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5231B1 - Damper pulley assembly for vehicle - Google Patents
Damper pulley assembly for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95231B1 KR101795231B1 KR1020160040788A KR20160040788A KR101795231B1 KR 101795231 B1 KR101795231 B1 KR 101795231B1 KR 1020160040788 A KR1020160040788 A KR 1020160040788A KR 20160040788 A KR20160040788 A KR 20160040788A KR 101795231 B1 KR101795231 B1 KR 10179523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amper
- hub
- rubber
- pulley
- damper hub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800 voi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32—Friction members
- F16H55/36—Pull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ulle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댐퍼 풀리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샤프트에 의해 회전될 때 소음이 저감될 수 있는 자동차용 댐퍼 풀리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댐퍼허브, 질량체, 및 상기 댐퍼허브의 드럼부와 질량체 사이에 개재된 댐퍼러버를 포함하는 댐퍼부와; 풀리, 풀리에 일체로 형성된 IP 러버, 및 IP 러버의 내주부분에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의 단부에 체결되는 IP 허브를 포함하는 아이솔레이션부로 구성된 자동차용 댐퍼 풀리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댐퍼부의 댐퍼허브는 샤프트의 단부가 내측으로 끼워지도록 형성된 중심관부, 상기 중심관부에서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형상을 가지는 반경확장부, 및 상기 반경확장부의 주연부에 형성되고 상기 풀리와 결합되는 원통형의 드럼부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허브의 반경확장부를 통해 전달되는 소음이 저감될 수 있도록 상기 반경확장부에는 소음저감용 홀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댐퍼 풀리 조립체가 개시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n automotive damper pulley assembly, and is primarily intended to provide an automotive damper pulley assembly in which noise can be reduced when rotated by a shaft.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damper unit including a damper hub, a mass, and a damper rubber interposed between a drum portion of the damper hub and a mass; An automotive damper pulley assembly composed of a pulley, an IP rubber integrally formed on a pulley, and an isolation portion including an IP hub coupled to an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IP rubber and fastened to an end portion of the shaft, wherein the damper hub of the damper portion comprises: And a cylindrical drum portion formed at a periphery of the radially expanded portion and coupled with the pulley, wherein the radially extending portion has a radially expanded portion having a shape extending radially in the central tube portion, And a noise reduction hole is formed in the radially expanded portion so as to reduce noise transmitted through the radially expanded portion of the damper pulley assembly.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용 댐퍼 풀리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샤프트에 의해 회전될 때 소음이 저감될 수 있고 먼지 등 이물질의 유입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는 자동차용 댐퍼 풀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차량의 엔진에서 실린더 블록의 내부에는 실린더 내를 왕복 운동하는 다수 개의 피스톤과 커넥팅 로드가 설치되고, 상기 커넥팅 로드는 피스톤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크랭크 샤프트에 결합된다. Generally, in the engine of a vehicle, a plurality of pistons and connecting rods that reciprocate in a cylinder are provided in a cylinder block, and the connecting rod is coupled to a crankshaft that converts linear motion of the piston into rotational motion.
그리고, 크랭크 샤프트의 단부에는 크랭크 샤프트의 회전력을 차량의 보기류 부품에 전달하는 댐퍼 풀리 조립체가 장착된다.At the end of the crankshaft, a damper pulley assembly is mounted which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crankshaft to the swivel parts of the vehicle.
댐퍼 풀리 조립체는 엔진의 구동시에 회전되는 크랭크 샤프트로부터 회전력을 직접 전달받을 수 있도록 크랭크 샤프트에 일체 회전되게 직결되어 장착되고, 크랭크 샤프트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력을 벨트를 통해 알터네이터, 워터 펌프, 파워 스티어링 펌프, 에어컨 컴프레서와 같은 보기류 부품에 전달하게 된다.The damper pulley assembly is directly coupled to the crankshaft so as to receive rotational force directly from the crankshaft rotated at the time of driving the engine. The damper pulley assembly includes an alternator, a water pump, a power steering pump,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compressor.
또한, 크랭크 샤프트에 적용되는 아이솔레이션(isolation) 댐퍼 풀리 조립체의 경우 크랭크 샤프트의 토크 변동에 따라 발생하는 비틀림 진동이나 풀리에 결합된 벨트의 속도 변동에 따른 진동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n isolation damper pulley assembly applied to a crankshaft, it plays a role of suppressing vibration due to a torsional vibration caused by a torque variation of the crankshaft or a speed variation of a belt coupled to the pulley.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아이솔레이션 댐퍼 풀리 조립체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아이솔레이션 댐퍼 풀리 조립체의 단면도이다.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solation damper pulley assembly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solation damper pulley assembly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솔레이션 댐퍼 풀리 조립체(100)는 크게 댐퍼부(110)와 아이솔레이션부(120)로 구성되는데, 댐퍼부(110)는 댐퍼허브(111)와 질량체(115), 그리고 댐퍼허브(111)와 질량체(115) 사이에 개재되는 링 형상의 댐퍼러버(118)로 이루어져서 크랭크 샤프트(1)의 비틀림 진동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한다. As shown, the isolation
그리고, 아이솔레이션부(120)는 풀리(121), IP 러버(122), 슬리브(sleeve)(123) 및 IP 허브(124)로 구성된다.The
댐퍼부(110)에서 질량체(115)는 그 소경부(116)가 댐퍼허브(111)의 드럼부(114) 외측에 끼워져 조립되고, 이 댐퍼허브(111)의 드럼부(114)와 질량체(115)의 소경부(116) 사이에 링 형상의 댐퍼러버(118)가 강제로 압입된다.The
이와 같이 댐퍼허브(111)의 드럼부(114)와 질량체(115)의 소경부(116) 사이에 댐퍼러버(118)가 압입된 상태가 되도록 하여 댐퍼부(110)가 일체로 조립된다.The
또한, 댐퍼부(110)와 끼워 맞추어져서 조립되는 아이솔레이션부(120)의 최외곽부에는 'ㄷ' 자 단면 형상의 풀리(121)가 배치되고, 벨트(3)가 압착 상태로 결합되는 부분인 풀리(121)의 외주면에는 다수 개의 풀리홈(121a)이 형성된다.A
상기 풀리(121)의 내주면에 IP 러버(122)가 일체로 성형되고, 이 IP 러버(122)의 내주면에 금속제 슬리브(123)가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슬리브(123)의 내부에 IP 허브(124)가 강제로 압입 고정됨으로써 아이솔레이션부(120)가 일체로 구성된다. An
상기 IP 허브(124)에는 크랭크 샤프트(1)와의 체결을 위한 볼트(2)가 관통하는 관통공(125a)이 형성된다. The
그리고, 풀리(121)의 'ㄷ' 자 형상의 내부에 댐퍼허브(111)의 드럼부(114)와 질량체(115)의 소경부(116), 댐퍼러버(118)가 저널베어링(131)과 스러스트베어링(132)을 개재한 상태로 압입 고정된다. The
이에 따라 댐퍼부(110)의 댐퍼허브(111)와 아이솔레이션부(120)의 IP 허브(124)가 크랭크 샤프트(1)를 동심축으로 하여 일체화될 수 있고, 결국 댐퍼부(110)의 구성요소들과 아이솔레이션부(120)의 구성요소들이 일체로 조립된 댐퍼 풀리 조립체(100)가 구성될 수 있게 된다.The
한편, 상기와 같은 아이솔레이션 댐퍼 풀리 조립체(100)에서는 아이솔레이션부(120), 특히 풀리(121)의 거동에 따른 진동 및 소음이 발생하고, 이때 발생한 소음이 도 2에 나타낸 소음 전달 경로(화살표 'A' 참조)를 따라 댐퍼허브에 전달된다.In the isolation
또한, 댐퍼허브(111)에 전달된 소음이 댐퍼허브(111)와 IP 러버(122) 사이의 빈 공간을 통해 발생하는 스피커 효과로 인하여 큰 방사 소음으로 나타나게 되고, 결국 종래의 아이솔레이션 댐퍼 풀리 조립체가 적용된 경우에서 엔진 소음이 증대되는 문제가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noise transmitted to th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크랭크 샤프트에 의해 회전될 때 소음이 저감될 수 있는 자동차용 댐퍼 풀리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utomotive damper pulley assembly that can reduce noise when it is rotated by a crankshaf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댐퍼허브, 질량체, 및 상기 댐퍼허브의 드럼부와 질량체 사이에 개재된 댐퍼러버를 포함하는 댐퍼부와; 풀리, 풀리에 일체로 형성된 IP 러버, 및 IP 러버의 내주부분에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의 단부에 체결되는 IP 허브를 포함하는 아이솔레이션부로 구성된 자동차용 댐퍼 풀리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댐퍼부의 댐퍼허브는 샤프트의 단부가 내측으로 끼워지도록 형성된 중심관부, 상기 중심관부에서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형상을 가지는 반경확장부, 및 상기 반경확장부의 주연부에 형성되고 상기 풀리와 결합되는 원통형의 드럼부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허브의 반경확장부를 통해 전달되는 소음이 저감될 수 있도록 상기 반경확장부에는 소음저감용 홀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댐퍼 풀리 조립체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amper comprising: a damper hub including a damper hub, a mass, and a damper rubber interposed between a drum portion and a mass of the damper hub; An automotive damper pulley assembly composed of a pulley, an IP rubber integrally formed on a pulley, and an isolation portion including an IP hub coupled to an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IP rubber and fastened to an end portion of the shaft, wherein the damper hub of the damper portion comprises: And a cylindrical drum portion formed at a periphery of the radially expanded portion and coupled with the pulley, wherein the radially extending portion has a radially expanded portion having a shape extending radially in the central tube portion, Wherein a noise reduction hole is formed in the radially enlarged portion so as to reduce noise transmitted through the radially expanded portion of the damper pulley assembly.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댐퍼 풀리 조립체에서는 댐퍼허브의 반경확장부에 소음저감용 홀이 형성됨으로써 스피커 효과로 인해 나타나는 소음이 효과적으로 저감될 수 있게 된다.Thus, in the automotive damper pulley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oise reduction hole is formed in the radially expanded portion of the damper hub, thereby effectively reducing the noise caused by the speaker effec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댐퍼 풀리 조립체에서는 상기 소음저감용 홀을 통해 이물질이 베어링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이물질 유입 방지 구조, 즉 IP 러버의 돌출부 및 댐퍼허브의 스텝부, 댐퍼허브의 블레이드 돌기가 구비됨으로써 이물질 유입으로 인한 마모 및 소음 발생이 방지될 수 있고, 댐퍼 풀리 조립체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In the damper pulley assembly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flowing into the bearing through the noise reduction hole, a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structure, that is, a step portion of the IP rubber protrusion and the damper hub, By providing the projection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ear and noise from being caused by the inflow of foreign matter, and the durability of the damper pulley assembly can be improved.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아이솔레이션 댐퍼 풀리 조립체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아이솔레이션 댐퍼 풀리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솔레이션 댐퍼 풀리 조립체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솔레이션 댐퍼 풀리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솔레이션 댐퍼 풀리 조립체에서 댐퍼허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solation damper pulley assembly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solation damper pulley assembly in accordance with the prior art;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solation damper pulley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solation damper pulley assembly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amper hub in an isolation damper pulley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본 발명은 엔진의 크랭크 샤프트에 장착되는 아이솔레이션 댐퍼 풀리 조립체로 적용 가능한 것으로서, 특히 회전시의 소음이 저감될 수 있는 자동차용 댐퍼 풀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an isolation damper pulley assembly mounted on a crankshaft of an eng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otive damper pulley assembly in which noises during rotation can be reduc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솔레이션 댐퍼 풀리 조립체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솔레이션 댐퍼 풀리 조립체의 단면도이다.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solation damper pulley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sectional view of an isolation damper pulley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솔레이션 댐퍼 풀리 조립체에서 댐퍼허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amper hub in an isolation damper pulley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솔레이션 댐퍼 풀리 조립체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First, the construction of the isolation damper pulley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FIG.
실시예에 따른 아이솔레이션 댐퍼 풀리 조립체(100)는 크게 댐퍼부(110)와 아이솔레이션부(120)로 구성되는데, 댐퍼부(110)는 댐퍼허브(111)와 질량체(115), 그리고 댐퍼허브(111)와 질량체(115) 사이에 개재되는 링 형상의 댐퍼러버(118)로 이루어진다.The isolation
그리고, 아이솔레이션부(120)는 풀리(121), IP 러버(122), 슬리브(123) 및 IP 허브(124)로 구성된다.The
댐퍼부를 살펴보면, 댐퍼부(110)의 댐퍼허브(111)는 크랭크 샤프트(1)의 단부가 내측으로 끼워지도록 형성되고 IP 허브(124)에 의해 크랭크 샤프트(1)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는 원통형의 중심관부(112), 이 중심관부(112)의 일단부에서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형상을 가지는 반경확장부(113), 및 이 반경확장부(113)의 단면상 단부(가장자리의 둘레 부분이 되는 주연부)에서 축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된 원통형의 드럼부(114)로 구성된다. The
그리고, 질량체(115)는 댐퍼허브(111)의 드럼부(114) 외측에 끼워지는 원통형의 소경부(116), 및 이 소경부(116)와 단을 이루면서 확장되어 축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원통형의 대경부(117)로 구성된다.The
상기 댐퍼부(110)에서 질량체(115)는 그 소경부(116)가 댐퍼허브(111)의 드럼부(114) 외측에 끼워져 조립되고, 이 댐퍼허브(111)의 드럼부(114)와 질량체(115)의 소경부(116) 사이에 링 형상의 댐퍼러버(118)가 강제로 압입된다.The
이와 같이 댐퍼허브(111)의 드럼부(114)와 질량체(115)의 소경부(116) 사이에 댐퍼러버(118)가 압입된 상태가 되도록 하여 댐퍼부(110)가 일체로 조립된다.The
또한, 댐퍼부(110)와 끼워 맞추어져서 조립되는 아이솔레이션부(120)를 살펴보면, 아이솔레이션부(120)의 최외곽부에 'ㄷ' 자 단면 형상의 풀리(121)가 배치되고, 벨트(3)가 압착 결합되는 부분인 풀리(121)의 외주면에는 다수 개의 풀리홈(121a)이 형성된다.The
상기 풀리(121)의 내주면에 IP 러버(122)가 일체로 성형되고, 이 IP 러버(122)의 내주면에 금속제 슬리브(123)가 일체로 고정되며, 슬리브(123)의 내측으로 IP 허브(124)가 강제로 압입 고정됨으로써 아이솔레이션부(120)가 일체로 구성된다. An
상기 IP 허브(124)는 크랭크 샤프트(1)의 단부에 결합되는 디스크부(125), 및 이 디스크부(125)의 단부에서 축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슬리브(123)을 개재한 상태로 IP 러버(122)의 내주부분에 결합되는 드럼부(126)로 구성된다.The
상기 IP 허브(124)의 디스크부(125)에는 크랭크 샤프트(1)와의 체결을 위한 볼트(2)가 관통하는 관통공(125a)이 형성되고, IP 허브(124)의 드럼부(126)가 슬리브(123)의 내측으로 압입된다.The
그리고, 풀리(121)의 'ㄷ' 자 형상의 내부에는 댐퍼허브(111)의 드럼부(114)와 질량체(115)의 소경부(116), 댐퍼러버(118)가 저널베어링(131)과 스러스트베어링(132)을 개재한 상태로 압입 고정된다. The
이에 따라 댐퍼부(110)의 댐퍼허브(111)와 아이솔레이션부(120)의 IP 허브(124)가 크랭크 샤프트(1)를 동심축으로 하여 일체화될 수 있고, 결국 댐퍼부(110)의 구성요소들과 아이솔레이션부(120)의 구성요소들이 일체로 조립된 댐퍼 풀리 조립체(100)가 구성될 수 있게 된다.Th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댐퍼 풀리 조립체(100)에서는 댐퍼허브(111)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소음저감용 홀(113a)을 추가로 관통 형성한다.Meanwhile, in the
종래의 아이솔레이션 댐퍼 풀리 조립체에서는 아이솔레이션부, 특히 풀리(121)의 거동에 따른 진동 및 소음이 발생하며, 이때 발생한 소음이 댐퍼허브(111)로 전달되어 댐퍼허브(111)와 IP 러버(122) 사이의 빈 공간을 통해 발생하는 스피커 효과로 인하여 큰 방사 소음으로 나타난다.Noise generated due to the movement of the isolation part, especially the
이때, 댐퍼허브(111)의 반경확장부(113)가 소음 전달 경로상에 위치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댐퍼허브(111)의 반경확장부(113)에 소음저감용 홀(113a)을 관통 형성하여 스피커 효과로 인한 방사 소음이 저감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댐퍼허브(111)는 그 중심부에 샤프트, 예컨대 크랭크 샤프트(1)의 단부가 내측으로 끼워지도록 형성된 원통형의 중심관부(112)가 위치되고, 상기 중심관부(112)를 중심으로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형상의 반경확장부(113)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The
또한, 반경확장부(113)의 주연부에는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원통형의 드럼부(114)를 가진다.Further, a
따라서, 댐퍼허브(111)의 전체적인 형상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심관부(112)에 의해 원형 플레이트(반경확장부가 되는 부분)의 중앙부에 크랭크 샤프트(1)의 단부가 삽입되는 홀이 뚫려 있는 형상, 즉 링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여기서 반경확장부(113)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되어 있다.5, a hole through which the end portion of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한 댐퍼허브(111)의 반경확장부(113)에 원주방향을 따라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소음저감용 홀(113a)을 관통 형성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여기서, 소음저감용 홀(113a)은 스피커 효과로 인해 나타나는 소음을 저감할 목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엔진 소음 개선(NVH 개선)에 기여하게 되는데, 선행 성능 평가를 통하여 스피커 효과로 인한 소음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며, 예를 들어 직경 10mm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또한, 상기와 같이 소음저감용 홀(113a)이 형성될 경우, 이 소음저감용 홀(113a)을 통해 댐퍼허브(111)와 IP 러버(122) 사이의 빈 공간으로 이물질(dust)이 유입될 수 있다. When the
이때 유입된 이물질은 풀리(121)와, 그 'ㄷ' 자 단면 형상 부분의 내측으로 삽입된 댐퍼허브(111)의 드럼부(114)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저널베어링(131) 측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유입된 이물질이 부품 간 마모 및 소음 등의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oreign matter can be introduced into the journal bearing 131 through the gap between the
따라서, 이물질 유입 방지 구조가 구비되어야 하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아이솔레이션부(120)의 풀리(121) 내주면에 접합된 IP 러버(122)의 외주부분 일측 단부가, 풀리(121) 내주부분의 일측 단부를 일정부분 감싸는 구조가 될 수 있도록 축방향 및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구조, 즉 돌출부(122a)를 가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One end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또한, IP 러버(122)에서 풀리(121) 내주부분의 일측 단부를 일정부분 감싸고 있는 돌출부(122a)와 마주보고 있는 댐퍼허브 부분, 즉 댐퍼허브(111)에서 반경확장부(113)와 드럼부(114) 간을 서로 연결하고 있는 연결부분의 내측면에는, 단면상으로 단차지고 상기 댐퍼허브(111)와 IP 러버(122) 사이의 빈 공간으로 돌출된 계단 형상을 가지는 스텝(step)부(114a)를 형성한다.The damper hub portion facing the protruding
이때, 상기 스텝부는 댐퍼허브(111)와 IP 러버(122) 사이의 빈 공간에서도 간극의 입구측 공간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tep portion may be protruded to the inlet side space of the gap even in the empty space between the
상기와 같은 돌출부(122a)와 스텝부(114a)는 댐퍼허브(111)와 IP 러버(122) 사이의 빈 공간으로부터 풀리(121)의 내주부분과 댐퍼허브(111)의 드럼부(114) 사이의 간극으로 이어지는 이물질 유입 경로를 어느 정도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바, 소음감지용 홀을 통해 댐퍼허브(111)와 IP 러버(122) 사이의 빈 공간으로 유입된 이물질이 상기 간극을 향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The
한편, IP 러버(122)와 마주보고 있는 면이면서 IP 러버(122)와의 사이에 빈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반경확장부(113)의 한쪽 면을 내측면이라고 할 때, 반경확장부(113)에서의 그 반대쪽 면인 외측면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블레이드 돌기(113b)가 돌출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when one side of the radially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댐퍼허브(111)의 반경확장부(113) 외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 돌기(113b)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각 블레이드 돌기(113b)는 반경확장부(113)의 외측면을 따라 일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ferred embodiment, as shown in Fig. 5, a plurality of
또한, 상기 각 블레이드 돌기(113b)는 댐퍼허브(111)의 반경확장부(113)에서 반경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형상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Each of the
즉, 각 블레이드 돌기(113b)의 길이방향이 반경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방향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of the
또한, 상기 블레이드 돌기(113b)는 이웃한 두 소음저감용 홀(113a) 사이의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소음저감용 홀(113a)과 블레이드 돌기(113b)는 동수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도 5를 참조하면, 댐퍼허브(111)의 반경확장부(113)에 각각 8개의 소음저감용 홀(113a)과 블레이드 돌기(113b)가 형성됨을 볼 수 있으며, 이러한 소음저감용 홀(113a) 및 블레이드 돌기(113b)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5, it can be seen that eight
상기 블레이드 돌기(113b)는 크랭크 샤프트(1)가 회전됨에 따라 댐퍼허브(111)를 포함하는 댐퍼 풀리 조립체(100)가 회전될 때 댐퍼허브(111)의 반경확장부(113) 외측면에서 공기 흐름인 바람을 발생시키며, 이러한 바람은 이물질이 소음저감용 홀(113a)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e
댐퍼허브(111)가 회전될 때 블레이드 돌기(113b)에 의해 반경확장부(113)의 외측면에서 바람이 발생하게 되면, 이물질이 바람에 의해 소음저감용 홀(113a)을 향해 이동되지 않으며, 따라서 소음저감용 홀(113a)을 통해 댐퍼허브(111)의 반경확장부(113)와 IP 러버(122)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When the
결국, 상기한 돌출부(122a) 및 스텝부(114a), 그리고 블레이드 돌기(113b) 등의 이물질 유입 방지 구조에 의해 이물질이 풀리(121)와 댐퍼허브(111) 사이의 간극을 통해 저널베어링(131)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고, 결국 댐퍼 풀리 조립체의 베어링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foreign matter is prevented from entering the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 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are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크랭크 샤프트 2 : 볼트
3 : 벨트 100 : 댐퍼 풀리 조립체
110 : 댐퍼부 111 : 댐퍼허브
112 : 중심관부 113 : 반경확장부
113a : 소음저감용 홀 113b : 블레이드 돌기
114 : 드럼부 114a : 스텝부
115 : 질량체 116 : 소경부
117 : 대경부 118 : 댐퍼러버
120 : 아이솔레이션부 121 : 풀리
121a : 풀리홈 122 : IP 러버
122a : 돌출부 123 : 슬리브
124 : IP 허브 125 : 디스크부
125a : 관통공 126 : 드럼부
131 : 저널베어링 132 : 스러스트베어링1: Crankshaft 2: Bolt
3: Belt 100: Damper pulley assembly
110: damper part 111: damper hub
112: center tube portion 113:
113a:
114:
115: mass body 116:
117: large-diameter portion 118: damper rubber
120: Isolation part 121: Pulley
121a: pulley groove 122: IP rubber
122a: protrusion 123: sleeve
124: IP hub 125: disk unit
125a: through hole 126: drum portion
131: journal bearing 132: thrust bearing
Claims (8)
상기 댐퍼부의 댐퍼허브는 샤프트의 단부가 내측으로 끼워지도록 형성된 중심관부, 상기 중심관부에서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형상을 가지는 반경확장부, 및 상기 반경확장부의 주연부에 형성되고 상기 풀리와 결합되는 원통형의 드럼부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허브의 반경확장부를 통해 전달되는 소음이 저감될 수 있도록 상기 반경확장부에는 소음저감용 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풀리와 댐퍼허브의 드럼부 사이의 간극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한 이물질 유입 방지 구조로서, 상기 아이솔레이션부의 풀리에 접합된 IP 러버의 단부에 풀리의 단부를 감싸고 있는 돌출된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IP 러버의 돌출부와 마주보고 있는 댐퍼허브의 일측 부분에 단면상 단차진 계단 형상을 가지는 스텝(step)부가 형성되며,
상기 스텝부는 댐퍼허브와 IP 러버 사이의 공간 중 상기 간극의 입구측 공간으로 돌출된 상기 단차진 계단 형상을 가지며,
상기 스텝부는 댐퍼허브에서 반경확장부와 드럼부 간을 서로 연결하고 있는 연결부분의 내측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댐퍼 풀리 조립체.
A damper portion including a damper hub, a mass, and a damper rubber interposed between the drum portion and the mass of the damper hub; An automotive damper pulley assembly comprising a pulley, an IP rubber integrally formed on the pulley, and an isolation portion coupled to an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IP rubber and including an IP hub fastened to an end of the shaft,
The damper hub of the damper unit includes a center tube portion formed so that an end portion of the shaft is inserted inwardly, a radially extending portion having a shape extending radially in the central tube portion, and a cylindrical extending portion formed at a periphery of the radially- And a drum portion,
A noise reduction hole is formed in the radially enlarged portion so that noise transmitted through the radially expanded portion of the damper hub can be reduced,
A protruding protruding portion surrounding an end portion of the pulley is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IP rubber joined to the pulley of the isolation portion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flowing into the gap between the pulley and the drum portion of the damper hub A step portion having a stepped step shape is formed on one side portion of the damper hub facing the protrusion of the IP rubber,
Wherein the step portion has the shape of the stepped step protruding from the space between the damper hub and the IP rubber to the inlet side space of the gap,
Wherein the step portion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radial extension portion and the drum portion to each other in the damper hub.
상기 반경확장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 개의 소음저감용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댐퍼 풀리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noise reduction holes are formed in the radius expanding por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댐퍼허브의 반경확장부에서 상기 IP 러버와 마주보고 있는 면의 반대쪽 면에는, 상기 샤프트에 의해 댐퍼 풀리 조립체가 회전될 때 공기 흐름을 발생시켜 이물질이 상기 소음저감용 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블레이드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댐퍼 풀리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amper hub assembly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a damper hub is provided at a radially expanded portion of the damper hub opposite to the surface facing the IP rubber, And a projection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amper.
상기 반경확장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댐퍼 풀리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3,
And a plurality of blade protrusions are formed in the radius expanding por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반경확장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 개의 소음저감용 홀이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 돌기가 이웃한 두 소음저감용 홀 사이의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댐퍼 풀리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 plurality of noise reduction holes are formed in the radius expanding por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blade protrusions are formed at positions between two neighboring noise reducing holes, .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40788A KR101795231B1 (en) | 2016-04-04 | 2016-04-04 | Damper pulley assembly for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40788A KR101795231B1 (en) | 2016-04-04 | 2016-04-04 | Damper pulley assembly for vehic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14076A KR20170114076A (en) | 2017-10-13 |
KR101795231B1 true KR101795231B1 (en) | 2017-11-07 |
Family
ID=60139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40788A Active KR101795231B1 (en) | 2016-04-04 | 2016-04-04 | Damper pulley assembly for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95231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52444A (en) | 2022-04-27 | 2023-11-03 | (주)대화정공 | Hub manufacturing device for damper pulley of vehicle |
KR20230152445A (en) | 2022-04-27 | 2023-11-03 | (주)대화정공 | Hub manufacturing method for damper pulley of vehicl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472607B2 (en) * | 2009-10-27 | 2014-04-16 | Nok株式会社 | Torque fluctuation absorbing damper |
-
2016
- 2016-04-04 KR KR1020160040788A patent/KR10179523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472607B2 (en) * | 2009-10-27 | 2014-04-16 | Nok株式会社 | Torque fluctuation absorbing damper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52444A (en) | 2022-04-27 | 2023-11-03 | (주)대화정공 | Hub manufacturing device for damper pulley of vehicle |
KR20230152445A (en) | 2022-04-27 | 2023-11-03 | (주)대화정공 | Hub manufacturing method for damper pulley of vehic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14076A (en) | 2017-10-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11241891A (en) | Damper | |
KR20120039378A (en) | Isolation damper pulley for vehicle | |
US20080115620A1 (en) | Shaft Assembly | |
JP6587851B2 (en) | Wheel bearing device | |
US20080318715A1 (en) | Drive wheel of an auxiliary unit belt driv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US9062759B2 (en) | Pulley device with a damping element | |
KR101795231B1 (en) | Damper pulley assembly for vehicle | |
KR102543646B1 (en) | Wheel bearing assembly | |
CN107503842A (en) | The idle pulley of fastener-free | |
JP2006322581A (en) | Divided cage and divided type bearing provided with it | |
AU2018202673A1 (en) | Torsional vibration damper | |
KR101865948B1 (en) | Driven Motor for Electric Vehicle | |
JP2006170420A (en) | Outer ring for half-split bearing and half-split bearing provided therewith | |
JP4632792B2 (en) | Pulley with damper function | |
JP2002161915A (en) | Elastic bearing suspension for bearing | |
KR102551832B1 (en) | Wheel bearing assembly | |
JP2006226184A (en) | Camshaft device and its assembling method | |
JP2022128147A (en) | Propeller shaft | |
JP2020139606A (en) | Torsional damper | |
JP2006170419A (en) | Outer ring for half-split bearing and half-split bearing provided therewith | |
JP4479903B2 (en) | Torque fluctuation absorbing damper | |
JP7453127B2 (en) | torsional damper | |
KR102750111B1 (en) | Wheel bearing assembly | |
CN113785137B (en) | Flywheel device,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flywheel device | |
KR102622836B1 (en) | Wheel bearing for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6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0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1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11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0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