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1351B1 - 위변조 여권 검사 방법 및 그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위변조 여권 검사 방법 및 그 기록매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81351B1 KR101781351B1 KR1020140163508A KR20140163508A KR101781351B1 KR 101781351 B1 KR101781351 B1 KR 101781351B1 KR 1020140163508 A KR1020140163508 A KR 1020140163508A KR 20140163508 A KR20140163508 A KR 20140163508A KR 101781351 B1 KR101781351 B1 KR 10178135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ssport
- image
- inspection
- contrast
- pattern area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10200 validation analysi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0546 chi-square tes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0976 ink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3702 image corr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3598 ve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0627 Phaseolus vulgar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4000046052 Phaseolus vulgar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3519 trans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3502 data valida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08000032443 Masked facies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35 comparative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606 norma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20 organ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1 transform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1—Region-based segment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Description
상기 검사 여권과 상기 대비 여권의 패턴 영역 이미지를 분석하는 패턴 분석은 상기 검사 여권의 패턴 영역 이미지의 적외선과 자외선 잉크로 형성된 패턴 영역의 히스토그램과 상기 대비 여권의 패턴 영역의 이미지의 히스토그램에 대하여 상기 검사 여권의 위변조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두 히스토그램의 동일성을 판단하는 Chi-square test, Shade ratio 유효 범위를 검사 여권과 대비 여권의 차이를 출력하고, 상기 검사 여권과 대비 여권의 패턴 영역 이미지에 대한 패턴 분석의 결과는 Chi-square test 결과와 Shade ratio의 결과를 종합한 값을 각 국가의 여권마다 여권검사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임계치(threshold)와 비교하여 여권 위변조의 여부를 검사하며,
여권의 위변조를 분석하기 위해 각각 검사 여권과 대비 여권의 패턴 영역에 대한 패턴 분석의 최종 결과는 Chi-square test 결과와 Shade ratio의 결과를 종합한 값을 여권마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threshold와 비교하여 여권 위변조의 여부가 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변조 여권 검사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권 검사 시스템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변조 여권 검사 방법을 설명한 순서도이다.
도 5는 검사 여권 패턴 영역의 히스토그램과 대비 여권 패턴 영역의 히스토그램이 대비되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검사 여권과 대비 여권의 패턴 영역을 이루는 이진화된 픽셀 데이터에 대한 픽셀 갯수, 평균값 및 표준편차의 연산결과를 대비하는 여권 대비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대비 여권 이미지 검색 단계와 여권 대비 단계 사이에 대비 여권과 검사 여권 이미지의 위치와 회전 각도를 맞추는 기하 보정을 실시하는 여권 이미지 보정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한국에서 발행된 여권의 사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검사 여권 이미지에서 MRZ(Machine Readable Zone) 데이터의 유효성 검사에 사용되는 정보(이미지 및 데이터베이스 목록 등) 나타낸 사진이다.
도 10은 여권 위변조 검사에 사용되는 특징 영역 정보 및 검사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1은 여권 위변조 검사시 세로 방향으로 절단 중첩 비교한 사진이다.
도 12는 검사 여권 이미지의 특징점(Interest point)을 Hessian matrix를 사용하여 검사 여권 이미지의 LoG(Laplacian of Gaussian)를 사용한 2차 미분의 결과를 박스 필터에 적용 후 변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검사 여권 이미지의 LoG(Laplacian of Gaussian)를 사용한 2차 미분의 결과를 박스 필터에 의해 변환된 결과를 Scale space를 구성하고 Up-scaling을 하면서 구축된 이미지 피라미드(Image pyramid)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검사 여권 이미지의 특징점 선정 후, 특징점을 중심으로 일정 거리 안의 이웃들에 대하여 x, y방향의 Haar-wavelet response를 계산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검사 여권과 대비 여권의 패턴 영역의 패턴 분석시, Chi-suqare test를 사용하여 여권의 고유의 패턴 영역(좌측)으로부터 추출된 이미지의 각 픽셀마다 8bit의 값을 가지는 채널로 변환되고, 이를 토대로 각 픽셀의 x축의 R, G, B 값(0~255)에 대한 Y 축의 빈도(갯수)를 나타내는 히스토그램(우측)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검사 여권과 대비 여권의 패턴 영역 분석시에, Chi-square test가 gray-scale 공간을 사용하기 때문에 검사 여권과 대비 여권 이미지의 밝기(brightness)에 따라 값이 변할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검사 여권과 대비 여권의 패턴 영역 이미지를 Otsu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이진화(Binarization)하여 Shade ratio를 추출하는 것을 비교한 도면이다.
113: 입력부 115: 표시부
117: 저장부 119: 연결부
120; 스캐너
Claims (17)
-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며 대비 여권 이미지가 저장된 저장부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되는 수단인 입력부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며 검사결과가 표시되는 표시부로 이루어지는 여권검사시스템에서 실행되며;
상기 여권검사시스템에 연결된 스캐너를 통해 가시광선(Visible Ray), 또는 적외선(Infrared Rays), 또는 자외선(Ultraviloet Rays) 패턴 영역이 포함된 여권 이미지 스캔 후 검사 여권의 이미지가 획득되어 저장부에 저장되는 검사 여권 이미지 획득 단계;
상기 검사 여권의 이미지에서 MRZ(Machine Readable Zone) 데이터의 유효성 검사가 실행되는 유효성 검사 단계;
상기 저장부로부터 검사 여권 이미지와 대비될 대비 여권 이미지가 검색되는 대비 여권 이미지 검색 단계;
대비 여권 이미지와 검사 여권 이미지의 위치와 회전 각도를 맞추는 기하 보정 실시 후, 상기 대비 여권 이미지와 상기 검사 여권 이미지가 대비되는 여권 대비 단계; 및
여권 위변조 검사 결과가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검사 결과 표시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검사 여권과 상기 대비 여권의 패턴 영역 이미지를 분석하는 패턴 분석은 상기 검사 여권의 패턴 영역 이미지의 적외선과 자외선 잉크로 형성된 패턴 영역의 히스토그램과 상기 대비 여권의 패턴 영역의 이미지의 히스토그램에 대하여 상기 검사 여권의 위변조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두 히스토그램의 동일성을 판단하는 Chi-square test, Shade ratio 유효 범위를 검사 여권과 대비 여권의 차이를 출력하고, 상기 검사 여권과 대비 여권의 패턴 영역 이미지에 대한 패턴 분석의 결과는 Chi-square test 결과와 Shade ratio의 결과를 종합한 값을 각 국가의 여권마다 여권검사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임계치(threshold)와 비교하여 여권 위변조의 여부를 검사하며,
여권의 위변조를 분석하기 위해 각각 검사 여권과 대비 여권의 패턴 영역에 대한 패턴 분석의 최종 결과는 Chi-square test 결과와 Shade ratio의 결과를 종합한 값을 여권마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threshold와 비교하여 여권 위변조의 여부가 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 여권 검사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MRZ 데이터의 유효성 검사 단계에서 검사 여권 이미지에 포함된 MRZ 데이터는 여권의 종류(Type), 발행국(Country code), 성(Surname), 이름(Given name), 여권 번호, 국적, 생년월일, 성별, 기간만료일, 주민등록번호(뒷자리)를 포함하며,
여권 하단의 MRZ 영역의 두 번째 줄에는 총 5개의 Checksum 중 4개는 각각 앞의 여권 번호, 생년월일, 만료일자, 개인식별코드의 유효성을 검사하고 마지막의 5번째 C(Checksum)은 전체 코드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 여권 검사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여권과 상기 대비 여권은 위변조 방지를 위해 적외선과 자외선 잉크로 고유한 패턴이 인쇄되며, 상기 검사 여권과 상기 대비 여권 이미지의 고유한 패턴 영역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검사 여권의 위변조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 여권 검사 방법.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스캐너가 연결되며, 상기 검사 여권 이미지 획득 단계에서는 상기 스캐너에서 스캔된 검사 여권의 가시광선 이미지, 자외선 이미지 및 적외선 이미지가 저장부에 저장되며;
상기 여권 대비 단계는 상기 검사 여권과 상기 대비 여권에서 자외선 또는 적외선으로 형성된 고유의 패턴 영역이 분리되는 패턴 영역 분리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패턴 영역 분리 단계에서는 가시광선 이미지, 자외선 이미지 및 적외선 이미지에서의 패턴 영역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 여권 검사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권 대비 단계는
상기 검사 여권과 상기 대비 여권에서 자외선 또는 적외선으로 형성된 고유의 패턴 영역이 분리되는 패턴 영역 분리 단계와, 분리된 패턴 영역의 히스토그램 데이터가 추출되는 히스토그램 데이터 추출 단계와, 검사 여권 패턴 영역의 히스토그램과 대비 여권 패턴 영역의 히스토그램이 대비되는 히스토그램 데이터 대비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 여권 검사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권 대비 단계는 상기 검사 여권과 상기 대비 여권에서 패턴 영역이 분리되는 패턴 영역 분리 단계;
분리된 패턴 영역이 이진화되는 이진화 단계;
상기 대비 여권의 패턴 영역을 이루는 이진화된 픽셀 데이터에 대한 픽셀 갯수, 평균값 및 표준편차가 연산되는 대비 여권 연산 단계;
상기 검사 여권의 패턴 영역을 이루는 이진화된 픽셀 데이터에 대한 픽셀 갯수, 평균값 및 표준편차가 연산되는 검사 여권 연산 단계; 및
상기 검사 여권에 대한 연산결과와 대비 여권에 대한 연산결과가 대비되는 연산결과 대비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 여권 검사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대비 여권 이미지 검색 단계와 여권 대비 단계 사이에는 기하 보정을 통해 대비 여권과 검사 여권 이미지의 위치와 회전 각도를 맞추는 여권 이미지 보정 단계가 더 포함되며;
상기 여권 이미지 보정 단계는 검사 여권 이미지와 대비 여권 이미지를 이루는 픽셀들에 대한 헤시안 매트릭스(Hessian matrix)가 연산되는 단계와, 각 이미지를 이루는 픽셀에 대한 스케일 스페이스(scale space)가 생성되고 업스케일링되면서 이미지 피라미드가 생성되는 단계와, 각 스케일의 이미지에서 특징점 그룹이 선정되는 단계와, 특징점 그룹에 대한 Haar-wavelet response가 연산되는 단계와, Haar-wavelet response 결과로부터 도미넌트 방향이 연산되는 단계와, 검출된 특징점에 대하여 대비 여권과 검사 여권의 이미지를 이루는 픽셀의 좌표가 재설정되고 도미넌트 방향이 일치되도록 회전 변위가 재설정되어 저장부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 여권 검사 방법.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여권 대비 단계는
검사 여권과 대비 여권에서 패턴 영역의 이미지를 분리되는 패턴 영역 분리 단계와, 분리된 패턴 영역의 이미지의 각 픽셀의 히스토그램 데이터(x축은 8비트의 각각의 R,G,B 값 또는 각각의 R,G,B 값을 더한 값, y축은 빈도(갯수))가 추출되는 히스토그램 데이터 추출 단계;
상기 검사 여권 패턴 영역의 히스토그램과 대비 여권 패턴 영역의 히스토그램이 대비되는 히스토그램 데이터 대비 단계로 이루어지는 히스토그램 대비 단계;
분리된 패턴 영역의 이미지의 각 픽셀들이 이미지의 명암 분포에서 변곡점을 찾아 추출된 임계값(threshold)에 의해 흑색과 백색으로 이진화되는 이진화 단계;
상기 대비 여권의 패턴 영역을 이루는 이진화된 픽셀 데이터가 연산(흑색과 백색의 픽셀 갯수, 평균값 및 표준편차)되는 대비 여권 연산 단계;
상기 검사 여권의 패턴 영역을 이루는 이진화된 픽셀 데이터가 연산(흑색과 백색의 픽셀 갯수, 평균값 및 표준편차)되는 검사 여권 연산 단계; 및
상기 검사 여권에 대한 연산결과와 대비 여권에 대한 연산결과가 대비되는 연산결과 대비 단계로 이루어지는 픽셀 데이터 대비 단계를 포함하는 위변조 여권 검사 방법. - 제9 항에 있어서,
상진 이진화 단계는 Otsu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 여권 검사 방법.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대비 여권의 비교 대상이 되는 패턴을 기준으로 상기 스캐너에 의해 스캔된 상기 검사 여권의 위치와 회전 각도를 맞추는 기하 보정을 실시하며, 여권들은 각각 기입된 내용이 다르지만, 자외선이나 적외선 하에서 일정한 패턴들이 노출되기 때문에 이를 기준으로 위치를 판별하기 위해 SURF(Speeded Up Robust Features) 알고리즘이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 여권 검사 방법.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하 보정은
여권의 이미지에 헤시안 메트릭스(Hessian matrix)를 사용하여 이미지의 특징점 (x,y)을 선정하며, 검사 여권 이미지의 LoG(Laplacian of Gaussian)를 사용한 2차 미분의 결과를 박스 필터에 의해 변환된 결과를 Scale space를 구성하고 Up-scaling을 하면서 구축된 이미지 피라미드(Image pyramid)를 표시하고, 서로 다른 스케일의 검사 여권 이미지가 구성되면, 각각에 대해 Non-maximal suppression을 이용하여 이웃한 점들과 비교하여 중심점이 가장 클 경우 특징점 후보가 선정되며, 상기 검사 여권 이미지의 특징점이 선정되면, 상기 특징점을 중심으로 일정 거리 안의 이웃들에 대하여 x, y방향의 Haar-wavelet response를 계산하고, 특징점(x, y)과 이웃한 점들(x-6:x+6, y-6:y+6)에 대하여 각각의 점에 대해 x,y방향의 그라디언트와 2.5sigma 값을 가지는 가우시안 분포를 곱하여 계산하며,
x, y방향의 Haar-wavelet response 계산 시에는 일정 각도(예:60°)크기의 부채꼴 모양의 window 내의 모든 response를 더하면 새로운 벡터들이 생성되고 그 중 가장 긴 벡터가 도미넌트 방향(dominant orientation)이 일치되며, 위 과정까지 모두 완료되면 최종적으로 검출된 특징점과 각 특징점의 Descriptor를 이용하여 매칭하고, 매칭된 결과값을 토대로 x, y축으로의 위치 이동(translation)과 2D 공간상에서의 회전(rotation)을 수행하여 검사 여권과 대비 여권 두 이미지의 위치를 일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 여권 검사 방법.
(수학식1) 헤시안 메트릭스(Hessian matrix)
단, Lxx, Lxy, Lyy는 이미지 내의 점 (x, y)에서 가우시안-라플라시안 2차미분을 수행한 convolution.
Lxx(x,y,σ)는 검사 여권 이미지의 LoG(Laplacian of Gaussian)를 사용한 2차 미분의 결과, σ(sigma)는 스케일(scale). -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여권 이미지의 패턴 영역의 특징점을 Hessian matrix를 사용하여 검사 여권 이미지의 LoG(Laplacian of Gaussian)를 사용한 2차 미분의 결과를 박스 필터에 적용되어 변환되면, 이를 토대로 스케일 스페이스(Scale space)를 구성하고 Up-scaling을 하면서 베이스 필터 사이즈(base filter size)를 점점 확장하여 이미지 피라미드(Image pyramid)를 구축하며, 이렇게 서로 다른 스케일의 검사 여권 이미지가 구성되면, 각각에 대해 Non-maximal suppression을 이용하여 이웃한 점들과 비교하여 중심점이 가장 클 경우 특징점 후보가 선정되게 되고,
상기 검사 여권 이미지의 특징점이 선정되면, 각 특징점의 Descriptor를 생성하기 위해 오리엔테이션(Orientation)을 할당하게 되는데, 특징점을 중심으로 일정 거리 안의 이웃들에 대하여 x, y방향의 Haar-wavelet response를 계산하며,
상기 Haar-wavelet response 계산하는 과정은 특징점(x, y)과 이웃한 점들(x-6:x+6, y-6:y+6)에 대하여 각각의 점에 대해 x, y방향의 그라디언트와 2.5sigma 값을 가지는 가우시안 분포를 곱하여 계산하며
특징점 (x,y)를 중심으로 일정 거리 안의 이웃들에 대하여 x, y방향의 Haar-wavelet response를 계산할 때는 60°크기의 부채꼴 모양의 window 내의 모든 response를 더하면 새로운 벡터를 만들며 이것들 중 가장 긴 벡터가 도미넌트 방향(dominant orientation)이 일치되고, 위 과정까지 모두 완료되면 최종적으로 검출된 특징점과 각 특징점의 Descriptor를 이용하여 매칭하고, 매칭된 결과값을 토대로 x, y 축으로의 위치 이동(translation)과 2D 공간상에서의 회전(rotation)을 수행하여 검사 여권과 대비 여권의 두 이미지의 위치를 일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 여권 검사 방법.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Chi-square test는
상기 스캐너를 통해 여권 검사 시스템으로 입력받은 상기 검사 여권의 패턴 영역의 패턴 분석 이전에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각 여권별 고유의 패턴 영역 이미지를 추출하고 gray-scale을 통해 각 픽셀마다 8bit의 값을 가지는 채널로 변환하며, 각 픽셀의 x축의 R,G,B 값(0~255)에 대한 Y 축의 빈도(갯수)를 나타내는 히스토그램을 구성하고, 상기 검사 여권 이미지와 상기 여권 검사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서 불러온 대비 여권 이미지에 적용하여 두 히스토그램의 동일성을 판단하기 위해 아래 수학식2와 같이 Chi-square test를 사용하며, 상기 Chi-square test는 두 불연속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측정하는 통계적 기법으로 두 히스토그램은 각각 관찰빈도(O:Observed frequencies)와 기대 빈도(E:Expected frequencies)를 사용하여 아래 수학식2를 통해 얻은 결과값을 사용하여 Chi-square distribution(카이제곱 분포, χ2분포)에서 p-value를 구하며, 구해진 p-value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significance level을 비교하여 여권 위변조 여부의 최종 검증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 여권 검사 방법.
(수학식 2)
단, O(observed) : 관측값(히스토그램 빈의 값),
E(expected) : 기댓값(히스토그램 빈의 값): 대응되는 빈 각각에 대한 연산의 합(빈의 수는 0~255)(본 프로그램에서는 DB에 저장된 대비 여권(표준 여권)들이 기댓값(E)으로 설정되고, 검사 여권이 관측값(O)으로 설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Chi-square test는 gray-scale 공간을 사용하기 때문에 검사 여권과 대비 여권 이미지의 밝기(brightness)에 따라 값이 변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여권 이미지를 Otsu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여권 이미지의 명암 분포에서 변곡점을 찾아 흑색과 백색을 구분하는 임계값(threshold)을 추출하기 때문에 여권 이미지의 패턴 영역 이미지의 밝기(brightness)에 구애 받지 않고 상기 임계값에 의해 패턴영역의 이미지의 각 픽셀당 이진화하여 흑백 이미지로 변환하고 Shade ratio를 추출하며, 상기 검사 여권과 상기 대비 여권의 패턴 영역 이미지의 전체 픽셀을 읽고, 전체 픽셀 데이터의 흑색과 백색 픽셀의 수, 평균, 표준 편차, 픽셀 퍼센티지(%)를 계산하여 서로 비교하며, 위 결과를 토대로 계산된 대비 여권들의 Shade ratio 평균과 표준편차를 사용하여 확률 분포를 구하고 일정 확률(현재 10%, 국가별 다른 기준 적용)을 기준으로 Shade ratio의 유효 범위를 계산하여 검사 여권과 대비 여권의 차이를 출력하여 검사 여권의 위변조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 여권 검사 방법. - 가시광선(Visible Ray), 또는 적외선(Infrared Rays), 또는 자외선(Ultraviloet Rays) 패턴 영역이 포함된 여권 이미지를 스캔하는 스캐너; 및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며 대비 여권 이미지가 저장된 저장부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되는 수단인 입력부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며 검사결과가 표시되는 표시부로 이루어지는 여권검사시스템에서,
상기 여권검사시스템에 연결된 스캐너를 통해 가시광선(Visible Ray), 또는 적외선(Infrared Rays), 또는 자외선(Ultraviloet Rays) 패턴 영역이 포함된 여권 이미지 스캔 후 검사 여권의 이미지가 획득되어 저장부에 저장되는 검사 여권 이미지 획득 기능;
상기 검사 여권의 이미지에서 MRZ(Machine Readable Zone) 데이터의 유효성 검사가 실행되는 유효성 검사 기능;
상기 저장부로부터 검사 여권 이미지와 대비될 대비 여권 이미지가 검색되는 대비 여권 이미지 검색 기능;
대비 여권 이미지와 검사 여권 이미지의 위치와 회전 각도를 맞추는 기하 보정 실시 후, 상기 대비 여권 이미지와 상기 검사 여권 이미지가 대비되는 여권 대비 기능; 및
여권 위변조 검사 결과가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검사 결과 표시 기능을 포함하며,
상기 검사 여권과 상기 대비 여권의 패턴 영역 이미지를 분석하는 패턴 분석은 상기 검사 여권의 패턴 영역 이미지의 적외선과 자외선 잉크로 형성된 패턴 영역의 히스토그램과 상기 대비 여권의 패턴 영역의 이미지의 히스토그램에 대하여 상기 검사 여권의 위변조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두 히스토그램의 동일성을 판단하는 Chi-square test, Shade ratio 유효 범위를 검사 여권과 대비 여권의 차이를 출력하고, 상기 검사 여권과 대비 여권의 패턴 영역 이미지에 대한 패턴 분석의 결과는 Chi-square test 결과와 Shade ratio의 결과를 종합한 값을 각 국가의 여권마다 여권검사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임계치(threshold)와 비교하여 여권 위변조의 여부를 검사하며,
여권의 위변조를 분석하기 위해 각각 검사 여권과 대비 여권의 패턴 영역에 대한 패턴 분석의 최종 결과는 Chi-square test 결과와 Shade ratio의 결과를 종합한 값을 여권마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threshold와 비교하여 여권 위변조의 여부가 도출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63508A KR101781351B1 (ko) | 2014-11-21 | 2014-11-21 | 위변조 여권 검사 방법 및 그 기록매체 |
PCT/KR2015/012597 WO2016080815A1 (ko) | 2014-11-21 | 2015-11-23 | 위변조 여권 검사 방법 및 그 기록매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63508A KR101781351B1 (ko) | 2014-11-21 | 2014-11-21 | 위변조 여권 검사 방법 및 그 기록매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61528A KR20160061528A (ko) | 2016-06-01 |
KR101781351B1 true KR101781351B1 (ko) | 2017-09-26 |
Family
ID=56014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63508A Active KR101781351B1 (ko) | 2014-11-21 | 2014-11-21 | 위변조 여권 검사 방법 및 그 기록매체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781351B1 (ko) |
WO (1) | WO2016080815A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73835A (ko) * | 2017-12-19 | 2019-06-27 | 하트미디어(주) | 반응형 웹에서의 웹 스타일 가이드 준수율 측정방법 |
KR102597955B1 (ko) | 2023-06-09 | 2023-11-07 | 한국조폐공사 | 여권자동투입부를 구비한 여권검사장치 |
KR102606596B1 (ko) | 2023-07-26 | 2023-11-29 | 한국조폐공사 | 여권 개방 및 폐쇄부를 구비한 여권검사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215225B (zh) * | 2020-10-22 | 2024-03-15 | 北京通付盾人工智能技术有限公司 | 一种基于计算机视觉技术的kyc证件核验方法 |
KR20240130036A (ko) | 2023-02-21 | 2024-08-28 | 라이트비전 주식회사 | 신분증 위변조 검출 시스템 및 방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38443B1 (ko) * | 2014-02-21 | 2014-09-12 | (주)하소인텍 | 위조 신분증 감식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감식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27326A (ko) * | 2001-09-28 | 2003-04-07 | 윤경호 | 위조방지용 여권 및 여권확인 및 관리시스템 |
KR20030027291A (ko) * | 2001-09-28 | 2003-04-07 | 주식회사 한국인식기술 | 여권 위조 방지용 인식 시스템 |
KR200293463Y1 (ko) | 2002-07-31 | 2002-10-31 | 김상훈 | 위변조 방지용 얼굴인식 여권/비자 발급 및 공항 심사 방법 |
KR101184432B1 (ko) * | 2009-06-04 | 2012-09-20 | 인천국제공항공사 | 출입국 절차 자동화 장치 및 그 자동화 방법 |
-
2014
- 2014-11-21 KR KR1020140163508A patent/KR101781351B1/ko active Active
-
2015
- 2015-11-23 WO PCT/KR2015/012597 patent/WO2016080815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38443B1 (ko) * | 2014-02-21 | 2014-09-12 | (주)하소인텍 | 위조 신분증 감식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감식방법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73835A (ko) * | 2017-12-19 | 2019-06-27 | 하트미디어(주) | 반응형 웹에서의 웹 스타일 가이드 준수율 측정방법 |
KR101996816B1 (ko) | 2017-12-19 | 2019-07-08 | 하트미디어(주) | 반응형 웹에서의 웹 스타일 가이드 준수율 측정방법 |
KR102597955B1 (ko) | 2023-06-09 | 2023-11-07 | 한국조폐공사 | 여권자동투입부를 구비한 여권검사장치 |
KR102606596B1 (ko) | 2023-07-26 | 2023-11-29 | 한국조폐공사 | 여권 개방 및 폐쇄부를 구비한 여권검사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61528A (ko) | 2016-06-01 |
WO2016080815A1 (ko) | 2016-05-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Scherhag et al. | Towards detection of morphed face images in electronic travel documents | |
KR101515256B1 (ko) | 동적 문서 식별 프레임워크를 사용한 문서 검증 | |
US10410292B2 (en) | Method, system,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for realizing antifraud in insurance claim based on consistency of multiple images | |
KR101446376B1 (ko) | 고유 이미지 프로세스에 따른 미지 문서의 식별 및 검증 | |
Venkatesh et al. | Morphed face detection based on deep color residual noise | |
Van Beusekom et al. | Text-line examination for document forgery detection | |
US7630520B2 (en) | Method and system for document comparison using cross plane comparison | |
KR101781351B1 (ko) | 위변조 여권 검사 방법 및 그 기록매체 | |
CN108563990B (zh) | 一种基于cis图像采集系统的证照鉴伪方法及系统 | |
CN104200239A (zh) | 一种基于图像特征融合识别的签名鉴伪系统及方法 | |
Scherhag et al. | Performance variation of morphed face image detection algorithms across different datasets | |
US20200250422A1 (en) | Method of authentication using surface paper texture | |
Alshayeji et al. | Detection method for counterfeit currency based on bit-plane slicing technique | |
CN113569863B (zh) | 一种单据稽查的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 |
Zaharieva et al. | Image based recognition of ancient coins | |
Yindumathi et al. | Analysis of image classification for text extraction from bills and invoices | |
JP2010026805A (ja) | 文字認識装置及び文字認識方法 | |
Yuan et al. | Fingerprint liveness detection using 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 based texture feature | |
Tapia et al. | Face feature visualisation of single morphing attack detection | |
Hildebrandt et al. | High-resolution printed amino acid traces: a first-feature extraction approach for fingerprint forgery detection | |
KR20210144064A (ko) | 페이크 얼굴 검출 장치 및 검출 방법 | |
Swami et al. | Currency recognition and fake currency identification using image processing | |
Dewangan | Real Time Recognition of Handwritten Devnagari Signatures without Segmentation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 |
Myint et al. | Handwritten signature verification system using Sobel operator and KNN classifier | |
Hildebrandt et al. | From StirMark to StirTrace: benchmarking pattern recognition based printed fingerprint dete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5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2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2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f national patent |
Patent event code: PR0702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f National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919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919 End annual number: 20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