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0886B1 - Dental instrument for removing crown - Google Patents
Dental instrument for removing crow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90886B1 KR101790886B1 KR1020160089424A KR20160089424A KR101790886B1 KR 101790886 B1 KR101790886 B1 KR 101790886B1 KR 1020160089424 A KR1020160089424 A KR 1020160089424A KR 20160089424 A KR20160089424 A KR 20160089424A KR 101790886 B1 KR101790886 B1 KR 1017908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heel
- fastening portion
- pawl
- circumferential surface
- longitudinal direc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10000003128 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2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10000000214 mouth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16—Dentists' forceps or clamps for removing crow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70—Tooth crowns; Making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라운적출용 치과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크라운적출용 치과기구는 막대형상의 손잡이부, 원형 고리형상으로, 상기 손잡이부의 끝단에 결합되고, 내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홀이 형성되는 체결부, 원기둥형상으로, 상기 체결부의 고리형상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체결부와 상대적인 회전을 할 수 있으며, 외주면에는 그 원주방향을 따라 톱니가 형성되는 휠, 상기 체결부의 홀에 수용되어 상기 체결부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휠의 톱니와 맞물려 상기 휠이 어느 한 방향으로만 선택적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폴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appliance for crown extraction.
The dental instrument for removing crow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wn extracting dental instrument has a rod-like handle portion, a circular ring-shaped coupling portion coupled to an end of the handle portion and having a hole formed radially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thereof, A wheel rotatable relative to the coupling portion and having teeth form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reof, the wheel being received in a hole of the coupling portion and protruding from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To selectively rotate the wheel in either direction. ≪ RTI ID = 0.0 > [0040] < / RTI >
Description
본 발명은 치과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크라운적출용 치과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applian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ntal appliance for crown extraction.
치아에 덮어씌운 크라운 또는 브릿지를 제거하는 방법이 미국 등록특허공보 제4,402,671호에 개시되어 있다.A method of removing crowns or bridges overlying teeth is disclosed in U.S. Patent No. 4,402,671.
요컨대 먼저 크라운에 관통홀을 형성하고 그 관통홀에 수나사를 회전시키면서 삽입한다. 이후 수나사의 끝단이 치아에 닿은 상태에서 수나사를 더 회전시키면 크라운과 치아가 서로 이격된다. 다만 치아는 고정적이므로 결국 크라운이 치아로부터 이격되며, 이를 통해 크라운을 치아로부터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게 된다.In short, first,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crown and the male screw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while rotating. Then, with the tip of the male thread touching the tooth, rotate the male screw further so that the crown and teeth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However, since the tooth is fixed, the crown is finally separated from the tooth, so that the crown can be separated from the tooth and removed.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시술자가 크라운의 관통홀에 수나사를 회전시키면서 삽입해야 하는데, 비교적 협소한 구강 내에서는 이를 회전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안쪽 어금니에 덮어씌운 크라운을 제거할 때에는 더욱 어려워 진다.However, as mentioned above, the practitioner has to insert the male screw into the through hole of the crown while rotating the screw, which is difficult to rotate in the relatively narrow mouth. Especially, when the crown is covered with the inner molar, Loses.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비교적 좁은 구강 내에서도 용이하게 시술할 수 있는 크라운적출용 치과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ntal instrument for removing a crown which can be easily performed even in a relatively narrow mouth.
본 발명에 따른 크라운적출용 치과기구는 막대형상의 손잡이부, 원형 고리형상으로, 상기 손잡이부의 끝단에 결합되고, 내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홀이 형성되는 체결부, 원기둥형상으로, 상기 체결부의 고리형상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체결부와 상대적인 회전을 할 수 있으며, 외주면에는 그 원주방향을 따라 톱니가 형성되는 휠, 상기 체결부의 홀에 수용되어 상기 체결부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휠의 톱니와 맞물려 상기 휠이 어느 한 방향으로만 선택적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폴을 포함할 수 있다.The dental instrument for removing crow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wn extracting dental instrument has a rod-like handle portion, a circular ring-shaped coupling portion coupled to an end of the handle portion and having a hole formed radially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thereof, A wheel rotatable relative to the coupling portion and having teeth form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reof, the wheel being received in a hole of the coupling portion and protruding from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To selectively rotate the wheel in either direction. ≪ RTI ID = 0.0 > [0040] < / RTI >
또한 상기 폴은 적어도 상기 체결부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길이만큼 상기 홀로 인입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체결부의 원주방향을 바라보는 양측면 중 일측면은 상기 손잡이부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고, 타측면은 상기 손잡이부의 길이방향에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폴이 상기 체결부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폴을 압박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awl is installed so as to be drawn into the hole at least by a length protruding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stening portion. One side surface of the opposite side surface faci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astening portion is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rip portion, And a spring for pressing the pawl so that the pawl protrudes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또한 상기 폴 중 상기 체결부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단부는 상기 손잡이의 길이방향의 직선과 상기 체결부의 중심을 지나는 두께방향의 직선에 의해 형성되는 가상의 평면상에서 바라보았을 때, 그 가운데가 상기 체결부의 중심을 향해 볼록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And an end portion protruding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pole is viewed in a virtual plane formed by a straight line in the thickness direction passing through the straight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astener and the center of the fastener,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휠은 그 길이가 상기 체결부의 두께와 상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wheel may be formed so that its length corresponds to the thickness of the fastening portion.
또한 상기 휠의 타단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돌기가 더 형성될 수 있다.Further, a protrusion may b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whee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또한 상기 휠에는 그 일단의 외경이 상기 체결부의 내경보다 크도록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Further, a step may be formed on the wheel so that the outer diameter of one end thereof is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coupling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크라운적출용 치과기구는 바디의 체결부가 원형 고리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헤드의 휠도 원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체결부의 두께방향의 축과 휠의 길이방향의 축이 동축상에 배치되어 있다면 사용자가 어느 각도에서든 휠이 체결부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어 그 체결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e dental instrument for removing crow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body is formed in a circular ring shape and the wheel of the head is also in the shape of a cylinder so that the axis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astening portion and the axi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heel are coaxial The user can insert the wheel into the fastening portion at any angle, and the fastening can be made easier.
또한 래칫구조를 통해 헤드가 바디에 대해 어느 한 방향으로만 선택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헤드를 한 방향으로 보다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Also, by allowing the head to selectively rotate in either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ody through the ratchet structure, the user can more easily rotate the head in one dire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적출용 치과기구의 바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적출용 치과기구의 헤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적출용 치과기구의 헤드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적출용 치과기구의 바디와 헤드가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적출용 치과기구의 바디와 헤드가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C-C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D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dy of a dental appliance for crown extraction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i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d of a dental appliance for crown extra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of the head of a dental instrument for removing crow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body and a head of a dental appliance for removing crow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astened.
FIG. 7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body and a head of a dental instrument for removing crow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astened.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in Fig.
9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D in Fig.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적출용 치과기구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a crown extracting dental instr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적출용 치과기구의 바디(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의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B-B선에 의한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바디(100)는 손잡이부(110), 체결부(120), 폴(130) 및 스프링(140)을 포함한다.1 to 3, the
손잡이부(110)는 사용자가 바디(100)를 파지하기 위한 부분으로,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110)의 끝단에는 그 끝단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삽입홈(110a)이 형성된다.The
체결부(120)는 원형 고리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체결부(120)의 둘레에는 반경방향으로 관통홀(120a)이 형성된다. 이러한 체결부(120)는 그 반경방향이 손잡이부(110)의 길이방향과 동일 평면상에 존재하도록 배치되되, 그 관통홀(120a)이 손잡이부(110)의 삽입홈(110a)과 연통하도록 배치되어, 손잡이부(110)의 끝단에 결합된다.The
폴(130)은 손잡이부(110)의 삽입홈(110a)에 삽입되어 체결부(120)의 관통홀(120a)을 통해 체결부(120)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되, 외력에 의해 적어도 그 돌출되는 높이만큼 손잡이부(110)의 삽입홈(110a)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The
이때 폴(1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120)의 서로 다른 두 반경방향의 직선에 의해 형성되는 가상의 평면상에서 바라보았을 때, 일측면(131)이 손잡이부(11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고, 타측면(132)이 손잡이부(11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단 폴(130)의 타측면(132)은 그 면이 체결부(120)가 배치되는 쪽을 바라보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2, one
한편 폴(1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110)의 길이방향의 직선과 체결부(120)의 중심을 지나는 그 두께방향의 직선에 의해 형성되는 가상의 평면상에서 바라보았을 때, 체결부(120)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단부 중 가운데가 체결부(120)의 중심을 향해 볼록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헤드(200)가 체결부(120)에 삽입될 때 폴(130)에 가해지는 힘이 손잡이부(110)의 길이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의 성분과 체결부(120)의 두께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의 성분으로 나누어질 수 있게 되는데, 이들 중 손잡이부(110)의 길이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의 성분이 폴(130)이 손잡이부(110)의 삽입홈(110a)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하여 헤드(200)가 폴(130)에 걸리지 않고 체결부(120)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된다.3, when the
스프링(140)은 손잡이부(110)의 삽입홈(110a) 내에서 손잡이부(110)와 폴(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스프링(140)은 폴(130)이 손잡이부(110)의 삽입홈(110a)의 내부로 인입되었을 때 폴(130)이 다시 체결부(120)의 내주면으로부터 노출되도록 폴(130)을 압박하는 역할을 한다.Th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적출용 치과기구의 헤드(200)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적출용 치과기구의 헤드(200)의 측면도이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도 4 및 5를 참조하면 헤드(200)는 휠(210), 수나사부(220) 및 돌기(2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4 and 5, the
휠(210)은 원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휠(210)은 바디(100)의 체결부(120)와 상응하는 직경으로 형성되어 체결부(120)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고, 체결부(120)와 상대적인 회전을 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또한 휠(210)의 외주면에는 그 원주방향을 따라 바디(100)의 폴(130)과 맞물리기 위한 톱니(211)가 형성된다. 이러한 휠(210)은 바디(100)의 체결부(120)의 두께와 상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The
이때 휠(210)의 일단(212)에는 그 외경이 바디(100)의 체결부(120)의 내경보다 크도록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휠(210)이 그 일단(212)에서 타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바디(100)의 체결부(120)에 삽입될 때 휠(210)의 일단(212)이 체결부(120)에 걸리게 되어 휠(210)이 체결부(120)에 과도하게 삽입되거나, 휠(210)의 일단(212)에서 타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휠(210)이 체결부(12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a step may be formed at one
수나사부(220)는 휠(210)의 회전축과 동축으로 휠(210)의 일단(212)에 결합된다. 이러한 수나사부(220)의 직경, 길이, 피치 등은 개별적인 사용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구체적으로 한정하지는 않기로 한다.The
돌기(230)는 휠(210)의 타단에 형성되어, 휠(210)이 바디(100)의 체결부(120)에 삽입되어 있을 때 체결부(120)로부터 체결부(120)의 두께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바디(100)와 헤드(200)가 체결된 상태에서 단지 돌기(230)를 누름으로써 바디(100)로부터 헤드(20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The
다만 이러한 돌기(230)의 크기, 길이, 형상 등은 구강 내의 공간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변형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구체적으로 한정하지는 않기로 한다.However, the size, length, shape, and the like of the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적출용 치과기구의 바디(100)와 헤드(200)가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적출용 치과기구의 바디(100)와 헤드(200)가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8은 도 6의 C-C선에 의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D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도 6 및 7을 참조하면 헤드(200)의 휠(230)은 그 길이방향이 바디(100)의 체결부(120)의 두께방향과 나란하도록 배치되어 체결부(120)의 고리형상의 내부에 삽입된다. 또한 이때 헤드(200)의 수나사부(220)와 돌기(230)는 바디(100)의 체결부(120)로부터 서로 반대방향으로 각각 돌출될 수 있다.6 and 7, the
한편 도 8 및 9를 참조하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디(100)의 폴(130)의 일측면(131)이 손잡이부(11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므로, 폴(130)의 일측면(131)이 헤드(200)의 휠(230)의 톱니(211)와 맞물리게 되는 접촉면도 손잡이부(11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도 9를 기준으로 할 때 휠(210)에 시계방향의 회전력이 가해졌을 때 폴(130)의 일측면(131)에 가해지는 힘은 오로지 손잡이부(11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의 성분밖에 없게 된다. 이러한 힘은 폴(130)이 손잡이부(110)의 수용홈(110a)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할 수 없기 때문에, 결국 톱니(211)가 폴(130)의 일측면(131)과 맞물린 상태에서는 휠(210)에 상기 시계방향의 회전력이 가해지더라도 톱니(211)가 폴(130)에 걸리게 되어 휠(21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게 된다.8 and 9, since one
반면 폴(130)의 타측면(132)은 손잡이부(11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폴(130)의 타측면(132)이 헤드(200)의 휠(210)의 톱니(211)와 맞물리게 되는 접촉면도 손잡이부(11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도 8을 기준으로 할 때 휠(210)에 반시계방향의 회전력이 가해졌을 때 폴(130)의 타측면(132)에 가해지는 힘은 손잡이부(11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의 성분과 손잡이부(110)의 길이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의 성분으로 나누어질 수 있게 된다. 단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폴(130)의 타측면(132)은 그 면이 체결부(120)가 배치되는 쪽을 바라보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상기 손잡이부(110)의 길이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의 성분은 폴(130)을 기준으로 손잡이부(110)가 배치되는 쪽을 향하게 된다. 이러한 힘은 폴(130)이 손잡이부(110)의 수용홈(110a)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하기 때문에, 결국 톱니(211)가 폴(130)의 타측면(132)과 맞물린 상태에서는 휠(210)에 상기 반시계방향의 회전력이 가해질 경우 폴(130)이 손잡이부(110)의 수용홈(110a)의 내부로 인입됨으로써 톱니(211)가 폴(130)에 걸리지 않게 되어 휠(21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The
결과적으로 바디(100)와 헤드(200)가 체결된 상태에서 바디(100)는 헤드(200)가 어느 한 방향으로만 선택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휠(210)이 폴(130)의 일측면(131)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는 회전할 수 없도록 하고, 폴(130)의 타측면(132)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는 비교적 협소한 구강 내에서도 크라운에 헤드(200)를 삽입한 상태에서 바디(100)를 이용하여 헤드(200)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in a state where the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정해진다. 한편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하게 개량하거나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바디(100)의 손잡이부(110)에는 삽입홈(110a)이 형성되지 않고, 단지 체결부(120)에만 관통홀(120a)이 형성되어, 그 관통홀(120a)에 폴(130) 및 스프링(140)이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개량이나 변경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shown in the drawings do not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On the other hand, a person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variously improve or chang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aims (6)
원형 고리형상으로, 상기 손잡이부의 끝단에 결합되고, 내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홀이 형성되는 체결부,
원기둥형상으로, 상기 체결부의 고리형상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체결부와 상대적인 회전을 할 수 있으며, 외주면에는 그 원주방향을 따라 톱니가 형성되는 휠,
상기 체결부의 홀에 수용되어 상기 체결부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휠의 톱니와 맞물려 상기 휠이 어느 한 방향으로만 선택적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폴을 포함하되,
상기 휠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휠이 상기 체결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을 때, 상기 돌기가 상기 체결부의 외부로 돌출되는 크라운적출용 치과기구.A rod-shaped handle,
A fastening portion coupled to an end of the handle portion in a circular ring shape and having a hole formed in a radial direction from an inner peripheral surface thereof,
A wheel having a cylindrical shape and detachably inserted into an annular shape of the fastening portion so as to be capable of rotating relative to the fastening portion and having teeth formed along its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pawl which is received in the hole of the coupling portion and protrudes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and engages with the teeth of the wheel to selectively rotate the wheel in only one direction,
The wheel is provided with a projection in its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the projection is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fastening portion when the wheel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portion.
상기 폴은 적어도 상기 체결부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길이만큼 상기 홀로 인입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체결부의 원주방향을 바라보는 양측면 중 일측면은 상기 손잡이부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고, 타측면은 상기 손잡이부의 길이방향에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폴이 상기 체결부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폴을 압박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크라운적출용 치과기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wl is provided so as to be drawn into the hole at least by a length protruding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stening portion, one side surface of the opposite side faci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astening portion is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rip portion, And is incli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urther comprising a spring for urging the pawl so that the pawl projects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stening portion.
상기 폴 중 상기 체결부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단부는 상기 손잡이의 길이방향의 직선과 상기 체결부의 중심을 지나는 두께방향의 직선에 의해 형성되는 가상의 평면상에서 바라보았을 때, 그 가운데가 상기 체결부의 중심을 향해 볼록하도록 형성되는 크라운적출용 치과기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end portion protruding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pawl is bent toward a center of the fastening portion when viewed from a virtual plane formed by a straight line in the thickness direction passing through the straight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astener and the center of the fastening portion The dental appliance being configured to be convex toward the crown.
상기 휠은 그 길이가 상기 체결부의 두께와 상응하도록 형성되는 크라운적출용 치과기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heel is shaped to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fastening portion.
상기 휠에는 그 일단의 외경이 상기 체결부의 내경보다 크도록 단차가 형성되는 크라운적출용 치과기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tepped portion is formed on the wheel so that an outer diameter of one end thereof is larger than an inner diameter of the coupling por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89424A KR101790886B1 (en) | 2016-07-14 | 2016-07-14 | Dental instrument for removing crow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89424A KR101790886B1 (en) | 2016-07-14 | 2016-07-14 | Dental instrument for removing crow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90886B1 true KR101790886B1 (en) | 2017-10-26 |
Family
ID=60301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89424A Active KR101790886B1 (en) | 2016-07-14 | 2016-07-14 | Dental instrument for removing crow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90886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70214914A1 (en) | 2006-03-17 | 2007-09-20 | Astra Tech Ab | Ratchet wrench |
US20100233653A1 (en) * | 2009-03-11 | 2010-09-16 | Cheng-Kang Yeh | Wrench for dental implant |
KR101607227B1 (en) * | 2015-12-07 | 2016-03-30 | (주) 디에스 | Easy crown removal means for dental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
-
2016
- 2016-07-14 KR KR1020160089424A patent/KR10179088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70214914A1 (en) | 2006-03-17 | 2007-09-20 | Astra Tech Ab | Ratchet wrench |
US20100233653A1 (en) * | 2009-03-11 | 2010-09-16 | Cheng-Kang Yeh | Wrench for dental implant |
KR101607227B1 (en) * | 2015-12-07 | 2016-03-30 | (주) 디에스 | Easy crown removal means for dental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08296367A (en) | Reversible ratcheting screwdriver with improved reversing ring | |
KR20190082907A (en) | Surgical Screwdrivers and Screws | |
JP2010172703A (en) | Impression post for dental implant | |
JP6723710B2 (en) | Instruments for handling dental parts | |
US4643674A (en) | Holding arrangement for dental hand instruments | |
JPS58221940A (en) | Transmission tool | |
EP2811914B1 (en) | Tongue manipulation device and bone anchor for use in such devices | |
TW201603971A (en) | Anti-detachment tool holder | |
KR101790886B1 (en) | Dental instrument for removing crown | |
KR20180128691A (en) | Forcep for tooth extraction | |
US4598478A (en) | Sharpener press-button | |
KR20180040801A (en) | Toothbrush with rotatable head | |
JP4383867B2 (en) | Improved injection device | |
KR102301975B1 (en) | Screw Driver Device for Orthodontics | |
US20110294088A1 (en) | Tool for orthodontic appliance | |
US5127832A (en) | Measuring handle for treating dental root canals | |
KR102682745B1 (en) | Dental screwdriver device | |
JP5045957B2 (en) | Golf club shaft and grip | |
KR200473486Y1 (en) | Wire bending turret for orthodontics | |
JP6576882B2 (en) | Interdental brush and interdental brush set | |
US1218757A (en) | Compound tool. | |
JPS6240574Y2 (en) | ||
EP4450021A1 (en) | Dental implantology tools | |
JP3162169U (en) | Tooth extraction tool | |
US20250177089A1 (en) | Auxiliary tool for tooth extraction and tool set for tooth extra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4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0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10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8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