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9581B1 - Post of the hanger - Google Patents
Post of the hang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89581B1 KR101789581B1 KR1020150122414A KR20150122414A KR101789581B1 KR 101789581 B1 KR101789581 B1 KR 101789581B1 KR 1020150122414 A KR1020150122414 A KR 1020150122414A KR 20150122414 A KR20150122414 A KR 20150122414A KR 101789581 B1 KR101789581 B1 KR 10178958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coil spring
- support rod
- hanger
- flo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789 length control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5—Composite members, i.e. made up of several elements joined togethe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47B61/003—Details of garment-hold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 A47G25/06—Clothes hooks; Clothes racks; Garment-supporting stands with swingable or extending arms
- A47G25/0664—Standing garment supporting racks; Garment supporting stands with swingable or extending arm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의 천장과 바닥 사이에 설치되는 행거의 지주에 관한 것으로서,
지지봉;
상기 지지봉의 하단부에 결합된 코일스프링; 및
상기 지지봉의 하단부 및 상기 코일스프링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내부 수용공간부,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부의 내벽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코일스프링에서 상호 인접한 두 단위코일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융기부를 갖는 서포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코일스프링이 상기 지지봉 또는 상기 서포트의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융기부를 타고 상하 이동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용 지주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행거용 지주는 최종 높이조절이 용이하고,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단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nd of a hanger installed between a ceiling and a floor of a room,
Yong - Bong;
A coil spring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support rod; And
A support having a lower end portion of the support rod, an inner receiving space portion into which the coil spring is rotatably inserted, and a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inner wall of the receiving space portion and positioned between the two unit coil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coil spring; ≪ / RTI >
And the coil spring is moved up and down on the ridge by the rotation of the support rod or the support.
The hanger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adjust the final height, can be firmly installed, has a simple structure, is easy to manufacture, and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unit cost.
Description
본 발명은 행거용 지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의 천장과 바닥 사이에 설치되는 행거의 지주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ger for a hang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hanger for a hanger installed between a ceiling and a floor of a room.
실내의 천장과 바닥 사이에 설치되는 행거의 지주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37099호(2014.09.02.공고,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 "마운팅 및 행거용 지지봉 어셈블리"]가 제시되어 있다.
[0003] A technique for holding a hanger installed between a ceiling and a floor of a room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37099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Is presented.
상기 선행기술은The prior art
"옷, 옷걸이, 상품, 물품, 화분, 주방용품, 생활용품 등을 걸거나 설치하기 위한 마운팅 및 행거용 지지봉 어셈블리에 있어서;"For a mounting and hanger support bar assembly for hanging or installing clothes, hangers, goods, articles, pollen, kitchen utensils, household goods, etc.,
대향하고 있는 고정체 사이에 설치되고, 하측 또는 상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봉;A supporting bar provided between opposed fixing bodies and having threads formed on a lower side or an upper side;
상기 지지봉의 나사산과 나사결합하도록 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지지봉에 축설되고, 지지봉에 대하여 풀림과 조임에 의해서 고정체가 있는 방향인 외측이나 그 반대방향인 내측으로 승강하는 가압 승강부재;A pressurizing and elevating member which is formed on the support rod so as to be threadedly engaged with the screw thread of the support rod and which ascends and descends inward and outwar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xture is present by being pulled and tightened with respect to the support bar;
상기 가압 승강부재가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외측 단부를 지지하고, 상기 가압 승강부재가 외측으로 무빙하는 경우 그에 연동하여 외측으로 무빙하는 베이스;A base supporting the outer end thereof so that the pressurizing and elevating member freely rotates and moving outwardly in conjunction with the pressurizing and elevating member moving outward;
상기 베이스가 외측으로 무빙하는 경우에 상기 베이스에 의해서 압축되어서 고정체에 흡착하는 흡착판;An adsorption plate that is compressed by the base and adsorbed to the stationary body when the base is moved outward;
상기 베이스와 흡착판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가 고정체로 무빙하는 경우 압축되어서 상기 가압 승강부재의 가압력과 반대방향의 탄성력을 상기 베이스와 가압 승강부재에 작용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And an elastic member which is provided between the base and the attracting plate and is compressed when the base is moved to the fixing body and acts on the base and the pressurizing and elevating member in an opposite direction to the pressing force of the pressing and elevating member,
상기 흡착판의 상면에는 끼움돌부가 형성되어 있으며,And a fitting protrusion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attracting plate,
상기 베이스는 상기 가압 승강부재가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외주연에서 절곡 형성되어서 가압 승강부재가 회전시에 지지부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울타리부로 구성되고,The base includes a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pressurizing and elevating member so as to be freely rotatable and a fence portion formed at an outer circumferential edge of the support portion and for preventing the pressurizing and elevating member from separating from the support portion during rotation,
상기 베이스 지지부의 하면에는 상기 끼움돌부가 내삽되어 끼워지도록 삽설부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며,A shovel portion is protrud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supporting portion so that the fitting protrusion is inserted and inserted,
상기 삽설부가 통과하도록 중앙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흡착판의 상면을 덮고 있는 캡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And a cap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uction plate and having a central through-hole to allow the suction unit to pass therethrough,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삽설부를 외포하고, 상기 베이스의 지지부에 일단이 탄지되고 상기 캡에 타단이 탄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이다.
Wherein the elastic member encapsulates the shovel portion,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protrudes from the support portion of the base, and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member protrudes from the cap.
상기 선행기술은 가압 승강부재를 지지봉에 대하여 나사결합을 조이거나 푸는 동작으로 지지봉의 높낮이를 최종적으로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지지봉을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는 있으나,In the prior art, the elevation of the support rod can be finally and precisely adjusted by screwing or unscrewing the pressurizing and elevating member with respect to the support bar, and the support bar can be firmly installed,
그 구조가 복잡하고, 특히 지지봉의 하단부에 나사산을 형성시켜야 함으로써 제작이 어렵고 단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in particular, a thread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rod, which makes it difficult to manufacture and the unit cost is increas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최종 높이조절이 용이하고,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단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행거용 지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anger stand capable of easily adjusting the final height, being firmly installed, being simple in structure, being easy to manufacture, and reducing the unit cost.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행거용 지주는,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지지봉;Yong - Bong;
상기 지지봉의 하단부에 결합된 코일스프링; 및A coil spring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support rod; And
상기 지지봉의 하단부 및 상기 코일스프링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내부 수용공간부,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부의 내벽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코일스프링에서 상호 인접한 두 단위코일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융기부를 갖는 서포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져,A support having a lower end portion of the support rod, an inner receiving space portion into which the coil spring is rotatably inserted, and a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inner wall of the receiving space portion and positioned between the two unit coil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coil spring; ≪ / RTI >
상기 코일스프링은 상기 지지봉 또는 상기 서포트의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융기부를 타고 상하 이동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coil spring is moved up and down by riding on the protrusion by the rotation of the support bar or the support.
그리고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행거용 지주는,In the hanger pos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지지봉;Yong - Bong;
상기 지지봉의 하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내부 수용공간부,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부의 하부 내벽 둘레를 따라 형성된 나선부를 갖는 서포트;A support having an inner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rod is rotatably inserted and a spiral part formed around the lower inner wall of the accommodation space;
상기 지지봉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서포트의 수용공간부에 삽입되고, 외주면에 상기 나선부와 나사결합되는 대응나선부를 갖는 승강부재; 및An elevating member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portion of the support so as to be disposed below the support rod and having a corresponding helical portion screw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reof with the helical portion; And
상단부가 상기 지지봉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하단부가 상기 승강부재에 연결되어, 지지봉과 승강부재 간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coil spring having an upper end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rod and a lower end connected to the elevation member to transmit a rotational force between the support rod and the elevation member.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행거용 지주는,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지지봉;Yong - Bong;
상기 지지봉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내부 수용공간부를 갖는 서포트;A support having an inner accommodation space portion into which a lower end of the support rod is inserted;
상기 지지봉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서포트의 수용공간부에 승강 동작 가능하게 삽입된 승강부재;A lifting member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space of the supporter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so as to be disposed below the support bar;
상기 지지봉과 상기 승강부재의 사이에 개재되는 코일스프링;A coil spring interposed between the support rod and the elevating member;
상기 승강부재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서포트의 수용공간부를 가로지르게 설치된 회전축; 및A rotating shaft disposed below the elevating member and provided so as to cross the receiving space portion of the support; And
상기 승강부재의 하면와 접하도록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동작에 의해 상기 승강부재를 승강시키게 되는 작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n actuating member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to abut the lower surface of the elevating member and lifting the elevating member by a rotation operation about a rotation axis.
본 발명에 의한 행거용 지주는 최종 높이조절이 용이하고,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단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The hanger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adjust the final height, can be firmly installed, has a simple structure, is easy to manufacture, and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unit cost.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행거용 지주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행거용 지주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행거용 지주의 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 압축스프링이 상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행거용 지주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행거용 지주의 단면도.
도 7은 도 6에서 승강부재가 상승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행거용 지주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행거용 지주의 단면도.
도 10은 도 9에서 작동부재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front view showing a use state of a hanger suppor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anger suppor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ectional view of a hanger suppor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mpression spring is moved upward in FIG. 3;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anger suppor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ectional view of a hanger suppor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levating member is raised in Fig.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anger suppor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sectional view of a hanger suppor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erating member is rotated i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행거용 지주는 크게 지지봉(100), 코일스프링(200) 및 서포트(300)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1 to FIG. 4, the hanger suppor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ly includes a
지지봉(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배치된 상부파이프(110) 및 하부파이프(120)로 이루어지며, 이 두 파이프(110)(120)는 공지의 길이조절유닛(130)에 의해 상호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지지봉(100)은 이의 하단부에 장착된 코일스프링(200) 및 서포트(300)와, 상단부에 장착되어 실내의 천장에 접하는 마감부재(800)에 의해 실내의 천장과 바닥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The
코일스프링(200)은 압축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지지봉(100)의 하단부에 결합된다.The
코일스프링(200)과 지지봉(1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200)의 상단부를 지지봉(100)의 하단부 내측에 삽입한 상태에서 지지봉(100)의 하단부 외주면을 내측으로 가압 변형시킴으로써 상호 결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용접이나 별도의 고정부재(500, '도 6' 참조) 등을 이용하여 상호 결합할 수 있다.
The
서포트(300)는 지지봉(100)을 받치는 것으로서,The
실내의 바닥이 놓이는 베이스(301); 그리고A
베이스(301)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리브(3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nd a
베이스(301)의 상면에는 슬리브(302)의 하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안착홈(340)이 요입 형성된다.On the upper surface of the
그리고 필요에 따라 베이스(301)의 하면에는 서포트(300)가 실내의 바닥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고무 재질의 패드 또는 흡착판이 형성될 수 있다.
If necessary, a rubber pad or suction plate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슬리브(302)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베이스(301)의 안착홈(34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The
슬리브(302)에는 지지봉(100)의 하단부 및 코일스프링(200)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내부 수용공간부(310),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부(310)의 내벽에 돌출되어 상기 수용공간부(310)에 삽입된 코일스프링(200)에서 상호 인접한 두 단위코일(210)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융기부(320)가 형성된다.The
여기서 상기 '단위코일(210)'이라 함은 코일스프링(200)에서 하나의 피치(pitch)를 이루도록 감긴 구간을 의미한다.Here, the term 'unit coil 210' refers to a period in which the
융기부(320)는 수용공간부(310)의 내벽 둘레를 따라 등간격을 이루며 둘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코일스프링(200)이 지지봉(100) 또는 서포트(300)에서 슬리브(302)의 회전 동작에 의해 융기부(320)를 타고 상하 이동하게 되는데, 따라서 사용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행거용 지주를 실내의 천장과 바닥 사이에 배치한 상태에서 서포트(300)의 슬리브(302)를 회전시킴으로써 지주의 높이를 최종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아울러, 사용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의 높이가 최종적으로 조절된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200)이 융기부(320)의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서포트(300)의 슬리브(302)를 더욱 회전시켜 지지봉(100)과 융기부(320)의 사이에 코일스프링(200)의 각 단위코일(210)을 촘촘하게 배치함으로써, 코일스프링(200)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주를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다.
3, the user can support the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행거용 지주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pillar for a hang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FIG.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행거용 지주는 크게 지지봉(100), 서포트(300), 승강부재(400) 및 코일스프링(200)으로 이루어진다.
5 to 7, the support for a hang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ly includes a
지지봉(100)은 제1실시예의 것과 마찬가지로, 상하로 배치된 상부파이프(110, '도 1' 참조) 및 하부파이프(120, '도 1' 참조)로 이루어지며, 이 두 파이프(110)(120)는 공지의 길이조절유닛(130, '도 1' 참조)에 의해 상호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The
서포트(300)는 서포트(300)는 지지봉(100)을 받치는 것으로서,In the
실내의 바닥이 놓이는 베이스(301); 그리고A base 301 on which the floor of the room is placed; And
베이스(301)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리브(3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nd a
베이스(301)의 상면에는 슬리브(302)의 하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안착홈(340)이 요입 형성된다.On the upper surface of the
그리고 베이스(301)의 하면에는 서포트(300)가 실내의 바닥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고무 재질의 패드 또는 흡착판이 형성될 수 있다.
A rubber pad or sucking plate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301 so that the
슬리브(302)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베이스(301)의 안착홈(34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The
슬리브(302)에는 지지봉(100)의 하단부 및 코일스프링(200)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내부 수용공간부(310),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부(310)의 하부 내벽 둘레를 따라 감긴 나선부(330)가 형성된다.
The
승강부재(400)는 지지봉(100)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서포트(300)의 수용공간부(310)에 삽입되고, 외주면에 서포트(300)의 나선부(330)와 나사결합되는 대응나선부(430)를 갖는다.
The lifting
코일스프링(200)은 압축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단부가 지지봉(100)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하단부가 승강부재(400)에 연결되어, 지지봉(100)과 승강부재(400) 간에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The upper end of the
그리고 코일스프링(200)이 지지봉(100)과 승강부재(400) 간에 회전력을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In order that the
지지봉(100)의 하단부에는 코일스프링(200)을 지지봉(100)에 연결하기 위한 고정부재(500)가 장착되고,A fixing
코일스프링(200)에는 이의 중심축을 가로지르도록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절곡된 상부걸림부(220) 및 하부걸림부(230)가 형성되며,The
고정부재(500)에는 코일스프링(200)의 상부가 삽입되도록 하방 개방된 상부수용부(510), 그리고 코일스프링(200)의 상부걸림부(220)가 진입하도록 상부수용부(510)의 천장에 요입된 상부걸림홈(520)이 형성되고,The fixing
승강부재(400)에는 코일스프링(200)의 하부가 삽입되도록 상방 개방된 하부수용부(410), 그리고 코일스프링(200)의 하부걸림부(230)가 진입하도록 하부수용부(410)의 바닥에 요입된 하부걸림홈(420)이 형성된다.
The
여기서 고정부재(500)는 지지봉(100)의 하단부 내측에 압입(壓入)하거나, 지지봉(100)의 하단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지지봉(100)의 하단부 외주면을 내측으로 가압 변형시키는 방식 등에 의해 지지봉(100)에 고정된다.
The fixing
결국, 코일스프링(200)의 상부걸림부(220) 및 하부걸림부(230)가 각각 고정부재(500)의 상부걸림홈(520) 및 승강부재(400)의 하부걸림홈(420)으로 진입하여 양측이 감싸지게 됨으로써, 고정부재(500), 코일스프링(200) 및 승강부재(400)가 함께 회전하게 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The upper and lower
그리고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지지봉(100) 또는 서포트(300)에서 슬리브(302)의 회전 시 승강부재(400)의 대응나선부(430)가 서포트(300)의 나선부(330)를 타고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승강부재(400)가 상하 이동하게 되는데, 따라서 사용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행거용 지주를 실내의 천장과 바닥 사이에 배치한 상태에서 서포트(300)의 슬리브(302)를 회전시킴으로써 지주의 높이를 최종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when the
아울러, 사용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의 높이가 최종적으로 조절된 상태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재(400)가 상승하도록 서포트(300)의 슬리브(302)를 더욱 회전시켜 코일스프링(200)이 압축되도록 함으로써, 코일스프링(200)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주를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in a state in which the height of the support post is finally adjusted, the user rotates the
이하,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행거용 지주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pillar for a hang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0. FIG.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행거용 지주는 크게 지지봉(100), 서포트(300), 승강부재(400), 코일스프링(200), 회전축(600) 및 작동부재(700)로 이루어진다.
The support for a hang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ing
지지봉(100)은 제1 및 제2 실시예의 것과 마찬가지로, 상하로 배치된 상부파이프(110, '도 1' 참조) 및 하부파이프(120, '도 1' 참조)로 이루어지며, 이 두 파이프(110)(120)는 공지의 길이조절유닛(130, '도 1' 참조)에 의해 상호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The
서포트(300)는 지지봉(100)을 받치는 것으로서,The
지지봉(100)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내부 수용공간부(310)를 갖는 슬리브(302); 그리고A
슬리브(302)의 하단부에 단면적이 확장되도록 형성되어 실내의 바닥이 놓이는 베이스(30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nd a base (301) formed to extend in cross section at a lower end of the sleeve (302) and having a floor of the room.
슬리브(302)와 베이스(301)는 일체로 제작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별도로 제작한 후 조립될 수 있다.
The
서포트(300)의 하단부 일측에는 개구부(350)가 형성되는데, 이 개구부(350)는 후술될 작동부재(700)가 서포트(300)를 관통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회전축(600)을 중심으로 한 회전 동작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An
승강부재(400)는 지지봉(100)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서포트(300)의 수용공간부(310)에 승강 동작 가능하게 삽입된다.
The elevating
코일스프링(200)은 압축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지지봉(100)과 승강부재(400)의 사이에 개재된다.
The
그리고 코일스프링(200)이 지지봉(100)과 승강부재(400)의 사이에 안정적으로 개재될 수 있도록,In order that the
지지봉(100)의 하단부에는 고정부재(500)가 장착되고,A fixing
고정부재(500)에는 코일스프링(200)의 상부가 삽입되도록 하방 개방된 상부수용부(510)가 형성되며,The fixing
승강부재(400)에는 코일스프링(200)의 하부가 삽입되도록 상방 개방된 하부수용부(410)가 형성된다.
A
여기서 고정부재(500)는 제2실시예의 것과 마찬가지로, 지지봉(100)의 하단부 내측에 압입(壓入)하거나, 지지봉(100)의 하단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지지봉(100)의 하단부 외주면을 내측으로 가압 변형시키는 방식 등에 의해 지지봉(100)에 고정된다.
Here, the fixing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코일스프링(200)의 상부 및 하부가 각각 고정부재(500)의 상부수용부(510) 및 승강부재(400)의 하부수용부(510)에 삽입되어 코일스프링(200)이 안정적으로 자리 잡을 수 있으며, 승강부재(400)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서포트(300)의 수용공간부(310) 내에서 안정적으로 승강 동작할 수 있다.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회전축(600)은 서포트(300)의 수용공간부(310)에 삽입된 승강부재(400)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서포트(300)의 수용공간부(310)를 가로지르게 설치된다.
The
작동부재(700)는 승강부재(400)의 하면과 접하도록 회전축(600)에 결합되는 것으로서,The
승강부재(400)의 승강 동작을 위한 캠부(710);A
회전축(60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캠부(710)에서 연장 형성되고, 단부가 서포트(300)를 관통하여 서포트(300)의 외부로 노출되는 중계부(720); 그리고A
서포트(30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중계부(720)의 단부에 상방 돌출 형성된 레버부(7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nd a
캠부(710)는 승강부재(400)의 하면과 접하도록 회전에 결합되고, 회전축(600)을 중심으로 한 회전 동작에 의해 승강부재(400)를 승강시키게 된다.The
캠부(710)는 회전축(600)을 중심으로 한 작동부재(700)의 회전 동작에 의해 승강부재(400)와의 접촉면과 회전축(600) 사이의 거리가 변경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향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국, 캠부(710)는 캠(cam)과 같이 작동부재(700)의 회전운동을 승강부재(400)의 왕복운동으로 바꾸어 줌으로써 승강부재(400)를 승강 동작시키게 된다.
The
중계부(720)는 그 단부가 서포트(300)의 개구부(350)를 지나 서포트(300)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레버부(730)는 서포트(300)의 외측으로 노출된 중계부(720)의 단부에서 상방 돌출 형성되어 서포트(300)의 외면에 접하도록 배치된다.The
이에 따라 사용자는 레버부(730)를 파지하여 작동부재(700)를 회전시킴으로써 승강부재(400)를 승강 동작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the user can grip the
결국, 사용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행거용 지주를 승강부재(400)가 하강한 상태로 실내의 천장과 바닥 사이에 배치한 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재(400)가 상승하도록 작동부재(700)를 회전시켜 코일스프링(200)이 압축되도록 함으로써, 코일스프링(200)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주를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다.
9, the user may place the hanger suppor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tween the ceiling and the floor of the room in a state where the
한편,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행거용 지주가 설치 완료된 상태에서 레버부(730)가 사용자에게 거치적거리지 않도록, 작동부재(700)는 승강부재(400)가 상승하도록 회전된 상태에서 레버부(730)가 실내의 바닥에 접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n a state in which the hanger pos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he
그리고 이때 서포트(300)에는 레버부(730)가 실내의 바닥에 접한 상태를 유지케 하는 고정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여기서 고정수단은Here,
실내의 바닥에 접한 레버부(73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서포트(30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 장착홈(360); 그리고A mounting
장착홈(360)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C'형상의 차단부(371)와, 레버부(730) 및 중계부(720)가 통과할 수 있도록 차단부(371)의 양단부 사이에 마련된 트임부(372)를 갖는 고정링(3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nd is provided between the both ends of the blocking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고정수단에 의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링(370)의 트임부(372)가 서포트(300)의 개구부(350)와 연결되도록 고정링(370)을 회전시킨 상태에서 작동부재(700)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링(370)의 차단부(371)가 서포트(300)의 개구부(350)를 가로막도록 고정링(370)을 회전시킴으로써 작동부재(700)의 회전을 방지하여 레버부(730)가 실내의 바닥에 접한 상태를 유지케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xing means having such a structure, as shown in FIG. 9, the fixing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행거용 지주"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100 : 지지봉
110 : 상부파이프 120 : 하부파이프
130 : 길이조절유닛
200 : 코일스프링
210 : 단위코일 220 : 상부걸림부
230 : 하부걸림부
300 : 서포트
301 : 베이스 302 : 슬리브
310 : 수용공간부 320 : 융기부
330 : 나선부 340 : 안착홈
350 : 개구부 360 : 장착홈
370 : 고정링
400 : 승강부재
410 : 하부수용부 420 : 하부걸림홈
430 : 대응나선부
500 : 고정부재
510 : 상부수용부 520 : 상부걸림홈
600 : 회전축
700 : 작동부재
710 : 캠부 720 : 중계부
730 : 레버부
800 : 마감부재100:
110: upper pipe 120: lower pipe
130:
200: coil spring
210: unit coil 220:
230: Lower fastening portion
300: Support
301: Base 302: Sleeve
310: accommodating space part 320: ridge
330: spiral part 340: seat groove
350: opening 360: mounting groove
370: Retaining ring
400:
410: Lower accommodating portion 420: Lower engaging groove
430: corresponding spiral part
500: Fixing member
510: Upper accommodating portion 520: Upper engaging groove
600:
700: operating member
710: Cam part 720: Relay part
730: lever portion
800: Closing member
Claims (6)
상기 지지봉(100)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내부 수용공간부(310)를 갖는 서포트(300);
상기 지지봉(100)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서포트(300)의 수용공간부(310)에 승강 동작 가능하게 삽입된 승강부재(400);
상기 지지봉(100)과 상기 승강부재(400)의 사이에 개재되는 코일스프링(200);
상기 승강부재(400)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서포트(300)의 수용공간부(310)를 가로지르게 설치된 회전축(600); 및
상기 승강부재(400)의 하면과 접하도록 상기 회전축(600)에 결합되고, 회전축(600)을 중심으로 한 회전동작에 의해 상기 승강부재(400)를 승강시키게 되는 작동부재(7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작동부재(700)는
상기 승강부재(400)의 승강 동작을 위한 캠부(710);
상기 회전축(60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상기 캠부(710)에서 연장 형성되고, 단부가 상기 서포트(300)를 관통하여 서포트(300)의 외부로 노출되는 중계부(720); 그리고
상기 서포트(30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중계부(720)의 단부에 상방 돌출 형성되고, 상기 캠부(710)가 상기 승강부재(400)를 상승시키도록 회전한 상태에서 실내의 바닥에 접하게 되는 레버부(7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서포트(300)에는 상기 레버부(730)가 실내의 바닥에 접한 상태를 유지케 하는 고정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고정수단은
실내의 바닥에 접한 상기 레버부(73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서포트(30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 장착홈(360); 그리고
상기 장착홈(360)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C'형상의 차단부(371)와, 상기 레버부(730) 및 상기 중계부(720)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차단부(371)의 양단부 사이에 마련된 트임부(372)를 갖는 고정링(3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용 지주.
A support rod 100;
A support 300 having an internal accommodation space 310 into which a lower end of the support rod 100 is inserted;
An elevating member 400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space 310 of the support 300 so as to be vertically movable so as to be disposed below the supporting bar 100;
A coil spring (200) interposed between the support rod (100) and the elevating member (400);
A rotating shaft 600 disposed below the lifting member 400 and installed across the receiving space 310 of the support 300; And
And an operating member 700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600 to contact the lower surface of the lifting member 400 and lifting the lifting member 400 by rotating about the rotating shaft 600 However,
The operating member 700
A cam portion 710 for moving the lifting member 400 up and down;
A relay portion 720 extending from the cam portion 710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ry shaft 600 and having an end penetrated through the support 300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300; And
And is protruded upward from an end of the relay unit 720 so as to be located outside the support 300. The cam unit 710 is rotated so as to raise the elevation member 400 and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loor of the room And a lever portion 730,
The support 300 is provided with fixing means for keeping the lever portion 730 in contact with the floor of the room,
The fixing means
A mounting groove 360 forme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support 300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the lever portion 730 in contact with the floor of the room; And
The stopper 371 is rotatably fitted in the mounting groove 360 and has a C-shaped blocking portion 371 and a stopper portion 371 to allow the lever portion 730 and the relay portion 720 to pass therethrough. And a fixing ring (370) having a twist portion (372) provided between both end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22414A KR101789581B1 (en) | 2015-08-31 | 2015-08-31 | Post of the hang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22414A KR101789581B1 (en) | 2015-08-31 | 2015-08-31 | Post of the hang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25649A KR20170025649A (en) | 2017-03-08 |
KR101789581B1 true KR101789581B1 (en) | 2017-10-25 |
Family
ID=58404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22414A Expired - Fee Related KR101789581B1 (en) | 2015-08-31 | 2015-08-31 | Post of the hang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89581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41576B1 (en) | 2019-03-12 | 2019-11-06 | 이승재 | Hang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8924Y1 (en) * | 2019-01-09 | 2019-04-04 | 김영교 | Screen device for dining tabl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64349A (en) * | 2001-12-04 | 2003-06-10 | Mory Industries Inc | Spring force-pressing type friction fixing device for tubular members |
KR100819888B1 (en) * | 2006-04-19 | 2008-04-07 | 주식회사 새샘 | Extension prop for storing shelf |
-
2015
- 2015-08-31 KR KR1020150122414A patent/KR10178958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64349A (en) * | 2001-12-04 | 2003-06-10 | Mory Industries Inc | Spring force-pressing type friction fixing device for tubular members |
KR100819888B1 (en) * | 2006-04-19 | 2008-04-07 | 주식회사 새샘 | Extension prop for storing shelf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41576B1 (en) | 2019-03-12 | 2019-11-06 | 이승재 | Hang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25649A (en) | 2017-03-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04241B1 (en) | Caster and white board having the caster | |
KR101789581B1 (en) | Post of the hanger | |
CA2932972C (en) | Snap in mounting shank for a faucet | |
KR101434278B1 (en) | Kickstand of furniture | |
KR101274051B1 (en) | Caster and white board having the caster | |
KR102149107B1 (en) | Height adjustable furniture leg | |
US4373695A (en) | Apparatus for suspending a planter | |
KR102119645B1 (en) | Automotive clip | |
KR101599413B1 (en) | Bidirectional interlock lifting type kickstand of furniture | |
KR970001145Y1 (en) | Flower pot | |
CN108020011B (en) | Refrigerator door body and refrigerator | |
KR200467669Y1 (en) | Horizontal controling device | |
KR101676014B1 (en) | LED Ceiling Lighting | |
KR101437099B1 (en) | Support bar assembly for hanger and mounting piece | |
KR200178867Y1 (en) | Shoe diverter | |
KR200344963Y1 (en) | elastic pressing apparatus for straight clothes hanger | |
KR101456095B1 (en) | Chair incoming and output device of stall table | |
KR20070103572A (en) | Extension prop for storing shelf | |
CN204739316U (en) | Novel wall tap of hanging decorate subassembly | |
KR101559819B1 (en) | Apparatus For Elevating the Smoke Induction Pipe | |
KR200320996Y1 (en) | Fixing structure of adjustable ribs of dish rack | |
KR200310206Y1 (en) | Level adjuster | |
JPS6333303Y2 (en) | ||
KR200368889Y1 (en) | Hanger support of an assembling type | |
CN215450741U (en) | Height-adjustable's foot cup subassembly and ceramic tile scree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1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0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10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