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0039B1 - Emergency towing system for ship based on Quick Release Mechanism - Google Patents
Emergency towing system for ship based on Quick Release Mechanis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90039B1 KR101790039B1 KR1020170064538A KR20170064538A KR101790039B1 KR 101790039 B1 KR101790039 B1 KR 101790039B1 KR 1020170064538 A KR1020170064538 A KR 1020170064538A KR 20170064538 A KR20170064538 A KR 20170064538A KR 101790039 B1 KR101790039 B1 KR 10179003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qrm
- ship
- fork
- cam
- lock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021/003—Mooring or anchoring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021/004—Quick release elements in mooring conne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QRM(Quick Release Machanism)이 적용된 선박용 비상견인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상견인시 터그보트가 예기치 못한 상황에 의해 좌초 혹은 침몰 등 여러 경우를 대비하여 터그보트와 연결된 견인줄의 결속을 신속히 해제시켜 본선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개선된 QRM이 적용된 선박용 비상견인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traction system for a ship to which a quick release machanism (QRM) is applied,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mergency traction system for a tugboat connected to a tug boat in case of an unexpected situ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traction system for a ship to which an improved QRM is applied so that the ship can be quickly released and the ship can be safely protected.
Description
본 발명은 QRM(Quick Release Machanism)이 적용된 선박용 비상견인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상견인시 터그보트가 예기치 못한 상황에 의해 좌초 혹은 침몰 등 여러 경우를 대비하여 터그보트와 연결된 견인줄의 결속을 신속히 해제시켜 본선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개선된 QRM이 적용된 선박용 비상견인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traction system for a ship to which a quick release machanism (QRM) is applied,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mergency traction system for a tugboat connected to a tug boat in case of an unexpected situ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traction system for a ship to which an improved QRM is applied so that the ship can be quickly released and the ship can be safely protected.
일반적으로, 완성된 선박의 진수 혹은 선박 사고 등에 의해 자체 항해 능력을 상실할 경우 등의 비상시 다른 선박을 견인하기 위해 선미의 상부갑판 저부에 보통 견인장치를 설치하게 된다.Generally, a traction device is usually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upper deck of the stern to tow other ships in case of emergency such as loss of self-navigating ability due to launching of a completed ship or accident.
보통 견인장치는 견인되는 선박에 연결되는 견인줄, 견인하는 선박에 설치되어 견인줄의 일단이 고정되는 스트롱 포인트(strong point) 및 선박의 갑판에 설치되어 견인줄을 안내하는 페어리드(Fairlead)를 포함한다.Usually, the towing device includes a tow line connected to the towed ship, a strong point attached to the towing ship to which one end of the towing line is fixed, and a Fairlead installed on the deck of the ship to guide the towing line.
이러한 보통 견인장치는 비상견인장치(ETA:Emergency Towing Arrangement)와 접안장치(EPB:Escorting Pull Back)로 분리되어 있다.These normal towing devices are separated by Emergency Towing Arrangement (ETA) and Escorting Pull Back (EPB).
그런데, 보통 견인장치가 분리됨으로 인해 선미 갑판의 공간제약이 많이 따르고, 페어리드의 경우도 견인용 페어리드와 접압용 페어리드가 중복 설치되기 때문에 선미 구조가 복잡해지고 비용은 물론 관리, 유지 보수에 따른 비용이 상승하는 단점이 있어 현재는 이들을 통합한 형태의 ETS(Emergency Towing System:비상견인시스템)이 활용되고 있다.However, due to the fact that the traction device is usually separated, there is a lot of space restriction on the aft deck. In case of the pair lead, the pair lead for the traction and the pair lead for the overlap are installed redundantly. (ETS) (Emergency Towing System), which is an integrated type of ETS (Emergency Towing System).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 비상견인시스템에서 터그보트와 연결된 견인줄이 본선의 스트롱 포인트(strong point)에 결속되어 있고 강한 장력이 작용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비상견인시 터그보트가 예기치 못한 상황에 의해 좌초 혹은 침몰될 경우 터그보트와 연결된 견인줄의 결속을 해제할 수 없어 본선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없다는 문제가 내재되어 있다.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emergency towing system, the towing line connected to the tug boat is tied to the strong point of the main line and the strong tension is applied, so that the tug boat is stranded or sunked due to an unexpected situa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securely secure the main line due to the fact that the tugboat and the tug boat can not be unbonded.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비상견인시 터그보트가 예기치 못한 상황에 의해 좌초 혹은 침몰 등 여러 가지 경우를 대비하여 터그보트와 연결된 견인줄의 결속을 신속히 해제시켜 본선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개선된 QRM이 적용된 선박용 비상견인시스템을 제공함에 주된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ug boat which is connected to a tug boat in order to solve various problems such as stranding or sinking due to an unexpected situa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mergency traction system for marine vessels to which the improved QRM is applied so that the ship can be quickly released and the ship can be safely protected.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선박의 데크 상에 설치된 페어리드(100), QRM(Quick Release Machanism) 유닛(110), 스토리지드럼(120)을 포함하며, 터그보트를 통해 토잉페넌트(TP)로 비상 견인할 수 있도록 된 비상견인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QRM 유닛(110)은 데크 상에 고정되는 바닥플레이트(112)와; 상기 바닥플레이트(112)의 상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일체로 돌출된 한 쌍의 수직브라켓(114)과; 상기 수직브라켓(114)들 사이의 일측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된 록킹핀(116)과; 상기 수직브라켓(114)들 사이의 타측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며 외주면에는 토잉페넌트(TP)를 걸 수 있는 걸이용 포크(FORK)가 형성되고, 반대 단부는 상기 록킹핀(116)이 걸릴 수 있게 배열된 스트롱포크(118)와; 상기 바닥플레이트(112)의 상면에 설치된 작동실린더(200)와; 일단은 상기 작동실린더(200)의 실린더로드(210)에 힌지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록킹핀(116)의 일측단면을 이루는 록킹플랜지(LFL)에 편심링크된 록킹롱링크(220);를 포함하며, 상기 록킹핀(116)은 길이 일부가 절삭되어 스토퍼면(STP)을 가져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스트롱포크(118)의 선단을 구속 또는 해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록킹롱링크(220)가 설치된 쪽 수직브라켓(114)의 외측면에는 회전축(RT)이 더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RT)은 상기 록킹롱링크(220)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RT)에는 캠(CAM)이 고정되며, 상기 캠(CAM)의 일측에는 핸들(HND)을 꽂아서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M이 적용된 선박용 비상견인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ing a
삭제delete
또한, 상기 작동실린더(200)의 하단은 상기 바닥플레이트(112) 상에 회전유동될 수 있도록 힌지고정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The lower end of the actuating
삭제delete
본 발명에 따르면, 비상견인시 터그보트가 예기치 못한 상황에 의해 좌초 혹은 침몰 등 여러 가지 경우를 대비하여 터그보트와 연결된 견인줄의 결속을 신속히 해제시켜 본선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of safely protecting the main line by rapidly releasing the binding of the tow line connected to the tug boat in case of stranding or sinking due to an unexpected situation at the time of emergency traction.
도 1은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QRM이 적용된 선박용 비상견인시스템의 예시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예시적인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QRM 유닛을 발췌하여 보인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예시적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비상견인시스템의 작동예를 보인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QRM이 적용된 선박용 비상견인시스템의 예시적인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QRM 유닛을 발췌하여 보인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예시적인 측면도이다.1 is an exemplary plan view of a marine emergency traction system to which a QR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2 is an exemplary partial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1;
3 is an exemplary perspective view taken from an excerpt of the QRM unit of FIG.
Figure 4 is an exemplary side view of Figure 3;
5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n operation example of the emergency tra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partial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marine emergency traction system to which the QRM is applied in accordance with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emplary perspective view of the QRM unit of Figure 6 taken excerpts.
Fig. 8 is an exemplary side view of Fig. 7. Fig.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are merely illustrative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since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erein.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modes of operation, but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비상견인시스템은 종래 스트롱포인트 대신 QRM(Quick Release Machanism) 유닛(11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to 4, the emergency tra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Quick Release Machanism (QRM)
즉,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비상견인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선체의 데크 상에 설치되는 페어리드(100), 상기 페어리드(100)와 간격을 두고 고정된 QRM 유닛(110) 및 토잉페넌트(Towing Pennant)(TP)를 보관하는 스토리지드럼(120)을 포함한다.That is, the emergency tra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comprises a
이때, 상기 스토리지드럼(120)은 에어모터(122)에 의해 구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견인 상황 종료 후 토잉페넌트(TP)를 되감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뿐만 아니라, 상술한 설명에서는 토잉페넌트(TP)를 예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로프는 물론 체인 등 다양한 형태의 견인기능을 갖는 수단이면 된다.In addition, although the tow pennant TP is exemplified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may be various means such as a chain or the like having a pulling function.
예컨대, 체인을 사용한 예는 후술되는 [제2실시예]에서 설명하기로 한다.For example, an example of using a chain will be described in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later.
또한, 데크 상면에는 컨트롤박스(CBX)가 더 설치되는데, 상기 컨트롤박스(CBX)는 상기 QRM 유닛(110)의 구동을 기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다. 따라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컨트롤박스(CBX)와 상기 QRM 유닛(110)은 서로 유압라인 및 전기적으로 배선 연결되도록 설계되어야 함은 물론이다.Further, a control box CBX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eck, and the control box CBX is a means for mechanically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QRM 유닛(110)은 도 3 및 도 4의 도시와 같이, 데크 상에 고정되는 바닥플레이트(112)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플레이트(112)의 상면에는 서로 간격을 둔 수직브라켓(114) 한 쌍이 일체로 돌출된다.3 and 4, the
그리고, 상기 수직브라켓(114)의 일측단부에는 록킹핀(116)이 끼워져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타측단부에는 스트롱포크(118)가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된다.A
이때, 상기 록킹핀(116)은 확대 도시한 도면에서와 같이, 길이 일부가 절삭되어 스토퍼면(STP)을 갖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the enlarged drawing, the
또한, 상기 스트롱포크(118)는 선단이 상기 스토퍼면(STP)에 걸리도록 배치되고, 후단에는 걸이용 포크(FORK)가 형성된 채 한 쌍의 수직브라켓(114)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된다.The
이때, 'ㅛ' 형상의 걸이용 포크(FORK) 사이에 토잉페넌트(TP) 일단의 소켓이 끼워진 다음, QRM 유닛(110)이 작동하여 스트롱포크(118)가 회전하게 되면 토잉페넌트(TP)와의 연결을 해제하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after a socket of a pair of towing pennants TP is inserted between the forking forks (FORK) shaped as shown in FIG. 3B, the
아울러, 상기 바닥플레이트(112)의 상면에는 작동실린더(200)의 하단이 회전유동가능하게 힌지 고정되고, 작동실린더(200)에 구비된 실린더로드(210)는 록킹롱링크(220)의 일단에 힌지 고정된다.The lower end of the actuating
뿐만 아니라, 상기 록킹롱링크(220)의 타단은 상기 록킹핀(116)의 일측단면, 더 정확하게는 상기 수직브라켓(114)을 관통하여 축고정된 일측 록킹플랜지(LFL)의 단면 상에 편심되게 링크된다.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locking
그리고, 상기 작동실린더(200)는 떨어져 설치된 제어기 혹은 상기 컨트롤박스(CBX)에 구비된 제어기를 이용하여 유압 혹은 공압을 공급제어할 수 있다.The
따라서, 토잉페넌트(TP)의 일단을 상기 스트롱포크(118)의 걸이용 포크(FORK)에 걸고 터그보트를 통해 견인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Thus, one end of the towing pennant TP can be hooked to the fork FORK of the
그러다가, 터그보트가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좌초 혹은 침몰 등의 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작업자는 지체없이 제어기를 조작하여 작동실린더(200)를 동작시킨다.Then, when the tug boat is stranded or sunken due to various factors, the operator operates the controller without delay to operate the
그러면, 실린더로드(210)가 상승하게 되는데, 록킹롱링크(220)의 길이는 늘어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타단이 록킹플랜지(LFL)에 의해 구속되어 있기 때문에 결국 작동실린더(200)는 시계방향으로 약간 회전유동되면서 실린더로드(210)를 밀어 올리게 되고, 그 회전유동만큼 록킹롱링크(220)가 하향이동되면서 록킹플랜지(LFL)를 회전시키게 된다.Then, the
록킹플랜지(LFL)의 회전은 결국 록킹핀(116)을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때 록킹롱링크(220)의 단부는 록킹플랜지(LFL)에 편심 링크되어 있기 때문에 록킹핀(116)를 회전시키는 것이 원활하고 충분하다.The rotation of the locking flange LFL eventually rotates the
이에 따라, 록킹핀(116)은 도 5의 예시와 같이, 스트롱포크(118)의 선단을 구속하고 있던 스토퍼면(STP)이 세워지면서 구속력이 없어지므로 스트롱포크(118)는 토잉페넌트(TP)가 당기는 힘에 의해 회전되면서 세워지고, 그 순간 걸이용 포크(FORK)에 걸려 있던 토잉페넌트(TP)가 벗겨지면서 분리되게 되므로 터그보트가 당기는 힘이 본선에 미치지 않게 되어 본선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5, since the stopper surface STP restraining the front end of the
이에 더하여, 공압 또는 유압 작동이 어려울 경우 작업자가 직접 수작업을 통해 토잉페넌트(TP)를 해제시킬 수 있도록 비상안전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pneumatic or hydraulic operation is difficult, an emergency safety device may be further provided so that the operator can manually release the towing pennant TP manually.
이러한 비상안전장치는 록킹롱링크(220)가 설치된 쪽 수직브라켓(114)의 외측면에 축고정된 회전축(RT)을 포함하되, 상기 회전축(RT)은 상기 록킹롱링크(220)의 하측에 배치되어야 하고, 상기 회전축(RT)에는 캠(CAM)이 고정되며, 상기 캠(CAM)의 일측에는 핸들(HND)을 꽂을 수 있다.The emergency safety device includes a rotation axis RT axially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따라서, 비상안전동작시 상기 핸들(HND)을 잡고 당기게 되면 캠(CAM)이 회전축(RT)을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록킹롱링크(220)를 들어 올리게 되고, 들어 올려지면서 록킹롱링크(220)는 경사진 하방향으로 밀리게 되므로 결국 록킹플랜지(LFL)를 회전유동시켜 록킹핀(116)의 회전을 유도하게 된다.Thus, when the handle (HND) is pulled when the emergency safe operation is performed, the cam CAM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axis RT to raise the locking
그러면, 스트롱포크(118)의 구속력이 해제되므로 상술한 동작이 이루어져 토잉페넌트(TP)가 분리되어 본선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Then, the binding force of the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QRM이 적용된 선박용 비상견인시스템은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대부분의 구성은 동일하며, 다만 QRM 유닛(110) 중 스트롱포크(118, 도 7 참조)의 구조만 다를 뿐이다.6 to 8, the emergency tow system for a ship to which the QR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has substantially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except that the
덧붙여, 터크보트로 본선을 토잉하기 위해 토잉체인으로부터 터그보트와 본선을 연결하는 방법은 터그보트 쪽에서 본선으로 메신저로프 등을 던져 연결하거나 혹은 본선에서 터그보트 쪽으로 던져 연결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고, 그 방법에 따라 약간 차이가 있지만, 이것은 본 발명의 주된 특징이 아닌 일반적인 ETS의 내용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주된 특징인 QRM 유닛(110)을 집중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re are two ways to connect a tug boat and a main line from a towing chain in order to tow the main line with a turbo boat: either by throwing a messenger rope from the tug boat to the main line, or by throwing it to the tug boat from the main line The
예컨대, 본 발명 제2실시예에서는 스트롱포크(118)의 단부에 토잉체인(CIN)의 일측단부 링크를 걸 수 있는 형상의 걸이용 후크(HOOK)를 만들고, 이 걸이용 후크(HOOK)에 토잉체인 일측단부의 링크를 걸어서 선박을 견인하다가 상술한 제1실시예의 동작과 같은 작동이 일어 났을 때 연결부재가 분리되면서 터그보트와의 연결을 해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anging hook (hook) having a shape capable of hanging one end link of the toe chain (CIN) is formed at the end of the strong fork (118) The connecting member may be disconnected from the tug boat while the connecting member is disengaged when an operation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akes place by hooking the link at one end of the chain and pulling the vessel.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아주 쉽고 편리하게 터그보트와 본선 간의 결속을 해제할 수 있어 본선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very easy and convenient to release the ties between the tugboat and the main line, and thus the main line can be safely protected.
100: 페어리드
110: QRM 유닛
120: 스토리지드럼
200: 작동실린더
210: 실린더로드
220: 록킹롱링크
TP: 토잉페넌트100: Fairlead
110: QRM unit
120: Storage drum
200: Operation cylinder
210: cylinder rod
220: Locking Long Link
TP: Towing pennant
Claims (4)
상기 QRM 유닛(110)은 데크 상에 고정되는 바닥플레이트(112)와; 상기 바닥플레이트(112)의 상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일체로 돌출된 한 쌍의 수직브라켓(114)과; 상기 수직브라켓(114)들 사이의 일측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된 록킹핀(116)과; 상기 수직브라켓(114)들 사이의 타측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며 외주면에는 토잉페넌트(TP)를 걸 수 있는 걸이용 포크(FORK)가 형성되고, 반대 단부는 상기 록킹핀(116)이 걸릴 수 있게 배열된 스트롱포크(118)와; 상기 바닥플레이트(112)의 상면에 설치된 작동실린더(200)와; 일단은 상기 작동실린더(200)의 실린더로드(210)에 힌지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록킹핀(116)의 일측단면을 이루는 록킹플랜지(LFL)에 편심링크된 록킹롱링크(220);를 포함하며,
상기 록킹핀(116)은 길이 일부가 절삭되어 스토퍼면(STP)을 가져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스트롱포크(118)의 선단을 구속 또는 해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록킹롱링크(220)가 설치된 쪽 수직브라켓(114)의 외측면에는 회전축(RT)이 더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RT)은 상기 록킹롱링크(220)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RT)에는 캠(CAM)이 고정되며, 상기 캠(CAM)의 일측에는 핸들(HND)을 꽂아서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M이 적용된 선박용 비상견인시스템.
An emergency traction system including a pair lead 100 installed on a deck of a ship, a Quick Release Machanism (QRM) unit 110, and a storage drum 120, A system comprising:
The QRM unit (110) includes a bottom plate (112) fixed on the deck; A pair of vertical brackets 114 integrally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12 at intervals; A lock king pin 116 rotatably assembled at one end between the vertical brackets 114; A fork (FORK)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ther of the vertical brackets 114 so as to be able to hang the towing pennant TP, and the opposite end thereof is engaged with the locking pin 116 A strong fork (118) arranged in a row; An operating cylinder 200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12; And a rocking long link 220 eccentrically linked to a locking flange LFL, one end of which is hinged to the cylinder rod 210 of the actuating cylinder 200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one end face of the lock king pin 116 In addition,
The locking pin (116) is partly cut to have a stopper surface (STP) and is configured to restrain or release the tip of the strong fork (118) according to the rotational direction;
A rotating shaft RT is further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vertical bracket 114 to which the locking long link 220 is attached and the rotating shaft RT is disposed below the locking long link 220, (CAM) is fixed to the cam (RT), and a handle (HND) is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cam (CAM) to operate the emergency traction system for a ship to which the QRM is applied.
상기 작동실린더(200)의 하단은 상기 바닥플레이트(112) 상에 회전유동될 수 있도록 힌지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M이 적용된 선박용 비상견인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wer end of the operating cylinder (200) is hingedly fixed on the bottom plate (112) so as to be rotat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4538A KR101790039B1 (en) | 2017-05-25 | 2017-05-25 | Emergency towing system for ship based on Quick Release Mechanis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4538A KR101790039B1 (en) | 2017-05-25 | 2017-05-25 | Emergency towing system for ship based on Quick Release Mechanis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90039B1 true KR101790039B1 (en) | 2017-10-25 |
Family
ID=60299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64538A Active KR101790039B1 (en) | 2017-05-25 | 2017-05-25 | Emergency towing system for ship based on Quick Release Mechanis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90039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00484U (en) | 2019-08-21 | 2021-03-04 |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 Dismembering jig for locking pin of Quick Release Hook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38959B1 (en) * | 2012-06-11 | 2013-12-09 | 탱크테크 (주) | Chain stopper for towing apparatus |
-
2017
- 2017-05-25 KR KR1020170064538A patent/KR10179003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38959B1 (en) * | 2012-06-11 | 2013-12-09 | 탱크테크 (주) | Chain stopper for towing apparatus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00484U (en) | 2019-08-21 | 2021-03-04 |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 Dismembering jig for locking pin of Quick Release Hook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3237725B (en) | For the system and method that ship is thrown in and regained | |
CN105026254B (en) | Loaded on the berthing structure on ship | |
CN109415106B (en) | Emergency stop system and method | |
US7886681B2 (en) | Anchor retrieval device, system and method | |
CN107735314B (en) | Unmanned ship with connecting device and recovery method thereof | |
CN101460356A (en) | Anchoring system and method | |
US20220126956A1 (en) | Method and device for handling a mooring line | |
KR101790039B1 (en) | Emergency towing system for ship based on Quick Release Mechanism | |
US3063402A (en) | Boat beaching and anchoring techniques and mechanisms | |
CN115432118A (en) | tug | |
US20160229495A1 (en) | Holding device for holding a ship's boat or other additional component to be carried along, and use of said device | |
JP7660023B2 (en) | Mooring system and mooring method | |
US4393803A (en) | Boat rope controller | |
EP1777152B1 (en) | Quick release, remote and retrievable mooring arrangement | |
US5357896A (en) | Jiffy launch boat hook | |
US9051031B1 (en) | Rotary capture device with passive engagement and active release | |
US2912954A (en) | Device for mooring boats | |
US2530840A (en) | Hoisting and launching means for boats | |
JP4705453B2 (en) | How to collect lifeboats | |
KR101147359B1 (en) | Tractor for launching a ship | |
CN210063305U (en) | Unmanned ship release recovery unit | |
KR100516141B1 (en) | Towing system | |
NO345435B1 (en) | A vessel with a semi-automatic or automatic mooring system. | |
JPH0848282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urgently towing ship | |
JPS6123512Y2 (e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7052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6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0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10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0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0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