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96454B1 - Separation filtrate cleanliness increase type centrifuge - Google Patents

Separation filtrate cleanliness increase type centrifu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6454B1
KR101796454B1 KR1020170057915A KR20170057915A KR101796454B1 KR 101796454 B1 KR101796454 B1 KR 101796454B1 KR 1020170057915 A KR1020170057915 A KR 1020170057915A KR 20170057915 A KR20170057915 A KR 20170057915A KR 101796454 B1 KR101796454 B1 KR 101796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rate
dam plate
centrifugal separator
drains
outl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79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창진
Original Assignee
(주)이화에코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화에코시스템 filed Critical (주)이화에코시스템
Priority to KR1020170057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645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6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6454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1/00Feeding, charging, or discharging bowls
    • B04B11/02Continuous feeding or discharging;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B04B2001/2083Configuration of liquid outlets

Landscapes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ntrifuge with an increasing cleanliness of a separation filtrate. More specifically, the centrifuge comprises: an outer bowl which is an outer rotor; a screw which is an inner rotor; an operating motor operating the components; and an outer casing including a filtrate outlet and a dam plate with a plurality of filtrate drains installed at an end part to cover the outer bowl and the screw while separating and discharging a filtrate and a cake (sludge), and a sludge cake drain installed at the other end part with sludge cake outlets. As the area of friction or contact between a solid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dam plate or some of the filtrate drains is increased, thus, solids, separated from the outer bowl, are mixed with the filtrate, so the filtrate flows down along an inner wall of the outer bowl or is filtered by itself without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along the filtrate drains. 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suppressing the generation of an eddy on the inner wall of the dam plate by smoothly discharging the filtrate through the filtrate drains of the dam plate, and effectively separating and discharging the filtrate from the solids, thereby significantly increasing the cleanliness of the filtrate as well as the efficiency, performance, and processing capacity of the centrifuge.

Description

분리 여액 청정도 증대형 원심 분리기{Separation filtrate cleanliness increase type centrifuge}{Separation filtrate cleanliness increase type centrifuge}

본 발명은 분리 여액 청정도 증대형 원심 분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원심력을 이용해 고체와 액체, 또는 비중이 서로 다른 액체를 분리시켜 주는 원심 분리기의 댐 플레이트 내면 또는 상기 댐 플레이트에 천공된 여액 배수구의 형상을 개선하여, 고체와 액체로 분리를 마친 여액이 댐 플레이트에 형성된 다수의 여액 배수구를 통해 배수될 때, 여액 속에 잔여 부유물이 혼입되어 배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을 통해 원심 분리기에 의해 분리된 여액의 청정도를 높일 수 있고, 또 그로 인한 원심 분리기의 처리용량과 효율 및 성능을 대폭 증가시킬 수 있도록 발명한 분리 여액 청정도 증대형 원심 분리기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ntrifugal separator for separating solids and liquids or liquids having different specific gravities by using centrifugal force, or a centrifugal separator for separating a liquid having a different specific gravity from the inner surface of a dam plat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hape of the drain hole and to minimize the amount of residual floating matter mixed and discharged into the filtrate when the filtrate separated into solid and liquid is drained through a plurality of filtrate drains formed in the dam plate, To improve the cleanliness of the filtrate separated by the centrifugal separator, and to greatly increase the processing capacity, efficiency and performance of the resulting centrifugal separator.

일반적으로 분뇨 및 축산폐수, 고농도 유기폐수의 처리에 있어 가장 어려운 문제중의 하나는 고액분리로서, 통상의 고액분리는 드럼스크린, 시브스크린과 같은 스크린분리와, 특수 스폰지 흡입분리 및 망을 이용한 원심 필터법, 진동식 고액분리장치, 약품주입 후 전액 탈수하는 방법, 또는 약품주입 후 부상 또는 침전분리 후 탈수하는 방식 등이 주로 사용되어왔다.Generally, one of the most difficult problems in the treatment of manure, livestock wastewater and high concentration organic wastewater is solid-liquid separation. Conventional solid-liquid separation is performed by screen separation such as drum screen and sieve screen, centrifugal separation using special sponge suction separation, A filter method, a vibration type solid-liquid separation device, a method of dewatering the entire liquid after the injection of the medicine, or a method of dewatering after the floating or sediment separation after the injection of the medicine.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고액분리 방식은 고액분리의 효율이 낮을 뿐만 아니라 털과 같은 이상 협작물로 인해 스크린 또는 망이 막히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됨으로써 사용의 불편성은 물론 그 기능의 상실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solid-liquid separation method has a problem that not only the efficiency of solid-liquid separation is low but also the phenomenon that the screen or the screen is clogged frequently due to abnormal clusters such as hair is frequently generated, .

또한, 약품주입 후 탈수하는 방식은 폐수 전량을 탈수해야만 되므로 과다한 탈수기 용량과 약품의 소비는 물론 공정의 복잡성으로 실제 적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ethod of dewatering after the injection of the medicines requires dehydration of the entire amount of the wastewater, so that it can not be practically applied due to the complexity of the process as well as the consumption of chemicals and excessive dehydrator capacity.

이에 따라 최근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원심력을 이용한 고액 분리장치 또는 원심 분리기가 제안되고 있는데, 이는 종래에서와 같이 스크린 또는 망을 이용하지 않아 막힘 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약품주입 후 탈수하는 방식과 같이 폐수 전량을 탈수하거나 과다한 탈수기 용량 및 약품소비와 함께 공정의 복잡성이 요구되지 않는 이점은 있다.Accordingly,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 solid-liquid separator or a centrifugal separator using centrifugal force has been proposed. This is because clogging does not occur because a screen or a network is not us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dehydration of the entire wastewater or excessive dehydrator capacity and complexity of the process together with the consumption of chemicals are not required.

그러나 상기한 고액 분리장치 또는 원심 분리기 중 현재까지 폐수처리 설비에 적용되고 있는 고액 분리장치는 단순 탈수기능만을 갖는 것으로 고액 분리의 불확실성 및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of the solid-liquid separator or the centrifugal separator described above, the solid-liquid separator used in the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has only a simple dewatering function, which causes a problem of uncertainty and efficiency of solid-liquid separation.

한편, 원심력을 이용해 고체와 액체, 또는 비중이 서로 다른 액체를 분리시키는 원심 분리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회전체인 외통보울(1)과, 내부 회전체인 스크류(2)와, 이들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3)와, 상기 외통보울(1)과 스크류(2)를 커버하며 여액과 케익(슬러지)을 분리 배출하도록 일단부에는 복수의 여액 배수구(431)가 구비된 댐 플레이트(43) 및 여액 배출구(41)가 설치되고, 슬러지 케익 토출구(11)들이 형성된 타단부에는 슬러지 케익 배출구(42)가 설치된 외부 케이싱(4)으로 크게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centrifugal separator for separating solid, liquid, or liquid having different specific gravity by centrifugal force comprises an outer tube 1 as an outer rotating body and a screw 2 And a plurality of filtrate draining ports 431 are provided at one end to separate and discharge the filtrate and the cake (sludge) while covering the outer barrel 1 and the screw 2, A dam plate 43 and a filtrate discharge port 41 and an outer casing 4 provided with a sludge cake outlet 42 at the other end where sludge cake discharge ports 11 are formed.

또한, 상기 슬러지 케익 배출구(42)가 형성된 상기 외통보울(1)의 타단부(즉, 직경이 좁은 측) 내부에는 스크류(2)에 의해 압축 이송되어오는 슬러지 케익 토출구(11)들을 통해 슬러지 케익 배출구(42) 측으로 원활히 이동되도록 압력을 증대시켜 주는 원판형의 배압판(5)이 설치된 형태를 가짐은 물론 상기 외통보울(1)의 일단부 개구부에는 마개 기능과 모터 축의 지지기능을 수행하는 축 지지겸 마개(6)가 설치된 형태를 갖는다.The sludge cake is discharged through the sludge cake discharging openings 11 compressed and delivered by the screw 2 into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outer tube bowl 1 on which the sludge cake outlet 42 is formed A back pressure plate 5 for increasing the pressure so as to smoothly move to the discharge port 42 side is provided. In addition, the one end opening of the outer barrel 1 is provided with a stopper function and a shaft And a support and cap 6 are provided.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원심 분리기의 내측 회전체인 스크류(2)는 구동모터(3)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되는 한편, 외측 회전체인 외통보울(1) 역시 고속으로 회전하는 바, 이러한 양 회전체에는 원심력에 의해 좁은 직경 측으로의 침강 속도가 중력하에서보다 수 천배 이상 빨라져 가벼운 여액은 직경이 큰 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댐 플레이트(43)의 여액 배수구(431)들을 통해 여액 배출구(41) 측으로 배출되고, 무거운 비중을 갖는 슬러지 케익은 직경이 좁은 단부에 형성된 슬러지 케익 토출구(11)들을 통해 슬러지 케익 배출구(42) 측으로 배출된다.The screw 2 which is the inner rotating body of the centrifugal separator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rotated at a high speed by the driving motor 3 while the outer tube 1 as the outer rotating body also rotates at high speed, The sedimentation velocity toward the narrow diameter side is faster than that under gravity by centrifugal force so that the light filtrate is discharged to the filtrate discharge port 41 side through the filtrate discharge ports 431 of the dam plate 43 provided at the end with a large diameter , The sludge cake having a heavy specific gravity is discharged to the side of the sludge cake outlet 42 through the sludge cake outlet 11 formed at the narrow end.

이때, 상기 슬러지는 스크류(2)의 내측에 공급시 고분자 응집제에 의해 플럭 형태의 덩어리로써 유입되는바, 이는 중량 차를 유도하여 원심분리하는 특성을 이용한 것으로, 가벼운 여액과 무거운 슬러지 케익은 상술한 원리에 의해 분리된다.At this time, the sludge is introduced into the screw 2 as a lump in the form of a flock by the polymer flocculant when it is fed. This is because the weight of the sludge is centrifuged by inducing weight difference. The light filtrate and the heavy sludge cake It is separated by the principle.

그런데 종래 원심 분리기의 외통보울(1) 일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댐 플레이트(43)는 단순한 원판 형상을 가짐은 물론 복수의 여액 배수구(431)가 상기 댐 플레이트(43)와 직각을 이루는 형태에서 정해진 간격을 두고 천공된 형태를 갖는다.However, the dam plate 43 provided at one end of the external bowl 1 of the centrifugal separator has a simple disc shape and a plurality of filtrate drains 431 are formed at a right angle to the dam plate 43 And has a perforated shape at intervals.

이와 같이 원판 형상을 갖는 댐 플레이트(43)와 외통보울(1)의 내면 사이는 물론 상기 댐 플레이트(43)와 이에 천공되어 있는 여액 배수구(431)들 사이는 각각 직각을 이루는 형태를 가지고 있음에 따라, 외통보울(1) 내에서 분리된 여액과 상기 여액내에 포함되어 있는 잔여 부유물 및 고형물들이 여액 흐름 방향에 대해 수직 벽 형태를 갖는 상기 댐 플레이트(43)의 내면에 부딪히게 되므로 외통보울(1)과 스크류(2) 사이에서 발생되는 원심력과 여액의 흐름으로 인한 난류가 상호 직각을 이루고 있는 상기 댐 플레이트(43)과 외통보울(1) 내면의 결합부에서 더 크게 발생하게 되어 댐 플레이트(43)에 형성된 여액 배수구(431)들 근처에서 와류가 발생하게 된다.The dam plate 43 having a disk shap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tube 1 have a rectangular cross-section, as well as between the dam plate 43 and the filtrate drains 431 punctured therewith Since the filtrate separated in the outer tube 1 and the remaining suspended solids and solids contained in the filtrate collide against the inner surface of the dam plate 43 having a vertical wall shape with respect to the filtrate flow direction, The centrifugal force generated between the dam plate 43 and the screw 2 and the turbulent flow due to the flow of the filtrate are generated at the mutually orthogonal angles between the dam plate 43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barrel 1, A vortex is generated in the vicinity of the filtrate drains 431 formed in the filtrate outlet 431.

다시 말해 공정에서 처리해야 하는 고형물은 여액 내부에서 부유물로써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며, 이러한 부유물을 원심 분리기로 침강시켜 여액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슬러지 케익으로 배출시키기 위해선 우선적으로 이러한 부유물 및 고형물들이 여액 내부에서 자유롭게 돌아다니지 못하도록 외통보울 내벽에 밀착되어 컨베이어 스크류로 인하여 이송이 되어야 한다.In other words, the solids to be treated in the process can freely move as suspended matter in the filtrate. To separate the suspended matter from the filtrate by the centrifugal separator and discharge it to the sludge cake, these suspended matters and solids are freely moved in the filtrate It must be closely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outer bowl to be conveyed by the conveyor screw.

일반적으로 고형물질 중 비중이 높거나 침강이 원활한 것들은 여액부로 여액이 이동되는 도중에 외통보울 내벽에 침강되어 스크류로 이송이 되지만 침강성이 낮은 고형물들은 여액 내부에서 부유물로써 침강되지 않고 여전히 자유롭게 이동한다.In general, solid matter having a high specific gravity or smooth sediment is sedimented on the inner wall of the outer barrel while the filtrate is moved to the filtrate part, and the solids having low sedimentation property are freely moved without being precipitated as floating matters in the filtrate.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 원심 분리기에서는 상기와 같이 댐 플레이트(43)에 형성된 여액 배수구(431)들 근처에서 와류현상이 발생하게 되므로, 고형물 형태를 갖는 잔여 부유물들의 일부가 여액에 다시 섞여서 댐 플레이트(43)에 형성된 여액 배수구(431)들을 통해 여액 배출구(41) 측으로 배출되는 현상 즉, 여액의 비중보다 낮은 비중을 갖거나 댐 플레이트(43) 근처로 이동될 때까지 침강이 되지 않은 고형물들은 여액 안에서 부유되어 댐 플레이트(43)에 형성된 여액 배수구(431)들을 통해 여액 배출구(41) 측으로 배출되는 현상을 갖게 되므로 원심 분리기에 의해 원심분리된 후 배출되는 여액의 청정도가 크게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centrifugal separator, a vortex phenomenon occurs in the vicinity of the filtrate drains 431 formed in the dam plate 43. Therefore, a part of the remaining suspended solids in the form of solid is mixed again in the filtrate, The solids discharged to the filtrate outlet 41 through the filtrate drains 431 formed in the filtrate outlet 43 are floated in the filtrate until they have a specific gravity lower than the specific gravity of the filtrate or move to the vicinity of the dam plate 43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iltrate is discharged to the filtrate discharge port 41 through the filtrate discharge ports 431 formed in the dam plate 43, so that the cleanliness of the filtrate discharged after being centrifuged by the centrifuge is greatly reduced.

이러한 여액의 청정도 감소는 원심 분리기의 처리용량을 제한시키는 요소로 작용하여 기계의 성능 및 효율을 감소시키게 되는 문제점을 야기시킨다.This reduction in cleanliness of the filtrate serves as a limiting factor in the processing capacity of the centrifugal separator, resulting in a problem of reducing the performance and efficiency of the machine.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422567호(2014년 07월 17일)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422567 (Jul. 17, 201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433308호(2014년 08월 13일)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433308 (Aug. 13, 201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599328호(2016년 02월 25일)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599328 (Feb. 25, 2016)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224309호(2013년 01월 14일)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224309 (Jan. 14, 2013)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원심력을 이용해 고체와 액체, 또는 비중이 서로 다른 액체를 분리시켜 주는 원심 분리기의 댐 플레이트 내면 또는 상기 댐 플레이트에 천공된 여액 배수구의 일부에 경사면을 형성시키는 등 부유물 배출 억제수단을 형성 또는 설치하여, 고체와 액체로 분리를 마친 여액이 댐 플레이트에 형성된 다수의 여액 배수구를 통해 배수될 때, 여액 속에 잔여 부유물이 혼입되어 배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을 통해 원심 분리기에 의해 분리된 여액의 청정도를 높일 수 있고, 또 그로 인한 원심 분리기의 처리용량과 효율 및 성능을 대폭 증가시킬 수 있는 분리 여액 청정도 증대형 원심 분리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related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entrifugal separator for separating solids, liquids or liquids having different specific gravity by centrifugal force, When the filtrate having been separated into a solid and a liquid is discharged through a plurality of filtrate drains formed in the dam plate, the remaining suspended matter is mixed and discharged in the filtrate The centrifugal separator is provided with a centrifugal separator capable of improving the cleanliness of the filtrate separated by the centrifugal separator and capable of greatly increasing the processing capacity, efficiency and performance of the resulting centrifugal separator. It has its purpose.

다시 말해 고체와 분리된 여액이 배수되는 댐 플레이트의 내면 전체 또는 상기 댐 플레이트에 천공된 여액 배수구의 일부에 경사면 등과 같은 부유물 배출 억제수단을 형성 또는 설치하여 비중이 여액보다 작아 침강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부유물들이 배수되기 직전까지 원심력을 받을 수 있도록 침강 길이 및 효율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분리된 고형물들이 원심력으로 인한 미끄러짐 힘으로 부유물 배출 억제수단을 따라 외통보울을 내벽으로 흘러내리거나 또는 부유물 배출 억제수단에 걸려 외통보울의 내벽에 효과적으로 유도시켜 수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댐 플레이트에 천공된 여액 배수구들을 통해 여액이 원활히 흘러 배출되므로 댐 플레이트의 내벽 측에서 발생하던 와류현상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여액이 고형물들로부터 효과적으로 분리되어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여액의 청정도를 대폭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여액의 청정도 증대로 인한 원심 분리기 자체의 처리용량과 효율 및 성능을 대폭 증가시킬 수 있는 분리 여액 청정도 증대형 원심 분리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it is preferable to form or install a float discharge suppressing means such as an inclined surface on the entire inner surface of the dam plate where the filtrate separated from the solid is discharged, or a part of the filtrate discharge hole punctured in the dam plate so that the specific gravity is smaller than the filtrate, The sedimentation length and efficiency are increased so that the suspended solids can be centrifuged until the centrifugal force is drained, and the separated solids are caused to flow down to the inner wall along the suspended matter discharge suppressing means by the slip force due to the centrifugal force, So that the filtrate flows smoothly through the drain holes formed in the dam plat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swirling phenomenon occurring on the inner wall side of the dam plate, Effective isolation fro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entrifugal separator for separating filtrate, which is capable of greatly increasing the cleanliness of the filtrate and significantly increasing the processing capacity, efficiency and performance of the centrifuge by itself, There is purpos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 회전체인 외통보울과, 내부 회전체인 스크류와, 이들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외통보울과 스크류를 커버하며 여액과 케익(슬러지)을 분리 배출하도록 일단부에는 복수의 여액 배수구가 구비된 댐 플레이트와 여액 배출구가 설치되고, 슬러지 케익 토출구들이 형성된 타단부에는 슬러지 케익 배출구가 설치된 외부 케이싱으로 구성된 원심 분리기에 있어서, 상기 댐 플레이트의 내면 또는 상기 댐 플레이트에 형성된 여액 배수구의 일부에 고형물과의 마찰 또는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주어 외통보울 내에서 분리된 고형물들이 여액에 혼입되어 여액 배수구를 따라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외통보울 내벽 측으로 흘러내리거나 자체에 걸려지도록 하는 부유물 배출 억제수단을 더 형성 또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including an outer cylinder, an inner rotating body screw, a driving motor for driving the outer cylinder body, and an outer cylinder to cover the screw to separate and discharge the filtrate and the cake (sludge) A centrifugal separator including a dam plat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ltrate drains and an outlet for the sludge cake, and an outer casing provided with a sludge cake outlet at the other end of the sludge cake outlet, So that the solids separated in the outer tube bowl are mixed into the filtrate and flowed down to the inner wall of the outer tube without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along the filtrate outlet, Or the suspended matter discharge suppressing means is further formed or installed And a gong.

이때, 상기 부유물 배출 억제수단의 제 1 실시 예로는, 상기 댐 플레이트에 형성된 여액 배수구들의 내면 중간부에서 댐 플레이트의 내면 및 외주면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시킨 경사 배수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float discharge suppressing means, an inclined drain port form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ltrate drains formed in the dam plate so as to be inclined toward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am plate.

또, 상기 부유물 배출 억제수단의 제 2 실시 예로는, 상기 댐 플레이트에 형성된 여액 배수구들의 외측 단부에서 상기 댐 플레이트의 외주면 사이의 내면 전체가 경사지게 일체로 형성시킨 깔때기형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embodiment of the float discharge suppression mean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unnel-shaped slope is integrally formed by inclining the entire inner surface between the outer end of the filtrate drains formed in the dam plat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am plate .

또한, 상기 부유물 배출 억제수단의 제 3 실시 예로는, 상기 댐 플레이트에 형성된 여액 배수구들의 외측 단부에서 상기 댐 플레이트의 외주면 사이의 내면 전체가 경사짐과 동시에 다수의 계단 또는 톱니 또는 삼각형 중 어느 한 형상을 갖는 복수의 부유물 걸림면이 일체로 구비된 다단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suspended particulate emission suppressing means, the entire inner surface between the outer end of the filtrate drains formed in the dam plate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am plate is inclined, and a plurality of steps, And a plurality of slanting engagement surfac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plurality of slanting engagement surfaces.

또, 상기 부유물 배출 억제수단의 제 4 실시 예로는, 상기 댐 플레이트에 형성된 여액 배수구들의 외측과 댐 플레이트의 외주면 사이의 댐 플레이트 내면에서 직각방향으로 정해진 간격을 두고 일체로 형성 또는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복수의 부유물 배출 차단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suspended-matter discharge suppressing means, the filter is disposed integrally with or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am plate so as to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gap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rate draining holes formed in the dam plate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am plate, And a plurality of suspended solids discharge blocking plates.

이때, 상기 부유물 배출 차단판들은 서로 다른 지름을 갖도록 성형하되, 상기 댐 플레이트의 중심부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동일 비율로 점차 더 큰 지름을 갖게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t this time, the float discharge blocking plates are formed so as to have different diameters, and are formed so as to have gradually larger diameters at the same rate as going outward from the center portion of the dam plat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분리 여액 청정도 증대형 원심 분리기에 의하면, 원심력을 이용해 고체와 액체, 또는 비중이 서로 다른 액체를 분리시켜 주는 원심 분리기의 댐 플레이트 내면 또는 상기 댐 플레이트에 천공된 여액 배수구의 일부에 경사면을 형성시키는 등 부유물 배출 억제수단을 형성 또는 설치하여, 고체와 액체로 분리를 마친 여액이 댐 플레이트에 형성된 다수의 여액 배수구를 통해 배수될 때, 여액 속에 잔여 부유물이 혼입되어 배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함으로써 원심 분리기에 의해 분리된 여액의 청정도를 높일 수 있고, 또 그로 인한 원심 분리기의 처리용량과 효율 및 성능을 대폭 증가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eparation filtrate cleanliness increasing centrifugal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dam plate of the centrifugal separator which separates the solid, the liquid, or the liquid having different specific gravity by centrifugal force, When the filtrate, which has been separated into solid and liquid, is discharged through a plurality of filtrate drains formed in the dam plate, the remaining suspended matter is mixed in the filtrate and discharged The cleanliness of the filtrate separated by the centrifugal separator can be increased and the processing capacity, efficiency and performance of the resulting centrifugal separator can be greatly increased.

다시 말해 본 발명에서는 고체와 분리된 여액이 배수되는 원심 분리기의 댐 플레이트 내면 전체 또는 상기 댐 플레이트에 천공된 여액 배수구의 일부에 경사면 등과 같은 부유물 배출 억제수단을 형성 또는 설치하여 비중이 여액보다 작아 침강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부유물들이 배수되기 직전까지 원심력을 받을 수 있도록 침강 길이 및 효율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분리된 고형물들이 원심력으로 인한 미끄러짐 힘으로 부유물 배출 억제수단을 따라 외통보울을 내벽으로 흘러내리거나 또는 부유물 배출 억제수단에 걸려 외통보울의 내벽에 효과적으로 유도시켜 수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댐 플레이트에 천공된 여액 배수구들을 통해 여액이 원활히 흘러 배출되므로 댐 플레이트의 내벽 측에서 발생하던 와류현상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여액이 고형물들로부터 효과적으로 분리되어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여액의 청정도를 대폭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여액의 청정도 증대로 인한 원심 분리기 자체의 처리용량과 효율 및 성능을 대폭 증가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In other wor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a floating substance discharge suppressing means such as an inclined surface is formed or installed on the entire inner surface of the dam plate of the centrifugal separator in which the filtrate separated from the solid is drained or a part of the filtrate discharge hole drilled in the dam plate, The sedimentation length and efficiency are increased so as to receive the centrifugal force just before the floating matters are drained, and at the same time, the separated solids are caused to flow downward to the inner wall along the float discharge suppressing means by the slip force due to the centrifugal force Or float discharge suppressing means to be effectively guided to the inner wall of the outer barrel so that the filtrate can be smoothly flowed out through the filtrate drains perforated in the dam plate, thereby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the eddy phenomenon occurring on the inner wall side of the dam plate And the filtrate is solid The cleanliness of the filtrate can be greatly increased, and the processing capacity, efficiency and performance of the centrifugal separator itself can be greatly increased due to an increase in the cleanliness of the filtrate.

도 1은 종래 원심 분리기의 정단면도.
도 2는 도 1 중 댐 플레이트가 설치된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일실시 예가 적용된 원심 분리기의 정단면도.
도 4의 (a)(b)는 본 발명의 제 1 일시 예에 따른 댐 플레이트의 배면 사시도 및 단면도.
도 5의 (a)(b)는 본 발명의 제 2 일시 예에 따른 댐 플레이트의 배면 사시도 및 단면도.
도 6의 (a)~(c)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댐 플레이트의 단면도.
도 7의 (a)(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댐 플레이트의 단면도.
1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centrifugal separator.
Fig. 2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of a portion where the dam plate is installed in Fig. 1; Fig.
3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a centrifugal separator to which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4 (a) and 4 (b) are a rear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dam plate according to a first temporary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5 (a) and 5 (b) are a rear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dam plate according to a second temporary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6 (a) to 6 (c) are sectional views of a dam plate for explain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 and 7 (b) are sectional views of a dam plate for explain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ir operation and effec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며, 또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or words used herein are not to be construed in an ordinary sense or a dictionary, and that the inventor can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a term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possible wa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일실시 예가 적용된 원심 분리기의 정단면도를 타낸 것이고, 도 4의 (a)(b)는 본 발명의 제 1 일시 예에 따른 댐 플레이트의 배면 사시도 및 단면도를 타낸 것이다.FIG. 3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a centrifugal separator to which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S. 4A and 4B are a rear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dam plate according to a first temporary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

또한, 도 5의 (a)(b)는 본 발명의 제 2 일시 예에 따른 댐 플레이트의 배면 사시도 및 단면도를 타낸 것이고, 도 6의 (a)~(c)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댐 플레이트의 단면도를 타낸 것이며, 도 7의 (a)(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댐 플레이트의 단면도를 타낸 것이다.5 (a) and 5 (b) show a rear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dam plate according to a second temporal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6 (a) FIG. 7A and FIG. 7B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dam plate for explain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외부 회전체인 외통보울(1)과, 내부 회전체인 스크류(2)와, 이들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3)와, 상기 외통보울(1)과 스크류(2)를 커버하며 여액과 케익(슬러지)을 분리 배출하도록 일단부에는 복수의 여액 배수구(431)가 구비된 댐 플레이트(43)와 여액 배출구(41)가 설치되고, 슬러지 케익 토출구(11)들이 형성된 타단부에는 슬러지 케익 배출구(42)가 설치된 외부 케이싱(4)으로 구성된 원심 분리기에 있어서,A driving motor 3 for driving the outer barrel 1 and the inner rotor 2; a screw 2 covering the outer barrel 1 and the screw 2; A dam plate 43 having a plurality of filtrate draining ports 431 and a filtrate discharging port 41 are provided at one end and a sludge cake outlet 42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where sludge cake discharging ports 11 are formed, And an outer casing (4)

상기 댐 플레이트(43)의 내면 또는 상기 댐 플레이트(43)에 형성된 여액 배수구(431)의 일부에 고형물과의 마찰 또는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주어 외통보울(1) 내에서 분리된 고형물들이 여액에 혼입되어 여액 배수구(431)를 따라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외통보울(1) 내벽 측으로 흘러내리거나 자체에 걸려지도록 하는 부유물 배출 억제수단(44)을 더 형성 또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friction or contact area with the solid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am plate 43 or a part of the filtrate outlet 431 formed in the dam plate 43 to separate the solids separated in the outer tube bowl 1 into the filtrate (44) for discharging the water to the inner wall side of the outer tube (1) without being discharged outside along the filtrate drain port (431) or hanging itself.

이때, 상기 부유물 배출 억제수단(44)의 제 1 실시 예는,At this time,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suspended particulate emission suppressing means 44,

상기 댐 플레이트(43)에 형성된 여액 배수구(431)들의 내면 중간부에서 댐 플레이트(43)의 내면 및 외주면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시킨 경사 배수구(4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n inclined drain hole 441 inclined toward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am plate 43 in the middl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ltrate drains 431 formed in the dam plate 43.

또, 상기 부유물 배출 억제수단(44)의 제 2 실시 예는,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suspended matter discharge suppressing means 44,

상기 댐 플레이트(43)에 형성된 여액 배수구(431)들의 외측 단부에서 상기 댐 플레이트(43)의 외주면 사이의 내면 전체가 경사지게 일체로 형성시킨 깔때기형 경사면(4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funnel-shaped inclined surface 442 formed integrally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am plate 43 at an outer end of the filtrate drains 431 formed in the dam plate 43 so as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entire inner surface.

또한, 상기 부유물 배출 억제수단(44)의 제 3 실시 예는,Further,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suspended-matter discharge suppressing means 44,

상기 댐 플레이트(43)에 형성된 여액 배수구(431)들의 외측 단부에서 상기 댐 플레이트(43)의 외주면 사이의 내면 전체가 경사짐과 동시에 다수의 계단 또는 톱니 또는 삼각형 중 어느 한 형상을 갖는 복수의 부유물 걸림면(443-1)이 일체로 구비된 다단 경사부(4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ntire inner surface between the outer end of the filtrate outlet 431 formed in the dam plate 43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am plate 43 is inclined and a plurality of floats having a plurality of steps, And a multi-step inclined portion 443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engagement surface 443-1.

또, 상기 부유물 배출 억제수단(44)의 제 4 실시 예는,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suspended-matter discharge suppressing means 44,

상기 댐 플레이트(43)에 형성된 여액 배수구(431)들의 외측과 댐 플레이트(43)의 외주면 사이의 댐 플레이트(43) 내면에서 직각방향으로 정해진 간격을 두고 일체로 형성 또는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복수의 부유물 배출 차단판(4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am plate 43 has a plurality of filtration openings 43a formed integrally or detachably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am plate 43 between the outer side of the filtrate drains 431 formed in the dam plate 43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am plate 43 And a float discharge blocking plate (434).

이때, 상기 부유물 배출 차단판(434)들은 서로 다른 지름을 갖도록 성형하되, 상기 댐 플레이트(43)의 중심부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동일 비율로 점차 더 큰 지름을 갖게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float discharge blocking plates 434 are formed to have different diameters, and are formed so as to have gradually larger diameters from the center of the dam plate 43 toward the outside.

여기서 미설명 부호 5는 배압판이고, 6은 축 지지겸 마개이다.Here, reference numeral 5 denotes a back pressure plate, and reference numeral 6 denotes a shaft support and stopper.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분리 여액 청정도 증대형 원심 분리기에 대한 작용효과를 도 3 내지 도 7의 (a)(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separation filtrate cleanliness enhancing centrifuge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7 (a) and 7 (b).

먼저, 본 발명은 공지된 원심 분리기의 외통보울(1)에 설치되어 있는 댐 플레이트(43)의 내면 또는 상기 댐 플레이트(43)에 형성된 여액 배수구(431)의 일부에 부유물 배출 억제수단(44)을 일체로 더 형성 또는 설치하여, 고형물과의 마찰 또는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주는 방식을 통해 외통보울(1) 내에서 분리된 고형물들이 여액에 혼입되어 여액 배수구(431)를 따라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고 외통보울(1) 내벽 측으로 흘러내리거나 자체에 걸려지도록 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First of all,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spended solids discharge suppressing means 44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am plate 43 provided in the outer cylinder bowl 1 of a known centrifugal separator or on a part of the filtrate discharge port 431 formed in the dam plate 43, The solids separated in the outer bowl 1 are mixed with the filtrate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along the filtrate outlet 431 through a method of increasing the friction or contact area with the solids So that it is suppressed as much as possible and flows down to the inner wall side of the outer barrel (1) or is caught by itself.

이때, 공지된 원심 분리기는 종래의 원심 분리기와 마찬가지로 외부 회전체인 외통보울(1)과, 내부 회전체인 스크류(2)와, 이들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3)와, 상기 외통보울(1)과 스크류(2)를 커버하며 여액과 케익(슬러지)을 분리 배출하도록 일단부에는 복수의 여액 배수구(431)가 구비된 댐 플레이트(43)와 여액 배출구(41)가 설치되고, 슬러지 케익 토출구(11)들이 형성된 타단부에는 슬러지 케익 배출구(42)가 설치된 외부 케이싱(4)으로 구성된 형태를 갖는다.The known centrifugal separator includes an outer tube 1 as an outer rotor, a screw 2 as an inner rotor, a drive motor 3 for driving the outer tube 1, an outer tube 1, A dam plate 43 having a plurality of filtrate drains 431 and a filtrate outlet 41 are provided at one end to cover the screw 2 and separate the filtrate and the cake (sludge). The sludge cake outlet 11 are formed at the other end thereof with an outer casing 4 provided with a sludge cake outlet 42.

이와 같이 공지된 원심 분리기 중 본 발명에서는 상기 댐 플레이트(43)의 내면 또는 상기 댐 플레이트(43)에 형성된 여액 배수구(431)의 일부에 고형물과의 마찰 또는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주기 위해 부유물 배출 억제수단(44)을 더 형성 또는 설치하였는데, 이와 같은 부유물 배출 억제수단(44)으로는 다양한 형태를 제시할 수 있다.In this known centrifugal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friction or contact area with the solid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am plate 43 or a part of the filtrate outlet 431 formed in the dam plate 43, The means 44 may be further formed or installed, but various forms of such a suspended-particle discharge suppressing means 44 may be provided.

도 3 및 도 4의 (a)(b)는 상기 부유물 배출 억제수단(44)에 대한 제 1 실시 예를 적용한 원심 분리기의 정단면 및 상기 부유물 배출 억제수단(44)가 일체로 구비된 상기 댐 플레이트(43)에 대한 배면 사시도 및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3 and 4 (a) and 4 (b)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centrifugal separ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rear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late 43.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서는 상기 부유물 배출 억제수단(44)으로, 상기 댐 플레이트(43)에 형성된 여액 배수구(431)들의 내면 중간부에서 댐 플레이트(43)의 내면 및 외주면을 향해 경사지게 경사 배수구(441)를 일체로 형성시킨 형태를 갖는다.According to this,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at discharge suppressing means (44) is provided at the middle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ltrate discharge ports (431) formed in the dam plate (43) toward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am plate And has an inclined drain hole 441 integrally formed thereon.

이와 같이 상기 부유물 배출 억제수단(44)으로, 상기 댐 플레이트(43)에 형성된 여액 배수구(431)들의 내면 중간부에서 댐 플레이트(43)의 내면 및 외주면을 향해 경사 배수구(441)를 경사지게 일체로 형성시켜 주게 되면, 상기 댐 플레이트(43)에 형성된 여액 배수구(431)들을 통해 여액이 배출되기 전 최종적으로 경사진 경사 배수구(441)가 외통보울(1) 내벽과 사이에서 경사진 면을 형성시켜 줌과 동시에, 고형물 및 부유물이 수면 층에서부터 고형물이 침강되어야 하는 밀착부의 거리를 좁혀 주게 된다.The slurry drainage restricting means 44 is integrally form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ltrate drains 431 formed in the dam plate 43 so as to incline the slope drainage holes 441 inclinedly toward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am plate 43 The inclined drain 441 which is finally inclined before the filtrate is discharged through the filtrate drains 431 formed in the dam plate 43 forms a sloped surface between the inner wall and the inner wall of the outer bowl 1 Simultaneously with zooming, the solids and suspended solids narrow the distance of the adhered portion from which the solids should settle from the water surface layer.

따라서, 상기 댐 플레이트(43)에 형성된 여액 배수구(431)들을 통해 배출되는 고형물들을 상기 여액 배수구(431)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경사 배수구(441)를 통해 마지막까지 침강시켜 줄 수 있어 상기 댐 플레이트(43)에 형성된 여액 배수구(431)들을 통해 배출되는 고형물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고형물의 회수율을 대폭 증가시켜 줄 수 있다.Accordingly, the solids discharged through the filtrate drains 431 formed in the dam plate 43 can be finally settled through the inclined drains 441 integrally formed in the filtrate drains 431,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amount of solid matter discharged through the filtrate drains 431 formed in the filtrate tank 43, thereby greatly increasing the recovery rate of the solid matter.

또한, 도 5의 (a)(b)는 본 발명의 제 2 일시 예에 따른 댐 플레이트의 배면 사시도 및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서는 상기 부유물 배출 억제수단(44)으로, 상기 댐 플레이트(43)에 형성된 여액 배수구(431)들의 외측 단부에서 상기 댐 플레이트(43)의 외주면 사이의 내면 전체가 경사진 깔때기형 경사면(442)을 일체로 형성시킨 형태를 갖는다.5 (a) and 5 (b) show a rear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dam plat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aped funnel slope 442 formed integrally with the outer periphery of the dam plate 43 at the outer end of the filtrate drains 431 formed in the dam plate 43. [

이와 같이 상기 부유물 배출 억제수단(44)으로, 상기 댐 플레이트(43)에 형성된 여액 배수구(431)들의 외측 단부에서 댐 플레이트(43)의 외주면 사이의 내면 전체에 경사진 깔때기형 경사면(442)을 일체로 형성시켜 주게 되면, 비중이 여액보다 작아 침강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부유물들이 상기 댐 플레이트(43)의 여액 배수구(431)들을 통해 배수되기 직전까지 원심력을 받을 수 있으므로 부유물들에 대한 침강 길이 및 효율을 증가시켜 줄 수 있다.Thus, the float discharge suppressing means 44 is provided with a funnel-shaped inclined surface 442 inclined over the entire inner surface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dam plates 43 at the outer ends of the filtrate drains 431 formed in the dam plate 43 Since the suspended solids having a specific gravity smaller than that of the filtrate can not receive centrifugal force until they are drained through the filtrate drains 431 of the dam plate 43, The efficiency can be increased.

이와 동시에, 분리된 고형물들이 원심력으로 인한 미끄러짐 힘으로 상기 깔때기형 경사면(442)을 따라 외통보울(1) 내벽으로 흘러내리거나 또는 상기 깔때기형 경사면(442)에 걸려 외통보울의 내벽에 효과적으로 유도시켜 수집할 수 있음에 따라 상기 댐 플레이트(43)에 형성된 여액 배수구(431)들을 통해 배출되는 고형물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고형물의 회수율을 대폭 증가시켜 줄 수 있는 것이다.At the same time, the separated solids flow down to the inner wall of the outer barrel 1 along the funnel-shaped inclined surface 442 with a sliding force due to the centrifugal force, or are effectively guided to the inner wall of the outer barrel by being caught by the funnel-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amount of solids discharged through the filtrate drains 431 formed in the dam plate 43, thereby greatly increasing the recovery rate of the solids.

한편, 도 6의 (a)~(c)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댐 플레이트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서는 상기 부유물 배출 억제수단(44)으로, 상기 댐 플레이트(43)에 형성된 여액 배수구(431)들의 외측 단부에서 상기 댐 플레이트(43)의 외주면 사이의 내면 전체가 경사짐과 동시에 복수의 부유물 걸림면(443-1)이 다수의 계단 또는 톱니 또는 삼각형 중 어느 한 형상을 갖는 다단 경사부(443)가 일체로 구비된 형태를 갖는다.6 (a) to 6 (c)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dam plate for explain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tire inner surface between the outer end of the filtrate drains 431 formed in the dam plate 43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am plate 43 is inclined and a plurality of suspended solids 443-1 A stepped portion or a multi-stepped inclined portion 443 having either a saw tooth or a triangular shape is integrally provided.

이와 같이 상기 부유물 배출 억제수단(44)으로, 상기 댐 플레이트(43)의 여액 배수구(431)들 외측 단부에서 댐 플레이트(43)의 외주면 사이의 내면 전체가 경사짐과 동시에 다수의 계단 또는 톱니 또는 삼각형 중 어느 한 형상을 갖는 복수의 부유물 걸림면(443-1)이 일체로 구비된 다단 경사부(443)를 형성시켜 주게 되면, 비중이 여액보다 작아 침강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부유물들이 상기 댐 플레이트(43)의 여액 배수구(431)들을 통해 배수되기 직전까지 원심력을 받을 수 있으므로 다수의 계단 또는 톱니 또는 삼각형 중 어느 한 형상을 갖는 복수의 부유물 걸림면(443-1)이 일체로 구비된 다단 경사부(443)를 통해 부유물들에 대한 침강 길이 및 효율을 더욱 증가시켜 줄 수 있다.The float discharge restraining means 44 slopes the entire inner surface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dam plates 43 at the outer end of the filtrate drains 431 of the dam plate 43, A plurality of floatation retaining surfaces 443-1 having any one of the triangular shapes are formed integrally with the dam plate 443. If the floating masses are smaller than the filtrate, Since the centrifugal force can be received until just before being drained through the filtrate drains 431 of the filtrate outlet 43 of the filtration tank 43, a plurality of float retaining surfaces 443-1 hav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steps, So that the sedimentation length and efficiency of the floats can be further increased.

이와 동시에, 분리된 고형물들이 원심력으로 인한 미끄러짐 힘으로 다단 경사부(443)의 부유물 걸림면(443-1)들에 의해 걸려진 다음 이들 부유물 걸림면(443-1)들을 따라 외통보울(1)의 내벽으로 흘러내려 외통보울의 내벽에 효과적으로 유도되어 수집됨에 따라 상기 댐 플레이트(43)에 형성된 여액 배수구(431)들을 통해 배출되는 고형물의 양을 다단 경사부(443)들이 최소화해 주게 됨은 물론 이로 인해 고형물의 회수율을 대폭 증가시켜 줄 수 있는 것이다.At the same time, the separated solids are caught by the floating suspending surfaces 443-1 of the multi-tilted portion 443 with a sliding force due to the centrifugal force, and then the floating barrel 1 is lifted along the floating suspension surfaces 443-1. The amount of the solid discharged through the filtrate drains 431 formed in the dam plate 43 is minimized by the multistage slope parts 443, Thereby greatly increasing the recovery rate of the solids.

또, 도 7의 (a)(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댐 플레이트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서는 상기 부유물 배출 억제수단(44)으로, 상기 댐 플레이트(43)에 형성된 여액 배수구(431)들의 외측과 댐 플레이트(43)의 외주면 사이의 댐 플레이트(43) 내면에서 직각방향으로 복수의 부유물 배출 차단판(434)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일체로 형성 또는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형태를 갖는다.7 (a) and 7 (b)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dam plate for explain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float discharge blocking plates 434 are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am plate 43 between the outer side of the filtrate drains 431 formed in the dam plate 43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am plate 43 And is integrally formed or detachably installed.

이때, 상기 부유물 배출 차단판(434)들은 서로 다른 지름을 갖도록 성형하되, 상기 댐 플레이트(43)의 중심부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동일 비율로 점차 더 큰 지름을 갖도록 성형한 형태를 갖는다.At this time, the suspended solids discharge blocking plates 434 are formed to have different diameters, and are formed so as to have gradually larger diameters at the same rate as going outward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dam plate 43.

이와 같이 상기 부유물 배출 억제수단(44)으로 상기 댐 플레이트(43)의 중심부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동일 비율로 점차 더 큰 지름을 갖는 복수의 부유물 배출 차단판(434)을 상기 댐 플레이트(43)에 형성된 여액 배수구(431)들의 외측과 댐 플레이트(43)의 외주면 사이의 댐 플레이트(43) 내면에서 직각방향으로 정해진 간격을 두고 일체로 형성 또는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게 되면, 비중이 여액보다 작아 침강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부유물들이 상기 댐 플레이트(43)의 여액 배수구(431)들을 통해 배수되기 직전까지 원심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서로 다른 지름을 갖는 부유물 배출 차단판(434)들 사이에 형성된 각각의 공간부로 부유물들이 유입되어 침강되는 형태를 갖는다.As described above, the suspended matters discharge blocking plate 434, which is gradually larger in diameter from the center of the dam plate 43 toward the outer side, If the damper plate 43 is integrally formed or detachably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am plate 43 between the outer side of the filtrate drains 431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am plate 43, The suspended solids can be subjected to centrifugal force until they are drained through the filtrate drains 431 of the dam plate 43. Therefore, the suspended solids can be separated into the respective spaces formed between the suspended solids discharge blocking plates 434 having different diameters So that it has a form to be settled.

이와 동시에, 분리된 고형물들이 원심력으로 인한 미끄러짐 힘으로 부유물 배출 차단판(434)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로 유입된 후 침강된 부유물들이 부유물 배출 차단판(434)들을 따라 외통보울(1)의 내벽 측으로 흘러내려 외통보울의 내벽에 효과적으로 유도되어 수집됨에 따라 상기 댐 플레이트(43)에 형성된 여액 배수구(431)들을 통해 배출되는 고형물의 양을 부유물 배출 차단판(434)들이 최소화해 주게 됨은 물론 이로 인해 고형물의 회수율을 대폭 증가시켜 줄 수 있는 것이다.At the same time, the separated solids flow into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float discharge blocking plates 434 by the sliding force due to the centrifugal force, and then the suspended floats are moved along the float discharge blocking plates 434 toward the inner wall side of the outer container 1 The float discharge blocking plates 434 minimize the amount of solids discharged through the filtrate drains 431 formed in the dam plate 43 as a result of being effectively guided and collected on the inner wall of the outer bowl, The recovery rate can be greatly increas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원심 분리기의 댐 플레이트(43) 내면 또는 상기 댐 플레이트(43)에 천공된 여액 배수구(431)의 일부에 경사면을 형성시키는 등 부유물 배출 억제수단(44)을형성 또는 설치하여 줌으로써 상기 댐 플레이트(43)에 천공된 여액 배수구(431)들을 통해 여액이 원활히 흘러 배출되므로 댐 플레이트(43)의 내벽 측에서 발생하던 와류현상 발생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액 속에 잔여 부유물이 혼입되어 배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or installing the float discharge suppressing means 44 such as forming an inclined surfac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am plate 43 of the centrifugal separator or a part of the filtrate drainage hole 431 formed in the dam plate 43 Since the filtrate flows smoothly through the filtrate drains 431 formed in the dam plate 43,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swirling phenomenon occurring on the inner wall side of the dam plate 43,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ischarge.

따라서, 여액이 고형물들로부터 효과적으로 분리되어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여액의 청정도를 대폭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여액의 청정도 증대로 인한 원심 분리기 자체의 처리용량과 효율 및 성능을 대폭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since the filtrate can be effectively separated and discharged from the solids, the cleanliness of the filtrate can be greatly increased, and the treatment capacity, efficiency and performance of the centrifuge itself can be greatly increased due to an increase in the cleanliness of the filtrate.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한 실시 예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for illustrative purpose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Which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 : 외통보울 11 : 슬러지 케익 토출구
2 : 스크류
3 : 구동모터
4 : 외부 케이싱
41 : 여액 배출구 42 : 슬러지 케익 배출구
43 : 댐 플레이트 431 : 여액 배수구
44 : 부유물 배출 억제수단
441 : 경사 배수구 442 : 깔때기형 경사면
443 : 다단 경사부 443-1 : 부유물 걸림면
444 : 부유물 배출 차단판
5 : 배압판
6 : 축 지지겸 마개
1: outer tube 11: sludge cake outlet
2: Screw
3: Driving motor
4: External casing
41: filtrate outlet 42: sludge cake outlet
43: Dam plate 431: Filtrate outlet
44: Float suppression means
441: slope drain 442: funnel slope
443: Multi-step inclined portion 443-1: Suspension surface
444: Float discharge plate
5: back pressure plate
6: Shaft support and stopper

Claims (6)

외부 회전체인 외통보울과, 내부 회전체인 스크류와, 이들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외통보울과 스크류를 커버하며 여액과 케익(슬러지)을 분리 배출하도록 일단부에는 복수의 여액 배수구가 구비된 댐 플레이트와 여액 배출구가 설치되고, 슬러지 케익 토출구들이 형성된 타단부에는 슬러지 케익 배출구가 설치된 외부 케이싱으로 구성된 원심 분리기에 있어서,
상기 댐 플레이트의 내면 또는 상기 댐 플레이트에 형성된 여액 배수구의 일부에 고형물과의 마찰 또는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주어 외통보울 내에서 분리된 고형물들이 여액에 혼입되어 여액 배수구를 따라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외통보울 내벽 측으로 흘러내리거나 자체에 걸려지도록 하는 부유물 배출 억제수단을 더 형성하되,
상기 부유물 배출 억제수단은,
상기 댐 플레이트에 형성된 여액 배수구들의 외측 단부에서 상기 댐 플레이트의 외주면 사이의 내면 전체가 경사지게 일체로 형성시킨 깔때기형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여액 청정도 증대형 원심 분리기.
A plurality of filtrate draining holes are provided at one end for separating and discharging the filtrate and the cake (sludge) covering the outer tube and the screw, a drive motor for driving them, A centrifugal separator comprising a dam plate and a filtrate discharge port, and an outer casing provided with a sludge cake outlet at the other end where sludge cake discharging ports are formed,
The friction or contact area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dam plate and the portion of the filtrate outlet formed in the dam plate is increased so that the solids separated in the outer tube bowl are mixed into the filtrate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along the filtrate outlet, Further comprising a suspending and discharging restraining means for allowing the suspending member to flow down to the inner wall side or to be caught by itself,
Wherein the float discharge suppressing means comprises:
And a funnel-shaped inclined surface formed integrally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dam plate at an outer end of the dam plate to define a funnel-shaped inclined surfa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외부 회전체인 외통보울과, 내부 회전체인 스크류와, 이들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외통보울과 스크류를 커버하며 여액과 케익(슬러지)을 분리 배출하도록 일단부에는 복수의 여액 배수구가 구비된 댐 플레이트와 여액 배출구가 설치되고, 슬러지 케익 토출구들이 형성된 타단부에는 슬러지 케익 배출구가 설치된 외부 케이싱으로 구성된 원심 분리기에 있어서,
상기 댐 플레이트의 내면 또는 상기 댐 플레이트에 형성된 여액 배수구의 일부에 고형물과의 마찰 또는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주어 외통보울 내에서 분리된 고형물들이 여액에 혼입되어 여액 배수구를 따라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외통보울 내벽 측으로 흘러내리거나 자체에 걸려지도록 하는 부유물 배출 억제수단을 더 형성 또는 설치하되,
상기 부유물 배출 억제수단은,
상기 댐 플레이트에 형성된 여액 배수구들의 외측과 댐 플레이트의 외주면 사이의 댐 플레이트 내면에서 직각방향으로 정해진 간격을 두고 일체로 형성 또는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복수의 부유물 배출 차단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여액 청정도 증대형 원심 분리기.
A plurality of filtrate draining holes are provided at one end for separating and discharging the filtrate and the cake (sludge) covering the outer tube and the screw, a drive motor for driving them, A centrifugal separator comprising a dam plate and a filtrate discharge port, and an outer casing provided with a sludge cake outlet at the other end where sludge cake discharging ports are formed,
The friction or contact area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dam plate and the portion of the filtrate outlet formed in the dam plate is increased so that the solids separated in the outer tube bowl are mixed into the filtrate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along the filtrate outlet, Further comprising means for forming or installing suspended matter discharge suppressing means for allowing the suspended matter to flow down to the inner wall side or to be caught by itself,
Wherein the float discharge suppressing means comprises:
And a plurality of float discharge blocking plates integrally formed or detachably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am plate between the outer side of the filtrate drains formed in the dam plate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am plate. The filtrate cleanliness increasing type centrifug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부유물 배출 차단판들은,
서로 다른 지름을 갖도록 성형하되, 상기 댐 플레이트의 중심부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동일 비율로 점차 더 큰 지름을 갖게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여액 청정도 증대형 원심 분리기.
The method of claim 5,
The float discharge shutoff plates
The centrifugal separat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centrifugal separator is formed so as to have different diameters such that the diameter of the centrifugal separator gradually increases toward the outer side from the center of the dam plate.
KR1020170057915A 2017-05-10 2017-05-10 Separation filtrate cleanliness increase type centrifuge Active KR1017964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7915A KR101796454B1 (en) 2017-05-10 2017-05-10 Separation filtrate cleanliness increase type centrifu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7915A KR101796454B1 (en) 2017-05-10 2017-05-10 Separation filtrate cleanliness increase type centrifu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6454B1 true KR101796454B1 (en) 2017-11-13

Family

ID=60386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7915A Active KR101796454B1 (en) 2017-05-10 2017-05-10 Separation filtrate cleanliness increase type centrifu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645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2628B1 (en) 2018-12-19 2019-06-04 윤창진 Energy-saving centrifuge using efficient filtrate output
KR102362382B1 (en) * 2021-08-13 2022-02-14 한국환경기계주식회사 Adulteration disposal equipment advanced filtering and dehydrating performan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09764B2 (en) * 2007-12-06 2012-08-22 巴工業株式会社 Horizontal centrifuge and dam forming member
WO2014068872A1 (en) * 2012-11-02 2014-05-08 Tomoe Engineering Co., Ltd. Centrifugal separator equipped with separated liquid jet nozz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09764B2 (en) * 2007-12-06 2012-08-22 巴工業株式会社 Horizontal centrifuge and dam forming member
WO2014068872A1 (en) * 2012-11-02 2014-05-08 Tomoe Engineering Co., Ltd. Centrifugal separator equipped with separated liquid jet nozz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2628B1 (en) 2018-12-19 2019-06-04 윤창진 Energy-saving centrifuge using efficient filtrate output
KR102362382B1 (en) * 2021-08-13 2022-02-14 한국환경기계주식회사 Adulteration disposal equipment advanced filtering and dehydrating performan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47962A (en) Separation of components of a fluid mixture
KR101206938B1 (en) Apparatus for removing solids
KR20090051848A (en) Centrifugal dehydrator for livestock sediment sludge dewatering
KR20160125226A (en) Centrifugal separator and method for sludge separating using the same
JP2008246282A (en) Muddy water purifying separator
EP3180100B1 (en) Ring grit remover
KR101796454B1 (en) Separation filtrate cleanliness increase type centrifuge
KR100751534B1 (en) Continuous sedimentation filtration initial excellent treatment device
KR101425025B1 (en) High Efficiency Dewatering Decanter Centrifuge to improve Dewaterablity
JP6038717B2 (en) Sand settling device
KR101422567B1 (en) Centrifugal separator comprising outlet
KR102421273B1 (en) Sedimentation tank for increasing separation efficiency of suspended solids
JP4745526B2 (en) Separator plate centrifuge and separator plate used therefor
KR200220590Y1 (en) Sewage treatment centrifuge with separation of suspended solids
US6997328B2 (en) Grit removal assemblies
KR100537798B1 (en) Apparatus for removal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using a hydrodynamic filter separator
JP7083650B2 (en) Solid-liquid separator
RU88292U1 (en) FILTERING CENTRIFUGE
KR101889663B1 (en) Circular Type Thickener
JP2009090268A (en) Cyclone type filter device
KR102287744B1 (en) Decanter centrifuge with efficient raw water input function
JP2000246012A (en) Solid-liquid separator
RU2179893C2 (en) Centrifuge
JP2004358393A (en) Upper layer solid matter refluxing type screw conveyer centrifugal dewatering apparatus
KR20190126510A (en) Fine particle separator in water o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1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7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1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11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