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4575B1 - a buffer for railway cars - Google Patents
a buffer for railway car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84575B1 KR101784575B1 KR1020150180632A KR20150180632A KR101784575B1 KR 101784575 B1 KR101784575 B1 KR 101784575B1 KR 1020150180632 A KR1020150180632 A KR 1020150180632A KR 20150180632 A KR20150180632 A KR 20150180632A KR 101784575 B1 KR101784575 B1 KR 10178457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ternal force
- stepped portion
- impact
- cushioning material
- accommodating spa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0 scra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798 delami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191 jump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11/00—Buff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19/00—Wheel guards; Bumper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 B61F19/04—Bumpers or like collision guar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11/00—Buffers
- B61G11/12—Buffers with fluid springs or shock-absorbers; Combinations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11/00—Buffers
- B61G11/18—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차량용 완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철도차량 간의 연결기 연결작업시 요구되는 외력(힘)을 초과하는 충격 에너지를 용이하게 흡수하여 부품의 파손과 교체를 방지하는 철도차량용 완충기에 관한 것이다. 구성은 본 발명은 고정체와 이동체로 이루어지는 철도차량용 완충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내부에 쿠션소재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쿠션소재 수용공간의 일단 부분으로는 기밀을 위한 플런저와 결합을 위한 내면 단차부가 형성되며 바깥 면으로는 이동체와 스토퍼를 수용, 지지하기 위한 제1 외면 단차부와 제2 외면 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이동체는 고정체와 결합 되고 요구되는 외력을 초과할 경우 일 측으로 밀림 이동하면서 충격력을 직접 받아내는 충돌부재와 상기 충돌부재의 내측 중앙에 결합 되어 밀림 동작에 연동하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충돌부재와 고정체의 제1 외면 단차부에 공통으로 걸쳐 초기 발생되는 외력을 지지하면서 복귀시 충돌부재의 이동을 제한 하는 지지 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외면 단차부를 통해 결합 되어 충돌부재와 지지 링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철도차량 구조물에 장착되는 볼트와 체결되도록 원주를 따라 가장자리 부분에 복수 개의 체결구멍이 형성된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를 고정 지지하는 플랜지 링으로 이루어지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ck absorber for a railway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ock absorber for a railway vehicle that absorbs impact energy exceeding an external force (force) In the cushioning material accommodating space, the cushioning material accommodating space is formed at one end of the cushioning material accommodating space. The cushioning material accommodating space has an inner surface step for engagement with a plunger for airtightness, And a first outer stepped portion and a second outer stepped portion for receiving and supporting the moving body and the stopper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and the moving body is engaged with the fixed body, and when the required external force is exceeded, A piston rod that is coupled to an inner center of the impact member and interlocks with a pivoting motion, and an external force that is generated in common in the first external surface stepped portion of the impact member and the fixture, And a support ring f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collision member, And a stopper including a flange having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formed at an edge portion thereof along a circumference so as to be coupled with a bolt mounted on the railway car structure so as to restrict movement of the member and the support ring and a flange ring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flange. do.
Description
본 발명은 철도차량용 완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철도차량 간의 연결기 연결작업시 요구되는 외력(힘)을 초과하는 충격 에너지를 용이하게 흡수하여 부품의 파손과 교체를 방지하는 철도차량용 완충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ck absorber for a railway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ock absorber for a railway vehicle that absorbs impact energy exceeding an external force (force)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은 다수의 차량이 상호 연결되어 열차를 이루어 운행되는데, 이를 위해 철도차량의 전두부와 후미부에는 철도차량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기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기의 양측으로는 철도차량 간의 연결작업시 요구되는 외력을 초과하여 연결기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한 완충기가 각각 구비된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Generally, a railway car is operated by a plurality of vehicles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train. For this purpose, a linkage for connecting railway vehicles to each other is formed at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railway car, And a shock absorber for absorbing impact energy exceeding an external force required at the time of operation and transmitted through the connector.
그러나 종래의 철도차량용 완충기는 소성변형 타입으로서 외 측 튜브를 내측 튜브에 장착되어 있는 스크래퍼에 의해 내면을 긁어내면서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도록 구성되어, 충격력 크기만큼의 행정이 발생하는 1회 용으로서 철도차량 간의 연결작업시 요구되는 경미한 초과 외력에도 완충동작이 이루어져 고가의 부품을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shock absorber for a railway vehicle is a plastic deformation type and is configured to absorb impact energy while scraping the inner surface by a scraper mounted on the inner tube as a plastic deformation type,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buffering operation is performed even with a slight excess external force required at the time of connection work between high-cost parts.
또한, 경미한 초과 외력에도 완충동작이 이루어짐에 따라 완충기의 외측 튜브와 같은 부품을 교체하여야 하고, 과도한 충격 에너지는 안정적으로 흡수하지 못해 객실 내부의 승객이나 화물 등에 가해지는 충격량도 커질 뿐만 아니라, 철도차량 간의 강한 충격에 의해 철도차량이 상측으로 들리게 되는 타오름 현상이 발생하여 철도차량이 탈선되거나 승객의 부상 및 화물의 파손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hock absorbing operation is performed even with a slight excess external force, parts such as the outer tube of the shock absorber must be replaced, excessive shock energy can not be stably absorbed and the amount of impact applied to passengers or cargo in the room is increas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railway vehicle may be derailed or the passenger may be injured or the cargo may be damaged.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철도차량 간의 연결기 연결작업시 요구되는 외력을 초과하는 충격에너지를 부품의 파손 없이 용이하게 흡수하여 철도차량 및 승객과 승무원의 안전을 확보하고 비용절감을 이루도록 하는 철도차량용 완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ailway vehicle, a passenger, and a crew, capable of absorbing impact energy exceeding an external force, And to provide a shock absorber for a railway vehicle which is capable of securing the safety of the railway vehicle and reducing the cos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정체와 이동체로 이루어지는 철도차량용 완충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내부에 쿠션소재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쿠션소재 수용공간의 일단 부분으로는 기밀을 위한 플런저와 결합을 위한 내면 단차부가 형성되며 바깥 면으로는 이동체와 스토퍼를 수용, 지지하기 위한 제1 외면 단차부와 제2 외면 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이동체는 고정체와 결합 되고 요구되는 외력을 초과할 경우 일 측으로 밀림 이동하면서 충격력을 직접 받아내는 충돌부재와 상기 충돌부재의 내측 중앙에 결합 되어 밀림 동작에 연동하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충돌부재와 고정체의 제1 외면 단차부에 공통으로 걸쳐 초기 발생되는 외력을 지지하면서 복귀시 충돌부재의 이동을 제한 하는 지지 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외면 단차부를 통해 결합 되어 충돌부재와 지지 링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철도차량 구조물에 장착되는 볼트와 체결되도록 원주를 따라 가장자리 부분에 복수 개의 체결구멍이 형성된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를 고정 지지하는 플랜지 링으로 이루어지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hock absorber for a railway vehicle comprising a fixed body and a moving body, wherein the fixed body has a cushioning material accommodating space formed therein and a plunger A first outer stepped portion and a second outer stepped portion for receiving and supporting the moving body and the stopper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and the moving body is combined with the fixed body, and when the required outer force is exceeded A piston rod that is coupled to an inner center of the impact member and interlocked with a swinging motion, and an external force generated in common in the first external step portion of the impact member and the fixture, And a support ring for restricting movement of the collision member upon return, the second outer step A flange having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formed at an edge portion thereof along a circumference so as to be coupled with a bolt mounted on the railway car structure so as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collision member and the support ring and a stopper comprising a flange ring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flange, .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철도차량 간의 연결기 연결작업시 요구되는 외력을 초과하는 충격 에너지를 용이하게 흡수하는 고정체와 이동체를 통해 부품의 파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철도차량 및 승객과 승무원의 안전을 확보하고 비용절감을 이루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breakage of components through a fixed body and a movable body which absorb impact energy exceeding an external force required when connecting a connecting device between railway vehicles, and to prevent safety of passengers and crew And the cost is reduced.
또, 본 발명은 요구되는 외력에 비해 강한 충격이 연결기를 통해 전달되더라도 고정체와 이동체에 의해 안정되게 충격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승객이나 화물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여 안전성 향상을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mpact energy can be stably absorbed by the fixed body and the moving body even when a strong impact is transmitted through the connector, compared with the required external force,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impact applied to the passenger or the cargo, It is effective.
또한, 한 쌍의 완충기가 상호 대칭을 이루고, 충돌 부재의 일면에 형성되는 요철부에 의해 철도차량이 서로 강하게 충격하더라도 상호 안정적으로 결합 되면서 철도차량의 타오름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철도차량의 탈선에 따른 승객의 부상이나 화물 파손의 위험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air of shock absorbers are mutually symmetric, and even if the railway vehicles are strongly impacted by the irregularitie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ollision member, they are stably coupled to each other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 marching phenomenon of the railway vehicl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isk of injury or damage to the cargo due to the passenge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완충기의 분해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완충기의 요부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완충기를 철도차량 구조물에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철도차량용 완충기가 외력을 받기 전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완충기가 철도차량 구조물에 설치되어 외력을 받은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철도차량용 완충기가 외력을 받은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1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n exploded state of a shock absorber for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the coupling state of Fig. 1.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ortion of a shock absorber for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shock absorber for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railway vehicle struct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before the shock absorber for a railway vehicle of FIG. 4 receives an external force.
FIG.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hock absorber for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railway vehicle structure and receives an external force.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hock absorber for a railway vehicle shown in FIG. 6 in a state in which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완충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shock absorber for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여기서, 하기의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아울러,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것은 고유의 통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Hereinafte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used to denote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in all of the following drawings, and repetitive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정체(110)와 이동체(120) 및 스토퍼(stopper), (130)로 대별되어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1 to 7, the present invention is roughly divided into a
상기 고정체(110)는 내부에 쿠션소재 수용공간(111)이 형성되고, 상기 쿠션소재 수용공간(111)의 일단 부분으로는 기밀을 위한 플런저(plunger), (115)와 결합을 위한 내면 단차(段差)부, (112)가 형성되며, 바깥 면으로는 상기 이동체(120)와 스토퍼(130)를 수용, 지지하기 위한 제1 외면 단차부(113)와, 제2 외면 단차부(114)가 형성된다.A plunger for airtightness is formed at one end of the cushioning
여기서, 상기 고정체(110)는 제1 외면 단차부(113)와, 제2 외면 단차부(114)에 의해 상기 이동체(120)와 스토퍼(130)를 결합시켜 이동체(120)의 일정 거리 이상의 이동을 구속하고, 철도차량용 완충기(100)의 고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Here, the
상기 제1 외면 단차부(113)와 제2 외면 단차부(114)는 각각 걸림턱(113a), (114a)이 형성된다.The first outer surface stepped
그리고 상기 제2 외면 단차부(114)의 일 측에는 상기 스토퍼(130)와 결합을 위한 수나사(114b)가 형성된다.A
상기와 같은 제1 외면 단차부(113)와 제2 외면 단차부(114)를 형성한 고정체(110)는 종래에 비해 부품 수를 줄이고, 양방향 모두에 대하여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The
또, 상기 고정체(110)는 제1 외면 단차부(113)와 제2 외면 단차부(114) 즉, 2개의 단차가 있어 상기 이동체(120)와 스토퍼(130)를 결합함에 따라, 이동체(120)의 충돌 부재(121) 구속과 철도차량 구조물과의 고정을 간편하게 실현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플런저(115)는 중앙에 이하에서 설명할 상기 이동체(120)의 피스톤 로드(122)의 이동을 지지하도록 결합구멍(115a)이 형성된다.The
상기 쿠션소재 수용공간(111)에는 실리콘과 같은 쿠션(cushion : 충격으로 급격히 가해지는 에너지를 흡수하여 충격을 완화하는 것을 말한다.) 소재(116)가 충전되어 상기 이동체(120)를 통해 전달되는 외부 충격으로 인한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도록 한다.The cushioning
즉, 철도차량 연결기(210)의 연결작업시 요구되는 외력을 초과하는 충격 에너지가 발생하여 상기 이동체(120)를 통해 전달되면 쿠션소재(116)가 반발력(척력)을 형성하게 되므로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게 된다.That is, when an impact energy exceeding the external force required for connection operation of the
여기서, 상기 쿠션소재(116)는 유상체(油狀體)를 형성하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별도의 유압펌프(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Here, the
상기 이동체(120)는 상기 고정체(110)와 결합 되고, 연결기(210)의 연결작업시 요구되는 외력(힘)을 초과할 경우, 일 측으로 밀림 이동하면서 충격력을 직접 받아내는 충돌 부재(121)와 상기 충돌 부재(121)의 내측 중앙에 결합 형성되어 밀림 동작에 연동하는 피스톤 로드(122)와 상기 충돌 부재(121)를 결합 지지하도록 충돌 부재(121)와 고정체(110)의 제1 외면 단차부(113)에 공통으로 걸쳐 있어 초기 발생되는 외력(힘)을 지지하면서 복귀시 충돌 부재(121)의 이동을 제한하는 지지 링(123)으로 이루어진다.The moving
상기 충돌 부재(121)는 일단 바깥면에 상기 지지 링(123)과 결합을 위한 수나사(121a)가 형성되고, 내경(121b)은 상기 제1 외면 단차부(113)를 통해 슬라이딩 동작 가능하도록 결합,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여기서, 상기 충돌 부재(121)의 외 측면으로는 요철부(121c)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outer surface of the
상기 요철부(121c)는 대향 하는 충돌 부재(121)의 요철부(121c)와 상호 교차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oncave-
즉, 철도차량 연결기(210)의 연결작업시 요구되는 외력(힘)을 초과할 경우, 상호 다른 철도차량에 장착된 충돌 부재(121)의 요철부(121c)는 교차(엇갈림)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when the external force (force) required when connecting the
예컨대, 상호 대향 하는 요철부(121c)의 요(凹)부는 철(凸)와 결합 되고, 철(凸)부는 요(凹)부와 결합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cave portions of the concave-
이에 따라, 철도차량이 예기치 못한 동작으로 상호 충돌하더라도 대향 하는 충돌 부재(121)의 요철부(121c)가 상호 결합 되면서 철도차량의 타오름 현상을 방지하여 탈선, 승객과 승무원의 부상이나 화물 파손과 같은 위험을 차단할 수 있다.Accordingly, even when the railway vehicle collides with each other due to unexpected operation, the
또, 상기 지지 링(123)은 단차를 이루는 지름이 큰 제 1 내경(123a)과 지름이 작은 제 2 내경(123b)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내경(123a)으로는 상기 충돌 부재(121)의 수나사(121a)와 결합을 위한 암나사(123c)가 형성되어 상기 충돌 부재(121)의 수나사(121a)와 결합 된다.The
그리고 상기 제 2 내경(123b)의 일 측으로 위치하는 내부 바닥면 일부는 상기 고정체(110)의 제1 외면 단차부(113)의 걸림 턱(113a)에 걸림 지지 되도록 결합 된다.A part of the inner bottom surface located on one side of the second inside
이러한 구성의 상기 이동체(120)는, 철도차량의 전두부와 후미부에 철도차량 간의 연결을 위해 구비된 연결기(210)의 연결작업시 철도차량의 속도가 빠르거나 요구되는 외력을 초과하는 에너지가 발생하게 되면 연결기(210)의 버퍼(미도시)가 완충 작용을 함에도 불구하고 파단 되어 연결기(21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에너지가 상기 이동체(120)로 전달된다.The moving
이때, 상기 이동체(120)는 충격 에너지로 인해 고정체(110)를 통해 일 측으로 슬라이딩 동작함과 동시에 쿠션소재(116)에 의해 저지되면서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여 소산(疎散, Dispersion) 시키게 된다.At this time, the moving
즉, 상기 충돌 부재(121)와 지지 링(123)은 상기 고정체(110)의 제1 외면 단차부(113)를 통해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고, 상기 피스톤 로드(122)는 플런저(115)의 결합구멍(115a)을 통해 이동하면서 쿠션소재(116)에 의해 이동이 저지되면서 충격 에너지를 흡수, 소산 시키게 된다.That is, the
이에 따라, 부품의 파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철도차량 및 승객과 승무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arts from being damaged and to secure the safety of the railway vehicle, the passenger and the crew.
상기 스토퍼(130)는, 상기 제2 외면 단차부(114)를 통해 결합 되어 상기 충돌 부재(121)와 지지 링(123)의 이동을 제한하는 플랜지(131)와 상기 플랜지(131)를 고정지지하는 플랜지 링(132)으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플랜지(131)는 상기 충돌 부재(121)와 지지 링(123)을 통해 전달되는 최대 충격력과 압축력을 받으며, 철도차량 구조물에 장착되는 볼트(미도시)와 체결되도록 원주를 따라 가장자리 부분에 복수 개의 체결구멍(131a)이 형성되며, 상기 충돌 부재(121)와 지지 링(123)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형성된다.The
즉, 상기 체결구멍(131a)으로 볼트를 삽입하여 너트로 체결함으로써 철도차량 구조물에 견고하게 장착되어 충돌 부재(121)와 지지 링(123)의 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In other words, bolts ar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이러한 구성의 플랜지(131)는 상기 고정체(110)에 형성된 제2 외면 단차부(114)에 의해 고정되고 지지된다.The
또, 상기 플랜지 링(132)의 내면 일 측에는 상기 제2 외면 단차부(114)의 일 측에 형성된 수나사(114b)와 결합을 위한 암나사(132a)가 형성된다.A
이와 같은 구성의 스토퍼(130)는 상기 이동체(120)의 일정 거리 이상의 이동이 방지되도록 구속하게 된다.The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완충기(100)의 조립은 충돌 부재(121)를 바닥에 엎어 높은 상태에서 고정체(110)를 세워 위치시키고 지지 링(123)을 고정체(110)의 제1 외면 단차부(113)에 끼운 후, 지지 링(123)의 암나사(123c)와 충돌 부재(121)의 수나사(121a)를 나사 체결하여 조립한다.In the assembly of the
이때, 상기 충돌 부재(121)의 내측에 형성된 피스톤 로드(122)는 플런저(115)의 중앙에 형성된 결합구멍(115a)으로 끼워 결합한다.At this time, the
다음, 상기 플랜지(131)를 고정체(110)의 제2 외면 단차부(114)로 끼워 걸림 턱(114a)에 지지시킨 후, 플랜지 링(132)의 암나사(132a)를 제2 외면 단차부(114)에 형성된 수나사(114b)와 결합한다.Next, the
이후, 상기 플랜지(131)에 형성된 체결구멍(131a)을 통해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미도시)을 삽입하여 철도차량 구조물과 체결하여 견고하게 장착(설치)한다.Thereafter, a fastening means (not shown) such as a bolt is inserted through a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조립공정을 매우 단순화시켜 상당한 작업성 향상과 원가절감을 이룰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can greatly simplify the assembling process, thereby achieving significant improvement in workability and cost reduction.
그리고 외면에 제1 외면 단차부(113)와 제2 외면 단차부(114)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체(110)는 요구되는 외력을 초과하는 충격력이 충돌 부재(121)를 통하여 피스톤 로드(122)로 전달되는 경우, 충격에너지를 흡수하여 소산 시킬 뿐만 아니라 충돌 부재(121)의 전면에서 부하가 제거되면, 피스톤 로드(1220) 및 충돌 부재(121)를 전진시켜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갈 수 있도록 지지한다. The fixed
이때, 상기 충돌 부재(121)의 행정은 고정체(110)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외면 단차부(113)와 제2 외면 단차부(114)와 지지 링(123)에 의하여 행정을 제한함으로써 복귀기능을 완성한다.At this time, the stroke of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ill now be described.
먼저, 철도차량과 철도차량의 연결을 위해 일정 시속으로 이동하면서 연결기(210)를 상호 결합시킬 경우, 그 충돌 강도가 버퍼(미도시)가 완충할 수 있을 정도일 때에는 본 발명의 철도차량용 완충기(100)가 상호 접촉하지 않고 용이하게 차량 간의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First, when the
그러나 철도차량이 연결기(210)의 연결에 요구되는 속도 이상으로 이동하여 외력을 형성할 경우에는 버퍼(미도시)의 완충 능력을 넘게 되어 철도차량용 완충기(100)가 서로 접촉하여 완충하는 추가 완충 작용이 일어나게 된다.However, when the railway vehicle moves beyond the speed required for connection of the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우선 철도차량이 접촉하여 연결기(000)를 통해 버퍼(미도시)에 충격이 전달되면, 1차적으로 버퍼가 완충 작용을 한다.More specifically, when an impact is transmitted to the buffer (not shown) through the connector 000 by the contact with the railway car, the buffer primarily acts as a buffer.
그러나 그 충격 강도가 버퍼의 완충 능력을 넘어서는 경우에는 연결기(210)가 내측으로 밀려 이동하게 된다.However, if the impact strength exceeds the buffering capacity of the buffer, the
다음, 상기 연결기(210)의 밀림 이동이 발생하게 되면 각 철도차량은 서로 더 가까워져 철도차량의 전두부와 후미부의 양측에 설치된 철도차량용 완충기(100)가 서로 접촉되면서 충돌 에너지를 흡수, 소산시키게 된다.Next, when the jumping movement of the
즉, 상기 철도차량용 완충기(100)가 상호 접촉시 각 충돌 부재(121)와 지지 링(123)은 상기 고정체(110)의 제1 외면 단차부(113)를 통해 슬라이딩하면서 뒤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피스톤 로드(122)는 플런저(115)의 결합구멍(115a)을 통해 이동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이때, 상기 피스톤 로드(122)는 고정체(110)의 쿠션소재 수용공간(111)에 충전되어 있는 쿠션소재(116)의 쿠션력에 의해 이동이 저지되면서 충격 에너지를 흡수, 소산 시키게 된다.At this time, the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완충기(100)는 종래와 같이 스크래퍼에 의해 내면을 긁어 내면서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지 않기 때문에 완충기(100)의 부품이 훼손되지 않으므로 교체가 불필요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Accordingly, since the
또, 상호 대향 하는 상기 완충기(100)가 서로 접촉될 때, 상기 충돌 부재(121)의 외 측면으로 형성된 요철부(121c)가 상호 교차 결합 된다.When the
즉, 상호 대향 하는 요철부(121c)의 요(凹)부는 철(凸)와 결합 되고, 철(凸)부는 요(凹)부와 결합 형성된다.That is, the concave portions of the concave-
이에 따라, 철도차량이 예기치 못한 동작으로 상호 충돌하더라도 대향 하는 충돌 부재(121)의 요철부(121c)가 상호 결합 되면서 철도차량의 타오름 현상을 방지하여 탈선을 방지하고 승객과 승무원의 부상이나 화물 파손과 같은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even when the railway vehicle collides with each other due to unexpected operation, the
그리고 요구되는 외력을 초과하는 충격 에너지가 연결기를 통해 전달될 경우 버퍼에서 완충이 이루어진 다음, 본 발명에 따른 완충기가 추가로 접촉되면서 외부 충격 에너지를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는 것이다.When the impact energy exceeding the required external force is transmitted through the connector, the buffer is buffered, and then the shock absor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contacted to easily absorb external impact energy.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의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nd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100 : 철도차량용 완충기 110 : 고정체
111 : 쿠션소재 수용공간 112 : 내면 단차부
113 : 제1 외면 단차부 114 : 제2 외면 단차부
113a, 114a : 걸림턱 114b : 수나사
115 : 플런저 115a : 결합구멍
116 : 쿠션소재 120 : 이동체
121 : 충돌 부재 121a : 수나사
121b : 내경 121c : 요철부
122 : 피스톤 로드 123 : 지지 링
123a : 제 1 내경 123b : 제 2 내경
123c : 암나사 130 : 스토퍼
131 : 플랜지 131a : 체결구멍
132 : 플랜지 링 132a : 암나사
210 : 연결기100: buffer for railroad cars 110: fixed body
111: cushion material receiving space 112: inner stepped portion
113: first outer surface step portion 114: second outer surface step portion
113a, 114a:
115: plunger 115a: engaging hole
116: cushion material 120: moving body
121:
121b:
122: piston rod 123: support ring
123a: first
123c: Female thread 130: Stopper
131: flange 131a: fastening hole
132:
210: connector
Claims (4)
상기 고정체는 내부에 쿠션소재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쿠션소재 수용공간의 일단 부분으로는 기밀을 위한 플런저와 결합을 위한 내면 단차부가 형성되며 바깥 면으로는 이동체와 스토퍼를 수용, 지지하기 위한 제1 외면 단차부와 제2 외면 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이동체는 고정체와 결합 되고 요구되는 외력을 초과할 경우 일 측으로 밀림 이동하면서 충격력을 직접 받아내는 충돌부재와 상기 충돌부재의 내측 중앙에 결합 되어 밀림 동작에 연동하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충돌부재와 고정체의 제1 외면 단차부에 공통으로 걸쳐 초기 발생되는 외력을 지지하면서 복귀시 충돌부재의 이동을 제한 하는 지지 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외면 단차부를 통해 결합 되어 충돌부재와 지지 링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철도차량 구조물에 장착되는 볼트와 체결되도록 원주를 따라 가장자리 부분에 복수 개의 체결구멍이 형성된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를 고정 지지하는 플랜지 링으로 이루어지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완충기.A shock absorber for a railway car comprising a fixed body and a moving body,
The cushioning material accommodating space is formed in the fixture body. An inner surface stepped portion for engaging the plunger for airtightness is formed at one end of the cushioning material accommodating space. The outer surface of the fixture body accommodates and supports the moving body and the stopper. 1 external surface step portion and a second external surface step portion are formed,
Wherein the moving body comprises a collision member which is engaged with the fixed body and which receives the impact force when the external force exceeds a required external force and moves to one side and directly receives the impact force, a piston rod coupled to the inner center of the collision member, And a support ring for restricting movement of the collision member when returning while supporting an external force generated in common in the first outer surface stepped portion of the stagnation,
A flange having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formed at an edge portion thereof along a circumference to be coupled with a bolt mounted on the railway car structure so as to limit movement of the impact member and the support ring through the second outer stepped portion, And a stopper made of a rin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80632A KR101784575B1 (en) | 2015-12-17 | 2015-12-17 | a buffer for railway car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80632A KR101784575B1 (en) | 2015-12-17 | 2015-12-17 | a buffer for railway car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72970A KR20170072970A (en) | 2017-06-28 |
KR101784575B1 true KR101784575B1 (en) | 2017-10-12 |
Family
ID=59280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80632A Active KR101784575B1 (en) | 2015-12-17 | 2015-12-17 | a buffer for railway car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8457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RU2730817C1 (en) * | 2019-11-14 | 2020-08-26 |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ЖД ТРАНС" | Automatic towing device of electric trai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61688Y1 (en) * | 1997-02-18 | 1999-12-01 | 최종목 | Absorber for crane |
-
2015
- 2015-12-17 KR KR1020150180632A patent/KR10178457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61688Y1 (en) * | 1997-02-18 | 1999-12-01 | 최종목 | Absorber for cran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72970A (en) | 2017-06-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591837C2 (en) | Energy-absorbing coupler | |
RU2456190C2 (en) | Cushioning unit to absorb impact and traction dynamic loads (versions) and friction mechanism for said unit | |
US8051995B2 (en) | Energy dissipation device for a car body of a multi-member rail vehicle | |
US9878728B2 (en) | Coupler | |
CN112533815B (en) | Coupler device with axially extending modules | |
CN109070912B (en) | Traction and impact device | |
KR101151801B1 (en) | Shock absorber component for railway car truck | |
JPWO2015092832A1 (en) | Rail vehicle collision energy absorber | |
KR101762733B1 (en) | shock absorber apparatus for coupling of railway vehicle | |
CN102602351A (en) | Automobile bumper with multilevel buffering device | |
CN103496382A (en) | Buffer of railway freight wagon and railway freight wagon | |
KR101784575B1 (en) | a buffer for railway cars | |
KR102034395B1 (en) | Coupler for a railway vehicle | |
JP5369866B2 (en) | Battery mounting structure | |
KR101830689B1 (en) | Shock absorbing structure of railroad cars coupler | |
US11746848B1 (en) | Buffer bracket | |
CN115306856B (en) | One-way damping motion isolation buffer for high impact loads | |
CN212802738U (en) | Anticollision type public security sentry box | |
RU2729117C2 (en) | Energy-absorbing fastener, articulated fastener and car | |
KR102218954B1 (en) | a shock absorbing device | |
KR101800338B1 (en) | Railway Transport Impact Reduce Device | |
CN207374300U (en) | A kind of motor vehicle multi-buffer energy absorption device | |
CN211280924U (en) | Automobile bumper with novel buffer structure | |
GB2525987A (en) | Protection device for a vehicle, in particular a motor vehicle | |
CN110949293A (en) | Automobile support damp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9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9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