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78189B1 - Clutch type conveyer system - Google Patents

Clutch type conveyer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8189B1
KR101778189B1 KR1020160003329A KR20160003329A KR101778189B1 KR 101778189 B1 KR101778189 B1 KR 101778189B1 KR 1020160003329 A KR1020160003329 A KR 1020160003329A KR 20160003329 A KR20160003329 A KR 20160003329A KR 101778189 B1 KR101778189 B1 KR 101778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ection
transfer
conveying
dri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33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83882A (en
Inventor
하춘욱
이창봉
Original Assignee
(주)씨앤투스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앤투스성진 filed Critical (주)씨앤투스성진
Priority to KR1020160003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8189B1/en
Publication of KR20170083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388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8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8189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65G13/06Roller dri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22Arrangements or mountings of driving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24Gearing between driving motor and 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26Applications of clutches or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1Conveyors composed of several types of conveyors
    • B65G2812/012Conveyors composed of several types of conveyors for conveying material successively by a series of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99Conveyor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타입 컨베이어 시스템은, 이송 라인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구간 별 이송을 수행하는 다수의 구간 이송 유닛; 이송 라인을 따라 배치되어 다수의 구간 이송 유닛을 구동시키는 모터 구동 유닛; 및 모터 구동 유닛과 각각의 구간 이송 유닛 사이에서 모터 구동 유닛의 구동력을 구간 이송 유닛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 유닛을 포함하며, 구간 이송 유닛은 이송 구간에 배치되는 구간 이송 본체; 그리고 구간 이송 본체에 배치되며, 이송물체에 접촉되어 이송물체를 이동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며, 모터 구동 유닛은 이송 라인을 따라 배치되어 이송부를 구동시키는 복수의 구간 샤프트부; 복수의 구간 샤프트부를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구간 샤프트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의 구동 지지대부; 그리고 구간 샤프트부를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를 포함한다. 컨베이어 각 구간별 설치되는 모터의 수를 감소시켜 컨베이어 라인구축에 따른 비용과 작어 시수를 줄일 수 있으며, 라인 구축 후에는 에너지 소비를 절감시킬 수 있다.A clutch type conveyo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interval conveying units arranged at intervals along a conveying line to perform interval conveying; A motor drive unit disposed along the transfer line for driving the plurality of section transfer units; And a clutch unit for selectively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drive unit to the interval transferring unit between the motor driving unit and each of the interval transferring units, wherein the interval transferring unit comprises: an interval transferring body disposed in the transferring section; And a transfer unit which is disposed in the section transfer body and moves in contact with the transfer object to move the transfer object, the motor drive unit comprising: a plurality of section shafts arranged along the transfer line to drive the transfer unit; A plurality of drive support portions spaced apart along a plurality of section shaft portions and rotatably supported by the section shaft portions; And a drive motor for driving the section shaft portion. By reducing the number of motors installed in each section of the conveyo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and the number of times of construction of the conveyor line, and the energy consumption after the line construction can be reduced.

Figure R1020160003329
Figure R1020160003329

Description

클러치 타입 컨베이어 시스템{CLUTCH TYPE CONVEYER SYSTEM}[0001] CLUTCH TYPE CONVEYER SYSTEM [0002]

본 발명은 클러치 타입 컨베이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체를 이동시키면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클러치 타입 컨베이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utch type conveyor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clutch type conveyor system capable of moving an object while moving the object.

컨베이어는 물류 장치의 일종으로, 주로 작업 지역 내 작업 대상물을 작업 라인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일예로 자동차 조립라인에는 조립공정을 따라 차체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컨베이어가 설치된다. 조립 엔지니어들은 컨베이어에 의해 이동되는 차체에 자동차를 구성하는 각 계통별 부분품을 탑재시킬 수 있다.A conveyor is a type of logistic device, which is mainly installed to move a workpiece in a work area along a work line. For example, in a car assembly line, a conveyor is installed to move the car body along the assembly process. Assembly engineers can load parts of each system that make up the vehicle into the body being moved by the conveyor.

이때 차체를 이동시킬 수 있는 컨베이어는, 주로 자동차와 같이 하중이 무거운 작업 대상물을 이동시킬 수 있는 롤러 컨베이어가 사용될 수 있다. 하중이 무거운 작업 대상물은 롤러 상에서 이동되는 운반대에 탑재되어 운반대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a conveyor capable of moving the body, a roller conveyer capable of moving a work object having a heavy load such as an automobile can be used. A workpiece with a heavy load may be mounted on a carriage moved on the roller and moved together with the carriage.

기존의 롤러 컨베이어는 롤러가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롤러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모터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기존의 컨베이어는 작업자의 필요성에 따라 모터를 구동시키거나 회전시켜 롤러 상에서 운반대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운반대는 저면부가 롤러에 접촉되어 이동된다.Conventional roller conveyors have rollers arranged at intervals, and a plurality of motors are installed to drive the rollers. These conventional conveyors are configured to move the pallet on the rollers by driving or rotating the motor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operator. At this time, the carriage is moved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addition roller.

이러한 기존의 롤러 컨베이어는, 각 컨베이어 구간 별로 모터가 하나씩 배치되어 여러 구간의 컨베이어를 연결하여 컨베이어 라인을 구성하므로, 상당수의 모터가 필요하게 된다.In the conventional roller conveyor, a motor is arranged for each conveyor section, and a plurality of conveyo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conveyor line, so that a large number of motors are required.

이처럼 기존의 롤러 컨베이어는 다수의 모터가 필요하여 컨베이어 라인 구축에 많은 비용이 필요하며, 각 모터를 구동시킬 수 있는 사용자 스위치와 모터의 과부하에 따른 누전을 방지하기 위한 많은 안전기를 설치해야 했으므로 작어 시수가 증가되며, 라인 구축 후 다수 모터의 구동에 따른 상당한 에너지 소모가 있었다.Since the conventional roller conveyor requires a lot of motors, it requires a lot of cost for constructing the conveyor line, and it is necessary to install a lot of safety devices to prevent a short circuit due to the overload of the user switch and the motor that can drive each motor. And there was a considerable energy consumption due to the driving of a plurality of motors after the line was built.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1-0026339 호(2011.03.31)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1-0026339 (March 31, 2011)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컨베이어 각 구간별 설치되는 모터의 수를 감소시켜 컨베이어 라인구축에 따른 비용과 작업 시수를 줄일 수 있으며, 라인 구축 후에는 에너지 소비를 절감시킬 수 있는 클러치 타입 컨베이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lutch type conveyor system capable of reducing the number of motors installed in each section of the conveyor to reduce the cost and the number of work hours associated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conveyor line, .

상기의 과제 해결을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타입 컨베이어 시스템은, 이송 라인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구간 별 이송을 수행하는 다수의 구간 이송 유닛; 상기 이송 라인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다수의 구간 이송 유닛을 구동시키는 모터 구동 유닛; 및 상기 모터 구동 유닛과 각각의 상기 구간 이송 유닛 사이에서 상기 모터 구동 유닛의 구동력을 상기 구간 이송 유닛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구간 이송 유닛은 상기 이송 구간에 배치되는 구간 이송 본체; 그리고 상기 구간 이송 본체에 배치되며, 이송물체에 접촉되어 이송물체를 이동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 구동 유닛은 이송 라인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이송부를 구동시키는 복수의 구간 샤프트부; 상기 복수의 구간 샤프트부를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구간 샤프트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의 구동 지지대부; 그리고 상기 구간 샤프트부를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를 갖는 구동 모터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lutch type conveyor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interval conveying units arranged at intervals along a conveying line to perform conveying by interval; A motor drive unit disposed along the transfer line for driving the plurality of section transfer units; And a clutch unit selectively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driving unit to the interval transferring unit between the motor driving unit and each of the interval transferring units, wherein the interval transferring unit includes a section transferring body ; And a transfer unit which is disposed in the section transfer body and contacts the transfer object to move the transfer object, the motor drive unit comprising: a plurality of section shafts arranged along the transfer line to drive the transfer unit; A plurality of drive support portions spaced apart along the plurality of section shaft portions and rotatably supported by the section shaft portions; And a drive motor unit having a drive motor for driving the section shaft unit.

상기 이송부는 복수개로 상기 구간 이송 본체에 상호 연결되어 배치되며, 상기 구간 샤프트부는, 상기 복수의 구동 지지대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 고정되는 구동 샤프트; 상기 구동 샤프트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구동 기어; 상기 구동 기어에 기어 결합되며 상기 클러치 유닛에 연결되는 피동 기어; 및 상기 피동 기어가 결합되며 상기 클러치 유닛의 일부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클러치 유닛에 결합되는 피동축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veying unit is disposed in a plurality of mutually connected sections of the section conveying body, the section shaft section includes: a driving shaft rotatably positioned at the plurality of driving support sections; A drive gear coupled to the drive shaft and rotated; A driven gear that is gear-connected to the driving gear and is connected to the clutch unit; And a driven shaft coupled to the driven gear and coupled to the clutch unit to rotate a portion of the clutch unit.

상기 구동 기어와 상기 피동 기어는 상기 구동 샤프트의 회전력을 상기 구동 샤프트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전달하도록 쌍으로 마련되는 제1, 2 베벨기어일 수 있다.The drive gear and the driven gear may be first and second bevel gears provided in pairs so as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shaft in a direction crossing the drive shaft.

상기 구간 이송 본체는 상기 구간 이송 라인에 배치되는 사각 형상의 사각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상기 이송 라인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교차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이송부는, 상기 사각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교차 프레임과 같은 방향으로 상기 사각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이송물체에 접촉되는 롤러들을 갖는 복수의 이송 롤러; 상기 복수의 이송 롤러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복수의 이송 롤러를 함께 구동시키는 복수의 구동 연결부재; 및 상기 복수의 구동 연결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되며, 상기 클러치 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클러치 유닛에 의해 상기 피동축으로부터 선택적으로 구동력을 전달받는 종동축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tional transporting body includes a rectangular frame disposed in the sectional transporting line. And a crossing frame coupled to the frame in a direction crossing the transfer line, wherein the plurality of transferring portions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rectangular fram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crossing fram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ctangular frame A plurality of transport rollers having rollers contacting the transported object; A plurality of driving connection members for interconnecting the plurality of feeding rollers to drive the plurality of feeding rollers together; And a driven shaft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drive link members and connected to the clutch unit to selectively transmit a drive force from the driven shaft by the clutch unit.

상기 클러치 유닛은 전기적 신호에 따른 자기장이 형성과 소멸에 따라 구동력의 전달을 단속할 수 있는 전자기 클러치 타입일 수 있다.The clutch unit may be of an electromagnetic clutch type capable of interrupting the transmission of a driving force in accordance with the formation and disappearance of a magnetic field according to an electrical signal.

상기 복수의 구간 샤프트부를 상호 연결하는 커플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coupler for interconnecting the plurality of section shaft portions.

상기 구간 이송 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구간 이송 유닛 상의 상기 이송물체를 감지하는 이송 센서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transfer sensor unit disposed adjacent to the section transfer unit for sensing the transferred object on the section transfer unit.

상기 복수의 구간 이송 유닛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이송 센서 유닛에 의해 상기 이송물체가 감지되며 상기 어느 하나의 구간 이송 유닛에 인접한 다른 하나의 구간 이송 유닛에서 상기 이송 센서 유닛에 의해 다른 이송물체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다른 하나의 구간 이송 유닛에서 상기 다른 이송물체가 또 다른 상기 구간 이송 유닛 상으로 이동될 때까지 상기 어느 하나의 구간 이송 유닛에 의한 이송물체의 이송을 대기시킬 수 있는 이송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veyance object is detected by the conveyance sensor unit 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interval conveyance units and another conveyance object is detected by the conveyance sensor unit in another interval conveyance unit adjacent to the one interval conveyance unit A transfer control unit capable of waiting for the transfer of the transfer object by any one of the section transfer units until the other transfer object is moved onto another section transfer unit in the other section transfer unit .

상기 이송 라인을 따라 배치되는 모노레일 컨베이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는 상기 모노레일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 가능한 이송물체에 접촉되도록 상기 구간 이송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송 휠; 그리고 상기 이송 휠을 상기 구간 이송 본체에 연결하는 휠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A conveying wheel rotatably disposed in the section conveying body so as to contact a conveying object movable along the monorail conveyor; and a monorail conveyor disposed along the conveying line. And a wheel shaft connecting the conveying wheel to the section conveying body.

상기 모노레일 컨베이어는 라인 형상을 갖는 이송물체의 이탈이 제한되면서 이동 가능하도록 이송 레일이 구성될 수 있다.The conveyor rail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monorail conveyor is movable while restricting the deviation of the conveyed object having the line shap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베이어 각 구간별 설치되는 모터의 수를 감소시켜 컨베이어 라인구축에 따른 비용과 작업 시수를 줄일 수 있으며, 라인 구축 후에는 에너지 소비를 절감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number of motors installed per each section of the conveyor can be reduced to reduce the cost and the number of work hours for constructing the conveyor line, and the energy consumption after the line construction can be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타입 컨베이어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부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에 이송물체인 파레트(P)가 적재되어 이동되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타입 컨베이어 시스템의 주요 영역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일부 정면도이다.
1 is a plan view of a clutch type conveyo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ial area of Fig.
Fig. 3 is a front view in which a pallet P, which is a transported object, is loaded and moved in Fig.
4 is a plan view of a major area of a clutch type conveyor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artial front view of Figure 4;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후술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차이는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사항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하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by way of specific embodiments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fferences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are to be understood as mutually exclusive matters. That is, the specific featur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osition of the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타입 컨베이어 시스템은, 이송 라인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구간 별 이송을 수행하는 다수의 구간 이송 유닛(100), 이송 라인을 따라 배치되어 다수의 구간 이송 유닛(100)을 구동시키는 모터 구동 유닛(130), 그리고 모터 구동 유닛(130)과 각각의 구간 이송 유닛(100) 사이에서 모터 구동 유닛(130)의 구동력을 구간 이송 유닛(100)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 유닛(160)을 포함한다.1 to 3, a clutch type conveyo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interval conveying units 100 arranged to be spaced apart along a conveying line to carry out interval conveying, A motor drive unit 130 disposed along the line for driving the plurality of section transfer units 100 and a drive motor 130 for driving the motor drive unit 130 between the motor drive unit 130 and each section transfer unit 100 And a clutch unit (160) selectively transmitting to the section transfer unit (100).

다수의 구간 이송 유닛(100)은 이송 라인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며, 모터 구동 유닛(130)에 의해 가동되어 이송물체의 이송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클러치 유닛(160)은 모터 구동 유닛(130)과 각각의 구간 이송 유닛(100) 사이에 위치하여 동력 전달을 단속할 수 있다. 즉 이송물체가 일렬로 배치된 다수의 구간 이송 유닛(100)에 의해 이송되는 경우, 한 구간에서 이송물체의 이송이 정지한 상태에서 다른 구간에서 다른 이송물체의 이송이 진행되는 경우, 정지된 이송물체로 인해 이송물체들 간에 간섭이 발생될 수 있으며, 상호 접촉되어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이때 클러치 유닛(160)은 구간 이송 유닛(100)으로 동력의 전달을 단속하여 이송물체들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A plurality of section transfer units 100 are arranged in a line along a transfer line, and can be operated by the motor drive unit 130 to perform transfer of the transfer object. The clutch unit 160 is disposed between the motor drive unit 130 and each of the segment transfer units 100 to intercept power transmission. That is, when the conveyed object is conveyed by a plurality of the interval conveying units 100 arranged in a line, if conveyance of another conveyed object progresses in another section while the conveyance of the conveyed object is stopped in one section, Interference may occur between moving objects due to objects, and mutual contact may occur. At this time, the clutch unit 160 interrupts transmission of power to the section transfer unit 100 to prevent interference of the conveyed objects.

상기의 구간 이송 유닛(100)은 이송 구간에 배치되는 구간 이송 본체(110), 그리고 구간 이송 본체(110)에 배치되며 이송물체에 접촉되어 이송물체를 이동시키는 이송부(120)를 포함한다. 구간 이송 본체(110)는 프레임 구조의 위치 고정된 대차 형상이며, 이송부(120)는 구간 이송 본체(110) 상으로 적재된 이송물체를 이송시킬 수 있다.The section transfer unit 100 includes a section transfer body 110 disposed in a transfer section and a transfer section 120 disposed in the section transfer body 110 and contacting the transfer object to move the transfer object. The section transfer body 110 is a positionally fixed bogie shape of a frame structure, and the transfer section 120 can transfer a conveyed object stacked on the section transfer body 110.

또한 모터 구동 유닛(130)은 이송 라인을 따라 배치되어 이송부(120)를 구동시키는 복수의 구간 샤프트부(131), 복수의 구간 샤프트부(131)를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구간 샤프트부(131)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의 구동 지지대부(150), 그리고 구간 샤프트부(131)를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152)를 갖는 구동 모터부(151)를 포함한다.The motor drive unit 130 includes a plurality of section shafts 131 arranged along the transfer line to drive the transfer unit 120, a plurality of interval shaft sections 131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drive motor 151 having a drive motor 152 for driving the section shaft 131. The drive motor 15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rive support portions 150,

이때 구간 샤프트부(131)는 여러 개의 구동 샤프트(132)를 커플러(135)에 의해 연결한 구조로서, 구간 이송 유닛(100)의 측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간 샤프트부(131)는 각각의 구동 샤프트(132)와 연결되는 클러치 유닛(160)의 동력 단속 여부에 따라 각각의 구간 이송 본체(110)에 있는 이송부(120)를 구동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tional shaft portion 131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driving shafts 132 are connected by a coupler 135, and may b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section transfer unit 100. The section shaft 131 may drive the conveyance unit 120 in each of the section conveying bodies 110 according to whether the clutch unit 160 connected to each of the drive shafts 132 is energized or de-energized.

이처럼 상기한 바와 같은 클러치 타입 컨베이어 시스템은, 하나의 구동 모터(152)에 의해 여러 개의 이송부(120)를 갖는 구간 이송 유닛(100)을 가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설치 작업이 간단하며,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다.The clutch type conveyor system as described above can be configured to operate the section transfer unit 100 having a plurality of transfer units 120 by one drive motor 152, Can be reduced.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타입 컨베이어 시스템의 주요 구성 요소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major components of the clutch type conveyo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FIG.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구간 이송 본체(110)는 구간 이송 라인에 배치되는 사각 형상의 사각 프레임(111)과 사각 프레임(111)의 이송 라인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교차 프레임(112)을 포함한다.1 and 2, the sectional conveying body 110 includes a rectangular frame 111 arranged in a section transfer line and a cross frame 112 coupl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transfer line of the rectangular frame 111 ).

이러한 구간 이송 본체(110)에는 이송을 수행하기 위한 복수개의 이송부(120)가 위치한다. 즉 이송부(120)는 복수개로 구간 이송 본체(110)에 상호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이송부(120)는 이송물체에 접촉되어 이송물체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모터 구동 유닛(130)의 동력에 의해 함께 구동되도록 구동 연결부재(122)에 해당되는 벨트 혹은 체인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A plurality of conveying parts 120 for conveying are disposed in the section conveying body 110. That is, the conveying units 120 may be arranged to be interconnected to the section conveying body 110 in a plurality. The plurality of conveying units 120 are configured to move the conveying object in contact with the conveying object. The plurality of conveying units 120 are disposed on a belt or a chain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connecting member 122 so as to be driven together by the power of the motor driving unit 130 Lt; / RTI >

이처럼 복수의 이송부(120)는 복수의 이송 롤러(121)와 복수의 구동 연결부재(122)를 포함한다. 복수의 이송 롤러(121)는 사각 프레임(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교차 프레임(112)과 같은 방향으로 사각 프레임(1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송물체에 접촉되는 이송 롤러들을 갖는다.As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conveyance units 120 include a plurality of conveyance rollers 121 and a plurality of drive link members 122. A plurality of conveying rollers 121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rectangular frame 111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crossing frame 112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ctangular frame 111 and have conveying rollers contacting the conveying object.

구동 연결부재(122)는 복수의 이송 롤러(121)를 상호 연결하여 복수의 이송 롤러(121)를 함께 구동시키는 것으로서, 복수의 이송 롤러(121)의 축을 상호 연결하는 벨트 혹은 체인, 벨트 풀리 또는 체인 기어가 해당된다.The drive link member 122 drives the plurality of feed rollers 121 b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feed rollers 121 to each other. The drive link member 122 includes a belt or a chain, a belt pulley, Chain gear.

복수의 구동 연결부재(1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모터 구동 유닛(130)과 클러치 유닛(160)에 연결되어 있는 종동축(125)이 연결된다. 이러한 종동축(125)에는 벨트의 벨트 풀리나 체인의 체인 기어가 결합될 수 있다.A driven shaft 125 connected to the motor drive unit 130 and the clutch unit 160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drive link members 122. To this driven shaft 125, a chain gear of a belt pulley or a chain of the belt may be engaged.

이러한 종동축(125)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클러치 유닛(160)과 연결되어 클러치 유닛(160)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력을 전달받도록 구간 샤프트부(131)의 피동축(138)에 축선 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driven shaft 125 is connected to the clutch unit 160 and can be axially connected to the driven shaft 138 of the section shaft 131 to selectively receive the driving force by the clutch unit 160 have.

모터 구동 유닛(130)은 상기와 같이 각각의 구간 이송 유닛(100)에 대응하여 구간 이송 유닛(100)을 구동시킬 수 있는 구간 샤프트부(131)를 갖는다.The motor driving unit 130 has an interval shaft portion 131 capable of driving the interval conveying unit 100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interval conveying units 100 as described above.

구간 샤프트부(131)는 구간 이송 유닛(100)을 따라 그 옆에 길게 배치되는 구동 샤프트(132)와 구동 샤프트(132)의 구동력을 클러치 유닛(160)을 통해 모터 구동 유닛(130)의 이송부(120) 측으로 전달할 수 있는 구동 기어(136), 피동 기어(137), 그리고 피동축(138)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tion shaft portion 131 transmits the drive force of the drive shaft 132 and the drive shaft 132 which are disposed along the section transfer unit 100 to the side of the section transfer unit 100 via the clutch unit 160, A drive gear 136, a driven gear 137, and a driven shaft 138 that can transmit the drive force to the drive shaft 120 side.

복수의 구간 샤프트부(131)는 커플러(135)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으므로, 복수의 구간 이송 유닛(100)에 대응하여 복수의 구간 샤프트부(131)가 배치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구간 샤프트부(131)는 일렬로 배치되는 구동 샤프트(131)가 커플러(135)에 의해 연결되어 구성된다.Since the plurality of section shaft portions 131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upler 135, a plurality of section shaft portions 131 can be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section transfer units 100. The section shaft portion 131 is substantially constituted by a drive shaft 131 arranged in a line and connected by a coupler 135.

구동 샤프트(132)는 복수의 구동 지지대부(150)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구동 지지대부(150)는 구동 샤프트(132)가 회전 가능하도록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 기어(136)는 구동 샤프트(132)에 결합되어 회전되며, 피동 기어(137)는 구동 기어(136)에 기어 결합되며 클러치 유닛(160)에 연결되며, 피동축(138)은 피동 기어(137)가 결합되며 클러치 유닛(160)의 일부를 회전시키도록 클러치 유닛(160)에 결합될 수 있다The drive shaft 132 may be rotatably and positionally fixed to the plurality of drive support portions 150. At this time, the drive support portion 150 may include a bearing so that the drive shaft 132 is rotatable. The driven gear 136 is coupled to the drive shaft 132 and rotated so that the driven gear 137 is engaged with the drive gear 136 and is connected to the clutch unit 160. The driven shaft 138 is driven by the driven gear 137 may be engaged and coupled to the clutch unit 160 to rotate a portion of the clutch unit 160

구동 기어(136)와 피동 기어(137)는 구동 샤프트(132)의 회전력을 구동 샤프트(132)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전달하도록 쌍으로 마련되는 제1, 2 베벨기어(141, 142)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2 베벨 기어(141, 142)는 구동 샤프트(132)부의 동력 전달의 방향을 이송부(120)와 연결되는 클러치 유닛(160) 측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The drive gear 136 and the driven gear 137 may be first and second bevel gears 141 and 142 provided in pairs so as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shaft 132 in a direction crossing the drive shaft 132 . The first and second bevel gears 141 and 142 can convert the direction of power transmission of the drive shaft 132 to the clutch unit 160 side connected to the feeder 120.

클러치 유닛(160)은 주로 전기적 신호에 따른 자기장의 형성과 소멸에 따라 구동력의 전달을 단속할 수 있는 전자기 클러치 타입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즉 클러치 유닛(160)은 차량 적용되는 기계적인 건식 혹은 유체를 이용한 습식 타입의 클러치를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축과 축을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분리 및 연결 가능한 커플러를 사용할 수도 있다.The clutch unit 160 may be an electromagnetic clutch type that can intercept the transmission of the driving force mainly depending on the formation and disappearance of the magnetic field in accordance with the electrical signal, but the scope of the righ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other words, the clutch unit 160 can use not only a mechanically dry or fluid-wetted type clutch applied to a vehicle, but also a separable and connectable coupler used to connect the shaft and the shaft.

한편 이송 센서 유닛(170)이 구간 이송 유닛(100)에는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이송 센서 유닛(170)은 구간 이송 유닛(100) 상의 이송물체를 감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ransfer sensor unit 170 can be disposed adjacent to the section transfer unit 100. Such a conveying sensor unit 170 can sense a conveyed object on the interval conveying unit 100.

이러한 이송 센서 유닛(170)은 이송 제어 유닛(180)에 연결될 수 있다.The transfer sensor unit 170 may be connected to the transfer control unit 180.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이송 제어 유닛(180)은 복수의 구간 이송 유닛(100) 중 어느 하나에서 이송 센서 유닛(170)에 의해 이송물체가 감지되며 어느 하나의 구간 이송 유닛(100)에 인접한 다른 하나의 구간 이송 유닛(100)에서 이송 센서 유닛(170)에 의해 다른 이송물체가 감지되는 경우, 다른 하나의 구간 이송 유닛(100)에서 다른 이송물체가 또 다른 구간 이송 유닛(100) 상으로 이동될 때까지 어느 하나의 구간 이송 유닛(100)에 의한 이송물체의 이송을 대기시킬 수 있다.1 to 3, the conveyance control unit 180 detects a conveyed object by the conveyance sensor unit 170 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interval conveyance units 100, When another conveying object is sensed by the conveyance sensor unit 170 in another conveyance unit 100 adjacent to another conveyance unit 100, another conveyance object in another interval conveyance unit 100 is conveyed to another interval conveyance unit 100, It is possible to wait for the conveyance of the conveyed object by any one of the section conveying units 100 until it is moved to the up position.

이하에서는 도 4와 도 5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타입 컨베이어 시스템이 기술한다.4 and 5 illustrate a clutch type conveyor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타입 컨베이어 시스템은, 이송 라인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구간 별 이송을 수행하는 다수의 구간 이송 유닛(100), 이송 라인을 따라 배치되어 다수의 구간 이송 유닛(100)을 구동시키는 모터 구동 유닛(130), 그리고 모터 구동 유닛(130)과 각각의 구간 이송 유닛(100) 사이에서 모터 구동 유닛(130)의 구동력을 구간 이송 유닛(100)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 유닛(160)을 포함하는 측면에서 상기의 실시 예와 동일한 동력 전달 구조로 되어 있으며, 단지 이송 라인을 따라 배치되는 모노레일 컨베이어(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모터 구동 유닛(130)과 구간 이송 유닛(100)의 동력 전달 구조는 상기와 동일하다.Referring to FIGS. 4 and 5, a clutch type conveyor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interval conveying units 100 arranged at intervals along a conveying line to perform the interval conveying, A motor drive unit 130 for driving a plurality of section transfer units 100 and a drive force of the motor drive unit 130 between the motor drive unit 130 and each of the section transfer units 100 is supplied to the interval transfer unit 100 And a clutch unit 160 that selectively transmits the monorail conveyor 200 to the monorail conveyor 200. The monorail conveyor 200 may have the same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as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may be disposed along the conveying line. That is, the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of the motor drive unit 130 and the section transfer unit 100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모터 구동 유닛(130)과 이송 휠(210)의 휠 샤프트(211)에 사이에 클러치 유닛이 있으며, 구동 모터(152)에 구동 기어(136)와 피동 기어(137)가 연결되어 클러치 유닛으로 동력이 전달되며, 클러치 유닛에 의해 휠 샤프트(211)에 대한 동력이 단속되는 구성은 상기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A clutch unit is provided between the motor drive unit 130 and the wheel shaft 211 of the feed wheel 210. The drive gear 136 and the driven gear 137 are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152, And the power to the wheel shaft 211 is interrupted by the clutch unit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above, so a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한편 이때의 구간 이송 유닛(100)의 이송부(120)는 모노레일 컨베이어(200)를 따라 이동 가능한 이송물체에 접촉되도록 구간 이송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송 휠(210) 그리고 이송 휠(210)을 구간 이송 본체(110)에 연결하는 휠 샤프트(211)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veying unit 120 of the interval conveying unit 100 at this time includes a conveying wheel 210 rotatably disposed in the interval conveying body 110 so as to contact the conveying object movable along the monorail conveyor 200, 210 to the section conveying main body 110. In this case,

모노레일 컨베이어(200)는 라인 형상을 갖는 이송물체의 이탈이 제한되면서 이동 가능하도록 오목한 홈을 갖는 이송 레일(220)이 구성될 수 있다.The monorail conveyor 200 can be configured to have a conveying rail 220 having a concave groove so as to be movable while restricting the deviation of the conveyed object having a line shape.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파이프와 같은 형상의 이송물체가 이탈이 제한되면서 이송 레일(220)에 적재될 수 있으며, 구간 이송 유닛(100)에 의해 회전되는 이송 휠(210)에 의해 접촉되어 이송 라인을 따라 목적지까지 이동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veyed object having the shape of a pipe can be loaded on the conveying rail 220 while being restricted from being released, and is conveyed by the conveying wheel 210 rotated by the interval conveying unit 100 And can be moved along the transfer line to the destination.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도 전술한 이송 센서 유닛(170)과 이송 제어 유닛(180)이 동일하게 구성되어 이송물체의 각 이송 구간에서 이송 제어하가 이루질 수 있음을 밝혀 둔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conveyance sensor unit 170 and the conveyance control unit 180 are constructed in the same manner, and the conveyance control can be performed under each conveyance interval of the conveyance object.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기초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Deletion, addition or the lik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구간 이송 유닛 110: 구간 이송 본체
111: 사각 프레임 112: 교차 프레임
120: 이송부 121: 이송 롤러
122: 구동 연결부재 125: 종동축
130: 모터 구동 유닛 131: 구간 샤프트부
132: 구동 샤프트 135: 커플러
136: 구동 기어 137: 피동 기어
138: 피동축 141, 142: 제1, 2 베벨기어
150: 구동 지지대부 151: 구동 모터부
152: 구동 모터 160: 클러치 유닛
170: 이송 센서 유닛 180: 이송 제어 유닛
200: 모노레일 컨베이어 210: 이송 휠
211: 휠 샤프트 220: 이송 레일
100: section transfer unit 110: section transfer body
111: square frame 112: intersecting frame
120: feeder 121: feed roller
122: drive link member 125:
130: motor drive unit 131:
132: drive shaft 135: coupler
136: drive gear 137: driven gear
138: driven shaft 141, 142: first and second bevel gears
150: driving support portion 151: driving motor portion
152: drive motor 160: clutch unit
170: Feeding sensor unit 180: Feeding control unit
200: Monorail conveyor 210: Feed wheel
211: Wheel shaft 220: Feed rail

Claims (10)

이송 라인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구간 별 이송을 수행하는 다수의 구간 이송 유닛;
상기 이송 라인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다수의 구간 이송 유닛을 구동시키는 모터 구동 유닛; 및,
상기 모터 구동 유닛과 각각의 상기 구간 이송 유닛 사이에서 상기 모터 구동 유닛의 구동력을 상기 구간 이송 유닛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구간 이송 유닛은 이송 구간에 배치되는 구간 이송 본체; 그리고 상기 구간 이송 본체에 배치되며, 이송물체에 접촉되어 이송물체를 이동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 구동 유닛은 이송 라인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이송부를 구동시키는 복수의 구간 샤프트부, 상기 복수의 구간 샤프트부를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구간 샤프트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의 구동 지지대부, 그리고 상기 구간 샤프트부를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를 갖는 구동 모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 구동 유닛과 각각의 상기 구간 이송 유닛 사이에서 상기 모터 구동 유닛의 구동력을 상기 구간 이송 유닛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상기 클러치 유닛을 포함하는 측면에서 이송 라인을 따라 배치된 상태로, 라인 형상을 갖는 이송물체를 이동시키는 모노레일 컨베이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모노레일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 가능한 이송물체에 접촉되도록 상기 구간 이송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송 휠, 그리고 상기 이송 휠을 상기 구간 이송 본체에 연결하는 휠 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모노레일 컨베이어는 라인 형상을 갖는 이송물체의 이탈이 제한되면서 이동 가능하도록 오목한 홈을 갖는 이송 레일이 구성되는 클러치 타입 컨베이어 시스템.
A plurality of interval transfer units spaced along the transfer line to perform the interval transfer;
A motor drive unit disposed along the transfer line for driving the plurality of section transfer units; And
And a clutch unit selectively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drive unit to the section transfer unit between the motor drive unit and each of the section transfer units,
Wherein the section transfer unit comprises: a section transfer body disposed in a transfer section; And a conveying part which is disposed in the section conveying main body and contacts the conveying object to move the conveying object,
The motor drive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section shafts disposed along a transfer line to drive the transfer unit, a plurality of drive and support lobes spaced along the plurality of section shafts and rotatably supported by the section shaft, And a drive motor unit having a drive motor for driving the section shaft unit,
And the clutch unit selectively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drive unit to the interval transfer unit between the motor drive unit and each of the interval transfer units, Further comprising a monorail conveyor for moving the conveyed object,
Wherein the conveying unit includes a conveying wheel rotatably disposed in the section conveying body so as to contact the conveying object movable along the monorail conveyor, and a wheel shaft connecting the conveying wheel to the section conveying body,
Wherein said monorail conveyor comprises a conveying rail having a concave groove so as to be movable while restricting the deviation of a conveyed object having a line shap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복수개로 상기 구간 이송 본체에 상호 연결되어 배치되며,
상기 구간 샤프트부는,
상기 복수의 구동 지지대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 고정되는 구동 샤프트;
상기 구동 샤프트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구동 기어;
상기 구동 기어에 기어 결합되며 상기 클러치 유닛에 연결되는 피동 기어; 및
상기 피동 기어가 결합되며 상기 클러치 유닛의 일부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클러치 유닛에 결합되는 피동축을 포함하는 클러치 타입 컨베이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nsfer unit is disposed in a plurality of mutually connected relation to the section transfer body,
The section shaft portion
A drive shaft rotatably positioned on the plurality of drive support portions;
A drive gear coupled to the drive shaft and rotated;
A driven gear that is gear-connected to the driving gear and is connected to the clutch unit; And
And a driven shaft to which the driven gear is engaged and which is coupled to the clutch unit to rotate a portion of the clutch unit.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어와 상기 피동 기어는 상기 구동 샤프트의 회전력을 상기 구동 샤프트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전달하도록 쌍으로 마련되는 제1, 2 베벨기어인 클러치 타입 컨베이어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rive gear and the driven gear are first and second bevel gears provided in pairs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shaft in a direction crossing the drive shaft.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 이송 본체는 이송 라인에 배치되는 사각 형상의 사각 프레임; 및 상기 사각 프레임의 이송라인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교차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이송부는,
상기 사각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교차 프레임과 같은 방향으로 상기 사각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이송물체에 접촉되는 롤러들을 갖는 복수의 이송 롤러;
상기 복수의 이송 롤러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복수의 이송 롤러를 함께 구동시키는 복수의 구동 연결부재; 및
상기 복수의 구동 연결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되며, 상기 클러치 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클러치 유닛에 의해 상기 피동축으로부터 선택적으로 구동력을 전달받는 종동축을 포함하는 클러치 타입 컨베이어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ectional conveying body comprises a rectangular frame disposed in a conveying line; And a crossing frame coupl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transfer line of the rectangular frame,
Wherein the plurality of conveying units comprise:
A plurality of conveying rollers rotatably coupled to the rectangular fram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cross frame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rectangular frame and having rollers contacting the conveyed object;
A plurality of driving connection members for interconnecting the plurality of feeding rollers to drive the plurality of feeding rollers together; And
And a driven shaft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drive connection members and connected to the clutch unit to selectively transmit a driving force from the driven shaft by the clutch unit.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유닛은 전기적 신호에 따른 자기장이 형성과 소멸에 따라 구동력의 전달을 단속할 수 있는 전자기 클러치 타입인 클러치 타입 컨베이어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lutch unit is of an electromagnetic clutch type capable of interrupting transmission of a driving force in accordance with the formation and disappearance of a magnetic field according to an electrical signal.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간 샤프트부를 상호 연결하는 커플러를 더 포함하는 클러치 타입 컨베이어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coupler for interconnecting the plurality of section shaft portion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 이송 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구간 이송 유닛 상의 상기 이송물체를 감지하는 이송 센서 유닛을 더 포함하는 클러치 타입 컨베이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nveyance sensor unit disposed adjacent to the section conveyance unit for sensing the conveyance object on the section conveyance unit.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간 이송 유닛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이송 센서 유닛에 의해 상기 이송물체가 감지되며 상기 어느 하나의 구간 이송 유닛에 인접한 다른 하나의 구간 이송 유닛에서 상기 이송 센서 유닛에 의해 다른 이송물체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다른 하나의 구간 이송 유닛에서 상기 다른 이송물체가 또 다른 상기 구간 이송 유닛 상으로 이동될 때까지 상기 어느 하나의 구간 이송 유닛에 의한 이송물체의 이송을 대기시킬 수 있는 이송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하는 클러치 타입 컨베이어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conveyance object is detected by the conveyance sensor unit 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interval conveyance units and another conveyance object is detected by the conveyance sensor unit in another interval conveyance unit adjacent to the one interval conveyance unit A transfer control unit capable of waiting for the transfer of the transfer object by any one of the section transfer units until the other transfer object is moved onto another section transfer unit in the other section transfer unit Comprising a clutch-type conveyor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003329A 2016-01-11 2016-01-11 Clutch type conveyer system Active KR1017781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329A KR101778189B1 (en) 2016-01-11 2016-01-11 Clutch type conveyer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329A KR101778189B1 (en) 2016-01-11 2016-01-11 Clutch type conveyer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3882A KR20170083882A (en) 2017-07-19
KR101778189B1 true KR101778189B1 (en) 2017-09-15

Family

ID=59427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3329A Active KR101778189B1 (en) 2016-01-11 2016-01-11 Clutch type conveyer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818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80259A (en) * 2021-12-16 2022-03-15 大连沅泓机械有限公司 Non-power clutch mechanism suitable for driving workbench roller way
KR102662607B1 (en) 2022-01-13 2024-05-03 주식회사 한진엔지니어링 Low speed driving apparatus for checking conveyor
KR102743009B1 (en) 2022-01-13 2024-12-17 주식회사 한진엔지니어링 Hydraulic pressure driving apparatus for checking convey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2806A (en) * 2003-04-24 2004-11-18 Nakanishi Metal Works Co Ltd Friction drive type monorail conveyor
JP5245461B2 (en) * 2008-03-05 2013-07-24 株式会社ダイフク Accumulation conveyor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2806A (en) * 2003-04-24 2004-11-18 Nakanishi Metal Works Co Ltd Friction drive type monorail conveyor
JP5245461B2 (en) * 2008-03-05 2013-07-24 株式会社ダイフク Accumulation conveyo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3882A (en) 2017-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042885A1 (en) Automated guided vehicle
JP5632743B2 (en) Accumulation and release conveyor
WO2006137317A1 (en) Delivery installation for traveling body for conveyance
KR101778189B1 (en) Clutch type conveyer system
DE3262520D1 (en) Transfer arrangement for pallets and similar objects
US8364307B2 (en) Dual power motorized roller
CN110562764B (en) Stacking devices, loaders and loading systems
US9233801B2 (en) Accumulating conveyor
CN107512528A (en) A kind of band lattice chain transfer
JP3828108B2 (en) Conveyor device
CN108657735B (en) Chain slat conveyor
US20230243173A1 (en) Automated parking floor conveyor systems
JP4625782B2 (en) Dolly moving device
KR100317557B1 (en) Mini Transfer Vehicle
KR101346912B1 (en) Auto moving vehicle of gear reduction type
JP2009039743A (en) Panel discharging apparatus
KR101211105B1 (en) Conveyor system
US3799325A (en) Flexible conveyor system
KR200410926Y1 (en) Roller Conveyor with Directional Roller
EP4071093A1 (en) Dock station arrangement and method for transferring goods between a conveyor device and a transport vehicle
JP5851642B1 (en) Basket cart stuffing equipment
KR20170124263A (en) Chain conveyer assembly
KR200263589Y1 (en) The Accumulation Conveyor with Motor Roller
US835590A (en) Transporting system.
JP5239377B2 (en) Pallet transpor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1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9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9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