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8251B1 -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 Google Patents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88251B1 KR101788251B1 KR1020160067744A KR20160067744A KR101788251B1 KR 101788251 B1 KR101788251 B1 KR 101788251B1 KR 1020160067744 A KR1020160067744 A KR 1020160067744A KR 20160067744 A KR20160067744 A KR 20160067744A KR 101788251 B1 KR101788251 B1 KR 10178825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uide
- moving unit
- magnetic force
- information output
- bas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3—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tacti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e.g. Braille display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3—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tacti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e.g. Braille displays
- G09B21/005—Details of specially-adapted software to access information, e.g. to browse through hyperlinked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구성이 향상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으며, 전력 사용을 최소화하고, 구동 모듈의 작동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정보 출력 장치를 개시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n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capable of improving durability, improving user's convenience, minimizing power consumption, and minimizing an operation error of a drive module.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정보 출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n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사용자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정보 출력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Users can recognize information in a variety of way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output devices are used for this purpose.
예를들면 인쇄물을 이용한 시각적 정보 출력 장치, 소리를 통한 청각적 정보 출력 장치 등이 사용되고 있다.For example, a visual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using printed matter, an audible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using sound, and the like are used.
특히, 현대는 정보량의 증가 및 기술 발전에 따라 전자 기술이 포함된 정보 출력 장치도 많이 사용되고 있고, 다수의 화소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시각적 정보 출력 장치로 흔히 사용되고 있다.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information output devices including electronic technologies have been widely used due to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information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a display device having a large number of pixels is often used as a visual information output device.
그러나,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다양한 회로 등이 내장되어 제조의 의성이 감소하고 제어상의 불편성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display device, various circuits and the like are built in, which reduces the manufacturability and inconvenience of control.
한편, 기술 발전, 생활 습관의 다양화 등으로 인하여 다양한 방식의 정보 출력 형태가 요구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various forms of information output are required due to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diversification of lifestyle.
일 예로, 사용자 별로 갖고 있는 상황에 따라 다양한 정보 출력 장치를 요구할 수 있고, 특히 특정 감각이 약화된 사용자, 예를들면 시각적 능력이 약하거나 없는 경우 촉각을 통한 정보 출력이 요구된다. For example, various information output devices may be required depending on the situation of each user, and in particular, a user having a certain sense of weakness, 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visual ability is weak or absent, information output through the tactile sense is required.
촉각을 통한 정보 출력 시 이를 용이하게 제어하고 안정적으로 구동에 곤란이 있어 정보 출력 장치의 향상을 통한 사용자의 편의성 향상에 한계가 있다.There is a limitation in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information output device because it is difficult to easily control and reliably drive the information output through the tactile sens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내구성이 향상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하는 정보 출력 장치를 제공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n information output device with improved durability and improved user's convenien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력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정보 출력 장치를 제공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n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capable of minimizing power consum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자력 부재 및 코일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 부재에 가해진 전기적 신호에 따라 상기 자력 부재가 제1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도록 구비된 제1 이동유닛과, 상기 자력 부재의 운동에 연동하도록 구비된 것으로,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도록 구비된 제2 이동유닛과, 상기 제2 이동유닛의 운동에 따라 제3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도록 구비된 핀과, 상기 자력 부재와 상기 제2 이동유닛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자력 부재의 운동을 상기 제2 이동유닛에 전달하도록 구비된 전달유닛을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agnetic bearing device comprising: a first moving unit including a magnetic member and a coil member, the first moving unit being configured to reciprocate the magnetic member along a first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an electrical signal applied to the coil member; A second moving unit provided to move in a reciprocating motion along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a second moving unit provided to move reciprocally along a third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second moving unit, And a transmitting unit interposed between the magnetic force member and the second moving unit and configured to transmit the motion of the magnetic force member to the second moving unit.
내측에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가이드 홀을 갖도록 구비된 제1 가이드와, 내측에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제2 가이드 홀을 갖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 가이드와 연결된 제2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력 부재는 상기 제1 가이드 홀에 위치하며, 상기 코일 부재는 상기 제1 가이드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이동유닛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가이드 홀에 위치할 수 있다.A first guide having a first guide hole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inside and a second guide hole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inside and a second guide connected to the first guide, Wherein the magnetic member is located in the first guide hole, the coil member is located outside the first guide, and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moving unit is located in the second guide hole.
상기 자력 부재에 대향되게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자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t least one magnetic body facing the magnetic force member.
상기 자성체와 상기 자력 부재의 사이에 개재된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stopper interposed between the magnetic body and the magnetic force member.
상기 스토퍼는 볼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stopper may be formed in a ball shape.
상기 제2 이동유닛 또는 전달유닛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중간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n intermediate member positioned adjacent to the second moving unit or the transmitting unit.
상기 제2 가이드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이드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이동유닛은 상기 가이드 홈에 끼워지도록 구비된 가이드 핀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guide may include a guide groove extending along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second moving unit may include a guide pin fitted to the guide groove.
상기 코일 부재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적어도 상기 코일 부재의 일부에 대응되게 위치한 관통 공을 포함하는 제1 베이스와, 상기 제1 베이스와 대향되고 상기 제1 베이스와의 사이에 상기 제1 이동유닛, 제2 이동유닛 및 전달유닛이 위치하도록 구비된 제2 베이스와, 상기 제1 베이스와 대향되게 위치하고, 상기 관통 공을 통해 상기 코일 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선부를 포함하는 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first base disposed adjacent to the coil member and including at least a through hole positioned corresponding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coil member, and a second base opposed to the first base, A second base provided so that the first moving unit and the second moving unit are positioned, and a wiring board located opposite to the first bas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il member through the through hole.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복수의 표현 홀을 포함하는 표현 면을 갖고, 상기 표현 면의 내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정보 출력 모듈을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각 정보 출력 모듈은, 상기 표현 홀을 통해 상기 표현 면으로 출입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표현 면에 돌출 신호를 표현하도록 구비된 핀과, 자력 부재 및 코일 부재를 포함하고, 전기적 신호의 인가에 따라 상기 자력부재가 제1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도록 구비된 제1 이동유닛과, 상기 자력 부재의 운동에 연동하도록 구비된 것으로,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도록 구비된 것으로, 상기 핀을 상기 표현 홀을 통해 상기 표현 면으로 출입하도록 구동하는 제2 이동유닛과, 상기 자력 부재와 상기 제2 이동유닛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자력부재의 운동을 상기 제2 이동유닛에게 전달하도록 구비된 전달유닛을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including a plurality of information output modules each having a display surface including a plurality of expression holes and positioned inside the display surface, And a magnetic force member and a coil member, the pin being provided to enter and exit from the expression surface through the expression hole and to express a protrusion signal on the expression surface, and the magnetic force member is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A first moving unit provided to reciprocate along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moving unit provided to move reciprocally along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A second moving unit that is driven to move in and out of the expressive surface through the magnetic force member and the second moving unit, Group can provide the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that includes a transfer unit adapted to transfer to a second mobile unit.
상기 각 정보 출력 모듈은, 상기 자력 부재에 인접하게 위치한 자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Each of the information output modules may further include a magnetic body positioned adjacent to the magnetic force member.
상기 자성체와 상기 자력 부재의 사이에 개재된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stopper interposed between the magnetic body and the magnetic force member.
상기 각 정보 출력 모듈은, 내측에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가이드 홀을 갖도록 구비된 제1 가이드와, 내측에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제2 가이드 홀을 갖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 가이드와 연결된 제2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력 부재는 상기 제1 가이드 홀에 위치하며, 상기 코일 부재는 상기 제1 가이드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이동유닛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가이드 홀에 위치할 수 있다.Wherein each of the information output modules is provided with a first guide provided inside the first information guide and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guide hole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inside the first information guide, Wherein the magnetic member is located in the first guide hole, the coil member is located outside the first guide, and the second moving unit has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guide hole, Lt; / RTI >
상기 전달유닛은 상기 제1 가이드 또는 제2 가이드 내에 위치할 수 있다.The delivery unit may be located in the first guide or the second guide.
상기 정보 출력 모듈들을 고정적으로 탑재할 수 있도록 격벽 구조체를 포함하고, 적어도 각 코일 부재의 일부에 대응되게 위치한 복수의 관통 공을 포함하는 제1 베이스와, 상기 제1 베이스와 대향되고 상기 제1 베이스와의 사이에 상기 정보 출력 모듈들이 위치하도록 구비된 제2 베이스와, 상기 제1 베이스와 대향되게 위치하고, 상기 관통 공을 통해 상기 정보 출력 모듈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선부를 포함하는 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first base including a partition structure for fixedly mounting the information output modules, the first base includ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positioned corresponding to at least a portion of each of the coil members, and a second base opposed to the first base, And a board including a wiring par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output modules through the through hole, the board including a first base and a second base, .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정보 출력 장치는 내구성이 향상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durability and the user's convenien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정보 출력 장치는 전력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The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정보 출력 장치는 구동 모듈의 작동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operational errors of the drive module.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정보 출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다른 일 실시예에 관한 정보 출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출력 모듈(IU)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상태에서 변화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정보 출력 모듈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정보 출력 모듈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정보 출력 모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로서, 점자를 표시하는 브레일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브레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3A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information output module IU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3B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changed state in the state of FIG. 3A.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information output modul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information output module.
6 is a diagram showing a part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information output module.
7 is a plan view showing a braille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Braille character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braille display device of Fig.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 eff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and a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terms first, second, and the like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element from another element, not the limitative meaning.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In the following examples,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inclusive or possessive are intended to mean that a feature, or element,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s present, and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elements may be added.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In the drawings,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in siz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For exampl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ose shown in the drawings.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x-axis, the y-axis, and the z-axis are not limited to three axes on the orthogonal coordinate system, and can be interpreted in a broad sense including the three axes. For example, the x-axis, y-axis, and z-axis may be orthogonal to each other, but may refer to different directions that are not orthogonal to each other.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If certain embodiments are otherwise feasible, the particular process sequence may be performed differently from the sequence described. For example, two processes that are described in succession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concurrently, and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of the order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정보 출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는 복수의 표현 홀(100a)을 갖는 표현 면(1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표현 면(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평한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이 표현 면(100)의 내측에는 복수의 정보 출력 모듈(IU)들이 위치하고, 각 정보 출력 모듈(IU)들은 각 표현 홀(100a)에 대응되도록 위치하며, 각 정보 출력 모듈(IU)의 핀(400)이 상기 표현 홀(100a)을 통해 표현 면(100)을 출입함으로써 상기 표현 면(100)에 돌출 신호를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돌출 신호는 복수의 핀(400)이 상기 표현 홀(100a)에서 선택적으로 출입을 반복함으로써 다양한 신호 체계를 구성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information output modules IU are located inside the
상기 정보 출력 장치는, 상기 표현 면(100)이 사용자에 대향되게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표현 면(100)에 현출되는 상기 핀들(400)의 선택적 출입에 의한 돌출 신호는 사용자에게 직접적이고 국부적인 타격으로 인식될 수 있고, 사용자는 핀들(400)에 의해 타격을 받은 위치에서의 직접적인 진동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직접적이고 국부적인 타격에 의해 형성된 돌출 신호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일반적인 진동 신호와는 달리 타겟 주위에 잔진동이 발생되도록 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정확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돌출 신호에 의해 점자와 같이 촉각을 통해 취득되는 신호를 구현할 수 있고, 이 외에도 군사 신호, 그림 신호, 부호 신호, 방향 신호 등 다양한 신호를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may be provided such that the
도 2는 다른 일 실시예에 관한 정보 출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는 곡면을 포함하는 표현 면(100')을 갖는다. 이러한 곡면을 포함하는 표현 면(100')도 복수의 표현 홀(100a)을 가지며, 표현 홀(100a)의 내측에 정보 출력 모듈(IU)이 위치할 수 있다. 도 2에는 상기 곡면이 단일의 곡률을 갖는 면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곡면은 복수의 곡률을 갖는 부정형의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표현 홀(100a)들 중 적어도 일부의 개방된 방향이 서로 상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핀(400)들 중 적어도 일부의 출입 방향도 서로 상이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 has a representation surface 100 'including a curved surface. The display surface 100 'including such a curved surface also has a plurality of
이처럼 실시예들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는 복수의 정보 출력 모듈(IU)을 포함하는 데, 도 3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출력 모듈(IU)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상태에서 변화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The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information output modules IU. FIG. 3A is a schematic view of an information output module IU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tate changed in the state of Fig.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출력 모듈(IU)은 제1 이동유닛(200), 전달 유닛(500), 제2 이동유닛(300) 및 핀(4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output module IU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상기 제1 이동유닛(200)은 전기적 신호의 인가에 따라 적어도 일부, 예컨대 자력부재(210)가 제1 방향(X1)을 따라 왕복 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제1 이동유닛(200)은 전자석 원리에 의해 동작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 데, 이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자력 부재(210) 및 코일 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는 코일부재(220)에 전달될 수 있다.The first
상기 제2 이동유닛(300)은 상기 제1 방향(X1)과 상이한 제2 방향(X2)을 따라 돌출되고 상기 제2 방향(X2)을 따라 왕복 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방향(X2)이 제1 방향(X1)에 직교하는 방향, 즉, 상기 제1 방향(X1)이 수평한 방향인 데 대하여, 상기 제2 방향(X2)이 수직한 방향인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second moving
제1 이동유닛(200)과 제2 이동유닛(300)의 사이에 상기 제1 이동유닛(200)의 운동을 상기 제2 이동유닛(300)에게 전달하도록 구비된 전달유닛(500)이 더 개재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달유닛(500)은 제1 이동유닛(200) 및/또는 제2 이동유닛(300)과는 분리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전달유닛(50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 형상일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단면이 타원형인 구 형상일 수도 있고, 표면에 복수의 곡률을 갖는 형상일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다각형의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독립된 형상의 전달유닛(500)에 의해 제1 이동유닛(200)의 운동이 제2 이동유닛(300)에 전달될 때에 전달 저항이 완화될 수 있고, 제1 이동유닛(200), 제2 이동유닛(300) 및 전달유닛(500)이 탑재되는 부재의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A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실시예는, 제1 가이드(230) 및 제2 가이드(330)의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embodiment shown in FIGS. 3A and 3B may include an assembly of a
상기 제1 가이드(230)는 내측에 상기 제1 방향(X1)으로 연장된 제1 가이드 홀(230a)을 갖고, 상기 제2 가이드(330)는 내측에 상기 제2 방향(X2)으로 연장된 제2 가이드 홀(330a)을 갖는다. 이 때, 상기 제1 가이드(230)와 제2 가이드(330)는 서로 인접한 단부가 결합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The
상기 제1 가이드(230)는 상기 제1 방향(X1)으로 연장된 파이프 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230)는 내측에 제1 가이드 홀(230a)을 갖도록 구비된 것으로, 상기 제1 가이드 홀(230a)은 제1 방향(X1)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 홀(230a)은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된 원통형 홀일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단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된 다각통형 홀일 수 있다. 또한 반드시 양단이 개구된 홀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단이 개구된 홈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The
이 제1 가이드(230)의 적어도 일부 외면에 상기 코일부재(220)가 감겨지는 데,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 가이드(230)의 외면에는 코일부재(220)가 감겨지기 용이하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가이드(230)는 제1 베이스(101)에 형성된 홈(101a)에 고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The
제1 가이드(230) 내부의 제1 가이드 홀(230a)에는 자력 부재(210)가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자력 부재(210)는 제1 가이드 홀(230a)를 따라 가이드되어 운동할 수 있는 데, 자력 부재(210)는 제1 방향(X1)을 따라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가 지면에 수평하게 위치하는 경우, 상기 자력 부재(210)의 운동은 중력의 간섭을 덜 받고 운동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핀(400)이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The
상기 제2 이동유닛(300)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가이드 홀(330a)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자력 부재(210)의 운동과 제2 이동유닛(300)의 운동이 정확히 가이드될 수 있고, 안정적인 운동 전달이 이뤄질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moving
상기 가이드 조립체 내에는 전술한 전달유닛(500)도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전달유닛(500)은 제1 가이드(230)와 제2 가이드(330)의 연결 부위에 위치할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설계 조건에 따라 제1 가이드(230) 내에 또는 제2 가이드(33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전달유닛(500)이 제2 가이드(330) 내에 위치할 수 있는 데, 제2 가이드(330) 내부의, 제1 가이드(230)와 제2 가이드(330)의 연결 부위에는 전달유닛(500)의 외 표면 형상에 대응하는 지지면(330b)이 구비되어 인접한 전달유닛(500)의 외 표면을 지지할 수 있다.Within the guide assembly, the
상기 제1 가이드(230)의 제2 방향(X2)의 하단에는 제1 고정부(113)가 위치하고, 이 제1 고정부(113)는 제1 베이스(101)에 형성된 제2 고정부(1012)에 삽입되어 제1 가이드(230)가 제1 베이스(101)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고정부(1012)는 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 first fixing part 113 is positioned at a lower end of the
상기 자력 부재(210)는 그 단면 형상이 제1 가이드(230)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 데, 제1 가이드(230)의 단면 면적보다 조금 작은 단면 면적을 가져 제1 가이드(230)를 따라 슬라이딩 운동 가능할 수 있다.The
상기 자력 부재(210)는 제1 방향(X1)을 따라 일단으로는 N극 또는 S극이 형성되고 타단으로는 반대 극성이 형성된 자석을 사용할 수 있다.The
상기 코일부재(220)는 전류의 흐름 방향에 따라 도 3a 및 도 3b에서 기전력의 방향이 바뀔 수 있는 구조가 될 수 있다.The
상기 자력 부재(210)는 제1 가이드(230)를 따라 왕복 운동할 수 있는 데, 전달유닛(500)을 밀어 낼 수 있을 만큼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가이드(230)의 일단에는 제1 스토퍼(140)가 위치하며, 자력 부재(210)가 제1 스토퍼(140)에까지 이동함에 따라 도 3b에서 볼 수 있듯이 전달유닛(500)을 밀어 올리게 되는 것이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스토퍼(140)는 제1 가이드(230)와 제2 가이드(330)의 사이에 위치하고 자력 부재(210)와 대향된 벽이 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토퍼(140)에 의해 상기 지지유닛(500)의 제2 방향(X2)의 운동이 제한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The
상기 제2 이동유닛(300)는 상기 제1 이동유닛(200)의 운동에 연동하여 제2 방향(X2)을 따라 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이동유닛(300)은 제1 이동유닛(200)의 운동에 종속하여 운동할 수 있는 데, 이에 따라 외부 전원 및/또는 제어 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The second
상기 핀(400)은 제2 이동유닛(300)에 의해 구동되는 것으로, 제3 방향을 따라 운동할 수 있다. 상기 핀(400)은 제2 이동유닛(300)과 결합될 수 있는 데,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체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이동유닛(300)이 제2 방향(X2)을 따라 운동하므로, 상기 제3 방향은 상기 제2 방향(X2)과 동일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핀(400)은 제2 방향(X2)을 따라 전술한 표현 홀을 통한 선택적 출입을 할 수 있다. The
그러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복수의 핀들(400) 중 적어도 일부는 제2 이동유닛(300)과 분리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핀(400)은 운동하는 제2 이동유닛(300)에 직접적으로 접하거나, 제2 이동유닛(300)과 별도의 링크 기구(미도시) 또는 운동 전달 기구(미도시)에 의해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제2 이동유닛(300)의 제2 방향(X2)에 따른 운동에 연동하여 제3 방향을 따라 운동할 수 있다. 상기 핀(400)의 운동 방향인 제3 방향은 제2 이동유닛(300)의 운동 방향인 제2 방향(X2)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방향(X1)도 포함할 수 있는 다양한 방향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핀(400)의 운동 방향인 상기 제3 방향은 전술한 돌출 신호를 구현하기 위한 출입 방향이 될 수 있다. 이하 설명하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서는 핀(400)이 제2 이동유닛(300)에 결합된 실시예를 기반으로 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바와 같이 핀(400)이 제2 이동유닛(300)과 분리된 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an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 and 2,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상기 제2 방향(X2)은 상기 제1 방향(X1)과 다른 방향일 수 있는 데,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방향(X2)은 상기 제1 방향(X1)과 직각을 이룰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1 방향(X1)과 제2 방향(X2)은 방향 각(a)을 이룰 수 있는 데, 이러한 방향 각(a)은 제1 이동유닛(200)가 배치되는 공간과 제2 이동유닛(300)가 배치되는 공간을 고려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핀(400)의 운동 방향인 제3 방향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들과 같이 복수의 정보 출력 모듈(IU)이 구비되는 경우, 각 정보 출력 모듈(IU) 별로 또는 복수의 정보 출력 모듈(IU)이 그룹을 이룬 경우에는 각 그룹 별로 서로 다른 방향각을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는 본 명세서의 모든 실시예들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second direction X2 may be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X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3A and 3B, the second direction X2 may be the first direction X1 ). ≪ / RTI > The first direction X1 and the second direction X2 may form a directional angle a such that the directional angle a is set such that the first
선택적으로, 상기 정보 출력 장치가 뒤집히는 등, 그 위치가 변경되었을 때에, 제1 이동유닛(200)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핀(400) 및/또는 제2 이동유닛(300)이, 상기 표현 면(10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별도의 장치(미도시)가 상기 핀(400) 및/또는 제2 이동유닛(300)과 제2 베이스(102)의 내측면(102a)과의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탄성부재일 수 있는 데, 상기 제1 이동유닛(200)의 운동하는 힘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초과할 때 상기 핀(400)이 표현 면(100)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본 명세서의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상기 제2 이동유닛(300)의 상기 핀(400)과의 경계 부근에는 플랜지(304)가 더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304)는 상기 핀(400)과 제2 이동유닛(300)의 조립체가 제2 방향(X2)으로 운동함에 있어 제2 베이스(102)의 내측면(102a)에 접함으로써 스토퍼와 같은 기능을 할 수 있다.A
상기 제2 이동유닛(300)에는 지지면(301)이 구비될 수 있는 데, 상기 지지면(301)은 전달유닛(500)과 맞닿을 수 있도록 구비되고, 전달유닛(500)의 표면에 대응되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경사면은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면(301)이 전달유닛(500)과 맞닿음에 따라 제2 이동유닛(300)이 제2 방향(X2)으로 구동할 수 있다. The second moving
상기와 같은 제1 이동유닛(200)과, 전달유닛(500)과, 제2 이동유닛(300)과, 핀(400)은 제1 베이스(101)와 제2 베이스(102)의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The first moving
상기 제1 베이스(101)는 코일 부재(112)의 일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1 관통 공(1011)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관통 공(1011)은 제2 고정부(1012)와 연통될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관통 공(1011)과 제2 고정부(1012)가 각각 분리된 홀로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제2 베이스(102)에는 홀(102a)이 형성되어 있어 전술한 핀(400)이 상기 홀(102a) 내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The
제1 베이스(101)의 외측에는, 상기 제1 베이스(101)와 대향되게 위치하고, 상기 제1 관통 공(1011)을 통해 상기 코일 부재(1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선부(104)를 포함하는 보드(103)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보드(103)는 플렉시블 인쇄 회로 기판일 수 있는 데, 상기 배선부(104)는 보드(103)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The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따른 정보 출력 모듈(IU)에 따르면, 도 3a 및 도 3b에서 볼 수 있듯이 핀(400) 및 제2 이동유닛(300)의 구동 방향과 이를 움직이는 제1 이동유닛(200)의 구동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핀(400)이 돌출된 이후에도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코일부재(220)에 전기가 유지되지 않더라도, 상기 핀(400)이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과도한 전력 사용 없이도 핀(400)의 동작을 자유로이 행할 수 있다.3A and 3B,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력 부재(210)에 제1 방향(X1)으로 대향되게 위치하는 자성체(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lternative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성체(700)는 제1 자성체(701)와 제2 자성체(702)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상기 자성체(700)는 판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 데, 예를 들면 철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자성체(700)는 코발트 및/또는 니켈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자성체(700)는 자석 물질을 포함하는 폴리머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자성체(702)는 상기 자력 부재(210)와 대향된 위치에, 상기 자력 부재(210)와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는 데,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유닛(500) 및/또는 제1 가이드(230)와 제2 가이드(330)의 조립체가 제2 자성체(702)와 자력 부재(21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는 데, 이들은 비자성체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자성체(702)와 자력 부재(210)의 사이에는 전술한 제1 스토퍼(140)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자성체(702)는 상기 자력 부재(210)의 제1 방향(X1)으로의 운동 시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cond
상기 제2 자성체(702)는 상기 자력 부재(210)가 제1 방향(X1)으로 운동 시, 상기 자력 부재(210)와의 사이에서 인력을 발생시키며, 이에 따라 코일 부재(220)에 전력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자력 부재(210)가 제1 방향(X1)으로 전진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자력 부재(210)의 제1 방향(X1)으로의 전진 운동에 의해 표현 면 외측으로 돌출된 핀(400)이, 코일 부재(220)에 전력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핀(400) 구동을 위한 전력 사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2 자성체(702)에 의한 인력의 크기는 제2 자성체(702)의 두께, 크기 및/또는 위치와 상기 스토퍼의 길이에 따라 상이할 수 있는 데, 이 인력의 크기는 자력 부재(210)의 제1 방향(X1)으로의 운동을 고려하여 설정할 수 있다.The secon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자성체(701)는 상기 자력 부재(210)와 대향된 위치에, 상기 자력 부재(210)와 이격되게 위치하고, 상기 코일 부재(220)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자성체(701)와 자력 부재(210)의 사이에는 제2 스토퍼(600)가 더 위치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상기 제1 자성체(701)에 의해 상기 코일 부재(220)에 교류 전원이 인가되었을 때에 교번자장이 발생할 수 있고, 이 교번자장에 의한 기전력으로 인해, 코일 부재(220)에 의한 자계의 힘과는 별개의 힘이 자력 부재(210)에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코일 부재(220)에 의한 자계의 힘이 작은 경우에도 효율적인 자력 부재(210)의 운동을 얻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교번자장 발생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코일 부재(220)와 제1 자성체(701)가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An alternating magnetic field may be generated when AC power is applied to the
또한 상기 제1 자성체(701)는 상기 자력 부재(210)가 제1 방향(X1)으로 운동 시, 상기 자력 부재(210)와의 사이에서 인력을 발생시키며, 이에 따라 코일 부재(220)에 전력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자력 부재(210)가 제1 방향(X1)으로 후진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자성체(701)에 의한 인력의 크기는 제1 자성체(701)의 두께, 크기 및/또는 위치와 상기 제2 스토퍼(600)의 길이에 따라 상이할 수 있는 데, 이 인력의 크기는 자력 부재(210)의 제1 방향(X1)으로의 운동을 고려하여 설정할 수 있다.The first
한편, 상기 제2 스토퍼(600)는 비자성체로 형성될 수 있는 데,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스토퍼(600)에 의해 자력 부재(210)는 제1 방향(X1)을 따라 제1 자성체(701)를 향해 이동하는 것이 제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자력에 의해 자력 부재(210)가 제1 자성체(701)에 붙어 버리는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자력 부재(210)가 자성체로 형성된 제1 자성체(701)에 일단 붙을 경우, 다시 떨어지기 어렵고, 떨어뜨리기 위해 코일 부재(220)에 인가하는 전압이 높아야 하는 데, 상기 제1 스토퍼(600)에 의해 자력 부재(210)의 이동이 제한됨으로 자력 부재(210)를 운동시키기 위한 전압을 낮게 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스토퍼(600)는 도 3a 및 도 3b에서 볼 수 있듯이 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데, 이에 따라 제2 스토퍼(600)의 자력 부재(210)와의 접하는 면적 및/또는 제2 스토퍼(600)의 제1 자성체(701)와의 접하는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어, 접촉에 따른 소음을 줄일 수 있고, 자력 부재(210)의 운동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3A and 3B, the
이러한 실시예는 본 명세서의 모든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These embodiments are applicable to all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4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출력 모듈(IU2)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제1 가이드(230)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단면을 갖는 제2 스토퍼(60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가이드(230)가 원통형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제2 스토퍼(600')도 원통형상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이러한 제2 스토퍼(600')는 제1 가이드(230) 내에 고정될 수 있으며, 자력 부재(210)를 보다 견고히 단속할 수 있다.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information output module IU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includes a second stopper 600 'having a cross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는 본 명세서의 모든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can be applied to al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출력 모듈(IU)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3a 에 도시된 실시예에 더하여 제2 베이스(102)의 제1 베이스(101)를 향한 내측면(102a)에 중간 부재(1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information output module IU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5 may further include an
선택된 실시예로서 상기 중간 부재(141)는 제2 이동유닛(300)의 반복적인 이동 시 제2 이동유닛(300)의 플랜지부(304)와 제2 베이스(102)의 내측면(102a)과의 접촉으로 인한 소음을 줄이고, 및/또는 플랜지부(304) 및/또는 제2 베이스(102)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As a selected embodiment, the
이를 위하여 중간 부재(141)는 다양한 소재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탄성을 갖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기 중간 부재(141)는 유기물 계열의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기 중간 부재(141)는 무기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간 부재(141)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서 우레탄 계열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중간 부재(141)는 실리콘, 고무, 기타 폴리머 중 탄성이 우수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중간 부재(141)는 상기 플렌지부(304)의 제2 베이스(102)를 향한 면에 추가로 또는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중간 부재(141)는 상기 제1 스토퍼(140)의 외면, 전달유닛(500)와 대향된 제2 가이드(330)의 하면, 제1 자성체(701)의 자력 부재(210)와 대향된 면, 및/또는 제2 스토퍼(600)의 적어도 자력 부재(210)를 향한 면에 추가로 또는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는 본 명세서의 모든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The embodiment shown in Fig. 5 can be applied to all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6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출력 모듈(IU)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가이드(330)는 상기 제2 방향(X2)을 따라 연장된 가이드 홈(332)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이동유닛(300)은 상기 가이드 홈(332)에 끼워지도록 구비된 가이드 핀(30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핀(305)은 상기 플랜지부(304)로부터 제1 가이드를 향해 제2 방향(X2)을 따라 연장될 수 있는 데, 가이드 핀(305)이 가이드 홈(332)에 끼워져 있음에 따라 제2 이동유닛(300)이 제2 방향(X2)을 따라 운동할 때에 운동의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an information output module IU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6, the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는 본 명세서의 모든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The embodiment shown in Fig. 6 can be applied to all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상기와 같은 실시예들의 정보 출력 모듈은 상기 표현 부재에 의해 하나 이상의 촉각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정보 출력 모듈이 복수 개 구비되는 경우 다양한 촉각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output modul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can output one or more tactile information to the user by the expression member, and when a plurality of information output modules are provided as an alternative embodiment, various tactile information can be output to the user .
예를 들면 표현 부재(130)의 돌출을 촉각을 통한 감지함에 따른 촉각 감지형 정보 출력일 수 있고, 특히 점자 출력 형태의 정보 출력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trusion of the expression member 130 may be a tactile sensed information output according to sensing through a tactile sense. In particular, it may be an information output of a braille output type.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로서, 점자를 표시하는 브레일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브레일 디스플레이 장치도 복수의 정보 출력 모듈들(IU1, IU2, IU3,...)을 포함할 수 있는 데, 6개가 하나의 셋트를 이루도록 하고, 이 셋트를 복수 개 구비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한 셋트가 총 6개의 정보 출력 모듈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한 셋트가 점자를 구현할 수 있는 복수의 정보 출력 모듈들, 예컨대 8개의 정보 출력 모듈들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7 is an information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shows a braille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Braille characters. 7 may also include a plurality of information output modules IU1, IU2, IU3, ..., each of which includes six sets of one, and a plurality of sets of information output modules IU1, IU2, IU3, .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7, one set includes six information output module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set may include a plurality of information output modules And may include eight information output modules.
이러한 브레일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8에서 볼 수 있듯이 제1 베이스(101)가 복수의 정보 출력 모듈들을 고정적으로 탑재할 수 있도록 격벽 구조체(1013)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베이스(101)에 결합되는 보드(103)에는 제1 베이스(101)의 제1 관통 공(1011)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 관통 공(103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코일 부재(112)로부터 인출된 전선은 제1 관통 공(1011) 및 제2 관통 공(1031)을 통과하여 보드(103)의 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such a braille display device, as shown in FIG. 8, the
이러한 실시예는 본 명세서의 모든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These embodiments are applicable to all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The specific implementation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are, by way of exampl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in any way. For brevity of description, descriptions of conventional electronic configurations, control systems, software, and other functional aspects of such systems may be omitted. Also, the connections or connecting members of the lines between the components shown in the figures are illustrative of functional connections and / or physical or circuit connections, which may be replaced or additionally provided by a variety of functional connections, physical Connection, or circuit connections. Also, unless explicitly mentioned, such as "essential "," importantly ", etc., it may not be a necessary component for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 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 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The use of the terms "above" and similar indication words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in particular in the claims) may refer to both singular and plural.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when a range is described, it includes the invention to which the individual values belonging to the above range are applied (if there is no description to the contrary), the individual values constituting the above range are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 Finally, the steps may be performed in an appropriate order, unless explicitly stated or contrary to the description of the steps constit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embodiments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description order of the steps. The use of all examples or exemplary terms (e.g., etc.) in the examples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in detail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not. It will also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ombinations, and alterations may be made depending on design criteria and factor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or equivalents thereof.
Claims (14)
상기 자력 부재의 운동에 연동하도록 구비된 것으로,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도록 구비된 제2 이동유닛;
상기 제2 이동유닛의 운동에 따라 제3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도록 구비된 핀; 및
상기 자력 부재와 상기 제2 이동유닛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자력 부재의 운동을 상기 제2 이동유닛에 전달하도록 구비된 전달유닛;을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A first moving unit including a magnetic member and a coil member, the first moving unit being configured to reciprocate the magnetic member along a first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an electrical signal applied to the coil member;
A second moving unit provided to interlock with the motion of the magnetic force member and reciprocating along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A pin adapted to reciprocate along a third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second moving unit; And
And a transmitting unit interposed between the magnetic force member and the second moving unit and configured to transmit the motion of the magnetic force member to the second moving unit.
내측에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가이드 홀을 갖도록 구비된 제1 가이드; 및
내측에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제2 가이드 홀을 갖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 가이드와 연결된 제2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력 부재는 상기 제1 가이드 홀에 위치하며, 상기 코일 부재는 상기 제1 가이드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이동유닛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가이드 홀에 위치하는 정보 출력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guide having a first guide hole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on an inner side thereof; And
And a second guide having a second guide hole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inside and connected to the first guide,
Wherein the magnetic force member is located in the first guide hole, the coil member is located outside the first guide, and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moving unit is located in the second guide hole.
상기 자력 부재에 대향되게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자성체를 더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magnetic body positioned opposite to the magnetic force member.
상기 자성체와 상기 자력 부재의 사이에 개재된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The method of claim 3,
And a stopper interposed between the magnetic body and the magnetic force member.
상기 스토퍼는 볼 형상으로 구비된 정보 출력 장치.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topper is formed in a ball shape.
상기 제2 이동유닛 또는 전달유닛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중간 부재를 더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intermediate member positioned adjacent to the second moving unit or the transmitting unit.
상기 제2 가이드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이드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이동유닛은 상기 가이드 홈에 끼워지도록 구비된 가이드 핀을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The second guide includes a guide groove extending along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second moving unit includes a guide pin fitted to the guide groove.
상기 코일 부재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적어도 상기 코일 부재의 일부에 대응되게 위치한 관통 공을 포함하는 제1 베이스;
상기 제1 베이스와 대향되고 상기 제1 베이스와의 사이에 상기 제1 이동유닛, 제2 이동유닛 및 전달유닛이 위치하도록 구비된 제2 베이스; 및
상기 제1 베이스와 대향되게 위치하고, 상기 관통 공을 통해 상기 코일 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선부를 포함하는 보드;를 더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A first base located adjacent to the coil member and including a through hole located at least in correspondence with a portion of the coil member;
A second base opposed to the first base and disposed such that the first moving unit, the second moving unit, and the transmitting unit are located between the first base and the first base; And
And a board located opposite to the first base and including a wiring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il member via the through hole.
각 정보 출력 모듈은,
상기 표현 홀을 통해 상기 표현 면으로 출입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표현 면에 돌출 신호를 표현하도록 구비된 핀;
자력 부재 및 코일 부재를 포함하고, 전기적 신호의 인가에 따라 상기 자력부재가 제1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도록 구비된 제1 이동유닛;
상기 자력 부재의 운동에 연동하도록 구비된 것으로,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도록 구비된 것으로, 상기 핀을 상기 표현 홀을 통해 상기 표현 면으로 출입하도록 구동하는 제2 이동유닛; 및
상기 자력 부재와 상기 제2 이동유닛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자력부재의 운동을 상기 제2 이동유닛에게 전달하도록 구비된 전달유닛;을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An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comprising a plurality of information output modules each having a display surface including a plurality of presentation holes and positioned inside the display surface,
Each information output module,
A pin provided to enter and exit from the expression surface through the expression hole and to express a protrusion signal on the expression surface;
A first moving unit including a magnetic force member and a coil member, the first moving unit being configured to reciprocate the magnetic force member along a first direction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an electrical signal;
And a second moving unit which is provided to interlock with the motion of the magnetic force member and reciprocates along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and which drives the pin to move in and out of the expression surface through the expression hole, ; And
And a transmitting unit interposed between the magnetic force member and the second moving unit and configured to transmit the motion of the magnetic force member to the second moving unit.
상기 각 정보 출력 모듈은, 상기 자력 부재에 인접하게 위치한 자성체를 더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each information output module further comprises a magnetic body positioned adjacent to the magnetic force member.
상기 자성체와 상기 자력 부재의 사이에 개재된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11. The method of claim 10,
And a stopper interposed between the magnetic body and the magnetic force member.
상기 각 정보 출력 모듈은,
내측에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가이드 홀을 갖도록 구비된 제1 가이드; 및
내측에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제2 가이드 홀을 갖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 가이드와 연결된 제2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력 부재는 상기 제1 가이드 홀에 위치하며, 상기 코일 부재는 상기 제1 가이드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이동유닛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가이드 홀에 위치하는 정보 출력 장치.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each of the information output modules includes:
A first guide having a first guide hole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on an inner side thereof; And
And a second guide having a second guide hole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inside and connected to the first guide,
Wherein the magnetic force member is located in the first guide hole, the coil member is located outside the first guide, and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moving unit is located in the second guide hole.
상기 전달유닛은 상기 제1 가이드 또는 제2 가이드 내에 위치하는 정보 출력 장치.13. The method of claim 12,
And the transfer unit is located in the first guide or the second guide.
상기 정보 출력 모듈들을 고정적으로 탑재할 수 있도록 격벽 구조체를 포함하고, 적어도 각 코일 부재의 일부에 대응되게 위치한 복수의 관통 공을 포함하는 제1 베이스;
상기 제1 베이스와 대향되고 상기 제1 베이스와의 사이에 상기 정보 출력 모듈들이 위치하도록 구비된 제2 베이스; 및
상기 제1 베이스와 대향되게 위치하고, 상기 관통 공을 통해 상기 정보 출력 모듈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선부를 포함하는 보드;를 더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1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to 13,
A first base includ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 corresponding to at least a portion of each of the coil members, the first base including a partition structure for fixedly mounting the information output modules;
A second base opposed to the first base and having the information output module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base and the second base; And
And a board located opposite to the first base and including a wiring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output modules through the through hole.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67744A KR101788251B1 (en) | 2016-05-31 | 2016-05-31 |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
PCT/KR2017/004526 WO2017188766A1 (en) | 2016-04-27 | 2017-04-27 |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
CN201780032015.8A CN109154866A (en) | 2016-04-27 | 2017-04-27 | Information output device |
US16/172,731 US11508259B2 (en) | 2016-04-27 | 2018-10-27 |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67744A KR101788251B1 (en) | 2016-05-31 | 2016-05-31 |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13946A Division KR20170135774A (en) | 2017-09-06 | 2017-09-06 |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88251B1 true KR101788251B1 (en) | 2017-10-19 |
Family
ID=60298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67744A Active KR101788251B1 (en) | 2016-04-27 | 2016-05-31 |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88251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077846A1 (en) | 2013-11-29 | 2015-06-04 |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 Braille display |
KR101597911B1 (en) | 2014-10-30 | 2016-03-02 | 김주윤 | Brail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
-
2016
- 2016-05-31 KR KR1020160067744A patent/KR10178825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077846A1 (en) | 2013-11-29 | 2015-06-04 |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 Braille display |
KR101597911B1 (en) | 2014-10-30 | 2016-03-02 | 김주윤 | Brail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70135774A (en) |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 |
KR20170125761A (en) |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 |
US11508259B2 (en) |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 |
US9910289B2 (en) | Miniature lens driving apparatus | |
US10453359B2 (en) | Braille learning apparatus and braille learning method using the same | |
US11322003B2 (en) | Information output device | |
CN108604134B (en) | Multi-directional driving module | |
KR102240007B1 (en) |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 |
CN112292722B (en) | Information output device | |
CN108227911B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movable magnet-based actuator for deforming display and related method | |
US20220230517A1 (en) | Information output device | |
KR101788251B1 (en) |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 |
KR101763398B1 (en) |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 |
KR102228634B1 (en) |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 |
KR101896088B1 (en) |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 |
KR101763399B1 (en) |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 |
KR20180000699A (en) |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 |
KR20170122689A (en) |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 |
KR102094399B1 (en) |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 |
KR102677177B1 (en) |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 |
KR20200015648A (en) |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 |
KR102504327B1 (en) |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 |
KR20200085687A (en) |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 |
KR102072707B1 (en) |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 |
CN107716256A (en) | Vibration generat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11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906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0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10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0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