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92521B1 - 산업용브러쉬 용접장치 - Google Patents

산업용브러쉬 용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2521B1
KR101792521B1 KR1020150187445A KR20150187445A KR101792521B1 KR 101792521 B1 KR101792521 B1 KR 101792521B1 KR 1020150187445 A KR1020150187445 A KR 1020150187445A KR 20150187445 A KR20150187445 A KR 20150187445A KR 101792521 B1 KR101792521 B1 KR 101792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housing
cover
fixed
fix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7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7906A (ko
Inventor
한석만
나동현
김선우
Original Assignee
한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87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2521B1/ko
Publication of KR20170077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7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2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252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52Orientable fix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61Welding 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7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moving work to adjust its position betwee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ste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브러쉬 용접장치는, 하우징의 일단에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는 수평이동부와, 하우징의 내부 일측면에 매립설치되어 이 수평이동부를 수평이동시키는 유압장치 및 하우징의 일단을 마감하는 제1커버를 형성한 브러쉬고정구를 구비하고, 하우징의 타단에 하우징 타단을 커버하는 제2커버와, 하우징과 제2커버 사이에 설치되어 그 중앙부로 고정척을 삽입결합한 회전통체와, 제2커버 외면으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고정척을 조이는 누름장치부를 형성한 회전장치를 구비하며, 하우징 내주면에 회전통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구비하고, 하우징 외부로 제어발판을 구비하여, 제어발판으로 수평이동부를 회전장치 방향으로 이동시켜 브러쉬가 고정축대에 밀착되도록 한후, 작업자가 브러쉬와 고정축대 사이를 연속하여 용접 가능하도록 브러쉬와 고정축대를 정해진 각도로 연속 회전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압장치에 의해 브러쉬고정구에 고정된 브러쉬가 고정축대에 정해진 압으로 견고하게 밀착 고정되고, 제어발판을 조작하여 브러쉬와 고정축대 사이의 틈새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며, 브러쉬가 고정축대에 밀착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용접을 진행하여 용접작업이 수월하며, 회전통체를 회전시켜 브러쉬와 고정축대를 손쉽게 회전시킬 수 있고, 작업자가 용접 작업에 매진하여 피로도 감소와 동시에 작업능률이 향상되고, 이에따라,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산업용브러쉬 용접장치{Industrial brushes welding device}
본 발명은 용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각의 회전장치 및 브러쉬고정구에 고정축대 및 브러쉬를 고정하되, 제어발판으로 회전장치의 회전각도를 제어함과 동시에 브러쉬고정구의 수평이동을 제어하면서, 고정축대에 브러쉬를 용접하는 산업용브러쉬 용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용브러쉬는 공작기계로 금속등의 재료를 가공하여 필요한 모양을 만들어 낼때 발생되는 절삭칩등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금속류의 세척 또는 표면처리등과 같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특히, 이러한 산업용브러쉬는 공작기계 또는 기계장치에 물린 고정되는 고정축대와 이 고정축대 일단에 용접되는 브러쉬로 구성된다.
도면 1은 종래의 산업용브러쉬 용접방법을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작업대 일단에 형성된 회전축부에 고정축대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그 상태에서 브러쉬의 평평한 면이 고정축대의 평평한 면과 서로 맞닿도록 밀착시킨다.
이때, 작업자는 무릎으로 브러쉬를 고정축대 방향으로 가압하여, 고정축대와 브러쉬 사이의 틈새를 최소화 한 후, 이 고정축대와 브러쉬 사이의 이음매를 용접하여, 고정축대와 브러쉬 사이를 연결한다.
그리고, 회전축부를 기준으로 고정축대와 브러쉬를 무릎으로 가압하고 있는 상태에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고정축대와 브러쉬를 회전시키면서, 고정축대와 브러쉬 사이의 이음매를 연속하여 용접한다.
여기서, 고정축대와 브러쉬 사이의 틈새가 심하게 벌어져 있는 경우에는, 브러쉬를 고정축대 방향으로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별도로 구비된 장비로 브러쉬와 고정축대 사이 틈새가 맞닿도록 밀착시킨 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용접을 진행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산업용브러쉬 용접방법은, 용접과정에서 무릎을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브러쉬를 고정축대 방향으로 가압해야 하고, 브러쉬를 가압하고 있는 상태로 용접을 진행하여 용접작업이 매우 불편하며, 브러쉬와 고정축대 사이의 틈새를 줄이기 위해 별도 공구 이용시 자세의 불안정으로 용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이 용접불량으로 제품의 불량률이 증가되며, 작업자가 지속적으로 무릎을 사용하여 근골격계 질환과 피로도가 향상되고, 이에따라, 작업능률 저하와 동시에 제품 생산량의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10-0058006 A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징의 일단에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는 수평이동부와, 하우징의 내부 일측면에 매립설치되어 이 수평이동부를 수평이동시키는 유압장치 및 하우징의 일단을 마감하는 제1커버를 형성한 브러쉬고정구를 구비하고, 하우징의 타단에 하우징 타단을 커버하는 제2커버와, 하우징과 제2커버 사이에 설치되어 그 중앙부로 고정척을 삽입결합한 회전통체와, 제2커버 외면으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고정척을 조이는 누름장치부를 형성한 회전장치를 구비하며, 하우징 내주면에 회전통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구비하고, 하우징 외부로 제어발판을 구비하여, 회전장치의 고정척에 고정축대를 고정하되, 브러쉬고정구의 수평이동부 내에 브러쉬를 수용하고, 제어발판으로 수평이동부를 회전장치 방향으로 이동시켜 브러쉬가 고정축대에 밀착되도록 한후, 작업자가 브러쉬와 고정축대 사이를 연속하여 용접 가능하도록 브러쉬와 고정축대를 정해진 각도로 연속 회전시키는 산업용브러쉬 용접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브러쉬 용접장치는, 외면이 개구된 중공형상의 하우징과; 외면 및 일면이 개구된 중공형상으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단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어 그 내부에 브러쉬를 수용하는 수평이동부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설치되되, 그 일단이 상기 수평이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수평이동부를 수평이동시키는 유압장치 및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부분을 마감하여, 상기 수평이동부 및 유압장치가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부분을 통해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1커버를 형성한 브러쉬고정구; 상기 하우징 내부 타단을 커버하는 제2커버와,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2커버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구동되는 회전통체와, 테이퍼진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회전통체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 타측면에 체결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통체의 중앙부로 삽입 결합되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조여지거나 혹은 반대방향으로 벌어져 상기 회전통체와 일체로 회전되는 고정척과, 일단이 상기 제2커버 외면으로 노출되되, 타단이 상기 고정척과 연결되어 상기 고정척을 조이는 누름장치부를 형성한 회전장치;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통체의 외주면과 맞물려 상기 회전통체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하우징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압장치 및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발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브러쉬 용접장치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고정구는, 상기 수평이동부 외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피니언기어와, 판재형상으로 일면에 상기 피니언기어와 맞물려 승강 이동하는 래크기어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수평이동부 내부로 노출되도록 이동되어 상기 수평이동부 내에 수용된 브러쉬의 외주면을 눌러 고정하는 누름고정장치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브러쉬 용접장치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고정구는,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단에 연결되되, 타단이 상기 수평이동부에 연결 고정되어, 상기 유압장치에 의해 상기 회전장치 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수평이동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스프링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브러쉬 용접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장치의 제2커버는, 내부 일 측면에 외부와 연통되는 배기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배기구멍 후단에 상기 배기구멍으로 연기가 강제배출되도록 유도하는 배기팬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브러쉬 용접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장치는, 상기 고정척의 타단 테두리에 상기 회전통체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돌부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돌부와 서로 마주보는 상기 회전통체의 일면에는 상기 결합돌부가 삽입 결합되는 삽입홈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브러쉬 용접장치에 있어서, 상기 누름장치부는, 상기 제2커버 외면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커버 내부로 위치된 일 측면에 아치형상의 함몰홈 및 걸림돌부)를 형성한 누름스위치와; 상기 제2커버 외면에서 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누름스위치의 걸림돌부가 걸리도록 하는 스위치고정부; 테이퍼진 링형상으로 상기 고정척 외주면에 삽입 결합되고, 일단에 상기 누름스위치의 함몰홈에 눌려 밀려나는 경사면을 형성하며, 외면에 걸이홈을 형성한 이동링; 링형상으로 상기 고정척 외주면에 삽입 결합되고, 상기 이동링에 밀려 상기 고정척을 조이는 압입링; 및 일단이 상기 회전통체에 연결되되, 타단이 상기 이동링의 걸이홈에 걸림되어, 상기 이동링을 밀어내어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원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압장치에 의해 브러쉬고정구에 고정된 브러쉬가 고정축대에 정해진 압으로 견고하게 밀착 고정되고, 제어발판을 조작하여 브러쉬와 고정축대 사이의 틈새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며, 브러쉬가 고정축대에 밀착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용접을 진행하여 용접작업이 수월하며, 회전통체를 회전시켜 브러쉬와 고정축대를 손쉽게 회전시킬 수 있고, 특히, 제어발판을 밟는 단순 조작에 의해 수평이동부의 수평 이동 및 회전통체의 회전이 제어되어 누구나 손쉽게 작동시킬 수 있으며, 작업자가 용접 작업에 매진하여 피로도 감소와 동시에 작업능률이 향상되고, 이에따라,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브러쉬 용접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브러쉬 용접장치의 내부 상태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브러쉬 용접장치의 누름장치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브러쉬 용접장치의 누름장치부의 일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브러쉬 용접장치의 수평이동부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외면이 개구된 중공형상이다.
상기 하우징(100)은 그 내부의 일단에 브러쉬고정구(200)를 구비하고, 타단에 회전장치(300)를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브러쉬고정구(200)의 수평이동부(210)가 수평이동되는 것을 안내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테이블(미부호)에 떠 받쳐져 지면에서 정해진 높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브러쉬고정구(200)는 외면 및 일면이 개구된 중공형상으로,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일단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어 그 내부에 브러쉬(B)를 수용하는 수평이동부(210)와,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면에 설치되되, 그 일단이 상기 수평이동부(210)에 연결되어 상기 수평이동부(210)를 수평이동시키는 유압장치(220) 및 상기 하우징(100)의 개구된 부분을 마감하여, 상기 수평이동부(210) 및 유압장치(220)가 상기 하우징(100)의 개구된 부분을 통해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1커버(230)를 형성한다.
상기 수평이동부(210)는 상기 브러쉬(B)를 상기 회전장치(300)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회전장치(300)에 고정된 고정축대(S)에 밀착시킨다.
상기 수평이동부(210)는 유압장치(220)에 의해 밀려 상기 브러쉬(B)를 상기 고정축대(S)에 정해진 압으로 밀착한다.
상기 브러쉬고정구(200)는 상기 수평이동부(210) 외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피니언기어(210a)와, 판재형상으로 일면에 상기 피니언기어(210a)와 맞물려 승강 이동하는 래크기어(212a)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수평이동부(210) 내부로 노출되도록 이동되어 상기 수평이동부(210) 내에 수용된 브러쉬(B)의 외주면을 눌러 고정하는 누름고정장치(212)를 형성한다.
상기 누름고정장치(212)는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러쉬고정구(200)는 일단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일단에 연결되되, 타단이 상기 수평이동부(210)에 연결 고정되어, 상기 유압장치(220)에 의해 상기 회전장치(300) 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수평이동부(21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스프링(240)을 형성한다.
상기 탄성스프링(240)은 상기 회전장치(300)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수평이동부(210)에 의해 늘어나고, 상기 수평이동부(210)를 밀어내는 가압력이 해제되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수평이동부(210)를 상기 회전장치(300)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잡아당겨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회전장치(300)는 상기 하우징(100) 내부 타단을 커버하는 제2커버(310)와, 상기 하우징(100)과 상기 제2커버(310)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구동되는 회전통체(320)와, 테이퍼진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회전통체(320)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타측면에 체결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통체(320)의 중앙부로 삽입 결합되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조여지거나 혹은 반대방향으로 벌어져 상기 회전통체(320)와 일체로 회전되는 고정척(330)과, 일단이 상기 제2커버(310) 외면으로 노출되되, 타단이 상기 고정척(330)과 연결되어 상기 고정척(330)을 조이는 누름장치부(340)를 형성한다.
상기 회전통체(320)는 그 외면이 상기 구동모터(400)의 외면과 맞닿고, 상기 구동모터(400)의 회전에 의해 그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작동된다.
상기 회전통체(320)는 상기 구동모터(400)의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작동된다.
상기 회전통체(320)의 회전각도는 5~30도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돌부(331)와 서로 마주보는 상기 회전통체(320)의 일면에는 상기 결합돌부(331)가 삽입 결합되는 삽입홈(321)을 형성한다.
상기 고정척(330)은 그 일단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타측면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회전통체(320)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회전통체(320)와 일체로 회전된다.
상기 고정척(330)은 환형으로 적어도 3개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척(330)의 타단 테두리에 상기 회전통체(320)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돌부(331)를 형성한다.
상기 결합돌부(331)는 복수의 상기 고정척(33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부(331)는 상기 회전통체(320)의 삽입홈(321)에 억지 끼움되어, 상기 고정척(330)이 상기 회전통체(320)를 따라 일체로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회전장치(300)의 제2커버(310)는 내부 일 측면에 외부와 연통되는 배기구멍(311)을 형성하고, 상기 배기구멍(311) 후단에 상기 배기구멍(311)으로 연기가 강제배출되도록 유도하는 배기팬(312)을 더 설치한다.
상기 배기팬(312)은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작동된다.
상기 누름장치부(340)는 상기 제2커버(310) 외면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커버(310) 내부로 위치된 일 측면에 아치형상의 함몰홈(341a) 및 걸림돌부(341b)를 형성한 누름스위치(341)와, 상기 제2커버(310) 외면에서 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누름스위치(341)의 걸림돌부(341b)가 걸리도록 하는 스위치고정부(342), 테이퍼진 링형상으로 상기 고정척(330) 외주면에 삽입 결합되고, 일단에 상기 누름스위치(341)의 함몰홈(341a)에 눌려 밀려나는 경사면(343a)을 형성하며, 외면에 걸이홈(343b)을 형성한 이동링(343), 링형상으로 상기 고정척(330) 외주면에 삽입 결합되고, 상기 이동링(343)에 밀려 상기 고정척(330)을 조이는 압입링(344) 및 일단이 상기 회전통체(320)에 연결되되, 타단이 상기 이동링(343)의 걸이홈(343b)에 걸림되어, 상기 이동링(343)을 밀어내어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원스프링(345)으로 구성된다.
상기 걸림돌부(341b)와 상기 스위치고정부(342)는 볼펜의 캠바디와 플러져 구조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링(343)은 그 일면이 상기 압입링(344) 타면과 맞닿아 있고, 그 상태에서 상기 누름스위치(341)에 밀려 상기 압입링(344)을 상기 브러쉬고정구(200) 방향으로 밀어낸다.
상기 압입링(344)은 점차적으로 벌어지는 상기 고정척(330)의 외주면에 밀려 후퇴하면서 원위치로 복귀된다.
구동모터(400)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통체(320)의 외주면과 맞물려 상기 회전통체(320)에 회전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구동모터(400)는 외부 전원을 공급받되, 상기 제어발판(500)에 의해 제어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구동모터(400)는 상기 회전통체(320)를 5~30도 이내로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발판(500)은 상기 하우징(100)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압장치(220) 및 상기 구동모터(400)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발판(5000은 각각의 상기 유압장치(220) 및 상기 구동모터(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브러쉬 용접장치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브러쉬고정구(200)의 수평이동부(210) 내부에 브러쉬(B)를 수용하고, 그 상태에서 상기 누름고정장치(212)로 상기 브러쉬(B) 외주면을 눌러 고정한다.
이때, 상기 누름고정장치(212)를 파지한 상태로 상기 수평이동부(210) 내측방향으로 눌러 가압함으로써, 상기 래크기어(212a)가 회전되는 상기 피니언기어(210a)에 맞물린 상태로, 상기 피니언기어(210a)에 안내되어 승강이동되면서 상기 누름고정장치(212)를 승강이동시킨다.
그 다음, 상기 회전장치(300)의 회전통체(320) 중앙부에 위치된 상기 고정척(330) 사이로 고정축대(S)를 삽입하고, 상기 누름장치부(340)를 눌러 상기 고정척(330) 사이에 상기 고정축대(S)가 고정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누름장치부(340)의 누름스위치(341)를 눌러 가압하게 되면, 상기 누름스위치(341)가 상기 제2커버(310) 내측방향으로 이동되고, 이때, 상기 누름스위치(341)의 걸림돌부(341b)가 상기 스위치고정부(342)에 끼워져 걸림됨과 동시에 상기 함몰홈(341a)이 상기 이동링(343)의 경사면(343a)을 눌러 상기 이동링(343)을 상기 브러쉬고정구(200) 방향으로 밀어낸다.
그러면, 상기 이동링(343)에 맞닿아 있는 상기 압입링(344)이 상기 이동링(343)에 가압되어 상기 브러쉬고정구(200)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고정척(330)의 외주면을 가압하고, 이에따라, 복수의 상기 고정척(330)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조여지면서 상기 고정축대(S)를 물어 고정한다.
이때, 상기 고정척(330)은 회전장치(300)에서 브러쉬고정구(200) 방향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점차적으로 확대되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제작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압입링(344)에 그 외주면이 가압되어 조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동링(343)이 상기 브러쉬고정구(200)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이 이동링(343)의 걸이홈(343b)과 상기 회전통체(320) 사이에 연결된 복원스프링(345)이 압축된다.
이어서, 상기 제어발판(500)을 조작하여 상기 유압장치(220)를 구동시키게 되면, 상기 유압장치(220)가 상기 수평이동부(210)를 상기 회전장치(300)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수평이동부(210)에 고정된 상기 브러쉬(B)가 상기 고정축대(S)에 밀착 고정된다.
이후, 상기 고정축대(S)와 상기 브러쉬(B) 사이의 이음매 부분을 따라 용접을 진행하여, 상기 고정축대(S)에 상기 브러쉬(B)를 연결 고정하고, 상기 제어발판(500)을 조작하여 상기 구동모터(400)를 회전작동시킴으로써, 상기 구동모터(400)에 맞닿아 있는 상기 회전통체(320)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고정축대(S)와 상기 브러쉬(B) 사이의 다른 이음매 부분이 작업자의 방향으로 노출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척(330)의 결합돌부(331)가 상기 회전통체(320)의 삽입홈(321)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회전통체(3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고정척(330)이 일체로 회전된다.
이때, 상기 고정척(330)은 그 일단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일측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된다.
또한, 상기 고정축대(S)와 상기 브러쉬(B)는 그 이음매 부분 중 일 부분이 용접에 의해 연결된 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고정척(330)에 고정된 상기 고정축대(S)의 회전에 의해 상기 브러쉬(B)가 상기 고정축대(S)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면,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고정축대(S)와 상기 브러쉬(B) 사이의 이음매 부분을 용접 연결하고, 상기 제어발판(500)으로 상기 회전통체(320)를 반복 회전시키면서, 상기 고정축대(S)와 상기 브러쉬(B) 사이의 이음매 부분을 용접하여, 상기 고정축대(S)와 상기 브러쉬(B)를 이음 연결한다.
특히, 상기 고정축대(S)와 상기 브러쉬(B)를 용접 연결시 발생하는 인체에 유해한 연기는, 상기 배기팬(312)에 의해 유도되어 상기 회전장치(300) 후단 방향으로 이동된 후, 상기 배기구멍(31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후, 상기 고정축대(S)와 상기 브러쉬(B)의 이음매 용접이 완료되면, 상기 수평이동부(210)의 누름고정장치(212)를 상부로 이동시켜, 상기 수평이동부(210) 내에 수용된 상기 브러쉬(B)의 고정 상태를 해제한다.
그리고, 상기 수평이동부(210)를 가압하는 상기 유압장치(220)의 가압력을 해제하게 되면, 상기 탄성스프링(240)이 원상태로 복원되려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수평이동부(210)를 상기 유압장치(220) 방향으로 잡아당겨 상기 수평이동부(210)가 원위치로 복귀되고, 상기 브러쉬(B)는 상기 고정축대(S)에 연결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어서, 상기 누름장치부(340)의 누름스위치(341)를 눌러 상기 누름스위치(341)의 걸림돌부(341b)를 상기 스위치고정부(342)에서 이탈시키면, 상기 누름스위치(341)가 원위치로 복귀되고, 이와 동시에 일단이 상기 이동링(343)의 걸이홈(343b)에 걸리되, 타단이 상기 회전통체(320)에 연결되어 압축되어 있던 상기 복원스프링(345)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그 탄성력으로 상기 이동링(343)을 상기 회전통체(320) 반대방향으로 밀어내어, 상기 이동링(343)이 원위치로 복귀된다.
또한, 상기 이동링(343)이 원위치로 복귀됨에 따라, 상기 고정척(330)이 점차적으로 벌어지고, 이에따라, 상기 압입링(344)이 상기 고정척(330)의 외주면에 밀림되어 원위치로 복귀된다.
상기와 같이, 회전작동되는 회전장치(300)에 고정축대(S)를 고정하되, 유압장치(220)에 의해 수평이동하는 브러쉬고정부(200)에 브러쉬(B)를 고정하여, 이 고정축대(S)에 브러쉬(B)를 밀착 가압한 상태로 반복 회전시키면서 그 이음매 부분을 용접하는 구조는, 유압장치(220)에 의해 브러쉬고정구(200)에 고정된 브러쉬(B)가 고정축대(S)에 정해진 압으로 견고하게 밀착 고정되고, 제어발판(500)을 조작하여 브러쉬(B)와 고정축대(S) 사이의 틈새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며, 브러쉬(B)가 고정축대(S)에 밀착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용접을 진행하여 용접작업이 수월하며, 회전통체(320)를 회전시켜 브러쉬(B)와 고정축대(S)를 손쉽게 회전시킬 수 있고, 특히, 제어발판(500)을 밟는 단순 조작에 의해 수평이동부(210)의 수평 이동 및 회전통체(320)의 회전이 제어되어 누구나 손쉽게 작동시킬 수 있으며, 작업자가 용접 작업에 매진하여 피로도 감소와 동시에 작업능률이 향상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브러쉬 용접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하우징 200 : 브러쉬고정구
210 : 수평이동부 210a : 피니언기어
212 : 누름고정장치 212a : 래크기어
220 : 유압장치 230 : 제1커버
240 : 탄성스프링 300 : 회전장치
310 : 제2커버 311 : 배기구멍
312 : 배기팬 320 : 회전통체
321 : 삽입홈 330 : 고정척
331 : 결합돌부 340 : 누름장치부
341 : 누름스위치 341a : 함몰홈
341b : 걸림돌부 342 : 스위치고정부
343 : 이동링 343a : 경사면
343b : 걸이홈 344 : 압입링
345 : 복원스프링 400 : 구동모터
500 : 제어발판 B : 브러쉬
S : 고정축대

Claims (6)

  1. 외면이 개구된 중공형상의 하우징(100)과;
    외면 및 일면이 개구된 중공형상으로,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일단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어 그 내부에 브러쉬(B)를 수용하는 수평이동부(210)와,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면에 설치되되, 그 일단이 상기 수평이동부(210)에 연결되어 상기 수평이동부(210)를 수평이동시키는 유압장치(220) 및 상기 하우징(100)의 개구된 부분을 마감하여, 상기 수평이동부(210) 및 유압장치(220)가 상기 하우징(100)의 개구된 부분을 통해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1커버(230)를 형성한 브러쉬고정구(200);
    상기 하우징(100) 내부 타단을 커버하는 제2커버(310)와, 상기 하우징(100)과 상기 제2커버(310)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구동되는 회전통체(320)와, 테이퍼진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회전통체(320)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타측면에 체결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통체(320)의 중앙부로 삽입 결합되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조여지거나 혹은 반대방향으로 벌어져 상기 회전통체(320)와 일체로 회전되는 고정척(330)과, 일단이 상기 제2커버(310) 외면으로 노출되되, 타단이 상기 고정척(330)과 연결되어 상기 고정척(330)을 조이는 누름장치부(340)를 형성한 회전장치(300);
    상기 하우징(100)의 내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통체(320)의 외주면과 맞물려 상기 회전통체(320)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400); 및
    상기 하우징(100)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압장치(220) 및 상기 구동모터(4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발판(500);
    로 구성되고,
    상기 브러쉬고정구(200)는,
    상기 수평이동부(210) 외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피니언기어(210a)와,
    판재형상으로 일면에 상기 피니언기어(210a)와 맞물려 승강 이동하는 래크기어(212a)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수평이동부(210) 내부로 노출되도록 이동되어 상기 수평이동부(210) 내에 수용된 브러쉬(B)의 외주면을 눌러 고정하는 누름고정장치(212)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브러쉬 용접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고정구(200)는,
    일단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일단에 연결되되, 타단이 상기 수평이동부(210)에 연결 고정되어, 상기 유압장치에 의해 상기 회전장치 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수평이동부(21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스프링(240)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브러쉬 용접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장치(300)의 제2커버(310)는,
    내부 일 측면에 외부와 연통되는 배기구멍(311)을 형성하고,
    상기 배기구멍(311) 후단에 상기 배기구멍(311)으로 연기가 강제배출되도록 유도하는 배기팬(312)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브러쉬 용접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장치(300)는,
    상기 고정척(330)의 타단 테두리에 상기 회전통체(320)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돌부(331)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돌부(331)와 서로 마주보는 상기 회전통체(320)의 일면에는 상기 결합돌부(331)가 삽입 결합되는 삽입홈(321)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브러쉬 용접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장치부(340)는,
    상기 제2커버(310) 외면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커버(310) 내부로 위치된 일 측면에 아치형상의 함몰홈(341a) 및 걸림돌부(341b)를 형성한 누름스위치(341)와;
    상기 제2커버(310) 외면에서 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누름스위치(341)의 걸림돌부(341b)가 걸리도록 하는 스위치고정부(342);
    테이퍼진 링형상으로 상기 고정척(330) 외주면에 삽입 결합되고, 일단에 상기 누름스위치(341)의 함몰홈(341a)에 눌려 밀려나는 경사면(343a)을 형성하며, 외면에 걸이홈(343b)을 형성한 이동링(343);
    링형상으로 상기 고정척(330) 외주면에 삽입 결합되고, 상기 이동링(343)에 밀려 상기 고정척(330)을 조이는 압입링(344); 및
    일단이 상기 회전통체(320)에 연결되되, 타단이 상기 이동링(343)의 걸이홈(343b)에 걸림되어, 상기 이동링(343)을 밀어내어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원스프링(345);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브러쉬 용접장치.
KR1020150187445A 2015-12-28 2015-12-28 산업용브러쉬 용접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792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7445A KR101792521B1 (ko) 2015-12-28 2015-12-28 산업용브러쉬 용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7445A KR101792521B1 (ko) 2015-12-28 2015-12-28 산업용브러쉬 용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7906A KR20170077906A (ko) 2017-07-07
KR101792521B1 true KR101792521B1 (ko) 2017-11-03

Family

ID=59353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7445A Expired - Fee Related KR101792521B1 (ko) 2015-12-28 2015-12-28 산업용브러쉬 용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25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4739B1 (ko) * 2019-07-30 2020-06-18 김효민 용접 보호 장치
CN116532848B (zh) * 2023-05-09 2023-10-13 泰安鸿瑞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车充电桩加工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7294Y1 (ko) * 1996-09-13 1999-06-15 원제돈 보온용기의 용접장치
KR200434574Y1 (ko) * 2006-09-25 2006-12-22 (주)남광정공 변압기용 핸드홀커버 고정볼트 자동용접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7294Y1 (ko) * 1996-09-13 1999-06-15 원제돈 보온용기의 용접장치
KR200434574Y1 (ko) * 2006-09-25 2006-12-22 (주)남광정공 변압기용 핸드홀커버 고정볼트 자동용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7906A (ko) 2017-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45322B2 (en) Portable hand held power tool with interchangable head
EP1195216B1 (en) Tube cutter
JP6615372B2 (ja) チャック
KR101792521B1 (ko) 산업용브러쉬 용접장치
US20180346160A1 (en) Tensioner/cutter tool for hose clamps and/or bands and attachments for tensioner/cutter
US11491604B2 (en) Work tool
US7043826B2 (en) Apparatus for correcting setting of self-piercing rivets, for removing self-piercing rivets, and for setting solid rivets
CN207547698U (zh) 动力工具
CN1701882A (zh) 电动切削工具
JP5279411B2 (ja) ワークの位置決め装置
KR101797175B1 (ko) 링부재 외주면 가공장치
WO2018073922A1 (ja) ワーク組付装置、ワーク組付装置の制御方法、及びワーク組付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CN201783864U (zh) 榄珠形首饰钉砂机
CN113026511A (zh) 一种高速施工路面切割装置
CN107282959A (zh) 夹头及使用该夹头的动力工具
DK2500140T3 (en) Device for processing round items
KR101574324B1 (ko) 실리콘건
JP2681746B2 (ja) 電動式パイプ先端加工機およびこれに使用するパイプクランプ装置
KR101869662B1 (ko) 고로 등의 탭홀면 면삭 장치
JP3892816B2 (ja) 溶接用電極チップの取り外し工具
CN108480789B (zh) 液压式管道坡口机
TWI632983B (zh) Automatic tool changer
JPH08112747A (ja) 中口径管の端部加工装置
CN217702661U (zh) 一种发动机摇臂转动轴孔打磨装置
JP7690194B2 (ja) 割出ツールホル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5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0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10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