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80402B1 -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0402B1
KR101780402B1 KR1020160031644A KR20160031644A KR101780402B1 KR 101780402 B1 KR101780402 B1 KR 101780402B1 KR 1020160031644 A KR1020160031644 A KR 1020160031644A KR 20160031644 A KR20160031644 A KR 20160031644A KR 101780402 B1 KR101780402 B1 KR 101780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request
base station
request message
terminal
dat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1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광호
Original Assignee
콘텔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텔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콘텔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1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04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0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040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L67/280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04W76/04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기지국와 코어망 사이에 위치하고 단말과 기업망 간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에서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은, 상기 기업망으로부터 상기 단말로 전송할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 로컬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서비스 요청(Service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가 상기 로컬 페이징 메시지에 의해 수신된 것인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의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RRC 수립 원인(RRC Establishment cause)의 값을 변경하여 상기 코어망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본 발명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 자원이 해제된 상태에서, 기업망의 서버로부터 하향 패킷(데이터)를 수신할 경우, 상기 하향 데이터를 단말로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사업자는 후술하는 도 1과 같은 구성을 갖는 시스템을 통해 가입자 단말에 이동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망의 환경을 도시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EPC망 환경에서는 단말에서 트리거된 데이터는 정상적으로 서비스가 된다. 하지만, 일정 시간 동안 패킷이 송수신 되지 않는다면, 기지국(eNB)은 자원의 효율성을 위해 자원(예컨대, 단말과 기지국 간의 무선 자원(예컨대, LTE-Uu), 기지국과 EPC 망(예컨대, MME 및 SGW 등) 간의 자원(예컨대, S1, S11 등)을 해제하여 다른 단말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기지국은 서빙 게이트웨이(SGW)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GW) 간에 설정된 자원(예컨대, S5)은 그대로 유지하여 PDN망(예컨대, 인터넷망)으로부터 수신되는 패킷(데이터)이 있다면, 이동성 관리 장치(MME)를 통한 페이징(paging) 절차를 통해 자원을 다시 할당하여 가입자 단말에게 이동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시스템에서 패킷(데이터)을 브레이크아웃 할 수 있는 장치(Local Enterprise Gateway : 지역 기업 게이트웨이)를 위치시켜 패킷(데이터)를 오프로드할 수 있다. 즉, 패킷(데이터)을 브레이크아웃 할 수 있는 장치(예컨대, LEG(지역 기업 게이트웨이))를 기지국과 코어망(예컨대, MME 및 SGW) 사이에 위치시켜, 패킷(데이터)을 오프로드 시킬 수 있다. 이때, 단말에서 트리건된 데이터는 정상적인 환경 즉, 데이터(패킷)를 송수신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정상적으로 연결된 환경이라면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하는데 문제가 없다. 이때, 상기 지역 기업 게이트웨이(LEG)는 기지국과 코어망(예컨대, MME 및 SGW) 사이에 위치하며, 기업망과 연결되어 있으며, 단말과 인터넷망 또는 단말과 기업망 간의 패킷(데이터)을 중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일정 시간 패킷(데이터)의 송수신이 발생하지 않으면, 기지국은 단말 및 지역 기업 게이트웨이(LEG)와 연결된 자원(예컨대, 무선 자원 및 S1 등)을 해제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환경이라면, 인터넷망으로부터 패킷(데이터)이 발생할 경우, 이동성 관리 장치는 페이징 절차를 통해 단말을 깨우고, 베어러를 설정하여 서빙 게이트웨이(SGW)에 버퍼링된 패킷(데이터)이 해당 단말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패킷(데이터) 브레이크아웃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에서는, 기업망에서 전송할 패킷(데이터)이 발생할 경우, 기지국과 코어망(예컨대, MME 및 SGW) 사이에 위치한 지역 기업 게이트웨이(LEG)가 페이징 메시지 전송 절차를 진행하여 자원이 할당되도록 하고, 기업망에서 수신되어 버퍼링된 패킷(데이터)을 해당 단말로 전송해야 한다. 이때, 상기 지역 기업 게이트웨이(LEG)가 페이징 메시지 전송 절차를 진행하면, 단말로부터 ECM 연결(RRC 연결 및 S1 시그널링 연결)을 위한 메시지를 수신하여, 이동성 관리 장치(MME)로 중계한다. 그런데 상기 이동성 관리 장치(MME)는 자신이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한 적이 없기 때문에 혼란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이동성 관리 장치(MME)는 자신이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한 적이 없기 때문에, 상기 ECM 연결을 위한 메시지를 송신한 기지국으로 호 해제를 요청하여 단말과 기지국 그리고, 기지국과 지역 기업 게이트웨이(LEG) 간의 호가 해제될 수 있어, 기업망에서 발생한 패킷(데이터)이 단말로 전송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5-0117836호(2015.10.21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패킷 브레이크아웃 서비스 환경에서 기업망에서 단말로 패킷(데이터)이 발생하여 페이징 절차를 진행함에 있어서 이동성 관리 장치의 혼란 없이 페이징 절차를 진행하여 기업망에서 단말로 상기 패킷(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전송되도록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기지국와 코어망 사이에 위치하고 단말과 기업망 간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에서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은, 상기 기업망으로부터 상기 단말로 전송할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 로컬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서비스 요청(Service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가 상기 로컬 페이징 메시지에 의해 수신된 것인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의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RRC 수립 원인(RRC Establishment cause)의 값을 변경하여 상기 코어망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코어망으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가 상기 로컬 페이징 메시지에 의해 수신된 것으로 확인되지 않은 경우,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의 상기 RRC 수립 원인(RRC Establishment cause)의 값을 변경하지 않고 상기 코어망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가 상기 로컬 페이징 메시지에 의해 수신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의 상기 RRC 수립 원인(RRC Establishment cause)의 값을 단말 자체 트리거에 의한 서비스 요청 메시지임을 나타내는 값으로 변경하여 상기 코어망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데이터를 수신할 상기 단말의 식별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단말의 식별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 및 그 수신된 단말의 식별정보와 상기 저장하는 단계에서 저장된 단말의 식별정보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기지국과 코어망 사이에 위치하고 단말과 기업망 간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는, 상기 기업망으로부터 상기 단말로 전송할 데이터를 수신하는 로컬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기지국으로 로컬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그 서비스 요청 메시지가 상기 로컬 페이징 메시지에 의해 수신된 것인지 확인하고, 그 확인의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RRC 수립 원인(RRC Establishment cause)의 값을 변경하여 상기 코어망으로 전송하는 프록시 MME 모듈; 및 상기 로컬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 모듈에서 수신된 상기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프록시 서빙 게이트웨이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프록시 MME 모듈은,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가 상기 로컬 페이징 메시지에 의해 수신된 것으로 확인되지 않은 경우,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의 상기 RRC 수립 원인(RRC Establishment cause)의 값을 변경하지 않고 상기 코어망으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가 상기 로컬 페이징 메시지에 의해 수신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의 상기 RRC 수립 원인(RRC Establishment cause)의 값을 단말 자체 트리거에 의한 서비스 요청 메시지임을 나타내는 값으로 변경하여 상기 코어망으로 전송한다.
상기 프록시 MME 모듈은, 상기 데이터를 수신할 상기 단말의 식별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한 후,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단말의 식별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그 수신된 식별정보와 상기 저장한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가 상기 로컬 페이징 메시지에 의해 수신된 것인지 확인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기존의 EPC망(MME/SGW)의 변경없이 기업망에서 발생한 패킷(데이터)의 착신 서비스를 끊김없이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들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망의 환경을 도시한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역 기업 게이트웨이(LEG)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역 기업 게이트웨이(LEG)의 패킷(데이터) 처리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치에서의 패킷(데이터) 전송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치에서의 매칭 테이블을 관리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이동단말(UE)(200), 기지국(eNB)(300), 지역 기업 게이트웨이(LEG)(400), 코어망의 구성요소인 이동성 관리 장치(MME)(500), 서빙 게이트웨이(SGW)(600) 및 기업망(900)을 포함한다.
이동단말(UE)(200)은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장치로서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등의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상기 이동단말(UE)(200)은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를 포함하는 LTE 네트워크가 연동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 상기 이동단말(UE)(200)은 UTRAN을 포함하는 WCDMA 네트워크가 연동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룰러폰, PCS폰, GSM폰, CDMA-2000폰, WCDMA폰 등과 같은 종래의 이동 전화기 및 최근 활발히 사용되는 스마트폰과 태블릿 PC 및 4G 망을 이용하는 이동 전화기 등이 모두 이동 단말에 포함될 수 있다.
기지국(eNB)(300)은 소형 기지국인 펨토 기지국, 매크로 기지국을 포함한다. 여기서 매트로 기지국은 eNB 등이다. 펨토 기지국은, 넓은 반경의 매크로 기지국의 영역에 위치하거나 매크로 기지국의 영역 밖에 설치되어, 소수의 가입자를 위한 펨토 셀 커버리지로 특정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노드이다. 이러한 펨토 기지국은 초소형 기지국, 피코(Pico) 기지국, 유비셀(Ubicell) 기지국, 3GPP 표준용어로는 HeNodeB 등 다양한 용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동성 관리 장치(MME)(500)는 가입자 정보 및 이동단말의 이동성을 관리하는 노드로서 세션 관리, 아이들(Idle) 가입자 관리, 페이징(Paging), 가입자 인증 기능 등을 담당한다. 즉, 상기 이동성 관리 장치(MME)(500)는 이동단말(200)이나 다른 네트워크 노드, 예컨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GW : PDN-GateWay)(700) 또는 서빙 게이트웨이(SGW : Serving-GateWay)(600)로부터의 결합 요청이나 무선 베어러 설정 요청 등이 있는 경우에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것 등과 같은 제어 평면(Control Plane)의 여러 기능을 담당하며, EPS 베어러 또는 아이피 터널(IP tunnel)의 설정과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서빙 게이트웨이(SGW)(600)는 설정된 세션에 따라 페이로드 트래픽(payload traffic)을 처리하는 세션 제어(session control) 및 데이터 평면(Data Plane)의 기능을 수행하는 노드로서, 기지국(300)과 S1-U 인터페이스로 연동하며 Inter LTE/3GPP 핸드오버를 지원하고,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GW)(700)와 EPS 베어러(Evolved Packet System bearer)를 설정하고 터널링을 이용하여 패킷 데이터를 전달한다.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GW)(700)는 서빙 게이트웨이(SGW)(600)에 접속되고, 모바일 통신망과 인터넷망(800)사이에 인터페이스를 형성한다.
지역 기업 게이트웨이(LEG)(400)는 기지국(300)과 코어망(예컨대, 이동성 관리 장치/서빙 게이트웨이)(500)(600)의 사이에 설치된다. 종래의 LTE 이동 통신망은 3G/LTE 듀얼 모드 단말과 이 단말들과 LTE 기반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이 존재하고, 이런 기지국들과 통신하는 이동성 관리 장치(500)와 서빙 게이트웨이(600)가 존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역 기업 게이트웨이(LEG)(400)는 기지국(300)과 이동성 관리 장치(MME)/서빙 게이트웨이(SGW)(500)(600)의 중간에 프록시(Proxy) 형태로 추가된다.
상기 지역 기업 게이트웨이(LEG)(400)는 기지국(300)과 코어망(MME/SGW)(500)(600)의 사이에 추가되어, 이동단말(200)이 수행하는 시그널링(signaling)과 패킷(데이터) 트래픽(traffic)을 중계(relay)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런 역할을 수행하면서 상기 지역 기업 게이트웨이(LEG)(400)는 이동단말(200)이 기업망(900)으로 접속을 원하는지 판단하여, 상기 기업망(900)으로 패킷을 라우팅한다. 기지국(300)에 의해 자원이 해제된 상태(예컨대, 일정 시간 동안 단말(200)이 패킷(데이터)을 송수신 하지 않아 기지국(300)이 자신과 단말 간의 무선 자원(LTE-Uu) 및 자신과 지역 기업 게이트웨이(LEG)(400) 간의 자원(S1 등)을 해제한 상태)에서, 상기 지역 기업 게이트웨이(LEG)(400)는 기업망(900)으로부터 단말(200)로 전송할 패킷을 수신하였을 경우, 이를 별도의 저장소에 버퍼링하고, 로컬 페이징 메시지를 기지국(300)으로 전송하여 자원을 할당 받는다. 이후, 상기 지역 기업 게이트웨이(LEG)(400)는 기지국(300)으로부터 수신한 ECM 설정을 위한 메시지(Service Request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즉, RRC 수립 원인(RRC Establishment cause))의 값을 변경하여 이동성 관리 장치(MME)(500)로 전송한 뒤, 자원 및 베어러 설정이 완료되면 버퍼링된 패킷(데이터)을 기지국을 통해 목적지 단말로 전송한다.
상기 지역 기업 게이트웨이(LEG)(400)와 관련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3을 통해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지역 기업 게이트웨이(LEG)(400)가 패킷(데이터)을 전송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은 도 5를 통해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역 기업 게이트웨이(LEG)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지역 기업 게이트웨이(LEG)(400)는 프록시 MME(Proxy MME) 모듈(310), 프록시 기지국(Proxy eNB) 모듈(320), 프록시 서빙 게이트웨이(Proxy SGW) 모듈(330), 프록시 기지국(Proxy eNB) 모듈(340), 패킷 분배기(Packet Distributor) 모듈(350) 및 로컬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Local GW Interface) 모듈(360)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지역 기업 게이트웨이(LEG)의 세부적인 구성은 그 기능에 따라 개별적으로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하지 않으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구성들의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프록시 MME(Proxy MME) 모듈(310)은 하위의 실제 기지국(펨토 기지국, eNB 등)(120)에 대한 MME 역할을 수행한다. 실제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시그널링 메시지를 중계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함께, 프록시 기지국(Proxy eNB) 모듈(320)도 수신된 시그널링 메시지들에 대한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여 실제 통신 사업자 망의 MME와 연동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프록시 MME(Proxy MME) 모듈(310)은 기지국(300)과 이동성 관리 장치(MME)(500) 간에 송수신되는 시그널링 메시지에서 정보(예컨대, IMSI 정보)를 획득하여 별도의 저장소의 매칭 테이블에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상기 프록시 MME(Proxy MME) 모듈(310)은 기지국과의 자원이 해제된 상태에서 기업망(900)으로부터 패킷(데이터)을 수신하였을 경우, 기지국(300)으로 단말을 깨우기 위한 로컬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프록시 MME 모듈(310)은, 기지국(300)으로부터 Service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하면, 기지국(300)으로 Identity Request 메시지를 송신하여, Service Request 메시지를 송신한 단말의 식별정보(IMSI)를 요청하고, 그에 대한 응답 메시지(Identity Response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단말의 식별정보(IMSI)를 획득한다.
상기 프록시 MME 모듈(310)은 상기 획득한 단말의 식별정보(IMSI)가 매칭 테이블에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로컬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로부터 상기 Service Request 메시지가 전송된 것인지 확인한다. 예컨대, 상기 프록시 MME 모듈(310)은 기지국(300)으로부터 단말의 식별정보(IMSI)를 획득하고, 상기 식별정보(IMSI)가 매칭 테이블에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이후, 상기 프록시 MME 모듈(310)은 식별정보(IMSI)가 매칭 테이블에 존재할 경우, 매칭되는 IP 주소에 해당하는 목적지 IP 주소를 갖는 패킷(데이터)이 버퍼링되어 있으면, 기지국(300)으로부터 수신한 Service Request 메시지는 로컬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로부터 응답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프록시 MME 모듈(310)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Service Request 메시지가 로컬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로부터 응답된 것이 아닐 경우, 상기 수신한 Service Request 메시지를 그대로 프록시 기지국 모듈(320)로 전송한다.
상기 프록시 MME 모듈(310)은 기지국(300)으로부터 수신한 Service Request 메시지가 로컬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로부터 응답된 것일 경우, 프록시 기지국 모듈(320)로 Initial UE Message에 포함되는 RRC 수립 원인(Establishment cause) 정보의 값을 Mo-Data로 변경한 후, Service Request 메시지에 포함시켜 전송한다. 상기 Mo-Data는 발신(예컨대, 단말에서 전송할 패킷(데이터)이 있다는 의미)에 의해 깨어나서 망에 접속한다는 의미이다.
상기 프록시 MME 모듈(310)은 기지국(300)과 EPC망(MME)(500) 간에 송수신되는 시그널링 메시지 정보를 이용하여 IMSI 정보를 획득하고 저장할 수 있다.
프록시 서빙 게이트웨이(Proxy SGW) 모듈(330)은 하위의 실제 기지국(펨토 기지국, eNB 등)(300)에 대해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GW) 역할을 수행한다. 실제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패킷(데이터)를 중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프록시 서빙 게이트웨이 모듈(330)은 기지국(300)으로부터 수신되는 패킷(데이터)을 상위의 패킷 분배기(350)로 송신하고, 패킷 분배기(350)로부터 수신된 패킷(데이터)를 기지국(300)으로 송신한다.
상기 프록시 서빙 게이트웨이 모듈(330)은 저장소에 버퍼링된 패킷(데이터)을 기지국(300)으로 중계할 수 있다.
프록시 서빙 게이트웨이 모듈(330)은 단말로부터 패킷(데이터)이 발생할 경우, TeID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패킷(데이터)에는 TeID 및 단말의 IP 주소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프록시 서빙 게이트웨이 모듈(330)은 상기 TeID를 사용하고 있는 세션 정보를 검색한 후, 단말의 IP 주소 정보를 IMSI와 매칭시켜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패킷 분배기(Packet Distributor)(350)는 프록시 서빙 게이트웨이 모듈(330)로부터 수신된 패킷(데이터)을 분석하여 기업망(900)으로 전달할지 여부를 판단하고, 기업망(900)으로 전달해야하는 경우 로컬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 모듈(360)로 패킷(데이터)를 전달한다. 반면, 상기 패킷(데이터)가 기업망(900)으로 전달되지 않아도 되는 패킷(데이터) 즉, 사업자망(예컨대, 인터넷망)(800)으로 전달되어야 하는 패킷(데이터)인 경우, 상기 패킷 분배기(350)는 해당 패킷(데이터)을 프록시 기지국 모듈(340)로 송신한다. 이때, 상기 패킷 분배기(350)는 수신된 패킷(데이터)의 목적지 IP 주소를 확인하여, 상기 목적지 IP 주소가 기업망의 IP 주소인 경우 기업망(900)으로 패킷(데이터)를 전송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사업자망(예컨대, 인터넷망)(800)으로 패킷(데이터)를 전달하여 패킷 브레이크아웃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업망(900)의 IP 주소는 별도의 저장소에 사전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프록시 기지국 모듈(340)은 수신된 패킷(데이터)에 대해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여 실제 통신 사업자망의 서빙 게이트웨이(600)와 연동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패킷 분배기(Packet Distributor)(350)는 기지국(300)과 자원이 해제된 상태에서 기업망(900)으로부터 패킷(데이터)을 수신하면, 상기 패킷(데이터)를 별도의 저장소에 버퍼링(저장)한다. 상기 패킷 분배기(Packet Distributor)(350)는 자원이 할당되고 기지국 및 단말 간에 베어러가 설정되면, 상기 버퍼링한 패킷(데이터)을 목적지 단말로 전송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역 기업 게이트웨이(LEG)의 패킷(데이터) 처리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지역 기업 게이트웨이(LEG)(400)를 포함하는 시스템은 각 구성 간의 연결이 이루어진 정상적인 상태로, 시그널링 메시지 송수신 및 패킷(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것으로 가정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지역 기업 게이트웨이(LEG)(400)는 기지국(300)으로부터 패킷(데이터)을 수신한다(S410). 상기 지역 기업 게이트웨이(LEG)(400)는 수신된 패킷(데이터)에서 목적지 IP 주소를 추출한다(S420).
상기 지역 기업 게이트웨이(LEG)(400)는 상기 추출한 목적지 IP 주소를 기업망 IP 주소와 비교한다(S430). 즉, 상기 패킷(데이터)가 기업망으로 전송해야 할 패킷인지 판단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기업망 IP 주소는 관리자 등에 의해 사전에 별도의 저장소에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그 결과가 일치하면 상기 지역 기업 게이트웨이(LEG)(400)는 상기 패킷(데이터)를 기업망(900)으로 라우팅한다(S440). 이때, 상기 지역 기업 게이트웨이(LEG)(400)는 NAT 기능을 통해 패킷(데이터)의 헤더 정보를 변경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상기 패킷(데이터)가 정상적으로 기업망(900)으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반면, 일치하지 않을 경우 상기 패킷(데이터)를 EPC망(예컨대, 서빙 게이트웨이(SGW)(600))으로 라우팅한다(S450).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치에서의 패킷(데이터) 전송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패킷 브레이크아웃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예컨대, 지역 기업 게이트웨이(LEG)(400)는 기지국과 코어망(MME/SGW)(500)(600)의 사이에 위치한다. 이때, 상기 지역 기업 게이트웨이(LEG)(400)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은 일정 시간 동안 패킷(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지지 않아, 기지국(300)이 자원의 효율성을 위해 자원(예컨대, 기지국과 단말간의 무선자원(LTE-Uu), 기지국과 지역 기업 게이트웨이(LEG) 사이의 S1자원 등)을 해제한 상태이다. 이때, 상기 지역 기업 게이트웨이(LEG)(400)는 기업망(900)으로부터 패킷(데이터)을 수신한 경우, 상기 패킷(데이터)을 목적지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절차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장치에서의 패킷(데이터)을 전송하기 위한 절차에 대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역 기업 게이트웨이(LEG)(400)는 기업망(로컬 서버)(900)으로부터 단말로 전송할 패킷(데이터)을 수신하면, 별도의 저장소에 상기 패킷(데이터)을 버퍼링(저장)한다(S510). 이때, 상기 지역 기업 게이트웨이(LEG)(400)는 기지국(300)과의 자원 연결이 해제된 상태이기 때문에 아래와 같은 단계를 거쳐 상기 버퍼링된 패킷(데이터)을 목적지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A. 로컬 페이징 메시지 송신 단계
: 기업망(900)으로부터 수신된 패킷(데이터)이 자원 해제된 단말로 송신되어야 하는 패킷(데이터)인 경우, 지역 기업 게이트웨이(LEG)(400)는 해당 단말이 위치한 기지국(HeNB)으로 로컬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한다(S520). 이때, 기업망(900)으로부터 수신된 패킷 여부의 확인은, 지역 기업 게이트웨이(LEG)(400)가 수신한 패킷(데이터)의 소스 IP 주소를 체크하여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기업망(로컬 서버)(900)으로부터 수신한 패킷(데이터)의 소스 IP 주소와 사업자망(인터넷망)(800)으로부터 수신한 패킷(데이터)의 소스 IP 주소는 상이하다. 상기 로컬 페이징 메시지에는 Message Type, UE Identity Index Value, UE Paging Identity, CN Domain, TAI 등의 파라미터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UE Paging Identity는 그 값으로 IMSI 또는 TMSI를 설정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TMSI는 임시로 생성되는 번호로 변동성이 있어 관리가 어렵기 때문에, 지역 기업 게이트웨이(LEG)(400)는 IMSI를 UE Paging Identity 파라미터의 값으로 사용한다.
이때, 상기 지역 기업 게이트웨이(LEG)(400)는 수신한 패킷(데이터)의 IP 주소와 매핑되는 단말의 식별정보(IMSI)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단말의 식별정보(IMSI)를 로컬 페이징 메시지에 포함시켜 기지국(HeNB)(3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HeNB)(300)은 마지막 위치 등록한 단말의 식별정보(IMSI)를 저장하고 있으므로, 지역 기업 게이트웨이(LEG)(400)로부터 단말의 식별정보(IMSI)를 포함하는 로컬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면, 식별정보(IMSI) 일치 여부를 확인하여 해당하는 기지국은 자신의 영역에 존재하는 단말들로 상기 수신한 로컬 페이징 메시지를 방송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에 따르면, 기업망(900)으로부터 수신되는 패킷(데이터)은 단말의 식별정보(IMSI)를 포함하지 않는다. 예컨대, 상기 패킷(데이터)은 소스 IP 주소(source IP), 목적지 IP 주소(destination IP) 및 사용자 데이터(user data)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지역 기업 게이트웨이(LEG)(400) 로컬 페이징 메시지에 단말의 식별정보(IMSI)를 포함시켜 전송하므로, 상기 수신한 패킷(데이터)의 목적지 IP 주소에 해당하는 단말의 식별정보(IMSI)를 추출해야 한다. 따라서, 지역 기업 게이트웨이(LEG)(400)는 기업망(로컬 서버)으로부터 수신한 패킷(데이터)의 목적지 IP 주소와 단말의 식별정보(IMSI)가 매칭된 테이블을 관리하여야 한다. 상기 매칭 테이블은 사전에 별도로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매칭 테이블에 저장되는 IMSI는 단말의 타입에 따라 2가지 방법으로 관리될 수 있다.
상기 매칭 테이블 저장 방법 중, 첫번째 방법은 단말이 고정 IP 주소를 사용할 경우로, 지역 기업 게이트웨이(LEG)(400)는 사전에 별도의 저장소에 단말의 IP 주소와 식별정보(IMSI)를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매칭 테이블 저장 방법 중, 두번째 방법은 단말이 고정 IP 주소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로, 지역 기업 게이트웨이(LEG)(400)는 기지국과 EPC망(MME/SGW)(500)(600) 간에 송수신되는 시그널링 메시지(S1-MME) 정보와 패킷(S1-U Data) 정보를 사용하여 단말의 식별정보(IMSI)와 IP 주소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6a 및 도 6b를 통해 후술하기로 한다.
B. 로컬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로부터의 응답 여부 확인 단계
: 상술한 로컬 페이징 메시지 송신 단계에서, 지역 기업 게이트웨이(LEG)(400)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HeNB)(300)은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자신의 영역에 존재하는 단말들로 상기 수신한 로컬 페이징 메시지를 방송한다. 상기 로컬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들은 기지국(HeNB)(300)과 RRC 연결(RRC Connection) 설정을 완료한다(S530). RRC 연결 설정을 완료한 단말들은, 기지국(HeNB)(300)을 거쳐 지역 기업 게이트웨이(LEG)(400)로 Service Request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S540). 상기 Service Request 메시지는 ECM 연결(RRC 연결 및 S1 시그널링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단말에서 이동성 관리 장치(MME)(500)로 송신되는 메시지이다. 상기 Service Request 메시지에는 Initial UE Message가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으며, 상기 Initial UE Message는 RRC 수립 원인(RRC Establishment cause) 정보 및 S-TMSI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RRC 수립 원인(RRC Establishment cause) 정보는 그 값이 MT-Access(Mobile Terminating-Access)로 설정된다. 상기 MT-Access는 단말이 착신에 의해서 다시 깨어나서 망에 접속한다는 의미이다. 즉, Service Request는 네트워크에 의해 트리거되었음을 의미한다. 이때, 지역 기업 게이트웨이(LEG)(400)는 기지국(HeNB)(300)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Service Request 메시지에 단말의 식별정보(IMSI)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로컬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의 구분이 불가능하다. 즉, 로컬 페이징 메시지 수신에 따른 단말이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 것인지 확인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지역 기업 게이트웨이(LEG)(400)는 기지국(HeNB)(300)으로 Identity Request 메시지를 송신하여, Service Request 메시지를 송신한 단말의 식별정보(IMSI)를 요청하고, 그에 대한 응답 메시지(Identity Response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단말의 식별정보(IMSI)를 획득한다(S550)(S560). 이후, 상기 지역 기업 게이트웨이(LEG)(400)는 상기 획득한 단말의 식별정보(IMSI)가 매칭 테이블에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로컬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로부터 상기 Service Request 메시지가 전송된 것인지 확인한다. 예컨대, 상기 지역 기업 게이트웨이(LEG)(400)는 기지국(HeNB)(300)으로부터 단말의 식별정보(IMSI)를 획득하고, 상기 식별정보(IMSI)가 매칭 테이블에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이후, 상기 지역 기업 게이트웨이(LEG)(400)는 식별정보(IMSI)가 매칭 테이블에 존재할 경우, 매칭되는 IP 주소에 해당하는 목적지 IP 주소를 갖는 패킷(데이터)이 버퍼링되어 있으면, 기지국(HeNB)(300)으로부터 수신한 Service Request 메시지는 로컬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로부터 응답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C. Service Request 메시지의 포함 정보 변경 단계
: 상술한 로컬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로부터의 응답 여부 확인 단계에서, 지역 기업 게이트웨이(LEG)(400)는 기지국(HeNB)(300)으로부터 수신한 Service Request 메시지가 로컬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로부터 응답된 것이 아닐 경우, 상기 수신한 Service Request 메시지를 그대로 이동성 관리 장치(MME)(500)로 전송한다. 반면, 상기 지역 기업 게이트웨이(LEG)(400)는 기지국(HeNB)(300)으로부터 수신한 Service Request 메시지가 로컬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로부터 응답된 것일 경우, 이동성 관리 장치(MME)(500)로 Initial UE Message에 포함되는 RRC 수립 원인(RRC Establishment cause) 정보의 값을 Mo-Data로 변경한 후, Service Request 메시지에 포함시켜 전송한다(S570). 상기 Mo-Data는 발신(예컨대, 단말에서 전송할 패킷(데이터)이 있다는 의미)에 의해 깨어나서 망에 접속한다는 의미이다. 즉 Service Request가 단말 자체에서 트리거되었음을 의미한다. 이후, 상기 Service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성 관리 장치(MME)(500)는 기존 3GPP 규격에 정의된 바와 같은 베어러 설정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어러 설정 절차가 완료되면, 지역 기업 게이트웨이(LEG)(400)는 EPC망(MME/SGW)(500)(600)에 의한 영향 없이 버퍼링된 패킷(데이터)를 목적지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치에서의 매칭 테이블을 관리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매칭 테이블의 관리 방법은 단말이 고정 IP 주소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대한 절차를 서술하며, 지역 기업 게이트웨이(LEG)(400)는 기지국(HeNB)(300)과 EPC망(MME/SGW)(500)(600) 간에 송수신되는 시그널링 메시지와 패킷(S1-U Data)을 사용하여 단말의 식별정보(IMSI)와 IP 주소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도 6a는 지역 기업 게이트웨이(LEG)(400)가 기지국과 EPC망(MME/SGW)(500)(600) 간에 송수신되는 시그널링 메시지 정보를 이용하여 IMSI 정보를 획득하고 저장하는 절차에 대한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지역 기업 게이트웨이(LEG)(400)는 기지국(HeNB)(300)으로부터 Attach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한다. 상기 Attach Request 메시지는 IMSI 또는 S-TMSI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Attach Request 메시지에는 S1 Initial UE Message가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으며, 상기 Initial UE Message는 eNB UE S1AP ID(베어러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S611).
상기 지역 기업 게이트웨이(LEG)(400)는 수신한 메시지에 IMSI가 포함된 경우, 상기 IMSI를 매칭 테이블에 저장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기지국(HeNB)(300)으로 Downlink NAS Transport 메시지를 포함하는 Identity Request 메시지를 송신하여 IMSI 정보를 요청한다(S613)(S615). 이후, 상기 지역 기업 게이트웨이(LEG)(400)는 기지국(HeNB)(300)으로부터 uplink NAS Transport 메시지를 포함하는 Identity Response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617). 이때, 상기 Identity Response 메시지에는 IMSI가 포함되며, 상기 IMSI를 매칭 테이블에 저장할 수 있다(S619). 이후, 상기 지역 기업 게이트웨이(LEG)(400)는 이동성 관리 장치(MME)(500)로 Initial UE Message를 포함하는 Attach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한다(S621). 이때, 상기 Initial UE Message에는 LEG UE S1AP ID(베어러 설정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Attach Request 메시지에는 IMSI 또는 S-TMSI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HeNB)(300)과 EPC망(MME/SGW)(500)(600) 간에 시그널링 메시지의 전송에 따라 세션(베어러)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지역 기업 게이트웨이(LEG)(400)는 IMSI 정보를 획득하고 저장할 수 있다.
이후,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로부터 패킷(데이터)이 발생할 경우, 지역 기업 게이트웨이(LEG)(400)는 TeID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623). 상기 패킷(데이터)에는 TeID 및 단말의 IP 주소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지역 기업 게이트웨이(LEG)(400)는 상기 TeID를 사용하고 있는 세션 정보를 검색한 후, 단말의 IP 주소 정보를 IMSI와 매칭시켜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S625).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개별적인 실시 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 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의 단일 실시 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 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히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설명되었으나,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한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또는 일련의 연속된 순서, 또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모든 설명된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환경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 예에서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의 구분은 모든 실시 예에서 그러한 구분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앱 구성요소 및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 또는 멀티플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앱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시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200 : 단말(UE)
300 : 기지국(eNB)
310 : 프록시 MME(Proxy MME) 모듈
320 : 프록시 기지국(Proxy eNB) 모듈
330 : 프록시 서빙 게이트웨이(Proxy SGW) 모듈
340 : 프록시 기지국(Proxy eNB) 모듈
350 : 패킷 분배기(Packet Distributor) 모듈
360 : 로컬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Local GW Interface) 모듈
400 : 지역 기업 게이트웨이(LEG)
500 : 이동성 관리 장치(MME)
600 : 서빙 게이트웨이(SGW)
700 :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GW)
800 : 사업자망(인터넷망)
900 : 기업망

Claims (6)

  1. 기지국와 코어망 사이에 위치하고 단말과 기업망 간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에서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기업망으로부터 상기 단말로 전송할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 로컬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서비스 요청(Service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가 상기 로컬 페이징 메시지에 의해 수신된 것인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의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RRC 수립 원인(RRC Establishment cause)의 값을 변경하여 상기 코어망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망으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가 상기 로컬 페이징 메시지에 의해 수신된 것으로 확인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의 상기 RRC 수립 원인(RRC Establishment cause)의 값을 변경하지 않고 상기 코어망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가 상기 로컬 페이징 메시지에 의해 수신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의 상기 RRC 수립 원인(RRC Establishment cause)의 값을 단말 자체 트리거에 의한 서비스 요청 메시지임을 나타내는 값으로 변경하여 상기 코어망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데이터를 수신할 상기 단말의 식별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단말의 식별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 및
    그 수신된 단말의 식별정보와 상기 저장하는 단계에서 저장된 단말의 식별정보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기지국과 코어망 사이에 위치하고 단말과 기업망 간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업망으로부터 상기 단말로 전송할 데이터를 수신하는 로컬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기지국으로 로컬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그 서비스 요청 메시지가 상기 로컬 페이징 메시지에 의해 수신된 것인지 확인하고, 그 확인의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RRC 수립 원인(RRC Establishment cause)의 값을 변경하여 상기 코어망으로 전송하는 프록시 MME 모듈; 및
    상기 로컬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 모듈에서 수신된 상기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프록시 서빙 게이트웨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프록시 MME 모듈은,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가 상기 로컬 페이징 메시지에 의해 수신된 것으로 확인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의 상기 RRC 수립 원인(RRC Establishment cause)의 값을 변경하지 않고 상기 코어망으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가 상기 로컬 페이징 메시지에 의해 수신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의 상기 RRC 수립 원인(RRC Establishment cause)의 값을 단말 자체 트리거에 의한 서비스 요청 메시지임을 나타내는 값으로 변경하여 상기 코어망으로 전송하는 장치.
  5. 삭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록시 MME 모듈은,
    상기 데이터를 수신할 상기 단말의 식별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한 후,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단말의 식별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그 수신된 식별정보와 상기 저장한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가 상기 로컬 페이징 메시지에 의해 수신된 것인지 확인하는 장치.
KR1020160031644A 2016-03-16 2016-03-16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Active KR101780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1644A KR101780402B1 (ko) 2016-03-16 2016-03-16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1644A KR101780402B1 (ko) 2016-03-16 2016-03-16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0402B1 true KR101780402B1 (ko) 2017-09-20

Family

ID=60033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1644A Active KR101780402B1 (ko) 2016-03-16 2016-03-16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040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7783B1 (ko) * 2012-07-26 2013-08-20 콘텔라 주식회사 Lte 사내망 로컬 통신 시스템 및 로컬 통신 방법
US20150173121A1 (en) * 2012-08-02 2015-06-1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signaling in a core networ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7783B1 (ko) * 2012-07-26 2013-08-20 콘텔라 주식회사 Lte 사내망 로컬 통신 시스템 및 로컬 통신 방법
US20150173121A1 (en) * 2012-08-02 2015-06-1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signaling in a core networ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7482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ell specific procedure or mobility procedure for network slice-based N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721738B2 (en) Base station device, gateway device, call connecting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49364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ell specification procedure for network slice-based n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6005816B2 (ja) フェムトセルを含む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ローカルipアクセスサポート方法及び装置
US9357571B2 (en) Local network and method for establishing connection between local gateway and home base station
CN101990247B (zh) 数据传输方法、装置和通信系统
US9635122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cont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2238634A (zh) 在无线网络中进行数据分流的方法及其装置
US20160150513A1 (en) Method and device for host configuration
KR20100110417A (ko) 펨토 셀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lbo 서비스 지원 방법 및 장치
KR101663655B1 (ko) 사설망 환경에서의 핸드오버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사설망 시스템
KR101383294B1 (ko) 데이터 오프로딩 접속을 제어하는 기지국 장치 및 가상화 기지국 시스템
KR101780402B1 (ko)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587416B1 (ko) Lte 펨토셀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ip 주소 획득 방법
AU2013201325B2 (en) A Traffic Offloading Apparatus
KR101555648B1 (ko) 펨토 기지국이 매크로 기지국과 x2 핸드오버 연동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펨토 게이트웨이
KR20160092388A (ko) 이동형 소형셀에서 로컬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세션 제어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3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9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9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