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3588B1 - Automatic packaging system having reversing apparatus of packing receptacle - Google Patents
Automatic packaging system having reversing apparatus of packing recepta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93588B1 KR101793588B1 KR1020160179048A KR20160179048A KR101793588B1 KR 101793588 B1 KR101793588 B1 KR 101793588B1 KR 1020160179048 A KR1020160179048 A KR 1020160179048A KR 20160179048 A KR20160179048 A KR 20160179048A KR 101793588 B1 KR101793588 B1 KR 10179358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il
- packaging
- section
- container
- container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2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446 instant nood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58 packag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06—Packaging groups of articles, the groups being treated as single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56—Orientating, i.e. changing the attitude of, articles, e.g. of non-uniform cross-sec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B65G47/248—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by turning over or inverting the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Abstract
일련의 이송과정 중 낱개 포장용기의 상하가 자동으로 반전되어 포장상자 내에서 서로 인접한 낱개 포장용기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도록 포장할 수 있는 자동 포장시스템이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복수 열로 수송된 낱개 포장용기를 1열로 정렬하고 두 개 열로 번갈아 가며 배출하는 입구 컨베이어와, 상기 입구 컨베이어의 후방에 연결되어 일 열로 공급된 낱개 포장용기를 순차적으로 반전, 비반전시켜 배출하는 포장용기 반전장치와, 상기 포장용기 반전장치를 통과한 낱개 포장용기를 복수 열로 정렬시키는 정렬 테이블, 및 상기 정렬 테이블에 정렬된 낱개 포장용기를 박스공급라인에 의해 공급되는 포장박스 내에 담는 픽업장치를 포함하는 자동 포장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후좌우로 인접한 낱개 포장용기를 서로 엇갈리도록 포장박스에 배치시키고, 상하로 적층된 낱개 포장용기도 서로 엇갈리도록 적층되도록 포장박스에 넣어 박스 포장까지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다. Disclosed is an automatic packaging system in which upper and lower portions of a single packaging container are automatically reversed during a series of transportation processes so that individual packaging containers adjacent to each other in a packaging box are staggered from each other. In order to achieve this, an inlet conveyor for sorting the single packaging containers transported in a plurality of rows in one row and alternately discharging the two containers in a row, and a single packaging container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inlet conveyor for sequentially discharging the inverted and non- A sorting table for sorting the individual packaging containers passed through the packaging container inverting device into a plurality of rows and a pickup device for holding the individual packaging containers aligned in the sorting table in a packaging box supplied by the box supply lin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tomatic packaging system inclu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ispose individual package container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ackage box, and automatically pack the package containers into a packaging box so as to stack the upper and lower stacked package packages.
Description
본 발명은 낱개 포장용기를 포장상자에 포장할 수 있는 자동 포장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련의 이송과정 중 낱개 포장용기의 상하가 자동으로 반전되어 포장상자 내에서 서로 인접한 낱개 포장용기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도록 포장할 수 있는 자동 포장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packaging system in which a single packaging container can be packed in a packaging box,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atic packaging system in which a single packaging container adjacent to each other in a packaging box is automatically reversed To an automatic packaging system that can be packaged so as to be staggered from each other.
일반적으로, 포장은 생활에 필요한 식품이나 물건을 조달하고, 이것을 보호, 저장, 이동, 분배나 교환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식품 포장용기는 캔, 병, PET, 종이, 및 플라스틱류 등이며, 그 중에서 간편성, 안전성, 강도, 보존성, 밀폐성 등이 우수한 캔과 플라스틱류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In general, packaging is used to procure foodstuffs or things necessary for living, and to protect, store, move, distribute or exchange them. Currently used food packaging containers are cans, bottles, PET, paper, and plastics, among which cans and plastics, which are excellent in simplicity, safety, strength, preservability, and hermeticity, are used in many cases.
특히, 인스턴트 식품인 면류나 즉석밥을 제조하는 식품회사 등에서는 생산성 향상 및 원가절감, 작업인원의 수급 등의 어려움이 발생함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식품의 용기들을 박스에 포장하는 공장에서는 포장공정을 자동화하고 있다. 도 1은 낱개 포장용기를 포장상자에 포장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In particular, food companies that manufacture instant noodles or ready-to-eat rice have difficulties in improving productivity, reducing costs, and supplying and receiving personnel.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utomation. 1 is a view showing a method of packing a single packaging container into a packaging box.
기존에 생산되는 통상의 낱개 포장용기(1)는 높이 및 크기에는 다소 차이가 있으나, 그 모두가 용기를 개봉하는 상부가 넓고 바닥면 즉, 하부가 좁은 형상으로 제조된다.Conventionally, each single packaging container 1 produced in the past has a somewhat different height and size, but all of them are manufactured to have a wide upper portion where the container is opened and a narrow bottom portion.
그러므로, 상기 낱개 포장용기(1)들이 포장상자(100)내에 수용될 때 포장상자(100) 내부에 비어있는 공간을 최소화하여 포장상자(100)의 크기를 최대한 축소하고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립 및 도립상태에서 낱개 포장용기(1)의 같은 부위가 상하로 접하고 좌우가 서로 엇갈리게 접하도록 포장된다.Therefore, in order to minimize the size of the
이와 같은 방식으로 일정수의 열(늘어선 줄)과 오(앞뒤로의 한 조)를 이루는 낱개 포장용기(1)들이 포장상자(100)내에 상하 다단으로 포장되게 되는데, 도면에서는 3열, 5오를 이루면서 2단으로 포장상자(100)내에 포장된 상태를 예시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낱개 포장용기(1)와 포장상자(100)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포장단위가 선택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single packaging containers 1, which are made up of a certain number of rows (rows of streaks) and five pieces of sheets (rows and columns), are packed i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한편, 근래에 상기와 같은 낱개 포장용기의 포장공정이 점차 자동화되어 가는 추세에 있으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다 효율적인 포장을 위해 낱개 포장용기(1)들을 열방향 및 오방향에서 상하가 서로 반전되도록 하여 포장상자(100)내에 포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사람이 직접 수작업으로 낱개 포장용기(1)들을 정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근래 상기 낱개 포장용기(1)들이 서로 반전되어 정렬되도록 하는 장치가 일부 제안된 바 있으나 이는 구조적으로 매우 복잡하고 포장단위에 따른 호환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the packaging process of the individual packaging containers as described above is gradually being automated.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individual packaging containers 1 are reversed up and down in the column direction and the right direction In order to be packed in th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낱개로 포장된 낱개 포장용기가 이송과정에서 자동으로 상하반전과 비반전이 연속적으로 반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포장에 따른 모든 작업을 자동화하여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고 작업효율 및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자동 포장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ackaging container for a single package, which is automatically packaged in a single package, And an automatic packaging system capable of maximizing productivity.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복수 열로 수송된 낱개 포장용기를 1열로 정렬하고 두 개 열로 번갈아 가며 배출하는 입구 컨베이어와, 상기 입구 컨베이어의 후방에 연결되어 일 열로 공급된 낱개 포장용기를 순차적으로 반전, 비반전시켜 배출하는 포장용기 반전장치와, 상기 포장용기 반전장치를 통과한 낱개 포장용기를 복수 열로 정렬시키는 정렬 테이블, 및 상기 정렬 테이블에 정렬된 낱개 포장용기를 박스공급라인에 의해 공급되는 포장박스 내에 담는 픽업장치를 포함하는 자동 포장시스템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let conveyor for sorting single package containers transported in a plurality of rows in one row and alternately discharging the same in two rows, A packaging container reversing device for sequentially and reversely reversing and discharging the individual packaging containers supplied with heat, an alignment table for aligning the single packaging containers passed through the packaging container reversing device in a plurality of rows, and a sorting table And a pick-up device for holding the container in a packaging box supplied by a box supply line.
본 발명에 의하면, 전후좌우로 인접한 낱개 포장용기를 서로 엇갈리도록 포장박스에 배치시키고, 상하로 적층된 낱개 포장용기도 서로 엇갈리도록 적층되도록 포장박스에 넣어 박스 포장까지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ispose individual package container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ackage box, and automatically pack the package containers into a packaging box so as to stack the upper and lower stacked package packages.
또한, 본 발명은 단일라인을 통해 이송된 낱개 포장용기에 대해 반전과 비반전을 연속적으로 반복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전과 비반전 모두 동일한 속도로 낱개 포장용기를 통과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 및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inuously repeat the inversion and the non-inversion for a single packaging container transported through a single line, the inversion and the non-inversion can be passed through the single packaging container at the same speed, Thereby maximizing productivity.
도 1은 낱개 포장용기를 포장상자에 포장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포장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구 컨베이어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 반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5는 하우징이 제거된 포장용기 반전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투과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 반전장치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 반전장치 및 정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픽업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9는 낱개 포장용기가 포장된 포장상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method of packing a single packaging container into a packaging box.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automatic packa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n entrance convey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a packaging container rever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artial transmission side view showing a packaging container reversing device from which the housing is removed.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packaging container rever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packaging container reversing device and a sor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pickup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packaging box in which a single packaging container is packaged.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한 포장용기 반전장치가 포함된 자동 포장시스템(이하, '자동 포장시스템'이라 약칭함)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automatic packaging system (hereinafter abbreviated as an 'automatic packaging system') including a packaging container reversing device according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포장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automatic packa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포장시스템은 낱개 포장용기를 전후, 좌우 모두 서로 엇갈리게 정렬하고, 정렬된 복수개의 낱개 포장용기를 포장박스에 넣어 박스 포장까지 자동으로 처리하는 시스템이다.The automatic packa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in which individual packaging containers are arranged in a staggered manner in front and back, right and left sides, and a plurality of sorted single packaging containers are packed in a packaging box and automatically processed up to box packaging.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포장시스템은 복수 열로 수송된 낱개 포장용기를 1일로 정렬하고 두 개 열로 번갈아 가며 배출하는 입구 컨베이어(100)와, 일 열로 공급된 낱개 포장용기를 순차적으로 반전, 비반전시켜 배출하는 포장용기 반전장치(200)와, 상기 포장용기 반전장치(200)를 통과한 낱개 포장용기를 복수 열로 정렬시키는 정렬 테이블(300), 및 정렬된 낱개 포장용기를 포장박스 내로 옮겨 담는 픽업장치(400)를 포함한다.2, an automatic packa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구 컨베이어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포장시스템은 입구 컨베이어(100)를 포함한다. 3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n entrance convey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s 2 and 3, the automatic packa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ntrance conveyor (100).
상기 입구 컨베이어(100)는 복수 열로 수송된 낱개 포장용기를 두 개 열로 번갈아 가며 배출하는 것으로, 입구 컨베이어(100)의 상부에는 복수 열로 수송된 낱개 포장용기의 이동속도를 줄여주고 낱개 포장용기의 이동경로가 단일화되도록 각 열마다 낱개 포장용기의 이동을 통제하는 오목바퀴 휠(140,150)이 구비될 수 있다. The
보다 구체적으로, 입구 컨베이어(100)는 낱개 포장용기를 이송하는 수송 컨베이어(110)와, 외부로부터 복수 열로 수송된 낱개 포장용기가 각 열별로 진입하도록 상기 수송 컨베이어(110)의 선단에 구비된 복수 열의 진입경로(120,130)와, 상기 복수 열의 진입경로(120,130)의 후방에 구비되어 복수 열의 진입경로(120,130)를 단일화시키는 단일 열의 배출경로(160)와, 상기 단일 열의 배출경로(160)를 통과한 낱개 포장용기를 좌우 중 어느 한 방향으로 돌아가며 가이드하는 회동가이드(170), 상기 회동가이드(170)의 후방에 구비되어 회동가이드(170)를 통해 좌우로 이동된 낱개 포장용기의 배출경로를 제공하는 2열의 배출경로(180,190)를 포함한다. 이때, 오목바퀴 휠(140,150)은 단일 열의 배출경로(160)에 인접한 복수 열의 진입경로 말단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 specifically, the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입구 컨베이어(100)는 2열로 수송된 낱개 포장용기가 차례차례 1열로 번갈아가며 공급되도록 복수 열의 진입경로(120,130)의 양 측면에 각각 제1 오목바퀴 휠(140)과 제2 오목바퀴 휠(150)이 설치된다. 이러한 오목바퀴 휠은 그 외주면 둘레로 낱개 포장용기가 삽입되도록 요홈이 형성되고, 오목바퀴 휠의 상하 방향으로 구비되는 구동모터의 축에 결합되어 회전되면서 낱개 포장용기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 컨베이어(100)의 제1 열(120)을 통해 수송된 낱개 포장용기는 제1 오목바퀴 휠(140)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고, 입구 컨베이어(100)의 제2 열(130)을 통해 수송된 낱개 포장용기는 제2 오목바퀴 휠(150)에 의해 이동이 제한된다. 다시 말해, 제1 오목바퀴 휠(140)이 낱개 포장용기를 통과시키는 경우에는 제2 오목바퀴 휠(150)이 낱개 포장용기를 정지시키고, 제2 오목바퀴 휠(150)이 낱개 포장용기를 통과시키는 경우에는 제1 오목바퀴 휠(140)이 낱개 포장용기를 정지시킨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the single packing container transported through the
아울러, 회동가이드(170)는 낱개 포장용기의 이송경로를 가이드 하며 수송 컨베이어(110)의 상부에 안착되는 회동바, 및 상기 회동바의 상하 방향으로 구비되어 회동바에 축 결합되는 구동모터로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 반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5는 하우징이 제거된 포장용기 반전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투과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 반전장치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 4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a packaging container rever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artial transmission side view showing the packaging container reversing device from which the housing is removed,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apparatus.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포장시스템은 포장용기 반전장치(2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automatic packa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ckaging
상기 포장용기 반전장치(200)는 낱개 포장용기를 이송하는 제1 수송 컨베이어(280)와, 반전 또는 비반전된 낱개 포장용기를 이송시키는 제2 수송 컨베이어(285) 사이에 설치되어 제1 수송 컨베이어(280)를 통해 일 열로 투입되는 낱개 포장용기를 순차적으로 반전, 비반전, 반전, 비반전을 반복하여 제2 수송 컨베이어(285)로 배출하는 장치이다. 이때, 포장용기 반전장치(200)는 입구 컨베이어(100)를 통해 두 개 열로 배출되는 낱개 포장용기를 위해 한 쌍(2개)이 설치될 수 있다.The packaging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 반전장치(200)는 하우징(210)과, 상기 하우징(210)의 표면에 설치되는 레일부(220)와, 상기 레일부(220)를 중심으로 하우징(210)에 결합된 회전축(230)과, 상기 회전축(230)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회전봉(235)과, 상기 회전축(230)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기구(240)와, 상기 회전봉(235)에 결합되어 제1 수송 컨베이어(280)로부터 이송된 낱개 포장용기를 인입시키는 용기 거치대(250)와, 상기 용기 거치대(250)에 연동되도록 회전봉(235)에 설치되는 회전풀리(255), 및 상기 회전축(230)의 회전에 따라 레일부(220)를 이동하며 용기 거치대(250)의 반전과 비반전을 조정하는 레일회전 바(260)를 포함한다.In detail, the packaging
필요에 따라, 상기 포장용기 반전장치(200)는 낱개 포장용기를 이송하는 제1 수송 컨베이어(280)와 제2 수송 컨베이어(285)와 선반(29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수송 컨베이어(280)와 제2 수송 컨베이어(285)는 선단으로 진입한 낱개 포장용기를 후단으로 이송시키는 구성으로, 무한궤도를 갖는 직선형 벨트를 포함한다. Optionally, the packaging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 반전장치(200)는 선반(290)과, 상기 선반(290)의 상부에 구비된 제1 수송 컨베이어(280)와, 상기 선반(290)의 상부에 구비되며 제1 수송 컨베이어(280)의 후방에 배치된 하우징(210)과, 상기 선반(290)의 상부에 구비되며 하우징(210)의 후방에 배치된 제2 수송 컨베이어(285)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ackaging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 반전장치(200)를 구성하는 하우징(210)은 레일부(220)와 회전축(230)과 구동기구(240)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낱개 포장용기를 수송하는 수송 컨베이어와 수송 컨베이어 사이에 설치된다. 이러한 하우징(210)은 중공이 형성된 직육면체형 블록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 반전장치(200)를 구성하는 레일부(220)는 회전축(230)의 회전에 따라 용기 거치대(250)가 연동되는 과정 중에 용기 거치대(250)의 반전 및 비반전을 조정하기 위해 하우징(210)의 표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거치대(250)를 반전시키는 회전경로를 제공하는 반전레일(221)과 용기 거치대(250)를 비반전시키는 회전경로를 제공하는 비반전레일(225)을 포함한다.The
구체적으로, 상기 반전레일(221)은 낱개 포장용기가 이동하는 방향에 마주보는 하우징(210)의 표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동일한 두께를 갖는 환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Specifically, the reversing
또한, 비반전레일(225)은 상기 반전레일(221)의 테두리를 따라 하우징(210)의 표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환형의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비반전레일(225)은 상기 반전레일(221)과 동일한 두께를 갖는 제1 구간(226)과 상기 제1 구간(226)보다 점차 두꺼워지는 제2 구간(227) 및 상기 제2 구간(227)보다 점차 얇아지는 제3 구간(228)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구간(226)은 제1 수송 컨베이어(280)를 통해 낱개 포장용기가 진입하는 방향에 배치되고, 제2 구간(227)은 제1 구간(226)에 연결되며, 제3 구간(228)의 선단은 제2 구간(227)에 이어서 배치되고 제3 구간(228)의 말단은 제1 구간(226)에 연결된다. In addition, the
이러한 제1 구간(226)은 반전레일(221)과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어 레일회전 바(260)가 반전레일(221)과 비반전레일(225) 사이를 손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경로 변경구간으로의 역할을 제공한다.The
또한, 제2 구간(227)은 제1 구간(226)에서 벗어나 반전레일(221)로 진입한 레일회전 바(260)가 비반전레일(225)로 다시 진입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격벽의 역할을 제공하며, 제2 구간(227)을 따라 이동하는 레일회전 바(260)를 상승시켜 레일회전 바(260)에 치합된 회전풀리(255)를 180°로 정회전시키는 역할을 제공한다. 이때, 회전풀리(255)는 용기 거치대(250)에 연동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회전풀리(255)가 180°로 정회전함에 따라 용기 거치대(250)도 180°로 정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제2 구간(227)은 용기 거치대(250)를 제1 수송 컨베이어로부터 제2 수송 컨베이어까지 이동시키는 구간이므로, 낱개 포장용기가 인입된 용기 거치대(250)는 제3 구간(228)에 진입하지 않는다. The
아울러, 제3 구간(228)은 제2 구간(227)과 마찬가지로 제1 구간(226)에서 벗어나 반전레일(221)로 진입한 레일회전 바(260)가 비반전레일(225)로 다시 진입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격벽의 역할을 제공하며, 제3 구간(228)을 따라 이동하는 레일회전 바(260)를 하강시켜 레일회전 바(260)에 치합된 회전풀리(255)를 180°로 역회전시키는 역할을 제공한다. 이때, 회전풀리(255)가 180°로 역회전함에 따라 용기 거치대(250)도 180°로 역회전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용기 거치대(250)는 180°의 정회전과 180°의 역회전을 거쳐서 초기 위치로 회동하게 된다.In the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 반전장치(200)를 구성하는 회전축(230)은 반전레일(221)의 중심을 관통하도록 상기 하우징(210)에 결합된 것으로, 구동기구(240)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서 회전한다. 그리고 회전축(230)은 일단이 하우징(210)에 내삽되고 타단이 하우징(210)의 외부로 노출되므로,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서 상기 타단이 하우징(210)과 이격되도록 설치된 보조 하우징(215)에 결합될 수 있다.The
또한, 회전축(230)의 안정적인 회전을 위해 회전축(230)과 하우징(210)의 사이에는 볼 베어링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회전축(230)과 보조 하우징(215)의 사이에도 볼 베어링 등이 설치될 수 있다.A ball bearing or the like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일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회전축(230)은 그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회전봉(235)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회전봉(235)은 회전축(230)과 일체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분리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 후 볼트 및 너트 등의 체결수단을 통해 회전축(230)에 결합될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다른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회전축(230)은 그 외부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어댑터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어댑터는 그 내부에 회전축(230)을 끼움 결합시킬 수 있도록 회전축(230)에 대응되는 크기의 중공이 형성되며, 그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내삽홀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축(230)과 어댑터는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통해 서로 결합되며, 어댑터의 내삽홀에는 회전봉(235)이 결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회전봉(235)이 내삽홀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내삽홀에 내삽되는 회전봉(235)의 말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내삽홀의 내주면에는 상기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 반전장치(200)를 구성하는 구동기구(240)는 상기 회전축(230)에 연결되어 회전축(230)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하우징(21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기구(240)는 회전축(230)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라면 구동모터 등 어떠한 구동기구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The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 반전장치(200)를 구성하는 용기 거치대(250)는 낱개 포장용기를 인입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회전축(230)의 회전에 따라 낱개 포장용기를 인입시킨 상태로 낱개 포장용기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용기 거치대(250)는 회전축(230)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도록 회전축(230)에 구비된 회전봉(235)에 결합된다.The
이러한 용기 거치대(2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송 컨베이어(280)를 통해 낱개 포장용기가 진입되는 경우 제1 수송 컨베이어(280)와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는 배치 구조로 회전축(230)에 설치된다. 또한, 용기 거치대(250)는 제2 수송 컨베이어(285)로 낱개 포장용기를 배출하는 경우 제2 수송 컨베이어(285)와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는 배치 구조로 회전축(230)에 설치된다. 이는, 낱개 포장용기가 용기 거치대(250)로 진출입 될 때 다른 간섭 없이 용이하게 낱개 포장용기가 용기 거치대(250)로 진출입 되도록 유도하기 위함이다.As shown in FIG. 5, the
보다 구체적으로, 용기 거치대(250)는 낱개 포장용기의 상면 및 하면을 지지하는 상면 거치대(251) 및 하면 거치대(252)와, 상면 거치대(251)와 하면 거치대(252) 사이에 구비되고 회전봉(235)에 결합되는 후면 거치대(253)를 포함한다. More specifically, the
이때, 상면 거치대(251)와 하면 거치대(252)는 낱개 포장용기의 원활한 인입과 배출이 가능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와 같이 이러한 관통홀의 너비에 대응되는 너비를 갖는 제1,2 보조 컨베이어(281,286)가 용기 거치대(250)의 이동 경로 상에 설치되면, 제1 보조 컨베이어(281)에 의해 용기 거치대(250)의 내부까지 낱개 포장용기가 진입될 뿐만 아니라 제2 보조 컨베이어(286)에 의해 용기 거치대(250)에 인입된 낱개 포장용기가 용기 거치대(250)의 외부로 배출된다. At this time, the upper surface mount table 251 and the lower surface mount table 252 may be formed with through holes at the cent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single package can be smoothly drawn in and out. As shown in FIG. 5, when the first and second
필요에 따라, 용기 거치대(250)는 낱개 포장용기가 측면으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면 거치대와 하면 거치대의 양 측면에 결합되는 측면 거치대(2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If desired, the
한편, 용기 거치대(250)에는 도 6과 같이 회전풀리(255)가 연동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풀리(255)는 용기 거치대(250)의 후면 거치대(253)에 설치되고 레일회전 바(260)에 접촉되어 레일회전 바(260)의 승하강에 따라 회전력을 용기 거치대(250)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회전풀리(255)는 용기 거치대(250)에 결합된 회전봉(235)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그 외주면을 따라 나사부가 구비된다. On the other hand, the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 반전장치(200)를 구성하는 레일회전 바(260)는 회전축(230)의 회전에 따라 레일부(220)의 반전레일(221) 및 비반전레일(225)을 이동하며 상기 용기 거치대(250)를 반전 및 비반전시키는 구성으로, 비반전레일(225)의 제2 구간(227)을 통과하는 경우에 회전축(230)의 회전과 상관없이 용기 거치대(25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제3 구간(228)을 통과하는 경우에 회전축(230)의 회전과 상관없이 용기 거치대(25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구체적으로, 레일회전 바(2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레일부(220)에 안착되고, 상기 일단에 대응되는 타단에는 회전풀리(255)의 나사부에 치합되는 톱니부(262)가 형성된다. 필요에 따라, 레일회전 바(260)는 레일부(220)에 안착되는 말단에 바퀴(265)가 구비될 수 있다. 6, the one end of the
예컨대, 반전레일(221)은 전 구간이 동일한 두께를 가지고 있으므로, 반전레일(221)을 따라 이동하는 레일회전 바(260)는 상승 또는 하강되지 않기 때문에 레일회전 바(260)의 톱니부(262)에 치합된 회전풀리(255)는 회전하지 않게 된다.The
그리고 비반전레일(225)의 제1 구간(226)은 반전레일(221)과 동일한 두께를 가지고 있으므로, 제1 구간(226)을 따라 이동하는 레일회전 바(260)는 상승 또는 하강되지 않기 때문에 레일회전 바(260)의 톱니부(262)에 치합된 회전풀리(255)는 회전하지 않게 된다.Since the
또한, 비반전레일(225)의 제2 구간(227)은 제1 구간(226)보다 점차 두꺼워지는 두께를 가지고 있으므로, 제2 구간(227)을 따라 이동하는 레일회전 바(260)가 점차 상승하기 때문에 레일회전 바(260)의 톱니부(262)에 치합된 회전풀리(255)는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Since the
아울러, 비반전레일(225)의 제3 구간(228)은 제2 구간(227)보다 점차 얇아지는 두께를 가지고 있으므로, 제3 구간(228)을 따라 이동하는 레일회전 바(260)가 점차 하강하기 때문에 레일회전 바(260)의 톱니부(262)에 치합된 회전풀리(255)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Since the
이와 같이, 제1 수송 컨베이어(280)를 통해 낱개 포장용기가 인입된 용기 거치대(250)는 레일회전 바(260)가 반전레일(221)로 진입한 후 회전축(230)을 중심으로 180°로 회전되면, 상하가 반전된 낱개 포장용기를 제2 수송 컨베이어(285)로 배출한다. 그리고 제1 수송 컨베이어(280)를 통해 낱개 포장용기가 인입된 용기 거치대(250)는 레일회전 바(260)가 비반전레일(225)로 진입한 후 회전축(230)을 중심으로 180°로 회전되면, 상하가 그대로 유지된 낱개 포장용기를 제2 수송 컨베이어(285)로 배출한다.In this way, the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 반전장치(200)를 구성하는 제1 가압수단(272)은 하우징(210)의 표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비반전레일(225)의 제1 구간(226)으로 진입한 레일회전 바(260)를 반전레일(221) 방향으로 밀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제1 가압수단(272)은 제1 구간(226)에 인접한 하우징(210)의 표면에 구비되는 제1 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스에 내장되도록 설치된 제1 구동모터와, 상기 제1 구동모터에 결합되어 제1 구동모터의 동작에 따라 왕복 직선운동을 수행하며 제1 구간(226)으로 진입한 레일회전 바(260)를 반전레일(221) 방향으로 밀어주는 제1 가압 바, 및 상기 제1 가압 바의 말단에 구비되는 제1 완충패드를 포함한다.The first
상기 제2 가압수단(274)은 하우징(210)의 표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비반전레일(225)의 제1 구간(226)으로 진입한 레일회전 바(260)를 비반전레일(225) 방향으로 밀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제2 가압수단(274)은 제1 구간(226)에 인접한 하우징(210)의 표면에 구비되는 제2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에 내장되도록 설치된 제2 구동모터와, 상기 제2 구동모터에 결합되어 제2 구동모터의 동작에 따라 왕복 직선운동을 수행하며 제1 구간(226)으로 진입한 레일회전 바(260)를 비반전레일(225) 방향으로 밀어주는 제2 가압 바, 및 상기 제2 가압 바의 말단에 구비되는 제2 완충패드를 포함한다. The second
이와 같이, 제1,2 가압수단(272,274)은 레일부(220)를 따라 이동하는 레일회전 바(260)가 반전레일(221)과 비반전레일(225) 중 어느 레일을 따라 이동할 것인지를 결정한다.The first and second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 반전장치(200)를 구성하는 제어부(미도시)는 하우징(210)에 설치된 스위치에 연결되어 스위치가 ON되면 구동기구(240)에 전원을 제공하여 회전축(230)을 회전시키며, 하우징(210)에 설치된 스위치가 OFF되면 구동기구(240)에 전원을 차단하여 회전축(230)의 회전을 정지시킨다.A control unit (not shown) constituting the packaging
또한, 제어부는 제1 수송 컨베이어와 제2 수송 컨베이어에 연결되어 스위치가 ON되면 제1 수송 컨베이어와 제2 수송 컨베이어가 동작하도록 제어하며, 스위치가 OFF되면 제1 수송 컨베이어와 제2 수송 컨베이어가 정지하도록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the first transport conveyor and the second transport conveyor so that the first transport conveyor and the second transport conveyor operate when the switch is turned on. When the switch is turned off, the first transport conveyor and the second transport conveyor stop .
아울러, 제어부는 외부의 수송 컨베이어로부터 일 열로 수송된 낱개 포장용기가 순차적으로 반전, 비반전, 반전, 비반전을 반복할 수 있도록 제1 가압수단(272)과 제2 가압수단(274)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는 제1 가압수단(272) 및 제2 가압수단(274)에 연결되며 하우징(210)에 설치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pushing
이러한 제어부는 제1 가압수단(272)과 제2 가압수단(274)을 교차적으로 반복 제어하여 순차적으로 제1 구간(226)에 진입한 바퀴(265)를 반전레일(221)과 비반전레일(225)로 반복하여 밀어주는 기능을 제공한다.The control unit repeatedly controls the first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먼저 제1 수송 컨베이어(280)를 통해 제1 용기 거치대(250)로 인입된 낱개 포장용기가 반전된 상태로 제2 수송 컨베이어(285)로 배출되도록, 제1 가압수단(272)을 제어하여 통해 상기 제1 용기 거치대(250)에 결합된 상태로 제1 구간(226)으로 진입한 제1 레일회전 바(260)를 반전레일(221) 방향으로 밀어준다. 이에 따라, 제1 용기 거치대(250)로 인입된 낱개 포장용기는 제1 용기 거치대(250)의 기본적인 회전(회전축을 중심으로 레일부의 테두리를 따라 180°도 회전)에 의해 반전된 후 제2 수송 컨베이어(285)로 배출된다.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conveying
이어서, 제어부는 제1 수송 컨베이어(280)를 통해 제2 용기 거치대(250)로 인입된 낱개 포장용기가 비반전된 상태로 제2 수송 컨베이어(285)로 배출되도록, 제2 가압수단(274)을 제어하여 통해 상기 제2 용기 거치대(250)에 결합된 상태로 제1 구간(226)으로 진입한 제2 레일회전 바(260)를 비반전레일(225) 방향으로 밀어준다. 이에 따라, 제2 용기 거치대(250)로 인입된 낱개 포장용기는 제2 용기 거치대(250)의 기본적인 회전(회전축을 중심으로 레일부의 테두리를 따라 180°도 회전)에 의해 반전되는 도중에 비반전레일(225)의 이동에 의한 회전(회전봉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에 따라 반전이 추가로 진행되므로, 결과적으로 2차례의 반전에 의해 초기 상태가 그대로 유지된 후 제2 수송 컨베이어(285)로 배출된다. The control unit then controls the second pressurizing means 274 so that the individual packaging containers, which are brought into the
그 다음, 제어부는 제1 수송 컨베이어(280)를 통해 제3 용기 거치대(250)로 인입된 낱개 포장용기가 반전된 상태로 제2 수송 컨베이어(285)로 배출되도록, 제1 가압수단(272)을 제어하여 통해 상기 제3 용기 거치대(250)에 결합된 상태로 제1 구간(226)으로 진입한 제3 레일회전 바(260)를 반전레일(221) 방향으로 밀어준다. 이에 따라, 제3 용기 거치대(250)로 인입된 낱개 포장용기는 제3 용기 거치대(250)의 기본적인 회전(회전축을 중심으로 레일부의 테두리를 따라 180°도 회전)에 의해 반전된 후 제2 수송 컨베이어(285)로 배출된다. The control unit then controls the
이 후, 제어부는 제1 수송 컨베이어(280)를 통해 제4 용기 거치대(250)로 인입된 낱개 포장용기가 비반전된 상태로 제2 수송 컨베이어(285)로 배출되도록, 제2 가압수단(274)을 제어하여 통해 상기 제4 용기 거치대(250)에 결합된 상태로 제1 구간(226)으로 진입한 제4 레일회전 바(260)를 비반전레일(225) 방향으로 밀어준다. 이에 따라, 제4 용기 거치대(250)로 인입된 낱개 포장용기는 제4 용기 거치대(250)의 기본적인 회전(회전축을 중심으로 레일부의 테두리를 따라 180°도 회전)에 의해 반전되는 도중에 비반전레일(225)의 이동에 의한 회전(회전봉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에 따라 반전이 추가로 진행되므로, 결과적으로 2차례의 반전에 의해 초기 상태가 그대로 유지된 후 제2 수송 컨베이어(285)로 배출된다. Thereafter,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그 다음, 제어부는 위와 같이 순차적으로 제1 구간(226)에 진입한 레일회전 바(260)를 반전레일(221)과 비반전레일(225)로 반복하여 밀어주도록 제1 가압수단(272)과 제2 가압수단(274)을 교차적으로 반복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then controls the first pushing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 반전장치 및 정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포장시스템은 정렬 테이블(300)을 포함한다.7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packaging container reversing device and a sor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7, the automatic packa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lignment table 300.
상기 정렬 테이블(300)은 상기 포장용기 반전장치(200)를 통과한 낱개 포장용기를 복수 열로 정렬시키는 구성이다. 이러한 정렬 테이블(300)은 복수개, 예컨대 6개 내지 12개의 낱개 포장용기를 포장박스로 한 번에 이동시키기 위해 포장용기 반전장치(200)를 통해 투입된 낱개 포장용기를 소정 위치에서 정렬되도록 정지시키며, 목적한 숫자의 낱개 포장용기가 모아지면, 그 동안 정렬시켜 놓은 복수개의 낱개 포장용기를 픽업장치(400)를 향해 배출한다.The alignment table 300 is a structure for aligning the individual packaging containers passing through the packaging
보다 구체적으로, 정렬 테이블(300)은 낱개 포장용기를 이동시키는 제3 수송 컨베이어(310)와, 상기 제3 수송 컨베이어(310)의 상부에서 낱개 포장용기의 이동경로를 복수 열로 제공하는 가이드 프레임(320)과, 상기 제3 수송 컨베이어(310) 선단이나 제2 수송 컨베이어(285) 말단의 측면 및 상면에 설치된 고정 프레임(330)과, 상기 고정 프레임(330)에 설치되어 가이드 프레임(320)의 각 열로 투입된 낱개 포장용기를 감지하여 센싱정보를 생성하는 센서부(342, 344), 및 상기 센서부(342, 344)로부터 수집된 센싱정보를 분석하여 낱개 포장용기의 정렬과 배출을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한다. 필요에 따라, 상기 센서부(342, 344)는 레이저를 발광하는 발광부(342)와, 레이저를 수광하는 수광부(344)로 구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alignment table 300 includes a
예컨대, 정렬 테이블(300)은 가이드 프레임(320)을 통해 2열을 갖도록 형성되며, 제1 열 및 제2 열에 각각 3개의 낱개 포장용기가 모아지도록 포장용기 반전장치(200)로부터 투입된 낱개 포장용기를 정렬시키며, 제1 열 및 제2 열에 각각 3개의 낱개 포장용기가 정렬되면 모든 낱개 포장용기를 픽업장치(400)로 배출한다.For example, the sorting table 300 is formed to have two rows through the
이때, 정렬 테이블(300)로 투입된 낱개 포장용기의 정렬과 배출은 제2 제어부가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 제어부는 정렬 테이블(300)의 입구에 설치된 센서(342, 344)의 센싱정보를 수집하여 낱개 포장용기의 정렬과 배출을 조절한다. At this time, the alignment and discharge of the individual packaging containers put into the alignment table 300 can be controlled by the second control unit. To this end, the second controller collects sensing information of the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픽업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포장시스템은 픽업장치(400)를 포함한다. 8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pickup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S. 2 and 8, the automatic packa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ick-up
상기 픽업장치(400)는 상기 정렬 테이블(300)에 정렬된 낱개 포장용기를 박스공급라인에 의해 공급되는 포장박스 내에 담는 것으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어떠한 픽업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The pick-up
예를 들면, 상기 픽업장치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압실린더에 의해 구동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한 승강바디(410)와 상기 승강바디(410)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낱개 포장용기를 진공 흡착하는 흡착헤드(420)로 이루어지며, 상기 흡착헤드(420)는 포장박스의 규격에 따른 충전수량에 대응되도록 구비되어 3회 승강에 의해 박스의 포장을 완료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For example, the pick-up device may include a lifting
구체적으로, 픽업장치는 6개의 흡착헤드(420)가 구비되어 6개의 낱개 포장용기(P)를 한 번에 흡착한 후 포장박스(B) 내부로 이동시키고, 이를 3회 반복함으로써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18개의 낱개 포장용기(P)를 단일의 포장박스(B)로 포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픽업장치의 작동은 조작패널에 구비되는 컨트롤러에 의해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연동되도록 제어 가능하게 된다.Specifically, the pick-up apparatus includes six adsorption heads 420 to adsorb six individual packing containers P at a time, move them into the packing box B, (P) into a single packing box (B) as shown in FIG. The operation of such a pickup device is controllable to be electrically and mechanically interlocked by a controller provided on the operation panel.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 반전장치(200)의 동작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ackaging
먼저, 포장용기 반전장치(200)의 스위치를 통해 ON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는 구동기구에 전원을 공급하고 구동기구를 작동시켜, 구동기구에 결합된 회전축(230)을 회전시킨다. 그리고 제어부는 제1 수송 컨베이어(280)와 제2 수송 컨베이어(285)에 전원을 공급하여 제1 수송 컨베이어(280)와 제2 수송 컨베이어(285)를 작동시킨다.First, when an ON signal is inputted through the switch of the packaging
그 다음, 상기 회전축(230)의 회전에 따라 제1 용기 거치대(250)가 회전하는 도중에, 상기 제1 용기 거치대(250)에 결합된 제1 레일회전 바(260)가 제1 구간(226)으로 진입되면, 제어부는 제1 수송 컨베이어(280)를 통해 수송된 낱개 포장용기가 제1 용기 거치대(250)로 원활히 인입되도록 설정된 시간, 약 1초 동안 회전축(230)의 회전을 정지시킨다.The first
그 다음, 설정된 시간이 종료되면 제어부는 회전축(230)이 다시 회전되도록 구동기구(240)를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는 제1 용기 거치대(250)에 결합된 제1 레일회전 바(260)가 반전레일(221)을 따라 회전하도록 제1 가압수단(272)을 통해 제1 구간(226)으로 진입한 제1 레일회전 바(260)를 반전레일(221) 방향으로 밀어준다.Then, at the end of the set tim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그 다음, 상기 제1 용기 거치대(250)에 인접한 제2 용기 거치대(250)가 회전하는 도중에, 상기 제2 용기 거치대(250)에 결합된 제2 레일회전 바(260)가 제1 구간(226)으로 진입되면, 제어부는 제1 수송 컨베이어(280)를 통해 수송된 낱개 포장용기가 제2 용기 거치대(250)로 원활히 인입되도록 설정된 시간, 약 1초 동안 회전축(230)의 회전을 정지시킨다.A second
그 다음, 설정된 시간이 종료되면 제어부는 회전축(230)이 다시 회전되도록 구동기구(240)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제2 용기 거치대(250)에 결합된 제2 레일회전 바(260)가 비반전레일(225)을 따라 회전하도록 제2 가압수단(274)을 통해 제1 구간(226)으로 진입한 제2 레일회전 바(260)를 비반전레일(225) 방향으로 밀어준다. 이때, 비반전레일(225)로 진입한 제2 레일회전 바(260)는 제2 구간(227)을 이동함에 따라 상승하게 되고, 상승된 제2 레일회전 바(260)는 톱니부(262)에 치합된 회전풀리(255)를 회전시켜서 결과적으로 제2 용기 거치대(250)를 회전시킨다.Then, at the end of the set tim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이에 따라, 제1 용기 거치대(250)를 통해 이동된 낱개 포장용기는 반전된 상태로 제2 수송 컨베이어(285)로 투입되고, 제2 용기 거치대를 통해 이동된 낱개 포장용기는 1차 반전 및 2차 반전을 거쳐 비반전된 상태로 제2 수송 컨베이어(285)로 투입된다.Accordingly, the single packaging container moved through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it is possible.
100 : 입구 컨베이어 200 : 포장용기 반전장치
210 : 하우징 220 : 레일부
221 : 반전레일 225 : 비반전레일
226 : 제1 구간 227 : 제2 구간
228 : 제3 구간 230 : 회전축
235 : 회전봉 240 : 구동기구
250 : 용기 거치대 255 : 회전풀리
260 : 레일회전 바 262 : 톱니부
265 : 바퀴 270 : 제1 가압수단
275 : 제2 가압수단 300 : 정렬 테이블
400 : 픽업장치100: entrance conveyor 200: packaging container reversing device
210: housing 220:
221: Inversion rail 225: Non-inversion rail
226: first section 227: second section
228: Third section 230:
235: rotation rod 240: drive mechanism
250: container holder 255: rotary pulley
260: rail turning bar 262:
265: wheel 270: first pressing means
275: second pressing means 300: alignment table
400: Pickup device
Claims (6)
상기 입구 컨베이어의 후방에 연결되어 일 열로 공급된 낱개 포장용기를 순차적으로 반전, 비반전, 반전, 비반전을 반복하여 배출하되 반전과 비반전 모두 동일한 속도로 낱개 포장용기를 통과시키며, 상기 입구 컨베이어를 통해 두 개 열로 배출된 낱개 포장용기를 위해 한 쌍이 설치되는 포장용기 반전장치;
상기 포장용기 반전장치를 통과한 낱개 포장용기를 복수 열로 정렬시키도록 낱개 포장용기를 이동시키는 제3 수송 컨베이어와, 제3 수송 컨베이어의 상부에서 낱개 포장용기의 이동경로를 복수 열로 제공하는 가이드 프레임과, 제3 수송 컨베이어 선단의 측면 및 상면에 설치된 고정 프레임과, 상기 고정 프레임에 설치되어 가이드 프레임의 각 열로 투입된 낱개 포장용기를 감지하여 센싱정보를 생성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수집된 센싱정보를 분석하여 낱개 포장용기의 정렬과 배출을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정렬 테이블; 및
상기 정렬 테이블에 정렬된 낱개 포장용기를 박스공급라인에 의해 공급되는 포장박스 내에 담는 픽업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포장용기 반전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표면에 설치되어 동일한 두께를 갖는 환형의 반전레일, 및 상기 반전레일의 테두리를 따라 하우징의 표면에 설치되고 상기 반전레일과 동일한 두께를 갖는 제1 구간과 상기 제1 구간보다 점차 두꺼워지는 제2 구간 및 상기 제2 구간보다 점차 얇아지는 제3 구간이 형성된 환형의 비반전레일로 구성된 레일부;
상기 반전레일의 중심을 관통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일단이 내삽되고,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서 타단이 하우징과 이격되도록 설치된 보조 하우징에 결합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안정적인 회전을 위해 회전축과 하우징의 사이 및 회전축과 보조 하우징 사이에 각각 설치된 볼 베어링;
상기 회전축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회전봉;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기구;
상기 회전봉에 결합되고 낱개 포장용기를 인입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용기 거치대;
상기 회전봉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용기 거치대에 연동되도록 설치되며 외주면을 따라 나사부가 구비된 회전풀리;
일단에 상기 레일부에 안착되는 바퀴가 구비되고, 상기 일단에 대응되는 타단에 상기 회전풀리의 나사부에 치합되는 톱니부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레일부의 반전레일 및 비반전레일을 이동하며 상기 용기 거치대를 반전 및 비반전시키는 레일회전 바;
상기 제1 구간으로 진입한 레일회전 바를 반전레일 방향으로 밀어줄 수 있도록 상기 제1 구간에 인접한 하우징의 표면에 구비되는 제1 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스에 내장되도록 설치된 제1 구동모터와, 상기 제1 구동모터에 결합되어 제1 구동모터의 동작에 따라 왕복 직선운동을 수행하며 제1 구간으로 진입한 레일회전 바를 반전레일 방향으로 밀어주는 제1 가압 바, 및 상기 제1 가압 바의 말단에 구비되는 제1 완충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제1 가압수단;
상기 제1 구간으로 진입한 레일회전 바를 비반전레일 방향으로 밀어줄 수 있도록 상기 제1 구간에 인접한 하우징의 표면에 구비되는 제2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에 내장되도록 설치된 제2 구동모터와, 상기 제2 구동모터에 결합되어 제2 구동모터의 동작에 따라 왕복 직선운동을 수행하며 제1 구간으로 진입한 레일회전 바를 비반전레일 방향으로 밀어주는 제2 가압 바, 및 상기 제2 가압 바의 말단에 구비되는 제2 완충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제2 가압수단; 및
상기 제1 가압수단과 제2 가압수단을 교차적으로 반복 제어하여 순차적으로 제1 구간에 진입한 바퀴를 반전레일과 비반전레일로 반복하여 밀어주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포장시스템. A transport conveyor for transporting the individual packaging containers; a plurality of rows of entry path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transport conveyor such that the individual packaging containers transported from the outside in a plurality of rows enter each column; A single row discharge path for unifying the entry path of the heat and a plurality of rows of entry paths adjacent to the discharge path of the single row to reduce the moving speed of the single packing containers transported through the plurality of rows of entry paths, A concave wheel wheel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a single packaging container for each row so as to be singularized; a rotation guide for guiding the single packaging container passed through the discharge path of the single row in either direction; Providing a discharge path of the single packaging container moved to the left and right through the rotation guide An inlet conveyor including two rows of discharge paths;
A single packaging container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entrance conveyor to sequentially discharge the single packaging containers to be inverted, non-inverted, inverted, and non-inverted and discharged through the single package container at the same speed for both reversal and non- A packaging container reversing device in which a pair of containers are installed for a single packaging container discharged through two rows;
A third conveying conveyor for moving the single packaging containers to align the single packaging containers passed through the packaging container reversing device in a plurality of rows; a guide frame for providing a plurality of rows of movement paths of the single packaging containers at the upper portion of the third conveyance conveyor; A sensing unit installed on the side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third conveyance conveyor and sensing the individual packing containers installed in the fixing frame and inserted into the respective rows of the guide frame to generate sensing information, An alignment table configured to analyze the information and to control alignment and discharge of the individual packaging containers; And
And a pick-up device for holding the individual packaging containers aligned in the sorting table in a packaging box supplied by a box supply line,
The packaging container reversing device
housing;
A first section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housing and having the same thickness as the first section and a second section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housing along the rim of the inverted rail and having the same thickness as the inverted rail, A second section and a third section that is thinner than the second section;
A rotary shaft coupled to the auxiliary housing so that one end thereof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to penetrate the center of the inverted rail and the other end is spaced apart from the housing for stable support;
A ball bearing installed between the rotary shaft and the housing and between the rotary shaft and the auxiliary housing for stable rotation of the rotary shaft;
A rotation bar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rotation shaft;
A drive mechanism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to provide power for rotating the rotation shaft;
A container holder coupled to the swivel bar and configured to receive a single packaging container;
A rotary pulley rotatably installed on the rotary shaft and installed to be interlocked with the container holder and having a threaded portion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Wherein the rotary shaft is provided with a wheel which is seated on the rail part at one end and a toothed part which is engaged with the screw part of the rotary pulley is formed at the other end corresponding to the one end, A rail rotating bar for inverting and non-inverting the container holder;
A first cas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housing adjacent to the first section so as to push the rail rotating bar that has entered the first section in the direction of the inverted rail, a first driving motor installed in the first case, A first pressing bar coupled to the first driving motor and performing a reciprocating linear motion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motor and pushing the rail rotating bar which has entered the first section in the direction of the reverse rail, A first pressing means comprising a first buffer pad provided;
A second cas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housing adjacent to the first section so as to push the rail rotating bar that has entered the first section in the direction of the non-inverted rail, a second driving motor installed in the second case, A second pressing bar coupled to the second driving motor to perform a reciprocating linear motion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second driving motor and to push the rail rotating bar which has entered the first section in the direction of the non-reversing rail, A second pressing means comprising a second buffer pad provided at an end thereof; And
And a controller for repeatedly controlling the first pressing means and the second pressing means so as to repeatedly push the wheel which has entered the first section by the reversing rail and the non-reversing rail repeatedl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79048A KR101793588B1 (en) | 2016-12-26 | 2016-12-26 | Automatic packaging system having reversing apparatus of packing recepta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79048A KR101793588B1 (en) | 2016-12-26 | 2016-12-26 | Automatic packaging system having reversing apparatus of packing receptac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93588B1 true KR101793588B1 (en) | 2017-11-06 |
Family
ID=60384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79048A Active KR101793588B1 (en) | 2016-12-26 | 2016-12-26 | Automatic packaging system having reversing apparatus of packing recepta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93588B1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099258A (en) * | 2018-10-26 | 2020-05-05 | 甘肃酒玉种业有限公司 | A corn seed conveying device for directional transportation |
KR20210071430A (en) | 2019-12-06 | 2021-06-16 | 정진석 | Upside Down Device of Packaging Container |
KR20210071433A (en) | 2019-12-06 | 2021-06-16 | 정진석 | Packaging alignment system |
KR102296028B1 (en) | 2020-03-26 | 2021-08-30 | 국중표 | Pattern distribution apparatus for palletizer |
KR102491843B1 (en) | 2022-07-29 | 2023-01-27 | 주식회사 대한엔지니어링 | Automatic separation device for packaging containers for moving packaging containers at equal intervals |
CN115947053A (en) * | 2023-02-05 | 2023-04-11 | 广东拓奇智能装备有限公司 | Non-contact power supply logistics lin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96225B1 (en) * | 2012-12-27 | 2014-05-19 |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 Apparatus for reversing article |
-
2016
- 2016-12-26 KR KR1020160179048A patent/KR10179358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96225B1 (en) * | 2012-12-27 | 2014-05-19 |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 Apparatus for reversing article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099258A (en) * | 2018-10-26 | 2020-05-05 | 甘肃酒玉种业有限公司 | A corn seed conveying device for directional transportation |
KR20210071430A (en) | 2019-12-06 | 2021-06-16 | 정진석 | Upside Down Device of Packaging Container |
KR20210071433A (en) | 2019-12-06 | 2021-06-16 | 정진석 | Packaging alignment system |
KR102303528B1 (en) | 2019-12-06 | 2021-09-16 | 정진석 | Packaging alignment system |
KR102296028B1 (en) | 2020-03-26 | 2021-08-30 | 국중표 | Pattern distribution apparatus for palletizer |
KR102491843B1 (en) | 2022-07-29 | 2023-01-27 | 주식회사 대한엔지니어링 | Automatic separation device for packaging containers for moving packaging containers at equal intervals |
CN115947053A (en) * | 2023-02-05 | 2023-04-11 | 广东拓奇智能装备有限公司 | Non-contact power supply logistics lin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93588B1 (en) | Automatic packaging system having reversing apparatus of packing receptacle | |
US11123771B2 (en) | Automated modular system for sorting items | |
SU1739841A3 (en) | Device for oriented feeding of necked containers | |
KR101738861B1 (en) | Reversing apparatus of packing receptacle for automatic packaging system | |
US9096377B2 (en) | Race track conveyor and packaging facility | |
KR101769012B1 (en) | Automatic packaging system having classifying inputting apparatus of packing receptacle | |
KR101753145B1 (en) | Arrangement apparatus of liquid storage pouch | |
KR102491843B1 (en) | Automatic separation device for packaging containers for moving packaging containers at equal intervals | |
US20100270124A1 (en) | plant product conveyor system and method | |
CN108069206B (en) | Automatic sorting, loading and supporting device for materials | |
JP2014047002A (en) | Article aligning and supplying apparatus | |
JP2004269203A (en) | Article transfer device | |
CN218143647U (en) | Wafer storage intelligent bin | |
US6089001A (en) | Inclined tray bottle traying machine | |
US20190023489A1 (en) | Storage Module Configured To Accelerate Transition Of Inventory Carriers Between Upper And Lower Tracks | |
KR100215714B1 (en) | Method for packing noodle containers in a box | |
JP4182411B2 (en) | Article conveying device | |
JP4082063B2 (en) | Article processing equipment | |
JPH03256814A (en) | Fruit vegetable array case packer | |
JP2001354203A (en) | Greengrocery boxing apparatus | |
JP2001347230A (en) | Carrying conveyor for vegetable/fruit and carrying equipment for vegetable/fruit using this carrying conveyor | |
US20240383678A1 (en) | Automated Parcel Buffering System | |
JP2000043807A (en) | Article casing apparatus | |
JPH10230901A (en) | Encasing apparatus | |
JPH0811826A (en) | Egg sorter and egg sorting and pack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7032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2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5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7081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5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81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61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7101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7091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81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61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0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10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1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