하는 스토퍼(18)의 제1 면(180a)에 등간격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1 형상과 맞물리는 제2 형상으로 형성되는 접촉요홈(184)들을 더 포함한다.4,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vehicle yaw fob key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in the first shape and equally spaced on the second surface 110b of the button panel 110 A second shape that is equidistantly arranged on the first surface (180a) of the stopper (18) facing the second surface (110b) of the button panel (110) (Not shown).

제1 형상은 볼록하게 만곡진 반구형 돌기형상일 수 있고 제2 형상은 오목하게 함몰된 반구형 요홈형상일 수 있으며, 제1 형상의 접촉돌기(114)의 돌출높이(H1)가 제2 형상의 접촉요홈(184)의 함몰깊이(H2)보다 다소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버튼(11)이 스토퍼(18)에 직접 접촉되기에 앞서 접촉돌기(114)가 접촉요홈(184)에 맞물린 상태로 압축되기 때문에 고하중으로부터 스위치(14)가 더욱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다.The first shape may be a convexly curved hemispherical protrusion shape and the second shape may be a concave recessed hemispherical groove shape, and the protrusion height H1 of the first shape contact protrusion 114 may be a contact of the second shape May be formed somewhat larger than the recessed depth (H2) of the recess (184). In this case, since the contact protrusion 114 is compressed in engagement with the contact groove 184 before the button 11 comes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topper 18, the switch 14 can be more safely protected from the high load.

또한, 접촉돌기(114)가 접촉요홈(184)에 맞물리는 순간부터 이들의 맞물림으로 인하여 버튼(11)의 상하좌우 요동이 제한되기 때문에, 스위치(14) 측으로 이동하는 도중 버튼(11)의 상하좌우 유격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으며, 버튼(11)을 눌렀을 때 탄성링(17)과 상기 접촉돌기(114)가 순차적으로 압축됨에 따라 위치 마다 느낌이 다른 물리적 조작감을 발생시킬 수 있다.The upper and lower left and right swinging of the button 11 is limited due to the engagement of the contact protrusion 114 from the moment when the contact protrusion 114 is engaged with the contact groove 184, The left and right clearances can be more reliably prevented and the elastic ring 17 and the contact protrusion 114 are sequentially compressed when the button 11 is pressed,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 및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포브 키에 의하면, 제작단가 및 구성의 단순화 측면에서 유리한 기구식 구성이면서도, 버튼을 케이스 측면 배치한 측면 작동 구조로서 버튼을 케이스 전면에 배치한 종래의 전면 작동 구조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형화 및 박형화에 유리하다. 즉 원가 절감과 소형화 및 박형화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fork key for a vehic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tton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ase as a side operating structure in which the button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case, It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relatively small and thin in comparison with a conventional front operation structure. In other words, cost reduction, miniaturization and thinning can be satisfied at the same time.

또한, 적정하중 이상의 조작력이 버튼에 입력되더라도 버튼의 움직임 또는 작동거리가 스토퍼에 의해 정해진 범위로 제한됨에 따라, 무리한 버튼 조작으로 버튼 또는 버튼에 대응되는 내부 스위치의 손상을 확실하게 막을 수 있으며, 버튼의 누름부와 스토퍼, 탄성링 및 방수용 패커의 조합으로 보다 개선된 물리적인 조작감을 갖는 포브 키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operation force beyond the proper load is inputted to the button, the movement or the operation distance of the button is limited to the range determined by the stopper, so that the damage of the internal switch corresponding to the button or the button can be reliably prevented by the operation of the excessive butt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awkey having a more improved physical operation feeling by the combination of the pressing portion of the stopper, the elastic ring, and the waterproof packing.

그리고, 버튼과 케이스의 버튼 장착부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링의 탄성계수를 달리하거나 탄성링과 스토퍼의 두께 비를 조절하는 간단한 튜닝만으로 버튼 조작감(누름 하중이나 작동 거리 등)을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으며, 구조적으로는 탄성링과 스토퍼가 버튼을 잡아주는 구조이기 때문에 버튼 조작 시 유격이 방지되어 스위치를 정확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The button operation feeling (pressing load, working distance, etc.) can be adjusted as desired by simply adjusting the elastic modulus of the elastic ring interposed between the button and the button mounting portion of the case or simply adjusting the thickness ratio of the elastic ring and the stopper, Structurally, since the elastic ring and the stopper hold the butt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lay at the time of the button operation, so that the switch can be operated correctly.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포브 키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요부 확대도로서, 전술한 일 실시 예의 구성에 더하여, 인쇄회로기판(12)에 광원(30)을 실장하고, 광원(30)에서 조사된 광이 균일한 휘도로 버튼(11) 주변을 밝히면서 외부에 표출되도록 케이스(10)의 제1 측벽(100)에 일부면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도광체(40)를 인서트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5 is an enlarged view of a main part showing a pod key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light source 30 is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12, The light guide 40 is inserted so that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30 is exposed to the first side wall 100 of the case 10 so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guide plate 30 illuminates the periphery of the button 11 with uniform brightness .

즉 본 실시 예는 전술한 포브 키를 기반으로 하면서, 스위치(14) 인접 측부의 인쇄회로기판(12) 가장자리에 케이스(10)의 제1 측벽(100)을 향하도록 실장되는 광원(30) 및 인서트 사출을 통해 광원(30) 위치에 대응되는 제1 측벽(100)에 성형되고 상기 광원(30)에서 조사된 광이 균일한 휘도로 외부에 조광되도록 상기 버튼 장착부(102) 둘레에 광 경로를 형성하는 광 투과성 수지재질의 도광체(40)를 더 포함한다.The light source 30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2 in the vicinity of the switch 14 so as to face the first side wall 100 of the case 10, The optical path is formed around the button mounting portion 102 so as to be formed in the first side wall 100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light source 30 through the insert injection and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30 being illuminated to the outside with a uniform brightness And a light guide body 40 made of a light transmitting resin.

이때 인쇄회로기판(12)과 케이스(10) 사이에 설치되는 방수용 패커(16)는, 광이 중간에 차단되지 않고 상기 도광체(40)에 입광됨으로써 도광체(40)를 통해 외부에 균일한 휘도로 버튼 장착부(102) 주변을 밝힐 수 있도록, 광투과 가능한 투명 또는 반투명한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실리콘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방수와 광투과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유연한 재질의 모든 합성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waterproof packer 16 installed between the printed circuit board 12 and the case 10 receives light from the light guide 40 without interrupting the light, Transparent light-transmissive or translucent silicone material so as to illuminate the periphery of the button mounting portion 102 with a brightness.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ilicon, and may include all synthetic resins of flexible materials capable of simultaneously realizing waterproofing and light transmission.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인쇄회로기판 상의 광원에서 조사된 광이 상기 도광체를 경유하여 균일한 휘도로 버튼 입력부 주변을 밝히면서 외부에 표출됨에 따라, 포브 키의 심미감이 극대화되고, 기능 버튼의 식별성과 시인성이 일층 향상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exposed to the outside while illuminating the periphery of the button input portion with uniform brightness through the light guide, And the identification and visibility of the function button can be further improved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have been described.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thereof, which are to be considered as being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the intention is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

10 : 케이스 10a : 하부 케이스
10b : 상부 커버 11 : 버튼
12 : 인쇄회로기판 14 : 스위치
16 : 방수용 패커 17 : 탄성링
18 : 스토퍼
100 : 제1 측벽 102 : 버튼 장착부
110 : 버튼 패널 112 : 막대형 누름부
114 : 접촉돌기 140 : 접점부
160 : 작동요홈 184 : 접촉요홈
10: Case 10a: Lower case
10b: upper cover 11: button
12: printed circuit board 14: switch
16: waterproof packer 17: elastic ring
18: Stopper
100: first side wall 102: button mounting portion
110: Button panel 112: Bar pressing part
114: contact protrusion 140: contact portion
160: Operation groove 184: Contact groove

Claims (7)

케이스(10);
케이스(10) 제1 측벽(100)의 버튼 장착부(102)에 결합되며, 제1 면(110a)이 케이스(10) 외부로 노출되는 평판상의 버튼 패널(110)과, 버튼 패널(110) 제2 면(110b)에 일체로 구비되는 막대형 누름부(112)로 구성된 둘 이상의 버튼(11);
케이스(10)에 내장(Insert)되고, 접점부(140)가 상기 제1 측벽(100)을 향하도록 각각의 버튼(11)에 대응하여 측부 가장자리에 둘 이상의 스위치(14)를 실장한 인쇄회로기판(12);
케이스(10) 내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12)을 둘러싸며, 상기 누름부(112) 일부가 삽입되고 누름부(112)를 통해 전달되는 버튼(11) 조작력에 의해 상기 스위치(14)를 향하여 탄성 변형되는 작동요홈(160)이 형성된 방수용 패커(16);
버튼 장착부(102)에 상기 누름부(112)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개재되어 버튼(11)조작 시 조작감과 버튼(11) 조작에 대한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링(17); 및
버튼 장착부(102)에 설치되며, 탄성링(17)보다 낮은 높이로 상기 탄성링(17) 주위를 둘러싸는 스토퍼(18);를 포함하며,
버튼 패널(110)과 스토퍼(18) 사이의 갭(G)이 접점부(140)와 방수용 패커(16) 사이 거리(D3)의 1.3 내지 1.5배 되는 두께로 탄성링(17)과 스토퍼(18)가 구비되는 차량용 포브 키.
A case 10;
A button panel 110 coupled to the button mounting portion 102 of the first side wall 100 and having a first surface 110a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10, Two or more buttons 11 composed of a bar-shaped pressing part 112 integrally provided on a two-sided surface 110b;
The case 10 is built (Insert), the contact portion 140, the first side wall print a mounting more than one switch 14 to the side edge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buttons 11 facing the 100 circuit A substrate 12;
The switch 10 is configured to enclose the printed circuit board 12 within the case 10 so that a part of the pressing part 112 is inserted and is pressed toward the switch 14 by the operation force of the button 11 transmitted through the pressing part 112 A waterproof packing (16) formed with an operation groove (160) elastically deformed;
An elastic ring (17) interposed between the button mounting portion (102) so as to surround a part of the pressing portion (112) and generating a restoring force for operation of the button (11) and operation of the button (11); And
And a stopper (18) installed at the button mounting portion (102) and surrounding the elastic ring (17) at a lower height than the elastic ring (17)
The gap G between the button panel 110 and the stopper 18 is set to 1.3 to 1.5 times the distance D3 between the contact portion 140 and the waterproof packing 16 by the elastic ring 17 and the stopper 18 ) Is provid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는 인쇄회로기판(12)의 한 쪽만을 EMC(Epoxy Molding Compound)로 성형하여 내장시킨 일면이 개구된 열경화성 수지재질의 하부 케이스(10a)와;
하부 케이스(10a)의 상기 개구를 덮도록 결합되는 상부 커버(10b);로 구성되는 차량용 포브 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ase 10 includes a lower case 10a made of a thermosetting resin material having one side opened by molding an only one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2 with an epoxy molding compound (EMC);
And an upper cover (10b) coupled to cover the opening of the lower case (10a).
제 1 항에 있어서,
케이스(10)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 패널(110)의 제1 면(110a)에 버튼(11) 기능을 시각 또는 사용자 촉감을 통해 인식 가능하도록, 특정 이미지가 인쇄된 필름이 부착되거나 버튼(11) 마다 다른 패턴으로 음각 또는 양각 성형된 기능식별부가 성형된 차량용 포브 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lm on which a specific image is printed is attached or the button 11 is attached to the first surface 110a of the button panel 11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10 so that the function of the button 11 can be visually or tactilely recognized. A molded fork key for a vehicle having an engraved or embossed molded function identification part in a different patter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장착부(102)의 함몰 깊이(D1)가 버튼 패널(110)의 제1 면(110a)에서 버튼 장착부(102)의 바닥면과 접하는 탄성링(17)의 저면부까지의 거리(D2)보다 작은 차량용 포브 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epth D2 of the depression D1 of the button mounting portion 102 from the first surface 110a of the button panel 110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elastic ring 17 contac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button mounting portion 102, Smaller vehicle fork key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패널(110)의 제2 면(110b)에 등간격으로 배열되고 제1 형상으로 형성되는 접촉돌기(114)들; 및
상기 버튼 패널(110)의 제2 면(110b)과 마주하는 스토퍼(18)의 제1 면(180a)에 등간격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1 형상과 맞물리는 제2 형상으로 형성되는 접촉요홈(184)들;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포브 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ontact protrusions (114) arranged at equal intervals on the second surface (110b) of the button panel (110) and formed in a first shape; And
A contact groove 184 formed at the first surface 180a of the stopper 18 facing the second surface 110b of the button panel 110 and formed in a second shape equally spaced and engaged with the first shape, ) For a vehicle.
제 5 항에 있어서,
제1 형상은 볼록하게 만곡진 반구형 돌기형상이고,
제2 형상은 오목하게 함몰된 반구형 요홈형상이며,
제1 형상의 접촉돌기(114)의 돌출높이(H1)가 제2 형상의 접촉요홈(184)의 함몰깊이(H2)보다 큰 차량용 포브 키.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shape is a convexly curved hemispherical projection shape,
The second shape is a recessed hemispherical recessed shape,
Wherein the projecting height H1 of the contact protrusion 114 of the first shape is greater than the recessed depth H2 of the contact groove 184 of the second sha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14) 인접 측부의 인쇄회로기판(12) 가장자리에 케이스(10)의 제1 측벽(100)을 향하도록 실장되는 광원(30); 및
상기 광원(30) 위치에 대응되는 케이스(10)에 인서트 사출을 통해 내장되어 상기 버튼 장착부(102) 둘레에 광 경로를 형성하는 광 투과성 수지재질의 도광체(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수용 패커(16)가 투명 또는 반투명한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광원(30)의 빛이 방수용 패커(16)를 투과하여 도광체(40)에 입광되는 차량용 포브 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light source (30)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2) on the side adjacent to the switch (14) so as to face the first side wall (100) of the case (10); And
And a light guide body (40) made of a light transmitting resin material, which is embedded in the case (10)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light source (30) through an insert injection and forms a light path around the button mounting part (102)
Wherein the waterproof packing (16) is made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silicone material so that the light of the light source (30) is transmitted through the waterproof packing (16) to enter the light guide (40).
KR1020160104274A 2016-08-17 2016-08-17 FOB key for vehicle Expired - Fee Related KR1017966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274A KR101796614B1 (en) 2016-08-17 2016-08-17 FOB key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274A KR101796614B1 (en) 2016-08-17 2016-08-17 FOB key for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6614B1 true KR101796614B1 (en) 2017-11-10

Family

ID=60386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4274A Expired - Fee Related KR101796614B1 (en) 2016-08-17 2016-08-17 FOB key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6614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351Y1 (en) * 2018-03-15 2019-06-05 주식회사 서연전자 Potable remote control key for an automobile
FR3081486A1 (en) * 2018-05-23 2019-11-29 Valeo Comfort And Driving Assistance KEY FOR MOTOR VEHICLE COMPRISING A SILICONE MEMBRANE
US10796864B2 (en) 2018-07-03 2020-10-06 Continental Automotive Gmbh Structure of a fob key for increasing the operating force of a butt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4146B1 (en) * 2010-11-24 2011-12-20 (주)티지솔루션 Capacitive Acceleration Button Assembly
JP2013255008A (en) * 2012-06-05 2013-12-19 Kyocera Corp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4146B1 (en) * 2010-11-24 2011-12-20 (주)티지솔루션 Capacitive Acceleration Button Assembly
JP2013255008A (en) * 2012-06-05 2013-12-19 Kyocera Corp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351Y1 (en) * 2018-03-15 2019-06-05 주식회사 서연전자 Potable remote control key for an automobile
FR3081486A1 (en) * 2018-05-23 2019-11-29 Valeo Comfort And Driving Assistance KEY FOR MOTOR VEHICLE COMPRISING A SILICONE MEMBRANE
US10796864B2 (en) 2018-07-03 2020-10-06 Continental Automotive Gmbh Structure of a fob key for increasing the operating force of a butt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9709B2 (en) Case for a hand held device
US7046136B2 (en) Portable transmitter having tact switches with front film
US7598462B2 (en) Sealed remote keyless entry device
US9894794B2 (en) Portable wireless key
KR101796614B1 (en) FOB key for vehicle
US9904326B2 (en) Waterproof housing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1815745B1 (en) Portable electronic user device
US9830761B2 (en) Electronic key
JP4932385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JP4767792B2 (en) Electronics
US8344278B2 (en) Control key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
KR20180019944A (en) Slim smart key for vehicle
JP5945456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20070103217A (en) Digital door locks
JP4767793B2 (en) Electronics
JP4812635B2 (en) Switch device
JP2004186018A (en) Multiple push switch
KR101516375B1 (en) Smart key assembly with film type switch at battery module
JP2015522206A (en) Push button for car key module
JP4992749B2 (en) Elastic material for pressure switch and operation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JP2008098047A (en) Operation device
JP2016103327A (en) Switch button structure and switch device using the same
KR100418326B1 (en) a portable phone keypad
JP2001200664A (en) Portable unit for keyless entry device
KR101480388B1 (en) Smart key assembly with film type sw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7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1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11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