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1495B1 - Device for measuring edema - Google Patents
Device for measuring edema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91495B1 KR101791495B1 KR1020160065946A KR20160065946A KR101791495B1 KR 101791495 B1 KR101791495 B1 KR 101791495B1 KR 1020160065946 A KR1020160065946 A KR 1020160065946A KR 20160065946 A KR20160065946 A KR 20160065946A KR 101791495 B1 KR101791495 B1 KR 1017914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rap
- measured
- data
- length
- edema
- Prior art date
Links
- 206010030113 Oedema Diseas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4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1186 cumula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204 blood vessel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124 body fluid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839 body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512 chemotherap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165 lymph nod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01000006474 Brain Ischem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6187 Breast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6310 Breast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8120 Cerebral ischaem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0412 Glauc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0886 Traumatic Brain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3246 arthr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8118 cerebral infar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4 chro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722 extracellular flui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03906 hydrocephalu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356 surgical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4595 synov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Measur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2—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measuring distances on the body, e.g. measuring length, height or thicknes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1—Straps, bands or harness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 H04M1/72519—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33—Special features of optical sensors or probes classified in A61B5/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종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 길이의 메인 스트랩으로 이루어지며, 피측정물의 둘레를 둘러싸며 상기 피측정물을 따라 이동하는 밴드부; 상기 피측정물의 단면 크기의 변화에 따라 상기 메인 스트랩과 연결된 보조 스트랩을 상기 밴드부로 가변 공급하는 스트랩 공급부; 및 상기 스트랩 공급부로부터 상기 밴드부로 가변 공급된 상기 보조 스트랩의 길이를 측정하는 길이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dema measuring device, comprising: a band part comprising a main strap of a predetermined length and surrounding a periphery of an object to be measured and moving along the object to be measured; A strap supply unit for variably supplying the auxiliary strap connected to the main strap to the band unit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cross-sectional size of the measured object; And a length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length of the auxiliary strap, which is variably supplied from the strap supply unit to the band unit.
Description
본 발명은 부종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측정물의 부종 발생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부종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dema measurement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dema measurement apparatus capable of easily confirming whether edema occurs in an object to be measured.
부종(浮腫)이란 혈관내의 체액이 빠져 나와 혈관 바깥 부분의 세포와 세포 사이의 혈장, 간질액(interstitial fluid) 및 세포횡단액(transcellular fluid)과 같은 체액으로 과도하게 축적되는 것을 말한다. Edema refers to the accumulation of body fluids in blood vessels and excessive accumulation of body fluids such as plasma, interstitial fluid, and transcellular fluid between cells and cells outside the blood vessels.
이러한 부종을 방치할 경우, 세포 및 조직의 부종은 뇌외상이나 뇌허혈 등과 같이 급성으로 유발되기도 하고 관절염으로 인한 활액막의 증가나 뇌수종, 녹내장과 같이 만성적으로 체액이 증가되어 유발되기도 한다.When such edema is left untreated, edema of cells and tissues may be induced acutely, such as brain trauma or cerebral ischemia, and synovitis caused by arthritis, or chronic fluid increase such as hydrocephalus or glaucoma.
따라서, 부종을 초기에 적절하게 치료를 하지 않는다면 점차 세포 및 조직에 심각한 해를 입힐 수 있다.Thus, if edema is not treated properly early on, it can gradually cause serious harm to cells and tissues.
특히, 항암 치료를 위해 림프절의 절제 후, 림프절을 절제한 인체의 부위에 종종 부종이 발생한다.Especially after lymphadenectomy for chemotherapy, edema often occurs in the area of the human lymph node.
일 예로, 유방암 수술 등을 통해 림프절을 절제한 환자들은 운동을 과하게 하는 경우, 림프절이 부어 올라서 문제를 야기시킨다.For example, patients who have undergone lymphadenectomy through breast cancer surgery can cause problems if the lymph nodes are swollen when they over-exercise.
따라서, 항암 치료 환자의 경우, 부종의 발생 위치, 크기 및 상태 등을 수시로 인지하여 치료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부종 발생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부종 측정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in the case of chemotherapy patients,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position, size and condition of edema from time to time and to treat it, and development of a edema measuring device which can easily confirm the occurrence of edema is required.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부종 발생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측정물의 단면 크기 변화의 측정이 가능하여 부종의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부종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dema measurement device capable of easily detecting whether edema occurs or not, The purpose.
또한, 피측정물(예를 들어, 팔 또는 다리) 측정을 수행함에 따라, 부종이 발생한 피측정물(예를 들어, 팔 또는 다리) 내의 부위를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는, 부종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dema measurement device capable of easily grasping a part in an object (for example, an arm or a leg) in which edema has occurred as a result of measurement of a measured object (e.g., an arm or a leg) The purpose.
본 발명의 목적은, 일정 길이의 메인 스트랩으로 이루어지며, 피측정물의 둘레를 둘러싸며 상기 피측정물을 따라 이동하는 밴드부; 상기 피측정물의 단면 크기의 변화에 따라 상기 메인 스트랩과 연결된 보조 스트랩을 상기 밴드부로 가변 공급하는 스트랩 공급부; 및 상기 스트랩 공급부로부터 상기 밴드부로 가변 공급된 상기 보조 스트랩의 길이를 측정하는 길이 측정부를 포함하는, 부종 측정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nd device comprising a main strap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surrounding a periphery of a measured object and moving along the measured object; A strap supply unit for variably supplying the auxiliary strap connected to the main strap to the band unit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cross-sectional size of the measured object; And a length measuring section for measuring the length of the auxiliary strap variably supplied from the strap supply section to the band section.
여기서, 상기 밴드부를 형성하는 메인 스트랩의 일 영역에는 복수의 볼이 장착될 수 있다.Here, a plurality of balls may be mounted on one region of the main strap forming the band portion.
상기 스트랩 공급부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And a housing for receiving the strap supply unit.
상기 길이 측정부는 광센서 또는 적외선센서일 수 있다.The length measuring unit may be an optical sensor or an infrared sensor.
피측정물에 착용된 상기 밴드부가 상기 피측정물을 따라 이동한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이동거리 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And a moving distance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 moving distance of the band part worn on the measured object along the measured object.
상기 이동거리 측정부는, 상기 하우징에 롤링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피측정물에 접촉하며 롤링하는 롤러; 및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어, 상기 롤러의 회전량을 측정하는 롤러 측정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vement distance measuring unit may include: a roller provided on the housing so as to be capable of rolling, the roller being in contact with the object to be measured and rolling; And a roller measuring sensor provided in the housing for measuring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roller.
롤러 측정센서는 광센서 또는 적외선센서일 수 있다.The roller measurement sensor may be an optical sensor or an infrared sensor.
상기 스트랩 공급부는,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어, 상기 보조 스트랩에 텐션을 제공하며 상기 보조 스트랩을 권취 및 권취해제하는 권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rap supply unit may further include a winding unit provided in the housing, for providing tension to the auxiliary strap and for winding and unwinding the auxiliary strap.
상기 길이 측정부에서 측정된 가변 길이 데이터를 외부 기기로 송신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길이 측정부에서 측정된 가변 길이 데이터와, 상기 이동거리 측정부에서 측정된 이동거리 데이터를 외부 기기로 송신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the variable length data measured by the length measuring unit to an external device or the variable length data measured by the length measuring unit and the moving distance data measured by the moving distance measuring unit, And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to the device.
상기 스트랩 공급부를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어, 상기 길이 측정부에서 측정된 가변 길이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스트랩 공급부를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어, 상기 길이 측정부에서 측정된 가변 길이 데이터와, 상기 이동거리 측정부에서 측정된 이동거리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A housing for receiving the strap supply portion; And a display unit provided on the housing for displaying variable length data measured by the length measuring unit, or a housing for receiving the strap supply unit; And a display unit provided on the housing to display variable length data measured by the length measuring unit and moving distance data measured by the moving distance measuring unit.
또한, 상기 외부 기기는, 상기 부종 측정장치로부터 획득된 가변 길이 데이터 및 이동거리 데이터를 누적하여 피측정자의 신체별 누적데이터를 구축하며, 상기 누적데이터를 기반으로 부종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기준데이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ternal device may be configured to accumulate variable length data and movement distance data acquired from the edema measurement device to build cumulative data for each subject of the subject, and to generate reference data for determining whether edema occurs based on the cumulative data And the like.
또한, 상기 외부 기기는, 특정한 측정시기에 상기 부종 측정장치로부터 수신되는 가변 길이 데이터 및 이동거리 데이터를 동일한 측정지점의 기준데이터와 비교하여, 각 측정지점의 부종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external device is characterized by comparing variable length data and moving distance data received from the edema measurement apparatus at a specific measurement time with reference data of the same measurement point to determine whether edema of each measurement point has occurred .
본 발명에 따르면, 부종 발생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측정물의 단면 크기 변화의 측정이 가능하여 부종의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determine whether edema occurs or not, and it is also possible to measure the change in the size of the cross-sectional size of the subject, thereby improving the measurement accuracy of edema.
또한, 피측정물을 따라 부종측정장치를 이동시키는 간편한 동작을 통해 부종이 발생한 피측정물의 특정한 지점을 파악할 수 있다.In addition, a specific point of the object to be edited can be grasped through a simple operation of moving the edema measuring device along the object to be measur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종 측정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종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피측정물의 부종을 측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종 측정장치와 외부기기 간의 연결관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측정물에 대한 기준데이터를 생성하여 이상부위를 파악하는 과정에 대한 순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dema measur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1,
3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measuring edema of a subject using an edema measur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n edema measurement device and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generating reference data for an object to be measu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etermining an abnormal region.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한편,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는 피측정물로서 인체의 팔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종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부종을 측정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종 측정장치는 팔 이외에 인체의 다리 등에도 적용하여 부종을 측정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 둔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edema is measured using an edema measur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object to be measured. However, in the edema measur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applied to the legs of the human body in addition to the arm to measure edema in advance.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종 측정장치가 도시되어 있다.1 and 2 show an edema measur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종 측정장치(10)는 밴드부(21), 스트랩 공급부(31), 길이 측정부(35)를 포함한다. As shown in these drawings, an
설명에 앞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밴드부(21)를 구성하는 기준 길이를 갖는 스트랩을 메인 스트랩(23)이라 하고, 스트랩 공급부(31)를 구성하는 스트랩을 보조 스트랩(33)이라 칭하여 설명한다. 메인 스트랩(23)과 보조 스트랩(33)은 동일한 형상과 크기를 가진다. 메인 스트랩(23)과 보조 스트랩(33)은 형상 유지가 용이하며 접촉감이 우수한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며, 메인 스트랩(23)과 보조 스트랩(33)은 합성수지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trap having the reference length constituting the
밴드부(21)는 하우징(11)으로부터 노출되게 마련되고, 스트랩 공급부(31)와 길이 측정부(35)는 하우징(11)에 수용된다.The
이러한 하우징(11)은 속이 빈 사각형 단면의 통 형상을 가진다. 또한, 하우징(11)은 밴드부(21)를 피측정물(5, 도 3참조)에 착용하여 이동시킬 때 손잡이의 역할도 한다.The housing (11) has a tubular shape with a hollow rectangular cross section. Also, the
밴드부(21)는 피측정물(5)의 둘레를 둘러싸며, 피측정물(5)의 표면을 따라 이동한다. 밴드부(21)는 일정 길이를 갖는 끈 형태의 메인 스트랩(23)으로 이루어진다. 밴드부(21)는 원형 단면의 링 형상을 가지며, 내측에 피측정물(5)이 부분 수용되도록 일정한 단면의 크기를 가진다. 메인 스트랩(23)의 일단부는 하우징(11)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보조 스트랩(33)과 연결되어 있다.The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밴드부(21)를 구성하는 메인 스트랩(23)에 구 형상을 갖는 복수의 볼(25)이 메인 스트랩(2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복수의 볼(25)은 일정 길이의 메인 스트랩(23)에 상호 밀착하며 일렬로 장착되며, 밴드부(21)로 보조 스트랩(33)이 제공되면 메인 스트랩(23)에 장착된 복수의 볼(25)은 부분적으로 서로 이격하거나 서로 밀착하며 메인 스트랩(23) 및 보조 스트랩(33)에 위치하게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이와 같이, 메인 스트랩(23)에 복수의 볼(25)을 장착함으로써, 밴드부(21)가 피측정물(5)에 착용되어 피측정물(5)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 메인 스트랩(23)에 장착된 볼(25)들에 의해 메인 스트랩(23)과 피측정물(5) 사이에 마찰력이 줄어들게 되어, 밴드부(21)를 피측정물(5)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By attaching the plurality of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밴드부(21)의 메인 스트랩(23)에 복수의 볼(25)이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밴드부(21)의 메인 스트랩(23)에 복수의 볼(25)을 장착하지 않고 밴드부(21)를 피측정물(5)의 둘레에 착용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스트랩 공급부(31)는 피측정물(5)의 단면 변화에 따라 밴드부(21)로 보조 스트랩(33)을 가변 공급한다.The
스트랩 공급부(31)의 보조 스트랩(33)은 하우징(11)에 인출입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보조 스트랩(33)의 일단부는 밴드부(21)의 메인 스트랩(23)과 연결되고, 타단부는 권취부(51)에 연결되어 있다.The auxiliary strap 33 of the
스트랩 공급부(31)의 보조 스트랩(33)은 피측정물(5)의 단면 크기의 변화에 따라 밴드부(21)로 공급 예컨대, 피측정물(5)의 단면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피측정물(5)의 증가된 둘레와 메인 스트랩(23) 기준 길이의 차이에 대응하는 길이의 보조 스트랩(33)이 스트랩 공급부(31)로부터 밴드부(21)로 공급되어, 피측정물(5)의 둘레는 기준 길이의 메인 스트랩(23)에 더하여 추가 공급된 보조 스트랩(33)에 의해 둘러싸이게 된다.The auxiliary strap 33 of the
길이 측정부(35)는 하우징(11)에 마련되어, 스트랩 공급부(31)로부터 밴드부(21)로 제공되는 보조 스트랩(33)이 밴드부(21)의 메인 스트랩(23)의 기준 길이 대비 증가된 길이를 측정한다. 길이 측정부(35)는 보조 스트랩(33)의 증가된 길이를 측정함으로써, 피측정물(5)의 측정된 해당 부위의 단면이 증가되었음을 확인함과 동시에, 증가된 단면의 크기도 확인할 수 있게 된다.The
여기서, 길이 측정부(35)는 보조 스트랩(33)과 비접촉하며 보조 스트랩(33)의 이동 길이를 측정하는 광센서 또는 적외선센서로 이루어지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접촉식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길이 측정부(35)는 보조 스트랩(33)이 밴드부(21)로 제공됨에 따라 하우징(11) 내부에서 회전하는 구성의 회전수를 측정하여, 밴드부(21)의 증가되는 길이를 산출할 수 있다.Here, th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종 측정장치(10)는 이동거리 측정부(41)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이동거리 측정부(41)는 피측정물(5)에 착용된 밴드부(21)가 피측정물(5)을 따라 이동한 이동거리를 측정한다.The moving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거리 측정부(41)로서, 롤러(43)와 롤러 측정센서(45)를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the moving
롤러(43)는 구 형상을 가지며, 피측정물(5)을 향하는 하우징(11)의 중앙에 롤링이 가능하게 마련된다. 롤러(43)는 피측정물(5)에 접촉하며 롤링하고, 이에 밴드부(21)가 피측정물(5)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 롤러(43)는 피측정물(5)의 표면을 따라 롤링하면서 원활하게 이동하게 된다.The
롤러 측정센서(45)는 롤러(43)와 인접하게 하우징(11)에 마련되어, 롤러(43)의 회전량을 측정하며, 측정된 회전량은 거리로 환산된다. 롤러 측정센서(45)는 롤러(43)와 비접촉하며 롤러(43)의 회전량을 측정하는 광센서 또는 적외선센서로 이루어지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이와 같이, 밴드부(21)를 이동시키며 피측정물(5)을 따라 이동한 거리를 이동거리 측정부(41)를 통해 측정함으로써, 피측정물(5)에서의 밴드부(21)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osition of the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밴드부(21)의 이동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이동거리 측정부(41)가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동거리 측정부(41)는 선택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거리 측정부(41)가 비접촉식 방식으로 밴드부(21)의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동거리 측정부(41)는 접촉식 방식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movement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종 측정장치(10)는 권취부(51)를 더 포함한다.Meanwhile, the
권취부(51)는 하우징(11)에 수용되어, 보조 스트랩(33)에 텐션을 제공하며 보조 스트랩(33)을 권취 및 권취해제한다. 권취부(51)는 인장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나선형 스프링, 일명 태엽 스프링 형태의 탄성부재(미도시)를 포함하며, 밴드부(21)의 메인 스트랩(23)이 일정 길이로 초기의 단면 형상을 유지하도록 보조 스트랩(33)에 탄성력을 제공한다.The winding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종 측정장치(10)는 피측정물(5)의 단면 크기의 증가가 발생하면, 피측정물(5)의 단면 증가에 대응하는 길이의 보조 스트랩(33)이 스트랩 공급부(31)로부터 밴드부(21)로 추가 공급되어 메인 스트랩(23)과 함께 피측정물(5)의 둘레를 둘러싼다. 즉, 밴드부(21)를 형성하는 전체 길이의 스트랩은 예컨대, 기준 길이의 메인 스트랩(23)과 추가된 길이의 보조 스트랩(33)은 권취부(51)의 텐션 작용에 의해 피측정물(5)의 둘레를 둘러싸게 된다.Therefore, the
또한, 피측정물(5)의 단면 크기의 감소가 발생하면, 권취부(51)의 텐션 작용에 의해 피측정물(5)의 단면 감소량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밴드부(21)를 형성하는 메인 스트랩(23)과 보조 스트랩(33)의 전체 길이가 줄어들면서 밴드부(21)의 메인 스트랩(23)과 보조 스트랩(33)은 피측정물(5)의 둘레를 둘러싸게 된다. When the sectional size of the measured
그리고, 피측정물(5)의 단면의 크기가 예컨대, 피측정물(5)의 둘레 길이가 측정 전 밴드부(21)의 메인 스트랩(23)의 기준 길이에 도달하면, 권취부(51)는 보조 스트랩(33)에 텐션을 작용하지 않게 된다.When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measured
상기와 같이 길이 측정부(35)에서 측정된 보조 스트랩(33)의 가변 길이 데이터와, 이동거리 측정부(41)에서 측정된 밴드부(21)의 이동거리 데이터는 하우징(11)에 내장된 제어부(61)로 전송되어 저장된다. 상기 보조 스트랩(33)의 가변 길이 데이터는 동일한 시점에 획득되는 이동거리 데이터(즉, 특정한 측정시작지점으로부터의 이동거리 데이터)와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The variable length data of the auxiliary strap 33 measured by th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종 측정장치(10)는 각 측정부(35,41)에서 측정된 가변 길이 데이터와 밴드부(21)의 이동거리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외부 기기(미도시)로 송신하기 위한 통신모듈(65)을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 기기는 부종 측정장치와 연동되는 이동단말기 또는 이동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가 해당될 수 있다.Further, the
통신모듈(65)은 하우징(11)에 마련되어, 외부 기기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종 측정장치(10)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동기화하여, 통신모듈(65)은 각 측정부(35,41)에서 측정된 가변 길이 데이터와 밴드부(21)의 이동거리 데이터를 제어부(61)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외부 기기인 서버 또는 이동단말기 등에 제공하게 된다.The
한편, 각 측정부(35,41)에서 측정된 가변 길이 데이터와 밴드부(21)의 이동거리 데이터는 부종 측정장치(10)에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구비하여 측정된 데이터를 표시하거나, 또는 통신 모듈(65)과 연동하는 이동단말기 또는 서버로 전송되어 표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variable length data measured by the measuring
그리고, 도 4에서와 같이, 각 측정부(35,41)에서 측정된 가변 길이 데이터와 밴드부(21)의 이동거리 데이터는 연동하는 이동단말기 내에 누적되거나, 또는 이동단말기를 통해 서버로 전송하여 서버에 누적될 수 있다.4, the variable length data measured by the measuring
또한, 피측정자의 실시간으로 측정된 가변 길이 데이터와 밴드부(21)의 이동거리 데이터는 이동단말기 또는 서버에 누적된 누적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피측정자의 특정 부위가 기준 데이터값보다 증가하였는지를 확인하여 기준 데이터값에 비해 특정 비율 이상으로 증가하면, 피측정자의 특정 부위가 부종이 발생하여 부풀어 오른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The variable length data measured in real time of the subject and the moving distance data of the
일실시예로, 도 5에서와 같이, 피측정자의 특정한 신체부위(예를 들어, 팔 또는 다리)를 복수 회 측정(예를 들어, 이동단말기 또는 부종측정장치에 의해 특정시간 간격으로 제공되는 요청에 따른 주기적인 측정)을 수행함에 따라 길이 데이터와 이동거리 데이터의 빅데이터가 구축될 수 있다(S200). 서버 또는 이동단말기는 획득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피측정자의 특정한 신체부위의 정상상태에 해당하는 기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300). 서버 또는 이동단말기는 특정한 측정시점에 획득된 길이 데이터 및 이동거리 데이터를 기준데이터와 비교하여 신체부위의 각 지점이 부풀어 올랐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400). 서버 또는 이동단말기는 특정한 신체지점이 기준데이터 이상으로 부풀어오른 경우에 이상부위로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s in FIG. 5, a particular body part (e.g., an arm or a leg) of a subject is measured multiple times (e.g., a request provided at a specific time interval by a mobile terminal or an edema measurement device) The large data of the length data and the moving distance data can be constructed (S200). The server or the mobile terminal can generate reference data corresponding to a normal state of a specific body part of the subject on the basis of the acquired big data (S300). The server or the mobile terminal may compare the length data and the movement distance data obtained at the specific measurement time with the reference data to determine whether or not each point of the body part is swollen (S400). The server or the mobile terminal may determine that the specific body point is inflated beyond the reference data, and may provide the user with a notification that the abnormal body part is abnormal.
구체적으로, 이동거리 데이터 또는 가변 길이데이터에 대한 빅데이터(즉, 누적데이터) 구축단계(S200)은, 외부 기기가 각 환자(즉, 피측정자)별로 데이터를 누적할 수 있으며, 측정되는 피측정물(5)(즉, 측정되는 신체부위)의 각 지점별로 나누어서 데이터를 누적할 수 있다. 상기 외부 기기는 이동거리 데이터를 측정지점 판단을 위한 데이터로 이용하며, 가변 길이데이터를 해당 측정지점의 둘레 산출을 위한 데이터로 이용할 수 있다. 즉, 동일한 측정지점은 부종측정장치(10)의 이동시작지점을 기준으로 측정된 이동거리 데이터 값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각 측정지점의 둘레 길이는 각 이동거리데이터와 동일한 시점에 측정된 가변 길이데이터를 해당 측정지점에서의 측정값으로 판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tep of constructing the big data (i.e., cumulative data) for the moving distance data or the variable length data allows the external device to accumulate data for each patient (i.e., the subject) Data can be accumulated by dividing each point of the water 5 (i.e., the body part to be measured). The external device may use the moving distance data as data for determining a measuring point and use the variable length data as data for calculating the circumference of the corresponding measuring point. That is, the same measurement point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ovement distance data value measured based on the movement start point of the
그 후, S300에서, 외부기기는 각 측정지점의 누적데이터의 평균을 통해 기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기기는 이동거리 데이터에 따른 각 측정지점별로 누적된 가변 길이데이터의 평균을 산출하여 기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기준데이터는 특정한 피측정자의 피측정물(피측정부위)가 정상으로 판단되는 둘레길이(즉, 가변 길이데이터 값)를 의미할 수 있다.Thereafter, in S300, the external device can generate the reference data through an average of the cumulative data of each measurement point. For example, the external device can generate the reference data by calculating the average of the accumulated variable length data for each measurement point according to the movement distance data. The reference data may mean a circumferential length (i.e., a variable length data value) at which a measured object (a measured portion) of a specific subject is judged to be normal.
그 후, 특정한 피측정자의 특정한 신체부위(즉, 피측정물(5))에 대해 누적데이터가 구축된 경우, 상기 S400에서, 외부 기기는 신규 획득되는 특정 피측정물(5)에 대한 측정데이터를 해당 피측정물(5)에 대한 기준데이터와 비교하여 이상부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외부 기기는 정상상태의 최대 범위인 기준데이터를 초과하면 부종발생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기기는 초과한 비율을 판단하여 이상상태수준(즉, 부종발생수준)을 판단할 수 있다.Thereafter, when cumulative data is established for a specific body part (i.e., the object to be measured 5) of a specific subject, in step S400, the external device obtains measurement data Is compared with the reference data for the measured
그리고,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이상 부위의 위치와 상태를 안내 예컨대, 부종 발생 위치의 산출은 측정된 전체 길이를 기준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결정하고, 해당 위치에 상응하는 신체 부위 명칭을 표시할 수도 있고, 피측정물의 이미지 상에서 대응되는 지점을 표시할 수 있다.The position and state of the abnormal site are guided through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the position of the edible site can be calculated by determining the corresponding position based on the measured total length, and displaying the corresponding body site name And can display a corresponding point on the image of the object to be measured.
여기서, 미 설명된 참조부호 55는 하우징(11)에 수용되어, 보조 스트랩(33)의 이동방향을 전환하는 방향 전환 롤러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종 측정장치(10)를 이용하여 부종을 측정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process of measuring edema using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종 측정장치(10)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측정물(5)로서 인체의 팔에 착용하여 팔에 발생한 부종을 측정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ocedure of measuring the edema developed in the arm by wearing th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의 측정 기준 위치인 'A'위치에 부종 측정장치(10)가 위치하도록 착용한 후, 부종 측정장치(10)를 팔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밴드부(21)를 이동시킨다.As shown in FIG. 3, after the
부종 측정장치(10)를 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도중에, 도 3의 'B'위치의 전후 위치에서 급격한 단면 크기의 편차가 발생한다. 즉, 팔의 'B'위치에서의 팔의 단면 크기에 비해 팔의 'C'위치에서의 팔의 단면 크기가 급격하게 작아진다.During the movement of the
즉, 길이 측정부(35)를 통해 측정된 팔의 'B'위치에서 스트랩 공급부(31)로부터 밴드부(21)로 추가로 공급된 보조 스트랩(33)의 길이에 비해, 팔의 'C'위치에서 스트랩 공급부(31)로부터 밴드부(21)로 추가로 공급된 보조 스트랩(33)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작게 된다.That is, compared to the length of the auxiliary strap 33 further supplied from the
이로써, 팔의 'B'위치에서 팔의 이상 단면 현상을 확인하게 되어, 팔의 'B'위치에서 부종이 발생하였음을 확인함과 동시에 부종의 크기도 확인할 수 있게 된다.This confirms the abnorm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arm at the 'B' position of the arm, confirming the occurrence of edema at the 'B' position of the arm, and at the same time the magnitude of the edema.
동시에, 이동거리 측정부(41)를 통해 측정 기준 위치인 'A'위치로부터 밴드부(21)의 이동거리를 측정하여, 측정 기준 위치인 'A'위치로부터 부종 발생부인 'B'위치도 확인할 수 있게 된다.At the same time,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또한, 각 측정부(35,41)에서 측정된 가변 길이 데이터와 밴드부(21)의 이동거리 데이터는 통신모듈(65)을 통해 실시간으로 외부 기기로 송신되어, 팔의 부종 발생 여부 및 상태 등을 용이하게 파악 및 관리할 수 있게 된다.The variable length data measured by each of the measuring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피측정물의 단면 크기의 변화에 따라 피측정물을 둘러싸는 밴드부로 보조 스트랩을 가변 공급하고, 길이 측정부를 통해 스트랩 공급부로부터 밴드부로 가변 공급된 보조 스트랩의 길이를 측정함으로써, 부종 발생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측정물의 단면 크기 변화의 측정이 가능하여 부종의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strap is variably supplied to the band portion surrounding the measured object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the cross-sectional size of the measured object, and the length of the auxiliary strap, which is variably supplied from the strap supply portion to the band portion, Thus, it is possible to easily determine whether edema occurs or not, and it is also possible to measure the change in the size of the cross-sectional size of the subject, thereby improving the measurement accuracy of the edema.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밴드부의 기준 길이를 형성하는 메인 스트랩에만 복수의 볼이 장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메인 스트랩과 보조 스트랩에 걸쳐 복수의 볼이 장착될 수도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plurality of balls are shown as being mounted on only the main strap forming the reference length of the band por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plurality of balls may be mounted on the main strap and the auxiliary strap.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통신모듈은 길이 측정부에서 측정된 가변 길이 데이터와, 이동거리 측정부에서 측정된 이동거리 데이터를 외부 기기로 송신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동 거리측정부를 구비하지 않은 경우 통신모듈은 길이 측정부에서 측정된 가변 길이 데이터만을 외부 기기로 송신할 수도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described as transmitting variable length data measured by the length measuring unit and moving distance data measured by the moving distance measuring unit to an external devic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The communication module may transmit only the variable length data measured by the length measuring unit to the external device.
5 : 피측정물 10 : 부종 측정장치
11 : 하우징 21 : 밴드부
23 : 메인 스트랩 25 : 볼
31 : 스트랩 공급부 33 : 보조 스트랩
35 : 길이 측정부 41 : 이동거리 측정부
43 : 롤러 45 : 롤러 측정센서
51 : 권취부 61 : 제어부
65 : 통신모듈5: Measuring object 10: Edema measuring device
11: housing 21: band portion
23: main strap 25: ball
31: strap supply part 33: auxiliary strap
35: length measuring unit 41: moving distance measuring unit
43: roller 45: roller measuring sensor
51: winding section 61:
65: Communication module
Claims (14)
상기 피측정물의 단면 크기의 변화에 따라 상기 메인 스트랩과 연결된 보조 스트랩을 상기 밴드부로 가변 공급하는 스트랩 공급부; 및
상기 스트랩 공급부로부터 상기 밴드부로 가변 공급된 상기 보조 스트랩의 길이를 측정하는 길이 측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밴드부를 형성하는 메인 스트랩의 일 영역에는 복수의 볼이 장착된, 부종 측정장치.A band part which is formed of a main strap of a predetermined length and surrounds the object to be measured and moves along the object to be measured;
A strap supply part for variably supplying the auxiliary strap connected to the main strap to the band part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cross-sectional size of the measured object; And
And a length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 length of the auxiliary strap variably supplied from the strap supply unit to the band unit,
Wherein a plurality of balls are mounted on one region of the main strap forming the band portion.
상기 스트랩 공급부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부종 측정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housing for receiving the strap supply portion.
상기 길이 측정부는 광센서 또는 적외선센서인, 부종 측정장치.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length measuring unit is an optical sensor or an infrared sensor.
피측정물에 착용된 상기 밴드부가 상기 피측정물을 따라 이동한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이동거리 측정부를 포함하는, 부종 측정장치.The method of claim 3,
And a moving distance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 moving distance of the band portion worn on the measured object along the measured object.
상기 이동거리 측정부는,
상기 하우징에 롤링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피측정물에 접촉하며 롤링하는 롤러; 및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어, 상기 롤러의 회전량을 측정하는 롤러 측정센서를 포함하는, 부종 측정장치.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moving distance measuring unit comprises:
A roller provided on the housing so as to be capable of rolling, the roller being in contact with the object to be measured and rolling; And
And a roller measurement sensor provided in the housing, for measuring a rotation amount of the roller.
상기 롤러 측정센서는 광센서 또는 적외선센서인, 부종 측정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roller measuring sensor is an optical sensor or an infrared sensor.
상기 스트랩 공급부는,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어, 상기 보조 스트랩에 텐션을 제공하며 상기 보조 스트랩을 권취 및 권취해제하는 권취부를 더 포함하는, 부종 측정장치.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trap supply unit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winding portion provided in the housing for providing tension to the auxiliary strap and for winding up and unwinding the auxiliary strap.
상기 길이 측정부에서 측정된 가변 길이 데이터를 외부 기기로 송신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부종 측정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the variable length data measured by the length measuring unit to an external device.
상기 스트랩 공급부를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어, 상기 길이 측정부에서 측정된 가변 길이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부종 측정장치.10. The method of claim 9,
A housing for receiving the strap supply portion; And
And a display unit provided on the housing for displaying variable length data measured by the length measuring unit.
상기 길이 측정부에서 측정된 가변 길이 데이터와, 상기 이동거리 측정부에서 측정된 이동거리 데이터를 외부 기기로 송신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부종 측정장치.6. The method of claim 5,
And 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the variable length data measured by the length measuring unit and the moving distance data measured by the moving distance measuring unit to an external device.
상기 스트랩 공급부를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어, 상기 길이 측정부에서 측정된 가변 길이 데이터와, 상기 이동거리 측정부에서 측정된 이동거리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부종 측정장치.12. The method of claim 11,
A housing for receiving the strap supply portion; And
And a display unit provided on the housing for displaying variable length data measured by the length measuring unit and moving distance data measured by the moving distance measuring unit.
상기 외부 기기는,
상기 부종 측정장치로부터 획득된 가변 길이 데이터 및 이동거리 데이터를 누적하여 피측정자의 신체별 누적데이터를 구축하며,
상기 누적데이터를 기반으로 부종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기준데이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종 측정장치.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external device
Accumulating variable length data and movement distance data acquired from the edema measurement device to build cumulative data for each subject of the subject,
Wherein the reference data is used to determine whether edema occurs based on the cumulative data.
상기 외부 기기는,
특정한 측정시기에 상기 부종 측정장치로부터 수신되는 가변 길이 데이터 및 이동거리 데이터를 동일한 측정지점의 기준데이터와 비교하여, 각 측정지점의 부종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종 측정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external device
And comparing the variable length data and the moving distance data received from the edema measurement apparatus with the reference data of the same measurement point at a specific measurement time to determine whether edema of each measurement point has occurr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65946A KR101791495B1 (en) | 2016-05-27 | 2016-05-27 | Device for measuring edema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65946A KR101791495B1 (en) | 2016-05-27 | 2016-05-27 | Device for measuring edema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91495B1 true KR101791495B1 (en) | 2017-10-30 |
Family
ID=60301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65946A KR101791495B1 (en) | 2016-05-27 | 2016-05-27 | Device for measuring edema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91495B1 (en)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575171A (en) * | 2019-09-23 | 2019-12-17 | 中国中医科学院望京医院 | Patella circumference measuring device |
US20200029860A1 (en) * | 2018-07-25 | 2020-01-30 | Yer-Yian Hoe | Apparatus for measurement of a limb circumference, a device for measurement of a limb compliance comprising the same and a device used in the treatment of lymphedema comprising the same |
CN110772256A (en) * | 2018-07-25 | 2020-02-11 | 何哲彦 | Limb circumference detection device, and limb compliance measurement device and lymphedema treatment device formed by utilizing same |
KR102324611B1 (en) * | 2020-08-13 | 2021-11-11 |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 Device for diagnosing edema |
KR20220049060A (en) | 2020-10-13 | 2022-04-21 |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 Apparatus for diagnosing lymphedema using skin tension and method using the same |
KR20220111787A (en) | 2021-02-02 | 2022-08-10 |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 Lymphedema measurement device using segmented biological impedance measurement |
KR102514769B1 (en) * | 2021-10-21 | 2023-03-29 | 김기준 | Smart measuring tap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029458A (en) * | 2008-07-29 | 2010-02-12 | Omron Healthcare Co Ltd | Blood pressure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
KR101338324B1 (en) * | 2012-11-01 | 2013-12-06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alculating infant dosage and automatic feed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
-
2016
- 2016-05-27 KR KR1020160065946A patent/KR101791495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029458A (en) * | 2008-07-29 | 2010-02-12 | Omron Healthcare Co Ltd | Blood pressure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
KR101338324B1 (en) * | 2012-11-01 | 2013-12-06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alculating infant dosage and automatic feed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
Cited B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670435A (en) * | 2018-07-25 | 2023-02-03 | 何哲彦 | Limb circumference detection device, and limb compliance measurement device and lymphedema treatment device formed by utilizing same |
US20200029860A1 (en) * | 2018-07-25 | 2020-01-30 | Yer-Yian Hoe | Apparatus for measurement of a limb circumference, a device for measurement of a limb compliance comprising the same and a device used in the treatment of lymphedema comprising the same |
JP2020014852A (en) * | 2018-07-25 | 2020-01-30 | 哲 彦 何 | Limb circumference detecting device, limb compliance measuring device and lymphedema treatment device configured using the same |
CN110772256A (en) * | 2018-07-25 | 2020-02-11 | 何哲彦 | Limb circumference detection device, and limb compliance measurement device and lymphedema treatment device formed by utilizing same |
EP3598941A3 (en) * | 2018-07-25 | 2020-04-08 | Yer-Yien Hoe | An apparatus for measurement of a limb circumference, a device for measurement of a limb compliance comprising the same and a device used in the treatment of lymphedema comprising the same |
US11583207B2 (en) * | 2018-07-25 | 2023-02-21 | Yer-Yian Hoe | Apparatus for measurement of a limb circumference, a device for measurement of a limb compliance comprising the same and a device used in the treatment of lymphedema comprising the same |
CN110575171A (en) * | 2019-09-23 | 2019-12-17 | 中国中医科学院望京医院 | Patella circumference measuring device |
KR102324611B1 (en) * | 2020-08-13 | 2021-11-11 |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 Device for diagnosing edema |
KR20220049060A (en) | 2020-10-13 | 2022-04-21 |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 Apparatus for diagnosing lymphedema using skin tension and method using the same |
KR20230018353A (en) | 2020-10-13 | 2023-02-07 |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 Apparatus and method for predicting progress of lymphedema using skin tension |
KR20220111787A (en) | 2021-02-02 | 2022-08-10 |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 Lymphedema measurement device using segmented biological impedance measurement |
KR20230149766A (en) | 2021-02-02 | 2023-10-27 |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 Lymphedema measurement device with adjustable bioimpedance measurement location |
KR102514769B1 (en) * | 2021-10-21 | 2023-03-29 | 김기준 | Smart measuring tap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91495B1 (en) | Device for measuring edema | |
US10349867B2 (en) | Device for taking a measurement | |
US11147475B2 (en) | Device for measuring the circumference of an object | |
US20160213398A1 (en) | Ultrasound needle guide apparatus | |
EP3598941B1 (en) | An apparatus for measurement of a limb circumference, a device for measurement of a limb compliance comprising the same and a device used in the treatment of lymphedema comprising the same | |
KR101380893B1 (en) | Measurement device for urinary detrusor pressure | |
EP2731570B1 (en) | Roller device for lymphatic drainage treatments | |
MX2018011426A (en) | An apparatus and method to locate, measure, monitor, and treat inflammation of the skin's soft tissue and fascia layers. | |
CA3126755A1 (en) | Device for measuring the circumference of an object, in particular of a body part | |
CN104523223B (en) | Portable intraocular pressure detector and intraocular pressure detection method | |
KR101618443B1 (en) | Exercise system for posture and movement correction | |
ES2958756T3 (en) | A measuring device | |
CN107666850B (en) | Optical fiber management in a medical instrument backend | |
US20170265811A1 (en) | Strap for a portable pulse measuring device and a portable pulse measuring device | |
JP2011067344A (en) | Body composition measuring device | |
US11197724B2 (en) | Medical probe | |
KR101907625B1 (en) | Musculoskeletal functional assessment index measuring device | |
KR20200095839A (en) | Body Sensor | |
KR102248423B1 (en) | Pelvic posture tracking device | |
CN208989114U (en) | Argon Helium Knife Device for Cryoablation | |
CN205866725U (en) | Mirror is inspected in full -length skin nursing | |
US20170231511A1 (en) | Skin perfusion pressure measuring apparatus | |
KR20220007464A (en) |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manuaul muscle using mobile terminal | |
TR201907277A2 (en) | Tumor prosthesis autonomous control and extension system. | |
มาลี ทิพย์ อาชีว กุล มา ศ et al. | Risk Factors for Multi-Drug 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 Nosocomial Infection, Chaiyaphum Hospit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1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0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10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0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0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1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