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92264B1 - 안료 과립 - Google Patents

안료 과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2264B1
KR101792264B1 KR1020117017127A KR20117017127A KR101792264B1 KR 101792264 B1 KR101792264 B1 KR 101792264B1 KR 1020117017127 A KR1020117017127 A KR 1020117017127A KR 20117017127 A KR20117017127 A KR 20117017127A KR 101792264 B1 KR101792264 B1 KR 101792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gment
granules
effect
tio
flak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7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0292A (ko
Inventor
토마스 라쓰츠라그
카르스텐 그리스만
Original Assignee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10100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0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2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226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0015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e.g. transparent platelets of appropriate thinness or flaky substrates, e.g. mica, bearing appropriate thin transparent coatings
    • C09C1/0024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e.g. transparent platelets of appropriate thinness or flaky substrates, e.g. mica, bearing appropriate thin transparent coatings comprising a stack of coating layers with alternating high and low refractive indices, wherein the first coating layer on the core surface has the high refractive index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0081Composite particulate pigments or fillers, i.e. containing at least two solid phases, except those consisting of coated particles of one comp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3/00Treatment in general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C09C3/04Physical treatment, e.g. grinding, treatment with ultrasonic vibrations
    • C09C3/045Agglomeration, granulation, pelle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3Powdery paints
    • C09D5/032Powdery paints characterised by a special effect of the produced film, e.g. wrinkle, pearlescence, matt finish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36Pearl essence, e.g. coatings containing platelet-like pigments for pearl lustr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1Micrometer sized, i.e. from 1-100 micro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2200/00Compositional and structural details of 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 C09C2200/10Interference pigments characterized by the core material
    • C09C2200/1004Interference pigments characterized by the core material the core comprising at least one inorganic oxide, e.g. Al2O3, TiO2 or SiO2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2200/00Compositional and structural details of 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 C09C2200/10Interference pigments characterized by the core material
    • C09C2200/102Interference pigments characterized by the core material the core consisting of glass or silicate material like mica or clays, e.g. kaoli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2200/00Compositional and structural details of 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 C09C2200/10Interference pigments characterized by the core material
    • C09C2200/1054Interference pigments characterized by the core material the core consisting of a met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2200/00Compositional and structural details of 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 C09C2200/30Interference pigments characterised by the thickness of the core or layers thereon or by the total thickness of the final pigment particle
    • C09C2200/301Thickness of the co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2200/00Compositional and structural details of 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 C09C2200/30Interference pigments characterised by the thickness of the core or layers thereon or by the total thickness of the final pigment particle
    • C09C2200/302Thickness of a layer with high refractive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Pigments, Carbon Blacks, Or Wood Stain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 물질에 기초하고, 이때 지지 물질은 접착 촉진제에 의해 하나 이상의 플레이크(flake) 형태의 효과(effect) 안료로 코팅된다는 점에서 구별되는 안료 과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료 과립은 바람직하게는 적용 매질, 특히 도료, 플라스터, 코팅물, 분말 코팅물, 가소성 물질의 착색을 위해서, 및 특히, 예를 들면, 벽지 장식용 산란 및 효과 과립으로서 사용된다.

Description

안료 과립{PIGMENT GRANULES}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플레이크(flake) 형태의 효과 안료로 코팅된 지지체에 기초한 비분진 안료 과립, 및 적용 매질, 특히 도료, 플라스터, 코팅물, 분말 코팅물, 가소성 물질의 착색을 위한 이의 용도, 및 예를 들면 벽지 장식용 산란 과립으로서의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플레이크 형태의 기판, 예컨대, 운모 플레이크에 기초한 안료의 유동 양태는 종종 만족스럽지 않다. 다수의 적용시, 특히 인쇄 및 잉크 분야에서, 이는 주요 문제를 일으키지는 않는다. 또한, 분진의 현저한 발생이 진주광택 안료의 가공시 초래되고, 이는 분진의 제거 및 기계의 세정을 위한 장비의 복잡성을 증가시킨다.
무기 또는 유기 안료를 사용하는 안료 과립의 생산은 당분야의 숙련가에게 공지되어 있다. 안료 비율이 20 내지 50 중량%인 색상 마스터배치(colour masterbatch)가 다양한 가소성 시스템을 채색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는 대체적으로 최종 과립의 생산까지 2 단계 공정이다.
수성 접착 촉진제에 의한 후속적 코팅에서 전처리 방법, 예컨대, 코로나 방전 또는 불꽃 처리가 없는 가소성 물질,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기재의 비극성 열가소성 물질의 습윤화는 종종 코팅되는 기판에 불량한 라미네이트 접착을 초래한다. 이러한 현상은 플레이크 형태의 입자를 갖는 가소성 물질 기재 지지체의 코팅물의 경우에 특히 현저하다. 일반적으로, 코팅된 기판의 기계적 특성은 불완전하고, 이는 얇은 조각으로 갈라진 형태의 지지 기판으로부터의 채색된 코팅물의 접착력의 손실 및 마모 분진의 형태에서 특히 자명하다.
유리 기재 지지 입자는, 표면으로의 상응하는 접착력을 가지면서 플레이크 형태의 효과 안료에 의한 내구성 코팅물을 확보하기 위해 실란화(silanisation)가 종종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소성 물질,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 및/또는 유리를 포함하는 지지체를 갖고, 추가의 전처리 방법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동시에 선행 기술의 상기 언급된 단점을 갖지 않는 안료 과립을 제공하는 것이다.
놀랍게도, 이제 하나 이상의 플레이크 형태의 효과 안료로 코팅된 지지 물질, 예컨대 중합체 입자, 유리 비이드 또는 중공(hollow) 유리 비이드, 또는 이의 혼합물에 기초한 안료 과립이 경제적으로 매우 적합하고 내구성이 영구적인 코팅물임이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접착 촉진제에 의해 하나 이상의 플레이크 형태의 효과 안료로 코팅된 지지 물질에 기초한 안료 과립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효과 안료는 표면 위에 위치하거나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이로 코팅되어 지지체, 예를 들면 중합체 입자, 유리 비이드 또는 중공 유리 비이드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본 발명은 지지 물질의 직접적인 코팅물에 기초한 본 발명에 따른 안료 과립을 생산하기 위한 1단계 방법을 기재하고, 여기서 지지체 표면 위의 효과 안료의 비율은 일반적으로 < 50 중량%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지지 물질에 속박되지 않고 대신 지지체 독립적인 방법이므로, 이 방법은 또한 특히 경제적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플레이크 형태의 효과 안료, 하나 이상의 접착 촉진제 및 선택가능하게는 첨가제를 지지 물질과 혼합하는 본 발명에 따른 안료 과립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료 과립은 효과 벽지, 텍스쳐화된(textured) 플라스터 시스템 및 직물 코팅물을 위한 산란 과립으로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안료 과립은 비분진성이고 매우 쉽게 유동가능하며, 이는 이들의 가공을 위한 장비 복잡성을 감소시킨다.
효과 안료 이외에, 본 발명에 따른 안료 과립의 필수적인 구성성분은 지지 물질이다. 적합한 지지 물질은 특히 높은 투명성을 가져야 한다. 투명한 지지체, 예컨대 가소성 입자, 유리 비이드 및 중공 유리 비이드는, 빛에 대한 이들의 투명성에 의해 표면에 적용되는 효과 안료의 광학 특성, 예를 들면 진주광택 또는 금속광택을 지지한다.
이러한 적용시, 빛에 대한 투명성을 위해 사용된 측정은 DIN 1349-1에 따른 투명도 ζ(=타우)=ΦnV×100(%)이다.
지지 물질은 개개 입자의 형태이고, 이는 바람직하게는 구형이다. 지지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50 ㎜, 특히 0.6 내지 10 ㎜,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의 입자 크기를 갖는다. 본 특허 출원에서의 입자 크기는 DIN 66165 파트 2에 따라 결정된다. 적합한 지지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입자, 고체 유리 비이드 및 중공 유리 비이드이다.
사용된 중합체 입자는 바람직하게는 가소성 물질(들), 예컨대 열가소성 물질 또는 열경화성 물질로 제조된다. 중합체 입자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 특히 폴리에틸렌(PE) 및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티렌(PS),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PVAC),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EAA),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또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터, 예를 들면 폴리락트산(폴리락티드 = (PLA))으로 구성된다.
특히 바람직한 지지 물질은 예를 들면 상품명 에스코어(Escor: 등록상표)하에 엑손 모빌(ExxonMobil)로부터 수득가능한 EAA(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또는 EVA(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예를 들면 아케마(ARKEMA)로부터의 에바탄(Evatane: 등록상표) 24-03, 또는 폴리비닐 아세테이트(PVAC), 예를 들면 워커 케미에(Wacker Chemie)로부터의 비나펄(Vinnaperl) 10 또는 비나펄 20으로 구성된다.
지지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구형이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50 ㎜, 특히 0.5 내지 10 ㎜,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의 입자 크기를 갖는다.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가소성 분말 또는 가소성 과립은 종종 1 내지 5 ㎜의 입자 크기를 갖는다. 이어서 이들 중합체 입자는 본 발명에 따른 안료 과립의 생산시 이들의 사용에 앞서 용융되고, 이어서 목적하는 입자 크기 및 형태로, 예를 들면 과립화, 예컨대 수중 과립화, 및 입자 크기의 조정, 예를 들어 천공된 원반에 의한 조정에 의해 조정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독일연방 공화국 윌리흐 소재의 기르켄스 로스토프 게엠베하(Geerkens Rohstoffe GmbH)에 의해 생산된 바와 같은, LD-PE(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HD-PE(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된 0.5 내지 1 ㎜의 구형 미세과립의 사용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안료 과립이 회전 몰딩(moulding) 공정에 사용된다면, 중합체 입자는 바람직하게는 구형이고 0.05 내지 5 ㎜, 특히 0.05 내지 2 ㎜,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 ㎜의 입자 크기를 갖는다. 유사하게 동일한 입자 크기 분포의 구조화되지 않은 입자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원에서 회전 몰딩 공정은 2축 회전 운동을 사용하여 회전 스피닝에 의해 가소성의 할로우웨어(hollowware)를 생산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사용된 지지 물질은 유사하게 고체 유리 비이드 또는 중공 유리 비이드일 수 있고, 이는 바람직하게는 입자 크기가 0.3 내지 50 ㎜, 특히 0.5 내지 10 ㎜,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이다. 이러한 유형의 유리 비이드는, 예를 들면 소비텍 게엠베하(Sovitec GmbH)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다.
유리 비이드는 적용 분야에 의존하여 내화학성이어야 한다. 소다-석회 유리(주요 구성성분: SiO2/CaO/Na2O)로부터 제조된 유리 비이드 또는 중공 유리 비이드, ECR 유리, C 유리, 붕규산염 유리 또는 석영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이한 지지 물질들의 혼합물, 예컨대,
- 고체 유리 비이드 + 중공 유리 비이드,
- 고체 유리 비이드 + 열가소성 물질,
- 고체 유리 비이드 + 열경화성 물질,
- 열가소성 물질 + 열경화성 물질 + 고체 유리 비이드,
- 중공 유리 비이드 + 열가소성 물질,
- 중공 유리 비이드 + 열경화성 물질,
- 열가소성 물질 + 열경화성 물질 + 중공 유리 비이드,
- 열가소성 물질 + 열경화성 물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모든 가능한 혼합 비율이 본원에서 사용될 수 있고; 지지 물질은 물리적 및 화학적 특성, 예컨대 적용 매질중의 접착력 및 내화학성이 심미적 효과 및 경제적 고려사항과 연관되는 방식으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 물질 혼합물은 2성분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는 서로 임의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1:10 또는 10:1이다.
추가로, 취입제가 첨가된 열가소성 입자는, 이들이 3차원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면, 지지 물질로 이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유형의 지지 물질에 기초한 안료 과립은, 특히 텍스쳐화된 벽지의 고안시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접착 촉진제는 물리적으로 건조된 촉진제가 바람직하다. 사용된 접착 촉진제는 수성 유화액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바람직하게는 EAA 유화액(에틸-아크릴산 공중합체)(이는 예를 들면 미켈만(Michelman)으로부터 "미켐 프라임(Michem Prime) 4983 R"이라는 명칭하에 상업적으로 시판됨), 및 아크릴레이트화 폴리프로필렌, 저염소화 폴리프로필렌 또는 비염소화 폴리프로필렌 기재 유화액 및 분산액이다. 이러한 유형의 유화액 및 분산액은, 예를 들면 트라마코(Tramaco)로부터 "트라필렌(Trapylen) 9310 W" 및 "트라필렌 6700 W"라는 명칭하에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다. 비염소화 폴리프로필렌 분산액
EAA 유화액 입자의 크기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0 ㎚이다.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EAA 유화액은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85부의 물 및 15 내지 35부의 EAA로 구성된다.
아크릴레이트화 폴리프로필렌 또는 저염소화 폴리프로필렌 유화액 입자 또는 분산액 입자의 크기는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5000 ㎚이다.
적합한 접착 촉진제는 추가로 왁스 유화액이고, 이는 예를 들면 카임 애디텍 서페이스 게엠베하(KEIM ADDITEC Surface GmbH)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다. 적합한 왁스 유화액은, 예를 들면 카임 애디텍 서페이스 게엠베하로부터의 LD-PE 왁스 유화액(LD-PE = 저밀도 폴리에틸렌), 예를 들면 울트라루브(Ultralube) V-06070480이다. 왁스 유화액은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0 ㎚ 크기를 갖는 유화액 입자를 포함한다. 적합한 왁스 유화액은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60℃, 특히 90 내지 140℃ 및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30℃의 용융 범위를 갖는다.
수성 분산액에 기초한 추가의 적합한 접착 촉진제는 아래에 언급되고, 예컨대, 다음과 같다:
1) 공중합체 또는 삼원중합체에 기초함:
- 비닐 아세테이트(VAC)/(에틸렌)[E] = VAC/E
- 비닐 아세테이트(VAC)/(에틸렌)[E]/비닐 클로라이드(VC) = VAC/E/VC
- 비닐 클로라이드(VC)/(에틸렌)[E]/아크릴레이트(AY) = VC/E/AY
- 비닐 클로라이드(VC)/(에틸렌)[E]/비닐 라우레이트(VL) = VC/E/VL
- 비닐 아세테이트(VAC)/(에틸렌)[E]/비닐 클로라이드(VC) = VAC/E/VC
2) 아크릴레이트 분산액에 기초함:
- 스티렌-아크릴레이트(S-AY)
- 아크릴레이트(AY)
- 자가-가교결합 아크릴레이트
-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이의 공중합체
- PMMA 및 이의 공중합체
3) 하기 조성물에 기초한 분산액:
- 베르새트산(versatic acid) 비닐 에스터(VeoVa)/아크릴레이트(AY) = VeoVa/AY
- 에틸렌 공중합체/아크릴레이트 = e-copol./AY
- 수성 폴리비닐부티랄 분산액 = PVB
- 수성 폴리비닐 프로피오네이트 분산액 = PVP
- 물로 희석가능한 우레아 수지
- 물로 희석가능한 폴리에스터
- 물로 희석가능한 알키드 수지
- 물로 희석가능한 송진 수지 및 송진 수지 에스터
- 물로 희석가능한 쉘락(shellac)
- 물로 희석가능한 폴리비닐 아세탈
- 물로 희석가능한 폴리비닐 에터
- 물로 희석가능한 대두 단백질
- 폴리비닐 알코올 = PVOH
4) 폴리우레탄 분산액
4a) 지방족 폴리우레탄
- 폴리에터(PE)/폴리우레탄(PU) = PE/PU
- 폴리에스터(PES)/폴리우레탄(PU) = PES/PU
- 폴리카보네이트(PC)/폴리우레탄(PU) = PC/PU
- 폴리에스터(PES)/폴리카보네이트(PC)/폴리우레탄(PU) = PES/PC/PU
4b) 지방족 오일 기재 폴리우레탄 하이브리드(hybrid)
- 피마자유(CO) 기재
- 피마자유 및 아마씨유(LO) 기재.
추가로 적합한 접착 촉진제는 유기 용매에 의해 희석될 수 있거나 이에 용해가능한 수지 및 중합체 기재 접착제이다. 적합한 원료 물질의 예는, 예를 들면 문헌[Lackrohstofftabellen, "Coating Raw Materials Tables", Vincentz-Verlag, 10th Edition, 2000 edition, pages 62-622]에 제공된다.
수지 및 중합체 기재 접착제의 가능한 예가 하기에 제공된다:
- 포화 폴리에스터
- 불포화 폴리에스터
- 에폭사이드
-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공중합체
- PMMA 및 PMMA 공중합체
- 폴리아미드
- 케톤 수지 및 알데하이드 수지
- 폴리스티렌
- 폴리우레탄(PU)
- 폴리우레탄(PU)/아크릴레이트(AY) = (PU/AY)
- 수분-경화성 폴리우레탄
- PVC
-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 폴리비닐 아세탈
- 폴리비닐 에터
- 알키드/멜라민
- 우레아 수지
- 폴리비닐부티랄 = PVB
- 폴리비닐 프로피오네이트 = PVP
- 우레아 수지
- 폴리에스터 수지
- 알키드 수지
- 송진 수지 및 송진 수지 에스터
- 쉘락.
접착 촉진제로서 사용될 수 있는 접착제는 고형화 기작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1. 중합 접착제, 예컨대,
- 시아노아크릴레이트(CY-AY)
- MMA 접착제(MMA =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 무산소(anaerobically) 경화 접착제
- 방사선 경화 접착제
2. 다중축합 접착제, 예컨대,
- 페놀-포름알데하이드 접착제
- 실리콘 접착제
- 실란-가교결합 중합체 접착제
- 폴리이미드 접착제
3. 다중부가 접착제, 예컨대,
- 에폭시 수지 접착제
- 폴리우레탄 접착제
4. 고온 용융 접착제, 예컨대,
- 수분 반응성 비결정질 폴리-알파-올레핀 고온 용융 접착제 = 1C APAO.
본 발명에 따른 안료 과립중 접착 촉진제의 비율은 안료 과립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0 중량%, 특히 0.1 내지 10 중량%,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0.15 내지 5 중량%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료 과립에서, 효과 안료, 지지 물질 및 접착 촉진제 및 임의의 첨가제는 서로간의 혼합물의 형태로 존재한다. 지지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유화액에 의해 효과 안료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하게 코팅되거나 둘러싸여진다. 플레이크 형태의 효과 안료에 의해 지지 물질이 완전히 둘러싸이고 "결합"되는 것이 매우 특히 바람직하다.
플레이크 형태의 효과 안료는 바람직하게는 진주광택 안료, 간섭 안료, 금속 효과 안료, 투명 층, 반투명 층 및/또는 불투명 층을 갖는 다층화된 안료, 고니오크로마틱(goniochromatic) 안료, 홀로그래픽(holographic) 안료, 코팅되거나 코팅되지 않은 BiOCl 안료 및/또는 액정 중합체(LCP) 안료이다.
본 발명에 따라 이용될 수 있는 진주광택 안료, 간섭 안료, 금속 효과 안료, 또는 투명 층, 반투명 층 및/또는 불투명 층을 갖는 다층화된 안료는, 특히 지지체에 기초하고, 여기서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플레이크 형태이다. 예를 들면, 플레이크 형태의 TiO2, 카올린, 활석, 합성(예를 들면 플루오로플로고파이트(fluorophlogopite)) 또는 천연 운모, 도핑되거나 도핑되지 않은 유리 플레이크, 금속 플레이크, 플레이크 형태의 SiO2, 플레이크 형태의 Al2O3 또는 플레이크 형태의 산화철이 적합하다. 금속 플레이크는 무엇 보다도 알루미늄, 티탄, 브론즈, 강 또는 은,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및/또는 티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금속 플레이크는 상응하는 처리에 의해 부동태화될 수 있다. 유리 플레이크는 당분야의 숙련가에게 공지된 모든 유형의 유리, 예를 들면 A 유리, E 유리, C 유리, ECR 유리, 재활용 유리, 창 유리, 붕규산염 유리, 듀란(Duran: 등록상표) 유리, 실험실 장비 유리 또는 광학 유리로 구성될 수 있다. 유리 플레이크의 굴절률은 바람직하게는 1.45 내지 1.80, 특히 1.50 내지 1.70이다. 유리 기판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C 유리, ECR 유리 또는 붕규산염 유리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효과 안료의 지지체는 금속 산화물, 금속 산화물 수화물, 금속 하급 산화물, 금속, 금속 플루오르화물, 금속 질화물, 금속 산질화물(oxynitride) 또는 이러한 물질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투명, 반투명 및/또는 불투명 층으로 코팅될 수 있다. 금속 산화물, 금속 산화물 수화물, 금속 하급 산화물, 금속, 금속 플루오르화물, 금속 질화물, 금속 산질화물 또는 이의 혼합물은 낮은 굴절률(굴절률 < 1.8) 또는 높은 굴절률(굴절률 ≥ 1.8)일 수 있다. 적합한 금속 산화물 및 금속 산화물 수화물은 당분야의 숙련가에게 공지된 모든 금속 산화물 또는 금속 산화물 수화물, 예컨대, 산화 알루미늄, 산화 알루미늄 수화물, 산화 규소, 산화 규소 수화물, 산화 철, 산화 주석, 산화 세륨, 산화 아연, 산화 지르코늄, 산화 크로뮴, 산화 티탄, 특히 이산화 티탄, 산화 티탄 수화물 및 이의 혼합물, 예컨대, 티탄 철광 또는 슈도브루카이트(pseudobrookite)이다. 이용될 수 있는 금속 하급 산화물은, 예를 들면 하급 산화 티탄이다. 적합한 금속은, 예를 들면, 크롬, 알루미늄, 니켈, 은, 금, 티탄, 구리 또는 합금이고, 적합한 금속 플루오르화물은, 예를 들면 플루오르화물 마그네슘이다. 이용될 수 있는 금속 질화물 또는 금속 산질화물은, 예를 들면 금속 티탄, 지르코늄 및/또는 탄탈륨의 질화물 또는 산질화물이다. 금속 산화물, 금속, 금속 플루오르화물 및/또는 금속 산화물 수화물 층 및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금속 산화물 및/또는 금속 산화물 수화물 층이 지지체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높은 굴절률 및 낮은 굴절률의 금속 산화물, 금속 산화물 수화물, 금속 또는 금속 플루오르화물 층을 포함하는 다층화된 구조가 존재할 수 있고, 여기서 높은 굴절률 및 낮은 굴절률의 층은 교대로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높은 굴절률 및 낮은 굴절률 층을 포함하는 층 패키지가 특히 바람직하고, 여기서 하나 이상의 이들 층 패키지가 지지체에 적용될 수 있다. 높은 굴절률 및 낮은 굴절률 층의 순서는 지지체를 다층화된 구조물내로 혼입하기 위해 지지체에 부합될 수 있다. 추가의 실시양태에서, 금속 산화물, 금속 산화물 수화물, 금속 하급 산화물, 금속, 금속 플루오르화물, 금속 질화물, 금속 산질화물 층이 색소와 혼합되거나 이로 도핑될 수 있다. 적합한 색소 또는 다른 원소는, 예를 들면 유기 또는 무기의 채색된 안료, 예컨대 채색된 금속 산화물, 예를 들면 마그네타이트(magnetite), 산화 크롬 또는 채색된 안료, 예컨대, 베를린 블루(Beriln Blue), 울트라마린(ultramarine), 비스무쓰 바나데이트, 테나드 블루(Thenard's Blue), 또는 다르게는 유기 채색된 안료, 예컨대, 인디고, 아조 안료, 프탈로시아닌 또는 카민 레드(Carmine Red), 또는 원소, 예컨대, 이트륨 또는 안티몬이다. 이들 층을 포함하는 효과 안료는 이들 전체 색조에 있어서 높은 색상 다양성을 나타내고, 많은 경우 간섭에 기인하여 색상(색상 플롭(flop))에서 각도-의존적 변화를 나타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지지체 위의 외부 층은 높은 굴절률의 금속 산화물이다. 이러한 외부 층은 추가로 상기 언급된 층 패키지 위에 존재할 수 있거나, 높은 굴절률 지지체의 경우, 층 패키지의 일부이고, 예를 들면 TiO2, 하급 산화 티탄, Fe2O3, Fe3O4, SnO2, ZnO, ZrO2, Ce2O3, CoO, Co3O4, V2O5, Cr2O3 및/또는 이의 혼합물, 예컨대, 티탄 철광 또는 슈도브루카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TiO2가 특히 바람직하고, 추가로 Fe2O3, 및 TiO2 및 Fe2O3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지지체 플레이크가 TiO2로 코팅된다면, TiO2는 바람직하게는 금홍석 변형물로, 추가로 예추석 변형물로 존재한다.
특히 바람직한 효과 안료는 하기 구조를 갖는다:
기판 플레이크 + (SiO2) + TiO2(금홍석)
기판 플레이크 + (SiO2) + Fe2O3
기판 플레이크 + (SiO2) + Fe3O4
기판 플레이크 + (SiO2) + SiO2 + TiO2(금홍석)
기판 플레이크 + (SiO2) + TiO2(금홍석) + SiO2 + TiO2(금홍석)
기판 플레이크 + (SiO2) + TiO2(예추석) + SiO2 + TiO2(예추석)
기판 플레이크 + (SiO2) + TiO2/Fe2O3 + SiO2 + TiO2 + TiO2/Fe2O3
기판 플레이크 + (SiO2) + TiO2/Fe2O3 + SiO2 + TiO2/Fe2O3.
SiO2 층은 선택가능하게는 기판 플레이크에 보호 층으로서 적용될 수 있다. 기판 플레이크가 유리 플레이크라면, 습식 화학 코팅 동안에 유출에 대비해 유리 플레이크를 보호하기 위해 SiO2 층을 적용하는 것이 종종 권고된다.
본 특허 출원에서, "높은 굴절률"은 ≥ 1.8의 굴절률을 의미하고, "낮은 굴절률"은 < 1.8의 굴절률을 의미한다.
금속 산화물, 금속 산화물 수화물, 금속 하급 산화물, 금속, 금속 플루오르화물, 금속 질화물, 금속 산질화물 층 또는 이의 혼합물의 두께는 대체로 3 내지 300 nm이고, 금속 산화물, 금속 산화물 수화물, 금속 하급 산화물, 금속 플루오르화물, 금속 질화물, 금속 산질화물 층 또는 이의 혼합물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00 nm이다. 금속 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4 내지 50 nm이다.
지지체의 크기, 및 이에 따라 효과 안료의 크기는 그 자체로 중요하지 않다. 플레이크 형태의 지지체 및/또는 하나 이상의 투명 또는 반투명 금속 산화물, 금속 또는 금속 플루오르화물 층으로 코팅된 플레이크 형태의 지지체는 일반적으로 0.05 내지 5 ㎛, 특히 0.1 내지 4.5 ㎛의 두께를 갖는다. 길이 및 폭 치수는 대체적으로 1 내지 250 ㎛,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0 ㎛, 특히는 2 내지 100 ㎛이다.
매우 특히 바람직한 효과 안료는 하기 층 구조를 갖는다:
운모 플레이크 + TiO2
운모 플레이크 + TiO2 + Fe2O3
운모 플레이크 + TiO2/Fe2O3
운모 플레이크 + Fe2O3
운모 플레이크 + Fe3O4
운모 플레이크 + 티탄 산질화물
운모 플레이크 + TiO2 + SiO2 + TiO2
운모 플레이크 + TiO2/Fe2O3
운모 플레이크 + TiO2/Fe2O3 + SiO2 + TiO2
운모 플레이크 + TiO2/Fe2O3 + SiO2 + TiO2/Fe2O3
운모 플레이크 + TiO2/Fe2O3 + SiO2 + TiO2 + TiO2/Fe2O3
운모 플레이크 + TiO2 + SiO2 + TiO2/Fe2O3
운모 플레이크 + TiFe2O5
Al2O3 플레이크 + TiO2
Al2O3 플레이크 + Fe2O3
Al2O3 플레이크 + 티탄 산질화물
SiO2 플레이크 + TiO2
SiO2 플레이크 + Fe2O3
SiO2 플레이크 + 티탄 산질화물
유리 플레이크 + TiO2
유리 플레이크 + Fe2O3
유리 플레이크 + TiO2 + Fe2O3
유리 플레이크 + SiO2 + TiO2
유리 플레이크 + SiO2 + Fe2O3
유리 플레이크 + SiO2 + TiO2 + Fe2O3
유리 플레이크 + SiO2 + TiO2 + SiO2
유리 플레이크 + TiO2 + SiO2 + TiO2
유리 플레이크 + TiO2/Fe2O3
유리 플레이크 + TiO2/Fe2O3 + SiO2 + TiO2
유리 플레이크 + TiO2/Fe2O3 + SiO2 + TiO2/Fe2O3
유리 플레이크 + TiO2/Fe2O3 + SiO2 + TiO2 + TiO2/Fe2O3
유리 플레이크 + TiO2 + SiO2 + TiO2/Fe2O3
유리 플레이크 + TiFe2O5
유리 플레이크 + SiO2 + TiO2/Fe2O3
유리 플레이크 + SiO2 + TiO2/Fe2O3 + SiO2 + TiO2
유리 플레이크 + SiO2 + TiO2/Fe2O3 + SiO2 + TiO2/Fe2O3
유리 플레이크 + SiO2 + TiO2/Fe2O3 + SiO2 + TiO2 + TiO2/Fe2O3
유리 플레이크 + SiO2 + TiO2 + SiO2 + TiO2/Fe2O3
유리 플레이크 + SiO2 + TiFe2O5
Fe2O3 플레이크 + TiO2
Fe2O3 플레이크 + Fe2O3
Fe2O3 플레이크 + 티탄 산질화물
금속 플레이크(선택가능하게는 부동태화됨) + TiO2
금속 플레이크(선택가능하게는 부동태화됨) + Fe2O3.
TiO2/Fe2O3은 TiO2 및 Fe2O3이 혼합물로서 및/또는 슈도브루카이트의 형태인 혼합된 산화물로서 층에 존재함을 의미한다. 슈도브루카이트 또는 TiO2/Fe2O3 혼합된 층은 선택가능하게는 또한 Al2O3으로 도핑될 수 있다.
적합한 효과 안료는 예를 들면 바스프 코포레이션(BASF Corp.)으로부터, 예를 들면 상품명 파이어미스트(Firemist: 등록상표), 라이트핏(Rightfit: 등록상표), 마그나펄(Magnapearl: 등록상표)하에, 및 메르크 카게아아(Merck KGaA)로부터 이리오딘(Iriodin: 등록상표), 미라발(Miraval: 등록상표), 시랄릭(Xirallic: 등록상표) 및 컬러스트림(Colorstream: 등록상표)하에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다.
본 특허 출원에서, 효과 안료는 특허청구범위 제2항에 열거된 바와 같은 안료를 의미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추가로 안료의 빛, 물 및 내후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적용 영역에 따라서 효과 안료를 후-코팅 또는 후-처리하는 것이 종종 권고된다. 적합한 후-코팅 또는 후-처리는 예를 들면 독일 특허 제DE 22 15 191호, 독일 특허출원 제DE-A 31 51 354호, 제DE-A 32 35 017호 또는 제DE-A 33 34 598호에 기재된 공정이다. 이러한 후-코팅은 추가로 안료의 화학적 안정성을 증가시키거나, 안료의 취급, 특히 다양한 매질내로의 혼입을 단순화시킨다. 습윤성, 분산성, 및/또는 적용 매질과의 융화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Al2O3 또는 ZrO2 또는 이의 혼합물 또는 혼합된 상을 포함하는 기능성 코팅물이 안료 표면에 적용될 수 있다. 추가로, 유기 또는 조합된 유기/무기 후-코팅은, 예를 들면 유럽 특허 제EP 0090259호, 제EP 0 634 459호, 국제 특허출원 공개 제WO 99/57204호, 제WO 96/32446호, 제WO 99/57204호, 미국 특허 제5,759,255호, 제5,571,851호, 국제 특허출원 공개 제WO 01/92425호 또는 문헌[J.J. Ponjee, Philips Technical Review, Vol. 44, No. 3, 81 ff.] 및 [P. H. Harding J.C. Berg, J. Adhesion Sci. Technol. Vol. 11 No. 4, pp. 471-49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실란에 의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안료 과립중 플레이크 형태의 효과 안료의 중량 비율은 안료 과립을 기준으로 일반적으로 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0 중량%,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중량%이다. 최적 비율은 이용된 효과 안료의 입자 크기, 효과 안료의 형태 인자 및 안료 구조의 유형에 본질적으로 의존하여 당분야의 숙련가에 의해 쉽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특히 바람직한 안료 과립은 전체적으로 안료 과립 조제법에 기초하여 0.1 내지 50 중량%의 하나 이상의 효과 안료, 50 내지 99.5 중량%의 지지 물질, 0.05 내지 20 중량%의 접착 촉진제, 및 0.05 내지 10 중량%의 첨가제를 포함하고, 여기서 안료 과립중 상기 성분들의 총 비율은 ≤ 100 중량%이다.
경제적인 이유로, 가능한 낮은 비율(< 10중량%)의 비교적 고가의 효과 안료 및 높은 비율(> 50 중량%)의 저렴한 지지 물질을 포함하는 효과 안료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특히 효과 벽지로의 과립의 산란 적용의 경우 특히 흥미롭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안료 과립의 목적하는 특성, 예컨대, 비분진성 및/또는 개선된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해 충분한 지지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중합체 입자는 효과 안료에 의해 둘러싸여야 할 뿐만 아니라, 또한 쉽게 유동가능한 거친 "분말"을 형성하도록 서로 결합되어야 한다.
추가의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안료 과립은 도료, 코팅물, 분말 코팅물, 가소성 물질의 영역으로부터의 적용 매질에 사용하기에 유용하므로 추가의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첨가제 및/또는 보조제는 윤활제, 이형제, 안정화제, 대전방지제, 방염가공제, 산화방지제, 채색제, 예컨대, 염료, 무기 채색된 안료 및/또는 유기 채색된 안료, 가요성화제, 가소화제, 예컨대, 다이아이소노닐 프탈레이트, 접착 촉진제, 취입제, 산화방지제, UV 흡수제, 무기 충전제 및/또는 계면활성제, 유기 중합체-융화성 용매 및/또는 계면활성제, 페놀 유도체, 광유일 수 있다. 이용될 수 있는 첨가제 및 보조제에 대한 개요는 문헌[Saechtling, Kunststoff Taschenbuch, "Plastics Pocketbook" 27th Edition, Carl Hanser Verlag]에 제공되거나, 울프(R. Wolf)의 문헌["Plastics, Additives" in 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Internet edition, 7th Edition, 2003]에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안료 과립은 습윤제, 예를 들면 실리콘, 실란 및/또는 플루오로-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안료 과립은 비교적 쉽게 생산될 수 있다. 언급될 수 있는 가능한 생산 공정은 개별 성분들-효과 안료(들), 지지 물질, 접착 촉진제-을 온화하게 혼합하고, 후속적으로 회전과립화하는 것이다. 이 경우, 혼합되는 성분들은 혼합기를 사용하여 혼합되고, 여기서 지지 물질, 접착 촉진제 및 선택가능하게는 첨가제 및 효과 안료 또는 효과 안료의 혼합물 및 선택가능하게는 추가의 유기 및/또는 무기 안료가 혼합된다. 다음 단계에서, 과립은 수평으로 회전하는 펠릿화 팬(pelletising pan) 상에서 의도된 입자 크기로 둥글게 된다. 최종적으로, 조질의 과립을 온화하게 난류층(turbulent bed), 예를 들면 유동화층 또는 난류층 건조기에서 건조시킨다. 그러나, 난류층 건조기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효과 안료, 접착 촉진제 및 지지 물질의 첨가 순서는 가변적이고, 또한, 예를 들면 효과 안료가 초기에 도입되고, 후속적으로 접착 촉진제, 지지 물질 및 선택가능하게는 첨가제와 혼합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절차가 특히 바람직하다.
유사하게, 효과 안료, 지지 물질 및 선택가능하게는 첨가제를 초기에 도입하고 후속적으로 접착 촉진제를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플레이크 형태의 효과 안료, 지지 물질(들), 적어도 하나의 접착 촉진제 및 선택가능하게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동시에 또는 서로 연속적으로 혼합한다는 점에서 구별되는 본 발명에 따른 안료 과립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료 과립은 이들이 내마모성이고 치수 안정성이며 균일한 색상 효과를 갖는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이러한 적용시, "과립"이라는 용어는 당분야의 숙련가라면 인식가능한 모든 고체 입자 형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간주되고, 예컨대, 펠릿, 브리켓(briquette), 펄렛(pearlet), 소시지(sausage) 또는 정제화된(tabletted) 형태이다. 과립의 입자 크기는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50 ㎜, 특히 0.1 내지 20 ㎜의 범위이고,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6 ㎜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과립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0 중량%의 효과 안료, 0.05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중량%의 접착 촉진제, 50 내지 99.5 중량%,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5 중량%의 지지 물질 및 선택가능하게는 안료 과립을 기준으로 10 중량% 이하의 첨가제, 충전제, 염료 및/또는 채색된 안료(이는 가소성 물질 및/또는 코팅물에서 유용함)를 포함하고, 여기서 모든 성분들의 총 비율은 ≤ 100 중량%이다.
코팅 공정은 마감처리된 과립중에 사용되는 플레이크 형태의 효과 안료(또는 혼합물)의 구조물을 생산할 수 있는데, 이는 본 발명에서 주지된 낮은 안료 적재가, 선행 기술로부터의 과립이 > 50%의 효과 안료 함량을 갖고 달리 생산되는 것과 유사한 효과를 달성하는 방식으로 유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안료 과립은, 예를 들면 PVC 플라스티졸(plastisol)을 위해, 수성 및 용매 포함 PU 접착제(PU = 폴리우레탄)중에서, 및 수성 및 용매 포함 아크릴레이트 접착제중에서 산란 과립으로서 특히 적합하고, 여기서 이들은 예를 들면 페이퍼, 부직물, PVC 발포체(foam) 또는 직물로부터 제조된 벽지에 단단히 결합될 수 있다.
벽지 적용을 위해서, 접착제 하도제를 초기에 도입할 수 있고, 이 위에서 효과 과립은 산란된다. 균일한 적용을 위해, 계량 장치가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효과 과립은 목적하는 입자 직경에 따라 선택된 체를 통해 적용된다.
벽지 산업에서 하도제로서 일반적인 PVC 플라스티졸, 예컨대, 폴코졸(Folcosol) K-RSD 5048 투명 또는 폴코졸 S-RSD 2067/9 평활 발포체(제조업체: 독일 뮌헨 소재의 폴만(Folmann))로 본 발명에 따른 안료 과립을 일부 영역 또는 전체 영역에 적용하면 장식용 벽지가 생산된다.
본 발명은 또한 도료, 코팅물, 인쇄 잉크, 가소성 물질에서, 및 예를 들면 벽지용 산란 과립으로서의 본 발명에 따른 안료 과립의 용도, 및 수력 경화 효과 플라스터 시스템에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추가로 본 발명은 가소성 물질 적용시, 특히 회전 몰딩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안료 과립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접착 촉진제를 통해 지지 물질에 안료를 단단히 고정하는 것은 중합체 매트릭스중의 효과 안료가 제조 공정중 제품(workpiece)의 용융 공정 및 회전 동안(이는 제조 공정중 제품의 복잡성에 따라 20 내지 40분 걸릴 수 있음) 제조 공정중 제품(=가소성 물질)의 표면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제한없이 보다 상세히 설명하려는 것이다.
실시예 1: 지지 물질: PVAC 입자
본 발명에 따른 안료 과립을 생산하기 위해, 균질한 혼합을 확보해야 한다. 혼합물을 아이리치(Eirich) R02 혼합기로 제조한다.
1000 g의 비나펄 10(워커-케미에로부터의 0.5 내지 1 ㎜의 입자 크기를 갖는 PVAC 입자) 및 60 g의 이리오딘(등록상표) 305(메르크로부터의 다층화된 안료; TiO2, Fe2O3 및 SiO2 코팅된 운모 플레이크)를 초기에 혼합 용기에 도입하고 혼합한다(팬/유동화기). 이어서 55 g의 미켐 프라임 4990 R(미켈만 인코포레이티드로부터의 35% EAA 유화액)을 천천히 첨가한다. 혼합물을 후속적으로 균질하게 혼합한다(팬/유동화기).
상기 방식으로 제조된 축축한 안료/중합체/가소성 물질 혼합물을 아이리치 TR 04 펠릿화 팬에서 펠릿화하고, 여기서 크기 분포가 또한 달성된다.
이를 위하여, 200 g의 신선하게 생산된 과립을 팬 위에 위치시키고, 타깃 입자 크기를 200 내지 350 rpm 및 30 내지 40°의 경사각에서 달성한다. 타깃 입자 크기가 달성될 경우, 물로 적셔진 안료/중합체/가소성 물질 배치의 총량의 도입을 일부분씩 시작한다.
타깃 크기는 특히 이용된 가소성 과립의 치수(㎜ 크기)에 의해 조절되고, 미리 특정화된 실험에서 2 ± 0.5 ㎜로 성장하도록 의도된다.
50 내지 100 g의 부분을 짧은 시간내에 여기에 도입한다(1 kg, 약 10 내지 15분). 비교적 큰 응집물이 펠릿화 동안 형성되는 "물질-유동 신장부(material-flow kidney)"의 중심에 축적된다. 이들을 작은 삽으로 떠서, 손으로 분쇄하여 재첨가한다.
축축한 과립화된 혼합물을 40 내지 60℃에서 10 내지 60분 동안 유동화층 건조기에서 건조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생산된 과립을 3.55 ㎜ 폭의 메쉬를 갖는 체를 통해 보호적으로 분류한다.
수득된 안료 과립은 내마모성이고 치수 안정성이며, 생산된 진주 효과의 예외적 순도를 갖는다.
실시예 2: 지지 물질: 고체 유리 비이드
본 발명에 따른 안료 과립을 생산하기 위해, 균질한 혼합을 확보해야 한다. 혼합물을 아이리치 R02 혼합기로 제조한다.
985 g의 비아룩스(Vialux) SB 20(소비텍 게엠베하로부터의 0.6 내지 1.4 ㎜의 입자 크기를 갖는 고체 유리 비이드) 및 10.0 g의 이리오딘(등록상표) 305를 초기에 혼합 용기에 도입하고 혼합한다(팬/유동화기). 이어서, 5 g의 미켐 프라임 4983 R(미켈만 인코포레이티드로부터의 25% EAA 유화액)을 첨가한다. 혼합물을 후속적으로 균질하게 혼합한다(팬/유동화기).
상기 방식으로 제조된 축축한 안료/중합체/유리 비이드 혼합물을 아이리치 TR 04 펠릿화 팬에서 펠릿화하고, 여기서 크기 분포가 또한 달성된다. 이를 위하여, 200 g의 신선하게 생산된 과립을 팬 위에 위치시키고, 타깃 입자 크기를 200 내지 350 rpm 및 30 내지 40°의 경사각에서 달성한다. 타깃 입자 크기가 달성될 경우, 물로 적셔진 효과 안료/중합체/가소성 물질 배치의 총량의 도입을 일부분씩 시작한다.
타깃 크기는 특히 이용된 유리 비이드의 치수(㎜ 크기)에 의해 조절되고, 미리 특정화된 실험에서 2 ± 0.5 ㎜로 성장하도록 의도된다. 50 내지 100 g의 부분을 짧은 시간내에 여기에 도입한다(1 kg, 약 10 내지 15분). 비교적 큰 응집물이 펠릿화 동안 형성되는 "물질-유동 신장부"의 중심에 축적된다. 이들을 작은 삽으로 떠서, 손으로 분쇄하여 재첨가한다.
축축한 과립화된 혼합물을 40 내지 60℃에서 10 내지 60분 동안 유동화층 건조기에서 건조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생산된 과립을 3.55 ㎜ 폭의 메쉬를 갖는 체를 통해 보호적으로 분류한다.
수득된 안료 과립은 내마모성이고 치수 안정성이며, 생산된 진주 효과의 예외적 순도를 갖는다.
실시예 3: 알칼리 저항성 코팅물 - 지지 물질: PE 입자
본 발명에 따른 안료 과립을 생산하기 위해, 균질한 혼합을 확보해야 한다. 혼합물을 아이리치 R02 혼합기로 제조한다.
3 내지 5 ㎜의 입자 크기를 갖는 1000 g의 에스코렌(Escorene) LL6101 XR(엑손모빌(ExxonMobil)로부터의 LLD-PE 가소성 물질(LLD: 선형 저밀도)) 및 53.0 g의 이리오딘(등록상표) 305를 초기에 혼합 용기에 도입하고 혼합한다(팬/유동화기). 이어서 36 g의 트라필렌(Trapylen) 6700 W(트라마코(Tramaco)로부터의 30% 염소화 PP 분산액)를 천천히 첨가한다. 혼합물을 후속적으로 균질하게 혼합한다(팬/유동화기).
상기 방식으로 제조된 축축한 안료/중합체/가소성 물질 혼합물을 아이리치 TR 04 펠릿화 팬에서 펠릿화하고, 여기서 크기 분포가 또한 달성된다.
이를 위하여, 200 g의 신선하게 생산된 과립을 팬 위에 위치시키고, 타깃 입자 크기를 200 내지 350 rpm 및 30 내지 40°의 경사각에서 달성한다. 타깃 입자 크기가 달성될 경우, 물로 적셔진 효과 안료/중합체/가소성 물질 배치의 총량의 도입을 일부분씩 시작한다. 타깃 크기는 특히 이용된 가소성 과립의 치수(㎜ 크기)에 의해 조절되고, 미리 특정화된 실험에서 5.5 ± 0.5 ㎜로 성장하도록 의도된다. 50 내지 100 g의 부분을 짧은 시간내에 여기에 도입한다(1 kg, 약 10 내지 15분). 비교적 큰 응집물이 펠릿화 동안 형성되는 "물질-유동 신장부"의 중심에 축적된다. 이들을 작은 삽으로 떠서, 손으로 분쇄하여 재첨가한다.
축축한 과립화된 혼합물을 40 내지 60℃에서 10 내지 60분 동안 유동화층 건조기에서 건조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생산된 과립을 6.5 ㎜ 폭의 메쉬를 갖는 체를 통해 보호적으로 분류한다.
수득된 안료 과립은 내마모성이고 치수 안정성이며, 생산된 진주 효과의 예외적 순도를 갖는다. 생산된 효과 과립은 추가로 DIN EN ISO 175(마감처리부 시험)에 따라 알칼리 저항성을 갖는다.
실시예 4: 지지 물질: PE 입자
본 발명에 따른 안료 과립을 생산하기 위해, 균질한 혼합을 확보해야 한다. 혼합물을 아이리치 R02 혼합기로 제조한다.
3 내지 5 ㎜의 입자 크기를 갖는 917 g의 에스코렌 LL6101 XR(엑손모빌로부터의 LLD-PE 가소성 물질(LLD: 선형 저밀도)) 및 55.0 g의 이리오딘(등록상표) 305를 초기에 혼합 용기에 도입하고, 세팅 1(팬/유동화기)에서 2분 동안 혼합한다. 이어서 28 g의 미켐 프라임 4990 R(미켈만 인코포레이티드로부터의 35% EAA 유화액)을 천천히 첨가한다. 혼합물을 후속적으로 균질하게 혼합한다(팬/유동화기).
상기 방식으로 제조된 축축한 안료/중합체/가소성 물질 혼합물을 아이리치 TR 04 펠릿화 팬에서 펠릿화하고, 여기서 크기 분포가 또한 달성된다. 이를 위하여, 200 g의 신선하게 생산된 과립을 팬 위에 위치시키고, 타깃 입자 크기를 200 내지 350 rpm 및 30 내지 40°의 경사각에서 달성한다. 타깃 입자 크기가 달성될 경우, 물로 적셔진 안료/중합체/가소성 물질 배치의 총량의 도입을 일부분씩 시작한다.
타깃 크기는 특히 이용된 가소성 과립의 치수(㎜ 크기)에 의해 조절되고, 미리 특정화된 실험에서 5.5 ± 0.5 ㎜로 성장하도록 의도된다. 50 내지 100 g의 부분을 짧은 시간내에 여기에 도입한다(1 kg, 약 10 내지 15분). 비교적 큰 응집물이 펠릿화 동안 형성되는 "물질-유동 신장부"의 중심에 축적된다. 이들을 작은 삽으로 떠서, 손으로 분쇄하여 재첨가한다.
축축한 과립화된 혼합물을 40 내지 60℃에서 10 내지 60분 동안 유동화층 건조기에서 건조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생산된 과립을 6.5 ㎜ 폭의 메쉬를 갖는 체를 통해 보호적으로 분류한다.
수득된 안료 과립은 내마모성이고 치수 안정성이며, 생산된 진주 효과의 예외적 순도를 갖는다.
실시예 5: 지지 물질: 고체 유리 비이드
본 발명에 따른 안료 과립을 생산하기 위해, 균질한 혼합을 확보해야 한다. 혼합물을 아이리치 R02 혼합기로 제조한다.
985 g의 비아룩스 SB 20(소비텍 게엠베하로부터의 0.6 내지 1.4 ㎜의 입자 크기를 갖는 고체 유리 비이드) 및 10.0 g의 컬러스트림(등록상표) 아크틱 파이어(Arctic Fire)(TiO2 코팅된 SiO2 플레이크; 메르크 카게아로부터)를 초기에 혼합 용기에 도입하고 혼합한다(팬/유동화기). 이어서 5 g의 미켐 프라임 4983 R(미켈만 인코포레이티드로부터의 25% EAA 유화액)을 첨가한다. 혼합물을 후속적으로 균질하게 혼합한다(팬/유동화기).
상기 방식으로 제조된 축축한 안료/중합체/유리 비이드 혼합물을 아이리치 TR 04 펠릿화 팬에서 펠릿화하고, 여기서 크기 분포가 또한 달성된다. 이를 위하여, 200 g의 신선하게 생산된 과립을 팬 위에 위치시키고, 타깃 입자 크기를 200 내지 350 rpm 및 30 내지 40°의 경사각에서 달성한다. 타깃 입자 크기가 달성될 경우, 물로 적셔진 효과 안료/중합체/가소성 물질 배치의 총량의 도입을 일부분씩 시작한다.
타깃 크기는 특히 이용된 유리 비이드의 치수(㎜ 크기)에 의해 조절되고, 미리 특정화된 실험에서 2 ± 0.5 ㎜로 성장하도록 의도된다. 50 내지 100 g의 부분을 짧은 시간내에 여기에 도입한다(1 kg, 약 10 내지 15분). 비교적 큰 응집물이 펠릿화 동안 형성되는 "물질-유동 신장부"의 중심에 축적된다. 이들을 작은 삽으로 떠서, 손으로 분쇄하여 재첨가한다.
축축한 과립화된 혼합물을 40 내지 60℃에서 10 내지 60분 동안 유동화층 건조기에서 건조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생산된 과립을 3.55 ㎜ 폭의 메쉬를 갖는 체를 통해 보호적으로 분류한다.
수득된 안료 과립은 내마모성이고 치수 안정성이며, 생산된 진주 효과의 예외적 순도를 갖는다.
실시예 6: 지지 물질: PE 입자
본 발명에 따른 안료 과립을 생산하기 위해, 균질한 혼합을 확보해야 한다. 혼합물을 아이리치 R02 혼합기로 제조한다.
3 내지 5 ㎜의 입자 크기를 갖는 917 g의 에스코렌 LL6101 XR(엑손모빌로부터의 LLD-PE 가소성 물질(LLD: 선형 저밀도)) 및 55.0 g의 이리오딘(등록상표) 103(TiO2 코팅된 운모 플레이크; 메르크 카게아아로부터)을 초기에 혼합 용기에 도입하고 세팅 1(팬/유동화기)에서 2분 동안 혼합한다. 이어서 28 g의 미켐 프라임 4990 R(미켈만 인코포레이티드로부터의 35% EAA 유화액)을 천천히 첨가한다. 혼합물을 후속적으로 균질하게 혼합한다(팬/유동화기).
상기 방식으로 제조된 축축한 안료/중합체/가소성 물질 혼합물을 아이리치 TR 04 펠릿화 팬에서 펠릿화하고, 여기서 크기 분포가 또한 달성된다. 이를 위하여, 200 g의 신선하게 생산된 과립을 팬 위에 위치시키고, 타깃 입자 크기를 200 내지 350 rpm 및 30 내지 40°의 경사각에서 달성한다. 타깃 입자 크기가 달성될 경우, 물로 적셔진 안료/중합체/가소성 물질 배치의 총량의 도입을 일부분씩 시작한다.
타깃 크기는 특히 이용된 가소성 과립의 치수(㎜ 크기)에 의해 조절되고, 미리 특정화된 실험에서 5.5 ± 0.5 ㎜로 성장하도록 의도된다. 50 내지 100 g의 부분을 짧은 시간내에 여기에 도입한다(1 kg, 약 10 내지 15분). 비교적 큰 응집물이 펠릿화 동안 형성되는 "물질-유동 신장부"의 중심에 축적된다. 이들을 작은 삽으로 떠서, 손으로 분쇄하여 재첨가한다.
축축한 과립화된 혼합물을 40 내지 60℃에서 10 내지 60분 동안 유동화층 건조기에서 건조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생산된 과립을 6.5 ㎜ 폭의 메쉬를 갖는 체를 통해 보호적으로 분류한다.
수득된 안료 과립은 내마모성이고 치수 안정성이며, 생산된 진주 효과의 예외적 순도를 갖는다.
실시예 7: 회전몰딩 공정에서 사용하기 위한 안료 과립 - 지지 물질: PE 입자
지지 가소성 분말 보레센(Borecene) LLD RM 7243(보레알리스(Borealis)로부터의 LLD-PE 가소성 분말)을 수중 과립화에서 천공된 원반에 의해 0.6 내지 1 ㎜의 입자 직경으로 미세과립화한 후, 실험을 시작한다. 가소성 물질 지지체 표면 상의 효과 안료에 의해 후속적인 코팅물에 대해 균일한 지지체 표면을 생성하도록 측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료 과립을 생산하기 위해, 균질한 혼합을 확보해야 한다. 혼합물을 아이리치 R02 혼합기로 제조한다.
0.5 내지 1 ㎜의 입자 크기를 갖는 901 g의 보레센 LLD RM 7243 미세과립(보레알리스로부터의 LLD-PE 가소성 물질(LLD: 선형 저밀도)) 및 28.50 g의 이리오딘(등록상표) 305(메르크로부터의 진주광택 안료)를 초기에 혼합 용기에 도입하고 혼합한다(팬/유동화기). 이어서 71.5 g의 울트라라우브(Ultralaube) XP-06070480(카임-애디텍으로부터의 42% LDPE 유화액)을 천천히 첨가한다. 혼합물을 후속적으로 균질하게 혼합한다(팬/유동화기). 상기 방식으로 제조된 축축한 안료/중합체/가소성 물질 혼합물을 아이리치 TR 04 펠릿화 팬에서 펠릿화하고, 여기서 크기 분포가 또한 달성된다. 이를 위하여, 200 g의 신선하게 생산된 과립을 팬 위에 위치시키고, 타깃 입자 크기를 200 내지 350 rpm 및 30 내지 40°의 경사각에서 달성한다. 타깃 입자 크기가 달성될 경우, 물로 적셔진 안료/중합체/가소성 물질 배치의 총량의 도입을 일부분씩 시작한다. 타깃 크기는 특히 이용된 가소성 과립의 치수(㎜ 크기)에 의해 조절되고, 미리 특정화된 실험에서 1.5 내지 2 ㎜로 성장하도록 의도된다.
50 내지 100 g의 부분을 짧은 시간내에 여기에 도입한다(1 kg, 약 10 내지 15분). 비교적 큰 응집물이 펠릿화 동안 형성되는 "물질-유동 신장부"의 중심에 축적된다. 이들을 작은 삽으로 떠서, 손으로 분쇄하여 재첨가한다.
축축한 과립화된 혼합물을 40 내지 60℃에서 10 내지 60분 동안 유동화층 건조기에서 건조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생산된 과립을 2.5 ㎜ 폭의 메쉬를 갖는 체를 통해 보호적으로 분류한다.
수득된 안료 과립은 내마모성이고 치수 안정성이며, 생산된 진주 효과의 예외적 순도를 갖는다.
실시예 8: 벽지로의 산란 적용
예를 들면, 상기 언급된 플라스티졸-폴코졸 RSD 2067/9 평활 발포체를 편평한 층의 스크린 인쇄에 의해 27/120 스크린(독일 에르츠하우센 소재의 허슬러(Hausler)에 의해 시판됨, 개구 메쉬 폭: 250 ㎛; 필라멘트 두께 120 ㎛)을 사용하여 독일 하이데나우 소재의 드레스덴 파피에(Dresden Papier)로부터의 펨페라(Tempera: 등록상표) VS085xENX 코팅된 벽지 부직물에 적용한다(단위 면적당 중량: 85 g/㎡).
후속적으로 실시예 1로부터의 본 발명에 따른 안료 과립을 상기와 같이 적용된 플라스티졸 폴코졸 RSD 2067/9 평활 발포체 표면의 일부 또는 전체 위로 산란시키고, 이를 최종적으로 200℃에서 1분 동안 건조 캐비넷(헤라우스(Heraeus); 모델 5050EK(공칭 온도: 300℃))에서 순환된 공기 방법으로 건조시킨다. 이 공정 동안, 플라스티졸 폴코졸 S-RSD 2067/9 평활 발포체는 부드럽게 팽창하여 발포체를 형성하고 본 발명에 따른 안료 과립을 드레스덴 파피에로부터의 템페라(등록상표) VS085xENX 벽지 부직물(단위 면적당 중량: 85 g/㎡)에 고착시킨다.
후속적으로, 접착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안료 과립을 건조 캐비넷에서 200℃하에 평활화, 구조화 또는 엠보싱 롤을 이용하여 플라스티졸을 1분 동안 건조/팽창시킨 후, 스틸-가소성 물질 PVC 플라스티졸 접착 매트릭스에 0.1 내지 5 Pa의 압력하에 고착시킨다.
200℃의 플라스티졸의 건조/팽창 온도에서, 본 발명에 따른 과립의 지지 물질(이는 ≤ 200℃의 융점을 가짐)은, 지지 물질 상의 효과 안료의 접착력이 감소하지 않으면서 가소성이 된다. 이와 같이, 효과 과립 페이퍼의 표면 또는 부직물 표면 위에 요철형(relief-like) 구조물을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엠보싱의 추가의 이점은 기계적 저항성, 예컨대 생산된 효과 과립 표면의 내마모성의 증가로 나타난다.

Claims (18)

  1. 접착 촉진제에 의해 하나 이상의 플레이크(flake) 형태의 효과(effect) 안료로 코팅된, 구형의 지지 물질에 기초한 안료 과립으로서,
    하나 이상의 플레이크 형태의 효과 안료는 투명 층, 반투명 층, 불투명 층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층으로 코팅된 플레이크 형태의 지지체를 갖고,
    지지 물질은 0.05 내지 50mm의 입자 크기를 갖는, 중합체 입자, 고체 유리 비이드, 중공(hollow) 유리 비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고,
    접착 촉진제는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EAA) 유화액, 저염소화 폴리프로필렌 유화액, 비염소화 폴리프로필렌 유화액 및 왁스 유화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유화액을 포함하고,
    안료 과립을 기준으로,
    0.1 내지 50 중량%의 하나 이상의 효과 안료,
    50 내지 99.5 중량%의 지지 물질,
    0.1 내지 10 중량%의 접착 촉진제 및
    0.05 내지 10 중량%의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안료 과립.
  2. 제 1 항에 있어서,
    효과 안료가 진주광택 안료, 간섭 안료, 금속 효과 안료, 투명 층, 반투명 층 및/또는 불투명 층을 갖는 다층화된 안료, 고니오크로마틱(goniochromatic) 안료, 홀로그래픽(holographic) 안료, 코팅되거나 코팅되지 않은 BiOCl 플레이크 및 액정 중합체(LCP) 안료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료 과립.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중합체 입자가 폴리올레핀, 폴리스티렌(PS),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PVAC),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EAA),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또는 폴리락트산(PLA)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료 과립.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중합체 입자가 EAA 또는 EVA 또는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PVAC)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료 과립.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첨가제가 윤활제, 습윤제 및 산화방지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료 과립.
  13. 삭제
  14. 삭제
  1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안료 과립이 무기 충전제, 염료 및/또는 채색된 안료를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료 과립.
  16. 하나 이상의 플레이크 형태의 효과 안료, 지지 물질, 하나 이상의 접착 촉진제 및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동시에 또는 서로 연속적으로 혼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안료 과립의 제조 방법.
  1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도료, 코팅물, 분말 코팅물, 가소성 물질 적용분야, 직물 적용분야 및 효과 플라스터(plaster) 시스템에서 구성 구간(construction sector)에서, 및 산란 및 효과 과립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안료 과립.
  1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회전 몰딩(moulding) 공정에서 사용하기 위한 안료 과립.
KR1020117017127A 2008-12-22 2009-12-18 안료 과립 Active KR1017922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0810064201 DE102008064201A1 (de) 2008-12-22 2008-12-22 Pigmentgranulate
DE102008064201.0 2008-12-22
PCT/EP2009/009101 WO2010072376A1 (de) 2008-12-22 2009-12-18 Pigmentgranula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0292A KR20110100292A (ko) 2011-09-09
KR101792264B1 true KR101792264B1 (ko) 2017-11-01

Family

ID=41652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7127A Active KR101792264B1 (ko) 2008-12-22 2009-12-18 안료 과립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883879B2 (ko)
EP (1) EP2367888A1 (ko)
KR (1) KR101792264B1 (ko)
CN (1) CN102264846B (ko)
DE (1) DE102008064201A1 (ko)
EA (1) EA026672B1 (ko)
UA (1) UA107922C2 (ko)
WO (1) WO20100723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0005960U1 (de) * 2010-04-21 2010-10-28 Creafurnish Ltd. Multifunktionaler Putz
CN103108922B (zh) * 2010-09-15 2015-10-07 默克专利股份有限公司 颜料颗粒
WO2013110281A1 (en) * 2012-01-26 2013-08-01 Ag+ Aps Method for producing a filter element
DE102012102165A1 (de) 2012-03-14 2013-10-02 Eckart Gmbh Kompositpartikel,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derselben
DE102012103976A1 (de) * 2012-05-07 2013-11-07 Hd Kunststoffe & Kunststofferzeugnisse Gmbh Polypropylen für das Rotationsformen
CN103966920A (zh) * 2014-04-11 2014-08-06 王兆进 一种带有亚克力珠的墙纸的加工方法
CN104234356A (zh) * 2014-08-01 2014-12-24 王兆进 一种硅藻泥亚克力珠墙纸的制作方法
CN106098194A (zh) * 2014-08-27 2016-11-09 周杰 便于夜间抢修及维护的电力电缆
CN105825943A (zh) * 2014-08-27 2016-08-03 周杰 电力发光电缆
CN105825942A (zh) * 2014-08-27 2016-08-03 周杰 电力电缆
CN104452476B (zh) * 2014-12-12 2016-10-26 广东玉兰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金沙墙纸及其制备方法
WO2017102054A1 (en) * 2015-12-18 2017-06-22 Merck Patent Gmbh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hollow plastic articles by rotational molding polymeric compounds in a rotomold
CN106189371A (zh) * 2016-07-11 2016-12-07 滁州格锐矿业有限责任公司 一种改性云母粉及其制备方法
CN106245455A (zh) * 2016-08-24 2016-12-21 安徽中亚纸业有限公司 一种纸张用钛白色珠光染料及其制备方法
KR102611581B1 (ko) * 2017-05-19 2023-12-08 허니웰 인터내셔날 인코포레이티드 저 표면 에너지 기재에 대한 접착성을 개선하기 위한 공중합체 제형을 포함하는 조성물
DE102018207815A1 (de) * 2018-05-18 2019-11-21 Karl Wörwag Lack- Und Farbenfabrik Gmbh & Co. Kg Mehrschichtige, farb- und/oder effektgebende Lackierung sowie Verfahren zur Bildung einer Basislackschicht
CN109382289B (zh) * 2018-10-17 2021-09-17 苏州扬子江新型材料股份有限公司 高耐候性变色龙彩涂板及其制备方法
KR20210154185A (ko) * 2019-04-11 2021-12-20 바스프 에스이 황색 안료 조성물
CN114656740B (zh) * 2022-03-18 2023-10-31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免喷涂效果颜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50039417A (ko) 2022-07-19 2025-03-20 썬 케미칼 코포레이션 스파클을 갖는 효과 안료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14020A (ja) 2003-11-25 2007-05-31 エンゲルハード・コーポレーシヨン ワックスおよび表面活性剤を含んで成る真珠光沢をもった球形顔料濃縮物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87828A (en) * 1961-06-28 1963-04-30 Du Pont Nacreous pigment compositions
CA957108A (en) 1971-03-30 1974-11-0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igments treated with methacrylatochromic chloride for improved humidity resistance
DE2603211C2 (de) 1976-01-29 1987-02-05 Merck Patent Gmbh, 6100 Darmstadt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ulverförmigen Perlglanzpigment-Zubereitungen
FR2400423A1 (fr) * 1977-08-15 1979-03-16 Asahi Dow Ltd Matiere en particules expansees en resine de polyolefine
DE3151354A1 (de) 1981-12-24 1983-07-07 Merck Patent Gmbh, 6100 Darmstadt Perlglanzpigmen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3211166A1 (de) 1982-03-26 1983-09-29 Merck Patent Gmbh, 6100 Darmstadt Verfahren zur hydrophobierung von perlglanzpigmenten
DE3235017A1 (de) 1982-09-22 1984-03-22 Merck Patent Gmbh, 6100 Darmstadt Perlglanzpigmente
DE3334598A1 (de) 1983-09-24 1985-04-18 Merck Patent Gmbh Witterungsbestaendige perlglanzpigmente
IT1256263B (it) * 1992-12-30 1995-11-29 Bayer Italia Spa Granulati di coloranti scorrevoli,chimicamente resistenti,loro preparazione e loro impiego
DE4323914A1 (de) 1993-07-16 1995-01-19 Merck Patent Gmbh Perlglanzpigment-Zubereitung
US5455288A (en) * 1994-01-26 1995-10-03 Needham; Donald G. Dustless color concentrate granules
US5571851A (en) 1994-01-28 1996-11-05 J.M. Huber Corporation Reinforcing fillers for plastics systems
JP3577576B2 (ja) 1995-04-10 2004-10-13 メルク株式会社 表面処理剤、表面処理薄片状顔料及びその製造方法
US5688449A (en) * 1995-10-02 1997-11-18 Nitech Corporation Method of forming and extruding an additive-coated resin composition
US5759255A (en) 1996-02-07 1998-06-02 Engelhard Corporation Pearlescent pigment for exterior use
EP1023361A1 (en) * 1997-10-08 2000-08-02 H.B. Fuller Licensing &amp; Financing, Inc. Hot melt adhesive pellet comprising continuous coating of pelletizing aid
DE19820112A1 (de) 1998-05-06 1999-11-11 Eckart Standard Bronzepulver Mit reaktiven Orientierungshilfsmitteln beschichtete Effektpigmente
DE10046152A1 (de) * 2000-09-15 2002-03-28 Merck Patent Gmbh Pigmentpräparation in Granulatform
US6451102B1 (en) 2000-05-04 2002-09-17 Merck Patent Gmbh Pigment modification improving handling characteristics
US6245323B1 (en) 2000-05-26 2001-06-12 Engelhard Corporation Bonded metal hydroxide-organic composite polymer films on particulate substrates
DE10054344A1 (de) 2000-11-02 2002-05-29 Clariant Gmbh Verwendung von gecoateten Pigmentgranulaten in elektrophotographischen Tonern und Entwicklern, Pulverlacken und Ink-Jet-Tinten
US20040043147A1 (en) * 2001-12-12 2004-03-04 Findley Larry K Color coated plastic pellets
DE10259246A1 (de) * 2002-12-17 2004-07-01 Merck Patent Gmbh Anorganische sphärische Absorptionspigmente
DE10337188A1 (de) * 2003-08-13 2005-03-10 Merck Patent Gmbh Pigmentpräparation für Kunststoffe
DE10345647A1 (de) 2003-10-01 2005-04-21 Merck Patent Gmbh Pigmentpräparation für Kunststoffe
US20070022907A1 (en) 2004-11-23 2007-02-01 Basf Catalysts Llc Colored Masterbatch Precursor
DE102006039913A1 (de) 2006-08-12 2008-02-14 Clariant International Limited Hochgefüllte Farbmittelzusammensetzung zum Einfärben und Modifizieren olefinischer wie nichtolefinischer Kunststoffe
DE102008064202A1 (de) * 2008-12-22 2010-06-24 Merck Patent Gmbh Pigmentgranulat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14020A (ja) 2003-11-25 2007-05-31 エンゲルハード・コーポレーシヨン ワックスおよび表面活性剤を含んで成る真珠光沢をもった球形顔料濃縮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72376A1 (de) 2010-07-01
EA026672B1 (ru) 2017-05-31
EA201100972A1 (ru) 2012-01-30
US8883879B2 (en) 2014-11-11
UA107922C2 (en) 2015-03-10
CN102264846B (zh) 2014-06-04
US20110301273A1 (en) 2011-12-08
CN102264846A (zh) 2011-11-30
KR20110100292A (ko) 2011-09-09
EP2367888A1 (de) 2011-09-28
DE102008064201A1 (de) 201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2264B1 (ko) 안료 과립
US8088212B2 (en) Sparkle effect of unique particle size distribution
US8846783B2 (en) Pigment granules
TWI513772B (zh) 顏料顆粒
KR20130132918A (ko) 안료 과립
WO2006116376A2 (en) Effect pigment composition comprising triacetin
US20060223932A1 (en) Pigment composition for plastics
US7390842B2 (en) Pigment composition for plastics
JP2009525388A (ja) 配向された磁化可能な有効顔料を含む成形プラスチック物品
US20150023898A1 (en) Composite Particles,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and Use Thereof
CN1864971A (zh) 一种珠光树脂的制备方法
WO2017102054A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hollow plastic articles by rotational molding polymeric compounds in a rotomold
Colorants et al. 13.1. PHOTOCHROMIC MATERIALS There are many types of photochromic and thermochromic materials. Due to the introductive nature and consequent brevity of this work, only selected subject areas will be examined. This work is intended to introduce product designers, chemists, color matchers, and laboratory technicians to the special colorant area of phot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72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12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4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0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0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10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