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91545B1 -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 및 이를 이용한 외벽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 및 이를 이용한 외벽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1545B1
KR101791545B1 KR1020150183825A KR20150183825A KR101791545B1 KR 101791545 B1 KR101791545 B1 KR 101791545B1 KR 1020150183825 A KR1020150183825 A KR 1020150183825A KR 20150183825 A KR20150183825 A KR 20150183825A KR 101791545 B1 KR101791545 B1 KR 101791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late
frame assembly
wall
assembl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3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4488A (ko
Inventor
김길영
Original Assignee
(주)여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여양 filed Critical (주)여양
Priority to KR1020150183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1545B1/ko
Priority to PCT/KR2016/014923 priority patent/WO2017111423A1/ko
Publication of KR20170074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4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1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154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08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comprising a prefabricated insulating layer, disposed between two other layers or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56Special feature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6Splittable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56Special feature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86Building elements with co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56Special feature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89Building elements with holes filled with insulating material
    • E04B2002/0293Building elements with holes filled with insulating material solid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좌우로 연결되어 외벽을 형성하는 조립식 단위벽체에서, 외기(外氣)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판 상의 외장마감판; 상기 외장마감판 내측에서 액자형태로 장방향을 이루며 결합되는 부재로, 측부 일단이 돌기 또는 홈 형태로 구성되는 외부프레임결합체; 상기 외부프레임결합체와 동일한 형태를 이루고, 일정 간격 마주보며 이격된 채 설치되는 내부프레임결합체; 4개의 판이 결합되어 장방형을 이루는 부재로, 각각의 판의 일단은 상기 외부프레임결합체의 측부 일단에 끼움결합되도록 돌출부가 형성되고, 타단은 돌기 또는 홈 형태에 의한 끼움부가 형성된 중간프레임결합체; 상기 중간프레임결합체 내면에 삽입 설치되는 단열재; 양단부가 돌기 형태에 의한 커넥터결합부로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중간프레임결합체의 끼움부에 끼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내부프레임결합체의 측부 일단에 끼움 결합되는 다수 개의 커넥터; 상기 내부프레임결합체 외면에 결합되는 판 상의 내부마감판; 및, 상기 내부프레임결합체의 일면을 관통한 채 고정되고, 단부가 상기 단열재 내부에 삽입 고정되는 타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단열재와 상기 내부프레임결합체 사이에 채움재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 및 이를 이용한 외벽 시공방법{Prefabricating wall for exterior insulation and using the method for constructing outer wall}
본 발명은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 및 이를 이용한 외벽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단열이 구비된 채 단순 조립으로 거푸집 형틀 기능을 대행할 수 있는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와 이러한 조립식 단위벽체를 상하좌우로 연결하여 외벽용 거푸집을 형성하고 채움재를 타설하여 완성되는 외벽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RC공법의 외벽은 주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를 시공하려면 회반죽상태의 시멘트모르타르를 주입 양생할 수 있는 거푸집 형틀이 사전에 구축되어야 한다.
이러한 거푸집 형틀의 구축공정은 패널과 부속자재 임대, 형틀 목공, 모르타르 주입, 형틀 해체, 현장 정리 등의 여러 공정이 함께 이루어진다. 더불어 외부면 치장마감, 단열재시공, 내부면 미장마감, 배선 배관 등의 공정도 외벽 형성 시에 필요한대 이러한 공정들에 의해 공사기간이 길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외단열용으로 이용되는 단열재는 별도의 성형화 과정을 거치는 것은 물론, 현장에서 직접 부착해야 하고, 이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파스너(Fastner)를 결합시켜야 한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외단열로 외벽을 형성할 때에는 바닥 슬래브 위로 외장마감판은 물론 단열재가 위치됨으로써 실 활용되는 내부 공간이 줄어든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시되는 것이다. 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숙련공도 소정의 품질로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고 자재관리 및 시공면에서 기존의 건식·습식공법에 비해 우수한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 및 이를 이용한 외벽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단위벽체간 연결부에서 채움재가 새는 현상이 방지되고, 채움재 타설시 배불림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 및 이를 이용한 외벽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셋째, 다수 개의 조립식 단위벽체를 조립하여 다양한 길이 및 높이를 갖는 외벽을 축조할 수 있고, 단열재를 별도로 부착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는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 및 이를 이용한 외벽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넷째, 공간활용 및 쾌적성 확보에 필요한 각종 기기, 설비 등을 정밀하고 일괄적으로 내장 설치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별도로 마련된 받침강판을 이용하여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 및 이를 이용한 외벽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섯째, 외벽 시공 과정에서 폐기물 발생량이 종래에 비해 현저히 감소될 수 있는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 및 이를 이용한 외벽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작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상하좌우로 연결되어 외벽을 형성하는 조립식 단위벽체에서, 외기(外氣)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판 상의 외장마감판; 상기 외장마감판 내측에서 액자형태로 장방향을 이루며 결합되는 부재로, 측부 일단이 돌기 또는 홈 형태로 구성되는 외부프레임결합체; 상기 외부프레임결합체와 동일한 형태를 이루고, 일정 간격 마주보며 이격된 채 설치되는 내부프레임결합체; 4개의 판이 결합되어 장방형을 이루는 부재로, 각각의 판의 일단은 상기 외부프레임결합체의 측부 일단에 끼움결합되도록 돌출부가 형성되고, 타단은 돌기 또는 홈 형태에 의한 끼움부가 형성된 중간프레임결합체; 상기 중간프레임결합체 내면에 삽입 설치되는 단열재; 양단부가 돌기 형태에 의한 커넥터결합부로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중간프레임결합체의 끼움부에 끼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내부프레임결합체의 측부 일단에 끼움 결합되는 다수 개의 커넥터; 상기 내부프레임결합체 외면에 결합되는 판 상의 내부마감판; 및, 상기 내부프레임결합체의 일면을 관통한 채 고정되고, 단부가 상기 단열재 내부에 삽입 고정되는 타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단열재와 상기 내부프레임결합체 사이에 채움재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외벽 시공에 소요되는 거푸집, 패널, 단열재, 마감재 등의 자재를 일원화하여 자재관리, 시공성, 경제성 등에서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둘째, 커넥터를 통해 다양한 길이의 외벽을 형성시킬 수 있으며, 상하좌우로 간단한 요철결합 형태로 단위벽체 간에 연결이 이루어짐으로써 공사기간을 대폭 감축시킬 수 있다.
셋째, 외벽 형성이 조립식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비숙련공도 소정의 품질로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신축건물뿐만 아니라 기존 건물의 리모델링 공사에도 적용할 수 있다.
넷째, 외벽 시공 시 단열재와 외장마감판이 슬래브 바닥면 측면에 결합된 받침강판 위에 거치됨으로써 실제 내부의 공간활용성이 좋아지고, 각종 기기 및 설비 등을 정밀하고 일괄적으로 내장 설치할 수 있다.
다섯째, 외벽 시공 과정에서 발생되는 폐기물의 양이 현저히 감소한다. 이에 따라 폐기물 처리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를 이용한 외벽 시공방법에서 받침강판의 설치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를 이용한 외벽 시공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개념이 바람직하게 구현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U)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U)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U)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하좌우로 연결되어 외벽을 형성하는 조립식 단위벽체(U)에서, 외기(外氣)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판 상의 외장마감판(100); 상기 외장마감판(100) 내측에서 액자형태로 장방향을 이루며 결합되는 부재로, 측부 일단이 돌기 또는 홈 형태로 구성되는 외부프레임결합체(200); 상기 외부프레임결합체(200)와 동일한 형태를 이루고, 일정 간격 마주보며 이격된 채 설치되는 내부프레임결합체(300); 4개의 판이 결합되어 장방형을 이루는 부재로, 각각의 판의 일단은 상기 외부프레임결합체(200)의 측부 일단에 끼움결합되도록 돌출부(420)가 형성되고, 타단은 돌기 또는 홈 형태에 의한 끼움부(440)가 형성된 중간프레임결합체(400); 상기 중간프레임결합체(400) 내면에 삽입 설치되는 단열재(500); 양단부가 돌기 형태에 의한 커넥터결합부(620)로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중간프레임결합체(400)의 끼움부(440)에 끼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내부프레임결합체(300)의 측부 일단에 끼움 결합되는 다수 개의 커넥터(600); 상기 내부프레임결합체(300) 외면에 결합되는 판 상의 내부마감판(700); 및, 상기 내부프레임결합체(300)의 일면을 관통한 채 고정되고, 단부가 상기 단열재(500) 내부에 삽입 고정되는 타이부재(8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단열재(500)와 상기 내부프레임결합체(300) 사이에 채움재(M)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외장마감판(100)은 건물의 가장 외측에 설치되는 마감재로, 소정 두께를 갖는 판의 형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외장마감판(100)은 외면이 외벽의 마감면이 되도록 대리석 패널, 목재 패널 등의 다양한 재질 및 질감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미리 정해진 규격으로 절단되어 이용되거나 긴 길이로 압출 제작되어 현장에서 필요한 길이 맞춰 절단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외부프레임결합체(200)는 외장마감판(100) 내면에 결합되는 부재로, 측부 일단이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되어 후술할 중간프레임결합체(400)와 조립식으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외부프레임결합체(200)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부 일단에 돌기 또는 홈 형태에 의한 제1프레임판결합부(222)가 형성된 제1프레임판(224)의 상부에 제1프레임돌기(226)가 돌출 형성되도록 압출 제작된 제1프레임(220) 2개가 결합된 것으로, 제1프레임돌기(226)가 외측을 향하도록 서로 직각으로 결합된 제1프레임결합체(240);와 측부 일단에 돌기 또는 홈 형태에 의한 제2프레임판결합부(262)가 형성된 제2프레임판(264)의 상부에 제2프레임삽입홈(266)이 함몰 형성되도록 압출 제작된 제2프레임(260) 2개가 결합된 것으로, 제2프레임삽입홈(266)이 외측을 향하도록 서로 직각으로 결합된 제2프레임결합체(280);가 상기 제1,2프레임판결합부(222,262)가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결합하여 장방향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프레임결합체(240)는 2개의 제1프레임(220)으로 결합 구성된다. 제1프레임(220)은 도 3에서와 같이 제1프레임판(224)의 상부에 제1프레임돌기(226)가 돌출되어 형성되도록 압출 제작된 것이며, 측부 일단에는 돌기 또는 홈 형태의 제1프레임판결합부(222)가 더 형성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제1프레임판(224)은 '일자형' 또는 'ㄱ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또한 제1프레임돌기(226)는 1개는 물론 2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제1프레임결합체(240)는 제1프레임돌기(226)가 외측으로 향하게 하여 2개의 제1프레임(220)을 서로 직각으로 결합하여 형성된다. 제1프레임결합체(240)를 위한 2개의 제1프레임(220)은 긴 길이로 압출 제작한 것을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이용하는 한편, 압출 제작에 용이한 알루미늄이나 ABS 등의 합성수지류를 채택함이 경제성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다.
제2프레임결합체(280)는 2개의 제2프레임(260)으로 결합 구성된다. 제2프레임(260)은 제1프레임(220)에 대응하게 마련되는데, 즉 제2프레임판(264)의 상부에 제2프레임삽입홈(266)이 함몰되어 형성되도록 압출 제작되고, 측부 일단에는 돌기 또는 홈 형태의 제2프레임판결합부(262)가 더 형성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제2프레임결합체(280)는 제2프레임삽입홈(266)이 외측으로 향하게 하여 2개의 제2프레임(260)을 서로 직각으로 결합하여 형성된다. 제2프레임결합체(280)를 위한 2개의 제2프레임(260)도 제1프레임(220)과 마찬가지로 알루미늄이나 ABS 등의 합성수지류로 긴 길이로 압출 제작한 후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프레임결합체(200)는 상기와 같은 제1,2프레임결합체(240,280)의 결합으로 구성되며, 특히 제1,2프레임판결합부(222,262)가 더 구비된 경우에는 제1,2프레임판결합부(222,262)가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결합된다.
내부프레임결합체(300)는 외부프레임결합체(200)와 일정 간격 이격된 채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외부프레임결합체(200)와 동일한 형태로 제작되는 부재이다.
구체적으로 내부프레임결합체(300)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부 일단에 돌기 또는 홈 형태에 의한 제1´프레임판결합부(322)가 형성된 제1´프레임판(324)의 상부에 제1´프레임돌기(326)가 돌출 형성되도록 압출 제작된 제1´프레임(320) 2개가 결합된 것으로, 제1´프레임돌기(326)가 외측을 향하도록 서로 직각으로 결합된 제1´프레임결합체(340);와 측부 일단에 돌기 또는 홈 형태에 의한 제2´프레임판결합부(362)가 형성된 제2´프레임판(364)의 상부에 제2´프레임삽입홈(366)이 함몰 형성되도록 압출 제작된 제2´프레임(360) 2개가 결합된 것으로, 제2´프레임삽입홈(366)이 외측을 향하도록 서로 직각으로 결합된 제2´프레임결합체(380);가 상기 제1´,2´프레임판결합부(322,362)가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결합하여 장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내부프레임결합체(300)의 제1´프레임판결합부(322), 제1´프레임판(324), 제1´프레임돌기(326), 제1´프레임결합체(340), 제2´프레임판결합부(362), 제2´프레임판(364), 제2´프레임삽입홈(366), 제2´프레임결합체(380)는 외부프레임결합체(200)의 제1프레임판결합부(222), 제1프레임판(224), 제1프레임돌기(226), 제1프레임결합체(240), 제2프레임판결합부(262), 제2프레임판(264), 제2프레임삽입홈(266), 제2프레임결합체(280)와 각각 대응하며 동일하게 구성되기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토록 한다.
한편 외부프레임결합체(200)는, 상·하부에 위치된 제1,2프레임판(224,264)은 제1,2프레임판결합부(222,262)가 형성된 반대 면 단부가 내측으로 직각되게 구성되고, 내부프레임결합체(300)는, 상·하부에 위치된 제1´,2´프레임판(324,364)은 제1´,2´프레임판결합부(322,362)가 형성된 반대 면 단부가 내측으로 직각되게 구성되며, 제1,2프레임판(224,264)과 제1´,2´프레임판(324,364)의 단부에서 직각된 면 외면에 외장마감판(100)과 내부마감판(700)이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는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외부프레임결합체(200)의 제1,2프레임판(224,264)은 상·하부의 일면이 직각으로 절곡되게 구성됨으로써 외장마감판(100)을 좀 더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은 외부에서 보았을 때 줄눈이 보이지 않는 일명 '무메지' 형태를 이루게 된다. 아울러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내부프레임결합체(300)도 상기와 같은 형태로 내부마감판(700)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외부프레임결합체(200)의 제1,2프레임(220,260)은 제1,2프레임판결합부(222,262)가 형성된 반대면 단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제1,2프레임판(224,264)의 내측으로 소정 두께만큼 돌출된 볼록부(220a,260a)가 추가로 구비되고, 내부프레임결합체(300)의 제1´,2´프레임(320,360)은 제1´,2´프레임판결합부(322,362)가 형성된 반대면 단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제1´,2´프레임판(324,364)의 내측으로 소정 두께만큼 돌출된 볼록부(320a,360a)가 추가로 구비되며, 외장마감판(100)과 내부마감판(700)은 측면에 볼록부(220a,260a,320a,360a)가 끼움 결합되도록 대응되게 일정 단면 파인 오목홈(120,720)이 추가로 구비됨으로써 외장마감판(100)과 내부마감판(700)이 각각 외부프레임결합체(200)와 내부프레임결합체(30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즉 외장마감판(100) 또는 내부마감판(700)의 4개 측면에 일정 단면 파인 오목홈(120)이 가공 성형되고 외부프레임결합체(200)와 내부프레임결합체(300)의 볼록부(220a,260a,320a,360a)가 이러한 오목홈(120,720)에 밀어 넣어지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는 외장마감판(100)과 내부마감판(700)이 외부프레임결합체(200)와 내부프레임결합체(300)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방지해 주는 동시에, 좀 더 간편한 조립을 제공한다. 이는 외면상 줄눈(일명 '메지)이 보이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중간프레임결합체(400)는 일단이 외부프레임결합체(200)에 연결 고정되는 부재로, 후술할 단열재(500)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중간프레임결합체(400)는 4개의 판이 액자 형태를 이루며 결합되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판은 중앙의 판재 양 옆으로 돌출부(420)와 끼움부(440)가 각각 구성된다.
돌출부(420)는 외부프레임결합체(200)의 제1,2프레임판결합부(222,262)에 끼워지는 부분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프레임결합체(400)의 일단에서 절곡된 채 일정 부분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끼움부(440)는 후술할 커넥터(600)가 끼워지도록 수용하는 역할을 하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프레임결합체(400)의 타단에서 'ㄷ'자 단면을 이루며 결합되는 홈을 제공하게 된다.
단열재(500)는 상술한 중간프레임결합체(400) 내면에 설치되는 부재로, 내·외부로 통하는 열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단열재(5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이 외부프레임결합체(200)에 밀착되고 타면은 중간프레임결합체(400)의 단부 상에 위치하게 되는데, 외부프레임결합체(200)의 절곡된 단면 내부까지 충분히 충진되려면 성형성이 좋은 우레탄폼이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상황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단열재(500)가 이용될 수도 있다.
커넥터(600)는 중간프레임결합체(400)와 내부프레임결합체(300)를 일정 간격 유지한 채 연결시켜 주는 부재로, 양단부에는 요철처리면이 형성된 커넥터결합부(620)가 구성된다.
커넥터(600)는 중간프레임결합체(400)와 내부프레임결합체(300)가 서로 마주보게 이격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중간프레임결합체(400)와 내부프레임결합체(300) 사이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며, 인접한 커넥터(600) 사이에 채움재(M)가 타설되어 단열재(500)와 내부마감판(700) 사이가 충전될 수 있다. 이때 커넥터(600)는 중간프레임결합체(400)와 내부프레임결합체(300) 사이를 부분적으로 연결하도록 설치되어야 하는데, 이는 중간프레임결합체(400)와 내부프레임결합체(300) 사이에 채움재(M)가 타설되는 개구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서이다. 아울러 커넥터(600)는 긴 길이로 압출 제작된 후 필요 너비로 절단하여 이용될 수도 있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된 2 개의 커넥터(600)를 직각으로 연결시켜 모서리 부분의 결합에 활용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커넥터(600)는 양단부가 홈 또는 돌기 형태에 의한 커넥터결합부(620)로 형성되어 중간프레임결합체(400)의 끼움부(440)와 홈-돌기 맞춤에 의한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는 동시에, 내부프레임결합체(300)의 제1´,2´프레임판결합부(322,362)에도 홈-돌기 맞춤에 의한 끼움 결합이 이루어진다.
내부마감판(700)은 내부프레임결합체(300)의 일면에 결합되는 부재로, 건물 내부의 벽면을 형성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내부마감판(700)은 수요자의 기호에 따라 다양한 재질 및 재료가 이용될 수 있다.
타이부재(800)는 일단이 내부프레임결합체(300)에 고정되고, 타단이 단열재(500) 내부에 고정됨으로써 타설되는 채움재(M)의 측압을 저항하기 위해 설치되는 부재이다. 이러한 타이부재(8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마감판(700)의 외면과 단열재(500)의 일면에 부착되는 한 쌍의 너트부(820)와 상기 한 쌍의 너트부(820)를 동시에 관통하여 고정되는 볼트부(840)로 구성되되, 상기 단열재(500)를 관통하는 볼트부(840)의 단부는 화살촉 형태로 구성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U)를 이용한 외벽 시공방법에서 받침강판(900)의 설치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U)를 이용한 외벽 시공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조립식 단위벽체(U)를 이용한 외벽 시공방법에서, 슬래브 바닥면(S) 위로 계획된 위치에 외벽용 철근(WS)을 배근하는 제1단계; 상기 외벽용 철근(WS)이 인접한 커넥터(600) 사이로 노출되도록 조립식 단위벽체(U)를 설치하되, 외부프레임결합체(200)와 내부프레임결합체(300)의 제1,2프레임(220,260)과 제1´,2´프레임(320,360)에 구비된 제1,1´프레임돌기(226,326) 및 제2,2´프레임삽입홈(266,366)을 상하단 및 양측단에서 각각 암수대응시켜 인접하는 조립식 단위벽체(U)끼리 상호 끼움결합으로 상하좌우 연결하면서 적층하는 제2단계; 상기 조립식 단위벽체(U) 내측의 상기 외벽용 철근(WS)이 배근된 위치에 채움재(M)를 타설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단계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단위벽체(U)를 설치하기 전에 미리 계획된 위치에 따라 외벽용 철근(WS)을 배근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제2단계는 조립식 단위벽체(U)를 상하좌우로 연결 및 적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데,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인접한 조립식 단위벽체(U)는 암수 대응하는 부분이 서로 끼워짐으로써 간편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조립식 벽체를 슬라브 바닥면 위로 설치할 때, 외벽용 철근(WS)이 조립식 단위벽체(U)의 커넥터(600)가 설치된 부분의 공간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제1단계 전에 상기 슬래브 바닥면(S) 측면으로 연장되는 받침강판(900)을 추가로 설치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는데, 상기 받침강판(900)은 상기 슬래브 바닥면(S) 측면에 결합되는 제1판부(920)와 상기 제1판부(920)로부터 직각으로 연결되어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판부(940)와 상기 제2판부(940)로부터 여러 번 직각되게 연결되어 P형태를 이루며 상기 제2판부(940) 위로 연장되는 제3판부(960)로 구성되고, 상기 슬래브 바닥면(S)의 측면에 설치되는 긴결철물(A)이 제1판부(920)를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받침강판(900)이 슬래브 바닥면(S)에 고정될 수 있다.
이는 받침강판(900)을 슬래브 바닥면(S) 측면에 설치하고, 이를 조립식 단위벽체(U)를 지지하는 공간으로 활용함으로써 건물 내부의 공간을 좀 더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받침강판(900)은 슬래브 바닥면(S)에 결합되는 긴결철물(A)에 의해 고정되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결철물(A)은 파스너와 앵커볼트로 이루어져 받침강판(900)의 제1판부(920)를 슬래브 바닥면(S)에 밀착 고정시키게 된다.
특히 조립식 단위벽체(U)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상 외장마감판(100)부터 단열재(500)까지가 상기 받침강판(900) 위로 위치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조립식 단위벽체(U)의 단열재(500) 뒷부분부터 채움재(M)가 타설되는데, 그 무게를 고려하여 채움재(M)가 타설되는 부분부터는 견고한 슬래브 바닥면(S)이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제3단계는 채움재(M)를 채워 조립식 단위벽체(U)들을 일체화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채움재(M)는 경량으로 시공이 간편하고 방음 및 방화성능이 우수한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주로 경량기포콘크리트, 시멘트모르타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단계는 채움재(M) 타설에 의한 측압으로 인한 안정성을 고려하여 조립식 단위벽체(U)마다 채움재(M)가 3회 내지 5회에 걸쳐 분할 타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조립식 단위벽체(U)의 크기에 따라 채움재(M)가 타설되는 회수를 최소 3회에서 최대 5회로 분할해줌으로써 측압으로 인한 조립식 단위벽체(U)의 파손 및 분리를 예방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U: 조립식 단위벽체 M: 채움재
S: 슬래브 바닥면 WS: 외벽용 철근
A: 긴결철물
100: 외장마감판 120: 오목홈
200: 외부프레임결합체 220: 제1프레임
220a: 볼록부 222: 제1프레임판결합부
224: 제1프레임판 226: 제1프레임돌기
240: 제1프레임결합체 260: 제2프레임
260a: 볼록부 262: 제2프레임판결합부
264: 제2프레임판 266: 제2프레임삽입홈
280: 제2프레임결합체 300: 내부프레임결합체
320: 제1´프레임 320a: 볼록부
322: 제1´프레임판결합부 324: 제1´프레임판
326: 제1´프레임돌기 340: 제1´프레임결합체
360: 제2´프레임 360a: 볼록부
362: 제2´프레임판결합부 364: 제2´프레임판
366: 제2´프레임삽입홈 380: 제2´프레임결합체
400: 중간프레임결합체 420: 돌출부
440: 끼움부 500: 단열재
600: 커넥터 620: 커넥터결합부
700: 내부마감판 720: 오목홈
800: 타이부재 820: 너트부
840: 볼트부 900: 받침강판
920: 제1판부 940: 제2판부
960: 제3판부

Claims (10)

  1. 상하좌우로 연결되어 외벽을 형성하는 조립식 단위벽체(U)에서,
    외기(外氣)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판 상의 외장마감판(100);
    상기 외장마감판(100) 내측에서 액자형태로 장방향을 이루며 결합되는 부재로, 측부 일단이 돌기 또는 홈 형태로 구성되는 외부프레임결합체(200);
    상기 외부프레임결합체(200)와 동일한 형태를 이루고, 일정 간격 마주보며 이격된 채 설치되는 내부프레임결합체(300);
    4개의 판이 결합되어 장방형을 이루는 부재로, 각각의 판의 일단은 상기 외부프레임결합체(200)의 측부 일단에 끼움결합되도록 돌출부(420)가 형성되고, 타단은 돌기 또는 홈 형태에 의한 끼움부(440)가 형성된 중간프레임결합체(400);
    상기 중간프레임결합체(400) 내면에 삽입 설치되는 단열재(500);
    양단부가 돌기 형태에 의한 커넥터결합부(620)로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중간프레임결합체(400)의 끼움부(440)에 끼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내부프레임결합체(300)의 측부 일단에 끼움 결합되는 다수 개의 커넥터(600);
    상기 내부프레임결합체(300) 외면에 결합되는 판 상의 내부마감판(700); 및,
    상기 내부프레임결합체(300)의 일면을 관통한 채 고정되고, 단부가 상기 단열재(500) 내부에 삽입 고정되는 타이부재(8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타이부재(800)는, 내부마감판(700)의 외면과 단열재(500)의 일면에 부착되는 한 쌍의 너트부(820)와 상기 한 쌍의 너트부(820)를 동시에 관통하여 고정되는 볼트부(840)로 구성되되, 상기 단열재(500)를 관통하는 볼트부(840)의 단부는 화살촉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단열재(500)와 상기 내부프레임결합체(300) 사이에 채움재(M)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
  2. 제1항에서,
    상기 외부프레임결합체(200)는,
    측부 일단에 돌기 또는 홈 형태에 의한 제1프레임판결합부(222)가 형성된 제1프레임판(224)의 상부에 제1프레임돌기(226)가 돌출 형성되도록 압출 제작된 제1프레임(220) 2개가 결합된 것으로, 제1프레임돌기(226)가 외측을 향하도록 서로 직각으로 결합된 제1프레임결합체(240);와 측부 일단에 돌기 또는 홈 형태에 의한 제2프레임판결합부(262)가 형성된 제2프레임판(264)의 상부에 제2프레임삽입홈(266)이 함몰 형성되도록 압출 제작된 제2프레임(260) 2개가 결합된 것으로, 제2프레임삽입홈(266)이 외측을 향하도록 서로 직각으로 결합된 제2프레임결합체(280);가 상기 제1,2프레임판결합부(222,262)가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결합하여 장방향으로 이루고,
    상기 내부프레임결합체(300)는,
    측부 일단에 돌기 또는 홈 형태에 의한 제1´프레임판결합부(322)가 형성된 제1´프레임판(324)의 상부에 제1´프레임돌기(326)가 돌출 형성되도록 압출 제작된 제1´프레임(320) 2개가 결합된 것으로, 제1´프레임돌기(326)가 외측을 향하도록 서로 직각으로 결합된 제1´프레임결합체(340);와 측부 일단에 돌기 또는 홈 형태에 의한 제2´프레임판결합부(362)가 형성된 제2´프레임판(364)의 상부에 제2´프레임삽입홈(366)이 함몰 형성되도록 압출 제작된 제2´프레임(360) 2개가 결합된 것으로, 제2´프레임삽입홈(366)이 외측을 향하도록 서로 직각으로 결합된 제2´프레임결합체(380);가 상기 제1´,2´프레임판결합부(322,362)가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결합하여 장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
  3. 제2항에서,
    상기 외부프레임결합체(200)는,
    상·하부에 위치된 제1,2프레임판(224,264)은 제1,2프레임판결합부(222,262)가 형성된 반대 면 단부가 내측으로 직각되게 구성되고,
    상기 내부프레임결합체(300)는,
    상·하부에 위치된 제1´,2´프레임판(324,364)은 제1´,2´프레임판결합부(322,362)가 형성된 반대 면 단부가 내측으로 직각되게 구성되며,
    상기 제1,2프레임판(224,264)과 제1´,2´프레임판(324,364)의 단부에서 직각된 면 외면에 외장마감판(100)과 내부마감판(700)이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
  4. 제2항에서,
    상기 외부프레임결합체(200)의 제1,2프레임(220,260)은 상기 제1,2프레임판결합부(222,262)가 형성된 반대면 단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제1,2프레임판(224,264)의 내측으로 소정 두께만큼 돌출된 볼록부(220a,260a)가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내부프레임결합체(300)의 제1´,2´프레임(320,360)은 상기 제1´,2´프레임판결합부(322,362)가 형성된 반대면 단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제1´,2´프레임판(324,364)의 내측으로 소정 두께만큼 돌출된 볼록부(320a,360a)가 추가로 구비되며,
    외장마감판(100)과 내부마감판(700)은 측면에 상기 볼록부(220a,260a,320a,360a)가 끼움 결합되도록 대응되게 일정 단면 파인 오목홈(120,720)이 추가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외장마감판(100)과 내부마감판(700)이 각각 상기 외부프레임결합체(200)와 내부프레임결합체(30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커넥터(600)는 중간프레임결합체(400)와 내부프레임결합체(300)가 서로 마주보게 이격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중간프레임결합체(400)와 내부프레임결합체(300) 사이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며,
    인접한 커넥터(600) 사이에 채움재(M)가 타설되어 단열재(500)와 내부마감판(700) 사이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
  6. 삭제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립식 단위벽체(U)를 이용한 외벽 시공방법에서,
    슬래브 바닥면(S) 위로 계획된 위치에 외벽용 철근(WS)을 배근하는 제1단계;
    상기 외벽용 철근(WS)이 인접한 커넥터(600) 사이로 노출되도록 조립식 단위벽체(U)를 설치하되, 외부프레임결합체(200)와 내부프레임결합체(300)의 제1,2프레임(220,260)과 제1´,2´프레임(320,360)에 구비된 제1,1´프레임돌기(226,326) 및 제2,2´프레임삽입홈(266,366)을 상하단 및 양측단에서 각각 암수대응시켜 인접하는 조립식 단위벽체(U)끼리 상호 끼움결합으로 상하좌우 연결하면서 적층하는 제2단계;
    상기 조립식 단위벽체(U) 내측의 상기 외벽용 철근(WS)이 배근된 위치에 채움재(M)를 타설하는 제3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를 이용한 외벽 시공방법.
  8. 제7항에서,
    상기 제1단계 전에 상기 슬래브 바닥면(S) 측면으로 연장되는 받침강판(900)을 추가로 설치하는 과정이 포함되되,
    상기 받침강판(900)은 상기 슬래브 바닥면(S) 측면에 결합되는 제1판부(920)와 상기 제1판부(920)로부터 직각으로 연결되어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판부(940)와 상기 제2판부(940)로부터 여러 번 직각되게 연결되어 P형태를 이루며 상기 제2판부(940) 위로 연장되는 제3판부(960)로 구성되고,
    상기 슬래브 바닥면(S)의 측면에 설치되는 긴결철물(A)이 제1판부(920)를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받침강판(900)이 슬래브 바닥면(S)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를 이용한 외벽 시공방법.
  9. 제8항에서,
    조립식 단위벽체(U)는 단면상 외장마감판(100)부터 단열재(500)까지가 상기 받침강판(900) 위로 위치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를 이용한 외벽 시공방법.
  10. 제7항에서,
    상기 제3단계는 조립식 단위벽체(U)마다 채움재(M)가 3회 ~ 5회에 걸쳐 분할 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를 이용한 외벽 시공방법.
KR1020150183825A 2015-12-22 2015-12-22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 및 이를 이용한 외벽 시공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791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3825A KR101791545B1 (ko) 2015-12-22 2015-12-22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 및 이를 이용한 외벽 시공방법
PCT/KR2016/014923 WO2017111423A1 (ko) 2015-12-22 2016-12-20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 및 이를 이용한 외벽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3825A KR101791545B1 (ko) 2015-12-22 2015-12-22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 및 이를 이용한 외벽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4488A KR20170074488A (ko) 2017-06-30
KR101791545B1 true KR101791545B1 (ko) 2017-10-30

Family

ID=59090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3825A Expired - Fee Related KR101791545B1 (ko) 2015-12-22 2015-12-22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 및 이를 이용한 외벽 시공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91545B1 (ko)
WO (1) WO20171114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4571B1 (ko) * 2017-09-07 2018-08-01 김둘례 조립식 건축물의 외벽 구조
CN112049273B (zh) * 2019-06-06 2025-01-17 上海环辉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自保温钢结构装配式墙体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368B1 (ko) * 2006-11-01 2007-09-19 김길영 조립식 영구거푸집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KR20120000702A (ko) * 2010-06-28 2012-01-04 김길영 경량 성형재를 구비한 조립식 영구거푸집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KR101311880B1 (ko) * 2011-08-02 2013-09-26 김동호 조립식 단위벽체틀 및 이의 제작방법
KR101466825B1 (ko) * 2011-11-09 2014-11-28 김길영 조립식 단위벽체틀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KR101477214B1 (ko) * 2013-02-21 2014-12-29 김길영 수평조절받침대를 이용한 조립식 단위벽체틀 및 이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4488A (ko) 2017-06-30
WO2017111423A1 (ko) 2017-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9368B1 (ko) 조립식 영구거푸집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KR101182536B1 (ko) 용도와 기능에 맞는 표면재와 구조용 철근을 적용하고 조립식 구조를 갖는 더블월 피씨패널
US20110099932A1 (en) Panel interlocking system
US20120247038A1 (en) Construction system using interlocking panels
US8443560B2 (en) Concrete form block and form block structure
US8776468B2 (en) Insulation roof or floor panels with deformation resistant elements for composite insulated concrete roof or floor system and such system
KR102152497B1 (ko) 단열재를 거푸집 대신 사용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작틀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제작틀 설치방법
KR200481707Y1 (ko) 거푸집 겸용 외장벽판
US11077583B2 (en) Precast concrete wall and method
KR101705324B1 (ko) 단열 구조체,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벽체 및 그 시공방법
JP2016501330A (ja) 鋳型枠及びこれを用いた鋳型設置方法
KR102259453B1 (ko) 건축용 벽체 일체형 거푸집 조립체
KR101791545B1 (ko)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 및 이를 이용한 외벽 시공방법
KR101477214B1 (ko) 수평조절받침대를 이용한 조립식 단위벽체틀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20000702A (ko) 경량 성형재를 구비한 조립식 영구거푸집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KR101311880B1 (ko) 조립식 단위벽체틀 및 이의 제작방법
KR102252141B1 (ko) 거푸집 겸용 건축물 벽체
KR101464073B1 (ko) 거푸집 없이 시공되는 패널 일체형 콘크리트 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 구조물
KR101466825B1 (ko) 조립식 단위벽체틀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KR101309734B1 (ko) 조립식 단위벽체틀을 위한 문틀프레임
KR101351439B1 (ko) 조립식 벽체블록
KR20170085789A (ko) 거푸집 패널
KR101476665B1 (ko) 단열재와 거푸집이 일체화된 건설공사용 양면단열 거푸집
KR20140130808A (ko) 거푸집 겸용 외장벽판
US20240263442A1 (en) Modular build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612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5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0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10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