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1287B1 - 차량의 조향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조향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91287B1 KR101791287B1 KR1020130033570A KR20130033570A KR101791287B1 KR 101791287 B1 KR101791287 B1 KR 101791287B1 KR 1020130033570 A KR1020130033570 A KR 1020130033570A KR 20130033570 A KR20130033570 A KR 20130033570A KR 101791287 B1 KR101791287 B1 KR 10179128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ring
- unit
- vehicle
- locking motor
- curr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30—Safety devices, e.g. alternate emergency power supply or transmission means to ensure steering upon failure of the primary steer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2—Ensuring safety in case of control system failures, e.g. by diagnosing,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5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 B62D5/046—Controlling the motor
- B62D5/0463—Controlling the motor calculating assisting torque from the motor based on driver inpu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5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 B62D5/0481—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monitoring the steering system, e.g. fail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조향장치에 대해 응급상황이 발생한 경우라도 운전자의 조향 의지가 정상적으로 차량 바퀴까지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조향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기구부를 통해 조향 휠 및 랙바와 각각 연결되는 락킹 모터; 및 미리 설정된 조향 오작동 판단기준과 현재 차량의 동작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조향장치가 현재 오작동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운전자에 의한 상기 조향 휠의 조작이 상기 락킹 모터를 통해 상기 랙바로 전달되도록 상기 락킹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보조 조향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조향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조향장치에 있어서, 전자제어장치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조향장치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조향장치에 있어서, 락킹모터의 상세 구성이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조향장치의 구성이 도시된 구성도이다.
40: 조향 모터 50: 랙바
100: ECU 110: 오작동 판단부
120: 락킹모터 제어부 200: 락킹모터
300: 보조 조향제어부
Claims (6)
- 차량의 조향장치에 있어서,
제1 기구부를 통해 조향 휠과 연결되고 제2 기구부를 통해 주 조향장치부와 별도로 랙바와 연결되는 락킹 모터(locking motor); 및
미리 설정된 조향 오작동 판단기준과 현재 차량의 동작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주 조향장치부가 현재 오작동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조향 휠의 조작에 따른 조향력이 보조 조향장치부의 상기 락킹 모터를 통해 상기 랙바로 전달되도록 제어하는 보조 조향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보조 조향제어부는,
상기 주 조향장치부가 정상 작동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락킹 모터의 전기적 고착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제1 기구부 및 상기 제2 기구부간 연결이 해제되도록 상기 락킹 모터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주 조향장치부가 오작동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운전자가 상기 조향 휠에 가하는 조향력이 상기 보조 조향장치부를 통해 상기 랙바로 전달되도록 상기 락킹 모터가 전기적으로 고착상태가 되도록 전류를 인가하고, 상기 주 조향장치부의 제어를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향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조향제어부는,
상기 차량에 장착된 G 센서의 감지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이상으로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 유지되면, 상기 차량의 조향장치부가 오작동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향장치.
- 차량의 조향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센서로부터 수신된 감지값을 토대로 주 조향장치부가 오작동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오작동 판단부;
상기 오작동 판단부의 판단결과, 상기 주 조향장치부가 정상작동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량에 장착된 토크 센서로부터 수신된 감지값을 토대로 조향 모터에 인가될 전류를 제어하는 조향모터 제어부; 및
상기 오작동 판단부의 판단결과, 상기 주 조향장치부가 오작동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1 기구부를 통해 조향 휠과 연결되고 제2 기구부를 통해 주 조향장치와 별도로 랙바와 별도로 연결되는 락킹 모터가 전기적 고착상태가 되도록 전류를 제어하는 락킹모터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조향 모터 제어부는,
상기 주 조향장치부가 오작동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조향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의 제어를 중지하고,
상기 락킹 모터 제어부는,
상기 주 조향장치부가 정상 작동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락킹 모터의 전기적 고착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락킹 모터의 전기적 고착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제1 기구부 및 상기 제2 기구부간 연결이 해제되도록 상기 락킹 모터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도록하고,
상기 주 조향장치부가 오작동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운전자가 상기 조향 휠에 가하는 조향력이 보조 조향장치부를 통해 상기 랙바로 전달되록 상기 락킹 모터가 전기적으로 고착상태가 되도록 전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향장치.
- 차량의 조향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주 조향장치부가 동작을 시작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센서로부터 수신된 감지값을 토대로 상기 주 조향장치부가 오작동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
판단결과, 상기 주 조향장치부가 오작동 상태인 경우, 제1 기구부를 통해 조향 휠과 연결되고 제2 기구부를 통해 주 조향장치부와 별도로 랙바와 연결되는 락킹 모터가 전기적 고착상태가 되도록 전류를 인가하는 단계; 및
운전자에 의해 상기 조향 휠이 조작되면, 상기 조향 휠에 가해진 조향력이 부 조향장치부의 상기 락킹 모터를 통해 상기 랙바로 전달되어 조향이 이루어지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전류를 인가하는 단계는,
상기 주 조향장치부가 정상 작동 상태인 경우, 상기 락킹 모터의 전기적 고착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제1 기구부 및 상기 제2 기구부간 연결이 해제되도록 상기 락킹 모터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주 조향장치부가 오작동 상태인 경우, 상기 조향 휠에 가하는 조향력이 보조 조향장치부의 상기 락킹모터를 통해 상기 랙바로 전달되도록 상기 락킹 모터가 전기적으로 고착상태가 되도록 전류를 인가하고, 상기 주 조향장치부의 제어를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향장치의 제어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33570A KR101791287B1 (ko) | 2013-03-28 | 2013-03-28 | 차량의 조향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33570A KR101791287B1 (ko) | 2013-03-28 | 2013-03-28 | 차량의 조향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18145A KR20140118145A (ko) | 2014-10-08 |
KR101791287B1 true KR101791287B1 (ko) | 2017-11-20 |
Family
ID=51991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33570A Active KR101791287B1 (ko) | 2013-03-28 | 2013-03-28 | 차량의 조향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9128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103305A1 (ko) * | 2017-11-23 | 2019-05-31 | (주)케이에이알 | 전동식 조향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027773B2 (en) * | 2017-09-21 | 2021-06-08 |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 Steer by wire system diagnostic |
KR102745862B1 (ko) * | 2021-11-25 | 2024-12-24 |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 차량 조향 장치 및 차량 조향 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506509B2 (ja) * | 2005-03-01 | 2010-07-21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操舵制御装置 |
JP4984504B2 (ja) * | 2005-11-29 | 2012-07-25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車両用操舵制御装置 |
-
2013
- 2013-03-28 KR KR1020130033570A patent/KR101791287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506509B2 (ja) * | 2005-03-01 | 2010-07-21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操舵制御装置 |
JP4984504B2 (ja) * | 2005-11-29 | 2012-07-25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車両用操舵制御装置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103305A1 (ko) * | 2017-11-23 | 2019-05-31 | (주)케이에이알 | 전동식 조향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18145A (ko) | 2014-10-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352770B2 (en) |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 |
JP6224816B2 (ja) | 車両搭載機器の制御装置および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 |
US7837004B2 (en) | Steering assisting system for vehicle | |
US9988072B2 (en) | Steering apparatus | |
US9061699B2 (en) | Vehicle steering system | |
KR101951247B1 (ko) |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및 전자 제어 장치의 페일 세이프 처리 방법 | |
EP1676767A2 (en) | Vehicle steering apparatus | |
EP2905201A1 (en) | Steering control device, and steering control method | |
EP2168843B1 (en) |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 |
US20180037254A1 (en) | Vehicle Steering System | |
US20080004773A1 (en) | Control device for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 |
EP3196096B1 (en) |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 |
CN110641547B (zh) | 车辆用转向系统 | |
EP3144205B1 (en) | Limp aside steering assist with estimated motor current | |
EP3504106B1 (en) | Moisture sensing in electric motors of motor vehicle steering systems with pull-up resistor | |
JP2020102942A (ja) | モータ制御装置 | |
KR101791287B1 (ko) | 차량의 조향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 |
JP2013256276A (ja) |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システムの故障制御方法及び装置 | |
US12145665B2 (en) | Steer-by-wire steering system | |
US20190263444A1 (en) | Steering control device | |
JP4062207B2 (ja) | 車両用操舵装置 | |
JP6721214B2 (ja) | モータ制御装置 | |
KR20160010787A (ko) | 롤링 능동 제어장치 | |
JP7186809B2 (ja) |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 |
JP2013241030A (ja) |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328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409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4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3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5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1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0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10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