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90775B1 - Monitor assembly for vehicle - Google Patents

Monitor assembly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0775B1
KR101790775B1 KR1020160070739A KR20160070739A KR101790775B1 KR 101790775 B1 KR101790775 B1 KR 101790775B1 KR 1020160070739 A KR1020160070739 A KR 1020160070739A KR 20160070739 A KR20160070739 A KR 20160070739A KR 101790775 B1 KR101790775 B1 KR 101790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
main body
vehicle
bolt
til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07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문종섭
Original Assignee
제이에스엘씨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스엘씨디(주) filed Critical 제이에스엘씨디(주)
Priority to KR1020160070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077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0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0775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8Ceiling, e.g. roof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2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crews, bolts, rive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실내, 특히 천정에 설치되어 영상을 송출할 수 있는 차량용 모니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리어시트가 구비된 차량의 천장에 설치되는 본체과, 상기 본체에 틸팅결합되는 모니터를 구비하여, 사용 시에는 모니터가 본체로부터 회전되어 사용자가 모니터로 송출되는 영상을 볼 수 있게 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모니터가 회전하여 본체에 구비되는 수납부에 안착됨으로서 운전 시야를 방해하지 않으며, 이 때 상기 본체에 스토핑유닛을 더 구비하여, 상기 수납부에 안착된 모니터가 하중 또는 충격에 의해 쳐지거나 떨리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용 모니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monitor assembly mounted on a ceiling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nitor assembly mounted on a ceiling of a vehicle equipped with a rear seat and a monitor tilted to the main body In use, the monitor is rotated from the main body so that the user can see the image transmitted to the monitor. When not in use, the monitor rotates and is se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provided in the main body,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onitor assembly for a vehicle which further includes a stopping unit for preventing a monitor mounted on the storage unit from being struck or shaken by a load or an impact.

Description

차량용 모니터 어셈블리{MONITOR ASSEMBLY FOR VEHICLE}[0001] MONITOR ASSEMBLY FOR VEHICLE [0002]

본 발명은 차량 실내, 특히 천정에 설치되어 영상을 송출할 수 있는 차량용 모니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리어시트가 구비된 차량의 천장에 설치되는 본체과, 상기 본체에 틸팅결합되는 모니터를 구비하여, 사용 시에는 모니터가 본체로부터 회전되어 사용자가 모니터로 송출되는 영상을 볼 수 있게 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모니터가 회전하여 본체에 구비되는 수납부에 안착됨으로서 운전 시야를 방해하지 않으며, 이 때 상기 본체에 스토핑유닛을 더 구비하여, 상기 수납부에 안착된 모니터가 하중 또는 충격에 의해 쳐지거나 떨리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용 모니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monitor assembly mounted on a ceiling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nitor assembly mounted on a ceiling of a vehicle equipped with a rear seat and a monitor tilted to the main body In use, the monitor is rotated from the main body so that the user can see the image transmitted to the monitor. When not in use, the monitor rotates and is se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provided in the main body,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onitor assembly for a vehicle which further includes a stopping unit for preventing a monitor mounted on the storage unit from being struck or shaken by a load or an impact.

일반적으로 일상 생활에서 자동차는 실생활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또한, 최근에는 단순한 운송수단의 개념에서 벗어나 하나의 개인 독립된 생활공간으로서 인식되기 시작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차량의 주행성능이나 승차감의 향상은 물론 차량 탑승자를 위한 각종 편의장치들의 설치가 날로 증가하고 있으나, 이는 지금까지 고급세단 차량에만 주로 해당되는 사항이었으나 최근에는 준중형 또는 중형차량까지 그 설치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특히, 차량 이용자의 증가로 차내에서 머무는 시간이 많아지고, 정보화시대를 맞아, 뒷좌석 탑승객도 차량 내의 내비게이션 또는 별도의 후방 모니터를 통해 TV, 영화 등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최근에는 모니터의 LED, LCD 판넬을 이용하여 단순히 시청만 하는 모니터라는 개념을 넘어 각종 동영상, 사진, TV 시청뿐아니라 인터넷, 정보검색, 게임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까지 함께 탑재된 멀티미디어형으로 점차 변모하고 있다.Generally, in everyday life, automobiles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real life, and recently, they have started to be recognized as one individual living space deviating from the concept of simple transportation. In addition, in recent years, the improvement of the driving performance and the ride quality of the vehicle as well as the installation of various convenience devices for the passengers have been increasing. However, this has mainly been applied to the advanced sedan vehicles. However, recently, The scope is expanding. Particularly, as the number of the users of the vehicle increases, the time for staying in the vehicle increases, and in the information age, passengers in the back seat can watch TVs and movies through navigation in the vehicle or a separate rear monitor, Beyond the concept of a monitor that simply uses a LCD panel to display various videos, photos, and TVs, various functions such as the Internet, information search, and games are gradually being transformed into a multimedia type.

이러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0573062호 『자동차용 모니터 폴딩 장치』가 있는데,Such a conventional technique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573062 entitled " Monitor Folding Device for a Vehicle "

상기 종래기술은 모니터의 양측면 저부와 회동 결합되어, 본체의 양쪽 측벽의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 이송홈을 따라 상기 모니터의 저부가 전후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구비된 이송부재와, 상기 모니터의 측면 중앙 후부와 회동가능하도록 일측 끝단이 힌지결합되며, 타측 끝단이 양쪽 상기 측벽 일측과 회동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된 종동링크가 구비되어, 모니터를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모니터의 저부를 앞쪽으로 이송하여 상기 모니터가 일정 각도의 경사를 이루어 시청하기 알맞게 전개되도록 하며,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모니터의 저부를 뒤쪽으로 이송하여 콘솔 내부에 삽입되도록 하여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자동차용 모니터 폴딩 장치를 제시하고 있다.The above-described prior art has a conveying member pivotally coupled to the bottoms of both side surfaces of the monitor and configured to convey the bottom of the monitor along the conveyance grooves form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both side walls of the main body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the other end is hinged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side wall so as to be rotatable. When the monitor is used, the bottom of the monitor is moved forward so that the monitor is inclined at a certain angle And when the monitor is not in use, the bottom of the monitor is transported backward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console so as not to be damaged.

또한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1201466호 『차량용 모니터모듈 거치대』가 있는데,In addition, there is a prior art 10-1201466 entitled " Car Monitor Module Cradle "

상기 종래기술은 하부면에 걸림부가 구비된 돌출부가 다수 돌출형성되어 있고, 차량 천정에 고정 장착되는 고정패널과, 상기 돌출부들이 각각 삽입되는 삽입홀이 다수 형성되어 있고, 돌출부가 삽입홀에 삽입 후 전진되어 하부면이 상기 걸림부에 걸려 지지되고, 하부면에 모니터모듈이 장착되는 장착패널을 포함하는 차량용 모니터모듈 거치대를 제시하고 있다.In the conventional art,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vided with a latching portion on a lower surface are protruded, and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into which the protrusions are respectively inserted are formed. The protrusions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s And a mounting panel on which a lower surface is engaged with the latching portion and a monitor module is mounted on a lower surface of the mounting panel.

또 다른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1543524호 『저소음 축소형 틸팅기능을 포함하는 자동차 디스플레이 모니터』가 있는데,Another prior art is the " Automobile Display Monitor Including Low Noise Reduction Type Tilting Function ", Registered Patent No. 10-1543524,

상기 종래기술은 본체 하우징, 디스플레이 모니터, 감속타입형틸팅유닛, 임의유동방지유닛을 구비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모니터에 있어서, 상기 감속타입형틸팅유닛의 일측과 이와 인접하게 대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일측 단부 사이에는 감속된 회전동력을 디스플레이 모니터로 출력 및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감속동력출력전달부가 설치되는 것과, 상기 감속타입형틸팅유닛은 틸팅동작의 동력원인 구동용 모터가 구성되고, 상기 구동용 모터의 회전축에서부터 상기 감속동력출력전달부 사이에는 직경 및 기어모듈이 서로 다른 다수의 기어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치물림되어 이를 통해 회전동력을 전달하면 상당한 수준의 감속비가 제공되어 안정된 틸팅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어형감속장치가 장착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The display moni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housing, a display monitor, a deceleration type tilting unit, and an arbitrary flow prevention unit, wherein the display monitor includes: And a deceleration power output transmission unit for allowing decelerated rotation power to be output to and transmitted from the display monitor. The deceleration type tilting unit includes a driving motor that is a power source of the tilting operation, The gear type decelerating gear is provided between the reduction power output transmitting portion and the reduction power output transmitting portion so that a plurality of gears having different diameters and gear modules are biased together to transmit a rotational power to provide a considerable reduction ratio, Technology is presented.

아울러 종래기술로 등록실용신안 제20-0311149호 『차량용 엘씨디모니터 구동장치』가 있는데,In addition, there is a prior art 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0311149 entitled "

상기 종래기술은 차량의 일측에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어지며 커버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구동되어지는 기어 군과, 상기 기어 군에 의해 회전되어지는 홀딩부재와, 상기 홀딩부재에 의해 회전가능하고 LCD모니터를 결합하기 위한 체결공을 구비하는 축과, 상기 홀딩부재를 눌러주고 축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스프링과, 상기 축과 스프링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해 결합되어지는 결합핀으로 구성되어진 차량용LCD모니터 구동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LCD모니터의 한쪽 모서리만 본고안에 장착되도록 하므로써 차량의 좁은 내부공간에서의 설치를 용이하도록 하며, 본 고안 LCD모니터 구동장치가 단일 유니트(UNIT)로 이루어져 설치 위치가 한곳만 있어도 장착이 가능한 차량용 엘씨디모니터 구동장치를 제시하고 있다.[0003]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has a main body having a cover which is coupled to one side of a vehicle by a fastening means, a motor formed inside the main body, gears connected to the motor and driven by the gears, A shaft provided with a holding member to be rotated by the holding member and a fastening hole for coupling the LCD monitor to the holding member, a spring for pressing the holding member to prevent sagging of the shaf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LCD monitor driving device for a vehicle, which is composed of an engagement pin to be coupled to the LCD monitor. The LCD monitor is mounted on one corner of the LCD monitor to facilitate installation in a narrow internal space of the vehicle. Designed LCD monitor driving unit is composed of single unit (unit) Monitoring suggests the drive device.

또한 차량 내에 설치되는 모니터는 주로 대시보드(Dashboard) 또는 헤드레스트(Headrest)에 설치되거나 또는 운전석과 보조석 사이에 별도의 설치 브라켓을 고정한 후 여기에 모니터를 결합 사용하는 방식도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a monitor installed in a vehicle is mainly installed in a dashboard or a headrest, or a separate mounting bracket is fixed between a driver's seat and an assistant seat, and then a monitor is coupled to the monitor.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들은 사용 시에는 모니터를 틸팅하여 사용자가 모니터의 화면을 볼 수 있으며,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모니터를 역방향으로 틸팅하여 접어 보관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각종 진동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접힌 모니터가 그 진동, 충격 또는 하중에 의하여 함께 진동이 발생하거나, 밑으로 쳐지게 되어 소음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However, in such conventional technologies, when the monitor is tilted, the user can see the screen of the monitor. When the monitor is not used, the monitor tilts the monitor in a reverse direction and stores the monitor in a folded state. There is a problem that vibration of the folded monitor due to vibration, impact or load is caused together, or that the folded monitor is bumped down to cause nois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차량용 모니터 어셈블리에 있어서,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차량 천정에 장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영상이 송출되는 모니터를 구비하되, 상기 본체에 상기 모니터가 틸팅결합됨에 따라 사용시에는 모니터가 회전하여 하우징으로부터 펼쳐지고,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역방향으로 틸팅하여 상기 모니터가 하우징에 구비되는 수납부에 안착될 수 있으며, 이 때 스토핑유닛을 구비하여 모니터가 수납부에서 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용 모니터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As the monitor is tilted to the main body, the monitor rotates and unfolds from the housing when the main body is tilted. When the monitor is not used, the monitor is tilted in the reverse direction when not in use. And the monitor can be seated in the housing part provided in the housing, and the stopper unit prevents the monitor from being stuck in the housing part.

또한 상기 스토핑유닛에는 걸림부재를 구비하여 걸림부재가 회전하면 수납부를 침범하도록 구성하여 모니터의 일면을 지지함으로서 진동 등으로 인한 모니터의 쳐짐을 방지하는 차량용 모니터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Further, the stopping unit is provided with a latching member so that when the latching member rotates, the latching portion is invaded to support the monitor, thereby preventing the monitor from being stuck due to vibration or the like.

나아가 걸림부재에는 수납부방향으로 절곡된 걸림부가 구비되어 상기 모니터의 일면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차량용 모니터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Furth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nitor assembly for a vehicle which is provided with a latching portion bent in the direction of a receiving portion, so that one side of the monitor can be more stably support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모니터 어셈블리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vehicle moni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차량 천정에 장착되고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에 구비되는 틸팅결합부 및 수납부를 포함하는 본체;A main body including a coupling part mounted on a vehicle ceiling and forming a space part therein, and a tilting coupling part and a receiving part provided on the coupling part;

상기 틸팅결합부에 결합되는 틸팅부와, 영상이 송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틸팅부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기 수납부에 안착되는 모니터;A tilting portion coupled to the tilting engagement portion, and a display portion to which an image is sent, the monitor being rotated about the tilting portion and seated on the receiving portion;

상기 본체의 수납부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어, 수납부에 안착된 모니터의 일면을 지지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스토핑유닛;A stopping unit provid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storage unit of the main body and including a latching member for supporting one surface of the monitor seated on the storage unit;

을 포함하여 이루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control unit.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모니터 어셈블리는 차량의 실내, 특히 천정에 장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틸팅결합되는 모니터를 구성하여 사용시에는 모니터가 틸팅되어 본체로부터 펼쳐짐에 따라 사용자가 보다 편하게 영상을 시청할 수 있으며,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모니터가 본체에 구비되는 수납부에 안차되도록 회전됨에 따라 운전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고, 모니터의 디스플레이부를 보호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vehicle moni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mounted on a ceiling of a vehicle and a main body mounted on a ceiling, and a monitor tilted to the main body. When the monitor is tilted from the main body, When the monitor is not used, the monitor is rotated so as not to be in contact with a storage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thereby protecting the display unit of the monitor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view of operation.

특히, 상기 모니터가 수납부에 안착되는 경우에, 차량에서 발생되는 진동, 충격 등에 의하여 모니터가 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핑유닛을 구비하여, 모니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모니터가 안정적으로 수납부에 위치할 수 있어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마찰에 의한 소음 발생 또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Particularly, in the case where the monitor is seated in the storage unit, the storage unit is provided with a stopping unit that prevents the monitor from being struck by vibrations, shocks, and the like generated in the vehicle. So that it is possible to secure stability and to prevent noise from being generated by friction.

나아가 상기 스토핑유닛의 걸림부재가 수납부를 침범함으로서, 수납부에 안착되는 모니터의 일면을 지지하는 구조로서, 구조가 간단하여 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이 걸림부재에는 절곡된 걸림부를 구비하여 상기 모니터의 테두리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어 모니터의 쳐짐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Further, since the latching member of the stapling unit supports the one side of the monitor which is seated on the receiving portion by invading the receiving portion, the structure is simple and the unit price can be lowered. The latching member is provided with the bent latching portion, The edges of the monitor can be stably supported, thereby preventing striking of the monitor more reliabl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모니터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모니터 어셈블리의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모니터 어셈블리의 실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모니터 어셈블리의 변형례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moni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enlarged views of a vehicle moni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vehicle moni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vehicle moni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mbodiments, it is obvious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in particular, the digits of the tens and the digits of the digits, the digits of the digits, the digits of the digits and the alphabets are the same, Members referred to by reference numerals can be identified as members corresponding to these standards.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the drawings, the components are expressed by exaggeratingly larger (or thicker) or smaller (or thinner) in size or thickness in consideration of the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etc. However, It should not b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 comprising " or " consisting of ", or the like, refers to the presence of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모니터 어셈블리(A)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결합되는 모니터(20) 및 상기 본체(10)에 구비되어 모니터(20)의 일면을 지지하는 스토핑유닛(3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1 to 3, a vehicle monitor assembly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a monitor 20 coupled to the main body 10, And a stopping unit 30 for supporting one surface of the monitor 20.

먼저 상기 본체(10)는 차량의 실내, 특히 천정(W)에 체결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공간부(12)를 형성하는 체결부(11)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부(11)에는 후술하는 체결수단에 의해 천장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볼트결합부가 구비되어 있다.The main body 10 is fastened to an interior of a vehicle, particularly a ceiling W, and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portion 11 for forming a space portion 12 therein. The fastening portion 11 is fastened to a fastening portion A plurality of bolt coupling portions are provided so as to be firmly fixed to the ceiling by the means.

또한 상기 체결부(11)에는 틸팅결합부(13) 및 수납부(15)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틸팅결합부(13)에는 후술하는 모니터(20)가 결합되어 틸팅결합부(13)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틸팅운동을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A tilting engagement portion 13 and a storage portion 15 are formed in the fastening portion 11. A monitor 20 described later is coupled to the tilting engagement portion 13 so that the tilting engagement portion 13 So that the tilting motion can be performed.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틸팅결합부(13)에는 상기 모니터(20)와 틸팅결합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샤프트(131)가 구비되어 있다.More specifically, the tilting engagement portion 13 is provided with a shaft 131 which is rotatable to be tilted with the monitor 20.

상기 샤프트(131)는 상기 본체(10)의 공간부(12)에 구비되는 구동모터(133)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모터(133)의 동작에 의해 샤프트(131)가 자동으로 회전되도록 이루어진다.The shaft 131 is connected to a driving motor 133 provided in the space 12 of the main body 10 and the shaft 131 is automatically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otor 133 .

다시 상기 틸팅결합부(13)에는 모니터(20)가 결합되어 상기 틸팅결합부(13)의 샤프트(131) 회전에 따라 모니터(20)가 틸팅동작을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The monitor 20 is coupled to the tilting engagement portion 13 so that the monitor 20 can be til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haft 131 of the tilting engagement portion 13. [

먼저, 상기 모니터(20)에는 상기 틸팅결합부(13)에 체결되는 틸팅부(21)가 구비되어 있으며, 전송된 영상을 송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First, the monitor 20 includes a tilting unit 21 fastened to the tilting engagement unit 13 and a display unit 23 for transmitting the transmitted image.

상기 디스플레이부(23)는 LCD, LED 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된다.The display unit 23 may be an LCD panel or an LED panel, and the scope of the right should not be limited.

상기 모니터(20)가 상기 본체(10)에 체결되는 경우, 본체(10)로부터 틸팅되어 펼쳐지면 모니터(20)의 디스플레이부(23)를 사용자가 볼 수 있고, 다시 모니터(20)가 역방향으로 틸팅되어 접히게 되면, 모니터(20)의 디스플레부는 천정(W), 즉 본체(10)를 향하도록 이루어져 모니터(20)의 디스플레이부(23)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monitor 20 is fastened to the main body 10, the display portion 23 of the monitor 20 can be seen by the user when the monitor 20 is tilted from the main body 10, The display portion of the monitor 20 is directed to the ceiling W, that is, to the main body 10 so as to protect the display portion 23 of the monitor 20.

또한 이러한 틸팅동작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어모듈에 의해 동작한다.This tilting operation is not shown in the drawings but is operated by the control module.

본 발명은 이러한 틸팅이 가능한 차량용 모니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모니터(20)가 상기 본체(10)에 틸팅되는 경우, 모니터(20)가 진동, 충격 등에 의해 천정(W)으로부터 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핑유닛(30)을 더 구비하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nitor assembly for a vehicle capable of tilting such that the monitor 20 can be prevented from striking the ceiling W by vibrations or shocks when the monitor 20 is tilted to the main body 10. [ And a stopping unit (30).

먼저, 상기 스토핑유닛(30)은 상기 본체(10)의 수납부(15)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어 있으나, 양측에 모두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First, the stopping unit 30 is provid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15 of the main body 10, but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stopping unit 30 is provided on both sides.

상기 모니터(20)가 틸팅결합부(13)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접히게 되면, 상기 모니터(20)는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는 수납부(15)에 안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수납부(15) 양측에는 상기 모니터(20)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돌출부(151)가 형성되어 있다.When the monitor 20 is rotated and folded on the basis of the tilting engagement portion 13, the monitor 20 can be seated on the receiving portion 15 of the main body 10, Protecting protrusions 151 for protecting the monitor 20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ouring part 15.

상기 보호돌출부(151)는 상기 모니터(20)가 접혔을 때 모니터(20)보다 더 하향 돌출되도록 구성된다.The protective protrusion 151 is configured to protrude further downward than the monitor 20 when the monitor 20 is folded.

이 때 상기 보호돌출부(151)에는 스토핑유닛(30)이 더 구비되어 모니터(20)의 일면, 바람직하게는 모니터(20)의 후면(디스플레이부(23)가 위치한 면의 후면)을 지지하여 모니터(20)가 아래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protective protrusion 151 is further provided with a stopping unit 30 to support one surface of the monitor 20, preferably the rear surface of the monitor 20 (the rear surface of the surface on which the display unit 23 is located) Thereby preventing the monitor 20 from hitting down.

상시 스토핑유닛(3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스토핑유닛(30)은 걸림부재(31)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데 이 걸림부재(31)가 돌출되기 위하여 상기 보호돌출부(151)에는 관통공(153)이 형성되어 있다.The stopping unit 30 includes a latching member 31. The latching member 31 is protruded to protrude from the protective protrusion 151 A through hole 153 is formed.

상기 걸림부재(31)는 상기 관통공(153)에 관통 결합되어 구비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회전축부(33)가 구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부(33)가 별도의 모터부재에 연결됨에 따라 모터부재의 동작에 의해 회전축부(33)가 회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The engaging member 31 is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 153 and has a rotating shaft portion 33. The rotating shaft portion 33 is connected to a separate motor member, So that the rotary shaft portion 33 can be rotated.

또한 상기 회전축부(33)에 연동될 수 있는 걸림부재(31)가 구비되어 구동모터(133)의 동작에 의해 걸림부재(31)가 움직이게 된다.An engaging member 31 capable of interlocking with the rotary shaft portion 33 is provided so that the engaging member 31 is moved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otor 133.

이 때 상기 회전축부(33)는 상기 모터부재(M)와 힌지브라켓(H)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rotary shaft portion 33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 motor member M and the hinge bracket H through the motor shaft.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힌지브라켓(H)은 상기 모터부재(M)의 축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모터부재(M)의 축과 결합되는 제1 결합부(H1)와 상기 제1 결합부(H1)로부터 절곡 형성되는 제2 결합부(H2) 및 상기 제2 결합부(H2)로부터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제1 결합부(H1)와 제2 결합부(H2)의 길이만큼 이격 형성되는 제3 결합부(H3)로 이루어진다.More specifically, the hinge bracket H is provided on the shaft of the motor member M and includes a first engaging portion H1 engaged with a shaft of the motor member M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H2 engaging with the first engaging portion H1. A second engaging portion H2 bent from the first engaging portion H1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H2 bent from the second engaging portion H2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ngaging portion H1 by a length of the second engaging portion H2, (H3).

이 때 상기 제3 결합부(H3)는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에 고정결합되되, 공회전이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third engaging portion H3 is fixed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nd is fixed so as to be idle.

또한 상기 제2 결합부(H2)는 상기 스토핑유닛(30)과 체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스토핑유닛(30)의 내측에 구비되는 지지부(37)와 체결볼트(371)를 통하여 결합되게 된다.The second engaging part H2 is engaged with the stopping unit 30 and is coupled to the supporting part 37 provided inside the stopping unit 30 through the fastening bolt 371. [

즉, 상기 회전축부(33)는 상기 제1 및 제3 결합부(H1)(H3)를 연결하는 가상의 축을 말하며, 이 회전축부(33)는 상기 모터부재(M)의 축과 나란하게 구성된다.That is, the rotary shaft portion 33 refers to a virtual axis connecting the first and third coupling portions H1 and H3, and the rotary shaft portion 33 is configured to be parallel to the axis of the motor member M do.

따라서 상기 모터부재(M)가 동작하면 상기 힌지브라켓(H)이 회전하게 되고, 이 힌지브라켓(H)과 결합되어 있는 스토핑유닛(30)이 함께 움직여 스토핑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Therefore, when the motor member M is operated, the hinge bracket H is rotated, and the stopping unit 30 coupled with the hinge bracket H moves together to perform a stopping function.

나아가 상기 지지부(37)의 내측에는 복수개의 보강돌기(373)를 구비하여 내구성을 보다 강화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된다.Further,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plurality of reinforcing protrusions 373 on the inner side of the support portion 37 to further enhance the durability, and the scope of the right should not be limited.

나아가 상기 걸림부재(31)는 상기 회전축부(33)와 상기 회전축부(33)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관통공(153)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부(311) 및 상기 돌출부(311)로부터 수납부(15)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걸림부(313)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The locking member 31 further includes a protrusion 311 extending from the rotary shaft portion 33 and the rotary shaft portion 33 and protruding through the through hole 153 and a protrusion 311 extending from the protrusion 311 to the receiving portion 15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s.

즉, 상기 돌출부(311) 및 걸림부(313)는 그 단면 형상이 'ㄱ' 자 형상을 이루도록 절곡되는 것으로서, 이로 인해 상기 모니터(20)의 일면,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3)의 후면 테두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projecting portion 311 and the latching portion 313 are bent so that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projecting portion 311 and the latching portion 313 is' A '' shape. Accordingly, the surface of the monitor 20, So that the rear frame can be stably supported.

또한 상기 걸림부재(31)의 걸림부(313)가 상기 수납부(15)를 침범하면서 상기 모니터(20)의 후면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도 4를 참고하여 그 동작을 살펴보면,The latching portion 313 of the latching member 31 supports the rear surface of the monitor 20 while penetrating the accommodating portion 15. Referring to FIG. 4,

상기 모니터(20)가 틸팅동작에 의해 본체(10)로부터 펼쳐지는 경우, 상기 걸림부재(31)가 회전하여 상기 수납부(15)를 침범하고 있던 걸림부(313)가 수납부(15) 밖에 위치하도록 하여 모니터(20)가 펼쳐지게 되고, 모니터(20)가 수납부(15)에 안착되는 경우에는 안착 후 다시 상기 걸림부재(31)가 회전하여 걸림부(313)가 수납부(15)를 침범하는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모니터(20)의 후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monitor 20 is unfolded from the main body 10 by the tilting operation, the latching member 31 rotates and the latching part 313, which has invaded the latching part 15, The monitor 20 is opened so that the monitor 20 is seated in the storage unit 15 and then the retaining member 31 is rotated again after the seating so that the retaining unit 313 is moved to the storage unit 15 So that it is possible to stably support the rear surface of the monitor 20 as it moves to the position where the monitor 20 is located.

아울러 이러한 모니터(20)의 틸팅동작 및 스토핑유닛(30)의 동작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신호를 전달하여 각 구성을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tilting operation of the monitor 20 and the operation of the stopping unit 30 are preferably performed by an automatic method that allows a user to operate the respective components by transmitting signals by the control module, Do.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모니터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를 자동차의 실내, 특히 천정(W)에 고정하여야 하는데, 이 경우,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게 되면 차량 내의 내장제를 모두 분리하여 내부에 너트를 위치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Further, in the vehicle moni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10 should be fixed to an interior of a vehicle, in particular, a ceiling W. In this case, when bolts and nuts are used, There arises a problem of placing the nut.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체결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fastening means.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볼트결합부와 상기 볼트결합부(17a)(17b)를 서로 연결하는 볼트부재(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5, the fastening means includes a bolt member 100 that connects the bolt coupling portion and the bolt coupling portions 17a and 17b to each other.

이 때 상기 볼트부재(100)를 구비하는 경우, 나사부(101)에 너트를 조립하여 보완할 수 있으나, 너트를 사용하는 경우 실내 내장제를 모두 분리하여야 하여 설치가 어려워지거나, 공임이 많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At this time, when the bolt member 100 is provided, the nut can be assembled to the screw portion 101 to be supplemented. However, when the nut is used, it is necessary to separate all of the indoor built- .

이에 본 발명의 체결수단은, 도 5에 도시된 변형된 볼트부재(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한다.Accordingly, the fasten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modified bolt member 100 shown in Fig. 5, thereby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먼저 상기 볼트부재(100)는, 나사부(101)와 헤드부(102)로 구성되어, 상기 나사부(101)가 상기 볼트 결합부(17a, 17b)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는 것으로,The bolt member 100 includes a screw portion 101 and a head portion 102. The screw portion 101 is threaded through the bolt connecting portions 17a and 17b,

상기 볼트부재(100)는,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중공부(103)를 갖고,The bolt member (100) has a hollow portion (103) penetrat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중공부(103)를 관통하여 중공부(103)에서 인출입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일측 끝단부에 형성된 누름부(111)와, 타측 끝단부에서 힌지 결합되어 일측 방향으로 접히도록 탄성 지지되는 복수개의 날개부(112)를 구비한 심부재(110)와,A pressing part 111 formed at one end of the hollow part 103 so as to be pulled out from the hollow part 103 through the hollow part 103 and a pressing part 111 hinged at the other end part and elastically supported to be folded in one direction A shim member 110 having wing portions 112,

상기 중공부(103)에 구비되어, 상기 심부재(110)를, 일측 방향으로 가압하여 펼쳐진 날개부(112)가, 상기 볼트 결합부(17b)에 걸림 지지되도록 강제하는 코일스프링(104)을 포함한다.A coil spring 104 provided in the hollow portion 103 for urging the core member 110 in one direction so as to force the wing portion 112 to be engaged with the bolt coupling portion 17b .

상기 날개부(112)는 일방향으로만 회동 가능한 일종의 래치형 부재로써, 날개부(112)와, 심부재(110)의 타측 끝단부를 연결하는 힌지부(112a)에는, 날개부(112)가 일측 방향, 즉 심부재(110)의 외주면으로 접히도록 압력을 가하는 탄성체(미도시)가 구비된다.The wing portion 112 is a kind of latch type member which can be rotated only in one direction and a wing portion 112 is provided on a hinge portion 112a connecting one end of the wing portion 112 and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core member 110, An elastic body (not shown) is provided to apply pressure so as to be fold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re member 110. [

상기 탄성체에 의하여 날개부(112)가 심부재(110) 방향으로 접히도록 강제되므로, Since the wing portion 112 is forced to fold in the direction of the core member 110 by the elastic body,

누름부(111)를 이용해 심부재(110)가 중공부(103)의 타측 방향으로 인출되도록 가압하여 날개부(112)가 접혀진 상태에서, 볼트부재(100)를 볼트 결합부(17a, 17b)에 나사 결합한 후, 날개부(112)를 벌린 후 누름부(111)의 가압을 해제하면,The bolt member 100 is inserted into the bolt coupling portions 17a and 17b in a state in which the wing portion 112 is folded so that the core member 110 is pulled out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hollow portion 103 by using the pressing portion 111, When the wing portion 112 is opened and then the pressing portion 111 is released from the pressure,

코일스프링(104)에 의해 심부재(110)가 중공부(103)의 일측 방향으로 인입되면서, 펼쳐진 날개부(112)가 볼트 결합부(17b)에 접촉되면서 가압이 이루어진다.The expanded wing portion 112 is pressed against the bolt coupling portion 17b while the core member 110 is pulled in one direction of the hollow portion 103 by the coil spring 104. [

이 상태에서는, 날개부(112)에 의해 심부재(110)의 인출입이 제한되므로, 진동 등에 의해 볼트부재(100)가 풀림 방향으로 회전 압력을 받더라도, 고정된 심부재(110)로 인해 볼트부재(100)의 풀림이 방지된다.In this state, since the outflow of the core member 110 is restricted by the wing portion 112, even if the bolt member 100 is subjected to rotational pressure in the unwinding direction by vibration or the like, The member 100 is prevented from loosening.

즉, 상기 날개부(112)가 너트와 유사한 기능을 하게 된다.In other words, the wing portion 112 functions like a nut.

또한 볼트부재(100)의 분리가 필요한 경우, 누름부(111)를 눌러 심부재(110)를 중공부(103)의 일측 방향으로 인출시켜 날개부(112)가 다시 접히도록 한 후, 누름부(111)의 가압을 해제하면, 접혀진 날개부(112)가 나사부(101)의 타측 끝단부에 접촉되면서 심부재(110)가 고정되고, 이 상태에서 볼트부재(100)를 풀게 되면, 볼트 결합부(17a, 17b)에서 볼트부재(100)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bolt member 100 needs to be separated, the pressing member 111 is pressed to pull out the core member 110 in one direction of the hollow portion 103 so that the wing portion 112 is folded again, When the bolt member 100 is loosened in this state, the bolt member 110 is unlocked by releasing the urging force of the bolt member 111, So that the bolt member 100 can be detached from the portions 17a and 17b.

이때, 볼트부재(100)와, 심부재(110)가 동반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중공부(103)와 심부재(110)의 외주면 사이에는, 단턱과 걸림홈 또는 다각 형상을 이용한 걸림 구조가 마련되어, 심부재(110)가 중공부(103)에서 회전하지 않고 슬라이딩 직선 이동되도록 한다.At this time, between the hollow portion 103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re member 110, a latching structure using a step, an engagement groove, or a polygonal shape is provided so that the bolt member 100 and the core member 110 do not rotate together , So that the core member (110) can be linearly moved without sliding in the hollow portion (103).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차량용 모니터 어셈블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and construction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substitutions are to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 모니터 어셈블리 W : 천정
10 : 본체 11 : 체결부
12 : 공간부 13 : 틸팅결합부
131 : 샤프트 133 : 구동모터
15 : 수납부 151 : 보호돌출부
153 : 관통공 20 : 모니터
21 : 틸팅부 23 : 디스플레이부
30 : 스토핑유닛 31 : 걸림부재
311 : 돌출부 313 : 걸림부
33 : 회전축부 S : 체결수단
17a : 볼트결합부 17b : 볼트결합부
100 : 볼트부재 101 : 나사부
102 : 헤드부 103 : 중공부
104 : 코일스프링 110 : 심부재
111 : 누름부 112 : 날개부
112a : 힌지부
A: Monitor assembly W: Ceiling
10: main body 11: fastening portion
12: space portion 13: tilting engaging portion
131: shaft 133: drive motor
15: storage portion 151: protective protrusion
153: Through hole 20: Monitor
21: tilting part 23: display part
30: stopping unit 31: latching member
311: protrusion 313:
33: rotating shaft part S: fastening means
17a: bolt coupling portion 17b: bolt coupling portion
100: bolt member 101:
102: head part 103: hollow part
104: coil spring 110:
111: pressing portion 112: wing portion
112a:

Claims (4)

차량 실내에 장착되고 내부에 공간부(12)를 형성하는 체결부(11)와, 상기 체결부(11)에 구비되는 틸팅결합부(13) 및 수납부(15)를 포함하는 본체(10);
상기 틸팅결합부(13)에 결합되는 틸팅부(21)와, 영상이 송출되는 디스플레이부(23)를 포함하며, 상기 틸팅부(21)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기 수납부(15)에 안착되는 모니터(20);
상기 본체(10)의 수납부(15)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어, 수납부(15)에 안착된 모니터(20)의 일면을 지지하는 걸림부재(31)를 포함하는 스토핑유닛(30); 및
상기 본체(10)의 체결부(11)와 설치면에 서로 대응되도록 각각 구비되는 볼트결합부(17a)(17b)와, 상기 각각의 볼트결합부(17a)(17b)를 체결하는 볼트부재(100), 상기 볼트부재(100)에 내삽 구비되는 심부재(110)를 포함하는 체결수단(S);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볼트부재(10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중공부(103)가 구비되고,
상기 심부재(110)는 상기 중공부(103)를 관통하여 인출입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일측 끝단부에 누름부(111)가 형성되며,
상기 심부재(110)에는 일방향으로 회동가능한 복수개의 날개부(112)가 더 구비되고,
상기 중공부(103)에는 상기 날개부(112)가 볼트결합부(17b)에 걸림 지지되도록 강제하는 코일스프링(104)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모니터 어셈블리.
A main body 10 including a coupling part 11 mounted in a vehicle interior and defining a space 12 therein and a tilting coupling part 13 and a receiving part 15 provided in the coupling part 11; ;
A tilting portion 21 coupled to the tilting engagement portion 13 and a display portion 23 to which an image is transmitted and is mounted on the receiving portion 15 while being rotated with respect to the tilting portion 21 A monitor 20;
A stopping unit (30) provided at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storage unit (15) of the main body (10) and including a latching member (31) for supporting one surface of the monitor (20) mounted on the storage unit (15); And
A bolt engaging portion 17a and a bolt engaging portion 17b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fastening portion 11 and the mounting surface of the main body 10 respectively and bolts 17a and 17b fastening the respective bolt fastening portions 17a and 17b 100), and fastening means (S) including a core member (110) inserted into the bolt member (100)
The bolt member 100 is provided with a hollow portion 103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The shim member 110 is coupled to the hollow portion 103 so as to be drawn in and out, has a pressing portion 111 at one end,
The shim member (110) is furthe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ings (112) rotatable in one direction,
Wherein the hollow portion (103) is further provided with a coil spring (104) for forcing the wing portion (112) to be engaged with the bolt coupling portion (17b).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핑유닛(30)의 걸림부재(31)는 회전하여 상기 수납부(15)를 침범함으로서 수납부(15)에 안착되는 모니터(20)의 일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모니터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taining member of the stopping unit supports the one side of the monitor which is seated on the receiving part by being rotated to penetrate the receiving pa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31)는
상기 수납부(15)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는 회전축부(33)와 상기 회전축부(33)에 연장되어 돌출되는 돌출부(311) 및 상기 돌출부(311)로부터 수납부(15)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모니터(20)의 일면을 지지하는 걸림부(31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모니터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atching member (31)
A rotary shaft portion 33 provid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15 and a protruding portion 311 protruding from the rotary shaft portion 33 and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15 from the protruding portion 311, And a locking portion (313) for supporting one surface of the monitor (2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112)는 일방향으로만 회동 가능한 래치형 부재로써, 날개부(112)와 심부재(110)의 타측 끝단부를 연결하는 힌지부(112a)에는 날개부(112)가 심부재(110)의 외주면으로 접히도록 압력을 가하는 탄성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모니터 어셈블리.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wing portion 112 is a latch type member which is rotatable only in one direction and a hinge portion 112a connecting the other end of the wing portion 112 to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core member 110 is provided with a wing portion 112, And an elastic body for applying pressure to be fold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ehicle.
KR1020160070739A 2016-06-08 2016-06-08 Monitor assembly for vehicle Active KR1017907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0739A KR101790775B1 (en) 2016-06-08 2016-06-08 Monitor assembly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0739A KR101790775B1 (en) 2016-06-08 2016-06-08 Monitor assembly for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0775B1 true KR101790775B1 (en) 2017-10-26

Family

ID=60300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0739A Active KR101790775B1 (en) 2016-06-08 2016-06-08 Monitor assembly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0775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6535B1 (en) 2020-10-26 2021-05-26 주식회사 굿티브이 Vehicle display system
CN113844371A (en) * 2020-06-26 2021-12-28 新秀丽Ip控股有限责任公司 Holders for mobile electronic devices
KR20230166565A (en) * 2022-05-31 2023-12-07 이하성 Automobile ceiling type folding display apparatu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2164Y1 (en) * 2001-02-20 2001-07-19 주식회사 디지털월드 A car displayer for smart angle control
JP2005333237A (en) 2004-05-18 2005-12-02 Mitsubishi Electric Corp Opening and closing type monitor device
JP5507009B2 (en) * 2011-06-01 2014-05-28 三菱電機株式会社 Button holding structu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2164Y1 (en) * 2001-02-20 2001-07-19 주식회사 디지털월드 A car displayer for smart angle control
JP2005333237A (en) 2004-05-18 2005-12-02 Mitsubishi Electric Corp Opening and closing type monitor device
JP5507009B2 (en) * 2011-06-01 2014-05-28 三菱電機株式会社 Button holding structur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44371A (en) * 2020-06-26 2021-12-28 新秀丽Ip控股有限责任公司 Holders for mobile electronic devices
KR102256535B1 (en) 2020-10-26 2021-05-26 주식회사 굿티브이 Vehicle display system
KR20230166565A (en) * 2022-05-31 2023-12-07 이하성 Automobile ceiling type folding display apparatus
KR102684185B1 (en) * 2022-05-31 2024-07-10 이하성 Automobile ceiling type folding display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85276B2 (en) Outside mirror device for vehicle
JP5430575B2 (en) 2-axis hinge mechanism
US20120049543A1 (en) Hood latch module using pop-up spring
US7399033B2 (en) Vehicle video display device on armrest
KR101790775B1 (en) Monitor assembly for vehicle
JP4467893B2 (en) Pre-assembled window shade parts
US7578558B2 (en) Seat lock device
US20140341634A1 (en) Anchor point in a motor vehicle
US11780385B1 (en) License plate holder
US9573526B2 (en) Mirror bracket for a motor vehicle
US11603682B2 (en) Bi-directional door opening structure
KR20220109174A (en) Cup holder apparatus
WO2012176462A1 (en) Display retaining mechanism and opening and closing type display device
KR101543524B1 (en) Includes a low-noise miniature Automotive display monitor tilting function
CN110792908A (en) Vehicle, display device and rotating structure
CN219134022U (en) Display device and automobile
CN211450232U (en) Vehicle, display device and rotating structure
JP2002200941A (en) In-vehicle AV equipment
CN218228861U (en) Gesture adjustment assembly, vehicle-mounted display terminal and vehicle
KR100528510B1 (en) Locking device of tail gate for truck
JP7508146B2 (en) Clips for mounting automotive products
CN117508029B (en) Gesture adjusting assembly, vehicle-mounted display terminal and vehicle
CN217863951U (en) Vehicle-mounted rear-row display screen turnover mechanism
CN221482485U (en) Bushing, clutch structure, attitude adjusting assembly, vehicle-mounted screen device and vehicle
CN218343328U (en) Turning device, seat and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3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0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10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