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83881B1 -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한 원격 후장착 방사선 근접 치료 장치 - Google Patents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한 원격 후장착 방사선 근접 치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3881B1
KR101783881B1 KR1020160061107A KR20160061107A KR101783881B1 KR 101783881 B1 KR101783881 B1 KR 101783881B1 KR 1020160061107 A KR1020160061107 A KR 1020160061107A KR 20160061107 A KR20160061107 A KR 20160061107A KR 101783881 B1 KR101783881 B1 KR 101783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active isotope
applicator
therapeutic liquid
liquid radioactive
remo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1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민
김정인
우홍균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to KR1020160061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3881B1/ko
Priority to PCT/KR2017/005125 priority patent/WO2017200298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3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388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5/1001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using radiation sources introduced into or applied onto the body; brachy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62Arrangements for scanning
    • A61B5/0064Body surface sc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5/1001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using radiation sources introduced into or applied onto the body; brachytherapy
    • A61N5/1007Arrangements or means for the introduction of sources into th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7/00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80/00Products made by additive manufact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5/1001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using radiation sources introduced into or applied onto the body; brachytherapy
    • A61N5/1007Arrangements or means for the introduction of sources into the body
    • A61N2005/1008Apparatus for temporary insertion of sources, e.g. afterloa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5/1001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using radiation sources introduced into or applied onto the body; brachytherapy
    • A61N2005/1019Sources therefor
    • A61N2005/1021Radioactive flu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한 원격 후장착 방사선 근접 치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불규칙한 피부 표면에 발병한 피부암 치료를 위한 원격 후장착 방사선 근접 치료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한 원격 후장착 방사선 근접 치료 장치는 3D 스캐닝 및/또는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환자 맞춤형 어플리케이터를 통해 환부와 일정한 간격으로 치료용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를 위치시킬 수 있고, 일정한 두께의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를 위치시켜, 균질한 처방선량을 전달할 수 있으며,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를 사용함으로써 불규칙한 환자의 피부 표면에 유연한 적용이 가능하고, 액상 베타선원 또는 저에너지 감마선원을 사용할 수 있어, 정상 조직의 방사선 피폭을 최소화하여, 기존 외과적 수술 혹은 방사선 치료 기법으로 치료가 어려운 피부암 환자에게 합병증 없이 치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방사성 동위원소를 사용하여 환자의 치료를 수행하는 의료진 및 작업자의 방사선 피폭을 원격 후장착을 통해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한 원격 후장착 방사선 근접 치료 장치 {Remote afterloading brachytherapy machine using liquid radioisotope}
본 발명은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한 원격 후장착 방사선 근접 치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불규칙한 피부 표면에 발병한 피부암 치료를 위한 원격 후장착 방사선 근접 치료 장치에 대한 것이다.
방사선 근접 치료(Brachytherapy)는 표적이 되는 종양 내부 또는 근처에 방사성물질을 근접시켜 방사선원 가까이에 있는 조직에 매우 높은 선량률을 형성하여 치료하는 방법으로 전립선암, 두경부암, 유방암, 방광암, 자궁암, 폐암 또는 직장암 등의 외부에서 접근이 용이한 환부의 치료에 사용된다. 이러한 방사선 근접 치료는 종양 부위에 방사성 물질을 일정시간 동안 위치시킨 후, 다시 회수하는 일시 근접 치료법과 반감기가 짧은 쌀알 크기의 방사성 씨드(seed)를 종양 부위에 영구히 심어두는 이식 근접 치료법으로 나누어진다. 두 경우 모두 방사선원 자체는 작아야 하므로 비방사능이 높은 선원을 사용한다. 방사선원 및 씨드를 목적하는 위치에 정확히 위치시키기 위해, X-선, CT, 또는 MRI 영상을 이용한다. 일시 근접 치료 기술로서 과거에는 바늘형태의 선원들을 수동으로 삽입했으나, 지금은 도관을 미리 설치하고 노출은 컴퓨터 제어로 원격으로 수행하도록 설계된 원격 후장착 방법을 사용한다.
한편, 원격 후장착(Remote afterloading)은 치료 방사선을 원격 조작으로 뒤에 장전하는 것으로, 치료 세팅 단계에서 치료 장치를 치료 부위에 위치시킨 다음, 의료진 등의 관련 종사자는 퇴실하여 원격으로 치료를 개시하면 선량 계획 시스템에서 프로그램 된 순서에 따라 방사선원이 자동적으로 지정된 위치에 지정된 시간만큼 머무르면서 조사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치료가 종료되면 방사선원은 자동으로 안전위치로 되돌아가며, 정확한 치료를 기대할 수 있는 동시에 치료를 수행하는 의료진의 방사선 피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원격 후장착 방사선 근접 치료는 보다 정확한 치료를 기대할 수 있는 동시에 치료를 시행하는 시술자의 방사선 피폭을 감소시킬 수 있으나, 광범위한 영역에 발병한 피부암 방사선 치료에 있어서는 한계가 있다. 외부 광자선을 이용한 치료(external photon beam therapy)의 경우, 고에너지 광자선의 높은 투과성으로 인하여, 치료가 적용 가능한 피부암의 종류가 매우 제한적이고, 치료의 적용이 가능한 경우에도 상당한 내부 정상 장기의 방사선 피폭이 수반된다. 외부 전자선을 이용한 치료(external electron beam therapy)의 경우에는 비정(range) 거리가 짧은 전자선을 사용하여, 얕은 깊이에서 대부분의 방사선량을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편평한 피부암의 경우, 깊은 곳에 위치한 정상 조직에는 방사선을 거의 전달하지 않으며 치료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두피, 손 또는 발 등과 같은 부위에 발병한 피부암은 불규칙한 곡면을 이루고 있어 전자선을 피부의 동일한 깊이에 전달하지 못하고, 처방 방사선량을 정확하게 전달하지 못하여 정상 조직이 과 피폭될 위험성이 있다. 또한, 고선량률 근접 치료(High dose rate brachytherapy)의 경우에는 Freiburg flap applicator, Leipzig applicator 또는 Valencia applicator 등의 환자 표면 치료용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하여 피부암을 치료할 수 있으나, 고선량률 근접 치료 기법으로 피부암을 치료할 경우, 환자셋업, 병변의 크기 및 표면굴곡에 민감하기 때문에 치료에 적용할 수 있는 부위는 제한적이며, 이 때 사용되는 방사선원인 이리듐은 투과성이 강한 감마선을 발생시키는 방사성 동위원소이므로, 피부 아래 정상 조직의 불필요한 피폭은 피할 수 없어, 광범위한 피부암 영역에 있어서 기존의 광자선 또는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하는 고선량률 근접 치료로도 치료가 어렵다.
따라서 부작용을 억제하며, 치료에 효과적인 방사선 근접 치료 장치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고, 다양한 방사선 근접 치료 기구의 개발(등록 실용신안 20-0222949)이 진행되고 있으나, 별다른 성과가 나타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불규칙한 피부 표면에 광범위하게 발병한 피부암에 대해, 정상 조직의 방사선 피폭을 최소화하며, 충분한 처방선량을 균질하게 환부에 전달할 수 있는, 원격 후장착 방사선 근접 치료 장치를 발명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환부의 표면 굴곡 특성과 일치하도록 3D 스캐너 및 3D 프린터로 제작된 어플리케이터(100);
상기 어플리케이터(100)와 연결되어 치료용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가 주입되는 주입부(200); 및
상기 주입부(200) 일단에 연결되어 치료용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의 주입을 제어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하는 원격 후장착 방사선 근접 치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환부의 표면 굴곡 특성과 일치하도록 3D 스캐너 및 3D 프린터로 제작된 어플리케이터(100);
상기 어플리케이터(100)와 연결되어 치료용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가 주입되는 주입부(200); 및
상기 주입부 일단에 연결되어 치료용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의 주입을 제어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하는 원격 후장착 방사선 근접 치료 장치(10)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입부(200)는 상기 어플리케이터(100) 내에 배치되어 주입되는 치료용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를 수용하는 수용부(210) 및 상기 수용부(210)와 연결되어 상기 치료용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의 이동을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유동관(220)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어플리케이터(100)는 환부와 치료용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와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어플리케이터(100)는 치료용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의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부(210)의 재질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테트라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trephthalat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Low-density polyethylene)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High-density polyethylene)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치료용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는 베타선원 또는 저에너지 감마선원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타선원은 인-32, 스트론튬-89, 이트륨-90, 요오드-131 또는 사마륨-153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한 원격 후장착 방사선 근접 치료 장치는 3D 스캐닝 및/또는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환자 맞춤형 어플리케이터를 통해 환부와 일정한 간격으로 치료용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를 위치시킬 수 있고, 일정한 두께의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를 위치시켜, 균질한 처방선량을 전달할 수 있으며,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를 사용함으로써 불규칙한 환자의 피부 표면에 유연한 적용이 가능하고, 액상 베타선원 또는 저에너지 감마선원을 사용할 수 있어, 정상 조직의 방사선 피폭을 최소화하여, 기존 외과적 수술 혹은 방사선 치료 기법으로 치료가 어려운 피부암 환자에게 합병증 없이 치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원격 후장착 방사선 근접 치료 장치는 단독으로 방사선 치료에 사용될 수 있으나, 기존의 방사선 치료 기법과 조합하여 환자에게 보다 나은 방사선량분포를 제공할 수 있으며, 방사성 동위원소를 사용하여 환자의 치료를 수행하는 의료진 및 작업자의 방사선 피폭을 원격 후장착을 통해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한 원격 후장착 방사선 근접 치료 장치(1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한 원격 후장착 방사선 근접 치료 장치(10)를 두피 피부암에 적용할 때 치료용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의 주입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한 원격 후장착 방사선 근접 치료 장치(10)를 두피 피부암에 적용한 경우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며, 치료용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를 채운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한 원격 후장착 방사선 근접 치료 장치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치료용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하여, 환자의 불규칙한 피부에 균일한 처방 방사선량을 전달함으로써 치료 효과를 증대시킴과 동시에, 원격 후장착 방사성 동위원소를 사용하여 환자의 방사선 근접 치료를 수행하는 의료진 및 작업자의 방사선 피폭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원격 후장착(remote afterloading)"은 치료 방사선을 원격 조작으로 뒤에 장전하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치료 세팅 단계에서 후술할 어플리케이터(100)를 치료 부위에 위치시킨 다음, 유동관(220)을 어플리케이터(100)와 제어부(300)의 방사선원 출구에 연결한 후, 시술자는 퇴실하여 원격으로 치료를 개시하면 선량 계획 시스템에서 프로그램 된 순서에 따라 방사선원이 자동적으로 지정된 위치에 지정된 시간만큼 머무르면서 조사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치료가 종료되면 방사선원은 자동으로 안전위치로 되돌아가며, 정확한 치료를 기대할 수 있는 동시에 치료를 수행하는 의료진의 방사선 피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방사선 근접 치료"는 근접 치료의 표적이 되는 종양에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를 위치시켜, 방사선원 가까이에 있는 조직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치료하는 방법으로, 근접 치료 장치를 환부에 미리 설치하고, 방사선 조사는 컴퓨터 제어를 통해 원격으로 수행하도록 설계된 원격 후장착을 이용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한 원격 후장착 방사선 근접 치료 장치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한 원격 후장착 방사선 근접 치료 장치는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를 사용함으로써 불규칙한 환자의 피부 표면에 균질한 처방선량을 전달함과 동시에, 치료를 수행하는 의료진 및 작업자의 방사선 피폭을 방지할 수 있는 치료 장치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한 원격 후장착 방사선 근접 치료 장치(10)는 어플리케이터(100), 주입부(200) 및 제어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터(100)는, 후술할 하기의 구성들이 배치되어, 환자의 피부 병변에 치료 방사선을 조사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부와 맞닿아 환자의 병변을 치료하기 위해, 환부의 표면 굴곡 특성과 일치하도록 제작되어야만 한다. 이를 위해 3D 스캐너를 이용하여 환자 개인마다 다른 환부의 피부 표면 굴곡을 스캔한 후, 수집한 정보를 사용하여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환자맞춤형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 때, 상기 어플리케이터(100)의 소재에 있어, 베타선원의 차폐를 최소화하여 방사선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3D 프린터를 통해 제작될 수 있는 재료에서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고무, 섬유 또는 플라스틱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터(100)는, 환자의 피부 표면의 굴곡을 반영하여 환부와 수직한 방향으로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있는 틀인바, 환부와 치료용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와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치료용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를 수용하는 어플리케이터(100) 내부의 두께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환자 피부의 균일한 깊이까지 동일한 처방 방사선량을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주입부(2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한 원격 후장착 방사선 근접 치료 장치에 치료용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를 주입하여 환자의 방사선 치료를 수행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입부(200)는, 수용부(210) 및 유동관(220)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210)는 상기 어플리케이터(100) 내부의 빈 공간에 형성되어, 치료용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를 수용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수용부(210)는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를 밀봉할 수 있는 신축성이 좋으며, 찢어지지 않는 얇은 재질의 고분자 화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베타선원의 치료용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의 차폐를 최소화하여 방사선 근접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테트라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trephthalat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Low-density polyethylene)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High-density polyethylene)등과 같은 고분자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소재를 채택함으로써, 상기 어플리케이터(100)의 내부에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어 있는 빈 공간에 배치되어, 치료용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를 주입하였을 때, 환자맞춤형으로 제작된 어플리케이터(100)의 내부의 빈 공간과 일치하는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의 분포가 가능하여, 환자 피부 병변의 균일한 방사선 조사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210)를 상기 어플리케이터(100)의 내부에 장착하지 않고, 치료용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를 직접 어플리케이터 내부에 주입하여 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터는 밀봉되어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와 환자의 접촉을 방지한다.
유동관(220)은 상기 수용부(210)와 연결되어 상기 치료용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의 이동을 위한 통로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유동관(220)을 통해 피부에 발생한 병변에 방사선을 조사하기 위해 상기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가 수용부(210) 내로 주입되고, 치료가 끝난 후, 수용부(21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수용부(210) 및 상기 유동관(220)은 치료용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의 밀봉을 위한 스파우트(spout) 또는 치어 팩(cheer pack) 형태(도시하지 않음)로 체결될 수 있고, 밀봉 또는 분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치료용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는 베타선원 또는 저에너지 감마선원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타선원은 인(P)-32, 스트론튬(Sr)-89, 이트륨(Y)-90, 요오드(I)-131 또는 사마륨(Sm)-153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비정(range)이 짧은 상기 베타선원 또는 저에너지 감마선원을 치료에 사용함으로써, 얕은 깊이의 피부 병변에 충분한 처방 방사선량을 전달할 수 있으며, 투과성이 높지 않은 방사선을 사용하기 때문에, 심부에 위치한 정상 장기 또는 조직의 불필요한 방사선 피폭을 방지할 수 있고, 정상 장기 또는 조직에 피폭되는 방사선량을 줄여, 처방 방사선량을 증가시킴으로써, 피부 병변 또는 피부암 치료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액상의 방사성 동위원소를 사용함으로써, 환자의 불규칙한 굴곡의 병변에도 방사선 치료의 적용이 가능하며, 인체의 굴곡과 무관하게 균일한 깊이에 처방선량을 전달할 수 있고, 상기 어플리케이터(100) 및 상기 수용부(210)를 통해 다양한 형태를 재현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본 발명의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한 원격 후장착 방사선 근접 치료 장치를 구현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어플리케이터(100) 및 상기 수용부(210)에 원격 후장착을 이용하여, 의료진 및 작업자의 방사선 피폭을 방지하면서 상기 근접 치료 장치에 치료용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를 주입하고, 환부에 머무르며 방사선을 조사하여 치료를 수행한 후, 충분한 처방 방사선량을 전달한 후에 치료용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를 상기 수용부(210)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0)를 이용하여 상기 어플리케이터(100) 및 상기 수용부(210)를 환자의 병변에 장착한 후, 상기 어플리케이터(100) 및 상기 수용부(210)에 원격으로 치료용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를 상기 유동관(220)을 통해 주입 또는 제거하는 제어가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환자 두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는 환자 맞춤형 어플리케이터(100)를 장착하고, 유동관(220)을 통해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가 수용부(210)에 주입되며, 환자의 두피 피부암 영역의 균일한 깊이에 처방 방사선량이 전달되도록 방사성 동위원소를 분포시킬 수 있으며, 이 때, 방사성 동위원소는 수용부(210) 내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방사성 동위원소는 환자의 피부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원격 후장착을 구현하기 위해,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 저장부, 모터부 또는 컴퓨터 치료 계획부(도시하지 않음)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한 원격 후장착 방사선 근접 치료 장치를 두피 피부암에 적용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격 후장착 방사선 근접 치료 장치를 이용하여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부의 표면 굴곡 특성과 일치하도록 상기 어플리케이터(100)를 3D 스캐너 및/또는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제작하고, 상기 어플리케이터(100)를 환부에 부착시킨 후, 상기 어플리케이터(100) 내부에 위치한 상기 수용부(210)에 치료용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를 상기 유동관(220)을 이용하여 주입하고, 환자의 환부에 처방 방사선량이 전달되도록 일정 시간 동안 방사성 동위원소를 분포시켜, 방사선을 조사한 뒤, 상기 유동관(220)을 통해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가 상기 주입부(200)로부터 제거될 수 있으며, 이 때,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는 상기 수용부(210) 및 상기 유동관(220)의 내부에 밀봉되어 위치하기 때문에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는 환자의 피부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으며, 원격으로 치료를 개시하기 때문에, 정상적인 사용 절차에서 의료진 및 작업자 등 관련 종사자의 방사선 피폭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격 후장착 방사선 근접 치료 장치는 단독으로 방사선 치료에 사용될 수 있으나, 기존의 방사선 치료 기법과 조합하여 환자에게 보다 나은 방사선량 분포를 제공할 수 있으며, 피부 조직을 치료 대상으로 하고, 피부암, 피부 표면에 위치한 암 또는 피부 표면에 위치한 방사선 치료가 가능한 병변에 적용 가능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도면에서 도시한 두피 피부암 방사선 치료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인체 모든 부위의 피부 표면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외과적 수술이 불가능한 광범위한 영역의 치료가 가능하며, 치료 범위 또는 치료 부위에 있어 제약을 받지 않고, 방사선 치료의 불확실성(uncertainty)을 줄이고, 임상에서의 적용이 용이하도록 치료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원격 후장착 방사선 근접 치료 장치
100 : 어플리케이터 200 : 주입부
210 : 수용부 220 : 유동관
300 : 제어부

Claims (7)

  1. 원격 후장착 방사선 근접 치료 장치에 있어서,
    환부의 표면 굴곡 특성과 일치하도록 3D 스캐너 및 3D 프린터로 제작된 어플리케이터(100);
    상기 어플리케이터(100)와 연결되어 치료용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가 주입되는 주입부(200); 및
    상기 주입부(200) 일단에 연결되어 치료용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의 주입을 제어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어플리케이터(100)는 환부와 치료용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와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면서 상기 치료용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의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후장착 방사선 근접 치료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200)는
    상기 어플리케이터(100) 내에 배치되어 주입되는 치료용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를 수용하는 수용부(210); 및
    상기 수용부(210)와 연결되어 상기 치료용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의 이동을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유동관(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후장착 방사선 근접 치료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210)의 재질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테트라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trephthalat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Low-density polyethylene)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High-density polyethyle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후장착 방사선 근접 치료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용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는 베타선원 또는 저에너지 감마선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후장착 방사선 근접 치료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베타선원은 인-32, 스트론튬-89, 이트륨-90, 요오드-131 또는 사마륨-15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후장착 방사선 근접 치료 장치.
KR1020160061107A 2016-05-18 2016-05-18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한 원격 후장착 방사선 근접 치료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783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107A KR101783881B1 (ko) 2016-05-18 2016-05-18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한 원격 후장착 방사선 근접 치료 장치
PCT/KR2017/005125 WO2017200298A1 (ko) 2016-05-18 2017-05-17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한 원격 후장착 방사선 근접 치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107A KR101783881B1 (ko) 2016-05-18 2016-05-18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한 원격 후장착 방사선 근접 치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3881B1 true KR101783881B1 (ko) 2017-10-10

Family

ID=60190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1107A Expired - Fee Related KR101783881B1 (ko) 2016-05-18 2016-05-18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한 원격 후장착 방사선 근접 치료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83881B1 (ko)
WO (1) WO20172002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99014B (zh) * 2018-12-29 2021-03-23 王世广 一种妇科肿瘤后装手术辅助装置的制作方法
WO2021007649A1 (en) 2019-07-18 2021-01-21 Adaptiiv Medical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sign and fabrication of surface brachytherapy applicator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2949Y1 (ko) 2000-10-18 2001-05-15 한국원자력연구소 안구암 근접 방사선 치료용 기구
US20110207987A1 (en) * 2009-11-02 2011-08-25 Salutaris Medical Devices, Inc. Methods And Devices For Delivering Appropriate Minimally-Invasive Extraocular Radiation
US20150105602A1 (en) 2013-10-15 2015-04-16 Ip Liberty Vision Corporation Polymeric radiation-source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94457B2 (en) * 2003-11-07 2009-02-24 Cytyc Corporation Brachytherapy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a target tissue through an external surface of the tissue
KR101577976B1 (ko) * 2013-05-15 2015-12-16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환자 맞춤형 어플리케이터에 대한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환자 맞춤형 어플리케이터를 제조하는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2949Y1 (ko) 2000-10-18 2001-05-15 한국원자력연구소 안구암 근접 방사선 치료용 기구
US20110207987A1 (en) * 2009-11-02 2011-08-25 Salutaris Medical Devices, Inc. Methods And Devices For Delivering Appropriate Minimally-Invasive Extraocular Radiation
US20150105602A1 (en) 2013-10-15 2015-04-16 Ip Liberty Vision Corporation Polymeric radiation-sour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200298A1 (ko) 2017-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86971T3 (es) Braquiterapia periférica de órganos salientes conformables
Tillner et al. Pre-clinical research in small animals using radiotherapy technology–a bidirectional translational approach
Dawson et al. Dose effects of seeds placement deviations from pre-planned positions in ultrasound guided prostate implants
Stannard et al. Iodine-125 brachytherapy in the management of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oral cavity and oropharynx
KR101783881B1 (ko)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한 원격 후장착 방사선 근접 치료 장치
Gazda et al. Principles of radiation therapy
Paine et al. Interstitial brachytherapy: past-present-future
Sider et al. CT-guided placement of iodine-125 seeds for unresectable carcinoma of the lung
Bloedorn et al. The role of interstitial therapy in present day radiotherapy
Perez et al. Physics and clinical aspects of brachytherapy
Slessinger Practical considerations for prostate HDR brachytherapy
Carrara et al. Brachytherapy
Möller et al. Radiotherapy techniques in current use in Sweden
Bidmead Afterloading equipment for brachytherapy
Sewchand et al. Removable high intensity iridium-192 brain implants: technique and in vivo measurements in canine brain
Duckworth et al. Implementation of a Leipzig surface HDR treatment program with 3D printing
Enferadi et al. Radiation therapy in the early 21st century: technological advances
Koshki et al. Investigating the Difference Between Electron and Photon Radiation in Radiotherapy
Pignol et al. Permanent breast seed implants
Burke Brachytherapy Physics and Equipment
Teo et al. An accurate method of 192Ir wire implantation for locally advanced carcinoma of breast
Boyer et al. A luer lock afterloading device for iridium-192 brachytherapy
Bedwinek Preoperative planning of breast implants using the breast implant planning device (BIPD)
Miszczak Modern Brachytherapy Techniques-Real-Time High Dose Rate Brachytherapy for Prostate Cancer
Briot et al. 126 Improvement in the dose distribution assessment using ICRU 38 recommendations with CT scan and mri in gynecological brachytherap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3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9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9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