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89057B1 - 시각 장애인을 위한 자동 오디오 북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 Google Patents

시각 장애인을 위한 자동 오디오 북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9057B1
KR101789057B1 KR1020160075895A KR20160075895A KR101789057B1 KR 101789057 B1 KR101789057 B1 KR 101789057B1 KR 1020160075895 A KR1020160075895 A KR 1020160075895A KR 20160075895 A KR20160075895 A KR 20160075895A KR 101789057 B1 KR101789057 B1 KR 101789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oid
code
information
printed mat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5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은영
Original Assignee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75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90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9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905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F17/3002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2Combinations of audio and printed presentations, e.g. magnetically striped cards, talking books, magnetic tapes with printed texts there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8Text analysis or generation of parameters for speech synthesis out of text, e.g. grapheme to phoneme translation, prosody generation or stress or intonation determ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시각 장애인이 일반 서적을 녹음 없이 편리하게 직접 이용할 수 있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자동 오디오 북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에 관한 것으로, 내용(콘텐츠)과 규칙적으로 배열된 OID 코드(object identifier) 코드가 기록된 인쇄물, 상기 인쇄물의 OID 코드를 인식하고, 상기 OID 코드에 대응하는 OID 정보를 전송하는 코드 인식 디바이스,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코드 인식 디바이스에서 전송된 상기 OID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OID 정보에 따라서 해당 인쇄물에 관련된 텍스트 콘텐츠 데이터를 받아 TTS(Text-To-Speech)를 동작시키거나 오디오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 시각 장애인에게 소리로 들려주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인쇄물의 소개 정보 및 인쇄물의 텍스트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장치, 통신망 또는 중계기를 거쳐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전송된 OID 정보에 따라 해당 인쇄물에 관련된 소개 정보 또는 텍스트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저장 장치에서 찾아 전체 데이터를 한 번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한 번에 다운로드 시키거나, 페이지 또는 상기 코드 인식 디바이스에 의해 터치된 위치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마련된 응용 프로그램의 요구에 대응하여 필요한 동작 후, 일부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일반 책과 같은 책을 시각 장애인이 골라서 원하는 페이지부터 내용을 들을 수 있다.

Description

시각 장애인을 위한 자동 오디오 북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Automatic audio book system for blind peopl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시각 장애인을 위한 자동 오디오 북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각 장애인이 일반 서적을 녹음 없이 편리하게 직접 이용할 수 있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자동 오디오 북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이용의 편의성과 휴대의 용이성으로 인해 매우 폭넓은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최근 휴대 단말기는 남녀노소 불문하고 누구나 한 대 정도는 보유하고 있을 정도로 필수적인 개인 소지품이 되어 있다. 휴대 단말기 제조사들은 소외된 이웃들을 위한 기능을 점점 확대하고 있다. 휴대 단말기의 기술 발달로 인해, 휴대 단말기에서 다양한 기능들이 제공되고 있으나, 대중적으로 일반인들이 사용할 수 있는 입출력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로 인해, 휴대 단말기는 노인 및 장애인 등 휴대 단말기의 기능을 잘 활용하기 어려운 사람들을 위해 특화된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는 시력이 낮은 사람이나 시각 장애인들을 위해 시각 장애인 입력에 대응하여 음성을 출력해 주는 기능(보이스 오버, 또는 토크 백) 등이 제공되고 있다. 종래의 음성 출력 기능은 시각 장애인이 화면에 표시된 객체를 터치하였을 경우, 해당 객체가 무엇인지 음성으로 출력하는 것이다.
즉,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서비스 영역이 확대됨에도 불구하고 정상인들 중심으로 서비스가 제공되어 왔으며, 시각 장애인들은 이동통신 서비스의 소비자층에서 소외되어 왔다. 더욱이, 시각 장애인들은 휴대 단말기에 필요한 기본적인 키 버튼 등을 식별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많은 애로사항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점자를 이용한 시각 장애인용 단말기가 제공되어 시각 장애인의 단말기 제어에 대한 문제점은 해결되었다. 즉, 시각 장애인들은 단말기의 점자를 손으로 확인하여 해당 점자가 의미하는 단어, 문장 등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휴대 단말기는 출력된 데이터에 대하여 점자를 제공할 수 없어 시각 장애인들은 전자 장치에 출력된 데이터(텍스트 데이터)의 내용을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휴대 단말기는 TTS(Text-To-Speech) 기능을 통해서 텍스트 데이터를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으나, 이러한 방식으로는 시각 장애인이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되는 데이터의 위치를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음성 안내 기능을 이용하여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장치 및 방법이 요구된다.
즉, 전맹(total blindness)인 시각 장애인은 객체의 위치 및 방향을 예측할 수 없으므로, 객체를 정확히 터치하기 위해 무작위적으로 조작하다 우연히 객체를 터치해야 한다. 객체가 터치되면, 휴대단말기는 해당 객체가 무엇인지 음성으로 출력해준다.
한편, 근래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에 TTS 기술이 탑재되어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있고, 미세한 크기의 OID 코드(object identifier) 코드가 함께 인쇄된 인쇄물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인쇄물과 함께 OID 코드를 인식하는 전자펜과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해서 학습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도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책의 인쇄에 사용되는 전자파일에서 텍스트 데이터와 페이지 상에서의 위치와 영역 정보를 구해 그 정보와 OID 기술을 이용해서 종이책의 내용을 전자펜으로 터치하면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서 검색이나 특정 파일을 구동시킬 수 있는 기술 등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기술의 일 예가 하기 문헌 1 및 2 등에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전자 장치에서 음성 안내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은 콘텐츠의 재생 화면을 출력하고, 출력 화면을 구성하는 데이터의 배열을 확인하여 데이터 분석 영역을 설정하고, 시각 장애인의 입력을 상기 설정된 데이터 분석 영역으로 유도하도록 처리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의 배열은 출력 화면의 라인, 라인 시작 지점, 라인 끝 지점, 문장 시작 지점, 문장 끝 지점, 페이지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가지를 포함하는 장치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또 하기 특허문헌 2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가 입력 모듈(110), 표시 모듈(120), 소리 설정 모듈(130), 위치 정보 추출 모듈(140), 좌표 확인 모듈(150), 소리 출력 모듈(160), 저장 모듈(170) 및 제어 모듈(180)을 포함하며, 상기 전자 장치의 화면에 대응하는 둘 이상의 다차원 공간을 생성하는 동작, 상기 다차원 공간의 좌표 각각에 대한 소리(sound) 정보를 설정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의 화면상에 포커스 된 지점의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동작, 상기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다차원 공간상의 대응하는 좌표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확인된 좌표에 설정된 상기 소리 정보에 따른 소리를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 수행되는 화면 정보를 소리로 출력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19167호(2014.02.14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32602호(2016.03.24 공개)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특허문헌 1에는 전자 장치에서 시각 장애인을 위하여 음성 안내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에서 콘텐츠 데이터를 선택하는 시각 장애인의 터치 입력 위치를 유도하고, 데이터 분석(데이터 리딩) 방향 및 영역을 변경하기 위한 기술에 대해 개시되어 있지만, 일반 인쇄물을 활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상기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기술은 소리 설정 모듈이 시각 장애인과 같은 사용자가 해당 다차원 공간을 통해 전자 장치의 화면 구성 또는 내용을 인식하도록 할 수 있고, 시각 장애인은 설정된 소리 정보에 의한 소리가 출력되면 해당 소리를 통해 전자 장치의 화면을 다차원 공간상의 아이콘이나 텍스트 배치 형태로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이 기술에 의해서도, 일반 도서를 편하게 읽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즉, 시각 장애인은 점자 책을 이용해서 책을 읽을 수 있고, 최근에는 일반 책을 성우나 기타 사람들이 읽어 녹음해서 만든 오디오 북을 통해서 좀 더 많은 책을 접할 수 있다.
그러나 점자 책은 만들기가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들어 다양한 시각 장애인들이 많은 책을 접할 수 없으며, 또한 오디오 북도 녹음에 따른 비용이 있어 다양한 책을 오디오 북으로 만들기가 어렵다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저렴한 비용으로 시각 장애인도 읽을 수 있는 책을 제작하고 또 시각 장애인들이 이러한 책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자동 오디오 북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각 장애인들의 다양한 분야의 학습을 도모할 수 있고, 시각 장애인이 모르는 단어/용어에 대해 편리하게 그 뜻을 찾아 들을 수 있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자동 오디오 북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맹이 아닌 시각 장애인들은 글을 읽을 수는 없으나 텍스트의 위치는 인지할 수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장애인들이 단어와 문장을 구분해서 들어보고, 모르면 찾아서 그 뜻을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자동 오디오 북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오프라인 종이책을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하도록 하여 e-북과 비슷한 기능을 제공하여, 일반인들도 독서 중에 눈으로 읽기가 불편한 경우 간편하게 오디오 북으로 독서하는 환경을 이용할 수 있으며, 책에서 모르는 용어가 나왔을 경우 간편하게 검색 및 번역할 수 있는 자동 오디오 북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시각 장애인를 위한 자동 오디오 북 시스템은 시각 장애인들이 많은 책을 읽고, 학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자동 오디오 북 시스템으로서, 내용(콘텐츠)과 규칙적으로 배열된 OID 코드(object identifier) 코드가 기록된 인쇄물, 상기 인쇄물의 OID 코드를 인식하고, 상기 OID 코드에 대응하는 OID 정보를 전송하는 코드 인식 디바이스,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코드 인식 디바이스에서 전송된 상기 OID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OID 정보에 따라서 해당 인쇄물에 관련된 텍스트 콘텐츠 데이터를 받아 TTS(Text-To-Speech)를 동작시키거나 오디오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 시각 장애인에게 소리로 들려주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인쇄물의 소개 정보 및 인쇄물의 텍스트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장치, 통신망 또는 중계기를 거쳐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전송된 OID 정보에 따라 해당 인쇄물에 관련된 소개 정보 또는 텍스트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저장 장치에서 찾아 전체 데이터를 한 번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한 번에 다운로드 시키거나, 페이지 또는 상기 코드 인식 디바이스에 의해 터치된 위치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마련된 응용 프로그램의 요구에 대응하여 필요한 동작 후, 일부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오디오 북 시스템에서, 상기 인쇄물은 서적이고, 상기 OID 코드는 상기 서적의 표지, 세네카, 목차 및 각각의 내용에 해당하는 페이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오디오 북 시스템에서, 상기 서버는 통신망 또는 중계기를 통해 전송된 OID 코드의 값 또는 명령을 수신하는 수신 모듈, 상기 수신 모듈에서 수신된 OID 코드의 값 또는 명령이 저장 장치에 등록된 인쇄물의 콘텐츠인지 확인하는 판단 모듈, 상기 판단 모듈에서 판단된 OID 코드의 값 또는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인쇄물에 관련된 소개 정보 또는 텍스트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저장 장치에서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추출 모듈, 상기 코드 인식 디바이스에서의 OID 코드의 값 또는 명령이 단어 선택인지 판단하는 선택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오디오 북 시스템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OID 코드의 값 또는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인쇄물에 관련된 소개 정보 또는 텍스트 콘텐츠 데이터를 TTS로 구동시키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오디오 북 시스템에서, 콘텐츠가 저장되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다수의 콘텐츠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코드 인식 디바이스에 의해 선택된 단어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저장 장치 또는 다수의 콘텐츠 서버에서 검색하거나 사용자 단말기로 다운로드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음성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오디오 북 시스템에서, 상기 OID 코드는 m × n 개의 미세 코드로서 격자에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인쇄되고, 상기 OID 코드는 서적의 페이지를 구분하고, 동일 페이지 내에서 터치 위치의 좌표에 따라 다른 OID 코드로 인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오디오 북 시스템의 운영 방법은 시각 장애인들이 많은 책을 읽고, 학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자동 오디오 북 시스템의 운영 방법으로서, (a) 내용(콘텐츠)과 규칙적으로 배열된 OID 코드(object identifier) 코드를 인쇄물에 내장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의 인쇄물에 대해 코드 인식 디바이스로 터치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에서 터치된 인쇄물에 관한 설명을 사용자 단말기에서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 (d) 상기 인쇄물 내의 임의의 페이지에 대해 상기 코드 인식 디바이스로 터치하면, 해당하는 페이지에 기록된 내용을 사용자 단말기에서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 (e) 상기 단계 (d)에서의 출력 도중에 상기 코드 인식 디바이스가 조작되면, 상기 단계 (d)의 실행을 일시 중지하고 직전에 재생된 단어에 관한 설명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오디오 북 시스템의 운영 방법에서, (f) 상기 코드 인식 디바이스로 상기 인쇄물의 텍스트를 터치하면 그 텍스트의 의미를 음성으로 설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자동 오디오 북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에 의하면, 혼자서 점자 책이 아닌 일반 책의 제작 비용과 거의 같고 내용과 편집도 일반 책과 같은 책을 장애인이 골라서 원하는 페이지부터 내용을 들을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자동 오디오 북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에 의하면, 장애인이 책의 내용을 듣는 중에 모르는 단어가 나오면 즉시 검색해서 그 뜻을 공부하고 남은 부분을 계속해서 들을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자동 오디오 북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에 의하면, 책의 출판에 큰 비용을 들이지 않고 시각 장애인들까지 배려한 책을 만들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자동 오디오 북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에 의하면, 전맹이 아닌 시각 장애인이 사용자 단말기의 밝은 화면을 보는 것은 더욱 시력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가능한 회피해야 하므로, 이러한 시각 장애인이 책을 보면서 한 페이지, 한 문장, 임의의 블록 등의 단위로 선택하여 들으면서 학습 가능하고, 모르는 단어는 터치하여 그 뜻을 들으며 학습 가능하여 자기 주도하에 학습 가능하게 하는 효과도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자동 오디오 북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에 의하면, 시각 장애인이 아닌 일반인에게도 버스나 지하철, 열차, 비행기 등을 타고 장거리를 여행을 할 때에 눈으로 읽는 것도 좋지만 소리로 들으며 책의 내용을 들을 수 있어 또 다른 독서의 재미를 줄 수가 있을 것이고, 책에서 모르는 단어나 용어를 만났을 때는 전자펜으로 그 단어를 터치하여 즉시 인터넷 사전 등으로 검색하여 그 뜻을 알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도 1은 종래의 화면 정보를 소리로 출력하는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자동 오디오 북 시스템의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서적에 OID 코드(object identifier) 코드가 기록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코드 인식 디바이스의 구성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서버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서적에 OID 코드를 내장 및 저장 장치에 저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시각 장애인을 위한 자동 오디오 북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자동 오디오 북 시스템은 일반 인쇄물을 만들 때 큰 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시각 장애인들도 쉽게 같은 인쇄물을 이용할 수 있고, 시각 장애인이 다양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자동 오디오 북을 마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오디오 북에 따르면, 서점 또는 도서관의 서가에 꽂혀진 서적을 직접 선택할 수 있고, 시각 장애인들의 다양한 분야의 학습을 도모할 수 있도록 큰 추가적인 비용 없이 서적을 발간하여 공급할 수 있다. 또 시각 장애인들도 모르는 단어/용어가 나오는 경우 편리하게 그 뜻을 찾아 들을 수 있도록 하는 기능도 제공하여 자기 주도 학습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오프라인 종이책을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하도록 하여 e-북과 비슷한 기능을 제공하여, 일반인들도 종이 책 독서 중에 눈으로 읽기가 불편한 경우, 간편하게 오디오 북으로 독서 환경을 이용할 수 있으며, 책에서 모르는 용어가 나왔을 경우 간편하게 검색 및 번역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그 운영 방법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자동 오디오 북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서적에 OID 코드(object identifier) 코드가 기록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코드 인식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자동 오디오 북 시스템은 시각 장애인들이 많은 책의 내용을 들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자동 오디오 북 시스템으로서, 내용(콘텐츠)과 규칙적으로 배열된 미세한 크기의 OID(object identifier) 코드가 기록된 인쇄물(10), 상기 인쇄물(10)의 OID 코드를 인식하고, 상기 OID 코드에 대응하는 OID 정보를 전송하는 코드 인식 디바이스(20),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코드 인식 디바이스(20)에서 전송된 상기 OID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OID 정보에 따라서 해당 인쇄물(20)에 관련된 텍스트 콘텐츠 데이터를 받아 TTS(Text-To-Speech)를 동작시키거나 오디오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 시각 장애인에게 소리로 들려주는 사용자 단말기(30), 상기 인쇄물(10)의 소개 정보 및 인쇄물(10)의 텍스트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장치(50), 통신망(1) 또는 중계기(2)를 거쳐 사용자 단말기(30)를 통해 전송된 OID 정보에 따라 해당 인쇄물(10)에 관련된 소개 정보 또는 텍스트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 장치(50)에서 찾아 전체 데이터를 한 번에 사용자 단말기(30)로 한 번에 다운로드 시키거나, 페이지 또는 코드 인식 디바이스(20)에 의해 터치된 위치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30)에 마련된 응용 프로그램의 요구에 대응하여 필요한 동작 후, 일부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30)로 제공하는 서버(40)를 포함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는 통신망(1)을 통해 서버(40) 및 사용자 단말기(30)와 정보를 주고받으며, 다양한 콘텐츠가 저장되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다수의 콘텐츠 서버(60)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망(1)은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한 인터넷이 가능한 망으로서 특정 네트워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중계기(2)도 사용자 단말기(30)로 예를 들어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스마트폰과 서버(40)가 직접 접속 가능한 통상의 스마트폰용 중계기이면 충분하다.
상기 OID 코드가 기록된 인쇄물(10)은 통상의 서적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의 격자로 이루어진 OID 코드 인쇄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OID 코드는 동일 페이지 내에서 각 가상의 격자마다 다른 OID 코드가 인쇄되고, 상기 OID 코드는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각 격자에 배열되게 된다. 상기 OID 코드는 상기 서적의 표지, 앞표지와 뒷표지의 사이인 세네카(책등), 목차 및 각각의 내용에 해당하는 페이지에 마련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서적은 세네카에 OID 코드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서점 또는 도서관의 서가에 꽂혀진 서적을 시각 장애인이 음성으로 서적의 정보를 확인하여 직접 선택할 수 있다.
상기 OID 코드 인쇄 영역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가로 m개, 세로 n개의 격자를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m × n 개의 미세 코드가 각 격자에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하고자 하는 페이지 전체를 1mm 간격으로 가상의 격자를 구성하고, 상기 페이지의 좌에서 우로 OID 코드를 순차적으로 정하고, 페이지의 가장 아래 줄까지 OID 코드가 연속되어 인쇄되도록 할당할 수 있다. 즉 같은 격자에는 같은 OID 코드가 인쇄되고 우측의 다음 격자에는 다음 순서의 OID 코드가 인쇄되는 형식으로 각각의 격자마다 OID 코드를 할당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페이지에는 m개의 격자가 포함되는 n개의 줄이 존재하게 되므로, 상기 페이지에는 m x n 개의 격자가 존재하게 되고, 그 만큼의 OID 코드가 사용되게 된다.
이에 따라, 시각 장애인이 상기 OID 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전자펜 등의 코드 인식 디바이스(20)를 사용하여 상기 페이지 상의 임의의 위치를 터치하면, 특정 격자에 있는 OID 코드를 인식하여 판독하게 되고, 또한 상기 OID 코드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를 산출하게 되어, 시각 장애인이 어느 위치를 포인팅했는지 알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도 3에서 코드 인식 디바이스(20)가 ①의 부분을 터치하면, (P × n × l)의 코드가 인쇄된 격자를 터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OID 코드를 순차적으로 또는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인쇄하여 구성하는 경우, 개발 및 제작 과정에서 객체 영역을 지정하고 각종 속성값을 부여하는데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프린트된 OID 코드에 대한 변환 과정을 거쳐 위치 정보를 도출하여 사용하고 객체의 영역(위치) 지정에 따라 OID 코드 값을 부여하지 않기 때문에, 객체의 영역(위치)에 관한 정보는 인쇄 내용에는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인쇄물이 인쇄된 후라 하더라도 인쇄 자체에 오류가 없다면 제작 과정상의 오류를 수정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질수 있다.
상기 코드 인식 디바이스(20)는 OID 코드를 스캔하고, OID 코드에 대한 정보를 무선 통신, 예를 들어 블루투스 통신으로 사용자 단말기(30)로 전송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상기 코드 인식 디바이스(20)는 예를 들어 스캔 기능을 구비한 전자펜이고, 상기 전자펜에는 고유 번호가 인가될 수 있으며, 이 전자펜에는 연필(샤프펜슬)이나 볼펜, 형광 펜 등의 기능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코드 인식 디바이스(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OID 코드를 스캔하여 인식하는 인식부(21), 코드 인식 디바이스(20)에서 전원의 온/오프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22), 인식부(21)에서 인식된 OID 코드에 대한 정보를 단말기(30)로 전송하는 송신부(23) 및 상기 인식부(21)와 송신부(23) 등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24)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22)는 사용자 단말기(30)와 통신이 연결되지 않으면 3분 대기 후 자동 전원 오프가 되도록 전원부(24)를 제어하여 소모 전력을 저감할 수 있고, 상기 전원부(24)는 예를 들어 리튬 폴리머 배터리를 구비하고 마이크로 USB 커넥터를 사용하여 5V 0.5A DC로 충전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송신부(23)는 사용자 단말기(30)와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등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거나 유선으로 연결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30)는 다양한 유무선 환경에 적용되고 TTS(Text-To-Speech)를 동작시키며, OID 코드 정보 등을 인식하기 위한 웹 애플리케이션 및 음성 출력을 위한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기(30)는 TTS를 동작시키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가능하고, TTS 기능에 따른 스피커를 구비하며,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기능을 구비한 지능형 단말기로서의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스마트 TV 또는 노트북 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 중의 어느 하나가 적용되며, 예를 들어 스마트폰이 적용되는 경우, 통신사 중계기(2) 등을 거쳐 서버(40)에 연결된다. 즉 사용자 단말기(30)는 코드 인식 디바이스(20)로부터 스캔된 OID 코드의 값 또는 명령을 무선 통신으로 수신하며, 예를 들어 OID 코드의 값 또는 명령이 사용자 단말기(30)에 내장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실행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 단말기(30)에서 자체 처리되고,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실행되지 않는 OID 코드의 값 또는 명령은 통신망(1) 또는 중계기(2)를 거쳐 서버(40)로 전송되는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30)는 스피커를 구비한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 장치(portable electronic device)로서, 스피커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전화(mobile phone),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장치들 중 두 가지 이상의 기능을 결합한 장치를 포함하는 임의의 휴대용 전자 장치일 수도 있다.
상기 서버(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망(1) 또는 중계기(2)를 통해 전송된 OID 코드의 값 또는 명령을 수신하는 수신 모듈(41), 수신 모듈(41)에서 수신된 OID 코드의 값 또는 명령이 저장 장치(50)에 등록된 인쇄물(10)의 콘텐츠인지 확인하는 판단 모듈(42), 상기 판단 모듈(42)에서 판단된 OID 코드의 값 또는 명령에 대응하여 인쇄물(10)에 관련된 소개 정보 또는 텍스트 콘텐츠 데이터를 추출하는 추출 모듈(43), 상기 코드 인식 디바이스(20)에서의 OID 코드의 값 또는 명령이 단어 선택인지 판단하는 선택 모듈(44), 송신 모듈(45)을 포함한다.
상기 수신 모듈(41)과 송신 모듈(45)은 통상의 서버에 마련된 수신기 및 송신기로서 특정 수신기 및 송신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판단 모듈(42)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물(10)에 대해 코드 인식 디바이스(20)인 전자펜의 조작 여부에 대해 전송된 OID 코드의 값 또는 명령을 판단한다. 예를 들어 시각 장애인이 전자펜을 터치하고, 이에 대한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30)를 통해 전송되고 수신 모듈(41)에 의해 수신되었을 때, 해당 인쇄물(10)에 관련된 텍스트 콘텐츠 데이터가 저장 장치(50)에 입력된 정보인지 판단한다.
상기 추출 모듈(43)은 상기 판단 모듈(42)에 의해 판단된 텍스트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 장치(50)에서 추출하고 송신 모듈(45)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30)로 추출된 텍스트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하여, 시각 장애인이 사용자단말기(30)를 통해 텍스트 콘텐츠 데이터를 음성으로 청취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선택 모듈(44)은 시각 장애인이 선택한 인쇄물(10)의 페이지에 대한 사용자 단말기(30)에서의 TTS 기능의 작동중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코드 인식 디바이스(20)의 제어부(22)로부터 제어신호, 예를 들어 전자펜의 조작 버튼이 눌려진 신호가 전송되었는지 판단에 따라 TTS 기능단어 설명에 대한 요청인지를 선택한다. 즉, 사용자 단말기(30)에서의 TTS기능의 작동중에 인식 디바이스(20)의 제어부(22)로부터 제어신호가 단어 설명을 요구하는 기능이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30)에서는 TTS기능을 일단 중단하고, 마지막에 재생된 단어와 그 이전에 몇 개 단어의 설명을 찾아서 다시 TTS로 들려준 다음 중단되었던 위치부터 다시 TTS기능을 작동시키도록 한다. 마지막에 재생된 단어를 찾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평균 재생시간 계산법으로 찾을 수도 있다. 또 이와 같은 단어 설명은 상기 선택 수단(44)에서 선택된 단어에 대해 콘텐츠 서버(60)을 통해 전송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 단말기(30)와 콘텐츠 서버(60)의 직접 연결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상기 판단 모듈(42), 추출 모듈(43) 및 선택 모듈(44)의 각각의 기능은 서버(40) 내에 구획되어 마련된 하드웨어적인 구성 또는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 단말기(30)에서 프로그램에 의해서도 실행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자동 오디오 북 시스템에서는 상기 서버(40)의 기능을 사용자 단말기(30)에서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판단 모듈(42), 추출 모듈(43), 선택 모듈(44)을 각각 사용자 단말기로 실현하는 경우, 코드 인식 디바이스(20)의 제어부(22)에서의 제어 신호인 전자펜의 버튼의 조작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30)가 서버로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 단말기(30)에서 직접 판단하여 TTS의 구동인지 단어의 선택인지를 판단하여 선택하고 이에 대응한 정보를 서버(40)로 전송하는 구조를 채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30)에는 이와 같은 판단 모듈(42), 추출 모듈(43), 선택 모듈(44)을 실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여 운영할 수 있다.
상기 저장 장치(50)는 OID 코드가 내장된 인쇄물(10)에 대한 정보, 즉 서적에 대응한 표지 또는 세네카 정보, 텍스트 정보, 텍스트의 위치 정보 등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로서, 도 2에서는 저장 장치(50)가 서버(40)와 분리된 구성으로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버(40)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 장치(50)의 구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콘텐츠 서버(60)는 코드 인식 디바이스(20)의 인식부(21)에 의해 스캔된 단어에 대해 온톨로지(ontology)의 개념으로 추가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추가 자료로서 단어 등에 관한 설명도 선택 모듈(44)에서의 선택에 따라 시각 장애인에게 음성으로 제공되게 할 수도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오디오 북에서 서적의 발간 및 OID 코드에 대응하는 정보의 관리에 대해 도 6에 따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서적에 OID 코드를 내장 및 저장 장치에 저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오디오 북을 실현하기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물인 서적에 대해 서적용 텍스트를 작성한다(S10). 이와 같은 텍스트는 작가가 직접 통상의 WORD 파일, HWP 파일, TEXT 파일 등으로 작성하거나, 편집자가 작성할 수 있다. 이 텍스트는 서적을 인쇄하기 위한 전자파일로서 텍스트와 관련된 정보를 생성한다(S20). 즉 자동 데이터 추출 방법을 적용하여 전자 문서 파일로부터 RAW 텍스트 데이터를 추출하고, 또한 텍스트가 인쇄 페이지 내에서 위치하는 곳의 영역 정보(즉, 위치 정보)를 계산하여 추출한다. 추출된 텍스트 데이터 및 상기 텍스트 데이터의 위치 정보는 객체 정보로 저장 장치(50)에 저장되어 코드 인식 디바이스(20)에서 시각 장애인이 포인팅한 위치의 객체를 산출하고, 상기 객체에 대한 동작을 실행하기 위하여 사용되게 된다. 추출된 텍스트 데이터와 위치 정보는 문장과 단락을 구분하여 텍스트 흐름으로 정렬된다(S30). 또 추출된 텍스트와 관련된 단어, 숙어, 용어, 문장 및 문법 등에 관한 데이터를 구성한 후, 상기 객체의 속성 데이터로 저장 장치(5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단계 S30에서 텍스트의 흐름을 정렬하고, 소제목, 대제목 등을 찾아 표시를 한 후에, 책의 표지, 세네카 등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책을 설명하기 위한 코드값에 해당하는 OID 코드를 지정하고, 책 내용에 해당하는 페이지에는 위치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OID 코드를 지정하고, 이에 대응하는 정보는 저장 장치(50)에 저장한다.
이렇게 해서 제작된 서적을 발간하고(S50), 시각 장애인이 상기 단계 S50에서 발간된 서적의 표지, 세네카를 코드 인식 디바이스(20)인 전자펜으로 터치하면, 전자펜은 책 정보를 구할 수 있는 책 코드를 인식해서 사용자 단말기(30)로 전달한다. 사용자 단말기(30)는 이 코드를 받아서 책의 제목을 비롯한 필요한 설명을 TTS(Text-To-Speech) 기능에 의해 시각 장애인에게 들려 줄 수 있는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오디오 북을 시각 장애인이 작동하는 과정에 대해 도 7에 따라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시각 장애인을 위한 자동 오디오 북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시각 장애인이 읽고 싶은 서적을 구입한다(S100). 이와 같은 서적의 구입은 본 발명에 따른 OID 코드가 내장된 서적을 일반 도서 판매점에서 자유로이 구입할 수 있다. 즉, 시각 장애인은 서점에서 서적의 표지 또는 세네카를 코드 인식 디바이스(20)로 터치하는 것에 의해 서적에 대한 정보를 듣고 자신이 원하는 서적을 구입할 수 있다. 물론 시각 장애인이 서적의 구입 편의를 위해 도서 판매인의 안내를 받을 수 있다.
상기 단계 S100에서 시각 장애인이 구입을 원하는 서적을 선택하고, 그 서적의 표지 또는 세네카를 코드 인식 디바이스(20)인 전자펜으로 터치하면(S110), 코드 인식 디바이스(20)의 인식부에서 서적의 표지 또는 세네카에 마련된 OID 코드를 스캔하고, 이 OID 코드에 대응한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30)를 통해 서버(40)로 전송되고, 서버의 판단 모듈(42)은 전송된 OID 코드에 대응하는 정보가 저장 장치(50)에 저장된 콘텐츠인지 판단한다. 상기 판단 모듈(42)이 저장 장치(50)에 저장된 콘텐츠로 판단하면, 송신 모듈(45)을 통해 저장 장치(50)에 저장된 표지 또는 세네카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3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은 표지 또는 세네카 정보는 음성 정보일 수 있고, 서버(40)에 마련된 추출 모듈(43)에 의해 추출되어 사용자 단말기(30)로 전송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버(40)에서 전송된 텍스트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30)에 마련된 TTS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음성 정보로 출력될 수도 있다.
이어서, 상기 단계 S110에서 코드 인식 디바이스(20)로 표지 또는 세네카를 터치한 결과, 시각 장애인이 원하는 서적인 경우, 시각 장애인은 서적의 페이지를 선택(S120), 예를 들어 적당한 양의 페이지를 잡아 서적을 펼쳐서 코드 인식 디바이스(20)의 제어부(20)인 버튼을 누른 채로 페이지 상의 임의 위치를 터치한다(S130). 그러면 코드 인식 디바이스(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터치된 위치의 좌표를 읽어서 사용자 단말기(30)로 전송하며, 사용자 단말기(30)는 그 좌표 위치를 서버(40)로 전송하고(S140), 판단 모듈(42)에서는 수신된 좌표 위치를 이용해서 책의 몇 페이지인지를 계산하고, 계산된 페이지 번호를 사용자 단말기(30)로 전송하여 음성으로 출력하게 한다(S150).
상기 단계 S120 및 S150에서는 사용자 단말기(30)와 서버(40) 사이에서 단계적으로 송수신하는 것에 의해 음성 정보를 출력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단계 S110에서 표지 또는 세네카 정보를 수신할 때 시각 장애인이 구입한 서적에 대한 정보 전체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30)에서 한 번에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기(30)에서만 상기 단계 S120 및 S150를 실행할 수 있다. 이하 설명하는 각각의 단계에서도 사용자 단말기(30)에서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상기 단계 S120에서 선택한 페이지에 소제목이나 대제목과 같은 것이 있으면 그 제목도 함께 읽어 소리로 들려줄 수 있다.
상기 단계 S150에서 시각 장애인은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듣고 자신이 원하는 페이지 인가를 판단하고(S160), 만약 아니라면 서적의 앞이나 뒤로 적당한 페이지 쪽수를 넘기는 것에 의해 원하는 페이지를 선택할 수 있다(S170).
이렇게 해서 원하는 페이지를 찾은 후에는 코드 인식 디바이스(20)의 제어부(22) 버튼을 놓은 상태로 코드 인식 디바이스(20)로 페이지의 임의 위치를 터치한다(S180). 코드 인식 디바이스(20)는 그 위치에 해당하는 좌표를 읽어서 사용자 단말기(30)로 전송하며, 사용자 단말기(30)는 전송받은 좌표정보로 책의 페이지를 계산하고, 저장 장치(50)에 마련된 텍스트 데이터는 추출 모듈(43)에서 추출되어 사용자 단말기(30)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기(30)는 이에 대응하여 TTS를 구동하는 것에 의해 시각 장애인은 해당하는 페이지의 정보를 음성으로 들을 수 있다(S190, S200). 이와 같은 저장 장치(50)에 저장된 텍스트 데이터에는 쉼표와 마침표, 물음표도 함께 있으므로, 사용자 단말기(30)에서는 이들 정보도 활용하여 TTS를 구동하도록 하여 최대한 자연스럽게 텍스트가 읽혀지도록 운용할 수 있다. 상기 단계 S200에서의 TTS의 구동은 사용자 단말기(30)에 마련된 TTS 기능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실행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버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한편, 시각 장애인은 소리로 듣던 중에 모르는 단어가 나오면 즉시 코드 인식 디바이스(20)의 제어부인 버튼을 조작하면, 이 조작 신호는 송신부(23)를 거쳐 사용자 단말기(30)로 버튼 누름 신호가 전송된다. 사용자 단말기(30)는 버튼이 눌러졌다는 신호를 수신하면 단어 선택으로 판단하고(S210), TTS기능을 일시 중단하고, 직전에 재생된 몇 개의 단어(몇 개인지는 설정해 두고 사용)에 대해서 설명에 해당하는 텍스트 데이터를 구하도록 한다. 이때에 설명 텍스트 데이터를 구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가장 쉬운 예로는 다수의 콘텐츠 서버(60)를 통해 인터넷상의 사전검색을 이용하는 것이거나 전용 텍스트 사전을 사용자 단말기(40)나 저장 장치(50)에 내장할 수도 있다. 이렇게 구해진 단어 설명 텍스트는 사용자 단말기(30)에서의 TTS 구동을 통해 시각 장애인에게 단어 정보 음성 출력으로 들려준다(S220). 모든 필요한 설명 텍스트를 들려 주었으면 다시 본문을 재생한다는 신호를 준 다음 일시 중지된 본문 텍스트를 재생한다. 이와 같은 과정은 시각 장애인이 자동 오디오 북의 사용을 종료할 때까지 실행되어 완료된다(S230).
한편, 필요에 따라서는 매 페이지를 읽어 들려준 후에는 페이지 읽기 완료 신호음을 들려주고 대기를 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시각 장애인가 좀 더 집중해서 내용을 듣게 될 것이다. 또한, 대기 중에 시각 장애인이 전자펜의 버튼을 눌러서 다음 페이지를 읽도록 할 수도 있다.
또 단말기의 기능을 조작하거나 전자펜의 버튼을 누름으로써 앱의 동작을 전맹이 아닌 시각 장애인을 위한 학습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이 모드에서는 페이지 단위로 책을 읽어 주지 않고 사용자가 설정한 영역을 읽어주거나 문장이나 단락 단위로 읽어주게 된다. 또한, 전자펜으로 단어를 터치하면 그 단어를 검색해서 뜻을 음성으로 들려주게 된다.
또한, 검색했던 단어들을 모아 두었다가 필요한 경우 다시 듣기를 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자동 오디오 북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일반 책과 같은 책을 전맹 또는 일부 시각 장애인이 골라서 원하는 페이지부터 내용을 들을 수 있으며, 전맹이 아닌 시각 장애인의 자기 주도적 학습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10 : 인쇄물
20 : 코드 인식 디바이스
30 : 사용자 단말기
40 : 서버
50 : 저장 장치

Claims (8)

  1. 시각 장애인들이 책을 읽고, 학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자동 오디오 북 시스템으로서,
    내용(콘텐츠)과 규칙적으로 배열된 OID(object identifier) 코드가 기록된 인쇄물,
    상기 인쇄물의 OID 코드를 인식하고, 상기 OID 코드에 대응하는 OID 정보를 전송하는 코드 인식 디바이스,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코드 인식 디바이스에서 전송된 상기 OID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OID 정보에 따라서 해당 인쇄물에 관련된 텍스트 콘텐츠 데이터를 받아 TTS(Text-To-Speech)를 동작시키거나 오디오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 시각 장애인에게 소리로 들려주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인쇄물의 소개 정보 및 인쇄물의 텍스트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장치,
    통신망 또는 중계기를 거쳐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전송된 OID 정보에 따라 해당 인쇄물에 관련된 소개 정보 또는 텍스트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저장 장치에서 찾고 찾아진 전체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한 번에 다운로드 시키거나, 페이지 또는 상기 코드 인식 디바이스에 의해 터치된 위치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마련된 응용 프로그램의 요구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 후 일부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인쇄물은 서적이고, 상기 코드 인식 디바이스는 전자펜이고, 상기 전자펜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이 연결되지 않으면 3분 대기 후 자동 전원 오프가 실행되고,
    상기 OID 코드는 m × n 개의 격자로 구성되는 OID 코드 인쇄 영역에 순차적으로 배열되며 상기 서적의 표지, 세네카, 목차 및 각각의 내용에 해당하는 페이지에 인쇄되어 서적의 페이지를 구분하고, 동일 페이지 내에서 터치 위치의 좌표에 따라 다른 OID 코드로 인쇄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매 페이지를 소리로 들려준 후에 페이지 읽기 완료 신호음을 들려주며,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의 TTS기능의 작동중에 상기 인식 디바이스로부터 제어신호가 단어 설명 요구이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는 TTS기능을 일단 중단하고, 마지막에 재생된 단어와 그 이전에 몇 개 단어의 설명을 TTS로 들려준 다음 중단되었던 위치부터 다시 TTS기능을 작동시키며,
    상기 코드 인식 디바이스는 오디오 북의 동작 도중에 모르는 단어의 해설을 즉시 제공하도록,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의해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조작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조작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단어의 선택으로 판단하여 해당 용어를 검색해서 단어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며,
    검색된 단어를 저장하고 다시 듣기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오디오 북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서버는 통신망 또는 중계기를 통해 전송된 OID 코드의 값 또는 명령을 수신하는 수신 모듈,
    상기 수신 모듈에서 수신된 OID 코드의 값 또는 명령이 저장 장치에 등록된 인쇄물의 콘텐츠인지 확인하는 판단 모듈,
    상기 판단 모듈에서 판단된 OID 코드의 값 또는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인쇄물에 관련된 소개 정보 또는 텍스트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저장 장치에서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추출 모듈,
    상기 코드 인식 디바이스에서의 OID 코드의 값 또는 명령이 단어 선택인지 판단하는 선택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오디오 북 시스템.
  4. 제1항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OID 코드의 값 또는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인쇄물에 관련된 소개 정보 또는 텍스트 콘텐츠 데이터를 TTS로 구동시키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오디오 북 시스템.
  5. 제1항에서,
    콘텐츠가 저장되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다수의 콘텐츠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코드 인식 디바이스에 의해 선택된 단어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저장 장치 또는 다수의 콘텐츠 서버에서 검색하거나 사용자 단말기로 다운로드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음성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오디오 북 시스템.
  6. 삭제
  7.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시각 장애인들이 책을 읽고, 학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자동 오디오 북 시스템의 운영 방법으로서,
    (a) 내용(콘텐츠)과 규칙적으로 배열된 OID(object identifier) 코드가 인쇄물에 내장된 상태에서 코드 인식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인쇄물에 터치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터치된 인쇄물에 관한 설명을 사용자 단말기에서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
    (c) 상기 인쇄물 내의 임의의 페이지에 대해 상기 코드 인식 디바이스로 터치하면, 해당하는 페이지에 기록된 내용을 사용자 단말기에서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c)에서의 출력 도중에 상기 코드 인식 디바이스가 조작되면, 상기 단계 (c)의 실행을 일시 중지하고 직전에 재생된 단어에 관한 설명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음성으로 출력하고, 중지되었던 위치부터 다시 TTS기능을 작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인쇄물은 서적이고, 상기 코드 인식 디바이스는 전자펜이고, 상기 전자펜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이 연결되지 않으면 3분 대기 후 자동 전원 오프가 실행되고,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매 페이지를 소리로 들려준 후에 페이지 읽기 완료 신호음을 들려주며,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코드 인식 디바이스는 오디오 북의 동작 도중에 모르는 단어의 해설을 즉시 제공하도록,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의해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조작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조작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단어의 선택으로 판단하여 해당 용어를 검색해서 단어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며, 검색된 단어를 저장하고 다시 듣기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OID 코드는 m × n 개의 격자로 구성되는 OID 코드 인쇄 영역에 순차적으로 배열되며 상기 서적의 표지, 세네카, 목차 및 각각의 내용에 해당하는 페이지에 마련되어 서적의 페이지를 구분하고, 동일 페이지 내에서 터치 위치의 좌표에 따라 다른 OID 코드로 인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오디오 북 시스템의 운영 방법.
  8. 제7항에서,
    (e) 상기 코드 인식 디바이스로 상기 인쇄물의 텍스트를 터치하면 그 텍스트의 의미를 음성으로 설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오디오 북 시스템의 운영 방법.
KR1020160075895A 2016-06-17 2016-06-17 시각 장애인을 위한 자동 오디오 북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Active KR101789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895A KR101789057B1 (ko) 2016-06-17 2016-06-17 시각 장애인을 위한 자동 오디오 북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895A KR101789057B1 (ko) 2016-06-17 2016-06-17 시각 장애인을 위한 자동 오디오 북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9057B1 true KR101789057B1 (ko) 2017-10-23

Family

ID=60298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5895A Active KR101789057B1 (ko) 2016-06-17 2016-06-17 시각 장애인을 위한 자동 오디오 북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905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75261A (zh) * 2019-05-29 2019-08-27 深圳市九州传媒科技有限公司 一种防止点读码冲突的系统及方法
KR102082181B1 (ko) * 2019-08-21 2020-05-29 에이아이프렌드 주식회사 인공지능 기반 전자펜, 인공지능 기반 전자펜을 이용한 콘텐츠 재생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50668A (ko) * 2020-10-16 2022-04-25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시각장애인을 위한 온라인 강의 콘텐츠 제공방법 및 그 사용자 단말
KR20220055644A (ko) 2020-10-27 2022-05-04 이장우 디지털 오디오북 제작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4012357A1 (zh) * 2022-07-14 2024-01-18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振动提醒方法、相关设备、计算机存储介质
KR20240137453A (ko) 2023-03-08 2024-09-20 어포나티 주식회사 인공지능을 활용한 오디오북 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60009A1 (en) 2007-10-05 2014-06-12 Leapfrog Enterprises, Inc. Audio book for pen-based comput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60009A1 (en) 2007-10-05 2014-06-12 Leapfrog Enterprises, Inc. Audio book for pen-based computer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75261A (zh) * 2019-05-29 2019-08-27 深圳市九州传媒科技有限公司 一种防止点读码冲突的系统及方法
KR102082181B1 (ko) * 2019-08-21 2020-05-29 에이아이프렌드 주식회사 인공지능 기반 전자펜, 인공지능 기반 전자펜을 이용한 콘텐츠 재생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50668A (ko) * 2020-10-16 2022-04-25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시각장애인을 위한 온라인 강의 콘텐츠 제공방법 및 그 사용자 단말
KR102495597B1 (ko) * 2020-10-16 2023-02-06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시각장애인을 위한 온라인 강의 콘텐츠 제공방법 및 그 사용자 단말
KR20220055644A (ko) 2020-10-27 2022-05-04 이장우 디지털 오디오북 제작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4012357A1 (zh) * 2022-07-14 2024-01-18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振动提醒方法、相关设备、计算机存储介质
KR20240137453A (ko) 2023-03-08 2024-09-20 어포나티 주식회사 인공지능을 활용한 오디오북 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9057B1 (ko) 시각 장애인을 위한 자동 오디오 북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US20200175890A1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 group reading environment
Freitas et al. Speech technologies for blind and low vision persons
US20140315163A1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 group reading environment
US20090251440A1 (en) Audio Bookmarking
CN102937959A (zh) 自动创建文本数据与音频数据之间的映射
US20140111489A1 (en) Customer Authoring Tools for Creating User-Generated Content for Smart Pen Applications
JP2011516924A (ja) マルチモードの学習システム
CN103703431A (zh) 自动创建文本数据与音频数据之间的映射
CN102144209A (zh) 电子设备中的多层次话音反馈
CN202512739U (zh) 具虚拟实境扩充功能的点读装置
CN110083319B (zh) 笔记显示方法、装置、终端和存储介质
CN103348338A (zh) 文件格式、服务器、数字漫画的观看器设备、数字漫画产生设备
CN107798931A (zh) 一种智能幼教学习系统及方法
CN101149812A (zh) 基于纸面书写的互动信息服务方法、服务系统及互动读物
US8002185B2 (en) Decoupled applications for printed materials
JP2014081950A (ja) 光学識別装置を応用したデータ処理システムとその方法及びその操作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
JP6159157B2 (ja) 学習支援装置、学習支援方法および学習支援プログラム
CN202758609U (zh) 可语音控制的点歌系统
KR102498544B1 (ko) 학습 챗봇을 활용한 학습 유도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20030089097A (ko) 문제풀이 전용 휴대용 전자장치
CN110660388A (zh) 一种语音交互点读装置
KR20150139750A (ko) 단어 학습 장치, 이를 실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KR20180042116A (ko) 구연동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장치 및 구연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
WO2013151286A1 (ko) 전자노트 기능을 갖는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2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6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12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6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2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2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7082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6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2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0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10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