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86952B1 - 조명 조립체를 구비한 카메라 - Google Patents

조명 조립체를 구비한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6952B1
KR101786952B1 KR1020110006957A KR20110006957A KR101786952B1 KR 101786952 B1 KR101786952 B1 KR 101786952B1 KR 1020110006957 A KR1020110006957 A KR 1020110006957A KR 20110006957 A KR20110006957 A KR 20110006957A KR 101786952 B1 KR101786952 B1 KR 101786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sh
light
light source
cover
auxiliary ligh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6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5557A (ko
Inventor
김영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6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6952B1/ko
Priority to US13/268,104 priority patent/US8733956B2/en
Priority to CN201110415529.6A priority patent/CN102608836B/zh
Publication of KR20120085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5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6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695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apparatus; Electronic flash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22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 G03B2215/0503Built-in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2Details of arrangement of components in or on camera bod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관한 조명 조립체를 구비한 카메라는, 카메라의 본체에 배치된 조명 홀더와, 조명 홀더에 장착된 플래시와, 플래시에 인접하도록 조명 홀더에 장착된 보조광원과, 투광 소재로 이루어져 플래시와 보조광원을 덮도록 조명 홀더에 결합하며 플래시와 보조광원의 사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전달광 차단 구멍을 구비하는 투광 커버를 구비하는 조명 조립체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조명 조립체를 구비한 카메라{Camera with illumination sub assembly}
실시예들은 조명 조립체를 구비한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모듈로 제작된 조명 조립체를 이용하므로 설치가 편리하며 발광 성능이 향상된 조명 조립체를 구비한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소형이며 얇은 두께를 갖는 컴팩트 카메라를 설계할 때에는 협소한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며 부품을 배치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카메라에 장착되는 플래시와 자동 초점 보조 램프(AF 보조 램프)는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과 발생된 광이 외부로 방출되게 안내하는 커버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플래시와 AF 보조 램프를 컴팩트 카메라의 이격된 위치에 배치하려면 플래시와 AF 보조 램프의 각각이 배치되는 공간을 확보해야 하므로 부품의 수가 증가하고 배선 연결이 추가적으로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실시예의 목적은 플래시와 보조 광원이 효율적으로 배치되어 미려한 디자인을 가지며 부품수가 감소된 카메라를 구현하는 데 있다.
실시예의 다른 목적은 카메라에서 플래시와 보조 광원을 인접하여 배치할 수 있게 하는 데 있다.
실시예의 또 다른 목적은 카메라에서 인접하여 배치된 플래시와 보조 광원의 발광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
일 실시예에 관한 조명 조립체를 구비한 카메라는, 카메라의 본체에 배치된 조명 홀더와, 조명 홀더에 장착된 플래시와, 플래시에 인접하도록 조명 홀더에 장착된 보조광원과, 투광 소재로 이루어져 플래시와 보조광원을 덮도록 조명 홀더에 결합하며 플래시와 보조광원의 사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전달광 차단 구멍을 구비하는 투광 커버를 구비하는 조명 조립체를 구비한다.
카메라는, 투광 커버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플래시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1 투광 구멍과 보조광원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2 투광 구멍을 구비하여 본체에 결합하는 커버와, 제1 투광 구멍과 제2 투광 구멍의 사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본체를 향하는 커버의 내측에 배치되어 전달광 차단 구멍에 삽입되는 광 차단판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조명 홀더는 플래시가 삽입되는 제1 장착홈과 보조광원이 삽입되는 제2 장착홈을 구비할 수 있다.
투광 커버는 플래시에서 발생된 광을 확산시키도록 플래시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된 프레즈넬 렌즈를 구비할 수 있다.
투광 커버는 제1 투광 구멍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와 제2 투광 구멍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돌출된 제2 돌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투광 커버는 보조 광원의 단부를 둘러싸도록 보조 광원을 향해 돌출된 지지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전달광 차단 구멍은 플래시와 보조광원의 사이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차단판은 전달광 차단 구멍을 따라 연장할 수 있다.
카메라는, 본체에 배치되며 조명 홀더를 지지하는 회로기판을 더 구비할 수 있고,
플래시와 보조광원은 조명 홀더를 통과하는 배선을 통해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들에 관한 조명 조립체를 구비한 카메라는, 조명 홀더와 투광 커버를 이용하여 조명 조립체를 하나의 모듈로 제작할 수 있으므로, 조명 조립체의 설치 작업이 편리하다. 또한 플래시와 보조 광원을 인접하여 배치할 수 있어서 부품의 효율적인 배치와 사용이 가능하며 미려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플래시와 보조 광원의 모두가 하나의 투광 커버를 공유하므로 부품 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플래시와 보조 광원이 하나의 투광 커버를 공유하면서도 전달광 차단 구멍의 작용으로 인해 플래시와 보조 광원의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광의 간섭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발광 성능이 향상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조명 조립체를 구비한 카메라의 일부 구성 요소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카메라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카메라의 조명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카메라의 조명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카메라의 조명 조립체의 조명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카메라의 커버의 내측 면의 일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실시예들에 관한 조명 조립체를 구비한 카메라의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조명 조립체를 구비한 카메라의 일부 구성 요소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카메라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조명 조립체를 구비한 카메라에 있어서, 카메라의 본체(70)에는 조명 조립체(10)가 설치되며, 카메라의 전방을 향하도록 조명 조립체(10)의 투광 커버(50)가 배치된다. 투광 커버(50)는 제1 돌출부(51)와 제2 돌출부(52)를 구비하며, 제1 돌출부(51)와 제2 돌출부(52)의 사이에는 전달광 차단 구멍(53)이 형성된다.
카메라의 본체(70)의 전방에 커버(60)가 결합하여, 본체(70)에 대해 커버(60)가 고정된다. 커버(60)는 제1 돌출부(51)가 삽입되는 제1 투광 구멍(61)과 제2 돌출부(52)가 삽입되는 제2 투광 구멍(62)을 구비한다.
도 3은 도 1의 카메라의 조명 조립체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카메라의 조명 조립체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카메라의 조명 조립체의 조명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조명 조립체(10)는 도 1 및 도 2의 본체(70)에 배치되는 조명 홀더(20)와, 조명 홀더(20)에 장착된 플래시(30)와, 플래시(30)에 인접하도록 조명 홀더(20)에 장착된 보조 광원(40)과, 투광 소재의 투광 커버(50)를 구비한다.
플래시(30)는 순간적인 섬광을 발생시킴으로써 촬영 장면을 밝히는 장치이다. 보조 광원(40)은 피사체에 초점을 자동으로 맞추는 자동 초점 기능을 실행할 때에 보조적으로 사용되는 광원이다.
투광 커버(50)는 투명한 플라스틱이나 유리와 같은 투광 소재로 이루어지며, 플래시(30)와 보조 광원(40)을 덮도록 조명 홀더(20)에 결합한다. 투광 커버(50)는 플래시(30)와 보조 광원(40)의 사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전달광 차단 구멍(53)을 구비한다.
전달광 차단 구멍(53)은 보조 광원(40)에서 발사된 광이 투광 커버(50)에 의해 플래시(30)를 향하는 방향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만일 투광 커버(50)가 전달광 차단 구멍(53)을 구비하지 않고, 플래시(30)와 보조 광원(40)을 덮는 모든 영역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면, 보조 광원(40)의 광이 플래시(30)의 방향으로 전달됨으로써 카메라를 바라보는 사람에게 작동 중인 카메라의 미관이 좋지 않게 비쳐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전달광 차단 구멍(53)의 작용으로 인해 광 전달로 인해 발생하는 미관 저하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투광 커버(50)는 플래시(30)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된 프레즈넬 렌즈(54)를 구비한다. 프레즈넬 렌즈(54)는 플래시(30)에 발생된 광을 확산시키는 기능을 한다.
조명 홀더(20)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과 같은 전기 절연성 소재로 제조되며 플래시(30)와 보조 광원(40) 등의 구성 요소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조명 홀더(20)는 플래시(30)가 삽입되는 제1 장착홈(21)과 보조 광원(40)이 삽입되는 제2 장착홈(22)을 구비한다.
보조 광원(40)의 단부(47)는 반구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조명 홀더(20)는 보조 광원(40)의 단부(47)를 둘러싸도록 보조 광원(40)을 향해 돌출된 지지부(57)를 구비한다. 지지부(57)는 보조 광원(40)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조명 홀더(20)에 투광 커버(50)를 결합시킬 때 위치를 정렬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조명 홀더(20)는 도 1의 카메라의 본체(70)에 배치된 회로기판(90)에 체결수단(91)에 의해 결합된다. 보조 광원(40)과 플래시(30)는 조명 홀더(20)를 통과한 배선(93)에 의해 회로기판(9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투광 커버(50)는 외측 가장자리에 조명 홀더(20)와의 결합을 위해 결합 돌기(59)를 구비한다. 투광 커버(50)가 조명 홀더(20)에 결합되면 결합 돌기(59)가 조명 홀더(20)에 삽입됨으로써, 투광 커버(50)와 조명 홀더(20)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조명 홀더(20)의 가장자리에는 투광 커버(50)를 향해 돌출된 결합 돌기(27)가 형성된다. 결합 돌기(27)는 투광 커버(50)와 조명 홀더(20)의 결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조명 조립체(10)의 전방에 커버(60)가 결합되면, 커버(60)의 제1 투광 구멍(61)을 통해 제1 돌출부(51)가 외부로 노출되고 제2 투광 구멍(62)을 통해 제2 돌출부(52)가 외부로 노출된다. 커버(60)의 내측에는 전달광 차단 구멍(53)에 삽입되는 광 차단판(63)이 설치된다.
도 6은 도 1의 카메라의 커버의 내측 면의 일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의 본체(70)를 향하는 커버(60)의 내측에는 제1 투광 구멍(61)과 제2 투광 구멍(62)의 사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전달광 차단 구멍(53)에 삽입되는 광 차단판(63)을 구비한다. 광 차단판(63)은 보조 광원(40)의 광이 플래시(30)를 향해 전달되거나, 플래시(30)의 광이 보조 광원(40)을 향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달광 차단 구멍(53)은 플래시(30)와 보조 광원(40)의 사이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광 차단판(63)은 전달광 차단 구멍(53)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한다.
만일 플래시(30)와 보조 광원(40)을 카메라의 본체(70)에 대해 독립적으로 설치한다면 플래시(30)와 보조 광원(40)의 사이에 광이 서로 간섭하는 문제점을 피할 수 있지만, 플래시(30)와 보조 광원(40)의 각각을 위한 부품들을 별도로 준비하여 설치해야 하므로 부품 수가 증가하고 조립이 번거로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구성의 조명 조립체(10)를 구비한 카메라에 의하면, 조명 조립체(10)가 조명 홀더(20)를 이용하여 하나의 모듈로 제작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조명 조립체(10)의 설치 작업이 편리하며 플래시(30)와 보조 광원(40)을 인접하여 배치할 수 있어서 부품의 효율적인 배치와 사용이 가능하며 미려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플래시(30)와 보조 광원(40)의 모두가 하나의 투광 커버(50)를 공유하므로 부품 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하나의 투광 커버(50)를 공유하면서도 전달광 차단 구멍(53)의 작용으로 인해 플래시(30)와 보조 광원(40)의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광의 간섭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상술한 장치는 프로세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저장부(permanent storage),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포트, 터치 패널, 키(key), 버튼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인(non-transitory) 기록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 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상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발명에서 인용하는 공개 문헌, 특허 출원, 특허 등을 포함하는 모든 문헌들은 각 인용 문헌이 개별적으로 및 구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내는 것 또는 발명에서 전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낸 것과 동일하게 발명에 병합될 수 있다.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참조 부호를 기재하였으며, 상기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였으나, 상기 특정 용어에 의해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은 당업자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발명은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명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업 테이블(look 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발명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발명은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발명은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등의 표현은 기술의 개방형 종결부의 용어로 이해되기 위해 사용된 것이다.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선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기술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는 발명의 범위와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수정과 변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명확히 알 수 있다.
10: 조명 조립체 54: 프레즈넬 렌즈
20: 조명 홀더 57: 지지부
21: 제1 장착홈 60: 커버
22: 제2 장착홈 61: 제1 투광 구멍
27, 59: 결합 돌기 62: 제2 투광 구멍
30: 플래시 63: 광 차단판
40: 보조 광원 70: 본체
47: 단부 90: 회로기판
50: 투광 커버 91: 체결수단
51: 제1 돌출부 93: 배선
52: 제2 돌출부 53: 전달광 차단 구멍

Claims (8)

  1. 카메라의 본체에 배치된 조명 홀더;
    상기 조명 홀더에 장착된 플래시;
    상기 플래시에 인접하도록 상기 조명 홀더에 장착된 보조광원;
    투광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플래시와 상기 보조광원을 덮도록 상기 조명 홀더에 결합하며, 상기 플래시와 상기 보조광원의 사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전달광 차단 구멍을 구비하는, 투광 커버;
    상기 투광 커버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플래시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1 투광 구멍과 상기 보조광원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2 투광 구멍을 구비하여 상기 본체에 결합하여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커버;
    상기 제1 투광 구멍과 상기 제2 투광 구멍의 사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본체를 향하는 상기 커버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전달광 차단 구멍에 삽입되는 광 차단판; 및
    상기 본체에 배치되며 상기 조명 홀더를 지지하는 회로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플래시와 상기 보조광원은 상기 조명 홀더를 통과하는 배선을 통해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조명 조립체를 구비한 카메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홀더는 상기 플래시가 삽입되는 제1 장착홈과 상기 보조광원이 삽입되는 제2 장착홈을 구비하는, 조명 조립체를 구비한 카메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 커버는 상기 플래시에서 발생된 광을 확산시키도록 상기 플래시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된 프레즈넬 렌즈를 구비하는, 조명 조립체를 구비한 카메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 커버는 상기 제1 투광 구멍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투광 구멍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돌출된 제2 돌출부를 더 구비하는, 조명 조립체를 구비한 카메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 커버는 상기 보조광원의 단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보조광원을 향해 돌출된 지지부를 더 구비하는, 조명 조립체를 구비한 카메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광 차단 구멍은 상기 플래시와 상기 보조광원의 사이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차단판은 상기 전달광 차단 구멍을 따라 연장하는, 조명 조립체를 구비한 카메라.
  8. 삭제
KR1020110006957A 2011-01-24 2011-01-24 조명 조립체를 구비한 카메라 Expired - Fee Related KR101786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6957A KR101786952B1 (ko) 2011-01-24 2011-01-24 조명 조립체를 구비한 카메라
US13/268,104 US8733956B2 (en) 2011-01-24 2011-10-07 Illumination assemblies, cameras with illumination assemblies, and methods of assembling the same
CN201110415529.6A CN102608836B (zh) 2011-01-24 2011-12-07 照明组件、具有照明组件的相机及装配该相机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6957A KR101786952B1 (ko) 2011-01-24 2011-01-24 조명 조립체를 구비한 카메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5557A KR20120085557A (ko) 2012-08-01
KR101786952B1 true KR101786952B1 (ko) 2017-10-19

Family

ID=46526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6957A Expired - Fee Related KR101786952B1 (ko) 2011-01-24 2011-01-24 조명 조립체를 구비한 카메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733956B2 (ko)
KR (1) KR101786952B1 (ko)
CN (1) CN10260883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98875B (zh) * 2012-12-28 2016-06-2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闪光灯镜片结构和具有该结构的拍摄装置
DE102014216645A1 (de) * 2014-08-21 2016-02-25 Robert Bosch Gmbh Beobachtungs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Aufsteckmodul
KR102417625B1 (ko) * 2017-08-21 2022-07-07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
US10616463B2 (en) * 2017-12-06 2020-04-07 Rockwell Collins, Inc. Synchronized camera and lighting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15599A (en) 1981-12-04 1986-10-07 Canon Kabushiki Kaisha Flash photographing system
US6259862B1 (en) 1995-04-11 2001-07-10 Eastman Kodak Company Red-eye reduction using multiple function light sourc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3770Y2 (ja) * 1987-12-28 1994-11-14 旭光学工業株式会社 自動焦点一眼レフカメラの合焦補助投光装置
JPH0645938Y2 (ja) * 1988-07-29 1994-11-24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ストロボ内蔵一眼レフカメラ
JP2808328B2 (ja) * 1989-10-19 1998-10-08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カメラのストロボ制御装置
US5262809A (en) * 1991-06-03 1993-11-16 Fuji Photo Optical Co., Ltd. Camera accommodating main lamp and auxiliary lamp
US5634152A (en) * 1995-01-24 1997-05-27 Nikon Corporation Camera with built-in flash
US6155694A (en) * 1998-04-16 2000-12-05 Whelen Engineering Company, Inc. Composite warning light with emission pattern matching
JP2001005061A (ja) * 1999-06-21 2001-01-12 Olympus Optical Co Ltd カメラ
US7092626B2 (en) * 2003-07-28 2006-08-15 Canon Kabushiki Kaisha Placement of light-emitting section in image sensing apparatus
CN101673024A (zh) * 2008-09-11 2010-03-17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闪光灯组件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15599A (en) 1981-12-04 1986-10-07 Canon Kabushiki Kaisha Flash photographing system
US6259862B1 (en) 1995-04-11 2001-07-10 Eastman Kodak Company Red-eye reduction using multiple function light sour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608836A (zh) 2012-07-25
US20120188744A1 (en) 2012-07-26
CN102608836B (zh) 2016-08-24
KR20120085557A (ko) 2012-08-01
US8733956B2 (en) 2014-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6952B1 (ko) 조명 조립체를 구비한 카메라
JP2011129308A (ja) 車輌用灯具及び光源ユニット
JP6601722B2 (ja) 照明器具
TWM438603U (en) Improved lamp casing structure
JP2016004705A (ja) 車両用灯具
JP2020042962A (ja) 発光装置
CN106164574B (zh) 用于车辆的照明装置
JP2013243028A (ja) 車両用灯具
CN104515050A (zh) 用于机动车辆的镜装置及其组装方法
JP2017004730A (ja) 照明装置
JP5814447B1 (ja) 照明装置及び照明装置用発光ユニット
JP6232732B2 (ja) Led駆動装置及びその取付構造
KR20210031211A (ko) 투광 조명기구
US10295381B2 (en) Indicator
US20150276200A1 (en) Lamp
JP7121574B2 (ja) 灯具
KR102011276B1 (ko) 조명장치
JP5814448B1 (ja) 照明装置及び照明装置用発光ユニット
KR101731779B1 (ko) 차량용 램프 및 그 조립 방법
CN204164822U (zh) 改变投光光束立体角的灯具结构
JP2015032567A (ja) 照明器具
JP6713742B2 (ja) 車両用灯具
JP2007080869A (ja) Led照明器具
JP6560506B2 (ja) 照明器具
JP2019149311A (ja) 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12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1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01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2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0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10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