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9779B1 - Panel of sawing-pot for hydroponic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Panel of sawing-pot for hydroponic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79779B1 KR101779779B1 KR1020150092568A KR20150092568A KR101779779B1 KR 101779779 B1 KR101779779 B1 KR 101779779B1 KR 1020150092568 A KR1020150092568 A KR 1020150092568A KR 20150092568 A KR20150092568 A KR 20150092568A KR 101779779 B1 KR101779779 B1 KR 1017797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eding
- soil
- port
- inner space
- coagula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3501 hydroponics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4
- 238000010899 nucle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39000000701 coagul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5000013312 flou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5000013339 cereal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10001562 pear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10052902 vermicu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9354 vermiculit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455 vermiculi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9331 s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5784 germi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382 pot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41000209140 Trit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307 Trit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12 coagul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21 hard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513 impla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36 milk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67 mil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80 milk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307 optical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26 seed germi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11 soli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3 soli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01G31/001—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 A01G9/1066—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수경재배용 파종포트 패널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경재배용 파종포트 패널은 상부로 개방된 내부공간이 바닥 쪽에 형성된 수경구멍과 통하도록 마련된 파종포트 복수개가 상호 분리 가능한 상태로 종횡으로 연결되어 패널 형태를 이루고, 상기 각 파종포트의 내부공간에는 씨앗이 파종된 상태로 토양이 수용되되, 상기 내부공간의 토양은 물에 풀어질 수 있는 응고제를 통해 형체가 고정된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에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isclosed is a seedling pot panel for hydroponic cultivation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The planting pot port panel for hydroponic cultiv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seeding ports provid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hydraulic hol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planting space, The soil in the inner space may be configured to be adhered to the inner space in a fixed state through a coagulant that can be released into water, while seeds are sown in the inner space of the port.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경재배용 파종포트 패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씨앗이 파종된 상태로 수용되어 있는 파종포트 복수개가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수경재배용 파종포트 패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ing pot port panel for hydroponic cultivation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ing pot port panel for hydroponic cultiv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seeding ports housed in seeds in a seeded state are integrally connected .
식물을 파종, 발아, 육묘 등에 사용되는 다양한 포트 중에는 수경재배에 적합하도록 마련된 수경재배용 포트가 있다. Among the various ports used for planting, germination, seedling, etc., there is a hydroponic pot suitable for hydroponics.
한국 등록특허 제10-1360222호는 이와 같은 수경재배용 포트 복수개가 상호 분리 가능한 상태에서 패널 형태를 이루도록 연결되어 있는 수경재배용 포트패널의 일례를 제시하고 있다. Korean Patent No. 10-1360222 discloses an example of a port panel for hydroponic cultiv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ports for hydroponic cultivat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form a panel in a mutually separable state.
상기 공보에 개시된 수경재배용 포트패널은 저부에 수경구멍을 구비하고, 수경구멍과 통하도록 마련된 상부로 개방된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수경재배용 포트 복수개가 상호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부를 통해 일체로 연결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The hydroponic cultivation port panel disclosed in the above publication is provided such that a plurality of hydroponic cultivation ports having hydroponic holes at the bottom and having an inner space opened to the upper side and communicating with the hydropneumatic holes are integrally connected through a connection portion so as to be mutually separable .
따라서 이와 같은 수경재배용 포트패널은 파종 과정에서는 복수의 수경재배용 포트가 연결부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있는 상태로 이용할 수 있고, 수경재배용틀에 식물을 정식하는 과정에서는 별도의 스펀지 등을 사용하지 않고, 개별 수경재배용 포트들을 상호 분리시킨 상태에서 바로 수경재배용틀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갖게 된다. Therefore, the hydroponic harvesting port panel can be used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hydroponic harvesting por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onnection part in the seeding process, and a sponge or the like is not used in the process of plant- The hydroponic harvesting ports can be installed in a hydroponic cultivation frame immediately after they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그러나, 종래 수경재배용 포트패널의 경우, 포트 내부에 파종된 씨앗이나 토양이 포트에 가해지는 경미한 충격에도 외부로 쏟아져 나올 우려가 컸기 때문에, 씨앗이 파종된 상태로 포트패널을 유통시키거나, 장기간 보관하기가 어려웠으며, 씨앗이 파종된 상태의 포트패널은 필요시 개별 포트 사이를 분리시키는 데에도 어려움이 많았다. However, in the case of conventional potting panels for hydroponic cultivatio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seeds or soil sown in the pots may be poured out even in the case of a slight impact applied to the pots. Therefore, And it was also difficult to separate the individual ports from each other when necessary.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내부에 씨앗이 파종된 상태로 수용되어 있는 파종포트 복수개가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안전하게 유통 및 보관할 수 있도록 마련된 파종포트 패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seeding port panel that can be safely circulated and stored even in a state where a plurality of seeding ports accommodated in a state where seeds are sown therein ar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또한, 상호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파종포트 사이를 분리시키는 과정에서도 개별 파종포트 내부에 수용된 토양과 씨앗이 외부로 유실될 우려가 없도록 마련된 수경재배용 파종포트 패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edling port panel for hydroponic cultivation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eedling port panel for the hydroponic cultivation, wherein the soil and the seed contained in the individual seeding port are prevented from being lost to the outside even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a plurality of seeding ports connected to each other .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부로 개방된 내부공간이 바닥 쪽에 형성된 수경구멍과 통하도록 마련된 파종포트 복수개가 상호 분리 가능한 상태로 종횡으로 연결되어 패널 형태를 이루고, 상기 각 파종포트의 내부공간에는 씨앗이 파종된 상태로 토양이 수용되되, 상기 내부공간의 토양은 물에 풀어질 수 있는 응고제를 통해 형체가 고정된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에 부착된 수경재배용 파종포트 패널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eeding ports provided so as to communicate with a hydraulic hole formed on the bottom side of an inner space opened to the upper side are connected in a longitudinal and horizontal manner in a mutually separable state to form a panel shape, The soil of the inner space may be provided with a seeding port panel for hydroponic cultivation adhering to the inner space in a state in which the shape is fixed through a coagulant that can be loosened in water.
또한, 상기 토양은 파종된 상기 씨앗을 기준으로 저부의 하부토양층과, 상기 씨앗을 덮도록 상기 하부토양층 상부에 복토되는 상부토양층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토양층은 상기 상부토양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입자 크기를 갖도록 마련되며, 상기 응고제는 적어도 상기 상부토양층의 상부영역을 응고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oil includes a lower soil layer at the bottom and a top soil layer at the top of the lower soil layer to cover the seed, based on the sown seeds, and the lower soil layer has a relatively larger particle size And the coagulant may be provided to coagulate at least the upper region of the upper soil layer.
상기 하부토양층은 펄라이트로 마련되고, 상기 상부토양층은 질석으로 마련될 수 있다. The lower soil layer may be made of pearlite, and the upper soil layer may be made of vermiculite.
상기 응고제는 수분과, 상기 수분에 용해된 응고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응고물질은 곡물가루를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coagulant comprises water and a coagulant material dissolved in the water, and the coagulant material may comprise a grain flour.
상기 응고제는 수분과, 상기 수분에 용해된 응고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수분은 양액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agulant may include water and a coagulating material dissolved in the water, and the water may include a nutrient solution.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내부공간이 상부로 개방되고, 내부공간과 통하도록 바닥 쪽에 수경구멍을 구비하는 파종포트 복수개가 종횡으로 상호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포트패널을 준비하는 포트패널 준비단계; 각 상기 파종포트의 내부공간에 토양을 깔고 씨앗을 투입한 후 복토하는 파종단계; 및 상기 내부공간의 토양에 물에 풀어질 수 있는 응고제를 주입하여 상기 토양이 형태가 고정된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에 부착되도록 하는 응고제 주입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파종포트는 상기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경구멍은 상기 본체부의 바닥과 각 측벽 사이의 연접부 둘레를 따라 형성된 복수개로 마련되며, 상기 토양은 파종된 상기 씨앗을 기준으로 펄라이트로 마련된 저부의 하부토양층과, 상기 씨앗을 덮도록 상기 하부토양층 상부에 복토되는 질석으로 마련된 상부토양층을 포함하고, 상기 응고제는 양액과, 상기 양액에 용해된 곡물가루를 포함하여 상기 응고제 주입단계에서 상기 상부토양층의 상부영역에 주입되는 수경재배용 파종포트 패널의 제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 panel preparation method for preparing a port panel having a plurality of seeding ports vertically and horizontally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inner space being open to the upper side and the seeding port having the hydraulic hole at the bottom side to communicate with the inner space. A seeding step of spreading soil after laying the soil in the inner space of each seeding port; And a coagulant injecting step of injecting a coagulant capable of being dissolved in water into the soil of the inner space so that the soil is adhered to the inner space in a fixed form, wherein the seeding port forms the inner space Wherein the hydroponicshole is provided in a plurality of holes formed along a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and each of the sidewalls and the soil is composed of a bottom soil layer of a bottom portion provided with pearlite on the basis of the sown seed, Wherein the coagulant comprises a nutrient solution and a cereal flour dissolved in the nutrient solution and is fed into the upper region of the upper soil layer in the coagulant injecting step, A manufacturing method of a planting port panel for cultivation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경재배용 파종포트 패널은 상호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된 개별 파종포트 내부에 파종된 상태로 수용된 씨앗이니 토양이 물에 풀어질 수 있는 응고제를 통해 형체가 고정된 상태로 파종포트 내부에 부착된다. The seeding port panel for hydroponic cultiv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ed contained in an individual seeding port connected to be detachable so that the soil is seeded. Respectively.
따라서 본 실시 예의 수경재배용 파종포트 패널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내부에 씨앗이 파종된 상태로 수용되어 있는 파종포트 복수개가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안전하게 유통 및 보관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상호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파종포트 사이를 분리시키는 과정에서도 개별 파종포트 내부에 수용된 토양과 씨앗이 외부로 유실될 우려가 없게 된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lanting pot panel for hydroponic cultivatio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nd the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it is possible to safely distribute and store even a plurality of seeding ports housed in a state in which the seeds are sown in an integrated state, So that the soil and the seed contained in the individual seeding port are not lost to the outside even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plurality of seeding ports connected to each oth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경재배용 파종포트 패널의 제조공정 순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경재배용 파종포트 패널을 구성하는 포트패널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2 및 3에 도시된 포트패널을 구성하는 파종포트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경재배용 파종포트 패널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파종포트 사이가 절단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FIG. 1 shows a manufacturing process sequence of a planting port panel for hydroponic cultiv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port panel constituting a planting port panel for hydroponic cultiv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eeding port constituting the port panel shown in FIGS. 2 and 3.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seeding port panel for hydroponic cultiv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shows a state in which the seeding ports of Fig. 5 are cut off.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For the sake of clarity, the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and the size of the elements may be slightly exaggerat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경재배용 파종포트 패널(100)은 포트패널 준비단계(S1)-파종단계(S2)-응고제 투입단계(S3)를 포함하는 제조과정을 통해 마련된다.1, a planting
포트패널 준비단계(S1)에서 준비되는 포트패널(1)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공간(11)이 상부로 개방되고, 내부공간(11)과 통하도록 바닥(12) 쪽에 수경구멍(15)을 구비하는 파종포트(10) 복수개가 종횡으로 상호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패널 형태를 이루도록 마련된다. 2 to 4, the
포트패널(1)은 폴리에틸렌(PE) 또는 코팅된 종이를 소재로 하여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코팅된 종이는 내면 또는 양면이 코팅된 펄프 몰드로써, 기존 펄프 몰드형 도시락이나 우유팩에 사용되는 것과 같이 물을 잘 머금지 않는 코팅 종이가 될 수 있다. The
포트패널(1)의 각 파종포트(10)는 상기 내부공간(11)을 형성하는 본체부(10a)와, 본체부(10a) 상부 둘레에 외측으로 절곡 연장된 플랜지부(10b)를 구비할 수 있다. Each
본체부(10a)는 바닥(12)과, 바닥(12) 둘레에 입설되는 측벽(13)들을 통해 내부공간(11)이 상부로 개방된 대략 육면체 모양의 통 형태를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다. 후술하게 될 일반 육묘용 트레이(미도시)에 포트패널(1)을 적층시키는 과정에서 개별 파종포트(10)가 육묘용 트레이(미도시)의 개별 포트에 삽입되기 용이하도록 본체부(10a)는 상부에서 저부 쪽으로 갈수록 단면적 크기가 줄어드는 통 모양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측벽(13) 사이의 모서리나 측벽(13) 중도는 부분적으로 곡면을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본체부(10a) 상부 둘레에 마련되는 플랜지부(10b)는 후술하게 될 수경재배틀(미도시)에 끼워지는 과정에서 파종포트(10)가 수경재배틀(미도시)의 이식홀에 걸려 지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The
포트패널(1)을 구성하는 각 파종포트(10)들 사이는 쉽게 절단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1a)를 통해 상호 일체로 연결되며, 연결부(1a)는 각 파종포트(10)의 플랜지부(10b)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개별 파종포트(10) 사이는 상기 연결부(1a) 한 쌍을 통해 연결된다. The
연결부(1a)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파종포트(10) 사이의 결속이 유지되도록 하면서도, 손으로 힘을 가하거나 칼과 같이 간단한 절단도구를 사용할 경우 쉽게 절단될 수 있도록 재질적 특성을 감안하여 적당한 두께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연결부(1a)는 중도에 절취선을 형성하는 형태도로 수비게 절단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connecting
또한 수경구멍(15)은 파종을 위해 내부공간(11)에 충진되는 상토(20)가 저부로 빠져 나가지 않도록 하면서도 수경재배시 배수, 통기 작용이 원활하게 되도록 함은 물론 식물의 성장과정에서 뿌리가 저부로 원할하게 인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본 실시 예의 경우, 수경구멍(15)은 본체부(10a)의 바닥(12)과 각 측벽(13) 사이의 연접부에 가공된 홀 형태로 마련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수경구멍(15)은 바닥(12)에 칼금을 내는 방식으로도 구성될 수 있으며, 칼금과 가공홀을 적절히 조합하는 형태로도 수경구멍(15)의 구현은 가능하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이와 같은 포트패널(1)이 준비된 상태에서는 포트 패널(1) 상의 각 파종포트(10) 내부공간(11)에 토양(20)을 깔고 씨앗(30)을 투입한 후 복토하는 파종단계(S2)가 수행된다. 도 5에는 파종단계(S2)와 응고제 주입단계(S3)까지 완료된 수경재배용 파종포트 패널(100)의 구조가 도시된다. In the state in which the
파종을 위한 토양(20)은 씨앗(30)을 투입하기 전 내부공간(11)에 충진되는 것으로써 파종된 씨앗(30)을 기준으로 저부에 위치하는 하부토양층(21)과, 하부토양층(21) 위에 투입된 씨앗을 덮기 위해 하부토양층(21) 상부에 복토되는 상부토양층(2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하부토양층(21)은 통기를 고려하여 통기성이 우수한 펄라이트로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부토양층(22)은 씨앗(30)이 발아하는데 필요한 수분 유지 기능을 위해 펄라이트에 비해 입자크기가 작은 버미큐라이트(질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따라서 포트패널(1)을 구성하는 각각의 파종포트(10) 내부에 먼저 하부토양층(21)을 충진하고, 하부토양층(21) 상부에 씨앗(30)을 투입한 상태에서 하부토양층(21) 상부에 상부토양층(22)이 복토되도록 함에 따라 파종단계(S2)는 완료될 수 있다. 파종단계(S2)는 개별 파종포트(10) 별로 하나씩 완료되도록 할 수도 있고, 모든 파종포트(10)에 하부토양층(21)을 깔고 씨앗(30)을 투입하는 방식으로도 수행될 수 있다.The
파종단계(S2)가 완료되면, 개별 파종포트(10) 내부공간(11)의 토양(20)에 물에 풀어질 수 있는 응고제(40)를 주입하여 토양이 형태가 고정된 상태로 내부공간(11)에 부착되도록 하는 응고제 주입단계(S3)가 수행된다. When the seeding step S2 is completed, the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수경재배용 파종포트 패널(100)은 씨앗(30)의 파종을 위해 각 파종포트(10)에 충진된 토양(20)이 응고제(40)를 통해 내부공간(11)에 충진된 형체 그대로 파종포트(10)에 부착됨에 따라, 기울어지거나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각 파종포트(10)의 내부공간(11)에 충진된 토양(20)이나 씨앗(30)이 소실될 우려 없이 씨앗(30)의 파종 상태를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The
따라서 이러한 수경재배용 파종포트 패널(100)은 제작처에서 포트패널(1)의 각 파종포트(1)의 내부공간(11)에 씨앗(30)이 파종된 상태로 다량으로 생산하여 장기간 보관하거나, 장거리로의 이송과정에서도 각 파종포트(10) 내부에 씨앗(30)과 토양(20)이 파종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hydroponic
또한 사용처에서 보면, 수경재배용 파종포트 패널(100)은 필요시 일부 파종포트(10) 사이의 연결부(1a)를 분리시켜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a)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파종포트(10)가 과도하게 기울어지는 경우에도 파종포트(10) 내부에 씨앗(30)과 토양(40)이 파종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수경재배용 파종포트 패널(100)을 이용한 작업효율성 측면에서도 유리한 이점을 갖게 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when the
또한 응고제(40)는 밀가루, 녹말가루와 같은 곡물가루로 마련된 응고물질을 수분에 용해시키는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응고물질이 녹말가루나 밀가루와 같은 곡물가루와 수분을 통해 만들어지는 응고제(40)는 환경 위해 요인으로 작용할 우려가 없음은 물론 씨앗의 발아과정에서 영양요소로 작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된다. 또한 응고제(40)를 형성하는 수분의 경우에도 씨앗의 발아과정에서 영양분으로 활용될 수 있는 양분이 첨가된 양액으로 구성될 수 있다. Also, the
이와 같은 응고제(40)는 상토(20)에 투입되어 경화되는 과정에서 상토(20) 입자 사이를 결속시키면서 내부공간(11)의 측벽(13) 내면에 접착되어 파종을 위해 내부공간(11)에 충진된 토양(20)과 씨앗(30)이 충진된 형태 그대로 형체가 고정된 상태에서 내부공간(11)에 부착된 상태를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The
또한 응고제(40)는 토양(20) 전체적으로 주입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응고제(40)가 상부토양층(22)의 상부영역만을 응고시켜 측벽(13) 내면에 부착되도록 한 상태에서도 내부공간(11)에 충진된 토양(20)과 씨앗(30)은 정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응고제(40)의 사용량에 따른 경제성을 고려했을 때, 응고제(40)는 응고제 주입단계(S3)에서 상부토양층(22)의 상부영역만을 응고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응고제(40)는 흘림방식이나 분무방식 등을 통해 상부토양층(22)의 상부영역으로 주입될 수 있다. The
또한 곡물가루의 경우 수분이 건조되어 경화된 이후 다시 수분이 가해지면, 가해진 수분에 의해 쉽게 풀어지는 성질을 발휘하게 되므로, 수경재배용 파종포트 패널(100)은 발아 전에 각 파종포트(10) 상부로 물을 뿌림에 따라 응고제(40)가 수분에 의해 풀어지면서 씨앗(30)의 원활한 발아가 가능하게 된다. In the case of cereal flour, if the moisture is dried and then hardened, moisture is applied again, the
또 발아를 위해서는 각 파종포트(10)의 저부가 물에 잠기도록 별도로 준비된 물통(미도시)에 수경재배용 파종포트 패널(100)을 올려 높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도 응고제(40)는 수경구멍(15) 통해 토양(20)으로 흡수되는 수분을 통해 풀어질 수 있게 되므로, 이럴 경우, 수경재배용 파종포트 패널(100) 이용자는 발아 전 별도로 응고제(40)의 응고상태가 풀리도록 하는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게 된다. In order to germinate, the
씨앗을 발아시키는 과정에서 수경재배용 파종포트 패널(100)은 일반 육묘용 트레(미도시)이 상부에 끼워질 수 있고, 이에 따라 발아 후 육묘되는 과정에서 식물의 뿌리는 수경구멍(15)을 통해 파종포트(10) 저부와 육묘용 트레이(미도시)의 포트 사이의 공간으로 뿌리가 인출되면서 뿌리내림을 할 수 있게 된다. In the process of germinating seeds, the planting
그리고 육묘단계가 이후 정식을 하고자 할 경우, 수경재배용 파종포트 패널(100)은 육묘용 트레이(미도시)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연결부(1a)를 절단하여 개별 파종포트(10)들 사이가 분리되도록 한 후, 분리된 파종포트(10)들을 식물이 육묘된 상태 그대로 수경재배용틀(미도시)의 이식홀에 수분흡수가 가능하게 거치되도록 이식하여 바로 수경재배 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planting step is to be performed later, the
S1: 포트패널 준비단계 S2: 파종단계
S3: 응고제 주입단계 1: 포트패널
1a: 연결부 10: 파종포트
10a: 본체부 10b: 플랜지부
11: 내부공간 12: 바닥
13: 측벽 15: 수경구멍
20: 상토 21: 하부토양층
22: 상부토양층 30: 씨앗
40: 응고제S1: Port panel preparing step S2: Sowing step
S3: Coagulant injection step 1: Port panel
1a: connection 10: seeding port
10a:
11: inner space 12: bottom
13: side wall 15: hydraulic hole
20: soil 21: lower soil layer
22: Upper soil layer 30: Seeds
40: Coagulant
Claims (6)
각 상기 파종포트의 내부공간에 토양을 깔고 씨앗을 투입한 후 복토하는 파종단계; 및
상기 내부공간의 토양에 물에 풀어질 수 있는 응고제를 주입하여 상기 토양이 형태가 고정된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에 부착되도록 하는 응고제 주입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파종포트는 상기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경구멍은 상기 본체부의 바닥과 각 측벽 사이의 연접부 둘레를 따라 형성된 복수개로 마련되며,
상기 토양은 파종된 상기 씨앗을 기준으로 펄라이트로 마련된 저부의 하부토양층과, 상기 씨앗을 덮도록 상기 하부토양층 상부에 복토되는 질석으로 마련된 상부토양층을 포함하고,
상기 응고제는 양액과, 상기 양액에 용해된 곡물가루를 포함하여 상기 응고제 주입단계에서 상기 상부토양층의 상부영역에 주입되는 수경재배용 파종포트 패널의 제조방법.
A port panel preparation step of preparing a port panel in which a plurality of seeding ports having an inner space opened to the upper side and having a hydraulic hole on the bottom side to communicate with the inner space are vertically and horizontally detachably connected;
A seeding step of spreading soil after laying the soil in the inner space of each seeding port; And
And a coagulant injecting step of injecting a coagulant capable of being dissolved in water into the soil of the inner space so that the soil is adhered to the inner space in a fixed form,
Wherein the seeding port includes a body portion forming the inner space and the hydraulic hole is provided in a plurality of positions along a circumference of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a bottom of the main body and each side wall,
Wherein the soil includes a lower soil layer at the bottom provided with pearlite on the basis of the sown seed and an upper soil layer provided with vermiculite to cover the seed at the upper part of the lower soil layer,
Wherein the coagulant is injected into the upper region of the upper soil layer in the coagulant injecting step including the nutrient solution and the grain flour dissolved in the nutrient solu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2568A KR101779779B1 (en) | 2015-06-29 | 2015-06-29 | Panel of sawing-pot for hydroponic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2568A KR101779779B1 (en) | 2015-06-29 | 2015-06-29 | Panel of sawing-pot for hydroponic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2794A KR20170002794A (en) | 2017-01-09 |
KR101779779B1 true KR101779779B1 (en) | 2017-09-20 |
Family
ID=57811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92568A Expired - Fee Related KR101779779B1 (en) | 2015-06-29 | 2015-06-29 | Panel of sawing-pot for hydroponic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79779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95846A (en) | 2018-02-07 | 2019-08-16 | 진병진 | Sprout pack and sprout cultiv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513132A (en) | 2005-10-25 | 2009-04-02 | ハウジング・アンド・ディヴェロップメント・ボード | Container used for rooftop greening system and rooftop greening system using the container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60222B1 (en) | 2012-04-20 | 2014-02-12 | 대한민국 | The connected pot for hydroponics and the method of raising seedlings using the same |
-
2015
- 2015-06-29 KR KR1020150092568A patent/KR10177977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513132A (en) | 2005-10-25 | 2009-04-02 | ハウジング・アンド・ディヴェロップメント・ボード | Container used for rooftop greening system and rooftop greening system using the container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95846A (en) | 2018-02-07 | 2019-08-16 | 진병진 | Sprout pack and sprout cultiv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2794A (en) | 2017-01-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10203175A1 (en) | Modular gardening system and method | |
KR20140068414A (en) | Screw type seedling pot | |
KR101779779B1 (en) | Panel of sawing-pot for hydroponic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CN207399984U (en) | Convenient for the device for raising seedlings of planting vegetable in greenhouse | |
CN101080993B (en) | Pot bowl connecting type pot shaped blanket type rice seedling disk | |
JP4976510B2 (en) | Water-saving wooden planter | |
CN104969792A (en) | A material easy for lifting seedlings from flowerpots and planting and seedling lifting methods | |
KR101360222B1 (en) | The connected pot for hydroponics and the method of raising seedlings using the same | |
JP3156077B2 (en) | Mat growing tray and plant growing method | |
JP4701317B1 (en) | Rocky planting tools | |
KR101698112B1 (en) | Apparatus for raising seedlings having blockmat style seedbed and nursery Box | |
KR101821014B1 (en) | management container for cultivaton of plant | |
KR20130022838A (en) | Cultivating pot for growing vegetables and device for growing vegetables | |
JP3996621B1 (en) | Mat material using turf,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herbicidal method and weeding method using the same, planting block and planting structure using the same | |
JP2008092942A (en) | Planting block and planting structure | |
JP3136390U (en) | Container for group planting | |
JP2600891B2 (en) | Nursery | |
CN207692505U (en) | A kind of water-saving nursery slot | |
KR200183234Y1 (en) | The flat with a draining hoop | |
KR200473963Y1 (en) | A Flowerpot | |
EP1166622A1 (en) | Array for long-term storage of seeds pre-planted in blocks | |
CN206196336U (en) | A kind of Yunnan Paris polyphylla plants fertilization system | |
JP3136386U (en) | Container for group planting | |
KR200217095Y1 (en) | Raising seedling pot | |
KR20140006557A (en) | Earthworm cast port using peat mos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2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9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9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