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3063B1 - 터널 내 설치가 용이한 분절형 풍도슬래브의 구조 - Google Patents
터널 내 설치가 용이한 분절형 풍도슬래브의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93063B1 KR101793063B1 KR1020160017717A KR20160017717A KR101793063B1 KR 101793063 B1 KR101793063 B1 KR 101793063B1 KR 1020160017717 A KR1020160017717 A KR 1020160017717A KR 20160017717 A KR20160017717 A KR 20160017717A KR 101793063 B1 KR101793063 B1 KR 1017930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ab
- tunnel
- slabs
- air
- win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claims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MWUXSHHQAYIFBG-UHFFFAOYSA-N nitrogen oxide Inorganic materials O=[N] MWUXSHHQAYIFB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5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4
- UGFAIRIUMAVXCW-UHFFFAOYSA-N Carbon monoxide Chemical compound [O+]#[C-] UGFAIRIUMAVX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351 stiffen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2091 carbon mon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71 soo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94 Reinforcing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266 Vinyl fil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5 ai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865 dilu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46 flue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66 seal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00—Ventilation of mines or tunnels; Distribution of ventilating currents
- E21F1/003—Ventilation of traffic tunnel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6—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in foundation structures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00—Ventilation of mines or tunnels; Distribution of ventilating currents
- E21F1/04—Air ducts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7/00—Methods or devices for use in mines or tunnels, not covered elsewhere
- E21F17/02—Suspension devices for tubes or the like, e.g. for ventilating ducts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7/00—Methods or devices for drawing- off gases with or without subsequent use of the gas for any purpos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터널라이닝(100)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터널라이닝(100) 브라켓부(110)와,
터널라이닝(100)의 크라운부 중앙측 또는 양측으로 나뉘어 설치한 호이스트(120) 및 체인블럭(130) 시설과,
양측 절편으로 분할된 풍도슬래브(200) 중앙부측 상면으로 돌출부인 압력턱(215)이 형성되도록 하고, 내부 횡방향으로 다수개의 공동(210)을 생성한 상기 풍도슬래브(200) 연단부(205)측은 각각 상기 터널라이닝(100) 브라켓부(110)에 안착 고정되도록 하고 중앙부측의 돌출부인 압력턱(215)은 편절슬래브(200',200")간상호 맞대기를 이루도록 하는 풍도슬래브(200)와,
상기 풍도슬래브(200)를 거치할 때에 어느 일측 편절슬래브(200')를 가벤트(300) 위에 거치하고 이어서 타측 편절슬래브(200")를 가벤트(300) 위에 상호 맞대기로 거치한 후 가벤트(300)의 유압잭(320)을 서서히 하강시켜 양측간 편절슬래브(200',200")의 자중에 의한 압축력이 도입되도록 하거나, 양측 절편으로 분할된 풍도슬래브(200) 중앙부측에 힌지 절점을 설치하여 양측 편절슬래브(200',200")가 이루는 각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거치하는 풍도슬래브(200)와,
상기 풍도슬래브(200) 중앙부측 상면 돌출부 압력턱(215)에 설치된 결속구1(211)과 슬래브 중앙부측 내면에 설치된 결속구2(212)로 구성되어 있는 풍도슬래브(200) 내부에 결속근1(211)과 결속근2(212)를 설치하는 풍도슬래브(200)로 이루어져, 상기 풍도슬래브(200)의 낙하를 방지하며 슬래브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시설되도록 하고,
횡류 환기방식을 택하여 터널에 풍도슬래브(200)를 구비하여 터널 내 환기가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되, 풍도슬래브(200)의 단면 두께를 최소화하고 자중이 경감되도록 하여 공사비 등의 소요 비용을 현저하게 절감되도록 하는 제1의 효과와,
터널라이닝(100)의 크라운부에서 발생되는 부재력에 의한 수직력이 격벽고정구(130)로 전달되어도 풍도슬래브(200)에 큰 부재력이 발생되지 않으며 오히려 균형성이 유지되도록 하는 제2의 효과와,
예기치 못한 지진 등의 충격파에 의한 상황에서 상기의 균형성이 풍도슬래브(200)의 낙하를 방지하여 대형 인명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제3의 효과와,
양측 절편으로 분할된 풍도슬래브(200)를 상호 맞대기하도록 하여 자중에 의한 압축력이 도입되도록 하고 결속근1,2(211,212)로 구속하므로 처짐이 방지되는 제4의 효과와,
풍도슬래브(200) 중앙부측의 돌출부인 압력턱(215) 상면에서 터널라이닝(100) 크라운부 까지 설치되는 격벽(132)이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하여 배치하는 격벽고정구(130)와 절곡편쐐기(131)에 의하여 격벽(132)의 변형을 방지하는 제5의 효과와,
풍도슬래브(200)에 PC강연선을 선택적으로 적용하거나 철근을 시설하여 공사비 절감과 내구성이 증진되도록 하는 제6의 효과와,
풍도슬래브(200)를 분절형 삿갓모양으로 배치하여 운전자에게 개방감과 시야를 확보케하여 안전성을 크게 도모하는 제7의 효과와,
풍도슬래브(200)가 낙하되지 않도록 매달기용 PC강연선을 사용치 않으므로 공사비가 절감되는 제8의 효과와,
풍도슬래브(200)를 2분절 구조로 제작하고 이를 인양 설치가 용이하도록 호이스트(120)를 설치하여 시공성을 증진시키는 제9의 효과와,
풍도슬래브(200) 전체를 PC구조로 제작하되 공장이 아닌 현장 인근 야드에서 제작하여 운반이 용이하도록 하여 공기를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제10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터널 내 설치가 용이한 분절형 풍도슬래브의 구조 및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풍도 슬래브가 안착될 수 있는 터널 라이닝의 브라켓부 상태를 도시한 개괄적 도면
도 3은 단위 형태인 하나의 세그먼트로 제공되며 공동을 포함하고 있는 풍도슬래브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각각의 편절슬래브가 분할식 형태로 구성하되 결속구1,2에 의한 결합상태를 이루어 풍도슬래브를 구성한 상태를 개괄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각각의 편절슬래브가 봉철근으로 결합된 힌지식 형태로 구성하되 결속구1,2에 의한 결합상태를 이루어 풍도슬래브를 구성한 상태 및 그에 대한 평면상세를 개괄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힌지식 풍도슬래브에 있어서 각각의 힌지식 구성상태를 이루는 편절슬래브 각각을 조합하는 방법을 개괄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격벽고정구에 절곡편쐐기와 격벽이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평면상 개괄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단위형태로 제공되는 풍도슬래브가 측면으로 결합되는 상태와 측면 결합상세를 개괄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9는 공동을 도시한 것으로 공동을 이루기 위한 폴리에칠렌계 공기 막대주머니와 비닐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단위 형태로 제공되어 측면 결합으로 조합된 풍도슬래브에 배기구 및 급기구를 구현한 상태를 개괄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풍도슬래브의 압력턱부와 터널라이닝 크라운부를 잇는 격벽고정구에 격벽과 절곡편쐐기를 조합하고 있으며 터널라이닝 크라운부에 호이스트를 배치한 상태를 개괄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2는 풍도슬래브 연단부의 고정쇠홀을 브라켓부에 설치된 고정쇠에 끼우고 풍도슬래브 연단부와 터널라이닝 사이 공극을 몰탈등으로 충진한 상태를 개괄적으로 도시한 도면
100; 터널라이닝 110; 브라켓부
111; 고정쇠 120; 호이스트
121; 체인블럭1 122; 체인블럭2
123; 인양고리 130; 격벽고정구
131; 절곡편쐐기 132; 격벽
133; 저판 134; 앵커볼트
135; 종방향 H형강 200; 풍도슬래브
200'; 일측 편절슬래브 200"; 타측 편절슬래브
205; 연단부 206; H형강
207; 고정쇠홀 208; 접합단 209; 통기공 210; 공동 211; 결속근1 212; 결속근2 211'; PVC파이프1 212'; PVC파이프2 213; 채움너트 215; 압력턱 216; 경사구 217; 결속턱 218; 강관 219; 봉철근 220; 막구조 221; 비닐 222; 플라스틱 223; 몰탈부 224; 실리콘 300; 가벤트 305; 지주 310; 브레이싱 315; 가로강 320; 유압잭 325; 이동장치 330; 레일
Claims (14)
- 터널 구조물 내부에 공기를 공급 및 배기시키기 위하여 터널내(90) 스프링라인(95) 상방측을 가로지르는 풍도슬래브(200)를 구비하고, 상기 풍도슬래브(200) 상면측으로부터 터널라이닝(100) 크라운부와 풍도슬래브(200) 중심간을 수직으로 구획하는 격벽(300)에 의해, 터널 내 환기를 위한 터널 풍도슬래브(200)를 시설함에 있어서,
터널라이닝(100)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터널라이닝(100) 브라켓부(110)와,
터널라이닝(100)의 크라운부 중앙측 또는 양측으로 나뉘어 설치한 호이스트(120) 및 체인블럭(130) 시설과,
양측 절편으로 분할된 풍도슬래브(200) 중앙부측 상면으로 돌출부인 압력턱(215)이 형성되도록 하고, 내부 횡방향으로 다수개의 공동(210)을 생성한 상기 풍도슬래브(200) 연단부(205)측은 각각 상기 터널라이닝(100) 브라켓부(110)에 안착 고정되도록 하고 중앙부측의 돌출부인 압력턱(215)은 편절슬래브(200',200")간상호 맞대기를 이루도록 하는 풍도슬래브(200)와,
상기 풍도슬래브(200)를 거치할 때에 어느 일측 편절슬래브(200')를 가벤트(300) 위에 거치하고 이어서 타측 편절슬래브(200")를 가벤트(300) 위에 상호 맞대기로 거치한 후 가벤트(300)의 유압잭(320)을 서서히 하강시켜 양측간 편절슬래브(200',200")의 자중에 의한 압축력이 도입되도록 하거나, 양측 절편으로 분할된 풍도슬래브(200) 중앙부측에 힌지 절점을 설치하여 양측 편절슬래브(200',200")가 이루는 각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거치하는 풍도슬래브(200)와,
상기 풍도슬래브(200) 중앙부측 상면 돌출부 압력턱(215)에 설치된 결속근1(211)과 슬래브 중앙부측 내면에 설치된 결속근2(212)로 구성되어 있는 풍도슬래브(200) 내부에 결속근1(211)과 결속근2(212)를 설치하는 풍도슬래브(200)로 이루어져, 상기 풍도슬래브(200)의 낙하를 방지하며 슬래브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시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내 설치가 용이한 분절형 풍도슬래브의 구조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편절슬래브 내부에는 횡방향으로 길게 구성되는 다수의 공동을 형성하고 상기 공동의 하면과 상면에 PC강연선을 선택적으로 적용하거나 가는 철근을 배치하는 것으로 제작되는 분할식 구성형태를 이루는 편절슬래브(200',200")가 상호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하나의 풍도슬래브(200)가 구성되어지는 것을 포함하는, 터널 내 설치가 용이한 분절형 풍도슬래브의 구조
- 삭제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의 풍도슬래브에 결속근1,2(211,212)의 설치를 위해서 우선 편절슬래브(200',200")를 제작할 때에 압력턱(215)이 맞닿는 위치에 홀을 내어 PVC관(211')을 미리 매설하고, 결속근1(211)을 상기의 PVC관(211')에 끼워넣어 채움너트(213)로 채우며, 아울러 편절슬래브(200',200") 내면으로도 PVC관(212')을 미리 매설하여 결속근2(212)를 채워 결속턱(217)에 정착시키도록 하는데, 결속근2(212)의 재료로는 철근, 강봉, PC강연선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상기의 결속턱(217)에 정착시키기 위하여 풍도슬래브(200)을 제작할 때에 결속턱(217)을 미리 구성하여야 하고, 상기의 결속턱(217)은 격벽(132)시설의 유지관리 및 풍도슬래브 위 터널라이닝 및 각종 시설물에 대한 점검통로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의 결속근1,2(211,212)는 터널의 진행방향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터널 내 설치가 용이한 분절형 풍도슬래브의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통기공(209)이 형성된 풍도슬래브(200) 양 측면과 브라켓부(110)에 얹혀지는 면에는 H형강을 매립하여 강성이 유지되도록 구성하여야 하며, 만약, 풍도상 어느 일개의 세그먼트 풍도슬래브(200)만으로는 통기공(209)을 확보하기에 충분치 않을 경우 인접한 또 다른 세그먼트 풍도슬래브(200)에도 통기공(209)을 개구하여 통기면적을 확보토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터널 내 설치가 용이한 분절형 풍도슬래브의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풍도슬래브(200)는 다른 풍도슬래브(200)와 측면으로 접하는 측면 결합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풍도슬래브(200) 어느 일측면이 "ㄴ"자 형태를 갖도록 하여 접합단(208)을 형성하고 상기 접합단(208) 상면으로 "ㄱ"자 형태의 어느 타측면이 얹혀질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여 풍도슬래브(200)간 공기가 새나가지 않도록 몰탈로 밀폐를 하는 것을 포함하는, 터널 내 설치가 용이한 분절형 풍도슬래브의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터널 내 중앙부측에 풍도슬래브(200)가 설치될 위치마다 레일(33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구조인 이동장치(325) 위에 유압잭(320)을 설치하고 그 위에 지주(305)를 세워 지주(305)간이 바로 세워질 수 있도록 브레이싱(310)과 가로강(315)으로 고정하여 뒤틀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조립된 이동식 가벤트(300)를 설치하여 어느 일측의 편절슬래브(200')와 타측의 편절슬래브(200") 각각을 상기 이동식 가벤트(300) 위에 내려놓고 이동식 가벤트(300) 하단에 설치되어 있는 유압잭을 하향으로 작동시켜 양측 편절슬래브(200',200")의 압력턱(215)이 맞닿도록 서서히 조정하여 맞추어 풍도슬래브를 설치하는 것을 포함하는, 터널 내 설치가 용이한 분절형 풍도슬래브의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호이스트(120)는 터널라이닝(100) 크라운부 중앙부에 1개소 또는 양측의 2개소로 나누어 설치할 수 있는데, 터널라이닝(100)에 설치된 앵커볼트에 종방향 H형강(135)을 I자형으로 고정시켜 호이스트(120)를 형성하고, 상기 호이스트(120) 레일이 상기 호이스트(120)의 종방향 H형강(135) 플렌지를 타고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호이스트(120) 레일에 달려있는 인양고리(123)와 각각의 편절슬래브에 설치된 인양고리(123)에 체인블럭1,2(121,122)를 연결하므로 각각의 편절슬래브를 인양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을 포함하는, 터널 내 설치가 용이한 분절형 풍도슬래브의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풍도슬래브(200) 상면에 조성된 풍도에 있어서 급기와 배기를 구분지을 수 있는 격벽(132)을 설치하여야 하는데, 이를 고정하기 위하여 격벽고정구(130)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고 그 사이마다 격벽(132)을 설치하되 격벽고정구(130)의 플렌지내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절곡편쐐기(131)를 격벽고정구(130)의 플렌지 밖으로 돌출되도록 격벽(132) 양측에 설치하여 격벽(132)을 고정토록 하고, 절곡편쐐기(131)는 볼트너트를 이용하여 격벽고정구(130)에 고정하여 흔들리지 않도록 하며, 격벽(132) 상면과 하면에 실리콘 처리를 하여 공기가 통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격벽고정구(130)는 재료로서 H형강을 이용한 것으로서 풍도슬래브(200)의 중앙측부 돌출부인 압력턱(215) 상단 및 터널라이닝(100) 크라운부에 종방향 H형강(135)을 설치하고 앵카볼트(134)로서 고정하며, 격벽고정구(130)에 용접한 상하 저판(133)은 종방향 H형강(135)에 볼트너트로 고정 설치하는 것을 포함하는, 터널 내 설치가 용이한 분절형 풍도슬래브의 구조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터널 라이닝 크라운부에 설치된 호이스트(120)등과 인양고리(123)에 체인블럭1,2(121,122)를 걸어 어느 일측의 편절슬래브(200')와 타측의 편절슬래브(200") 각각을 세워 인양한 후 공중에서 체인블럭1(121)을 당겨 편절슬래브(200',200")를 설치하기 적당한 경사방향을 유지하도록 하고 하향으로 내리면서 브라켓부(110)에 안착시킨 후 체인블럭2(122)의 길이를 늘려주면서 서서히 편절슬래브(200',200")의 중앙부측을 추가 하강시켜 압력턱을 상호 접합토록 하는, 터널 내 설치가 용이한 분절형 풍도슬래브의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터널 라이닝 크라운부에 설치된 호이스트(120)등과 인양고리(123)에 체인블럭1,2(121, 122)를 걸어 인양하되 체인블럭1(121)의 길이를 길게하여 어느 일측의 편절슬래브(200')와 타측의 편절슬래브(200")가 결합되어 있는 힌지식 풍도슬래브(200)의 각도를 좁혀 인양한 후 체인블럭1(121)을 당겨 좁혀진 각도를 넓혀 브라켓부(110)에 안착시키는, 터널 내 설치가 용이한 분절형 풍도슬래브의 구조
- 제 3 항에 있어서,
터널 내에서 각종 사고로 인한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데, 화재로 열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중의 하나로, 본 발명에서는 그 일예로 풍도슬래브(200)를 제작할 때 내화콘크리트를 풍도슬래브(200) 하측면에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사용하여 제작하거나, 스프링쿨러를 설치 적용하여 내구성을 증진시키는 , 터널 내 설치가 용이한 분절형 풍도슬래브의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17717A KR101793063B1 (ko) | 2016-02-16 | 2016-02-16 | 터널 내 설치가 용이한 분절형 풍도슬래브의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17717A KR101793063B1 (ko) | 2016-02-16 | 2016-02-16 | 터널 내 설치가 용이한 분절형 풍도슬래브의 구조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98285A Division KR20170096606A (ko) | 2017-08-02 | 2017-08-02 | 터널 내 설치가 용이한 분절형 풍도슬래브의 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96392A KR20170096392A (ko) | 2017-08-24 |
KR101793063B1 true KR101793063B1 (ko) | 2017-11-20 |
Family
ID=59758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17717A Active KR101793063B1 (ko) | 2016-02-16 | 2016-02-16 | 터널 내 설치가 용이한 분절형 풍도슬래브의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9306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21341B1 (ko) * | 2018-08-09 | 2021-11-03 | 정인혁 | 터널내 환기를 위한 다양하고 용이한 분절형 풍도슬래브의 구조 |
KR102126491B1 (ko) | 2018-12-05 | 2020-06-24 | 주식회사 케이씨산업 | 터널의 분절형 풍도 슬래브 설치구조 |
KR102321338B1 (ko) * | 2018-12-28 | 2021-11-02 | 정인혁 | 터널내 급속설치가 가능한 분절형 풍도슬래브의 구조 및 시공방법 |
KR102300598B1 (ko) * | 2019-11-22 | 2021-09-08 |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 중공 형성부가 포함된 풍도슬래브 유닛 및 이를 이용하여 풍도슬래브를 시공하는 방법 |
CN111501834A (zh) * | 2020-04-26 | 2020-08-07 | 杜地 | 海中交通隧道 |
CN111779528B (zh) * | 2020-06-29 | 2022-05-10 | 中铁第一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 一种快速装配式隧道通风隔板结构 |
CN111779529A (zh) * | 2020-06-29 | 2020-10-16 | 中铁第一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 一种新型隧道通风结构、隔板构件安装设备及辅助设备 |
CN112112194A (zh) * | 2020-09-04 | 2020-12-22 |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 一种上下分块的明挖隧道预制衬砌预应力连接结构及方法 |
CN113863963A (zh) * | 2021-09-27 | 2021-12-31 | 中铁第一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 一种地铁暗挖车站风道隧洞进主体隧洞的接口钢架支撑体系及其施工方法 |
CN114855873A (zh) * | 2022-04-18 | 2022-08-05 | 济南城建集团有限公司 | 一种半节段式有轨电车预制拼装施工方法 |
CN114991845A (zh) * | 2022-07-04 | 2022-09-02 | 中建六局(天津)绿色建筑科技有限公司 | 地下空间预制轨顶风道的装配式安装系统 |
CN115233731A (zh) * | 2022-08-22 | 2022-10-25 | 重庆巨能建设集团路桥工程有限公司 | 一种综合管廊 |
CN118727529A (zh) * | 2024-07-31 | 2024-10-01 | 浙江亨达建设有限公司 | 市政道路及其施工方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05605B1 (ko) * | 2010-06-07 | 2011-02-07 | 김태균 | 아치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풍도 슬래브 및 이의 시공방법 |
KR101015379B1 (ko) * | 2010-04-21 | 2011-02-22 |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 아치형태의 풍도 바닥 슬래브를 구비한 터널 풍도 및 그 형성방법 |
KR101152419B1 (ko) * | 2011-12-19 | 2012-06-07 | 최준열 | 터널과 지하차도를 포함하는 지중 도로 구조물의 풍도 및 이 시공 방법 |
KR101519124B1 (ko) * | 2014-09-01 | 2015-05-11 | (주) 대한이엔지 | 터널용 프리캐스트 풍도 슬래브 시공을 위한 모노레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터널공법 |
-
2016
- 2016-02-16 KR KR1020160017717A patent/KR101793063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15379B1 (ko) * | 2010-04-21 | 2011-02-22 |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 아치형태의 풍도 바닥 슬래브를 구비한 터널 풍도 및 그 형성방법 |
KR101005605B1 (ko) * | 2010-06-07 | 2011-02-07 | 김태균 | 아치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풍도 슬래브 및 이의 시공방법 |
KR101152419B1 (ko) * | 2011-12-19 | 2012-06-07 | 최준열 | 터널과 지하차도를 포함하는 지중 도로 구조물의 풍도 및 이 시공 방법 |
KR101519124B1 (ko) * | 2014-09-01 | 2015-05-11 | (주) 대한이엔지 | 터널용 프리캐스트 풍도 슬래브 시공을 위한 모노레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터널공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96392A (ko) | 2017-08-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93063B1 (ko) | 터널 내 설치가 용이한 분절형 풍도슬래브의 구조 | |
KR101445365B1 (ko) | 터널 라이닝에 고정된 풍도슬래브 | |
KR101152419B1 (ko) | 터널과 지하차도를 포함하는 지중 도로 구조물의 풍도 및 이 시공 방법 | |
KR102321338B1 (ko) | 터널내 급속설치가 가능한 분절형 풍도슬래브의 구조 및 시공방법 | |
KR100996400B1 (ko) | 조립식 터널 풍도 및 형성방법과 조립식 터널 풍도 시공방법 | |
KR101015379B1 (ko) | 아치형태의 풍도 바닥 슬래브를 구비한 터널 풍도 및 그 형성방법 | |
CN110067201A (zh) | 一种移动式张拉平台及其使用方法 | |
CN114876239B (zh) | 一种高空悬挑结构封闭防护拆除体系及其施工方法 | |
CN112609912B (zh) | 一种高架运营地铁车站新建雨棚的施工方法 | |
CN101481903B (zh) | 跨缆吊机倒退拼装架设山区悬索桥主桁方法 | |
JP2016008406A (ja) | 合成桁の床版取替工法における主桁仮受け方法と、合成桁の床版取替工法と、合成桁の床版取替工法における主桁仮受け構造 | |
KR101428759B1 (ko) | 풍도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아치구조물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제작된 프리스트레스트 아치구조물 | |
CN112727132B (zh) | 一种高架运营地铁车站既有雨棚的拆除方法 | |
CN111455854B (zh) | 跨越铁路的高架桥施工时用的半自动防护棚架及搭设方法 | |
KR20170096606A (ko) | 터널 내 설치가 용이한 분절형 풍도슬래브의 구조 | |
JP2008075018A (ja) | コークス炉用仮設上家およびこれを備えたコークス炉設備 | |
KR101003403B1 (ko) | 이동식 교량 점검차 | |
KR102321341B1 (ko) | 터널내 환기를 위한 다양하고 용이한 분절형 풍도슬래브의 구조 | |
KR102126491B1 (ko) | 터널의 분절형 풍도 슬래브 설치구조 | |
CN109519199B (zh) | 一种盾构隧道管片支撑台车 | |
KR102160160B1 (ko) | 다수의 섹션들로 이루어진 이동식 밀폐 빌딩 | |
CN111648229A (zh) | 一种盖梁施工用的拼装式抱箍平台及其安装方法 | |
JP2008057226A (ja) | 橋桁上における建屋の構築方法および当該建屋を有する橋梁 | |
KR102091354B1 (ko) | 시공단계와 세로보를 갖는 프리캐스트 세그멘트 풍도슬래브 및 이의 시공방법 | |
CN214577048U (zh) | 应用于隧道套衬加固的装配式脚手架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1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28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802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0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10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8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0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