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96189B1 - 이중편파레이더를 이용한 단일편파레이더의 반사도 보정방법 - Google Patents

이중편파레이더를 이용한 단일편파레이더의 반사도 보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6189B1
KR101796189B1 KR1020150161930A KR20150161930A KR101796189B1 KR 101796189 B1 KR101796189 B1 KR 101796189B1 KR 1020150161930 A KR1020150161930 A KR 1020150161930A KR 20150161930 A KR20150161930 A KR 20150161930A KR 101796189 B1 KR101796189 B1 KR 101796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ar
reflectivity
polarized radar
data
reflectivity dat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1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8120A (ko
Inventor
이동인
강미영
유철환
방영수
손승우
이정태
Original Assignee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61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6189B1/ko
Publication of KR20170058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8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6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618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40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 G01S7/4004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of parts of a radar system
    • G01S7/4021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of parts of a radar system of receiv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95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meteorological us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024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using polarisation effects
    • G01S2007/408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1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supporting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e.g. for weather forecasting or climate sim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일편파레이더의 반사도를 보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중편파레이더의 반사도 자료를 보정한 후 보정된 이중편파레이더의 반사도 자료와 단일편파레이더의 반사도 자료를 동일 라인 혹은 동일 도메인 상에서 상호 비교하여 산출한 편차를 단일편파레이더의 반사도 자료에 적용하여 보정하는 이중편파레이더를 이용한 단일편파레이더의 반사도 보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단일편파레이더의 반사도를 보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일편파레이더와 이중편파레이더에서 관측된 반사도 자료를 각각 획득하는 제1단계; 획득된 이중편파레이더의 반사도 자료에 대한 반사도 값을 이중편파레이더에서 관측된 반사도 자료와 차등반사도 자료와 비차등위상차 자료를 이용하여 보정하는 제2단계; 단일편파레이더와 이중편파레이더 간에 관측 고도각 차이가 가장 작은 관측 고도각에 대한 단일편파레이더의 반사도 자료와 보정된 이중편파레이더의 반사도 자료 중에서 단일편파레이더와 이중편파레이더의 사이 동일거리에 있는 동일라인 상에 존재하는 단일편파레이더의 반사도 자료의 샘플수를 개수하는 제3단계; 개수된 반사도 자료의 샘플수가 기설정된 기준샘플수보다 많으면 단일편파레이더와 이중편파레이더의 사이 동일거리에 있는 동일라인 상에 존재하는 보정된 이중편파레이더의 반사도 자료와 단일편파레이더의 반사도 자료에 대한 반사도 값을 비교하여 편차를 산출하고, 개수된 반사도 자료의 샘플수가 기설정된 기준수보다 작으면 단일편파레이더와 이중편파레이더를 포함하는 동일도메인 상에 존재하는 보정된 이중편파레이더의 반사도 자료와 단일편파레이더의 반사도 자료에 대한 반사도 값을 비교하여 편차를 산출하는 제4단계; 및 산출된 편차를 단일편파레이더의 반사도 자료에 적용하여 보정하는 제5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편파레이더를 이용한 단일편레이더의 반사도 보정방법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이중편파레이더를 이용한 단일편파레이더의 반사도 보정방법{Correction method for reflectivity of single polarization radar using dual polarization radar}
본 발명은 단일편파레이더의 반사도를 보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중편파레이더의 반사도 자료를 보정한 후 보정된 이중편파레이더의 반사도 자료와 단일편파레이더의 반사도 자료를 동일 라인 혹은 동일 도메인 상에서 상호 비교하여 산출한 편차를 단일편파레이더의 반사도 자료에 적용하여 보정하는 이중편파레이더를 이용한 단일편파레이더의 반사도 보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상레이더는 짧은 시간에 발달하는 위험기상현상을 매우 효율적으로 감시 및 예측할 수 있도록 전파를 지상으로 발사하여 구름이나 빗방울 등의 관측 목표물로부터 반사되거나 산란되어 오는 반사도를 관측하여 강우 구역과 강우 강도를 추정하는 장비이다.
이러한 기상레이더는 넓은 영역을 매우 빠른 속도로 반사도를 측정하는 이점이 있으므로 넓은 영역에 대한 강우량을 산출할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원격 기상탐사 장비 중의 하나이다.
즉, 빗방울 등의 관측 목표물로부터 반사되거나 산란되어 오는 반사도는 기상레이더에서 발사되는 펄스 볼륨 내에 존재하는 물방울의 크기분포와 관계가 있고 강우량도 물방울의 크기분포에 대한 함수이므로 반사도와 강우량과의 관계식(Z-R 관계식)을 통해 기상레이더의 반사도로부터 강우량을 추정하고 있다.
그러나 기상레이더에서 측정되는 반사도 값은 강우의 감쇠나 송신기의 캘리브레이션 에러 등에 의한 요인으로 반사도 손실이 많이 발생하면서 강우량 산출시 많은 오차를 유발한다.
특히, 단일편파레이더의 경우에는 전파를 수평방향으로만 발사하여 반사도를 관측하는 구조이므로 반사도 보정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다른 변수들이 관측되지 않아 자체 보정이 용이하지 못하여 강우량 산정에 많은 오차가 포함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단일편파레이더의 반사도 오차를 신뢰성 있게 보정하여 강우량 추정에 대한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반사도 보정 기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922128호, 2009.10.09.자 등록.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431707호, 2014.08.12.자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단일편파레이더의 반사도 값을 신뢰성 있게 보정하여 강우량 추정에 대한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중편파레이더를 이용한 단일편파레이더의 반사도 보정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발명의 명칭)는, 단일편파레이더의 반사도를 보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일편파레이더와 이중편파레이더에서 관측된 반사도 자료를 각각 획득하는 제1단계; 획득된 이중편파레이더의 반사도 자료에 대한 반사도 값을 이중편파레이더에서 관측된 반사도 자료와 차등반사도 자료 및 비차등위상차 자료를 이용하여 보정하는 제2단계; 단일편파레이더와 이중편파레이더 간에 관측 고도각 차이가 가장 작은 관측 고도각에 대한 단일편파레이더의 반사도 자료와 보정된 이중편파레이더의 반사도 자료 중에서 단일편파레이더와 이중편파레이더의 사이 동일거리에 있는 동일라인 상에 존재하는 단일편파레이더의 반사도 자료의 샘플수를 개수하는 제3단계; 개수된 반사도 자료의 샘플수가 기설정된 기준샘플수보다 많으면 단일편파레이더와 이중편파레이더의 사이 동일거리에 있는 동일라인 상에 존재하는 보정된 이중편파레이더의 반사도 자료와 단일편파레이더의 반사도 자료에 대한 반사도 값을 비교하여 편차를 산출하고, 개수된 반사도 자료의 샘플수가 기설정된 기준수보다 작으면 단일편파레이더와 이중편파레이더를 포함하는 동일도메인 상에 존재하는 보정된 이중편파레이더의 반사도 자료와 단일편파레이더의 반사도 자료에 대한 반사도 값을 비교하여 편차를 산출하는 제4단계; 및 산출된 편차를 단일편파레이더의 반사도 자료에 적용하여 보정하는 제5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편파레이더를 이용한 단일편레이더의 반사도 보정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단계는 기설정된 기준반사도 값 범위 내에 존재하고 기설정된 기준 상관계수보다 높은 차등반사도 자료에 대한 차등반사도 값을 평균하여 차등반사도 자료의 오차를 산출하는 제2a단계; 산출된 차등반사도 자료의 오차를 차등반사도 자료에 적용하여 보정하는 제2b단계; 보정된 차등반사도 자료와 반사도 자료 및 비차등위상차 자료에 일정기간 우적계에서 관측된 우적분포를 적용하여 반사도 자료의 오차를 산출하는 제2c단계; 및 산출된 반사도 자료의 오차를 획득된 이중편파레이더의 반사도 자료에 적용하여 보정하는 제2d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일편파레이더와 이중편파레이더 간에 고도각 차이가 가장 작은 고도각은 아래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학식 1>
Figure 112015112590110-pat00001
(r: 기상레이더에서 떨어진 거리, R': 지구 유효반경, H0: 기상레이더의 높이, θ: 기상레이더의 안테나 고도각)
상기 동일라인은 단일편파레이더와 이중편파레이더의 동일반경 내에서 상호 겹치는 시작방위각과 마지막방위각을 직선으로 잇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일도메인은
단일편파레이더와 이중편파레이더의 위치정보인 위경도 값에 따른 상호 간의 이격거리에 대응되게 단일편파레이더와 이중편파레이더를 각각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호 중복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반사도 자료의 보정이 가능한 이중편파레이더를 이용하여 단일편파레이더의 반사도 자료를 보다 신뢰성 있게 보정함으로써 보정된 반사도 자료를 통해 더욱 정확도 있게 강우량을 추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동일라인 상에 존재하는 보정된 이중편파레이더의 반사도 자료를 기준으로 하여 단일편파레이더의 반사도 자료를 보정하기 위한 자료처리 흐름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동일도메인 상에 존재하는 보정된 이중편파레이더의 반사도 자료를 기준으로 하여 단일편파레이더의 반사도 자료를 보정하기 위한 자료처리 흐름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비슬산레이더와 구덕산레이더 간의 동일라인을 도시한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비슬산레이더와 구덕산레이더의 빔 고도를 비교 도시한 그래프.
도 5는 도 1에 따라 구덕산레이더에서 관측된 반사도 자료의 편차와 샘플수를 시계열적으로 도시한 그래프.
도 6은 도 1에 따라 구덕산레이더의 반사도 자료의 보정 전과 후에 따른 누적레이더 강우량 분포와 지상우량을 비교 도시한 그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비슬산레이더와 구덕산레이더 간의 동일도메인을 도시한 모식도.
도 8은 도 2에 따라 구덕산레이더에서 관측된 반사도 자료의 편차와 샘플수를 시계열적으로 도시한 그래프.
도 9는 도 2에 따라 구덕산레이더의 반사도 자료의 보정 전과 후에 따른 누적레이더 강우량 분포와 지상우량을 비교 도시한 그림.
본 발명에 따른 이중편파레이더를 이용한 단일편파레이더의 반사도 보정방법은 수평방향으로 전파를 발사하여 반사도를 관측하는 단일편파레이더의 반사도 보정에 대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도록 신뢰성 있게 보정하여 강우량 추정에 대한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편파레이더를 이용한 단일편파레이더의 반사도 보정방법은 전파를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발사하여 반사도를 다른 다양한 변수들과 함께 관측하는 이중편파레이더의 반사도 자료를 기초로 단일편파레이더의 반사도 자료를 보정하는 기법에 의해 달성된다.
즉, 이중편파레이더의 반사도 자료를 보정이 가능한 다른 변수들을 이용하여 보정한 후 단일편파레이더의 반사도 자료와 보정된 이중편레이더의 반사도 자료를 동일 라인 혹은 동일 도메인에서 비교하여 상호 간의 편차를 산출한 다음 산출된 편차를 단일편파레이더의 반사도 자료에 적용하여 보정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편파레이더를 이용한 단일편파레이더의 반사도 보정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편파레이더를 이용한 단일편파레이더의 반사도 보정방법은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편파레이더와 이중편파레이더의 반사도 자료를 획득하는 제1단계, 이중편파레이더의 반사도 자료를 보정하는 제2단계, 단일편파레이더와 이중편파레이더의 동일거리에 있는 동일라인 상에 존재하는 단일편파레이더의 반사도 자료의 샘플수를 개수하는 제3단계, 동일라인 상에 존재하거나 동일도메인 상에서 존재하는 단일편파레이더와 이중편파레이더의 반사도 자료를 비교하여 편차를 산출하는 제4단계, 및 단열편파레이더의 반사도 자료에 산출된 편차를 적용하여 보정하는 제5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제1단계는 단일편파레이더와 이중편파레이더의 반사도 자료를 획득하는 단계이다.
즉, 제1단계는 보정 대상이 되는 단일편파레이더에서 관측한 반사도 자료와 보정 기준이 되는 이중편파레이더에서 관측한 반사도 자료를 각각 획득하는 과정이다.
이때 단일편파레이더와 이중편파레이더를 통해 획득한 반사도 자료는 상호 간의 편차를 구하기 위해 비교하는 것이므로 단일편파레이더와 이중편파레이더의 관측영역이 서로 겹치는 동일반경 내에 존재하는 반사도 자료만을 이용하여 비교하면 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단일편파레이더인 구덕산레이더(PSN)의 관측영역 중 설치위치를 중심으로 100㎞ 반경 내에서 관측된 반사도 자료와, 이중편파레이더인 비슬산레이더(BSL)의 관측영역 중 설치위치를 중심으로 100㎞ 반경 내에서 관측된 반사도 자료를 각각 획득하였다.
다음으로, 제2단계는 이중편파레이더의 반사도 자료를 보정하는 단계이다.
즉, 제2단계는 이중편파레이더에서 관측한 반사도 자료에 대한 반사도 값을 이중편파레이더에서 관측한 차등반사도 자료와 비차등위상차 자료 등의 다른 변수들을 이용하여 자체 보정하는 과정이다.
이때 이중편파레이더의 반사도 자료에 대한 자체 보정이 가능한 이유는 이중편파레이더의 특성상 전파를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동시에 발사하면서 반사도 자료 뿐 아니라 반사도 보정을 가능하게 하는 차등반사도 자료와 비차등위상차 자료 등을 동시에 등을 동시에 관측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제2단계는 차등반사도 자료의 오차를 산출하는 제2a단계, 산출된 편차를 차등반사도 자료에 적용하여 보정하는 제2b단계, 보정된 차등반사도 자료와 반사도 자료 및 비차등위상차 자료에 장기간 우적계에서 관측된 우적분포 자료를 적용하여 반사도 자료의 오차를 산출하는 제2c단계, 산출된 반사도 자료의 오차를 획득된 이중편파레이더의 반사도 자료에 적용하여 보정하는 제2d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강우입자가 구형인 것으로 예상되는 반사도 값과 상관관계 값을 가진 차등반사도 자료에 대한 차등반사도 값을 평균하여 차등반사도 자료에 대한 오차를 산출한 후 차등반사도 자료에 적용하여 자료를 보정한다.
그런 다음 보정된 차등반사도 자료와 반사도 자료 및 비차등위상차 자료에 장기간 동안 우적계의 우적분포 자료를 적용하여 반사도 자료의 오차를 산출한 후 획득된 이중편파레이더의 반사도 자료에 적용하여 보정한다.
이는 구형의 강우입자인 경우 차등위상차 값이 "0"이 되는 것을 이용한 것이다. 즉, 구형의 강우입자임을 나타내는 반사도 값과 상관관계 값을 가진 반사도 자료에 대한 차등위상차 값의 평균이 "0"이 아닌 경우 차등위상차 값의 오차로 보고 이에 대응되게 차등위상차 자료를 보정하는 것이다.
실시예에 따르면 비슬산레이더로부터 획득한 반사도 자료 중에서 반사도 값이 20~28dBZ이고 상관관계 값이 0.99이상에 해당되는 반사도 자료와 대응되는 차등위상차 자료의 차등위상차 값을 평균하여 차등위상차 값의 오차를 산출하였다.
다음으로, 제3단계는 단일편파레이더와 이중편파레이더의 동일거리에 있는 동일라인 상에 존재하는 단일편파레이더의 반사도 자료의 샘플수를 개수하는 단계이다.
즉, 제3단계는 단일편파레이더의 설치위치와 이중편파레이더의 설치위치 사이에 동일한 거리를 두고 직선으로 잇는 동일라인 상에 존재하는 반사도 자료의 샘플수를 개수하는 과정이다.
이때 동일라인 상에 존재하는 반사도 자료의 샘플수를 개수하는 이유는 샘플수가 상대적으로 적으면 단일편파레이더와 이중편파레이더 간에 비교할 수 있는 반사도 자료가 적어 보정에 대한 신뢰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여기서 동일라인은 단일편파레이더와 이중편파레이더의 동일반경 내에서 상호 겹치는 시작방위각과 마지막방위각을 직선으로 잇는 것이다.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덕산레이더와 비슬산레이더의 반경을 100㎞로 정하였고, 비슬산레이더가 구덕산레이더를 바라보는 방위각은 146.7도였으며, 시작방위각은 비슬산 79도이고 구덕산이 35도이었고, 마지막방위각은 비슬산이 213도이고 구덕산이 261도이었으며, 시작방위각과 마지막방위각을 직선으로 잇는 구덕산레이더의 반사도 자료의 샘플수를 개수하였다.
단, 동일라인 상에 존재하는 단일편파레이더와 이중편파레이더의 반사도 자료를 비교할 때 레이더의 고도각에 따른 오차를 최대한 줄이기 위해서는 단일편파레이더와 이중편파레이더의 고도각 중에서 오차가 가장 작은 관측 고도각에 대한 반사도 자료로 한정해야 한다.
이때 단일편파레이더와 이중편파레이더 간에 오차가 가장 작은 관측 고도각은 아래의 수학식 1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5112590110-pat00002
(r: 기상레이더에서 떨어진 거리, R': 지구 유효반경, H0: 기상레이더의 높이, θ: 기상레이더의 안테나 고도각)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덕산레이더와 비슬산레이더의 레이더빔 고도각 중에서는 구덕산레이더의 제4고도각(EL4)과 비슬산레이더의 제3고도각(EL3)이 상호 간의 고도각 차이가 가장 작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제4단계는 개수된 반사도 자료의 샘플수에 따라 단일편파레이더와 이중편파레이더 간의 동일라인 또는 동일도메인 상에 존재하는 보정된 이중편파레이더와 단일편파레이더의 반사도 자료에 대한 반사도 값을 비교하여 편차를 산출하는 단계이다.
즉, 제4단계에서는 동일라인 상에 존재하는 단일편파레이더의 반사도 자료 샘플수가 기준샘플수보다 많으면 보정에 대한 신뢰성이 보장되므로 동일라인 상에 존재하는 단일편파레이더의 반사도 자료에 대한 반사도 값을 보정된 이중편파레이더의 반사도 자료에 대한 반사도 값을 비교하여 반사도 자료의 편차를 산출하게 된다.
그리고 제4단계에서는 동일라인 상에 존재하는 단일편파레이더의 반사도 자료 샘플수가 기준샘플수보다 적으면 보정에 대한 신뢰성이 보장되지 않으므로 동일도메인 상에 존재하는 단일편파레이더의 반사도 자료에 대한 반사도 값을 보정된 이중편파레이더의 반사도 자료에 대한 반사도 값을 비교하여 반사도 자료의 편차를 산출하게 된다.
이때 동일도메인은 단일편파레이더와 이중편파레이더의 위치정보인 위경도 값에 따른 상호 간의 이격거리에 대응되게 단일편파레이더와 이중편파레이더를 각각 X좌표 방향과 Y좌표 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호 중복되는 영역인 것이다.
즉, 동일도메인은 동일라인 상에 존재하는 반사도 자료의 샘플수가 기준샘플수 보다 적으므로 비교할 수 있는 샘플수를 늘려 보정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넓은 영영에 대한 반사도 자료를 비교하기 위한 것이다.
실시예에 따르면 동일라인에 존재하는 단일편파레이더의 반사도 자료가 기준샘플수보다 많았을 때는 동일라인에 해당되는 구덕산레이더의 반사도 자료에 대한 반사도 값에서 보정된 비슬산레이더의 반사도 자료에 대한 반사도 값을 뺀 값의 평균을 구하여 편차를 산출하였고, 그 결과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았다.
그리고 동일라인에 존재하는 단일편파레이더의 반사도 자료가 기준샘플수보다 적을 때는 동일 도메인을 설정하여 반사도 편차를 산출하였다.
즉, 구덕산레이더과 비슬산레이더는 X좌표방향으로 42㎞ 떨어져 있고 Y좌표방향으로 64㎞ 떨어져 있으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덕산레이더의 경우는 -X좌표방향으로 42㎞ 확장하고 +Y좌표방향으로 64㎞ 확장하고 비슬산레이더의 경우는 +X좌표방향으로 42㎞ 확장하고 -Y좌표방향으로 64㎞ 확장하여 상호 중복되는 동일도메인을 설정하였다.
그런 다음 동일도메인에 존재하는 구덕산레이더의 반사도 자료에 대한 반사도 값에서 보정된 비슬산레이더의 반사도 자료에 대한 반사도 값을 뺀 값의 평균을 구하여 편차를 산출하였고, 그 결과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았다.
마지막으로, 제5단계는 산출된 편차를 단일편파레이더의 반사도 자료에 적용하여 보정하는 단계이다.
즉, 제5단계는 보정된 이중편파레이더의 반사도 자료를 기준으로 하여 산출된 단일편파레이더의 반사도 편차를 단일편파레이더의 반사도 자료에 적용하여 보정하는 최종 과정이다.
실시예에 따라 동일라인을 이용한 구덕산레이더의 반사도 자료의 보정한 결과를 보정 전과 비교하면 도 6과 같이 지상우량에 대한보정 결과 모두 상당히 개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동일도메인을 이용한 구덕산레이더의 반사도 자료의 보정한 결과를 보정 전과 비교하면 도 9와 같이 레이더 강우량 분포와 지상우량에 대한 보정 결과 모두 상당히 개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5)

  1. 단일편파레이더의 반사도를 보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일편파레이더와 이중편파레이더에서 관측된 반사도 자료를 각각 획득하는 제1단계;
    획득된 이중편파레이더의 반사도 자료에 대한 반사도 값을 이중편파레이더에서 관측된 차등반사도 자료와 비차등위상차 자료를 이용하여 보정하는 제2단계;
    단일편파레이더와 이중편파레이더 간에 관측 고도각 차이가 가장 작은 관측 고도각에 대한 단일편파레이더의 반사도 자료와 보정된 이중편파레이더의 반사도 자료 중에서 단일편파레이더와 이중편파레이더의 사이 동일거리에 있는 동일라인 상에 존재하는 단일편파레이더의 반사도 자료의 샘플수를 개수하는 제3단계;
    개수된 반사도 자료의 샘플수가 기설정된 기준샘플수보다 많으면 단일편파레이더와 이중편파레이더의 사이 동일거리에 있는 동일라인 상에 존재하는 보정된 이중편파레이더의 반사도 자료와 단일편파레이더의 반사도 자료에 대한 반사도 값을 비교하여 편차를 산출하고, 개수된 반사도 자료의 샘플수가 기설정된 기준수보다 작으면 단일편파레이더와 이중편파레이더를 포함하는 동일도메인 상에 존재하는 보정된 이중편파레이더의 반사도 자료와 단일편파레이더의 반사도 자료에 대한 반사도 값을 비교하여 편차를 산출하는 제4단계; 및
    산출된 편차를 단일편파레이더의 반사도 자료에 적용하여 보정하는 제5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편파레이더를 이용한 단일편파레이더의 반사도 보정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기설정된 기준반사도 값 범위 내에 존재하고 기설정된 기준 상관계수보다 높은 차등반사도 자료에 대한 차등반사도 값을 평균하여 차등반사도 자료의 오차를 산출하는 제2a단계;
    산출된 차등반사도 자료의 오차를 차등반사도 자료에 적용하여 보정하는 제2b단계;
    보정된 차등반사도 자료와 반사도 자료 및 비차등위상차 자료에 일정기간 우적계에서 관측된 우적분포를 적용하여 반사도 자료의 오차를 산출하는 제2c단계; 및
    산출된 반사도 자료의 오차를 획득된 이중편파레이더의 반사도 자료에 적용하여 보정하는 제2d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편파레이더를 이용한 단일편파레이더의 반사도 보정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편파레이더와 이중편파레이더 간에 고도각 차이가 가장 작은 고도각은
    아래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편파레이더를 이용한 단일편파레이더의 반사도 보정방법.
    <수학식 1>
    Figure 112017092496013-pat00003

    (r: 기상레이더에서 떨어진 거리, R': 지구 유효반경, H0: 기상레이더의 높이, θ: 기상레이더의 안테나 고도각)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라인은
    단일편파레이더와 이중편파레이더의 동일반경 내에서 상호 겹치는 시작방위각과 마지막방위각을 직선으로 잇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편파레이더를 이용한 단일편파레이더의 반사도 보정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도메인은
    단일편파레이더와 이중편파레이더의 위치정보인 위경도 값에 따른 상호 간의 이격거리에 대응되게 단일편파레이더와 이중편파레이더를 각각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호 중복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편파레이더를 이용한 단일편파레이더의 반사도 보정방법.
KR1020150161930A 2015-11-18 2015-11-18 이중편파레이더를 이용한 단일편파레이더의 반사도 보정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796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1930A KR101796189B1 (ko) 2015-11-18 2015-11-18 이중편파레이더를 이용한 단일편파레이더의 반사도 보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1930A KR101796189B1 (ko) 2015-11-18 2015-11-18 이중편파레이더를 이용한 단일편파레이더의 반사도 보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8120A KR20170058120A (ko) 2017-05-26
KR101796189B1 true KR101796189B1 (ko) 2017-11-09

Family

ID=59052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1930A Expired - Fee Related KR101796189B1 (ko) 2015-11-18 2015-11-18 이중편파레이더를 이용한 단일편파레이더의 반사도 보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61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1897B1 (ko) 2020-08-31 2021-03-04 대한민국 실시간 레이더 반사도 보정오차 감시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3673B1 (ko) * 2017-12-11 2020-05-2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상레이더 관측변수의 준-연직프로파일 생성 장치,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1872025B1 (ko) * 2017-12-18 2018-06-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중편파 변수를 이용한 비차등위상차 추정 장치 및 방법
KR102235531B1 (ko) * 2018-10-24 2021-04-0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솔리드스테이트 x밴드 레이더의 관측 불연속 완화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KR102115182B1 (ko) * 2019-09-03 2020-05-28 대한민국 지구 구면좌표계를 이용한 이중편파 기상레이더 관측자료 합성 장치 및 방법
CN110596666B (zh) * 2019-11-04 2021-06-25 北京敏视达雷达有限公司 雷达差分反射率的偏差校准方法及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3532B1 (ko) 2009-11-10 2010-06-15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상레이더의 강수량 추정 방법
JP2012149920A (ja) 2011-01-17 2012-08-09 Toshiba Denpa Syst Eng Kk 降水強度推定システム及び降水強度推定方法
KR101244544B1 (ko) 2013-01-09 2013-03-1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단일 및 이중편파 레이더 변수의 샘플링오차 품질지수 산출 방법
JP5557082B2 (ja) 2009-02-25 2014-07-23 独立行政法人防災科学技術研究所 降水分布の推定システムおよび降水分布の推定方法
KR101431707B1 (ko) 2013-11-26 2014-09-2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엑스밴드 이중편파 레이더 관측자료를 이용한 통합형 강우량 산정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57082B2 (ja) 2009-02-25 2014-07-23 独立行政法人防災科学技術研究所 降水分布の推定システムおよび降水分布の推定方法
KR100963532B1 (ko) 2009-11-10 2010-06-15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상레이더의 강수량 추정 방법
JP2012149920A (ja) 2011-01-17 2012-08-09 Toshiba Denpa Syst Eng Kk 降水強度推定システム及び降水強度推定方法
KR101244544B1 (ko) 2013-01-09 2013-03-1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단일 및 이중편파 레이더 변수의 샘플링오차 품질지수 산출 방법
KR101431707B1 (ko) 2013-11-26 2014-09-2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엑스밴드 이중편파 레이더 관측자료를 이용한 통합형 강우량 산정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1897B1 (ko) 2020-08-31 2021-03-04 대한민국 실시간 레이더 반사도 보정오차 감시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US11391816B2 (en) 2020-08-31 2022-07-19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Method for real-time monitoring of calibration bias in radar reflectivity, recording medium and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8120A (ko) 2017-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6189B1 (ko) 이중편파레이더를 이용한 단일편파레이더의 반사도 보정방법
KR101781609B1 (ko) 우적계와 이중편파레이더를 이용한 단일편파레이더의 반사도 보정방법
CN107976657B (zh) 利用静止对象的已知全球定位进行雷达校准
EP1881342B1 (en)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airborne radar antenna pointing errors
CN105866751B (zh) X波段固态双极化天气雷达的金属球定标方法
US926158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alibrating dual polarization radar systems
CN107942305B (zh) 双偏振雷达系统初始差分相位的在线标定方法
US5485156A (en) Antenna stabilization error correction system for radar
CN110865346B (zh) 一种基于直接定位算法的星载sar时间参数标定方法
KR100963532B1 (ko) 기상레이더의 강수량 추정 방법
CN109597040B (zh) 一种星载sar影像无场几何定标方法
Doerry Earth curvature and atmospheric refraction effects on radar signal propagation.
CN108007476B (zh) 一种天基干涉成像雷达高度计的干涉定标方法及系统
US9846229B1 (en) Radar velocity determination using direction of arrival measurements
CN104597449B (zh) 一种机载多扫描气象雷达目标垂直轮廓重建方法
CN108983172B (zh) 一种随机进化约束的sar辐射定标方法
CN106950552B (zh) 一种脉冲压缩雷达无差异补盲订正方法
CN112305512A (zh) 一种双频干涉成像高度计高精度基线估计方法
WO2015129842A1 (ja) レーダ装置
KR102690407B1 (ko) 가변관측거리를 이용한 해양변위 관측용 산란계 시스템
TWI474029B (zh) 應用微波雷達於海岸線及潮間帶地形測量之技術
CN103197293B (zh) 一种机载干涉sar多路径误差的提取与补偿方法
JP2014202740A (ja) レーダの信号処理方法及び装置
Mecatti et al. A novel ground based multi bistatic radar for interferometric measurement of displacement vector
Soja et al. Estimation of boreal forest biomass from two-level model inversion of interferometric TanDEM-X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23110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31104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