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6421B1 - 막재 개폐 및 텐션을 위한 케이블 정착장치 그리고 이를 적용한 케이블-막 개폐식 지붕구조시스템 - Google Patents
막재 개폐 및 텐션을 위한 케이블 정착장치 그리고 이를 적용한 케이블-막 개폐식 지붕구조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96421B1 KR101796421B1 KR1020170078763A KR20170078763A KR101796421B1 KR 101796421 B1 KR101796421 B1 KR 101796421B1 KR 1020170078763 A KR1020170078763 A KR 1020170078763A KR 20170078763 A KR20170078763 A KR 20170078763A KR 101796421 B1 KR101796421 B1 KR 1017964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ble
- membrane
- damper
- pusher
- pai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5
- 238000004873 anchoring Methods 0.000 title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657 fib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457 bidirec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14—Suspended roof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4—Devices or coupling-pieces designed for easy formation of adjustable loops, e.g. choker hooks; Hooks or eyes with integral parts designed to facilitate quick attachment to cables or ropes at any point, e.g. by forming lo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막재의 텐션 도입 및 케이블 정착 장치는, 케이블-막 구조물에 지지되고 내부막 접동모터와 외부막 접동모터에 각기 권취되어 폐루프 회전구동되는 내부막 트롤리 이동케이블과 외부막 트롤리 이동케이블에 이끌려 개폐가능하게 각기 설치된 내,외부막에 각기 장력을 도입하여 정착시키기 위한 막재의 텐션 도입 및 케이블 정착 장치에 있어서, 중심축에 관통된 케이블 관통공을 갖는 댐퍼 지지판과, 상기 댐퍼 지지판에 나사 결합되어 동일한 중심축상에 배치되어 있는 푸셔 하우징과, 상기 푸셔 하우징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중심축 방향으로 일정구간 왕복이동 가능도록 설치된 댐퍼 푸셔와, 상기 댐퍼 지지판과 상기 댐퍼 푸셔의 사이에 배치되고 댐퍼 푸셔의 후퇴시 탄성력으로 압축된 후 복원시 유체 저항을 이용하여 댐퍼 푸셔를 서서히 이동시키는 댐퍼와, 상기 댐퍼 푸셔측에 결합되어 중심축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게 대칭적으로 설치된 한 쌍의 랙 기어와, 상기 푸셔 하우징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랙 기어에 이맞물림된 한 쌍의 피니언 기어와, 한 쌍의 피니언 기어의 각기 기어축에 일체로 고정되어 댐퍼 푸셔의 후퇴시 기어축을 중심으로 벌어지고 댐퍼 푸셔의 원위치 복귀시 서서히 닫힘 회동하여 케이블 정착용 스톱퍼를 멈춤시키는 한 쌍의 텐션 케이블 그립;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막재의 텐션 도입 및 케이블 정착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일부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종단면도로서 내,외부막 이동케이블이 정착된 상태도.
도 4a는 도 3에서 케이블 정착용 스톱퍼가 후크를 벌리고 진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b는 도 3에서 댐퍼 푸셔를 후퇴시킨 후 케이블 정착용 스톱퍼가 후크의 걸림에서 벗어나는 동작을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붕 개폐 시스템에 있어 케이블-막 구조물 및 내,외부막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a는 도 5에서 일부분을 나타낸 지붕 개폐 시스템의 구성도.
도 6b는 도 6a에서 막재의 텐션 도입 및 케이블 정착 장치가 설치된 부분의 확대도.
도 7은 도 6a에 설치된 트롤리 장치 부분의 일부사시도.
도 8은 도 6a에서 내,외부막의 접힘 동작시 트롤리의 동작상태도.
도 9는 도 6의 A-A선 또는 B-B선에서 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내,외부막 트롤리 이동케이블의 구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12: 메인포스트
14: 센터링
16: 서브포스트
18: 내부막 상부 주케이블
20: 내부막 하부 주케이블
22: 외부막 상부 주케이블
24: 외부막 하부 주케이블
30: 내부막 상하주케이블 연결행거
32: 내부막 트롤리
34: 내부막 트롤리 이동케이블
36: 내부막 접동모터
42: 외부막 트롤리
44: 외부막 트롤리 이동케이블
46: 외부막 접동모터
50: 인너 링 케이블
102: 윈치
104: 텐션케이블
105: 케이블 정착용 스톱퍼
110: 막재의 텐션 도입 및 케이블 정착 장치
112: 댐퍼 지지판
114: 푸셔 하우징
116: 댐퍼 푸셔
118: 댐퍼
120: 랙기어
124: 피니언 기어
Claims (6)
- 케이블-막 구조물(10)에 지지되고 내부막 접동모터(36)와 외부막 접동모터(46)에 각기 권취되어 폐루프 회전구동되는 내부막 트롤리 이동케이블(34)과 외부막 트롤리 이동케이블(44)에 이끌려 개폐가능하게 각기 설치된 내,외부막(500,510)에 각기 장력을 도입하여 정착시키기 위한 막재의 텐션 도입 및 케이블 정착 장치(110)에 있어서,
중심축(X)에 관통된 케이블 관통공(112a)을 갖는 댐퍼 지지판(112)과;
상기 댐퍼 지지판(112)에 나사 결합되어 동일한 중심축(X)상에 배치되어 있는 푸셔 하우징(114)과;
상기 푸셔 하우징(114)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중심축(X) 방향으로 일정구간 왕복이동 가능도록 설치된 댐퍼 푸셔(116)와;
상기 댐퍼 지지판(112)과 상기 댐퍼 푸셔(116)의 사이에 배치되고 댐퍼 푸셔(116)의 후퇴시 탄성력으로 압축된 후 복원시 유체 저항을 이용하여 댐퍼 푸셔(116)를 서서히 이동시키는 댐퍼(118)와;
상기 댐퍼 푸셔(116)측에 결합되어 중심축(X)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게 대칭적으로 설치된 한 쌍의 랙 기어(120)와;
상기 푸셔 하우징(114)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랙 기어(120)에 이맞물림된 한 쌍의 피니언 기어(124)와;
한 쌍의 피니언 기어(124)의 각기 기어축(125)상에 일체로 고정되어 댐퍼 푸셔(116)의 후퇴시 기어축(125)을 중심으로 벌어지고 댐퍼 푸셔(116)의 원위치 복귀시 서서히 닫힘 회동하여 내부막 트롤리 이동케이블(34)과 외부막 트롤리 이동케이블(44)에 각기 설치된 케이블 정착용 스톱퍼(105)를 멈춤시키는 한 쌍의 텐션 케이블 그립(126);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재의 텐션 도입 및 케이블 정착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텐션 케이블 그립(126)에는 각기 선단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케이블 정착용 스톱퍼(105)를 후킹하는 후크(127)와, 상기 후크(127)를 탄성복원력으로 닫힘 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힌지축(129)에 설치된 토션스프링(130)이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재의 텐션 도입 및 케이블 정착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케이블 정착장치(110)에는 기어축(125)을 설치하기 위해 상기 푸셔 하우징(114)측에 결합되어 고정된 한 쌍의 기어축 지지브라켓(122)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재의 텐션 도입 및 케이블 정착 장치. - 최외곽에 원형으로 배열되어 수직으로 입설되어 있는 메인포스트(12)와, 상기 메인포스트(12)로 에워싸진 내부 영역의 중앙 상방으로 일정 높이에 배치된 센터링(14)과, 상기 메인포스트(12)와 상기 센터링(14)의 사이에 위치되어 원형으로 배열되어져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수직으로 입설되어 있는 서브포스트(16)와, 일단이 상기 서브포스트(16)에 연결되고 타단이 메인포스트(12)에 연결된 포스트 케이블(17)과, 일단이 상기 센터링(14)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서브포스트(16)의 상단에 연결된 내부막 상부 주케이블(18)과, 나란한 한 쌍을 이루어 일단이 상기 센터링(14)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서브포스트(16)의 하단에 연결된 내부막 하부 주케이블(20)과, 일단이 상기 서브포스트(16)의 하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메인포스트(12)의 상단에 연결된 외부막 상부 주케이블(22)과, 나란한 한 쌍을 이루어 일단이 상기 서브포스트(16)의 하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메인포스트(12)의 상단에서 하방으로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고정된 외부막 하부 주케이블(24), 상기 서브포스트(16)의 하단에 연결된 인너 링 케이블(50)로 이루어진 케이블-막 구조물(10)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막 구조물(10)에는 내부막(500)의 개폐를 위해 상기 내부막 상부 주케이블(18)에 일정 간격을 두고 메달려 고정되어 내부막 하부 주케이블(20)의 밑면을 지지하는 내부막 상하주케이블 연결행거(30)와, 상기 내부막 하부 주케이블(20)의 안내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동 방향에 따라 내부막을 접동시키는 다수의 내부막 트롤리(32)와, 일단이 센터링(14)측 도르래(31)에 감김되고 타단이 서브포스트(16)측 도르래(33)에 감김됨과 동시에 다수의 내부막 트롤리(32)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어 있는 내부막 트롤리 이동케이블(34)과, 상기 서브포스트(16)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막 트롤리 이동케이블(34)을 권취휠(37)으로 권취하여 내부막(500)의 접힘과 펼침을 동작시키는 내부막 접동모터(36)가 구성되고;
상기 케이블-막 구조물(10)에는 외부막(510)의 개폐를 위해 상기 외부막 상부 주케이블(22)에 일정 간격을 두고 메달려 고정되어 외부막 하부 주케이블(24)의 밑면을 지지하는 외부막 상하주케이블 연결행거(40)와, 상기 외부막 하부 주케이블(24)의 안내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동 방향에 따라 외부막을 접동시키는 다수의 외부막 트롤리(42)와, 일단이 서브포스트(16)측 도르래(41)에 감김되고 타단이 메인포스트(12)측 도르래(43)에 감김됨과 동시에 다수의 외부막 트롤리(42)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어 있는 외부막 트롤리 이동케이블(44)과, 상기 메인포스트(12)측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막 트롤리 이동케이블(44)을 권취휠(47)로 권취하여 외부막(510)의 접힘과 펼침을 동작시키는 외부막 접동모터(46)가 포함되고;
상기 내부막(500)과 외부막(510)에 텐션을 도입하기 위해 청구항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것으로 이루어진 막재의 텐션 도입 및 케이블 정착 장치(110)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재 개폐 및 텐션을 위한 케이블 정착장치를 적용한 케이블-막 개폐식 지붕구조시스템.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막 트롤리(32)는
내부막(500)이 접합되는 트롤리 본체(321)와, 트롤리 본체(321)의 상단에 대칭적으로 위치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부막 트롤리 이동케이블(34)을 따라 구름운동하는 한 쌍의 케이블 롤러(322)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재 개폐 및 텐션을 위한 케이블 정착장치를 적용한 케이블-막 개폐식 지붕구조시스템.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막 트롤리(42)는
외부막(510)이 접합되는 트롤리 본체(421)와, 트롤리 본체(421)의 상단에 대칭적으로 위치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외부막 트롤리 이동케이블(44)을 따라 구름운동하는 한 쌍의 케이블 롤러(422)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재 개폐 및 텐션을 위한 케이블 정착장치를 적용한 케이블-막 개폐식 지붕구조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78763A KR101796421B1 (ko) | 2017-06-21 | 2017-06-21 | 막재 개폐 및 텐션을 위한 케이블 정착장치 그리고 이를 적용한 케이블-막 개폐식 지붕구조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78763A KR101796421B1 (ko) | 2017-06-21 | 2017-06-21 | 막재 개폐 및 텐션을 위한 케이블 정착장치 그리고 이를 적용한 케이블-막 개폐식 지붕구조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96421B1 true KR101796421B1 (ko) | 2017-11-16 |
Family
ID=60806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78763A Active KR101796421B1 (ko) | 2017-06-21 | 2017-06-21 | 막재 개폐 및 텐션을 위한 케이블 정착장치 그리고 이를 적용한 케이블-막 개폐식 지붕구조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96421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750780A (zh) * | 2019-01-17 | 2019-05-14 | 上海海事大学 | 一种旋转双曲面肋环型索穹顶 |
KR102189227B1 (ko) * | 2020-08-18 | 2020-12-09 |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 연성 개폐식 구조물의 윈치모터 시스템 |
KR102191881B1 (ko) * | 2020-08-18 | 2020-12-16 |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 연성 개폐식 구조물의 장력 도입을 위한 앵커링 시스템 |
KR102235409B1 (ko) * | 2021-01-29 | 2021-04-02 | 주식회사 에이맥스 | 막 구조물의 멤브레인에 대한 장력측정 및 양방향 인장장치 |
KR102383862B1 (ko) | 2021-11-15 | 2022-04-08 | 제이앤에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차양 시설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10300B2 (ja) | 1989-11-09 | 1996-06-26 | 日立造船株式会社 | 開閉式ド―ム型屋根 |
JP2796815B2 (ja) | 1988-12-10 | 1998-09-10 | 斎藤 公男 | 開閉式膜構造体における張力導入方法 |
JP2010090973A (ja) | 2008-10-07 | 2010-04-22 | Osaka Coat Rope Kk | 抜き通し型ワイヤチャック |
-
2017
- 2017-06-21 KR KR1020170078763A patent/KR101796421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796815B2 (ja) | 1988-12-10 | 1998-09-10 | 斎藤 公男 | 開閉式膜構造体における張力導入方法 |
JP2510300B2 (ja) | 1989-11-09 | 1996-06-26 | 日立造船株式会社 | 開閉式ド―ム型屋根 |
JP2010090973A (ja) | 2008-10-07 | 2010-04-22 | Osaka Coat Rope Kk | 抜き通し型ワイヤチャック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750780A (zh) * | 2019-01-17 | 2019-05-14 | 上海海事大学 | 一种旋转双曲面肋环型索穹顶 |
CN109750780B (zh) * | 2019-01-17 | 2023-10-31 | 上海海事大学 | 一种旋转双曲面肋环型索穹顶 |
KR102189227B1 (ko) * | 2020-08-18 | 2020-12-09 |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 연성 개폐식 구조물의 윈치모터 시스템 |
KR102191881B1 (ko) * | 2020-08-18 | 2020-12-16 |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 연성 개폐식 구조물의 장력 도입을 위한 앵커링 시스템 |
KR102235409B1 (ko) * | 2021-01-29 | 2021-04-02 | 주식회사 에이맥스 | 막 구조물의 멤브레인에 대한 장력측정 및 양방향 인장장치 |
KR102383862B1 (ko) | 2021-11-15 | 2022-04-08 | 제이앤에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차양 시설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96421B1 (ko) | 막재 개폐 및 텐션을 위한 케이블 정착장치 그리고 이를 적용한 케이블-막 개폐식 지붕구조시스템 | |
US7500276B2 (en) | Spa cover lifter | |
CA1054021A (en) | Standing umbrella | |
EP1871961B1 (en) | Spa cover lifter | |
KR101581193B1 (ko) | 부체식 플랩 게이트 | |
US8578524B2 (en) | Cover lifter | |
KR101514016B1 (ko) | 캐노피형 어닝 | |
EP3825507A1 (en) | Roller blind that freely opens/closes up and down | |
JP2016120745A (ja) | ホーム柵 | |
US7089989B2 (en) | Lifting folding door | |
US5307857A (en) | Balancing device for a raisable-curtain goods-handling door | |
KR101173140B1 (ko) | 캔버스 도어 | |
DE10124359C1 (de) | Hubfalttor für Garagen und dergleichen | |
CN104832076B (zh) | 一种无绳窗帘 | |
SU1737089A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крывани двери | |
US11002058B1 (en) | Mechanical mono-fold door | |
KR101761121B1 (ko) | 케이블-막을 적용한 양방향 개폐식 지붕구조시스템 | |
US2062015A (en) | Closure operator | |
KR101825329B1 (ko) | 상하요동방지 트롤리와 상,하 주케이블 타이행거를 갖는 케이블-막을 적용한 양방향 개폐식 지붕구조시스템 | |
US1713235A (en) | Portable automatically-operated opening and closing gate | |
KR20140044722A (ko) | 에어 구동식의 셔터 장치 | |
SU661098A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одъема шторных ворот | |
KR200284853Y1 (ko) | 자동사다리 | |
KR200284852Y1 (ko) | 자동사다리 | |
WO2012113815A2 (en) | Mechanism for raising and lowering a tower, and tower comprising such a mechanis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7062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2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1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11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8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