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6208B1 - Device for preventing suffocation of infant - Google Patents
Device for preventing suffocation of infa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96208B1 KR101796208B1 KR1020150110919A KR20150110919A KR101796208B1 KR 101796208 B1 KR101796208 B1 KR 101796208B1 KR 1020150110919 A KR1020150110919 A KR 1020150110919A KR 20150110919 A KR20150110919 A KR 20150110919A KR 101796208 B1 KR101796208 B1 KR 10179620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larm sound
- infant
- main body
- sound generating
- ai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06010003497 Asphyxia Disease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11321 prophylaxi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29058 respiratory gaseous ex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8000000059 Dyspne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3975 Dyspnoea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5482 malai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49 preven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69 prophylac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07 slaught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79 sof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46—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changes of posture, e.g. a fall, inclination, acceleration, gait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07—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 G08B21/0423—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detecting deviation from an expected pattern of behaviour or schedule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69—Presence detectors to detect unsafe condition, e.g. infrared sensor, microphone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영아 질식 예방 장치가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영아 질식 예방 장치는 바닥에 눕혀진 영아의 상의에 부착되는 몸체 및 상의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위치하는 몸체의 일단에 결합되어 바닥과 접촉될 때 영아가 뒤집히는 것을 방지하고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음 발생부를 포함하고, 경보음 발생부는 몸체의 일단에 결합되며 고무로 만들어지는 경보음 발생부 본체 및 바닥면과 접촉되는 경보음 발생부 본체의 일면과 이격되게 위치하는 경보음 발생부 본체의 타면에 설치되어 공기가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개구부 및 개구부의 입구에 설치되어 공기가 배출될 때 경보음이 발생되는 소리 부재를 포함하는 경보음 출력 부재를 포함하며, 경보음 발생부 본체는 경보음 발생부 본체 내부에 위치되는 공기 수용부 및 공기 수용부와 경보음 출력 부재를 연결하는 미세 공기 통로를 포함한다.An infant suffocation prevention device is provided. The infant vaginal prophylaxis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nected to one end of a body and a body which are placed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and the image attached to the image of the infant lying on the floor to prevent the infant from turning up when contacted with the floor, Wherein the alarm sound generator includes an alarm sound generator main body coupled to one end of the body and made of rubber, and an alarm sound generator disposed apart from one surface of the alarm sound generator main body in contact with the floor surface, And an alarm sound output member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including a sound source which is installed at an opening of the opening and an inlet for the air to be introduced or discharged and an alarm sound is generated when the air is discharged, An air receiving portion located inside the alarm sound generating portion main body and a fine air passage connecting the air receiving portion and the alarm sound output member .
Description
본 발명은 영아 질식 예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영아의 몸이 기울어지는 경우 경보음을 발생시키고 영아의 몸이 뒤집히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영아 질식 예방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preventing infant suffoc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for preventing infant suffocation, which generates an alarm sound when the infant's body is inclined and prevents the infant's body from turning upside down.
일반적으로, 영아의 질식사고는 영아가 몸을 뒤집거나 엎드린 상태에서 이불 또는 담요 등과 같은 침구로 인한 호흡 곤란이 일정 시간 지속되므로써 발생된다.Generally, an infant 's suffocation is caused by a period of time in which the infant suffers from dyspnea due to bedding such as a quilt or a blanket while turning over or lying down.
최근에는, 부모들이 아기의 두상이 납작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영아들을 엎드려 재우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며 이로 인해 영아의 질식 사고가 빈번해 지고 있다.In recent years, infants are often put down to sleep to prevent their parents from flattening their heads, which causes frequent infant suffocation.
특히, 부모 또는 보호자가 영아를 항상 곁에서 보호 및 감시하므로써 질식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나, 현실적으로 영아가 잠이 든 사이 다른 업무를 봐야 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될 수 있다.In particular, parents or guardians can prevent choking by protecting and monitoring the infant at all times, but it is often the case that infants often need to see other tasks while they are asleep.
이러한 현실적 어려움으로 인해 영아의 질식 가능성을 알려주는 경보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Due to this practical difficulty, an alarm device is being developed to inform the possibility of suffocation of the infant.
최근, 영아 위험 경보 장치는 다수의 센서 및 MCU를 이용하여 영아의 상태를 감지하고 영아의 상태를 부모의 휴대폰 등에 전송시킬 수 있다.In recent years, infant risk warning devices can detect infant status using a number of sensors and MCU, and can transmit the infant 's condition to a parent' s mobile phone or the like.
다만, 이러한 발명은 다수의 센서 및 MCU 등 복잡한 회로 구성에 의한 것이어서 제작 비용이 고가이고, 전원을 이용한 작동이므로 전원에 의한 영아의 감전 가능성이 있을 수 있다.However, since the invention is based on a complicated circuit configuration such as a number of sensors and an MCU, the manufacturing cost is high, and since the operation is performed using a power sourc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infant may be electrically charged by the power sour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측면은 몸체의 일단에 경보음 발생부를 결합하여 영아의 몸이 기울어질 때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영아 질식 예방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for preventing infant sickness which can generate a beep when an infant body is tilted by combining an alarm sound generating unit at one end of a body will b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공기 수용부와 경보음 출력 부재와 연결된 경고음 발생부에 의해 공기가 유입 또는 배출되어 영아의 몸이 기울어질 때 경보음을 제공할 수 있는 영아 질식 예방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fant slaughter prevention apparatus capable of providing an alarm sound when air is introduced or discharged by an alarm receiving unit connected to an air receiving unit and an alarm sound output member to tilt the infant's body .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구획된 복수의 경보음 발생부 본체를 몸체에 결합하여 영아의 몸이 기울어 지는 위치에 관계없이 경보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영아 질식 예방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preventing infant suffocation, which can generate an alarm sound regardless of the position where the body of the infant is tilt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divided alarm sound generating unit main bodies to the body.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matter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아 질식 예방 장치는 바닥에 눕혀진 영아의 상의에 부착되는 몸체 및 상의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위치하는 몸체의 일단에 결합되어 바닥과 접촉될 때 영아가 뒤집히는 것을 방지하고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음 발생부를 포함하고, 경보음 발생부는 몸체의 일단에 결합되며 고무로 만들어지는 경보음 발생부 본체 및 바닥면과 접촉되는 경보음 발생부 본체의 일면과 이격되게 위치하는 경보음 발생부 본체의 타면에 설치되어 공기가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개구부 및 개구부의 입구에 설치되어 공기가 배출될 때 경보음이 발생되는 소리 부재를 포함하는 경보음 출력 부재를 포함하며, 경보음 발생부 본체는 경보음 발생부 본체 내부에 위치되는 공기 수용부 및 공기 수용부와 경보음 출력 부재를 연결하는 미세 공기 통로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fant vaginal prophylactic device comprising: a body attached to an image of an infant lying on a floor; a body coupled to one end of the body positioned in parallel with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mage; And an alarm sound generator for preventing an infant from turning upside down and generating an alarm sound. The alarm sound generator includes an alarm sound generator main body coupled to one end of the body and made of rubber, and an alarm sound generator main body An alarm sound output member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alarm sound generating unit main body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ne surface so as to include an opening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or discharged and a sound member installed at an entrance of the opening to generate a warning sound when air is discharged And the alarm sound generator main body includes an air receiver and an air receiver located inside the alarm sound generator, And a micro-air passage for connecting the micro-air passage.
또한, 경보음 발생부 본체는 공기 수용부가 구획되어 형성된 복수의 경보음 발생 유닛 및 복수의 경보음 발생 유닛이 연장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고, 경보음 출력 부재는 연결 유닛에 설치되어 복수의 경보음 발생 유닛 각각과 미세 공기 통로 중 하나에 연결되는 복수의 경보음 출력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alarm sound generating unit main body includes a plurality of alarm sound generating units formed by partitioning the air receiving portion and a connection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alarm sound generating units extend, and the alarm sound output member is provided in the connection unit, And a plurality of alarm sound output units connected to each of the generating units and one of the fine air passages.
삭제delete
삭제delete
또한, 경보음 발생부는, 경보음 발생부 본체로부터 바닥 방향으로 굴곡되어 연장되는 뒤집힘 방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larm sound genera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n anti-flip member extending from the alarm sound generating unit main body in a bent direction.
또한, 몸체는 경보음 발생부와 결합되는 일면에 설치되는 체결구를 포함하고, 경보음 발생부는 몸체의 체결구와 결합되는 체결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may include a fastening member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body coupled with the alarm sound generating unit, and the alarm sound generating unit may include a fastening protrusion coupled with a fastener of the body.
그리고, 몸체는, 제1 몸체부, 제2 몸체부 및 제1 몸체부 및 제2 몸체부를 연결하고 복수의 주름이 형성된 길이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body may include a first body portion, a second body portion, and a length adjusting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second body portion and having a plurality of wrinkles formed thereon.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details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아 질식 예방 장치에 의하면 몸체의 일단에 경보음 발생부가 결합되어 영아의 몸이 기울어질 때 경고음이 발생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infant vaginal prophylaxi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lert sound generating unit is coupled to one end of a body, and a beep sound may be generated when the infant is inclin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아 질식 예방 장치에 의하면 공기 수용부와 경보음 출력 부재와 연결된 경고음 발생부에 의해 공기가 유입 또는 배출되어 영아의 몸이 기울어질 때 경보음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infant vaginal prophylaxi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infant is inflated or discharged by the alarm sound generating unit connected to the air receiving unit and the alarm sound output member, an alarm sound may be provided when the infant is tilted have.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아 질식 예방 장치에 의하면 구획된 복수의 경보음 발생부 본체를 몸체에 결합하여 영아의 몸이 기울어 지는 위치에 관계없이 경보음이 발생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infant vaginal prophylaxi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partitioned alarm sound generator main bodies are coupled to the body, so that an alarm sound can be generated irrespective of the tilted position of the infant's body.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영아 질식 예방 장치가 영아의 상의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따른 영아 질식 예방 장치 중 영아의 흉부와 접촉되는 반대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는 도 1의 영아 질식 예방 장치의 몸체에 경고음 발생부가 결합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b는 도 1의 영아 질식 예방 장치의 몸체에 경고음 발생부가 결합되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영아 질식 예방 장치의 경보음 발생부를 잘라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아 질식 예방 장치의 경보음 발생부를 잘라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영아 질식 예방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영아 질식 예방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S. 1A and 1B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n infant vaginal breathing preven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n infant's top.
Fig. 2 is a view showing an infant side of the infant vaginal prophylaxis device according to Fig. 1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chest of infants.
FIG. 3A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warning sound generating unit is coupled to the body of the infant suction prevention apparatus of FIG. 1. FIG.
FIG. 3B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in which a warning sound generating unit is coupled to the body of the infant suction prevention apparatus of FIG.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alarm sound generating unit of the infant vaginal breathing prevention apparatus of FIG. 1;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alarm sound generating unit of the infant vaginal breathing preven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fant vaginal breathing preven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fant vaginal breathing preven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components and / or sections,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se elements, components and / or section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element or section from another element, element or section.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element, the first element or the first section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element, the second element or the second section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이루어지다(made of)"는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As used herein, the terms "comprises" and / or "made of" means that a component, step, operation, and / or element may be embodied in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 And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thereof.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in a sense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lso,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explicitly defined otherwise.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구성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구성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구성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It should also be noted that in some alternative embodiments, the functions mentioned in the configurations may occur out of order. For example, the two configurations shown in succession may in fact be performed substantially concurrently, or the configurations may sometimes be performed in reverse order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function.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영아 질식 예방 장치가 영아의 상의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영아 질식 예방 장치 중 영아의 흉부와 접촉되는 반대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fant vaginal prophylaxis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영아 질식 예방 장치(100)는 영아(1)의 상의에 설치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infant
여기서, 영아(1)는 3세 미만의 어린이로 출생 후 2년까지의 신생아기이다. Here, infant (1) is a child under 3 years old and is a neonatal period up to 2 years after birth.
즉, 영아(1)는 목에 힘을 줄 수 없거나 목에 힘을 주는 것에 무리가 있는 아기이다.That is, the infant (1) is a baby who can not give strength to the neck or gives strength to the neck.
따라서, 영아(1)가 뒤집어질 경우 침대 바닥 또는 바닥에 깔려 있는 이불 등에 의해 숨이 막히더라도 얼굴을 들 수 없어 질식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infant 1 is turned upside down, the face can not be lifted even if the infant is choked by the bedding or the bedding lying on the floor.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영아 질식 예방 장치(100)는 몸체(10)와 경보음 발생부(20)를 포함한다.Here, the infant
몸체(10)는 바닥에 눕혀진 영아(1)의 상의에 부착될 수 있다.The
여기서, 몸체(10)의 너비는 영아(1)의 흉부 너비보다 동일하거나 더 클 수 있다.Here, the width of the
상세하게는, 몸체(10)는 영아(1)의 흉부 전체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영아(1)의 상체 기울어질 경우 영아(1)의 몸을 지탱할 수 있다.In detail, the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몸체(10)에 의하면 영아(1)의 상체가 기울어질 경우 영아(1)의 몸을 지탱하고 영아(1) 몸의 뒤집힘을 예방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또한, 몸체(10)는 고정 부재(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예를 들어, 고정 부재(미도시)는 영아(1)의 상의와 결합될 수 있는 밸크로 또는 지퍼 형태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fastening member (not shown) may be in the form of a ball or zipper which can be engaged with the image of the infant 1.
즉, 고정 부재(미도시)에 의하면 몸체(10)가 영아(1)의 상의에 고정되어 영아(1)의 상체의 움직임에 의한 몸체(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In other words, according to the fixing member (not shown), the
경보음 발생부(20)는 몸체(10)의 일단에 결합된다.The
상세하게는, 경보음 발생부(20)는 영아(1)의 상의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위치하는 몸체(10)의 일단에 결합될 수 있다.In detail, the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영아 질식 예방 장치(100)는 영아(1)가 기울어질 때 몸체(10)에 의해 영아(1)의 몸을 지탱하고, 경보음 발생부(20)에 의해 영아(1) 몸의 기울어짐을 경보음을 통해 알릴 수 있다.That is, the infant
이하에서는, 몸체(10)와 경보음 발생부(20)가 결합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coupling the
도 3a는 도 1의 영아 질식 예방 장치의 몸체에 경고음 발생부가 결합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b는 도 1의 영아 질식 예방 장치의 몸체에 경고음 발생부가 결합되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3A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warning sound generating unit is coupled to the body of the infant vaginal stop apparatus of FIG. 1, and FIG. 3B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in which the warning sound generating unit is coupled to the body of the infant vaginal prevention apparatus of FIG.
본 실시예에 따른 몸체(10)는 공기 주입구(11)와 체결구(12)를 포함할 수 있다.The
공기 주입구(11)는 영아(1) 상의의 길이 방향과 수직이 되는 몸체(10)의 일면에 위치될 수 있다.The air inlet 11 may be located on one side of the
또한, 공기 주입구(11)는 몸체(10)에 공기를 주입하여 영아(1)의 몸이 기울어질 때 영아(1)의 몸을 지탱할 수 있다.The air inlet 11 can support the body of the infant 1 when the body of the infant 1 is tilted by injecting air into the
상세하게는, 몸체(10)에 공기가 없는 상태에서 영아(1)의 몸이 기울어질 경우, 몸체(10)가 영아(1)의 몸을 지탱할 수 없어 영아(1) 몸의 뒤집힘을 방지할 수 없다.In detail, when the body of the infant 1 is tilted without air in the
따라서, 공기 주입구(11)에 의해 주입된 공기에 의해 몸체(10)가 바닥에 접촉되더라도 일정 공간이 유지될 수 있다.Therefore, even if the
결국, 영아(1) 몸이 기울어질 때 몸체(10)는 몸체(10)의 일정 공간에 의해 영아(1)의 몸의 뒤집힘을 방지하여 영아의 질식을 예방할 수 있다.As a result, when the infant 1 is tilted, the
또한, 체결구(12)는 몸체(10)와 경보음 발생부(20)가 결합되는 몸체(10)의 일면에 설치될 수 있다.The
여기서, 체결구(12)는 몸체(10)의 일면에서 영아(1) 상의의 길이 방향과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삽입되는 홀이다.Here, the
또한, 경보음 발생부(20)는 체결 돌기(23)를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체결 돌기(23)는 몸체(10)의 체결구(12)와 결합될 수 있다.The
상세하게는, 체결 돌기(23)는 경보음 발생부(20)로부터 돌출되어 홀 형태의 체결구(12)와 결합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여기서, 체결 돌기(23)는 경보음 발생부(20)와 몸체(10)가 결합되는 경보음 발생부(2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이다.Here, the
한편, 몸체(10)와 경보음 발생부(20)는 몸체(10)의 일면에 위치된 제1 벨크로(13) 및 몸체(10)와 결합되는 경보음 발생부(20)의 일면에 위치된 제2 벨크로(24)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The
즉, 제1 벨크로(13)와 제2 벨크로(24)에 의해 몸체(10)와 경보음 발생부(20)가 쉽게 결합될 수 있다.That is, the
결국, 몸체(10)와 경보음 발생부(20)가 결합되어 영아(1)의 움직임에 의해 경보음 발생부(20)가 몸체(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도 4는 도 1의 영아 질식 예방 장치의 경보음 발생부를 잘라본 단면도이다.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alarm sound generating unit of the infant vaginal breathing prevention apparatus of FIG. 1;
경보음 발생부(20)는 경보음 발생부 본체(21) 및 경보음 출력 부재(22)를 포함한다.The
경보음 발생부 본체(21)는 몸체(10)의 일단에 결합된다.The alarm sound generator
상세하게는, 경보음 발생부 본체(21)는 몸체(10)와 결합되는 경보음 발생부(20)의 외벽이다.Specifically, the alarm sound generator
이 때, 경보음 발생부 본체(21)는 고무와 같이 복원력을 가지며 부드러운 재질로 구성되어 영아(1)의 몸이 기울어지는 경우 영아(1)의 몸을 지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larm sound generator
또한, 경보음 발생부 본체(21)는 공기 수용부(21a)와 미세 공기 통로(21b)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larm sound generator
공기 수용부(21a)는 경보음 발생부 본체(21)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The
상세하게는, 공기 수용부(21a)는 경보음 발생부(20)의 길이 방향으로 경보음 발생부 본체(21)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In detail, the
여기서, 공기 수용부(21a)에는 경보음 출력 부재(22)에 의해 공기가 유입되거나 배출될 수 있다.Here, air can be introduced into or discharged from the
미세 공기 통로(21b)는 경보음 발생부 본체(21) 내부에서 공기 수용부(21a)와 경보음 출력 부재(22)를 유체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The
즉, 미세 공기 통로(21b)에 의해 경보음 출력 부재(22)와 공기 수용부(21a)가 연결되어 공기 수용부(21a)의 공기가 유입되거나 배출될 수 있다.That is, the alarm
여기서, 미세 공기 통로(21b)의 너비가 작게 설치되어 공기 수용부(21a)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Here, the width of the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미세 공기 통로(21b)에 의하면 공기 수용부(21a)와 경보음 출력 부재(22)를 이동하는 공기의 속도를 증가시켜 경보음 출력 부재(22)에 의해 출력되는 경보음의 소리를 증가시킬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또한, 경보음 출력 부재(22)는 바닥면과 접촉되는 경보음 발생부 본체(21)의 일면과 이격되게 위치하는 경보음 발생부 본체(21)의 타면에 설치된다.The alarm
여기서, 경보음 출력 부재(22)는 개구부(22a) 및 소리 부재(22b)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alarm
개구부(22a)에 의하면 공기가 유입되거나 배출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상세하게는, 개구부(22a)는 미세 공기 통로(21b)에 의해 공기 수용부(21a)와 연결되어 공기 수용부(21a)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하거나, 외부의 공기가 공기 수용부(21a)로 유입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소리 부재(22b)는 개구부(22a)의 입구에 설치된다.The
여기서, 소리 부재(22b)에 의하면 공기가 개구부(22a)를 통해 배출될 때 경보음이 발생될 수 있다.Here, according to the
상세하게는, 소리 부재(22b)는 개구부(22a)를 통과하는 공기에 의해 마찰이 발생되어 경보음이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In detail, friction between the
즉, 영아(1)의 몸이 기울어질 때, 영아(1)의 몸에 의해 공기 수용부(21a)로부터 공기가 유출되며 유출된 공기와 소리 부재(22b)의 마찰에 의해 경보음 출력 부재(22)에서 경보음이 발생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body of the infant 1 is tilted, air flows out from the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영아(1) 몸의 기울어짐에 따라 경보음 발생부(20)가 바닥면에 접촉하게 되고 영아(1)의 몸의 압력에 의해 경보음 출력 부재(22)로부터 경보음이 발생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alert
결국, 본 실시예에 따른 경보음 발생부(20)에 의해 영아(1)의 몸이 기울어질 때 경보음이 발생되어 영아(1)의 몸이 뒤집히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As a result, when the body of the infant 1 is tilted by the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아 질식 예방 장치를 잘라본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fant vaginal breathing preven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영아 질식 예방 장치(200)는 몸체(10)와 경보음 발생부(220)을 포함한다.The infant vaginal prophylaxis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몸체(10)는 상기의 영아 질식 예방 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본 설명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However, the
경보음 발생부(220)는 경보음 발생부 본체(221) 및 경보음 출력 부재(22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alarm
경보음 발생부 본체(221)는 복수의 경보음 발생 유닛(2211)과 연결 유닛(2212)을 포함한다.The alarm sound generating section
복수의 경보음 발생 유닛(2211)에는 공기 수용부(2211a)가 구획되어 포함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alarm
상세하게는, 복수의 경보음 발생 유닛(2211)은 하나의 경보음 발생 유닛(2211)이 영아(1) 상의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 결합된 형태이다.More specifically, the plurality of alarm
따라서, 복수의 경보음 발생 유닛(2211) 각각에 포함된 공기 수용부(2211a)는 미세 공기 통로(2211b)에 의해 경보음 출력 부재(222)와 연결될 수 있다.Therefore, the
즉, 복수의 경보음 발생 유닛(2211)은 개별적으로 동작될 수 있고, 영아(1)가 기울어지면서 영아(1)의 몸이 누르는 위치에 관계없이 경보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That is, the plurality of alarm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경보음 발생 유닛(2211)은 바닥면을 향하여 물방울 형태로 구현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모양으로 구현될 수 있다.However, the plurality of alarm
연결 유닛(2212)에 의하면 복수의 경보음 발생 유닛(2211)이 연장되어 몸체(10)에 복수의 경보음 발생 유닛(2211)이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상세하게는, 연결 유닛(2212)은 복수의 경보음 발생 유닛(2211) 각각이 몸체(10)와 결합되는 경보음 발생부(220)의 일면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또한, 경보음 출력 부재(222)는 복수의 경보음 출력 유닛(2222)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larm
복수의 경보음 출력 유닛(2222)은 복수의 경보음 발생 유닛(2211) 각각과 연결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alarm
상세하게는, 복수의 경보음 출력 유닛(2222)은 연결 유닛(2212)에 설치되어 경보음 발생 유닛(2211) 각각과 미세 공기 통로(2211b) 중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In detail, a plurality of alarm
따라서, 복수의 경보음 출력 유닛(2222) 각각은 미세 공기 통로(221b)에 의해 공기 수용부(2211a)와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영아(1)의 기울어짐 위치와 관계없이 영아(1)의 기울어짐에 따른 경보음을 출력할 수 있다. Each of the plurality of alarm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영아 질식 예방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fant vaginal breathing preven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영아 질식 예방 장치(300)는 몸체(10)와 경보음 발생부(320)을 포함한다.The infant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몸체(10)는 상기의 영아 질식 예방 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본 설명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However, the
본 실시예에 따른 경보음 발생부(320)는 경보음 발생부 본체(321)과 경보음 출력 부재(322)를 포함하고, 가이드 부재(3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경보음 발생부 본체(321)과 경보음 출력 부재(322)는 상기의 영아 질식 예방 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본 설명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The
However, the alarm sound generating unit main body 321 and the alarm sound output member 32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infant
여기서, 뒤집힘 방지 부재(325)는 경보음 발생부 본체(321)로부터 바닥 방향으로 굴곡지어 연장될 수 있다.Here, the
따라서, 영아(1)의 몸이 기울어질 경우 경고음 출력 부재(22)로부터 경고음이 발생되고 뒤집힘 방지 부재(325)에 의해 영아(1)의 몸이 지탱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body of the infant 1 is tilted, a warning sound is generated from the alarm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뒤집힘 방지 부재(325)에 의하면 영아(1)의 몸이 기울어질 경우 영아(1)의 기울어진 몸을 지탱하여 영아(1)가 뒤집히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In other words, according to the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영아 질식 예방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fant vaginal breathing preven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영아 질식 예방 장치(400)는 몸체(410)와 경보음 발생부(20)을 포함한다.The infant vaginal prophylaxis device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경보음 발생부(20)는 상기의 영아 질식 예방 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본 설명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However, the alarm
본 실시예에 따른 몸체(410)는 제1 몸체부(411), 제2 몸체부(412) 및 길이 조절부(413)을 포함할 수 있다.The
여기서, 제1 몸체부(411)와 제2 몸체부(412)는 서로 분리되어 기능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의 편의를 위해 분리한 것에 해당한다.Here, the
또한, 제1 몸체부(411)와 제2 몸체부(412)는 상기의 영아 질식 예방 장치(100)의 몸체(10)와 동일한 기능을 하므로 이하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The
길이 조절부(413)는 제1 몸체부(411)와 제2 몸체부(412)를 연결한다.The
상세하게는, 길이 조절부(413)는 복수의 주름이 형성되어 제1 몸체부(411)와 제2 몸체부(412)를 연결할 수 있다.The
따라서, 길이 조절부(413)는 복수의 주름을 이용해 몸체(410)의 너비를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따라서, 길이 조절부(413)에 의하면 영아(1)의 흉부 너비에 적합하도록 몸체(410)의 너비를 조절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몸체(410)에 의하면 영아(1)의 출생 크기, 또는 출생 개월 수에 따라 각기 다른 영아(1) 흉부의 너비에 적합하도록 조절된 너비로 영아(1)의 흉부에 사용될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You will understand.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100, 200, 300 : 영아 질식 예방 장치
10, 410 : 몸체
11 : 공기 주입구 12 : 체결구
13 : 제1 밸크로
411 : 제1 몸체부 412 : 제2 몸체부
413 : 길이 조절부
20, 220, 320 : 경보음 발생부
21, 221, 321 : 경보음 발생부 본체
2211 : 복수의 경보음 발생 유닛 2212 : 연결유닛
21a, 2211a : 공기 수용부 21b, 2211b : 미세 공기 통로
22, 222, 322 : 경보음 출력 부재
2222 : 복수의 경보음 출력 유닛
22a, 2222a : 개구부 22b, 2222b : 소리 부재
23 : 체결돌기 24 : 제2 벨크로
325 : 뒤집힘 방지 부재
1 : 영아100, 200, 300: Infant choking preventive device
10, 410: Body
11: air inlet 12: fastener
13: 1st valve
411: first body part 412: second body part
413:
20, 220, and 320:
21, 221, 321:
2211: a plurality of alarm sound generating units 2212:
21a, 2211a:
22, 222, 322: alarm sound output member
2222: A plurality of alarm sound output units
22a, 2222a:
23: fastening projection 24: second Velcro
325:
1: Infant
Claims (7)
상기 상의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위치하는 상기 몸체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바닥과 접촉될 때 상기 영아가 뒤집히는 것을 방지하고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음 발생부; 를 포함하고,
상기 경보음 발생부는,
상기 몸체의 일단에 결합되며 고무로 만들어지는 경보음 발생부 본체; 및
상기 바닥면과 접촉되는 상기 경보음 발생부 본체의 일면과 이격되게 위치하는 상기 경보음 발생부 본체의 타면에 설치되어 공기가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의 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가 배출될 때 상기 경보음이 발생되는 소리 부재를 포함하는 경보음 출력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경보음 발생부 본체는,
상기 경보음 발생부 본체 내부에 위치되는 공기 수용부 및 상기 공기 수용부와 상기 경보음 출력 부재를 연결하는 미세 공기 통로를 포함하는 영아 질식 예방 장치.A body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infant lying on the floor; And
An alarm sound generator coupled to one end of the body positioned in parallel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mage to prevent the infant from turning up and generate an alarm when the bottom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Lt; / RTI >
Wherein the alarm sound generator comprises:
An alarm sound generator body coupled to one end of the body and made of rubber; And
An opening portion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alarm sound generating portion main body and spaced apart from one surface of the alarm sound generating portion main body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to which air is introduced or discharged, An alarm sound output member including a sound member for generating the alarm sound; / RTI >
Wherein the alarm sound generator main body comprises:
And an air receiving portion located inside the alarm sound generating portion main body and a fine air passage connecting the air receiving portion and the alarm sound output member.
상기 경보음 발생부 본체는 상기 공기 수용부가 구획되어 형성된 복수의 경보음 발생 유닛 및 상기 복수의 경보음 발생 유닛이 연장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경보음 출력 부재는 상기 연결 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경보음 발생 유닛 각각과 상기 미세 공기 통로 중 하나에 연결되는 복수의 경보음 출력 유닛을 포함하는 영아 질식 예방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larm sound generating unit main body includes a plurality of alarm sound generating units formed by partitioning the air receiving portions and a connection unit in which the plurality of alarm sound generating units extend,
Wherein the alarm sound output member includes a plurality of alarm sound output units which are installed in the connection unit and are connect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alarm sound generating units and the minute air passage.
상기 경보음 발생부는,
상기 경보음 발생부 본체로부터 상기 바닥 방향으로 굴곡되어 연장되는 뒤집힘 방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영아 질식 예방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larm sound generator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an anti-flip member extending from the alarm sound generator main body in a bent direction toward the floor.
상기 몸체는 상기 경보음 발생부와 결합되는 일면에 설치되는 체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경보음 발생부는 상기 몸체의 체결구와 결합되는 체결돌기를 포함하는 영아 질식 예방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dy includes a fastener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body coupled to the alarm sound generating unit,
Wherein the alarm sound generating unit includes a fastening protrusion coupled with a fastener of the body.
상기 몸체는,
제1 몸체부, 제2 몸체부 및 상기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2 몸체부를 연결하고 복수의 주름이 형성된 길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영아 질식 예방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And a length adjuster connecting the first body part, the second body part, and the first body part and the second body part and having a plurality of corrugation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10919A KR101796208B1 (en) | 2015-08-06 | 2015-08-06 | Device for preventing suffocation of infa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10919A KR101796208B1 (en) | 2015-08-06 | 2015-08-06 | Device for preventing suffocation of infan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17257A KR20170017257A (en) | 2017-02-15 |
KR101796208B1 true KR101796208B1 (en) | 2017-11-15 |
Family
ID=58112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10919A Active KR101796208B1 (en) | 2015-08-06 | 2015-08-06 | Device for preventing suffocation of infa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9620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30508A (en) | 2017-09-14 | 2019-03-22 | 박제중 | Device for monitoring of infant |
KR102019439B1 (en) | 2018-05-18 | 2019-09-06 |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 Face recognizing camera for infant satety management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86448A (en) * | 2000-04-07 | 2001-10-16 | M I Labs:Kk | Biological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using sealed air type sound sensor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86137B1 (en) | 2007-04-27 | 2010-10-07 | 이성일 | Infant Hazard Alarm |
KR20110073972A (en) | 2009-12-24 | 2011-06-30 |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 Infant choking accident alarm |
-
2015
- 2015-08-06 KR KR1020150110919A patent/KR10179620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86448A (en) * | 2000-04-07 | 2001-10-16 | M I Labs:Kk | Biological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using sealed air type sound sens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17257A (en) | 2017-02-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867480B2 (en) | Infant sleep pod | |
US20110113552A1 (en) | Crib bumper having a bottom securing panel and securing straps | |
US20150302721A1 (en) | Crib Having Child Monitoring System | |
KR101796208B1 (en) | Device for preventing suffocation of infant | |
US20100201524A1 (en) | Infant monitor | |
US9044103B2 (en) | Bassinets and related methods | |
US20090007337A1 (en) | Portable cushion and bumper device | |
US20090192364A1 (en) | Infant monitoring system | |
JP6199135B2 (en) | Human body support device | |
KR20090074212A (en) | Methods and systems for monitoring human posture and movement | |
KR20120113163A (en) | Humidification apparatus | |
US9549621B2 (en) | Crib mountable noise suppressor | |
KR101665916B1 (en) | Cushion preventing turning over for infant | |
US7346943B2 (en) | Combined crib and playpen assembly | |
US8925127B2 (en) | Baby crib | |
US20220015648A1 (en) | Monitoring device, sensor device, and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 person | |
KR20160028859A (en) | Safety Cradle for Preventing Suffocation | |
US7895692B1 (en) | Portable collapsible baby mattress apparatus | |
US20130340174A1 (en) | Child Sleeping Restraint | |
KR102397058B1 (en) | Safety screen | |
ES2308828T3 (en) | METHOD AND DEVICE FOR THE RECORD OF HUMAN MOBILITY DATA. | |
KR20220075752A (en) | Guard of mattress | |
WO2017165767A2 (en) | Vibration device for beds | |
KR101028579B1 (en) | Baby sleep guard | |
KR20150135811A (en) | Playing mat assembl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5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1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11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1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1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