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83515B1 - Cooling plate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module - Google Patents

Cooling plate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3515B1
KR101783515B1 KR1020140153701A KR20140153701A KR101783515B1 KR 101783515 B1 KR101783515 B1 KR 101783515B1 KR 1020140153701 A KR1020140153701 A KR 1020140153701A KR 20140153701 A KR20140153701 A KR 20140153701A KR 101783515 B1 KR101783515 B1 KR 101783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plate
cooling
plate
secondary battery
battery modu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37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54289A (en
Inventor
최승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40153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3515B1/en
Publication of KR20160054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42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3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3515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4Rods or pl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4Rods or plates
    • H01M10/6555Rods or plates arranged between th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1Physical characteristics, e.g. porosity, surface ar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판형 냉각 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냉각 플레이트의 평판면에, 냉각 플레이트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메쉬 구조를 갖는 냉각부가 마련된 이차전지용 냉각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모듈은, 외부 충격 및 자극에 의한 전지 모듈 관통시, 냉각 플레이트의 변형이 최소화되고, 그 결과로서 냉각 플레이트의 변형이 단위전지에 미치는 영향이 감소됨으로써 단위전지에서의 쇼트 발생이 억제되는 등 개선된 안정성을 나타낼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ling plate for a secondary battery and a secondary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cooling plate, wherein the cooling plate is provided with a cooling part having a mesh structure penetrat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cooling plate on a flat plate surface of the cooling plate.
The secondary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deformation of the cooling plate when the battery module passes through the battery module due to external impact and stimulation and consequently reduces the influence of deformation of the cooling plate on the unit cell, Lt; RTI ID = 0.0 > stability. ≪ / RTI >

Description

이차전지용 냉각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모듈{COOLING PLATE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MODUL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ling plate for a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외부 충격 및 자극에 의한 전지 모듈 관통시 변형이 최소화되고, 그 결과로서 인접하는 단위전지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켜 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차전지용 냉각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ling plate for a secondary battery and a secondary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which can minimize the deformation when passing through the battery module due to external impact and stimulation and reduce the influence on the adjacent unit cells as a result, .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그에 따라 다양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전지에 대한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As technology development and demand for mobile devices are increasing, the demand for batteries as energy sources is rapidly increasing, and accordingly, a lot of researches on batteries capable of meeting various demands have been conducted.

대표적으로 전지의 형상 면에서는 얇은 두께로 휴대폰 등과 같은 제품들에 적용될 수 있는 파우치형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높고, 재료 면에서는 높은 에너지 밀도, 방전 전압, 출력 안정성의 리튬 이온 전지,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 등과 같은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높다.Typically, there is a high demand for a pouch-type secondary battery that can be applied to products such as mobile phones with a thin thickness in terms of the shape of the battery. In terms of materials, lithium ion batteries having high energy density, discharge voltage and output stability, lithium- The demand for secondary batteries is high.

통상 이차전지는 원통형, 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대전력을 필요로 하는 기기, 예컨대 전기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에 사용될 경우, 하나의 이차전지를 단위전지로 하여 복수 개 직렬로 연결하여 대용량의 대용량 이차전지 어셈블리(이하 ′전지모듈′이라 칭한다)를 구성하게 된다.Generally, a secondary battery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cylindrical shape and a square shape. When the secondary battery is used to drive a motor such as an electric vehicle, which requires large power,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are connected in series as a unit battery, Capacity secondary battery assembly (hereinafter referred to as " battery module ").

상기 전지 모듈을 구성하는 각각의 단위전지는 양극판과 음극판이 세퍼레이터를 개재하여 적층된 전극조립체와, 상기 전극조립체가 내장되는 공간부를 구비하는 전지케이스와, 상기 전지케이스의 외부로 일부 노출되고, 상기 전극 조립체에 구비된 양, 음극판의 집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양,음극의 전극 단자를 포함한다. 그리고 각각의 단위전지는, 예컨대 각형 이차전지의 경우 전지케이스 상부로 돌출된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가 이웃하는 단위전지의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와 엇갈리도록 교차 배열된 후, 음극단자와 양극단자를 각각 연결하여 전지 모듈을 구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전지모듈은 수 개 내지 수십 개의 단위전지가 연결되어 구성되기 때문에, 각 단위전지에서 발생되는 열이 용이하게 방출되어야 한다.Wherein each of the unit cells constituting the battery module includes a battery case having an electrode assembly in which a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a negative electrode plate are stacked with a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space portion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is housed, An amount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an electrode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urrent collector of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In the case of a prismatic secondary battery, for example, each unit cell is configured such that a cathode terminal and a cathode terminal protrud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battery case are arranged to be offset from a cathode terminal and an anode terminal of a neighboring unit cell, Thereby constituting a battery module. At this time, since several to several tens of unit cell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heat generated from each unit cell must be easily discharged.

전지 모듈의 열 방출 특성은 전지의 성능을 좌우할 정도로 매우 중요하다. 열 방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단위전지에서 발생되는 열이 전지내부의 온도 상승을 초래하고 결과적으로 전지 성능이 저하시키며, 심한 경우 폭발의 위험을 초래하게 된다. 특히, 상기 전지 모듈이 전동 청소기, 전동 스쿠터 또는 자동차용의 모터 구동용의 대용량 이차전지로서 적용되는 경우, 대전류로 충방전되기 때문에, 전지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상당한 온도까지 전지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The heat release characteristic of the battery module is very important so as to influence the performance of the battery. If the heat is not properly discharged, the heat generated in the unit cell may cause a rise in the temperature inside the battery, which may deteriorate battery performance and cause a risk of explosion. In particular, when the battery module is applied as a large-capacity secondary battery for driving an electric vacuum cleaner, an electric scooter or an automobile motor, since the battery is charged and discharged with a large current,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rises to a considerable temperature due to heat generated inside the battery do.

이에 따라 전지모듈내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는 냉각 플레이트의 개발이 요구된다.Accordingly, it is required to develop a cooling plate capable of effectively emitting heat generated in the battery module.

한국특허공개 제2012-0048938호(2012.05.16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2-0048938 (published May 16, 2012)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1기술적 과제는, 외부 충격 및 자극에 의한 전지 모듈 관통시, 변형이 최소화되고, 그 결과로서 인접하는 단위전지에 미치는 영향이 감소되어 단위전지에서의 쇼트 발생이 억제되는 등 전지의 안전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이차전지용 냉각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 first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ery module that minimizes deformation when passing through a battery module due to external impact and stimulation and consequently reduces the effect on an adjacent unit cell, And to provide a cooling plate for a secondary battery that can improve the safety of the back-up battery.

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2 기술적 과제는, 상기 냉각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모듈 및 전지팩을 제공하는 것이다.A second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condary battery module and a battery pack including the cooling plate.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However,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matter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평판형 냉각 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냉각 플레이트의 평판면에, 냉각 플레이트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메쉬 구조를 갖는 냉각부가 마련된 이차전지용 냉각 플레이트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late-type cooling plate, comprising: a cooling plate for a secondary battery provided with a cooling section having a mesh structure penetrating in a thickness direction of a cooling plate, Lt; / RTI >

또,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방전이 가능한 다수 개의 단위전지가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이차전지 모듈에 있어서, 상기 단위전지 사이에 상기한 냉각 플레이트가 개재된 이차전지 모듈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condary battery module in which a plurality of unit cells capable of charging and discharging are arranged at intervals, the secondary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cooling plate interposed between the unit cells do.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이차전지 모듈을 포함하는 전지팩을 제공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ttery pack including the secondary battery module.

기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Other detail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냉각 플레이트는, 외부 충격 및 자극에 의한 전지 모듈 관통시 변형이 최소화되고, 그 결과로서 냉각 플레이트의 변형이 단위전지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켜 전지 모듈내 단위전지에서의 쇼트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전지 안전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The cooling plate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deformation of the cooling plate when the battery module passes through the battery module due to external impact and stimulation and consequently reduces the influence of deformation of the cooling plate on the unit cell, The cell safety can be improved.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모듈에서의 냉각 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냉각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모듈에서의 네일 관통시험시 냉각 플레이트의 변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모듈에서의 네일 관통시험시 냉각 플레이트의 변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모듈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oling plate in a secondary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chematically shows deformation of a cooling plate during a nail penetration test in a secondary battery module including a conventional cooling plate.
3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modification of a cooling plate during a nail penetration test in a secondary battery module including a cooling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secondary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여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element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냉각 플레이트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일 뿐 본 발명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ructure of a cooling plate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 is an illustration for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냉각 플레이트(20)는 평판형 냉각 플레이트로서, 상기 냉각 플레이트의 평판면에 냉각 플레이트의 두께 방향(y축 방향)으로 관통된 메쉬 구조를 갖는 냉각부(21)를 포함한다.1, a cooling plate 20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lat plate type cooling plate. The plate is provided with a through-hole in the thickness direction (y-axis direction) And a cooling unit 21 having a mesh structure.

일반적으로, 냉각 플레이트는 단위전지들 사이에 개재되어 단위 전지의 부피 팽창 및 파손을 방지하고, 단위전지에서 발생된 열을 신속하게 외부로 방출시켜 단위전지의 냉각 효율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Generally, the cooling plate intervenes between the unit cells to prevent the unit cells from expanding and breaking, and rapidly discharges the heat generated by the unit cells to increase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unit cells.

종래 냉각 플레이트로는 주로 알루미늄 재질의 평판형 냉각 플레이트가 사용되었으며, 전지 모듈내 공간의 여유 없이 단위전지 사이에 밀착되어 포함되었다. 이에 따라 네일(nail) 관통 실험시와 같은 외부 충격이 가해질 경우, 냉각 플레이트에 수직방향으로의 변형이 생기게 되고, 이는 하단부 단위전지를 변형시켜 쇼트가 발생하였다.As the conventional cooling plate, a plate-type cooling plate made mainly of aluminum was used, and the cooling plate was closely attached between the unit cells without a space in the battery module. As a result, when an external impact such as a nail penetration test is applied, deforma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ccurs in the cooling plate, and the lower end unit cell is deformed to cause a short circuit.

이에 대해 본 발명에서는 네일 관통 실험시 네일이 삽입된 만큼 냉각 플레이트의 빈 공간이 벌어지면서 수직 방향으로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메쉬 타입의 냉각 플레이트를 적용함으로써, 관통구를 통한 냉각 매체의 이동으로 냉각 효율을 더욱 향상시키는 동시에, 외부 충격 및 자극에 의한 전지 모듈 관통시, 냉각 플레이트의 변형을 최소화하여 냉각 플레이트의 변형이 인접한 단위전지들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키고, 그 결과로 단위전지의 쇼트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On the contrary, in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a cooling plate of a mesh type that can minimize the deforma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opening the empty space of the cooling plate as much as the nail is inserted in the nail penetration test, The cooling efficiency is further improved and the deformation of the cooling plate is minimized when the battery module is penetrated by the external impact and the magnetic pole so that the influence of deformation of the cooling plate on the adjacent unit cells is reduced, Can be prevented.

도 2는 종래 냉각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모듈에서의 네일 관통 시험시 냉각 플레이트의 변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모듈에서의 네일 관통 시험시 냉각 플레이트의 변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또, 도 2 및 도 3에서 (a)는 관통시험 전 냉각 플레이트이고, (b)는 관통시험 후 냉각 플레이트를 나타낸다.FIG. 2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deformation of a cooling plate during a nail penetration test in a secondary battery module including a conventional cooling plate,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condary battery module including a cooling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formation of the cooling plate during the nail penetration test is schematically shown. 2 and 3 (a) show the cooling plate before the penetration test, and (b) show the cooling plate after the penetration test.

도 2 및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네일 관통시 종래 플레이트는 수직방향으로의 홀이 발생되는 변형이 생기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 플레이트는 네일이 삽입된 만큼 빈 공간이 벌어지게 된다. 그 결과 수직방향으로의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and 3, when the nail is inserted, the conventional plate is deformed to generate a hole in a vertical direction. However, the cooling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hollow space do. As a result, the deforma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minimized.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냉각 플레이트(20)는 평판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냉각 플레이트의 평판면에, 냉각 플레이트의 두께 방향(y축 방향)으로 관통된 메쉬 구조를 갖는 냉각부(21)가 마련되어 있다. Specifically, the cooling plate 20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lat plate shape and has a mesh structure penetrat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y-axis direction) of the cooling plate on the flat plate surface of the cooling plate A cooling section 21 is provided.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냉각 플레이트에 있어서, 냉각부(21)는 냉각 플레이트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복수 개의 개구부(21a)와, 상기 개구부 사이를 구획하는 구획부(21b)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in the cooling plate, the cooling section 21 includes a plurality of openings 21a penetrat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cooling plate and a partition 21b for partitioning between the openings.

상기 개구부(21a)는 원형, 타원형, 삼각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또는 마름모형 등의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 상기 개구부(21a)는 상기한 형태들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갖거나 또는 둘 이상의 형태가 혼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개구부는 정사각형, 육각형 또는 마름모형을 가질 수 있다.The opening 21a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le, an ellipse, a triangle, a square, a rectangle, a pentagon, a hexagon, or a rhombus. The opening 21a may have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shapes, or may have a shape in which two or more shapes are mixed. More specifically, the opening may have a square, hexagonal or rhombic shape.

또, 상기 개구부(21a)는 동일한 크기 및 형태를 가질 수도 있고, 서로 다른 크기 또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개구부(21a)는 냉각 효율 및 관통압 흡수 효율을 고려할 때 동일한 크기 및 형태를 갖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nings 21a may have the same size and shape, and may have different sizes or shapes. More specifically, the opening 21a may have the same size and shape in consideration of cooling efficiency and penetration pressure absorption efficiency.

또, 상기 냉각부(21)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 사이를 구획하는 구획부의 너비는 0.1mm 내지 1mm일 수 있다. 구획부의 너비가 상기한 범위 내일 때, 냉각 플레이트, 특히 냉각부가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나타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구획부의 너비는 0.5mm 내지 1mm일 수 있다.In the cooling section 21, the width of the partition for partitioning the openings may be 0.1 mm to 1 mm. When the width of the compartment is within the above-mentioned range, the cooling plate, particularly the cooling part, can exhibit sufficient mechanical strength. More specifically, the width of the partition may be 0.5 mm to 1 mm.

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냉각 플레이트(20)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21)는 와이어 형태의 선재(線材)가 격자 형상으로 엇갈려 구성된 메쉬 망일 수 있다. 또, 상기 선재가 겹쳐지는 부분에서의 고정을 위하여 용접부가 더 마련될 수도 있다. More specifically, in the cooling plate 20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ling unit 21 may be a mesh network in which wire-shaped wires are staggered in a grid shape. Further, a welding portion may be further provided for fixing at the overlapping portion of the wire rod.

또, 상기 메쉬 망을 구성하는 선재의 직경은 0.1mm 내지 1mm일 수 있다.The diameter of the wire material constituting the mesh net may be 0.1 mm to 1 mm.

또, 단위 격자에 있어서, 서로 대각선의 방향에서 위치하는 두 모서리 사이의 거리(a)가 10mm 이하일 수 있다. 만약 두 모서리 사이의 거리(a)가 10mm를 초과할 경우 오히려 관통압의 흡수 효과 및 냉각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2mm 내지 7mm일 수 있다.In the unit cell, the distance a between two corners located in the diagonal direction may be 10 mm or less. If the distance a between the two corners exceeds 10 mm, the absorption effect of the penetration pressure and the cooling efficiency may be lowered. More specifically, it may be 2 mm to 7 mm.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냉각 플레이트(20)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21)는 동일한 크기의 육각형 개구부들로 이루어진 허니컴 형상의 메쉬 망일 수 있다. Also, in the cooling plate 20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ling unit 21 may be a honeycomb mesh network having hexagonal openings of the same size.

상기 냉각부(21)가 허니컴 형태를 가질 경우, 상기 허니컴 형상의 메쉬 망을 구성하는 선재의 직경은 0.1mm 내지 1mm일 수 있다. 또, 상기 허니컴을 구성하는 육각형의 개구부내 서로 평행하게 대향하는 두 변 사이의 거리(a)가 10mm 이하일 수 있다. 만약 두 변 사이의 거리(a)가 10mm를 초과할 경우 오히려 관통압의 흡수 효과 및 냉각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2mm 내지 7mm일 수 있다.When the cooling unit 21 has a honeycomb shape, the diameter of the wire constituting the honeycomb-shaped mesh net may be 0.1 mm to 1 mm. In addition, the distance a between two opposite sides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hexagonal opening constituting the honeycomb may be 10 mm or less. If the distance (a) between the two sides exceeds 10 mm, the absorption effect of the penetration pressure and the cooling efficiency may be lowered. More specifically, it may be 2 mm to 7 mm.

상기와 같은 냉각부(21)는 단위전지의 일측 전면과 대응하여 접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냉각부는 단위전지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The cooling unit 21 as described abov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one side of the unit cell. Accordingly, the cooling unit may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unit cell.

한편, 상기 냉각 플레이트(20)는 상기한 냉각부(21)의 상부 혹은 냉각부(21)의 외측면을 둘러싸도록 마련된 보강부(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ooling plate 20 may further include a reinforcing portion 22 surrounding the upper surface of the cooling portion 21 or the outer surface of the cooling portion 21.

상기 보강부(22)가 냉각부의 상부, 즉 냉각부의 z축 방향에 위치하는 상하 두 면 중 상부면 위에 위치하는 경우, 이차전지 모듈내 냉각 플레이트의 설치 및 지지를 위한 역할을 한다. 또, 상기 냉각부의 외측면을 둘러싸도록 위치하는 경우, 구체적으로, 냉각부의 x축 및 y축 방향에 위치하는 상,하,좌,우의 4면 측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한 역할과 함께 냉각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When the reinforcing part 22 is positioned on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cooling part, that is,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ooling part in the z-axis direction, it functions to install and support the cooling plate in the secondary battery module. Specifically, when the cooling unit is located on the four sides of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oling unit in the x-axis and y-axis directions, It can play a protective role.

이 경우, 상기 냉각 플레이트(20)에 있어서의 냉각부(21) 전면은 단위전지의 일측 전면과 접하고, 상기 보강부(22)는 상기 단위전지의 외측을 지나게 된다.In this case, the entire surface of the cooling part 21 of the cooling plate 20 is in contact with the entire one side of the unit cell, and the reinforcing part 22 passes the outside of the unit cell.

구체적으로, 상기 보강부(22)는 냉각부의 상부에 위치할 경우 사각 평판일 수 있고, 또 상기 냉각부의 외측면을 둘러싸도록 위치할 경우, 내부에 냉각부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빈 저장 공간을 갖는 사각 프레임일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reinforcing portion 22 is position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oling portion, the reinforcement portion 22 may be a rectangular flat plate. When the reinforcing portion 22 is position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cooling portion, Frame.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냉각 플레이트는 상기한 냉각부가 일체화된 일체형일 수도 있고, 또는 냉각부가 별도로 제조된 후 조립된 조립형일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그 제조방법이 달라질 수 있다.The cooling plate having the above structure may be an integrated type in which the cooling part is integrated or an assembled type in which the cooling part is separately manufactured and assembled. Accordingly,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may be changed.

구체적으로 상기 냉각부(21)가 일체형일 경우, 메쉬 구조를 형성할 수 있도록 패턴화된 몰드를 이용하여 주조하거나, 또는 냉각 플레이트 형성용 평판에 대해 펀칭 등의 개구부 형성 공정을 통해 냉각부를 형성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와이어 형태의 선재를 이용하여 직조(weaving)하여 제조할 수도 있으며, 이때 필요에 따라 직조된 와이어의 교차 부분에 대해 용접 공정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Specifically, when the cooling unit 21 is integrated, casting is performed using a patterned mold so as to form a mesh structure, or a cooling unit is formed through an opening forming process such as punching for a cooling plate forming flat plate Can be manufactured. Alternatively, the wire may be manufactured by weaving using a wire-shaped wire, and a welding process may be further performed on the intersection portion of the woven wire if necessary.

한편, 상기 냉각부(21)가 조립형일 경우, 냉각부를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 공간을 갖는 냉각 플레이트 형성용 프레임 내에 메쉬 구조를 갖는 구조체, 예를 들면, 금속 망 등을 삽입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냉각 플레이트 형성용 프레임은 그 자체로 최종 제조되는 냉각 플레이트에서 보강부(22)가 될 수도 있다. If the cooling unit 21 is of an assembled type, it may be formed by inserting a structure having a mesh structure, for example, a metal mesh or the like, into a frame for forming a cooling plate having a storage space for accommodating the cooling unit. At this time, the frame for forming the cooling plate may be a reinforcing portion 22 in the cooling plate finally manufactured.

또, 상기 냉각 플레이트가 보강부(22)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냉각부(21)의 상부에 냉각부(21)와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냉각부와 별도의 부재로서 형성된 후 용접 등을 통해 접합될 수도 있다.When the cooling plate further includes the reinforcing portion 22, the cooling plate 21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oling portion 21 on the cooling portion 21, or may be formed as a separate member from the cooling portion 21 Welding or the like.

상기 냉각 플레이트(20)의 재질로는 통상 냉각 플레이트의 제조에 사용하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스테인레스스틸, 구리, 은, 또는 산화알루미늄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냉각 플레이트(20)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material of the cooling plate 2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usually used for manufacturing a cooling plate. Specifically, examples include aluminum, aluminum alloy, stainless steel, copper, silver, aluminum oxide, and the like, alone or in a mixture of two or more. More specifically, the cooling plate 20 may comprise aluminum or an aluminum alloy.

또, 상기 냉각 플레이트내 냉각부 및 보강부는 상기한 냉각 플레이트의 재질 중 동일한 재질을 포함할 수도 있고, 또 서로 상이한 재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The cooling portion and the reinforcing portion in the cooling plate may include the same material of the cooling plate, or may include materials different from each other.

또, 상기 냉각 플레이트(20)의 두께는 1mm 내지 3mm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1mm 내지 2mm일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cooling plate 20 may be 1 mm to 3 mm, more specifically, 1 mm to 2 mm.

또, 상기 냉각 플레이트(20)는 냉각 플레이트 총 부피에 대하여 50부피% 내지 90부피%의 개구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내의 개구율을 가질 때, 냉각 플레이트의 변형 방지 및 냉각 효율 향상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개구율이 50부피% 미만이면 단위전지에서 발생되는 열에 대한 방출 또는 냉각효과가 낮고, 90부피%를 초과하면 냉각 플레이트의 기계적 강도가 낮아질 우려가 있다. The cooling plate 20 preferably has an aperture ratio of 50% by volume to 90% by volume based on the total volume of the cooling plate. When the opening ratio is within the above range,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prevent deformation of the cooling plate and improve the cooling efficiency. If the opening ratio is less than 50% by volume, the discharge or cooling effect on the heat generated by the unit cell is low, and if it exceeds 90% by volume,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cooling plate may be lowered.

또, 상기 냉각 플레이트(20)는 단일 층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2층 이상의 다층 구조체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The cooling plate 20 may be used as a single layer or as a multi-layered structure of two or more layers.

또,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한 냉각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모듈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condary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cooling plate.

구체적으로, 상기 이차전지 모듈은, 충방전이 가능한 다수 개의 단위전지가 간격을 두고 배열되고, 상기 단위전지 사이에 상기한 냉각 플레이트 개재된 것이다.Specifically, in the secondary battery module, a plurality of unit cells capable of charging and discharging are arranged with an interval, and the cooling plate is interposed between the unit cells.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모듈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일 뿐 본 발명이 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secondary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illustration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모듈(10)은, 충방전이 가능한 다수 개의 단위전지(11)가 간격을 두고 배열되고, 상기 단위전지(11) 사이에 평판형 냉각 플레이트(20)가 개재되고, 상기 냉각 플레이트의 평판면에, 냉각 플레이트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메쉬 구조를 갖는 냉각부(21)가 마련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4, a secondary battery modul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unit cells 11 that are chargeable and dischargeable with a space therebetween, And a cooling section 21 having a mesh structure penetrat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cooling plate is provided on the flat plate surface of the cooling plat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차전지 모듈(10)은 다수 개의 단위전지가 커넥터(미도시)에 의해 직렬 또는 병렬로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결속 밴드(미도시)에 의해 조임, 모듈화되어 구성되는데, 이때 이차전지 모듈(10)은 각 단위전지(11)들의 사이에 배치된 냉각 플레이트(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 이차전지 모듈(10)은, 바람직하게는 결속밴드의 조임시 단위전지(11)의 파손을 방지하는 엔딩 플레이트(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secondary battery module 10 is configured such that a plurality of unit cells are electrically connected in series or in parallel by a connector (not shown) and are tightened and modulated by a coupling band (not shown) The secondary battery module 10 includes a cooling plate 20 disposed between the unit cells 11. The secondary battery module 10 may further include an end plate (not shown) for preventing breakage of the unit cell 11 when the fastening band is fastened.

상기 이차전지 모듈은 외부 케이스를 이루는 별도의 하우징(미도시) 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하우징으로 공급된 냉각용 공기는 단위전지(11) 사이에 개재된 냉각 플레이트(20)를 지나게 되고, 이 과정에서 단위전지에서 발생된 열이 교환되고, 교환된 공기는 하우징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단위전지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게 된다.The secondary battery module may be installed in a separate housing (not shown) constituting the outer case. The cooling air supplied to the housing passes through the cooling plate 20 interposed between the unit cells 11, In this process, the heat generated in the unit cell is exchanged, and the exchanged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thereby releasing the heat generated in the unit cell to the outside.

또, 상기 냉각 플레이트(20)는 상기한 냉각부가 형성된 단일 구조체일 수도 있고, 또는 2층 이상의 적층 구조체일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oling plate 20 may be a single structure having the above cooling portion, or may be a laminated structure of two or more layers.

한편, 상기 이차전지 모듈(10)에 있어서, 상기 단위전지(11)는 양극판과 음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전극조립체를 구비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단위로서, 전지 케이스에 수납된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secondary battery module 10, the unit cell 11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in which a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a negative electrode plate are positioned with a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and is included in a form housed in a battery case .

구체적으로, 상기 단위전지(11)는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를 수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전지케이스, 한쪽 말단(예컨대, 일단)은 상기 전극조립체에 연결되어 있고, 다른 쪽 말단(예컨대, 타단)은 상기 전지케이스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양극 및 음극의 전극리드와, 상기 전지케이스의 입구를 밀봉시킨 실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unit cell 11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a battery case having an internal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a battery case having one end (e.g., one end) connected to the electrode assembly, The other end may include an electrode lead of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protruding from the battery case, and a sealing part sealing the inlet of the battery case.

상기 단위전지(11)에 있어서의 전지케이스는 상부 라미네이트 시트와 하부 라미네이트 시트로 구성된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일 수 있고, 상기 전지케이스의 외주 면을 따라 상부 라미네이트 시트와 하부 라미네이트 시트가 열융착되어 형성되는 실링부를 구비하는 구조로 구현할 수도 있다.The battery case of the unit cell 11 may be a pouch-shaped battery case composed of an upper laminate sheet and a lower laminate sheet, and the upper laminate sheet and the lower laminate sheet are thermally fused together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ttery case A sealing part may be provided.

또, 상기 전지케이스를 구성하는 상기 상부 라미네이트 시트는 금속층과 이를 덮는 수지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열압착성을 가져 실링재로서의 역할을 하는 내부층인 폴리올레핀계 수지층(Polyolepin Layer)과, 기계적 강도를 유지하고 수분과 산소의 배리어층으로서 역할을 하는 금속박층(주로 알루미늄층이다)과, 보호층으로 작용하는 외부층(주로 나일론층이다)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다층막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으로 흔히 사용되는 것으로는 CPP(Casted Polypropylene)가 있다.The upper laminate sheet constituting the battery case may be a laminate sheet including a metal layer and a resin layer covering the metal layer. More specifically, a polyolefin resin layer (polyolefin layer), which is an inner layer having a thermo-compression property and serves as a sealing material, a metal foil layer (mainly an aluminum layer) that maintains mechanical strength and serves as a barrier layer of moisture and oxygen, And an outer layer (mainly a nylon layer) serving as a protective layer are sequentially laminated on the substrate. Commonly used as a polyolefin-based resin layer is CPP (Casted Polypropylene).

또, 상기 실링부는 전지케이스의 상부 라미네이트 시트와 하부 라미네이트 시트가 접하는 외주면 부위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수지층을 상호 열 압착시켜 형성한다. 이때, 전극 리드가 안치되지 않은 외주면 부분은 상기 상부 라미네이트 시트와 동일한 수지층이므로, 직접적인 용융에 의해 균일한 밀봉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 압착 공정은 전기열과 프레스를 이용하여 120℃ 내지 250℃ 하에서, 0.1MPa 내지 10MPa 조건으로 실시할 수 있다.The sealing portion is formed by thermally compressing the resin layer by applying heat and pressure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portion where the upper laminate sheet and the lower laminate sheet of the battery case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t this time, sinc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portion where the electrode lead is not laid is the same resin layer as the upper laminate sheet, uniform sealing is possible by direct melting. Specifically, the thermocompression bonding process may be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120 ° C to 250 ° C and a pressure of 0.1 MPa to 10 MPa using an electric heat and a press.

반면에, 전극 리드가 안치되는 전지케이스 상단부 외주 면에는, 전극 리드가 돌출되어 있으므로, 전극 리드의 두께 및 전지케이스 소재와의 이질성을 고려하여 밀봉성을 높일 수 있도록 전극 리드와의 사이에 절연 필름을 개재한 상태에서 열 압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electrode leads protrud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battery case, on which the electrode leads are placed, in order to increase the sealing property in consideration of the thickness of the electrode leads and the heterogeneity with the battery case material, But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또, 상기 전극조립체는 다수의 전극 탭들을 연결하여 양극과 음극을 구성하는 구조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In addition, the electrode assembly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electrode tabs are connected to form an anode and a cathode.

구체적으로, 상기 전극조립체는 양극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양극활물질 코팅부를 포함하는 양극판과, 음극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음극활물질 코팅부를 포함하는 음극판이 분리막을 개재하여 적층된 스택형 전극조립체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electrode assembly may include a positive electrode plate including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coating portion on at least one surface of a positive electrode collector, and a negative electrode plate including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coating portion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negative electrode collector, have.

또, 상기 전극조립체는 양극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양극활물질 코팅부를 포함하는 양극판과, 음극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음극활물질 코팅부를 포함하는 음극판이 분리막을 개재하여 대향하도록 권취된 젤리-롤형 전극조립체일 수 있다. The electrode assembly includes a positive electrode plate including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coating portion on at least one surface of a positive electrode collector, and a negative electrode plate including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coating portion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negative electrode collector, Lt; / RTI >

또, 상기 전극조립체는 양극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양극활물질 코팅부를 포함하는 양극판과, 음극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음극활물질 코팅부를 포함하는 음극판이 분리막을 개재하여 적층된 단위 전극조립체가 복수 개 중첩되고, 각각의 중첩부는 분리필름이 개재되며, 상기 분리필름은 각각의 단위 전극조립체를 감싸는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일 수 있다.The electrode assembly includes a positive electrode plate including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coating portion on at least one surface of a positive electrode collector and a negative electrode plate including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coating portion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negative electrode collector stacked with a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And each of the overlapping portions includes a separation film, and the separation film may be a stack-folding type electrode assembly that surrounds each unit electrode assembly.

상기 스택형 및 젤리-롤형 구조는 당업계에 널리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상기 스택-폴딩형 구조의 전극조립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본 출원인의 한국 특허출원공개 제2001-0082058호, 제2001-0082059호 및 제2001-0082060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출원은 본 발명의 내용에 참조로서 합체된다.The stacked and jelly-roll type structures are well known in the art,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 Further, details of the electrode assembly of the stack-folding type structure are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s. 2001-0082058, 2001-0082059 and 2001-0082060 of the present applicant, As a reference.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전극조립체는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일 수 있다.More specifically, in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de assembly may be a stack-folding type electrode assembly.

한편, 상기 전극조립체에 있어서, 음극판은 음극집전체, 및 상기 음극집전체의 적어도 일면, 바람직하게는 양면에 음극활물질이 코팅된 음극활물질 코팅부를 포함한다.Meanwhile, in the electrode assembly,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includes a negative electrode collector, and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coating portion coated on at least one surface, preferably both surfaces, of the negative electrode collector.

상기한 음극판에 있어서, 음극집전체는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높은 도전성을 가지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구리, 스테인레스 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 탄소, 구리나 스테인레스 스틸의 표면에 탄소, 니켈, 티탄, 은 등으로 표면처리한 것, 알루미늄-카드뮴 합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In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described above, the negative electrode collecto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high conductivity without causing a chemical change in the battery,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copper, stainless steel, aluminum, nickel, titanium, The surface of the stainless steel may be surface treated with carbon, nickel, titanium, or silver, or an aluminum-cadmium alloy may be used.

또, 상기 음극집전체는 3 내지 50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may have a thickness of 3 to 500 mu m.

또 상기 음극집전체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여 음극 활물질의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필름, 시트, 호일, 네트, 다공질체, 발포체, 부직포체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fine unevenness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negative electrode collector to enhance the binding force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example, it can be us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film, a sheet, a foil, a net, a porous body, a foam, and a nonwoven fabric.

또, 상기한 음극활물질 코팅부은 음극활물질, 바인더 및 도전재를 포함한다.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coating portion includes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 binder, and a conductive material.

상기 음극 활물질로는 리튬의 가역적인 인터칼레이션 및 디인터칼레이션이 가능한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는 인조흑연, 천연흑연, 흑연화 탄소섬유, 비정질탄소 등의 탄소질 재료; Si, Al, Sn, Pb, Zn, Bi, In, Mg, Ga, Cd, Si합금, Sn합금 또는 Al합금 등 리튬과 합금화가 가능한 금속질 화합물; 또는 금속질 화합물과 탄소질 재료를 포함하는 복합물; 또는 SiOx(0<x<2)과 같은 실리콘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극 활물질로서 금속 리튬 박막이 사용될 수도 있다.As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 compound capable of reversible intercalation and deintercalation of lithium may be used.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carbonaceous materials such as artificial graphite, natural graphite, graphitized carbon fiber and amorphous carbon; Metal compounds capable of alloying with lithium such as Si, Al, Sn, Pb, Zn, Bi, In, Mg, Ga, Cd, Si alloys, Sn alloys or Al alloys; Or composites comprising a metallic compound and a carbonaceous material; Or silicon-based compounds such as SiOx (0 < x < 2), and either one of them or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may be used. Also, a metal lithium thin film may be used as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상기 바인더는 음극활물질 입자들 간의 부착 및 음극활물질과 음극집전체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인 예로는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PVDF),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즈(CMC), 전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우즈, 재생 셀룰로우즈, 폴리비닐피롤리돈,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폴리머(EPDM), 술폰화-EPDM, 에틸렌-(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불소 고무 또는 이들의 다양한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The binder serves to improve the adhesion between the anode active material particles and the adhesion between the anode active material and the anode current collector. Specific examples include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polyvinyl alcohol, carboxymethylcellulose (CMC), starch, hydroxypropylcellulose, regenerated cellulose, polyvinylpyrrolidone, tetrafluoroethylene, There can be mentioned polyethylene, polypropylene, ethylene-propylene-diene polymer (EPDM), sulfonated-EPDM, ethylene- (meth) acrylic acid copolymer, styrene-butadiene rubber, fluorine rubber or various copolymers thereof. One kind alon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kinds can be used.

상기와 같은 바인더는 음극활물질 코팅부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The binder may include 1 to 3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coating portion.

또, 상기 도전재는 전극에 도전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되는 전지에 있어서, 화학변화를 야기하지 않고 전자 전도성을 갖는 것이면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가능하다. 구체적인 예로는 천연 흑연이나 인조 흑연 등의 흑연; 카본 블랙, 아세틸렌블랙, 케첸블랙, 채널 블랙, 퍼네이스 블랙, 램프 블랙, 서머 블랙, 탄소섬유 등의 탄소계 물질; 구리, 니켈, 알루미늄, 은 등의 금속 분말 또는 금속 섬유; 산화아연, 티탄산 칼륨 등의 도전성 위스키; 산화 티탄 등의 도전성 금속 산화물; 또는 폴리페닐렌 유도체 등의 전도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The conductive material is used for imparting conductivity to the electrode. The conductive materia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electron conductivity without causing chemical change.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graphite such as natural graphite and artificial graphite; Carbon-based materials such as carbon black, acetylene black, ketjen black, channel black, furnace black, lamp black, summer black and carbon fiber; Metal powder or metal fibers such as copper, nickel, aluminum and silver; Conductive whiskey such as zinc oxide and potassium titanate; Conductive metal oxides such as titanium oxide; And polyphenylene derivatives.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admixture of two or more.

상기와 같은 도전재는 음극활물질 코팅부 총 중량에 대하여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The conductive material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1 to 3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coating portion.

또, 상기 전극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양극판은 양극집전체, 및 상기 양극집전체의 적어도 일면, 바람직하게는 양면에 양극활물질이 코팅된 양극활물질 코팅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in the electrode assembly,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includes a positive electrode collector and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coating portion coated with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on at least one surface, preferably both surfaces, of the positive electrode collector.

상기한 양극판에 있어서, 상기 양극집전체는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 탄소 또는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레스 스틸 표면에 탄소, 니켈, 티탄, 은 등으로 표면 처리한 것 등이 사용될 수 있다. In the above-mentioned positive electrode plate, the positive electrode collecto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electrical conductivity without causing a chemical change in the battery. For example, stainless steel, aluminum, nickel, titanium, Such as carbon, nickel, titanium, or silver, may be used.

또, 상기 양극집전체는 통상적으로 3 내지 500㎛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양극집전체 표면 상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여 양극 활물질의 접착력을 높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필름, 시트, 호일, 네트, 다공질체, 발포체, 부직포체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thode current collector may have a thickness of 3 to 500 탆, and fine unevenness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athode current collector to increase the adhesive force of the cathode active material. For example, it can be us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film, a sheet, a foil, a net, a porous body, a foam, and a nonwoven fabric.

또, 상기한 양극판에 있어서, 양극활물질 코팅부는 양극집전체 양면에 모두 코팅될 수도 있고, 양극집전체의 어느 일면에만 활물질이 코팅될 수도 있으나, 이차전지의 용량을 고려하면 양면에 모두 양극활물질이 코팅된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In the above-mentioned positive electrode plate,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coating portion may be coated on both surfaces of the positive electrode collector, or the active material may be coated on only one side of the positive electrode collector. However, considering the capacity of the secondary battery, It may be more preferable to be coated.

또, 상기 양극판은 이후 충방전 과정에서의 단락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양극판 평탄코팅부의 양 끝단, 즉, 양극판 평판코팅부의 시작부 및 말단부에 절연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절연테이프는 앞서 음극판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것일 수 있다.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may include insulating tapes at both ends of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flat coating portion, that is, at the start portion and the end portion of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flat coating portion, in order to prevent a short circuit in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process. At this time, the insulating tape may be the same as described in the cathode plate.

상기 양극 탭은 레이저용접, 초음파용접, 저항용접과 같은 용접이나 도전성 접착제에 의하여 통전가능하도록 부착될 수 있으며, 또 상기 양극 탭에는 절연테이프가 부착되어 전극 간의 단락을 방지할 수도 있다.The positive electrode tab may be attached by welding such as laser welding, ultrasonic welding, resistance welding, or conductive adhesive, and an insulating tape may be attached to the positive electrode tab to prevent a short circuit between the electrodes.

또, 상기 단위전지(11)는 전극조립체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전극 탭들, 및 상기 전극 탭들에 용접되어 있는 전극 리드를 포함한다.The unit cell 11 includes electrode tabs extending from the electrode assembly, and electrode leads welded to the electrode tabs.

이때, 상기 전극 단자는 단위전지의 일 방향 또는 양 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electrode terminal may be positioned in one direction or both directions of the unit cell.

또, 상기 전극 단자는 상기 전지모듈의 한 변 또는 두 변에서 직렬 또는 병렬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electrode terminals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in series or in parallel at one or both sides of the battery module.

한편, 상기 전극조립체에 있어서, 상기한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개재되는 분리막은 높은 이온 투과도와 기계적 강도를 가지는 절연성의 얇은 박막일 수 있다. Meanwhile, in the electrode assembly, the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may be an insulating thin film having high ion permeability and mechanical strength.

구체적으로 상기 분리막은 다공성 고분자 필름, 예를 들어 에틸렌 단독중합체,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에틸렌/헥센 공중합체 및 에틸렌/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과 같은 폴리올레핀계 고분자로 제조한 다공성 고분자 필름 또는 이들의 2층 이상의 적층 구조체일 수 있다. 또 상기 분리막은 다공성 부직포, 예를 들어 고융점의 유리 섬유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등으로 된 부직포일 수도 있다.Specifically, the separation membrane may be a porous polymer film such as a porous polymer film made of a polyolefin-based polymer such as an ethylene homopolymer, a propylene homopolymer, an ethylene / butene copolymer, an ethylene / hexene copolymer, and an ethylene / methacrylate copolymer Or a laminated structure of two or more thereof. The separation membrane may be a nonwoven fabric made of a porous nonwoven fabric, for example, glass fiber of high melting point or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ber.

경우에 따라서는, 전지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분리막 상에 겔 폴리머 전해질이 코팅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겔 폴리머 중 대표적인 예로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비닐리덴플루라이드 또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등을 들 수 있다. 전해질로서 폴리머 등의 고체 전해질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고체 전해질이 분리막을 겸할 수도 있다.In some cases, a gel polymer electrolyte may be coated on the separation membrane to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cell. Representative examples of such gel polymers include polyethylene oxide, polyvinylidene fluoride, polyacrylonitrile, and the like. When a solid electrolyte such as a polymer is used as an electrolyte, the solid electrolyte may also serve as a separation membrane.

또, 상기 분리막 내 포함되는 기공은 0.01 내지 10㎛의 기공 직경을 갖는 것일 수 있다.The pores contained in the separation membrane may have a pore diameter of 0.01 to 10 탆.

또, 상기 분리막은 5 내지 300㎛의 두께를 갖는 것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paration membrane may have a thickness of 5 to 300 탆.

또, 상기 분리막은 분리막이 열에 의해 수축되더라도 음극 전극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음극판의 종료부보다 보다 길게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분리막은 음극 종료부로부터 5mm 이상 연장된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eparation membrane is extended longer than the end of the cathode plate so as to block the cathode electrode even if the separation membrane is contracted by heat. Specifically, the separation membrane may extend from the cathode end portion by 5 mm or more.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지모듈을 포함하는 전지 팩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attery pack including the battery module.

상기 전지팩은 파워 툴(Power Tool);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 HEV), 및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를 포함하는 전기차; 또는 전력 저장용 시스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중대형 디바이스 전원으로 이용될 수 있다.The battery pack includes a power tool; An electric vehicle including an electric vehicle (EV), a hybrid electric vehicle (HEV), and a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 Or a power storage system, as shown in FIG.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 실시예Example : 이차전지 모듈의 제조): Manufacture of Secondary Battery Modul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허니컴 형태의 메쉬 구조를 갖는 Al 냉각 플레이트를 준비하였다(냉각 플레이트 두께: 1.0mm, 개구율: 80부피%, 허니컴을 구성하는 육각형 개구부내 대향하는 두 변 사이의 거리(a): 2mm, 구획부의 너비: 0.5mm)An Al cooling plate having a honeycomb-shaped mesh structure having a structure as shown in Fig. 1 was prepared (cooling plate thickness: 1.0 mm, aperture ratio: 80% by volume), and between two opposing sides in the hexagonal opening constituting the honeycomb Distance (a): 2 mm, width of compartment: 0.5 mm)

드라이 룸에서 바이셀(bicell) 구조의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를 셀 외장재에 각각의 전극조립체에서의 전극단자가 일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수납하고, 1M LiPF6 카보네이트계 전해액을 주입한 후, 셀 외장재의 외주면을 열융착하는 방법으로 29개의 파우치형 단위전지를 제조하였다.In a dry room, a stack-folding type electrode assembly having a bicell structure is housed in a cell casing so that electrode terminals of each electrode assembly are formed in one direction. After injecting a 1M LiPF 6 carbonate electrolyte, 29 pouch-shaped unit cells were manufactured by thermally fus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pouch-shaped unit cells.

다음으로, Al 재질로 된 모듈케이스에 상기에서 준비한 냉각 플레이트를 모듈케이스 내부가 29개의 공간으로 구획되도록 배치한 후, 상기 29개의 단위전지를 상기 냉각 플레이트와 밀착되도록 각 공간에 하나씩 수납하였다. 이때 29개의 단위전지의 전극단자들은 전지모듈의 한 면에서만 돌출되도록 같은 방향으로 수납하였다.Next, the module case, which is made of Al material, was disposed so that the inside of the module case was divided into 29 spaces, and the 29 unit cells were housed in each space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ooling plate. At this time, the electrode terminals of the 29 unit cells were housed in the same direction so as to protrude from only one side of the battery module.

다음으로, 상기 수납된 단위전지간 그리고 단위전지와 외부단자와의 연결이 한번에 이루어지도록 하나의 단자 어셈블리를 제조하였다. 이때 단자 어셈블리에는 모든 단위전지의 전극단자가 삽입될 수 있는 단자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된 단위전지의 전극단자는 단자 어셈블리에 이미 구성되어 있는 버스 바와의 체결을 통해 직렬로 연결되고, 버스 바는 단자 어셈블리의 외부로 돌출된 입출력 단자와도 기 연결되어 있다. 그 후 단자 어셈블리를 상기 전극단자들이 형성된 부분에 결합한 다음, 케이스 바디와 용접하여 모듈케이스가 완전 밀봉된 구조의 전지모듈을 제조하였다.
Next, one terminal assembly is manufactured so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accommodated unit cells and the unit cells and the external terminals are performed at one time. In this case, terminal assemblies are provided with terminal holes into which electrode terminals of all the unit cells can be inserted. The electrode terminals of the inserted unit cells are connected in series through fastening of bus bars already formed in the terminal assemblies, Is also connected to an input / output terminal projected to the outside of the terminal assembly. Thereafter, the terminal assembly was connected to the portion where the electrode terminals were formed, and then the battery module was manufactured by welding the battery case with the case body to completely seal the module case.

((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 이차전지 모듈의 제조): Manufacture of Secondary Battery Module)

상기 실시예에서의 냉각 플레이트 대신에 평판형 알루미늄 냉각 플레이트(두께: 1.0mm)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전지모듈을 제조하였다.
A battery module was fabric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 example, except that a plate-like aluminum cooling plate (thickness: 1.0 mm) was used in place of the cooling plate in the above-mentioned examples.

((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 관통 실험): Penetration test)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전지 모듈을 전지 용량의 1/2 C 전류로 4.2 V로 충전(CC-CV, 50mA cut-off)한 후, 직경이 3mm인 반원 형태의 단면을 갖는 강철봉(steel bar)을 20mm/s의 속도로 관통시키는 시험을 하였다. The battery modules prepar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charged at a voltage of 4.2 V (CC-CV, 50 mA cut-off) at ½ C of the battery capacity, and then a steel bar having a semicircular cross section with a diameter of 3 mm bar) at a speed of 20 mm / s.

실험결과, 실시예 및 비교예의 이차전지모듈에서는 모두 냉각 플레이트내 관통 홀이 형성되었다. 그러나, 실시예의 냉각 플레이트내 형성된 관통 홀의 직경은 3mm로 비교예의 관통 홀의 직경(4mm)에 비해 작았으며, 또 관통 홀을 포함하는 냉각 플레이트와 인접한 단위전지에 있어서, 관통 또는 변형이 발생한 단위전지의 수가 실시예의 경우 3개로 비교예(4개)에 비해 감소하였다.As a result of the tests, in the secondary battery modules of the examples and the comparative examples, the through holes in the cooling plate were formed. However, the diameter of the through-hole formed in the cooling plate of the embodiment was 3 mm, which was smaller than the diameter (4 mm) of the through-hole of the comparative example. In the unit cell adjacent to the cooling plate including the through- 3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to the comparative example (4).

이 같은 결과는, 비교예의 냉각 플레이트의 경우 네일 관통 압력이 관통 방향(또는 수직방향)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냉각 플레이트의 변형이 인접 단위전지에 동일방향으로 전달되는 반면, 실시예의 경우 네일의 관통시 메쉬에서의 빈 공간이 벌어지면서 인접하는 메쉬들에 관통 압력이 수평으로 전달되고, 또 인접하는 메쉬들은 관통 압력을 흡수하면서 변형된다. 그 결과 냉각 플레이트의 변형이 인접하는 단위전지에 미치는 영향이 감소하게 됨으로써, 쇼트 발생이 줄어들게 된다.
This result shows that, in the case of the cooling plate of the comparative example, since the nail penetration pressure advances in the penetrating direction (or vertical direction), the deformation of the cooling plate is transmitted to the adjacent unit cell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empty space in the mesh spreads, the through pressure is transmitted horizontally to the adjacent meshes, and the adjacent meshes are deformed while absorbing the through pressure. As a result, the influence of the deformation of the cooling plate on the adjacent unit cells is reduced, so that the occurrence of short circuit is reduced.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기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I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xamples have been described. However,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and the claims.

10 이차전지 모듈
11 단위전지
20 냉각 플레이트
21 냉각부
21a 개구부
22b 구획부
22 보강부
10 secondary battery module
11 unit cell
20 cooling plate
21 Cooling section
21a opening
22b partition
22 reinforcing portion

Claims (21)

평판형 냉각 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냉각 플레이트의 평판면에, 냉각 플레이트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메쉬 구조를 갖는 냉각부가 마련되고,
상기 냉각부는 냉각 플레이트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복수 개의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 사이를 구획하는 구획부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부가 와이어 형태의 선재가 격자 형상으로 엇갈려 구성된 메쉬 망으로 형성되고, 상기 선재의 직경은 0.1mm 내지 1mm로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는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갖는 육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내 서로 평행하게 대향하는 두 변 사이의 거리(a)가 10mm 이하로 형성되며,
상기 냉각부의 구획부가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스테인레스스틸, 구리, 은 및 산화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냉각 플레이트의 개구율이 냉각 플레이트 총 부피에 대하여 50부피% 내지 90부피%인 이차전지용 냉각 플레이트.
In the plate-type cooling plate,
A cooling section having a mesh structure penetrat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cooling plate is provided on the flat plate surface of the cooling plate,
Wherein the cooling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openings penetrat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cooling plate and a partition portion for partitioning between the openings,
Wherein the cooling section is formed of a mesh net in which wire-shaped wires are staggered in a lattice shape, the diameter of the wire is 0.1 mm to 1 mm,
Wherein the openings are formed in a hexagonal shape having the same size as each other, a distance a between two sides of the openings facing each other in parallel to each other is less than 10 mm,
Wherein the partition portion of the cooling portion is made of a material containing any one or two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uminum, aluminum alloy, stainless steel, copper, silver and aluminum oxide,
Wherein the opening ratio of the cooling plate is 50% by volume to 90% by volume based on the total volume of the cooling pla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가 메쉬 구조를 형성할 수 있도록 패턴화된 몰드를 이용하여 주조하는 방법, 냉각 플레이트 형성용 평판에 대해 펀칭하는 방법, 와이어 형태의 선재를 이용하여 직조(weaving)하는 방법, 및 냉각부를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 공간을 갖는 냉각 플레이트 형성용 프레임 내에 메쉬 구조를 갖는 구조체를 삽입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방법에 의해 형성되는 이차전지용 냉각 플레이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method of casting using a patterned mold so that the cooling section can form a mesh structure, a method of punching a flat plate for forming a cooling plate, a method of weaving using a wire-shaped wire material, And a method of inserting a structure having a mesh structure into a frame for forming a cooling plate having a storage space so that the cooling plate can be forme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의 상부, 또는 상기 냉각부의 외측면을 둘러싸도록 보강부가 더 마련된 이차전지용 냉각 플레이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reinforcing portion is further provided so as to surround the upper portion of the cooling portion or the outer surface of the cooling por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가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스테인레스스틸, 구리, 은 및 산화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인 이차전지용 냉각 플레이트.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reinforcing portion is made of one or more material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uminum, aluminum alloy, stainless steel, copper, silver and aluminum oxid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플레이트의 두께가 1mm 내지 3mm인 이차전지용 냉각 플레이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cooling plate is 1 mm to 3 mm.
충,방전이 가능한 복수 개의 단위전지가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이차전지 모듈에 있어서,
상기 단위전지 사이에 제1항에 따른 냉각 플레이트가 개재된 이차전지 모듈.
A secondary battery module in which a plurality of unit cells capable of charging and discharging are arranged at intervals,
The secondary battery modu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oling plate is interposed between the unit cells.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플레이트에서의 냉각부가 상기 단위전지와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것인 이차전지 모듈.
15. The method of claim 14,
And a cooling portion in the cooling plate has a size corresponding to the unit cell.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전지가 양극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양극활물질 코팅부를 포함하는 양극판과, 음극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음극활물질 코팅부를 포함하는 음극판이 분리막을 개재하여 적층된 단위 전극조립체가 복수 개 중첩되고, 각각의 중첩부는 분리필름이 개재되며, 상기 분리필름은 각각의 단위 전극조립체를 감싸는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인 이차전지 모듈.
15. The method of claim 14,
A plurality of unit electrode assemblies in which the unit cells are stacked with a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wherein a plurality of the unit electrode assemblies are stacked, the unit cells being stacked with a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the separator comprising a positive electrode plate including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coating portion on at least one surface thereof, and a negative electrode plate including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coating portion, Wherein each of the overlapping portions includes a separation film, and the separation film includes a stack-folding type electrode assembly surrounding each unit electrode assembly.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전지가 일 방향 또는 양 방향으로 위치하는 전극단자를 포함하는 것인 이차전지 모듈.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unit cell includes electrode terminals positioned in one direction or both directions.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전지가 상기 이차전지 모듈의 한 변 또는 두 변에서 직렬 또는 병렬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극단자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모듈.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unit cells include electrode 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ed in series or in parallel at one or both sides of the secondary battery module.
제14항에 따른 이차전지 모듈을 포함하는 전지팩.
A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econdary battery module according to claim 14.
제19항에 있어서,
중대형 디바이스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것인 전지팩.
20. The method of claim 19,
A battery pack that is used as a power source for mid- to large-sized devices.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중대형 디바이스가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및 전력 저장용 시스템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전지팩.
21. 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the middle- or large-sized device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electric vehicle, a hybrid electric vehicle, a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and a system for power storage.
KR1020140153701A 2014-11-06 2014-11-06 Cooling plate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module Active KR1017835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701A KR101783515B1 (en) 2014-11-06 2014-11-06 Cooling plate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701A KR101783515B1 (en) 2014-11-06 2014-11-06 Cooling plate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mod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4289A KR20160054289A (en) 2016-05-16
KR101783515B1 true KR101783515B1 (en) 2017-09-29

Family

ID=56109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3701A Active KR101783515B1 (en) 2014-11-06 2014-11-06 Cooling plate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351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4966B1 (en) * 2017-12-15 2023-01-05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Secondary battery improved penetration characteristi
KR101881990B1 (en) * 2018-07-02 2018-07-25 주식회사 티엔디 For lithium-ion batteries type Cooling Plate Manufacturing Method and System, thats goods
KR102332343B1 (en) 2018-12-05 2021-11-3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The Battery Module
WO2021014441A1 (en) * 2019-07-22 2021-01-28 Zuta-Car Ltd. Electric batteries cool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4289A (en) 2016-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6974B1 (en) Cooling plate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module comprising the same
CN105609892B (en) Cooling plate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module including same
KR100942986B1 (en) Battery module with adhesive member attached between battery cells
KR101499471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condary Battery and the secondary Battery Manufactured Thereby
KR101799173B1 (en)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KR101772800B1 (en) Secondary battery
KR20150123303A (en)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KR101783515B1 (en) Cooling plate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module
KR20140067246A (en) Battery cell having nozzle member
KR20160148404A (en) Stack and folding-type electrode assembly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1561121B1 (en)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Pack Having Efficient Cooling Structure
KR20150123305A (en)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KR101752865B1 (en) Thermal pad having multiple hardness
KR20130142957A (en) Pouch-type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 separator coated with a gas-adsorbent, large-sized battery module employed with the same
KR101593268B1 (en) Secondary battery having plural leads and preparation methode of thereof
CN120184534A (en)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ing method
EP3353842B1 (en) Secondary battery
KR20220081268A (en)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CN115398738A (en) Electrode assembly with form-fixing fram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same
KR101459405B1 (en) Battery Pack Having Improved Safety
KR102197360B1 (en) Electrode Assembly Comprising One-sided Coating Electrode of Improved Mechanical Strength
KR102373583B1 (en) Pouch type secondary cell
KR20240160355A (en) An electrode assembly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250083312A (en) Heat absorbing sheet, battery cell and battery module
CN116759749A (en) Battery ce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06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9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11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4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9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9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