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83386B1 - 월류방지 집수정 - Google Patents

월류방지 집수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3386B1
KR101783386B1 KR1020160099035A KR20160099035A KR101783386B1 KR 101783386 B1 KR101783386 B1 KR 101783386B1 KR 1020160099035 A KR1020160099035 A KR 1020160099035A KR 20160099035 A KR20160099035 A KR 20160099035A KR 101783386 B1 KR101783386 B1 KR 101783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ting
collecting
grating portion
overflow
floa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9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인수
박상현
박동정
Original Assignee
우광티엔씨(주)
정인수
박상현
박동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광티엔씨(주), 정인수, 박상현, 박동정 filed Critical 우광티엔씨(주)
Priority to KR1020160099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33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3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338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유물에 의해 집수정의 그레이팅이 막히는 것을 최소화하여 월류를 방지하기 위한 월류방지 집수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후면 일측에 유출관이 형성되고 전면 및 상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형성된 집수부; 상기 집수부 전면에 개방면을 덮도록 구비되며, 망상(網狀)의 판 형상으로 이뤄진 전면 그레이팅부; 상기 집수부 상면에 개방면을 덮도록 구성되며, 망상(網狀)의 판 형상으로 이뤄진 상면 그레이팅부; 및 상기 집수부 전면 양 측부에 전면방향으로 형성되고 양측방향으로 점차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가이드벽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 그레이팅부는 후방이 높아지도록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류방지 집수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월류방지 집수정 {Collecting well for preventing overflow}
본 발명은 월류방지 집수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전면 및 상면에 그레이팅부를 구비하고 적어도 전면 그레이팅부가 후방이 높아지도록 경사면을 형성함으로써, 유목 등의 부유물로 인해 전면 그레이팅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막히는 것을 최소화하는 한편, 부유물로 인해 수위가 상승하더라도 전면 그레이팅부를 막는 부유물이 수위의 상승에 따라 후방으로 밀려 올라가면서 전면 그레이팅부가 노출되어 집수정을 통해 유수를 유출하도록 하고, 부유물을 그레이팅부 후방 일측에 쌓이도록 하여 월류가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월류방지 집수정에 관한 것이다.
집수정(集水井)은 두 개 이상의 수원이나 못, 우물로부터 물을 모아 하류로 보내는 큰 우물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수로의 전단측에서 빗물에 의해 발생되는 유수 등에 의해 하천이 범람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설치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례에 따른 집수정(1)을 나타낸 것으로, 지면(G)의 하부에 전면에 그레이팅(2)이 형성된 집수정(1)이 묻혀있는 형태로 구비된다.
이러한 집수정(1)은 전면 하부측으로 흘러오는 유수를 모임벽부(4)로 모아서 그레이팅(2)을 통해 내부로 유입시키고, 유출구(3)를 통해 배출시킴으로써 유수 등이 집수정(1)을 넘어서 월류함으로써 하천이 범람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집수정(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목, 낙엽 등의 부유물(F)이 유수와 함께 흘러 내려와서 상기 그레이팅(2)을 막게 되고, 상기 부유물(F)에 의해 유수가 집수정(1)에 유입,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수에 의한 수위가 점점 상승하게 되고, 월류가 발생되어 우수 및 부유물이 집수정 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침수 피해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집수정의 상면(5)이 개방 가능하도록 도어 형태로 구비되어 있더라도, 그레이팅(2)이 부유물에 의해 폐쇄된 것을 확인한 관리자 등이 도어를 개방하여야 하므로, 폭우, 태풍 등에 의한 홍수 발생시 급속도로 유수의 수위 상승 및 월류 발생이 일어나는 상황에 대처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발생되는 월류로 인하여 우수 자체에 의한 침식, 범람의 1차적 피해와 더불어 부유물 및 침전물에 의한 2차적 피해가 모두 발생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종래기술에 의한 집수정의 또다른 예로, 등록특허 제10-0570462호의 "우수배수 저감용 집수정 및 그의 설치방법"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강우량에 따라 우수가 배수되는 배수구의 위치를 상하단 배수구로 다르게 하여, 집수정에서 우수배수를 억제시켜 하류 하천의 부담을 경감시키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 의한 집수정은 발생되는 우수의 양에 따라 상단 배수구로도 배수가 이뤄지도록 하는 것일 뿐, 부유물에 의해 우수의 유입구가 폐쇄되는 것에 대한 고려가 전혀 이뤄지지 않으므로, 부유물에 의해 우수의 유입구가 폐쇄되어 월류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해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부유물에 의해 집수정의 그레이팅부가 덮이는 것을 최소화하고, 그레이팅부가 덮이더라도 수위 상승에 따라 부유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월류 발생을 최소화하는 집수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한 부유물이 집수정의 뒷쪽으로 넘어가서 다시 그레이팅부를 막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부유물에 의해 집수정의 일부 또는 전부가 폐쇄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집수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후면 일측에 유출관이 형성되고 전면 및 상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형성된 집수부; 상기 집수부 전면에 개방면을 덮도록 구비되며, 망상(網狀)의 판 형상으로 이뤄진 전면 그레이팅부; 상기 집수부 상면에 개방면을 덮도록 구성되며, 망상(網狀)의 판 형상으로 이뤄진 상면 그레이팅부; 및 상기 집수부 전면 양 측부에 전면방향으로 형성되고 양측방향으로 점차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가이드벽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 그레이팅부는 후방이 높아지도록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류방지 집수정이 제공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집수부 상면에 상측으로 구비되는 월류방지벽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월류방지벽부는 상기 집수부 상면의 양 측부에 형성되는 측벽부와 후면부에 형성되는 후면벽부를 포함하여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후면벽부는 후방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면 그레이팅부는 후방이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면 그레이팅부의 경사각은 상기 상면 그레이팅부의 경사각보다 더 큰 경사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면 그레이팅부 및 상면 그레이팅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상하로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가로플레이트 및 상기 가로플레이트를 상호 지지하는 복수의 세로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가로플레이트는 월류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면 그레이팅부의 일측 단부와 상기 상면 그레이팅부의 일측 단부는 힌지에 의해 상호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유목 등의 부유물에 의해 그레이팅부가 막히지 않도록 하여 월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둘째, 수위 상승에 따라 부유물이 용이하게 집수정 뒷쪽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그레이팅부를 개방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집수정 뒷쪽으로 이동한 부유물이 다시 집수정 측으로 이동하여 그레이팅부를 폐쇄하지 못하도록 역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례에 따른 집수정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종래 기술의 일례에 따른 집수정의 전면 그레이팅이 부유물에 의해 폐쇄되어 월류가 발생하는 상태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월류방지 집수정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월류방지 집수정의 전면 그레이팅부가 부유물에 의해 일부 폐쇄된 상태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월류방지 집수정에서 수위 상승에 따라 부유물이 이동한 상태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월류방지 집수정에서 수위 상승에 따라 부유물이 이동한 상태의 단면 모식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게 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에는 위 공지의 구성에 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월류방지 집수정(10)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집수정(10)은 우수를 빠르게 유입시키고 타측으로 배출시키는 한편, 집중 호우시 우수와 함께 계곡 등에서 떠내려 오는 고사목 등의 유목, 낙엽, 비닐 등의 부유물에 의해 유수가 유입되는 부분(예, 그레이팅)이 막혀 월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월류방지 집수정(10)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집수정(10)은 후면 일측에 유출관(120)이 형성되고 전면 및 상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형성된 집수부(100)와, 집수부(100) 전면 및 상면에 각각 구비된 전면 그레이팅부(200) 및 상면 그레이팅부(300)를 포함하여 이뤄진다.
상기 집수부(100)는 전면 그레이팅부(200) 및/또는 상면 그레이팅부(300)로부터 유입되는 유수를 유출관(120)을 통해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일례로, 콘크리트 등에 의해 형성되고 전면 및 상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형성된 육면 구조체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전면 그레이팅부(200) 및 상면 그레이팅부(300)는 이러한 육면 구조체 형상의 집수부(100)의 전면 및 상면을 덮도록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다른 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구조체 없이 전면 및 상면 그레이팅부(200, 300)와 측벽에 의해 이뤄지는 형상으로 집수부(100)가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월류방지 집수정(10)의 전면 그레이팅부(200)가 부유물에 의해 일부 폐쇄된 상태의 단면 모식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월류방지 집수정(10)에서 수위 상승에 따라 부유물이 이동한 상태의 단면 모식도이다.
상기 전면 그레이팅부(200)는 상기 집수부(100) 전면에 개방면을 덮도록 구비되며, 일례로, 망상(網狀)의 판 형상으로 이뤄진다.
상기 전면 그레이팅부(200)는 일례로, 망 형태로 이뤄진 전면 그레이팅(210)과 상기 전면 그레이팅(210)을 둘러싸는 전면 그레이팅 프레임(220)을 포함하여 이뤄진다.
상기 전면 그레이팅부(2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집수정(10)의 전면측으로 흘러오는 우수, 오수 등을 집수정(10) 내부로 유입시켜 상기 유출관(120)을 통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우수 등에 의한 침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집수정(10)은 상기 전면 그레이팅부(200)의 일측, 바람직하게 상기 집수부(100) 전면 양 측부에, 전면방향으로 형성되고 양측방향으로 점차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가이드벽부(400)를 더 포함하여 이뤄진다.
상기 가이드벽부(400)는 상기 집수부(100)의 정면 방향으로 흘러들어오는 우수 등을 전면 그레이팅부(200)로 모여서 유입되도록 하는 것으로, 우수 등이 더욱 원활하게 집수정(1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빠르게 우수를 배출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벽부(400)는 일례로, 콘크리트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급격히 불어난 우수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견고하게 벽체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면 그레이팅부(200)는 후방이 높아지도록 경사면을 형성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을 기준으로 전면 그레이팅부(200)의 후방이 전면 그레이팅부(200)의 전방에 비해 높아지도록 경사면을 형성하면, 부유물(F)에 의해 전면 그레이팅부(200)의 일부 또는 전부가 폐쇄되어 우수에 의한 수위가 상승하더라도 수위 상승과 더불어 부유물(F)이 경사면을 따라 후방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면 그레이팅부(200)를 통해 우수가 다시금 유입 가능하게 되고, 수위가 낮아지므로 월류를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종래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그레이팅은 우수에 의한 수위가 상승하더라도 우수가 후방으로 이동하려는 힘이 유지되므로, 부유물(F)이 후방으로 이동하기 어렵고 그대로 그레이팅을 폐쇄하였으나, 본 실시예에 따라 전면 그레이팅부(200)를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우수에 의한 수위 상승 및 우수가 후방으로 이동하려는 힘에 의해 부유물(F)이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어 전면 그레이팅부(200)의 일부 또는 전부가 개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집수부(100) 상측에 구비되는 상면 그레이팅부(300)는 상기 집수부(100) 상면에 개방면을 덮도록 구성되며, 일례로, 망상(網狀)의 판 형상으로 이뤄진다.
상기 상면 그레이팅부(300)는 일례로, 망 형태로 이뤄진 상면 그레이팅(310)과 상기 상면 그레이팅(310)을 둘러싸는 상면 그레이팅 프레임(320)을 포함하여 이뤄진다.
상기 상면 그레이팅부(300)는 상기 전면 그레이팅부(200)의 일부 또는 전부가 부유물, 침천물 등으로 덮혀 막히거나 장마, 태풍 등에 의한 갑작스러운 수량 증가에 따라 전면 그레이팅부(200)에서 미처 배출되지 못하는 우수 등을 집수정(10) 내부로 유입시켜 상기 유출관(120)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며, 일부 침전물과 토사가 유입되도록 하여 준설구로서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상면 그레이팅부(300)는 후방이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상면 그레이팅부(300)의 후방이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일정한 공간(예, 집수정(10)의 상부 단면적) 범위 내에서 우수의 유입 면적이 증가하므로 신속히 우수가 유입되어 유출관(120)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전면 그레이팅부(200)의 일부 또는 전부가 부유물(F)에 의해 폐쇄되어 우수의 수위가 상승하는 경우, 상기 전면 그레이팅부(200)에 부착되었다가 떨어져 나온 부유물(F)이 급격하게 상면 그레이팅부(300) 후방으로 이동하지 않고 서서히 이동하도록 조절함으로써, 부유물(F)에 의해 후술하는 월류방지벽 등이 손상을 입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집수정(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 그레이팅부(200)의 경사각(FA)이 상기 상면 그레이팅부(300)의 경사각(TA)보다 더 큰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일례로, 상기 전면 그레이팅부(200)의 경사각(FA)은 상기 전면 그레이팅부(200)가 지면에 수직인 상태에서 후방이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므로, 지면에 수직인 면을 기준으로 측정되는 값에 해당된다.
반면, 상기 상면 그레이팅부(300)의 경사각(TA)은 상기 상면 그레이팅부(300)가 지면에 수평한 상태에서 후방이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므로, 지면에 수평인 면을 기준으로 측정되는 값에 해당된다.
상기 전면 그레이팅부(200)는 집수정(10)의 전면에서 흘러오는 우수를 유입시키되 수위 상승시 부유물이 후방으로 잘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경사각을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면 그레이팅부(300)는 집수정(10)의 전면에서 미처 유입되지 못한 우수를 상부측에서 유입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므로, 경사각이 크게 형성되면 부유물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오히려 저해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전면 그레이팅부(200)의 경사각(FA)이 상면 그레이팅부(300)의 경사각(TA)보다 더 큰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상면 그레이팅부(300)의 경사각(TA)이 더 완만한 경사각을 가지므로, 전면 그레이팅부(200)가 부유물(F)에 의해 일부 또는 전부 폐쇄되어 수위가 상승하는 경우, 수위가 상승하면서 부유물(F)이 전면 그레이팅부(200)로부터 상면 그레이팅부(300)를 거쳐 적절히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일례로, 상기 전면 그레이팅부(200)의 경사각(FA)은 30도 전후(예, ±5도)로 형성되고, 상면 그레이팅부(300)의 경사각(TA)은 10도 전후(예, ±2도)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전면 그레이팅부(200)의 경사각(FA)이 지면을 기준으로 설정되는 경우에도, 우수의 배수를 전면에서 우선적으로 원활히 이뤄지도록 하기 위해 전면 그레이팅부(200)의 경사각(FA)이 상면 그레이팅부(300)의 경사각(TA)에 비해 지면을 기준으로 더 큰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면 그레이팅부(200) 및 상면 그레이팅부(300)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으로 이뤄질 수 있으며, 일례로, 공지의 스틸 그레이팅으로 이뤄질 수 있으며, 다른 예로, 다수의 철근이 망사형으로 구비되는 형태로 이뤄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집수정(10)은, 상기 집수부(100) 상면에 상측으로 구비되는 월류방지벽부(5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월류방지벽부(500)는 상기 전면 그레이팅부(200) 및 상면 그레이팅부(300)에서 우수 등이 미쳐 유입, 배출되지 못하여 수위가 상승하는 경우, 우수가 집수정(10)의 후방으로 흘러들어가 월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월류방지벽부(500)는 일례로, 30㎝ 이상의 높이로 형성되며, 산간 또는 골짜기 등의 지형적 특성에 따라 더 높게 형성되도록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월류방지벽부(500)는 상기 집수부(100) 상면의 양 측부에 형성되는 측벽부(510)와 후면부에 형성되는 후면벽부(520)를 포함하여 이뤄진다.
상기 측벽부(510)는 우수 및 부유물(F)이 집수정(10)의 좌우 외측으로 퍼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며, 특히 후면벽부(520)로 우수 및 부유물(F)이 집중적으로 모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후면벽부(520)는 담수 효과에 의해 우수가 월류하는 것을 최소화하고, 전면 그레이팅부(200) 및 상면 그레이팅부(300)에서 집수부(100)를 통해 유출관(120)으로 배출되는 우수량을 증가시키는 한편, 이동된 부유물(F)이 후면벽부(520)의 전후 위치에 모이도록 한다.
일례로, 상기 후면벽부(520)는 후방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후면벽부(520)가 후방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후면벽부(520)의 전면으로부터 흘러오는 부유물(F)이 그 크기 및 무게에 따라 상기 후면벽부(520)의 경사면을 타고 넘어갈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일부 부유물(F)이 후면벽부(520)를 넘어가고 대부분의 우수가 상기 상면 그레이팅부(300)를 통해 집수부(100)로 유입되며, 유출관(120)으로 배출이 이뤄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후면벽부(520)는 후면벽부(520)를 넘어간 부유물(F)이 수위 상승시에 역으로 후면벽부(520) 전면으로 넘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벽의 역할을 함으로써, 부유물(F)의 역유입을 최소화하여 부유물(F)에 의해 상면 그레이팅부(300) 또는 전면 그레이팅부(200)가 덮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후면벽부(520)의 전후 위치에 모인 부유물(F)은 비가 잦아들면서 수위가 내려가는 등 시간이 지난 다음 용이하게 수거하여 처리(예, 매립)할 수 있다.
상기 부유물(F)이 일정 범위 내에 모여 있으므로 부유물(F)의 수거를 위해 발생될 수 있는 경제적 손해를 최소화하는 한편, 부유물(F)에 의해 경작지, 주거지 등이 피해를 입는 2차적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후면벽부(520)의 경사각(BA)은 일례로, 지면을 기준으로 30 내지 40도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지형적 특성에 따라 각도가 조절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월류방지 집수정(10)에서 수위 상승에 따라 부유물이 이동한 상태의 단면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면 그레이팅부(200) 및 상면 그레이팅부(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상하로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가로플레이트(210a, 310a) 및 상기 가로플레이트(210a, 310a)를 상호 지지하는 복수의 세로바(210b, 31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 그레이팅(210)은 복수의 가로플레이트(210a) 및 세로바(210b)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면 그레이팅부(200)는 후방이 높아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가로플레이트(210a)는, 일례로, 월류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예, 전면 그레이팅(210)의 전면을 기준으로 가로플레이트(210a)의 상측이 하측보다 후방에 위치)된다.
상기 집수정(10)의 전면으로 흘러오는 우수가 상기 가로플레이트(210a) 및 세로바(210b)를 포함하여 구성된 전면 그레이팅부(200)를 통해 집수부(100)로 유입될때, 상기 가로플레이트(210a) 및 세로바(210b)에 의해 부유물(F)이 걸러지고, 상기 부유물(F)은 우수의 지속적인 유입에 의해 전면 그레이팅부(200)의 일부를 폐쇄하는 형태로 부착된다.
이 경우, 상기 가로플레이트(210a)가 월류 방향으로 더욱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전면 그레이팅부(200)의 일부 폐쇄에 따른 수위의 상승과 함께 발생되는 부유물(F)의 상승을 방해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부유물(F)의 상승 및 후방(예, 상면 그레이팅부(300) 후방)으로의 이동이 더욱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고, 전면 그레이팅부(200)의 폐쇄된 부분이 개방되면서 우수가 더욱 빠르게 집수정(1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상면 그레이팅(310)도 복수의 가로플레이트(310a) 및 세로바(310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면 그레이팅부(300)가 후방이 높아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면 그레이팅(310)의 가로플레이트(310a)가 월류 방향으로 형성(예, 상면 그레이팅(310)의 상면을 기준으로 가로플레이트(310a)의 상측이 하측보다 후방에 위치)되는 경우, 부유물(F)에 의해 상면 그레이팅부(300)의 일부가 폐쇄되더라도 수위 상승 시 부유물(F)이 더욱 용이하게 상면 그레이팅부(300) 후방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면 그레이팅(310)의 가로플레이트(310a)는 상기 전면 그레이팅(210)에 포함된 복수의 가로플레이트(210a)와 형태 및 역할이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집수정(10)은, 상기 전면 그레이팅부(200)의 일측 단부와 상기 상면 그레이팅부(300)의 일측 단부가 힌지(H)에 의해 상호 연결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 그레이팅부(200)의 일측 단부(예, 전면 그레이팅 프레임(220)의 후방측 단부)와 상면 그레이팅부(300)의 일측 단부(예, 상면 그레이팅 프레임(320)의 전방측 단부)가 하나의 힌지(H)에 의해 상호 연결 형성되면서 상기 힌지(H)를 중심으로 전면 그레이팅부(200)와 상면 그레이팅부(300)가 회동이 이뤄질 수 있다.
상기 힌지(H)로 인해, 전면 그레이팅부(200)와 상면 그레이팅부(300)의 설치시 각도조절이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면 그레이팅부(200) 또는 상면 그레이팅부(300)의 양 측면에는 상기 힌지(H)의 중심축과 나란하게 양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중심축 돌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집수정(10)은 상기 가이드벽부(400)의 내측 특정 위치에 상기 중심축 돌기(미도시)의 양 단이 결합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면 그레이팅부(200) 및 상면 그레이팅부(300)의 경사각을 고려하여 상기 가이드벽부(400)의 내측 특정 위치가 선정된다.
상기 중심축 돌기(미도시)와 상기 가이드 벽부(400)의 결합이 이뤄짐과 동시에 상기 전면 그레이팅부(200) 및 상면 그레이팅부(300)가 각각 전면 및 상면에서 집수부(100)를 덮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전면 그레이팅부(200) 및 상면 그레이팅부(300)를 용접, 체결 등에 의해 상기 가이드벽부(400)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집수정(10)의 설치가 간단히 이뤄질 수 있다.
상기 힌지(H)의 중심축에 연결된 중심축 돌기(미도시)와 상기 가이드벽부(400)와의 결합으로 인해 상기 전면 그레이팅부(200) 및 상면 그레이팅부(300)의 설치 위치 및 외부 환경에 따른 경사각의 적절한 조절이 가능해진다.
일례로, 상기 가이드벽부(400)의 내측 위치에는 상기 힌지(H)의 중심축 돌기(미도시)가 적절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결합홈(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미도시)은 상기 가이드벽부(400)의 상호 대응되는 양측 위치에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부가 및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지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월류방지 집수정 100: 집수부
200: 전면 그레이팅부 300: 상면 그레이팅부
400: 가이드벽부 500: 월류방지벽부
510: 측벽부 520: 후면벽부

Claims (7)

  1. 후면 일측에 유출관(120)이 형성되고 전면 및 상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형성된 집수부(100);
    상기 집수부(100) 전면에 개방면을 덮도록 구비되며, 망상(網狀)의 판 형상으로 이뤄진 전면 그레이팅부(200);
    상기 집수부(100) 상면에 개방면을 덮도록 구성되며, 망상(網狀)의 판 형상으로 이뤄진 상면 그레이팅부(300); 및
    상기 집수부(100) 전면 양 측부에 전면방향으로 형성되고 양측방향으로 점차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가이드벽부(400); 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 그레이팅부(200)는 후방이 높아지도록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류방지 집수정.
  2. 제1항에서,
    상기 집수부(100) 상면에 상측으로 구비되는 월류방지벽부(500);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월류방지벽부(500)는 상기 집수부(100) 상면의 양 측부에 형성되는 측벽부(510)와 후면부에 형성되는 후면벽부(520)를 포함하여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류방지 집수정.
  3. 제2항에서,
    상기 후면벽부(520)는 후방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류방지 집수정.
  4. 제1항에서,
    상기 상면 그레이팅부(300)는 후방이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류방지 집수정.
  5. 제4항에서,
    상기 전면 그레이팅부(200)의 경사각(FA)은 상기 상면 그레이팅부(300)의 경사각(TA)보다 더 큰 경사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류방지 집수정.
  6. 제1항에서,
    상기 전면 그레이팅부(200) 및 상면 그레이팅부(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상하로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가로플레이트(210a, 310a) 및 상기 가로플레이트(210a, 310a)를 상호 지지하는 복수의 세로바(210b, 310b)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가로플레이트(210a, 310a)는 월류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류방지 집수정.
  7. 제1항에서,
    상기 전면 그레이팅부(200)의 일측 단부와 상기 상면 그레이팅부(300)의 일측 단부는 힌지(H)에 의해 상호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류방지 집수정.
KR1020160099035A 2016-08-03 2016-08-03 월류방지 집수정 Expired - Fee Related KR101783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035A KR101783386B1 (ko) 2016-08-03 2016-08-03 월류방지 집수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035A KR101783386B1 (ko) 2016-08-03 2016-08-03 월류방지 집수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3386B1 true KR101783386B1 (ko) 2017-10-10

Family

ID=60190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9035A Expired - Fee Related KR101783386B1 (ko) 2016-08-03 2016-08-03 월류방지 집수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338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35485B2 (ja) 2004-11-09 2007-06-20 独立行政法人土木研究所 地表水排水路の閉塞防止目皿
JP2016125209A (ja) 2014-12-26 2016-07-11 有限会社ウイング L型側溝排水口用グレーチン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35485B2 (ja) 2004-11-09 2007-06-20 独立行政法人土木研究所 地表水排水路の閉塞防止目皿
JP2016125209A (ja) 2014-12-26 2016-07-11 有限会社ウイング L型側溝排水口用グレーチン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20751A (en) Water skimming apparatus for the control of sediment pollution
US8034237B2 (en) Backwashing filter basket
US7153417B2 (en) Floating storm water drain basket
US7488414B2 (en) Storm water filter for positioning within a storm water inlet
KR100957464B1 (ko) 빗물받이 집수정용 덮개 장치
JPH06510097A (ja) 堰止め能力を有する屋根および平面から降水或いは雨水を遅延して排水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1295928B1 (ko) 역류방지 및 배수성 증대를 위한 빗물 배수용 집수정
KR101707141B1 (ko) 이물질 이탈방지형 맨홀
KR100969488B1 (ko) 개폐시점을 조절할 수 있는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유입 방지장치
KR101794162B1 (ko) 부유물 수집부가 구비된 부유물 거름 시설
KR101106890B1 (ko) 우수토실의 우수유입 방지장치
KR100976851B1 (ko) 집수정
KR101730150B1 (ko) 이물질 이탈방지형 맨홀
KR102526838B1 (ko) 교량용 선배수 장치
KR101783386B1 (ko) 월류방지 집수정
KR100898839B1 (ko) 초기 강우 유출 조절장치
KR20150088962A (ko) 우수토실의 토사유입방지 및 유량조절장치
KR200422723Y1 (ko) 수퍼 그레이팅.
JP6001754B1 (ja) 側溝用雨水排水装置
KR200224137Y1 (ko) 이물질제거용 배수장치
KR100675583B1 (ko) 하수 역류 방지장치
JP4347789B2 (ja) 雨水吐き室
KR102789466B1 (ko) 도로용 배수시스템
KR101204005B1 (ko) 그레이팅
JP7227638B2 (ja) 集水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9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9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20527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706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