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79430B1 - 휴대용 키보드 - Google Patents

휴대용 키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9430B1
KR101779430B1 KR1020160050196A KR20160050196A KR101779430B1 KR 101779430 B1 KR101779430 B1 KR 101779430B1 KR 1020160050196 A KR1020160050196 A KR 1020160050196A KR 20160050196 A KR20160050196 A KR 20160050196A KR 101779430 B1 KR101779430 B1 KR 101779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main body
hinge
assemblies
crad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0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윤진
박시영
장광순
유현우
심수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680001949.0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7438465B/zh
Priority to EP16804984.9A priority patent/EP3248085B1/en
Priority to PCT/KR2016/008931 priority patent/WO2017179771A1/en
Priority to US15/401,769 priority patent/US999005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9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943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21Arrangements for reducing keyboard size for transport or storage, e.g. foldable keyboards, keyboards with collapsible ke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복수 개의 키탑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키조립체; 상기 복수 개의 키조립체 중 제1 키조립체와 인접하여 위치하고, 복수 개의 측면을 포함하는 n각 기둥 형상의 본체부; 상기 복수 개의 키조립체 및 상기 본체부를 연결하는 가요성 연결부재; 및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실장되며 상기 키조립체로부터 입력된 입력신호를 처리하는 메인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일측 모서리가 상기 가요성 연결부재와 연결되는 제1 측면; 상기 제1 측면의 타측 모서리에 인접하며, 상기 제1 측면과의 각도가 90° 이상인 제2 측면; 및 상기 제2 측면에 일단이 힌지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제2 측면에 접하는 거치대를 포함하는 휴대용 키보드는 별도의 거치장치가 필요 없이 키보드에 거치대를 구비하여 이동 단말기를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는 휴대용 키보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용 키보드{PORTABLE KEYBOARD}
본 발명은 휴대용 키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휴대성이 향상된 휴대용 키보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이동 단말기의 입력장치로서 휴대용 키보드에 대한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최근,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이동 단말기의 입력장치로서 휴대용 키보드에 대한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접이식 키보드(10)에 대한 평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접이식 키보드(10)의 접힌 상태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접이식 키보드(10)는 종방향으로 분리되어 힌지(2)로 서로 연결된 5개의 몸체(제1 몸체 내지 제5 몸체)(1a, 1b, 1c, 1d, 1e)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몸체에는 복수 개의 키(3)가 구비되어 있다. 특히, 종래 기술에 따른 접이식 키보드(10)는 휴대시 제3 몸체(1c) 쪽을 향하여 상기 제3 몸체(1c)의 좌우에 힌지(2)로 연결된 제1 몸체(1a)와 제2 몸체(1b) 및 제4 몸체(1d)와 제5 몸체(1e) 접히도록 구성되어, 휴대시 책과 유사한 형상으로 접이식 키보드(1)를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접이식 키보드는 각각의 몸체가 종방향으로 분리되어 있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배열에 맞게 분리된 몸체들을 연결하는 힌지축이 지그재그로 구비되어야 하므로 구조적으로 연결부가 복잡해 질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힌지축이 지그재그로 구성될 수 밖에 없어 휴대를 위해 접은 상태에서의 접이식 키보드의 외관이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게다가, 접은 상태에서 접입식 키보드의 부피가 일반적인 책의 부피와 유사하여 휴대성 및 보관성이 좋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도 2a는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키보드(20)에 대한 평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2b는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키보드(20)의 접힌 상태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키보드(20)는 가요성 물질인 실리콘으로 본체(21)와, 상기 본체(21)에 일체형으로 구비된 복수 개의 키(22)로 구성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키보드(20)는 실리콘으로 구성되어 있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시 권취한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어 휴대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키보드(20)는 각각의 키 또한 실리콘으로 구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키를 누를 경우 키감 및 키 인식률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로 인해,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키보드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오타 발생률이 높은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작게 접을 수 있어, 휴대성 및 보관성을 제고한 휴대용 키보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복수 개의 키탑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키조립체; 상기 복수 개의 키조립체 중 제1 키조립체와 인접하여 위치하고, 복수 개의 측면을 포함하는 n각 기둥 형상의 본체부; 상기 복수 개의 키조립체 및 상기 본체부를 연결하는 가요성 연결부재; 및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실장되며 상기 키조립체로부터 입력된 입력신호를 처리하는 메인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일측 모서리가 상기 가요성 연결부재와 연결되는 제1 측면; 상기 제1 측면의 타측 모서리에 인접하며, 상기 제1 측면과의 각도가 90° 이상인 제2 측면; 및 상기 제2 측면에 일단이 힌지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제2 측면에 제1 측면이 접하는 거치대를 포함하는 휴대용 키보드를 제공한다.
상기 가요성 연결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키조립체의 상부면이 상기 본체부의 측면에 접하면서 권취되도록 꺾어질 수 있다.
상기 n은 5 이상이고, 상기 복수 개의 측면은 동일한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힌지는 회전축이 상기 제1 측면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거치대는 상기 힌지의 상기 회전축 방향에서 비스듬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거치대는 상기 힌지의 외각에 결합하여 상기 힌지축과 이격된 위치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힌지축과 상기 거치대가 이루는 각(α)은 (90-360/n)°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키탑은 제1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키조립체는 제2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며, 상기 키조립체의 제2 방향 양 측 상부는 β=(90-180/n)°로 기울어진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대는 상기 제1 측면을 바닥에 거치시 상측을 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거치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거치홈은 내측으로 갈수록 상기 힌지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거치대의 상기 거치홈 둘레에서 상기 본체부의 상기 제2 측면을 향해 돌출된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홈은 입구보다 내측이 상기 힌지 방향으로 더 넓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키조립체는, 상부에 상기 가요성 연결부재 및 상기 복수 개의 키탑이 안착되는 하부 프레임; 및 상기 키탑에 상응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 프레임과 결합하는 상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 사이에 배치된 제1 자석; 및 상기 본체부에 구비된 상기 제1 자석의 자력에 의해 결합하는 제2 자석 또는 금속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키조립체는 상기 제1 자석의 자력에 의해 상기 본체부의 둘레에 권취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키조립체 중 상기 본체부에서 가장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키조립체에서 돌출된 전개용 탭(open ta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개용 탭은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과제해결수단에 따르면, 본 발명은 휴대용 키보드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휴대용 키보드의 제조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키보드의 휴대시의 외형이 n각기둥 형상(즉, 바(bar) 형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휴대용 키보드의 휴대성 및 보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시의 외형에 울퉁불퉁하게 돌출된 부분이 없고, 힌지 연결부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휴대용 키보드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별도의 거치장치가 필요 없이 키보드에 거치대를 구비하여 이동 단말기를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는 휴대용 키보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키보드는 종래의 키보드와 유사한 키 배치를 통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접이식 키보드에 대한 평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접이식 키보드의 접힌 상태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2a는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키보드에 대한 평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2b는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키보드의 접힌 상태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키보드의 접힌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키보드의 전개된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키보드의 전개된 상태에서 거치대가 열리는 태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키보드의 거치대와 본체부를 연결하는 힌지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키보드의 키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키보드의 거치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키조립체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키보드(1000)의 접힌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키보드(1000)의 전개된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키보드(1000)는 복수 개의 키를 포함하는 키조립체(200), 상기 키조립체(200)로부터 입력된 입력신호를 제어하고 이렇게 제어된 입력신호를 이동 단말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로 전송하는 본체부(100)와, 상기 키조립체(200) 및 상기 본체부(100)를 전기적으로 및/또는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가요성 연결부재(30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키보드(1000)는 전체 크기를 슬림화하기 위하여 펜타그래프(pantagraph) 방식의 키보드일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키조립체(200)는 가요성 연결부재(300)로 연결된다. 복수 개의 키조립체(200)는 가로방향(제1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키 또는 키탑(211)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키조립체(200)의 전체적인 형상은 신장형(elongated shape)이다. 즉, 각각의 키조립체(200)는 일반적인 키보드에서의 가로방향 키열들을 기준으로 분리된 부분이다.
복수 개의 키조립체(200)는 세로방향(제2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며,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직각방향이 된다. ,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키조립체(200)는 제1 키조립체(200a), 제2 키조립체(200b), 제3 키조립체(200c) 제4 키조립체(200d) 및 제5 키조립체(200e)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휴대용 키보드(1000)의 용도에 따라 제6 키조립체, 제7 키조립체 등의 추가 키조립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인 QWERTY 키보드는 문자 부분이 3개의 열로 이루어지고, 스페이스키, Ctrl, Alt키 등이 하부에 배치되어 최소 4개 이상의 키조립체(200)가 필요하다.
숫자 키를 위해 1개의 열을 더 추가하여 5개의 키조립체(200)를 이용하는 경우 일반적인 QWERTY 키보드와 거의 유사한 키 배치를 가지는 휴대용 키보드(1000)를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기능키(function key)를 더 배치하기위해 6개의 키조립체(200)를 이용할 수도 있다.
본체부(100)는 키조립체(200)의 개수에 상응하는 개수의 측면을 가지는 다각기둥의 형상을 가진다. 상기 복수 개의 키조립체(200)는 휴대용 키보드(1000)의 휴대시 본체부(100)를 둘러싸는 방식으로 권취되도록 접히고(도 3 참고), 휴대용 키보드(1000)의 사용시 상기 본체부(100)를 중심으로 권출되어 전개된다(도 4 참고). 상기 복수 개의 키조립체(200) 각각은 권취되어 접힐 때 상기 복수 개의 키조립체(200)의 상부면이 상기 본체부(100)의 외주면(즉, 각각의 면)에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본체부(100)는 제 2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상기 복수 개의 키조립체(200) 중 제2 방향의 일단에 위치되는 키조립체(도 4에서 제1 키조립체(200a))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사익 본체부(100)는 복수 개의 키조립체(200)에 평행하게 위치된다.
상기 복수 개의 키조립체(200) 중 제2 방향의 타단에 위치하는 키조립체(예를 들어, 도 4에서 상기 복수 개의 키조립체(200) 중 전개시 상기 본체부(100)와 가장 멀리 떨어져 위치하는 제5 키조립체(200e))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전개용 탭(open tab)(217)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개용 탭(open tab)(217)을 구비함으로써, 휴대를 위해 권취되어 접힌 상태의 휴대용 키보드(1000)에서 상기 전개용 탭(open tab)(217)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키조립체(200)를 용이하게 펼칠 수 있다.
상기 전개용 탭은 천과 같이 부드러운 재질을 이용하여 키조립체(200)가 본체부(100)에 권취된 상태에서 전개용 탭이 걸리적 거리는 문제를 줄일 수 있다.
키조립체(200)는 제1 방향 양단에 자석을 구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복수 개의 키조립체(200)는 휴대시 자석의 자력에 의해 접힌 상태로 서로 고정될 수 있어, 휴대시 휴대용 키보드(1000)는 전개되지 않고 신장형 정n각형 기둥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 자력으로 복수 개의 키조립체(200)들이 권취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별도의 고정수단을 생략하여 휴대용 키보드(1000)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본체부(100)는 키조립체(200)로부터 입력된 입력신호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 입력신호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가요성 연결부재(300)에 의해 복수 개의 키조립체(200)와 기계적으로 및/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체부(100)의 단면은 정n각형이고, 이때 상기 복수 개의 키조립체(200)의 수량은 n개이다. 키보드의 용도에 따라 (즉, 기능키 또는 특수키의 필요여부에 따라) 복수 개의 키조립체(200)의 수량이 결정되고, 상기 복수 개의 키조립체(200)의 수량이 결정되면 본체부(100)의 단면 형성도 결정된다. 예를 들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5열의 횡방향 키열만이 필요한 경우, 복수 개의 키조립체(200)는 5개가 구비되고, 본체부(100)의 단면형상은 정오각형이 된다. 즉, 본체부(100)는 각 측면의 크기가 갖고 각 측면이 이루는 각도가 동일한 정 n각형의 기둥형상을 이룬다.
상기 본체부(100)는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키조립체(200)의 횡방향 길이에 대응되는 횡방향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본체부(100)의 각 측면의 너비는 각 키조립체(200)의 상면의 제2 방향의 길이에 상응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가요성 연결부재(300)는 상부면에 각각의 키탑(211)에 대응되는 위치에 돔스위치(301)를 구비한다. 상기 가요성 연결부재(300)는 복수 개의 키조립체(200) 각각을 기계적으로 및/또는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복수 개의 키조립체(200)와 상기 본체부(100)를 전기적으로 및/또는 기계적으로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요성 연결부재(300)는 복수 개의 키조립체(200) 및 본체부(1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복수 개의 키조립체(200)가 상기 본체부(100)에 연결된 채 상기 본체부(100)의 외주면을 감쌀 수 있도록 상기 복수 개의 키조립체(200)와 상기 본체부(100)를 기계적으로 연결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가요성 연결부재(300)는 휘어지는 성질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요성 연결부재(300)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상기 FPCB는 도 4와 같이 휴대용 키보드(1000)를 전개했을 때 바닥에 거치되는 본체부(100)의 제1 측면(100a)의 일측 모서리에 연결될 수 있다. 본체부(100)의 저면 및 복수 개의 키조립체(200)의 저면에 장착되어 복수 개의 키조립체(200)가 휴대용 키보드(1000)의 휴대시 본체부(10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할 수 있다. 즉, FPCB는 본체부(100)와 키조립체(200) 사이에 및 각각의 키조립체(200)들 사이에 관절형 연결부 역할을 한다.
상기 FPCB는 외피층을 구비하고, 상기 외피층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프로필렌(PP) 및 케블러(Kevlar) 중 하나의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FPCB를 사용함으로써, 종래기술과 같은 복합한 힌지(155) 구조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휴대용 키보드(1000)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휴대용 키보드(1000)의 제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단가도 절감할 수 있다.
가요성 연결부재(300)는 복수 개의 키조립체(200)로부터의 입력신호를 상기 본체부(100)로 전송한다. 즉, 가요성 연결부재(300)는 각각의 키조립체(200)의 키의 누름을 감지하여 눌러진 키에 대응되는 입력신호를 본체부(100)로 전송한다.
본체부(100)는 중공형 n각형 기둥형상의 하우징(101)과 하우징(101) 내부에 장착되는 메인기판(105), 배터리 및 무선통신부 등을 포함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측면(100a)의 일측 모서리에 가요성 연결부재(300)가 연결되어 상기 메인기판(105)과 연결된다. 메인기판(105)은 가요성 연결부재(300)를 통해 각 키탑(211)을 사용자가 가 압시 발생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연결된 외부 단말기로 전송한다.
무선통신부는 BLUETOOTH 통신모듈, ZIGBEE 통신모듈 및 WIFI 통신모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키보드(1000)는 별도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지 않기 때문에, 종래에는 휴대용 키보드(1000)와 외부 단말기와의 연결을 위해 외부 단말기에서 휴대용 키보드(1000)와 연결하고, 핀코드를 입력하는 방법을 주로 이용하였으나, 본 발명의 휴대용 키보드(1000)는 기 설정된 외부 단말기와 바로 연결 가능하도록 페어링 버튼을 구비한다. 2개 이상의 페어링 버튼을 구비하여 타블렛, 휴대폰 등 다양한 장치와 번갈아 가며 이용할 수 있다.
휴대용 키보드(1000)는 각 키조립에체에서 신호 발생을 위한 전류를 공급하고 외부 단말기와 무선통신을 위한 전력 공급을 위해 배터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가 내장형인 경우 USB 케이블 등을 통해 충전할 수 있으며, 교체가능한 외장형 배터리인 경우 별도의 충전단자가 필요 없다.
외장형 배터리인 경우 배터리 삽입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배터리 삽입부의 입구를 본체부(100) 제1 측면(100a)에 구비할 수 있다. 또는 후술할 본체부(100)의 제2 측면(100b)에 배치되는 거치대(150)를 열었을 때 노출되는 본체부(100)의 제2 측면(100b)에 배치할 수도 있다.
본체에 인디케이터(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120)는 복수개의 색상 또는 점멸방식을 통해 배터리 잔량을 표시하거나, 페어링 된 외부 단말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디케이터(120)는 배터리의 전력잔여량이 충전량의 70% 내지 100%인 경우 인디케이터는 녹색광을 방출하고, 배터리의 전력잔여량이 충전량의 70% 내지 30%인 경우 황색광을 방출하고, 배터리의 전력잔여량이 충전량의 30% 내지 1%인 경우 적색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체부(100)의 일면에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휴대용 키보드(1000)의 상태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부(100)의 제어부는 휴대용 키보드(1000)의 상태에 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용 키보드(1000)의 상태에 대한 정보는, 배터리 전력 잔여량에 대한 정보, 상기 무선통신모듈의 신호세기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휴대용 키보드(1000)에 무선통신으로 연결된 이동 단말기의 종류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키보드(1000)의 전개된 상태에서 거치대(150)가 열리는 태양을 도시한 도면이다.
휴대용 키보드(1000)를 전개시 제1 측면(100a)의 일측 모서리에 연장된 키조립체(200)와 나란히 배치되며 제1 측면(100a)이 바닥면에 안착된다. 제2 측면(100b)은 키조립체(200)가 연결된 일측 모서리의 반대편인 타측 모서리에 인접한 면으로 사용자가 휴대용 키보드(1000)를 사용시에 사용자가 바라보는 면의 반대편에 위치하게 된다.
거치대(150)는 제1 변(150a)이 힌지(155)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측면(100b)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거치대(150)가 닫힌 상태에서는 도 5a와 같이 본체부(100)의 제2 측면(100b)을 커버하며 배치된다. 즉, 거치대(150)는 제2 측면(100b)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사각형의 판형으로 본체부의 제2 측면(100b)을 따라 길게 연장된 테이프 형상이다.
제1 측면(100a)에 인접한 제2 변(150b)은 도 5b와 같이 거치대(150)가 열리면 도 5c와 같이 바닥면에 접하고, 거치대(150)는 제1 변(150a)를 제외하고 제2 측면(100b)으로부터 이격되어 최종적으로 도 5c와 같이 본체부(100)와 수직하게 배치된다. 거치대(150)는 도 5c와 같이 열리면 본체부(100)의 하우징(101)에 닿아 더 이상 힌지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제2 변(150b)과 반대편의 제3 변(150c)에는 거치홈(157)이 형성되어 타블렛이나 이동 단말기 등을 끼워 거치할 수 있다. 거치홈(157)은 거치대(150)의 전체 길이에서 힌지(155)에 가깝게 위치하여 이동 단말기를 거치홈(157)에 끼워 세워 놓더라도 거치홈(157)의 뒤쪽으로 길게 연장된 거치대(150)가 이동 단말기를 지지할 수 있다.
거치대(150)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 이상이 구비되며, 각 거치대(150)의 간격은 크기가 작은 이동 단말기도 거치할 수 있도록 좁게 형성할 수 있다. 너비가 넓은 타블렛과 같은 이동 단말기도 안정적으로 거치하기 위해 본체부(100)의 양 단부쪽에 거치대(1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4개의 키조립체(200)를 이용하는 경우 제1 측면(100a)과 제2 측면(100b)은 수직으로 배치되나 5개 이상의 키조립체(200)를 구비한 경우 본체부(100)는 오각기둥 이상의 다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1 측면(100a)과 제2 측면(100b)은 90°보다 큰 각을 가지게 된다.
제1 측면(100a)과 제2 측면(100b)이 90°보다 큰 각을 가지는 경우 제2 측면(100b)의 너비 방향으로 힌지(155)를 배치하면 거치대(150)가 힌지(155)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열리면 제1 측면(100a)과 거치대(150)가 나란히 배치되지 않고 거치대(150)가 바닥쪽으로 기울어져 열리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거치대(150)는 5개 이상의 키조립체(200)를 갖는 휴대용 키보드(1000)에 있어서, 거치대(150)가 제1 측면(100a)보다 하측방향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나란하게 배치되게 열리는 거치대(150)와 힌지(155) 구조를 개선하였다.
도 6 및 도 7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키보드(1000)의 거치대(150)와 본체부(100)를 연결하는 힌지(155)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힌지(155)는 회전축이 제1 측면(100a)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거치대(150)는 상기 힌지(155)의 상기 회전축 방향에 비스듬하게 결합한다. 거치대(150)는 닫힌 상태에서는 제2 측면(100b)과 나란히 배치되므로 힌지축이 거치대(150)가 이루는 각(α)은 제1 측면(100a)과 제2 측면(100b)이 이루는 각보다 90°작다.
즉, 키조립체(200)의 크기가 동일하여 정n각형의 다각형인 경우 각 측면 사이의 각은 (180-360/n)°이므로, 힌지축과 거치대(150)가 이루는 각(α)은 (90-360/n)°가 된다. 힌지(155)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거치대(150)가 회전하면 거치대(150)는 바닥면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로 회전한다. 도 7을 참고하면 거치대(150)는 본체부(100)의 바닥면(100a, 제1 측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지 않고, 제2 측면(100b)과 같은 각도로 기울어져 있다.
거치대(150)는 힌지축에서 이격되어 힌지(155)의 외주면에 결합하여 거치대(150)가 닫힌 상태에서 힌지(155)가 본체부(100) 내부에 위치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키보드(1000)의 거치홈(157)을 도시한 도면이다. 거치홈(157)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변에서 제 2변으로 갈수록 힌지(155) 방향으로 기울어진 사각형 모양이며, 제2 변에 가까운 쪽이 넓다. 제2 변에 가까운 쪽이 힌지(155) 방향으로 더 연장된 형태로 이는 도 8b와 같이 두께가 얇은 이동 단말기(50)가 거치된 때에도 거치홈(157)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거치홈(157)에 삽입된 이동 단말기(50)가 보다 안정적으로 거치홈(157)에 안착되도록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150)의 힌지(155)와 먼 쪽, 즉 이동 단말기(50)를 거치하면 이동 단말기(50)의 배면이 위치하는 방향에 형성된 리브(1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브(158)는 거치대(150)가 도 5a와 같이 본체부(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본체부(100)와 접하는 면 방향으로 돌출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키보드(1000)의 키조립체(200)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키조립체(200)는 하부 프레임(210)과 상부 프레임(213), 그리고 상부 프레임(213)과 하부 프레임(210)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키탑(211)으로 이루어진다. 하부 프레임(210)과 상부 프레임(213) 사이에 가요성 연결부재(300)가 배치된다.
가요성 연결부재(300)는 상기 키조립체(200)의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은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홀을 형성할 수 있으며, 키조립체(200)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은 외부로 노출되므로 가요성 연결부재(300)를 피복하여 키조립체(200)와 동일한 색상 또는 다른 색상으로 코팅할 수 있다.
가요성 연결부재(300)는 키탑(211)이 눌리면 가압되는 돔 스위치(301)가 배치되며 돔 스위치(301)가 눌릴 때 발생하는 신호를 상기 본체부(100)로 전달한다. 즉, 가요성 연결부재(300)는 본체부(100) 및 상기 복수개의 키조립체(200)르 모두 연결한다.
키조립체(200)의 좌우에는 제1 자석(216)이 배치되어 본체부(100)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자석(216)과 반대극을 가지는 제2 자석(미도시) 또는 상기 제1 자석(216)과 결합가능한 자성체가 배치된다. 상기 자석(또는 자성체)을 구비하면, 별다른 결합 구조 없이 본체부(100)와 키조립체(200)가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상부 프레임(213)의 내부에서 상기 제1 자석(216)의 외주면에 자력차폐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력 차폐부재는 금속성 물질로 구성된 판형부재이다. 상기 자력 차폐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복수 개의 키조립체(200)들을 권취된 채로 고정하는 자석의 자력이 FPCB인 가요성 연결부재(300)에 의해 전달되는 전기신호에 악영향(예를 들어, 키인식률 저하 또는 인식 키 오류 또는 외란 등)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자석(216)은 하부 프레임(210)과 상부 프레임(213) 사이에 배치하여 제1 자석을(216) 고정하는 별도의 구조가 필요없이 상부 프레임(213)과 하부 프레임(210)을 결합하여 바로 제1 자석(216)을 고정할 수 있다. 키조립체(200)의 구조를 단순화 하여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키조립체(200)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복수개의 키탑(211)의 하부에는 상기 키탑(211)을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부재(219)는 서로 교차하는 두 개의 링크를 포함하고, 두 개의 링크의 양단에는 키탑(211)의 저면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 부재와 하부 프레임(210)의 상면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단부에는 스프링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변형 실시예로서,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탄성부재(219)는 키탑(211)의 저면과 하부 프레임(210)의 상면에 연결된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탄성부재(219)는 상기 키탑(211)이 눌러질 때 상기 키탑(211)의 상부면이 상기 상부 프레임(213)의 상부면과 동일한 평면에 위치되는 범위까지만 탄성적으로 하강하도록 구성된다. 즉, 탄성부재(219)는 키탑(211)이 눌러질 때 상기 키탑(211)의 상부면의 높이(h1)와 상기 상부 프레임(213)의 상부면의 높이(h2)와 동일해 질 때까지만 탄성적으로 하강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탄성부재(219)가 전술한 두 개의 링크로 구성된 경우 슬라이딩 부재의 이동거리를 한정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고, 탄성부재(219)가 전술한 압축 스프링인 경우 압축 스프링의 탄성계수 및 압축률을 조절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이렇게, 키탑(211)이 눌러질 때 상기 키탑(211)의 상부면이 상기 상부 프레임(213)의 상부면과 동일한 평면에 위치되는 범위까지만 탄성적으로 하강하도록 탄성부재(219)를 구성함으로써, 키탑(211)을 누를 때 손톱이 상부 프레임(213)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 및 손톱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부(100)는 중공형 정n각형 기둥형상을 구비하는 하우징(101)을 포함하고, 상기 키조립체(200)는 정n각형 기둥형상의 하우징(101)을 둘러싸서 휴대시의 휴대용 키보드(1000)가 정n각형 기둥형상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키조립체(200)의 제2 방향 양 측은 경사면을 포함하고,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면의 각도(β)는 (90-180/n)°가 된다.
예를 들어,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가 정오각 기둥형상(즉, n=5인 경우)을 가지는 경우, 복수 개의 키조립체(200)의 수량은 5개가 되며, 키조립체(200)의 경사면의 각도(β)는 54°가 되도록 절개하여 키조립체(200)의 단면형상이 결정된다. 상기 경사면은 키 조립체의 바닥면까지 닿도록 연장될 수도 있고,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은 휴대용 키보드(1000)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휴대용 키보드(1000)의 제조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키보드(1000)의 휴대시의 외형이 n각기둥 형상(즉, 바(bar) 형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휴대용 키보드(1000)의 휴대성 및 보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시의 외형에 울퉁불퉁하게 돌출된 부분이 없고, 힌지(155) 연결부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휴대용 키보드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별도의 거치장치가 필요 없이 키보드에 거치대(150)를 구비하여 이동 단말기를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는 휴대용 키보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키보드(1000)는 종래의 키보드와 유사한 키 배치를 통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시의 외형에 울퉁불퉁하게 돌출된 부분이 없고, 힌지 연결부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휴대용 키보드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0 : 휴대용 키보드 100 : 본체부
100a : 제1 측면 100b : 제2 측면
101 : 하우징 105 : 메인기판 150 : 거치대 155 : 힌지
157 : 거치홈
158 : 리브 200 : 키조립체
200a : 제1 키조립체 200b : 제2 키조립체
200c : 제3 키조립체 200d : 제4 키조립체
200e : 제5 키조립체 210 : 하부 프레임
211 : 키탑 213 : 상부 프레임
216 : 제1 자석 217 : 전개용 탭
219 : 탄성부재 300 : 가요성 연결부재

Claims (14)

  1. 복수 개의 키탑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키조립체;
    상기 복수 개의 키조립체 중 제1 키조립체와 인접하여 위치하고, 복수 개의 측면을 포함하는 n각 기둥 형상의 본체부;
    상기 복수 개의 키조립체 및 상기 본체부를 연결하는 가요성 연결부재; 및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실장되며 상기 키조립체로부터 입력된 입력신호를 처리하는 메인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일측 모서리가 상기 가요성 연결부재와 연결되는 제1 측면;
    상기 제1 측면의 타측 모서리에 인접하며, 상기 제1 측면과의 각도가 90° 이상인 제2 측면; 및
    상기 제2 측면에 결합하며 상기 제1 측면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힌지; 및
    일단이 상기 힌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2 측면에 접하는 거치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과 상기 거치대가 이루는 각(α)은 (90-360/n)°를 형성하고, 상기 거치대는 상기 힌지의 외곽에 결합하여 상기 회전축과 이격된 위치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키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연결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키조립체의 상부면이 상기 본체부의 측면에 접하면서 권취되도록 꺾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키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은 5 이상이고,
    상기 본체부의 복수 개의 측면은 동일한 사이즈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키보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키탑은 제1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키조립체는 제2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며,
    상기 키조립체의 제2 방향 양 측 상부는 β=(90-180/n)°로 기울어진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키보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제1 측면을 바닥에 거치시 상측을 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거치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거치홈은 내측으로 갈수록 상기 힌지방향을 향하여 기울어진 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키보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의 상기 거치홈 둘레에서 상기 본체부의 상기 제2 측면을 향해 돌출된 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키보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홈은 입구보다 내측이 상기 힌지 방향으로 더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키보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조립체는,
    상부에 상기 가요성 연결부재 및 상기 복수 개의 키탑이 안착되는 하부 프레임; 및
    상기 키탑에 상응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 프레임과 결합하는 상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휴대용 키보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 사이에 배치된 제1 자석; 및
    상기 본체부에 구비된 상기 제1 자석의 자력에 의해 결합하는 제2 자석 또는 금속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키조립체는 상기 제1 자석의 자력에 의해 상기 본체부의 둘레에 권취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키보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키조립체 중 상기 본체부에서 가장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키조립체에서 돌출된 전개용 탭(open tab)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키보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용 탭은 플렉서블한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키보드.
KR1020160050196A 2016-04-14 2016-04-25 휴대용 키보드 Active KR101779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80001949.0A CN107438465B (zh) 2016-04-14 2016-08-12 便携式键盘
EP16804984.9A EP3248085B1 (en) 2016-04-14 2016-08-12 Portable keyboard
PCT/KR2016/008931 WO2017179771A1 (en) 2016-04-14 2016-08-12 Portable keyboard
US15/401,769 US9990051B2 (en) 2016-04-14 2017-01-09 Portable keybo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22766P 2016-04-14 2016-04-14
US62/322,766 2016-04-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9430B1 true KR101779430B1 (ko) 2017-10-10

Family

ID=60190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0196A Active KR101779430B1 (ko) 2016-04-14 2016-04-25 휴대용 키보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79430B1 (ko)
CN (1) CN1074384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15833B (zh) * 2019-01-07 2021-06-15 群光电子(苏州)有限公司 沉降式键盘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7182B1 (ko) * 2014-10-08 2016-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키보드 및 휴대용 키보드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82595U (en) * 2003-03-07 2004-04-01 Darfon Electronics Corp Foldable keyboard having support structure
KR100800769B1 (ko) * 2007-01-29 2008-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휴대 통신 장치
KR101531524B1 (ko) * 2011-10-31 2015-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키보드
WO2015080350A1 (ko) * 2013-11-26 2015-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키보드 및 스피커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7182B1 (ko) * 2014-10-08 2016-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키보드 및 휴대용 키보드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438465B (zh) 2020-11-17
CN107438465A (zh) 2017-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1524B1 (ko) 휴대용 키보드
EP1156643B1 (en) Step keys, step key assembly, and terminal having the step key assembly
US7125257B1 (en) Power supply device with rotatable plug
KR101539465B1 (ko) 휴대용 통신 장치 및 그의 슬라이딩 거치 장치
US8254104B2 (en) Tilt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70062797A1 (en) Rocking key and electrical switch assembly employing the same
US7060915B2 (en) Multiple switching device
US8903459B2 (en) Connecting terminal for a battery of a mobile terminal
KR100498956B1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금속성 커버 로킹 장치
KR101779430B1 (ko) 휴대용 키보드
EP2141897B1 (en) Portable terminal with keypad lifting mechanism
CN103092273B (zh) 扩充底座
EP3248085B1 (en) Portable keyboard
KR101647381B1 (ko) 휴대용 키보드
KR20090129647A (ko)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갖는 슬라이드형 휴대용 정보기기
KR101474748B1 (ko) 초슬림 스마트 키보드 커버 장치
US8442214B2 (en) Tilt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40014485A1 (en) Switch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KR200451338Y1 (ko) 슬라이드 겸용 스윙 방식의 휴대 단말기용 힌지장치
US20110045876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rotatable case
KR101011233B1 (ko)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힌지 장치
KR101020167B1 (ko)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
JP3959497B2 (ja) 機能拡張装置
KR20120133260A (ko) 키캡들을 구비하는 자판
KR100874648B1 (ko) 조그 다이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12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042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0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2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1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4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10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4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22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120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1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7060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4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22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120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9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9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