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90606B1 - 바디 라이너 시퀀스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바디 라이너 시퀀스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0606B1
KR101790606B1 KR1020170005496A KR20170005496A KR101790606B1 KR 101790606 B1 KR101790606 B1 KR 101790606B1 KR 1020170005496 A KR1020170005496 A KR 1020170005496A KR 20170005496 A KR20170005496 A KR 20170005496A KR 101790606 B1 KR101790606 B1 KR 101790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frame
distance
frame
vehicle
sens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5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규창
권영신
Original Assignee
(주) 신우이앤티
송규창
권영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신우이앤티, 송규창, 권영신 filed Critical (주) 신우이앤티
Priority to KR1020170005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06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0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060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5/00Servicing, maintaining, repairing, or refitting of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00Straightening, restoring form or removing local distortions of sheet metal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Stretching sheet metal combined with rolling
    • B21D1/12Straightening vehicle body parts or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00Straightening, restoring form or removing local distortions of sheet metal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Stretching sheet metal combined with rolling
    • B21D1/14Straightening frame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바디라이너 시퀀스 제어 방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700)에 차종을 입력하는, 차종입력단계와, 상기 차종입력단계 이후에, 상기 상부센서(617, 647), 측방센서(613, 643), 전방센서(621) 및 후방센서(631)가 장착지점에서 상기 차량 프레임(F)의 대응지점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측정단계와, 상기 측정단계 이후에, 상기 제어부(700)에서 측정거리와 차종에 해당하는 규정거리를 비교하여 측정거리가 규정거리의 범위에 있는지를 확인하여 상기 범위에 있으면 종료시키고, 상기 범위에 있지 않으면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연산단계와, 상기 연산단계 이후에,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규정거리에 해당하지 않는 측정거리 데이터를 발신한 상기 상부센서(617, 647), 측방센서(613, 643), 전방센서(621) 및 후방센서(631)의 고유번호를 인식하는, 고유번호인식단계와, 상기 고유번호인식단계 이후에,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고유번호에 대응되는 차량 프레임(F)의 대응 부분을 손상부분으로 인식하고, 상기 손상부분을 상기 디스플레이(800)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교정부(500)에 의해서 자동으로 차량 프레임(F)의 각 부분의 손상 여부를 확인하기 때문에 일일이 맥퍼슨 타워 게이지, 트램 게이지, 센터라인 게이지를 이용하여 차량 프레임의 손상 정도를 수작업으로 측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일반 비숙련자도 차량 프레임(F)의 교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교정 중에도 수시로 차량 프레임(F)을 수작업으로 측정해야 하므로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즉, 교정 중에 실시간으로 차량 프레임의 치수 변화가 자동으로 체크되고, 이러한 변화는 상기 디스플레이(800)를 통해서 표시되므로 용이하게 복원 과정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바디 라이너 시퀀스 제어 방법 {METHOD OF SEQUENCE PROCESSING FOR BODY LINER}
본 발명은 바디 라이너 시퀀스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차량 프레임의 손상 부위 및 정도를 자동으로 감지할 수 있고, 교정 시에는 차량 프레임의 복원 정도를 자동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디 라이너 시퀀스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배경기술의 구성과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차량 프레임이 교통사고에 의해서 전방부가 휘어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배경기술에 의한 라운드형의 바디라이너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배경기술에 의한 라운드형의 바디라이너에 차량을 상차한 후 교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로서, 배경기술에 의한 라운드형 바디라이너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교통사고를 당하게 되면, 차량 프레임(F)이 휘어지든지, 함몰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도 1은 일례로서 차량 프레임(F)의 전방부가 좌측으로 휘어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이렇게 손상된 차량 프레임(F)은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것과 같은 라운드형 바디라이너(1)를 통해서 교정하게 된다. 이외에도 사각 바디라이너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는데 편의상 상기 라운드형 바디라이너(1)로서 설명한다.
상기 라운드형 바디라이너(1)는 도 2에서처럼 전후방으로 길게 형성되고 중앙부에 관통부(13)가 형성된 프레임(10)이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0)은 코너부가 라운드 모양으로 형성되므로 후술하는 교정부(50)의 순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의 하부에 장착되어 승강시키는 하부 리프트(20)가 구성되고, 상기 관통부(13)에 배치되도록 프레임(10)에 장착되어 차량 프레임(F)을 승강시키는 내측 리프트(3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10)의 상면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관통부(13)의 좌우측에 배치되어 차량 프레임(F)을 잡아주는 클램퍼(4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10)의 측면에 장착되어 순환 가능한 것으로서 차량 프레임(F)의 손상부를 잡아당겨서 교정하는 교정부(50)가 구성된다.
상기 교정부(50)는 상기 프레임(10)의 측면에 장착되어 순환하는 것으로서 상방으로 길게 연장된 실린더(51)와 상기 실린더(51)의 상방으로 수용되어 유압에 의해서 승강하는 피스톤(53)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51)에 장착된 롤러(55)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롤러(55)에 안내되어 상기 피스톤(53)의 상단에 고정된 체인(57)이 구성되고, 상기 체인(57)의 단부에는 후크(59)가 연결되어 차량 프레임(F)에 걸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51)에는 유압 호스가 연결되어 작동유의 출입에 의해서 상기 피스톤(53)의 승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라운드형 바디라이너(1)의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량 프레임(F)을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에 올린 후에 상기 내측 리프트(30)를 작동시켜서 차량 프레임(F)을 상방으로 올린다. 그리고 상기 클램퍼(40)를 이용하여 차량 프레임(F)의 좌우측 하단부를 잡을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차량 프레임(F)의 좌우측 하단에는 전후방으로 길게 형성된 블레이드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되므로 상기 돌출부를 클램핑한다. 이렇게 클램퍼(40)에 차량 프레임(F)이 지지되면 상기 내측 리프트(30)가 하강하도록 한다.
그러고 나서, 상기 하부 리프트(20)를 구동시켜서 프레임(10)이 상승하도록 한 후에 차량 프레임(F)의 손상부를 육안으로 파악한다. 그리고 맥퍼슨 타워 게이지, 트램 게이지, 센터라인 게이지를 이용하여 차량 프레임(F)의 높이 좌우 폭 등을 측정하여 손상 정도를 측정한다.
이렇게 측정한 후에 상기 교정부(50)의 실린더(51)를 이동시켜서 손상부를 대향하도록 배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후크(59)를 손상부에 걸고 나서, 상기 피스톤(53)을 상승시킨다. 즉, 도 1의 경우 A 부에 교정부(50)를 위치한 후에 화살표 방향으로 차량 프레임(F)을 당긴다. 이때, 상기 롤러(55)의 위치는 차량 프레임(F)과 나란하게 배치되므로 피스톤(53)이 상승하더라도 측방으로 체인(57)이 당겨지게 된다. 이때, 어느 정도 당긴 후에 상기 맥퍼슨 타워 게이지, 트램 게이지, 센터라인 게이지를 이용하여 다시 차량 프레임(F)의 치수를 교정 작업 중에 체크하므로 차량 프레임(F)의 교정 과정을 확인한다.
상기 구성과 작동례에 의한 라운드형 바디라이너(1)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일일이 상기 맥퍼슨 타워 게이지, 트램 게이지, 센터라인 게이지를 이용하여 차량 프레임(F)의 손상 정도를 수작업으로 측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러한 측정 작업은 숙련공이 아니고서는 쉽게 할 수 있는 작업이 아니므로 일반 작업자들이 쉽게 작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교정 중에도 수시로 차량 프레임(F)을 수작업으로 측정해야 하므로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신속한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특허공개 제10-1999-0079868호 (1999년 11월 05일)
본 발명에 의한 자동 교정이 가능한 라운드형 바디라이너는 다음 사항을 해결하고자 한다.
첫째, 일일이 상기 맥퍼슨 타워 게이지, 트램 게이지, 센터라인 게이지를 이용하여 차량 프레임의 손상 정도를 수작업으로 측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함으로써 일반 작업자들도 쉽게 차량 프레임의 교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교정 중에도 수시로 차량 프레임을 수작업으로 측정해야 하므로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한다. 즉, 교정 중에 실시간으로 차량 프레임의 치수 변화를 자동으로 체크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바디 라이너 시퀀스 제어 방법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차량 프레임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구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차량 프레임을 잡아주는 클램퍼와, 상기 프레임의 측방에 장착되어 유압에 의해서 상기 차량 프레임의 손상부를 인장시켜 복원하는 교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프레임의 둘레에 배치되어 장착지점에서 상기 차량 프레임의 대응지점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아서 차량 프레임까지의 규정된 거리와 측정 거리를 비교하여 손상 부위를 인식하고 상기 손상 부위를 데이터로 발송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되어 상기 손상 부위 데이터를 수신하여 차량의 손상 부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차량 프레임의 좌우 측방에 세워지는 수직바(수직 BAR)와 상기 수직바에서 내측방을 향하는 수평바(수평 BAR)로 형성된 측방폴과, 상기 차량 프레임 전후방에 세워지는 전방폴 및 후방폴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바에 장착되어, 장착 지점에서 차량 프레임의 상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상부센서와, 상기 수직바에 장착되어, 장착 지점에서 차량 프레임의 좌우 측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측방센서와, 상기 전방폴 및 후방폴에 각각 장착되어, 장착 지점에서 차량 프레임의 전방단부와 후방단부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전방센서 및 후방센서를 포함하는 바디라이너를 작동시키는 시퀀스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제어부에 차종을 입력하는, 차종입력단계가 이루어진다.
상기 차종입력단계 이후에, 상기 상부센서, 측방센서, 전방센서 및 후방센서가 장착지점에서 상기 차량 프레임의 대응지점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측정단계가 이루어진다.
상기 측정단계 이후에, 상기 제어부에서 측정거리와 차종에 해당하는 규정거리를 비교하여 측정거리가 규정거리의 범위에 있는지를 확인하여 상기 범위에 있으면 종료시키고, 상기 범위에 있지 않으면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연산단계가 이루어진다.
상기 연산단계 이후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규정거리에 해당하지 않는 측정거리 데이터를 발신한 상기 상부센서, 측방센서, 전방센서 및 후방센서의 고유번호를 인식하는, 고유번호인식단계가 이루어진다.
상기 고유번호인식단계 이후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유번호에 대응되는 차량 프레임의 대응 부분을 손상부분으로 인식하고, 상기 손상부분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단계가 이루어진다.
상기 디스플레이단계 이후에, 교정 지시 신호를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교정부를 작동시키는, 교정부작동단계가 이루어진다.
상기 교정부작동단계 이후에, 상기 상부센서, 측방센서, 전방센서 및 후방센서 중 상기 손상부분에 대응되는 것을 작동시켜서 장착 지점에서 손상부분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손상부측정단계가 이루어진다.
상기 손상부측정단계 이후에, 상기 제어부는 측정거리와 차종에 해당하는 규정거리를 비교하여 측정거리가 규정거리의 범위에 있는지를 확인하여 상기 범위에 있으면, 상기 교정부를 정지시키고, 상기 범위에 있지 않으면 상기 손상부측정단계로 리턴시키는 연산단계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바디 라이너 시퀀스 제어 방법은 상기 해결수단에 의해서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상기 교정부에 의해서 자동으로 차량 프레임의 각 부분의 손상 여부를 확인하기 때문에 일일이 맥퍼슨 타워 게이지, 트램 게이지, 센터라인 게이지를 이용하여 차량 프레임의 손상 정도를 수작업으로 측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일반 비숙련자도 차량 프레임의 교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교정 중에도 수시로 차량 프레임을 수작업으로 측정해야 하므로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즉, 교정 중에 실시간으로 차량 프레임의 치수 변화가 자동으로 체크되고, 이러한 변화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표시되므로 용이하게 복원 과정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차량 프레임이 교통사고에 의해서 전방부가 휘어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배경기술에 의한 라운드형의 바디라이너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배경기술에 의한 라운드형의 바디라이너에 차량을 상차한 후 교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가능하도록 하는 라운드형의 바디라이너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도 4를 "V" 방향에서 본 것을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도 4를 "W" 방향에서 본 것을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도 4에서 도시한 라운드형의 바디라이너에 차량 프레임이 상차된 후 교정부의 후크를 차량의 손상부에 걸어서 인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도 7을 K 방향에서 본 것을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이 가능하도록 하는 사각형의 바디라이너를 도시한 측면도.
도 10은 도 9에서 도시한 사각형의 바디라이너가 수용되는 골조와 상기 골조에 교정부가 장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서 도시한 골조에 사각형의 바디라이너가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2는 도 11의 S-S'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이 가능하도록 하는 라운드형의 바디라이너와 사각형의 바디라이너에 구성되는 감지부와 제어부 및 디스플레이를 도시한 블록도.
도 14는 도 13에서 도시한 디스플레이를 도시한 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바디 라이너 시퀀스 제어 방법을 도시한 플로차트.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프로세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라운드형의 바디라이너(90)의 구조를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이 가능하도록 하는 라운드형의 바디라이너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도 4를 "V" 방향에서 본 것을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도 4를 "W" 방향에서 본 것을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도 4에서 도시한 라운드형의 바디라이너에 차량 프레임이 상차된 후 교정부의 후크를 차량의 손상부에 걸어서 인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도 7을 K 방향에서 본 것을 도시한 정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중앙부에 관통부(110)가 형성된 것으로서 코너부가 라운드 모양으로 형성되고 차량 프레임(F)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형성된 직방형의 프레임(100)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0)의 하부에 장착되어 승강 기능을 하는 하부 리프트(200)가 구성되고, 상기 관통부(110)에 배치되도록 상기 프레임(100)에 장착되어 차량 프레임(F)을 승강시키는 내측 리프트(30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관통부(110)의 좌우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프레임(100)에 장착되어 차량 프레임(F)을 잡아주는 클램퍼(400)가 구성된다. 상기 클램퍼(400)는 회동 가능한 것으로서 차량 프레임(F)이 상차되는 과정에서는 회동되어 눕혀져 있다가 차량 프레임(F)을 클램핑할 때에는 세워질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당해업자라면 누구나 알 수 있는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100)의 측방을 따라 순환하도록 상기 프레임(100)에 장착되어 차량 프레임(F)을 교정하는 교정부(500)가 구성된다.
상기 교정부(500)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프레임(100)의 측면에 장착되어 순환하는 것으로서 로드(513)가 상방을 향하는 유압 실린더(510)가 구성되고, 상기 유압 실린더(510)에 장착되어 상기 프레임(100) 쪽을 향하는 롤러(515)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롤러(515)에 안내되어 상기 로드(513)의 상단에 고정된 체인(517)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체인(517)의 단부에 연결되어 차량 프레임(F)에 걸리는 후크(519)가 구성된다. 상기 유압 실린더(510)에 작동유가 출입하도록 유압호스가 연결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관통부(11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프레임(100)의 상면에 장착되어 장착된 지점에서 상기 클램퍼(400)에 고정된 차량 프레임(F)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감지부(600)가 구성된다. 그리고 도 13에서처럼, 상기 감지부(600)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아서 차량 프레임(F)까지의 규정된 거리와 측정 거리를 비교하여 손상 부위를 인식하고 상기 손상 부위를 데이터로 발송하는 제어부(700)가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700)에 접속되어 상기 손상 부위 데이터를 수신하여 차량의 손상 부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800)가 구성된다.
상기 감지부(600)의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면, 도 7 및 도 8에서처럼, 상기 관통부(110)의 좌우측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프레임(100)의 상면에 세워지는 수직바(611, 수직 BAR)와 상기 수직바(611)에서 내측방을 향하는 수평바(615, 수평 BAR)로 형성된 측방폴(610)이 다수 개 구성된다. 이때 수직바(611)는 각각 차량 프레임(F)의 측면을 대향하게 되고 상기 수평바(615)는 각각 차량 프레임(F)의 상면 즉, 엔진룸, 지붕, 트렁크의 상면을 대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바(615)에 장착되어, 장착 지점에서 차량 프레임(F)의 상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상부센서(617)가 구성되고, 상기 수직바(611)에 장착되어, 장착 지점에서 차량 프레임(F)의 좌우 측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측방센서(613)가 구성된다.
또한, 도 6 및 도 7에서처럼, 각각 관통부(110)의 양측에 배치되도록 프레임(100)의 상면에 고정되어, 차량 프레임(F)의 중심부를 향하는 측방폴(640)이 더 구성된다. 상기 측방폴(640)은 도 7에서처럼, 차량 프레임(F)의 프론트 도어(D1)와 리어 도어(D2) 사이에 형성된 갭(G)의 센터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측방폴(610)과 동일한 구조로 형성된다. 즉, 프레임(100)에 고정된 수직바(645)와 상기 수직바(645)에 연결되어 차량 프레임(F)의 상부를 향하는 수평바(645)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평바(645)에 장착되어, 장착 지점에서 차량 프레임(F)의 지붕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상부센서(647)가 구성되고, 상기 수직바(641)에 장착되어, 장착 지점에서 상기 갭(G) 사이의 측면 즉, 차량 프레임(G)의 측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측방센서(643)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바(641)에 부착되어 상기 갭(G)의 센터를 비추는 레이저 발광기가 구성된다.
또한, 도 4 내지 도 6에서처럼, 상기 관통부(110)의 전후방에 배치되도록 프레임(100)의 상면에 세워진 일자형인 전방폴(620) 및 후방폴(630)이 다수 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폴(620) 및 후방폴(630)에 각각 장착되어, 장착 지점에서 차량 프레임(F)의 전방단부(R)와 후방단부(L)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전방센서(621) 및 후방센서(631)가 구성된다.
상기 측방센서(613, 643) 및 상부센서(617, 647)와 전방센서(621), 후방센서(631)는 일례로서 적외선을 조사한 후 반사되는 적외선이 도달하는 시간을 측정하여 장착된 지점에서 차량 프레임(F)의 각 부분까지의 거리를 산출하여 상기 제어부(7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700)는 각각의 상기 측방센서(613, 643) 및 상부센서(617, 647)와 전방센서(621), 후방센서(631)를 이미 설정된 고유번호대로 구별하여 인식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센터폴(640)의 측방센서(643)가 차량 프레임(F)의 간극(G) 중앙을 향하도록 셋팅된 상태에서 상기 측방센서(613, 643) 및 상부센서(617, 647)와 전방센서(621), 후방센서(631)가 측정한 거리를 수신한 후에 규정된 치수값과 비교하여 상이한 값을 발신하는 측방센서(613, 643) 및 상부센서(617, 647)와 전방센서(621), 후방센서(631)가 있다면, 상기 번호를 인식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800)를 통해서 상기 번호에 대응되는 차량 프레임(F)의 부분을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차량 프레임(F)의 손상부를 제시하게 된다.
이때, 디스플레이(800)는 일례로서 도 14에서처럼, 차량 프레임(F)의 평면도(a)와 측면도(b)를 제시한 상태에서 점선으로 손상된 형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일례로서 차량 프레임(F)의 전방부가 측방 내지는 하방으로 휘어졌다면 휘어진 그림을 점선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평면도(a)에서처럼 차량 프레임(F)의 전방부가 우측으로 휘어진 경우, 전방좌측(D)에서 우측으로 30cm 들어가고 우방좌측(E)에서 우측으로 30cm 돌출된 상태를 수치로 표시하고, 측면도(b)에서처럼 차량 프레임(F)의 전방부가 하방으로 휘어진 경우, 전방상측에서 하방으로 30cm 하강한 상태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800)는 상기 표시 방법 외에도 다양한 양식으로 표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규정된 치수를 차종별로 저장한 데이터 베이스(710)가 상기 제어부(700)에 연계되어 구성된다. 물론, 차종이 제어부(700)에 입력되도록 구성됨은 물론이다. 상기 규정된 치수는, 차종별로 상기 클램퍼(400)에 차량 프레임(F)을 물린 상태에서 상기 센터폴(640)의 측방센서(643)가 차량 프레임(F)의 간극(G) 센터에 대응된 상태에서 각각의 측방센서(613, 643) 및 상부센서(617, 647)와 전방센서(621), 후방센서(631)에서 차량 프레임(F)까지의 거리를 측정한 표준값이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규정된 치수를 실시간 측정값과 비교하도록 프로그램된 것이다.
일례로, 상기 측방폴(640)의 상부센서(647)에서 차량 프레임(F)의 지붕까지의 거리(규정 치수)가 45cm인데, 50cm라면 5cm 하방으로 압축된 상태이므로 제어부(700)는 이를 감지하고 상기 디스플레이(800)에 표시된 측면도(b)에 상기 상부센서(647)와 대응되는 부위를 하방으로 압축된 상태의 점선으로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지붕하측" 옆에 수치로 표시하게 된다.
이런 식으로 제어부(700)는 손상 부위를 감지하여 표시하게 되는데, 상기 손상 부위를 상기 교정부(500)를 통해서 복원할 때에도 각각의 상기 측방센서(613, 643) 및 상부센서(617, 647)와 전방센서(621), 후방센서(631)로부터 거리 데이터를 전송받아서 실시간으로 변환되는 거리값을 디스플레이(800)에 표시하게 된다. 이때, 변환되는 거리값이 규정된 치수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교정부(500)의 작동을 멈추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4 및 도 5에서처럼, 상기 교정부(500)는 상기 유압 실린더(510)의 측방에 장착되고 로드(523)가 프레임(100)의 외측방을 향하고 상기 로드(523)의 상대측은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상부 유압 실린더(520)가 더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유압 실린더(520)의 상대측에 고정된 롤러(525)가 구성되고, 상기 롤러(525)에 안내되어 상기 로드(523)에 고정된 체인(527)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체인(527)의 단부에 고정된 후크(529)를 더 구성됨으로써, 상기 후크(529)를 차량 프레임(F)의 압축된 손상부에 걸고서 상기 로드(523)를 후진시킴으로써 체인(527)은 상승하게 되어 압축부를 원상태로 들어올리게 된다.
상기 교정부(500)를 구성하는 유압 실린더(510) 및 상부 유압 실린더(520)는 스위치가 구성되어 수동으로 작동이 시작되고, 상기 제어부(700)가 차량 프레임(F)의 복원 과정을 수치로 확인하다가 규정 치수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유압 실린더(510) 및 상부 유압 실린더(520)의 작동을 멈추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라운드형의 바디라이너(90)에 차량 프레임(F)을 상차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하부 리프트(200)를 하강시킨 상태에서 차량 프레임(F)이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에 상차되도록 한다. 일례로 상기 하부 리프트(200)의 작동에 의해서 프레임(100)이 기울어지게 함으로써 차량 프레임(100)이 자체 구동에 의해서 올라갈 수 있다. 이렇게 적치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리프트(200)는 프레임(100)이 수평상태로 복원된 후 상승하도록 한다. 또는, 상기 차량 프레임(F)을 크레인으로 들어올려서 적치한 후에 하부 리프트(200)에 의해서 프레임(100)이 상승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측방폴(640)의 측방센서(643)가 차량 프레임(F)의 프론트 도어(D1)와 리어도어(D2) 사이의 갭(G)의 센터 지점에 대응되도록 차량 프레임(F)의 위치를 조정한다. 일례로서, 상기 측방센서(643)에 장착된 레이저 발광기에 의해서 레이저가 조사되도록 하고, 상기 간극(G)의 센터 지점에 마크를 표시함으로써 상기 마크가 레이저에 일치하도록 함으로써 위치 조정이 가능하다.
그리고 차량 프레임(F)의 하단 좌우측에 형성된 블레이드 형상의 돌출부(도시하지 않음)는 양측 클램퍼(400)에 대응되도록 한다. 이러한 차량 프레임(F)의 위치 조정은 자체 구동에 의해서도 가능하고 상기 크레인의 조정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상기 돌출부는 당해업자라면 누구나 알 수 있는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고 나서, 상기 내측 리프트(300)를 구동시켜서 차량 프레임(F)을 상방으로 들어올린다. 그리고 상기 클램퍼(400)를 세운 후에 상기 돌출부가 클램퍼(400)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내측 리프트(300)는 완전히 하강한 상태가 된다.
이렇게 해서 차량 프레임(F)은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에 정위치에 셋팅된 상태가 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이 가능하도록 하는 사각형의 바디라이너(90)의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본 발명이 가능하도록 하는 사각형의 바디라이너를 도시한 측면도, 도 10은 도 9에서 도시한 사각형의 바디라이너가 수용되는 골조와 상기 골조에 교정부가 장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서 도시한 골조에 사각형의 바디라이너가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2는 도 11의 S-S'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중앙부에 관통부(110)가 형성된 직방형의 프레임(100)이 구성되는데, 차량 프레임(F)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차량 프레임(F)의 하방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100)에 장착되어 지반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100)을 승강시키는 하부 리프트(20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100)의 좌우측에 장착되어 차량 프레임(F)을 잡아주는 클램퍼(400)가 구성되는데, 상기 프레임(100)의 좌우측에 회동하도록 장착된 아암(95)에 장착된다. 상기 아암(95)은 차량 프레임(F)이 프레임(100)의 상방으로 이동할 때에는 접었다가 클램핑할 때에는 펼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100)의 테두리부에 탈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클램퍼(400)에 장착된 차량 프레임(F)을 복원시키는 교정부(500)가 구성된다.
상기 교정부(500)는, 상기 프레임(100)의 테두리부에 탈착되는 지지부(521)가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521)에 좌우 측방으로 회동하도록 장착된 회동아암(525)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동아암(525)에 상방으로 길게 장착되고 전후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레버(529)가 구성되고, 상기 회동아암(525)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로드(535)가 상기 레버(529)에 회동하도록 연결된 유압 실린더(533)가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521)는 프레임(100)의 테두리에에 볼트에 의해서 탈착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회동아암(525)은 지지부(521)의 내측으로 수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회동아암(525)과 지지부(521)를 관통하는 회전축(527)이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527)은 상기 회동아암(525)에 고정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레버(529)의 회동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레버(529)의 외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다수 개의 돌출부(531)가 배열됨으로써 체인(517)을 걸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동아암(525)과 지지부(521)의 하단에는 캐스터(539)가 장착되어 이동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관통부(110)의 전후방에 각각 배치되도록 상기 프레임(100)에 장착된 내측 리프트(300)가 구성되는데, 유압의 작동에 의해서 차량 프레임(F)을 승강시킬 수 있는 장치이다. 그 구조는 일례로 상기 하부 리프트(200)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측 리프트(300)에 의해서 별도의 리프트 없이도 차량 프레임(F)을 상방으로 들어올려서 상기 클램퍼(4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하부 리프트(200)와 내측 리프트(300)는 일반적으로 유압에 의해서 승강하는 장치로써 당해업자라면 누구나 알 수 있는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9에서처럼, 상기 회동아암(525)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지지부(521)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축(527)에 연결된 서보모터(537)가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서보모터(537)의 정역 회전에 따라서 상기 레버(529)를 용이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0에서처럼, 상기 프레임(100)을 수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클램퍼(400)에 고정된 차량 프레임(F)을 수용하는 바디 프레임(C)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 프레임(C)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장착 지점에서 상기 차량 프레임(F)의 각 부분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감지부(60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감지부(600)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아서 차량 프레임(F)까지의 규정된 거리와 측정 거리를 비교하여 손상 부위를 인식하고 상기 손상 부위를 데이터로 발송하는 제어부(700)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0)에 접속되어 상기 손상 부위 데이터를 수신하여 차량 프레임(F)의 손상 부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800)가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700)에는 차종 별로 상기 규정된 거리가 입력된 데이터 베이스(710)가 접속되어 구성된다.
상기 바디 프레임(C)은 후방으로 개방된 ∏형의 것으로서, 상기 바디 프레임(C)의 양측의 후방 단부 중 일측에 회동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바디 프레임(C)의 개방된 후방을 개폐하는 바(BAR) 형상의 회동 프레임(Q)이 구성된다. 또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바디 프레임(C)의 하단에 부착된 캐스터(E)가 구성된다.
상기 감지부(600)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또한, 상기 바디 프레임(C)의 전방부와 상기 회동 프레임(Q)에 고정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상기 차량 프레임(F)의 전방단부(R)와 후방단부(L)에 각각 대응되는 전방폴(620) 및 후방폴(63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바디 프레임(C)의 좌우측방부에 고정되어 상기 차량 프레임(F)의 좌우측면에 대응되는 측방폴(610)이 구성된다.
상기 측방폴(610)은 상기 바디 프레임(C)의 좌우측방부에 고정되고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차량 프레임(F)의 좌우측면에 대응되는 수직바(611)가 구성되고, 상기 수직바(611)에 연결되어 상기 차량 프레임(F)의 상부에 대응되는 수평바(615)가 구성된다.
상기 전방센서(621) 및 후방센서(631)는 각각 상기 전방폴(620) 및 후방폴(630)에 부착되고, 상기 측방센서(613)는 상기 수직바(611)에 부착되고, 상기 상부센서(617)는 상기 수평바(615)에 부착됨으로써 각각 장착 지점에서 차량 프레임(F)의 각 부분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바디 프레임(C)에 고정되어, 상기 차량 프레임(F)의 전방도어(D1)와 후방도어(D2)의 사이에 형성된 갭(G)의 센터지점에 대응되는 측방폴(640)이 구성된다.
상기 측방폴(640)은, 상기 센터지점에 대응되도록 상기 바디 프레임(C)에 고정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수직바(641)가 구성되고, 상기 수직바(641)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차량 프레임(F)의 지붕에 대향되는 수평바(645)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직바(641)에 부착되어 상기 센터지점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측방센서(643)가 구성되고, 상기 수평바(645)에 부착되어 상기 지붕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상부센서(647)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직바(611)에 부착되어 상기 센터지점을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레이저 발광기(H)가 구성된다.
상기 측방센서(613, 643) 및 상부센서(617, 647)와 전방센서(621), 후방센서(631)는 일례로서 적외선을 조사한 후 반사되는 적외선이 도달하는 시간을 측정하여 장착된 지점에서 차량 프레임(F)의 각 부분까지의 거리를 산출하여 상기 제어부(7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700)는 각각의 상기 측방센서(613, 643) 및 상부센서(617, 647)와 전방센서(621), 후방센서(631)를 이미 설정된 고유번호대로 구별하여 인식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측방폴(640)의 측방센서(643)가 차량 프레임(F)의 갭(G) 중앙을 향하도록 셋팅된 상태에서 상기 측방센서(613, 643) 및 상부센서(617, 647)와 전방센서(621), 후방센서(631)가 측정한 거리를 수신한 후에 규정된 치수값과 비교하여 상이한 값을 발신하는 측방센서(613, 643) 및 상부센서(617, 647)와 전방센서(621), 후방센서(631)가 있다면, 상기 고유번호를 인식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800)를 통해서 상기 번호에 대응되는 차량 프레임(F)의 부분을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차량 프레임(F)의 손상부를 제시하게 된다.
상기 사각형의 바디라이너(90)에 차량 프레임(90)을 셋팅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하부 리프트(200)를 하강시킨 상태에서 차량 프레임(F)이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이동시킨다. 그리고 전후방에 배치된 상기 내측 리프트(300)를 동시에 상승시켜서 차량 프레임(F)을 들어올린다. 그리고 상기 클램퍼(400)에 차량 프레임(F)의 하단부가 고정되도록 한다. 차량 프레임(F)의 하단부에는 차량 프레임(F)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블레이드 형상의 돌기가 양측에 형성되므로 상기 클램퍼(400)로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렇게 클램퍼(400)에 차량 프레임(F)이 고정되면 상기 내측 리프트(300)는 하강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바디 프레임(C)을 이동시켜서 바디 프레임(C)의 내측으로 차량 프레임(F)이 수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회동 프레임(Q)은 열린 상태가 되고, 차량 프레이(F)이 수용된 후에는 상기 회동 프레임(Q)을 회동시켜서 바디 프레임(C)의 개방된 후방부가 닫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바디 프레임(C)을 이동시켜서 상기 측방폴(640)에 장착된 레이저 발광기(H)의 빛이, 차량 프레임(F)에 형성된 프론트 도어(D1) 및 리어 도어(D2) 사이의 갭(G)의 센터 지점과 일치하도록 한다. 상기 센터 지점은 테이프 등을 부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프레임(F)은 골조(B)의 내부에 셋팅된 상태가 된다.
상기처럼 구성된 라운드형 및 사각형의 바디라이너(90)를 제어하기 위한 바디라이너의 시퀀스 제어 방법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3은 본 발명이 가능하도록 하는 라운드형의 바디라이너와 사각형의 바디라이너에 구성되는 감지부와 제어부 및 디스플레이를 도시한 블록도, 도 14는 도 13에서 도시한 디스플레이를 도시한 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바디 라이너 시퀀스 제어 방법을 도시한 플로차트로서 함께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700)에 차종을 입력하는, 차종입력단계가 이루어진다.
상기 차종입력단계 이후에, 상기 상부센서(617, 647), 측방센서(613, 643), 전방센서(621) 및 후방센서(631)가 장착지점에서 상기 차량 프레임(F)의 대응지점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700)로 발신하는 측정단계가 이루어진다.
상기 측정단계 이후에, 상기 제어부(700)에서 측정거리와 차종에 해당하는 규정거리를 비교하여 측정거리가 규정거리의 범위에 있는지를 확인하여 상기 범위에 있으면 종료시키고, 상기 범위에 있지 않으면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연산단계가 이루어진다. 상기 규정거리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710)를 서치하여 확인하게 된다. 상기 규정거리는 일례로서 저스트에서±0.1cm까지의 범위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서 고유번호 1번이 부여된 측방센서(613)로부터 수신한 측정 거리값이 30cm이고, 규정 거리값이 30cm라면 상기 측방센서(613)의 측정을 종료한다. 그러나, 측정 거리값이 25cm라면 차량 프레임(F)의 측정 부위가 5cm 들어간 상태가 된다. 이것을 제어부(700)는 손상으로 인식하고 다음 단계로 넘어가게 된다. 상기 규정된 치수는, 차종별로 상기 클램퍼(400)에 차량 프레임(F)을 물린 상태에서 상기 센터폴(640)의 측방센서(643)가 차량 프레임(F)의 갭(G) 센터에 대응된 상태에서 각각의 측방센서(613, 643) 및 상부센서(617, 647)와 전방센서(621), 후방센서(631)에서 차량 프레임(F)까지의 거리를 측정한 표준값이다.
상기 연산단계 이후에,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규정거리에 해당하지 않는 측정거리 데이터를 발신한 상기 상부센서(617, 647), 측방센서(613, 643), 전방센서(621) 및 후방센서(631)의 고유번호를 인식하는, 고유번호인식단계가 이루어진다.
상기 고유번호인식단계 이후에,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고유번호에 대응되는 차량 프레임(F)의 대응 부분을 손상부분으로 인식하고, 상기 손상부분을 상기 디스플레이(800)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단계가 이루어진다. 즉, 도 14에서처럼, 차량 프레임(F)의 평면도(a)와 측면도(b)를 제시한 상태에서 점선으로 손상된 형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일례로서 차량 프레임(F)의 전방부가 측방 내지는 하방으로 휘어졌다면 휘어진 그림을 점선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평면도(a)에서처럼 차량 프레임(F)의 전방부가 우측으로 휘어진 경우, 전방좌측(D)에서 우측으로 30cm 들어가고 우방좌측(E)에서 우측으로 30cm 돌출된 상태를 수치로 표시하고, 측면도(b)에서처럼 차량 프레임(F)의 전방부가 하방으로 휘어진 경우, 전방상측에서 하방으로 30cm 하강한 상태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또다른 예로서, 상기 센터폴(640)의 상부센서(647)에서 차량 프레임(F)의 지붕까지의 거리(규정 치수)가 45cm인데, 50cm라면 5cm 하방으로 압축된 상태이므로 제어부(700)는 이를 감지하고 상기 디스플레이(800)에 표시된 측면도(b)에 상기 상부센서(647)와 대응되는 부위를 하방으로 압축된 상태의 점선으로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지붕하측" 옆에 수치로 표시하게 된다. 이런 식으로 제어부(700)는 손상 부위를 감지하여 표시하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단계 이후에, 교정 지시 신호를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700)가 상기 교정부(500)를 작동시키는, 교정부작동단계가 이루어진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800)를 보고 작업자가 상기 교정부(500)를 프레임(100)에 설치하고나서 체인(517)에 연결된 후크(529)를 차량 프레임(F)에 건다. 그리고 별도로 설치된 스위치를 작동시켜서 상기 제어부(700)에 교정부 작동 신호가 발신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교정부(500)에 유압이 작동하도록 하여 상기 체인(517)을 인장할 수 있도록 작동시킨다.
상기 교정부작동단계 이후에, 상기 상부센서(617, 647), 측방센서(613, 643), 전방센서(621) 및 후방센서(631) 중 상기 손상부분에 대응되는 것을 작동시켜서 장착 지점에서 손상부분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손상부측정단계가 이루어진다.
상기 손상부측정단계 이후에, 상기 제어부(700)는 측정거리와 차종에 해당하는 규정거리를 비교하여 측정거리가 규정거리의 범위에 있는지를 확인하여 상기 범위에 있으면, 상기 교정부(500)를 정지시키고, 상기 범위에 있지 않으면 상기 손상부측정단계로 리턴시키는 연산단계거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손상 부위를 상기 교정부(500)를 통해서 복원할 때에도 각각의 상기 측방센서(613, 643) 및 상부센서(617, 647)와 전방센서(621), 후방센서(631)로부터 거리 데이터를 전송받아서 실시간으로 변환되는 거리값을 디스플레이(800)에 표시하게 된다. 이때, 변환되는 거리값이 규정된 치수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교정부(500)의 작동을 멈추도록 함으로써 교정 작업이 완료되도록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하면, 교정부(500)에 의해서 자동으로 차량 프레임(F)의 각 부분의 손상 여부를 확인하기 때문에 일일이 맥퍼슨 타워 게이지, 트램 게이지, 센터라인 게이지를 이용하여 차량 프레임의 손상 정도를 수작업으로 측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일반 비숙련자도 차량 프레임(F)의 교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교정 중에도 수시로 차량 프레임(F)을 수작업으로 측정해야 하므로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즉, 교정 중에 실시간으로 차량 프레임의 치수 변화가 자동으로 체크되고, 이러한 변화는 상기 디스플레이(800)를 통해서 표시되므로 용이하게 복원 과정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례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90: 자동 교정이 가능한 라운드형 바디라이너 100: 프레임
101: 외측 플랜지 103: 내측 플랜지
105: 레일 200: 하부 리프트
300: 내측 리프트 400: 클램퍼
500: 교정부 510: 유압 실린더
513: 로드 512: 지지대
515: 롤러 516: 서보모터
517: 체인 518: 롤러
519: 후크 520: 상부 유압 실린더
523: 로드 525: 롤러
527: 체인 529: 후크
600: 감지부 610: 측방폴
611: 수직바 613: 측방센서
615: 수평바 617: 상부센서
620: 전방폴 621: 전방센서
630: 후방폴 631: 후방센서
640: 센터폴 641: 수직바
643: 측방센서 645: 수평바
647: 상부센서 700: 제어부
710: 데이터 베이스 800: 디스플레이

Claims (2)

  1. 차량 프레임(F)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구성된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에 장착되어 차량 프레임(F)을 잡아주는 클램퍼(400)와,
    상기 프레임(100)의 측방에 장착되어 유압에 의해서 상기 차량 프레임(F)의 손상부를 인장시켜 복원하는 교정부(500)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프레임(F)의 둘레에 배치되어 장착지점에서 상기 차량 프레임(F)의 대응지점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감지부(600)와,
    상기 감지부(600)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아서 차량 프레임(F)까지의 규정된 거리와 측정 거리를 비교하여 손상 부위를 인식하고 상기 손상 부위를 데이터로 발송하는 제어부(700)와,
    상기 제어부(700)에 접속되어 상기 손상 부위 데이터를 수신하여 차량의 손상 부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800)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600)는,
    상기 차량 프레임(F)의 좌우 측방에 세워지는 수직바(611, 641, 수직 BAR)와 상기 수직바(611, 641)에서 내측방을 향하는 수평바(615, 645, 수평 BAR)로 형성된 측방폴(610, 640)과,
    상기 차량 프레임(F) 전후방에 세워지는 전방폴(620) 및 후방폴(630)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바(615, 645)에 장착되어, 장착 지점에서 차량 프레임(F)의 상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상부센서(617, 647)와,
    상기 수직바(611, 641)에 장착되어, 장착 지점에서 차량 프레임(F)의 좌우 측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측방센서(613, 643)와,
    상기 전방폴(620) 및 후방폴(630)에 각각 장착되어, 장착 지점에서 차량 프레임(F)의 전방단부(R)와 후방단부(L)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전방센서(621) 및 후방센서(631)를 포함하는 바디라이너를 작동시키는 시퀀스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제어부(700)에 차종을 입력하는, 차종입력단계와,
    상기 차종입력단계 이후에, 상기 상부센서(617, 647), 측방센서(613, 643), 전방센서(621) 및 후방센서(631)가 장착지점에서 상기 차량 프레임(F)의 대응지점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측정단계와,
    상기 측정단계 이후에, 상기 제어부(700)에서 측정거리와 차종에 해당하는 규정거리를 비교하여 측정거리가 규정거리의 범위에 있는지를 확인하여 상기 범위에 있으면 종료시키고, 상기 범위에 있지 않으면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연산단계와,
    상기 연산단계 이후에,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규정거리에 해당하지 않는 측정거리 데이터를 발신한 상기 상부센서(617, 647), 측방센서(613, 643), 전방센서(621) 및 후방센서(631)의 고유번호를 인식하는, 고유번호인식단계와,
    상기 고유번호인식단계 이후에,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고유번호에 대응되는 차량 프레임(F)의 대응 부분을 손상부분으로 인식하고, 상기 손상부분을 상기 디스플레이(800)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디 라이너 시퀀스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단계 이후에, 교정 지시 신호를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700)가 상기 교정부(500)를 작동시키는, 교정부작동단계와,
    상기 교정부작동단계 이후에, 상기 상부센서(617, 647), 측방센서(613, 643), 전방센서(621) 및 후방센서(631) 중 상기 손상부분에 대응되는 것을 작동시켜서 장착 지점에서 손상부분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손상부측정단계와,
    상기 손상부측정단계 이후에, 상기 제어부(700)는 측정거리와 차종에 해당하는 규정거리를 비교하여 측정거리가 규정거리의 범위에 있는지를 확인하여 상기 범위에 있으면, 상기 교정부(500)를 정지시키고, 상기 범위에 있지 않으면 상기 손상부측정단계로 리턴시키는 연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디 라이너 시퀀스 제어 방법.
KR1020170005496A 2017-01-12 2017-01-12 바디 라이너 시퀀스 제어 방법 Active KR101790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5496A KR101790606B1 (ko) 2017-01-12 2017-01-12 바디 라이너 시퀀스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5496A KR101790606B1 (ko) 2017-01-12 2017-01-12 바디 라이너 시퀀스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0606B1 true KR101790606B1 (ko) 2017-10-26

Family

ID=60300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5496A Active KR101790606B1 (ko) 2017-01-12 2017-01-12 바디 라이너 시퀀스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06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9124064A (zh) * 2024-11-15 2024-12-13 香河海潮制件有限公司 车架零部件形状检测方法及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52967B2 (ja) 1986-05-02 1998-05-18 アプライド・パワ−・インコ−ポレ−テツド 偏差測定システム
JP2003053427A (ja) 2001-08-09 2003-02-26 Takeo Kamigaki 板金修理支援装置
KR101607864B1 (ko) 2016-02-23 2016-03-31 윤범병 차량의 판금 교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52967B2 (ja) 1986-05-02 1998-05-18 アプライド・パワ−・インコ−ポレ−テツド 偏差測定システム
JP2003053427A (ja) 2001-08-09 2003-02-26 Takeo Kamigaki 板金修理支援装置
KR101607864B1 (ko) 2016-02-23 2016-03-31 윤범병 차량의 판금 교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9124064A (zh) * 2024-11-15 2024-12-13 香河海潮制件有限公司 车架零部件形状检测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64776B (zh) 用于自动电梯安装的方法和装置
US10850961B2 (en) Forklift
KR101877062B1 (ko) 트랙터의 쟁기 경심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80039329A (ko) 고소작업차
JP2006312521A (ja) コンテナクレーンの対象物位置計測装置と該対象物位置計測装置を用いた自動荷役装置
KR102401994B1 (ko) 철강제품 운반장치 및 철강제품 운반방법
TWI572547B (zh) 自動裝卸鋼捲的天車裝置及裝卸方法
JP6634366B2 (ja) 車両の点検整備用リフト装置
KR101790606B1 (ko) 바디 라이너 시퀀스 제어 방법
EP2077972B1 (en) Lifting frame for vehicle
KR101695723B1 (ko) 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장치 및 상기 고소작업장치의 동작방법
JP2008037595A (ja) スタッカクレーン
JP6391962B2 (ja) 充填形鋼管コンクリート柱の管理装置
KR101790603B1 (ko) 자동 교정이 가능한 라운드형 바디라이너
KR101790596B1 (ko) 자동 교정이 가능한 사각 바디라이너
CN113358372A (zh) 基于语音识别控制的车门玻璃升降功能检测系统及方法
JP2022002988A (ja) 昇降路内計測装置、および、昇降路内計測システム
KR101863675B1 (ko) 고소작업차 붐의 3차원 자동안착 시스템
WO2023070432A1 (zh) 一种智能agv高位叉车安全移动货物的方法
CN115490150A (zh) 用于集装箱的吊装设备和检测集装箱朝向的方法
JPH0754492A (ja) 外装カーテンウォールの取付け昇降架台の計測制御装置
KR20130036835A (ko) 높이감지수단을 이용한 전동 장대높이뛰기 지주
CN117078885B (zh) 基于特征识别的建筑模型拼装沙盘坐标和姿态指引系统
JP7440323B2 (ja) 制気口の検査装置、検査方法および検査システム
JP2020138317A (ja) ロボット装置、および、ボードに止め部材を自動的に打つため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1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2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11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7040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6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0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10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1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