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0992B1 - 나노섬유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나노섬유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90992B1 KR101790992B1 KR1020160050832A KR20160050832A KR101790992B1 KR 101790992 B1 KR101790992 B1 KR 101790992B1 KR 1020160050832 A KR1020160050832 A KR 1020160050832A KR 20160050832 A KR20160050832 A KR 20160050832A KR 101790992 B1 KR101790992 B1 KR 1017909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n
- base member
- nanofibers
- pin member
- coupl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2121 nanofibe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7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8000001523 electrospin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123 defe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86 nano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05 nano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1 phase sepa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338 self-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87 template synthe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007—Electro-spinning
- D01D5/0061—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electro-spinning apparatus
- D01D5/0076—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electro-spinn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collecting device, e.g. drum, wheel, endless belt, plate or grid
-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007—Electro-spinning
- D01D5/0061—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electro-spinning apparatus
-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007—Electro-spinning
- D01D5/0061—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electro-spinning apparatus
- D01D5/0069—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electro-spinn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pinning section, e.g. capillary tube, protrusion or pin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25/00—Woven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25/00—Woven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3D25/005—Three-dimensional woven fabric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7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 D04H1/7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 D04H1/72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by electro-spin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나노섬유 제조장치는, 나노섬유를 전기방사하는 노즐부와, 상기 노즐부로부터 이격 배치되어 상기 노즐부에서 전기방사된 나노섬유를 포집하는 콜렉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나노섬유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콜렉터는, 상기 노즐부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결합된 전도체 재질의 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핀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재보다 상기 노즐부 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상기 노즐부에서 상기 베이스부재 방향으로 전기방사된 나노섬유가 상기 베이스부재보다 상기 핀부재의 끝단에 먼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노섬유 제조장치의 타방향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노섬유 제조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노섬유 제조장치에 의해 나노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에서 핀돌출단계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서 노즐부를 통해 나노섬유를 전기방사를 하는 전기방사단계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서 핀부재가 후퇴하는 후퇴단계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에서 핀부재가 다시 전진하는 핀돌출단계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노섬유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서 핀부재의 배열에 따라 결합되는 나노섬유를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나노섬유 제조장치에서 콜렉터의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노섬유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나노섬유의 사진.
20 : 콜렉터,
21 : 베이스부재, 22 : 전방부재, 23 : 후방부재, 24 : 관통공,
25 : 핀부재, 26 : 걸림턱,
30 : 핀구동부, 31 : 지지대, 32 : 수직지지대, 33 : 수평지지대, 34 : 가압부재,
40 : 나노섬유.
Claims (14)
- 삭제
- 나노섬유를 전기방사하는 노즐부와, 상기 노즐부로부터 이격 배치되어 상기 노즐부에서 전기방사된 나노섬유를 포집하는 콜렉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나노섬유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콜렉터는,
상기 노즐부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결합된 전도체 재질의 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핀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재보다 상기 노즐부 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상기 노즐부에서 상기 베이스부재 방향으로 전기방사된 나노섬유가 상기 베이스부재보다 상기 핀부재의 끝단에 먼저 결합되며,
상기 핀부재는 상기 노즐부가 배치된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부재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제조장치. -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에 대한 상기 베이스부재의 부착력은 상기 핀부재 끝단의 부착력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제조장치. -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핀부재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핀구동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제조장치. - 청구항4에 있어서,
상기 핀구동부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어 상기 콜렉터의 후방에 배치되고, 끝단이 상기 핀부재 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가압부재의 전후 이동에 의해 상기 핀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제조장치. - 청구항5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수직지지대와;
상기 수직지지대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수평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수평지지대에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제조장치. -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에는 상기 핀부재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핀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핀부재가 전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베이스부재에 걸려 이동거리가 제한되도록 하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제조장치. -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기 노즐부와 대면하고, 절연체 재질로 이루어진 전방부재와;
상기 전방부재의 후면에 결합되고 전도체 재질로 이루어진 후방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후방부재에는 접지부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제조장치. -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는 절연체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핀부재에 접지부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제조장치. - 나노섬유를 전기방사하는 노즐부와, 상기 노즐부로부터 이격되고 핀부재가 결합된 베이스부재를 배치하는 배치단계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결합된 상기 핀부재를 상기 베이스부재보다 상기 노즐부 방향으로 더 돌출되게 배치하는 핀돌출단계와;
상기 노즐부를 통해 나노섬유를 전기방사하는 전기방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핀부재는 전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기방사단계에서 상기 노즐부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재 방향으로 전기방사된 나노섬유는 상기 베이스부재보다 더 돌출된 상기 핀부재의 끝단에 먼저 결합되며,
상기 핀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핀돌출단계에서는 상기 핀부재를 상기 노즐부가 배치된 전방으로 밀어 상기 핀부재의 끝단이 상기 베이스부재보다 더 돌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 청구항10에 있어서,
상기 핀부재는 다수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기방사단계에서 전기방사된 상기 나노섬유는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핀부재를 상호 연결하되,
상기 나노섬유는 다수개의 핀부재에서 가장 근접하게 배치된 핀부재 사이에서 가장 밀도가 높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 삭제
- 청구항10에 있어서,
상기 전기방사단계 이후에 상기 핀부재를 상기 노즐부의 반대방향인 후방으로 후퇴시키는 후퇴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후퇴단계에서 상기 핀부재의 후퇴에 의해 상기 핀부재에 결합되어 있던 상기 나노섬유는 상기 베이스부재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 청구항13에 있어서,
상기 후퇴단계 이후에 상기 핀돌출단계, 전기방사단계 및 후퇴단계를 반복하여, 상기 베이스부재에 3차원 형상의 나노섬유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50832A KR101790992B1 (ko) | 2016-04-26 | 2016-04-26 | 나노섬유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PCT/KR2017/003896 WO2017188626A1 (ko) | 2016-04-26 | 2017-04-11 | 나노섬유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50832A KR101790992B1 (ko) | 2016-04-26 | 2016-04-26 | 나노섬유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90992B1 true KR101790992B1 (ko) | 2017-10-27 |
Family
ID=60160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50832A Active KR101790992B1 (ko) | 2016-04-26 | 2016-04-26 | 나노섬유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790992B1 (ko) |
WO (1) | WO201718862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914224A (zh) * | 2018-09-05 | 2018-11-30 | 东华大学 | 一种可独立工作的模块化静电纺丝集成装置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40331455A1 (en) * | 2011-08-29 | 2014-11-13 | Heriot Watt University | Method and machinery for making nanofibres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26185A (ko) * | 2009-09-07 | 2011-03-15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전기방사를 이용한 나노섬유 웹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CZ201093A3 (cs) * | 2010-02-05 | 2011-08-17 | Cpn S.R.O. | Zarízení pro výrobu dvojrozmerných nebo trojrozmerných vlákenných materiálu z mikrovláken nebo nanovláken |
KR101361503B1 (ko) * | 2012-02-24 | 2014-02-13 |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 전기 방사 장치 |
KR101291557B1 (ko) * | 2012-03-14 | 2013-08-08 |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 다중노즐 전기방사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백색 발광 부직포의 제조방법 |
-
2016
- 2016-04-26 KR KR1020160050832A patent/KR101790992B1/ko active Active
-
2017
- 2017-04-11 WO PCT/KR2017/003896 patent/WO2017188626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40331455A1 (en) * | 2011-08-29 | 2014-11-13 | Heriot Watt University | Method and machinery for making nanofibr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7188626A1 (ko) | 2017-11-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Li et al. | 3D printed supercapacitor: techniques, materials, designs, and applications | |
KR101650497B1 (ko) | 정렬된 나노섬유 제조장치 | |
CN102753738B (zh) | 用于生产微米纤维和纳米纤维的二维或三维纤维材料的设备 | |
Theron et al. | Electrostatic field-assisted alignment ofelectrospun nanofibres | |
EP2202336A1 (en) | Method for producing nanofibres of epoxy resin for composite laminates of aeronautical structures to improve their electromagnetic characteristics | |
Yin et al. | Electrohydrodynamic direct-writing for flexible electronic manufacturing | |
KR101790992B1 (ko) | 나노섬유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
JP2011142796A (ja) | アクチュエータ | |
KR101816031B1 (ko) | 격자무늬 나노섬유 제조장치 | |
JP2012095520A (ja) | アクチュエータ | |
KR101897516B1 (ko) | 격자모양으로 정렬된 나노섬유구조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
US11807957B2 (en) | Creating defined electrospun fiber geometries | |
KR101361503B1 (ko) | 전기 방사 장치 | |
WO2014026884A1 (de) | Dielektrischer elastomeraktor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 |
JP2013038956A (ja) | 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Wang et al. | High-voltage wave induced a unique structured percolation network with a negative gauge factor | |
DE602004005848T2 (de) | Kathode für eine elektronenquelle | |
IL261919B1 (en) | A bottom-up method for creating wire structures on a substrate | |
US20150064458A1 (en) | Functionalizing injection molded parts using nanofibers | |
KR101885822B1 (ko) | 롤투롤 방식의 투명 나노섬유 제조장치 | |
KR101515990B1 (ko) | 유기 전도성 고분자/금속 나노재료 혼합물을 이용한 3차원 전극 배선 및 그 제조방법 | |
KR101701602B1 (ko) | 전기장을 이용한 전기 방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투명 전극의 제조 방법 | |
JP2009024292A (ja) | エレクトロデポジション装置、構造体の製造方法及びそれから製造される構造体 | |
WO2020003918A1 (ja) | 光デバイスの製造方法 | |
US20100139756A1 (en) | Simultaneously Writing Bus Bars And Gridlines For Solar Cel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8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1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0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10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0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