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1903B1 - A multipurpose trailer for carrying vehicle - Google Patents
A multipurpose trailer for carrying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81903B1 KR101781903B1 KR1020160063962A KR20160063962A KR101781903B1 KR 101781903 B1 KR101781903 B1 KR 101781903B1 KR 1020160063962 A KR1020160063962 A KR 1020160063962A KR 20160063962 A KR20160063962 A KR 20160063962A KR 101781903 B1 KR101781903 B1 KR 10178190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wheel
- frame
- brackets
- vehic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2918 Fraxinus excelsi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56 as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8 dipp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1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 B60P3/07—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for carrying road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 B60P3/07—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for carrying road vehicles
- B60P3/073—Vehicle retainers
- B60P3/075—Vehicle retainers for wheels, hubs, or axle shaf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02—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 B60S9/1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by fluid pressure
- B60S9/12—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by fluid pressure of telescopic typ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02—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 F16F9/0209—Telescopic
- F16F9/0218—Mono-tubular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운반용 다목적 트레일러에 관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차량을 적재하여 견인차량에 커플러(111)를 통해 연결되는 적재프레임(110)과, 이 적재프레임(110)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전륜(120) 및 후륜(121)에 인접하여 적재프레임(110)의 양측면에 고정설치되는 제1,2프레임고정브라켓트(130,140)와, 상기 제1,2프레임고정브라켓트(130,140)와 서로 대향되게 마주보고 배치되어 제1,2힌지축(132,142)으로 상호 연결됨과 동시에 일측 단부(131a,141a)가 전륜(120) 및 후륜(121)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제1,2회전축(133,143)을 매개로 연결 지지되는 제1,2바퀴연결브라켓트(131,141)와, 상기 제1,2프레임고정브라켓트(130,140)와 제1,2바퀴연결브라켓트(131,141)가 전륜(120) 및 후륜(121)을 가운데 두고 제1,2힌지축(132,142)으로 연결되어 쌍을 이룬 상태에서 제1,2힌지축(132,142)의 상부쪽 제1,2프레임고정브라켓트(130,140)와 제1,2바퀴연결브라켓트(131,141)가 서로 마주보는 내주면 사이에 면접촉 상태로 결합되어 압축공기의 유출입에 따라 팽창 및 수축이 가능한 한 쌍의 에어튜브(150a과150b, 160a과160b)를 갖춘 벨로우즈형 에어스프링(150,160)과, 상기 벨로우즈형 에어스프링(150,160)에 압축공기를 주입 및 배출할 수 있는 에어공급시스템(170)을 포함하는 차량 운반용 다목적 트레일러(100)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trailer for transporting vehicles, which comprises a stacking frame (110) connected to a towing vehicle via a coupler (111) with a vehicle mounted thereon, a front wheel (110)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stacking frame First and second frame fixing brackets 130 and 140 fixed to both sides of the loading frame 110 adjacent to the first and second frame fixing brackets 120 and 121 and the rear wheel 121, And the first and second hinge shafts 132 and 14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end portions 131a and 141a are rotatably connected to the front wheel 120 and the rear wheel 121 via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shafts 133 and 143 The first and second wheel connecting brackets 131 and 141 and the first and second frame fixing brackets 130 and 140 and the first and second wheel connecting brackets 131 and 141 are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front wheel 120 and the rear wheel 121, The first and second hinge shafts 132 and 14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first and second hinge shafts 132 and 142, A pair of air tubes 150a and 150b which are coupled in a surface contact state between the two frame fixing brackets 130 and 14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wheel connecting brackets 131 and 141 facing each other and which can expand and contract as the compressed air flows in and out. And an air supply system 170 capable of injecting and discharging compressed air to and from the bellows-type air springs 150 and 160. The bellows-type air springs 150 and 160 are installed in the bellows-type air springs 150 and 160, 100).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 운반용 다목적 트레일러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운반 및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트레일러의 적재프레임 승하강 작동을 에어공급시스템을 이용하여 압축공기의 유출입에 따라 팽창 및 수축하는 다수의 벨로우즈형 에어스프링으로 구현함으로써, 적재프레임의 승하강 시 벨로우즈형 에어스프링에 의한 부드럽고 원활한 승하강 작동이 가능하도록 구현한 차량 운반용 다목적 트레일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trailer for vehicle transport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purpose trailer for vehicle transportation and a multipurpose trailer which can be used for multipurpose us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trailer for inflating and deflat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trailer for vehicle transportation, which is realized by a bellows-type air spring, which enables a smooth and smooth upward / downward movement by a bellows-type air spring when raising and lowering a stacking frame.
일반적으로 차량을 소정의 장소로 이송시키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으며, 이러한 방법 중에 차량을 탁송하는 사람이 차량을 직접 운전하여서 소정의 장소로 탁송시키는 인(人) 탁송 방법이 있으며, 두 번째는 차량을 카 캐리어 등에 적재하여서 이송시킬 수 있는 장비 탁송 등이 있다.In general, there are various methods for transporting the vehicle to a predetermined place. Among these methods, there is a person consignment method in which a person who consigns the vehicle directly operates the vehicle and sends it to a predetermined place. Which can be transported by being loaded on a car carrier or the like.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38605호(2001.10.10. 공고)에는 견인 차량에 연결되어 피견인 차량을 견인하거나 차량을 안전하게 운반하도록 하는 견인 차량용 트레일러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238605 (Oct. 10, 2001), a technique related to a trailer for a traction vehicle connected to a towing vehicle to tow a trailed vehicle or to safely carry a vehicle is disclosed.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250723호(2000.4.1. 공고),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17885호(2001.3.15. 공고), 등록특허공보 제0511842호(2005.9.2. 공고) 및 공개특허공보 제2012-0136032호(2012.12.18. 공개) 등에는 카 캐리어와 관련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there are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0250723 (issued on April 1, 2000), Registered Utility Model No.0217885 (issued on March 15, 2001),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0511842 (issued September 2, 2005) 2012-0136032 (Dec. 18, 2012) discloses technologies related to car carriers.
여기서, 상기 등록특허공보 제0250723호에 개시된 기술은, 적재대가 형성된 차체 프레임의 후단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연결발판을 설치하고, 상기 연결발판에 선택적으로 착탈되어 지면으로부터 자동차의 진입을 유도하는 보조발판을 결합하며, 상기 연결발판의 단부에는 지면에 닿아 지탱하는 받침다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 로딩램프의 구성을 개시(開示)하고 있다. The technique disclosed in the above-mentioned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0250723 is characterized in that a connecting footrest which is rotatably fixed to the rear end of a car body frame on which a loading bar is formed is provided and an auxiliary A loading ramp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connecting footrest and rotatably connected to a supporting leg supported by the floor.
그러나, 상기 연결발판에 보조발판을 착탈식으로 결합한 후 이들의 연견부분에 지면에 닿는 별도의 받침다리를 설치하여야 함으로써 차량의 적재 시 작업자가 많은 작업을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However,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at a worker must perform a lot of work at the time of loading the vehicle by attaching an auxiliary footrest to the connection footrest detachably and then attaching a separate foot leg touching the ground at the joint portions thereof.
그리고, 상기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17885호에 개시된 기술은, 적재대가 형성되는 하부틀의 후방에 실린더의 작동에 의하여 출몰되는 연결발판을 구성하고, 상기 연결발판의 단부에 보조발판을 힌지로 결합하여 평상시 보조발판을 입상상태로 접은 상태로 유지하고, 차량을 적재 시에는 보조발판이 지면에 닿을 수 있도록 힌지 결합된 보조발판을 펼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technique disclosed in the above-mentioned Registration Practical Utility Model No. 0217885 constitutes a connecting footrest which is projected and withdrawn by the operation of a cylinder at the rear of a lower frame in which a loading bar is formed, and an auxiliary footrest is hinged to the end of the connecting footrest The auxiliary footrests are normally folded in a state of being in a standing state and the auxiliary footrests can be hinged to the ground when the vehicle is loaded.
그러나, 상기 카 캐리어의 로딩램프는 보조발판을 연결발판의 단부에서 입상상태로 보관하여야 함으로써 장축의 차량을 카 캐리어에 적재하는 경우 적재공간이 협소하여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보조발판을 실린더의 구종에 의해 입상시키므로 그 구조가 복잡한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loading lamp of the car carrier has a problem in that when the long-axis vehicle is loaded on the car carrier, the loading space is narrowed because the auxiliary footrest is to be stored in a granular state at the end of the connecting footres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because it is put up by the old type.
또한, 상기 등록특허공보 제0511842호에 개시된 기술은, 차체의 적재대인 하부프레임의 후단에 승차대가 출몰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승차대의 단부에는 지면에 닿는 보조발판이 배치되어 지상으로부터 상기 하부 프레임의 적대재에 차량을 적재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In addition, in the technique disclosed in the above-mentioned Patent Publication No. 0511842, a riding stand is installed to project and retract to the rear end of a lower frame as a loader of a vehicle body, and an auxiliary staging plate touching the ground is disposed at an end of the riding stand, So that the vehicle can be loaded on the ashes.
그러나, 상기와 같이 개시된 카 캐리어의 로딩램프는 차체의 하부 프레임의 후단으로부터 출몰되는 승차대의 단부에 보조발판을 수작업에 의해 걸어서 사용하는 것으로, 작업자가 별도로 보관된 보조발판을 옮겨서 설치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However, the loading lamp of the car carrier disclosed above is used by manually hitching an auxiliary foot on the end of a ride-on carriage which is projected from the rear end of the lower frame of the vehicle body, and it is inconvenient for the operator to move the auxiliary footrest separately stored .
이처럼, 상기 문헌들에 개시된 모든 카 캐리어의 로딩램프들은 차체의 적재대의 후단에 연결발판을 모두 구비하고 있으나, 연결발판의 하향 경사각이 고정된 구조를 갖는다.As described above, all the loading lamps of the car carriers disclosed in the above documents are provided with a connecting pedestal at the rear end of the pedestal of the car body, but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downward inclination angle of the pedestal is fixed.
따라서, 상기 문헌들에 기재된 로딩램프들은 지면과 상기 차체의 적재대간의 높이에 따라 길이가 긴 보조발판을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고, 연결발판의 하양 경사각을 매우 크게 하는 경우 연결발판이 안전운행을 저해하는 문제가 있었다.Therefore, the loading lamps described in the above documents have a problem that an auxiliary footrest having a long length is required to be installed according to the height between the ground and the loading area of the vehicle body. When the bottom inclination angle of the footrest is made very large, There was a problem that inhibited.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상기한 공개특허공보 제2012-0136032호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자체의 후방으로부터 출몰되는 슬라이딩 램프(sliding ramp)의 출몰 각도를 슬라이딩 길이에 따라 가변하고, 그 단부에 힌지에 의해 결합되어 회동되는 보조램프를 결합하여 차량을 보다 안전하게 적재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카 캐리어의 로딩램프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n the above-mentione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1-0136032, as shown in Figs. 1 and 2, an appearance angle of a sliding ram, which is projected from the rear of the vehicle itself, Discloses a technique relating to a loading lamp of a car carrier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varying along with an auxiliary ramp which is coupled and rotated by a hinge at its end to allow a vehicle to be loaded more safely.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카 캐리어(1)는 차체 프레임(12)의 상부에 적재대(14)가 형성되며, 상기 적재대(14)의 앞부분의 좌우측과 뒷부분의 좌우측에는 전방승강장치(16)와 후방승강장치(18)가 설치되어 있다.1 and 2, the
이때, 상기 전방승강장치(16)와 후방승강장치(18)의 상부에는 상부 적재대(14)가 설치되어 승하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upper stacking table 14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front
그리고, 카 캐리어 적재대의 로딩램프(20)는, 일정 영역에 상향 경사로와 하향 경사로를 갖는 경사홈부가 형성된 가이드레일(32)을 갖고, 카 캐리어(1)의 차체 프레임(12) 후단부에 결합된 램프프레임(30)과, 상기 램프프레임(30)의 가이드레일(32)에 삽입 설치되며, 푸시풀 동력에 의해 차체 프레임(12)의 내부로 슬라이딩되어 지되, 상기 하향 경사로에 의하여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거나 상향 경사로에 의하여 본래 위치로 복귀하는 슬라이더(40)와, 상기 차체 프레임(12)에 본체가 상하 회동케 결합되고, 상기 본체로부터 출몰되는 피스톤의 단부는 슬라이더(40)의 단부에 힌지 결합된 실린더(60)를 가지고, 상기 슬라이더(40)를 출몰시키는 슬라이더 구동기와, 상기 슬라이더(40)의 단부에 힌지로 결합되어 슬라이더(40)에 접철되거나 그로부터 펼쳐져 그 단부가 지면에 닿는 서브램프(5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The
여기서, 상기 슬라이더 구동기는 차체 프레임(12)에 결합된 실린더고정부와, 상기 실린더고정부에 결합되어 힌지축을 기준으로 상하 회동되는 회동결합기와, 상기 회동결합기에 본체가 고정 결합되고 그 내부로부터 출몰되는 피스톤의 단부가 슬라이더(40)의 단부에 힌지 결합된 실린더(60)로 구성되어 있다.Here, the slider actuator includes a cylinder fixing unit coupled to the
이때, 상기 슬라이더(40)는, 몸통은 직선으로 형성된 출물프레임(41)들이 상기 가이드레일(32)에 삽입되어 그 내부의 가이드면을 따라 출몰되는 출몰프레임(41)들과, 상기 출몰프레임(41)들의 대향면의 상부에 설치되어 승차될 차량의 바퀴가 닿도록 된 플레이트(42)와, 상기 출몰프레임(41)들의 단부들을 고정 결합하는 단부프레임(44) 및 상기 단부프레임(44)의 양측 저면에 부착된 구름롤러(66)로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slider (40) comprises a protruding frame (41) in which the exit frames (41) formed in a straight line are inserted into the guide rail (32) A
상기 슬라이더(40)는 램프프레임(30)의 내부에 대향면이 개구되어 결합된 가이드레일(32)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되는 출몰프레임(41)의 단부 아랫부분에 결합된 구름롤러(66)가 결합되어 있다.The
이 외에도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729802호(2007.6.19. 공고), 공개특허공보 제2013-0054877호(2013.5.27. 공개)에 다양한 형태의 카 캐리어와 관련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various types of car carrier related technologies are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0729802 (published on June 19, 2007) and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3-0054877 (published on February 27, 2013).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839897호(2008.6.20. 공고)에는 적재가 용이한 트레일러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839897 (published on June 20, 2008) discloses a technique relating to a trailer that is easy to load.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록특허공보 제0839897호에 개시된 적재가 용이한 트레일러는, 전방에 소정의 견인차량(미도시)의 커플러에 연결되는 커플러(11)가 구비된 차대(10)와, 상기 차대(10)에 설치된 바퀴(20)와, 화물이 적재되도록 상기 차대(10)의 상부에 설치된 적재칸(30)을 포함하여 구성된 트레일러에 있어서, 상기 적재칸(30)이 회동 가능하게 차대(10)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적재칸(30)은 차대(10)에 구비된 폭방향의 회동축(33)에 연결되어 후단부가 지면에 내려지고 그 지면으로부터 들려지는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차대(1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적재칸(30)을 회동시키기 위한 회동구동수단(40)이 더 포함되며, 상기 적재칸(30)의 후단부 말단에는 적재칸(30)의 후단부 말단에 세워지고 후방으로 펼쳐지는 도어(34)가 설치되고, 상기 적재칸(30)의 회동 속도를 완충시키기 위한 댐퍼(4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at is,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trailer easy to load as disclosed in the above-mentioned JP 0839897 has a
이때, 상기 차대(10)는 트레일러의 뼈대를 구성하는 구성으로, 상기 바퀴(20)에 의해 지지되어 소정의 견인차량(미도시)에 연결되어 견인되고, 견인차량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는 전방에 구비된 받침다리(12)에 의해 지지된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상기 적재칸(30)은 프레임(31)과 그 프레임(31)의 내부에서 바닥을 형성하도록 프레임(31)의 내부에 설치된 바닥판(32)으로 구성되어 상부에 오토바이 등과 같은 화물이 적재되기 위한 것이다.The
또한, 상기 회전구동수단(40)인 윈치는 드럼(41)과, 그 드럼(41)을 수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42) 및 상기 드럼(41)에 감기게 일단은 상기 드럼(41)에 연결되고 상기 적재칸(30)을 그 후단부가 들려지는 방향으로 회동되게 당기도록 타단은 적재칸(30)의 전단부에 연결된 케이블(43) 및 케이블(43)을 지지되어 방향이 전환시키도록 차대(10)에 설치된 도르레(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winch which is the rotation driving means 40 includes a
상기와 같이 구성된 회전구동수단(40)인 윈치는 케이블(43)이 감기면서 적재칸(30)의 후단부가 들려지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모멘트를 가하게 된다.The winch, which is the rotation driving means 40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applies a moment to rotate the
상기 댐퍼(50)는 적재칸(30)이 회동되는 경우에 적재칸(30)의 자중 및 그 상부에 실린 화물의 무게로 인하여 적재칸(30)이 급격히 회전되는 것을 완충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댐퍼(50)의 일단은 차대(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적재칸(30)에 연결된 댐핑실린더로 구성되어 있다.The
이처럼, 종래 차량을 적재할 수 있는 트레일러는, 댐핑실린더로 구성된 댐퍼(50)를 갖춤으로써, 차량 적재를 위해 프레임(30)을 경사지게 들어올리는 방식을 채택하는 것이 보편적이었고, 종래 기술에 따른 대부분의 카 캐리어는 차량을 적재할 수 있도록 보조발판이나 경사판과 같이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지면에 맞닿을 수 있는 수단을 갖추고 있었다.As such, the conventional vehicle-mounted trailer has a
이에 본 발명은 종래 알려진 차량 운반용 카 캐리어에서 차량 탑재를 위해 보조발판이나 경사판과 같이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지면에 맞닿을 수 있는 수단을 갖추는 방식이 아닌 차량을 적재하는 적재프레임 자체가 하강하여 지면에 맞닿도록 하는 새로운 방식의 차량 운반용 트레일러를 제공하고자 연구 개발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carrier for carrying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carrier for carrying a vehicle, which does not have a means for abutting against the ground by the operation of a hydraulic cylinder such as an auxiliary footrest or a swash plate for mounting the vehicle, To thereby provide a vehicle carrying trailer of a new type.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운반 및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트레일러의 적재프레임 승하강 작동을 구현함에 있어서, 에어공급시스템을 이용하여 압축공기의 유출입에 따라 팽창 및 수축하는 벨로우즈형 에어스프링을 적재프레임과 연동되도록 구현함으로써, 적재프레임의 승하강 시 벨로우즈형 에어스프링에 의한 부드럽고 원활한 승하강 작동이 가능하도록 구현한 차량 운반용 다목적 트레일러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Tha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ellows-type air spring for inflating and deflating the inflated and deflated air according to inflow and outflow of compressed air by using an air supply system, So that smooth and smooth upward / downward movement of the bellows type air spring can be achieved when the loading frame is moved up and dow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견인차량에 커플러를 통해 연결되고 차량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프레임과, 상기 적재프레임의 양측면에 설치되어 운행할 수 있는 복수의 전륜 및 후륜을 갖춘 차량 운반용 트레일러에 있어서, 상기 전륜 및 후륜에 인접하여 적재프레임의 양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복수개의 제1,2프레임고정브라켓트와, 상기 복수개의 제1,2프레임고정브라켓트와 서로 대향되게 마주보고 배치되어 제1,2힌지축으로 상호 연결됨과 동시에 일측 단부가 전륜 및 후륜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제1,2회전축을 매개로 연결 지지되는 복수개의 제1,2바퀴연결브라켓트와, 상기 제1,2프레임고정브라켓트와 제1,2바퀴연결브라켓트가 전륜 및 후륜을 가운데 두고 제1,2힌지축으로 연결되어 하나씩 쌍을 이룬 상태에서 제1,2힌지축의 상부쪽 제1,2프레임고정브라켓트와 제1,2바퀴연결브라켓트가 서로 마주보는 내주면 사이에 면접촉 상태로 결합되어 압축공기의 유출입에 따라 팽창 및 수축이 가능한 한 쌍의 에어튜브를 갖춘 벨로우즈형 에어스프링과, 상기 벨로우즈형 에어스프링에 압축공기를 주입 및 배출할 수 있는 에어공급시스템을 포함하는 차량 운반용 다목적 트레일러를 제공함에 그 특징을 갖는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hicle including a loading frame connected to a towing vehicle through a coupler and capable of loading a vehicle, and a vehicle having a plurality of front and rear wheel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loading frame, A trailer according to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에어공급시스템은 전륜측 벨로우즈형 에어스프링과 후륜측 벨로우즈형 에어스프링의 팽창 및 수축을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supply system may be configured to independently control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front wheel side bellows type air spring and the rear wheel side bellows type air spring, respectively.
이때, 상기 에어공급시스템은 적재프레임의 선단 부위에 마련된 장치박스 내에 설치되어 에어배관을 통해 전륜 및 후륜 측에 각각 설치된 벨로우즈형 에어스프링에 압축공기를 유 출입시킬 수 있도록 공기를 압축하여 공급 및 배출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에어콤프레샤와, 에어콤프레샤로부터 압축된 공기를 저장하는 에어탱크와, 상기 에어탱크와 벨로우즈형 에어스프링 사이를 연결하는 에어배관 상에서 압축공기의 유출입을 제어하기 위해 마련된 솔레노이드밸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air supply system is provided in a device box provided at a front end portion of a stacking frame, and compresses air to supply and discharge compressed air to and from the bellows-shaped air spring provided on the front and rear wheels through an air pipe, A solenoid valve provided to control the inflow and outflow of compressed air on the air pipe connecting between the air tank and the bellows-type air spring, and a solenoid valve .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벨로우즈형 에어스프링의 하방에는 제1,2프레임고정브라켓트와 제1,2바퀴연결브라켓트 사이를 연결하는 제1,2텐션축이 구비되고, 상기 제1,2텐션축은 일단이 제1,2프레임고정브라켓트의 내주면을 관통하여 후단부위에 각각 구비된 제1,2고정축 상에 직각되는 상태로 각각 연결 고정됨과 동시에, 타단이 제1,2바퀴연결브라켓트의 내주면 일측에 관통된 상태로 별도의 결합구로 조여져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tensioning shafts for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frame fixing brackets and the first and second wheel connecting brackets are provided below the bellows-type air spring, The shaft is connected and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fixed brackets through a first end of the first and second frame fixing brackets, It is preferable to tighten the coupling member into a separate coupling hole in a state where it is penetrated at one side.
또, 상기 적재프레임의 선단 부위에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받침다리와 이 받침다리에 연결된 캐스터형 바퀴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stacking frame further includes a support leg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and a caster-type wheel connected to the support leg.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운반용 트레일러에서 차량을 탑재할 수 있는 적재프레임을 승하강시키는 작동을 구현함에 있어서, 에어공급시스템을 이용하여 압축공기의 유출입에 따라 팽창 및 수축하는 다수의 벨로우즈형 에어스프링의 작동으로 적재프레임 후방의 탑재램프 부위가 지면에 맞닿도록 하강시키거나 지면으로부터 승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적재프레임의 승하강 시 벨로우즈형 에어스프링에 의한 부드럽고 원활한 승하강 작동이 가능한 트레일러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implementing the operation of raising and lowering a stacking frame capable of mounting a vehicle in a vehicle transporting trailer, a plurality of bellows-type air springs that expand and contract according to the inflow and outflow of compressed air by using the air supply system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railer capable of smoothly moving up and down by a bellows-type air spring when raising and lowering the stacking frame .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륜측 벨로우즈형 에어스프링과 후륜측 벨로우즈형 에어스프링의 팽창 및 수축을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에어공급시스템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고, 차량 운반용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특정 화물을 운반하는 다목적의 트레일러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supply system can be variously configured to independently control inflation and deflation of the front-wheel-side bellows-type air spring and the rear-wheel-side bellows-type air spring, and can be used for vehicle transportation Of course, it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used as a multipurpose trailer to carry a specific cargo.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카 캐리어 적재대의 로딩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로딩램프의 작동 전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적재가 용이한 트레일러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종래 기술에 다른 도 3에 도시된 적재가 용이한 트레일러의 작동을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운반용 다목적 트레일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운반용 다목적 트레일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운반용 다목적 트레일러에 적용되는 에어공급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운반용 다목적 트레일러의 벨로우즈형 에어스프링에 압축공기가 주입되어 적재프레임이 상승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운반용 다목적 트레일러의 벨로우즈형 에어스프링에서 압축공기가 배출되어 적재프레임이 하강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운반용 카 캐리어에서 장치박스내 에어공급시스템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실물사진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운반용 다목적 트레일러에서 차량 적재를 위해 적재프레임이 지면쪽으로 하강한 상태를 보여주는 실물사진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운반용 다목적 트레일러에서 적재프레임이 지면으로부터 상승한 상태를 보여주는 실물 사진 도면.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loading lamp of a car carrier stand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state before the operation of the loading lamp shown in FIG. 1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3 is a side view showing a trailer which is easy to load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4 is a side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trailer which is easy to load shown in Fig. 3 different from the prior art; Fig.
5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multi-purpose trailer for vehicle transpor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multi-purpose trailer for vehicle transpor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air supply system applied to a multi-purpose trailer for vehicle transpor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artial stat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compressed air is injected into a bellows-shaped air spring of a multipurpose trailer for carrying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loading frame is elevated.
9 is a partial stat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compressed air is discharged from a bellows-shaped air spring of a multi-purpose trailer for vehicle transpor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loading frame is lowered.
FIG. 10 is a physical photo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ir supply system in a device box is installed in a car carrier for carrying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1 is a physical photo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ading frame is lowered toward the ground for vehicle loading in the vehicle trailer multi-purpose tra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physical photo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acking frame is lifted from the ground in the multi-purpose trailer for transporting veh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될 수 있으며, 도면에 병기된 도면부호에 따라 부여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In order to explain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may be exaggerated or omit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Terms to be given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운반용 트레일러(100)는, 다수의 벨로우즈형 에어스프링(150,160)의 작동으로 적재프레임(110)을 지면(200)으로부터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5 to 7, the vehicle-carrying
즉,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운반용 트레일러(100)는, 차량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프레임(110)과, 상기 적재프레임(110)을 지지하면서 이동할 수 있는 복수의 전륜(120) 및 후륜(121)과, 상기 적재프레임(110)과 전륜(120) 및 후륜(121) 사이에서 복수개의 제1,2프레임고정브라켓트(130,140)와 제1,2바퀴연결브라켓트(131,141)를 매개로 각각 설치된 다수의 벨로우즈형 에어스프링(150,160)과, 상기 벨로우즈형 에어스프링(150,160)에 공기를 제공 및 배출하기 위한 에어공급시스템(170)을 갖추고 있다.5 and 6, the
여기서, 상기 적재프레임(110)은 차량을 적재할 수 있는 길이와 폭을 갖고 있는 판상 구조의 철재 프레임으로써, 적재 차량 하중을 지탱할 수 있는 철재로 뼈대를 형성한 다음, 이 뼈대 위에 다공판으로 이루어진 철재 바닥판으로 덮은 형태를 취하고 있고, 상기 적재프레임(110)의 선단 중앙 부위에서 돌출 형성된 뼈대 상에는 견인차량과 연결할 수 있는 커플러(111)가 마련되고, 적재프레임(110)의 후단 부위에는 차량이 밟고 통과할 수 있는 일체형 탑재램프(112)가 마련되어 있다.Here, the stacking
이처럼, 상기 적재프레임(110)은 트레일러(100)의 뼈대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적재프레임(110)의 양측변에 각각 배치되는 전륜(120) 및 후륜(121)에 의해 지지되어 도시되지 않은 견인차량에 커플러(111)를 통해 연결되어 견인되고, 견인차량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는 전방에 구비된 받침다리(181) 및 캐스터형 바퀴(180)에 의해 전방 선단 부위가 지지된다.The stacking
이때, 상기 받침다리(181)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구성을 가지고 있어, 필요에 따라 받침다리(181)에 연결된 캐스터형 바퀴(180)를 항공기의 랜딩기어와 같이 들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상기 커플러(111)가 위치한 바로 뒤편 적재프레임(110)의 선단 부위에는 벨로우즈형 에어스프링(150,160)에 공기를 공급 및 배출시키기 위한 에어공급시스템(170)을 설치할 수 있는 장치박스(176)가 구비되어 있다.A
즉, 도 7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박스(176) 내에는 에어공급시스템(170)이 설치되는바, 상기 에어공급시스템(170)은 공기를 압축하여 공급 및 배출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에어콤프레샤(174)와, 에어콤프레샤(174)로부터 압축된 공기를 저장하는 에어탱크(171,172)와, 상기 에어탱크(171,172)와 벨로우즈형 에어스프링(150,160) 사이를 연결하는 에어배관(175) 상에서 압축공기의 유출입을 제어하기 위해 마련된 솔레노이드밸브(173)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7 and 10, an
상기 벨로우즈형 에어스프링(150,160)은 일명, 에어엑츄레이터라 불리는 것으로써, 압축공기실린더나 유압실린더 대신에 사용할 수 있는 압축공기로 작동하여 일정한 스트로크를 형성할 수 있는 장비이다.The bellows-type air springs 150 and 160 are so-called air actuators, and are equipment that can operate with compressed air that can be used instead of compressed air cylinders or hydraulic cylinders to form a constant stroke.
즉, 상기 벨로우즈형 에어스프링(150,160)은 한 쌍의 에어튜브(150a 및 150b, 160a 및 160b)가 서로 대칭되게 양쪽으로 연결 배치되어 압축공기주입구를 통해서 압축공기가 유출입 됨에 따라 팽창 및 수축하면서 일정한 스트로크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In other words, the bellows-type air springs 150 and 160 are configured such that a pair of
이러한 벨로우즈형 에어스프링(150,160)의 팽창 및 수축에 따른 스트로크를 이용하여 적재프레임(110)이 전륜(120) 및 후륜(121)을 중심으로 지면(200)에 대해서 승하강 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에 본 발명의 구성적 특징이 있다.The stacking
이를 위해,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운반용 카 캐리어(100)에는 벨로우즈형 에어스프링(150,160)을 구성하는 한 쌍의 에어튜브(150a 및 150b, 160a 및 160b)를 전후방으로 각각 지지하는 복수의 제1,2프레임고정브라켓트(130,140)와 제1,2바퀴연결브라켓트(131,141)를 구비하고 있다.5 to 9, a pair of
이때, 상기 복수의 제1,2프레임고정브라켓트(130,140)와 제1,2바퀴연결브라켓트(131,141)는 제1,2힌지축(132,142)을 매개로 각각 서로 마주보고 대향되게 연결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여기서, 상기 제1,2프레임고정브라켓트(130,140)는 벨로우즈형 에어스프링(150,160) 중 일측의 에어튜브(150a, 160a)가 면접촉 상태로 연결 고정된 상태에서 적재프레임(110)의 일측면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제1,2바퀴연결브라켓트(131,141)는 벨로우즈형 에어스프링(150,160) 중 타측의 에어튜브(150b,160b)가 면접촉 상태로 연결 고정된 상태에서 전륜(120) 및 후륜(121)에 연결 고정됨으로써 전륜(120) 및 후륜(121)을 지지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 first and second
즉, 상기 전륜(120)은 제1바퀴연결브라켓트(131)의 일측 단부(131a)에 회동 가능하게 제1회전축(133)으로 연결 고정되고, 상기 후륜(121)은 제2바퀴연결브라켓트(141)의 일측 단부(141a)에 회동 가능하게 제2회전축(143)으로 연결 고정된다.That is, the
또한, 상기 제1프레임고정브라켓트(130)는 적재프레임(110)의 일측면에 견고히 고정된 상태에서 전륜(120)에 연결 고정된 제1바퀴연결브라켓트(131)에 대향되게 서로 마주보고 배치되어 제1힌지축(132)을 중심으로 서로 연결 고정됨으로써, 상기 제1프레임고정브라켓트(130)와 제1바퀴연결브라켓트(131) 사이에 벨로우즈형 에어스프링(150)을 구성하는 한 쌍의 에어튜브(150a, 150b)가 각각 팽창 및 수축이 가능한 형태로 서로 대향되게 고정 배치되어 있다.The first
또, 상기 제2프레임고정브라켓트(140)는 적재프레임(110)의 일측면에 견고히 고정된 상태에서 후륜(121)에 연결 고정된 제2바퀴연결브라켓트(141)에 대향되게 서로 마주보고 배치되어 제2힌지축(142)을 중심으로 서로 연결 고정됨으로써, 상기 제2프레임고정브라켓트(140)와 제2바퀴연결브라켓트(141)사이에 벨로우즈형 에어스프링(160)을 구성하는 한 쌍의 에어튜브(160a,160b)가 각각 팽창 및 수축이 가능한 형태로 서로 대향되게 고정 배치되어 있다.The second
이때, 상기 제1바퀴연결브라켓트(131)는 전륜(120)의 전방에 위치하게 되고, 제2바퀴연결브라켓트(141)는 후륜(121)의 후방에 위치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first
따라서, 상기 제1,2프레임고정브라켓트(130,140)와 제1,2바퀴연결브라켓트(131,141)의 배치 관계를 살펴보면, 상기 제1,2바퀴연결브라켓트(131,141)가 전륜(120) 및 후륜(121)을 가운데 사이에 두고 제1,2프레임고정브라켓트(130,140)의 내측에 위치하면서 서로 대향되게 마주보고 하나의 쌍을 이루는 배치관계를 가지고 있고, 제1,2프레임고정브라켓트(130,140)와 제1,2바퀴연결브라켓트(131,141)는 적재프레임(110)의 양측면에서 전륜(120) 및 후륜(121)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The first and second
그리고, 상기 전륜(120)쪽 벨로우즈형 에어스프링(150)의 하방에는 제1프레임고정브라켓트(130)와 제1바퀴연결브라켓트(131) 사이를 연결하는 제1텐션축(134)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후륜(121)쪽 벨로우즈형 에어스프링(160)의 하방에는 제2프레임고정브라켓트(140)와 제1바퀴연결브라켓트(141) 사이를 연결하는 제2텐션축(144)이 구비되어 있다.A
이때, 상기 제1,2텐션축(134,144)은 일단이 제1,2프레임고정브라켓트(130,140)의 내주면을 관통하여 후단 부위에 각각 구비된 제1,2고정축(135,145) 상에 직각되는 상태로 각각 연결 고정됨과 동시에 타단이 제1,2바퀴연결브라켓트(131,141)의 내주면 일측에 관통된 상태로 별도의 결합구로 조여져 결합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and
또한, 상기 적재프레임(110)의 양측면에 각각 위치한 제2프레임고정브라켓트(140)에는 후방 쪽으로 표시등을 설치할 수 있게 수직하게 연결 고정된 표시등설치판(190)이 구비됨으로써, 카 캐리어(100) 이동시 뒤따르는 후방 차량에 운행 상태를 표시하여 안전 운행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The second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운반용 다목적 트레일러에서 차량 적재를 위한 적재프레임의 승하강 작동 상태를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raising and lowering the loading frame for vehicle loading in the multi-purpose trailer for vehicle transpor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일러(100)는, 적재프레임(110) 상에 설치된 에어공급시스템(170)을 통해서 압축공기를 유출입할 수 있는 벨로우즈형 에어스프링(150,160)을 사이에 두고 제1,2프레임고정브라켓트(130,140)와 제1,2바퀴연결브라켓트(131,141)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하나의 쌍을 이루면서 제1,2힌지축(132,142)을 매개로 상호 힌지회동 가능하게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제1,2바퀴연결브라켓트(131,141)의 일측 단부(131a, 141a)가 전륜(120) 및 후륜(121) 상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고정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제1,2프레임고정브라켓트(130,140)가 적재프레임(110)의 양측면에 각각 고정된 상태를 가지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일러(100)에 차량을 탑재에 이동시키고자 할 때, 먼저, 적재프레임(110)의 선단 부위에 위치한 커플러(111)를 이용하여 견인차량에 트레일러(100)의 적재프레임(110)을 연결함으로써, 견인차량에 의해 트레일러(100)가 견인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vehicle is to be mounted on the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적재프레임(110) 상에 차량을 탑재하기 위해 적재프레임(110)을 하강시켜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프레임(110) 후방의 탑재램프(112)쪽이 지면(200)에 맞닿을 수 있도록 한다.In this state, the mounting
이를 위해, 작업자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공급시스템(170)의 에어콤프레샤(174) 및 솔레노이드밸브(173)를 작동시켜 벨로우즈형 에어스프링(150,160)의 에어튜브(150a 및 150b, 160a 및 160b) 내부에서 압축공기를 빼내어 제1,2프레임고정브라켓트(130,140)와 제1,2바퀴연결브라켓트(131,141) 사이의 벨로우즈형 에어스프링(150,160)을 수축시킨다.To this end, the operator operates the
이렇게 벨로우즈형 에어스프링(150,160)이 수축됨에 따른 제1,2프레임고정브라켓트(130,140)와 제1,2바퀴연결브라켓트(131,141)사이에 가변되는 스트로크가 발생하게 된다.Thus, a variable stroke is genera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본 발명에서 벨로우즈형 에어스프링(150,160)의 수축은 벨로우즈형 에어스프링(150,160)의 팽창에 따른 팽창력으로 적재프레임(110)을 들어올려 일정 높이를 유지하여 지탱하는 힘(즉, 작용력)을 형성하고 있던 것을 해제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써, 적재프레임(110)을 들어올려 지탱하던 힘이 해제됨에 따라 적재프레임(110)은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자연스럽게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hrinkage of the bellows-type air springs 150 and 160 causes the stacking
즉, 상기 벨로우즈형 에어스프링(150,160)이 수축됨에 따라 제1,2프레임고정브라켓트(130,140)와 제1,2바퀴연결브라켓트(131,141)는 제1,2힌지축(132,142)을 중심으로 하강되는 방향으로 힌지회동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전륜(120) 및 후륜(121)에 각각 일측 단부(131a,141a)가 연결 고정된 제1,2바퀴연결브라켓트(131,141)는 전륜(120) 및 후륜(121)에 연결된 높이를 그대로 유지한 체, 제1,2프레임고정브라켓트(130,140)와 제1,2힌지축(132,142)을 중심으로 하향 연동되면서 전륜(120) 및 후륜(121)의 연결부위인 제1,2회전축(133,143)을 중심으로 약간씩 하향 회동하게 된다.That is, as the bellows-
그리고, 상기 벨로우즈형 에어스프링(150,160)의 수축에 따른 가변되는 스트로크만큼 제1,2프레임고정브라켓트(130,140)와 제1,2바퀴연결브라켓트(131,141)가 상호 연동되어 하강함에 따라 제1,2프레임고정브라켓트(130,140)에 연결 고정된 적재프레임(110)도 자연스럽게 하강하게 된다.As the first and second
이때, 상기 적재프레임(110) 후방의 탑재램프(112)가 지면(200)에 맞닿게 되면, 상기 벨로우즈형 에어스프링(150,160)의 수축을 정지시키게 된다.At this time, the shrinkage of the bellows-type air springs 150 and 160 is stopped when the mounting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적재프레임(110)이 하강하는 과정에서 적재프레임(110)의 선단 부위가 커플러(111)를 통해서 견인차량에 연결된 경우에는, 상기 적재프레임(110)의 선단은 견인차량에 연결된 일정 높이를 그대로 유지하게 됨에 따라 제1프레임고정브라켓트(130)와 제1바퀴연결브라켓트(131) 사이의 벨로우즈형 에어스프링(150)이 수축하여 가변 스트로크가 발생하더라도 가변된 스트로크만큼 제1프레임고정브라켓트(130)에 고정된 적재프레임(110) 부분은 충분히 하강하지 못하게 된다.Particularly, when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stacking
따라서, 상기와 같은 경우에는 적재프레임(110)의 선단과 적재프레임(110) 후방의 탑재램프(112) 사이에는 일정한 기울기가 형성된 상태에서 탑재램프(112)가 지면(200)에 맞닿게 될 수도 있다.Therefore, in the above case, the mounting
상기와 같이 적재프레임(110)의 하강으로 탑재램프(112)가 지면(112)에 맞닿게 되면, 운반용 차량을 적재프레임(110)의 탑재램프(112)를 통해서 이동시켜 적재프레임(110) 상에 탑재하게 된다.When the mounting
이때,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적재프레임(110) 상에 운반용 차량의 바퀴를 걸어서 고정할 수 있는 스토퍼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트레일러(100) 이동 시 적재프레임(110) 상에서 탑재 차량이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At this time, since the stopper means is provided on the
상기와 같이 적재프레임(110) 상에 운반용 차량이 탑재된 이후, 트레일러(100)를 이동시키기 위해 적재프레임(110)을 승강시키는 과정은 상기한 적재프레임(110)의 하강시키는 과정과 반대로 진행되게 된다.After the transport vehicle is mounted on the stacking
즉, 도 8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공급시스템(170)의 에어콤프레샤(174) 및 솔레노이드밸브(173)를 작동시켜 벨로우즈형 에어스프링(150,160)의 에어튜브(150a 및 150b, 160a 및 160b) 내부에서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제1,2프레임고정브라켓트(130,140)와 제1,2바퀴연결브라켓트(131,141) 사이의 벨로우즈형 에어스프링(150,160)을 팽창시키게 되면, 전술한 적재프레임(110)의 하강 작업과 반대로, 제1,2프레임고정브라켓트(130,140)와 제1,2바퀴연결브라켓트(131,141)사이가 벨로우즈형 에어스프링(150,160)의 팽창에 따라 벌어지면서 자연스럽게 제1,2힌지축(132,142)을 중심으로 상호 연동되면서 상향 이동하게 되고, 제1,2바퀴연결브라켓트(131,141)는 전륜(120) 및 후륜(121)의 연결부위인 제1,2회전축(133,143)을 중심으로 약간씩 상향 회동되게 된다.8 and 12, the
이때, 상기 제1,2프레임고정브라켓트(130,140)의 상향 이동에 따라 적재프레임(110)도 자연스럽게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stacking
한편, 본 발명에서는 에어공급시스템(170)을 통해서 전륜(120) 및 후륜(121) 쪽에 각각 설치된 벨로우즈형 에어스프링(150,160)에 압축공기를 공급 및 배출할 때, 하나의 솔레노이드밸브(173)를 통해 에어배관(175)이 적재프레임(110)의 양측면으로 분기된 상태로 구성함으로써, 하나의 솔레노이드밸브(173) 개폐를 통해 모든 벨로우즈형 에어스프링(150,160)의 작동을 동시에 제어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전륜(120)측 벨로우즈형 에어스프링(150)과 후륜(121)측 벨로우즈형 에어스프링(160)을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에어배관(175) 및 솔레노이드밸브(173)의 설치 갯수를 변경하여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supplying and discharging compressed air to the bellows-shaped air springs 150 and 160 provided on the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일러(100)는 차량 운반용으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 특정의 화물을 적재하여 운반하는 다목적의 트레일러로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Particularly,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가 있고,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가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is capable of various change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Accordingly, the above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by the limits of the following claims.
100 : 트레일러 110 : 적재프레임
111 : 커플러 112 : 탑재램프
120 : 전륜 121 : 후륜
130 : 제1프레임고정브라켓트 131 : 제1바퀴연결브라켓트
132 : 제1힌지축 133 : 제1회전축
134 : 제1텐션축 135 : 제1고정축
140 : 제2프레임고정브라켓트 141 : 제2바퀴연결브라켓트
142 : 제2힌지축 143 : 제2회전축
144 : 제2텐션축 145 : 제2고정축
150, 160 : 벨로우즈형 에어스프링 150a, 150b, 160a, 160b : 에어튜브
170 : 에어공급시스템 171, 172 : 에어탱크
173 : 솔레노이드밸브 174 : 에어콤프레샤
175 : 에어배관 176 : 장치박스
180 : 캐스터형 바퀴 181 : 받침다리
190 : 표시등설치판100: Trailer 110: Load frame
111: coupler 112: mounted lamp
120: front wheel 121: rear wheel
130: first frame fixing bracket 131: first wheel connecting bracket
132: first hinge shaft 133: first rotation shaft
134: first tension shaft 135: first fixing shaft
140: second frame fixing bracket 141: second wheel connecting bracket
142: second hinge shaft 143: second rotation shaft
144: second tension shaft 145: second fixing shaft
150, 160: bellows type
170:
173: Solenoid valve 174: Air compressor
175: Air piping 176: Device box
180: a casters-type wheel 181:
190: Light mounting plate
Claims (5)
상기 전륜(120) 및 후륜(121)에 인접하여 적재프레임(110)의 양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복수개의 제1,2프레임고정브라켓트(130,140)와,
상기 복수개의 제1,2프레임고정브라켓트(130,140)와 서로 대향되게 마주보고 배치되어 제1,2힌지축(132,142)으로 상호 연결됨과 동시에 일측 단부(131a,141a)가 전륜(120) 및 후륜(121)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제1,2회전축(133,143)을 매개로 연결 지지되는 복수개의 제1,2바퀴연결브라켓트(131,141)와,
상기 제1,2프레임고정브라켓트(130,140)와 제1,2바퀴연결브라켓트(131,141)가 전륜(120) 및 후륜(121)을 가운데 두고 제1,2힌지축(132,142)으로 연결되어 하나씩 쌍을 이룬 상태에서 제1,2힌지축(132,142)의 상부쪽 제1,2프레임고정브라켓트(130,140)와 제1,2바퀴연결브라켓트(131,141)가 서로 마주보는 내주면 사이에 면접촉 상태로 결합되어 압축공기의 유출입에 따라 팽창 및 수축이 가능한 한 쌍의 에어튜브(150a과150b, 160a과160b)를 갖춘 벨로우즈형 에어스프링(150,160)과,
상기 벨로우즈형 에어스프링(150,160)에 압축공기를 주입 및 배출할 수 있는 에어공급시스템(1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반용 다목적 트레일러.
A loading frame 110 connected to the towing vehicle through a coupler 111 and capable of loading a vehicle and a plurality of front wheels 120 and rear wheels 121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loading frame 110, A vehicle-carrying trailer (1)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frame fixing brackets 130 and 140 fixed to both sides of the loading frame 110 adjacent to the front wheel 120 and the rear wheel 121,
The first and second frame fixing brackets 130 and 140 are opposed to each other so as to face each other a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first and second hinge shafts 132 and 142. One end 131a and 141a are connected to the front wheel 120 and the rear wheel 121) rotatably supported by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shafts (133, 143) via first and second wheel connecting brackets (131, 141)
The first and second frame fixing brackets 130 and 140 and the first and second wheel connecting brackets 131 and 14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first and second hinge shafts 132 and 142 with the front wheel 120 and the rear wheel 121 being centered, The first and second frame fixing brackets 130 and 140 and the first and second wheel connecting brackets 131 and 141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hinge shafts 132 and 142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a surface- Bellows type air springs (150, 160) having a pair of air tubes (150a, 150b, 160a, 160b) capable of expanding and contracting according to the inflow and outflow of air,
And an air supply system (170) capable of injecting and discharging compressed air into the bellows type air spring (150, 160).
상기 에어공급시스템(170)은 전륜(120)측 벨로우즈형 에어스프링(150)과 후륜(121)측 벨로우즈형 에어스프링(160)의 팽창 및 수축을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반용 다목적 트레일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ir supply system 170 is configured to independently control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bellows type air spring 150 on the front wheel 120 and the bellows type air spring 160 on the rear wheel 121, General purpose trailer for vehicle transport.
상기 에어공급시스템(170)은 적재프레임(110)의 선단 부위에 마련된 장치박스(176) 내에 설치되어 에어배관(175)을 통해 전륜(120) 및 후륜(121) 측에 각각 설치된 벨로우즈형 에어스프링(150,160)에 압축공기를 유 출입시킬 수 있도록 공기를 압축하여 공급 및 배출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에어콤프레샤(174)와, 에어콤프레샤(174)로부터 압축된 공기를 저장하는 에어탱크(171,172)와, 상기 에어탱크(171,172)와 벨로우즈형 에어스프링(150,160) 사이를 연결하는 에어배관(175) 상에서 압축공기의 유출입을 제어하기 위해 마련된 솔레노이드밸브(1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반용 다목적 트레일러.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air supply system 170 is installed in a device box 176 provided at a front end portion of the stacking frame 110 and is provided with a bellows-shaped air spring 175, which is provided on the front wheel 120 and the rear wheel 121 via an air pipe 175, An air compressor 174 for compressing air so as to supply and discharge compressed air to and from the compressors 150 and 160 to supply the compressed air to the compressors 171 and 172 and the air compressors 171 and 172 for storing compressed air from the air compressors 174, , And a solenoid valve (173) for controlling the flow of compressed air on an air pipe (175) connecting between the air tanks (171, 172) and the bellows type air springs (150, 160) .
상기 벨로우즈형 에어스프링(150,160)의 하방에는 제1,2프레임고정브라켓트(130,140)와 제1,2바퀴연결브라켓트(131,141) 사이를 연결하는 제1,2텐션축(134,144)이 구비되고, 상기 제1,2텐션축(134,144)은 일단이 제1,2프레임고정브라켓트(130,140)의 내주면을 관통하여 후단부위에 각각 구비된 제1,2고정축(135,145) 상에 직각되는 상태로 각각 연결 고정됨과 동시에, 타단이 제1,2바퀴연결브라켓트(131,141)의 내주면 일측에 관통된 상태로 별도의 결합구로 조여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반용 다목적 트레일러.
The method of claim 3,
First and second tension shafts 134 and 144 for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frame fixing brackets 130 and 140 and the first and second wheel connecting brackets 131 and 141 are provided below the bellows type air spring 150 and 160, The first and second tension shafts 134 and 144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rackets 130 and 140 at right angles on the first and second fixing shafts 135 and 145, respectively, ,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brackets (131, 141)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wheel connecting brackets (131, 141).
상기 적재프레임(110)의 선단 부위에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받침다리(181)와 이 받침다리(181)에 연결된 캐스터형 바퀴(18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반용 다목적 트레일러.
The method of claim 3,
And a caster-type wheel (180) connected to the foot leg (181) is further provided on a front end portion of the loading frame (1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63962A KR101781903B1 (en) | 2016-05-25 | 2016-05-25 | A multipurpose trailer for carrying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63962A KR101781903B1 (en) | 2016-05-25 | 2016-05-25 | A multipurpose trailer for carrying vehic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81903B1 true KR101781903B1 (en) | 2017-09-26 |
Family
ID=60036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63962A Expired - Fee Related KR101781903B1 (en) | 2016-05-25 | 2016-05-25 | A multipurpose trailer for carrying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81903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91757B1 (en) * | 2018-06-07 | 2018-08-27 | 김종우 | Low bed trailer for 2 step air-spring type |
CN109398741A (en) * | 2018-12-12 | 2019-03-01 | 威海广泰空港设备股份有限公司 | Trailer-type unmanned plane emitter |
KR20190081887A (en) | 2017-12-29 | 2019-07-09 | 이현하 | Consignments management method of vehicle using mobile-device |
KR20210067619A (en) | 2019-11-29 | 2021-06-08 | 장용호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tomobile distribution and diagnosis service using consignor |
KR102477157B1 (en) | 2021-12-07 | 2022-12-14 | 이선영 | safty devices of trailer for vehicle-transport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39897B1 (en) | 2007-02-13 | 2008-06-20 | 주식회사 한국그린피아 | Easy to load trailer |
JP2014065447A (en) * | 2012-09-27 | 2014-04-17 | Satoshi Nagai | Multipurpose trailer |
-
2016
- 2016-05-25 KR KR1020160063962A patent/KR10178190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39897B1 (en) | 2007-02-13 | 2008-06-20 | 주식회사 한국그린피아 | Easy to load trailer |
JP2014065447A (en) * | 2012-09-27 | 2014-04-17 | Satoshi Nagai | Multipurpose trailer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81887A (en) | 2017-12-29 | 2019-07-09 | 이현하 | Consignments management method of vehicle using mobile-device |
KR101891757B1 (en) * | 2018-06-07 | 2018-08-27 | 김종우 | Low bed trailer for 2 step air-spring type |
CN109398741A (en) * | 2018-12-12 | 2019-03-01 | 威海广泰空港设备股份有限公司 | Trailer-type unmanned plane emitter |
CN109398741B (en) * | 2018-12-12 | 2024-03-19 | 威海广泰空港设备股份有限公司 | Trailer type unmanned aerial vehicle launching device |
KR20210067619A (en) | 2019-11-29 | 2021-06-08 | 장용호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tomobile distribution and diagnosis service using consignor |
KR102477157B1 (en) | 2021-12-07 | 2022-12-14 | 이선영 | safty devices of trailer for vehicle-transpor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81903B1 (en) | A multipurpose trailer for carrying vehicle | |
US6413033B1 (en) | Cargo carrier for vehicle | |
US8651510B2 (en) | Trailer with lowerable and raisable trailer bed | |
US10611287B2 (en) | Air bag system for lifting trailer platforms | |
US5137297A (en) | Trailerable structure with retractable towing hardware | |
US8016303B1 (en) | Wheeled-vehicle dolly | |
US3211425A (en) | Airplane transporter vehicle | |
US5232234A (en) | Pneumatically operated adjustable sliding trailer support | |
JP6286053B2 (en) | Powered replacement dolly and clamping device | |
EP1802551B1 (en) | Load handling apparatus, an inflatable bag therefor, vehicles and trailers incorporating moveable laod carrying platforms | |
US11697367B2 (en) | Vehicle cargo container and lift frame assembly with inflatable bag-assisted lift frame for vehicle | |
US3719299A (en) | Pallet type load ransport apparatus | |
CN110406694A (en) | A kind of aircraft outer wing attaching/detaching apparatus | |
US20200406994A1 (en) | Lift Frame Assembly for Vehicle with Air Suspension and Vehicle Cargo Container Assembly and Lift Frame Assembly | |
US7281728B1 (en) | Pontoon boat trailer | |
US20190292859A1 (en) | Transport trailer reel and injector shift for maximizing coiled tubing load distribution | |
WO2012056242A1 (en) | Trailer landing leg and vehicle | |
US11565666B1 (en) | Lift system for elevating a load bed of a vehicle | |
US20150129820A1 (en) | Dual Level, Trailerable Mechanic's Ramp | |
US3012795A (en) | Vertically adjustable pneumatic suspension for boat trailer | |
CA3056512A1 (en) | Inflatable bag-assisted lift frame for vehicle | |
CA3152596C (en) | A lift system for elevating a load bed of a vehicle | |
US12012028B2 (en) | Ultra-lightweight, portable, and extremely low pressure dump system for handling dry or wet materials | |
AU2012261596B2 (en) | A trailer with lowerable and raisable trailer be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4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1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9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9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