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2884B1 -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bottleneck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bottlenec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82884B1 KR101782884B1 KR1020110105975A KR20110105975A KR101782884B1 KR 101782884 B1 KR101782884 B1 KR 101782884B1 KR 1020110105975 A KR1020110105975 A KR 1020110105975A KR 20110105975 A KR20110105975 A KR 20110105975A KR 101782884 B1 KR101782884 B1 KR 1017828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ent
- information
- home gateway
- home
- user termi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55 networ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101000826116 Homo sapiens Single-stranded DNA-binding protein 3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2100023008 Single-stranded DNA-binding protein 3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2—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describing content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e.g. audio video conte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4—Switching of informat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LNA의 원격 접속 기능을 이용하여, 각 개인 사용자 단말 간의 콘텐츠 공유를 지원하는 콘텐츠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홈네트워크 외부의 댁외 사용자의 단말에서 홈네트워크 내의 댁내 사용자의 콘텐츠를 공유함에 있어서, 별도의 서버에 공유하고자 하는 콘텐츠 자체를 업로드하지 않고,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 정보만을 전달받아, 각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게 함으로써, 콘텐츠 공유를 위해 불필요한 콘텐츠 업로드를 막고 서버관리 비용을 낮출 수 있으며, 클라우드 기반의 실시간 콘텐츠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content sharing among individual user terminals using a remote access function of a DLNA.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It is possible to prevent unnecessary contents from being uploaded for sharing contents and to prevent the contents from being uploaded to the server Management cost can be lowered, and a cloud-based real-time content sharing service can be provid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콘텐츠 공유를 위한 콘텐츠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텐츠 공유를 위해 댁내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DLNA 기반의 댁내 콘텐츠 서버들에 저장된 콘텐츠들을 댁외의 사용자 단말 등에서도 제공받을 수 있도록 콘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콘텐츠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information for content shar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stored in DLNA-based home server connected to a home gateway To a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sharing contents so that the content information can be shared.
UPnP(Universal Plug and Play) 표준은 분산 및 개방 네트워킹 구조를 기반으로, 홈 네트워크 내의 각 가전 제품들이 중앙 집중의 관리를 받지 않고 대신 피어투피어 (peer to peer) 네트워킹이 가능하도록 한다. UPnP 장치는 그 서비스를 액션과 상태변수로 모델링하고, UPnP 컨트롤 포인트(Control Point)는 UPnP 장치를 자동으로 탐색(discovery)한 후 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The Universal Plug and Play (UPnP) standard is based on a distributed and open networking architecture that allows each home appliance in the home network to be managed without peer-to-peer networking instead of being centrally managed. The UPnP device models the service as an action and status variable, and the UPnP control point can automatically discovery the UPnP device and use the service.
UPnP 표준 중, 특히 댁내 UPnP 장치 간의 미디어 콘텐츠 공유를 위해 제정된 UPnP AV 아키텍쳐에 따르면, 댁내 단말은 미디어 콘텐츠를 저장하고 공급해주는 소스 역할을 담당하는 미디어 서버(Media Server)와, 미디어 콘텐츠를 플레이하는 미디어 렌더러(Media Renderer)와, 미디어 서버와 미디어 렌더러 간의 미디어 스트림을 제어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하는 콘트롤 포인트(Control Point)로 구분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홈 네트워크 상에서 미디어 서버에 저장된 콘텐츠를 콘트롤 포인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작을 통해 미디어 렌더러로 플레이 시킬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WI-FI 휴대단말을 콘트롤 포인트로 활용하여 미디어 서버인 PC에 저장된 동영상을 미디어 렌더러인 셋톱박스로 전송하여 TV를 통해 감상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UPnP standard, especially the UPnP AV architecture established for sharing media content between home UPnP devices, a home terminal includes a media server that plays a role of a source for storing and supplying media content, A media renderer, and a control point for controlling a media stream between a media server and a media renderer and providing a user interface (UI). Accordingly, the user can play the content stored in the media server on the home network to the media renderer through manipulation of the user interface of the control point. For example, by using a WI-FI portable terminal as a control point, a moving picture stored in a PC, which is a media server, can be transferred to a set top box as a media renderer and viewed via a TV.
UPnP 표준에 따르는 UPnP 디바이스 탐색은 홈 네트워크 내에서 IP 멀티캐스트를 이용하여 분산 및 개방 네트워킹 방식으로 일어난다. 그러나 현재 IP 멀티캐스트 서비스가 인터넷 범위에서 정상적으로 이루어짐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결과적으로 UPnP 디바이스 탐색을 통해 얻은 정보를 이용하는 UPnP 디바이스의 제어는 인터넷을 통하는 경우에는 가능하지 않게 된다. 즉, 홈 네트워크와 물리적으로 떨어진 경우, 홈 네트워크와는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될 수 밖에 없는데, 그것이 불가능하므로, 홈 네트워크와 떨어진 곳에서는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UPnP 장치를 제어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The UPnP device search according to the UPnP standard occurs in a distributed and open networking manner using IP multicast in a home network. However, since it can not guarantee that the IP multicast service is normally performed in the Internet range, as a result, the control of the UPnP device using th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UPnP device discovery is not possible through the Internet. That is, if the home network is physically separated from the home network, it can not be connected to the home network through the Internet. However, since the home network is remote from the home network, the UPnP device constituting the home network can not be controll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UPnP 장치 또는 컨트롤 포인트 장치가 물리적으로 홈 네트워크로부터 떨어져 있는 경우에도, 마치 물리적으로 동일 네트워크 내에 존재하는 것처럼 동작할 수누가 있도록 하기 위해, UPnP RA(Remote Access) 아키텍처가 제안되었다. UPnP RA 아키텍처는 홈 네트워크 내에 존재하는 RAS(Remote Access Server) 장치와 원격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RAC(Remote Access Client) 장치를 정의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UPnP RA (Remote Access) architecture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allow anyone who can physically operate as if it exists in the same network even if the UPnP device or the control point device is physically separated from the home network . The UPnP RA architecture defines an RAS (Remote Access Server) device existing in a home network and a RAC (Remote Access Client) device existing in a remote network.
UPnP RA 아키텍처는 댁외에 위치한 RAC(Remote Access Client)가 댁내에 위치한 RAS(Remote Access Server)로의 접속을 통해 댁내에 위치한 UPnP 장치들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The UPnP RA architecture allows a remote access client (RAC) located at home to receive services of UPnP devices located in the house through a connection to a remote access server (RAS) located in the home.
DLNA는 UPnP 기반의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댁내의 기기 간 별도의 설정 없이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들을 용이하게 공유할 수 있는 통신 규격으로, 최근에는 이러한 UPnP RA 아키텍처를 통한 원격 접속을 지원하기 위해 원격 접속 기능이 추가되어 확장된 상태이다. DLNA is a communication standard that enables users to easily share contents stored in the home using UPnP-based protocols without having to set them separately. In recent years, a remote access function is provided to support remote access through the UPnP RA architecture It has been added and expanded.
최근 개인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UCC, User-Created Contents)가 각광을 받고 있으나, 이러한 개인 사용자가 생성한 콘텐츠를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콘텐츠를 저장하여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에 업로드하는 별도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In recent years, contents (UCC, User-Created Contents) generated by individual users have received a lot of attention. However, in order to provide contents created by such individual users to other users, .
IT기술의 발달로 유/무선 통신의 대역폭이 증가하고, 데스크톱 PC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이 콘텐츠의 생성 및 저장/제공이 가능한 IT기기들의 보급률이 급증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러한 별도의 업로드 과정 없이, 각 개인 사용자의 IT 기기에서 개인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를 다른 사용자에게 직접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Due to the increase in bandwidth of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due to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and the penetration rate of IT devices capable of creating, storing, and providing contents such as smart phones and tablet PCs as well as desktop PCs is increasing rapidly, Without the process, there is a need for a technology that can directly provide content created by an individual user to another user in an IT device of each individual user.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에서는 DLNA의 확장된 원격 접속 기능을 이용하여, 각 개인 사용자 단말 간의 콘텐츠 공유를 지원하는 콘텐츠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content sharing among individual user terminals using an extended remote access function of a DLNA.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hereinafter and will be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the combination shown in the appended claims.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콘텐츠 공유를 위한 콘텐츠 정보 제공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댁내 게이트웨이로부터 댁내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댁내 콘텐츠 서버들의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댁내 게이트웨이 및 댁내 콘텐츠 서버들의 현재 활성화 여부를 포함하는 프레젠스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원격접속관리부; 및 원격접속관리부로부터 제공된 프레젠스 정보를 기초로 현재 활성화된 댁내 콘텐츠 서버에서 제공가능한 콘텐츠들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제공가능한 콘텐츠들 중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된 콘텐츠에 대응되는 댁내 게이트웨이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 단말에서 댁내 게이트웨이를 통해 선택된 콘텐츠를 전송받을 수 있게 하는 콘텐츠관리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for content sharing, the apparatus comprising: a home gateway connected to a home network through a network, the home gateway receiving information of the home content servers connected to the home gateway, And a presence information providing unit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presence information including whether or not the current contents servers are currently activated; And providing the information of the content that can be provided by the currently-active in-house content server to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presenc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remote connection management unit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of the in-home gateway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select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a content management unit for providing the selected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home gateway.
보다 바람직하게는, 댁내 콘텐츠 서버들은 홈네트워크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 내에 구비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in-house content servers may be provided in a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home network.
보다 바람직하게는, 원격접속관리부는 댁내 게이트웨이로부터 댁내 게이트웨이의 네트워크 주소 및 현재 동작 중인 댁내 콘텐츠 서버들의 정보 중 일부가 변경될 때마다 변경된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프레젠스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여 콘텐츠관리부에 제공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remote access management unit receives the changed information every time a network address of the in-home gateway and the information of the in-house contents servers currently operating are changed from the in-house gateway, and stores the presence information in real time To the content management unit.
보다 바람직하게는, 콘텐츠관리부는 댁내 콘텐츠 서버 각각에서 제공가능한 콘텐츠들의 메타 데이터 정보를 저장하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More preferably, the content management unit includes a content database that stores metadata information of contents that can be provided by each of the in-house content servers.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타 데이터 정보는 콘텐츠를 저장하는 댁내 콘텐츠 서버의 식별정보, 댁내 콘텐츠 서버에 연결된 댁내 게이트웨이의 식별정보 및 콘텐츠의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metadata information may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n-house content server storing the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n-home gateway connected to the in-house content server,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ntent.
보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단말은 선택된 콘텐츠에 대응되는 댁내 게이트웨이의 식별 정보 및 선택된 콘텐츠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DLNA 원격 접속 기능을 통해 댁내 게이트웨이로부터 선택된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user terminal can receive the content selected from the home gateway through the DLNA remote access function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home gateway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ontent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lected content.
보다 바람직하게는, 콘텐츠관리부는 현재 활성화된 댁내 콘텐츠 서버에서 제공가능한 콘텐츠들에 대응되는 댁내 게이트웨이의 네트워크 주소를 기초로 결정된 콘텐츠들의 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content management unit may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of contents determined based on the network address of the home gateway corresponding to the contents that can be provided by the currently-activated home server.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콘텐츠 공유를 위한 콘텐츠 정보 제공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댁내 게이트웨이로부터 댁내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댁내 콘텐츠 서버들의 정보를 수신하는 댁내서버정보수신단계; 댁내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댁내 게이트웨이 및 댁내 콘텐츠 서버들의 현재 활성화 여부를 포함하는 프레젠스 정보를 생성하는 프레젠스정보생성단계; 프레젠스 정보를 기초로 현재 활성화된 댁내 콘텐츠 서버에서 제공가능한 콘텐츠들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제공가능한 콘텐츠들 중에서 선택된 콘텐츠에 대한 요청을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요청된 콘텐츠에 대응되는 댁내 게이트웨이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 단말에서 댁내 게이트웨이를 통해 요청된 콘텐츠를 전송받을 수 있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providing content information for content sharing,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receiving, from an in-home gateway connected through a network, information on in-house content servers connected to a home gateway; A presence information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presence information including whether or not the home gateway and the home contents servers are currently activated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home gateway; Providing information on contents that can be provided by a currently-active in-house content server to a user terminal based on presence information; Receiving from the user terminal a request for content selected from available content; And providing information of the home gateway corresponding to the requested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so that the user terminal can receive the requested content through the home gateway.
보다 바람직하게는. 댁내서버정보수신단계는 세션으로 연결된 댁내 게이트웨이로부터 댁내 게이트웨이의 네트워크 주소 및 현재 동작 중인 댁내 콘텐츠 서버들의 정보 중 일부가 변경될 때마다 변경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home server information receiving step may include receiving, from the home gateway connected to the session, the changed information each time a network address of the home gateway and information of the currently operating home server are changed.
보다 바람직하게는, 프레젠스정보 생성단계는 댁내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프레젠스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presence information generating step may include generating presence information in real time based 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home gateway.
본 발명에 의하면, DLNA의 원격 접속 기능을 이용하여, 홈네트워크 외부의 댁외 사용자의 단말에서 홈네트워크 내의 댁내 사용자의 콘텐츠를 공유함에 있어서, 별도의 서버에 공유하고자 하는 콘텐츠 자체를 업로드하지 않고,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 정보만을 전달받아, 각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게 함으로써, 콘텐츠 공유를 위해 불필요한 콘텐츠 업로드를 막고 서버관리 비용을 낮출 수 있으며, 클라우드 기반의 실시간 콘텐츠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ontent of a home user in a home network is shared from a terminal of a home user outside the home network using the remote access function of the DLNA, the content itself to be shared is not uploaded to a separate server, It is possible to prevent unnecessary contents uploading and reduce the server management cost by sharing only the metadata information of each user terminal and to access the contents stored in each user terminal and to provide a cloud based real time content sharing service do.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정보 제공 장치에서 콘텐츠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 의해 콘텐츠가 업로드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서 콘텐츠가 재생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given below, serve to further the understanding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FIG. 1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content sharing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content information in a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uploading content by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reproducing contents in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following merely illustrates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Thu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devise various apparatuses which, although not explicitly described or shown herein, embody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and are included in the concept and scope of the invention. Furthermore, all of the conditional terms and embodiments listed herein are, in principle, intended only for the purpose of enabling understanding of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be limiting in any way to the specifically listed embodiments and conditions .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as well as the principles, aspects an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s well a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intended to cover structural and functional equivalents thereof.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such equivalents include all elements contemplated to perform the same function irrespective of currently known equivalents as well as equivalents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따라서,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럭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 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functions of the various elements shown in the drawings, including the functional blocks shown in the figures or similar concepts, may be provided by use of dedicated hardware as well as hardware capable of executing software in connection with appropriate software. When provided by a processor, the functions may be provided by a single dedicated processor, a single shared processor, or a plurality of individual processors, some of which may be shared. Also, the use of terms such as processor, control, or similar concepts should not be construed as exclusive reference to hardware capable of executing software, but may include, without limitation,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hardware, (ROM), random access memory (RAM), and non-volatile memory. Other hardware may also be included.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분명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or briefly explain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necessarily obscured.
한편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 an element, i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시스템(100)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content sharing system 1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시스템(100)은 댁내 게이트웨이(110), 댁내 콘텐츠 서버들(120) 및 콘텐츠 정보 제공 장치(130)로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contents shar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본 실시예에서 댁내 콘텐츠 서버들(120)은 댁내의 홈네트워크에 접속한 UPnP 장치들로서, 스마트폰, 노트북, 데스크톱 PC, 태블릿 PC 등 콘텐츠의 생성 및 저장/제공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 내부에 DNLA 기반의 서버 모듈의 형태로 설치되어 구현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댁내 게이트웨이(110)는 이러한 댁내 콘텐츠 서버들(120)과 홈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댁내 콘텐츠 서버들(120)이 포함된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를 인증하거나, 댁내 콘텐츠 서버들(120)의 정보 및 활성화 상태를 관리하고, 외부로부터 댁내 콘텐츠 서버들(120)에 저장된 콘텐츠들의 전송 요청이 있을 경우에, 댁내 콘텐츠 서버들(120)에 저장된 콘텐츠를 중계하여 제공한다.The
댁내 게이트웨이(110)에서 홈네트워크로 연결된 댁내 콘텐츠 서버들의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으로는 DLNA 규격의 SSDP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As a method of monitoring the information of the intra-house content servers connected to the home network at the
본 실시예에서의 댁내 게이트웨이(110)는 UPnP RA 아키텍처의 Remote Access Agent(RAA)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콘텐츠 정보 제공 장치(130)는 댁내 게이트웨이(110)와 인터넷 기타 IP 망을 통해 연결되어, 댁내 게이트웨이(110)에 연결된 댁내 콘텐츠 서버들(120)에 저장된 콘텐츠 중 현재 제공 가능한 콘텐츠들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140)에 제공하고, 현재 제공 가능한 콘텐츠들 중에서 사용자 단말(140)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를 전송받을 수 있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140)에게 제공하는 구성요소로, 원격접속관리부(131) 및 콘텐츠관리부(132)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content
원격접속관리부(131)는 댁내 게이트웨이(110)로부터 댁내 게이트웨이의 홈 네트워크에 현재 접속 중인 댁내 콘텐츠 서버들(120)의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기초로 기초로 댁내 게이트웨이 및 댁내 콘텐츠 서버들의 현재 활성화 여부를 포함하는 프레젠스 정보를 생성하여 콘텐츠관리부(132)에 제공한다.The remote
예컨대, 원격접속관리부(131)는 댁내 게이트웨이(110)로부터 댁내 게이트웨이(110)의 네트워크 주소 및 현재 동작 중인 댁내 콘텐츠 서버들의 정보 중 일부가 변경될 때마다 변경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변경 정보를 기초로 프레젠스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remote
본 실시예에서의 원격접속관리부(131)는 UPnP RA 아키텍처의 Remote Access Server(RAS)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mote
콘텐츠관리부(132)는 원격접속관리부(131)로부터 제공된 프레젠스 정보를 기초로 현재 활성화된 댁내 콘텐츠 서버에서 제공가능한 콘텐츠들을 선별하여 선별된 제공가능한 콘텐츠들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140)에 제공한다.Based on the presenc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remote
제공가능한 콘텐츠들을 선별한 후, 이들의 정보 즉, 콘텐츠들의 메타데이터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기 위해, 콘텐츠관리부(132)는 댁내 콘텐츠 서버(131) 각각에서 제공가능한 콘텐츠들의 메타 데이터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The contents management unit 132 stores the metadata information of contents that can be provided by each of the in-
여기에서 메타 데이터 정보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콘텐츠를 다운받을 수 있도록 콘텐츠를 저장하는 장소 및 해당 콘텐츠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 예컨대, 해당 콘텐츠를 저장하는 댁내 콘텐츠 서버의 식별정보, 해당 댁내 콘텐츠 서버에 연결된 댁내 게이트웨이의 식별정보 및 해당 콘텐츠의 식별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metadata information includes a place where the content is stored so that the user can download the specific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information identifying the content, for examp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n-house content server storing the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home gateway,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ntent, and the like.
그리고, 콘텐츠관리부(132)는 선별된 제공가능한 콘텐츠들 중에서 사용자 단말(140)의 사용자에게 선택된 콘텐츠에 대응되는 댁내 게이트웨이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140)에게 제공한다.The content management unit 132 provides the user of the
이처럼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에 대응되는 댁내 게이트웨이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에서 댁내 게이트웨이를 통해 선택된 콘텐츠를 전송받을 수 있게 한다. By providing the information of the home gateway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the user terminal can receive the selected content through the home gateway.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단말은 콘텐츠관리부(132)를 통해 제공받은 정보 중에서 선택된 콘텐츠에 대응되는 댁내 게이트웨이의 식별 정보(ID 또는 주소) 및 선택된 콘텐츠의 식별 정보(로컬 URI) 등을 기초로 DLNA 규격의 원격 접속 기능을 이용하여 댁내 게이트웨이로부터 선택된 콘텐츠를 제공받는 것을 전제로 하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단말에서 댁내 게이트웨이를 통해 댁내 콘텐츠 서버에 저장되는 콘텐츠를 다운받는 구체적인 과정을 한정하지는 않는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ser terminal uses the DLNA specification (ID or address)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or address) of the home gateway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selected from the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content management unit 132, It is assumed that the content selected from the home gateway is provided by using the remote access function of the home gateway. However, this is only one embodiment. In the present invention, It does not limit the process.
도 1에서 도시된 콘텐츠 정보 제공 장치(130)에서는 하나의 원격접속관리부(131)만을 포함하도록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원격접속관리부(131)가 둘 이상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The content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정보 제공 장치(130)는 GIS 모듈(1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ents
GIS 모듈(133)은 현재 활성화된 댁내 콘텐츠 서버에서 제공가능한 콘텐츠들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함에 있어서, 댁내 게이트웨이의 네트워크 주소와 기저장된 GIS 데이터를 매핑시킨 결과에 따라, 콘텐츠들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콘텐츠들의 위치 정보를 전자 지도의 형태로 디스플레이하여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아울러, 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정보 제공 장치(130)는 사용자가 직접 접속할 수 있는 웹 인터페이스(미도시)를 구비하여, 별도의 사용자 단말이 아닌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선택을 받거나 콘텐츠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현할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contents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정보 제공 장치에서 콘텐츠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정보 제공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콘텐츠 정보 제공 장치(13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도 1에 도시된 콘텐츠 정보 제공 장치(130)에 관한 설명에서와 동일한 사항에 대해서는 이를 참조한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content information in a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performed in the content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댁내 게이트웨이로부터 댁내 게이트웨이의 홈네트워크에 접속 중인 댁내 콘텐츠 서버들의 정보를 수신한다(S201).Referring to FIG. 2, the home gateway receives information of the home contents servers connected to the home network of the home gateway (S201).
S201 단계에서 댁내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댁내 게이트웨이 및 댁내 콘텐츠 서버들의 현재 활성화 여부를 포함하는 프레젠스 정보를 생성한다(S202).In step S201, presence information including whether the home gateway and the home contents servers are currently activated is generated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home gateway (S202).
S201 단계에서, 댁내 게이트웨이로부터 댁내 게이트웨이의 네트워크 주소 및 현재 동작 중인 댁내 콘텐츠 서버들의 정보 중 일부가 변경될 때마다 변경된 정보를 수신하고, S201 단계에서 수신된 정보를 바탕으로 프레젠스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step S201, the home gateway receives the changed information every time the network address of the home gateway and some of the in-house contents servers currently being operated are changed. The presence information is generated in real time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in step S201 .
S202 단계에서 생성된 프레젠스 정보를 기초로 현재 활성화된 댁내 콘텐츠 서버에서 제공가능한 콘텐츠들의 정보를 제공한다(S203).And provides information on contents that can be provided by the currently-active in-house content server based on the presence information generated in step S202 (S203).
그리고, 제공가능한 콘텐츠들 중에서 사용자에게 선택된 콘텐츠에 대한 요청을 수신한다(S204).Then, a request for the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is received from the available contents (S204).
S204 단계를 통해 요청된 콘텐츠에 대응되는 댁내 게이트웨이의 정보를 제공함(S205)으로써,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또는 웹 인터페이스 등을 통해 댁내 게이트웨이를 통해 요청된 콘텐츠를 전송받을 수 있게 한다.In step S205, information of the home gateway corresponding to the requested content is provided (S205),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receive the requested content through the home gateway through the user terminal or the web interface.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 의해 콘텐츠가 업로드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댁내 게이트웨이(310), 원격접속관리서버(320) 및 콘텐츠관리서버(330)는 도 1에 도시된 댁내 게이트웨이(110), 원격접속관리부(131) 및 콘텐츠관리부(132)에 대응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도 1에 도시된 콘텐츠 공유 시스템(100)에 관한 설명에서와 동일한 사항에 대해서는 이를 참조한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uploading content by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먼저, 홈네트워크의 댁내 게이트웨이(310)는 인터넷을 통해 원격접속관리서버(320)에 접속하여, 댁내 게이트웨이(310)의 사용자 ID 및 패스워드를 통해 사용자 인증을 받는 로그인 과정을 수행한다(S301).First, the
S301 단계에서 사용자 인증을 완료한 댁내 게이트웨이는 홈네트워크를 통해 현재 접속 중인 댁내의 DLNA 호환 콘텐츠 서버를 인식하여, 이들의 정보와 댁내 게이트웨이 자신의 네트워크 주소를 원격접속관리서버(320)로 전송한다(S302).The home gateway that has completed the user authentication in step S301 recognizes the DLNA compatible content server in the home currently connected through the home network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and the network address of the home gateway itself to the remote
원격접속관리서버(320)는 S302 단계에서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댁내 게이트웨이 및 하위의 댁내 DLNA 호환 콘텐츠 서버들의 프레젠스 정보를 전송한다(S303).In step S303, the remote
현재 홈네트워크에 개인 단말(340)을 통해 접속 중인 댁내의 사용자는 자신이 공유를 원하는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 정보 즉, 해당 콘텐츠(사용자가 등록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저장하는 댁내 콘텐츠 서버의 식별정보(ID), 댁내 콘텐츠 서버에 연결된 댁내 게이트웨이의 식별정보(사용자 ID), 콘텐츠의 식별정보(로컬 URI) 등을 콘텐츠관리서버(330)에 등록한다(S304). The user in the house currently accessing the home network through the
이때, 댁내의 사용자는 자신이 공유를 원하는 콘텐츠를 탐색함에 있어서, DLNA 규격의 CDS Browsing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ser in the house can use the CDS Browsing function of the DLNA standard in searching contents that he / she wants to share.
아울러, 댁내의 사용자는 개인 단말(340)을 통해 해당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 정보로, 기본적인 콘텐츠에 대한 설명이나 검색 키워드, 태그 등을 직접 작성하여 입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in the house can directly input a description of the basic content, a search keyword, a tag, and the like by using the metadata information of the content through the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서 콘텐츠가 재생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댁내 게이트웨이(410), 원격접속관리서버(420) 및 콘텐츠관리서버(430)는 도 1에 도시된 댁내 게이트웨이(110), 원격접속관리부(131) 및 콘텐츠관리부(132)에 대응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도 1에 도시된 콘텐츠 공유 시스템(100)에 관한 설명에서와 동일한 사항에 대해서는 이를 참조한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reproducing contents in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먼저, 홈네트워크의 댁내 게이트웨이(410)는 인터넷을 통해 원격접속관리서버(420)에 접속하여, 댁내 게이트웨이(410)의 사용자 ID 및 패스워드를 통해 사용자 인증을 받는 로그인 과정을 수행한다(S401).First, the
S401 단계에서 사용자 인증을 완료한 댁내 게이트웨이(410)는 홈네트워크를 통해 현재 접속 중인 댁내의 DLNA 호환 콘텐츠 서버를 인식하여, 이들의 정보와 댁내 게이트웨이 자신의 네트워크 주소를 원격접속관리서버(420)로 전송한다(S402).The
이때, 댁내 게이트웨이(410)에서 DLNA 규격의 SSDP 메시지를 이용하여 현재 접속 중인 댁내의 DLNA 호환 콘텐츠 서버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DLNA 규격의 원격 접속 기능이 off 되거나, 댁내 게이트웨이(410)의 전체 동작이 중지되지 않는 한, 댁내 게이트웨이(410)는 원격접속관리서버(320)와의 네트워크을 통한 통신 세션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원격접속관리서버(320)는 S302 단계에서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댁내 게이트웨이 및 하위의 댁내 DLNA 호환 콘텐츠 서버들의 프레젠스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콘텐츠관리서버(330)에 전송한다(S403).In step S403, the remote
홈 네트워크 외부의 댁외 사용자가 개인 단말을 통해 콘텐츠관리서버(430) 상에서 콘텐츠의 검색 또는 탐색을 시도하면(S404), 콘텐츠관리서버(430)는 S403 단계를 통해 수신된 프레젠스 정보를 기초로 현재 콘텐츠 제공 가능한 댁내의 게이트웨이 및 하위의 댁내의 DLNA 호환 콘텐츠 서버들을 선별하여, 댁내의 사용자에 의해 기등록된 콘텐츠 중에서 현재 콘텐츠 제공 가능한 DLNA 호환 콘텐츠 서버에 저장된 콘텐츠만을 표출한다(S405).When the external user outside the home network attempts to search for or search for the content on the
댁외 사용자는 개인단말(440)을 통해 S405 단계에서 표출된 콘텐츠 중에 특정 콘텐츠를 선택하여, 이를 콘텐츠관리서버(430)에 요청한다(S406).The out-of-home user selects a specific content among the contents displayed in the step S405 through the
콘텐츠관리서버(430)는 S406 단계에서 댁외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 정보 예컨대, 해당 콘텐츠에 대응되는 댁내 게이트웨이의 사용자 ID, 해당 콘텐츠가 저장된 댁내 DLNA 호환 콘텐츠 서버의 ID, 해당 콘텐츠가 저장된 로컬 URI 등의 정보를 전송한다(S407).In step S406, the
댁외 사용자의 개인 단말(440)는 S407 단계를 통해 수신된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 정보 중에서 댁내 게이트웨이의 사용자 ID 정보를 이용하여 원격접속관리서버(420)에 해당 콘텐츠에 대응되는 댁내 게이트웨이의 네트워크 주소를 요청하여(408), 이를 제공받는다(S409).The
그리고, 해당 댁내 게이트웨이로 댁외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를 요청하고(S410), S410 단계에서의 요청을 수신한 댁내 게이트웨이가 선택된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하위의 댁내 DLNA 호환 콘텐츠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전송받아 이를 댁외 사용자의 개인단말(440)로 포워딩(S411)함으로써, 댁외 사용자의 개인단말(440)에서 댁내 사용자가 등록한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게 된다.In step S410, the home gateway receiving the request in step S410 receives the content from the lower-level DLNA compatible content server storing the selected content, The content registered by the in-house user can be shared in the
본 실시예에서 댁내 DLNA 호환 콘텐츠 서버는 댁내 게이트웨이의 홈네트워크에 연결된 댁내 사용자의 개인 단말 상에서 모듈의 형태로 설치되어 동작하는 것을 전제로 하며, 댁외 사용자의 개인 단말(440)에는 DLNA 규격의 원격 접속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DLNA 클라이언트 모듈이 설치되어 동작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때, DLNA 클라이언트 모듈은 DLNA 규격의 DMP(Digital Media Player)의 장치 클래스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home DLNA compatible content server is assumed to be installed and operated in the form of a module on the home terminal of the home user connected to the home network of the home gateway, and the remote terminal It is assumed that the DLNA client module that can use the function is installed and operated. At this time, the DLNA client module may include the function of the device class of the DMP (Digital Media Player) of the DLNA standard.
본 발명에 의하면, DLNA의 원격 접속 기능을 이용하여, 홈네트워크 외부의 댁외 사용자의 단말에서 홈네트워크 내의 댁내 사용자의 콘텐츠를 공유함에 있어서, 별도의 서버에 공유하고자 하는 콘텐츠 자체를 업로드하지 않고,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 정보만을 전달받아, 각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게 함으로써, 콘텐츠 공유를 위해 불필요한 콘텐츠 업로드를 막고 서버관리 비용을 낮출 수 있으며, 클라우드 기반의 실시간 콘텐츠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ontent of a home user in a home network is shared from a terminal of a home user outside the home network using the remote access function of the DLNA, the content itself to be shared is not uploaded to a separate server, It is possible to prevent unnecessary contents uploading and reduce the server management cost by sharing only the metadata information of each user terminal and to access the contents stored in each user terminal and to provide a cloud based real time content sharing service do.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공유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장치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The content sha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implement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apparatus is stored.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connected computer devices so that computer readable codes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In addition,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ferred by programmers of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You will understand.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Claims (10)
상기 원격접속관리서버로부터 제공된 프레젠스 정보를 기초로 현재 활성화된 댁내 콘텐츠 서버에서 제공가능한 콘텐츠들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제공가능한 콘텐츠들 중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게 선택된 콘텐츠에 대응되는 댁내 게이트웨이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댁내 게이트웨이를 통해 상기 선택된 콘텐츠를 전송받을 수 있게 하는 콘텐츠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댁내 게이트웨이를 통해 상기 댁내 콘텐츠 서버에 저장된 상기 선택된 콘텐츠를 다운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공유를 위한 콘텐츠 정보 제공 장치.Receiving information on home-based content servers connected to the home gateway through a home network from a home gateway connected through a network, and receiving presence information including whether or not the home gateway and the home-content servers are currently activated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A remote access management server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And
Providing information on contents that can be provided from the currently-active in-house content server to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presenc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remote access management server, and providing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with information And a content management server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a gateway to the user terminal and allowing the user terminal to receive the selected content through the home gateway,
Wherein the user terminal downloads the selected content stored in the residential content server through the home gateway.
상기 댁내 콘텐츠 서버들은 홈네트워크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 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공유를 위한 콘텐츠 정보 제공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sidential content servers are provided in a user terminal connected to a home network.
상기 원격접속관리서버는 상기 댁내 게이트웨이로부터 댁내 게이트웨이의 네트워크 주소 및 현재 동작 중인 댁내 콘텐츠 서버들의 정보 중 일부가 변경될 때마다 상기 변경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프레젠스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여 상기 콘텐츠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공유를 위한 콘텐츠 정보 제공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mote access management server receives the changed information every time a network address of the home gateway and information of the currently operating premises content servers are changed from the home gateway and stores the presence information on the basis of the received information And providing the content information to the content management server in real time.
상기 콘텐츠관리서버는 상기 댁내 콘텐츠 서버 각각에서 제공가능한 콘텐츠들의 메타 데이터 정보를 저장하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공유를 위한 콘텐츠 정보 제공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ent management server includes a content database for storing metadata information of contents that can be provided by each of the in-house content servers.
상기 메타 데이터 정보는 상기 콘텐츠를 저장하는 댁내 콘텐츠 서버의 식별정보, 상기 댁내 콘텐츠 서버에 연결된 댁내 게이트웨이의 식별정보 및 상기 콘텐츠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공유를 위한 콘텐츠 정보 제공 장치.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metadata information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n in-house content server storing the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n in-home gateway connected to the in-house content server,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ntent.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선택된 콘텐츠에 대응되는 댁내 게이트웨이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선택된 콘텐츠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DLNA 원격 접속 기능을 통해 상기 댁내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선택된 콘텐츠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공유를 위한 콘텐츠 정보 제공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ser terminal receives the selected content from the home gateway through the DLNA remote access function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home gateway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ontent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lected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상기 콘텐츠 관리서버는 현재 활성화된 댁내 콘텐츠 서버에서 제공가능한 콘텐츠들에 대응되는 댁내 게이트웨이의 네트워크 주소를 기초로 결정된 콘텐츠들의 위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공유를 위한 콘텐츠 정보 제공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ent management server provides location information of contents determined based on a network address of a home gateway corresponding to contents that can be provided by a currently-activated home server, to the user terminal Device.
상기 댁내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댁내 게이트웨이 및 상기 댁내 콘텐츠 서버들의 현재 활성화 여부를 포함하는 프레젠스 정보를 생성하는 프레젠스정보생성단계;
상기 프레젠스 정보를 기초로 현재 활성화된 댁내 콘텐츠 서버에서 제공가능한 콘텐츠들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공가능한 콘텐츠들 중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게 선택된 콘텐츠에 대한 요청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된 콘텐츠에 대응되는 댁내 게이트웨이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댁내 게이트웨이를 통해 상기 요청된 콘텐츠를 전송받을 수 있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댁내 게이트웨이를 통해 상기 댁내 콘텐츠 서버에 저장된 상기 선택된 콘텐츠를 다운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공유를 위한 콘텐츠 정보 제공 방법.An in-home server information receiving step of receiving information on in-house content servers connected to the home gateway from an in-house gateway connected through a network;
A presence information generating step of generating presence information including whether the home gateway and the home server are currently activated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home gateway;
Providing the user terminal with information on contents that can be provided by the currently-active in-house content server based on the presence information;
Receiving from the user terminal a request for a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from among the available contents; And
Providing the user terminal with information of the home gateway corresponding to the requested content to enable the user terminal to receive the requested content through the home gateway,
Wherein the user terminal downloads the selected content stored in the residential content server through the home gateway.
상기 댁내서버정보수신단계는 상기 댁내 게이트웨이로부터 댁내 게이트웨이의 네트워크 주소 및 현재 동작 중인 댁내 콘텐츠 서버들의 정보 중 일부가 변경될 때마다 상기 변경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공유를 위한 콘텐츠 정보 제공 방법.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home server information receiving step includes receiving the changed information whenever the network address of the home gateway and the information of the currently operating in-house content servers are changed from the home gateway to the home gateway. / RTI >
상기 프레젠스정보 생성단계는 상기 댁내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프레젠스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공유를 위한 콘텐츠 정보 제공 방법.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presence information generating step includes generating the presence information in real time based 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home gatewa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5975A KR101782884B1 (en) | 2011-10-17 | 2011-10-17 |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bottlenec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5975A KR101782884B1 (en) | 2011-10-17 | 2011-10-17 |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bottleneck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41607A KR20130041607A (en) | 2013-04-25 |
KR101782884B1 true KR101782884B1 (en) | 2017-09-28 |
Family
ID=48440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05975A Active KR101782884B1 (en) | 2011-10-17 | 2011-10-17 |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bottlenec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82884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710661B2 (en) | 2013-12-16 | 2017-07-1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Presence-based content sharing |
KR102321842B1 (en) | 2014-10-15 | 2021-11-03 |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 Storage apparatus for local server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53866B1 (en) * | 2010-03-15 | 2011-08-03 | 주식회사 인스프리트 |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DLNA device using DLNA gateway |
-
2011
- 2011-10-17 KR KR1020110105975A patent/KR10178288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53866B1 (en) * | 2010-03-15 | 2011-08-03 | 주식회사 인스프리트 |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DLNA device using DLNA gatewa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41607A (en) | 2013-04-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09544B1 (en) | Method for controlling home network device using universal web application and apparatus thereof | |
US9116893B2 (en) | Network connected media gateway for communication networks | |
US9736205B2 (en) | Media share control apparatus, media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for media sharing thereof | |
KR102201022B1 (en) | A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layback of streaming digital content | |
CN106031121B (en) | Media content sharing method and device | |
CN102763373B (en) | The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service of local network devices based on remote access | |
US9372839B2 (en) | Rendering system | |
KR20140080958A (en) | Electronic device, Personal cloud apparatus, Personal cloud system and Method for registering personal cloud apparatus in user portal server thereof | |
KR20140126641A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egistering personal cloud apparatus in user portal server thereof | |
KR20090045203A (en) | Computer-readable medium, file location providing method and client device for mapping items from which PINs are found to SMB locations | |
KR102177013B1 (en) | A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layback of streaming digital content | |
US20150052235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20120113106A (en) | Terminal unit for cloud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cloud serving us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therefor | |
EP2560404A2 (en) |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 |
US20150039917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ctiv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 |
JP5142216B2 (en) | Content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content from terminal in home network to wide area network | |
Lo et al. | A remote control and media-sharing system using smart devices | |
KR101782884B1 (en) |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bottleneck | |
EP3404892B1 (en) | Method of transferring audiovisual data and corresponding device | |
CN107820117B (en) | An intelligent video playback method and system | |
Carlson et al. | An ad-hoc smart gateway platform for the web of things | |
KR102007841B1 (en) | Media share control apparatus, media display apparatus, server for providing a media share application and media share method | |
US9503274B2 (en) | System facilitating user access to content stored or exposed on connected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s | |
KR20120112523A (en) |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 |
KR20120122846A (en) | Contents sharing system and method using push serv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1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10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101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9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9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