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3622B1 - Connector for characteristic impedance mismatch protection - Google Patents
Connector for characteristic impedance mismatch prote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83622B1 KR101783622B1 KR1020160044429A KR20160044429A KR101783622B1 KR 101783622 B1 KR101783622 B1 KR 101783622B1 KR 1020160044429 A KR1020160044429 A KR 1020160044429A KR 20160044429 A KR20160044429 A KR 20160044429A KR 101783622 B1 KR101783622 B1 KR 1017836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or
- outer conductor
- contact surface
- contact
- characteristic impedan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1—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coil spr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결합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의 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2커넥터의 외부도체와 접촉되는 접촉면을 제공하되, 상기 접촉면이 상기 제1커넥터의 외부도체 내경부에 접촉된 상태로 상하 이동되도록 하여 상기 제2커넥터의 외부도체와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탄성슬리브기재를 더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for preventing a characteristic impedance mismatch, the connector being coupled to a first connector and a second connector, the connector having a contact surface which is fixed in the first connector and contacts the external conductor of the second connector, And an elastic sleeve base that is held in contact with the outer conductor of the second connector by moving the contact surface in a state of being in contact with the inner diameter portion of the outer conductor of the first connector.
Description
본 발명은 특성 임피던스를 부정합 방지용 RF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커넥터의 접속시 접속방향 유격으로 인하여 특성 임피던스가 변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특성 임피던스를 유지할 수 있는 RF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RF connector for preventing a mismatch in characteristic impedan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RF connector capable of maintaining a characteristic impedance capable of preventing a characteristic impedance from fluctuating due to a coupling direction clearance when a connector is connected.
일반적으로 무선통신용 RF 커넥터는 50Ω의 특성 임피던스를 가지도록 설계된다. 이와 같은 특성 임피던스는 커넥터가 정합되었을 때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다. Generally, the RF connector for wireless communication is designed to have a characteristic impedance of 50 Ω. These characteristic impedances are based on when the connectors are matched.
마이크로웨이브 엔지니어링에서 전자파 에너지의 전력 전송 특성이 가장 좋은 임피던스는 33Ω, 신호파형의 왜곡이 가장 작은 임피던스는 75Ω 정도로 알려져 있으며, 두 특성을 양호하게 만족하는 중간값인 50Ω을 특성 임피던스로 사용하고 있다.In microwave engineering, the best impedance is 33 Ω for the power transmission characteristic of electromagnetic wave energy, and the impedance with the smallest distortion of the signal waveform is about 75 Ω. The characteristic impedance is 50 Ω which is a medium value satisfying both characteristics satisfactorily.
특히 이동통신 시스템의 전체적인 회로단이 50Ω으로 설계되고 있기 때문에 커넥터가 다른 임피던스를 갖는 경우에는 호환성이 없으며, 커넥터의 특성 임피던스가 50Ω과 차이가 클수록 신호파형의 왜곡 또는 전력 전송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overall circuit end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designed to be 50 Ω, there is no compatibility when the connector has a different impedance. The larger the difference in the characteristic impedance of the connector from the 50 Ω, the lower the signal waveform distortion or power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Have.
이처럼 종래 대부분의 RF 커넥터들은 정합상태의 특성 임피던스가 50Ω이 되도록 설계되어 있지만, 커넥터 결합 환경에 따라 정합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 특성 임피던스가 변화되어 신호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As described above, most conventional RF connectors are designed to have a characteristic impedance of 50? In a matching state, but when the matching is not performed according to the connector coupling environmen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haracteristic impedance is changed due to the change of the characteristic impedance.
커넥터의 결합 환경에 따라 임피던스의 부정합이 발생할 수 있는 예를 등록특허 10-1166431호(알에프 동축 커넥터, 2012년 7월 11일)에서 확인할 수 있다.An example of impedance inconsistency depending on the coupling environment of the connector can be found in Japanese Patent No. 10-1166431 (RF coaxial connector, July 11, 2012).
등록특허 10-1166431호에서는 인쇄회로 기판, RF 모듈, 동축 케이블을 연결할 때, 커넥터의 중심축이 일치하지 않더라도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구조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1166431 discloses a structure in which a connector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rinted circuit board, an RF module, and a coaxial cable even when the center axes of the connectors do not coincide with each other.
위의 등록특허의 도면 도 6을 참고하면, 두 개의 소켓을 하나의 어댑터로 연결하는 구조에서 두 소켓의 중심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댑터는 두 소켓의 불일치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위치할 수밖에 없다. Referring to FIG. 6 of the above patent application, in a structure in which two sockets are connected by a single adapter, if the centers of the two sockets do not coincide with each other, the adapter has to be inclined along the direction of discrepancy of the two sockets.
이처럼 어댑터의 경사도에 따라 어댑터의 외부도체 일측 끝단은 경사지게 되며, 경사진 어댑터의 외부도체 끝단은 결합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소켓의 외부도체 안쪽면에 완전하게 밀착되지 않게 된다.As such, depending on the inclination of the adapter, one end of the outer conductor of the adapter is inclined and the outer conductor end of the tapered adapter is not completely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onductor of the socket perpendicular to the coupling direction.
즉, 두 소켓의 중심이 일치하는 경우에는 어댑터와 소켓의 외부도체 끝단은 서로 밀착되어 50Ω의 특성 임피던스를 유지할 수 있지만, 두 소켓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소켓 간의 거리가 실질적으로 늘어나게 되어 어댑터와 소켓의 외부도체의 끝단이 서로 접촉되지 않는 부분이 발생하여 특성 임피던스가 변화된다.That is, when the centers of the two sockets coincide with each other, the outer conductor ends of the adapter and the socket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maintain the characteristic impedance of 50. However, when the centers of the two sockets do not coincide with each other, And the ends of the outer conductor of the socket are not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by changing the characteristic impedance.
앞서 언급한 것처럼 커넥터의 부정합은 특성 임피던스의 변화를 야기하고, 특성 임피던스의 변화에 따라 전력 전송 특성 저하나 신호 파형의 왜곡이 발생 하게 된다.
As mentioned above, the mismatch of the connector causes a change in the characteristic impedance, and the power transmission characteristic is lowered or the signal waveform is distort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characteristic impedance.
위의 예와는 다른 이유로도 외부도체간의 부정합이 발생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두 소켓이 하나의 어댑터에 의해 결합되는 구조를 예로 들면, 두 소켓의 중심이 일치하지만 물리적인 이유로 두 소켓 간의 거리가 설계 값보다 멀어지는 경우에도 부정합이 발생될 수 있다.For reasons other than the above example, inconsistencies between external conductors can occur. For example, if the two sockets described above are combined by one adapter, mismatch may occur even if the centers of the two sockets coincide, but the physical distance between the two sockets is greater than the design value.
즉, 두 소켓 간의 거리를 고려하여 어댑터의 축방향 길이를 설계하는데, 어댑터의 축방향 길이에 비하여 두 소켓 간의 거리가 더 먼 경우에 어댑터의 외부도체 끝단은 소켓의 외부도체 안쪽면의 접촉면적 또는 접촉길이가 감소하게 된다.In other words, the axial length of the adapter is designed conside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sockets. If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sockets is longer than the axial length of the adapter, the outer conductor end of the adapter is the contact area of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onductor of the socket The contact length is reduced.
위의 물리적인 이유는 소켓 또는 어댑터의 제작 공차에 의한 것이거나, 상기 두 소켓이 고정되는 기판에 실장되는 타부품의 영향 등이 있을 수 있다.
The above physical reasons may be due to manufacturing tolerances of the socket or the adapter, or the influence of other components mounted on the substrate on which the two sockets are fixed.
도 1은 종래 소켓 간의 거리가 어댑터의 축방향 길이에 비하여 더 긴 경우의 커넥터 결합 상태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or in a state w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conventional sockets is longer than the axial length of the adapter.
도 1을 참조하면 기판 등의 다른 물리적인 두 구성요소에 각각 고정되는 소켓(10,20)을 하나의 어댑터(30)로 결합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소켓(10,20)의 사이 거리가 제작 공차나 상기 물리적인 두 구성요소에 실장된 다른 부품에 의해 어댑터(30)의 길이에 비하여 더 길게 되는 경우에는 소켓(10,20)과 어댑터(30) 사이에 축방향으로 이격되는 간격부(A)가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1, in the connector for coupling the
상기 두 소켓(10,20)은 각각 내부도체(11,21), 유전체(12,22) 및 외부도체(13,23)를 포함하고 있으며, 어댑터(30) 역시 상기 두 소켓(10,20)의 내부도체(11,21)와 결합되는 내부도체(도면 미도시), 외부도체(13,23)에 접촉되는 외부도체(31,32) 및 유전체를 포함하는 구성이다.The two
이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소켓(10)의 외부도체(13)의 안쪽 접촉면(13a)에는 상기 어댑터(30)의 외부도체(31)의 접촉면(31a)이 접촉되고, 상기 소켓(20)의 외부도체(23)의 안쪽 접촉면(23a)에는 상기 어댑터(30)의 외부도체(32)의 접촉면(32a)이 접촉되어 특성 임피던스를 유지할 수 있다.The
그러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켓(10,20)간의 거리가 어댑터(30)의 축방향 길이에 비하여 더 멀게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소켓(10)의 접촉면(13a)과 어댑터(30)의 접촉면(31a)은 접촉되지 않으며, 상기 소켓(20)의 접촉면(23a)과 어댑터(30)의 접촉면(32a)도 접촉되지 않고 간격부(A)가 발생하게 된다.
The distance between the
이처럼 종래에는 커넥터의 중심의 불일치 또는 커넥터 사이의 거리 변화에 따라 임피던스 부정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임피던스 부정합에 따라 신호 특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Thus, conventionally, impedance mismatch may occur according to the mismatch of the center of the connector or the distance between the connectors, and the signal characteristic may be degraded due to the impedance mismatch.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커넥터 간의 중심 불일치, 사이 거리의 변화 등 중심도체간의 부정합이 발생하는 조건에서도 임피던스 부정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를 제공함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haracteristic impedance mismatch prevention connector capable of preventing occurrence of impedance mismatch even under the condition of mismatching between central conductors such as center mismatch between connectors, .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결합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의 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2커넥터의 외부도체와 접촉되는 접촉면을 제공하되, 상기 접촉면이 상기 제1커넥터의 외부도체 내경부에 접촉된 상태로 상하 이동되도록 하여 상기 제2커넥터의 외부도체와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탄성슬리브기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nector for preventing characteristic impedance mismatch in which a first connector and a second connector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connector is fixed in the first connector and contacts the outer conductor of the second connector The elastic connector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sleeve base which is provided with a contact surface so that the contact surface is moved up and down in contact with the inner diameter of the outer conductor of the first connector to maintain contact with the outer conductor of the second connector.
상기 제1커넥터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한 쌍의 상기 제1커넥터는 하나의 상기 제2커넥터에 의해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The first connectors may be provided in a pair, and a pair of the first connectors may be connected by one second connector.
상기 탄성슬리브기재는, 압축된 상태에서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의 복원력 또는 상기 제2커넥터의 결합 힘에 의해 상향 또는 하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슬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The elastic sleeve base may include an elastic part that provides a restoring force in a compressed state and a moving sleeve that moves upward or downward due to a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part or a coupling force of the second connector.
상기 이동슬리브는, 상기 제2커넥터의 외부도체 접촉면에 접촉되는 접촉면과, 상기 제1커넥터의 외부도체 내경에 마련된 걸림턱에 걸려 이탈이 방지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ving sleeve may include a contact surface contacting the outer conductor contact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or and a departure preventing portion which is caught by the stopper provided on the inner diameter of the outer conductor of the first connector and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상기 이동슬리브는, 상기 탄성부에 접촉되는 면이 경사진 경사접촉면일 수 있다.The moving sleeve may be an inclined contact surfac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elastic portion.
상기 이동슬리브의 접촉면은, 상기 제2커넥터의 외부도체 접촉면의 경사도에 따른 결합 힘의 불균형에 따라 경사지게 제공될 수 있다.The contact surface of the moving sleeve can be provided to be inclined according to the unevenness of the engaging force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outer conductor contact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or.
상기 탄성부는, 탄성링, 판스프링 또는 코일스프링일 수 있다.
The elastic portion may be an elastic ring, a leaf spring, or a coil spring.
본 발명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는, 탄성슬리브기재를 사용하여, 커넥터의 중심 서로 일치하지 않거나, 커넥터 사이의 거리가 설계 값에 비하여 더 먼 경우에도 커넥터의 접촉을 유지할 수 있음으로써, 특성 임피던스의 부정합을 방지하여 신호 특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connector for preventing characteristic impedance misma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the contact of the connector even if the centers of the connectors do not coincide with each other or the distance between the connectors is larger than the designed value by using the elastic sleeve base material, Thereby preventing deterioration of the signal characteristics.
도 1은 종래 커넥터의 결합 상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의 결합상태 일실시 단면 구성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의 결합상태 단면 구성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FIGS. 2 to 4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of a connector for preventing characteristic impedance mismatch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5 to 7 are cross-sectional structural views of a connector for preventing characteristic impedance mismatc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이하, 본 발명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connector for preventing characteristic impedance mismatc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 내지 도 4는 각각 본 발명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의 결합상태 단면 구성도이다.Figs. 2 to 4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connectors for preventing the characteristic impedance misma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도 2 내지 도 4를 각각 참조하면 본 발명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는, 커넥터의 일측인 제1커넥터(100)에 탄성슬리브기재(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제1커넥터(100)에 결합되는 커넥터의 타측인 제2커넥터(200)의 결합시 탄성슬리브기재(300)의 이동슬리브(320)가 상기 제2커넥터(200)의 외부도체(230)와 접촉을 유지한 상태로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Referring to FIGS. 2 to 4, the connector for preventing characteristic impedance mismatc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제1커넥터(100)는 중심도체(110)와, 상기 중심도체(110)의 일부를 감싸는 유전체(120)와, 상기 유전체(120)에 의해 상기 중심도체(110)와는 전기적으로 분리되며, 하부도체(131)와 상부도체(132)로 분할되는 외부도체(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상기 탄성슬리브기재(300)는 상기 하부도체(131)의 바닥면에 접촉되는 탄성부(310)와, 상기 상부도체(132)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31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제2커넥터(200)의 외부도체(230)의 접촉면에 접촉을 유지하는 이동슬리브(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connector for preventing characteristic impedance mismatch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 내지 도 4는 각각 두 개의 제1커넥터(100)를 하나의 제2커넥터(200)로 연결한 상태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두 개의 제1커넥터(100) 중 도면상 하부에 위치하는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의 결합의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FIGS. 2 to 4 show an example in which two
상기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는 각각 커넥터의 일측부에 해당하는 것으로,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는 소켓과 어댑터, 소켓과 플러그일 수 있으며, 각각 PCB 기판에 고정된 것이거나, 기타 보드에 결합된 것이거나, 일측 또는 양측이 케이블에 연결된 것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통신신호 또는 전기신호를 연결하는 커넥터에는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
The
도 2를 참조하면 제1커넥터(100)에 제2커넥터(200)가 결합 될 때 제1커넥터(100)의 외부도체(130)가 정의하는 공간 내로 상기 제2커넥터(200)의 일측 외부도체(230)가 삽입된다. Referring to FIG. 2, when the
이때 상기 제2커넥터(200)의 타측 외부도체는 도면상 위쪽에 위치하는 제1커넥터(100)에 먼저 결합된 상태인 것으로 할 수 있으며, 위쪽에 위치하는 제1커넥터(100)와는 무관하게 하부에 위치하는 제1커넥터(100)에 제2커넥터(200)의 일측 외부도체(230)를 결합하는 것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other outer conductor of the
상기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를 결합할 때, 상기 제2커넥터(200)의 일측 외부도체(230)의 단부인 접촉면(231)은 상기 탄성슬리브기재(300)의 이동슬리브(320)의 상면인 접촉면에 접촉되고, 결합방향인 축방향의 결합 힘에 의해 상기 이동슬리브(320)에 하향의 압력을 제공하게 된다.When the
상기 결합 힘에 따른 압력을 받은 이동슬리브(320)는 상기 외부도체(230)의 내측면과의 접촉상태를 유지하면서 하향으로 이동하며, 이때의 탄성슬리브기재(300)의 탄성부(310)는 이동슬리브(320)의 이동 압력에 따라 탄성 압축된다.The
상기 탄성부(310)는 고무, 실리콘 등의 탄성소재를 사용한 링형 구조일 수 있다. The
상기 제1커넥터(100)에 제2커넥터(200)가 완전히 결합 된 상태에서도 상기 탄성부(310)의 복원력이 작용하기는 하지만,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 간의 결합 힘이 더 크기 때문에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는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The restoring force of the
상기 제1커넥터(100)의 외부도체(13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부도체(132)와 하부도체(131)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부도체(131)의 내경부에 상부도체(132)의 하부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상부도체(132)의 하단부가 걸림턱(133)으로 작용되도록 한다.The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상기 탄성슬리브기재(300)는 하부도체(131)의 안쪽에 먼저 삽입되고, 그 다음 하부도체(131)에 상부도체(132)를 압입 고정한다.
With this structure, the
상기 탄성슬리브기재(300)의 구성은 다양한 실시예를 가질 수 있으며, 일예로 앞서 설명한 탄성부(310)와 이동슬리브(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슬리브(320)는 제1커넥터(10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커넥터(100)의 외부도체(130)를 이루는 상부도체(132)의 하단부인 걸림턱(133)에 에 걸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탈방지부(32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structure of the
또한 상기 이동슬리브(320)는 상기 탄성부(310)와 접하는 면을 경사면인 경사접촉면(322)으로 구성하여, 탄성부(310)에 결합힘의 전달이 용이하도록 함과 아울러 탄성부(310)의 복원력의 전달이 용이하도록 한다.
The moving
도 3은 도 2에 비하여 두 제1커넥터(100) 사이가 더 먼 경우의 예를 보인 단면도이며, 제2커넥터(200)를 결합할 때 상기 두 제1커넥터(100)의 거리 차에 의해 결합 압력이 감소하며 따라서 탄성부(310)가 거의 압축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다.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ase w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이는 제1커넥터(100) 사이가 먼 경우에도 상기 제2커넥터(200)의 외부도체(230) 단부에 상기 이동슬리브(320)의 단부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is makes it possible to keep the end of the moving
즉, 상기 이동슬리브(320)는 탄성부(310)에 의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으며, 단부가 제2커넥터(200)의 외부도체(230) 단부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특성 임피던스가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since the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예와는 다르게 제1커넥터(100) 사이의 거리가 도 2에 도시한 예보다도 짧은 것으로, 탄성부(310)가 더 압축된 상태를 나타낸다.
4, the distance between the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예와 같이 본 발명은 도 2의 예를 기본 설계로 하고, 가공 공차에 의해 발생하는 소켓 간의 거리차를 커넥터의 축방향을 따라 소정의 정도로 상하 이동이 가능한 도전체인 이동슬리브(320)로 극복할 수 있으며, 따라서 특성 임피던스 값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2 to 4,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basic design of the example of Fig. 2, in which the difference in the distance between the sockets generated by the machining tolerance is reduc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connector, It can be overcome by the
이와 유사하게, 도 4의 구성을 기본 설계로 하는 경우에는, 제1커넥터(100) 간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더 멀어지는 경우에도 특성 임피던스의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Similarly, in the case of the basic design of the configuration of Fig. 4, it is possible to prevent a change in the characteristic impedance even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의 구성도이다.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nector for preventing characteristic impedance mismatc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는,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가 결합되는 구조에서, 상기 제1커넥터(100)의 내측에는 결합방향인 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여 제2커넥터(200)의 외부도체(230)의 접촉면(231)과 접촉상태를 유지하는 탄성슬리브기재(300)를 포함한다.5, the connector for preventing characteristic impedance mismatc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in which the
상기 탄성슬리브기재(3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탄성부(310)와 도전체인 이동슬리브(320)를 포함하며, 이때 탄성부(310)는 판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도 5의 예에서 제1커넥터(100)는 외부도체(130)가 앞선 예와 같이 상부도체와 하부도체의 결합이 아닌 다른 구조를 가진다.In the example of FIG. 5, the
상기 외부도체(130)는 내경부의 하단 직경이 상단 직경보다 더 큰 구조로서, 그 내경부 하단에 수용공간부(135)를 형성하고, 외부도체(130)의 하단에는 플러그(134)가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부(130)에 수용되는 탄성슬리브기재(3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The
상기 플러그(134)는 링형 구조이며, 내경부에는 중심도체(110)와 유전체(120) 결합구조가 삽입된다.The plug 134 has a ring-like structure, and a coupling structure of the
상기 수용공간부(135)의 상부면은 걸림턱(133)으로 작용하게 되며, 이동슬리브(320)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이탈방지부(321)가 형성된 것으로 한다.
The upper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35 serves as a latching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의 단면 구성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or for preventing characteristic impedance mismatc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다른 구성은 도 5에 도시한 실시예와 동일하나 탄성부(310)를 판스프링이 아닌 코일스프링으로 변경한 것이다.Referring to FIG. 6, the other structure is the same as the embodiment shown in FIG. 5, but the
이처럼 본 발명은 탄성부(310)로 소재 자체의 탄성력을 이용하거나, 기계적으로 탄성을 가지도록 설계된 구조물을 이용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utilize the elastic force of the material itself or the structure designed to have mechanical elasticity with the
위의 예들에서는 본 발명이 두 개의 제1커넥터(100)가 하나의 제2커넥터(200)에 의해 결합되는 예에서 두 제1커넥터(100)의 중심이 서로 일치하지만 그 사이의 거리가 공차 등에 의해 설계 값보다 멀어지거나 가까워진 경우에도 특성 임피던스에 부정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 예를 설명하였다.
In the above examples, in the exampl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that the two
본 발명은 두 개의 제1커넥터(100)가 제2커넥터(200)에 의해 결합 될 때 제1커넥터(100)들의 중심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특성 임피던스에 부정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inconsistency in the characteristic impedance even when the centers of the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따른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의 단면 구성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or for preventing characteristic impedance mismatc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도면상 상하로 위치하는 한 쌍의 제1커넥터(100)의 중심이 서로 일치하지 않게 위치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제1커넥터(100)를 서로 연결하는 제2커넥터(200)는 축방향이 수직방향이 아니고 수직방향에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된다.Referring to FIG. 7, when the centers of a pair of
상기 제2커넥터(200)가 경사진 상태로 서로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는 한 쌍의 제1커넥터(100) 사이에 결합되는 경우 제2커넥터(200)의 외부도체(230)의 접촉면(231)은 지면과 평행한 상태가 아닌 경사진 상태가 된다. The
이 상태에서도 상기 접촉면(231)의 일부는 제1커넥터(100) 내에 삽입된 탄성슬리브기재(300)의 이동슬리브(320)의 일부에 접촉되기 때문에 특성 임피던스의 부정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Even in this state, a part of the
또한 이동슬리브(320)의 설계시 여유도를 확보하여 상기 제2커넥터(200)가 경사진 상태로 결합될 때 접촉면에서의 압력차에 의해 이동슬리브(320)가 경사지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즉, 상기 제2커넥터(200)의 외부도체(230)의 접촉면(231)이 경사진 상태에서 상기 이동슬리브(320)의 접촉면에 접촉되면 접촉부분이 받는 결합 힘이 접촉되지 않는 부분의 결합 힘에 비하여 더 크기 때문에 상기 이동슬리브(320)가 경사지게 될 수 있으며, 경사진 이동슬리브(320)의 접촉면이 상기 외부도체(230)의 접촉면(231)에 완전히 접촉되어,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when the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will be.
100:제1커넥터 110:내부도체
120:유전체 130:외부도체
131:하부도체 132:상부도체
133:걸림턱 134:플러그
135:수용공간부 200:제2커넥터
210:내부도체 220:유전체
230:외부도체 231:접촉면
300:탄성슬리브기재 310:탄성부
320:이동슬리브 321:이탈방지부
322:경사접촉면100: first connector 110: inner conductor
120: dielectric 130: outer conductor
131: lower conductor 132: upper conductor
133: jaw 134: plug
135: accommodating space part 200: second connector
210: inner conductor 220: dielectric
230: outer conductor 231: contact surface
300: elastic sleeve base 310: elastic part
320: moving sleeve 321:
322: inclined contact surface
Claims (7)
상기 제1커넥터의 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2커넥터의 외부도체와 접촉되는 접촉면을 제공하되,
상기 접촉면이 상기 제1커넥터의 외부도체 내경부에 접촉된 상태로 상하 이동되도록 하여 상기 제2커넥터의 외부도체와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탄성슬리브기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슬리브기재는,
압축된 상태에서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링과,
상기 탄성링과 경사지게 접촉되는 경사접촉면을 구비하여 상기 탄성링의 복원력 또는 상기 제2커넥터의 결합 힘에 의해 상향 또는 하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결합 힘의 불균형에 의해 상기 제2커넥터가 경사지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슬리브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
In the connector in which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re combined,
A contact surface fixed within the first connector to contact the outer conductor of the second connector,
Further comprising a resilient sleeve base material capable of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outer conductor of the second connector by causing the contact surface to move up and down in contact with the inner diameter of the outer conductor of the first connector,
The elastic sleeve base material,
An elastic ring for providing a restoring force in a compressed state,
The first connector is moved upward or downward due to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ring or the coupling force of the second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is inclined by the unbalance of the coupling force And a movable sleeve for preventing a mismatch of the characteristic impedance.
상기 제1커넥터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한 쌍의 상기 제1커넥터는 하나의 상기 제2커넥터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nnector is provided in a pair,
And a pair of the first connectors are connected by one of the second connectors.
상기 이동슬리브는,
상기 제2커넥터의 외부도체 접촉면에 접촉되는 접촉면과,
상기 제1커넥터의 외부도체 내경에 마련된 걸림턱에 걸려 이탈이 방지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ving sleeve
A contact surface contacting the external conductor contact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or,
And a detachment preventing portion which is caught by an engagement protrusion provided on an inner diameter of an outer conductor of the first connector and is prevented from being releas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44429A KR101783622B1 (en) | 2016-04-11 | 2016-04-11 | Connector for characteristic impedance mismatch prote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44429A KR101783622B1 (en) | 2016-04-11 | 2016-04-11 | Connector for characteristic impedance mismatch protec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83622B1 true KR101783622B1 (en) | 2017-10-10 |
Family
ID=60190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44429A Active KR101783622B1 (en) | 2016-04-11 | 2016-04-11 | Connector for characteristic impedance mismatch protec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83622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66431B1 (en) * | 2011-07-25 | 2012-07-19 | 주식회사 엠피디 | Radio frequncy coaxial connector |
-
2016
- 2016-04-11 KR KR1020160044429A patent/KR10178362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66431B1 (en) * | 2011-07-25 | 2012-07-19 | 주식회사 엠피디 | Radio frequncy coaxial connecto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181692B2 (en) | Coaxial connector with translating grounding collar for establishing a ground path with a mating connector | |
EP3547459B1 (en) | Board mating connector in which signal contact unit and ground contact unit are interlocked | |
CA1178351A (en) | Coaxial connector assembly | |
CN108432053B (en) | Board connector assembly, connector and method of forming board connector assembly | |
US7112078B2 (en) | Gimbling electronic connector | |
CN107453069B (en) | Connectors and Connector Systems | |
US7819680B2 (en) | Surface mount coaxial connector with switching function | |
CN104350648B (en) | Modular radio frequency connector system | |
EP3547460B1 (en) | Board mating connector | |
US11189945B2 (en) |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ical connection socket, and electrical connection socket | |
US9979132B1 (en) | Coaxial connectors with grounding tube for altering a ground path with a conductor | |
KR101166431B1 (en) | Radio frequncy coaxial connector | |
US11515669B2 (en) | Floating header and circuit board assembly | |
KR101922142B1 (en) | Board to Board Connector | |
WO2009061022A1 (en) | Connector capable of coupling to printed circuit board | |
KR101311724B1 (en) | Connector assembly | |
CN105684227A (en) | High-Speed Connectors with Sealed Bases | |
EP2896094B1 (en) | Electrical connector | |
CN103887626B (en) | Coaxial connector | |
KR101783622B1 (en) | Connector for characteristic impedance mismatch protection | |
CN107565250A (en) | Connector | |
US20180375258A1 (en) | Self-aligning cable mating connector | |
KR102309404B1 (en) | Board to board connector | |
US11936145B2 (en) | Controlled impedance compressible connector | |
KR102203367B1 (en) | Connecting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4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9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9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