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84389B1 - Fence post for connecting wood deck - Google Patents

Fence post for connecting wood de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4389B1
KR101784389B1 KR1020170025454A KR20170025454A KR101784389B1 KR 101784389 B1 KR101784389 B1 KR 101784389B1 KR 1020170025454 A KR1020170025454 A KR 1020170025454A KR 20170025454 A KR20170025454 A KR 20170025454A KR 101784389 B1 KR101784389 B1 KR 101784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ding
guide groove
reinforcing frame
frame
engag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54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기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알에코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알에코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알에코원
Priority to KR1020170025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438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4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4389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53Rails of materials other than metal or concrete, e.g. wood, plastics; Rails of different materials, e.g. rubber-faced metal profiles, concrete-filled steel tub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61Supports, e.g.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울타리용 지주를 금속재의 조립용 프레임에 목재 재질로 조립 제작하여 목재의 변형을 억제하는 견고하고 안정적인 조립구조를 가짐과 아울러 목재질감의 외관을 나타냄과 함께 내구성이 강화되는 동시에 목재 또는 프레임의 손상시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며, 중심에는 상하로 개방된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를 중심으로 상하좌우 돌출되어 사방에 돌출부가 형성되면서 외부 사방의 모서리에 각각 돌출된 제1결합부가 형성되는 수직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십자형의 보강프레임과, 상기 보강프레임 각각의 제1결합부에 끼움 결합되어 좌우대칭구조로 마주하게 되며, 상기 제1결합부에 결합되도록 일단에 제2결합부가 형성되면서 상기 제2결합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연장부 단부의 일측에 제1끼움부와 제1연장부 단부 타측에 제2끼움부가 타단을 형성하며, 상기 보강프레임 가로방향의 제1결합부에 각각 결합되어 마주할 때 상기 제1끼움부가 서로 마주하여 제1가이드홈을 형성하면서 세로방향의 제1결합부에 각각 결합되어 마주할 때 상기 제2끼움부가 마주하여 제2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결합프레임 및, 상기 제1가이드홈과 제2가이드홈에 끼움 결합되는 목재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목재 결합용 울타리 지주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ame structure for a fence, which has a rigid and stable assembling structure for preventing deformation of the wood by assembling a frame for assembling a metal material with a wood material and exhibiting an appearance of a wood texture and strengthening durability, A protruding portion is formed in each of the four sides, and a first engaging portion protruding from each corner of the outer four sides is formed A reinforcing frame having a cross shap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second engaging part formed at one end to be engaged with the first engaging part of each of the reinforcing frames and facing the first engaging part, A first extending portion extending horizontally in the second coupling portion is formed, and a first extending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end of the first extending portion, And a second fitting portion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fitting portion and the end of the first extending portion so as to be coupled to the first fitting portio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frame and facing the first fitting portions when facing each other, And a second guide groove formed in the second guide groove when the first guide groove and the second guide groove are opposed to each other when the first guide groove and the second guide groove are opposed to each other, Thereby providing a wooden joining fence post which is constructed.

Description

목재 결합용 울타리 지주{FENCE POST FOR CONNECTING WOOD DECK}FENCE POST FOR CONNECTING WOOD DECK

본 발명은 목재 결합용 울타리 지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울타리용 지주를 금속재의 조립용 프레임에 목재 재질로 조립 제작하여 목재의 변형을 억제하는 견고하고 안정적인 조립구조를 가짐과 아울러 목재질감의 외관을 나타냄과 함께 내구성이 강화되는 동시에 목재 또는 프레임의 손상시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 목재 결합용 울타리 지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oden joining fence post, and more particularly, to a wooden joining fence post which has a rigid and stable assembling structure for restraining the deformation of the wood by assembling a post for a fence into a frame for assembling a metal materi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oden joining fence support which can be easily replaced when a wooden or a frame is damaged.

일반적으로 울타리는 도로변, 자전거 전용도로, 학교 주변, 등산로 등의 도로에 설치되거나, 현관, 거실, 조경시설물, 육각정자, 파고라, 쉼터, 체육시설, 의자, 어린이 놀이시설 등과 같은 시설물의 외곽과 바닥의 데크에 설치되어, 일반 보행자나 어린이 또는 자전거 이용자의 안전과 편의를 도모하고 양방 통행을 원활하게 하며 특정구역에 대한 경계를 표시하기 위하여 사용된다.Generally, a fence is installed on a road such as a roadside, a bicycle-dedicated road, a school, or a mountaineering road, or a fence may be installed on the outskirts of a facility such as an entrance hall, a living room, a landscape facility, a hexagon shed, a pagoda, a shelter, It is used on the deck of the deck to facilitate the safety and convenience of pedestrians, children, or bicycles, to facilitate bicycle traffic, and to mark boundaries for specific areas.

이러한 울타리는 주로 철이나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로 이루어져 있어 딱딱하고 차가운 느낌을 줄 뿐만 아니라 장기간 사용에 의해 녹이 슬거나 햇빛에 의해 부식됨에 따라 주변의 경관을 해칠 우려가 있으며, 또한 중량이 무거운 편인데다가 용접 등의 방법으로 조립해야 하므로 조립 및 설치 작업이 번거롭고 유지 보수에도 불편함이 있었다.Such a fence is mainly made of metal such as iron or aluminum, which not only gives a hard and cold feeling but also can damage the surrounding landscape due to rusting due to long-term use or sunlight, and the weight is heavy Welding or the like, so that assembly and installation work are troublesome and maintenance is inconvenient.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근래에는 인테리어 마감용 합성목재(合成木材, synthetic wood) 등을 이용한 울타리를 제작하여 보급하고 있다. 상기 합성목재는 목재부스러기(대패밥, 톱밥)와 발포제(發泡劑)를 혼합한 플라스틱을 성형할 때 발포시켜서 천연 목재와 비슷한 외관이나 성질을 갖게 한 재료로 사출 또는 압출성형으로 만들어진다.To solve these problems, fences using synthetic wood (synthetic wood) for interior finishing have recently been produced and distributed. The synthetic wood is produced by injection or extrusion molding of a material which is foamed when plastic is mixed with wood shavings (sawdust) and foaming agent to make it look and feel similar to natural wood.

상기한 합성목재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원료로서는 폴리스틸렌, ABS수지 등이 쓰이고, 이와 같은 플라스틱 원료를 사출 또는 압출성형하여 제조된다. 사출성형품은 성형 시에 조각이나 나무결 무늬가 넣어지므로 인쇄나 도장(塗裝) 등의 2차 가공을 하지 않고서도 나무의 질감(質感)을 나타낼 수 있다.As the plastic raw material used for the above-mentioned synthetic wood, polystyrene, ABS resin, or the like is used, and these plastic raw materials are produced by injection or extrusion molding. Since the injection-molded article is filled with sculptures or grain patterns during molding, the texture of the wood can be expressed without secondary processing such as printing or painting.

또한 합성목재는 내구성, 내수성이 우수하며 목재와 달리 썩거나 쉽게 뒤틀리지 않으면서도 누구나 시공이 간편하고 유지보수가 거의 들지 않고 반영구적으로 사용 후 재설치도 가능하여 최근 들어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지주와 파이프들 간에 연결구조가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울타리에 비해 유지 강도가 낮을 수밖에 없어 잦은 움직임이나 외부 충격으로 연결부위나 그 자체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synthetic wood is excellent in durability and water resistance. It is easy to construct without any rotting or twisting, unlike wood. It is semi-permanently installed and can be re-installed, The connection structure is inferior to the metal fence and the holding strength is low.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frequent movements or external impacts easily break the connection portion or itself.

이와 같은 합성목재의 문제점을 해소하면서 자연친화적인 울타리의 시공을 위해, 최근에는 천연 목재인 원목을 이용하여 제조된 목재 울타리가 개발되어 시공되고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such synthetic wood and to construct a natural-friendly fence, a wooden fence made of natural wood, which is a natural wood, has been developed and constructed.

그러나 종래의 목재 울타리는 구조적으로 주변경관 또는 자연환경 등과 잘 어울리지 못하여 친환경적인 자연미를 조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목재의 외부로 볼트나 못 등의 고정부재가 노출되었기 때문에 외관이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conventional wooden fences are not structurally compatible with surrounding landscapes or natural environments and thus can not provide an environmentally friendly natural beauty. In particular, since the fixing members such as bolts and nails are exposed to the outside of wood, There was a problem.

또한 종래의 목재 울타리는 구조적으로 강도가 취약하여 안정감을 부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기상이변(태양열, 비, 바람)에 취약하여 쉽게 녹슬거나 목재가 들뜨거나 이탈되는 등 수명이 오래가지 못하여 수시로 보수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wooden fence has a problem in that it can not provide a sense of stability due to its structural weakness and is vulnerable to the weather (solar heat, rain, wind), easily rusted, There was an inconvenient problem to be repaired.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31247호(발명의 명칭 : 목재 조립형 울타리 지주)1.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631247 (Title of the invention: Wooden built-up type fence support)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29427호(발명의 명칭 : 난간 및 휀스용 지주)2.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429427 (title of invention: support for railing and fence)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주변경관 또는 자연환경 등과 잘 어울리는 친환경적 자연미를 조성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구조적으로 외관이 미려하고 강도를 한층 크게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며, 그리고 녹슬 염려가 없고 견고하여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목재의 이탈을 방지하여 안정감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한 목재 결합용 울타리 지주를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overcome the drawback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n eco-friendly natural beauty that matches well with surrounding scenery or natural environ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ooden joining fence support that can be used without any rusting, and can be used stably and stably, and can prevent the detachment of the wood and provide a sense of stability.

또한, 울타리의 지주에 대한 외부와의 충격을 받을 경우 견고한 지지력을 발휘하는 중앙 공간부와 상기 중앙 공간부 모서리에 결합되는 결합프레임이 슬라이드형태로 결합되어 조립 및 교체가 용이한 구조를 가지면서 상기 결합프레임들 사이에 목재프레임이 결합되어 조립 및 교체가 용이한 구조를 가지는 견고한 강도, 안정성 및 조립교체용이성의 또다른 목적을 가지는 목재 결합용 울타리 지주를 제공하는 데 있다.In addition, when a fence is impacted by the outside against the outside, a central space portion exhibiting a strong supporting force and a coupling frame coupled to an edge of the central space portion are slidably coupled to facilitate assembly and replacemen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ooden joining fence support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wooden frame is interposed between joining frames to facilitate assembly and replacement of the joining frame.

상기 서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다음과 같은 실시예를 통하여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following problems are solved through the following embodiments.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중심에는 개방된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를 중심으로 상하좌우 돌출되어 사방에 돌출부가 형성되면서 외부 사방의 모서리에 각각 돌출된 제1결합부가 형성되는 수직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십자형의 보강프레임과,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the steps of: forming an open space in the center, protruding vertically and horizontally from the space, and protruding in all directions, An elongated cross-shaped reinforcing frame,

상기 보강프레임 각각의 제1결합부에 끼움 결합되어 좌우대칭구조로 마주하게 되며, 상기 제1결합부에 결합되도록 일단에 제2결합부가 형성되면서 상기 제2결합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연장부 단부의 일측에 제1끼움부와 제1연장부 단부 타측에 제2끼움부가 타단을 형성하며, 상기 보강프레임 가로방향의 제1결합부에 각각 결합되어 마주할 때 상기 제1끼움부가 서로 마주하여 제1가이드홈을 형성하면서 세로방향의 제1결합부에 각각 결합되어 마주할 때 상기 제2끼움부가 마주하여 제2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결합프레임 및,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wherein the second coupl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of the reinforcing frame,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extending portion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extending por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extend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frame, An engaging frame having a first engaging portion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the first engaging portion engaging with the first engaging portion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facing the first engaging portion,

상기 제1가이드홈과 제2가이드홈에 끼움 결합되는 목재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목재 결합용 울타리 지주를 제공한다.And a wooden frame fitted to the first guide groove and the second guide groove.

한편, 상기 보강프레임의 제1결합부는 모서리에 직각으로 돌출되어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블록과, 상기 가이드블록의 모서리에서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각각 연장 절곡되어 상호 대칭구조로 형성되면서 상기 절곡된 단부가 돌출부의 측면에 마주하여 제3가이드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ㄱ"자형 가이드편으로 구성되고,The first coupling part of the reinforcing frame is formed with a guide block protruding at right angles to a corner and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and the guide block is formed to have a mutually symmetrical structure by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corner of the guide block, Quot; -shaped guide piece having an end portion facing the side surface of the projection and having a third guide groove formed therein,

상기 결합프레임의 제2결합부는 제1연장부 단부에 상호 대칭구조를 가져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제2연장부가 형성되면서 상기 연장된 단부에서 절곡된 “ㄴ"자형의 절곡탭이 형성되어 제3가이드홈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편으로 구성되는 목재 결합용 울타리 지주를 제공한다.The second coupling portion of the coupling frame has a second extending portion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vertical direction, respectively, having mutually symmetrical structures at the ends of the first extending portions, and a "b" shaped bending tab bent at the extended end is formed And a pair of engaging pieces which are engaged with the third guide grooves.

한편, 상기 수평의 제1연장부 단부 일측에 마련된 제1끼움부는 상기 제1연장부 단부에서 상향의 수직으로 절곡 연장되면서 상기 수직 연장된 단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고,Meanwhile, the first fitting portion provided at one end of the horizontal first extending portion is formed to extend horizontally from the vertically extended end while being bent upwardly and vertically from the end of the first extending portion,

상기 수평의 제1연장부 단부 타측에 마련된 제2끼움부는 상기 제1연장부 단부에서 하향의 수직으로 절곡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목재 결합용 울타리 지주를 제공한다.And the second fitting portion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horizontal first extending portion is formed to be bent downward and vertically at the end of the first extending portion.

한편, 상기 제1끼움부와 제2끼움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전체 면에 요철부가 형성되는 목재 결합용 울타리 지주를 제공한다.The concave / convex portion is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fitting portions exposed to the outside.

한편, 상기 제2결합부의 결합편이 제3가이드홈에 결합하였을 때 제2연장부가 보강프레임의 돌출부 노출면과 동일선상으로 위치하는 목재 결합용 울타리 지주를 제공한다.In the meantime, when the engaging part of the second engaging part is engaged with the third guide groove, the second extending part is positioned in the same line as the exposed surface of the reinforcing frame.

한편, 상기 보강프레임의 공간부 내부 사방의 모서리에 각각 내측으로 절개된 제1절개홀이 형성되면서 상기 제1절개홀 내측으로 연계되어 제1절개홀의 내경에 비해 큰 내경을 가진 개방된 링형의 제1결속홀이 형성되면서 대각방향의 모서리에서 상호 제1절개홀이 마주하도록 형성되는 목재 결합용 울타리 지주를 제공한다.The reinforcing frame includes a first incision hole formed at an inner side of each of the four corners of the space, an opening ring-shaped member having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an inner diameter of the first incision hole and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incision hole, 1 < / RTI > binding holes are formed so that the first incision holes face each other at the diagonal corners.

한편, 상기 제1가이드홈과 제2가이드홈에 결합된 각각의 목재프레임이 외부로 노출되는 전체 면에 목재프레임 양측과 단차진 노출부가 형성되는 목재 결합용 울타리 지주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ooden joining fence support having both sides of a wooden frame and a stepped exposed portion formed on an entire surface of each of the wooden frames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guide grooves.

한편, 상기 보강프레임의 제1결합부는 모서리에 사선으로 돌출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 단부에 링형의 제1걸림봉이 형성되고,The first engaging portion of the reinforcing frame may include a first supporting portion protruding obliquely at a corner and a ring-shaped first engaging rod at an end of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상기 결합프레임의 제2결합부는 상기 제1지지부가 결속되도록 내측으로 절개된 제2절개홀이 형성되면서 상기 제2절개홀 내측으로 연계되어 상기 제1걸림봉이 결속되도록 제2절개홀의 내경에 비해 큰 내경을 가진 개방된 링형의 제2결속홀이 형성되는 목재 결합용 울타리 지주를 제공한다.The second engaging portion of the engaging frame is formed with a second incision hole that is inwardly cut so as to engage with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and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incision hole to be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incision hole And a second binding hole of an open ring type having an inner diameter is formed.

본 발명의 목재 결합용 울타리지주에 따르면, 목재들이 지주의 수직방향 외측 사방면에 결합되도록 목재와 결합프레임 상호간 목재들을 견고한 슬라이드형태로 결합되면서 상기 결합프레임이 지주 내부 중앙의 보강프레임의 모서리에 견고한 슬라이드형태로 결합되어 목재와 결합프레임을 감싸도록 결합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주변경관 또는 자연환경 등과 잘 어울리는 친환경적 자연미를 조성할 수 있으며, 또한 목재, 결합프레임 및 보강프레임을 고정시키는 결합수단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외관이 미려하고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목재의 재질적 특징을 감안하여 목재의 변형을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내구성과 결합 안정성을 증대시켜 경제성과 경쟁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 및 각 구성요소별 상호 조립이 용이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wooden joining fence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joining frame is interposed between the timber and the joining frame so that the joining of the timber and the joining frame of the joining frame to the joining of the joining members to the vertical outwardly oblique side of the support, It is possible to form an eco-friendly natural beauty which is structurally compatible with the surrounding scenery or the natural environment, and also the joining means for fixing the wood, the joining frame and the reinforcing frame can be expose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durability and bonding stability by increasing the appearance and the strength, and by constructing the wood deformation so as to actively cope with the deformation of the wood in considera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of the wood, For each component, There are the effects that can improve the workabilit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 결합용 울타리 지주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 결합용 울타리 지주에서 절단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 결합용 울타리 지주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 결합용 울타리 지주의 분해 조립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 결합용 울타리 지주의 분해 조립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 결합용 울타리 지주에서 보강프레임에 결합프레임이 조립되는 조립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 결합용 울타리 지주에서 결합프레임의 사시도(a)와 단면도(b).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 결합용 울타리 지주에서 보강프레임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 결합용 울타리 지주에서 보강프레임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 결합용 울타리 지주에서 결합된 보강프레임과 결합프레임에 목재프레임이 조립되는 조립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 결합용 울타리 지주에서 결합된 보강프레임과 결합프레임에 목재프레임이 조립되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 결합용 울타리 지주에서 보강프레임에 보강바가 조립되는 조립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 결합용 울타리 지주에서 다른 결합구조를 가진 보강프레임과 결합프레임이 결합된 지주의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본 발명에 따른 목재 결합용 울타리 지주에서 보강프레임과 결합프레임의 조립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본 발명에 따른 목재 결합용 울타리 지주에서 보강프레임과 결합프레임의 조립 단면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ooden joining fence po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wooden joining fence po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of a wooden joining fence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ooden joining fence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ploded assembly sectional view of a wooden joining fence po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assembled view of a joining frame assembled to a reinforcing frame in a wooden joining fence po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a) and a cross-sectional view (b) of a joining frame in a wooden joining fence po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inforcing frame in a wooden joining fence po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ectional view of a reinforcing frame in a wooden joining fence po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n assembled view of a wooden frame assembled to a reinforcing frame and a coupling frame combined in a wooden joining fence po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ssembling a wooden frame to a reinforcing frame and a coupling frame combined in a wooden joining fence po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n assembling view in which a reinforcing bar is assembled to a reinforcing frame in a wooden joining fence po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ing frame having a joining frame combined with a reinforcing frame having another joining structure in the wooden joining fence po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4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reinforcing frame and a coupling frame in a wooden joining fence po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3; FIG.
Fig. 15 is an assembly sectional view of a reinforcing frame and a coupling frame in a wooden joining fence po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4; Fig.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the examples described below and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re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explana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necessarily obscur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목재 결합용 울타리 지주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ooden joining fence suppor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심에는 개방된 공간부(101)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101)를 중심으로 상하좌우 돌출되어 사방에 돌출부(102)가 형성되면서 외부 사방의 모서리에 각각 돌출된 제1결합부(110)가 형성되는 수직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십자형의 보강프레임(100)과, 상기 보강프레임(100) 각각의 제1결합부(110)에 끼움 결합되어 좌우대칭구조로 마주하게 되며, 상기 제1결합부(110)에 결합되도록 일단에 제2결합부(210)가 형성되면서 상기 제2결합부(210)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220)가 형성되어 상기 제1연장부(220) 단부의 일측에 제1끼움부(230)와 제1연장부(220) 단부 타측에 제2끼움부(240)가 타단을 형성하며, 상기 보강프레임(100) 가로방향의 제1결합부(110)에 각각 결합되어 마주할 때 상기 제1끼움부(230)가 서로 마주하여 제1가이드홈(250)을 형성하면서 세로방향의 제1결합부(110)에 각각 결합되어 마주할 때 상기 제2끼움부(240)가 마주하여 제2가이드홈(260)이 형성되는 결합프레임(200) 및, 상기 제1가이드홈(250)과 제2가이드홈(260)에 끼움 결합되는 목재프레임(300)으로 구성되는 목재 결합용 울타리 지주(10, 이하, ‘지주’라 칭함.)를 제공한다.As shown in FIGS. 1 to 11,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space 101 opened at the center is formed, and protrusions 102 are formed in four directions by vertically and horizontally protruding from the space 101, A reinforcing frame 100 having a cross shape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first engaging portions 110 protruded from corners of the reinforcing frame 100; A first extending portion 220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10 while a second coupling portion 210 is formed at one end to be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0, The other end of the first extending portion 220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extending portion 220 form the other end of the first extending portion 220, The first engaging portions 230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s 230 face each other when facing each oth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 coupling frame 200 in which the second guide groove 260 is formed by facing the second fitting part 240 when the first coupling part 110 is coupled with the longitudinal coupling part 110 while forming the groove 250, And a wooden frame 300 fitted and coupled to the first guide groove 250 and the second guide groove 260 to provide a wooden joining fence support 10 .

본 발명의 지주(10)는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의 보강프레임(100)과, 상기 보강프레임(100)의 모서리에 연결되는 결합프레임(200) 및, 상기 결합프레임(200)에 연결되는 목재프레임(300)으로 구성되어 사면체 구조로 각각의 구성요소들이 지주(10)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결합 조립되는 구조를 가진다.1 to 5, a stru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inforcing frame 100 at the center, a coupling frame 200 connected to the corners of the reinforcing frame 100, And a wooden frame 300 connected to the support frame 10 so that each component is coupled and assemb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10 in a tetrahedron structure.

도 4,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보강프레임(100)은 중심에는 상하로 개방된 공간부(101)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101)를 중심으로 상하좌우 돌출되어 사방(四方)에 돌출부(102)가 지주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면서 외부 사방의 모서리에 각각 돌출된 제1결합부(110)가 형성되는 수직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결합부(110)는 공간부(101) 외부의 모서리 즉, 일측 돌출부(102) 측면과 타측 돌출부(102) 측면이 교차하는 위치인 모서리에 직각으로 돌출되어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블록(111)과, 상기 가이드블록(111)의 모서리에서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각각 연장 절곡되어 상호 대칭구조로 형성되면서 상기 절곡된 단부가 돌출부(102)의 측면에 마주하여 제3가이드홈(120)이 형성되는 한 쌍의 “ㄱ"자형 가이드편(112)으로 구성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4, 8 and 9, the reinforcing frame 100 is formed with a space portion 101, which is vertically opened at the center thereof. The reinforcing frame 100 is vertically and horizontally protruded from the space portion 101, The protrusions 102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pillars and have a first longitudinally extending structure in which first protrusions 110 protruding from the corners of the outer sides are formed, A guide block 111 protruding at a corner perpendicular to an edge of the space 101, that is, a side where the side of one projecting part 102 and the side of the other projecting part 102 intersect, A pair of guide grooves 120 protru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vertical direction at the corners of the guide block 111 so as to be symmetrical with each other and having bent ends facing the side surfaces of the protrusions 102, Shaped guide member 112 of the " It consists of a castle.

상기 제1결합부(110)는 가이드블록(111)과 한 쌍의 가이드편(112)으로 일체의 구조를 지주(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블록(111)은 모서리에 직면하여 수평 단면이 사각형의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며, 이때 상기 가이드블록(111)이 외부로 직각되는 2개의 면이 노출되어 상기 노출된 직각면의 모서리에서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각각 연장 절곡된 “ㄱ"자형 가이드편(112)이 형성되어 가이드블록(111)에 대칭구조를 가진 한 쌍의 가이드편(112)이 형성된다.The first coupling part 11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guide block 111 and the pair of guide pieces 11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lumn 10 and the guide block 111 faces the corner The guide block 111 is exposed at two planes orthogonal to the outside and is b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ly extended direction at the corner of the exposed right angle surface. Shaped guide piece 112 is formed and a pair of guide pieces 112 having a symmetrical structure are formed in the guide block 111. [

그리고, 상기 가이드편(112)의 절곡된 단부가 돌출부(102)의 측면에 마주하여 상기 가이드편(112)과 돌출부(102) 측면 사이에 제3가이드홈(120)이 형성된다.A third guide groove 120 is formed between the guide piece 112 and the side surface of the protrusion 102 with the bent end of the guide piece 112 facing the side surface of the protrusion 102.

그리고, 도 6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결합프레임(200)은 상기 보강프레임(100) 각각의 제1결합부(110)에 끼움 결합되어 좌우대칭구조로 보강프레임(100)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하게 되며, 상기 제1결합부(110)에 결합되도록 일단에 제2결합부(210)가 형성되면서 상기 제2결합부(210)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220)가 형성되어 상기 제1연장부(220) 단부의 일측에 제1끼움부(230)와 제1연장부(220) 단부 타측에 제2끼움부(240)가 타단을 형성하며, 상기 보강프레임(100) 가로방향의 제1결합부(110)에 각각 결합되어 마주할 때 상기 제1끼움부(230)가 서로 마주하여 제1가이드홈(250)을 형성하면서 세로방향의 제1결합부(110)에 각각 결합되어 마주할 때 상기 제2끼움부(240)가 마주하여 제2가이드홈(260)이 형성된다.6 and 7, the coupling frame 200 is fitted into the first coupling part 110 of each of the reinforcing frames 100 to form a symmetrical structure with respect to the reinforcing frame 100 And a first extending part 220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second coupling part 210 is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coupling part 210 so as to be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art 110 The other end of the first extension part 220 forms a second end of the first extension part 220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extension part 220 forms the other end of the first extension part 220, The first engaging portions 110 are coupled to the first engaging portions 1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ile the first engaging portions 230 face each other to form the first guide grooves 250 when facing each other, The second fitting portion 240 faces the second guide groove 260, and the second guide groove 260 is formed.

도 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결합프레임(200)은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220)를 기준으로 일측 단부에 제2결합부(210)가 형성되며, 타측 단부의 상하측 각각에 제1끼움부(230)와 제2끼움부(240)가 형성되는 일체의 구조로 지주(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As shown in FIG. 7A, the coupling frame 200 includes a second coupling portion 210 formed at one end thereof with respect to a first extended portion 220 extending horizontally, The first and second fitting portions 230 and 240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ut 10 in an integral structure.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결합부(210)는 제1연장부(220) 단부에 사선으로 상호 대칭구조를 가져 상기 제1연장부(220)의 단부에서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제2연장부(212)가 형성되면서 상기 연장된 단부에서 절곡된 “ㄴ"자형의 절곡탭(213)이 형성되어 보강프레임(100)의 제1결합부(110)에 의해 형성된 제3가이드홈(120)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편(211)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 7 (b), the second coupling part 210 has a mutually symmetrical structure with a diagonal line at the end of the first extending part 220, so that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Shaped bending tab 213 bent at the extended end is formed by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0 of the reinforcing frame 100 while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212 extending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frame 100 is formed, And a pair of coupling pieces 211 coupled to the third guide groove 120 are formed.

상기 제2결합부(210)는 제1연장부(220) 단부에 직교형태로 한 쌍의 결합편(211)이 연결되는 구조로서, 상기 결합편(211)은 제2연장부(212)와 상기 제2연장부(212) 단부에서 절곡된 “ㄴ"자형의 절곡탭(213)으로 구성된다.The second coupling part 210 has a structure in which a pair of coupling parts 211 are connected to an end of the first extension part 220 in an orthogonal shape and the coupling part 211 is connected to the second extension part 212, Shaped bending tab 213 bent at the end of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212. [

도 5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보강프레임(100)의 제1결합부(110)에 결합프레임(200)의 제2결합부(210)를 조립시 제2결합부(210)의 제2연장부(212)는 제1결합부(110)의 가이드편(112) 외면에 면접 및 가이드하게 되며, 상기 제2결합부(210)의 절곡탭(213)은 보강프레임(100)의 제1결합부(110)에 의해 형성된 제3가이드홈(120)에 끼움 결합되어 슬라이드형태로 보강프레임(100)에 결합하게 된다.5 and 9, when the second engaging portion 210 of the engaging frame 200 is assembled to the first engaging portion 110 of the reinforcing frame 100, the second engaging portion 210 of the second engaging portion 210, The bending tab 213 of the second engaging portion 210 is inserted into the first portion 110 of the reinforcing frame 100 and the second portion of the reinforcing frame 100 And is engaged with the third guide groove 120 formed by the engaging part 110 to be engaged with the reinforcing frame 100 in the form of a slide.

이때,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결합부(210)의 결합편(211)이 제3가이드홈(120)에 결합하였을 때 제2연장부(212)가 보강프레임(100)의 돌출부(102) 노출면(103)과 동일선상으로 위치하며, 상기 돌출부(102)의 노출면(103)은 돌출부(102)의 양측면을 제외한 외부로 노출되는 면을 가리킨다.11, when the engaging piece 211 of the second engaging part 210 is engaged with the third guide groove 120, the second extending part 212 is engaged with the projecting part of the reinforcing frame 100 And the exposed surface 103 of the protruding portion 102 refers to a surface exposed to the outside except for both side surfaces of the protruding portion 102. The exposed surface 103 of the protruding portion 102 is exposed.

그리고, 상기 제1연장부(220) 단부의 상측에 제1끼움부(230)와 제1연장부(220) 단부 하측에 제2끼움부(240)가 형성되며, 상기 제1끼움부(230)는 상기 제1연장부(220) 단부에서 상향의 수직으로 절곡 연장되면서 상기 수직 연장된 단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끼움부(240)는 상기 제1연장부(220) 단부에서 하향의 수직으로 절곡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된다.The first fitting part 230 and the second fitting part 240 are formed on the lower end of the first extending part 220 and the first fitting part 230 Is formed to extend horizontally from the vertically extended end while being bent upwardly and vertically at an end of the first extension part 220, and the second end part 240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first extension part 220 To be vertically downward.

도 2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끼움부(230)와 제2끼움부(240)가 외부로 노출되는 전체 면 즉, 상기 보강프레임(100)에 상기 결합프레임(200)에 결합시 외부로 노출되는 면으로서 수직의 길이방향으로 요철부(201)가 다수 개 등간격으로 형성된다.2 and 7, when the first and second fitting parts 230 and 240 are exposed to the outside, that is, when the reinforcing frame 100 is coupled to the coupling frame 200, A plurality of concave-convex portions 201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a surface exposed to the outside.

그리고,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보강프레임(100) 가로방향(또는 수평방향)의 제1결합부(110)에 각각 결합되어 보강프레임(100)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할 때 상기 제1끼움부(230)가 서로 마주하여 사각형의 제1가이드홈(250)을 형성하며, 상기 보강프레임(100)의 세로방향(또는 수직방향)의 제1결합부(110)에 각각 결합되어 보강프레임(100)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할 때 상기 제2끼움부(240)가 서로 마주하여 사각형의 제2가이드홈(260)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 11, when the reinforcing frame 100 is coupled to the first engaging portions 11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r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faces the reinforcing frame 100 on the basis of the first reinforcing frame 100, The reinforcing frame 100 is coupled to the first engaging portions 110 of the reinforcing frame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vertical direction) to form a rectangular first guide groove 250, The second fitting portions 240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a second guide groove 260 having a rectangular shape is formed.

이때 도 5,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가이드홈(250)과 제2가이드홈(260)의 면적에 동일한 면적을 가진 목재프레임(300)이 내속되어 결합하게 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S. 5, 10, and 11, the wooden frame 300 having the same area as the area of the first guide groove 250 and the second guide groove 260 is inwardly engaged.

그리고, 도 11과 같이 상기 보강프레임(100)을 기준으로 4개의 결합프레임(200)이 결합시 보강프레임(100)을 기준으로 상하로 제1가이드홈(250)이 대칭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보강프레임(100)을 기준으로 좌우로 제2가이드홈(260)이 대칭구조로 형성된다.As shown in FIG. 11, the first guide grooves 250 are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reinforcing frame 100 when the four engaging frames 200 are coupled with respect to the reinforcing frame 100, The second guide grooves 260 are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reinforcing frame 100.

그리고, 도 10과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판재프레임(300)은 상술한 보강프레임(100)에 4개의 결합프레임(200)이 결합시 사방으로 형성되는 제1, 2가이드홈(250, 260)에 슬라이드형태로 결합되며, 상기 제1가이드홈(250)과 제2가이드홈(260)에 결합된 각각의 목재프레임(300)이 외부로 노출되는 전체 면에 목재프레임(300) 양측과 단차진 노출부(310)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프레임(200)의 제1끼움부(230)와 제2끼움부(240)와 동일선상으로 형성되어 전체의 지주(10) 사방면이 단차없는 사각형태로 형성된다.10 and 11, the plate frame 300 includes first and second guide grooves 250 and 260, which are formed in the reinforcing frame 100 in four directions when the four engaging frames 200 are coupled to the reinforcing frame 100, And the wood frame 300 coupled to the first guide groove 250 and the second guide groove 26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wood frame 300 and on both sides of the wood frame 300, The first and second fitting parts 230 and 240 of the coupling frame 200 are formed in the same line as the first and second fitting parts 310 and 240, .

또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보강프레임(100)의 공간부(101) 내부 사방의 모서리에 각각 내측으로 절개된 제1절개홀(104)이 형성되면서 상기 제1절개홀(104) 내측으로 연계되어 제1절개홀(104)의 내경에 비해 큰 내경을 가진 개방된 링형의 제1결속홀(105)이 형성되면서 대각방향의 모서리에서 상호 제1절개홀(104)이 마주하도록 형성되는 지주(10)를 제공한다.9, a first incision hole 104 is formed at each corner of the interior of the space 101 of the reinforcing frame 100, and the first incision hole 104 is formed inside the first incision hole 104 A first ring-shaped binding hole 105 having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incision hole 104 is formed and the first incision hole 104 is formed so as to face the first incision hole 104 at the corners in the diagonal direction, (10).

상기 보강프레임(100)의 공간부(101) 내부에 형성되는 모서리 즉, 보강프레임(100)의 4개의 돌출부(102) 중 상호 돌출부(102)가 직교되는 위치의 공간부 내면에 형성되는 모서리에서 내측으로 절개된 제1절개홀(104)과 상기 제1절개홀(104) 내측으로 연계되어 원형의 제1결속홀(105)이 지주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보강프레임(100)이 공간부(101) 내면에 형성된 4개의 모서리에 각각 제1절개홀(104)과 제1결속홀(105)이 상호 연계되어 형성되면서 상기 제1절개홀(104)의 내경이 제1결속홀(105)의 내경에 비해 작은 내경을 가지며, 상기 4개의 모서리에 형성된 제1절개홀(104) 방향이 대각방향의 모서리와 상호 마주하도록 형성된다.A corner formed at the inner surface of the space portion 101 of the reinforcing frame 100 at the position where the mutually projecting portions 102 of the four projecting portions 102 of the reinforcing frame 100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The first incision hole 104 and the first incision hole 10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and the reinforcing frame 100 is formed in the space The first cutting hole 104 and the first binding hole 105 are form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at four corner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portion 101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cutting hole 104 is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binding hole 105 And the direction of the first incision hole 104 formed at the four corners is formed so as to face the corners in the diagonal direction.

또한,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보강프레임(100)의 내부에 결합되어 지주(10)의 지지력 및 강도를 더욱 강화하도록 상기 보강프레임(100)의 공간부(101) 내면의 모서리에 형성된 제1절개홀(104)과 제1결속홀(105)에 대응되어 결속되도록 외면의 모서리에 각각 사선으로 돌출되는 제2지지부(401)와 상기 제2지지부(401) 단부에 링형의 제2걸림봉(402)이 형성되는 보강바(400)가 지주(10)의 길이방향으로 마련되어 보강프레임(100) 공간부(101)에 결합하게 되며, 상기 보강바(400)는 내부에 빈 공간으로 상하로 개방되면서 내부 수평단면이 사각형을 가진다.12, the reinforcing frame 100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reinforcing frame 100 so as to further strengthen the supporting force and strength of the struts 10, A second support portion 401 protruded obliquely to the edge of the outer surface so as to be coupled to the cutout hole 104 and the first binding hole 105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401 protruding obliquely from the edg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401, The reinforcing bar 400 is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ut 10 and is coupled to the space 101 of the reinforcing frame 100. The reinforcing bar 400 is vertically opened The inner horizontal section has a square.

즉, 상기 보강바(400)의 제2걸림봉(402)이 보강프레임(100)의 제1결속홀(105)로 내속되면서 보강바(400)의 제2지지부(401)가 제1절개홀(104)로 내속되어 보강바(400)가 보강프레임(100) 공간부(101)에 슬라이드형태로 결합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second retaining bar 402 of the reinforcing bar 400 is moved into the first binding hole 105 of the reinforcing frame 100,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401 of the reinforcing bar 400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cising hole The reinforcement bar 400 is slidably engaged with the space portion 101 of the reinforcing frame 100. [

또한, 도 13 내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보강프레임(100)의 제1결합부(110)는 모서리에 사선으로 돌출되는 제1지지부(113)와 상기 제1지지부(113) 단부에 링형의 제1걸림봉(114)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프레임(200)의 제2결합부(210)는 상기 제1지지부(113)가 결속되도록 내측으로 절개된 제2절개홀(214)이 형성되면서 상기 제2절개홀(214) 내측으로 연계되어 상기 제1걸림봉(114)이 결속되도록 제2절개홀(214)의 내경에 비해 큰 내경을 가진 개방된 링형의 제2결속홀(215)이 형성되는 지주(10)를 제공한다.13 to 15, the first engaging portion 110 of the reinforcing frame 100 includes a first support portion 113 protruding obliquely at an edge thereof,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113 protruded obliquely at an edg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113. [ The first engaging rod 114 is formed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210 of the engaging frame 200 is formed with the second incision hole 214 cut inward so that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113 is engaged An open ring-shaped second binding hole 215 having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incisional hole 214 is formed so as to b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incisional hole 214 to bind the first hooking rod 114 (10) to be formed.

상기 제1결합부(110)와 제2결합부(210)는 지주(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부(110)에 제2결합부(210)가 슬라이드형태로 결합되도록 대응되는 구조 및 위치를 가진다.The first coupling portion 110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10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ut 10 so that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10 is slidably engaged with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0. [ And has a corresponding structure and position.

상기 제1결합부(110)의 제1걸림봉(114)이 제2결합부(210)의 제2결속홀(215)로 내속되면서 상기 제1결합부(110)의 제1지지부(113)의 제2결합부(210)의 제2절개홀(214)로 내속되면서 슬라이드형태로 결합하게 되어 상기 보강프레임(100)의 제1결합부(110)에 결합프레임(200)의 제2결합부(210)가 결합되게 된다.The first engaging rod 114 of the first engaging portion 110 is engaged with the second engaging hole 215 of the second engaging portion 210 so that the first engaging portion 114 of the first engaging portion 110 is engaged with the second engaging hole 215 of the second engaging portion 210, The second engagement hole 210 of the reinforcing frame 100 is engaged with the second engagement hole 210 of the reinforcing frame 100 so that the first engagement portion 110 of the reinforcement frame 100 is engaged with the second engagement hole 210 of the second engagement portion 210 of the engagement frame 200, (Not shown).

이렇게 상기 보강프레임(100)과 결합프레임(200)이 결합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1가이드홈(250)과 제2가이드홈(260)을 통해 목재프레임(300)을 결합시켜 지주(10)를 조립 완성하게 된다.When the reinforcing frame 100 and the coupling frame 20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wood frame 300 is coupled through the first guide groove 250 and the second guide groove 260, Assembly is completed.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지주는, 목재가 갖는 장점인 자연친화적인 외관을 가져 보행로, 등산로, 산책로 등에 이질감 없이 적용될 수 있고, 뛰어난 강성 구조를 구비하여 울타리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목재의 재질적 특징을 감안하여 목재의 변형을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내구성과 사용 수명을 증대시켜 경제성과 경쟁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str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to a walkway, a hiking trail, a walkway, and the like with a natural-friendly appearance, which is an advantage of wood, and has an excellent rigidity structure to secure the safety of the fenc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durability and service life by increasing the economic efficiency and the competitiveness.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embodiments. Therefore, the present embodiments are to be constru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지주 10 보강프레임 100
공간부 101 돌출부 102
노출면 103 제1절개홀 104
제1결속홀 105 제1결합부 110
가이드블록 111 가이드편 112
제1지지부 113 제1걸림봉 114
제3가이드홈 120 결합프레임 200
요철부 201 제2결합부 210
결합편 211 제2연장부 212
절곡탭 213 제2절개홀 214
제2결속홀 215 제1연장부 220
제1끼움부 230 제2끼움부 240
제1가이드홈 250 제2가이드홈 260
목재프레임 300 노출부 310
보강바 400 제2지지부 401
제2걸림봉 402
Support 10 reinforcement frame 100
The space portion 101 protruding portion 102
Exposed surface 103 first incision hole 104
First binding hole 105 First binding portion 110
Guide block 111 guide piece 112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113 and the first engaging rod 114
Third guide groove 120 engaging frame 200
The concave / convex portion 201 second coupling portion 210
The connecting piece 211 second extending portion 212
Bending tab 213 second incision hole 214
Second binding hole 215 First extending portion 220
First fitting part 230 Second fitting part 240
First guide groove 250 Second guide groove 260
Wood frame 300 exposed part 310
Reinforcing bar 400 second supporting portion 401
The second latching rods 402

Claims (9)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중심에는 상하로 개방된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를 중심으로 상하좌우 돌출되어 사방에 돌출부가 형성되며, 외부 사방의 모서리에 각각 돌출되면서 상기 모서리에 직각으로 돌출되어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블록과, 상기 가이드블록의 모서리에서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각각 연장 절곡되어 상호 대칭구조로 형성되면서 상기 절곡된 단부가 돌출부의 측면에 마주하여 제3가이드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ㄱ"자형 가이드편으로 구성되는 제1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 내부 사방의 모서리에 각각 내측으로 절개된 제1절개홀이 형성되면서 상기 제1절개홀 내측으로 연계되어 제1절개홀의 내경에 비해 큰 내경을 가진 개방된 링형의 제1결속홀이 형성되면서 대각방향의 모서리에서 상호 제1절개홀이 마주하도록 형성되어 수직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십자형의 보강프레임;과,
상기 보강프레임 각각의 제1결합부에 끼움 결합되어 좌우대칭구조로 마주하게 되며, 상기 제1결합부에 결합되도록 일단에 제2결합부가 형성되면서 상기 제2결합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연장부 단부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1연장부 단부에서 상향의 수직으로 절곡 연장되면서 상기 수직 연장된 단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제1끼움부와 제1연장부 단부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1연장부 단부에서 하향의 수직으로 절곡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제2끼움부가 타단을 형성하면서 상기 제1끼움부와 제2끼움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전체 면에 요철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결합부가 제1연장부 단부에 상호 대칭구조를 가져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제2연장부가 형성되면서 상기 연장된 단부에서 절곡된 “ㄴ"자형의 절곡탭이 형성되어 제3가이드홈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편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2결합부의 결합편이 제3가이드홈에 결합하였을 때 제2연장부가 보강프레임의 돌출부 노출면과 동일선상으로 위치하며, 상기 보강프레임 가로방향의 제1결합부에 각각 결합되어 마주할 때 상기 제1끼움부가 서로 마주하여 제1가이드홈을 형성하면서 세로방향의 제1결합부에 각각 결합되어 마주할 때 상기 제2끼움부가 마주하여 제2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결합프레임;과,
상기 제1가이드홈과 제2가이드홈에 각각 끼움 결합되면서 외부로 노출되는 전체 면에 양측과 단차진 노출부가 형성되는 목재프레임; 및,
상기 보강프레임의 공간부에 슬라이드형태로 결합되어 내부에 빈 공간으로 상하로 개방되면서 내부 수평단면이 사각형이며, 상기 보강프레임의 공간부 내면의 모서리에 형성된 제1절개홀과 제1결속홀에 대응되어 결속되도록 외면의 모서리에 각각 사선으로 돌출되는 제2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 단부에 링형의 제2걸림봉이 형성되는 보강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결합용 울타리 지주.
And a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in four directions about the space portion. The protruding portion protrudes at the corner of the outer four sides and protrudes at right angles to the corner portion, And a pair of "a " guides < / RTI > formed in the guide blocks at the corners of the guide block and extending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o form symmetrical structures, Wherein a first incision hole is formed in each of the four corners of the interior of the space and an inner diameter of the first incision hole is larger than an inner diameter of the first incision hole A first ring-shaped binding hole having an opening is formed, and the first cutting holes are formed to face each other at corners in the diagonal direction, Of the cross-shaped reinforcing frame that extends in two-way; and,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wherein the second coupl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of the reinforcing frame, A first fitting part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extending part and extending horizontally upwardly from the end of the first extending part and extending horizontally at the vertically extended end part of the first extending part, And a second fitting portion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extending portion and bent and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at the end of the first extending portion, the other end of the first fitting portion and the second fitting portion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Wherein the second engagement portion has a mutually symmetrical structure at the end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and a secon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respectively, When the engaging part of the second engaging part is engaged with the third guide groove, the second extending part is engaged with the reinforcing frame, and when the engaging part of the second engaging part is engaged with the third guide groove, And the first engaging portions of the first engaging portions are opposed to each other when the engaging portions of the first engaging portions face each other to form a first guide groove, And a second guide groove formed on the first guide portion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A wooden frame which is inserted into the first guide groove and the second guide groove and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entire surface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reinforcing frame is slidably coupled to the space portion of the reinforcing frame and is vertically opened as an empty space therein. The inner horizontal section is rectangular, and corresponds to the first incision hole and the first binding hole formed at the edg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pace portion of the reinforcing frame And a reinforcement bar having a second support portion protruded obliquely at an edge of the outer surface so as to be joined together and a ring-shaped second retaining bar at the end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KR1020170025454A 2017-02-27 2017-02-27 Fence post for connecting wood deck Active KR1017843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454A KR101784389B1 (en) 2017-02-27 2017-02-27 Fence post for connecting wood de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454A KR101784389B1 (en) 2017-02-27 2017-02-27 Fence post for connecting wood dec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4389B1 true KR101784389B1 (en) 2017-10-11

Family

ID=60139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5454A Active KR101784389B1 (en) 2017-02-27 2017-02-27 Fence post for connecting wood de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438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1716B1 (en) * 2019-02-13 2020-04-20 주식회사 나무 A post for wood fence having lighting function
KR102227074B1 (en) * 2020-01-09 2021-03-15 주식회사 나무 Traffic signal lamp apparatus for a roa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5997A (en) * 2005-02-18 2006-08-31 Keiyo Aaki Metal Kk Handrail support mounting method
KR100967858B1 (en) * 2010-01-19 2010-07-05 김세현 A post construction
KR200451029Y1 (en) * 2010-04-16 2010-11-19 (주)스페이스톡 A support assembly type for various faciliti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5997A (en) * 2005-02-18 2006-08-31 Keiyo Aaki Metal Kk Handrail support mounting method
KR100967858B1 (en) * 2010-01-19 2010-07-05 김세현 A post construction
KR200451029Y1 (en) * 2010-04-16 2010-11-19 (주)스페이스톡 A support assembly type for various faciliti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1716B1 (en) * 2019-02-13 2020-04-20 주식회사 나무 A post for wood fence having lighting function
KR102227074B1 (en) * 2020-01-09 2021-03-15 주식회사 나무 Traffic signal lamp apparatus for a roa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62642A (en) Reinforced composite deck post
US6363680B1 (en) Composite post
KR101784389B1 (en) Fence post for connecting wood deck
US20040118062A1 (en) Connection for wall elements
KR101729175B1 (en) Wood fence structure including wood support having rigidity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KR102339094B1 (en) fence assembly enhanced constructability of partition
KR101385630B1 (en) Frame assembly for deck-road
US20100327246A1 (en) Modular fence system and method
KR20110113092A (en) Fence Shoring Coupling Structure
KR102120940B1 (en) Multifunctional support for building
KR101570576B1 (en) Architectural structure
KR20170140863A (en) Assembled fence
KR100665225B1 (en) Flat floor
US20090194754A1 (en) Gate Post Stiffener
KR101006388B1 (en) Fence Lock
KR101742299B1 (en) Facility assembly for pergola
KR101162086B1 (en) pipe structure having bambusoideae decoration effect
KR20210019820A (en) Assembly type mesh fence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JP4607952B2 (en) Hose joint
KR101072007B1 (en) Columns for landscaping facilities including sperm and pagora
KR200482005Y1 (en) Deck road reinforcing cross-shaped frame and deck road system
US20030101679A1 (en) Composite porch post/deck post with fastener mounting
KR102339088B1 (en) fence assembly enhanced constructability of transverse bar
KR200464742Y1 (en) Combination structure of fence
KR20220033977A (en) Combinatorial wood handrail for de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2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5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9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9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