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9598B1 -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79598B1 KR101779598B1 KR1020100133397A KR20100133397A KR101779598B1 KR 101779598 B1 KR101779598 B1 KR 101779598B1 KR 1020100133397 A KR1020100133397 A KR 1020100133397A KR 20100133397 A KR20100133397 A KR 20100133397A KR 101779598 B1 KR101779598 B1 KR 10177959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ata
- mode
- image
- data voltage
- subpixel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3—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using wavelength separation, e.g. using anaglyph techniqu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using polarisation techniqu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34—Stereoscopes providing a stereoscopic pair of separated images corresponding to parallactically displaced views of the same object, e.g. 3D slide viewers
- G02B30/36—Stereoscopes providing a stereoscopic pair of separated images corresponding to parallactically displaced views of the same object, e.g. 3D slide viewers using refractive optical elements, e.g. prisms, in the optical path between the images and the observ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24—Colour aspec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46—Image reproducers using prisms or semi-transparent mirror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2—RGB geometrical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2D 영상 또는 3D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패널, 구동 방식에 따라 상기 표시패널에 상기 2D 영상을 위한 2D 데이터 포맷의 데이터전압 또는 상기 3D 영상을 위한 3D 데이터 포맷의 데이터 전압을 인가하는 구동회로, 2D 모드 또는 3D 모드의 구동 방식으로 상기 구동회로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표시패널의 전면에 배치되며, 상기 3D 모드에서 상기 표시패널로부터의 빛을 제 1 편광과 제 2 편광의 빛들로 분할하는 패턴드 리타더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패널은 각각 데이터 라인과 게이트 라인에 의해 분할 구동되는 R, G, B 및 W 서브픽셀을 포함하며, 상기 2D 모드에서 상기 R, G, B 및 W 서브픽셀에는 상기 2D 데이터 포맷의 데이터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3D 모드에서 상기 R, G 및 B 서브픽셀에는 상기 3D 데이터 포맷의 데이터 전압이 인가되는 반면 상기 W 서브픽셀에는 블랙계조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includes a display panel on which a 2D image or a 3D image is displayed, a data voltage of a 2D data format for the 2D image, A controller which controls the driving circuit in a driving mode of a 2D mode or a 3D mode and a controller which is disposed on a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and which emits light from the display panel in a first mode Wherein the display panel includes R, G, B, and W subpixels, each of which is driven by a data line and a gate line, the subpixels being divided into a first polarized light and a second polarized light, Wherein the R, G, B, and W subpixels are applied with the data voltage of the 2D data format, and the R, G, and B subpixels in the 3D mode have the 3D data format While the W gradation voltage may be applied to the W sub-pixel.
Description
본 발명은 입체영상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표시패널의 개구율을 향상시키고, 3D 영상의 크로스 토크를 방지할 수 있는 입체영상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capable of improving an aperture ratio of a display panel and preventing crosstalk of a 3D image.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양안시차방식(stereoscopic technique)과 복합시차지각방식(autostereoscopic technique)으로 나뉘어진다. The stereoscopic display is divided into a stereoscopic technique and an autostereoscopic technique.
양안시차방식은 입체 효과가 큰 좌우 눈의 시차 영상을 이용하며, 안경방식과 무안경방식으로 나뉘어진다. 안경방식은 직시형 표시소자나 프로젝터에 좌우 시차 영상의 편광 방향을 바꿔서 또는 시분할 방식으로 표시하고, 편광 안경 또는 셔터 안경을 사용하여 입체 영상을 구현한다. 무안경 방식은 일반적으로 스위쳐블 배리어, 패럴렉스 베리어, 렌티큘라 렌즈 등의 광학판을 이용하여 좌우 시차 영상의 광축을 분리하여 입체 영상을 구현한다.The binocular parallax method uses parallax images of left and right eyes with large stereoscopic effects, and is divided into a glasses system and a non-glasses system. The spectacle method realizes a stereoscopic image by using polarizing glasses or shutter glasses to display the right-and-left parallax images in a direct-view type display device or a projector by changing the polarization directions of the parallax images in a time-division manner. In the non-eyeglass system, stereoscopic images are realized by separating the optical axes of left and right parallax images using optical plates such as switchable barriers, parallax barrier, and lenticular lenses.
도 1은 종래 입체영상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2D 영상 및 3D 영상의 개구면적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n opening area of a 2D image and a 3D image.
도 1을 참조하면, 전술한 안경방식은 표시패널(3) 위의 편광 안경(6)에 입사되는 빛의 편광특성을 절환하기 위한 패턴드 리타더(Patterned Retarder)(5)를 포함할 수 있다. 안경방식은 표시패널(3)에 좌안 이미지(L)와 우안 이미지(R)를 교대로 표시하고 패턴 리타더(5)를 통해 편광 안경(6)에 입사되는 편광특성을 절환한다. 이를 통해, 안경방식은 좌안 이미지(L)와 우안 이미지(R)를 공간적으로 분할하여 3D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에서 도면부호 '1'은 표시패널(3)에 빛을 조사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도면부호 '2' 및 '4'는 선편광을 선택하기 위해 표시패널(3)의 상하부면에 부착되는 편광판을 각각 나타낸다.1, the above-described spectacle system may include a
이러한 안경방식에서는 상/하 시야각 위치에서 발생되는 크로스 토크(Crosstalk)로 인해 3D 영상의 시인성이 떨어진다. 그 결과, 안경방식에서 양호한 화질의 3D 영상을 볼 수 있는 상/하 시야각은 매우 좁다. 크로스토크는 상/하 시야각 위치에서 좌안 이미지(L)가 좌안 패턴드 리타더 영역뿐만 아니라 우안 패턴드 리타더 영역도 통과하고 또한, 우안 이미지(R)가 우안 패턴드 리타더 영역뿐만 아니라 좌안 패턴드 리타더 영역도 통과하기 때문에 발생된다. In such a glasses system, the visibility of the 3D image is deteriorated due to the crosstalk generated at the upper / lower viewing angle position. As a result, the upper / lower viewing angles in which a 3D image of good image quality can be seen in the glasses system are very narrow. The crosstalk is such that the left eye image L passes through the left eye pattern reliator area as well as the right eye pattern reliever area at the upper / lower viewing angle position and the right eye image R passes through the left eye pattern RR, This is caused by the passage of the reliator area.
이에, 표시패널의 블랙 매트릭스(BM)를 일정 폭 이상 형성하여 블랙 스트라이프(BS) 역할을 하는 방안도 제시되었다. 그러나, 도 2의 (a) 및 (b)를 참조하면, 종래 2D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서브픽셀의 개구율에 비해, 3D 영상을 구현할 때에 블랙 매트릭스의 폭의 증가는 서브픽셀의 개구율을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Accordingly, a method of forming a black matrix (BM) of a display panel over a certain width to serve as a black stripe (BS) has been proposed. 2 (a) and 2 (b), when the 3D image is implemented, the increase in the width of the black matrix, compared with the aperture ratio of the subpixel for implementing the conventional 2D image, .
본 발명은 표시패널의 개구율을 향상시키고, 3D 영상의 크로스 토크를 방지할 수 있는 입체영상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capable of improving an aperture ratio of a display panel and preventing crosstalk of a 3D imag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2D 영상 또는 3D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패널, 구동 방식에 따라 상기 표시패널에 상기 2D 영상을 위한 2D 데이터 포맷의 데이터전압 또는 상기 3D 영상을 위한 3D 데이터 포맷의 데이터 전압을 인가하는 구동회로, 2D 모드 또는 3D 모드의 구동 방식으로 상기 구동회로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표시패널의 전면에 배치되며, 상기 3D 모드에서 상기 표시패널로부터의 빛을 제 1 편광과 제 2 편광의 빛들로 분할하는 패턴드 리타더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패널은 각각 데이터 라인과 게이트 라인에 의해 분할 구동되는 R, G, B 및 W 서브픽셀을 포함하며, 상기 2D 모드에서 상기 R, G, B 및 W 서브픽셀에는 상기 2D 데이터 포맷의 데이터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3D 모드에서 상기 R, G 및 B 서브픽셀에는 상기 3D 데이터 포맷의 데이터 전압이 인가되는 반면 상기 W 서브픽셀에는 블랙계조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display panel on which a 2D image or a 3D image is displayed, A driving circuit for applying a voltage or a data voltage of a 3D data format for the 3D image,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riving circuit in a driving mode of a 2D mode or a 3D mode, and a controller disposed in front of the display panel, And a patterned retarder for dividing the light from the display panel into the first polarized light and the second polarized light, wherein the display panel includes R, G, B, and W sub-pixels Wherein the data voltages of the 2D data format are applied to the R, G, B, and W subpixels in the 2D mode, and the data voltages of the R, G, On the other hand, the pixel voltage applied to the data of the 3D data format, the W sub-pixel may be applied to the black gray level voltage.
상기 R 서브픽셀은 게이트 라인으로부터의 게이트 펄스에 응답하여 제 1 데이터 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제 1 데이터 전압을 충전하고, 상기 G 서브픽셀은 게이트 라인으로부터의 게이트 펄스에 응답하여 제 2 데이터 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제 2 데이터 전압을 충전하고, 상기 B 서브픽셀은 상기 게이트 라인으로부터의 게이트 펄스에 응답하여 제 3 데이터 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제 3 데이터 전압을 충전하고, 상기 W 서브픽셀은 게이트 라인으로부터의 게이트 펄스에 응답하여 제 4 데이터 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제 4 데이터 전압을 충전하여 구동할 수 있다.The R subpixel charges a first data voltage supplied from a first data line in response to a gate pulse from a gate line and the G subpixel is supplied from a second data line in response to a gate pulse from a gate line The B sub-pixel charges a third data voltage supplied from a third data line in response to a gate pulse from the gate line, and the W sub-pixel charges a second data voltage to a gate pulse from the gate line The fourth data voltage supplied from the fourth data line can be charged and driven.
상기 2D 모드에서, 상기 제 1 데이터 전압은 2D 데이터 포맷의 R 데이터 전압이고, 상기 제 2 데이터 전압은 2D 데이터 포맷의 G 데이터 전압이고, 상기 제 3 데이터 전압은 2D 데이터 포맷의 B 데이터 전압이고, 상기 제 4 데이터 전압은 2D 데이터 포맷의 W 데이터 전압일 수 있다.In the 2D mode, the first data voltage is an R data voltage in a 2D data format, the second data voltage is a G data voltage in a 2D data format, the third data voltage is a B data voltage in a 2D data format, The fourth data voltage may be a W data voltage in a 2D data format.
상기 3D 모드에서,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데이터 전압은 각각 상기 3D 데이터 포맷의 R, G 및 B 데이터 전압이고, 상기 제 4 데이터 전압은 상기 블랙계조 전압일 수 있다.In the 3D mode, the first, second, and third data voltages may be R, G, and B data voltages of the 3D data format, respectively, and the fourth data voltage may be the black gradation voltage.
상기 서브픽셀들의 총 수직 피체에서 상기 W 서브픽셀의 수직 피치가 차지하는 비율은 상기 3D 영상의 시야각과 상기 3D 영상의 휘도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The ratio of the vertical pitch of the W subpixel in the total vertical pixels of the subpixels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viewing angle of the 3D image and the luminance of the 3D image.
상기 제 1 편광과 상기 제 2 편광은 서로 수직한 편광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The first polarized light and the second polarized light may exhibit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R, G, B 및 W 서브 픽셀을 구비하여, 2D 영상 구현시에는 W 서브 픽셀에서 W를 투과하여 서브 픽셀의 개구율을 향상시키고, 3D 영상 구현시에는 W 서브 픽셀에서 블랙을 표시하여 블랙 스트라이프로 작용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 G, B, and W subpixels to enhance the aperture ratio of subpixels by transmitting W in W subpixels in 2D image implement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visibility can be improved by displaying black in the W subpixel and acting as a black stripe.
도 1은 종래 입체영상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2D 영상 및 3D 영상의 개구면적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a 및 도 5b는 3D 영상 및 2D 영상 구현시 서브 픽셀의 표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2 is a view showing an aperture area of a 2D image and a 3D image.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showing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and 5B are diagrams illustrating display states of subpixels in the 3D image and 2D image implementa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3D 영상 및 2D 영상 구현시 서브 픽셀의 표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iagram showing a display state of sub pixels in 2D image implementation. FIG.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표시소자(11), 컨트롤러(12), 구동회로(14), 패턴드 리타더(18) 및 편광 안경(20)을 포함한다.3,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표시소자(11)는 2D 영상과 3D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소자로써, 액정표시소자(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계 방출 표시소자(Field Emission Display,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및 무기 전계발광소자와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포함한 전계발광소자(Electroluminescence Device, EL), 전기영동 표시소자(Electrophoresis, EPD) 등의 평판 표시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 표시패널(10)을 액정표시소자의 표시패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The
표시패널(10)을 액정표시소자로 구현하는 경우에,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표시패널(10) 하부에 배치되는 백라이트 유닛(17), 표시패널(10)과 패턴드 리타더(18) 사이에 배치되는 상부 편광필름(Polarizer)(16a), 표시패널(10)과 백라이트 유닛(17) 사이에 배치되는 하부 편광필름(16b)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es a
패턴드 리타더(18)는 표시패널(10)의 상부 편광필름(16a)에 부착된다. 패턴드 리타더(18)의 기수 표시라인들에는 제 1 리타더가 형성되고, 패턴드 리터더(18)의 우수 표시라인들에는 제 2 리타더가 형성된다. 제 1 리타더의 광흡수축과 제 2 리타더의 광흡수축은 서로 다르다. 패턴드 리타더(18의 제 1 리타더는 화소 어레이의 기수 표시라인과 대향하여, 화소 어레이의 기수 표시라인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의 제 1 편광(원편광 또는 선편광)의 빛을 투과시킨다. 패턴드 리타더(18)의 제 2 리타더는 화소 어레이의 우수 표시라인과 대향하여 화소 어레이의 우수 표시라인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의 제 2 편광(원편광 또는 선편광)의 빛을 투과시킨다. 패턴드 리타더(18)의 제 1 리타더는 좌원편광을 투과하는 편광필터로 구현될 수 있고, 패턴 리타더(18)의 제 2 리타더는 우원편광을 투과하는 편광필터로 구현될 수 있다. The patterned
편광 안경(20)의 좌안 편광필터(또는 제1 편광필터)는 패턴드 리타더(18)의 제 1 리타더와 동일한 광흡수축을 가진다. 편광 안경(20)의 우안 편광필터(또는 제2 편광필터)는 패턴드 리타더(18)의 제 2 리타더와 동일한 광흡수축을 가진다. 예들 들면, 편광 안경(20)의 좌안 편광필터는 좌원편광 필터로 선택될 수 있고, 편광 안경(20)의 우안 편광필터는 우원편광 필터로 선택될 수 있다. 사용자는 편광 안경(20)을 통해 입체영상 표시장치에 표시된 3D 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The left eye polarizing filter (or the first polarizing filter) of the polarizing
표시패널(10)은 두 장의 유리기판들과, 이들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을 갖는다. 하부 유리기판에는 TFT 어레이(Thin Film Transistor Array)가 형성된다. TFT 어레이는 R, G, B 및 W 데이터 전압이 공급되는 다수의 데이터 라인들, 데이터 라인들과 교차되어 게이트 펄스(또는 스캔펄스)가 공급되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들(또는 스캔라인들), 데이터 라인들과 게이트 라인들의 교차부들에 형성되는 다수의 TFT들(Thin Film Transistor), 액정셀들에 데이터 전압을 충전시키기 위한 다수의 화소전극 및 화소전극에 접속되어 액정셀의 전압을 유지시키기 위한 스토리지 커패시터(Storage Capacitor) 등을 포함한다. The
상부 유리기판에는 컬러필터 어레이(Color Filter Array)가 형성된다. 컬러필터 어레이는 블랙 매트릭스, 컬러필터 등을 포함한다. 화소전극과 대향하여 전계를 형성하는 공통전극은 TN(Twisted Nematic) 모드와 VA(Vertical Alignment) 모드와 같은 수직전계 구동방식에서 상부 유리기판에 형성되며, IPS(In Plane Switching) 모드와 FFS(Fringe Field Switching) 모드와 같은 수평전계 구동방식에서 화소전극과 함께 하부 유리기판에 형성된다. 상부 유리기판에는 상부 편광필름(16a)이 부착되고 하부 유리기판에는 하부 편광필름(16b)이 부착되며, 액정과 접하는 내면에 액정의 프리틸트각을 설정하기 위한 배향막이 형성된다. 유리기판들 사이에는 액정셀의 셀갭(Cell gap)을 유지하기 위한 컬럼 스페이서가 형성될 수 있다.A color filter array is formed on the upper glass substrate. The color filter array includes a black matrix, a color filter, and the like. The common electrode forming the electric field opposite to the pixel electrode is formed on the upper glass substrate in the vertical electric field driving method such as TN (Twisted Nematic) mode and VA (Vertical Alignment) mode, and is used in IPS (In Plane Switching) mode and FFS Field switching mode in which a pixel electrode is formed on a lower glass substrate. An upper polarizing
구동회로(14)는 표시패널(10)의 데이터 라인들에 RGB 데이터 전압들과 블랙계조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회로, 표시패널(10)의 게이트 라인들에 게이트 펄스를 순차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게이트 구동회로를 포함한다. 데이터 구동회로는 3D 모드(Mode_3D)에서 컨트롤러(12)로부터 입력되는 3D 데이터 포맷의 RGB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들을 아날로그 감마전압으로 변환하여 RGB 데이터 전압들을 발생함과 아울러, 컨트롤러(12)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블랙 데이터들을 피크 블랙계조의 아날로그 감마전압으로 변환하여 블랙계조 전압들을 발생한다. The
그리고, 데이터 구동회로는 컨트롤러(12)의 제어 하에 이 RGB 데이터 전압들과 블랙계조 전압들을 표시패널(10)의 데이터 라인들에 1 수평기간을 주기로 교대로 공급한다. 한편, 데이터 구동회로는 2D 모드(Mode_2D)에서 컨트롤러(12)로부터 입력되는 2D 데이터 포맷의 RGBW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들을 아날로그 감마전압으로 변환하여 RGBW 데이터 전압들을 발생하고, 컨트롤러(12)의 제어 하에 이 RGBW 데이터 전압들을 표시패널(10)의 데이터 라인들에 공급한다. The data driving circuit alternately supplies the RGB data voltages and the black gradation voltages to the data lines of the
컨트롤러(12)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유저의 2D/3D 모드선택신호나, 입력 영상신호로부터 추출된 2D/3D 식별코드에 응답하여 2D 모드(Mode_2D) 또는 3D 모드(Mode_3D)로 구동회로(14)를 제어한다. 3D 모드(Mode_3D)에서, 컨트롤러(12)는 3D 데이터 포맷으로 외부로부터 입력된 RGB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와 자신의 내부에서 생성(예컨대, 그 자신 내부의 레지스터 초기값으로 셋팅된 값을 독출)된 디지털 블랙 데이터를 각각 1 수평라인분씩 섞는 방식으로, RGB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와 디지털 블랙 데이터를 재배열하여 데이터 구동회로에 공급한다. The
한편, 2D 모드(Mode_2D)에서, 컨트롤러(12)는 2D 데이터 포맷으로 외부로부터 입력된 RGBW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메모리 등을 이용하여 1 수평라인 단위로 복사한 후 입력 RGBW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와 상기 복사된 RGBW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각각 1 수평라인분씩 섞는 방식으로, RGBW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중복 정렬하여 데이터 구동회로에 공급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2D mode (Mode_2D), the
컨트롤러(12)는 수직동기신호, 수평동기신호, 도트클럭, 데이터 인에이블 등의 타이밍 신호들을 이용하여 구동회로(14)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제어신호들을 발생한다. 컨트롤러(12)는 타이밍 제어신호들을 정수배로 배속하여 N×60Hz의 프레임 주파수 예컨대, 120Hz의 프레임 주파수로 구동회로(14)를 구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트롤러(12)는 3D 모드(Mode_3D)에서, R, G 및 B 서브 픽셀들(SPR,SPG,SPB)에 RGB 데이터전압이 120Hz의 프레임 주파수로 인가되고 W 서브 픽셀(SPW)에 블랙계조전압이 120Hz의 프레임 주파수로 인가되도록 구동회로(14)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2)는 2D 모드(Mode_2D)에서, R, G 및 B 서브 픽셀들(SPR,SPG,SPB)에 RGB 데이터전압이 120Hz의 프레임 주파수로 인가되고 W 서브 픽셀(SPW)에 W 데이터 전압이 120Hz의 프레임 주파수로 인가되도록 구동회로(14)를 제어할 수 있다.The
백라이트 유닛(17)은 하나 이상의 광원,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면광원으로 변환하여 영상표시패널(10)로 조사하는 다수의 광학부재를 포함한다. 광원은 HCFL(Hot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EEFL(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FFL(Flange Focal Length), LED(Light Emitting Diode)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종류 이상의 광원을 포함한다. 광학부재는 도광판, 확산판, 프리즘시트, 확산시트 등을 포함하여 광원으로부터의 빛의 면균일도를 높인다.The
도 4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표시패널(10)에 형성된 단위 픽셀(P)은 R 서브 픽셀(SPR), G 서브 픽셀(SPG), 및 B 서브 픽셀(SP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2D 및 3D 영상의 개구율 향상과 3D 영상의 시인성 향상을 위해, 각 서브 픽셀(SPR/SPG/SPB)은 각각 스트라입 형상으로 배치되고, 최하부에 W 서브 픽셀(SPW)을 더 포함한다.4 to 5B, a unit pixel P formed on the
상기 R, G 및 B 서브 픽셀(SPR/SPG/SPB)과 W 서브 픽셀(SPW)은 분할 구동된다. 이를 위해, TFT를 통한 접속을 이용하여 각 서브 픽셀들(SPR/SPG/SPB/SPW)에는 한 개의 데이터 라인과 한 개의 게이트 라인이 할당된다.The R, G and B subpixels SP R / SP G / SP B and the W subpixel SP W are dividedly driven. To this end, using the connection through the TFT in each of the sub-pixels (SP R / SP G / SP B / SP W) is allocated to one of gate lines and one data line.
R 서브 픽셀(SPR)은 게이트 라인(G)으로부터의 게이트 펄스에 응답하여 제 1 데이터 라인(D1)으로부터 공급되는 제 1 데이터 전압을 충전하여 구동된다. G 서브 픽셀(SPG)은 게이트 라인(G)으로부터의 게이트 펄스에 응답하여 제 2 데이터 라인(D2)으로부터 공급되는 제 2 데이터 전압을 충전하여 구동된다. B 서브 픽셀(SPB)은 게이트 라인(G)으로부터의 게이트 펄스에 응답하여 제 3 데이터 라인(D3)으로부터 공급되는 제 3 데이터 전압을 충전하여 구동된다. W 서브 픽셀(SPW)은 게이트 라인(G)으로부터의 게이트 펄스에 응답하여 제 4 데이터 라인(D4)으로부터 공급되는 제 4 데이터 전압을 충전하여 구동된다.The R subpixel SP R is driven by charging the first data voltage supplied from the first data line D 1 in response to the gate pulse from the gate line G. [ The G subpixel SP G is driven by charging the second data voltage supplied from the second data line D 2 in response to the gate pulse from the gate line G. [ The B subpixel SP B is driven by charging the third data voltage supplied from the third data line D 3 in response to the gate pulse from the gate line G. [ The W subpixel SP W is driven by charging a fourth data voltage supplied from the fourth data line D 4 in response to a gate pulse from the gate line G. [
표시패널(10)은 2D 모드(Mode_2D)에서 컨트롤러(12)의 제어하에 2D 영상을 표시하고, 3D 모드(Mode_3D)에서 컨트롤러(12)의 제어 하에 3D 영상을 표시한다.The
표시패널(10)이 3D 모드(Mode_3D)로 구동될 때, R 서브 픽셀(SPR)에 충전되는 제 1 데이터 전압, G 서브 픽셀(SPG)에 충전되는 제 2 데이터 전압 및 B 서브 픽셀(SPB)에 충전되는 제 3 데이터 전압은 각각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3D 데이터 포맷을 갖는 R, G 및 B 데이터전압이다. When the
반면, 표시패널(10)이 3D 모드(Mode_3D)로 구동될 때, W 서브 픽셀(SPW)에 충전되는 제 4 데이터 전압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랙계조전압이다. 블랙계조전압은 수직으로 인접한 3D 이미지들 사이에 표시됨으로써 3D 이미지들 간 표시 간격을 넓히는 역할을 한다. 즉, 블랙계조의 W 서브 픽셀(SPW)은 입체 영상 표시장치의 상하 시야각을 높이기 위한 블랙 스트라이프 역할을 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그 결과, 블랙계조전압이 인가되는 W 서브 픽셀(SPW)에 의해 3D 모드(Mode_3D)에서 상/하 시야각이 넓게 확보되어 시인성이 개선되기 때문에,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서브 픽셀의 블랙 매트릭스의 폭을 넓게 형성할 필요가 없다. As a result, the upper and lower viewing angles in the 3D mode (Mode_3D) are widely secured by the W subpixel SP W to which the black gradation voltage is applied, thereby improving visibility.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form a wide width.
표시패널(10)이 2D 모드(Mode_2D)로 구동될 때, R 서브 픽셀(SPR)에 충전되는 제 1 데이터 전압은 2D 데이터 포맷을 갖는 R 데이터 전압이고, G 서브 픽셀(SPG)에 충전되는 제 2 데이터 전압은 2D 데이터 포맷을 갖는 G 데이터 전압이며, B 서브 픽셀(SPB)에 충전되는 제 3 데이터 전압은 2D 데이터 포맷을 갖는 B 데이터 전압이다. 그리고, W 서브 픽셀(SPW)에 충전되는 제 4 데이터 전압은 2D 데이터 포맷을 갖는 W 데이터 전압이다.When the
따라서, B 서브 픽셀(SPB)에 수직으로 인접한 W 서브 픽셀(SPW)에 의해 2D 모드(Mode_2D)에서 개구율 저하 문제는 방지되기 때문에, 본 발명은 종래와 달리 2D 및 3D 영상의 시인성을 개선하면서도 2D 영상의 개구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since the aperture ratio degradation problem in the 2D mode (Mode_2D) is prevented by the W subpixel (SPW) vertically adjacent to the B subpixel (SPB),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visibility of 2D and 3D images unlike the prior ar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perture ratio of the 2D image from deteriorating.
3D 영상의 상하 시야각은 R, G 및 B 서브 픽셀의 수직 피치(P1)와 W 서브 픽셀의 수직 피치(P2)의 비율{(P2*100)/P1}과 비례하는 반면, 3D 영상의 휘도는 상기 비율{(P2*100)/P1}과 반비례한다. 따라서, R, G 및 B 서브 픽셀의 수직 피치(P1)와 W 서브 픽셀의 수직 피치(P2)는 3D 영상의 상하 시야각과 3D 영상의 휘도를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되어야 하며, W 서브 픽셀의 수직 피치(P2)는 R, G 및 B 서브 픽셀의 수직 피치(P1) 이하로 설계된다.The upper and lower viewing angles of the 3D image are proportional to the ratio {(P2 * 100) / P1} of the vertical pitch (P1) of the R, G and B subpixels to the vertical pitch (P2) of the W subpixels,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ratio {(P2 * 100) / P1}. Therefore, the vertical pitch (P1) of the R, G and B subpixels and the vertical pitch (P2) of the W subpixels should be appropriately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upper and lower viewing angles of the 3D image and the luminance of the 3D image, (P2) is designed to be equal to or less than the vertical pitch (P1) of the R, G, and B subpixels.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32인치 HD급 표시장치에서 일반 RGB 모델 대비 35.4%의 투과율 상승을 나타내었다.The thus configured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s an increase in transmittance of 35.4% compared to a general RGB model in a 32-inch HD class display device.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R, G, B 및 W 서브 픽셀을 구비하여, 2D 영상 구현시에는 W 서브 픽셀에서 W를 투과하여 서브 픽셀의 개구율을 향상시키고, 3D 영상 구현시에는 W 서브 픽셀에서 블랙을 표시하여 블랙 스트라이프로 작용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 G, B, and W subpixels, and when the 2D image is implemented, W is transmitted through W subpixels to improve the aperture ratio of the subpixels , And in displaying 3D image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visibility can be improved by displaying black in W subpixel and acting as a black strip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only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ddi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lso,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6)
구동 방식에 따라 상기 표시패널에 상기 2D 영상을 위한 2D 데이터 포맷의 데이터전압 또는 상기 3D 영상을 위한 3D 데이터 포맷의 데이터 전압을 인가하는 구동회로;
2D 모드 또는 3D 모드의 구동 방식으로 상기 구동회로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표시패널의 전면에 배치되며, 일 방향을 따라 이웃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3D 모드에서 상기 표시패널로부터의 빛을 제 1 편광과 제 2 편광의 빛들로 분할하는 제1 리타더 및 제2 리타더를 갖는 패턴드 리타더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패널은 각각 데이터 라인과 게이트 라인에 의해 분할 구동되는 R, G, B 및 W 서브픽셀을 포함하며,
상기 R, G, B, W 서브 픽셀은,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이웃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R, G, B, W 서브 픽셀 중 상기 W 서브 픽셀은 최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R 서브픽셀은 게이트 라인으로부터의 게이트 펄스에 응답하여 제 1 데이터 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제 1 데이터 전압을 충전하고,
상기 G 서브픽셀은 게이트 라인으로부터의 게이트 펄스에 응답하여 제 2 데이터 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제 2 데이터 전압을 충전하고,
상기 B 서브픽셀은 상기 게이트 라인으로부터의 게이트 펄스에 응답하여 제 3 데이터 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제 3 데이터 전압을 충전하고,
상기 W 서브픽셀은 게이트 라인으로부터의 게이트 펄스에 응답하여 제 4 데이터 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제 4 데이터 전압을 충전하여 구동하고,
상기 2D 모드에서 상기 R, G, B 및 W 서브픽셀에는 상기 2D 데이터 포맷의 데이터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3D 모드에서 상기 R, G 및 B 서브픽셀에는 상기 3D 데이터 포맷의 데이터 전압이 인가되는 반면 상기 W 서브픽셀에는 블랙계조전압이 인가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A display panel on which a 2D image or a 3D image is displayed;
A drive circuit for applying a data voltage of the 2D data format for the 2D image or a data voltage of the 3D data format for the 3D image to the display panel according to a driving metho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riving circuit in a driving mode of a 2D mode or a 3D mode; And
A first retarder and a second retarder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and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long one direction to divide the light from the display panel into the first polarized light and the second polarized light in the 3D mode, And a pattern-type retarder,
Wherein the display panel includes R, G, B, and W subpixels divided and driven by a data line and a gate line, respectively,
Wherein the R, G, B, and W subpixels are arranged to be adjacent to each other along the one direction, wherein the W subpixels among the R, G, B, and W subpixels are disposed at the lowermost portion,
The R subpixel charges a first data voltage supplied from a first data line in response to a gate pulse from a gate line,
The G sub-pixel charges a second data voltage supplied from the second data line in response to a gate pulse from the gate line,
The B sub-pixel charges a third data voltage supplied from a third data line in response to a gate pulse from the gate line,
The W subpixel charges and drives a fourth data voltage supplied from the fourth data line in response to a gate pulse from the gate line,
The data voltages of the 2D data format are applied to the R, G, B and W subpixels in the 2D mode, and the data voltages of the 3D data format are applied to the R, G and B subpixels in the 3D mode And a black gradation voltage is applied to the W subpixel.
상기 2D 모드에서, 상기 제 1 데이터 전압은 2D 데이터 포맷의 R 데이터 전압이고, 상기 제 2 데이터 전압은 2D 데이터 포맷의 G 데이터 전압이고, 상기 제 3 데이터 전압은 2D 데이터 포맷의 B 데이터 전압이고, 상기 제 4 데이터 전압은 2D 데이터 포맷의 W 데이터 전압인 입체영상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2D mode, the first data voltage is an R data voltage in a 2D data format, the second data voltage is a G data voltage in a 2D data format, the third data voltage is a B data voltage in a 2D data format, And the fourth data voltage is a W data voltage in a 2D data format.
상기 3D 모드에서,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데이터 전압은 각각 상기 3D 데이터 포맷의 R, G 및 B 데이터 전압이고, 상기 제 4 데이터 전압은 상기 블랙계조 전압인 입체영상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3D mode, the first, second, and third data voltages are R, G, and B data voltages of the 3D data format, respectively, and the fourth data voltage is the black gradation voltage.
상기 서브픽셀들의 총 수직 피치에서 상기 W 서브픽셀의 수직 피치가 차지하는 비율은 상기 3D 영상의 시야각과 상기 3D 영상의 휘도를 고려하여 결정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atio of the vertical pitch of the W subpixel to the total vertical pitch of the subpixels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viewing angle of the 3D image and the luminance of the 3D image.
상기 제 1 편광과 상기 제 2 편광은 서로 수직한 편광 특성을 나타내는 입체영상 표시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polarized light and the second polarized light exhibit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33397A KR101779598B1 (en) | 2010-12-23 | 2010-12-23 |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33397A KR101779598B1 (en) | 2010-12-23 | 2010-12-23 |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71735A KR20120071735A (en) | 2012-07-03 |
KR101779598B1 true KR101779598B1 (en) | 2017-09-18 |
Family
ID=46706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33397A Active KR101779598B1 (en) | 2010-12-23 | 2010-12-23 |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7959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53658A (en) | 2013-11-08 | 2015-05-18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substrate,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display substrate |
-
2010
- 2010-12-23 KR KR1020100133397A patent/KR101779598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71735A (en) | 2012-07-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68966B1 (en) | Image display device | |
KR101354329B1 (en) | Image display device | |
US8633974B2 (en) | Image display device | |
KR101279122B1 (en) | Image display device | |
US8982196B2 (en) |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 |
US9052519B2 (en) | Image display device | |
KR101236519B1 (en) | Stereoscopic image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KR101679076B1 (en) | Image display device | |
KR20120018280A (en) | Light barrier device and display unit | |
KR20150080243A (en) | Stereopsis image display device | |
US9690109B2 (en) | Stereopsis image display device | |
US20130021329A1 (en) | Display device | |
KR101643000B1 (en) |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of | |
KR101285540B1 (en) | Stereoscopic image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KR101779598B1 (en) |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 |
KR20120070986A (en) | Image display device | |
JP2013088775A (en) | Display device, spacer, and electronic apparatus | |
KR101279662B1 (en) | Video display device | |
KR102307203B1 (en) | Three dimension display device | |
KR20120027976A (en) |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 same | |
KR20140073807A (en) |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2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12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12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2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1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9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9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