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4263B1 - Anchor Supporting Structure for Fixing Stone of Building - Google Patents
Anchor Supporting Structure for Fixing Stone of Build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84263B1 KR101784263B1 KR1020170084897A KR20170084897A KR101784263B1 KR 101784263 B1 KR101784263 B1 KR 101784263B1 KR 1020170084897 A KR1020170084897 A KR 1020170084897A KR 20170084897 A KR20170084897 A KR 20170084897A KR 101784263 B1 KR101784263 B1 KR 1017842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eeve
- anchor
- fixed
- reinforcing pipe
- ston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9954 braiding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4873 anchor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3
- 239000002928 artificial marb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579 marb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774 insula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HCHKCACWOHOZIP-UHFFFAOYSA-N Zinc Chemical compound [Zn] HCHKCACWOHOZI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49 bri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5 construc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2 external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1 zin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5 zin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4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ngaging holes or grooves in the side faces of the cover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14—Elements with socke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37—Anchoring of separate elements through the lining to the wal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04—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 F16B13/06—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combined with expanding sleeve
- F16B13/063—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combined with expanding sleeve by the use of an expand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8—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welds or the lik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4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using natural or recycled building materials, e.g. straw, wool, clay or used t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건축용 석재고정 앙카 지지구는, 건축물 벽체(1)에 형성된 앙카공(1a)에 끼워져 고정되며 상하로 관통된 암나사부(11)가 형성되고 하단부로 갈수록 확장되도록 테이퍼지게 테이퍼부(11)가 형성된 쐐기부(10); 상기 쐐기부(10)의 암나사부(11)에 결합되는 수나사부(21)가 형성된 앵커볼트(20); 상기 앵커볼트(20)가 삽입되어 결합되되 상기 앵커볼트(20)의 수나사부(21)에 헐거운 끼워맞춤결합으로 결합되며, 하단부위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일정각도를 이루어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절개부(31)가 형성되고, 공구의 타격으로 상기 쐐기부(10)에 의해 상기 절개부(31)를 따라 벌어져 상기 앙카공(1a)에 고정되며, 단열재(2)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슬리브(30); 상기 슬리브(30)의 상부 외주연에 결합되며 상기 슬리브(30)를 보강하는 슬리브보강관(40); 상기 슬리브(30)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슬리브 조임용 브라켓(50); 상기 앵커볼트(20)의 수나사부(21)에 결합되며 상기 단열재(2)의 외부에 석재(3)를 고정되도록 하는 석재고정용 브라켓(6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uilding anchoring support for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apered tapered portion 11 which is fitted and fixed to an anchor hole 1a formed in a building wall body 1 and is formed with a female screw portion 11 penetrating up and down, (10); An anchor bolt 20 having a male screw portion 21 coupled to a female screw portion 11 of the wedge portion 10; The anchor bolts 20 are inserted into the anchor bolts 20 and are coupled to the male threaded portions 21 of the anchor bolts 20 in a loose fitting manner. And a sleeve which is fixed to the anchor hole (1a) by being wedged by the wedge part (10) along the cutout part (31) (30); A sleeve reinforcing pipe (40)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leeve (30) and reinforcing the sleeve (30); A sleeve fastening bracket 50 fixed to an upper end of the sleeve 30; A stone fixing bracket 60 coupled to the male thread portion 21 of the anchor bolt 20 and fixing the stone 3 to the outside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2; And a control unit.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축외장재인 석재와 같은 각종 피착물을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할 때 피착물의 자중에 의해 처짐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건축용 석재고정 앙카 지지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ding anchoring area for a building stone for preventing sag due to self weight of a building when installing various kinds of objects such as a stone as an exterior material on the exterior wall of the building.
일반적으로 건축외장재는 건축물의 외벽이나 지붕 등 건축물의 외장을 마감하기 위한 외장 마감재(Exterior Finish Material)를 말하는 것으로서, 건축물 내부로 비와 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로부터 소음 유입을 억제함과 동시에 마감 표면의 내구성과 보수성을 보장하면서 건축물의 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설치한다.Generally, exterior trim material refers to exterior trim material to finish exterior of building such as outer wall or roof of building. It prevents rain and snow from penetrating into the building, suppresses noise from outside, At the same time, it is installed to improve the beauty of the building while ensuring the durability and maintenance of the finished surface.
이러한 건축외장재는 자연석, 대리석, 인조대리석, 목재, 벽돌, 스타코, 징크, 노출 콘크리트, 샌드위치패널, 사이딩, 타일 등 매우 다양한 소재로 된 여러 종류의 건축외장재가 건축물의 종류나 설치 위치 등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며, 특히 최근에는 건축물의 시각적 아름다음을 강조한 디자인에 대한 선호도가 크게 높아지면서, 건축물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대리석이나 인조대리석을 외장재로 사용하는 경우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These building exterior materials are various kinds of building exterior materials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natural stone, marble, artificial marble, wood, brick, starch, zinc, exposed concrete, sandwich panel, siding and tile. Especially, in recent years, as the preference for design emphasizing the visual beauty of the building has been greatly increased, marble or artificial marble, which makes the appearance of the building more beautiful, has been increasingly used as the exterior material.
그런데 상기 대리석이나 인조대리석은 색상이나 패턴 디자인이 다양하고 아름다워 건축물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장점이 있지만, 크기가 커질수록 무게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건축물의 외벽에 견고하게 설치되지 않는 경우에는, 바람이나 진동과 같은 외부 층격에 의해 대리석이나 인조대리석이 외벽에서 이탈하거나 낙하하면서 지상의 기물이 파손되거나, 인명 피해가 발생하기 때문에 건축용 외장재의 견고한 설치를 위해서는 건축용 외장재의 하중을 지탱하는 건축외장재 설치구가 매우 중요하다.However, the marble or artificial marble is advantageous in that the appearance of the building is beautiful because of its various colors and pattern designs. However, as the size of the marble or the artificial marble increases, the weight increases. In addition, , Marble or artificial marble detaches or falls from the outer wall due to external stiffness such as wind or vibration, and the ground material is damaged or the life damage occurs. Therefore, in order to secure the installation of the building exterior material, It is very important that the exterior material is installed.
한편, 최근에는 건축물의 외벽에 외장단열재 설치를 의무화하는 법률 규정이 신설됨에 따라서 건축물 외장재와 외장단열재를 함께 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a new law has been introduced that requires the installation of external insulation materials on the exterior walls of buildings. Therefore, the exterior materials of buildings and exterior insulation materials are being applied together.
따라서 건축물의 외벽에 건축외장재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외장단열재와 건축외장재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는 건축외장재 설치구의 사용이 필수적이며, 이러한 건축외장재 설치구는 종래에도 다양하게 개발된 바 있다.Therefore, in order to construct the exterior material of the building on the exterior wall of the building, it is necessary to use the exterior material of the building to support the load of the exterior material and the exterior material of the building.
건축외장재 설치구의 일예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584695호(발명의 명칭: 일체형셋앙카를 이용한 건물외장재 고정구조 및 그 시공방법)가 있으며, 이를 도 1에 도시하였다.An example of an installation of building exterior material is Korean Patent No. 10-1584695 (entitled "Fixing structure of building exterior material using an integrated three-anchor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which is shown in FIG.
상기 일체형셋앙카를 이용한 건물외장재 고정구조는, 건물(10)에 형성되는 구멍(11)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건물(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일체형셋앙카(20)와; 상기 일체형셋앙카(20)의 외측에 고정되는 상부고정대(30)를; 포함하고, 상기 일체형셋앙카(20)는 상기 건물(10)의 구멍에 삽입된 후 확장되어 고정되는 앙카부(210)와, 상기 앙카부(210)와 결합되어 상기 건물(10)의 구멍(11)에 고정되는 지지바(24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바(240)는 상기 앙카부(210)에 나사결합되는 결합부(241)와, 상기 건물(10)의 구멍(11)에 유격이 없게 긴밀히 밀착 삽입되는 내부몸통부(251)와, 상기 건물(10)의 구멍(11) 입구에 지지되어 상기 지지바(240)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걸림부(261)와, 상기 건물(10)의 구멍(11) 외부로 돌출되는 외부몸통부(271)와, 상기 지지바(240)를 회전시킬 수 있고 동시에 상기 상부고정대(30)를 수평방향으로 지지하는 다각형상의 회전고정부(281)와, 상기 상부고정대(30)를 고정하는 나사부(291)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상기 일체형셋앙카(20)에 상기 건물(10)의 구멍(11)에 유격이 없게 긴밀히 밀착 삽입되는 내부몸통부(251)가 구비되어 상기 일체형셋앙카(20)가 흔들림이 없이 상기 건물(10)의 구멍(11)에 고정되기는 하나, 상기 일체형셋앙카(20)가 중실축으로 되어 있어 상기 일체형셋앙카(20)의 자중이 커서 설치하기가 용이하지 않고 재료비가 많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The integrated
건축외장재 설치구의 다른 예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541411호(발명의 명칭: 외장재 시공용 앵커 조립체)가 있으며, 이를 도 2에 도시하였다.Another example of the construction material for the building exterior is Korean Patent No. 10-1541411 entitled " Anchor Assembly for Facade Construction ", which is shown in Fig.
상기 외장재 시공용 앵커 조립체는, 건축물 벽체(100)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후단(11)에 확장용 캡(10)을 결합하고 선단으로 나사산을 형성한 앵커볼트(1)와; 이 앵커볼트(1)의 둘레 면을 감싸면서 끼워지는 원통부(21) 및 이 원통부(21)의 하측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앵커볼트(1)의 처짐 및 휨을 방지하도록 지지하는 수직부(22)로 이루어지면서 단열재(200)를 관통하는 슬리브(2)와; 상기 슬리브(2) 및 상기 앵커볼트(1)의 선단(12)에 결합되는 외장재 조립체(3)로 이루어진 외장재 시공용 앵커형 설치구에 있어서, 상기 앵커볼트(1)의 처짐을 더욱 안정적으로 방지시키도록 벽체(100)에 접하는 슬리브(2)의 수직부(22) 후단을 일부 절개하면서 수평방향 좌우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지지편(221)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벽체에 부착되는 단열층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슬리브를 개량하여 앵커볼트에 끼워진 슬리브 자체가 앵커볼트의 처짐이나 휨을 방지하여 외장재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효과가 있다.The sleeve which keeps the interval of the heat insulating layer attached to the wall is improved, and the sleeve itself inserted into the anchor bolt prevents the anchor bolt from sagging or warping, thereby stably maintaining the load of the casing.
상기 외장재 시공용 앵커 조립체는, 슬리브(2)가 원통부(21)와 수직부(22)로 이루어져 슬리브(2)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으나, 슬리브(2)의 원통부(21)에 앵커볼트(1)가 삽입되어 지지되고, 앵커볼트(1)와 원통부(21) 사이의 갭이 커서 앵커볼트(1)가 처짐이 발생되게 되면 고정되는 외장재(2)도 처짐이 발생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슬리브(2)가 원통부(21)와 수직부(22)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슬리브(2)가 결합되는 단열층도 슬리브(2)의 형상과 같은 형상의 결합부를 구비하여야 하는 단점도 있다.The anchor assembly for covering materials for an outer j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건축외장재 설치구의 또 다른 예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669597호(발명의 명칭: 건축용 세트 앵커형 지지구)가 있다.Another example of the installation area for building exterior materials is Korean Patent No. 10-1669597 entitled " Anchor construction type for building use ".
상기 건축용 세트 앵커형 지지구는, 봉체로 된 몸통부(110)의 일단부에는 수나사부(120)를 형성하고, 상기 몸통부(110)의 타단부에는 외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확대되는 원추형의 머리부(130)를 형성한 앵커볼트(100)와; 상기 앵커볼트(100)의 머리부(130)가 강제 삽입됨에 따라서 외경이 확장되어 건축물의 외벽(900)의 설치공(910) 내부에서 고정력을 발휘하는 확관부(210)를 일단부에 형성하고, 타단부에는 파형으로 주름진 종단면 형상을 가지는 주름관부(220)를 형성한 슬리브(200)와; 상기 앵커볼트(100)의 나사부가 관통하는 중심공(310)을 형성하여 상기 슬리브(200)의 외측 단부와 결합수단으로 결합되는 와셔(300)와; 상기 슬리브(200)와 와셔(300)를 관통하는 앵커볼트(100)의 수나사부(120)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확관부(210)의 확장을 위한 체결력을 발휘하는 체결너트(400)를 포함하여 건축용 세트 앵커형 지지구를 구성하고,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슬리브(200)의 주름관부(220)의 단부에 다수의 결합편(220a)을 돌출 형성하고, 상기 와셔(300)에는 상기 결합편(220a)에 대응하는 결합공(320a)를 구비한 다수의 결합홈부(320)를 형성하여, 상기 결합편(220a)이 상기 결합공(320a)을 관통하게 끼운 후 결합편(220a)의 외측 단부를 펀칭 확대하여 슬리브(200)와 와셔(300)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struction set anchor-type support has a male threaded portion 120 formed at one end of a cylindrical body 110 and a conical head portion having an outer diameter enlarged toward the outer side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110. [ Anchor bolt 100 formed with an anchor bolt 130; As the head 130 of the anchor bolt 100 is forcibly inserted, the outer diameter of the anchor bolt 100 is enlarged to form an expanded
상기 건축용 세트 앵커형 지지구도 전술한 한국등록특허 제10-1541411호(발명의 명칭: 외장재 시공용 앵커 조립체)와 마찬가지로 슬리브(220)와 앵커볼트(100) 사이의 갭이 커서 앵커볼트(100)가 처짐이 발생되게 되면 고정되는 건축외장재(700)도 처짐이 발생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The anchor type support for architectural use also has a large gap between the sleeve 220 and the anchor bolt 100 as in the above-mentioned Korean Patent No. 10-1541411 (entitled " The sagging of the building exterior material 700 is also caus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앵커볼트와 이에 결합되는 슬리브 사이의 갭을 최소화하여 앵커볼트가 처짐이 발생되더라도 슬리브에 고정되는 석재와 같은 외장재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하는 건축용 석재고정 앙카 지지구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minimize the gap between the anchor bolt and the sleeve to be coupled therewith so that even if the anchor bolt is deflected, And to prevent the building from sagging.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건축용 석재고정 앙카 지지구는, 건축물 벽체(1)에 형성된 앙카공(1a)에 끼워져 고정되며 하단부로 갈수록 확장되도록 테이퍼지게 테이퍼부(11)가 형성된 쐐기부(10); 상기 쐐기부(10)의 상부에 형성되며 수나사부(21)가 형성된 앵커볼트(20); 상기 앵커볼트(20)가 삽입되어 결합되되 상기 앵커볼트(20)의 수나사부(21)에 헐거운 끼워맞춤결합으로 결합되며, 하단부위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일정각도를 이루어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절개부(31)가 형성되어 상기 쐐기부(10)에 의해 상기 절개부(31)를 따라 벌어져 상기 앙카공(1a)에 고정되며, 단열재(2)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슬리브(30); 상기 슬리브(30)의 상부 외주연에 결합되며 상기 슬리브(30)를 보강하는 슬리브보강관(40); 상기 슬리브보강관(40)의 상단부에 고정되며 외측으로 연장형성된 슬리브 조임용 브라켓(50); 상기 슬리브 조임용 브라켓(50)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앵커볼트(20)의 수나사부(21)에 결합되며 상기 단열재(2)의 외부에 석재(3)를 고정되도록 하는 석재고정용 브라켓(60); 상기 석재 고정용 브라켓(60)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앵커볼트(20)의 수나사부(21)에 결합되며 조임에 의해 상기 석재고정용 브라켓(60)을 고정하도록 하며, 상기 슬리브 조임용 브라켓(50)을 조임으로써 상기 슬리브(30)를 하강시켜 상기 슬리브(30)의 하단부위에 형성된 상기 절개부(31)가 벌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슬리브(30)가 쐐기부(10)에 의해 상기 앙카공(1a)에 고정되도록 하는 조임너트(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building anchoring support for a building st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wedge part (1) fixed to an anchor hole (1a) formed in a building wall body (1) and tapered to be tapered 10); Anchor
또한, 상기 슬리브보강관(40)은 상기 슬리브(30)의 상부 외주연에 압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sleeve reinforcing pipe (40) is press-fitted to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leeve (30).
또, 상기 슬리브보강관(40)은 하단이 상기 앙카공(1a)의 상단외측에 위치하고 상단이 상기 슬리브 조임용 브라켓(50)과 접하도록 위치되는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아울러, 상기 슬리브(20)의 하단 내주연은 라운드 또는 챔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lower end of the
또, 상기 테이퍼부(11)는 상기 슬리브(30)와 접촉하는 면적이 줄도록 돌기부(1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또한, 상기 슬리브 조임용 브라켓(50)에 상기 슬리브보강관(40)에 삽입결합되며, 상기 슬리브보강관(40)의 상단부위에 외경이 확장되는 버링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슬리브보강관(40)이 상기 슬리브 조임용 브라켓(5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아울러, 상기 슬리브 조임용 브라켓(50)의 상단은 상기 슬리브 조임용 브라켓(50)의 하단에 필렛 용접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또한, 상기 슬리브(30)의 외주연에는 상기 절개부(31)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슬리브(30)의 하단부까지 너링(knurling)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아울러, 상기 슬리브보강관(40)은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보강리브가 방사형으로 이격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leeve reinforcing pipe (40) is characterized in that reinforcing rib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peripheral edge are radi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건축용 석재고정 앙카 지지구는 상기 슬리브보강관(40)과 슬리브(30)가 이중파이프 형태로 형성되게 되므로 후술할 석재고정용 브라켓(60)에 의해 고정되는 석재의 하중에 견딜수 있게 된다.In the construction anchoring support for building st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아울러, 상기 슬리브(30)와 상기 앵커볼트(20)가 헐거운 끼워맞춤 결합이 되므로, 상기 슬리브(30)와 상기 앵커볼트(20) 사이의 갭이 최소화되어, 상기 앵커볼트(20)가 처짐이 발생되더라도 앵커볼트(20)에 결합된 슬리브(30)에 의해 처짐양이 최소화되게 되며, 앵커볼트(20)에 결합되는 석재고정용 브라켓(60)에 의해 고정되는 석재도 처짐이 최소화되게 된다.Since the gap between the
이와 같이 앵커볼트(20)와 이에 결합되는 슬리브(30) 사이의 갭을 최소화하여 앵커볼트(20)가 처짐이 발생되더라도 슬리브(30)에 의해 앵커볼트(20)의 처짐이 최소화되게 되어 앵커볼트에 고정되는 석재와 같은 외장재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gap between the
도 1과 도 2는 종래의 건축용 석재고정 앙카 지지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건축용 석재고정 앙카 지지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건축용 석재고정 앙카 지지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건축용 석재고정 앙카 지지구가 벽체에 고정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건축용 석재고정 앙카 지지구가 벽체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형태의 건축용 석재고정 앙카 지지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1 and FIG. 2 are views showing a conventional anchorage zone for building ston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ilding anchoring anchorage zone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ilding anchoring anchorage earth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fixing anchorage area for building sto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a wall.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anchorage area for building sto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a wall.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type of building stone anchorage distri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건축용 석재고정 앙카 지지구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건축용 석재고정 앙카 지지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건축용 석재고정 앙카 지지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건축용 석재고정 앙카 지지구가 벽체에 고정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건축용 석재고정 앙카 지지구가 벽체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형태의 건축용 석재고정 앙카 지지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ed anchorage area for a building st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ed anchorage area for a building st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anchorage eart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a wall, and FIG. 7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fixing anchorage earth for a building st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ctional view.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석재고정 앙카 지지구는, 쐐기부(10); 앵커볼트(20); 슬리브(30); 슬리브보강관(40); 슬리브 조임용 브라켓(50); 석재고정용 브라켓(60); 조임너트(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3 and 4, the building anchor support for building st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상기 쐐기부(10)는 건축물 벽체(1)에 형성된 앙카공(1a)에 끼워져 고정되며 하단부로 갈수록 확장되도록 테이퍼지게 테이퍼부(11)가 형성된다.The
상기 테이퍼부(11)는 후술할 슬리브(30)의 하단부를 벌어지도록 하여 상기 슬리브(30)의 하단부가 상기 앙카공(1a)에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상기 앵커볼트(20)는 상기 쐐기부(10)의 상부에 형성되며 수나사부(21)가 형성된다.The
상기 슬리브(30)는 상기 앵커볼트(20)가 삽입되어 결합되되 상기 앵커볼트(20)의 수나사부(21)에 헐거운 끼워맞춤결합으로 결합된다. 상기 슬리브(30)의 하단부위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일정각도를 이루어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절개부(31)가 형성된다. 도 5의 상태에서 후술할 조임너트(70)에 의해 조여지면 상기 슬리브(30)는 하강되어 상기 쐐기부(10)에 의해 상기 절개부(31)를 따라 벌어져 상기 앙카공(1a)에 접하여 고정되는 도 6의 상태가 되게 된다. 상기 슬리브(30)가 조임너트(70)의 조임으로 하강되어 상기 쐐기부(10)에 의해 상기 절개부(31)를 따라 벌어져 상기 앙카공(1a)에 접하여 고정되게 되면 상기 앵커볼트(20)도 고정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슬리브(30)는 단열재(2)를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슬리브(30)는 파이프형태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슬리브보강관(40)는 상기 슬리브(30)의 상부 외주연에 결합되며 상기 슬리브(30)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The
상기 앵커볼트(20)와 상기 슬리브(30)는 앙카공(1a)의 외측부위에서 굽힘하중을 크게 받게 되는데, 본 발명은 상기 슬리브보강관(40)과 슬리브(30)가 이중파이프 형태로 형성되게 되므로 후술할 석재고정용 브라켓(60)에 의해 고정되는 석재의 하중에 견딜 수 있게 된다.The
아울러, 상기 슬리브(30)와 상기 앵커볼트(20)가 헐거운 끼워맞춤 결합이 되므로, 상기 슬리브(30)와 상기 앵커볼트(20) 사이의 갭이 최소화되어, 상기 앵커볼트(20)가 처짐이 발생되더라도 결합된 슬리브(30)에 의해 처짐양이 최소화되게 되며, 앵커볼트(20)에 결합되는 석재고정용 브라켓(60)에 의해 고정되는 석재도 처짐이 최소화되게 된다.Since the gap between the
이와 같이 앵커볼트(20)와 이에 결합되는 슬리브(30) 사이의 갭을 최소화하여 앵커볼트(20)가 처짐이 발생되더라도 슬리브(30)에 의해 앵커볼트(20)의 처짐이 최소화되게 되어 앵커볼트에 고정되는 석재와 같은 외장재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gap between the
상기 슬리브 조임용 브라켓(50)은 상기 슬리브보강관(40)의 상단부에 고정되며 외측으로 연장형성된다.The
상기 석재고정용 브라켓(60)은 상기 슬리브 조임용 브라켓(50)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앵커볼트(20)의 수나사부(21)에 결합되며 상기 단열재(2)의 외부에 석재(3)를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상기 조임너트(70)는 상기 석재 고정용 브라켓(60)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앵커볼트(20)의 수나사부(21)에 결합되며 조임에 의해 상기 석재고정용 브라켓(60)을 고정하도록 하며, 상기 슬리브 조임용 브라켓(50)을 조임으로써 상기 슬리브(30)를 하강시켜 상기 슬리브(30)의 하단부위에 형성된 상기 절개부(31)가 벌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슬리브(30)가 쐐기부(10)에 의해 상기 앙카공(1a)에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tightening
본 발명의 상기 슬리브보강관(40)은 상기 슬리브(30)의 상부 외주연에 압입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이와 같이 상기 슬리브보강관(40)과 슬리브(30)가 압입결합되게 되면 상기 슬리브보강관(40)과 슬리브(30)가 일체로 형성되어 절삭가공하는 것에 비해 가공이 용이하게 되며, 후처리를 할 필요도 없으며, 강도면에서도 크게 뒤처지지 않게 된다.When the
아울러, 상기 슬리브보강관(40)은 하단이 상기 앙카공(1a)의 상단외측에 위치하고 상단이 상기 슬리브 조임용 브라켓(50)과 접하도록 위치되는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앵커볼트(20)와 상기 슬리브(30)는 앙카공(1a)의 외측부위에서 굽힘하중을 크게 받게 되므로 이를 보강하기 위한 길이를 갖도록 한다.Since the
아울러, 상기 슬리브(20)의 하단 내주연은 라운드 또는 챔퍼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lower end of the
상기 슬리브(20)의 하단 내주연에 라운드 또는 챔퍼가 형성되게 되면, 상기 슬리브(20)의 하단부위가 테이퍼부(11)와 접촉하는 마찰을 줄이게 되므로, 상기 슬리브(20)를 공구에 의해 타격할 때 타격력을 크게 하지 않아도 상기 슬리브(20)의 하단부위가 용이하게 벌어지게 되어 슬리브(20)에 의해 상기 앙카공(1a)에 고정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A round or chamfer is formed at the inner edge of the lower end of the
또한, 상기 테이퍼부(11)는 상기 슬리브(30)와 접촉하는 면적이 줄도록 돌기부(12a)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tapered
상기 테이퍼부(11)에 돌기부(12a)를 형성하게 되면 상기 슬리브(20)를 공구에 의해 타격할 때 절개부(31)에 의해 절개되어 벌어질 때 상기 슬리브(20)의 하단부위와 접촉하는 면적이 줄어들게 되고, 상기 슬리브(20)의 하단부위가 상기 테이퍼부(11)와 접촉하는 마찰을 줄이게 되므로, 상기 슬리브(20)를 공구에 의해 타격할 때 타격력을 크게 하지 않아도 상기 슬리브(20)의 하단부위가 용이하게 벌어지게 되어 슬리브(20)에 의해 상기 앙카공(1a)에 고정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protrusion 12a is formed on the tapered
본 발명의 슬리브보강관(40)과 슬리브 조임용 브라켓(50)을 고정하기 위한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두 가지 고정형태를 설명한다.Although there are various methods for fixing the
첫 번째 형태는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형태이다.The first form is a form fixed by welding.
상기 슬리브 조임용 브라켓(50)의 상단은 상기 슬리브 조임용 브라켓(50)의 하단에 필렛 용접되어 고정되도록 한다(도 5 및 도 6 참조).The upper ends of the
두 번째 형태는 버링에 의해 고정되는 형태이다.The second form is fixed by burring.
상기 슬리브 조임용 브라켓(50)에 상기 슬리브보강관(40)에 삽입결합되며, 상기 슬리브보강관(40)의 상단부위에 외경이 확장되는 버링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슬리브보강관(40)이 상기 슬리브 조임용 브라켓(50)에 고정되도록 한다(도 7 참조).The
또한, 상기 슬리브(30)의 외주연에는 상기 절개부(31)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슬리브(30)의 하단부까지 너링(knurling)부(32)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상기 슬리브(30)의 외주연에는 상기 절개부(31)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슬리브(30)의 하단부까지 너링(knurling)부가 형성되게 되면 조임너트(70)에 의해 조여져 상기 슬리브(30)의 하단부위가 쐐기부(10)에 의해 절개부(31)를 따라 벌어지게 될 때 앙카공(1a)에 접하는 마찰력을 크게 하게 되므로 상기 슬리브(30)의 하단부위가 앙카공(1a)에 고정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When a knurling portion is formed from the upper end of the
아울러, 상기 슬리브보강관(40)은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보강리브(41)가 방사형으로 이격되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leeve reinforcing pipe (40) is provided with radially spaced reinforcing ribs (41) which are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er peripheral edge.
상기 슬리브보강관(40)의 외주연에 보강리브(41)를 형성하게 되면 상기 슬리브보강관(40)의 강성이 크게 되어 석재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If the reinforcing ribs 41 ar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아울러, 상기 슬리브(30)과 앵커볼트(20) 사이에 상기 앵커볼트(20)로부터 상기 슬리브(30)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고무링(80)이 개재된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The technical idea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being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 : 벽체 2 : 단열재
3 : 석재 10 : 쐐기부
11 : 테이퍼부 20 : 앵커볼트
21 : 수나사부 30 : 슬리브
31 : 절개부 40 : 슬리브보강관
50 : 슬리브 조임용 브라켓 60 : 석재고정용 브라켓
70 : 조임너트1: Wall 2: Insulation
3: Stone 10: Wedge
11: tapered portion 20: anchor bolt
21: Male threads 30: Sleeve
31: incision section 40: sleeve reinforcing tube
50: Sleeve bracket 60: Stone fixing bracket
70: Fastening nut
Claims (9)
상기 쐐기부(10)의 상부에 형성되며 수나사부(21)가 형성된 앵커볼트(20);
상기 앵커볼트(20)가 삽입되어 결합되되 상기 앵커볼트(20)의 수나사부(21)에 헐거운 끼워맞춤결합으로 결합되며, 하단부위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일정각도를 이루어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절개부(31)가 형성되어 상기 쐐기부(10)에 의해 상기 절개부(31)를 따라 벌어져 상기 앙카공(1a)에 고정되며, 단열재(2)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슬리브(30);
상기 슬리브(30)의 상부 외주연에 결합되며 상기 슬리브(30)를 보강하는 슬리브보강관(40);
상기 슬리브보강관(40)의 상단부에 고정되며 외측으로 연장형성된 슬리브 조임용 브라켓(50);
상기 슬리브 조임용 브라켓(50)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앵커볼트(20)의 수나사부(21)에 결합되며 상기 단열재(2)의 외부에 석재(3)를 고정되도록 하는 석재고정용 브라켓(60);
상기 석재 고정용 브라켓(60)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앵커볼트(20)의 수나사부(21)에 결합되며 조임에 의해 상기 석재고정용 브라켓(60)을 고정하도록 하며, 상기 슬리브 조임용 브라켓(50)을 조임으로써 상기 슬리브(30)를 하강시켜 상기 슬리브(30)의 하단부위에 형성된 상기 절개부(31)가 벌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슬리브(30)가 쐐기부(10)에 의해 상기 앙카공(1a)에 고정되도록 하는 조임너트(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슬리브보강관(40)은 하단이 상기 앙카공(1a)의 상단외측에 위치하고 상단이 상기 슬리브 조임용 브라켓(50)과 접하도록 위치되는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석재고정 앙카 지지구.A wedge part (10) fixed to an anchor hole (1a) formed in a building wall body (1) and having a tapered tapered part (11) to be extended toward a lower end part;
Anchor bolts 20 formed on the wedge portion 10 and having male threads 21 formed thereon;
The anchor bolts 20 are inserted into the anchor bolts 20 and are coupled to the male threaded portions 21 of the anchor bolts 20 in a loose fitting manner. A sleeve 30 formed with a cutout 31 and extending through the cutout 31 by the wedge 10 to be fixed to the anchor hole 1a and penetrating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2;
A sleeve reinforcing pipe (40)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leeve (30) and reinforcing the sleeve (30);
A sleeve fixing bracket 50 fixed to an upper end of the sleeve reinforcing tube 40 and extending outward;
A stone fixing bracket 60 located above the sleeve fixing bracket 50 and coupled to the male thread portion 21 of the anchor bolt 20 and fixing the stone 3 to the outside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2;
The bracket 60 for fixing the stone is fixed by being fastened to the male screw portion 21 of the anchor bolt 20 at the upper portion of the stone fixing bracket 60, The sleeve 30 is lowered so that the cut portion 31 formed on the lower end of the sleeve 30 is opened so that the sleeve 30 is inserted into the anchor hole 1a by the wedge portion 10, And a fixing nut (70) fixed to the base
Wherein the sleeve reinforcing pipe (40) has a length such that its lower end is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upper end of the anchor hole (1a) and the upper end thereof is positioned in contact with the sleeve braiding bracket (50).
상기 슬리브보강관(40)은 상기 슬리브(30)의 상부 외주연에 압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석재고정 앙카 지지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leeve reinforcing pipe (40) is press-fitted to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leeve (30).
상기 슬리브(30)의 하단 내주연은 라운드 또는 챔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석재고정 앙카 지지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lower end of the sleeve (30) is round or chamfered.
상기 테이퍼부(11)는 상기 슬리브(30)와 접촉하는 면적이 줄도록 돌기부(1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석재고정 앙카 지지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otrusion (12) is formed in the tapered portion (11) so that an area of contact with the sleeve (30) is reduced.
상기 슬리브 조임용 브라켓(50)에 상기 슬리브보강관(40)에 삽입결합되며, 상기 슬리브보강관(40)의 상단부위에 외경이 확장되는 버링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슬리브보강관(40)이 상기 슬리브 조임용 브라켓(5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석재고정 앙카 지지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leeve reinforcing pipe 40 is inserted into the sleeve fixing bracket 50 and inserted into the sleeve reinforcing pipe 40 so that a burring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leeve reinforcing pipe 40 to exp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sleeve reinforcing pipe 40, Is fixed to the sleeve fixing bracket (50).
상기 슬리브 조임용 브라켓(50)의 상단은 상기 슬리브 조임용 브라켓(50)의 하단에 필렛 용접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석재고정 앙카 지지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upper end of the sleeve bracket (50)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sleeve bracket (50) by fillet welding.
상기 슬리브(30)의 외주연에는 상기 절개부(31)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슬리브(30)의 하단부까지 너링(knurling)부(3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고정 앙카지지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knurling portion (32) is formed on an outer periphery of the sleeve (30) from an upper end of the cutout portion (31) to a lower end portion of the sleeve (30).
상기 슬리브보강관(40)은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보강리브가 방사형으로 이격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석재고정 앙카 지지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leeve reinforcing pipe (40) is provided with reinforcing ribs formed radially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sleeve reinforcing pipe (4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84897A KR101784263B1 (en) | 2017-07-04 | 2017-07-04 | Anchor Supporting Structure for Fixing Stone of Build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84897A KR101784263B1 (en) | 2017-07-04 | 2017-07-04 | Anchor Supporting Structure for Fixing Stone of Building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84263B1 true KR101784263B1 (en) | 2017-11-06 |
Family
ID=60384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84897A Active KR101784263B1 (en) | 2017-07-04 | 2017-07-04 | Anchor Supporting Structure for Fixing Stone of Build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84263B1 (en) |
Cited B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53208B1 (en) | 2018-07-04 | 2019-02-28 | 주식회사 운형 | Hybrid ston anchor |
KR101953198B1 (en) | 2018-07-26 | 2019-03-04 | 주식회사 운형 | Fixing apparatus for ston |
KR101984706B1 (en) | 2018-07-05 | 2019-05-31 | 장영운 | Multi ston anchor |
KR200489490Y1 (en) | 2018-10-31 | 2019-06-26 | 주식회사 운형 | Ston anchor |
KR102010280B1 (en) | 2018-10-31 | 2019-08-13 | 주식회사 운형 | Ston anchor |
KR102020153B1 (en) * | 2018-10-18 | 2019-09-09 | 윤대영 | Anchor Set |
KR20190120513A (en) * | 2018-04-16 | 2019-10-24 | 주용산업주식회사 | Sound proof tunnel of reinforcing structural weak parts in a support |
KR20190134029A (en) * | 2018-05-24 | 2019-12-04 | 주식회사 비엔케이 |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one supportingdevice for seismic design and a stone supportingdevice for seismic design |
KR20200115799A (en) * | 2019-03-26 | 2020-10-08 | 이성대 | Wedge Anchor at Face of Exterior Wall with Reinfoced Support Fixture |
KR20230003704A (en) * | 2021-06-29 | 2023-01-06 | 허성진 | Wedge Anchor Assembly at Face of Exterior Wall |
CN116123918A (en) * | 2022-05-17 | 2023-05-16 | 武大巨成结构股份有限公司 | External component connection structure and method for cooling tower reinforcement based on self-locking anchor |
KR102546222B1 (en) * | 2022-05-13 | 2023-06-22 | 정종훈 | Set anchor |
KR102682545B1 (en) * | 2024-01-15 | 2024-07-05 | 롯데건설 주식회사 | Lifting for load carrying |
KR102761640B1 (en) | 2024-10-11 | 2025-02-03 | (주)부국앙카산업 | Ston anchor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68177Y1 (en) * | 2004-08-14 | 2004-11-17 | (주)대동석재공업 | Multi-anchor bolt set |
KR101404949B1 (en) * | 2013-12-30 | 2014-06-27 | 기세진 | Anchor bolt |
-
2017
- 2017-07-04 KR KR1020170084897A patent/KR10178426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68177Y1 (en) * | 2004-08-14 | 2004-11-17 | (주)대동석재공업 | Multi-anchor bolt set |
KR101404949B1 (en) * | 2013-12-30 | 2014-06-27 | 기세진 | Anchor bolt |
Cited By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66106B1 (en) * | 2018-04-16 | 2020-01-14 | 주용산업주식회사 | Sound proof tunnel of reinforcing structural weak parts in a support |
KR20190120513A (en) * | 2018-04-16 | 2019-10-24 | 주용산업주식회사 | Sound proof tunnel of reinforcing structural weak parts in a support |
KR102221901B1 (en) * | 2018-05-24 | 2021-03-03 | 주식회사 비엔케이 |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one supportingdevice for seismic design and a stone supportingdevice for seismic design |
KR20190134029A (en) * | 2018-05-24 | 2019-12-04 | 주식회사 비엔케이 |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one supportingdevice for seismic design and a stone supportingdevice for seismic design |
KR101953208B1 (en) | 2018-07-04 | 2019-02-28 | 주식회사 운형 | Hybrid ston anchor |
KR101984706B1 (en) | 2018-07-05 | 2019-05-31 | 장영운 | Multi ston anchor |
KR101953198B1 (en) | 2018-07-26 | 2019-03-04 | 주식회사 운형 | Fixing apparatus for ston |
KR102020153B1 (en) * | 2018-10-18 | 2019-09-09 | 윤대영 | Anchor Set |
KR102010280B1 (en) | 2018-10-31 | 2019-08-13 | 주식회사 운형 | Ston anchor |
KR200489490Y1 (en) | 2018-10-31 | 2019-06-26 | 주식회사 운형 | Ston anchor |
KR20200115799A (en) * | 2019-03-26 | 2020-10-08 | 이성대 | Wedge Anchor at Face of Exterior Wall with Reinfoced Support Fixture |
KR102393584B1 (en) * | 2019-03-26 | 2022-05-03 | 이성대 | Wedge Anchor at Face of Exterior Wall with Reinfoced Support Fixture |
KR20230003704A (en) * | 2021-06-29 | 2023-01-06 | 허성진 | Wedge Anchor Assembly at Face of Exterior Wall |
KR102697286B1 (en) * | 2021-06-29 | 2024-08-21 | 허성진 | Wedge Anchor Assembly at Face of Exterior Wall |
KR102546222B1 (en) * | 2022-05-13 | 2023-06-22 | 정종훈 | Set anchor |
CN116123918A (en) * | 2022-05-17 | 2023-05-16 | 武大巨成结构股份有限公司 | External component connection structure and method for cooling tower reinforcement based on self-locking anchor |
KR102682545B1 (en) * | 2024-01-15 | 2024-07-05 | 롯데건설 주식회사 | Lifting for load carrying |
KR102761640B1 (en) | 2024-10-11 | 2025-02-03 | (주)부국앙카산업 | Ston ancho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84263B1 (en) | Anchor Supporting Structure for Fixing Stone of Building | |
KR101669597B1 (en) | Construction set anchor-type holder | |
KR101541411B1 (en) | Anchor assembly device for supporting exterior material | |
KR101806527B1 (en) | Anchor assembly device for supporting exterior material | |
KR101257364B1 (en) | Panel fixing device for bulding | |
KR101735044B1 (en) | Wall fixing device for stone connecting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20180097038A (en) | Building exterior material mounting port | |
KR101492594B1 (en) | Support Anchorage Of Finishing Member, Contruct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 |
EP3964660B1 (en) | Improved anchor bolt assembly and ceiling finishing panel fixing apparatus comprising same | |
KR102393584B1 (en) | Wedge Anchor at Face of Exterior Wall with Reinfoced Support Fixture | |
KR102697286B1 (en) | Wedge Anchor Assembly at Face of Exterior Wall | |
KR101906106B1 (en) | An anchor bolt for the structure | |
KR102304259B1 (en) | Fixing structure for a outside panel of building | |
KR102415459B1 (en) | Bracket assembly for exterior wall panel installation | |
KR101997401B1 (en) | Anchor assembly for building having an increased coupling force by a connecting member | |
JP4711864B2 (en) | Lightweight cellular concrete panel mounting structure | |
KR200378284Y1 (en) | Building of out side panel fixing device | |
KR102183615B1 (en) | Anchor Plate with Increased Cohesion and Support | |
KR200142434Y1 (en) | Setting-up structure of angle | |
US20080184641A1 (en) | Flashing cap and stabilizer for architectural columns | |
KR100455561B1 (en) | Constructing stone exterior wall fixture | |
KR100557478B1 (en) | Arch roof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arch roof using same | |
KR200337968Y1 (en) | Anchor bolt for support to steel and fasten to waterproof sheet | |
KR200492775Y1 (en) | Window lower support | |
KR200378283Y1 (en) | Building of out side panel fix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7071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0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8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1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9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9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10618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9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