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2392B1 - Handle fixing device for winding tape measure with reverse rotation prevention function - Google Patents
Handle fixing device for winding tape measure with reverse rotation prevention fun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82392B1 KR101782392B1 KR1020160164436A KR20160164436A KR101782392B1 KR 101782392 B1 KR101782392 B1 KR 101782392B1 KR 1020160164436 A KR1020160164436 A KR 1020160164436A KR 20160164436 A KR20160164436 A KR 20160164436A KR 101782392 B1 KR101782392 B1 KR 1017823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ndle
- tape measure
- bobbin
- fixing
- axial direc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title description 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386 athl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02—Details
- G01B3/004—Scales; Gradu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3/1005—Means for controlling winding or unwinding of tapes
- G01B2003/1023—Winding mechanisms
- G01B2003/1025—Winding mechanisms operated manually, e.g. crank-handles
-
- G01B2003/1043—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ape Measur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줄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권취되어 있는 줄자를 풀어주더라도 핸들이 역회전하지 않고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핸들 역회전 방지 기능이 있는 줄자에서, 풀어져 있는 줄자를 권취할 때 연속적인 권취가 가능하도록 줄자를 권취 가능한 위치에서 핸들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핸들 역회전 방지기능이 구비된 줄자를 권취하기 위한 핸들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줄자는 케이스 내부에 스프링과 결합된 테이프가 코일 형태로 보빈에 감겨져 내장되며, 테이프 단부에 결합된 훅(Hook)이 케이스의 일측면 하부에 형성된 슬롯의 외부로 노출되어 훅을 잡아당김에 의해서 케이스 내부의 테이프가 케이스 외부로 인출되었다가 훅을 놓게 되면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서 인출되었던 테이프가 케이스 내부로 말려들어가도록 구성되어 있다.In general, a tape measure is built in a case in which a tape coupled with a spring is wound on a bobbin in the form of a coil and a hook coupled to a tape e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a slot formed at a lower side of one side of the case, The tape inside the case is taken out to the outside of the case, and when the hook is released, the tape pulled out by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is configured to be pulled into the case.
또한, 일부 형태의 줄자는 케이스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테이프 단부의 훅에 가해진 인출장력이 제거된 경우라도 테이프가 스프링 텐션에 의해 후퇴되어 케이스 내부로 감겨들어 가지 않도록 하는 록킹 수단이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some types of tape measure are provided with a locking means for preventing the tape from being retracted by the spring tension and being wound into the case even when the pulling tension applied to the hook of the tape end is removed in a state of being drawn out of the case.
한편, 다른 종류로 각종 산업현장이나 가정, 또는 육상경기장 등에서 사용되는 길이 및 거리측정용으로 사용되는 줄자의 케이스는 대략 십자형의 상, 하부케이스가 다수의 결합핀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상하부 케이스의 전방에는 스파이크가 결합되고 후방에는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Meanwhile, in case of a tape measure used for measuring lengths and distances used in various industrial sites, homes, athletics fields, and the like, the cross-shaped upper and lower cases are coupled by a plurality of coupling pins, A spike is attached to the front and a handle is integrally formed at the rear.
그리고, 상부케이스의 중앙에 장착되는 회전캡과, 힌지핀으로 회전캡에 고정되는 핸들과, 상기 회전캡의 결합돌기에 끼움결합되어 줄자를 감는 보빈으로 구성되는 릴을 결합하여서 된 구조이다.The reel unit includes a rotary cap mount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case, a handle fixed to the rotary cap by a hinge pin, and a reel including a bobbin wound around the coupling protrusion of the rotary cap and winding a tape measure.
상기와 같은 구성의 줄자는 먼 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30m~100m의 다양한 길이로 제작되어 보빈에 감겨져 있으며, 이를 사용할 때에는 줄자의 선단부를 일측의 측정 지점에 고정시켜 놓고, 타측의 측정 지점까지 손잡이를 잡고 이동하여 지면에 스파이크를 고정시킨 후 줄자의 눈금을 읽어 거리를 측정하게 된다.The tape measure having the above structure is manufactured in various lengths of 30 to 100 m so as to measure a long distance and is wound on the bobbin. When using the tape measure, the tip end of the tape measure is fixed to one measurement point, And the spike is fixed on the ground. Then, the scale is read to measure the distance.
한편, 줄자는 사용시 풀려지면 보빈이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보빈에 연결되어 있는 핸들까지 함께 회전하게 되며, 이렇게 핸들이 회전하게 되면 측정 과정에서 줄자를 들고 있는 사용자의 손에 부딪쳐 상해를 입히는 등 사용에 많은 불편함을 가져오게 된다.Meanwhile, when the tape measure is loosened during use, the bobbin rotates. At this time, the handle connected to the bobbin rotates together. When the handle rotates, the tape measure hits the hand of the user holding the tape measure during the measurement process, Which causes many inconveniences.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줄자를 풀어주더라도 핸들이 회전하지 않고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줄자가 대한민국 특허 제10-1476322호에 제안되었다.To solve the above problem, a tape measure is proposed in Korean Patent No. 10-1476322 that enables the handle to be kept in a fixed state without rotating even if the tape measure is released.
상기 줄자는 상, 하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의 일측에 부착되며 중앙으로 상기 상부케이스를 관통하는 핸들축이 구비된 플랜지부 및 상기 플랜지부에 핀 결합되어 틸팅 가능하게 연결 구성되는 로드부로 구성한 핸들과; 상기 상, 하부케이스 내부 공간에 위치하며 외주면으로는 줄자가 감겨지는 보빈과; 상기 보빈과 상기 상부케이스 사이에 위치하며 중앙으로는 상기 핸들축이 결합되기 위한 결합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핸들의 회전력으로 회전 동작하는 디스크와; 상기 디스크의 일측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며 선단으로는 제1기어가 형성된 돌출테와; 상기 디스크의 일측면이 접촉하는 상기 보빈의 타측면 둘레를 따라 함몰 형성되며 내면에는 상기 디스크의 제1기어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제2기어가 형성된 삽입홈 및 상기 핸들의 플랜지부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에 끼워지며 끝단은 상기 로드부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로드부의 틸팅 동작에 따라 눌려지며, 상기 디스크를 가압하여 상기 디스크의 제1기어를 상기 보빈의 제2기어에 맞물려지도록 하는 가압대로 구성되는 것이다.The tape measure comprises a top and a bottom case, a flange portion attached to one side of the top case and having a handle shaft passing through the top case at the center, and a rod portion connected to the flange portion in a pin- and; A bobbin located on the inner space of the upper and lower cases and having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n which a tape measure is wound; A disk disposed between the bobbin and the upper case and having an engaging hole for engaging with the handle shaft at a center and rotating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handle; A protrus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disc and having a first gear at its tip; Wherein the disc is formed with an insertion groove formed on an inner surface thereof with a second gear selectively in contact with the first gear of the disc and a hole formed in a flange portion of the handle, And the end is pressed in accordance with a tilting operation of the rod portion in a state of being in contact with the rod portion so as to press the disk to engage the first gear of the disk with the second gear of the bobbin .
이러한 줄자는 풀어주더라도 핸들이 회전하지 않고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인출된 줄자를 권취하기 위해서는 상기 디스크의 제1기어가 상기 보빈의 제2기어에 맞물려지도록 가압대가 상기 디스크를 가압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고, 이렇게 가압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핸들이 상기 가압대를 누르도록 가압한 상태에서 핸들을 회전시켜야 하므로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었다.In order to wind the tape measure, the presser bar presses the disc so that the first gear of the disc is engaged with the second gear of the bobbin. However, In order to maintain the pressurized state, the handle must be rotated in a state in which the handle is pressed so as to press the pressing pedal, which is inconvenient for use.
본 발명의 목적은 핸들 역회전 방지기능이 구비된 줄자에서, 인출된 줄자를 쉽게 권취할 수 있도록 핸들이 가압편을 누르고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핸들 고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andle fixing device capable of maintaining a state in which a handle presses a pressing piece so that a tape measure can be easily wound up in a tape measure provided with a handle reverse rotation prevention function.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 및 그 기술적 과제는 앞서 기재한 기술적 과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and technical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described above. Accordingly, it is t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본 발명이 의도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특징은 핸들 역회전 방지기능이 구비된 줄자에서 핸들이 보빈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속한 상태를 유지시키고, 또한 상기 핸들이 보빈을 구속한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는 핸들 고정 장치에 의하여 인출된 줄자를 권취할 때 연속적인 권취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ttai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In a tape measure equipped with a handle reverse rotation prevention function, a state in which the handle is restrained to rotate the bobbin is maintained, When the tape measure drawn out by the handle fixing device provided with means capable of continuous winding is wound.
상기한 본 발명의 핸들 고정 장치는, 상부 케이스와 하부케이스 내부 공간에 위치하며 외주면으로는 줄자가 감겨지는 보빈과, 상부 케이스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보빈을 회전시켜주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에 고정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핸들을 포함하는 줄자에 있어서, 인출된 줄자를 연속적으로 권취하기 위하여 핸들이 보빈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속한 상태를 유지시키고, 또한 상기 핸들이 보빈을 구속한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서, 상기 핸들이 줄자를 권취할 수 있도록 위치되는 시점에서 상기 고정축의 축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핸들을 상기 고정축의 축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축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핸들이 상기 고정축에 의해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핸들은 일측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홀에 상기 고정축이 삽입되어 고정축의 축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핸들이 축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쪽 단부는 상기 핸들에 지지되고, 다른쪽 단부는 상기 고정축에 지지되는 제1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핸들의 측면에 형성되는 고정돌기와,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체에 형성되는 삽입홈을 포함하는 것이다.
The handl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bbin which is located in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inner space and has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n which a tape measure is wound, a rotating body rotatably fixed to one side of the upper case, And a handle rotatably fixed to the rotary body by a fixing shaft so as to rotate the rotary body, wherein a state in which the handle is restrained to rotate the bobbin in order to continuously wind the drawn tape measure, Wherein the handle is provided so as to be slidable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xed shaft at a time point when the handle is positioned so as to wind the tape measure, Moving means for slidably moving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xed shaft; And a fixing means for restricting rotation of the handle, which moves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axial direction by the moving means, by the fixed shaft, wherein the handle is inserted into the sliding hole formed at one side of the fixed shaft, Wherein the handle is supported by the handle so that the handle can move in a direction crossing the axial direction and the other end is supported by the fixed shaft The fixing means includes a fixing protrusion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handle rotating about the fixed shaft and an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rotating body so that the fixing protrusion can be insert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또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핸들이 축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쪽 단부는 상기 회전체에 지지되고, 다른쪽 단부는 상기 핸들에 지지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한다. The moving means includes a second elastic member whose one end is supported by the rotating body and the other end is supported by the handle so that the handle can move in a direction crossing the axial direc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인출된 줄자를 권취할 때 핸들이 가압편을 누르고 보빈을 구속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하여 인출된 줄자의 권취작업을 쉽게 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rawn tape is wound, the handle can press the pressing piece and keep the bobbin in a restrained state, thereby facilitating the winding operation of the drawn tap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은 줄자를 풀어주는 과정에서 보빈이 회전하더라도 상기 보빈에 원웨이 클러치수단으로 연결 구성된 핸들은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측정과정에서 줄자를 들고 있는 사용자의 손에 핸들이 부딪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bobbin rotates in the course of releasing the tape measure, the handl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bobbin by the one-way clutch means can be kept in a fixed state without rotating so that the handle hits the hand of the user holding the tape measure in the measurement process Can be prevented,
이와 동시에 풀어져 있는 줄자를 권취할 때 연속적인 권취가 가능하도록 줄자를 권취 가능한 위치에서 핸들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줄자를 편리하게 권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t the same time, when the tape measure is unwound at the same time, the tape measure can be held in a fixed position where the tape measure can be wound in a continuous manner so that the tape measure can be wound continuously. Thus, the tape measure can be conveniently wound.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줄자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을 분해한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클러치 수단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클러치 수단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핸들이 회전체에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핸들이 회전체에 고정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a)는 일부를 절개한 평단면도.
(b)는 일부를 절개한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핸들이 회전체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a)는 일부를 절개한 평단면도.
(b)는 일부를 절개한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핸들이 회전체에 고정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a)는 일부를 절개한 평단면도.
(b)는 일부를 절개한 종단면도1 is a plan view of a tape measur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 is a three-dimensional view explaining de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lutch means is released in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lutch means is engaged in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andle is rotated on the rotating body in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handle is fixed to the rotating body in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plan view showing a partially cut section.
(b) is a partially cut-away longitudinal section
7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handle is fixed to the rotating body in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plan view showing a partially cut section.
(b) is a partially cut-away longitudinal section
8 is a view showing a state before a handle is fixed to a rotating body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plan view showing a partially cut section.
(b) is a partially cut-away longitudinal section
본 발명의 특징과 장점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실시 예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본 발명의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 예 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장치 또는 요소의 방향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실시 예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며,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제2"와 같은 용어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실시 예와 청구항에 사용되는데, 이러한 용어가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Before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tails of the configurations and arrangements of the components described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or shown in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and practiced in other embodiments, and may be carried out in various ways. Also, the expressions and predicates used in the embodiments with respect to terms such as device or element orientation, etc. are used merely to simplify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indicate or imply that the associated device or element should have a specific orientation Do not. For example, terms such as " first ", "second" are used in the embodiments and claims to describe the invention, and such terms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or imply their relative importance or purpose.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기재된 것으로 해석하여야 한다.In addition,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can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to describe the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described in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그리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설명과 도면에 도시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관련된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된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many equivalents and variations.
따라서 본 발명은 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의 균등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게 됨은 물론이다.Therefore,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s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다음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는 줄자를 권취하기 위한 핸들 고정 장치는 줄자를 풀어주는 과정에서 보빈이 회전하더라도 상기 보빈에 클러치 수단으로 단속(斷續)되는 핸들이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측정과정에서 줄자를 들고 있는 사용자의 손에 핸들이 부딪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인출된 줄자를 권취할 때에는 상기 클러치 수단에 의하여 핸들의 회전력이 보빈에 전달되어 줄자를 권취할 수 있게 되는 줄자에 적용되는 예를 제시한다.The handle fixing device for winding the tape meas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handle that is interrupted by the clutch means from being held in a fixed state without rotating even if the bobbin rotates in the process of releasing the tape measure Thus, the handle can be prevented from hitting the hand of the user holding the tape measure during the measurement process. When the tape measure is taken up, the clutch means allow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handle to be transmitted to the bobbin, An example applies to tape measure.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줄자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보여주고 있고, 도 2는 도 1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ape meas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도 1과 도 2에서 보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줄자는 케이스(1), 보빈(2), 줄자(3), 디스크(4), 회전체(5), 핸들(6), 고정축(7), 제1탄성부재(8) 및 가압편(9)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tape mea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케이스(1)는 상부 케이스(10)와 하부 케이스(11)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상부 케이스(10)와 하부 케이스(11)는 체결용 요소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결합되는 사이의 공간에 상기 보빈(2), 줄자(3) 및 디스크(4)가 설치되며, 일측으로는 상부 케이스(10)화 하부 케이스(11)의 결합체가 이루는 손잡이(12)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12)의 안쪽으로는 보빈(3)에 감겨지는 줄자(3)와 사용자의 손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드(13)가 형성된다. The
또한, 상기 상부 케이스(10)와 하부 케이스(11)의 중앙에는 상기 보빈(2), 줄자(3), 디스크(4) 및 회전체(5)를 설치하기 위한 통공(110, 110)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The through
상기 보빈(2)은 중앙에 형성되는 축공(20)에 상기 회전체(5)가 공회전이 되도록 삽입되며, 상기 축공(20) 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원형의 내주면으로 형성되는 공간(21)이 형성되어 상기 공간(21)에 디스크(4)가 삽입된다.The
이러한 보빈(2)은 외주면에는 줄자(3)가 권취되어 상부 케이스(10)와 하부케이스(11) 사이에서 축공(20)이 상기 통공(100, 110)과 동일축을 이루도록 위치된다.The
상기 줄자(3)는 주지된 바와 같이, 권취 및 인출이 자유롭도록 PVC를 재질로 하여 미터계, 또는 인치계 단위의 치수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보빈(2)에 권취되어 외부에서 줄자(22)를 당겨주는 동작에 따라 상기 보빈(20)에서 풀려나며 외부로 인출되게 된다. As known in the art, the
상기 디스크(4)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면서 중앙에 형성되는 축공(40)에 상기 회전체(5)가 회전하는 동력이 전달되도록 평면부(41)가 형성되며, 외주면이 상기 보빈(2)의 공간(21)에 삽입된다.The
상기 회전체(5)는 상부 케이스(10)의 통공(100), 디스크(4)의 축공(40), 그리고 보빈(2)의 축공(20)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고정축(50)이 형성되면서, 상기 고정축(50)의 외주면에는 상기 디스크(4)의 평면부(41)와 접촉하는 평면부(51)가 형성되어 상기 핸들(6)이 회전하는 동력으로 디스크(4)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The
상기 고정축(50)의 하단에는 나사체결을 하기 위한 고정공(52)이 형성되어 있다.At the lower end of the fixed shaft (50), a fixing hole (52) for screw tightening is formed.
또한, 상기 회전체(5)는 고정축(50) 상부에 평면부(53)가 형성되면서, 상기 평면부(53) 상부에 핸들(6)을 고정하기 위하여 양쪽 돌출부(54, 54a) 사이에 핸들 안착공간(55)이 형성된다.The
상기 돌출부(54, 54a)에는 상기 핸들(6)을 고정시키는 고정축(7)이 삽입되는 축공(56, 56a)이 형성되며, 상기 핸들 안착공간(55)을 형성하는 상기 돌출부(54, 54a)의 내측면에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조가 되는 요입홈(57, 57a)이 형성되면서, 상기 요입홈(57, 57a)의 일측면에 경사돌출면(58, 58a)과 삽입홈(59, 59a)이 형성되어 있다. The
상기 핸들(6)은 고정단부(60)와 회전단부(61)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단부(60)에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조로서, 상기 고정축(7)이 삽입되는 슬라이딩 홀(600)이 상기 돌출부(54, 54a)에 형성된 축공(56, 56a)에 일치하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슬라이딩 홀(600)과 연결되는 공간을 이루는 탄성부재 삽입홈(601)이 형성되어 제1탄성부재(8)가 삽입되며, 상기 회전체(5)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요입홈(57, 57a)에 수용되면서, 상기 삽입홈(59, 59a)에 삽입되는 고정돌기(602, 602a)가 형성되어 있다.The
상기 제1탄성부재(8)는 지지부(80)와 탄성부(81, 81a)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80)는 핸들(6)에 지지되고, 상기 탄성부(81, 81a)는 상기 축공(56, 56a)과 슬라이딩 홀(600)에 삽입된 고정축(7)에 지지된다.The first
한편, 상기 보빈(2)은 클러치 수단에 의하여 핸들(6)의 일방향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외부로 인출된 줄자(3)를 다시 감아줄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클러치 수단은 상기 보빈(2)에 형성되는 하부기어(22)와, 상기 디스크(4)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기어(22)에 치합되는 상부기어(44)와, 상기 하부 기어(22) 및 상부기어(44)가 서로 이격된 거리를 유지하도록 상기 보빈(2)과 디스크(4) 사이에 개재되는 클러치 스프링(23)과, 상기 하부 기어(22) 및 상부기어(44)를 서로 치합시키는 가압편(9)으로 구성된다.The clutch means includes a
상기 클러치 스프링(23)은 보빈(2)과 디스크(4) 사이에서 하단부는 보빈(2)의 상부면에 지지되고, 상단부는 디스크(4)의 하부면에 지지되어 상기 하부기어(22)와 상부기어(44)가 이격된 상태에 있게 한다.The
상기 가압편(9)은 돌출부(90)와 걸림부(91)가 형성되어 상부케이스(10)에 형성된 슬라이딩 홀(101)에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돌출부(90)는 상부 케이스(10)의 상부면 위로 노출되고, 상기 걸림부(91)는 하부 케이스(11)의 저면에 접촉되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설치된다.The pushing
이러한 가압편(9)은 하단부가 디스크(4)의 상부면에 지지되고, 상단부는 핸들(6)의 바닥면에 접촉할 수 있게 된다.The lower end of the
이러한 클러치 수단은 핸들(6)에 의하여 보빈(2)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게 된다.This clutch means is able to restrain the rotation of the
즉, 상기 핸들(6)이 상기 고정축(7)을 중심으로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가압편(9)을 누르면, 상기 가압편(9)이 하강하여 디스크(4)를 누르게 되고, 상기 디스크(4)는 클러치 스프링(23)를 압축시키면서 상부기어(44)가 보빈(2)의 하부기어(22)에 치합되게 된다.That is, when the
그리고, 상기 핸들(6)을 도면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가압편(9)을 누르고 있던 힘이 제거되면, 압축되어 있었던 클러치 스프링(2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디스크(4)와 가압편(9)이 상승하게 된다.When the
이때, 상기 디스크(4)의 상부기어(44)는 보빈(2)의 하부기어(22)와 다시 이격되는 상태가 되고, 상기 가압편(9)의 걸림부(91)는 상부 케이스(10)에 접촉되어 걸리게 되면서 돌출부(90)가 상부 케이스(10) 상부로 노출되는 상태가 된다.At this time, the
따라서, 줄자(3)를 풀어주는 과정에서는 인출되는 줄자(3)에 의해 회전하는 보빈(2)의 회전력이 핸들(6)로 전달되지 않게 되어, 보빈(2)이 회전하더라도 핸들(6)이 회전하지 않게 됨으로써 줄자를 들고 있는 사용자의 손에 핸들(6)이 부딪치지 않게 되고, 반대로 줄자(3)를 감아주는 과정에서는 핸들(6)의 회전력이 디스크(4)를 통해 보빈(2)으로 전달되어, 상기 핸들(6)과 함께 보빈(2)이 회전하며 줄자(3)를 감아줄 수 있게 된다.Therefore, in the process of releasing the
여기서 줄자를 권취하기 위하여 핸들(6)이 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가압편(9)을 누르게 될 때에, 핸들(6)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돌기(602, 602a)가 회전체(5)의 돌출부(54, 54a)에 형성되어 있는 요입홈(57, 57a)에 수용되면서, 경사돌출면(58, 58a)에 안내된 다음 바닥면이 회전체(5)의 핸들 안착공(55) 상부면에 접촉하여 회전이 정지되는 시점에서 삽입홈(59, 59a)에 도달하게 된다. The fixing
이때, 제1탄성부재(8)의 탄성부(81, 81a)가 고정축(7)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고정축(7)은 핸들(6)의 슬라이딩 홀(600)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핸들(6)이 도면에서 우측방향으로 이동하여 고정돌기(602, 602a)가 삽입홈(59, 59a)에 삽입된다.Since the
따라서, 고정돌기(602, 602a)가 삽입홈(59, 59a)에 삽입된 상태를 해제시키기 전에는 핸들(6)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게 되므로, 가압편(9)이 클러치 스프링(23)을 압축시켜서 보빈(2)의 하부기어(22)와 디스크(4)의 상부기어(44)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핸들(6)이 가압편(9)을 계속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핸들(6)을 회전시키며 줄자(3)를 권취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이러한 상태는 줄자(3)를 보빈(2)에 권취할 때 뿐만이 아니라. 줄자를 운반하거나 이동할 때에 핸들(6)이 임의로 회전할 수 없도록 고정할 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This state is not only when the
이후, 핸들(6)을 도면에서 왼쪽으로 밀어서 이동시키면, 상기 핸들(6)이 슬라이딩 홀(600)에 의하여 고정축(7)에 안내되어 슬라이딩 이동을 하게 되므로, 상기 삽입홈(59, 59a)에서 고정돌기(602, 602a)가 분리되게 된다.When the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제2탄성부재(8a)가 회전체(5)에 설치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Fig. 8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n example in which the second
이 도면을 참조하면, 제2탄성부재(8a)의 지지부(80a)는 회전체(5)에 지지되고, 탄성부(81b, 81c)는 핸들(6)의 일측을 항상 밀어주게 되어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같은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The support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관련된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된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relate to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various equivalents, Examples should be understood.
따라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의 균등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한 실시 예가 있을 수 있다.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 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There may be embodiments in which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1 : 케이스 2 : 보빈
3 : 줄자 4 : 디스크
5 : 회전체 6 : 핸들
7 : 고정축 8 : 제1탄성부재
8a : 제2탄성부재 9 : 가압편
10 : 상부케이스 11 : 하부 케이스
12 : 손잡이 13 : 가드
20 : 축공 21 : 공간
22 : 하부기어 23 : 클러치 스프링
40 : 축공 41 : 평면부
42 : 하부기어 50 : 고정축
51 : 평면부 52 : 고정공
53 : 평면부 54, 54a : 돌출부
55 : 핸들 안착공간 56, 56a : 축공
57, 57a : 요입홈 58, 58a : 경사돌출편
60 : 고정단부 61 : 회전단부
80, 80a : 지지부 81, 81a, 81b, 81c : 탄성부
90 돌출부 91 : 걸림부
600 : 슬라이딩 홀 601 : 탄성부재 삽입홈
602, 602a : 고정돌기 100, 110 : 통공
101 : 슬라이딩 홀1: Case 2: Bobbin
3: tape measure 4: disk
5: Rotor 6: Handle
7: fixed shaft 8: first elastic member
8a: second elastic member 9: pressing piece
10: upper case 11: lower case
12: Handle 13: Guard
20: Bayonet 21: Space
22: lower gear 23: clutch spring
40: shaft hole 41:
42: lower gear 50: fixed shaft
51: flat portion 52: fixed hole
53:
55: Handle seating
57, 57a:
60: fixed end 61: rotating end
80, 80a:
90 protrusion 91:
600: Sliding hole 601: Elastic member insertion groove
602, 602a: fixing
101: Sliding hole
Claims (9)
인출된 줄자(3)를 연속적으로 권취하기 위하여 핸들(6)이 보빈(2)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속한 상태를 유지시키고, 또한 상기 핸들(6)이 보빈(2)을 구속한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서,
상기 핸들(6)이 줄자(3)를 권취할 수 있도록 위치되는 시점에서 상기 고정축(7)의 축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핸들(6)을 상기 고정축(7)의 축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축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핸들(6)이 상기 고정축(7)에 의해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핸들(6)은,
일측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홀(600)에 상기 고정축(7)이 삽입되어 고정축(7)의 축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핸들(6)이 축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쪽 단부는 상기 핸들(6)에 지지되고, 다른쪽 단부는 상기 고정축(7)에 지지되는 제1탄성부재(8)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축(7)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핸들(6)의 측면에 형성되는 고정돌기(602, 602a)와, 상기 고정돌기(602, 602a)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체(5)에 형성되는 삽입홈(59, 59a)을 포함하는 핸들 역회전 방지기능이 구비된 줄자를 권취하기 위한 핸들 고정 장치.
A bobbin 2 which is loc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upper case 10 and the lower case 11 and has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n which the tape measure 3 is wound and a bobbin 2 rotatably fixed to one side of the upper case 10, And a handle 6 rotatably fixed to the rotary body 5 by a fixing shaft 7 and rotating the rotary body 5,
The state in which the handle 6 is restrained to rotate the bobbin 2 in order to continuously wind the drawn tape measure 3 is maintained and the state in which the handle 6 restrains the bobbin 2 is released As a possible means,
The handle 6 is provided so as to be slidable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xed shaft 7 at a time point when the tape measure 3 is positioned so as to be able to wind the tape measure 3,
Moving means for slidably moving the handle (6)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xed shaft (7);
And fixing means for restricting rotation of the handle (6) moving in the direction intersecting the axial direction by the moving means by the fixed shaft (7)
The handle (6)
The fixed shaft 7 is inserted into a sliding hole 600 formed at one side and is fixed so as to be slidable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xed shaft 7,
Wherein,
One end of the handle 6 is supported by the handle 6 so that the handle 6 can move in the direction intersecting the axial direc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handle 6 is supported by the fixing shaft 7 In addition,
Wherein,
Fixing protrusions 602 and 602a formed on the side of the handle 6 rotating around the fixed shaft 7 and fixing protrusions 602 and 602a formed on the rotator 5 so that the fixing protrusions 602 and 602a can be inserted thereinto. And the handle (59, 59a)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59, 59a).
인출된 줄자(3)를 연속적으로 권취하기 위하여 핸들(6)이 보빈(2)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속한 상태를 유지시키고, 또한 상기 핸들(6)이 보빈(2)을 구속한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서,
상기 핸들(6)이 줄자(3)를 권취할 수 있도록 위치되는 시점에서 상기 고정축(7)의 축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핸들(6)을 상기 고정축(7)의 축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축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핸들(6)이 상기 고정축(7)에 의해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핸들(6)은,
일측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홀(600)에 상기 고정축(7)이 삽입되어 고정축(7)의 축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핸들(6)이 축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쪽 단부는 상기 회전체(5)에 지지되고, 다른쪽 단부는 상기 핸들(6)에 지지되는 제2탄성부재(8a)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축(7)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핸들(6)의 측면에 형성되는 고정돌기(602, 602a)와, 상기 고정돌기(602, 602a)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체(5)에 형성되는 삽입홈(59, 59a)을 포함하는 핸들 역회전 방지기능이 구비된 줄자를 권취하기 위한 핸들 고정 장치.A bobbin 2 which is loc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upper case 10 and the lower case 11 and has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n which the tape measure 3 is wound and a bobbin 2 rotatably fixed to one side of the upper case 10, And a handle 6 rotatably fixed to the rotary body 5 by a fixing shaft 7 and rotating the rotary body 5,
The state in which the handle 6 is restrained to rotate the bobbin 2 in order to continuously wind the drawn tape measure 3 is maintained and the state in which the handle 6 restrains the bobbin 2 is released As a possible means,
The handle 6 is provided so as to be slidable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xed shaft 7 at a time point when the tape measure 3 is positioned so as to be able to wind the tape measure 3,
Moving means for slidably moving the handle (6)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xed shaft (7);
And fixing means for restricting rotation of the handle (6) moving in the direction intersecting the axial direction by the moving means by the fixed shaft (7)
The handle (6)
The fixed shaft 7 is inserted into a sliding hole 600 formed at one side and is fixed so as to be slidable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xed shaft 7,
Wherein,
One end portion is supported by the rotating body 5 and the other end portion is supported by the handle 6 so that the handle 6 can move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axial direction. In addition,
Wherein,
Fixing projections 602 and 602a formed on side surfaces of the handle 6 rotating around the fixed shaft 7 and fixing protrusions 602 and 602a formed on the rotating body 5 so that the fixing protrusions 602 and 602a can be inserted And the handle (59, 59a)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59, 59a).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4436A KR101782392B1 (en) | 2016-12-05 | 2016-12-05 | Handle fixing device for winding tape measure with reverse rotation prevention fun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4436A KR101782392B1 (en) | 2016-12-05 | 2016-12-05 | Handle fixing device for winding tape measure with reverse rotation prevention func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82392B1 true KR101782392B1 (en) | 2017-09-27 |
Family
ID=60036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64436A Expired - Fee Related KR101782392B1 (en) | 2016-12-05 | 2016-12-05 | Handle fixing device for winding tape measure with reverse rotation prevention func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82392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33150A (en) * | 2017-09-21 | 2019-03-29 | 주식회사 론앤론 | Handle fixing device for winding tape measure with reverse rotation prevention functio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79487Y1 (en) | 2002-03-26 | 2002-06-24 | 정석진 | measuring tape that high speed rolling reel is equiped |
-
2016
- 2016-12-05 KR KR1020160164436A patent/KR10178239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79487Y1 (en) | 2002-03-26 | 2002-06-24 | 정석진 | measuring tape that high speed rolling reel is equiped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33150A (en) * | 2017-09-21 | 2019-03-29 | 주식회사 론앤론 | Handle fixing device for winding tape measure with reverse rotation prevention function |
KR101977706B1 (en) * | 2017-09-21 | 2019-05-13 | 주식회사론앤론 | Handle fixing device for winding tape measure with reverse rotation prevention functio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782917B2 (en) | Disc brake for a tape measure | |
US8684390B1 (en) | Retractable tow strap apparatus | |
US9648805B2 (en) | Locking device, telescopic rod and mower comprising the locking device | |
US4856726A (en) | Tape measure | |
US20050098673A1 (en) | Cord taking-up and releasing device | |
US8646718B2 (en) | Flexible conduit storage device | |
EP2562510A2 (en) | Tape measure with self-regulating speed control mechanism | |
EP2784437B1 (en) | Retractable tape rule assembly locking system | |
US10230200B1 (en) | Cord retractor | |
KR101782392B1 (en) | Handle fixing device for winding tape measure with reverse rotation prevention function | |
KR101817922B1 (en) | Method for stopping tape of measuring tape | |
US8020311B2 (en) | Tape measures | |
US9926169B2 (en) | Universal winder | |
US3025608A (en) | Center locating device | |
KR101977706B1 (en) | Handle fixing device for winding tape measure with reverse rotation prevention function | |
US7147177B2 (en) | Cable reel | |
KR101476322B1 (en) | Tape Measure | |
US2451163A (en) | Implement anchor | |
GB2562240B (en) | A winding device | |
EP1454659A1 (en) | Reel for winding and unwinding a fire hose and the like | |
JPH0443762Y2 (en) | ||
JPS6243974Y2 (en) | ||
JP6227274B2 (en) | Single bearing reel | |
GB2418653A (en) | Lead tensioning and retraction device | |
US2493345A (en) | Combination measuring tape and penci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7010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0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5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9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9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