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1372B1 - 터치 센서를 이용한 반려동물용 장난감 - Google Patents
터치 센서를 이용한 반려동물용 장난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81372B1 KR101781372B1 KR1020150145158A KR20150145158A KR101781372B1 KR 101781372 B1 KR101781372 B1 KR 101781372B1 KR 1020150145158 A KR1020150145158 A KR 1020150145158A KR 20150145158 A KR20150145158 A KR 20150145158A KR 101781372 B1 KR101781372 B1 KR 1017813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tation
- touch sensor
- companion animal
- sensor
- driving mot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5—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y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터치 센서를 이용한 반려동물용 장난감(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터치 센서를 이용한 반려동물용 장난감(100)의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100 : 터치 센서를 이용한 반려동물용 장난감
110 : 외측 감지 모듈
120 : 지지대
130 : 하우징
131 : 감지 센서
132 : 구동 모터
133 : 제어부
140 : 외부 제어 데이터 수신부
Claims (10)
- 외측 감지 모듈에 전도성 물체가 접촉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지지대를 통해 상기 외측 감지 모듈과 연결되며, 상기 지지대를 특정 반경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구동 모터; 및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감지 결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서를 이용한 반려동물용 장난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센서는,
정전용량 감지 센서(touch sensor) 또는 비접촉 센서(non-contacting sensor)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서를 이용한 반려동물용 장난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센서를 통해 전도성 물체의 접촉 또는 접근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 모터가 가질 수 있는 최대 회전 속도로 상기 구동 모터를 둔각 방향으로 한번 이상 반복 회전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서를 이용한 반려동물용 장난감.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터가 최대 회전 속도로 한번 이상 반복 회전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난수 발생 함수를 통해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 각도, 회전 속도 및 최대 회전 횟수를 결정하고, 결정된 결과에 따라 상기 구동 모터를 회전시키고,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 모터의 총 회전 횟수가 상기 최대 회전 횟수에 상응하는 경우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서를 이용한 반려동물용 장난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센서를 통해 전도성 물체의 접촉이 특정 시간 이상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 모터를 특정한 회전 각도 및 회전 속도로 한번 이상 왕복 회전시키며,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 모터의 왕복 회전을 특정한 시간 간격에 따라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서를 이용한 반려동물용 장난감.
- 제1항에 있어서,
외부 입력 장치로부터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외부 제어 데이터를 수신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외부 제어 데이터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서를 이용한 반려동물용 장난감.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제어 데이터 수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제어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감지 결과 데이터 대신 상기 외부 제어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외부 제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서를 이용한 반려동물용 장난감.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제어 데이터 수신부는,
착탈 결합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서를 이용한 반려동물용 장난감.
- 제1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특정한 강도 이상의 충격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충격 감지 결과 데이터를 전달하는 충격 감지 센서; 및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 속도가 기 설정된 회전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에 이상 회전 결과 데이터를 전달하는 회전 속도 측정 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격 감지 결과 데이터 및 이상 회전 결과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전달되는 경우,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서를 이용한 반려동물용 장난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감지 모듈은,
상기 전도성 물체가 접촉됨에 따라 발생되는 시그널(signal)을 상기 감지 센서에 전달할 수 있는 유연한(flexible) 전도성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서를 이용한 반려동물용 장난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45158A KR101781372B1 (ko) | 2015-10-19 | 2015-10-19 | 터치 센서를 이용한 반려동물용 장난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45158A KR101781372B1 (ko) | 2015-10-19 | 2015-10-19 | 터치 센서를 이용한 반려동물용 장난감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45517A KR20170045517A (ko) | 2017-04-27 |
KR101781372B1 true KR101781372B1 (ko) | 2017-09-25 |
Family
ID=58702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45158A Expired - Fee Related KR101781372B1 (ko) | 2015-10-19 | 2015-10-19 | 터치 센서를 이용한 반려동물용 장난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8137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28436B1 (ko) * | 2017-08-16 | 2019-10-04 | 조남식 | 아두이노를 이용한 다용도 자동 홀더 |
KR102249880B1 (ko) * | 2018-11-28 | 2021-05-10 | 주식회사 고손컴퍼니 | 애완동물용 장난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
KR102353100B1 (ko) * | 2019-11-27 | 2022-01-19 | (주)자이선 | 오토 레이저 일루미네이터 |
KR102597873B1 (ko) * | 2021-01-29 | 2023-11-03 |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 반려동물용 스마트 돌봄장치 |
KR102686912B1 (ko) * | 2023-09-04 | 2024-07-22 | 포테닛 주식회사 | 가금류 스마트 케어 자율주행로봇 및 이를 이용하는 자율주행방법 |
-
2015
- 2015-10-19 KR KR1020150145158A patent/KR101781372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45517A (ko) | 2017-04-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81372B1 (ko) | 터치 센서를 이용한 반려동물용 장난감 | |
US8944006B2 (en) | Animal training device and methods therefor | |
US20230210086A1 (en) | Animal interac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 |
US5651332A (en) | Interactive pet device | |
US8869748B2 (en) | System and method for training an animal | |
Jackson et al. | FIDO—Facilitating interactions for dogs with occupations: wearable communication interfaces for working dogs | |
US10898136B2 (en) | Monitoring device for animals | |
KR102542017B1 (ko) | 복수의 진동 모터를 이용한 동물 훈련 장치 및 시스템 | |
JP6475642B2 (ja) | 動物インタラクションデバイス、システム、及び方法 | |
FR3044868A1 (fr) | Robot mobile d’education pour elevage avicole et installation d'elevage mettant en oeuvre un ou plusieurs robots | |
US5675225A (en) | Interactive pet toy | |
US20080236514A1 (en) | Training Device and a Method For Training an Animal to Adapt Its Behavior to Various Environments | |
US8088086B1 (en) | Automated pet scratching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 |
KR20170040032A (ko) | 동물 배변 훈련용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동물 배변 훈련 시스템 | |
KR102039934B1 (ko) | 운동용 스마트 실내 애완견 장난감 | |
WO2006060553A2 (en) | Animal entertainment training and food delivery system | |
US20200260686A1 (en) | Animal feeding robot which stimulates olfactory sense of animal | |
CN109169365A (zh) | 宠物行为的引导系统 | |
KR102357639B1 (ko) |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시스템 | |
KR20190007889A (ko) | 애완동물을 위한 장난감 로봇 | |
JP6449028B2 (ja) | 子牛の疑似グルーミング装置及び飼育管理方法 | |
US8196551B1 (en) | Multi sensory stimulation simulated prey pet toy | |
KR102466496B1 (ko) | 먹이보상이 가능한 반려동물용 운동장치 | |
KR101868282B1 (ko) | 애견 배변 유도 장치 | |
KR20200102176A (ko) | 반려묘 장난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2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9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9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0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