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87700B1 - 차량용 배리어 네트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배리어 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7700B1
KR101787700B1 KR1020160074912A KR20160074912A KR101787700B1 KR 101787700 B1 KR101787700 B1 KR 101787700B1 KR 1020160074912 A KR1020160074912 A KR 1020160074912A KR 20160074912 A KR20160074912 A KR 20160074912A KR 101787700 B1 KR101787700 B1 KR 101787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cap
hook cap
holding bar
barrier n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4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60074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77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7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770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36Luggag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9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배리어 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물망으로 이루어진 네트; 상기 네트의 상부에 위치되는 상부 홀딩바; 내측에 수납공간을 구비하여 상기 상부 홀딩바의 끝단에 결합되고, 상기 수납공간의 양측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후크 캡; 및 일측단에는 상기 수납공간에 삽입되는 걸림 돌기가 구비되고, 타측단에는 걸림부가 구비되는 후크;를 포함하되,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걸림턱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후크의 좌우방향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배리어 네트 장치{Barrier net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배리어 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배리어 네트를 용이하게 장착 및 탈착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배리어 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자동차가 급정거하거나 충격이 가해질 때 러기지룸의 짐이 실내의 시트 쪽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실내와 러기지룸을 구획하는 배리어 네트(barrier net)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배리어 네트 장치의 장착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X부분을 확대한 종래의 차량용 배리어 네트 장치(10)에 구비된 후크(11)와 루프 브래킷(3)의 장착 전(a)과 장착 후(b)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자동차의 배리어 네트 장치(10)는, 그물망으로 이루어진 네트(13)와, 네트(13)의 상부에 위치되는 상부 홀딩바(15)와, 상부 홀딩바(15)에 삽입되어 네트(13)의 상단을 차체에 지지시키는 후크(21)를 포함한다.
여기서, 후크(21)는 헤드 라이닝(미도시)에 장착된 루프 브래킷(3)에 결합되고, 네트(13)의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 홀딩바(17)는 러기지 사이드 트림(1)에 장착됨으로써 배리어 네트 장치(10)가 자동차의 실내와 러기지룸 사이에 설치된다.
후크(21)는, 상부 홀딩바(15)의 양측에 마련되어 헤드 라이닝(미도시)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루프 브래킷(3)에 결합된다. 즉, 작업자가 한 쪽의 후크(21)를 당겨 하나의 루프 브래킷(3)에 결합시킨 후, 다른 쪽의 후크(21)를 당겨 다른 하나의 루프 브래킷(3)에 결합시킨다.
도 3은 종래의 차량용 배리어 네트 장치의 분해 사시도로서, 배리어 네트의 상부 홀딩바(15)에 후크 캡(23)이 삽입되고, 후크 캡(23)의 내측으로 후크(21)의 일단이 삽입된 다음, 2개의 고정핀(27)에 의해 조립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배리어 네트 후크부(20)는 상부 홀딩바(15)의 양 측면에 고정된 타입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배리어 네트 상부 홀딩바(15)에 조립된 후크(21) 및 후크 캡(23)은 고정핀(27)에 의해 좌/우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후크(21)를 루프 브래킷(3)에 장착하기 곤란한 문제가 있다.
즉, 후크(21)를 루프 브라켓(3)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배리어 네트 상부 홀딩바(15)를 좌 또는 우로 움직여 양측의 후크(21)를 루프 브라켓(3)에 장착시켜야 하게 때문에 사용자가 처음 사용할 때에는 장착에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42246호(2008.05.1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배리어 네트 장치에 구비된 후크를 사용자가 쉽게 장착 및 탈착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배리어 네트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리어 네트 장치는, 그물망으로 이루어진 네트; 상기 네트의 상부에 위치되는 상부 홀딩바; 내측에 수납공간을 구비하여 상기 상부 홀딩바의 끝단에 결합되고, 상기 수납공간의 양측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후크 캡; 및 일측단에는 상기 수납공간에 삽입되는 걸림 돌기가 구비되고, 타측단에는 걸림부가 구비되는 후크;를 포함하되,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걸림턱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후크의 좌우방향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후크 캡은, 상부 후크 캡과 하부 후크 캡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후크 캡과 상기 하부 후크 캡에는 체결후크와 체결홈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후크 캡과 상기 하부 후크 캡은, 일측단에 서로 상이한 크기의 조립돌기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부 홀딩바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조립돌기가 안착되는 조립홈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걸림턱 사이는 작동홈으로 연결되고, 상기 걸림 돌기는 상기 작동홈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가 탄성 지지되도록 상기 걸림 돌기와 상기 수납공간의 일측면 사이에 스프링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배리어 네트 장치는, 상기 상부 후크 캡 및 상기 하부 후크 캡의 일측에는 각각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에 체결되는 후크 캡 클립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배리어 네트 장치는, 상기 상부 홀딩바에 상기 후크 캡이 결합된 상태를 고정시키기 위해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핀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리어 네트 장치에 슬라이딩될 수 있는 후크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쉽게 배리어 네트의 후크를 장착/탈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후크 캡이 상하부를 구분할 수 있는 상부 후크 캡과 하부 후크 캡으로 구성됨으로써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후크가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됨으로써 양측단에 배치된 후크를 사용자가 혼자 루프 브래킷에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배리어 네트 장치의 장착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X부분을 확대한 종래의 차량용 배리어 네트 장치에 구비된 후크가 루프 브래킷에 장착되기 전/후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종래의 차량용 배리어 네트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리어 네트 장치의 (a)정면도 및 (b)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Y부분을 확대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리어 네트 장치에 구비된 후크의 작동 전/후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A방향 단면도 및 (b)B-B방향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리어 네트 장치의 조립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리어 네트 장치의 (a)정면도 및 (b)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차량용 배리어 네트 장치(100)는, 그물망으로 이루어진 네트(113)와, 네트(113)의 상부에 위치되는 상부 홀딩바(115)와, 상부 홀딩바(115)에 삽입되어 네트(113)의 상단을 차체에 지지시키는 후크(121)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배리어 네트 장치(100)에 구비된 네트(113)는, 네트(113)의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 홀딩바(117)에 내장 보관되다가 사용자가 필요시에 상측으로 인출되어 사용된다.
네트(113)가 상측으로 인출된 다음, 후크(121)는 헤드 라이닝에 장착된 루프 브래킷(미도시)에 결합됨으로써 네트(113)가 자동차의 실내와 러기지룸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홀딩바(117)는, 러기지 사이드 트림(미도시)에 결합된다.
도 5는 도 4의 B부분을 확대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리어 네트 장치에 구비된 후크의 작동 전/후의 사시도이고,도 6은 도 5의 (a)A-A방향 단면도 및 (b)B-B방향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부 홀딩바(115)의 일측단의 내측으로 상부/하부 후크 캡(122,123)이 삽입되고, 상기 후크 캡(122,123)의 내측으로 후크(121)가 삽입된다.
상부/하부 후크 캡(122,123)은 서로 결합한 상태에서 내측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며 상부 홀딩바(115)의 끝단에 결합되고, 상기 수납공간의 양측에는 걸림턱(122a,123a)이 각각 형성된다.
후크(121)는, 길이가 긴 로드(rod)형으로 형성되며 일측단에는 후크 캡(122,123)에 구비된 수납공간에 삽입되는 걸림 돌기(121a)가 구비되고, 타측단에는 후크 캡(122,123)의 외부로 노출되는 걸림부(121b)가 구비된다.
여기서, 걸림부(121b)는 후크(121) 몸체의 직경보다 약간 큰 크기로 몸체와 일체로 형성된다.
후크(121)는, 상부 홀딩바(115)의 양측에 마련되어 헤드 라이닝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루프 브래킷(미도시)에 결합된다. 즉, 작업자가 한 쪽의 후크(121)를 하나의 루프 브래킷(미도시)에 결합시킨 후, 다른 쪽의 후크(121)를 다른 하나의 루프 브래킷(미도시)에 결합시킨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리어 네트 장치(100)에 구비된 후크(121)는, 걸림 돌기(121a)가 상부/하부 후크 캡(122,123)에 구비된 걸림턱(122a,123a) 사이에 위치되어 후크(121)의 좌우방향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걸림턱(122a,123a) 사이는 작동홈(미도시)으로 연결되고, 걸림 돌기(121a)는 작동홈(미도시)을 따라 이동이 안내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부 후크 캡(122)과 하부 후크 캡(123)의 일측단에는 체결후크(122d)와 체결홈(123d)이 각각 구비되어 체결을 보다 견고하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리어 네트 장치(100)에 구비된 상부 후크 캡(122)과 하부 후크 캡(123)은, 일측단에 서로 상이한 크기의 조립돌기(122e,123e)가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서로 상이한 조립돌기(122e,123e)의 형상을 통해 조립시에 상부 후크 캡(122) 및 하부 후크 캡(123)을 손쉽게 구분할 수 있게 된다.
즉, 상부 홀딩바(115)에는 상기 조립돌기(122e,123e)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조립돌기(122e,123e)가 끼워지는 상이한 길이의 조립홈(115a,115b)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 조립돌기(122e,123e)를 조립홈(115a,115b)에 안착시킴으로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크(121)는, 상부 후크 캡(122) 및 하부 후크 캡(123)의 수용공간내에서 탄성 지지되도록 걸림 돌기(121a)와 수납공간의 일측면 사이에 스프링(129)이 삽입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리어 네트 장치의 조립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리어 네트 장치는, 후크(121), 상부 홀딩바(115), 상부 후크 캡(122) 및 하부 후크 캡(123), 스프링(129)을 포함한다.
스프링(129)은, 후크(121)를 탄성 지지하도록 상부 후크 캡(122) 및 하부 후크 캡(123)의 내측에 삽입된다.
상부 후크 캡(122)과 하부 후크 캡(123)에는 서로 체결될 수 있도록 각각 결합돌기(122b)와 결합홈(123b)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리어 네트 장치는, 체결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상부 후크 캡(122) 및 하부 후크 캡(123)의 일측에 각각 원주면에 소정폭으로 끼움홈(122c,123c)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122c,123c)에 체결되는 링형의 후크 캡 클립(128)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리어 네트 장치는, 상부 홀딩바(115)에 상부 후크 캡(122) 및 하부 후크 캡(123)이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시키도록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핀(127)이 포함될 수 있다.
도 7에서 미설명된 부호는 도 5 및 도 6의 설명과 동일하므로 이를 참조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리어 네트 장치의 조립과정을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부 후크 캡(122)과 하부 후크 캡(123)이 내측에 스프링(129)이 삽입되어 체결된다.
이때, 상부 후크 캡(122)과 하부 후크 캡(123)에 각각 형성된 결합돌기(122b)와 결합홈(123b)이 체결되고, 체결후크(122d)와 체결홈(123d)이 체결된다. 또한, 끼움홈(122c,123c)에 후크 캡 클립(128)이 안착되어 상부 후크 캡(122)와 하부 후크 캡(123)이 견고한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상부 후크 캡(122)과 하부 후크 캡(123)이 체결된 상태로 상부 홀딩바(115)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때, 후크 캡(122,123)에 형성된 조립돌기(122e,123e)가 상부 홀딩바(115)에 형성된 조립홈(115a,115b)에 끼워짐으로써 상부 후크 캡(122)과 하부 후크 캡(123)의 위치가 바뀌지 않고 정확하게 조립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후크 캡(122,123)이 상부 홀딩바(115)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고정핀(127)이 삽입된다.
이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리어 네트 장치의 동작을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배리어 네트 장치(100)에 구비된 네트(113)를 상측으로 인출하여 후크(121)를 루프 브래킷(미도시)에 체결시킨다.
이 때, 사용자가 먼저 일측 후크(121)를 일측 루프 브래킷(미도시)에 결합시킨 후, 타측의 후크(121)를 타측 루프 브래킷(미도시)에 결합시키게 되는데, 타측 후크(121)에 형성된 걸림 돌기(121a)가 상부/하부 후크 캡(122,123)에 구비된 걸림턱(122a,123a) 사이의 일정구간내에서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유동될 수 있게 된다.
일측 후크(121)를 체결한 상태에서 타측 후크(121)를 체결할 때, 타측 후크(121)가 후크(121)의 일단을 지지하는 스프링(129)에 의해 탄성지지되며 유동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타인의 도움없이도 타측 후크(121)를 루프 브래킷(미도시)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즉, 일측의 후크(121)를 선장착한 후 타측의 후크(121)를 루프 브래킷(미도시)에 끼우는 과정에서 탄성지지되는 후크(121)를 누르면서 원하는 위치에 맞게 길이로 조절하며 루프 브래킷(미도시)에 안착시킬 수 있게 된다.
양측의 후크(121)가 모두 장착되면 자동차의 실내와 러기지룸 사이에 배리어 네트 장치(100)가 펼쳐져서 장착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리어 네트 장치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걸림턱(122a,123a)이 형성되는 후크 캡(122,123)과, 걸림턱(122a,123a) 사이를 이동하는 걸림 돌기(121a)을 포함하여 후크(121)가 좌/우로 움직일 때 일정구간 사이에서 탄성지지되며 유동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배리어 네트 후크(121)의 장착 또는 탈착시의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차량용 배리어 네트 장치
115: 상부 홀딩바
115a,115b: 조립홈
121: 후크
122: 상부 후크 캡
122a,123a: 걸림턱
122b: 결합돌기
122c,123c: 끼움홈
122d: 체결후크
122e,123e: 조립돌기
123: 하부 후크 캡
123b: 결합홈
123d: 체결홈
128: 후크 캡 클립
129: 스프링

Claims (7)

  1. 그물망으로 이루어진 네트;
    상기 네트의 상부에 위치되는 상부 홀딩바;
    내측에 수납공간을 구비하여 상기 상부 홀딩바의 끝단에 결합되고, 상기 수납공간의 양측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후크 캡; 및
    일측단에는 상기 수납공간에 삽입되는 걸림 돌기가 구비되고, 타측단에는 걸림부가 구비되는 후크;를 포함하되,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걸림턱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후크의 좌우방향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후크 캡은,
    상부 후크 캡과 하부 후크 캡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후크 캡과 상기 하부 후크 캡에는 체결후크와 체결홈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상부 후크 캡과 상기 하부 후크 캡은,
    일측단에 서로 상이한 크기의 조립돌기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부 홀딩바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조립돌기가 안착되는 조립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부 후크 캡 및 상기 하부 후크 캡의 일측에는 각각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에 체결되는 후크 캡 클립이 포함되는, 차량용 배리어 네트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 사이는 작동홈으로 연결되고, 상기 걸림 돌기는 상기 작동홈을 따라 이동되는, 차량용 배리어 네트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크가 탄성 지지되도록 상기 걸림 돌기와 상기 수납공간의 일측면 사이에 스프링이 삽입되는, 차량용 배리어 네트 장치.
  6. 삭제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배리어 네트 장치는,
    상기 상부 홀딩바에 상기 후크 캡이 결합된 상태를 고정시키기 위해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핀이 더 포함되는, 차량용 배리어 네트 장치.
KR1020160074912A 2016-06-16 2016-06-16 차량용 배리어 네트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787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912A KR101787700B1 (ko) 2016-06-16 2016-06-16 차량용 배리어 네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912A KR101787700B1 (ko) 2016-06-16 2016-06-16 차량용 배리어 네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7700B1 true KR101787700B1 (ko) 2017-10-18

Family

ID=60296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4912A Expired - Fee Related KR101787700B1 (ko) 2016-06-16 2016-06-16 차량용 배리어 네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770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04258A (ja) * 1999-07-08 2003-02-04 ポリテック ネッティング,エル.ピー. 自動車両用の積荷保持バリアネット
KR200366736Y1 (ko) 2004-08-12 2004-11-06 신대철 차량용 파티션 네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04258A (ja) * 1999-07-08 2003-02-04 ポリテック ネッティング,エル.ピー. 自動車両用の積荷保持バリアネット
KR200366736Y1 (ko) 2004-08-12 2004-11-06 신대철 차량용 파티션 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14497B2 (ja) クランプ部材
JP6199669B2 (ja) キャリアバーおよびキャリアバー組付け機構
US1081476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ing an assist grip assembly to a component of a vehicle
US8695682B2 (en) Pull bar device for a sunshade assembly
US10800307B1 (en) Vehicle side pillow assembly
US20180236911A1 (en) Headrest guide
JP6689307B2 (ja) ブラケット装置
KR20180048161A (ko) 차량용 네트 포켓 장치
KR101787700B1 (ko) 차량용 배리어 네트 장치
JP4284659B2 (ja) 車両用荷室仕切り装置
JP6031185B2 (ja) 乗り物用座席
KR101592279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가이드장치
KR101582898B1 (ko) 자동차용 고정구
KR101459467B1 (ko) 캡 틸팅장치
JP2017171217A (ja) ハーネスの保持構造
KR20170062922A (ko) 차량 부품 조립용 지그 및 상기 지그의 장착 방법
JP2014233986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KR200482534Y1 (ko) 차량용 테더 클립 고정 구조물
JP2005170077A (ja) 部品取付構造
KR102291459B1 (ko) 차량용 러기지룸 수납시스템
JP5202077B2 (ja) 車両用内装装置
JP2001315561A (ja) 格納式アシストグリップの取付構造
KR101562737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JP5656510B2 (ja)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の取付け構造
KR0155137B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3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0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10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