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95308B1 - Open Loop Crankcase Ventilation System and Vehicle thereby - Google Patents

Open Loop Crankcase Ventilation System and Vehicle thereb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5308B1
KR101795308B1 KR1020160135868A KR20160135868A KR101795308B1 KR 101795308 B1 KR101795308 B1 KR 101795308B1 KR 1020160135868 A KR1020160135868 A KR 1020160135868A KR 20160135868 A KR20160135868 A KR 20160135868A KR 101795308 B1 KR101795308 B1 KR 101795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open loop
conditioning system
air conditioning
crankshaf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58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5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530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5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5308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3/00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 F01M13/04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having means for purifying air before leaving crankcase, e.g. removing oi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004Oils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4Filling or draining lubricant of or from machines or eng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에 적용된 오픈루프방식 크랭크케이스 공조시스템(1)은 엔진(100)의 크랭크샤프트(10)와 연계되어 크랭크케이스 공간(100-1)에 형성되고, 엔진(100)의 외부에 연결된 가스배출호스(50)로 오일 제거된 후 재 연소되지 못한 블로바이가스를 대기로 배출함으로써 동절기 블로바이가스 빙결현상차단 및 유로 6 배기규제나 배기가스총량 규제 충족이 이루어지는 블로바이가스 대기 배출에 더해 오일 세퍼레이터 적용 없는 단순한 시스템 구성이 가능한 특징을 갖는다.The open loop type crankcase air conditioning system 1 applied to th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crankcase space 100-1 in conjunction with the crankshaft 10 of the engine 100 and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engine 100 In addition to the blow-by gas discharge to the atmosphere, which releases the blow-by gas that has not been re-combusted after the oil is removed by the gas discharge hose 50 to the atmosphere,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simple system without application of an oil separator.

Description

오픈루프방식 크랭크케이스 공조시스템 및 차량{Open Loop Crankcase Ventilation System and Vehicle thereby}{Open Loop Crankcase Ventilation System and Vehicle}

본 발명은 블로바이가스 재순환을 위한 크랭크케이스 공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크랭크샤프트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을 이용하여 블로바이가스 내 오일제거가 이루어짐으로써 블로바이가스 발생량 감소도 가능한 오픈루프방식 크랭크케이스 공조시스템 및 차량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nkcase air conditioning system for blow-by gas recircul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pen loop crankcase air-conditioning system capable of reducing the amount of blow-by gas generated by removing oil in blowby gas using centrifugal force by rotation of a crankshaft System and vehicle.

일반적으로 내연기관 엔진에서 발생되어 크랭크케이스 공간에 모여진 블로바이가스(Blow By Gas)는 피스톤 링과 그르브(groove)의 틈새 등을 통하여 유출되는 고온 고압 연소가스로서, 대기 방출 시 환경오염을 가져오는 원인 물질인 미연탄화수소, 엔진오일 증발분, 카본입자 및 수분 등을 함유한다.Generally, the blow-by gas generated in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collected in the crankcase space is a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combustion gas that flows out through the gap between the piston ring and the groove. It contains unburned hydrocarbons, engine oil evaporation, carbon particles and moisture which are the causative substances.

그러므로 자동차 배기 규제에 맞추도록 엔진에는 블로바이가스 재순환을 위한 크랭크케이스 공조시스템(Crankcase Ventilation System, 이하 CVS)이 적용되고, 상기 CVS에는 오일 세퍼레이터(Oil Separator)가 적용됨으로써 블로바이가스로부터 오일 성분을 포함한 수분을 제거하여 준다. 이하 제거되는 수분은 오일로 칭한다.Therefore, a crankcase ventilation system (CVS) for blowby gas recirculation is applied to the engine so as to meet automobile exhaust regulations, and an oil separator is applied to the CVS to thereby remove oil components from blowby gas Remove any moisture that may be present. Hereinafter, the water removed is referred to as oil.

이를 위해, 상기 오일 세퍼레이터에는 블로바이가스를 공급받는 블로바이 파이프와 분리된 오일을 모아 배출하는 드레인 파이프 및 오일 분리된 블로바이가스를 연소실로 복귀시키는 블로바이 리턴 파이프가 연결된다. 이러한 오일 세퍼레이터 레이아웃을 이용함으로써 엔진 크랭크 케이스 내 오일과 가스를 함유한 블로바이가스가 오일 세퍼레이터로 유입되면, 오일 세퍼레이터에서는 내부 구조를 이용하여 블로바이가스에서 오일과 가스가 분리된 후 오일은 오일 팬으로 드레인되는 반면 오일 제거된 순수한 블로바이가스는 흡기 덕트로 보내져 연소실에서 연소된다.To this end, the oil separator is connected to a blow-by pipe supplied with blow-by gas, a drain pipe for collecting and discharging the separated oil, and a blow-by return pipe for returning the oil-separated blowby gas to the combustion chamber. By using such an oil separator layout, when the blowby gas containing oil and gas in the engine crankcase flows into the oil separator, the oil separator separates the oil and gas from the blowby gas using the internal structure, While the purely blown off oil is sent to the intake duct and burned in the combustion chamber.

이와 같이 상기 CVS는 오일 세퍼레이터를 이용함으로써 오일 증발성분이 엔진 구성부에 끼치는 악 영향을 해소할 수 있고 동시에 블로바이가스의 대기 방출을 방지함으로써 유로 6 배기규제도 충족할 수 있다.Thus, by using the oil separator, the CVS can eliminate the adverse effect that the oil evaporation component has on the engine constituent part,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satisfy the regulation of the exhaust gas passage 6 by preventing the blow-

그러므로 상기 CVS는 폐루프(Closed Loop)방식으로 칭한다.Therefore, the CVS is referred to as a closed loop method.

일본특개 2005-120977(2005.5.12)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5-120977 (2005.5.12)

하지만 상기 폐루프 방식 CVS는 오일 세퍼레이터와 함께 블로바이가스의 유입/리턴 경로 및 오일 드레인 경로를 위한 파이프로 레이아웃이 형성됨으로써 부품 증가에 따른 원가 상승으로 비용 측면에서 불리할 수밖에 없다.However, the closed loop type CVS is inevitably disadvantageous in terms of cost due to the cost increase 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parts due to the layout of the pipes for the inflow / return path and the oil drain path of the blowby gas together with the oil separator.

또한 상기 폐루프 방식 CVS는 유로 6 배기규제나 배기가스총량 규제에서 어느 정도의 블로바이가스의 대기방출을 허용함에도 이를 이용할 수 없다는 한계성을 가질 수밖에 없다.In addition, the closed-loop CVS has a limitation that it can not be used even though it permits air release of the blowby gas to some extent in the regulation of the exhaust gas 6 and the regulation of the exhaust gas amount.

무엇보다 상기 폐루프 방식 CVS는 오일 세퍼레이터와 함께 블로바이가스 리턴 파이프를 필수 구성요소로 함으로써 기온 강하에 따른 블로바이가스 빙결현상으로부터 자유로 울 수 없는 한계성을 가질 수밖에 없다. 일례로, 동절기 특히 고위도 지역의 동절기 시 영하의 날씨는 엔진 정지에 따른 정차나 주차 조건에서 블로바이가스 리턴 파이프 내 잔존된 블로바이가스의 수분 빙결을 가져옴으로써 블로바이가스 리턴 경로가 차단되고, 블로바이가스 리턴 경로 막힘은 엔진 재가동에 따른 차량 주행 시 엔진 내부의 압력을 상승시켜줌으로써 엔진실린더 내부 손상으로 진행되는 한 원인이 될 수밖에 없다.Above all, the closed loop type CVS has a limitation that it can not be free from freezing gas freezing phenomenon caused by temperature drop by making the blow-by gas return pipe an essential component together with the oil separator. For example, in winter, especially in the high latitudes, sub-zero weather may cause the freezing of the remaining blowby gas in the blowby gas return pipe at a stop or parking condition due to engine shutdown, blocking the blowby gas return path, Clogging of the bypass gas path is a cause of damage to the engine cylinder by raising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engine when the vehicle is running due to re-start of the engine.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크랭크샤프트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블로바이가스 내 오일 분리가 이루어짐으로써 오일 세퍼레이터 적용 없는 블로바이가스 재순환으로 시스템 구성을 극히 단순화 시키고, 특히 블로바이가스의 오일 분리가 크랭크케이스 공간에서 이루어진 후 재 연소되지 못한 블로바이가스가 대기로 배출됨으로써 동절기 블로바이가스 빙결현상의 원인을 근원적으로 차단하면서 동시에 유로 6 배기규제나 배기가스총량 규제를 충족하는 정도에서 블로바이가스 대기 배출도 가능한 오픈루프방식 크랭크케이스 공조시스템 및 차량의 제공에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takes into account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he oil separation in the blowby gas is performed by the centrifugal force due to the rotation of the crankshaft. Thus, the system configuration is simplified by the blowby gas recirculation without application of the oil separator, The blowby gas that has not been re-combusted is discharged to the atmosphere, thereby blocking the cause of the freezing gas freezing in the winter season and at the same time, the blowby ga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pen loop crankcase air conditioning system and a vehicle capable of discharging ai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오픈루프방식 크랭크케이스 공조시스템은 엔진의 연소로 생성된 블로바이가스(Blow By Gas)에 포함된 오일이 크랭크샤프트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분리되도록 상기 블로바이가스를 상기 크랭크샤프트의 내부공간으로 유입시키는 블로바이가스 통로; 상기 블로바이가스 통로에 이어지고, 상기 크랭크샤프트와 함께 회전되는 크랭크샤프트 풀리로 상기 오일을 복귀오일로 모아주는 오일복귀통로; 상기 오일복귀통로에 이어지고, 상기 크랭크샤프트 풀리의 뒤쪽에서 상기 크랭크샤프트를 감싼 드레인 커버로 상기 복귀오일을 모아 오일 팬으로 드레인시키는 오일 드레인 통로; 상기 오일이 제거된 블로바이가스를 상기 엔진에서 대기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엔진의 외부에 연결된 가스배출호스로 형성되는 오픈루프 가스경로;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open loop type crankcase air condition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il contained in the blow-by gas generated by the combustion of the engine is separated by the centrifugal force due to the rotation of the crank shaft, A blowby gas passage for introducing the by-gas into the inner space of the crankshaft; An oil return passage extending to the blowby gas passage and collecting the oil into return oil by a crankshaft pulley rotated together with the crankshaft; An oil drain passage leading to the oil return passage and collecting the return oil from the rear of the crankshaft pulley and draining the return oil to the oil pan with a drain cover wrapping the crankshaft; And an open loop gas path formed of a gas discharge hose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engine to discharge the oil-removed blowby gas from the engine to the atmosphere.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블로바이가스 통로는 상기 크랭크샤프트의 메인 저널과 크랭크 암이 연결되는 구간에서 원주방향으로 뚫려진 원주홀과 상기 크랭크샤프트 풀리와 연결되는 상기 메인 저널의 축방향으로 뚫려진 축홀로 이루어지고, 상기 축홀의 오일배출구는 콘 형상의 확장 엔드를 형성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blow-by gas passage includes a circumferential hole circumferentially drilled in a section where the main journal of the crank shaft and the crank arm are connected, and a shaft pierc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main journal connected to the crank shaft pulley. And the oil outlet of the shaft hole forms an expanded end of a cone shape.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오일 복귀 통로는 상기 크랭크샤프트 풀리에서 돌출되어 상기 크랭크샤프트의 상기 메인저날과 연결되는 풀리 체결보스의 밀폐된 축 홀로 형성된 오일수거 챔버, 상기 풀리 체결보스에 뚫려져 상기 오일수거 챔버와 연통되는 상기 드레인 커버쪽으로 경사진 오일챔버 연통홀로 이루어진다. 상기 오일수거 챔버의 밀폐된 구조는 상기 축 홀에 끼워진 실링 캡으로 형성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oil return passage includes an oil collecting chamber formed of a closed shaft hole of a pulley coupling boss projecting from the crankshaft pulley and connected to the main rotor of the crankshaft, And an oil chamber communicating hole inclined toward the drain cover communicating with the chamber. The closed structure of the oil collection chamber is formed by a sealing cap fitted in the shaft hole.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오일 드레인 통로는 상기 드레인 커버의 밀폐된 내부 공간으로 형성된 오일 충진 챔버, 상기 드레인 커버에 뚫려져 상기 오일 충진 챔버와 연통되는 오일 드레인홀로 이루어진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oil drain passage includes an oil filling chamber formed as a closed inner space of the drain cover, and an oil drain hole opened in the drain cover to communicate with the oil filling chamber.

그리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은 연소로 생성된 블로바이가스(Blow By Gas)를 블로바이가스 통로로 유입하여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블로바이가스에 포함된 오일을 분리하는 크랭크샤프트, 상기 오일이 모아지는 오일복귀통로를 형성하여 상기 블로바이가스 통로와 이어지는 크랭크샤프트 풀리, 상기 오일복귀통로에 모인 오일이 오일 팬으로 드레인되는 오일 드레인 통로를 형성하여 상기 크랭크샤프트 풀리의 뒤쪽에서 상기 크랭크샤프트를 감싼 드레인 커버, 상기 크랭크샤프트 풀리에 결합되어 상기 오일복귀통로에 모여진 오일의 외부 노출을 차단하는 실링 캡으로 구성된 오픈루프방식 크랭크케이스 공조시스템; 상기 오픈루프방식 크랭크케이스 공조시스템을 이루는 크랭크샤프트가 위치된 크랭크케이스 공간이 연소실의 아래쪽으로 형성된 실린더블록을 갖춘 엔진;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comprising: a crank for blowing blow-by gas generated by combustion into a blowby gas passage to separate oil contained in blowby gas by centrifugal force generated by rotation; A shaft, and an oil return passage through which the oil is collected to form a crankshaft pulley connected to the blowby gas passage, and an oil drain passage drained to the oil pan, the oil collected in the oil returning passage being formed at the rear of the crankshaft pulley A drain cover surrounding the crankshaft, and a sealing cap coupled to the crankshaft pulley to block external exposure of the oil collected in the oil return passage. An engine having a cylinder block in which a crankcase space in which the crankshaft constituting the open loop type crankcase air conditioning system is located is formed below the combustion chamber; .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엔진은 상기 오픈루프방식 크랭크케이스 공조시스템에서 오일이 포함된 블로바이가스로부터 분리되어 드레인(drain)되는 오일이 복귀되는 오일 팬을 상기 실린더블록의 하부로 구비하고, 상기 오일이 제거된 블로바이가스를 모아 상기 엔진의 외부로 배출시켜주는 실린더 헤드를 상기 실린더블록의 상부로 구비하며, 상기 실린더 헤드에 구비된 블로바이가스 포트로 대기와 연통된 가스배출호스가 연결된다.As a preferred embodiment, the engine is provided with an oil pan, which is separated from the blow-by gas containing oil in the open-loop type crankcase air-conditioning system so that the oil to be drained is returned, A cylinder head for collecting the removed blowby gas and discharging the blowby gas to the outside of the engine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cylinder block and a gas discharge hose communicated with the atmosphere is connected to a blowby gas port provided in the cylinder head.

이러한 본 발명의 차량은 블로바이가스 재순환을 위한 크랭크케이스 공조시스템이 오픈루프방식으로 구현됨으로써 다음과 같은 장점 및 효과를 구현한다.In th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ankcase air conditioning system for blow-by gas recirculation is implemented in an open loop manner, thereby realizing the following advantages and effects.

첫째, 블로바이가스의 오일 분리에 크랭크샤프트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이 이용됨으로써 블로바이가스 재순환을 오일 세퍼레이터가 적용되지 않는 새로운 방식으로 구현한다. 둘째, 오일 세퍼레이터의 미적용으로 레이아웃을 위한 다수 파이프가 제거됨으로써 크랭크케이스 공조시스템의 구성이 극히 단순화된다. 셋째, 크랭크케이스 공조시스템의 구성 단순화에 따른 비용 절감으로 원가 경쟁력 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 넷째, 오일 분리가 이루어진 블로바이가스가 크랭크샤프트가 위치된 크랭크 케이스 공간을 통해 재 연소됨으로써 블로바이가스 리턴 경로 적용 시 발생되던 동절기 블로바이가스 빙결현상의 원인이 근원적으로 차단된다. 다섯째, 블로바이가스 빙결현상 방지로 엔진실린더 내부 손상으로 진행되는 엔진 내부의 압력 상승이 방지된다. 여섯째, 엔진 연소실에서 재 연소되지 못한 블로바이가스 만 엔진 외부로 나와 대기로 배출됨으로써 블로바이가스 대기 배출이 이루어짐에도 유로 6 배기규제나 배기가스총량 규제를 충족할 수 있다.First, centrifugal force due to the rotation of the crankshaft is used for oil separation of the blowby gas, thereby realizing blow-by gas recirculation in a new way in which the oil separator is not applied. Second, since the number of pipes for layout is eliminated by the absence of the oil separator, the construction of the crankcase air conditioning system is extremely simplified. Third, it can secure a cost competitiveness advantage by reducing costs by simplify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rankcase air conditioning system. Fourth, since the blowby gas having oil separation is re-combusted through the crankcase space in which the crankshaft is located, the cause of the frost blow-by gas frost phenomenon occurred during the blow-by gas return path application is fundamentally blocked. Fifth, the prevention of blow-by gas freezing phenomenon prevents the pressure rise inside the engine due to damage inside the engine cylinder. Sixth, only blow-by gas, which is not re-combusted in the engine combustion chamber, goes out of the engine and is discharged into the atmosphere, so that even if the blow-by gas is discharged to the atmosphere, it can meet the regulation of exhaust gas amount and the regulation of exhaust gas amou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픈루프방식 크랭크케이스 공조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픈루프방식 크랭크케이스 공조시스템이 적용된 차량의 예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에 적용된 오픈루프방식 크랭크케이스 공조시스템의 작동상태이다.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vehicle to which an open loop type crankcas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3 is a schematic view of an open loop type crankcas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n loop crankcase This is the operating status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 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도 1을 참조하면, 오픈루프방식 크랭크케이스 공조시스템(1)은 크랭크샤프트(10)와 크랭크샤프트 풀리(20), 드레인 커버(30), 실링 캡(40)을 오픈루프 구성부로 하고, 블로바이가스 통로(10A)와 오일 복귀 통로(20A), 오일 드레인 통로(30A)를 오픈루프 오일경로로 하며, 가스배출호스(50)를 오일 제거된 순수한 블로바이가스 중 일부가 정제 가스(purified gas)로 되어 대기에 배출되는 오픈루프 가스경로로 한다.1, an open loop type crankcase air conditioning system 1 includes a crankshaft 10, a crankshaft pulley 20, a drain cover 30, and a sealing cap 40 as open loop components, The gas passage 10A and the oil return passage 20A and the oil drain passage 30A are formed as an open loop oil passage and the gas discharge hose 50 is formed by partially purifying the purified degassed blowby gas, And an open-loop gas path which is discharged to the atmosphere.

그러므로 상기 오픈루프 구성부와 상기 오픈루프 오일경로는 엔진(100)의 크랭크케이스 공간(100-1)쪽으로 집중됨으로써 다수의 파이프와 복잡하게 연계된 오일 세퍼레이터를 사용하던 기존 방식 대비 시스템 단순화와 함께 엔진(100)의 외부 레이아웃 단순화도 구현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오픈루프 가스경로가 가스배출호스(50)로 형성됨으로써 블로바이가스를 흡기덕트쪽으로 리턴시키던 기존 방식 대비 동절기 블로바이가스 빙결현상차단과 더불어 유로 6 배기규제나 배기가스총량 규제를 충족하는 정도에서 블로바이가스 대기 배출도 가능한 되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the open loop constituent part and the open loop oil path are concentrated toward the crankcase space 100-1 of the engine 100, thereby simplifying the system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 using a complexly connected oil separator with a large number of pipe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xternal layout simplification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0 is also realized. In addition, since the open-loop gas path is formed by the gas discharge hose 50,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in which the blowby gas is returned to the intake duct, the degree of the exhaust gas blow- It is possible to discharge the blow-by gas to the atmosphere.

구체적으로 상기 오픈루프 구성부를 이루는 크랭크샤프트(10)와 크랭크샤프트 풀리(20), 드레인 커버(30), 실링 캡(40)의 세부 구성은 하기와 같다.Specifically, the crankshaft 10, the crankshaft pulley 20, the drain cover 30, and the sealing cap 40, which constitute the open loop constituent part, are as follows.

상기 크랭크샤프트(10)는 피스톤의 왕복 운동을 위한 크랭크 암(11)과 크랭크샤프트 풀리(20)의 체결을 위한 메인 저널(13)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상기 크랭크샤프트(10)는 내연기관 엔진에 적용된 통상적인 크랭크샤프트와 동일하다. 다만 상기 크랭크샤프트(10)에는 크랭크 암(11)과 메인 저널(13)을 이용하여 블로바이가스 통로(10A)가 형성되는 차이가 있다.The crankshaft 10 includes a crank arm 11 for reciprocating motion of the piston and a main journal 13 for fastening the crankshaft pulley 20. Therefore, the crankshaft 10 is identical to a conventional crankshaft applied to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the blowby gas passage 10A is formed in the crankshaft 10 by using the crank arm 11 and the main journal 13.

상기 크랭크샤프트 풀리(20)는 크랭크샤프트(10)의 메인 저널(13)에 체결되는 풀리 체결보스(21)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상기 크랭크샤프트 풀리(20)는 내연기관 엔진에 적용된 통상적인 크랭크샤프트 풀리와 동일하다. 다만 상기 크랭크샤프트 풀리(20)는 풀리 체결보스(21)에 축 홀을 형성하고, 상기 축 홀을 이용하여 블로바이가스 통로(10A)와 연통되는 오일 복귀 통로(20A)가 형성되는 차이가 있다.The crankshaft pulley 20 includes a pulley fastening boss 21 fastened to the main journal 13 of the crankshaft 10. The crankshaft pulley 20 is therefore identical to a conventional crankshaft pulley applied to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However, the crankshaft pulley 20 has a shaft hole formed in the pulley coupling boss 21, and the oil return passage 20A communicating with the blowby gas passage 10A is formed by using the shaft hole .

상기 드레인 커버(30)는 크랭크샤프트 풀리(20)의 뒤쪽으로 위치되고, 크랭크샤프트(10)의 메인 저널(13)과 크랭크샤프트 풀리(20)의 풀리 체결보스(21)의 연결부위를 감싼 상태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드레인 커버(30)는 크랭크케이스 공간(100-1)을 형성하는 크랭크 케이스를 엔진(100)에 결합하면서 관통된 크랭크샤프트(10)의 메인 저널(13)을 지지하는 크랭크케이스 지지 브래킷을 이용해 고정된다. 특히 상기 드레인 커버(30)는 오일 드레인 통로(30A)를 형성하여 크랭크샤프트 풀리(20)의 오일 복귀 통로(20A)에서 나온 오일을 모아서 오일 팬으로 드레인(drain)시켜준다. 그러므로 상기 드레인 커버(30)는 오일 드레인 통로(30A)를 구성하는 내부 공간이 밀폐되도록 패킹(packing) 등으로 기밀 처리되고, 상기 패킹은 상기 크랭크케이스 지지 브래킷을 이용해 구비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드레인 커버(30)는 오일이 빠져나가는 배출홀이 연결된 외부와 차단된 내부 챔버로 오일 드레인 통로(30A)를 형성할 경우 패킹이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The drain cover 30 is located behind the crankshaft pulley 20 and is wound around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main journal 13 of the crankshaft 10 and the pulley coupling boss 21 of the crankshaft pulley 20 As shown in FIG. To this end, the drain cover 30 includes a crank case supporting bracket (not shown) for supporting the main journal 13 of the crank shaft 10 penetrating the crank case space 100-1 while coupling the crank case to the engine 100 . In particular, the drain cover 30 forms an oil drain passage 30A to collect the oil from the oil return passage 20A of the crankshaft pulley 20 and drain it to the oil pan. Therefore, the drain cover 30 is sealed by packing or the like so that the internal space constituting the oil drain passage 30A is hermetically sealed, and the packing can be provided using the crankcase supporting bracket. However, when the drain cover 30 forms the oil drain passage 30A as an inner chamber that is disconnected from the outside, to which the drain hole through which the oil escapes is connected, the packing may not be applied.

상기 실링 캡(40)은 크랭크샤프트 풀리(20)의 풀리 체결보스(21)에 형성된 축 홀로 결합됨으로써 오일 복귀 통로(20A)를 밀폐시켜준다. 특히 상기 실링 캡(40)은 축 홀에 압입 고정되거나 또는 나사 체결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실링 캡(40)은 축 홀이 풀리 체결보스(21)에 소정 깊이로 파여져 관통되지 않는 구조인 경우 오픈루프 구성요소에서 제외될 수 있다.The sealing cap 40 is engaged with a shaft hole formed in the pulley coupling boss 21 of the crankshaft pulley 20 to seal the oil return passage 20A. In particular, the sealing cap 40 can be press-fitted or screwed into the shaft hole. However, the sealing cap 40 may be omitted from the open loop component when the shaft hole is not penetrated through the pulley fastening boss 21 at a predetermined depth.

구체적으로 상기 오픈루프 오일경로를 이루는 블로바이가스 통로(10A)와 오일 복귀 통로(20A), 오일 드레인 통로(30A)의 세부 구성은 하기와 같다.Specifically,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blow-by gas passage 10A, the oil return passage 20A, and the oil drain passage 30A forming the open-loop oil passage is as follows.

상기 블로바이가스 통로(10A)는 원주홀(10-1)과 축홀(10-2) 및 확장 엔드(10-3)로 구성되어 크랭크샤프트(10)에 형성된다. 일례로, 상기 원주홀(10-1)은 크랭크샤프트(10)의 크랭크 암(11)에 형성된다. 특히 상기 원주홀(10-1)은 크랭크 암(11)과 메인 저널(13)의 연결부위를 이용하여 메인 저널(13)의 원형단면에 대해 원주방향을 관통해 뚫려진다. 상기 축홀(10-2)은 크랭크샤프트(10)의 메인 저널(13)의 축방향을 관통해 뚫려져 원주홀(10-1)과 연결됨으로써 원주홀(10-1)과 연결되는 축홀(10-2)의 위치를 오일유입구로 하고 원주홀(10-1)과 연결되지 않는 축홀(10-2)의 반대쪽 위치를 오일배출구로 한다. 그러므로 상기 원주홀(10-1)과 상기 축홀(10-2)은 크랭크샤프트(10)의 단면에서 "┤"형상을 이룬다. 특히 상기 축홀(10-2)은 오일배출구에 확장 엔드(10-3)를 형성하고, 상기 확장 엔드(10-3)는 축홀(10-2)의 직경을 콘 형상으로 확장시켜줌으로써 축홀(10-2)을 통해 배출되는 오일의 배출성능을 향상시켜 준다.The blowby gas passage 10A is formed in the crankshaft 10 by a circumferential hole 10-1, a shaft hole 10-2 and an extended end 10-3. For example, the circumferential hole 10-1 is formed in the crank arm 11 of the crankshaft 10. Particularly, the circumferential hole 10-1 is pierc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ircular cross section of the main journal 13 by using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crank arm 11 and the main journal 13. The shaft hole 10-2 is pierced through the axial direction of the main journal 13 of the crankshaft 10 and is connected to the circumferential hole 10-1 so that the shaft hole 10-1 is connected to the circumferential hole 10-1. -2 as the oil inlet and the position opposite to the shaft hole 10-2 not connected to the circumferential hole 10-1 as the oil outlet. Therefore, the circumferential hole 10-1 and the shaft hole 10-2 are formed in the cross-section of the crankshaft 10. Particularly, the shaft hole 10-2 forms an expansion end 10-3 at an oil outlet, and the expansion end 10-3 extends the diameter of the shaft hole 10-2 into a cone shape, -2). ≪ / RTI >

상기 오일 복귀 통로(20A)는 오일수거 챔버(20-1)와 오일챔버 연통홀(20-2)로 구성되어 크랭크샤프트 풀리(20)의 풀리 체결보스(21)에 형성된다. 일례로, 상기 오일수거 챔버(20-1)는 크랭크샤프트 풀리(20)의 풀리 체결보스(21)에 뚫려져 실링 캡(40)으로 밀폐된 축 홀에 형성되어 축홀(10-2)의 확장 엔드(10-3)와 연결된다. 상기 오일 챔버 연통홀(20-2)은 오일수거 챔버(20-1)에 연통되도록 풀리 체결보스(21)에 뚫려짐으로써 오일수거 챔버(20-1)의 오일을 오일 드레인 통로(30A)로 배출하여 준다. 특히 상기 오일 챔버 연통홀(20-2)은 그 출구가 드레인 커버(30)쪽으로 위치되도록 경사짐으로써 오일이 크랭크샤프트 풀리(20)의 뒤쪽으로 위치된 드레인 커버(30)로 보다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The oil return passage 20A is formed in the pulley fastening boss 21 of the crankshaft pulley 20 by the oil collecting chamber 20-1 and the oil chamber communication hole 20-2. For example, the oil collection chamber 20-1 is formed in a shaft hole which is bored in the pulley fastening boss 21 of the crankshaft pulley 20 and sealed by a sealing cap 40, End 10-3. The oil chamber communication hole 20-2 is opened in the pulley fastening boss 21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oil collection chamber 20-1 so that the oil in the oil collection chamber 20-1 flows into the oil drain passage 30A And discharge it. Particularly, the oil chamber communicating hole 20-2 is inclined so that the outlet thereof is positioned toward the drain cover 30, so that the oil is more easily discharged to the drain cover 30 positioned behind the crankshaft pulley 20 .

상기 오일 드레인 통로(30A)는 오일 충진 챔버(30-1)와 오일 드레인홀(30-2)로 구성되어 드레인 커버(30)에 형성된다. 일례로, 상기 오일 충진 챔버(30-1)는 외부에 대해 밀폐된 드레인 커버(30)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어 오일 복귀 통로(20A)의 오일챔버 연통홀(20-2)에서 나온 오일을 수거하여 준다. 상기 오일 드레인홀(30-2)은 오일 충진 챔버(30-1)에 수거된 오일을 배출하여 오일 팬으로 복귀시켜 준다. 특히, 상기 오일 드레인홀(30-2)은 직선으로 뚫려져 드레인 커버(30)가 크랭크샤프트(10)의 메인저널(13)에 체결된 상태에서 지면을 향하도록 위치된다. 이러한 이유는 회전되지 않는 드레인 커버(30)의 특성에 맞춰 오일이 중력의 영향으로 신속히 배출되기 위함이다.The oil drain passage 30A is formed in the drain cover 30 by the oil filling chamber 30-1 and the oil drain hole 30-2. For example, the oil filling chamber 30-1 is formed in the inner space of the drain cover 30, which is hermetically sealed to the outside, to collect the oil from the oil chamber communication hole 20-2 of the oil return passage 20A. I will. The oil drain hole 30-2 discharges the oil collected in the oil filling chamber 30-1 and returns to the oil pan. Particularly, the oil drain hole 30-2 is straightly pierced and positioned such that the drain cover 30 is fastened to the main journal 13 of the crankshaft 10 so as to face the ground.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oil is quickly discharged under the influence of gravity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drain cover 30 which is not rotated.

구체적으로 상기 오픈루프 가스경로를 이루는 가스배출호스(50)는 엔진(100)의 연소로 생성되어 크랭크케이스 공간(100-1)으로 모여져 오일 제거된 순수한 블로바이가스 중 재 연소되지 않은 일부의 블로바이가스가 엔진(100)의 외부로 빼내어 대기로 배출시켜 준다. 이를 위해 상기 가스배출호스(50)는 호스나 파이프로 이루어져 엔진(100)에서 노출되도록 엔진(100)의 외부에 연결된다.Specifically, the gas discharge hose 50 constituting the open-loop gas path is generated by the combustion of the engine 100 and is collected in the crankcase space 100-1, and a part of the non-re-combusted blow- Bygas is taken out of the engine 100 and discharged to the atmosphere. For this purpose, the gas discharge hose 50 is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engine 100 so as to be exposed from the engine 100.

한편 도 2 및 도 3은 차량(200)에서 오픈루프방식 크랭크케이스 공조시스템(1)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다.2 and 3 show the operating state of the open-loop type crankcase air conditioning system 1 in the vehicle 200. FIG.

도 2를 참조하면, 차량(200)은 엔진룸(200-1)에 오픈루프방식 크랭크케이스 공조시스템(1)이 적용된 엔진(100)을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2, the vehicle 200 includes an engine 100 to which an open loop type crankcase air conditioning system 1 is applied.

구체적으로 상기 엔진(100)은 연료 연소에 의한 피스톤의 왕복운동으로 회전되는 크랭크 샤프트가 위치된 크랭크케이스 공간을 형성한 실린더블록(101)을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블록(101)에는 그 하부로 엔진오일을 담은 오일 팬(103)이 결합되고 그 상부로 캠축과 함께 밸브 시스템을 구비한 실린더 헤드(105)가 결합된다. 그러므로 상기 엔진(100)은 실린더블록(101)과 오일 팬(103) 및 실린더 헤드(105)를 구성요소로 함으로써 통상의 내연기관 엔진의 구성과 동일하다. 다만 상기 엔진(100)은 실린더 헤드(105)(또는 실린더 헤드(105)에 결합된 실린더 커버)에 블로바이가스 포트(105-1)를 구비하고, 상기 블로바이가스 포트(105-1)는 오일 제거된 순수한 블로바이가스 중 재 연소되지 않은 일부의 블로바이가스가 모여지는 공간을 형성하는 차이가 있다.Specifically, the engine 100 includes a cylinder block 101 having a crankcase space in which a crankshaft is rotated by reciprocating movement of a piston due to fuel combustion, An oil pan 103 containing oil is coupled and a cylinder head 105 having a valve system together with a camshaft is coupled to the oil pan 103. Therefore, the engine 100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a conventional internal combustion engine by using the cylinder block 101, the oil pan 103, and the cylinder head 105 as constituent elements. The engine 100 is provided with a blowby gas port 105-1 in the cylinder head 105 (or a cylinder cover coupled to the cylinder head 105), and the blowby gas port 105-1 There is a difference in forming a space in which some of the non-re-combusted blow-by gas is gathered out of the purely de-oiled blow-by gas.

구체적으로 상기 오픈루프방식 크랭크케이스 공조시스템(1)은 도 1에서 기술된 오픈루프방식 크랭크케이스 공조시스템(1)과 동일한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 다만 상기 오픈루프방식 크랭크케이스 공조시스템(1)은 가스배출호스(50)가 엔진(100)의 블로바이가스 포트(105-1)에 연결되어 실린더 헤드(105)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엔진(100)의 내부에서 오일 제거된 순수한 블로바이가스 중 재 연소되지 않은 일부의 블로바이가스가 실린더 헤드(105)를 통해 엔진(100)의 외부로 나가 대기로 배출된다.Specifically, the open-loop type crankcase air-conditioning system 1 comprises the same components as the open-loop type crankcase air-conditioning system 1 described in FIG. 1, except that the open- There is a difference that the discharge hose 50 is connected to the blowby gas port 105-1 of the engine 100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cylinder head 105. [ Therefore, some of the purely blowby gas that has been refluxed in the engine 100 is blown out of the engine 100 through the cylinder head 105 to the atmosphere.

도 3을 참조하면, 엔진(100)의 연소로 생성된 오일이 포함된 블로바이가스(이하 오염 블로바이가스로 칭함)는 실린더블록(101)의 크랭크케이스 공간(100-1)으로 모여진다.3, blowby gas (hereinafter referred to as " contaminated blowby gas ") containing oil generated by combustion of the engine 100 is collected in the crankcase space 100-1 of the cylinder block 101. [

그러면 크랭크케이스 공간(100-1)에서 빠르게 회전되는 크랭크샤프트(10)에 형성된 블로바이가스 통로(10A)가 상기 오염 블로바이가스를 빨아들인 후 크랭크샤프트(10)의 회전에 의한 강한 원심력으로 오일이 제거된 블로바이가스(이하 정제 블로바이가스로 칭함)로 전환시켜 준다.Then, the blowby gas passage 10A formed in the crankshaft 10, which rotates rapidly in the crankcase space 100-1, sucks the dirty blowby gas, and then, by the strong centrifugal force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crankshaft 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 purified blowby gas ").

구체적으로 상기 블로바이가스 통로(10A)의 작용은 하기와 같다. 원주홀(10-1)로 들어와 원주홀(10-1)과 축홀(10-2)을 채운 오염 블로바이가스는 크랭크샤프트(10)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을 받는 상태로 되고, 상기 원심력은 상기 오염 블로바이가스를 블로바이가스 성분이 없는 오일과 오일이 제거된 순수한 블로바이가스로 분리시켜 준다. 이러한 오일분리 작용은 축홀(10-2)에서 발생됨으로써 축홀(10-2)은 오일배출통로로 작용한다. 그러면 오일은 축홀(10-2)을 지나 오일 복귀 통로(20A)로 배출되고, 상기 오일 복귀 통로(20A)는 배출된 오일을 복귀오일로 모아준다. 이때 상기 오일은 축홀(10-2)의 출구부위에 형성된 확장 엔드(10-3)로 인해 보다 용이하게 축홀(10-2)을 빠져나오게 된다.Specifically, the action of the blow-by gas passage 10A is as follows. The contaminated blowby gas that enters the circumferential hole 10-1 and fills the circumferential hole 10-1 and the shaft hole 10-2 is subjected to a centrifugal force due to the rotation of the crankshaft 10, It separates the contaminated blowby gas into pure blowby gas from which the blowby gas component oil and oil are removed. This oil separation action is generated in the shaft hole 10-2 so that the shaft hole 10-2 acts as an oil discharge path. Then, the oil is discharged to the oil return passage 20A through the shaft hole 10-2, and the oil return passage 20A collects the discharged oil into the return oil. At this time, the oil exits the shaft hole 10-2 more easily because of the extended end 10-3 formed at the outlet of the shaft hole 10-2.

구체적으로 상기 오일 복귀 통로(20A)의 작용은 하기와 같다. 오일수거 챔버(20-1)는 축홀(10-2)을 나온 오일을 일시적으로 모아주고, 오일챔버 연통홀(20-2)은 오일수거 챔버(20-1)에 연통되어 일시적으로 모여진 오일을 오일수거 챔버(20-1)에서 배출시켜 준다. 그러면 상기 오일 복귀 통로(20A)의 오일은 오일 드레인 통로(30A)로 배출된다.Specifically, the action of the oil return passage 20A is as follows. The oil collection chamber 20-1 temporarily collects the oil from the shaft hole 10-2 and the oil chamber communication hole 20-2 communicates with the oil collection chamber 20-1 to temporarily collect the oil And discharged from the oil collection chamber 20-1. Then, the oil in the oil return passage 20A is discharged to the oil drain passage 30A.

구체적으로 상기 오일 드레인 통로(30A)의 작용은 하기와 같다. 오일 충진 챔버(30-1)는 오일챔버 연통홀(20-2)을 나온 오일을 일시적으로 모아주고, 오일 드레인홀(30-2)은 오일 충진 챔버(30-1)에 연통되어 일시적으로 모여진 오일을 오일 드레인 통로(30A)에서 배출시켜 준다. 그러면 상기 오일 드레인 통로(30A)의 오일은 오일 팬(103)으로 드레인된다.Specifically, the action of the oil drain passage 30A is as follows. The oil filling chamber 30-1 temporarily collects the oil from the oil chamber communication hole 20-2 and the oil drain hole 30-2 communicates with the oil filling chamber 30-1 to temporarily collect Thereby discharging the oil from the oil drain passage 30A. Then, the oil in the oil drain passage 30A is drained to the oil pan 103.

그 결과 오일은 블로바이가스 통로(10A)와 오일 복귀 통로(20A) 및 오일 드레인 통로(30A)를 순차적으로 거친 후 오일 팬(103)으로 복귀된다. 이러한 오일 분리 및 오일팬 복귀 과정은 엔진(100)의 운전 시 지속됨으로써 재 연소로 없어지는 오일 소모량을 줄여 주게 된다.As a result, the oil is returned to the oil pan 103 after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the blow-by gas passage 10A, the oil return passage 20A, and the oil drain passage 30A. This oil separation and oil pan return process is continued during operation of the engine 100,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oil consumed by re-combustion.

한편 상기 블로바이가스 통로(10A)에서 오일이 제거된 순수한 블로바이가스는 원주홀(10-1)을 나와 상기 정제 블로바이가스로 크랭크케이스 공간(100-1)에 다시 배출된다. 이 경우 상기 정제 블로바이가스에는 완전히 제거되지 않은 오일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나 잔존하는 오일 성분의 양은 원심력 미 적용대비 현저히 줄어들 수 있다. 특히 엔진(100)의 운전 시 원심력 효과가 계속 지속되고 더불어 고온의 크랭크샤프트(10)의 접촉에 의한 수분 증발 효과가 더해짐으로써 상기 정제 블로바이가스는 오일 성분이 거의 없는 상태가 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ure blowby gas from which the oil is removed from the blowby gas passage 10A is discharged from the circumferential hole 10-1 back into the crankcase space 100-1 by the purified blowby gas. In this case, the purified blowby gas may contain an oil component that has not been completely removed, but the amount of the remaining oil component may be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case where centrifugal force is not applied. Particularly, since the centrifugal effect continues during operation of the engine 100 and the water evaporation effect due to the contact of the crankshaft 10 at high temperature is added, the purified blowby gas can be in a state of almost no oil component.

그러면 상기 정제 블로바이가스는 크랭크케이스 공간(100-1)에서 위로 올라가 연소실에서 재 연소되거나 또는 재 연소되지 않은 일부가 오픈루프 가스경로를 통해 대기로 배출된다.Then, the purified blowby gas is lifted up in the crankcase space 100-1, and a part that is re-combusted or not re-combusted in the combustion chamber is discharged to the atmosphere through the open-loop gas path.

구체적으로 상기 오픈루프 가스경로의 작용은 하기와 같다. 가스배출호스(50)는 실린더 헤드(105)의 블로바이가스 포트(105-1)에 연결됨으로써 실린더블록(101)의 연소실을 제외한 엔진(10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켜 준다. 그러므로 실린더블록(101)과 실린더 헤드(105) 및 블로바이가스 포트(105-1)를 이어주는 경로는 상기 정제 블로바이가스 중 연소실에서 재 연소되지 않은 일부가 블로바이가스로 다시 모여지는 중간 배출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가스배출호스(50)는 블로바이가스를 블로바이가스 포트(105-1)에서 대기로 배출시켜주는 최종 배출경로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상기 가스배출호스(50)로 블로바이가스가 흡기덕트로 리턴되지 않고 대기로 배출됨으로써 동절기 블로바이가스 빙결로 인한 엔진 파손의 염려가 없고, 특히 블로바이가스 대기 배출도 최소로 이루어짐으로써 블로바이가스가 외부 배출되면서도 유로 6 배기규제나 배기가스총량 규제를 충족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action of the open-loop gas path is as follows. The gas discharge hose 50 is connected to the blowby gas port 105-1 of the cylinder head 105 so as to communicate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engine 100 excluding the combustion chamber of the cylinder block 101. [ Therefore, the path connecting the cylinder block 101 to the cylinder head 105 and the blowby gas port 105-1 is a path through which the non-re-combusted portion of the refuel blow-by gas is collected back into the blow- And the gas discharge hose 50 forms a final discharge path for discharging the blowby gas from the blowby gas port 105-1 to the atmosphere. Since the blow-by gas is discharged to the atmosphere without being returned to the intake duct by the gas discharge hose 50, there is no fear of engine breakage due to freezing of the blow-by gas during the winter season. In particular, blow- Bygas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but it can meet the regulation of exhaust gas 6 and exhaust gas total amount regulation.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적용된 오픈루프방식 크랭크케이스 공조시스템(1)은 엔진(100)의 크랭크샤프트(10)와 연계되어 크랭크케이스 공간(100-1)에 형성되고, 엔진(100)의 외부에 연결된 가스배출호스(50)로 오일 제거된 후 재 연소되지 못한 블로바이가스를 대기로 배출함으로써 동절기 블로바이가스 빙결현상차단 및 유로 6 배기규제나 배기가스총량 규제 충족이 이루어지는 블로바이가스 대기 배출에 더해 오일 세퍼레이터 적용 없는 단순한 시스템 구성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open loop type crankcase air conditioning system 1 applied to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in the crankcase space 100-1 in cooperation with the crankshaft 10 of the engine 100, The blowby gas that has not been re-combusted after the oil is removed by the gas discharge hose 50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engine 100 is discharged to the atmosphere, thereby blocking the freeze gas blocking phenomenon in the winter season and regulating exhaust gas flow 6 and satisfying the exhaust gas total amount regulation In addition to blow-by gas discharge to atmosphere, simple system configuration without oil separator is possible.

1 : 오픈루프방식 크랭크케이스 공조시스템
10 : 크랭크샤프트 11 : 크랭크 암
13 : 메인 저널 10A : 블로바이가스 통로
10-1 : 원주홀 10-2 : 축홀
10-3 : 확장 엔드
20 : 크랭크샤프트 풀리 21 : 풀리 체결보스
20A : 오일 복귀 통로 20-1 : 오일 수거 챔버
20-2 : 오일 챔버 연통홀
30 : 드레인 커버 30A : 오일 드레인 통로
30-1 : 오일 충진 챔버 30-2 : 오일 드레인홀
40 : 실링 캡 50 : 가스배출호스
100 : 엔진 100-1 : 크랭크케이스 공간
101 : 실린더블록 103 : 오일 팬
105 : 실린더 헤드 105-1 : 블로바이가스 포트
200 : 차량 200-1 : 엔진룸
1: Open loop type crankcase air conditioning system
10: crankshaft 11: crank arm
13: main journal 10A: blow-by gas passage
10-1: Circumferential hole 10-2: Axle hole
10-3: Extended End
20: crankshaft pulley 21: pulley locking boss
20A: Oil return passage 20-1: Oil collection chamber
20-2: Oil chamber communication hole
30: drain cover 30A: oil drain passage
30-1: Oil filling chamber 30-2: Oil drain hole
40: sealing cap 50: gas discharge hose
100: engine 100-1: crankcase space
101: cylinder block 103: oil pan
105: cylinder head 105-1: blowby gas port
200: vehicle 200-1: engine room

Claims (20)

연료의 연소로 생성된 블로바이가스(Blow By Gas)에 포함된 오일이 크랭크샤프트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분리되도록 상기 블로바이가스를 상기 크랭크샤프트의 내부공간으로 유입시키는 블로바이가스 통로;
상기 블로바이가스 통로에 이어지고, 상기 크랭크샤프트와 함께 회전되는 크랭크샤프트 풀리로 상기 오일을 복귀오일로 모아주는 오일복귀통로;
상기 오일복귀통로에 이어지고, 상기 크랭크샤프트 풀리의 뒤쪽에서 상기 크랭크샤프트를 감싼 드레인 커버로 상기 복귀오일을 모아 오일 팬으로 드레인(drain)시키는 오일 드레인 통로;
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루프방식 크랭크케이스 공조시스템.
A blowby gas passage for introducing the blowby gas into the inner space of the crankshaft so that the oil contained in the blowby gas generated by the combustion of the fuel is separated by the centrifugal force due to the rotation of the crankshaft;
An oil return passage extending to the blowby gas passage and collecting the oil into return oil by a crankshaft pulley rotated together with the crankshaft;
An oil drain passage connected to the oil return passage and collecting the return oil from the rear of the crankshaft pulley and draining the return oil to the oil pan with a drain cover surrounding the crankshaft;
And an open loop type crankcase air conditioning syste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로바이가스 통로는 상기 크랭크샤프트에 뚫려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루프방식 크랭크케이스 공조시스템.
The open loop type crankcas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lowby gas passage is formed in the crankshaft.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블로바이가스 통로는 상기 크랭크샤프트의 원주방향으로 뚫려진 원주홀과 축방향으로 뚫려진 축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루프방식 크랭크케이스 공조시스템. The open loop type crankcas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blowby gas passage comprises a circumferential hole drill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rankshaft and a shaft hole drilled axially.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원주홀과 상기 축홀은 상기 크랭크샤프트의 메인 저널과 상기 메인 저널이 연결되는 크랭크 암을 이용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루프방식 크랭크케이스 공조시스템.
The open loop type crankcase air conditioning system of claim 3, wherein the circumferential hole and the shaft hole are formed using a crank arm to which the main journal of the crank shaft and the main journal are connected.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원주홀은 상기 메인 저널과 상기 크랭크 암의 연결부위로 위치되고, 상기 축홀은 상기 메인 저널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루프방식 크랭크케이스 공조시스템.
The open loop type crankcas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circumferential hole is located at a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main journal and the crank arm, and the shaft hole is located in the main journal.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원주홀은 상기 크랭크 암이 위치된 크랭크케이스 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축홀은 상기 크랭크케이스 공간을 벗어나 상기 크랭크샤프트 풀리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루프방식 크랭크케이스 공조시스템.
The open loop type crankcas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circumferential hole is communicated with a crankcase space in which the crank arm is located, and the shaft hole is communicated with the crankshaft pulley out of the crankcase spac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축홀의 오일배출구에는 상기 축홀의 직경을 콘 형상으로 확장시키는 확장 엔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루프방식 크랭크케이스 공조시스템.
The open loop type crankcas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oil outlet of the shaft hole is formed with an expansion end for expanding the diameter of the shaft hole into a cone shap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일 복귀 통로는 상기 크랭크샤프트 풀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루프방식 크랭크케이스 공조시스템.
The open loop type crankcas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il return passage is formed in the crankshaft pulley.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오일 복귀 통로는 상기 크랭크샤프트 풀리에서 돌출되어 상기 크랭크샤프트와 연결되는 풀리 체결보스의 축 홀로 형성된 오일수거 챔버, 상기 풀리 체결보스에 뚫려져 상기 오일수거 챔버와 연통되는 오일챔버 연통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루프방식 크랭크케이스 공조시스템.
The oil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oil return passage includes an oil collection chamber formed as a shaft hole of a pulley coupling boss projecting from the crankshaft pulley and connected to the crankshaft, an oil chamber pierced by the pulley coupling boss and communicating with the oil collection chamber, And a communication hole formed in the crankcase.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오일수거 챔버는 외부와 밀폐되고, 상기 오일챔버 연통홀은 상기 드레인 커버쪽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루프방식 크랭크케이스 공조시스템.
The open loop type crankcas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oil collection chamber is hermetically sealed to the outside, and the oil chamber communication hole is inclined toward the drain cover.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오일수거 챔버의 밀폐구조는 상기 축 홀에 끼워진 실링 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루프방식 크랭크케이스 공조시스템.

The open loop type crankcas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sealing structure of the oil collection chamber is formed by a sealing cap fitted to the shaft ho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일 드레인 통로는 상기 드레인 커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루프방식 크랭크케이스 공조시스템.
The open loop type crankcas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il drain passage is formed in the drain cover.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오일 드레인 통로는 상기 드레인 커버의 밀폐된 내부 공간으로 형성된 오일 충진 챔버, 상기 드레인 커버에 뚫려져 상기 오일 충진 챔버와 연통되는 오일 드레인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루프방식 크랭크케이스 공조시스템.
The open-loop type crankcase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oil drain passage comprises an oil filling chamber formed as a closed inner space of the drain cover, and an oil drain hole communicated with the oil filling chamber by being pierced by the drain cover Air conditioning system.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오일 드레인홀은 상기 드레인 커버가 상기 크랭크샤프트에 체결된 상태에서 지면을 향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루프방식 크랭크케이스 공조시스템.
The open loop type crankcas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oil drain hole is positioned so as to face the ground in a state where the drain cover is fastened to the crankshaf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일이 제거된 블로바이가스는 오픈루프 가스경로로 대기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루프방식 크랭크케이스 공조시스템.

The open loop type crankcas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lowby gas from which the oil is removed is discharged into the atmosphere through an open loop gas path.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오픈루프 가스경로는 대기와 연통된 가스배출호스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루프방식 크랭크케이스 공조시스템.
16. The open loop type crankcase air conditioning system of claim 15, wherein the open loop gas path is formed of a gas discharge hose communicated with the atmosphere.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6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오픈루프방식 크랭크케이스 공조시스템;
상기 오픈루프방식 크랭크케이스 공조시스템을 이루는 크랭크샤프트가 위치된 크랭크케이스 공간이 연소실의 아래쪽으로 형성된 실린더블록을 갖춘 엔진;
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An open loop type crankcas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6;
An engine having a cylinder block in which a crankcase space in which the crankshaft constituting the open loop type crankcase air conditioning system is located is formed below the combustion chamber;
And a vehicle.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엔진은 상기 오픈루프방식 크랭크케이스 공조시스템에서 오일이 포함된 블로바이가스로부터 분리되어 드레인(drain)되는 오일이 복귀되는 오일 팬이 상기 실린더블록의 하부로 구비되고, 상기 오일이 제거된 블로바이가스를 모아 상기 엔진의 외부로 배출시켜주는 실린더 헤드가 상기 실린더블록의 상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7] The engine according to claim 17, wherein the engine is provided with a lower portion of the cylinder block in which an oil to be separated from the blowby gas containing oil is returned, in the open loop type crankcase air conditioning system, And a cylinder head for collecting the removed blowby gas and discharging the blowby gas to the outside of the engine is provided as an upper portion of the cylinder block.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헤드에는 대기와 연통된 가스배출호스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9. The vehicle of claim 18, wherein the cylinder head is connected to a gas discharge hose communicated with the atmosphere.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출호스는 상기 실린더 헤드의 블로바이가스 포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21. The vehicle of claim 19, wherein the gas discharge hose is connected to the blowby gas port of the cylinder head.
KR1020160135868A 2016-10-19 2016-10-19 Open Loop Crankcase Ventilation System and Vehicle thereby Expired - Fee Related KR1017953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868A KR101795308B1 (en) 2016-10-19 2016-10-19 Open Loop Crankcase Ventilation System and Vehicle thereb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868A KR101795308B1 (en) 2016-10-19 2016-10-19 Open Loop Crankcase Ventilation System and Vehicle thereb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5308B1 true KR101795308B1 (en) 2017-11-07

Family

ID=60384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5868A Expired - Fee Related KR101795308B1 (en) 2016-10-19 2016-10-19 Open Loop Crankcase Ventilation System and Vehicle thereb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530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41591A (en) * 2018-12-20 2019-03-08 常州卡斯特铝精密铸造科技有限公司 Gasoline bottom cas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70535A (en) 2012-09-28 2014-04-21 Yamaha Motor Co Ltd Crankcase emission control system
JP2016023641A (en) 2014-07-24 2016-02-08 フィアット グループ オートモービルズ エス.ピー.エー.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double-stage separation blow-by gas recircul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70535A (en) 2012-09-28 2014-04-21 Yamaha Motor Co Ltd Crankcase emission control system
JP2016023641A (en) 2014-07-24 2016-02-08 フィアット グループ オートモービルズ エス.ピー.エー.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double-stage separation blow-by gas recirculation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41591A (en) * 2018-12-20 2019-03-08 常州卡斯特铝精密铸造科技有限公司 Gasoline bottom ca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13676B2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4459966A (en) Apparatus for the return of crankcase vapors into a combustion chamber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8166958B2 (en) Positive crankcase ventilation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RU2442012C2 (en) Oil separator for combustion engines with gas fuel performance
JP2009539012A (en) Cylinder head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8177447A (en) Centrifugal separating filter
CN103696826A (en) Oil-gas separator for supercharged engine
US8485145B2 (en) Breather air—oil seperator
KR100765584B1 (en) Crankcase Ventilation
KR101795308B1 (en) Open Loop Crankcase Ventilation System and Vehicle thereby
WO2018225079A1 (en) Crankcase ventilation
JP2006037965A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automobile
US10267269B1 (en) Venting method for engine crankcases
CN109469531B (en) Crankcase ventilation system oil and gas separator assembly and vehicle
CN100560951C (en) Ventilation devic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552217B1 (en) Separation device for oil and foreign substances in blowby gas
JP7109405B2 (en) Blow-by gas reflux device
CN201103442Y (en) Ventilating device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WO2013108625A1 (en) Closed breather system
US7503317B2 (en) Internal breathe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11572814B2 (en) Breather/check valve oil and air separator system and method
KR100736982B1 (en) Freezing prevention device of blow-by gas reduction device
CN109281730A (en) Crankcase ventilation systems and automobiles
JP3020370B2 (en) Gas-liquid separation device
KR100444878B1 (en) Oil separator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1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11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