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2567B1 - Gymnasium divider - Google Patents
Gymnasium divid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92567B1 KR101792567B1 KR1020170062106A KR20170062106A KR101792567B1 KR 101792567 B1 KR101792567 B1 KR 101792567B1 KR 1020170062106 A KR1020170062106 A KR 1020170062106A KR 20170062106 A KR20170062106 A KR 20170062106A KR 101792567 B1 KR101792567 B1 KR 1017925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creen member
- wire
- wire winding
- gymnasium
- mov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2—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large-room or outdoor sporting games
- A63B71/022—Backstops, cages, enclosures or the like, e.g. for spectator protection, for arresting ball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1/00—Tennis nets or accessories for tennis or like games, e.g. volley-ball
- A63B61/04—Straining or adjusting devices for nets, e.g. centre strainers, single-double adjusters, net height met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E04H3/14—Gymnasiums; Other sporting building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름식 공간분할 디바이더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단순한 구조를 가져 경량화가 용이하고, 안정된 작동을 보장할 수 있는 주름식 공간분할 디바이더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체육관의 천장에 설치되며, 와이어가 권취되는 다수의 릴을 포함하는 와이어 권취부; 상기 와이어 권취부에 상단부가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체육관의 실내공간을 분할하도록 펼쳐지는 스크린 부재; 및 상기 릴에 상단부가 고정되어 릴에 권취되고, 상기 스크린 부재의 상단부로부터 스크린 부재의 전면과 후면을 반복적으로 관통하면서 스크린의 하단부로 연장되어 스크린 부재의 하단부에 고정되게 설치된 다수의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 권취부와 체육관의 천장 사이에 구성되되, 와이어 권취부의 이동을 통해 스크린 부재에 의해 분할되는 두 공간의 비율을 변화시키는 이동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식 공간분할 디바이더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eated space dividing divider, and its object is to provide a pleated space dividing divider which has a simple structure, is lightweight, and can ensure stable operation.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re winding apparatus comprising: a wire winding unit installed on a ceiling of a gymnasium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reels around which wires are wound; A screen member installed to the upper end of the wire winding part so as to divide the indoor space of the gymnasium; And a plurality of wires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screen member to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screen while being repeatedly passed through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screen member and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screen member; And a moving unit configured between the wire winding unit and the ceiling of the gymnasium, wherein the moving unit changes a ratio of two spaces divided by the screen member through movement of the wire winding unit do.
Description
본 발명은 체육관의 천장에 설치되어 실내공간을 2개의 공간으로 분할하는 디바이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어에 의해 스크린 부재가 펼쳐지거나 주름진 형태로 걷어 올려지도록 구성되어 상부 작동기구의 소형화가 가능하며, 안정된 작동구조를 갖는 주름식 공간분할 디바이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vider which is installed in a ceiling of a gymnasium and divides an indoor space into two spaces.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a screen member is rolled up in a widened or corrugated form by wires, And a pleated space dividing divider having a stable operating structure.
일반적으로 체육관과 같이 하나의 큰 실내공간을 갖는 건축물의 경우, 상황에 따라 실내공간을 두 개의 공간으로 분할하여 각 공간을 서로 다른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디바이더(Divider)가 설치되고 있다.Generally, in the case of a building having a large indoor space such as a gymnasium, a divider is installed to divide the indoor space into two spaces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to use each space for different purposes.
이와 같은 디바이더는 체육관의 천장이나 벽면에 보관되어 있다가 필요한 경우 체육관의 실내공간을 횡단하도록 펼쳐지면서 공간을 분할하게 된다.Such a divider is stored on the ceiling or wall of a gymnasium, and if necessary, the space is divided while spreading to cross the indoor space of the gymnasium.
한편, 특허문헌1에는 네트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실내공간을 분할하는 디바이더의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structure of a divider that divides an indoor space while a net moves in a horizontal direction.
상기 특허문헌1의 경우, 체육관의 천장을 가로지르도록 가이드와이어와 윈치와이어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와이어에 네트의 상단부가 결합되며, 네트의 상단부 일측이 윈치와이어에 고정되어 윈치와이어에 의하여 네트가 체육관의 실내 공간을 가로지르도록 펼쳐지거나 또는 체육관의 실내공간을 전체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체육관의 한쪽으로 접혀지게 되어 있다.In the case of Patent Document 1, a guide wire and a winch wire are installed so as to cross the ceiling of a gymnasium, an upper end portion of the net is coupled to the guide wire, one side of the net is fixed to the winch wire, It is folded to one side of the gym to spread across the indoor space of the gym or to utilize the indoor space of the gym as a whole.
그러나, 상기와 같은 디바이더는 네트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와이어에 작용하는 네트의 중량으로 인하여 가이드와이어의 중앙부가 아래로 처지는 현상이 발생되고, 이로 인하여 네트의 원활이 이동이 어렵게 되며, 특히 네트를 펼치거나 접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due to the weight of the net acting on the guide wire installed in the direction crossing the net, the divider may cause the center portion of the guide wire to fall down, which makes it difficult to smoothly move the net, There is a problem that it takes much time to expand or collapse.
한편, 특허문헌2에는 또 다른 구조의 디바이더가 개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Patent Document 2 discloses a divider having another structure.
특허문헌2에 따른 디바이더는 체육관의 천장에 설치되며, 네트의 하단부에 감긴 이동파이프가 웨빙에 의해 회전과 함께 상하로 이동하면서 네트를 감아올리거나 펼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divider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2 is installed on the ceiling of a gymnasium, and the moving pipe wrapped around the lower end of the net moves up and down with rotation by the webbing to wind up or unwind the net.
이처럼 네트가 수직방향으로 작동하는 방식의 디바이더는 네트를 안정적으로 감거나 펼칠 수 있으며, 보다 신속한 동작이 가능한 장점을 갖고 있다.This type of divider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net has the advantage of allowing the net to be stably wound and unrolled, and to operate more quickly.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2에 따른 디바이더는 납작한 띠의 형태로 이루어진 웨빙을 감아두기 위해 비교적 큰 릴의 사용이 요구되며, 복잡한 작동구조로 인해 많은 자재의 사용이 요구되며, 부피가 크고 무거운 단점이 있다.However, the divider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2 requires the use of a relatively large reel in order to wrap the webbing made in the form of a flat band, requires a large amount of materials due to a complicated operating structure, and has a disadvantage of being bulky and heavy .
또한, 직물재로 이루어진 웨빙이 시간의 경과와 함께 늘어나고 꼬임이 발생되면서 네트의 안정적인 동작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Further, the webbing made of the fabric material increases along with the elapse of time and twist occurs, which makes it difficult to stably operate the ne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한 구조를 가져 경량화가 용이하고, 안정된 작동을 보장할 수 있는 주름식 공간분할 디바이더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leated space dividing divider which has a simple structure, is lightweight, and can ensure stable oper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필요한 경우 네트의 위치를 이동시켜 공간분할 비율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주름식 공간분할 디바이더를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olding type space dividing divider which can adjust a space division ratio by moving a position of a net if necessary.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체육관의 천장에 설치되며, 와이어가 권취되는 다수의 릴을 포함하는 와이어 권취부; 상기 와이어 권취부에 상단부가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체육관의 실내공간을 분할하도록 펼쳐지는 스크린 부재; 및 상기 릴에 상단부가 고정되어 릴에 권취되고, 상기 스크린 부재의 상단부로부터 스크린 부재의 전면과 후면을 반복적으로 관통하면서 스크린의 하단부로 연장되어 스크린 부재의 하단부에 고정되게 설치된 다수의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 권취부와 체육관의 천장 사이에 구성되되, 와이어 권취부의 이동을 통해 스크린 부재에 의해 분할되는 두 공간의 비율을 변화시키는 이동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식 공간분할 디바이더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ire winding apparatus comprising: a wire winding unit installed on a ceiling of a gymnasium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reels around which wires are wound; A screen member installed to the upper end of the wire winding part so as to divide the indoor space of the gymnasium; And a plurality of wires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screen member to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screen while being repeatedly passed through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screen member and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screen member; And a moving unit configured between the wire winding unit and the ceiling of the gymnasium, wherein the moving unit changes a ratio of two spaces divided by the screen member through movement of the wire winding unit do.
한편, 상기 주름식 공간분할 디바이더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권취부는, 체육관의 천장에 설치되며, 상호 이격된 다수의 축지지대를 포함하는 고정 프레임; 상기 다수의 축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설치된 다수의 릴;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어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모터; 및 상기 회전축의 인접한 곳에서 회전축과 평행한 구조를 갖도록 상기 고정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스크린 부재의 상단부와 결합되어 스크린 부재를 지지하는 고정봉;으로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leated space dividing divider, the wire winding portion includes a fixed frame installed on a ceiling of a gymnasium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spaced apart shaft supports; A rotating shaft rotatably installed on the plurality of shaft supports; A plurality of reels provided on the rotating shaft; A motor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to rotate the rotating shaft; And a fixing rod installed on the fixed frame so as to have a structure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in the vicinity of the rotation axis, and a fixing rod coupled with an upper end of the screen member to support the screen member.
한편, 상기 주름식 공간분할 디바이더에 있어서, 상기 릴은 와이어가 꼬임 없이 한 줄의 적층된 형태로 권취될 수 있도록 와이어의 선경에 대응하는 사이간격을 갖도록 이격된 2개의 디스크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leated space division divider, the reel may include two disc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wire diameter of the wire so that the reels may be wound in a laminated form of one row without being twisted .
한편, 상기 주름식 공간분할 디바이더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부재는 불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져 시야를 차단하는 하단영역과, 그물막으로 이루어진 상단영역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각의 와이어와 평행한 채로 상기 상단영역을 지나 하단영역에 연결되게 형성되며, 스크린 부재를 관통하는 와이어에 의해 관통되도록 스크린 부재의 전면 또는 후면 중 적어도 한 면에 설치되어 서로 다른 소재로 이루어진 상단영역과 하단영역이 균일하게 접히도록 유도하는 다수의 띠;가 더 포함될 수 있다.The screen division member may be formed of an opaque material so as to have a bottom area blocking the visual field and an upper area formed of a net film and passing through the top area in parallel with the respective wires And a plurality of guide members formed on at least one of a front surface and a rear surface of the screen member so as to be penetrated by the wire passing through the screen member and guiding the upper and lower end regions of the different materials to be uniformly folded Band can be further included.
삭제delete
한편, 상기 주름식 공간분할 디바이더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와이어 권취부의 이동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부재; 상기 와이어 권취부와 함께 이동하도록 와이어 권취부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이동하도록 가이드부재에 결합된 이동 프레임; 및 상기 이동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작동기구;로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folding-type space dividing divider, the moving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guide member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wire winding unit; A moving frame installed on the wire winding portion to move together with the wire winding portion and coupled to the guide member to move along the guide member; And an operating mechanism for moving the moving frame.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스크린 부재의 전면과 후면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와이어에 의해 스크린 부재가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구성되어 구조가 단순하고 가벼워 이동식 디바이더의 구성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creen member is folded or unfolded by the wires provided to penetrate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screen member, the structure is simple and light, so that the movable divider can be easily configured.
또한, 꼬임이나 늘어남이 쉽게 발생하는 웨빙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내구성 및 작동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since the webbing that easily twists or elongates easily is not used, the durability and reliability of operation can be improved.
또한, 디바이더에 의해 분할되는 공간의 비율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공간활용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since the ratio of the space divided by the divider can be freely changed, the efficiency of space utilization can be improved.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름식 공간분할 디바이더의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름식 공간분할 디바이더의 측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릴의 정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부재가 접혀지면서 올라가는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이 가능한 주름식 공간분할 디바이더의 정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이 가능한 주름식 공간분할 디바이더의 측면도,
도 7 은 윈치 타입의 작동기구가 적용된 이동부의 정면도,
도 8 은 윈치 타입의 작동기구가 적용된 이동부의 측면도,
도 9 는 A부 상세도,
도 10 은 윈치 타입 작동기구의 작동구조를 보인 평면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front view of a pleated space dividing divid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of a pleated space dividing divid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ront view of a ree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creen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lded up,
FIG. 5 is a front view of a moveable foldable dividing divi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ide view of a moveable pleat-type space dividing divi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view of a moving part to which a winch-type operating mechanism is applied,
8 is a side view of a moving part to which a winch type operating mechanism is applied,
9 is a detailed view of the portion A,
10 is a plan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ructure of the winch type operating mechanism.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름식 공간분할 디바이더의 정면도를,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름식 공간분할 디바이더의 측면도를,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릴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다.FIG. 1 is a front view of a pleated space dividing divid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of a pleated space dividing divid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And FIG. 5 is a front view of the re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주름식 공간분할 디바이더는 체육관의 실내공간을 분할하도록 펼쳐지는 스크린 부재(200)가 둥글게 말려 올라가는 종래의 롤업(roll-up)방식이 아닌 주름진 형태로 접혀지면서 체육관의 천장으로 올라가 보관되는 방식을 갖는 것으로, 와이어 권취부(100), 스크린 부재(200), 와이어(300)로 구성된다.The folding-type space dividing divi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lded into a corrugated form rather than a conventional roll-up method in which the
상기 와이어 권취부(100)는 체육관의 천장에 설치되어 와이어(300)를 풀거나 감아주도록 작동하는 것으로, 고정 프레임(110), 회전축(120), 릴(130), 모터(140), 고정봉(150)으로 구성된다.The
상기 고정 프레임(110)은 체육관의 천장에 구성된 구조물(미도시됨)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120)의 지지를 위한 다수의 축지지대(111)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다.The
이때 상기 다수의 축지지대(111)는 회전축(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구조를 갖도록 고정 프레임(110)에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shaft supports 111 are installed in the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 프레임(110)은 다수의 C형강으로 이루어지되, 다수의 C형강은 수평한 자세로써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구조를 갖도록 체육관의 상부 구조물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각 C형강의 하부에 하나의 축지지대(111) 및 브라켓(112)이 설치된 것으로 구성된다.Meanwhile, the
이와 같은 고정 프레임(110)은 주름식 공간분할 디바이더가 설치되는 체육관의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상기 회전축(120)은 체육관의 천장 주변에서 수평한 자세를 유지한 채로 회전하도록 상기 다수의 축지지대(111)에 설치된다.The
상기 릴(130)은 와이어(300)가 권취되는 부분으로, 상기 회전축(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상호 이격된 구조를 갖도록 배치되며, 회전축(120)에 고정되어 회전축(120)과 회전하도록 구성된다.The
이러한 릴(130)은 와이어(300)가 권취되는 드럼(131)의 양측면에 디스크(132,133)가 설치된 것으로 구성된다.The
한편, 상기 두 디스크(132,133)는 드럼(131)에 권취되는 와이어(300)가 드럼(131)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와이어(300)가 꼬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와이어(300)의 선경에 대응하는 사이간격(d)을 갖도록 구성된다.The two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릴(130)에 권취되는 와이어(300)는 한 줄의 적층된 형태로 권취되므로, 꼬임이 발생하지 않으며, 다수의 릴(130)에서 감기거나 풀리는 와이어(300)의 길이가 서로 동일하게 되므로 보다 안정적인 스크린 부재(200)의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since the
상기 모터(140)는 회전축(120)과 연결되어 회전축(120)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상기 고정 프레임(110)에 설치되거나 체육관의 천장에 마련된 구조물에 설치될 수 있다.The
상기 고정봉(150)은 스크린 부재(200)의 상단부를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회전축(120)의 인접한 곳에서 회전축(120)과 평행한 구조를 갖도록 고정 프레임(110)에 설치된다.Th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봉(150)은 고정 프레임(110)을 구성하는 C형강의 하부에 설치된 브라켓(112)의 하단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스크린 부재(200)의 상단부와 결합되어 스크린 부재(200)를 지지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상기 스크린 부재(200)는 고정봉(150)에 설치되어 필요한 경우 펼쳐지면서 체육관의 실내공간을 분할하는 것으로, 불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진 하부영역(210)과, 네트(net)와 같은 그물막으로 이루어진 상부영역(220)으로 구성된다.The
참고로, 상기 하부영역(210)은 스크린 부재(200)에 의한 공간분할시 사용자의 시선과 마주하는 부분으로, 사용자의 시선을 완전히 차단하여 분할된 두 공간이 독립된 분위기를 형성할 수 있도록 불투명한 소재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영역(220)은 스크린 부재(200)의 경량화를 위하여 그물막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reference, the
한편, 상기와 같이 하부영역(210)과 상부영역(220)을 서로 다른 소재로 구성할 경우, 스크린 부재(200)가 와이어(300)에 의해 주름진 형태로 접히는 과정에서 서로 다른 두 소재의 특성으로 인하여 하부영역(210)과 상부영역(220)이 불균일하게 접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When th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부재(200)는 스크린 부재(200)의 상단부로부터 상부영역(220)을 지나 하부영역(210)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띠(230)를 더 포함한다.Accordingly, the
한편, 스크린 부재(200)를 관통하는 와이어(300)가 띠(230)를 관통하도록 각각의 띠(230)는 와이어(300)와 평행한 구조를 갖도록 스크린 부재(200)의 전면 또는 후면 중 적어도 한 면에 설치되며, 하부영역(210)과 동일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Each of the
이와 같은 띠(230)는 하부영역(210)을 구성하는 천과 동일한 천을 상부영역(220)에 추가적으로 설치하거나, 하부영역(210)을 구성하기 위한 천의 재단시 띠(230)가 하부영역(210)에 일체형의 구조로 형성되도록 재단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스크린 부재(200)의 하단부에는 스크린 부재(200)가 보다 안정적으로 접히고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이동봉(240)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된다.In addition, a moving
상기 와이어(300)는 상단부가 릴(130)에 고정되어 권취되고, 하단부가 스크린 부재(200)의 상단부로부터 스크린 부재(200)의 전면과 후면을 반복적으로 관통하면서 스크린 부재(200)의 하단부로 연장되어 스크린 부재(200)의 하단부에 설치된 이동봉(240)에 고정되게 설치된다.The upper end of th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와이어(300)는 스크린 부재(200)의 후면에서 일정구간 하부로 연장되고, 이후 스크린 부재(200)를 관통하여 스크린 부재(200)의 전면으로 돌출된 채로 일정구간 하부로 연장되며, 다시 스크린 부재(200)를 관통하여 스크린 부재(200)의 후면으로 돌출된 채로 일정 구간 하부로 연장되는 형태를 반복하면서 지그재그 형태를 이루며 스크린 부재(200)를 관통하도록 구성된다.More specifically, the
한편, 스크린 부재(200)를 관통하는 와이어(300)가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면서 와이어(300)에 의한 스크린 부재(20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링(250)이 스크린 부재(200)에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guide ring 250 for preventing damage of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주름식 공간분할 디바이더는 평상시 스크린 부재(200)가 주름진 상태로 접혀진 채로 체육관의 천장 주변에 위치하게 되며, 실내공간의 분할이 요구되는 경우 펼쳐지게 된다.The folding-type space division divi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normally positioned around the ceiling of the gymnasium while the
한편, 스크린 부재(200)의 펼침 동작은 릴(130)에 감긴 와이어(300)가 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축(120)이 회전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되며, 이와 같은 회전축(120)의 회전은 모터(140)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The
보다 구체적으로, 모터(140)에 의해 작동에 의해 회전축(120)이 회전함에 따라 릴(130)에 감긴 와이어(300)가 풀어지게 되면, 스크린 부재(200)의 하단부에 설치된 이동봉(240)이 중력에 의해 하강하게 하게 되므로, 고정봉(150)에 매달린 스크린 부재(200)가 점차적으로 펼쳐지면서 체육관의 실내공간을 2개의 공간으로 분할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한편, 공간분할을 위해 펼쳐진 스크린 부재(200)의 사용이 요구되지 않은 경우, 회전축(120)과 릴(130)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모터(140)를 역방향으로 작동시킴으로서 스크린 부재(200)를 걷어 올릴(130) 수 있다.If the use of th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부재가 접혀지면서 올라가는 상태를 보인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4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creen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lded up.
상기 회전축(120)과 릴(130)의 회전으로 인해 와이어(300)가 릴(130)에 감기기 시작하면, 와이어(300)의 하단부가 연결된 이동봉(240)이 상승하게 되며, 상기 이동봉(240)이 상승하는 과정에서 와이어(300)의 위치에 따라 스크린 부재(200)가 부분적으로 앞뒤로 반복적으로 접혀지게 된다.When the
보다 구체적으로, 와이어(300)가 스크린 부재(200)의 전면에서 상하로 연장된 구간에 속하는 부분은 후면방향으로 구부러지면서 주름진 형태로 접히게 되고, 반대로 와이어(300)가 스크린 부재(200)의 배면에서 상하로 연장된 구간에 속하는 부분은 전면방향으로 구부러지면서 주름진 형태로 접히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portion of the
한편, 다수의 와이어(300)는 스크린 부재(200)의 상단부로부터 스크린 부재(200)의 전면과 후면을 반복적으로 관통하면서 일정구간씩 하강하여 연장되는 구조를 갖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결국 스크린 부재(200)는 릴(130)에 권취되는 와이어(300)에 의해 전면과 후면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접혀지면서 체육관의 천장으로 상승하게 된다.The plurality of
상기와 같이 스크린 부재(200)가 걷어 올려지는 과정에서 와이어(300)는 릴(130)에 한 줄의 적층된 형태로 권취됨에 따라 와이어(300)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수의 릴(130)에 감기는 와이어(300)의 길이가 서로 동일함에 따라 스크린 부재(200)가 어느 한 쪽 방향으로 기울지 않고 안정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ocess of winding up the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주름식 공간분할 디바이더는 다수의 와이어(300)를 이용하여 스크린 부재(200)의 하단부를 상승시키는 동작을 통해 스크린 부재(200)를 접어 올리게 되므로, 종래의 롤업방식에 비해 신속한 동작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스크린 부재(200)를 접고 펼치기 위한 상부의 작동기구(430)를 단순화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이 가능한 주름식 공간분할 디바이더의 정면도를,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이 가능한 주름식 공간분할 디바이더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FIG. 5 is a front view of a movable foldable dividing divi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side view of a foldable foldable dividing divi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 내지 도 4을 참조하여 설명된 주름식 공간분할 디바이더는 한 곳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체육관의 실내공간을 항상 정해진 비율로 분할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주름식 공간분할 디바이더에 이동부(400)를 더 포함하여 스크린 부재(200)에 의해 분할되는 두 공간의 비율을 자유롭게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leated space dividing divid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is fixedly installed in one place, and is configured to always divide the indoor space of the gymnasium at a predetermined ratio, and the moving
즉, 본 발명에 따른 주름식 공간분할 디바이더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권취부(100)와 체육관의 천장 사이에 구성되어 와이어 권취부(100)를 이동시키는 이동부(4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That is, the folding type space division divi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moving
이때 상기 이동부(400)는 가이드부재(410)와 이동 프레임(420) 및 작동기구(430)로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oving
상기 가이드부재(410)는 스크린 부재(200)에 의해 분할되는 두 공간의 비율을 변경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스크린 부재(200)의 이동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갖도록 체육관의 천장에 고정되게 설치된다.The
이러한 가이드부재(410)는 와이어 권취부(100)와 스크린 부재(200)의 안정적인 이동을 위하여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수의 가이드부재(410)는 상호 이격된 채로 평행한 구조를 갖도록 체육관의 천장에 설치된다.The
상기 이동 프레임(420)은 와이어 권취부(100)의 고정 프레임(110)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부재(410)를 따라 이동하도록 가이드부재(410)에 결합된다. 이처럼 고정 프레임(110)과 가이드부재(410)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이동 프레임(420)은 현장 여건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moving
한편, 상기와 같이 고정 프레임(110)과 가이드부재(410)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이동 프레임(420)을 가이드부재(410)를 따라 이동시킴으로서 스크린 부재(200)에 의한 공간분할비율을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e
상기 작동기구(430)는 이동 프레임(420)을 이동시킴으로써 스크린 부재(200)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것으로, 호이스트 타입 또는 윈치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참고로, 도 5 및 도 6은 호이스트 타입의 작동기구(430)가 적용된 이동부(400)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5 and 6 show the structure of the moving
호이스트 타입의 작동기구(430)를 포함하는 이동부(400)는, H빔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부재(410)와, 상기 H빔의 플랜지부(411)에 결합되어 플랜지부(411)를 따라 이동하는 다수의 롤러(421)를 포함하며 와이어 권취부(100)의 상단부에 결합된 이동 프레임(420)과, 상기 이동 프레임(420)에 설치된 주행모터(431) 및 상기 주행모터(431)에 의해 회전하면서 H빔의 플랜지부(411)를 따라 주행하는 주행롤러(432)로 이루어진 작동기구(430)로 구성될 수 있다.The moving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이동부(400)는 주행모터(431)의 작동에 의해 주행롤러(432)가 회전하는 경우, 이동 프레임(420)이 가이드부재(410)를 따라 이동하면서 스크린 부재(200)의 공간분할 위치가 조절된다.When the traveling
도 7은 윈치 타입의 작동기구가 적용된 이동부의 정면도를, 도 8은 윈치 타입의 작동기구가 적용된 이동부의 측면도를, 도 9는 A부 상세도를, 도 10은 윈치 타입 작동기구의 작동구조를 보인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Fig. 7 is a front view of a moving part to which a winch type operating mechanism is applied, Fig. 8 is a side view of a moving part to which a winch type operating mechanism is applied, Fig. 9 is a detailed view of A part, Fig.
윈치 타입의 작동기구(430`)를 포함하는 이동부(400)는, H빔(412)과 행거(413) 및 레일(414)로 이루어진 가이드부재(410)와, 상기 레일(414)의 내부에 수용된 채로 레일(414)을 따라 이동하는 트롤리(422)를 포함하며 와이어 권취부(100)의 상단부에 결합된 이동 프레임(420)과, 상기 트롤리(422)를 이동시키는 윈치 타입의 작동기구(430`)로 구성될 수 있다.The moving
이때 상기 윈치 타입의 작동기구(430`)는 레일(414)의 일측 단부에 위하도록 체육관의 천장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구동풀리(4331)와 구동모터(4332)를 포함하는 구동부(433)와, 상기 레일(414)의 타측 단부에 위치하도록 체육관의 천장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리턴풀리(4341)를 포함하는 리턴부(434)와, 상기 트롤리(422)의 일측에 한 쪽 단부가 고정되고 반대쪽 단부가 구동풀리(4331)와 리턴풀리(4341)를 경유하여 트롤리(422)의 타측에 고정되게 설치된 와이어(435)로 구성될 수 있다.The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이동부(400)는 구동모터(4332)의 작동에 의해 구동풀리(4331)가 회전하게 되면, 구동풀리(4331)의 회전방향에 대응하여 와이어(435)가 이동하게 되며, 이러한 와이어(435)의 이동에 의해 트롤리(422)가 이동하면서 이동 프레임(420)을 이동시키게 되므로 스크린 부재(200)의 공간분할 위치가 조절된다.When the driving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름식 공간분할 디바이더는 스크린 부재(200)의 작동구조를 개선하여 디바이더의 경량화 및 단순화가 가능하고, 이를 통해 스크린 부재(200)의 위치 이동이 가능한 이동식 공간분할 디바이더를 보다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leated space divider divi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operating structure of the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Of course,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와이어 권취부 111: 축지지대
110: 고정 프레임 120: 회전축
130: 릴 132, 133: 디스크
140: 모터 150: 고정봉
200: 스크린 부재 210: 하부영역
220: 상부영역 230: 띠
300: 와이어 400: 이동부
410: 가이드부재 411: 플랜지부
412: H빔 413: 행거
414: 레일 420: 이동 프레임
421: 롤러 422: 트롤리
430: 작동기구 430`: 작동기구
431: 주행모터 432: 주행롤러
433: 구동부 4331: 구동풀리
4332: 구동모터 434: 리턴부
4341: 리턴풀리 435: 와이어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100: wire winding part 111: shaft support
110: fixed frame 120: rotating shaft
130:
140: motor 150: stationary rod
200: Screen member 210: Lower region
220: upper region 230:
300: wire 400: moving part
410: guide member 411: flange portion
412: H beam 413: Hanger
414: rail 420: moving frame
421: roller 422: trolley
430: actuating
431: running motor 432: running roller
433: driving part 4331: driving pulley
4332: drive motor 434: return part
4341: Return pulley 435: Wire
Claims (6)
상기 와이어 권취부에 상단부가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체육관의 실내공간을 분할하도록 펼쳐지는 스크린 부재; 및
상기 릴에 상단부가 고정되어 릴에 권취되고, 상기 스크린 부재의 상단부로부터 스크린 부재의 전면과 후면을 반복적으로 관통하면서 스크린의 하단부로 연장되어 스크린 부재의 하단부에 고정되게 설치된 다수의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 권취부와 체육관의 천장 사이에 구성되되, 와이어 권취부의 이동을 통해 스크린 부재에 의해 분할되는 두 공간의 비율을 변화시키는 이동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식 공간분할 디바이더.A wire winding part installed on a ceiling of a gymnasium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reels around which wires are wound;
A screen member fixedly installed on the wire winding portion and configured to divide the indoor space of the gymnasium; And
A plurality of wires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screen member to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screen member while being repeatedly passed through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screen member and fixed to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screen member; And
And a moving part which is formed between the wire winding part and the ceiling of the gymnasium and changes a ratio of two spaces divided by the screen member through movement of the wire winding part.
상기 와이어 권취부는,
체육관의 천장에 설치되며, 상호 이격된 다수의 축지지대를 포함하는 고정 프레임;
상기 다수의 축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설치된 다수의 릴;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어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모터; 및
상기 회전축의 인접한 곳에서 회전축과 평행한 구조를 갖도록 상기 고정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스크린 부재의 상단부와 결합되어 스크린 부재를 지지하는 고정봉;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식 공간분할 디바이더.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re-
A stationary frame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gym and comprising a plurality of spaced apart shaft supports;
A rotating shaft rotatably installed on the plurality of shaft supports;
A plurality of reels provided on the rotating shaft;
A motor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to rotate the rotating shaft; And
And a fixing rod installed on the fixed frame so as to have a structure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rotation axis, and a fixing rod coupled with an upper end of the screen member to support the screen member.
상기 릴은 와이어가 꼬임 없이 한 줄의 적층된 형태로 권취될 수 있도록 와이어의 선경에 대응하는 사이간격을 갖도록 이격된 2개의 디스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식 공간분할 디바이더.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el includes two discs spaced apart with a distance corresponding to a wire diameter of the wire so that the wire can be wound in a laminated form in a single line without kinking.
상기 스크린 부재는 불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져 시야를 차단하는 하단영역과, 그물막으로 이루어진 상단영역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각의 와이어와 평행한 채로 상기 상단영역을 지나 하단영역에 연결되게 형성되며, 스크린 부재를 관통하는 와이어에 의해 관통되도록 스크린 부재의 전면 또는 후면 중 적어도 한 면에 설치되어 서로 다른 소재로 이루어진 상단영역과 하단영역이 균일하게 접히도록 유도하는 다수의 띠;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식 공간분할 디바이더.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creen member is made of an opaque material and has a bottom area blocking the visual field and an upper area consisting of a mesh film,
A plurality of wires arranged on at least one side of a front surface or a rear surface of the screen member so as to be connected to a lower end region of the screen member in parallel with the wires, And a plurality of bands for guiding the area and the bottom area to be uniformly folded.
상기 이동부는,
상기 와이어 권취부의 이동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부재;
상기 와이어 권취부와 함께 이동하도록 와이어 권취부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이동하도록 가이드부재에 결합된 이동 프레임; 및
상기 이동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작동기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식 공간분할 디바이더.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ving unit includes:
At least one guide member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wire winding portion;
A moving frame installed on the wire winding portion to move together with the wire winding portion and coupled to the guide member to move along the guide member; And
And an operating mechanism for moving the moving fram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2106A KR101792567B1 (en) | 2017-05-19 | 2017-05-19 | Gymnasium divid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2106A KR101792567B1 (en) | 2017-05-19 | 2017-05-19 | Gymnasium divid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92567B1 true KR101792567B1 (en) | 2017-11-02 |
Family
ID=60383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62106A Active KR101792567B1 (en) | 2017-05-19 | 2017-05-19 | Gymnasium divid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92567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70441B1 (en) * | 2022-03-14 | 2022-11-28 | 노정훈 | Electric partition device for dividing indoor space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21573B1 (en) | 1991-12-26 | 1999-09-15 | 야수오 호시야마 | Pleated screen device based on wire tension system |
KR200288745Y1 (en) | 2002-06-26 | 2002-09-10 | 문성길 | Curtain |
KR100857817B1 (en) | 2007-07-26 | 2008-09-10 | 현대체육산업(주) | Space Division Net Device |
JP2010158503A (en) * | 2008-12-10 | 2010-07-22 | Higashida Shoko Kk | Stretching and moving system for stretched body such as net or sheet using winding winch |
JP5556125B2 (en) | 2009-10-29 | 2014-07-23 | 株式会社大林組 | Screen device and mechanism for preventing lifting of weight member of screen |
KR101671103B1 (en) * | 2015-04-01 | 2016-11-01 | 한재수 | Device for dividing indoor space of gym |
-
2017
- 2017-05-19 KR KR1020170062106A patent/KR10179256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21573B1 (en) | 1991-12-26 | 1999-09-15 | 야수오 호시야마 | Pleated screen device based on wire tension system |
KR200288745Y1 (en) | 2002-06-26 | 2002-09-10 | 문성길 | Curtain |
KR100857817B1 (en) | 2007-07-26 | 2008-09-10 | 현대체육산업(주) | Space Division Net Device |
JP2010158503A (en) * | 2008-12-10 | 2010-07-22 | Higashida Shoko Kk | Stretching and moving system for stretched body such as net or sheet using winding winch |
JP5556125B2 (en) | 2009-10-29 | 2014-07-23 | 株式会社大林組 | Screen device and mechanism for preventing lifting of weight member of screen |
KR101671103B1 (en) * | 2015-04-01 | 2016-11-01 | 한재수 | Device for dividing indoor space of gym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70441B1 (en) * | 2022-03-14 | 2022-11-28 | 노정훈 | Electric partition device for dividing indoor spa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3900063A (en) | Roller curtain | |
US5287908A (en) | Window covering assembly | |
US7849907B2 (en) | Multiple choice shade system | |
US20050241779A1 (en) | Retractable self rolling blind, awning or cover apparatus | |
KR101792567B1 (en) | Gymnasium divider | |
AU2002233071B8 (en) | Retractable Self Rolling Blind Awning or Cover Apparatus | |
WO2007004852A1 (en) | Multiple choice shade system | |
AU2002233071A1 (en) | Retractable Self Rolling Blind Awning or Cover Apparatus | |
JP2003214073A (en) | Roller blind device | |
JP6339414B2 (en) | Retractable tarp | |
JP6473313B2 (en) | Shielding device | |
JP5214167B2 (en) | Lifting cord winding device for solar shading device | |
JPH11270255A (en) | Winding type fire resistant screen device | |
JP2008184853A (en) | Roller blind screen lifting device | |
JP6343193B2 (en) | Curtain device | |
JP4409400B2 (en) | Winding device and horizontal curtain with winding device | |
JP3123219U (en) | Roll-up blind screen lifting device | |
EP2440734A1 (en) | A shade device | |
JP2006149717A (en) | Stage curtain fold-up lift | |
JP6479413B2 (en) | Lifting cord support device and shielding device | |
NL8401662A (en) | Commercial green-house sun blind - has flexible cloth roller which is fixed at one end and unrolled along sloping surfaces | |
JP7617659B2 (en) | Sheet Winding Device | |
JP4873841B2 (en) | Solar shading device | |
JP2022189657A (en) | Roll up type curtain | |
JP5465107B2 (en) | Pleated fabric, pleated screen, vertical pleated screen, skylight pleated screen and method for producing pleated fabric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7051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7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0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0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10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