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94571B1 - 파렛트 분리 및 박스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파렛트 분리 및 박스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4571B1
KR101794571B1 KR1020160052738A KR20160052738A KR101794571B1 KR 101794571 B1 KR101794571 B1 KR 101794571B1 KR 1020160052738 A KR1020160052738 A KR 1020160052738A KR 20160052738 A KR20160052738 A KR 20160052738A KR 101794571 B1 KR101794571 B1 KR 101794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vertical frame
vertical
plate
pow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2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권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마음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마음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마음테크
Priority to KR1020160052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45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4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457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0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with rectilinear movement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045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21/2063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elements not movable in the direction of load-transport
    • B65G21/2072Laterial guidanc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04Drums, rollers, or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22Arrangements or mountings of driving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belts; with V-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5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65G2812/02148Driving means for the 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Stack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개의 구동롤러(12)가 일렬로 나란하게 설치되며, 컨베이어모터(14)에 의해 상기 구동롤러(12)를 정,역 회전되어 상기 구동롤러(12)의 상측에 안착되는 파렛트(P) 및 박스(B)를 배출 및 공급하는 이송컨베이어(10)와; 상기 이송컨베이어(10)의 양측에 각각 수직하게 설치되며,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수직프레임(30)과;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수직프레임(30)의 전,후면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승강가이드바(32)와; 원통 형상을 가지며, 좌우로 길게 형성되고, 서로 다른 수직프레임(30)에 양단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수직프레임(30)의 상단에서 정,역 회전되는 동력전달샤프트(70)와; 상기 동력전달샤프트(70)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동력전달샤프트(70)를 정,역 회전시키는 구동모터(74)와; 상기 동력전달샤프트(70)와 벨트 결합되며, 상기 수직프레임(30)의 상기 승강가이드바(32)를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파렛트(P)의 상부면에 위치한 적재된 박스(B) 중 하단부에 위치한 박스(B)를 순차적으로 파지하여 상부로 이동시키는 박스승강수단(34);을 포함하는 파렛트 분리 및 박스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고가의 대용량 구동모터를 사용할 필요없이 저가의 저용량 구동모터로 고중량의 적재된 박스를 상하로 승강시킬 수 있으며, 장치의 제작비용이 절감되고, 설치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시간 및 조립시간이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박스승강수단의 상측에 박스지지수단이 설치되어 적재된 박스의 승강동작시 박스의 측면을 지지하므로, 박스승강수단의 이상작동시 박스가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박스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수직프레임에 승강가이드바가 설치되고, 상기 승강가이드바를 따라 전면가이드롤러와 측면가이드롤러가 설치되어 상기 박스승강수단의 상하 이동시 발생되는 진동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상기 박스승강수단의 원활할 상하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파렛트 분리 및 박스 공급장치{Pallet Removing and Box supply Device}
본 발명은 파렛트 분리 박스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승강벨트의 일단에 박스승강수단이 설치되고, 타단에 카운트웨이트가 설치되어 적은 용량의 모터로 고중량의 물체를 승강시킬 수 있는 파렛트 분리 및 박스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렛트의 상부면에 적재되는 물품(용기 또는 박스)을 이동시켜, 파렛트와 물품을 분리하는 장치를 디팔렛타이저(Depallettizer) 장치하고 말한다.
이러한 상기 디팔렛타이저 장치는 일반적으로 이송컨베이어를 따라 파렛트에 적재된 물품이 이송되고, 최상단의 물품부터 공급장치가 파지하여 공급이송컨베이어측으로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작업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디팔렛타이저 장치는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13-0110656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디팔렛타이저 장치는 파렛트의 상단에 적재된 용기를 이동시키기 위해 별도의 수직이송장치와 수평이송장치 등 다수의 장치가 필요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디팔렛타이저 장치의 경우, 구조가 복합할 뿐만 아니라 다수의 장치가 설치되어야 하므로 제작비용이 증가되고, 제작시간이 장시간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13-0110656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승강벨트의 일단에 박스승강수단이 설치되고, 타단에 카운트웨이트가 설치되어 적은 용량의 모터로 고중량의 물체를 승강시킬 수 있는 파렛트 분리 및 박스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파렛트 분리 및 박스 공급장치는, 복수개의 구동롤러가 일렬로 나란하게 설치되며, 컨베이어모터에 의해 상기 구동롤러를 정,역 회전되어 상기 구동롤러의 상측에 안착되는 파렛트 및 박스를 배출 및 공급하는 이송컨베이어와,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양측에 각각 수직하게 설치되며,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수직프레임과,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수직프레임의 전,후면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승강가이드바와, 원통 형상을 가지며, 좌우로 길게 형성되고, 서로 다른 수직프레임에 양단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에서 정,역 회전되는 동력전달샤프트와, 상기 동력전달샤프트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동력전달샤프트를 정,역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동력전달샤프트와 벨트 결합되며,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기 승강가이드바를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파렛트의 상부면에 위치한 적재된 박스 중 하단부에 위치한 박스를 순차적으로 파지하여 상부로 이동시키는 박스승강수단를 포함한다.
상기 박스승강수단은,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수직프레임의 전후측에 각각 설치되는 가이드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측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수직프레임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승강몸체와, 상기 승강몸체의 일측에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며,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적재된 박스를 파지하는 파지부재와, 상기 파지부재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상기 파지부재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파지실린더를 포함한다.
상기 동력전달샤프트의 양단에는 회전풀리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회전풀리의 외주면에는 벨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승강벨트가 더 구비되고, 상기 승강벨트의 일단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와 고정 결합되고, 상기 승강벨트의 타단은 상기 수직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는 카운트웨이터와 연결되고, 상기 동력전달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승강벨트가 상하로 이동되어 상기 박스승강수단의 상하로 이동이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전면 상,하측에는, 롤러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승강가이드바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전면가이드롤러가 더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후면 상,하측에는, 한 쌍의 롤러로 이루어져, 상기 승강가이드바의 양측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측면가이드롤러가 더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상,하 이동을 안내한다.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상측에는,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상부에 안착되는 적재된 박스의 상하 이동시 적재된 박스의 쓰러짐을 방지하는 박스지지수단이 더 구비되며, 상기 박스지지수단은,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전,후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상측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수직지지프레임과, 서로 다른 상기 수직지지프레임의 측면에 양단이 각각 고정 결합되며, 상기 수직프레임의 측면을 지지하는 측면지지프레임과, 일단은 상기 측면지지프레임의 측면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은 적재된 박스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지지판고정프레임과, 상기 지지판고정프레임의 선단에 고정 설치되며,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적재된 박스의 측면을 지지하여 적재된 박스의 상하 이동시 쓰러짐을 방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파렛트 분리 및 박스 공급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승강벨트의 일단에 박스승강수단이 설치되고, 타단에 카운트웨이트가 설치되어 적은 용량의 모터로 고중량의 물체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고가의 대용량 구동모터를 사용할 필요없이 저가의 저용량 구동모터로 고중량의 적재된 박스를 상하로 승강시킬 수 있으며, 장치의 제작비용이 절감되고, 설치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시간 및 조립시간이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박스승강수단의 상측에 박스지지수단이 설치되어 적재된 박스의 승강동작시 박스의 측면을 지지하므로, 박스승강수단의 이상작동시 박스가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박스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수직프레임에 승강가이드바가 설치되고, 상기 승강가이드바를 따라 전면가이드롤러와 측면가이드롤러가 설치되어 상기 박스승강수단의 상하 이동시 발생되는 진동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상기 박스승강수단의 원활할 상하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파렛트 분리 및 박스 공급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파렛트 분리 및 박스 공급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파렛트 분리 및 박스 공급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박스지지수단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박스지지수단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박스승강수단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박스승강수단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박스승강수단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승강가이드바와 승강가이드롤러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승강가이드바와 승강가이드롤러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승강가이드바와 승강가이드롤러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파렛트 분리 및 박스 공급장치에 의해 파렛트가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파렛트 분리 및 박스 공급장치에 의해 하단에 위치한 박스부터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파렛트 배출 및 박스 공급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파렛트 분리 및 박스 공급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파렛트 분리 및 박스 공급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파렛트 분리 및 박스 공급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박스지지수단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박스지지수단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파렛트 배출 및 박스 공급장치는, 복수개의 구동롤러(12)가 일렬로 나란하게 설치되며, 컨베이어모터(14)에 의해 상기 구동롤러(12)를 정,역 회전되어 상기 구동롤러(12)의 상측에 안착되는 파렛트(P) 및 박스(B)를 배출 및 공급하는 이송컨베이어(10)와, 상기 이송컨베이어(10)의 양측에 각각 수직하게 설치되며,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수직프레임(30)과,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수직프레임(30)의 전,후측면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승강가이드바(32)와, 원통 형상을 가지며, 좌우로 길게 형성되고, 서로 다른 수직프레임(30)에 양단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수직프레임(30)의 상단에서 정,역 회전되는 동력전달샤프트(70)와, 상기 동력전달샤프트(70)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동력전달샤프트(70)를 정,역 회전시키는 구동모터(74)와, 상기 동력전달샤프트(70)와 벨트 결합되며, 상기 수직프레임(30)의 상기 승강가이드바(32)를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파렛트(P)의 상부면에 위치한 적재된 박스(B) 중 하단부에 위치한 박스(B)를 순차적으로 파지하여 상부로 이동시키는 박스승강수단(34)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송컨베이어(10)는, 다수개의 구동롤러(12)가 수평면상에 일렬로 나란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체인에 의해 각각의 구동롤러(12)가 연결되고, 상기 체인에 컨베이어모터(14)가 연결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송컨베이어(10)는 일반적인 이송컨베이어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이송컨베이어(10)의 상측에는 박스(B)가 적재된 파렛트(P)가 안착되며, 상기 구동롤러(12)의 정,역 회전에 따라 도 3과 같이 파렛트배출방향으로 파렛트(P)가 배출되거나, 박스 공급방향으로 적재된 박스 중 하단부 제1열의 박스(B)가 공급된다.
상기 이송컨베이어(10)의 양측에는 하부측면프레임(16)이 설치된다. 상기 하부측면프레임(16)은 일반적인 철재빔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하부측면프레임(16)은 상기 이송컨베이어(1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부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부품을 지지한다.
상기 하부측면프레임(16)의 상부면에는 박스지지수단(20)이 설치된다. 상기 박스지지수단(20)은, 상기 이송컨베이어(10)의 전,후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이송컨베이어(10)의 상측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수직지지프레임(22)과, 서로 다른 상기 수직지지프레임(22)의 측면에 양단이 각각 고정 결합되며, 상기 수직프레임(30)의 측면을 지지하는 측면지지프레임(24)과, 일단은 상기 측면지지프레임(24)의 측면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은 적재된 박스(B)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지지판고정프레임(26)과, 상기 지지판고정프레임(26)의 선단에 고정 설치되며,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적재된 박스(B)의 측면을 지지하여 적재된 박스(B)의 상하 이동시 쓰러짐을 방지하는 지지판(28)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지지프레임(22)은 단면이 사각형인 철재빔으로 이루어져, 상기 하부측면프레임(16)의 상부면 전,후측에 각각 수직하게 설치된다. 상기 수직지지프레임(22)은 측면에는 후술할 측면지지프레임(24)이 설치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수직지지프레임(22)의 측면에는 측면지지프레임(24)이 설치된다. 상기 수직지지프레임(22)은 단면이 사각형인 철재빔으로 이루어져, 서로 다른 상기 수직지지프레임(22)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상기 측면지지프레임(24)의 양단에는 상기 수직지지프레임(22)이 고정 설치되어, 상기 수직지지프레임(22)의 측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측면지지프레임(24)의 측면에는 지지판고정프레임(26)이 설치된다. 상기 지지판고정프레임(26)은 단면이 사각형인 철재빔으로 이루어져, 적재된 박스(B)측으로 수평하게 돌출 설치된다. 상기 지지판고정프레임(26)은 적재된 박스(B)의 측면을 따라 돌출되게 설치되어 후술할 지지판(28)을 고정한다.
상기 지지판고정프레임(26)의 선단엔느 지지판(28)이 설치된다. 상기 지지판(28)은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하게 길게 설치된다. 상기 지지판(28)은 적재된 박스(B)의 양측면과 후면에 각각 설치되어, 적재된 박스(B)의 상,하 이동시 적재된 박스(B)의 쓰러짐을 방지한다.
도 6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박스승강수단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박스승강수단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박스승강수단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승강가이드바와 승강가이드롤러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승강가이드바와 승강가이드롤러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승강가이드바와 승강가이드롤러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측면프레임(16)의 상부면 중앙에는 수직프레임(30)이 설치된다. 상기 수직프레임(30)은 내부가 중공된 사각형 빔재로 이루어져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수직프레임(30)은 상기 이송컨베이어(10)의 양측에 설치되는 상기 하부측면프레임(16)의 중앙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직프레임(30)의 측면에는 승강가이드바(32)가 설치된다. 상기 승강가이드바(32)는 단면이 사각형 형상의 철재빔으로 이루어져,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승강가이드바(32)는 상기 수직프레임(30)의 전,후측면 중앙 하부에 상하로 길게 고정 설치된다. 상기 승강가이드바(32)는 후술할 박스승강수단(34)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직프레임(30)의 외측에는 박스승강수단(34)이 설치된다. 상기 박스승강수단(34)은,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수직프레임(30)의 전,후측에 각각 설치되는 가이드플레이트(36)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6)의 측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6)의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수직프레임(30)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승강몸체(54)와, 상기 승강몸체(54)의 일측에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며,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적재된 박스(B)를 파지하는 파지부재(62)와, 상기 파지부재(62)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파지부재(62)를 파지하고,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상기 파지부재(62)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파지실린더(6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6)는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수직프레임(30)의 전,후측에 각각 수평하게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6)는 상기 수직프레임(30)의 전,후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승강가이드바(32)를 따라 상하로 이동된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6) 중 상기 수직프레임(30)의 전면에 설치되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6)의 상측에는 제1벨트고정부재(38)가 설치된다. 상기 제1벨트고정부재(38)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6)와 일체로 형성되며, 직사각형 판재 형상으로 돌출되는 제1벨트고정판(40)과, 상기 제1벨트고정판(40)의 전면에 설치되며, 소정두께를 가지는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제1벨트고정판(40)에 나사 결합되는 제1벨트가압판(42)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벨트고정판(40)의 전면에는 후술할 승강벨트(76)의 끝단이 밀착 결합되고, 상기 제1벨트고정판(40)에 상기 제1벨트가압판(42)이 나사결합되어 후술할 승강벨트(76)의 끝단을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6)에 고정한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6)의 전면에는 상,하측에는 가이드롤러삽입홀(44)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롤러삽입홀(44)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6)의 상,하측에 전,후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롤러삽입홀(44)의 내부에는 후술할 전면가이드롤러(50)가 관통 설치되어 상기 승강가이드바(32)의 전면에 접촉되도록 안내되는 부분이다.
상기 가이드롤러삽입홀(44)의 상측에는 롤러지지판(46)이 설치된다. 상기 롤러지지판(46)은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가이드롤러삽입홀(44)의 상측에 수직하게 설치된다. 상기 롤러지지판(46)은 중앙에는 좌우로 관통되는 롤러체결홀(미도시)이 형성되어 후술할 전면가이드롤러(5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롤러체결홀의 내부에는 롤러회전축(48)이 삽입된다. 상기 롤러회전축(48)은 일반적인 롤러축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롤러회전축(48)은 도 9와 같이, 상기 롤러지지판(46)의 좌우로 관통 설치되며, 후술할 전면가이드롤러(5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롤러회전축(48)의 외주면에는 전면가이드롤러(50)가 설치된다. 상기 전면가이드롤러(50)는 일반적인 롤러(roller)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전면가이드롤러(50)는 상기 가이드롤러삽입홀(44)을 통해 상기 승강가이드바(32)의 전면에 접촉되며,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6)의 상,하 이동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6)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6)의 후면에는 측면가이드롤러(52)가 설치된다. 상기 측면가이드롤러(52)는 일반적인 롤러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측면가이드롤러(52)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6)의 후면 상,하측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측면가이드롤러(52)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6)에 전후로 관통 설치되는 롤러회전축(미도시)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측면가이드롤러(52)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측면가이드롤러(52) 사이에 상기 승강가이드바(32)가 위치된다.
상기 측면가이드롤러(52)는 상기 승강가이드바(32)의 양측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6)의 상,하 이동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6)의 상하 이동을 안내한다.
즉, 상기 전면가이드롤러(50)는 상기 승강가이드바(32)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측면가이드롤러(52)는 상기 승강가이드바(32)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6)의 원활할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6)의 좌측면(도 10 참조)에는 승강몸체(54)가 설치된다. 상기 승강몸체(54)는,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6)의 측면에 직교하게 설치되며, 상기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6)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승강플레이트(56)와, 상기 승강플레이트(56)의 하단에 수평하게 설치되며,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승강지지플레이트(58)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플레이트(56)는 도 8과 같이,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좌측면에 각각 서로 다른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6)의 좌측면에 각각 고정 결합된다. 상기 승강플레이트(56)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6)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하로 승강되는 부분이다.
상기 승강플레이트(56)의 좌측면에는 승강지지플레이트(58)가 설치된다. 상기 승강지지플레이트(58)는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승강플레이트(56)의 하부면 수평하게 설치된다. 상기 승강지지플레이트(58)의 상부면에는 후술할 파지실린더(60)가 설치되는 고정되는 부분이다.
즉, 상기 승강몸체(54)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6)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6)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된다.
상기 승강지지플레이트(58)의 상부면에는 복수개의 파지실린더(60)가 설치된다. 상기 파지실린더(60)는 도 8과, 같이, 상기 승강지지플레이트(58)의 상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가 설치된다. 상기 파지실린더(60)는 파렛트(P)에 적재되는 박스(B)의 가로열에 따라 갯수가 달라질 수 있으며, 여기서는 3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파지실린더(60)는 일반적인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파지실린더(60)는 상기 승강지지플레이트(58)의 상부면에 설치되며,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후술할 파지부재(62)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역할을한다.
상기 파지실린더(60)의 좌측면(도 8 참조)에는 파지부재(62)가 설치된다. 상기 파지부재(62)는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파지실린더(60)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파지실린더(60)에 의해 좌,우로 이동되는 파지플레이트(64)와, 상기 파지플레이트(64)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박스(B)의 손잡이부(H)에 삽입되는 파지돌기(66)와; 상기 파지플레이트(64)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며, 박스(B)의 측면에 밀착되어 박스(B)를 밀착고정하는 밀착판(68)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파지플레이트(64)는 상기 파지실린더(60)의 전,후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며, 상기 파지실린더(60)의 좌,우 이동에 따라 좌,우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파지플레이트(64)는 후술할 파지부재(62)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파지플레이트(64)의 좌측면(도 9 참조) 상단과 대략 중앙에는 파지돌기(66)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파지돌기(66)는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좌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파지돌기(66)는 적재된 박스(B)의 손잡이부(H)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승강몸체(54)의 상,하 이동에 따라 적재된 박스(B)를 승강시킨다.
즉, 상기 파지돌기(66)의 상기 파지플레이트(64)의 상측과 중앙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파지실린더(60)의 좌측 이동에 따라 상기 1단 박스(B)와 2단 박스(B)의 손잡이부에 동시에 파지되어 더욱 견고한 박스(B)의 파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파지플레이트(64)의 좌측면에는 밀착판(68)이 설치된다. 상기 밀착판(68)은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전,후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파지플레이트(64)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밀착판(68)의 좌측면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박스(B)의 파지 동작시 박스(B)의 측면에 밀착되어 박스(B)의 측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파지돌기(66)가 박스(B)의 손잡이부(H)에 삽입되면, 상기 밀착판(68)이 박스(B)의 측면에 밀착되어 박스(B)를 고정하고 박스(B)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직프레임(30)의 상측에는 동력전달샤프트(70)가 설치된다. 상기 동력전달샤프트(70)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동력전달샤프트(70)는 서로 다른 수직프레임(30)에 양단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어, 후술할 구동모터(74)의 회전력을 원거리의 승강벨트(76)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동력전달샤프트(70)의 양단에는 회전풀리(72)가 설치된다. 상기 회전풀리(72)는 일반적인 풀리(pulley)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회전풀리(72)의 외주면에는 후술할 승강벨트(76)가 설치되어 회전에 의해 승강 이동된다.
상기 동력전달샤프트(70)의 좌측 끝단에는 구동모터(74)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모터(74)는 일반적인 모터(motor)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구동모터(74)는 상기 동력전달샤프트(70)의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동력전달샤프트(70)를 정,역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회전풀리(72)의 외주면에는 승강벨트(76)가 설치된다. 상기 승강벨트(76)는 일반적인 타이밍벨트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승강벨트(76)는 타이밍벨트 이외에도 다양한 벨트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승강벨트(76)는 일단은 상기 제1벨트고정부재(38)에 결합되고, 타단은 후술할 제2벨트고정부재(80)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풀리(72)의 회전에 따라 벨트 회전된다.
상기 수직프레임(30)의 내부에는 카운트웨이트(78)가 설치된다. 상기 카운트웨이트(78)는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상하로 길게 설치되어 상기 수직프레임(30)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카운트웨이트(78)는 고중량의 무게추로, 상기 승강벨트(76)의 타단에 설치된다. 상기 카운트웨이트(78)는 상기 승강벨트(76)의 타단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회전풀리(72)를 기준으로 하부방향으로 일정량의 하중을 가하므로 적은 용량의 모터를 이용하여 고중량을 물체의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카운트웨이트(78)의 상단에는 제2벨트고정부재(80)가 설치된다. 상기 제2벨트고정부재(80)는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카운트웨이트(78)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2벨트고정판(82)과, 상기 제2벨트고정판(82)의 전면에 설치되며, 소정두께를 가지는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제2벨트고정판(82)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승강벨트(76)의 타단을 가압 고정하는 제2벨트가압판(84)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벨트고정판(82)의 전면에는 상기 승강벨트(76)의 타단이 밀착 결합되고, 상기 제2벨트고정판(82)에 상기 제2벨트가압판(84)이 나사 결합되어 상기 승강벨트(76)의 타단을 상기 카운트웨이트(78)에 고정한다.
즉, 상기 승강벨트(76)의 일단은 상기 박스승강수단(34)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카운트웨이트(78)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프레임(30)의 상단에 위치한 상기 회전풀리(72)가 정,역 회전함에 따라 상기 승강벨트(76)가 상하로 이동되어 상기 박스승강수단(34)의 상,하 이동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샤프트(70)의 양단에 각각 회전풀리(72)가 설치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10)의 양측에 설치되는 상기 박스승강수단(34)이 상,하로 동시에 이동되며, 이에 따라 파렛트(P)에 적재된 박스(B)의 양측면이 파지되어 상,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파렛트 배출 및 박스 공급장치의 작용에 대해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작업자는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파렛트(P)에 적재된 박스(B)를 이송컨베이어(10)의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이송컨베이어(10)의 상측에 위치한 파렛트(P)에 적재된 박스(B)는 도 12와 같이, 박스지지수단(20)에 의해 측면이 지지된 상태로 위치된다.
상기 이송컨베이어(10)의 상부에 파렛트(P)에 적재된 박스(B)가 안착되고, 상기 이송컨베이어(10)의 양측에 위치한 박스승강수단(34)의 파지실린더(60)가 작동된다. 상기 파지실린더(60)의 작동에 의해 파지부재(62)가 좌,우방향으로 이동되고, 도 12와 같이 파렛트(P)에 적재된 박스(B)의 손잡이부(H)에 파지돌기(66)가 삽입되어 제1열의 박스(B)를 파지한다.
상기 파지부재(62)가 제1열과 제1열의 박스(B)를 파지한 상태에서, 구동모터(74)가 작동되어 동력전달샤프트(70)가 회전된다. 상기 동력전달샤프트(7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수직프레임(30)의 상단에 위치한 회전풀리(72)가 정회전되어 승강벨트(76)가 벨트 회전된다.
즉, 상기 승강벨트(76)의 일단은 상기 박스승강수단(34)의 가이드플레이트(36)에 고정되고, 타단은 카운트웨이트(78)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풀리(72)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박스승강수단(34)이 상부 방향으로 된다. 상기 박스승강수단(34)의 상부 이동에 의해 파렛트(P)의 상부면에 적재된 박스들이 상부방향으로 이동되어 파렛트(P)와 이격된다.
상기 파렛트(P)의 상측으로 적재된 박스(B)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이송컨베이어(10)가 작동되어 도 3과 같이 파렛트 배출방향으로 파렛트(P)를 상기 이송컨베이어(10)의 좌측방향으로 배출한다.
상기 파렛트(P)의 배출 동작이 완료되면, 상기 회전풀리(72)는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박스승강수단(34)의 하부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이송컨베이어(10)의 상단에 적재된 박스(B)를 위치시킨다.
상기 적재된 박스(B)가 상기 이송컨베이어(10)의 상부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풀리(72)는 정회전되어 상기 박스승강수단(34)을 도 13과 같이, 제2열의 박스(B)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그리고, 적재된 박스(B)의 양측에 설치된 상기 파지부재(62)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 제2열과 제3열의 박스(B)를 동시에 파지한다. 상기 파지부재(62)에 의해 제2열과 제3열의 박스(B)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풀리(72)를 정회전시켜 상기 박스승강수단(34)을 상부방향으로 소정 높이 만큼 이동시킨다.
상기 이송컨베이어(10)의 상부면에 위치한 제1열의 박스(B)와 2열의 박스(B)를 이격시킨 상태에서 상기 이송컨베이어(10)를 작동시켜 도 3과 같이 제1열의 박스(B)를 박스 공급방향으로 배출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여 나머지 제2열과 제3열의 박스(B)도 순차적으로 박스공급방향으로 배출한다.
따라서, 고용량의 모터를 사용하지 않고, 승강벨트와 카운트웨이트를 이용하여 적은 용량의 모터를 고중량의 물체들 승강시킬 수 있으며, 하단에 위치한 박스부터 순차적으로 박스(B)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박스의 이동거리가 최소화 되고 박스(B)의 공급시간이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 이송컨베이어 20. 박스지지수단
30. 수직프레임 34. 박스승강수단
36. 가이드플레이트 54. 승강몸체
56. 승강플레이트 58. 승강지지플레이트
62. 파지부재 76. 승강벨트
78. 카운트웨이트

Claims (5)

  1. 복수개의 구동롤러(12)가 일렬로 나란하게 설치되며, 컨베이어모터(14)에 의해 상기 구동롤러(12)를 정,역 회전되어 상기 구동롤러(12)의 상측에 안착되는 파렛트(P) 및 박스(B)를 배출 및 공급하는 이송컨베이어(10)와;
    상기 이송컨베이어(10)의 양측에 각각 수직하게 설치되며,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수직프레임(30)과;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수직프레임(30)의 전,후면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승강가이드바(32)와;
    원통 형상을 가지며, 좌우로 길게 형성되고, 서로 다른 수직프레임(30)에 양단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수직프레임(30)의 상단에서 정,역 회전되는 동력전달샤프트(70)와;
    상기 동력전달샤프트(70)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동력전달샤프트(70)를 정,역 회전시키는 구동모터(74)와;
    상기 동력전달샤프트(70)와 벨트 결합되며, 상기 수직프레임(30)의 상기 승강가이드바(32)를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파렛트(P)의 상부면에 위치한 적재된 박스(B) 중 하단부에 위치한 박스(B)를 순차적으로 파지하여 상부로 이동시키는 박스승강수단(34)을 포함하며;
    상기 박스승강수단(34)은,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수직프레임(30)의 전후측에 각각 설치되는 가이드플레이트(36)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6)의 측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6)의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수직프레임(30)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승강몸체(54)와;
    상기 승강몸체(54)의 일측에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며,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적재된 박스(B)를 파지하는 파지부재(62)와;
    상기 파지부재(62)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상기 파지부재(62)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파지실린더(60)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6)의 전면 상,하측에는,
    롤러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승강가이드바(32)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6)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전면가이드롤러(50)가 더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6)의 후면 상,하측에는,
    한 쌍의 롤러로 이루어져, 상기 승강가이드바(32)의 양측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측면가이드롤러(52)가 더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6)의 상,하 이동을 안내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분리 및 박스 공급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샤프트(70)의 양단에는 회전풀리(72)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회전풀리(72)의 외주면에는 벨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승강벨트(76)가 더 구비되고;
    상기 승강벨트(76)의 일단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6)와 고정 결합되고, 상기 승강벨트(76)의 타단은 상기 수직프레임(30)의 내부에 설치되는 카운트웨이트(78)와 연결되고, 상기 동력전달샤프트(7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승강벨트(76)가 상하로 이동되어 상기 박스승강수단(34)의 상하로 이동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분리 및 박스 공급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컨베이어(10)의 상측에는,
    상기 이송컨베이어(10)의 상부에 안착되는 적재된 박스(B)의 상하 이동시 적재된 박스(B)의 쓰러짐을 방지하는 박스지지수단(20)이 더 구비되며,
    상기 박스지지수단(20)은,
    상기 이송컨베이어(10)의 전,후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이송컨베이어(10)의 상측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수직지지프레임(22)과;
    서로 다른 상기 수직지지프레임(22)의 측면에 양단이 각각 고정 결합되며, 상기 수직프레임(30)의 측면을 지지하는 측면지지프레임(24)과;
    일단은 상기 측면지지프레임(24)의 측면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은 적재된 박스(B)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지지판고정프레임(26)과;
    상기 지지판고정프레임(26)의 선단에 고정 설치되며,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적재된 박스(B)의 측면을 지지하여 적재된 박스(B)의 상하 이동시 쓰러짐을 방지하는 지지판(28);을 포함하는 파렛트 분리 및 박스 공급장치.
KR1020160052738A 2016-04-29 2016-04-29 파렛트 분리 및 박스 공급장치 Active KR101794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738A KR101794571B1 (ko) 2016-04-29 2016-04-29 파렛트 분리 및 박스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738A KR101794571B1 (ko) 2016-04-29 2016-04-29 파렛트 분리 및 박스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4571B1 true KR101794571B1 (ko) 2017-11-07

Family

ID=60384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2738A Active KR101794571B1 (ko) 2016-04-29 2016-04-29 파렛트 분리 및 박스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4571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22591A (zh) * 2018-05-24 2018-10-09 南通牧野机械有限公司 传料装置
CN109704020A (zh) * 2019-02-12 2019-05-03 湖州德奥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夹包机
CN109704053A (zh) * 2018-12-27 2019-05-03 龙合智能装备制造有限公司 一种剪刀架式夹臂自动托盘更换设备及plc控制方法
CN110316502A (zh) * 2019-06-27 2019-10-11 博众精工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码垛箱及码垛机
CN110361169A (zh) * 2019-08-15 2019-10-22 东莞市豪顺精密科技有限公司 一种滑动式光学视效检测装置
CN110562570A (zh) * 2019-09-24 2019-12-13 青岛德隆装备有限公司 一种辅助包装物和托盘分离的装置
KR20200102772A (ko) * 2019-02-22 2020-09-01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컴팩트형 리프트 장치
CN116040283A (zh) * 2022-11-02 2023-05-02 东莞联洲电子科技有限公司 笔记本电脑生产用运输设备
CN117160349A (zh) * 2023-11-02 2023-12-05 河南中正石油起重机械有限公司 一种便于添加钻井液助剂的钻井液搅拌器
KR102619775B1 (ko) * 2023-02-23 2023-12-29 한상길 팔레트의 적층 또는 분배를 위한 팔레트 핸들링 장치
CN120081179A (zh) * 2025-05-06 2025-06-03 山东金瓢食品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下料装置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22591A (zh) * 2018-05-24 2018-10-09 南通牧野机械有限公司 传料装置
CN108622591B (zh) * 2018-05-24 2023-08-04 南通牧野机械有限公司 传料装置
CN109704053A (zh) * 2018-12-27 2019-05-03 龙合智能装备制造有限公司 一种剪刀架式夹臂自动托盘更换设备及plc控制方法
CN109704020A (zh) * 2019-02-12 2019-05-03 湖州德奥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夹包机
KR20200102772A (ko) * 2019-02-22 2020-09-01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컴팩트형 리프트 장치
KR102195581B1 (ko) 2019-02-22 2020-12-29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컴팩트형 리프트 장치
CN110316502A (zh) * 2019-06-27 2019-10-11 博众精工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码垛箱及码垛机
CN110361169A (zh) * 2019-08-15 2019-10-22 东莞市豪顺精密科技有限公司 一种滑动式光学视效检测装置
CN110562570A (zh) * 2019-09-24 2019-12-13 青岛德隆装备有限公司 一种辅助包装物和托盘分离的装置
CN116040283A (zh) * 2022-11-02 2023-05-02 东莞联洲电子科技有限公司 笔记本电脑生产用运输设备
KR102619775B1 (ko) * 2023-02-23 2023-12-29 한상길 팔레트의 적층 또는 분배를 위한 팔레트 핸들링 장치
CN117160349A (zh) * 2023-11-02 2023-12-05 河南中正石油起重机械有限公司 一种便于添加钻井液助剂的钻井液搅拌器
CN117160349B (zh) * 2023-11-02 2024-01-26 河南中正石油起重机械有限公司 一种便于添加钻井液助剂的钻井液搅拌器
CN120081179A (zh) * 2025-05-06 2025-06-03 山东金瓢食品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下料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4571B1 (ko) 파렛트 분리 및 박스 공급장치
KR101130241B1 (ko) 포장박스 자동 공급 장치 및 방법
KR101715155B1 (ko) 스택 그리퍼 장치
KR101572837B1 (ko) 음료용기의 삽입 및 배출장치
CN110027899B (zh) 生产流水线、送料装置及接驳机构
KR101529138B1 (ko) 타이어 공급 장치
CN113291830A (zh) 一种码垛流水线
JP5643804B2 (ja) 板材保管棚
CN110053815B (zh) 电动牙刷头包装生产线
CN219382918U (zh) 一种新型瓶子正反向排布叠层装箱的设备
CN110356807B (zh) 集成式智能码垛工作站系统
CN110902053A (zh) 一种显示面板自动包装设备
CN112707174A (zh) 一种物流搬运用的设备
CN110304306A (zh) 取盒输送机
CN110386466B (zh) 一种酒瓶卸垛装置
KR100702220B1 (ko) 컨베이어 장치
CN116253009B (zh) 轴承生产用包装装置
KR100974063B1 (ko) 창고용 박스 반입 및 반출 시스템
CN114834917B (zh) 一种物料卸料系统
NL2010775C2 (en) Crate stacker.
CN113926730B (zh) 一种用于搬运装箱码垛产线的转运装置
KR101665868B1 (ko) 2열 이송장치가 구비된 복합금형 장치
KR920006660B1 (ko) 프레스의 소재 자동공급 장치
CN209905657U (zh) 编组站及包含其的装卸系统
CN209988690U (zh) 生产流水线、送料装置及接驳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5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1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11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