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7617B1 - Installation apparatus of battery rack housing for electric power storage - Google Patents
Installation apparatus of battery rack housing for electric power storag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87617B1 KR101787617B1 KR1020150182270A KR20150182270A KR101787617B1 KR 101787617 B1 KR101787617 B1 KR 101787617B1 KR 1020150182270 A KR1020150182270 A KR 1020150182270A KR 20150182270 A KR20150182270 A KR 20150182270A KR 101787617 B1 KR101787617 B1 KR 1017876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nchor
- coupling
- rack housing
- battery rack
- lower horizont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9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0284 res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86 cumul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73 anch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01M2/1077—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 Y02E60/12—
Landscapes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전력 저장용 배터리 랙 하우징의 설치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전력 저장용 배터리 랙 하우징의 설치장치는, 설치공간의 바닥에 마련되는 기초 또는 상기 기초에 미리 설치된 안착부재에 안착되고, 배터리 랙 하우징의 하부 틀을 이루도록 각 단부가 서로 결합되는 각각의 하부 수평 프레임들; 및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들의 각 단부들과 각 하단부가 결합되고, 각 상단부는 상기 배터리 랙 하우징의 상부 틀을 이루는 상부 수평 프레임들의 단부와 결합되는 수직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배터리 랙 하우징을 상기 기초 또는 상기 안착부재에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서로 직각을 유지하여 배치되는 각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을 연결하여 결합하도록 각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의 단부에 끼움 결합되는 2개의 수평 결합단이 몸체에서 서로 직각을 이루어 수평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고, 각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을 연결하여 결합하도록 상기 수직 프레임의 단부에 끼움 결합되는 수직 결합단이 상기 몸체에서 수직 상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수평 결합단 중에서 어느 하나의 수평 결합단 또는 2개의 수평 결합단에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의 각 단부 영역에 형성되는 앵커 관통공과 일치되는 앵커 결합공이 형성되는 다수개의 코너 연결구; 및 상기 기초에 구비되는 앵커너트나 앵커볼트 또는 상기 안착부재에 구비되는 결합공의 고정너트와 일치하는 상기 코너 연결구의 앵커 결합공 및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의 앵커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앵커너트나 앵커볼트 또는 상기 고정너트나 결합공에 체결되는 볼트들이나 너트들로 이루어지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 랙 하우징의 하부 수평 프레임들과 수직 프레임을 연결하는 각 코너 연결구에 앵커 결합공이 형성됨으로써, 각 코너 연결구가 각 프레임들을 연결하여 결합하는 기능과 배터리 랙 하우징을 설치공간의 기초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앵커 브라켓 기능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배터리 랙 하우징의 설치를 위한 별도의 앵커 브라켓을 포함한 별도의 부품이 불필요하게 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An apparatus for mounting a battery rack housing for power storage is disclosed. The apparatus for mounting a battery rack housing for power sto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pparatus is mounted on a base provided on the floor of the installation space or on a seating member previously installed on the base and each of the ends of the battery rack housing Lower horizontal frames; And a vertical frame coupled to an end of each of the upper horizontal frames, wherein each upper end of each of the lower horizontal frames is coupled to each lower end of the upper horizontal frames, And two horizontally coupled ends that are fitted to ends of each of the lower horizontal frames so as to connect and couple the respective lower horizontal frames disposed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And a vertical coupling end that is fitted to an end of the vertical frame to connect the lower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to each other and extends vertically upward from the body, A horizontal coupling end or two horizontal coupling ends, A plurality of corner connectors formed with anchor engagement holes coinciding with the anchor through holes formed in the respective end regions of the horizontal frame; And an anchor bolt of an anchor bolt provided on the foundation or an anchor coupling hole of the corner connector coinciding with a fixing nut of a coupling hole of the anchor bolt or anchor bolt of the anchor bolt, Or coupling means comprising bolts or nuts fastened to the fixing nut or coupling h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nchor coupling holes are formed in the corner connecting holes connecting the lower horizontal frames and the vertical frame of the battery rack housing, the function of connecting each frame to each corner connector and connecting the battery rack housing to the base And an anchor bracket function for firmly securing the battery rack housing to the battery rack housing. Thus,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that a separate component including a separate anchor bracket for installing the battery rack housing becomes unnecessary.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력 저장용 배터리 랙 하우징의 설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력 저장장치용 배터리 랙 하우징의 각 코너 연결구가 프레임 연결기능과 앵커 브라켓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배터리 랙 하우징을 설치 장소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전력 저장용 배터리 랙 하우징의 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mounting a battery rack housing for power storag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ttery rack housing for a power storage device, wherein each corner connector is configured to simultaneously perform a frame connecting function and an anchor bracket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unting apparatus for a battery rack housing for power storage that can be stably installed on a mounting place quickly and easily.
전력 저장장치는 전력 부족시에 비상 전력용으로 고안된 것으로, 일정하게 미리 셋팅된 전압에서 언제든 사용할 수 있도록 유지된다. 이러한 전력 저장장치는 통신분야, 유틸리티, 상업용 건물의 비상등 및 무정전 전원 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ies)를 위한 비상용 또는 작동 전원으로 사용된다.The power storage device is designed for emergency power in the event of a power shortage and is always available for use at a constant preset voltage. Such power storage devices are used as emergency or operational power sources for telecommunications, utilities, commercial buildings, and uninterruptible power supplies.
또한, 발전 과정에서 공해를 유발하지 않는 조력이나 풍력, 태양광 등을 이용한 신재생 에너지에 대한 관심도 점차 증가하고 있는데, 전력 저장장치는 신재생 에너지와, 전력을 저장한 배터리, 및 이들과 함께 연계된 기존의 계통 전력을 구비하여, 전력의 효율적인 활용을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renewable energy using tidal, wind, and sunlight that does not cause pollution during power generation. Power storage devices are used for renewable energy, batteries storing electric power, The power of the system can be efficiently utilized.
이와 같은 전력 저장장치는,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896769호(공고일 : 2009.05.11) 및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4-0126558호(공개일 : 2014.10.3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전력을 저장한 배터리를 수용한 상태에서 필요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Such a power storage device has been variously developed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896769 (Published on May, 2009.11.11) and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4-0126558 (Published date: Oct. 31, 2014)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supply power when necessary while accommodating the battery storing the power.
한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55243호(공고일 : 2013.04.16)에는 랙 하우징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전력 저장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전력 저장장치는, 다수의 배터리 트레이들을 집약적으로 수납하여 구조적으로 모듈화시키고, 수납된 다수의 배터리 트레이들에 대한 전원연결 및 통신연결 구조를 제공하여 전기적으로 모듈화시킬 수 있었다. On the other han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55243 (Announcement: 2013.04.16) discloses a rack housing assembly and a power storage device having the rack housing assembly. Such a power storage device can modularize a plurality of battery trays intensively to structurally modularize them, and provide a power connection and a communication connection structure to a plurality of battery trays housed therein, thereby electrically modulating the power trays.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한 전력 저장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 프레임(120)의 저면에 구비된 앵커부재(152)에 의해 거치공간의 바닥에 고정 설치되고 있음으로써, 랙 하우징 조립체(105)를 바닥에 설치하기 위해서 별도의 앵커부재(152)가 사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랙 하우징 조립체(105)를 거치공간의 바닥에 고정 설치하기 위해서는, 받침 프레임(120)의 저면에 앵커부재(152)를 각각 결합하고, 앵커부재(152)가 바닥에 안착되면, 앵커를 이용하여 앵커부재(152)를 바닥에 고정해야 함으로써, 랙 하우징 조립체(105)를 거치공간의 바닥에 고정 설치하기 위해서 부품이 추가로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앵커부재(152)가 랙 하우징 조립체(105)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됨으로써, 많은 공간을 차지하고 기타 작업자나 장비와의 통행 간섭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However, 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power storage device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mounting space by an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 랙 하우징의 코너 연결구가 프레임 연결 기능과 앵커 브라켓 기능을 동시에 하도록 함으로써 앵커 고정을 위한 별도의 부품이 불필요할 뿐 아니라, 배터리 랙 하우징을 거치공간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ttery rack housing which is capable of providing a frame connecting function and an anchor bracket function at the same time so that a separate component for fixing an anchor is unnecessary and a battery rack housing can be installed quickly and easily In order to provide a means for the user.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t least partially solve the problems in the conventional arts. It can be understood.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설치공간의 바닥에 마련되는 기초 또는 상기 기초에 미리 설치된 안착부재에 안착되고, 배터리 랙 하우징의 하부 틀을 이루도록 각 단부가 서로 결합되는 각각의 하부 수평 프레임들; 및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들의 각 단부들과 각 하단부가 결합되고, 각 상단부는 상기 배터리 랙 하우징의 상부 틀을 이루는 상부 수평 프레임들의 단부와 결합되는 수직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배터리 랙 하우징을 상기 기초 또는 상기 안착부재에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서로 직각을 유지하여 배치되는 각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을 연결하여 결합하도록 각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의 단부에 끼움 결합되는 2개의 수평 결합단이 몸체에서 서로 직각을 이루어 수평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고, 각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을 연결하여 결합하도록 상기 수직 프레임의 단부에 끼움 결합되는 수직 결합단이 상기 몸체에서 수직 상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수평 결합단 중에서 어느 하나의 수평 결합단 또는 2개의 수평 결합단에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의 각 단부 영역에 형성되는 앵커 관통공과 일치되는 앵커 결합공이 형성되는 다수개의 코너 연결구; 및 상기 기초에 구비되는 앵커너트나 앵커볼트 또는 상기 안착부재에 구비되는 결합공의 고정너트와 일치하는 상기 코너 연결구의 앵커 결합공 및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의 앵커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앵커너트나 앵커볼트 또는 상기 고정너트나 결합공에 체결되는 볼트들이나 너트들로 이루어지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저장용 배터리 랙 하우징의 설치장치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s are achiev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attery pack, comprising: each lower horizontal frame, which is seated on a base provided at the bottom of an installation space or a seating member provided in advance on the base and has its ends joined together to form a lower frame of the battery rack housing; And a vertical frame coupled to an end of each of the upper horizontal frames, wherein each upper end of each of the lower horizontal frames is coupled to each lower end of the upper horizontal frames, And two horizontally coupled ends that are fitted to ends of each of the lower horizontal frames so as to connect and couple the respective lower horizontal frames disposed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And a vertical coupling end that is fitted to an end of the vertical frame to connect the lower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to each other and extends vertically upward from the body, A horizontal coupling end or two horizontal coupling ends, A plurality of corner connectors formed with anchor engagement holes coinciding with the anchor through holes formed in the respective end regions of the horizontal frame; And an anchor bolt of an anchor bolt provided on the foundation or an anchor coupling hole of the corner connector coinciding with a fixing nut of a coupling hole of the anchor bolt or anchor bolt of the anchor bolt, And a coupling means including bolts or nuts fastened to the fixing nut or the coupling hole. The apparatus for mounting a battery rack housing for power storage according to
상기 수평 결합단과 수직 결합단에는, 위치결정돌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들과 상기 수직 프레임은, 상기 수평 결합단과 상기 수직 결합단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도록 중공형의 사각형의 단면구조로 형성되되, 상기 위치결정돌부가 삽입되도록 개구부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Wherein each of the lower horizontal frames and the vertical frame has a hollow rectangular sectional shape so as to form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horizontal coupling ends and the vertical coupling ends are inserted, And the opening may be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positioning protrusion is inserted.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들과 상기 수직 프레임의 각 면에는, 각 부품이 결합되기 위한 체결공이 연이어 형성될 수 있다. And fastening holes for joining the components may be formed on the respective surfaces of the lower horizontal frames and the vertical frame.
상기 수평 결합단과 상기 수직 결합단에는, 상기 수평 결합단과 상기 수직 결합단이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들과 상기 수직 프레임의 삽입공으로 각각 삽입되었을 때 결합볼트가 외부에서 상기 체결공을 통하여 체결되도록 다수개의 나사홈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Wherein the horizontal coupling step and the vertical coupling step are such that when the horizontal coupling step and the vertical coupling end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s of the lower horizontal frames and the vertical frame, Grooves may be respectively formed.
상기 앵커 결합공과 앵커 관통공은 장공형태로 형성되거나, 1개 이상의 개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anchor engagement hole and the anchor penetrating hole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long hole or may be formed of one or more numbers.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들이 이루는 상기 배터리 랙 하우징의 하부 공간을 커버하기 위한 커버부재가 각각의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에 결합되되,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들의 각 측면에 결합되는 수직단들이 각 변의 가장자리에서 상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And a cover member for covering a lower space of the battery rack housing formed by the lower horizontal frames is coupled to each of the lower horizontal frames, wherein the cover member includes vertical ends coupled to respective side surfaces of the lower horizontal frames, And may be bent upward from the edge.
상기 수직단에는,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의 상면에 밀착되어 결합되기 위한 수평단이 수평방향으로 연장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앵커 결합공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수평단의 일부 영역에는 상기 결합수단의 체결시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앵커 회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Wherein the horizontal end of the lower horizontal frame is formed by horizontally extending a horizontal plane for tightly coupling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horizontal frame and a portion of the horizontal plane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anchor- An anchor avoiding portion for preventing interference may be formed.
상기 수평 결합단과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의 결합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수직단 및 수평단의 일부 영역에는 볼트 회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And a bolt avoiding portion may be formed on a part of the vertical end and the horizontal end located in the coupling region of the horizontal coupling end and the lower horizontal frame.
본 발명에 의하면, 배터리 랙 하우징의 하부 수평 프레임들과 수직 프레임을 연결하는 각 코너 연결구에 앵커 결합공이 형성됨으로써, 각 코너 연결구가 각 프레임들을 연결하여 결합하는 기능과 배터리 랙 하우징을 설치공간의 기초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앵커 브라켓 기능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배터리 랙 하우징의 설치를 위한 별도의 앵커 브라켓을 포함한 별도의 부품이 불필요하게 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nchor coupling holes are formed in the corner connecting holes connecting the lower horizontal frames and the vertical frame of the battery rack housing, the respective corner connecting holes connect the frames and connect the battery rack housing to the base And an anchor bracket function for firmly securing the battery rack housing to the battery rack housing. Thus,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that a separate component including a separate anchor bracket for installing the battery rack housing becomes unnecessary.
또한, 앵커 결합수단이 각 하부 수평 프레임의 상부로 노출됨으로써, 배터리 랙 하우징을 거치공간의 기초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비를 위한 공간 확보가 용이하게 되어 정비 등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Further, since the anchor coupling means is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each lower horizontal frame, the battery rack housing can be quickly and easily installed on the base of the mounting space, and space for maintenance can be easily secur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또한, 하부 수평 프레임이 이루는 공간을 커버부재가 커버함으로써 배터리 랙 하우징의 내측 하부 공간을 외부와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커버부재에 앵커 설치를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지 않음으로써 하부로부터 습기나 이물질의 유입이 차단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Further, the cover member covers the space formed by the lower horizontal frame, so that the inner lower space of the battery rack housing can be shielded from the outside. Particularly, since no through-hole is formed in the cover member for installing the ancho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flow of moisture and foreign matter from the bottom.
또한, 코너 연결구의 각 수평 결합단에 형성되는 앵커 결합공이 1개 이상 또는 장공으로 형성됨으로서, 각 배터리 랙 하우징을 기초에 설치할 경우에 발생되는 누적공차로 인하여 앵커와 앵커 결합공이 불일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anchor coupling holes formed at the respective horizontal coupling ends of the corner connector are formed as one or more slots or slot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consistency between the anchor and the anchor coupling hole due to the cumulative tolerance generated when the battery rack housing is installed on the bas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that can be achieved.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배터리 랙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저장용 배터리 랙 하우징의 설치장치를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력 저장용 배터리 랙 하우징의 설치장치에 의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전력 저장용 배터리 랙 하우징의 설치장치에 의해 배터리 랙 하우징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앵커 결합공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저장용 배터리 랙 하우징의 설치장치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안착부재에 다수개의 배터리 랙 하우징이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안착부재와 하부 수평 프레임이 직접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battery rack housing.
2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aratus for installing a battery rack housing for power storag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power storage battery rack housing shown in FIG. 2 is installed by the installation device.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ttery rack housing is installed by the installation device of the battery rack housing for power storage shown i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anchor coupling hole shown in Fig.
6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battery rack housing for power storag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rack housings are installed in the seating member shown in Fig.
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the seating member shown in FIG. 6 and the lower horizontal frame are directly coupl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simpl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저장용 배터리 랙 하우징의 설치장치를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력 저장용 배터리 랙 하우징의 설치장치에 의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전력 저장용 배터리 랙 하우징의 설치장치에 의해 배터리 랙 하우징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2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aratus for installing a battery rack housing for power storag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ttery rack housing for power storage shown in FIG. FIG.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battery rack housing is installed by the apparatus for installing the battery rack housing for power storage shown in FIG. 2; FIG.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저장용 배터리 랙 하우징의 설치장치는, 설치공간의 바닥에 마련되는 기초(10) 또는 기초(10)에 미리 설치된 안착부재(20)에 안착되고, 배터리 랙 하우징(30)의 하부 틀을 이루도록 각 단부가 서로 결합되는 각각의 하부 수평 프레임(32)들과, 하부 수평 프레임(32)들의 각 단부들과 각 하단부가 결합되고, 각 상단부는 배터리 랙 하우징(30)의 상부 틀을 이루는 상부 수평 프레임(도시되지 않음)들의 단부와 결합되는 수직 프레임(34)들을 포함하는 배터리 랙 하우징(30)을 기초(10) 또는 안착부재(20)에 별도의 부품없이 용이하게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각 하부 수평 프레임(32)들과 수직 프레임(34)의 각 단부를 연결하여 결합하고, 앵커 결합공(42)을 구비한 다수개의 코너 연결구(40)와, 코너 연결구(40)의 앵커 결합공(42)을 통하여 코너 연결구(42)를 기초에 결합하여 고정하는 결합수단(50)으로 이루어진다. 2 to 4, an apparatus for installing a battery rack housing for power storag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This will be described more specifically.
배터리 랙 하우징(30)은, 다수의 배터리 모듈을 안정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립된 사각 박스 형상을 갖으며, 이러한 형상은 4개의 수직 프레임(34)들과, 각 수직 프레임(34)의 하단부에 각 단부가 결합되는 4개의 하부 수평 프레임(32)들과, 각 수직 프레임(34)의 상단부에 각 단부가 결합되는 4개의 상부 수평 프레임들에 의해 형성된다. 각 수직 프레임(34)이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는 배터리 모듈이 수납되기 위한 수납부재들이 다수개 설치되며, 각 수직 프레임(34)의 외측면에는 측면패널들과 배면패널 및 도어가 각각 설치된다. The
각 수직 프레임(34)들과 하부 수평 프레임(32)들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측 양쪽 날개와 측면 및 바닥측 돌출부(32E,34E)에 다수개의 체결공(32A,34A)들이 등간격으로 연이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각 체결공(32A,34A)들에 의해 각 수직 프레임(34)들과 하부 수평 프레임(32)에 측면패널이나 배면패널 또는 도어, 상부커버, 수납부재 등을 결합시킬 수 있다. 즉, 볼트를 각 부품에 형성된 구멍과 체결공(32A,34A)으로 통과시킨 후 너트로 체결하여 부품을 결합시킬 수 있다.Each of the
한편, 하부 수평 프레임(32)들과 수직 프레임(34)들은, 코너 연결구(40)의 수평 결합단(44)과 수직 결합단(46)이 삽입되는 삽입공(32B,34B)이 형성되도록 중공형의 사각형의 단면구조로 형성되되, 코너 연결구(40)의 수평 결합단(44)과 수직 결합단(46)에 형성되는 위치결정돌부(44A,46A)가 삽입되도록 개구부(32B,34B)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즉, 하부 수평 프레임(32)들과 수직 프레임(34)들은 롤포밍 기법에 의해 개구부(32C.34C)가 형성되도록 다중 절곡되어 개방된 구조를 갖는 것이다. 이러한 프레임(32,34)의 구조는 강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다양한 부품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The lower
하부 수평 프레임(32)의 단부 영역에는 코너 연결구(40)의 앵커 결합공(42)과 일치되는 앵커 관통공(32D)이 각각 형성된다. 즉, 코너 연결구(40)의 수평 결합단(44)이 하부 수평 프레임(32)의 삽입공(32B)에 삽입되었을 때, 앵커 결합공(42)과 앵커 관통공(32D)가 일치된다. 그리고, 앵커 결합공(42)의 상부는 개구부(32C) 를 통하여 노출된다. 이러한 앵커 관통공(32D)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 결합공(42)와 더불어 장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nchor through
한편, 하부 수평 프레임(32)과 수직 프레임(34)의 개구부(32C,34C)의 맞은편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돌출부(32E,34E)가 형성된다. 이 돌출부(32E,34E)들은 코너 연결구(40)의 수평 결합단(44)과 수직 결합단(46)이 각 삽입공(32B,34B)에 삽입될 때 수평 결합단(44)과 수직 결합단(46)의 일면(위치결정돌부의 반대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함몰부(44E,46E)에 삽입되어 안착됨으로써, 수평 결합단(44)과 수직 결합단(46)과 접촉 면적 확장으로 프레임(32,34)들과 코너 연결구(40)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wardly
전술한 각 하부 수평 프레임(32)들이 각 코너 연결구(40)들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사각의 틀(하부공간)을 형성하면, 각 하부 수평 프레임(32)들에는 하부 공간을 커버하기 위한 커버부재(60)가 설치된다. 이 커버부재(60)는 얇은 철판재로 이루어지고, 외부(배터리 랙 하우징의 하부)로부터 이물질이나 습기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 수평 프레임(32)들의 각 측면에 결합되는 수직단(62)들이 각 변의 가장자리에서 상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개구부(32C)가 상향으로 향하도록 배치된 하부 수평 프레임(32) 쪽의 수직단(62)에는, 하부 수평 프레임(32)의 상면에 밀착되어 결합되기 위한 수평단(64)이 수평방향으로 연장 절곡되어 형성되고, 앵커 결합공(42)의 상부에 위치하는 수평단(64)의 일부 영역에는 결합수단(50)(너트)의 체결시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앵커 회피부(66)가 절개되어 형성되며, 수평 결합단(44)과 하부 수평 프레임(32)의 결합 영역에 위치하는 수직단(62) 및 수평단(64)의 일부 영역에는 볼트 회피부(68)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When each of the lower
이와 같은 앵커 회피부(66)는, 코너 연결구(40)의 수평 결합단(44)과 앵커볼트(52)를 체결하여 결합하는 너트(54)의 체결시 수평단(64)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볼트 회피부(68)는 수평 결합단(44)이 하부 수평 프레임(32)의 삽입공(32B)에 삽입된 상태에서 수평 결합단(44)과 하부 수평 프레임(32)을 결합시키는 볼트의 체결시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볼트가 먼저 체결되고 커버부재(60)가 나중에 설치되는 경우에, 볼트들에 의해 수평단(64)의 들뜨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Such anchoring
코너 연결구(40)는, 각각의 하부 수평 프레임(32)들의 단부를 서로 연결하여 각 하부 수평 프레임(32)이 사각형의 틀을 형성하도록 하고, 각각의 수직 수평 프레임(32)의 단부가 연결되는 영역에 각 수직 프레임(34)의 하단부를 연결하여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서로 직각을 유지하여 수평으로 배치되는 각 하부 수평 프레임(32)들을 연결하여 결합하도록 각 하부 수평 프레임(32)의 단부에 끼움 결합되는 2개의 수평 결합단(44)이 몸체(41)에서 서로 직각을 이루어 수평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각 하부 수평 프레임(32)들과 수직 프레임(34)을 연결하여 결합하도록 수직 프레임(34)의 하단부에 끼움 결합되는 수직 결합단(46)이 몸체(41)에서 수직 상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The
이와 같은 구조의 코너 연결구(40)의 각 수평 결합단(44)과 수직 결합단(46)에는, 수평 결합단(44)이 하부 수평 프레임(32)들의 삽입공((32B)과 수직 결합단(46)이 수직 프레임(34)의 삽입공(34B)으로 각각 삽입되었을 때 결합볼트(B)가 외부에서 체결공(32A,34A)을 통하여 체결되도록 다수개의 나사홈(43)이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구조에 의해 코너 연결구(40)는 하부 수평 프레임(32)들 및 수직 프레임(34)들과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horizontal joining
그리고, 수평 결합단(44)과 수직 결합단(46)에는, 각 수평 결합단(44)과 수직 결합단(46)이 각 하부 수평 프레임(32)의 삽입공(32B)과 각 수직 프레임(34)의 삽입공(34B)에 삽입될 때, 각 하부 수평 프레임(32)의 개구부(32C)와 각 수직 프레임(34)의 개구부(34C)에 삽입되기 위한 위치결정돌부(44A,46B)가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위치결정돌부(44A,46A)는 수평 결합단(44)과 수직 결합단(46)의 상면에서 각 프레임(32,34)의 살 두께만큼 상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으로, 이러한 위치 결정돌부(44A,46A)가 각 프레임(32,34)의 개구부(32C,34C)에 삽입됨으로써, 수평 결합단(44)들과 수직 결합단(46)이 각 프레임(32,34)의 삽입공(32B,34B)에 삽입될 때 삽입방향이 정확하게 되고, 각 결합단(44,46)들과 각 프레임(32,34)들의 접촉면적이 확장되어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The
한편, 수평 결합단(44)들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 결합공(42)이 관통 형성된다. 이러한 앵커 결합공(42)은, 기초(10)에 설치되는 앵커볼트(52)가 하부에서 상향으로 관통되기 위한 것이다. 즉, 앵커 결합공(42)은 배터리 랙 하우징(30)을 기초(10)에 구비된 앵커너트나 앵커볼트(52)에 고정하여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배터리 랙 하우징(30)을 기초(10)에 설치하는 경우에 별도의 앵커 브라켓을 불필요 하게 하는 구성요소이다. On the other hand, the anchor coupling holes 42 are formed through the horizontal coupling ends 44 as shown in FIG. The
이때, 앵커 결합공(4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결정돌부(44A)가 윗쪽을 향도록 된 수평 결합단(44)에 형성된다. 이는 앵커 결합공(42)이 개구부(32C)를 통하여 상향으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수평 결합단(44) 모두가 위치결정돌부(44A)가 상향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배터리 랙 하우징(30)의 측면패널이 결합되는 측면부의 수평 결합단(44)은 세워진 상태, 즉 위치결정돌부(44A)가 수평방향을 향하도록 세로로 세워진 상태로 형성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At this time, the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 결합공(42)과 앵커 관통공(32D)는 장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배터리 랙 하우징(30)이 기초(10)에 안착되었을 때, 앵커볼트(52)와 앵커 결합공(42) 및 앵커 관통공(32D)가 일치되지 않으면, 결합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것이다. 즉, 기초(10)에 앵커볼트(52)들이 이미 매립 설치된 상태에서, 다수개의 배터리 랙 하우징(30)들을 나열하여 배치한 후 앵커볼트(52)에 고정 결합하는 경우에, 누적 설치공차에 의해 앵커 결합공(42)과 앵커 관통공(32D)이 앵커볼트(52)와 일치하지 않으면, 장공 형태의 앵커 결합공(42)과 앵커 관통공(32D)의 허용 범위 내에서 배터리 랙 하우징(30)의 위치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5, the
그리고, 코너 연결구(40)의 수평 결합단(44)과 수직 결합단(46)의 일면(위치결정돌부의 반대면)에는 함몰부(44E,46E)가 오목하게 각각 형성되는데, 이 함몰부(44E,46E)는, 각 프레임(32,34)의 돌출부(32E,34E)가 삽입되어 안착됨으로써 수평 결합단(44) 및 수직 결합단(46)과 각 프레임(32,34)의 접촉 면적 확장으로 프레임(32,34)들과 코너 연결구(40)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결합수단(50)은, 기초(10)에 구비되는 앵커너트(도시되지 않음)나 앵커볼트(52)에 일치하는 코너 연결구(40)의 앵커 결합공(42) 및 하부 수평 프레임(32)의 앵커 관통공(32D)을 통하여 앵커너트에 체결되는 볼트 또는 앵커볼트(52)에 체결되는 너트(54)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수단(50)을 기초(10)에 매설된 앵커볼트(52)에 체결되는 너트(54)로 구성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기초(10)에 앵커너트를 해설하고, 앵커볼트로 배터리 랙 하우징(30)을 기초(10)에 안정되게 고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 앵커볼트(52)를 수평 결합단(44)이나 하부 수평 프레임(32)에 용접하여 결합할 수도 있는 것이다.The engaging means 50 includes an
이와 같이 구성된 전력 저장용 배터리 랙 하우징의 설치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The operation of the installation device of the battery rack housing for power storage constructed as above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10)에 앵커볼트(52)가 각각 매설되고, 배터리 랙 하우징(30)의 각 하부 수평 프레임(32)들 및 각 수직 프레임(34)들이 코너 연결구(40)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선택된 하부 수평 프레임(32)(도면 상 전방쪽 프레임)의 앵커 관통공(32D)과 수평 결합단(44)의 앵커 결합공(42)이 일치되며, 하부 공간에 커버부재(60)가 결합된 상태에서, 배터리 랙 하우징(30)을 기초(10)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배터리 랙 하우징(30)을 기초(10)의 상부에 안착시킨다. 2, each of the lower
이때, 기초(10)에 수직으로 설치된 각각의 앵커볼트(52)가 배터리 랙 하우징(30)의 하부 각 코너 영역에 구비된 코너 연결구(40)의 앵커 결합공(42)으로 삽입되도록 한다. At this time, each of the
즉, 서로 일치된 하부 측면 프레임(32)의 앵커 관통공(32D)과 수평 결합단(44)의 앵커 결합공(42)으로 앵커볼트(52)가 관통되어 개구부(32C)로 노출되도록 한다. That is, the
만약, 앵커 결합공(42)과 앵커 관통공(32D)이 장공 형태로 형성된 경우에는, 앵커 결합공(42)과 앵커 관통공(32D)와 앵커볼트(52)가 일치하지 않더라도 장공 형태의 앵커 결합공(42)과 앵커 관통공(32D)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배터리 랙 하우징(30)을 이동시켜 앵커 결합공(42)과 앵커 관통공(32D)과 앵커볼트(52)를 일치시킨다.If the
전술한 과정으로 각각의 앵커볼트(52)가 앵커 결합공(42)과 앵커 관통공(32D)을 관통하여 위치결정돌부(44A)의 상부로 노출되면 각각의 너트(54)를 체결한다. When each
이 과정으로 배터리 랙 하우징(30)은 기초(10)의 앵커볼트(52)에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데, 이는 앵커볼트(52)가 배터리 랙 하우징(30)의 골격을 이루는 코너 연결구(40)와 하부 수평 프레임(44)에 직접 결합되기 때문이다. The
또한, 앵커볼트(52)가 배터리 랙 하우징(30)의 골격을 이루는 코너 연결구(40)와 하부 수평 프레임(44)에 직접 결합되기 때문에 종래기술에서 사용되는 별도 앵크 브라켓과 같은 부품이 불필요하게 된다. Since the
그리고, 각각의 앵커볼트(52)가 앵커 결합공(42)과 앵커 관통공(32D)을 관통하여 위치결정돌부(44A)의 상부로 노출되면 각각의 너트(54)를 체결하는 것만으로 배터리 랙 하우징(30)의 설치가 완료될 수 있음으로써 배터리 랙 하우징(30)을 설치하는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When each of the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볼트(52)가 배터리 랙 하우징(30)의 전,후방측 코너 연결구(40)와 하부 수평 프레임(32)에 결합되어 노출되므로, 배터리 랙 하우징(30)의 도어를 개방하는 것만으로 앵커볼트(52)에 너트(54)를 체결하거나 정비 및 철거를 위하여 너트(54)를 풀어 제거하는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양호한 작업성 및 정비성이 제공될 수 있다.2 and 3, since the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저장용 배터리 랙 하우징의 설치장치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안착부재에 다수개의 배터리 랙 하우징이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정면도이다. 6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mounting apparatus of a battery rack housing for power storag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chematic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ttery rack housings are installed.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저장용 배터리 랙 하우징의 설치장치는, 설치공간의 바닥에 마련되는 기초(10)에 미리 설치된 안착부재(20)에 안착되어 설치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6 and 7, the apparatus for mounting the battery rack housing for power storag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mounted on a
즉,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저장용 배터리 랙 하우징의 설치장치는, 한 쌍의 안착부재(20)에 등간격으로 각각의 결합공(22)이 형성되고, 안착부재(20)의 내부에는 결합공(22)에 일치하는 고정너트(24)가 용접되어 구비된 것이고, 배터리 랙 하우징(30)이 안착부재(20)에 안착된 상태에서 고정볼트(56)가 앵커 결합공(42) 및 앵커 관통공(32D)을 통하여 결합공(22)으로 삽입된 후 고정너트(24)에 체결되는 것이다. That is, in the apparatus for installing the battery rack housing for power storag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fitting holes 22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in the pair of
이와 같이, 안착부재(20)에 고정너트(24)를 구비한 결합공(22)이 형성됨으로써, 기초에 앵커볼트(52)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이때, 결합공(22) 자체 고정볼트(56)가 체결되어 결합되기 위한 암나사산이 형성될 수도 있고, 결합공(22)에 스터드 볼트가 수직방향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At this time, a female screw thread for fastening the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안착부재와 하부 수평 프레임이 직접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seating member shown in FIG. 6 and the lower horizontal frame are directly coupled.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랙 하우징(30)의 각 프레임(32,34)이 각 코너 연결구(4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수평 결합단(44)에 형성된 앵커 결합공(42)과 하부 수평 프레임(32)에 형성된 앵커 관통공(32D)이 일치된 상태에서, 배터리 랙 하우징(30)을 안착부재(20)에 안착시켰을 때, 안착부재(20)의 결합공(22)과 앵커 관통공(32D)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결합공(22)과 일치하는 체결공(32A)을 통하여 고정볼트(56)를 고정너트(24)에 체결함으로써, 배터리 랙 하우징(30)을 안착부재(20)에 안정되고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는 하부 수평 프레임(32)에 다수개의 체결공(32A)들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The
그리고, 체결공(32A)는 하부 수평 프레임(32)의 바닥(돌출부)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고정볼트(56)는 개구부(32C)를 통하여 바닥에 형성된 체결공(32A)을 통하여 고정너트(24)에 체결될 수도 있는 것이다. Further, the fastening holes 32A may be formed on the bottom (protruding portion) of the lower
이때, 체결공(32A)이 장공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fastening holes 32A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long hole.
이와 같이, 결합수단(50)의 고정볼트(56)가 앵커 결합공(42)과 결합공(22)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도 체결공(32A)을 통하여 고정너트(24)에 체결될 수 있음으로써, 다수개의 배터리 랙 하우징(30)을 연이어 설치하는 경우에 누적공차로 인하여 앵커 결합공(42)과 첫번째 결합공(22)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도 고정볼트(56)가 체결공(32A)을 통하여 첫번째 결합공(22)이 아닌 다른 위치의 결합공(22)에 구비된 고정너트(24)에 체결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설치 작업이 원활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The fixing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obvious to those who have. According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uch modifications or alteration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spirit and view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modified embodiment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기초 20 : 안착부재
22 : 결합공 24 : 고정너트
30 : 배터리 랙 하우징 32 : 하부 수평 프레임
32A,34A : 체결공 32B,34B : 삽입공
32C,34C : 개구부 32D : 앵커 관통공
32E,34E : 돌출부
34 : 수직 프레임 40 : 코너 연결구
42 : 앵커 결합공 44 : 수평 결합단
44A,46A : 위치결정돌부 44E,46E : 함몰부
46 : 수직 결합단 50 : 결합수단
52 : 앵커볼트 54 : 너트
56 : 고정볼트 60 : 커버부재 10: Foundation 20:
22: Coupling hole 24: Fixing nut
30: battery rack housing 32: lower horizontal frame
32A, 34A: fastening holes 32B, 34B:
32C, 34C: opening
32E, 34E:
34: Vertical frame 40: Corner connector
42: anchor coupling hole 44: horizontal coupling end
44A, 46A:
46: vertical coupling end 50: coupling means
52: anchor bolt 54: nut
56: fixing bolt 60: cover member
Claims (8)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들의 각 단부들과 각 하단부가 결합되고, 각 상단부는 상기 배터리 랙 하우징의 상부 틀을 이루는 상부 수평 프레임들의 단부와 결합되는 수직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배터리 랙 하우징을 상기 기초 또는 상기 안착부재에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서로 직각을 유지하여 배치되는 각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을 연결하여 결합하도록 각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의 단부에 끼움 결합되는 2개의 수평 결합단이 몸체에서 서로 직각을 이루어 수평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고, 각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을 연결하여 결합하도록 상기 수직 프레임의 단부에 끼움 결합되는 수직 결합단이 상기 몸체에서 수직 상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수평 결합단 중에서 어느 하나의 수평 결합단 또는 2개의 수평 결합단에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의 각 단부 영역에 형성되는 앵커 관통공과 일치되는 앵커 결합공이 형성되는 다수개의 코너 연결구; 및
상기 기초에 구비되는 앵커너트나 앵커볼트 또는 상기 안착부재에 구비되는 결합공의 고정너트와 일치하는 상기 코너 연결구의 앵커 결합공 및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의 앵커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앵커너트나 앵커볼트 또는 상기 고정너트나 결합공에 체결되는 볼트들이나 너트들로 이루어지는 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들이 이루는 상기 배터리 랙 하우징의 하부 공간을 커버하기 위한 커버부재가 각각의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에 결합되되,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들의 각 측면에 결합되는 수직단들이 각 변의 가장자리에서 상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수직단에는,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의 상면에 밀착되어 결합되기 위한 수평단이 수평방향으로 연장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앵커 결합공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수평단의 일부 영역에는 상기 결합수단의 체결시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앵커 회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며,
상기 수평 결합단과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의 결합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수직단 및 수평단의 일부 영역에는 볼트 회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저장용 배터리 랙 하우징의 설치장치.Each lower horizontal frame resting on a base provided on the floor of the installation space or on a seating member previously installed on the foundation and each end being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 lower frame of the battery rack housing; And
A battery rack housing including respective ends of the lower horizontal frames coupled with respective lower ends and each upper end including vertical frames coupled with ends of upper horizontal frames forming an upper frame of the battery rack housing, For example,
Two horizontally coupled ends that are fitted and coupled to end portions of the lower horizontal frames so as to connect and couple the lower horizontal frames arranged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are exten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in the body, A vertical coupling end which is fitted into an end portion of the vertical frame so as to connect and connect the lower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is formed to extend vertically upward in the body, and one of the horizontal coupling ends or two horizontal A plurality of corner connecting holes formed at an end of the lower horizontal frame to form an anchor engagement holes coinciding with the anchor through holes formed in the respective end regions of the lower horizontal frame; And
The anchor bolt or the anchor bolt or the anchor bolt or the anchor bolt or the anchor bolt or the anchor bolt or the anchor bolt or the anchor bolt or the anchor bolt or the anchor bolt, And coupling means formed of bolts or nuts fastened to the fixing nut or coupling hole,
And a cover member for covering a lower space of the battery rack housing formed by the lower horizontal frames is coupled to each of the lower horizontal frames, wherein the cover member includes vertical ends coupled to respective side surfaces of the lower horizontal frames, And is bent upward from the edge,
Wherein the horizontal end of the lower horizontal frame is formed by horizontally extending a horizontal plane for tightly coupling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horizontal frame and a portion of the horizontal plane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anchor- An anchor avoiding portion for preventing interference is formed,
And a bolt avoiding portion is formed in a part of the vertical end and the horizontal end located in the coupling region of the horizontal coupling end and the lower horizontal frame.
An apparatus for mounting a battery rack housing for power storage.
상기 수평 결합단과 수직 결합단에는, 위치결정돌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들과 상기 수직 프레임은, 상기 수평 결합단과 상기 수직 결합단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도록 중공형의 사각형의 단면구조로 형성되되, 상기 위치결정돌부가 삽입되도록 개구부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저장용 배터리 랙 하우징의 설치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positioning projections are respectively formed at the horizontal coupling ends and the vertical coupling ends,
Wherein the lower horizontal frames and the vertical frame are formed in a hollow quadrangular cross-sectional structure such that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horizontal coupling ends and the vertical coupling ends are inserted is formed, ≪ / RTI >
An apparatus for mounting a battery rack housing for power storage.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들과 상기 수직 프레임의 각 면에는,
각 부품이 결합되기 위한 체결공이 연이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저장용 배터리 랙 하우징의 설치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On each side of the lower horizontal frames and the vertical frame,
Characterized in that a fastening hole for joining the respective parts is formed successively.
An apparatus for mounting a battery rack housing for power storage.
상기 수평 결합단과 상기 수직 결합단에는,
상기 수평 결합단과 상기 수직 결합단이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들과 상기 수직 프레임의 삽입공으로 각각 삽입되었을 때 결합볼트가 외부에서 상기 체결공을 통하여 체결되도록 다수개의 나사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저장용 배터리 랙 하우징의 설치장치.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t the horizontal coupling end and the vertical coupling end,
And a plurality of screw grooves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so that the coupling bolt is fasten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fastening hole when the horizontal coupling stage and the vertical coupling stage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s of the lower horizontal frames and the vertical frame, respectively.
An apparatus for mounting a battery rack housing for power storage.
상기 앵커 결합공과 앵커 관통공은 장공형태로 형성되거나, 1개 이상의 개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저장용 배터리 랙 하우징의 설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nchor engagement hole and the anchor penetrating hole are formed in the form of a long hole or in one or more numbers.
An apparatus for mounting a battery rack housing for power storag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82270A KR101787617B1 (en) | 2015-12-18 | 2015-12-18 | Installation apparatus of battery rack housing for electric power storag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82270A KR101787617B1 (en) | 2015-12-18 | 2015-12-18 | Installation apparatus of battery rack housing for electric power storag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73393A KR20170073393A (en) | 2017-06-28 |
KR101787617B1 true KR101787617B1 (en) | 2017-10-19 |
Family
ID=59280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82270A Active KR101787617B1 (en) | 2015-12-18 | 2015-12-18 | Installation apparatus of battery rack housing for electric power storag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87617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18503B1 (en) * | 2019-04-24 | 2020-06-03 | 장근환 | Frame connection structure of earthquake-proof rack |
AU2021347786A1 (en) * | 2020-09-28 | 2023-01-05 | Lg Energy Solution, Ltd. | Battery rack, energy storage system, and power generation system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667908A (en) | 1996-01-26 | 1997-09-16 | Gnb Technologies, Inc. | Pedestal and cell tray assembly for lead-acid cells and batteries |
US20050058891A1 (en) | 2003-08-27 | 2005-03-17 | Andrew Marraffa | Front access battery tray apparatus and system |
JP2007018832A (en) * | 2005-07-07 | 2007-01-25 | Honda Motor Co Ltd | Fuel cell stack |
JP2015118800A (en) * | 2013-12-18 | 2015-06-25 | 古河電池株式会社 | Partition plate |
-
2015
- 2015-12-18 KR KR1020150182270A patent/KR10178761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667908A (en) | 1996-01-26 | 1997-09-16 | Gnb Technologies, Inc. | Pedestal and cell tray assembly for lead-acid cells and batteries |
US20050058891A1 (en) | 2003-08-27 | 2005-03-17 | Andrew Marraffa | Front access battery tray apparatus and system |
JP2007018832A (en) * | 2005-07-07 | 2007-01-25 | Honda Motor Co Ltd | Fuel cell stack |
JP2015118800A (en) * | 2013-12-18 | 2015-06-25 | 古河電池株式会社 | Partition plat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73393A (en) | 2017-06-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473017B1 (en) | Mounting component and assembly of mounting component | |
JP3212148U (en) | LED display device | |
KR101121768B1 (en) | Support for solar cell panel | |
EP2146383A2 (en) | 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BIPV) junction box | |
CN104242070A (en) | Frame assembly for a switchboard and related frame and switchboard | |
JP7599570B2 (en) | Charging stand | |
KR101625847B1 (en) | Assembly structure of residential container | |
KR101530576B1 (en) | Sectional roof connector | |
KR101153842B1 (en) | Solar panel mounting deviec | |
KR20200005766A (en) | Curtain-wall for sola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apparatus | |
JP2015527855A (en) | Solar array | |
KR101787617B1 (en) | Installation apparatus of battery rack housing for electric power storage | |
CN111719978A (en) | Universal connecting piece, connecting assembly and shower room | |
WO2020228748A1 (en) | Power supply cabinet | |
CN210069645U (en) | Ceiling lamp | |
KR101306098B1 (en) | Clamp for solar cell module | |
KR101899350B1 (en) | Terminal die assembly | |
JP2019207847A (en) | Power storage system and installation method for power storage system | |
CN115003096A (en) | Cabinet-combination connecting assembly and electrical cabinet assembly | |
JP2004273428A (en) | Storage battery device | |
KR102415119B1 (en) | Device having circuit board | |
KR20190001060U (en) | Frame connection bracket for switchgear | |
CN110911189A (en) | Anti-dismantling switch box | |
JP2019183458A (en) | Wall surface mounting structure for panel body | |
KR101140175B1 (en) | Power box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4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29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0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10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0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